KR102054877B1 - Cosmetic container in which the application member and contents are separated - Google Patents
Cosmetic container in which the application member and contents are separate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54877B1 KR102054877B1 KR1020180071083A KR20180071083A KR102054877B1 KR 102054877 B1 KR102054877 B1 KR 102054877B1 KR 1020180071083 A KR1020180071083 A KR 1020180071083A KR 20180071083 A KR20180071083 A KR 20180071083A KR 102054877 B1 KR102054877 B1 KR 1020548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ating member
- contents
- container
- inner container
- ho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8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8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1000209140 Tritic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21307 Tritic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34 dela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96 saliv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34/04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44—Closures
- B65D35/46—Closures with 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6—Reciprocating pumps, i.e. with variable volume chamber wherein pressure and vacuum are alternately gen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포부재와 내용물이 분리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용물수용공간을 갖으며 일측에 에어홀이 형성된 외용기와, 상기 외용기 내에 결합되며 제1체크밸브가 구비되고 도포부재수용공간을 갖는 내용기와, 상기 내용기 외주면과 외용기 내주면 사이에 결합되는 밀판과, 상기 내용기의 도포부재 수용공간에 장착되는 도포부재와, 상기 도포부재에 결합되어 내용기의 도포부재수용공간과 연결되며, 제2체크밸브가 구비된 탄성재질의 누름버튼으로 구성되되, 상기 도포부재의 솔대에는 내용기 내에 있던 공기가 유출될 수 있도록 공기유통홀 및 공기유통통로가 형성된다. 상기 누름버튼을 가압하면 누름버튼의 형태가 변형되면서 누름버튼에 구비된 제2체크밸브가 개방되어 누름버튼 내부에 있던 공기가 유출된 후, 상기 누름버튼의 가압을 해제하면 누름버튼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제2체크밸브가 폐쇄되어 상기 내용기 내에 있던 공기가 공기유통홀 및 공기유통통로를 통해 상기 누름버튼 내로 흡입된다. 이에 따라, 내용기 내부의 압력이 낮아짐으로써 내용기 하부에 형성된 제1체크밸브가 들어 올려지면, 상기 외용기 내에 수용된 내용물이 내용기 하단에 형성된 내용물유입홀로 흘러 들어가 상기 내용기 내로 유입되고 내용물이 상기 도포부재의 도포팁에 묻게 되어 상기 도포부재의 캡을 개방하여 도포팁에 묻은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품 용기는 필요한 양만큼 내용물을 토출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내용물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도포부재에 내용물이 과도하게 묻지 않아 종래기술과 같이 와이퍼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도포부재와 내용물이 분리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ntainer in which the coating member and the contents are separated, and more particularly, an outer container having an contents receiving space and an air hole formed on one side thereof, coupled to the outer container, and provided with a first check valve. An inner container having a member accommodation space, a sealing plate coupl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and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an application member mounted in the application member accommodation space of the internal container, and an application member of the internal container coupled to the application member It is connected to the space, and consists of a push button of the elastic material provided with a second check valve, the air outlet hole and the air flow passage is formed in the handle bar of the coating member to allow the air in the inner container to flow out. When the push button is pressed, the shape of the push button is deformed and the second check valve provided in the push button is opened to release air inside the push button, and when the press button is released, the push button is in its original shape. The second check valve is closed to restore the air, and the air in the inner container is sucked into the push button through the air flow hole and the air flow passage. Accordingly, when the first check valv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container is lifted by lowering the pressure inside the inner container,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outer container flow into the contents inlet hol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container and flow into the inner container. The coating member of the coating member is buried so that the contents of the coating tip can be used by opening the cap of the coating member. Therefore, the cosmetic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discharging the contents as necessary, so that the contents are not wasted and the contents are not excessively buried in the coating member, and thus the coating member and the contents do not need to be separately provided with the wiper as in the prior art. It relates to a separate cosmetic container.
일반적으로 입술 화장 시 사용하는 립글로스는 입술을 보호하거나 아름답고 건강하게 표현할 목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In general, lip gloss used for lip makeup is used for protecting lips or expressing beautiful and healthy.
이러한 상기 립글로스는 사용이 간편함은 물론 입술의 수분 증발을 방지하고 촉촉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써 다양한 계층에서 사용되어지고 있다. The lip gloss is used in various layers by being easy to use and preventing moisture evaporation of the lips and maintaining moisture.
상기의 립글로스 중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용기에 수용된 립글로스를 뚜껑의 솔대에 설치된 도포팁에 묻혀 사용하도록 구성한 것 또는 튜브용기 개구부에 결합된 노즐팁을 입술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튜브용기에 압력을 가해 립글로스가 노즐팁에 구비된 배출구로 나오도록 하여 입술에 도포하도록 구성된 것이 있다. The most commonly used of the lip gloss is that the lip gloss contained in the container is buried in the coating tip installed on the cap of the lid, or the nozzle tip attached to the tube container opening is pressed against the lips. There is one configured to apply lip gloss to the lips by exiting the outlet provided in the nozzle tip.
상기 립글로스 중 도포부재에 립글로스를 묻혀 바르는 형태의 화장품 용기는 내용물이 보관된 용기와 상기 용기 상부에 뚜껑이 결합되되, 뚜껑 하측으로는 연장 형성된 솔대 및 도포부재가 결합되어 사용자가 상기 립글로스 사용 시에 뚜껑을 개방하여 상기 솔대 및 도포부재를 꺼내면 상기 용기 내에 보관된 내용물이 도포부재에 묻어나와 입술화장을 하게 된다.Among the lip gloss, a cosmetic container in which a lip gloss is applied to a coating member is coated with a container in which the contents are stored and a lid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lip gloss. Opening the lid and taking out the brush and the coating member, the contents stored in the container is buried in the coating member to the lip cosmetics.
그러나 상기 종래의 립글로스는 사용자가 립글로스 사용 시마다 뚜껑을 개방하여 분리시켜 사용하는 구조로써 용기 내에 외부 공기가 지속적으로 유입됨에 따라 내용물이 산화되거나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lip gloss has a problem in that the contents are oxidized or contaminated as external air continuously flows into the container as the user uses the lid to separate and open each time the lip gloss is used.
또한, 상기 종래의 립글로스는 내용물 내에 도포부재가 담긴 상태로 함께 보관되는 형태로써, 사용자가 립글로스 사용 후 상기 용기에 솔대 및 도포부재를 삽입시켜 뚜껑을 닫았을 때 상기 도포부재에 묻은 침과 외부 이물질이 내용물에 섞여 들어가 내용물을 오염시키고 심지어는 내용물이 부패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lip gloss is a form that is stored together in a state in which the coating member is contained in the contents, when the user inserts the handle and the coating member in the container after using the lip gloss, the needle and external foreign matter on the coating member when the lid is close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contents were mixed into the contents to contaminate the contents and even the contents were corrupted.
또한, 상기 종래의 립글로스는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사용하다 보면 도포부재에 묻은 침이나 이물질로 인해 더러워지고 악취가 나는 문제가 있었으나, 상기 도포부재는 내용물 내에 담겨져 보관되는 형태로 되어있어 도포부재를 세척하여 내용물에 집어넣게 되면 젖은 도포부재로 인해 내용물이 변질되므로 상기 도포부재를 세척하여 건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보관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lip gloss has a problem that the user continually used to get dirty and odor due to the saliva or foreign substances on the coating member, the coating member is to be contained in the contents to be stored to wash the coating member When put into the contents, the contents are deteriorated due to the wet coating member, so there was an inconvenience in that the coating member was not cleaned and stored in a dry state.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2011-0006840이 개시되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이 보관된 제1케이스 상측에 누름버튼이 구비된 제2케이스가 결합되되, 상기 제2케이스 내에 펌핑동작에 의해 개폐되는 체크밸브 및 내용물을 흡입하는 펌프튜브와 상기 펌프튜브 타측 단에 밸브가 마련되며 상기 밸브에는 내용물 배출 시 끊김 현상을 발생시키도록 스프링이 결합되는 형태로써, 상기 누름버튼의 펌핑동작에 의해 체크밸브가 개폐되면서 내용물이 상기 펌프튜브로 유입되어 상기 밸브의 개폐에 따라 내용물이 배출되되, 상기 밸브에 결합된 스프링에 의해 일정 횟수만큼 끊기면서 제2케이스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형태이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20-2011-0006840 has been disclosed, the prior art is coupled to the second case provided with a push button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case, the contents are stored as shown in FIG. However, a check valve is opened and closed by a pumping operation in the second case and a pump tube for sucking the contents and a valve at the other end of the pump tube are provided, and the spring is coupled to the valve to generate a disconnection phenomenon when the contents are discharged. As the check valve is opened and closed by the pumping operation of the push button, the contents are introduced into the pump tube and the contents are discharged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and the second case is cut by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by a spring coupled to the valve. It is a form to discharge the contents through the outlet formed in the.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도포부재가 따로 구비되어 있지 않고 상기 제2케이스 일측에 토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토출구를 피부에 대고 도포하는 형태로 국소부위에 섬세하고 정교한 화장을 하기 불편함은 물론, 상기 누름버튼 가압 시 소량의 내용물이 일정량과 일정횟수만큼 배출되는 구조로써 사용자가 화장을 하는데 시간이 지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prior art is not provided with a separate coating member and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case is not inconvenient to apply a delicate and delicate makeup to the local area in the form of applying the discharge port to the skin, of course, the pressing When pressing a button, a small amount of contents are discharged by a certain amount and a certain number of times, which causes a problem that the user delays makeup.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내용물수용공간을 갖으며 일측에 에어홀이 형성된 외용기와, 상기 외용기 내에 결합되며 제1체크밸브가 구비되고 도포부재수용공간을 갖는 내용기와, 상기 내용기 외주면과 외용기 내주면 사이에 결합되는 밀판과, 상기 내용기의 도포부재 수용공간에 장착되는 도포부재와, 상기 도포부재에 결합되어 내용기의 도포부재수용공간과 연결되며, 제2체크밸브가 구비된 탄성재질의 누름버튼으로 구성되되, 상기 도포부재의 솔대에는 내용기 내에 있던 공기가 유출될 수 있도록 공기유통홀 및 공기유통통로가 형성된다. 상기 누름버튼을 가압하면 누름버튼의 형태가 변형되면서 누름버튼에 구비된 제2체크밸브가 개방되어 누름버튼 내부에 있던 공기가 유출된 후, 상기 누름버튼의 가압을 해제하면 누름버튼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제2체크밸브가 폐쇄되어 상기 내용기 내에 있던 공기가 공기유통홀 및 공기유통통로를 통해 상기 누름버튼 내로 흡입된다. 이에 따라, 내용기 내부의 압력이 낮아짐으로써 내용기 하부에 형성된 제1체크밸브가 들어 올려지면, 상기 외용기 내에 수용된 내용물이 내용기 하단에 형성된 내용물유입홀로 흘러 들어가 상기 내용기 내로 유입되고 내용물이 상기 도포부재의 도포팁에 묻게 되어 상기 도포부재의 캡을 개방하여 도포팁에 묻은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품 용기는 필요한 양만큼 내용물을 토출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내용물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도포부재에 내용물이 과도하게 묻지 않아 종래기술과 같이 와이퍼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도포부재와 내용물이 분리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having an outer space containing the contents and an air hole is formed on one side, and coupled to the outer container is provided with a first check valve having a coating member receiving space Is connected to the inner container, the sealing plate is coupl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outer contain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coating member mounted in the coating member receiving space of the inner container, the coat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coating member receiving space of the inner container, It is composed of a push button made of an elastic material provided with a second check valve, the air passage hole and the air flow passage is formed in the handle bar of the coating member to allow the air in the inner container to flow out. When the push button is pressed, the shape of the push button is deformed and the second check valve provided in the push button is opened to release air inside the push button, and when the press button is released, the push button is in its original shape. The second check valve is closed while being restored to, and the air in the inner container is sucked into the push button through the air distribution hole and the air distribution passage. Accordingly, when the first check valv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container is lifted by lowering the pressure inside the inner container,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outer container flow into the contents inlet hol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container and flow into the inner container. The coating member of the coating member is buried so that the contents of the coating tip can be used by opening the cap of the coating member. Therefore, the cosmetic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discharging the contents as necessary, so that the contents are not wasted and the contents are not excessively buried in the coating member, and thus the coating member and the contents do not need to be separately provided with the wiper as in the prior art. It is to provide a separate cosmetic container.
또한, 내용물수용공간을 갖는 외용기 내측으로 내용기가 삽입 결합되되, 상기 내용기 외주면과 외용기 내주면 사이에는 밀판이 결합되어 상기 밀판이 내용기와 외용기 사이의 빈 공간을 밀폐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내용기 하측은 상기 제1체크밸브가 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체크밸브가 상기 내용기 하측에 관통된 부분에 끼워져 내용물유입구를 밀폐함으로써, 본 발명의 화장품 용기를 보관할 때, 내용물이 내용기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에 따라, 상기 도포부재와 내용물이 분리 수용되므로 상기 도포부재를 세척하여 화장품 용기 내에 보관할 수 있어 도포부재를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내용물이 외부와 완전히 차단되어 공기 접촉에 의해 내용물이 산화 및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도포부재와 내용물이 분리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the inner container is inserted into the outer container having a content receiving space, the sealing plate is coupl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inner container inner peripheral surface and serves to seal the empty space between the inner container and the outer container. The lower side of the inner container is formed to penetrate so that the first check valve can be coupled, and the first check valve is inserted into a portion penetrated by the lower side of the inner container to seal the contents inlet, thereby storing the cosmetic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 entry into this container. Accordingly, since the coating member and the contents are separately accommodated, the coating member can be washed and stored in the cosmetic container so that the coating member can be used cleanly, and the contents are completely blocked from the outside so that the contents are oxidized and contaminated by air contact. It is to provide a cosmetic container is separated from the coating member and the contents that can be prevented.
본 발명은 내부에 내용물수용공간을 갖으며, 에어홀이 형성된 외용기와;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terior accommodating space, the outer container having an air hole;
상기 외용기 내에 결합되며, 도포부재수용공간을 갖으고, 하단에 제1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홀에 제1체크밸브가 구비된 내용기와;An inner container coupled to the outer container, having a coating member accommodation space, and having a first through hole formed at a lower end thereof, and having a first check valve disposed at the first through hole;
상기 외용기와 내용기 사이에 삽입되는 밀판과;A wheat plate inserted between the outer container and the inner container;
상기 내용기의 도포부재수용공간에 장착되는 도포부재와;An application member mounted in the application member accommodation space of the inner container;
상기 도포부재에 결합되어 내용기의 도포부재수용공간과 연결되며, 제2체크밸브가 구비된 탄성재질의 누름버튼;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부재와 내용물이 분리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한다.It is coupled to the coat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coating member receiving space of the inner container, it provides a cosmetic container with the coating member and the contents separated,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ush button of the elastic material provided with a second check valve.
또한, 상기 내용기의 내부 하측에는 도포부재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도포부재삽입홈에 도포부재의 일부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ner side of the inner container is formed with a coating member insertion groove, characterized in that a portion of the coating member is located in the coating member insertion groove.
또한, 상기 도포부재는 내용기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캡과 상기 캡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솔대와 상기 솔대 하측에 결합되는 도포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at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cap that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inner container and the brush rod exten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cap and the coating tip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cap.
또한, 상기 솔대 내측에는 공기유통통로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공기유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ir flow passage is formed in the inside of the sole,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flow hole is formed on one side.
또한, 상기 누름버튼은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는 누름부와 캡의 상측에 결합되는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ush button i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pressing portion is pressed by the user and the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cap.
또한, 상기 누름버튼에는 제2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관통홀에는 제2체크밸브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second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push button, and a second check valve is coupled to the second through hole.
본 발명에 따른 도포부재와 내용물이 분리된 화장품 용기는 내용물수용공간을 갖으며 일측에 에어홀이 형성된 외용기와, 상기 외용기 내에 결합되며 제1체크밸브가 구비되고 도포부재수용공간을 갖는 내용기와, 상기 내용기 외주면과 외용기 내주면 사이에 결합되는 밀판과, 상기 내용기의 도포부재 수용공간에 장착되는 도포부재와, 상기 도포부재에 결합되어 내용기의 도포부재수용공간과 연결되며, 제2체크밸브가 구비된 탄성재질의 누름버튼으로 구성되되, 상기 도포부재의 솔대에는 내용기 내에 있던 공기가 유출될 수 있도록 공기유통홀 및 공기유통통로가 형성된다. 상기 누름버튼을 가압하면 누름버튼의 형태가 변형되면서 누름버튼에 구비된 제2체크밸브가 개방되어 누름버튼 내부에 있던 공기가 유출된 후, 상기 누름버튼의 가압을 해제하면 누름버튼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제2체크밸브가 폐쇄되어 상기 내용기 내에 있던 공기가 공기유통홀 및 공기유통통로를 통해 상기 누름버튼 내로 흡입된다. 이에 따라, 내용기 내부의 압력이 낮아짐으로써 내용기 하부에 형성된 제1체크밸브가 들어 올려지면, 상기 외용기 내에 수용된 내용물이 내용기 하단에 형성된 내용물유입홀로 흘러 들어가 상기 내용기 내로 유입되고 내용물이 상기 도포부재의 도포팁에 묻게 되어 상기 도포부재의 캡을 개방하여 도포팁에 묻은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품 용기는 필요한 양만큼 내용물을 토출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내용물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도포부재에 내용물이 과도하게 묻지 않아 종래기술과 같이 와이퍼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The cosmetic container in which the coating member and the contents are separa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contents receiving space and an outer container having an air hole formed on one side thereof, which is coupled to the outer container and has a first check valve and has a coating member containing space. Roof tile, a sealing plate coupl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a coating member mounted on the coating member accommodation space of the inner container, coupled to the coating member and connected to the coating member accommodation space of the container; It consists of an elastic push button provided with a two-check valve, the air outlet hole and the air flow passage is formed in the brush member of the coating member to allow the air in the inner container to flow out. When the push button is pressed, the shape of the push button is deformed and the second check valve provided in the push button is opened to release air inside the push button, and when the press button is released, the push button is in its original shape. The second check valve is closed while being restored to, and the air in the inner container is sucked into the push button through the air distribution hole and the air distribution passage. Accordingly, when the first check valv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container is lifted by lowering the pressure inside the inner container,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outer container flow into the contents inlet hol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container and flow into the inner container. The coating member of the coating member is buried so that the contents of the coating tip can be used by opening the cap of the coating member. Therefore, since the cosmetic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discharging the contents as necessary, the contents are prevented from being wasted and the contents do not need to be excessively buried in the coating member, so that the wiper does not need to be separately provided as in the prior art.
또한, 내용물수용공간을 갖는 외용기 내측으로 내용기가 삽입 결합되되, 상기 내용기 외주면과 외용기 내주면 사이에는 밀판이 결합되어 상기 밀판이 내용기와 외용기 사이의 빈 공간을 밀폐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내용기 하측은 상기 제1체크밸브가 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체크밸브가 상기 내용기 하측에 관통된 부분에 끼워져 내용물유입구를 밀폐함으로써, 본 발명의 화장품 용기를 보관할 때, 내용물이 내용기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에 따라, 상기 도포부재와 내용물이 분리 수용되므로 상기 도포부재를 세척하여 화장품 용기 내에 보관할 수 있어 도포부재를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내용물이 외부와 완전히 차단되어 공기 접촉에 의해 내용물이 산화 및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inner container is inserted into the outer container having a content receiving space, the sealing plate is coupl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inner container inner peripheral surface and serves to seal the empty space between the inner container and the outer container. The lower side of the inner container is formed to penetrate so that the first check valve can be coupled, and the first check valve is inserted into a portion penetrated by the lower side of the inner container to seal the contents inlet, thereby storing the cosmetic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 entry into this container. Accordingly, since the coating member and the contents are separately accommodated, the coating member can be washed and stored in the cosmetic container so that the coating member can be used cleanly, and the contents are completely blocked from the outside so that the contents are oxidized and contaminated by air contac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prevented.
도 1은 종래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포부재와 내용물이 분리된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포부재와 내용물이 분리된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포부재와 내용물이 분리된 화장품 용기의 누름버튼을 가압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포부재와 내용물이 분리된 화장품 용기의 누름버튼의 가압을 해제하여 내용물을 이동시키는 상태의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cosmetic container.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in which the application member and the contents are sepa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in which the application member and the contents are sepa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2.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ate pressing the push button of the cosmetic container with the application member and the contents separated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ate to move the contents by releasing the pressing of the push button of the cosmetic container is the application member and the contents separat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도포부재와 내용물이 분리된 화장품 용기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embodiment of a cosmetic container in which the coating member and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eparated as follow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포부재와 내용물이 분리된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포부재와 내용물이 분리된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포부재와 내용물이 분리된 화장품 용기의 누름버튼을 가압하는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포부재와 내용물이 분리된 화장품 용기의 누름버튼의 가압을 해제하여 내용물을 이동시키는 상태의 단면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in which the coating member and the contents are sepa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smetic container in which the coating member and the contents are sepa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2,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ate pressing the push button of the cosmetic container with the application member and the contents sepa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osmetic container of the application member and the contents are sepa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ctional drawing of the state which moves a content by releasing the press of a pushbutton.
본 발명의 도포부재와 내용물이 분리된 화장품 용기는 내부에 내용물수용공간(11)을 갖으며, 에어홀(12)이 형성된 외용기(10)와, 상기 외용기(10) 내에 결합되며, 도포부재수용공간(21)을 갖으고, 하단에 제1관통홀(22)이 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홀(22)에 제1체크밸브(23)가 구비된 내용기(20)와, 상기 외용기(10)와 내용기(20) 사이에 삽입되는 밀판(30)과, 상기 내용기(20)의 도포부재수용공간(21)에 장착되는 도포부재(40)와, 상기 도포부재(40)에 결합되어 내용기(20)의 도포부재수용공간(21)과 연결되며, 제2체크밸브(83)가 구비된 탄성재질의 누름버튼(80)으로 이루어진다.The cosmetic container in which the coating member and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eparated has an
상기 외용기(10)는 내부에 내용물수용공간(11)이 형성되며, 상기 내용물수용공간(11)에는 도포부재(40)를 이용하여 피부에 사용할 수 있는 내용물이 수용된다.The
상기 외용기(10)의 외주면에는 에어홀(12)이 형성되며, 상기 에어홀(12)을 통해서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외용기(10)와 내용기(20) 사이에 삽입되는 밀판(30)이 원할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해준다.An
상기 내용기(20)는 외용기(10)의 내측에 결합되며, 도포부재수용공간(21)을 갖는다.The
상기 내용물수용공간(11)은 상기 외용기(10) 내에 내용기(20)를 결합했을 때, 상기 외용기(10)와 내용기(20) 사이의 공간이다.The
상기 도포부재수용공간(21)에는 도포부재(40)가 수용되며,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도포부재(40)는 종래와 달리 내용물과 별도로 보관되어 있다.The coating
상기 도포부재(40)는 내용물과 별도로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도포부재(40)를 세척하여 본 발명의 화장품 용기 내에 보관할 수 있어 도포부재(40)를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Since the
상기 내용기(20)의 하부에는 제1관통홀(22)이 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홀(22)에는 제1체크밸브(23)가 결합된다.A first through
상기 제1관통홀(22)은 외용기(10)의 내용물수용공간(11)에 수용된 내용물이 내용기(20)로 이동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The first through
이때 상기 제1체크밸브(23)는 제1관통홀(22)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내용물의 이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At this time, the
상기 내용기(20)의 하부에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포부재삽입홈(24)이 형성되며, 상기 도포부재삽입홈(24)에는 도포부재(40)의 도포팁(70) 일부가 삽입된다.A coating
또한, 상기 도포부재삽입홈(24)에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용기(10)의 내용물수용공간(11)에 수용된 내용물이 제1관통홀(22)을 통해 이동하여 저장되는 공간 역할도 한다.In addition, the coating
상기 내용기(20)의 외주면과 외용기(10)의 내주면 사이에는 밀판(30)이 결합되며, 상기 밀판(30)은 내용기(20)와 외용기(10) 사이의 내용물수용공간(11)을 밀폐하여 상기 내용물수용공간(11)에 수용된 내용물을 외부와 완전히 차단하여 공기 접촉에 의해 내용물이 산화 및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상기 내용기(20)의 도포부재수용공간(21)에는 도포부재(40)가 장착된다.The coating
상기 도포부재(40)는 내용기(2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캡(50)과 상기 캡(50)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솔대(60)와 상기 솔대(60) 하측에 결합되는 도포팁(70)으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캡(50)은 도포부재(40)를 내용기(20)에 탈부착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부 내주면에 걸림환홈(51)이 형성된다.The
상기 걸림환홈(51)에는 누름버튼(80)의 걸림돌륜(86)이 결합되어 상기 누름버튼(80)이 캡(5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locking
상기 캡(50)의 하측에 연장 형성되는 솔대(50)는 내부에 공기유통통로(61)가 형성되며, 일측에는 공기유통홀(62)이 형성된다.The
상기 솔대(50)의 공기유통통로(61)와 공기유통홀(62)은 내용기(20) 내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통로 역할을 한다.The
상기 솔대(50)의 하부에는 도포팁(70)이 결합되며, 상기 도포팁(70)은 내용기(20)의 도포부재삽입홈(24)에 저장되는 내용물을 취하여 피부에 도포하는 역할을 한다.The
상기 도포팁(70)은 일반적으로 스펀지 재질 또는 브러시 재질로 형성되지만 내용물을 피부에 도포할 수 있는 어떤 재질로 형성되어도 가능하다.The
상기 캡(50)의 걸림환홈(51)에 결합되는 누름버튼(80)은 탄성 재질로 형성된다.The
상기 누름버튼(80)은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는 누름부(81)와 캡(50)의 상측에 결합되는 결합부(85)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누름부(81)와 결합부(85)는 일체로 형성되어도 가능하다.The
상기 누름부(81)에는 제2관통홀(82)이 형성되며, 상기 제2관통홀(82)에는 제2체크밸브(83)가 결합된다.A second through
상기 제2체크밸브(83)는 누름버튼(80)의 누름부(81)를 가압하면 상기 누름버튼(80) 내부에 있던 공기가 유출되는 통로 역할을 한다.When the
상기 결합부(85)의 외주면에는 걸림돌륜(86)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륜(86)은 캡(50)의 걸림환홈(51)에 결합되어 누름버튼(80)이 캡(5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A lock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포부재와 내용물이 분리된 화장품 용기의 조립방법 및 사용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method of assembling and using the cosmetic container in which the coating member and the contents are sepa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도포부재와 내용물이 분리된 화장품 용기를 조립하기 위해 외주면에 에어홀(12)이 형성된 외용기(10)의 내용물수용공간(11)에 내용물을 충전한 다음, 상기 외용기(10)의 내측으로 외주면에 밀판(30)이 결합된 내용기(20)를 삽입 장착하되, 상기 내용기의 하부에는 제1관통홀(22)이 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홀(22)에는 제1체크밸브(23)가 결합되어 있다.In order to assemble the cosmetic container in which the coating member and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eparated, the contents are filled in the
이후, 내용기(2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캡(50)과 상기 캡(50)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솔대(60)와 상기 솔대(60) 하측에 결합되는 도포팁(70)으로 이루어진 도포부재(40)의 캡(50) 상부에 누름버튼(80)을 결합한다.Then, the coating consisting of the
이때, 상기 솔대(60)는 내부에 공기유통통로(61)가 형성되며, 일측에는 공기유통홀(62)이 형성되고, 누름버튼(80)의 누름부(81)에는 제2관통홀(82)이 형성되며, 상기 제2관통홀(82)에는 제2체크밸브(83)가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이후, 상기 누름버튼(80)이 결합된 도포부재(40)를 내용기(20)에 결합하여 조립을 완료한다.Then, the
상기의 방법으로 조립된 도포부재와 내용물이 분리된 화장품 용기의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해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누름버튼(80)을 가압한다.In order to use the contents of the cosmetic container, the coating member and the contents are assembled in the above manner as shown in Figure 6 to press the push button (80).
상기 누름버튼(80)을 가압하면 누름버튼(80)의 형태가 변형되면서 상기 누름버튼(80)에 구비된 제2체크밸브(83)가 개방되어 누름버튼(8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간다.When the
이후,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누름버튼(80)의 가압을 해제하면 누름버튼(80)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면서 제2체크밸브(83)가 폐쇄되는 동시에 내용기(20) 내에 있던 공기가 도포부재(40)의 솔대(60)에 형성된 공기유통홀(62)과 공기유통통로(61)를 통해 상기 누름버튼(80) 내로 흡입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7, when the
이때, 상기 내용기(20)의 내부 압력이 낮아짐으로써 내용기(20) 하부에 형성된 제1체크밸브(23)가 들어 올려져 상기 외용기(10) 내에 수용된 내용물이 내용기(20) 하단에 형성된 제1관통홀(22)을 통해서 상기 내용기(20) 내로 유입된다.At this time,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상기 외용기(10)의 내용물수용공간(11)에서 내용기(20)로 유입된 내용물만큼 외용기(10)의 에어홀(12)을 통해서 외부 공기가 상기 외용기(10)로 유입되어 밀판(30)을 원할하게 이동시킨다.Outside air flows into the
상기 내용기(20)로 유입된 내용물은 도포부재(40)의 도포팁(70)에 묻게 되어 상기 도포부재(40)의 캡(50)을 개방하여 도포팁(70)에 묻은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어서, 본 발명의 화장품 용기는 필요한 양만큼 내용물을 토출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내용물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도포부재(40)에 내용물이 과도하게 묻지 않아 종래기술과 같이 와이퍼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The contents introduced into the
이상, 본 발명에서 설명한 것은 도포부재와 내용물이 분리된 화장품 용기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해당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what i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mbodiment for carrying out a cosmetic container in which the coating member and the contents are separated,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s claimed in the appended claims,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regard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t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
10:외용기 20:내용기
30:밀판 40:도포부재
50:캡 60:솔대
70:도포팁 80:누름버튼10: container 20: container
30: sealing sheet 40: coating member
50: Cap 60: Brush head
70: Application tip 80: Push button
Claims (5)
상기 외용기 내에 결합되며, 도포부재수용공간을 갖고, 하단에 제1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홀에 제1체크밸브가 구비된 내용기와;
상기 외용기와 내용기 사이에 삽입되는 밀판과;
상기 내용기의 도포부재수용공간에 장착되는 도포부재와;
상기 도포부재에 결합되어 내용기의 도포부재수용공간과 연결되며, 제2체크밸브가 구비된 탄성재질의 누름버튼;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도포부재는 내용기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캡과 상기 캡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솔대와 상기 솔대 하측에 결합되는 도포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솔대 내측에는 공기유통통로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공기유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부재와 내용물이 분리된 화장품 용기.An outer container having a content receiving space therein and having an air hole;
An inner container coupled to the outer container, having a coating member accommodation space, a first through hole formed at a lower end thereof, and a first check valve disposed in the first through hole;
A wheat plate inserted between the outer container and the inner container;
An application member mounted in the application member accommodation space of the inner container;
Is coupled to the coat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coating member receiving space of the inner container, the push button of the elastic material provided with a second check valve;
The coating member is made of a cap coupl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inner container and the brush rod exten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cap and the coating tip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brush,
The cosmetic container is separated from the coating member and the contents,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flow passage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sole, the air distribution hole is formed on one side.
상기 내용기의 내부 하측에는 도포부재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도포부재삽입홈에 도포부재의 일부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부재와 내용물이 분리된 화장품 용기.The method of claim 1,
An inner side of the inner container is formed with a coating member insertion groove, the cosmetic member is separated from the coating member and the contents, characterized in that a portion of the coating member is located in the coating member insertion groove.
상기 누름버튼에는 제2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관통홀에는 제2체크밸브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부재와 내용물이 분리된 화장품 용기.The method of claim 1,
The push button has a second through-hole is formed, the second through-hole cosmetic container is separated from the coating member and the content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check valve is coupl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1083A KR102054877B1 (en) | 2018-06-20 | 2018-06-20 | Cosmetic container in which the application member and contents are separate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1083A KR102054877B1 (en) | 2018-06-20 | 2018-06-20 | Cosmetic container in which the application member and contents are separate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54877B1 true KR102054877B1 (en) | 2019-12-12 |
Family
ID=69003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71083A Active KR102054877B1 (en) | 2018-06-20 | 2018-06-20 | Cosmetic container in which the application member and contents are separate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54877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29441A (en) * | 2019-05-08 | 2020-11-18 | (주)연우 | Cosmetic container containing different kinds of contents and having dual applicating means |
KR20210156099A (en) * | 2020-06-17 | 2021-12-24 | (주)아모레퍼시픽 | Cosmetic container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5590B1 (en) * | 2004-10-15 | 2007-11-09 | 로레알 | A kit for applying makeup to keratinous fibers |
KR100840590B1 (en) * | 2007-02-12 | 2008-06-23 | 정규선 | Nozzle for toiletries and toiletries with same |
KR101077480B1 (en) * | 2011-05-20 | 2011-10-27 | 이승용 | Carry-out container |
KR101590865B1 (en) * | 2014-08-28 | 2016-02-02 | (주)연우 | A Dispenser Vessel |
KR101760627B1 (en) * | 2016-12-06 | 2017-07-24 |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 Lip gross vessel |
KR101804506B1 (en) * | 2015-01-06 | 2017-12-04 |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 Cosmetic vessel |
-
2018
- 2018-06-20 KR KR1020180071083A patent/KR10205487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5590B1 (en) * | 2004-10-15 | 2007-11-09 | 로레알 | A kit for applying makeup to keratinous fibers |
KR100840590B1 (en) * | 2007-02-12 | 2008-06-23 | 정규선 | Nozzle for toiletries and toiletries with same |
KR101077480B1 (en) * | 2011-05-20 | 2011-10-27 | 이승용 | Carry-out container |
KR101590865B1 (en) * | 2014-08-28 | 2016-02-02 | (주)연우 | A Dispenser Vessel |
KR101804506B1 (en) * | 2015-01-06 | 2017-12-04 |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 Cosmetic vessel |
KR101760627B1 (en) * | 2016-12-06 | 2017-07-24 |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 Lip gross vessel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29441A (en) * | 2019-05-08 | 2020-11-18 | (주)연우 | Cosmetic container containing different kinds of contents and having dual applicating means |
KR102185917B1 (en) | 2019-05-08 | 2020-12-03 | (주)연우 | Cosmetic container containing different kinds of contents and having dual applicating means |
KR20210156099A (en) * | 2020-06-17 | 2021-12-24 | (주)아모레퍼시픽 | Cosmetic container |
KR102666606B1 (en) | 2020-06-17 | 2024-05-16 | (주)아모레퍼시픽 | Cosmetic contain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834890B1 (en) | Tube-shaped cosmetic container for discharching cream-type cosmetic | |
KR200408260Y1 (en) | A standard capacity discharge case of liquid content | |
KR100840555B1 (en) | Nozzle tip of cosmetic container with vacuum cutoff | |
JP6514339B2 (en) | Compact container with ring button member | |
US20170347772A1 (en) | Compact container having discharge plate made of ceramic | |
KR20100009882U (en) | A airless pump have eye cream cosmetic case | |
KR200439672Y1 (en) | Dispensing Tip Replaceable Content Dispensing Container | |
KR102054877B1 (en) | Cosmetic container in which the application member and contents are separated | |
US20090071498A1 (en) | Packaging and Applicator Assembly for Mascara and its Use in Applying Mascara | |
JP6698814B2 (en) | Compact container with contents storage container connected horizontally to the side of the pump | |
KR101048412B1 (en) | Cosmetic container | |
KR200478768Y1 (en) | Liquid Composition Impregnation Member and Cosmetics Container Including the Same | |
KR20200007370A (en) | compact container with insert injection sponge on the discharging plate | |
US20200196731A1 (en) | Compact container having contamination-preventing cooling plate | |
KR100843642B1 (en) | Cosmetics container with a puff rotatably mounted on a container body | |
KR101765711B1 (en) | Pump container having a turning type preventing inflow member | |
JP7369262B2 (en) | Cosmetic case with refill structure | |
US2896236A (en) | Means for cleaning and dressing footwear and the like | |
KR200451997Y1 (en) | Manicure Liquid Container | |
JPWO2005089588A1 (en) | Container with applicator | |
WO2007100188A1 (en) | Cosmetics container for containing cosmetics | |
JP2006006754A (en) | Application container | |
KR200441169Y1 (en) | Lip-gloss container with lipstick | |
KR20200044358A (en) | Cosmetic container in which the contents are discharged by pressure | |
KR101971918B1 (en) | A spuit container having a flocking tip with a temporary stora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6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12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