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53934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ounding reference signal을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ounding reference signal을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3934B1
KR102053934B1 KR1020180143021A KR20180143021A KR102053934B1 KR 102053934 B1 KR102053934 B1 KR 102053934B1 KR 1020180143021 A KR1020180143021 A KR 1020180143021A KR 20180143021 A KR20180143021 A KR 20180143021A KR 102053934 B1 KR102053934 B1 KR 102053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rs
resources
srs resource
resource sets
inform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3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7017A (ko
Inventor
강지원
박종현
이길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57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7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93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4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 H04L25/0226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sounding signals per 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e.g. signalling of configuration information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2Chann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5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source usage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RS(sounding reference signal)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복수의 SRS 자원 세트(resource set)들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SRS 자원 세트는 하나 이상의 SRS 자원들을 포함하며;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SRS 자원들 상에서 상기 SRS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SRS 자원들이 서로 다른 SRS 자원 세트에 포함된 경우, 상기 SRS는 상기 복수의 SRS 자원들 상에서 동시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ounding reference signal을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FOR TRANSMITTING A SOUNDING REFERENCE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E}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sounding reference signal을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의 활동성을 보장하면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동통신 시스템은 음성뿐 아니라 데이터 서비스까지 영역을 확장하였으며, 현재에는 폭발적인 트래픽의 증가로 인하여 자원의 부족 현상이 야기되고 사용자들이 보다 고속의 서비스를 요구하므로, 보다 발전된 이동 통신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요구 조건은 크게 폭발적인 데이터 트래픽의 수용, 사용자 당 전송률의 획기적인 증가, 대폭 증가된 연결 디바이스 개수의 수용, 매우 낮은 단대단 지연(End-to-End Latency), 고에너지 효율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이중 연결성(Dual Connectivity), 대규모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Massive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전이중(In-band Full Duplex), 비직교 다중접속(NOMA: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초광대역(Super wideband) 지원, 단말 네트워킹(Device Networking) 등 다양한 기술들이 연구되고 있다.
본 명세서는 sounding reference signal(SRS)을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RS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각각 하나 이상의 SRS 자원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SRS 자원 세트(resource set)들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SRS 자원들 상에서 상기 SRS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SRS 자원들이 서로 다른 SRS 자원 세트에 포함된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SRS 자원들 상에서 상기 SRS는 동시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지원하는 SRS 자원 세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능력(capability)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능력 정보는, SRS 자원 세트 수, 각 SRS 자원 세트마다 필요한 SRS 자원 수 또는 각 SRS 자원 세트마다 동시 전송 가능한 SRS 자원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SRS 자원들이 서로 다른 SRS 자원 세트에 포함된 경우, 상기 SRS는 FDM(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SRS 자원들이 동일한 SRS 자원 세트에 포함된 경우, 상기 SRS는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전송한 SRS 자원 세트에 대한 정보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SRS 자원 세트에 대한 정보는 기 정해진 규칙에 의해 매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ounding reference signal(SRS)를 전송을 수행하는 단말에 있어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RF(Radio Frequency) 모듈; 및 상기 RF 모듈과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각각 하나 이상의 SRS 자원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SRS 자원 세트(resource set)들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SRS 자원들 상에서 상기 SRS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SRS 자원들이 서로 다른 SRS 자원 세트에 포함된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SRS 자원들 상에서 상기 SRS는 동시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이 지원하는 SRS 자원 세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능력(capability)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능력 정보는, SRS 자원 세트 수, 각 SRS 자원 세트마다 필요한 SRS 자원 수 또는 각 SRS 자원 세트마다 동시 전송 가능한 SRS 자원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SRS 자원들이 서로 다른 SRS 자원 세트에 포함된 경우, 상기 SRS는 FDM(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SRS 자원들이 동일한 SRS 자원 세트에 포함된 경우, 상기 SRS는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전송한 SRS 자원 세트에 대한 정보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SRS 자원 세트에 대한 정보는 기 정해진 규칙에 의해 매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SRS 자원 세트 내의 SRS 리소스는 동시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 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NR의 전체적인 시스템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프레임과 하향링크 프레임 간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self-contained 서브프레임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트랜스시버 유닛 모델을 예시한다.
도 6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단말 내에 다수의 안테나 패널 어레이 장착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SRS를 전송하기 위한 단말 동작의 일례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들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예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예시한다.
도 10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의 RF 모듈의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의 RF 모듈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은 단말과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의 종단 노드(terminal node)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기지국의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기지국(BS: Base Station)'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gNB(general NB)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단말(Terminal)'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SS(Subscriber Station), AMS(Advanced Mobile Station), WT(Wireless terminal), MTC(Machine-Type Communication) 장치, M2M(Machine-to-Machine) 장치, D2D(Device-to-Device) 장치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L: downlink)는 기지국에서 단말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UL: uplink)는 단말에서 기지국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의 일부이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의 일부이고, 수신기는 기지국의 일부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은 E-UTRA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써,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LTE-A(advanced)는 3GPP LTE의 진화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무선 접속 시스템들인 IEEE 802, 3GPP 및 3GPP2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3GPP LTE/LTE-A를 위주로 기술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용어 정의
eLTE eNB: eLTE eNB는 EPC 및 NGC에 대한 연결을 지원하는 eNB의 진화(evolution)이다.
gNB: NGC와의 연결뿐만 아니라 NR을 지원하는 노드.
새로운 RAN: NR 또는 E-UTRA를 지원하거나 NGC와 상호 작용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네트워크 슬라이스(network slice):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종단 간 범위와 함께 특정 요구 사항을 요구하는 특정 시장 시나리오에 대해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하도록 operator에 의해 정의된 네트워크.
네트워크 기능(network function): 네트워크 기능은 잘 정의된 외부 인터페이스와 잘 정의된 기능적 동작을 가진 네트워크 인프라 내에서의 논리적 노드.
NG-C: 새로운 RAN과 NGC 사이의 NG2 레퍼런스 포인트(reference point)에 사용되는 제어 평면 인터페이스.
NG-U: 새로운 RAN과 NGC 사이의 NG3 레퍼런스 포인트(reference point)에 사용되는 사용자 평면 인터페이스.
비 독립형(Non-standalone) NR: gNB가 LTE eNB를 EPC로 제어 플레인 연결을 위한 앵커로 요구하거나 또는 eLTE eNB를 NGC로 제어 플레인 연결을 위한 앵커로 요구하는 배치 구성.
비 독립형 E-UTRA: eLTE eNB가 NGC로 제어 플레인 연결을 위한 앵커로 gNB를 요구하는 배치 구성.
사용자 평면 게이트웨이: NG-U 인터페이스의 종단점.
시스템 일반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NR의 전체적인 시스템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NG-RAN은 NG-RA 사용자 평면(새로운 AS sublayer/PDCP/RLC/MAC/PHY) 및 UE(User Equipment)에 대한 제어 평면(RRC) 프로토콜 종단을 제공하는 gNB들로 구성된다.
상기 gNB는 Xn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호 연결된다.
상기 gNB는 또한, NG 인터페이스를 통해 NGC로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gNB는 N2 인터페이스를 통해 AMF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로, N3 인터페이스를 통해 UPF (User Plane Function)로 연결된다.
NR (New Rat) 뉴머롤로지 (Numerology) 및 프레임(frame) 구조
NR 시스템에서는 다수의 뉴머롤로지(numerology)들이 지원될 수 있다. 여기에서, 뉴머롤로지는 서브캐리어 간격(subcarrier spacing)과 CP(Cyclic Prefix) 오버헤드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이 때, 다수의 서브캐리어 간격은 기본 서브캐리어 간격을 정수 N(또는,
Figure 112018115276869-pat00001
)으로 스케일링(scaling) 함으로써 유도될 수 있다. 또한, 매우 높은 반송파 주파수에서 매우 낮은 서브캐리어 간격을 이용하지 않는다고 가정될지라도, 이용되는 뉴머롤로지는 주파수 대역과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NR 시스템에서는 다수의 뉴머롤로지에 따른 다양한 프레임 구조들이 지원될 수 있다.
이하, NR 시스템에서 고려될 수 있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뉴머롤로지 및 프레임 구조를 살펴본다.
NR 시스템에서 지원되는 다수의 OFDM 뉴머롤로지들은 표 1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18115276869-pat00002
NR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구조(frame structure)와 관련하여, 시간 영역의 다양한 필드의 크기는
Figure 112018115276869-pat00003
의 시간 단위의 배수로 표현된다. 여기에서,
Figure 112018115276869-pat00004
이고,
Figure 112018115276869-pat00005
이다. 하향링크(downlink) 및 상향링크(uplink) 전송은
Figure 112018115276869-pat00006
의 구간을 가지는 무선 프레임(radio frame)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무선 프레임은 각각
Figure 112018115276869-pat00007
의 구간을 가지는 10 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들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향링크에 대한 한 세트의 프레임들 및 하향링크에 대한 한 세트의 프레임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프레임과 하향링크 프레임 간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단말(User Equipment, UE)로 부터의 상향링크 프레임 번호 i의 전송은 해당 단말에서의 해당 하향링크 프레임의 시작보다
Figure 112018115276869-pat00008
이전에 시작해야 한다.
뉴머롤로지
Figure 112018115276869-pat00009
에 대하여, 슬롯(slot)들은 서브프레임 내에서
Figure 112018115276869-pat00010
의 증가하는 순서로 번호가 매겨지고, 무선 프레임 내에서
Figure 112018115276869-pat00011
의 증가하는 순서로 번호가 매겨진다. 하나의 슬롯은
Figure 112018115276869-pat00012
의 연속하는 OFDM 심볼들로 구성되고,
Figure 112018115276869-pat00013
는, 이용되는 뉴머롤로지 및 슬롯 설정(slot configuration)에 따라 결정된다. 서브프레임에서 슬롯
Figure 112018115276869-pat00014
의 시작은 동일 서브프레임에서 OFDM 심볼
Figure 112018115276869-pat00015
의 시작과 시간적으로 정렬된다.
모든 단말이 동시에 송신 및 수신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이는 하향링크 슬롯(downlink slot) 또는 상향링크 슬롯(uplink slot)의 모든 OFDM 심볼들이 이용될 수는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 2는 뉴머롤로지
Figure 112018115276869-pat00016
에서의 일반(normal) CP에 대한 슬롯 당 OFDM 심볼의 수를 나타내고, 표 3은 뉴머롤로지
Figure 112018115276869-pat00017
에서의 확장(extended) CP에 대한 슬롯 당 OFDM 심볼의 수를 나타낸다.
Figure 112018115276869-pat00018
Figure 112018115276869-pat00019
NR 물리 자원( NR Physical Resource)
NR 시스템에서의 물리 자원(physical resource)과 관련하여, 안테나 포트(antenna port),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 자원 블록(resource block), 캐리어 파트(carrier part) 등이 고려될 수 있다.
이하, NR 시스템에서 고려될 수 있는 상기 물리 자원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안테나 포트와 관련하여, 안테나 포트는 안테나 포트 상의 심볼이 운반되는 채널이 동일한 안테나 포트 상의 다른 심볼이 운반되는 채널로부터 추론될 수 있도록 정의된다. 하나의 안테나 포트 상의 심볼이 운반되는 채널의 광범위 특성(large-scale property)이 다른 안테나 포트 상의 심볼이 운반되는 채널로부터 추론될 수 있는 경우, 2 개의 안테나 포트는 QC/QCL(quasi co-located 혹은 quasi co-location)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광범위 특성은 지연 확산(Delay spread), 도플러 확산(Doppler spread), 주파수 쉬프트(Frequency shift), 평균 수신 파워(Average received power), 수신 타이밍(Received Timing)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을 참고하면, 자원 그리드가 주파수 영역 상으로
Figure 112018115276869-pat00020
서브캐리어들로 구성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14 x 2u OFDM 심볼들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기술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NR 시스템에서, 전송되는 신호(transmitted signal)는
Figure 112018115276869-pat00021
서브캐리어들로 구성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자원 그리드들 및
Figure 112018115276869-pat00022
의 OFDM 심볼들에 의해 설명된다. 여기에서,
Figure 112018115276869-pat00023
이다. 상기
Figure 112018115276869-pat00024
는 최대 전송 대역폭을 나타내고, 이는, 뉴머롤로지들뿐만 아니라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간에도 달라질 수 있다.
이 경우, 도 3과 같이, 뉴머롤로지
Figure 112018115276869-pat00025
및 안테나 포트 p 별로 하나의 자원 그리드가 설정될 수 있다.
뉴머롤로지
Figure 112018115276869-pat00026
및 안테나 포트 p에 대한 자원 그리드의 각 요소는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로 지칭되며, 인덱스 쌍
Figure 112018115276869-pat00027
에 의해 고유적으로 식별된다. 여기에서,
Figure 112018115276869-pat00028
는 주파수 영역 상의 인덱스이고,
Figure 112018115276869-pat00029
는 서브프레임 내에서 심볼의 위치를 지칭한다. 슬롯에서 자원 요소를 지칭할 때에는, 인덱스 쌍
Figure 112018115276869-pat00030
이 이용된다. 여기에서,
Figure 112018115276869-pat00031
이다.
뉴머롤로지
Figure 112018115276869-pat00032
및 안테나 포트 p에 대한 자원 요소
Figure 112018115276869-pat00033
는 복소 값(complex value)
Figure 112018115276869-pat00034
에 해당한다. 혼동(confusion)될 위험이 없는 경우 혹은 특정 안테나 포트 또는 뉴머롤로지가 특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인덱스들 p 및
Figure 112018115276869-pat00035
는 드롭(drop)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복소 값은
Figure 112018115276869-pat00036
또는
Figure 112018115276869-pat00037
이 될 수 있다.
또한, 물리 자원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은 주파수 영역 상의
Figure 112018115276869-pat00038
연속적인 서브캐리어들로 정의된다. 주파수 영역 상에서, 물리 자원 블록들은 0부터
Figure 112018115276869-pat00039
까지 번호가 매겨진다. 이 때, 주파수 영역 상의 물리 자원 블록 번호(physical resource block number)
Figure 112018115276869-pat00040
와 자원 요소들
Figure 112018115276869-pat00041
간의 관계는 수학식 1과 같이 주어진다.
Figure 112018115276869-pat00042
또한, 캐리어 파트(carrier part)와 관련하여, 단말은 자원 그리드의 서브셋(subset)만을 이용하여 수신 또는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단말이 수신 또는 전송하도록 설정된 자원 블록의 집합(set)은 주파수 영역 상에서 0부터
Figure 112018115276869-pat00043
까지 번호가 매겨진다.
자기 완비( Self-contained) 서브프레임 구조
NR 시스템에서 고려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ing) 구조는 상향링크(Uplink, UL)와 하향링크(Downlink, DL)를 하나의 서브프레임(subframe)에서 모두 처리하는 구조이다. 이는, TDD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의 지연(latency)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구조는 self-contained 서브프레임(self-contained subframe) 구조로 지칭된다.
도 4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self-contained 서브프레임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도 4를 참고하면, legacy LTE의 경우와 같이,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14개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symbol)들로 구성되는 경우가 가정된다.
도 4에서, 영역 402는 하향링크 제어 영역(downlink control region)을 의미하고, 영역 404는 상향링크 제어 영역(uplink control region)을 의미한다. 또한, 영역 402 및 영역 404 이외의 영역(즉, 별도의 표시가 없는 영역)은 하향링크 데이터(downlink data) 또는 상향링크 데이터(uplink data)의 전송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즉, 상향링크 제어 정보(uplink control information) 및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는 하나의 self-contained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된다. 반면, 데이터(data)의 경우, 상향링크 데이터 또는 하향링크 데이터가 하나의 self-contained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된다.
도 4에 나타난 구조를 이용하는 경우, 하나의 self-contained 서브프레임 내에서, 하향링크 전송과 상향링크 전송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며, 하향링크 데이터의 전송 및 상향링크 ACK/NACK의 수신이 수행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데이터 전송의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데이터의 재전송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감소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데이터 전달과 관련된 지연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4와 같은 self-contained 서브프레임 구조에서, 기지국(eNodeB, eNB, gNB) 및/또는 단말(terminal, UE(User Equipment))이 전송 모드(transmission mode)에서 수신 모드(reception mode)로 전환하는 과정 또는 수신 모드에서 전송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위한 시간 갭(time gap)이 요구된다. 상기 시간 갭과 관련하여, 상기 self-contained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 전송 이후에 상향링크 전송이 수행되는 경우, 일부 OFDM 심볼(들)이 보호 구간(Guard Period, GP)으로 설정될 수 있다.
아날로그 빔포밍 (Analog beamforming )
mmW는 파장이 짧아져서 동일 면적에 다수 개의 안테나들을 설치할 수 있다. 즉 30GHz 대역에서 파장은 1cm로써, 5 by 5 cm의 panel에 0.5 lambda(파장, λ) 간격으로 2-dimension 배열 형태로 총 100개의 안테나 요소(element)들이 설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mmW는 다수 개의 안테나 element들을 사용하여 beamforming(BF) 이득을 높여 커버리지를 증가시키거나, throughput을 높인다.
이 경우, 안테나 element 별로 전송 파워 및 위상 조절이 가능하도록 TXRU(transceiver unit)을 가지면 주파수 자원 별로 독립적인 beamforming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100여 개의 안테나 element들 모두에 TXRU를 설치하기에는 가격 측면에서 실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하나의 TXRU에 다수 개의 안테나 element들을 mapping하고, analog phase shifter로 beam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식이 고려되고 있다.
이러한 analog beamforming 방식은 전 대역에 있어서 하나의 beam 방향만을 만들 수 있어 주파수 선택적 beaming을 해줄 수 없는 단점을 갖는다.
Digital BF와 analog BF의 중간 형태로 Q개의 안테나 element보다 적은 개수인 B개의 TXRU를 갖는 hybrid BF가 고려되고 있다.
이 경우에 B개의 TXRU와 Q개의 안테나 element의 연결 방식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beam의 방향은 B개 이하로 제한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TXRU와 antenna element의 연결 방식의 대표적인 일례들을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트랜스시버 유닛 모델을 예시한다.
TXRU 가상화(virtualization) 모델은 TXRU의 출력 신호와 antenna elements의 출력 신호의 관계를 나타낸다. antenna element와 TXRU와의 상관 관계에 따라 도 5(a)와 같이 TXRU 가상화(virtualization) 모델 옵션-1: 서브-배열 분할 모델(sub-array 파트ition model)과 도 5(b)와 같이 TXRU 가상화 모델 옵션-2: 전역 연결(full-connection) 모델로 구분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서브-배열 분할 모델(sub-array 파트ition model)의 경우, antenna element는 다중의 안테나 요소 그룹으로 분할되고, 각 TXRU는 그룹 중 하나와 연결된다. 이 경우에 antenna element는 하나의 TXRU에만 연결된다.
도 5(b)를 참조하면, 전역 연결(full-connection) 모델의 경우, 다중의 TXRU의 신호가 결합되어 단일의 안테나 요소(또는 안테나 요소의 배열)에 전달된다. 즉, TXRU가 모든 안테나 element에 연결된 방식을 나타낸다. 이 경우에 안테나 element는 모든 TXRU에 연결된다.
도 5에서 q는 하나의 열(column) 내 M개의 같은 편파(co-polarized)를 가지는 안테나 요소들의 송신 신호 벡터이다. w는 광대역 TXRU 가상화 가중치 벡터(wideband TXRU virtualization weight vector)이며, W는 아날로그 위상 시프터(analog phase shifter)에 의해 곱해지는 위상 벡터를 나타낸다. 즉 W에 의해 analog beamforming의 방향이 결정된다. x는 M_TXRU 개의 TXRU들의 신호 벡터이다.
여기서, 안테나 포트와 TXRU들과의 매핑은 일대일(1-to-1) 또는 일대다(1-to-many)일 수 있다.
도 5에서 TXRU와 안테나 요소 간의 매핑(TXRU-to-element mapping)은 하나의 예시를 보여주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드웨어 관점에서 이 밖에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TXRU와 안테나 요소 간의 매핑에도 본 발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현재 셀룰러 시스템은 4세대(4G)를 거쳐 5세대(5G)로 진화하고 있다.
그리고, 5세대 통신의 활용에 있어서 기존의 스마트폰 기반 mobile broadband서비스에 대한 진화(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뿐만 아니라 헬스케어, 재난 안전, 차량 통신, 공장 제어, 로봇 제어 등과 같은 다양한 IoT(internet of things) 응용 서비스가 고려되고 있다.
따라서, 단말의 형태 역시 다변화하고 있다.
또한, 5세대 통신에서는 최대 100GHz까지의 밀리미터 파 대역을 포함한 초고주파 대역의 활용이 고려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다양한 단말 구현 형태 및 초고주파 대역의 활용에 따라 4G 시스템과 달리 단말이 장착 가능한 안테나의 수 역시 수 십 내지 수 백 개의 안테나를 고려할 수 있다.
일례로, 차량이 하나의 단말이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수 개의 안테나가 하나 혹은 여러 차량 위치에 분산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도 6과 같이 주로 고주파 대역에서 단말에 다수의 antenna panel array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antenna panel array내에 다수 개의 안테나 element가 균일한 간격으로 분포하나 panel array간에는 안테나 방향이나 간격이 비균일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들과 같이 단말에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패널들이 상이한 지향성(커버리지)를 가지고 장착된 경우, 기존의 uplink(UL) MIMO 방식처럼 uniform linear/rectangular array 와 같이 규격화된 프리코딩 방식을 가정하여 설계된 codebook의 적용이 어려워진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장착된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패널들과 baseband processor간에 거리가 서로 다른 경우, 지연차로 인한 고정 위상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서로 다른 안테나 유닛에서 전송하는 신호의 시간 동기가 달라지는 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는 기지국 수신 입장에서 특정 단말 안테나 그룹에서 전송되는 신호의 위상이 subcarrier 에 비례하여 선형적으로 왜곡되는 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OFDM 시스템, CP내 지연차 가정).
또한 각 안테나 어레이/패널에서 전송되는 신호가 서로 다른 oscillator를 사용하는 경우, oscillator 오차에 의해 미세하게 다른 주파수로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이는 기지국에서 주파수 동기 오차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지국 입장에서 특정 단말 안테나 그룹에서 전송된 신호들의 크기 감소, 위상 왜곡 및 ICI로 인한 잡음 증가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단말 송신 안테나 그룹 간 크기/위상 왜곡 문제점은 단말 구현 형태에 따라 그 정도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안테나 그룹별 지연차를 보상하는 별도의 절차를 수행하여 구현적으로 상기 cabling 이슈를 해결할 수도 있고, oscillator 이슈 역시 단일 oscillator를 사용하거나 별도의 주파수 보상 절차를 도입하여 구현적으로 해결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상 과정은 별도의 프로세서나 RF 회로 등이 필요할 수 있어 단말 구현 복잡도와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5세대 단말의 형태는 고비용 프로세서를 적용해서 고품질을 얻고자 하는 high end 단말부터 저비용 IoT 단말을 모두 포함하므로 상기 왜곡 현상의 정도(level)를 다양화하여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단말 별로 상이한 안테나 그룹간 신호의 크기/위상 왜곡 정도 (inter-APG distortion vulnerability level, APG: antenna port group)에 따라 적응적인 상향링크 다중 안테나 송신 기법 및 관련한 signaling procedure를 제안한다.
이하 편의상 distortion vulnerability level을 "DVL"로 호칭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는 '및/또는'로 해석될 수 있으며, 'A 및/또는 B'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와 동일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설정'은 '지시' 또는 '정의' 등과 동일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제안 1)
제안 1은 단말이 기지국에 아래의 정보를 보고하는 내용이다.
이 때 , 상기 정보는 2가지 case로 구분이 되는데 아래와 같다.
Case1 [non- precoded SRS ]: 상향링크 reference signal( RS ) ports에 대한 port grouping 정보이다.
Case2[beamformed SRS]: 상향링크 안테나 어레이/패널/그룹의 개수 또는 RS port grouping정보 또는 maximum RS ports per RS port group 정보이다.
상기, Case2의 경우, 상기 정보를 수신한 기지국이 해당 단말에 상향링크 RS 전송 설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port grouping 정보를 지시할 수 있다.
더하여, 단말은 기지국에 port group간 DVL 정보를 보고할 수 있다.
이하 편의를 위해 상향링크 RS를 Sounding RS(SRS)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SRS port grouping 정보는 전체 M개의 SRS들이 몇 개의 port group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port group에 몇 개의 SRS port를 포함하는 지를 명시적 혹은 암시적으로 지시하는 정보이다.
상기 port group정보는 단말의 안테나 패널 배열(panel array) 구성 정보 또는 분산 안테나 유닛 정보에 상응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정보의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단말은 각 그룹에 속한 SRS port 수 정보 Mi (i=1, ..., N)를 지시한다(여기서 N은 port 그룹 수).
예를 들어 M=5, M1=3, M2=2, N=2이면, SRS port{0,1,2}가 첫 번째 그룹, SRS port{3,4}가 두 번째 그룹에 속함을 알려줄 수 있다.
더하여, 상기 SRS port grouping 정보는 UL MIMO precoder 구성, 결정 및 지시에 활용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제안 2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SRS port grouping 정보는 상향링크 동기 추정/보정에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RS port group별로 주파수/시간 동기 특성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기지국은 특정 SRS port 그룹을 기준으로만 상향링크 동기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RS port grouping 정보는 상향링크 채널 추정에도 활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환경에서 기지국이 모든 SRS port들을 기준으로 채널 추정을 하는 경우, 안테나 포트 그룹레벨에서의 cable delay에 의해 증가된 delay spread와 상이한 oscillator 특성에 의해 증가된 jitter로 측정될 것이다.
따라서 기지국은 용도 및 추정하고자 하는 채널 파라미터에 따라 SRS port group레벨에서 측정이 필요할 수 있다.
또한, SRS port group별로 large scale fading(e.g. shadowing)도 다를 수 있으므로 RSRP, RSRQ, CQI와 같은 품질 값을 port group단위로 측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더하여, 기지국은 상향링크 안테나 어레이/패널/그룹 혹은 SRS port group별로 위상/크기 왜곡값을 측정하여 단말에게 이 정보를 알려주고 이를 선 보상하여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SRS port group별로 cable delay차에 의해 발생하는 주파수 선형적인 위상 shift값을 측정하여 SRS port group별 위상 shift값을 단말에게 지시할 수 있다.
(제안 1-1)
기지국은 상기 수신한 RS port grouping 정보를 상향링크 MIMO precoding 구성 정보, 상향링크 동기 추정/보정, 상향링크 채널 추정, RS port group별 왜곡 보상 중 하나 이상에 활용한다.
이 때, 상기 RS port grouping 정보를 상기 RS port group별 왜곡 보상 용도로 활용할 경우, 기지국은 RS port group별 크기/위상 보상 값을 단말에게 signaling할 수 있다.
상기 제안 1의 SRS port group간 DVL 정보의 실시 예로 HIGH, MIDIUM, LOW 3단계를 고려할 수 있다.
상기 정보를 수신한 기지국은 DVL=HIGH이면 위상 왜곡특성이 심한 단말이며(e.g. low end UE), DVL=LOW이면 위상왜곡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단말로 해당 단말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다.
혹은 기지국은, 유의미한 위상/크기 왜곡 발생여부에 따라 ON, OFF 형태의 2단계도 고려할 수도 있다.
기지국이, 2단계 DVL정보를 고려할 경우, 3GPP LTE시스템의 하향링크 antenna port간 quasi-co-location 정보와 유사하게 기지국이 복수의 antenna port를 이용하여 상향링크 채널 추정을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2단계 DVL 정보는 채널 추정 파라미터의 일부 혹은 전부에 대해 동일 감쇄(e.g. shadowing), 주파수(e.g. Doppler), 그리고/또는 시간(e.g. delay) 특성을 가정할 수 있는 지에 대한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즉, 상향링크 SRS port group간의 quasi-co-location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제안하는 DVL 및/또는 SRS port grouping 정보는 단말 특성에 대한 정보로서 동적으로 변화하는 정보가 아니므로 상위계층(e.g. RRC layer) 메시지로 전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안 2)
기지국은 단말에게 지시할 상향링크 MIMO precoder 구성 정보를 아래 3가지 정보로 구성할 수 있다.
1) 부분 프리코더 구성 정보: SRS port 그룹 별로 사용할 PMI 정보[non-precoded SRS case] 혹은 SRS port index(es)정보 [beamformed SRS case]를 의미한다.
2) 부분 프리코더 간 크기/위상 정합 정보(Concatenating precoder)
이 때, 단말의 DVL 혹은 기지국의 지시에 따라 상기 정보의 유무 및 크기는 차등화될 수 있다.
이 때, Concatenating precoder 의 cycling 여부 및 범위(e.g. precoder set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후보 concatenating precoding 방식 중에 transmit diversity 혹은 open loop precoding이 포함될 수 있다. (e.g. large delay CDD precoder in LTE)
3) 동시 전송 layer 수(rank)정보: 모든 SRS port에 대해 공통값으로 지시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식은 기지국은 SRS port 그룹별로 사용할 precoder정보를 기본적으로 지시하되, 그룹 간 위상 보상 정보는 DVL에 따라 차등화한다.
이 때, SRS port 그룹별로 사용할 MIMO precoder 정보는 LTE시스템과 같이 SRS port가 각각 독립된 송신 RF chain에서 전송되는 경우, 즉 non-precoded SRS port 전송인 경우, 단말이 사용할 상향링크 PMI 및 RI(rank indicator)에 대한 지시자일 수 있다.
만약 SRS port에 beamforming이 적용된 경우, 즉 하나의 SRS port가 복수의 송신 RF chain에서 특정 precoder로 빔포밍되어 전송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때에, 기지국은 단말 precoder 정보를 SRS port index(es) 정보로서 지시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상기 beamformed SRS의 경우 제안 1에서의 단말 안테나 그룹 별로 빔포밍을 적용하여 독립적인 SRS port들을 전송하는 방식을 고려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은 상이한 무선 채널 및 hardware 특성을 갖는 단말 안테나 그룹 단위로 부분 프리코더를 구성할 수 있도록 SRS port group단위로 PMI 혹은 port 선택 정보를 지시한다.
이 때, RI 정보는 모든 SRS port group에 대해 동일한 값이 적용되어야 하므로(common RI), 하나의 값만 signaling 될 수 있다.
Beamformed SRS의 경우, 상기 RI정보는 지시하는 SRS group별 port수에 의해 암시적으로 signaling 될 수도 있으므로 생략 가능하다.
상기 정보로부터 단말은 부분 프리코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단말은 각각의 크기
Figure 112018115276869-pat00044
x r 부분 프리코딩 행렬
Figure 112018115276869-pat00045
(i=1, ..., N, r=transmission rank)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로부터 단말이 전체 안테나에 대한 크기 M x r 프리코딩 행렬 W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
Figure 112018115276869-pat00046
), 각 부분 프리코딩 행렬을 정합(concatenation)하는 과정을 수행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부분 프리코딩 행렬 간 크기 및 위상차를 보정하기 위한 정보가 필요하다.
i번째 부분 프리코더의 j번째 layer의 대한 크기 보정값을
Figure 112018115276869-pat00047
, 위상 보정값을
Figure 112018115276869-pat00048
라 하면, 보정된 부분 프리코딩 행렬
Figure 112018115276869-pat00049
은 다음 수학식 2와 같이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18115276869-pat00050
이로부터 최종 프리코딩 행렬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18115276869-pat00051
상기 부분 프리코더 간 크기/위상 보상은 하향링크에서 마치 복수의 기지국 간에 협력 전송 시 concatenating PMI(CPMI)정보가 필요한 것과 동일한 이유이다.
이 때, 크기 보상 정보는 안테나 그룹별로 겪는 pathloss나 shadowing 특성이 상이한 경우 기지국이 지시해 줄 수 있고, 특성이 유사한 경우 생략 가능하다.
또한, 크기/위상 보상 정보는 DVL에 따라 차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VL이 우수한 단말에 대해서는 정밀한 크기/위상 보상 정보를 보내주어 단말이 부분 프리코딩 행렬간 정합을 정밀하게 수행하게 하고, DVL이 좋지 않은 단말에 대해서는 coarse한 보상 정보를 보내주거나 아니면 해당 정보를 생략할 수 있다.
다음은 DVL에 따라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차등화 하는 실시 예이다.
후술하는 DCI case 1은 non- precoded SRS 전송, case 2는 beamformed SRS 송에 해당한다.
먼저, UE가 DVL=HIGH로 리포트 한 경우이다.
DCI case 1: 각 SRS port 그룹마다 상향링크 PMI와 RI를 전송한다.
DCI case 2: 각 SRS port 그룹 인덱스들 과 RI를 전송한다.
이 때, RI는 SRS 포트 수에 의해 암시적으로 결정될 수 있고, 피드백 정보에서 제외될 수 있다.
다음으로, UE가 DVL=MID로 리포트한 경우이다.
DCI case 1: 각 SRS 포트 그룹에 대한 상향링크 PMI + 포트 그룹의 연결에 대한 RI + U 비트 해상도 위상 정보(θi,j', i=1, ..., N-1, j=1, ...,RI)를 전송한다.
DCI case 2: 포트 그룹 연결을 위한 각 포트 그룹 및/또는 RI의 SRS 포트 인덱스와 U비트 해상도 위상 정보(θi,j', i=1, ..., N-1, j=1, ...,RI) 를 전송한다.
이 때, RI는 SRS 포트 수에 의해 implicitly 하게 결정될 수 있고, 피드백 정보에서 제외된다.
다음으로, UE가 DVL=LOW로 리포트한 경우이다.
DCI case 1: 각 SRS 포트 그룹 마다 상향링크 PMI + RI + 포트 그룹 연결을 위한 V 비트 해상도 위상 정보(θi,j', i=1, ..., N-1, j=1, ...,RI)를 전송한다.
이 때, 상기 V는 상기U보다 같거나 클 수 있다.
이 경우, 모든 포트에 대한 상향링크 PMI는 상기 정보들로 대체될 수 있다.
DCI case 2: 각 SRS 포트 그룹의 SRS 포트 인덱스 및/또는 RI + 포트 그룹 연결을 위한 V 비트 해상도 위상 정보(θi,j', i=1, ..., N-1, j=1, ...,RI) 를 전송한다.
이 때, 상기 V는 상기 U보다 같거나 클 수 있다.
이 경우, 모든 SRS 포트 그룹 및/또는 RI는 상기 정보들로 대체될 수 있다.
이 때, RI는 SRS 포트 수에 의해 implicitly하게 결정될 수 있고, 피드백 정보에서 제외될 수 있다.
상기 방식 적용 시 DVL이 높은 단말은 위상 보상 정보의 부족 혹은 부재 문제를 겪을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어차피 hardware 특성에 의해 위상 왜곡될 가능성이 높아 해당 정보가 불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은 복수의 concatenating precoder를 생성하여 약속된 시간/주파수 자원 단위로 번갈아 사용하는 형태의 전송을 취할 수 있다.
구체적인 방안은 후술하는 제안3에서 설명한다.
이러한 방식(이하 concatenating precoder cycling이라 명명)을 적용할 경우, 기지국은 단말이 해당 기법을 적용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signaling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signaling에는 cycling 여부, cycling하는 위상/크기의 범위, concatenating precoder 집합 정보와 같은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제안 3) [Semi-open loop UL MIMO precoding]
DVL이 특정 레벨 이하인 단말 혹은 기지국에 의해 아래 방식을 적용하기를 지시 받은 단말은 상향링크 전송 시 적용할 MIMO precoder를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부분 프리코더의 경우, 기지국이 지시하는 정보 (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통해 결정 한다.
연결 프리코더(Concatenating precoder)의 경우는 아래 2가지 방법을 통해 결정된다.
방법 1: 정해진 시간/주파수 자원 단위로 단말이 임의로 선택하거나, 상위 layer signaling 혹은 표준으로써 사전에 약속된 concatenating precoder를 사용한다.
방법2: 기지국이 지시하는 정보 (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통해 생성한 concatenating precoder정보를 토대로 복수의 concatenating precoder set을 생성하여 정해진 시간/주파수 자원 단위로 번갈아 사용한다.
다음은 3단계 DVL 적용 시 상기 제안 3을 적용한 실시 예이다.
UE 가 기지국에 DVL=HIGH로 리포트한 경우 방법 1을 적용한다.
이 때, 주어진 시간/주파수 자원마다 서로 다른 연결 프리코더가 적용된다.
k번째 시간/주파수 자원에 대한 프리코더를 연결하기 위한 (i,j)번째 값인, θi,j(k) 는 Di,j(k)와 같을 수 있다.
이 때, Di,j(k) 는 단말이 임의로 선택하거나, 상위 layer signaling 혹은 표준으로써 사전에 약속된 값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할당 주파수 자원의 수에 따라 (360*자연수)도를 자원 수만큼 나누어 자원 인덱스에 따라 일정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할당 주파수 자원의 크기에 따라 (360*자연수) 도를 자원 수만큼 나눈 후, 특정 interleaving 패턴에 의해 Di,j(k) 결정할 수 있다.
UE가 기지국에 DVL=MID로 리포트 한 경우 방법 2를 적용한다.
이 때, 주어진 시간/주파수 자원마다 서로 다른 연결 프리코더가 적용된다.
이 때, θi,j(k)는 Ei,j(k)+ DCI가 나타내는 값(θi,j')이다.
이 때, Ei,j(k) 는 단말이 임의로 선택하거나, 상위 layer signaling 혹은 표준으로써 사전에 약속된 값을 사용하되, 해당 값은 특정 각도 범위 이내의 값을 가진다.
예를 들어, 할당 주파수 자원의 수에 따라 X도(X≪180)를 자원 수만큼 나누어 자원 인덱스에 따라 일정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Ex2: 할당 주파수 자원의 크기에 따라 X도(X≪180)를 자원 수만큼 나눈 후, 특정 interleaving 패턴에 의해 Di,j(k) 결정될 수 있다.
UE가 기지국에 DVL=LOW로 리포트한 경우이다.
공통 연결 프리코더(Common concatenating precoder)는 모든 시간/주파수 자원에 적용된다.
이 때, θi,j(k) = DCI가 나타내는 값 (θi,j') 이다.
제안 방식의 적용 시 부분 프리코더들을 결합한 global 프리코더를 기준으로 전체 몇 개의 layer를 동시 전송할것인가를 판단하여 layer의 수만큼의 상향링크 demodulation RS(DM-RS) port들을 전송하는 방식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부분 프리코더가 서로 다른 상향링크 demodulation RS port들에 맵핑되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즉, 단말은 안테나 그룹별로 기지국이 지정한 부분 프리코더를 사용해서 demodulation RS port(s)를 각각 전송하되, PUSCH, PUCCH와 같은 데이터 채널에는 해당 port들에 transmit diversity scheme과 같은 open loop precoding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이는 마치 3GPP LTE시스템에서 복수의 cell-specific RS port들을 이용해서 open loop precoding을 적용하는 것과 동일하다.
그러나, 각 RS port가 안테나 그룹 별로 기지국이 지정한 beamforming을 적용하는 점이 다르다.
상기 방식의 일례로, rank 1전송 시 단말의 안테나 그룹이 총 2개가 있으면 안테나 그룹별로 하나씩, 총 2개의 DM-RS ports를 전송하되, 2 ports간에는 Alamouti-scheme기반의 transmit diversity scheme을 적용하도록 한다. 이 때 어떠한 scheme을 적용할 지는 기지국과 단말간 약속되어 있어야만 기지국이 해당 scheme을 가정하여 데이터를 복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SRS grouping 기반 보고 및 설정 방법을 후술할 제안 4 내지 6을 참고하여 살펴보기에 앞서, non-CB(codebook) 기반 UL MIMO 전송에 대해 간략히 정리한다.
Release 15에서 non-codebooked 기반의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서 wideband SRI(SRS resource indication)만 지원된다.
이 때,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통해 프리코딩 된 AP(aperiodic)-SRS 자원에 대한 candidate 프리 코더를 UE가 DL 측정 RS를 지시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DL 측정 RS는 CSI를 얻기 위한 CSI-RS이다.
또한 상기 DCI 신호는, AP-SRS 자원 트리거링을 위한 field와 동일한 field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리거링 상태, 트리거 된 SRS 자원, CSI-RS 자원 ID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될 수 있다.
더하여,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프리코딩된 P(periodic)/SP(semi-persistent)-SRS 자원에 대한 UL candidate 프리코더를 UE가 계산하게 하기 위해 DL 측정 RS를 지시할 수 있다.
이 때, DL 측정 RS는 CSI 획득을 위한 CSI-RS 일 수 있다.
더하여 P(>1) 포트 AP-CSI-RS와 SP-SRS는 연관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AP-CSI-RS는 AP-SRS 트리거가 포함된 DCI와 같은 슬롯에서 전송 될 수 있다.
또한, AP-SRS는 AP-CSI-RS 다음에 X 심볼들로 전송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연관된 CSI-RS에 기초한 UL 프리코더 계산 시간은 UE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더하여, UE가 다수의 SRS 자원 세트로 구성 될 때 아래의 세 가지 방법 중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방법 1: 주어진 시간에 여러 개의 SRS 세트 각각에 하나의 리소스로만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다른 SRS 자원 세트(SRS 리소스로 구성된 서브세트)에 있는 자원은 동시에 전송 할 수 있다.
방법 2: UE의 SRS 자원 세트 중 어느 하나의 세트 내의 모든 자원은 동시에 전송 될 수 있다.
이 때, 서로 다른 SRS 자원 세트 내의 SRS 자원은 동시에 전송되거나 동시에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방법 3: UE의 SRS 자원 세트 중 하나의 서브 세트 내의 모든 자원은 동시에 전송 될 수 있다.
이 때, 다른 SRS 리소스 세트(configure된 SRS 자원 세트의 서브 세트) 내의 SRS 리소스는 동시에 전송 될 수 있다.
이 때, UE는 gNB로 UE가 지원하는 자원 세트 수, 지원되는 SRS 자원 수를 알려줄 수 있다.
더하여, UE는 상기 SRS 자원 세트 당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SRS 지원 수를 알려줄 수도 있다.
한편, 후술하는 제안 4 내지 제안 6의 3가지 제안들은, 여러 SRS 자원 세트와 관련되어 구성된 SRS 자원에 SRS를 전송하기 위한 UE의 동작들을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UE에 관한 가장 중요한 두 정보는 UE 패널의 수(이하, 제1 정보) 및 UE 패널 당 동시에 송신 가능한 빔의 최대 수 (또는 TXRU의 수, 이하 제2 정보)이다.
여기서 말하는 패널 수는 SRS 자원 세트 수를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정보는 상이한 UE구현을 처리하는데 중요하고, UE의 일관된 성능과 관련된다.
일부 UE는 상이한 패널에 걸쳐 완전한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능력을 가질 수 있지만, 일부 UE는 그렇지 않다.
또한, 상이한 패널들에 걸쳐 비 이상적인 교정 능력을 갖는 UE들에 대해, UE는 다중 패널들로부터의 UL 안테나 포트들을 사용하여 코 히어런트(coherent) 전송을 수행하도록 요청되어서는 안 된다.
UE는 이 경우 동일한 패널로부터의 UL 안테나 포트들을 사용하여 코 히어 런트 전송을 요청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더하여, 두 번째 정보는 gNB가 FDM 할 수 있는 SRS 리소스의 수를 파악하는 데 필요하다.
예를 들어, UE가 2 개의 패널을 갖고 패널 당 동시에 전송 가능한 빔의 최대 수가 4 인 경우, gNB는 8 개의 FDM 된 SRS 리소스를 UE에 구성 할 수 있다.
즉, gNB는 8 개 이상의 FDM 된 SRS 자원을 UE에 구성해서는 안된다.
또한, 이러한 정보는 코드북 기반 및 비-코드북(non-codebook) 기반 동작에 대한 최대 UL 랭크(rank)를 결정하는 데 중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각 SRS 자원 세트는 각 UE 패널을 참조해야 하고, UE가 (SRS resource)set 별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SRS 자원의 지원 된 수를 gNB에 보고해야 한다.
더하여, 이 때 gNB는 코드북 기반, 비-코드북 기반 운영 및 UL 빔 관리를 비롯한 많은 목적으로 이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다음,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SRS grouping 기반 보고 및 설정 방법에 대해 제안 4 내지 제안 6을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제안 4)
제안 4는 아래의 UE 성능 정보(capability information)를 지원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지원되는 SRS 자원 세트(resource sets)의 수 (The supported number of SRS resource sets)
이 때, SRS 자원 세트의 수는 panel의 수에 대응한다.
-각 세트 마다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지원되는 SRS 자원의 수 (The supported number of SRS resources that can be transmitted simultaneously per set)
이 때 상기 SRS 자원의 수는 각 panel의 FDM된 빔 및/또는 포트 수에 대응한다.
-서로 다른 SRS 자원 세트들(resource sets)간 포트 일관성 능력(Port coherency capability across different SRS resource sets)
UE가 생성 할 수 있는 정확한 빔 수는 gNB가 U-1 / U-2 / U-3 절차에 필요한 SRS 리소스 및 심볼 수를 알 수 있는 UL 빔 관리 목적에 필요하지만 상기 정보는, 비 코드북 기반 동작이 무선 채널의 전체 / 부분 상호성(reciprocity)에 기초하여 행해질 것이기 때문에, 비-코드북 기반 동작을 위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부분 상호(partially reciprocal) 환경 (즉, 장기 호혜성 보유는 있지만 단기 호혜성은 유지하지 않음)에 대해, UE는 추정 된 DL 채널에 기초하여 상이한 SRS 전송에 대해 상이한 빔 형성을 시도 할 수 있고, 시도 횟수는 gNB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즉, 필요한 시도의 횟수가 반드시 네트워크에 보고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비-코드북 기반 동작에 대해, 세트 당 정확한 SRS 자원 수는 보고될 필요가 없다.
상술한대로, gNB는 다중 SRS 자원 세트들을 (resource sets) 단말로 configure 할 수 있다.
이 때, 단말은 동일한 panel로부터 세트 내의 FDM되거나 TDM된 다수의 SRS resource를 전송한다.
UE는 gNB에 의해 configure된 인덱스 set가 UE 능력(capability)으로 단말이 보고한 인덱스 set로 매핑된다고 가정할 수 있다.
(제안 5)
UE가 다수의 SRS 리소스 세트들(resource sets)로 구성(configuration)될 때, UE는 gNB에 의해 configure된 set 인덱스가 UE capability에 의해 보고 된 set 인덱스로 매핑된다고 가정할 수 있다.
(제안 6)
UE의 SRS 자원 세트들(resource sets) 중 하나의 서브세트(subset) 또는 모든 자원이 동시에 전송될 수 있다. (A subset of or all resources in one of a UE's SRS resource sets can be transmitted simultaneously)
또한, 다른 SRS 자원 세트들(configure된 SRS 자원 세트의 서브세트)에 있는 SRS 자원은 동시에 전송될 수 있다. (The SRS resources in different SRS resource sets (for a subset of the configured SRS resource sets) can be transmitted simultaneously)
즉, 단말이 보고한 SRS 자원 grouping 정보(SRS 자원 그룹 수, (그룹 당) 최대 필요한 SRS 자원 수, (그룹 당) 동시 전송 가능한 SRS 자원 수 등) 에 따라 기지국은 SRS grouping(set)기반 SRS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단말이 설정된 SRS 자원(혹은 port) group을 어떻게 인식하여 동작하여야 하는지가 기지국과 약속될 필요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안한대로, 단말은 동일 SRS 자원 그룹 내의 SRS 자원들은 동일 panel에서 전송한다.
이는 다른 표현으로 SRS 자원 그룹 내의 SRS 자원들은 단말이 (capability로) 기지국에 보고한 하나의 SRS 자원 그룹 내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더하여, 단말이 보고한 SRS 자원 그룹 인덱스와 기지국이 설정한 SRS자원 그룹 인덱스는 일치하거나 일치하지는 않되, 일 대 일 관계 즉, 기지국이 N개의 SRS자원 그룹들을 i_1, i_2, ..., i_N으로 설정하고, 단말이 M개의 SRS자원 그룹들을 j_1, j_2, ..., j_M으로 보고한 경우, N과 M이 동일하지 않더라도 단말은 i_n (n=1, ...,N)번째 자원 그룹은 j_1, j_2, ..., j_M 중 적어도 하나에 맵핑(상응)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 때, 맵핑되는(상응하는) 자원 그룹 내의 자원 수는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맵핑 관계는 단말에 의해 (임의의 관계로 혹은 정해진 규칙에 의해) assume될 수도 있으나, 명확한 지시를 위해 기지국이 명시적으로 설정/지시하는 방법도 제안한다.
상기 정해진 규칙의 예시로는 단말이 보고한 그룹 당 최대 빔 수 그리고/또는 그룹 당 동시 전송 가능한 최대 빔 수와 실제 설정된 그룹 내의 SRS자원 수 그리고/또는 그룹 내의 SRS자원들 중 FDM된 자원들의 최대 수를 각각 비교해 조건(e.g. 단말 보고한 최대 수 보다 기지국이 설정한 자원 수가 같거나 적음)을 만족하는 지 여부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그룹이 복 수 개인 경우 단말이 그 중에서 임의로 정하여 전송하던지 그 중에서 특정 규칙(e.g. lowest group(set) index)에 의해 선택하여 전송할 수 있겠다.
이러한, DMRS 포트 그룹과 PT-RS 포트 매핑을 함으로 인해, PT-RS 포트가 특정 DMRS 포트를 지시하더라도, 같은 그룹 내의 DMRS 포트는 동일한 PT-RS 포트를 이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 7을 참고하여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sounding reference signal(SRS)을 전송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7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SRS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 단말이 수행하는 과정의 일례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단말은 각각 하나 이상의 SRS 자원들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SRS 자원 세트(resource set)들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S710).
S710 단계를 달리 표현하면, 상기 단말은 복수의 SRS 자원 세트들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
여기서, SRS 자원 세트는 하나 이상의 SRS 자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후, 단말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SRS 자원들 상에서 상기 SRS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720).
S720 단계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SRS 자원들은 복수의 SRS 자원들로 표현될 수도 있다.
만약 S720 단계에서, 복수의 SRS 자원들로 표현되는 경우, 후술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SRS 자원들'은 모두 복수의 SRS 자원들로 대체될 수 있다.
이 때, 단말은 상기 단말이 지원하는 SRS 자원 세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능력(capability)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능력 정보는, SRS 자원 세트 수, 각 SRS 자원 세트마다 필요한 SRS 자원 수 또는 각 SRS 자원 세트마다 동시 전송 가능한 SRS 자원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하나 이상의 SRS 자원들이 서로 다른 SRS 자원 세트에 포함된 경우, 상기 SRS는 FDM(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하나 이상의 SRS 자원들이 동일한 SRS 자원 세트에 포함된 경우, 상기 SRS는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단말이 전송한 SRS 자원 세트에 대한 정보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SRS 자원 세트에 대한 정보는 기 정해진 규칙에 의해 매핑되어 있을 수 있다.
더하여, 도 7의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RF(Radio Frequency) 모듈; 및 상기 RF 모듈과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프로세서는, 각각 하나 이상의 SRS 자원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SRS 자원 세트(resource set)들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SRS 자원들 상에서 상기 SRS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하나 이상의 SRS 자원들이 서로 다른 SRS 자원 세트에 포함된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SRS 자원들 상에서 상기 SRS는 동시에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SRS 자원들이 서로 다른 SRS 자원 세트에 포함된 경우, 상기 SRS는 FDM으로 전송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SRS 자원들이 동일한 SRS 자원 세트 내에 포함된 경우, 상기 SRS는 TDM으로 전송될 수 있다.
더하여, 기지국이 상기 SRS를 수신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먼저, 각각 하나 이상의 SRS 자원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SRS 자원세트들에 대한 정보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SRS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단말이 전송하는 SRS는 상기 하나 이상의 SRS 자원이 서로 다른 SRS 자원 세트에 포함된 경우, 동시에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장치 일반
도 8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들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예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810)과 기지국 영역 내에 위치한 다수의 단말(820)을 포함한다.
상기 기지국과 단말은 각각 무선 장치로 표현될 수도 있다.
기지국은 프로세서(processor, 811), 메모리(memory, 812) 및 RF 모듈(radio frequency module, 813)을 포함한다. 프로세서(811)는 앞서 도 1 내지 도 7에서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연결되어, 프로세서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 모듈은 프로세서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단말은 프로세서(821), 메모리(822) 및 RF 모듈(823)을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앞서 도 1 내지 도 7에서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연결되어, 프로세서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 모듈은 프로세서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메모리(812, 822)는 프로세서(811, 821)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및/또는 단말은 한 개의 안테나(single antenna) 또는 다중 안테나(multiple antenna)를 가질 수 있다.
안테나(814, 824)는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예시한다.
특히, 도 9는 앞서 도 8의 단말을 보다 상세히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단말은 프로세서(또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910), RF 모듈(RF module)(또는 RF 유닛)(1035), 파워 관리 모듈(power management module)(905), 안테나(antenna)(940), 배터리(battery)(955), 디스플레이(display)(915), 키패드(keypad)(920), 메모리(memory)(930), 심카드(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card)(925)(이 구성은 선택적임), 스피커(speaker)(945) 및 마이크로폰(microphone)(9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단말은 또한 단일의 안테나 또는 다중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910)는 앞서 도 1 내지 도 7에서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은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930)는 프로세서와 연결되고, 프로세서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는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키패드(920)의 버튼을 누르거나(혹은 터치하거나) 또는 마이크로폰(950)를 이용한 음성 구동(voice activation)에 의해 전화 번호 등과 같은 명령 정보를 입력한다. 프로세서는 이러한 명령 정보를 수신하고, 전화 번호로 전화를 거는 등 적절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처리한다. 구동 상의 데이터(operational data)는 심카드(925) 또는 메모리(930)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사용자가 인지하고 또한 편의를 위해 명령 정보 또는 구동 정보를 디스플레이(915)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RF 모듈(935)는 프로세서에 연결되어, RF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프로세서는 통신을 개시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음성 통신 데이터를 구성하는 무선 신호를 전송하도록 명령 정보를 RF 모듈에 전달한다. RF 모듈은 무선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하여 수신기(receiver) 및 전송기(transmitter)로 구성된다. 안테나(940)는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무선 신호를 수신할 때, RF 모듈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하기 위하여 신호를 전달하고 기저 대역으로 신호를 변환할 수 있다. 처리된 신호는 스피커(945)를 통해 출력되는 가청 또는 가독 정보로 변환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의 RF 모듈의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0은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는 RF 모듈의 일례를 나타낸다.
먼저, 전송 경로에서, 도 8 및 도 9에서 기술된 프로세서는 전송될 데이터를 프로세싱하여 아날로그 출력 신호를 송신기(1010)에 제공한다.
송신기(1010) 내에서, 아날로그 출력 신호는 디지털-대-아날로그 변환(ADC)에 의해 야기되는 이미지들을 제거하기 위해 저역 통과 필터(Low Pass Filter,LPF)(1011)에 의해 필터링되고, 상향 변환기(Mixer, 1012)에 의해 기저대역으로부터 RF로 상향 변환되고, 가변이득 증폭기(Variable Gain Amplifier,VGA)(1013)에 의해 증폭되며, 증폭된 신호는 필터(1014)에 의해 필터링되고,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PA)(1015)에 의해 추가로 증폭되며, 듀플렉서(들)(1050)/안테나 스위치(들)(1060)을 통해 라우팅되고, 안테나(1070)을 통해 전송된다.
또한, 수신 경로에서, 안테나는 외부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여 수신된 신호들을 제공하며, 이 신호들은 안테나 스위치(들)(1060)/듀플렉서들 (1050)을 통해 라우팅되고, 수신기(1020)으로 제공된다.
수신기(1020)내에서, 수신된 신호들은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LNA)(1023)에 의해 증폭되며, 대역통과 필터(1024)에 의해 필터링되고, 하향 변환기(Mixer,1025)에 의해 RF로부터 기저대역으로 하향 변환된다.
상기 하향 변환된 신호는 저역 통과 필터(LPF,1026)에 의해 필터링되며, VGA(1027)에 의해 증폭되어 아날로그 입력 신호를 획득하고, 이는 도 8 및 도 9에서 기술된 프로세서에 제공된다.
또한, 로컬 오실레이터 (local oscillator, LO) 발생기(1040)는 전송 및 수신 LO 신호들을 발생 및 상향 변환기(1012) 및 하향 변환기(1025)에 각각 제공한다.
또한, 위상 고정 루프(Phase Locked Loop,PLL)(1030)은 적절한 주파수들에서 전송 및 수신 LO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프로세서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제어 신호들을 LO 발생기(1040)에 제공한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회로들은 도 11에 도시된 구성과 다르게 배열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의 RF 모듈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1은 TDD(Time Division Duplex)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는 RF 모듈의 일례를 나타낸다.
TDD 시스템에서의 RF 모듈의 송신기(1110) 및 수신기(1120)은 FDD 시스템에서의 RF 모듈의 송신기 및 수신기의 구조와 동일하다.
이하, TDD 시스템의 RF 모듈은 FDD 시스템의 RF 모듈과 차이가 나는 구조에 대해서만 살펴보기로 하고, 동일한 구조에 대해서는 도 10의 설명을 참조하기로 한다.
송신기의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PA)(1115)에 의해 증폭된 신호는 밴드 선택 스위치(Band Select Switch,1150), 밴드 통과 필터(BPF,1160) 및 안테나 스위치(들)(1170)을 통해 라우팅되고, 안테나(1180)을 통해 전송된다.
또한, 수신 경로에서, 안테나는 외부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여 수신된 신호들을 제공하며, 이 신호들은 안테나 스위치(들)(1170), 밴드 통과 필터(1160) 및 밴드 선택 스위치(1150)을 통해 라우팅되고, 수신기(1120)으로 제공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 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술한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5)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ounding reference signal(SRS)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기지국으로, 상기 단말의 능력(capability)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능력 정보는, SRS 전송에 이용 가능한 자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SRS 자원 세트(resource set) 별로 적어도 하나의 SRS 자원을 포함하는 복수의 SRS자원 세트들에 대한 설정(configuration)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SRS 자원의 개수는 상기 능력(capability)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되며;
    상기 SRS 전송에 이용 가능한 자원의 수와 상기 복수의 SRS 자원 세트들 각각에 포함된 SRS 자원의 수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SRS 자원들을 통해 SRS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SRS 자원들이 서로 다른 SRS 자원 세트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SRS는 상기 복수의 SRS 자원들에서 동시에 전송되고,
    상기 복수의 SRS 자원 세트들은, 상기 복수의 SRS 자원 세트들 각각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SRS 자원의 수가 상기 이용 가능한 자원의 수 이하인 자원 세트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SRS 자원들을 통해 SRS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SRS 자원들이 서로 다른 SRS 자원 세트의 서브 세트(subset)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SRS는 상기 복수의 SRS 자원들에서 동시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SRS 자원들이 서로 다른 SRS 자원 세트에 포함된 경우, 상기 SRS는 FDM(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SRS 자원들이 동일한 SRS 자원 세트에 포함된 경우, 상기 SRS는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능력 정보는, 상기 단말이 지원하는 SRS 자원 세트들에 대한 제1 인덱스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SRS자원 세트들에 대한 설정(configuration) 정보는 SRS 자원 세트들에 대한 제2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인덱스 정보와 상기 제2 인덱스 정보는 기 정해진 규칙에 의해 매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ounding reference signal(SRS)를 전송을 수행하는 단말에 있어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RF(Radio Frequency) 모듈; 및
    상기 RF 모듈과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기지국으로, 상기 단말의 능력(capability)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능력 정보는, SRS 전송에 이용 가능한 자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SRS 자원 세트(resource set) 별로 적어도 하나의 SRS 자원을 포함하는 복수의 SRS자원 세트들에 대한 설정(configuration)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SRS 자원의 개수는 상기 능력(capability)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되며,
    상기 SRS 전송에 이용 가능한 자원의 수와 상기 복수의 SRS 자원 세트들 각각에 포함된 SRS 자원의 수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SRS 자원들을 통해 SRS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SRS 자원들이 서로 다른 SRS 자원 세트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SRS는 상기 복수의 SRS 자원들에서 동시에 전송되고,
    상기 복수의 SRS 자원 세트들은, 상기 복수의 SRS 자원 세트들 각각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SRS 자원의 수가 상기 이용 가능한 자원의 수 이하인 자원 세트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8. 삭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SRS 자원들을 통해 SRS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SRS 자원들이 서로 다른 SRS 자원 세트의 서브 세트(subset)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SRS는 상기 복수의 SRS 자원들에서 동시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SRS 자원들이 서로 다른 SRS 자원 세트에 포함된 경우, 상기 SRS는 FDM(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SRS 자원들이 동일한 SRS 자원 세트에 포함된 경우, 상기 SRS는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능력 정보는, 상기 단말이 지원하는SRS 자원 세트들에 대한 제1 인덱스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SRS자원 세트들에 대한 설정(configuration) 정보는SRS 자원 세트들에 대한 제2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인덱스 정보와 상기 제2 인덱스 정보는 기 정해진 규칙에 의해 매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단말이 지원하는 SRS 자원 세트(resource set)의 수 및 상기 SRS 자원 세트 당 동시에 전송 가능한 SRS 자원의 수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SRS 자원 세트들에 포함된 SRS 자원의 수는 상기 단말이 지원하는 SRS 자원 세트의 수와 상기 SRS 자원 세트 당 동시에 전송 가능한 SRS 자원의 수의 곱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단말이 지원하는 SRS 자원 세트(resource set)의 수 및 상기 SRS 자원 세트 당 동시에 전송 가능한 SRS 자원의 수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SRS 자원 세트들에 포함된 SRS 자원의 수는 상기 단말이 지원하는 SRS 자원 세트의 수와 상기 SRS 자원 세트 당 동시에 전송 가능한 SRS 자원의 수의 곱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ounding reference signal(SRS)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의 능력(capability)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능력 정보는, 상기 SRS 전송에 이용 가능한 자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SRS 자원 세트(resource set) 별로 적어도 하나의 SRS 자원을 포함하는 복수의 SRS자원 세트들에 대한 설정(configuration) 정보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SRS 자원의 개수는 상기 능력(capability)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되며; 및
    상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SRS 자원들을 통해 SRS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SRS 자원들이 서로 다른 SRS 자원 세트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SRS는 상기 복수의 SRS 자원들에서 동시에 수신되고,
    상기 복수의 SRS 자원 세트들은, 상기 복수의 SRS 자원 세트들 각각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SRS 자원의 수가 상기 이용 가능한 자원의 수 이하인 자원 세트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80143021A 2017-11-17 2018-11-1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ounding reference signal을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ctive KR1020539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87550P 2017-11-17 2017-11-17
US62/587,550 2017-11-17
US201762590357P 2017-11-23 2017-11-23
US62/590,357 2017-11-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017A KR20190057017A (ko) 2019-05-27
KR102053934B1 true KR102053934B1 (ko) 2020-01-22

Family

ID=66538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3021A Active KR102053934B1 (ko) 2017-11-17 2018-11-1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ounding reference signal을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1489702B2 (ko)
KR (1) KR102053934B1 (ko)
WO (1) WO20190988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66905A (zh) * 2018-12-28 2022-06-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上行信号发送方法及装置
WO2020248158A1 (en) * 2019-06-12 2020-12-17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sounding reference signal port configuration
US20220278795A1 (en) * 2019-07-26 2022-09-0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ound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WO2020101780A2 (en) * 2019-08-16 2020-05-22 Futurewei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signaling control information
CN111092708B (zh) * 2019-11-08 2024-09-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传输方法、装置、第一通信节点、第二通信节点及介质
CN113259076B (zh) * 2020-02-12 2022-08-05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信息传输方法、装置及设备
CN113572586B (zh) * 2020-04-29 2022-12-1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探测参考信号的发送方法、用户设备以及系统
WO2022036677A1 (en) * 2020-08-21 2022-02-24 Qualcomm Incorporated Antenna switching for reference signals
US12082111B2 (en) * 2020-10-09 2024-09-03 Qualcomm Incorporated Base station report of user equipment antenna selection
US20230101382A1 (en) * 2021-09-27 2023-03-30 Qualcomm Incorporated Precoding for sidelink communications
CN116260492A (zh) * 2021-12-09 2023-06-1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Srs资源配置方法、装置、终端及网络侧设备
US20250175221A1 (en) * 2022-04-20 2025-05-29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reporting quasi co location information
US20240032023A1 (en) * 2022-07-20 2024-01-25 Qualcomm Incorporated Reference signal port association determination for single frequency network uplink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9429B1 (ko) * 2009-11-02 2014-06-24 노키아 솔루션스 앤드 네트웍스 오와이 사운딩 기준 신호 구성
KR101828621B1 (ko) * 2010-04-02 2018-03-22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업링크 사운딩 기준 신호 구성 및 전송 방법
CN105871529B (zh) * 2010-10-12 2019-01-04 太阳专利托管公司 基站装置和通信方法
US9497047B2 (en) * 2013-07-02 2016-1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sounding channel operation in millimeter wave communication systems
CN107710665B (zh) * 2015-06-28 2021-06-08 梁平 在mu-mimo无线通信系统中上行传输srs的方法
JP6682890B2 (ja) * 2016-02-05 2020-04-15 富士通株式会社 基地局、無線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の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および無線端末の通信方法
US10200170B2 (en) * 2016-03-09 2019-0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 multi-cell full-dimension MIMO system
EP3429145A4 (en) * 2016-06-05 2019-10-30 LG Electronics Inc. -1- SIGNAL TRANSMISSION METHOD FOR ESTIMATING PHASE NOIS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380756B1 (ko) * 2016-08-05 2022-03-31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위상 보상 기준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N107734686B (zh) * 2016-08-12 2023-04-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下行控制信令的发送及接收方法、装置、基站、终端
CN113067689A (zh) * 2017-01-17 2021-07-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传输探测参考信号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11294912B (zh) * 2017-06-29 2023-07-1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用于传输信号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WO2019024055A1 (en) * 2017-08-03 2019-02-07 Ne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FERENCE SIGNAL CONFIGURATION
CN111373811B (zh) * 2017-10-26 2024-04-05 联想(北京)有限公司 确定与波束成形相对应的信息
US20210160025A1 (en) * 2017-11-09 2021-05-27 Nec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hase tracking reference signal configuration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717430*
3gpp R1-1717598*
3GPP TS 36.211 V8.8.0 (2009.09.2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89702B2 (en) 2022-11-01
US20210176094A1 (en) 2021-06-10
US20230021451A1 (en) 2023-01-26
KR20190057017A (ko) 2019-05-27
WO2019098800A1 (ko) 2019-05-23
US12040919B2 (en) 2024-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393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ounding reference signal을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11739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14070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8298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csi 보고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9504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코드북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13142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4147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csi 보고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323892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on basis of QC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KR10252179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를 보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3964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3605926B1 (en) Method for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KR10213300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를 측정 및 보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771138B2 (en) Uplink multi-antenna transmission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CN111386661B (zh) 无线通信系统中非周期性的csi的报告方法及其装置
KR10197377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13760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채널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2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1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7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12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7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3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0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9082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7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3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