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53823B1 - 디스플레이장치, 원격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원격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3823B1
KR102053823B1 KR1020130029688A KR20130029688A KR102053823B1 KR 102053823 B1 KR102053823 B1 KR 102053823B1 KR 1020130029688 A KR1020130029688 A KR 1020130029688A KR 20130029688 A KR20130029688 A KR 20130029688A KR 102053823 B1 KR102053823 B1 KR 102053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ontent
information
display
content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9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5075A (ko
Inventor
정도성
박남현
박혜성
신리나
황보형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9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823B1/ko
Priority to PCT/KR2014/001067 priority patent/WO2014148739A1/en
Priority to EP14159232.9A priority patent/EP2782334B1/en
Priority to CN201410090065.XA priority patent/CN104065984B/zh
Priority to JP2014056054A priority patent/JP6414660B2/ja
Priority to US14/220,788 priority patent/US9648375B2/en
Publication of KR20140115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5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82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04N21/42209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for displaying non-command information, e.g.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e-mail, messages or a second televis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7Providing Remote input by a user located remotely from the client device, e.g. at 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22Analytics of user selections, e.g. selection of programs or purchase activity
    • H04N21/44224Monitoring of user activity on external systems, e.g. Internet browsing
    • H04N21/44226Monitoring of user activity on external systems, e.g. Internet browsing on soci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원격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소정 컨텐츠의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처리된 컨텐츠의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의 명령의 수신과, 상기 컨텐츠에 관한 정보의 표시가 가능한 원격제어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며, 상기 컨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이용이력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의 이용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에 관한 정보가 상기 원격제어장치에 표시되도록 상기 저장된 이용이력에 관한 정보를 상기 원격제어장치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에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컨텐츠의 정보를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원격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DISPLAY APPARATUS, REMOTE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원격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원격제어장치에 의해 원격 제어되는 디스플레이장치와,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V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는 예컨대, TV신호와 같은 방송신호를 통하여 수신되는 컨텐츠를 영상과, 음성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수많은 컨텐츠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컨텐츠의 정보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종래기술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는, 예컨대, EPG와 같은 형태로 컨텐츠의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한 조작을 통하여 EPG 상의 컨텐츠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EPG는 화면을 가릴 수 밖에 없으므로, 사용자가 컨텐츠를 시청하는데 불편함이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한 조작은, 예컨대, 상하좌우 방향 이동이나, 항목 선택 등의 단순한 조작 위주로 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컨텐츠의 정보를 마음껏 이용하고자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나아가, 최근 터치 혹은 모션 입력을 이용한 원격제어장치도 제안되고는 있으나, 이러한 입력 방법의 확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다양한 컨텐츠의 정보를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에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컨텐츠의 정보를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원격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컨텐츠 이용 성향에 맞추어 보다 편리하게 컨텐츠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원격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직관적으로 컨텐츠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원격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소정 컨텐츠의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처리된 컨텐츠의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의 명령의 수신과, 상기 컨텐츠에 관한 정보의 표시가 가능한 원격제어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며, 상기 컨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이용이력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의 이용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에 관한 정보가 상기 원격제어장치에 표시되도록 상기 저장된 이용이력에 관한 정보를 상기 원격제어장치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현재 표시되고 있는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이용이력에 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원격제어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이용이력에 관한 정보는, 상기 현재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의 적어도 하나의 관련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이용이력에 관한 정보는, 상기 현재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와, 상기 관련컨텐츠 각각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시청성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에 관한 정보는, 상기 현재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의 GUI항목과, 복수의 상기 관련컨텐츠 각각의 GUI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관련컨텐츠의 GUI항목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선택된 어느 하나의 관련컨텐츠의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컨텐츠에 관한 정보의 표시가 가능한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이용이력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이용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에 관한 정보가 상기 원격제어장치에 표시되도록 상기 저장된 이용이력에 관한 정보를 상기 원격제어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표시되고 있는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이용이력에 관한 정보를 상기 원격제어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이용이력에 관한 정보는, 상기 현재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의 적어도 하나의 관련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이용이력에 관한 정보는, 상기 현재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와, 상기 관련컨텐츠 각각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시청성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련컨텐츠 중에서 상기 원격제어장치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선택된 관련컨텐츠의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디스플레이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제어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명령의 수신이 가능한 명령수신부와; 정보의 표시가 가능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소정 컨텐츠의 영상이 표시되도록 상기 사용자의 명령을 전송하며, 상기 컨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이용이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자의 이용이력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에 관한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원격제어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현재 표시되고 있는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이용이력에 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이용이력에 관한 정보는, 상기 현재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의 적어도 하나의 관련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이용이력에 관한 정보는, 상기 현재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와, 상기 관련컨텐츠 각각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시청성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에 관한 정보는, 상기 현재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의 GUI항목과, 복수의 상기 관련컨텐츠 각각의 GUI항목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시청성향에 따라 상기 현재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의 GUI항목과, 상기 복수의 관련컨텐츠의 GUI항목을 상호 인접하게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시청성향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와, 상기 복수의 관련컨텐츠의 상호 간 연관 정도를 나타내는 연결선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시청성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관련컨텐츠 각각의 GUI항목의 크기를 다르게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관련컨텐츠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한 상기 사용자의 명령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하여, 상기 선택된 관련컨텐츠의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디스플레이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제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소정 컨텐츠의 영상이 표시되도록 상기 수신된 사용자의 명령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이용이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사용자의 이용이력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제어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이용이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현재 표시되고 있는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이용이력에 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이용이력에 관한 정보는, 상기 현재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의 적어도 하나의 관련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이용이력에 관한 정보는, 상기 현재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와, 상기 관련컨텐츠 각각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시청성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에 관한 정보는, 상기 현재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의 GUI항목과, 복수의 상기 관련컨텐츠 각각의 GUI항목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시청성향에 따라 상기 현재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의 GUI항목과, 상기 복수의 관련컨텐츠의 GUI항목을 상호 인접하게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시청성향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와, 상기 복수의 관련컨텐츠의 상호 간 연관 정도를 나타내는 연결선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시청성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관련컨텐츠 각각의 GUI항목의 크기를 다르게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상기 복수의 관련컨텐츠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한 상기 사용자의 명령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에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컨텐츠의 정보를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컨텐츠 이용 성향에 맞추어 보다 편리하게 컨텐츠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직관적으로 컨텐츠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와, 원격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원격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원격제어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와, 원격제어장치의 보다 구체적인 동작을 도시하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원격제어장치가 표시하는 컨텐츠의 정보를 일례를 도시하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원격제어장치가 표시하는 사용자의 이용이력에 기초한 컨텐츠의 정보의 일례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와, 원격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TV일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는 디스플레이장치(1)의 원격 제어를 위한 장치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와, 원격제어장치(2)는 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디스플레이장치(1)와, 원격제어장치(2) 간의 통신은 예컨대, 블루투스, Wi-Fi 등와 같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일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장치(1)와, 원격제어장치(2)는 서로 인접하여 마련되며, 사용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공간에서 디스플레이장치(1)와, 원격제어장치(2)를 모두 이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와, 원격제어장치(2)는 서로 분리된 별개의 장치이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는 원격제어장치(2)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본체(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1)에 해당)와, 원격제어장치(2)를 모두 포함하는 하나의 시스템의 형태로 제품화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예컨대, TV신호와 같은 영상신호 등을 통해 수신되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가 제공하는 컨텐츠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며, 예컨대, 음악, 영화, 사진, 게임, SNS, 뉴스, 건강, 학습 등 다양한 서비스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1)에 대하여 컨텐츠의 제공을 요청하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장치(1)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를 이용하여 채널을 선택하고, 디스플레이장치(1)는 원격제어장치(2)를 통하여 선택된 채널의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는 컨텐츠에 관련된 부가정보(이하, 간략히 '컨텐츠의 정보'라고도 함)를 제공한다. 예컨대, 원격제어장치(2)는 디스플레이장치(1)에서 현재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는 컨텐츠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는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의 정보를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예컨대, GUI를 제공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는 사용자가 GUI를 통해 컨텐츠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터치 방식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에서 제공되는 GUI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장치(1)에서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의 정보를 이용하고, 다른 컨텐츠의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현재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의 정보를 원격제어장치(2)에 제공할 수 있으며, 원격제어장치(2)를 통하여 요청된 다른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와, 원격제어장치(2)에 의하면, 컨텐츠를 표시하고 있는 디스플레이장치(1)가 아닌 원격제어장치(2)를 통하여 컨텐츠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컨텐츠의 시청을 방해하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원격제어장치(2)는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이용이력에 기초하여 컨텐츠의 정보를 제공한다.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이용이력은, 예컨대,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를 언제 보았는지, 얼마나 오래 보았는지, 얼마나 자주 보았는지 등 해당 컨텐츠를 이용함에 있어서 발생하였던 객관적인 사실과, 해당 컨텐츠에 관한 사용자의 기호나, 성향에 해당하는 사항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사용자가 어느 컨텐츠를 이용할 때마다 이를 확인하여, 해당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이용이력으로서 관련된 정보를 저장해 둔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사용자의 이용이력에 관한 정보를 원격제어장치(2)에 전달해 줄 수 있으며, 원격제어장치(2)는 전달된 사용자의 이용이력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의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와, 원격제어장치(2)에 의하면,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이용이력에 기초하여 컨텐츠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정보에 관한 사항을 별도로 입력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사용자의 이용이력에 맞는 컨텐츠의 정보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제공되는 정보의 신뢰성이 높고, 사용자의 편의성이 보다 향상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신호수신부(11), 영상처리부(12), 디스플레이부(13), 저장부(14), 통신부(15) 및 제어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수신부(11)는 영상신호를 수신한다. 영상신호는 일례로서 방송신호일 수 있다. 방송신호는 공중파 방송,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등의 방식으로 방송될 수 있다. 방송신호는 복수의 채널을 가진다. 신호수신부(11)는 복수의 채널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채널의 방송신호를 수신한다. 신호처리부(12)는 신호수신부(11)에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디스플레이부(13)에 영상이 표시 가능하도록 처리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영상신호는 예컨대, DVD플레이어, BD플레이어 등의 영상기기로부터 수신되거나, PC로부터 수신되거나,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거나, 블루투스, Wi-Fi와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거나, USB저장매체와 같은 메모리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다.
영상처리부(12)는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13)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한다. 영상처리부(12)는 수신되는 영상신호에 대하여, 예컨대, 모듈레이션, 디모듈레이션, 멀티플렉싱, 디멀티플렉싱, 아날로그-디지털변환, 디지털-아날로그변환, 디코딩, 인코딩, 이미지인핸스먼트, 스케일링 등의 영상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는 영상처리부(12)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3)는 LCD, PDP, OLED 등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저장부(14)는 플래시메모리, 하드디스크 등과 같은 비휘발성의 메모리로서, 컨텐츠에 관한 사용자의 이력정보를 저장한다.
통신부(15)는 원격제어장치(2)과의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15)와, 원격제어장치(2) 간의 통신 방식에는 제한이 없으며, 예컨대, 블루투스, Wi-Fi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제어부(16)는 디스플레이장치(1)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제어부(16)는 제어프로그램과,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플래시 메모리 등의 비휘발성의 메모리와, 제어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를 로딩하는 램과 같은 휘발성의 메모리와, 로딩된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제어부(16)의 제어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동작 S31에서, 디스플레이장치(1)는 원격제어장치(2)로부터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한다. 다음으로, 동작 S32에서, 디스플레이장치(1)는 원격제어장치(2)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서 컨텐츠의 영상을 표시한다. 한편, 동작 S33에서, 디스플레이장치(1)는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이용이력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동작 S33에서, 디스플레이장치(1)는 저장된 사용자의 이용이력에 관한 정보를 원격제어장치(2)에 전송한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장치(1)는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하는 명령 수신부(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명령 수신부(17)는, 예컨대, 사용자의 명령의 입력을 위한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는 조작패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명령 수신부(17)는 사용자의 모션을 사용자의 명령으로서 감지하는 모션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으나, 디스플레이장치(1)는 디스플레이장치(1)의 동작 전원의 공급을 위한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원격제어장치(2)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원격제어장치(2)는 명령수신부(21)와, 디스플레이부(22)와, 통신부(23)와, 제어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수신부(21)는 디스플레이장치(1)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한다. 명령수신부(21)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컨대, 문자의 입력을 위한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거나, 터치 입력을 위한 터치패드 혹은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거나, 모션 감지를 위한 모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수신부(2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터치입력을 위한 구성은 디스플레이부(22) 내에 마련되거나, 디스플레이부(22)와 중첩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2)는 컨텐츠의 정보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22)는 원격제어장치(2)의 일 영역에 마련되는 예컨대, LCD 혹은 OLED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23)는 디스플레이장치(1)의 통신부(15)와 상호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23)는 디스플레이장치(1)의 통신부(15)와 동일한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제어부(24)는 원격제어장치(2)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제어부(24)는 제어프로그램과,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플래시 메모리 등의 비휘발성의 메모리와, 제어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를 로딩하는 램과 같은 휘발성의 메모리와, 로딩된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제어부(24)의 제어에 따른 원격제어장치(2)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동작 S51에서, 원격제어장치(2)는 디스플레이장치(1)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한다. 동작 S52에서, 원격제어장치(2)는 수신된 사용자의 명령을 디스플레이장치(1)로 전송한다. 동작 S53에서, 원격제어장치(2)는 디스플레이장치(1)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이용이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동작 S54에서, 원격제어장치(2)는 디스플레이장치(1)로부터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이용이력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도 6은 디스플레이장치(1)와, 원격제어장치(2)의 보다 구체적인 동작을 도시한다. 먼저, 동작 S61에서, 원격제어장치(2)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컨텐츠를 선택한다. 원격제어장치(2)는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컨텐츠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원격제어장치(2)가 표시하는 컨텐츠의 정보를 일례를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제어장치(2)는 디스플레이부(22)를 통해 컨텐츠의 정보(71)를 표시할 수 있다. 컨텐츠의 정보(71)는 디스플레이장치(1)가 제공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원격제어장치(2)는 컨텐츠의 정보(71)는 디스플레이장치(1)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는 디스플레이장치(1)에 컨텐츠의 정보(71)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는 사용자의 명령이 있는 때 디스플레이장치(1)에 컨텐츠의 정보(71)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특정한 컨텐츠의 정보(71)의 전송을 디스플레이장치(1)에 요청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원격제어장치(2)로부터 컨텐츠의 정보(71)의 전송 요청을 수신한 때, 요청된 컨텐츠의 정보(71)를 원격제어장치(2)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장치(1)는 주기적으로 컨텐츠의 정보(71)를 원격제어장치(2)에 전송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정보(71)는 컨텐츠의 내용을 나타내는 이미지, 텍스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의 정보(71)는 복수의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원격제어장치(2)는 표시할 컨텐츠의 개수가 많은 경우 이를 나누어 일부씩 표시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는 사용자가 조작을 통하여 복수의 컨텐츠의 정보(71)를 네비게이션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혹은, 원격제어장치(2)는 사용자가 어느 컨텐츠의 정보(71)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원격제어장치(2)는 복수의 컨텐츠의 정보(71)의 네비게이션 혹은 검색을 위하여 네비게이션/검색버튼(72)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네비게이션/검색버튼(72)은 원격제어장치(2)의 디스플레이부(22)에 표시되는 GUI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네비게이션/검색버튼(72)을 이용하여 복수의 컨텐츠의 정보(71)를 네비게이션 혹은 검색하면서 원하는 정보를 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원격제어장치(2)는 터치스크린 타입의 명령수신부(21)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22) 상의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따라 복수의 컨텐츠의 정보(71)의 네비게이션 혹은 검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는 사용자가 복수의 컨텐츠의 정보(71)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원격제어장치(2)는 선택버튼(73)을 더 포함하고, 선택버튼(73)을 통하여 사용자가 복수의 컨텐츠의 정보(71)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원격제어장치(2)는 터치스크린 타입의 명령수신부(21)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22) 상의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따라 복수의 컨텐츠의 정보(71)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동작 S62에서, 원격제어장치(2)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선택된 컨텐츠의 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1)에 전송한다. 동작 S63에서, 디스플레이장치(1)는 원격제어장치(2) 로부터 수신된 선택된 컨텐츠의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컨텐츠의 영상을 표시한다. 동작 S64에서, 디스플레이장치(1)는 해당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이용이력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사용자가 어떠한 컨텐츠를 어떻게 이용하는지를 계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 예컨대, 동작 S62 및 S63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를 통하여 어느 컨텐츠의 제공 혹은 검색 결과를 요청한 경우, 해당 컨텐츠의 관련정보를 사용자의 이력정보로서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1)는 해당 컨텐츠의 제목, 요청 일시, 이용 시간(시청 시간 등) 등의 정보를 사용자의 이력정보로서 저장한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복수의 사용자의 이력정보를 각 사용자 별로 관리할 수도 있다. 동작 S61 내지 S64는 반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동작 S61 내지 S64가 반복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다양한 컨텐츠를 이용하는 동안의 사용자의 이력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동작 S65에서, 디스플레이장치(1)는 저장된 사용자의 이용이력에 관한 정보를 원격제어장치(2)에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현재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이용이력에 관한 정보를 원격제어장치(2)에 전송할 수 있다. 혹은, 디스플레이장치(1)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임의의 컨텐츠 또는 해당 이벤트에 관련된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이용이력에 관한 정보를 원격제어장치(2)에 전송할 수 있다. 혹은, 디스플레이장치(1)는 주기적으로 임의의 컨텐츠 혹은 사용자가 지정한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이용이력에 관한 정보를 원격제어장치(2)에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해당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시청성향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도록, 저장된 사용자의 이용이력에 관한 정보를 가공하고, 가공된 사용자의 이용이력에 관한 정보를 원격제어장치(2)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사용자의 이용이력에 관한 정보의 가공은 원격제어장치(2)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사용자의 이용이력에 관한 정보의 처리는 별도의 다른 장치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장치(1) 및 원격제어장치(2) 중 적어도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는 서버(도시 안됨)와 통신하며,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이용이력에 관한 정보를 얻거나, 서버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용이력에 관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는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이용이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원격제어장치(2)에 전달하거나, 혹은 원격제어장치(2)가 직접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이용이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S66에서, 원격제어장치(2)는 디스플레이장치(1)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이용이력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의 정보를 표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원격제어장치(2)가 표시하는 사용자의 이용이력에 기초한 컨텐츠의 정보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제어장치(2)는 디스플레이부(22) 상에 사용자의 이용이력에 기초한 컨텐츠의 정보(81 내지 86)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이용이력에 기초한 컨텐츠의 정보(81 내지 86)는 디스플레이장치(1)에 현재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의 관련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제어장치(2)는 GUI의 형태로서 디스플레이장치(1)에 현재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의 항목(81)과, 현재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의 관련컨텐츠에 관한 항목(82 내지 84)을 표시할 수 있다. 현재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의 항목(81)과, 관련컨텐츠에 관한 항목(82 내지 84) 각각은 사용자의 시청성향을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원격제어장치(2)는 사용자의 시청성향에 따라서, 현재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의 항목(81)과, 관련컨텐츠에 관한 항목(82 내지 84) 상호 간을 인접하게 표시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2)는 사용자의 시청성향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현재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81)를 시청하고 있다가, 컨텐츠를 변경할 때 가장 자주 선택되었던 컨텐츠의 항목(82)을, 다른 컨텐츠의 항목(83 및 84)에 비하여, 현재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의 항목(81)과 더 인접하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는 현재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81)와, 복수의 관련컨텐츠(82 내지 84) 상호 간 연관 정도를 나타내는 연결선(85 및 86)을 각 항목(81 내지 84) 사이에 더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연결선(85 및 86)은 각 항목(81 내지 84)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으로 표시될 수 있다. 연결선(85 및 86) 각각은 현재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81)와, 복수의 관련컨텐츠(82 내지 84) 상호 간 연관 정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현재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81)와, 제1관련컨텐츠(82) 및 제2관련컨텐츠(83) 상호간의 연관 정도가 상대적으로 높으면 연결선(85)은 실선으로 표시되고, 현재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81)와, 제3관련컨텐츠(84) 상호간의 연관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으면 연결선(85)은 점선으로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연결선(85 및 86)은 컨텐츠(81)와, 복수의 관련컨텐츠(82 내지 84) 상호 간 연관 정도에 따라 굵기를 달리하여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는 사용자의 시청성향에 따라 복수의 관련컨텐츠 각각의 항목(82 내지 84)의 크기를 달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관련컨텐츠 중에서 상대적으로 사용자가 시청을 자주한 관련컨텐츠의 항목(83)은 크기를 크게 표시하고, 상대적으로 사용자가 시청을 덜 자주한 관련컨텐츠의 항목(82)은 크기를 작게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원격제어장치(2)는, 사용자가 현재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의 항목(81)의 테두리를 제1방향(예컨대, 시계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해당 컨텐츠(81)와 동일한 카테고리(예컨대, 뉴스) 등에 해당하는 특정한 관련컨텐츠(82 내지 84)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제2방향(예컨대, 시계 반대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모든 카테고리 등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관련컨텐츠(82 내지 84)를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는 단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제1방향, 제2방향 등의 입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관련성을 가지는 컨텐츠의 정보를 대응적으로 보여줄 수 있음을 주지하여야 한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동작 S67에서, 원격제어장치(2)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복수의 관련컨텐츠(82 내지 84)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즉, 사용자는 복수의 관련컨텐츠(82 내지 84) 중에서 자신이 이용하길 원하는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는 복수의 관련컨텐츠 각각의 항목(82 내지 84)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예컨대, 원격제어장치(2)는 디스플레이부(22) 상의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따라 복수의 관련컨텐츠(82 내지 84)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현재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81)와, 복수의 관련컨텐츠(82 내지 84)는 해당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송신호의 채널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 8을 다시 참조하면, 사용자가 현재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81) 혹은 복수의 관련컨텐츠(82 내지 84)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을 터치한 상태에서 소정 방향(예컨대, 상하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원격제어장치(2)는 해당 항목(81 내지 84)의 테두리에 관련컨텐츠에 관한 추가메뉴(도시 안됨)를 표시할 수 있다. 추가메뉴는, 예컨대, 터치된 컨텐츠(81 내지 84)의 채널의 이전 혹은 다음 채널들의 리스트를 선택 가능하도록 보여줄 수 있다. 사용자는 추가메뉴를 이용하여, 터치된 컨텐츠(81 내지 84)의 주변 채널들을 보다 용이하게 검색하고, 원하는 어느 하나의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동작 S68에서, 원격제어장치(2)는 복수의 관련컨텐츠(82 내지 84)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1)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동작 S69에서, 디스플레이장치(1)는 원격제어장치(2)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관련컨텐츠(82, 83 또는 84)의 영상을 표시한다.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에 표시되는 복수의 관련컨텐츠의 항목(82 내지 84)을 이용하여 자신이 시청하고자 하는 채널로 편리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와, 원격제어장치(2)에 의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시청성향을 보다 쉽게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편리하게 컨텐츠를 검색하고, 이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이 이용한 컨텐츠들 중에서 자신의 시청 성향에 따른 관련컨텐츠가 추천되는 과정을 통하여, 컨텐츠 이용 시 보다 재미를 느낄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 디스플레이장치
2: 원격제어장치
11: 신호수신부
12: 영상처리부
13: 디스플레이부
14: 저장부
15: 통신부
16: 제어부
17: 명령수신부

Claims (2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디스플레이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제어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명령의 수신이 가능한 명령수신부와;
    정보의 표시가 가능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소정 컨텐츠의 영상이 표시되도록 상기 사용자의 명령을 전송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현재 표시되고 있는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제1항목과, 상기 컨텐츠에 관련된 복수의 제2컨텐츠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항목을 포함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항목과 상기 복수의 제2항목은 상기 컨텐츠와 상기 복수의 제2컨텐츠의 각각의 사이의 연관 정도를 나타내도록 표시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2항목을, 상기 컨텐츠와 상기 복수의 제2컨텐츠의 각각의 사이의 상기 연관 정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를 갖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는 원격제어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현재 표시되고 있는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이용이력에 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자의 이용이력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상기 GUI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원격제어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이용이력에 관한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현재 표시되고 있는 상기 컨텐츠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제2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원격제어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이용이력에 관한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현재 표시되고 있는 상기 컨텐츠와, 상기 컨텐츠에 관련된 상기 복수의 제2컨텐츠 각각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시청성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원격제어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시청성향에 따라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상기 제1항목과, 상기 복수의 제2컨텐츠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항목을 상호 인접하게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원격제어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시청성향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와, 상기 복수의 제2컨텐츠의 상호 간 상기 연관 정도를 나타내는 연결선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원격제어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시청성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2컨텐츠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GUI의 제2항목 각각의 크기를 다르게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원격제어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2컨텐츠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한 상기 사용자의 명령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하여, 상기 선택된 제2컨텐츠의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원격제어장치.
  20. 디스플레이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제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소정 컨텐츠의 영상이 표시되도록 상기 수신된 사용자의 명령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현재 표시되고 있는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제1항목과, 상기 컨텐츠에 관련된 복수의 제2컨텐츠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항목을 포함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상기 원격제어장치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항목과 상기 복수의 제2항목은 상기 컨텐츠와 상기 복수의 제2컨텐츠의 각각의 사이의 연관 정도를 나타내도록 표시되고,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2항목을, 상기 컨텐츠와 상기 복수의 제2컨텐츠의 각각의 사이의 상기 연관 정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를 갖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제어장치의 제어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현재 표시되고 있는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이용이력에 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사용자의 이용이력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상기 GUI로 상기 원격제어장치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격제어장치의 제어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이용이력에 관한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현재 표시되고 있는 상기 컨텐츠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제2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원격제어장치의 제어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이용이력에 관한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현재 표시되고 있는 상기 컨텐츠와, 상기 컨텐츠에 관련된 상기 복수의 제2컨텐츠 각각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시청성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원격제어장치의 제어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상기 제1항목과, 상기 복수의 제2컨텐츠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제2항목을 상호 인접하게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제어장치의 제어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시청성향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와, 상기 복수의 제2컨텐츠의 상호 간 상기 연관 정도를 나타내는 연결선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제어장치의 제어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시청성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2컨텐츠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GUI의 제2항목 각각의 크기를 다르게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제어장치의 제어방법.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상기 복수의 제2컨텐츠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한 상기 사용자의 명령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격제어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30029688A 2013-03-20 2013-03-20 디스플레이장치, 원격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Active KR102053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9688A KR102053823B1 (ko) 2013-03-20 2013-03-20 디스플레이장치, 원격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CT/KR2014/001067 WO2014148739A1 (en) 2013-03-20 2014-02-07 Display apparatus, remote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4159232.9A EP2782334B1 (en) 2013-03-20 2014-03-12 Display apparatus, remote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410090065.XA CN104065984B (zh) 2013-03-20 2014-03-12 显示设备、遥控器及其控制方法
JP2014056054A JP6414660B2 (ja) 2013-03-20 2014-03-19 ディスプレイ装置、遠隔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14/220,788 US9648375B2 (en) 2013-03-20 2014-03-20 Display apparatus, remote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9688A KR102053823B1 (ko) 2013-03-20 2013-03-20 디스플레이장치, 원격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5075A KR20140115075A (ko) 2014-09-30
KR102053823B1 true KR102053823B1 (ko) 2019-12-09

Family

ID=50472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9688A Active KR102053823B1 (ko) 2013-03-20 2013-03-20 디스플레이장치, 원격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648375B2 (ko)
EP (1) EP2782334B1 (ko)
JP (1) JP6414660B2 (ko)
KR (1) KR102053823B1 (ko)
CN (1) CN104065984B (ko)
WO (1) WO20141487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2666A (ko) * 2015-12-17 2017-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7386623B2 (ja) * 2019-06-11 2023-11-27 日本放送協会 情報処理装置、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41617A (ja) * 2008-08-07 2010-02-18 Sony Corp 携帯情報端末、情報提供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提供サーバ、放送受信装置および情報提供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42988B1 (en) * 1991-12-23 2007-07-10 Linda Irene Hoffberg Adaptive pattern recognition based controller apparatus and method and human-factored interface therefore
JP4079559B2 (ja) * 1999-09-28 2008-04-23 三洋電機株式会社 携帯端末電話機を利用したtv番組予約システム
JP4164741B2 (ja) * 2002-10-11 2008-10-15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操作システム及び電子機器
JP5046471B2 (ja) 2003-05-30 2012-10-1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661047B2 (ja) 2003-05-30 2011-03-3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0417298B2 (en) * 2004-12-02 2019-09-17 Insignio Technologies, Inc. Personalized content processing and delivery system and media
JP4510486B2 (ja) * 2004-02-27 2010-07-21 ソニー株式会社 番組表表示方法,番組表表示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7134947A (ja) * 2005-11-10 2007-05-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番組情報表示選択装置
JP2007181068A (ja) * 2005-12-28 2007-07-12 Funai Electric Co Ltd リモコン装置
JP2007300497A (ja) 2006-05-01 2007-11-15 Canon Inc 番組検索装置、及び番組検索装置の制御方法
US8687128B2 (en) * 2007-04-19 2014-04-0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of navigating previously viewed channels
US8743294B2 (en) * 2007-08-30 2014-06-0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Remote control with content management
US7966632B1 (en) * 2007-12-12 2011-06-21 Google Inc. Visual presentation of video recommendations
US8028246B2 (en) * 2008-08-21 2011-09-27 Eastman Kodak Company Concierge—shopping assistant
KR20100135145A (ko) * 2009-06-16 2010-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제어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방법
JP4649527B1 (ja) * 2009-09-11 2011-03-09 株式会社東芝 表示処理装置、及び表示処理方法
KR20110033625A (ko) 2009-09-25 2011-03-31 브로드밴드미디어주식회사 시청 이력 채널 및 랜덤 채널을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제공 방법
KR101657565B1 (ko) * 2010-04-21 2016-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강 원격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11102886A1 (en) * 2010-02-19 2011-08-25 Thomson Licensing Automatic clip generation on set top box
US20130010209A1 (en) * 2010-03-26 2013-01-10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apparatus, control apparatus, television receiver,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N103098500B (zh) * 2010-07-20 2016-10-12 Lg电子株式会社 电子设备、电子系统和使用其提供信息的方法
US10341711B2 (en) * 2010-11-10 2019-07-02 Saturn Licensing Llc Remote controller device with electronic programming guide and video display
JP5209808B2 (ja) * 2011-06-14 2013-06-12 シャープ株式会社 システム、テレビジョン受像機、情報端末、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268133B1 (ko) 2011-06-23 2013-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로그램 정보 표시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
JP2012235528A (ja) 2012-08-03 2012-11-29 Sharp Corp コンテンツ再生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情報提供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41617A (ja) * 2008-08-07 2010-02-18 Sony Corp 携帯情報端末、情報提供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提供サーバ、放送受信装置および情報提供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82334A2 (en) 2014-09-24
JP6414660B2 (ja) 2018-10-31
US20140289774A1 (en) 2014-09-25
WO2014148739A1 (en) 2014-09-25
KR20140115075A (ko) 2014-09-30
EP2782334A3 (en) 2015-05-13
JP2014183593A (ja) 2014-09-29
EP2782334B1 (en) 2019-09-25
CN104065984B (zh) 2019-11-12
CN104065984A (zh) 2014-09-24
US9648375B2 (en) 2017-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47216B2 (ja) 電子機器及び表示制御方法
US9479817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60262116A1 (en) Global navigation objects in user interfaces
EP329156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pg sorting and automatic realignment
US2012007942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ouch-based media guidance
US11770576B2 (en) Grid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
US9459783B2 (en) Zooming and panning widget for internet browsers
US11822776B2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oviding media guidance with contextual controls
EP2595045A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15454B1 (ko) 듀얼 터치패드를 구비하는 리모콘 및 그를 이용한 제어 방법
JP5191876B2 (ja) リモコンリコメンドシステム
US20170017304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53823B1 (ko) 디스플레이장치, 원격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70237929A1 (en) Remote controller for providing a force input in a media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090237368A1 (en) User input apparatus for controlling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image display device by using the user input apparatus
US2017018067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ouch screens associated with a display
US20150293681A1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oviding a media interface with multiple control interfaces
JP2015032919A (ja) 遠隔操作システム、遠隔操作制御装置、遠隔操作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3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3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