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3706B1 - Filtration system for breeding of double-layer fish forms - Google Patents
Filtration system for breeding of double-layer fish form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53706B1 KR102053706B1 KR1020190037728A KR20190037728A KR102053706B1 KR 102053706 B1 KR102053706 B1 KR 102053706B1 KR 1020190037728 A KR1020190037728 A KR 1020190037728A KR 20190037728 A KR20190037728 A KR 20190037728A KR 102053706 B1 KR102053706 B1 KR 1020537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ank
- water
- filtration
- filtration system
- breed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2
- 238000009395 breed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0000001488 breed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9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8000005273 ae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38000009372 piscicultur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595 infiltra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1764 in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9313 farming Methods 0.000 abstract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7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0706 fil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9360 aqua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44000144974 aquaculture Species 0.000 description 5
- QGZKDVFQNNGYKY-UHFFFAOYSA-N Ammonia Chemical compound N QGZKDVFQNNGY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1000252233 Cyprinus carpio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21529 ammonia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872 dega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4252 protein compon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828 animal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94 food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7—Liquid pumps for aquaria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어류 양식 사육수용 여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여과 수조가 복층형으로 구성됨으로써 공간 활용도가 높고 여과 효율이 향상된 복층형 여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ration system for fish farm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layered filtration system having a high space utilization and improved filtration efficiency because the filtration tank is configured in a multi-layered form.
일반적으로 육상의 양식장에서는 한정된 공간 및 수량(水量)을 기준으로 비교적 많은 량의 어류를 고밀도로 양식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사료의 찌꺼기나 어류의 배설물과 같은 각종 유기질 고형물뿐만 아니라, 어류의 대사과정에서 발생한 단백질 성분이나 암모니아 성분 및 이산화탄소 등이 매우 빠른 시간 내에 사육수에 축적되어 사육수가 오염된다.In general, aquaculture farms in aquaculture farm relatively large quantities of fish at a high density on a limited basis and in a limited amount of water, which can be used to metabolize fish as well as organic solids such as food waste and fish waste. The generated protein component, ammonia component, carbon dioxide, etc. accumulate in the breeding water very quickly and contaminate the breeding water.
따라서, 사육수의 수질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양식장에서 사용된 사육수를 배출시켜 사육수에 포함된 사료, 사료찌꺼기, 양식생물 배설물 또는 양식어 사체 등과 같은 크기가 비교적 큰 고형물을 제거하는 한편, 이산화탄소 성분을 탈기시키는 고형물여과장치와, 상기 고형물여과장치를 거쳐 공급된 사육수에 포함된 유기질 물질인 단백질 성분과 암모니아 성분 및 이들의 산화물질을 미생물에 의하여 제거시키는 생물학적 여과장치가 사육수를 여과하여 재사용하는 대부분의 양식장에 순환식 처리시스템을 이루도록 양식장에 설비되어 사용된다.Therefore, in order to maintain the water quality of the breeding water, the breeding water used in the farm is discharged to remove relatively large solids such as feed, feed residue, aquaculture animal waste or farmed fish carcasses contained in the breeding water. On the other hand, a solid filtration device for degassing carbon dioxide components, and a biological filtration device for removing protein components, ammonia components, and oxides thereof, which are organic substances contained in the breed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solid filtration apparatus, by microorganisms Most farms where water is filtered and reused are used in farms to form a circulating treatment system.
대부분의 여과는 어류 수조에서 사용된 순환수를 재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사육수는 사육수조에서 배수파이프를 통해 배수되어 재사용을 위해 순환수 재생장치로 유입되어 순환수로서 여과되고, 여과된 순환수는 공급수 파이프를 통해 양식 수조로 재유입되어 이루어진다.Most of the filtration is used to recycle and recycle the circulating water used in the fish tank, and the breeding water is drained through the drainage pipe from the breeding tank and flowed into the circulating water regeneration unit for reuse, and filtered as circulating water. Is fed back into the aquaculture tank via feedwater pipes.
따라서 배수파이프를 통하여 배수되는 사육수를 여과 및 공기를 공급하여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 구동펌프 등의 동력원을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이 순환펌프 등을 구비한 여과수조의 경우 공간활용이 어렵고, 개별 여과수조마다 순환펌프를 설치해야 하므로 순환펌프 가동을 위한 과도한 에너지 소비의 문제가 있다.Therefore, a power source such as a circulating pump or a driving pump for circulating the breeding water drained through the drain pipe and supplying air is required.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filtered water tank including the circulation pump, it is difficult to utilize the space, and the circulation pump must be installed for each individual filtered water tank, thereby causing excessive energy consumption for operating the circulation pump.
한국 등록특허 제1782735호에서는 에너지 절감용 순환 여과식 어류 양식시스템을 개시하고 있으나, 여전히 배출수를 역류시켜 순환하는 동력펌프(탈기펌프)를 구비하고 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178735 discloses a circulating filtered fish farming system for energy saving, but still has a power pump (degassing pump) that circulates by circulating the discharged water.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물을 상하 순환시켜 에너지를 절감하고, 공간활용도 및 여과 효율을 향상시킨 복층형 어류 양식 사육수용 여과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 filtration system for a multi-layered fish culture breeding water to reduce energy by circulating the water up and down, and improve space utilization and filtration efficiency.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어 유입수가 일측으로 유입되고, 수조바닥을 둘러싼 외벽과 수조바닥 일측에 제1 배출구가 형성된 제1 여과수조;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제1 여과수조에서 여과된 유입수가 일측으로 유입되고, 수조바닥을 둘러싼 외벽과 타측 외벽 하부에 제2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여과수조 하부에 위치한 제2 여과수조; 및 상기 제1 여과수조 및 상기 제2 여과수조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유입수가 상하로 통과되도록 설치된 하나 이상의 칸막이;를 포함하는 복층형 여과 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opening is the inlet water is introduced to one side, the outer wall surrounding the tank bottom and the first filtration tank formed with a first outlet on one side of the tank bottom; An inflow water filtered from the first filtrate tank to one side and an upper portion thereof is opened, and a second outlet is formed at an outer wall surrounding the bottom of the tank and a lower portion of the other outer wall, and a second filtrate tank located below the first filtrate tank; And one or more partitions installed in the first filtrate tank and the second filtrate tank and installed to allow the inflow water to pass up and down.
또한, 상기 칸막이는 간격이 30~70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형 어류 양식 사육수용 여과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artition provides a multi-layered fish cultured filtr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val is 30 ~ 70cm.
또한, 상기 제1 여과수조 및 제2 여과수조는 내부에 설치된 칸막이 사이에 여과재가 내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형 어류 양식 사육수용 여과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first filtration tank and the second filtration tank provides a filtration system for a multi-layered fish farming wa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er material is interposed between the partitions installed therein.
또한, 상기 복층형 어류 양식 사육수용 여과 시스템은 상기 제2 여과수조에서 여과된 유입수가 유입되는 폭기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형 어류 양식 사육수용 여과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multi-layered fish farming water filtration system provides a filtration system for a multi-layered fish farming wat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eration tank into which the inflow water filtered from the second filtration tank.
또한, 상기 폭기조는 내부에 주펌프 및 보조펌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형 어류 양식 사육수용 여과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aeration tank provides a multi-layered fish farming filtr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pump and the auxiliary pump is installed therein.
또한, 상기 주펌프는 상기 보조펌프보다 폭기조 바닥에서 10~50cm 위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형 어류 양식 사육수용 여과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main pump provides a multi-layered fish farming filtr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aeration tank 10 ~ 50cm above the auxiliary pump.
본 발명은 어류 양식 사육수용 여과 시스템을 복층형으로 구성하고 사육수를 상하로 흐를 수 있도록 하는 칸막이를 여과 수조 내에 포함함으로써, 에너지 절감과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복층형 어류 양식 사육수용 여과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layered filtration system for fish culture breeding water and to include a partition to allow the breeding water to flow up and down in the filtration tank, to provide a multi-layered fish farming filtration system that can increase energy saving and space utilization. Can be.
도 1은 본 발명의 복층형 어류 양식 사육수용 여과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여과재가 내입된 복층형 어류 양식 사육수용 여과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폭기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폭기조가 설치된 복층형 어류 양식 사육수용 여과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은 본 발명의 복층형 어류 양식 사육수용 여과 시스템이 복수로 설치된 복층형 어류 양식 사육수용 여과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filtration system for multi-layered fish farming stock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filtration system for breeding multi-layered fish farming water in which the filter mediu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corporated
3 is a view showing an aeration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multi-layered fish culture breeding water filtration system is installed aeration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multi-layered fish cultured filtration system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ulti-layered fish-cultured breeding water filtration system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으며, 본 발명의 세부구성 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for simplicity of explana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the detailed construction dir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unless otherwise stated,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not to exclude other components.
본 발명자들은 어류 양식 사육수용 여과 시스템에 있어서, 기존의 어류 양식 사육수용 여과 시스템은 여과 시 순환 펌프 등의 연결로 인하여 내부 공간 및 외부 공간 사용에 한계가 있고, 순환 펌프 등의 사용 시 에너지 사용이 과도하다는 사실에 직시하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여과 수조를 복층형으로 구성하고, 상기 여과수조 내부에 사육수를 상하로 흐를 수 있도록 하는 칸막이를 설치하는 경우, 순환펌프 등의 사용이 없이도 물의 흐름을 통한 자연 여과가 되어 에너지 절감이 가능하고, 복층형으로 구성함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The present inventors in the fish culture breeding filtration system, the existing fish culture breeding filtration system has a limitation in the use of the internal space and the external space due to the connection of the circulation pump and the like, the use of energy when using the circulation pump Faced with the fact that it is excessive, and intensiv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solve this problem, when the filtration tank is configured in a multi-layer type, and the partition to allow the breeding water to flow up and down inside the filtration tank, the circulation pump It is found that it is possible to save energy by natural filtration through the flow of water without the use of such as, and to improve the space utilization by constructing in a multi-layered form and l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복층형 어류 양식 사육수용 여과 시스템(100)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복층형 어류 양식 사육수용 여과 시스템(100)은 상부가 개방되어 유입수가 일측으로 유입되고, 수조바닥을 둘러싼 외벽과 수조바닥 일측에 제1 배출구(111)가 형성된 제1 여과수조(110);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제1 여과수조(110)에서 여과된 유입수가 일측으로 유입되고, 수조바닥을 둘러싼 외벽과 타측 외벽 하부에 제2 배출구(121)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여과수조(110) 하부에 위치한 제2 여과수조(120); 및 상기 제1 여과수조(110) 및 상기 제2 여과수조(12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유입수가 상하로 통과되도록 설치된 하나 이상의 칸막이(1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multi-layered fish culture breeding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여과수조(110) 및 제2 여과수조(120)는 부식에 강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고분자 화합물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또한, 상기 제1 여과수조(110)는 상부가 개방되어 일측으로 유입수가 유입되고, 수조바닥을 둘러싼 외벽과 상기 수조바닥 일측에 상기 유입된 유입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제1 배출구(111)가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상기 제1 여과수조(110)의 수조바닥에는 하부에 가라앉은 노폐물 등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가 추가로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배출구에는 배출벨브가 장착될 수 있다.The bottom of the tank of the
또한, 상기 제2 여과수조(120)는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제1 여과수조(110)의 제1 배출구(111)에서 배출된 유입수가 일측으로 유입되고, 수조바닥을 둘러싼 외벽과 타측 외벽 하부에 상기 유입된 유입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제2 배출구(121)가 형성된다. In addition, an upper portion of the
또한, 상기 제2 여과수조(120)의 수조바닥에는 하부에 가라앉은 노폐물 등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가 추가로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배출구에는 배출벨브가 장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bottom of the tank of the filtered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여과수조(120)는 제1 여과수조(110)의 하부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여과 수조는 복층형으로 구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여과 수조는 복층형으로 구성됨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여과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여과 수조(120)가 제1 여과수조(110) 하부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제1 여과수조(110)에서 여과된 상기 유입수가 배출 시 위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에너지를 통해 여과재(150)를 더욱 빠르게 통과하고 이로부터 여과 시간이 단축되는 것으로 추측된다.The filtration tank can be configured in a multi-layered form to improve space utilization, and to shorten the filtration time. Since the
본 발명에서 상기 칸막이(130)는 상기 제1 여과수조(110) 및 상기 제2 여과수조(120) 내부로 유입된 상기 유입수가 상하로 통과되도록 하나 이상이 설치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칸막이(130)는 상기 제1 여과수조(110) 및 상기 제2 여과수조(120)의 가로 길이(L)에 비례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30~70cm 간격당 1개가 설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40~60cm 간격당 1개가 설치될 수 있다.The
상기 칸막이(130)가 30cm 미만의 간격으로 설치되면 상기 칸막이(130)가 여과수조(110, 120) 내부에 밀집되어 여과속도가 저하될 수 있고, 70cm를 초과하는 간격으로 설치되면 상기 유입수의 상하 순환 횟수가 감소하여 여과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When the
상기 칸막이(130)의 두께는 상기 제1 여과수조(110) 및 상기 제2 여과수조(120)의 외벽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얇을 수 있고, 상기 칸막이(130)의 높이는 상기 제1 여과수조(110) 및 상기 제2 여과수조(120) 내부 높이의 50~90%, 바람직하게는 70~85%일 수 있다.The
상기 칸막이(130)의 높이가 상기 제1 여과수조(110) 및 상기 제2 여과수조(120)의 높이보다 낮기 때문에 상기 칸막이(130)를 상기 제1 여과수조(110) 및 상기 제2 여과수조(120) 내부에 설치하는 경우 칸막이의 상부 또는 하부가 개방될 수 있고, 상기 칸막이(130)의 개방된 공간으로 상기 제1 여과수조(110) 및 상기 제2 여과수조(120)로 유입된 유입수가 상하로 순환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height of the
상기 칸막이의 높이가 제1 여과수조 내부 높이의 50% 미만이면 상하순환이 용이하지 않아 여과 효율이 저하될 수 있고, 90%를 초과하면 여과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If the height of the partition is less than 50% of the internal height of the first filtration tank, the up and down circulation is not easy, the filtration efficiency may be lowered, and when the height exceeds 90%, the filtration time may be long.
이와 같이, 상기 유입된 유입수가 상하로 순환하며 상기 칸막이(130)를 통과함으로써 순환펌프 등의 사용 없이 자연 순환되어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유입수가 상하로 순환함으로써 철분, 유기물 등의 물보다 비중이 무거운 물질은 상부로 통과하지 못하여 하부로 가라앉아 자연여과될 수 있다.As such, the introduced inflow water circulates up and down and passes through the
또한, 상기 제1 여과수조(110) 하부에 상기 제2 여과수조(120)가 위치함으로써 복층형 여과 시스템(100)을 구성함으로써 공간활용도를 높이고 여과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econd
도 2는 본 발명의 여과재(150)가 내입된 복층형 어류 양식 사육수용 여과 시스템(100)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여과수조(110) 및 제2 여과수조(120)는 내부에 설치된 칸막이(130) 사이에 여과재(150)가 내입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상기 여과재(150)는 상기 유입수에 포함된 부유물, 미생물 등을 흡착할 수 있고, 상기 여과재(150)는 매트형 여과재로서 수직 및 수평으로 상기 칸막이(130) 사이에 적층되어 격벽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매트형 여과재 사이의 공간에는 알갱이형 여과재가 내입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여과재(150)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스펀지, 자갈, 흡착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ype of the
도 3은 본 발명의 폭기조(14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폭기조(140)가 설치된 복층형 어류 양식 사육수용 여과 시스템(100)을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n
도 3 및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층형 어류 양식 사육수용 여과 시스템(100)은 상기 제2 여과수조(120)에서 여과된 처리수가 유입되는 폭기조(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and 4, the multi-layered fish
상기 폭기조(140)는 상기 제2 여과수조(120)에서 여과된 물을 저장한 후 배출배관(145)을 통해 저장된 물을 배출한다.The
본 발명에서 상기 폭기조(140)는 내부에 주펌프(141) 및 보조펌프(142)가 설치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주펌프(141)는 배출배관(145)에 연결되어 상기 폭기조(140)에 저장된 처리수를 배출할 수 있고, 상기 보조펌프(142)는 상기 폭기조(140)의 수위가 내려가 상기 주펌프(141)가 작동하지 않는 상황에서 상기 배출배관(145)에 연결되어 상기 폭기조(145)에 저장된 처리수를 배출할 수 있다.The
상기 주펌프(141)는 폭기조(140) 바닥에서 10~50cm의 높이에 설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30cm의 높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주펌프(141) 설치 시 지지대(143)를 설치하여 상기 지지대(143) 위에 설치할 수 있다.The
상기 폭기조(140)에서는 물보다 질량이 무거운 철분 등은 폭기조(140) 바닥에 가라앉게 되고, 상기 철분 등이 가라앉은 처리수를 상기 주펌프(141)를 이용하여 배출한다. In the
일반적인 폭기조에서는 평소에 작동하는 주펌프(141)와 비상 시에 작동하는 보조펌프를 나란히 설치하고 외부에 이를 조절하는 센스기구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In a general aeration tank it is common to install the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폭기조(140)는 주펌프(141)를 거치대(143) 위에 설치하여 폭기조(140) 바닥에 설치한 보조펌프(142)와 높이 차이를 둠으로써 평상 시에는 주펌프(141)가 작동하다가 주펌프(141)가 작동하는 수위 아래로 물 수위가 떨어지면 자동적으로 보조펌프(142)가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센스기구를 따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However, the
또한, 상기 주펌프(141)의 설치 위치가 상기 폭기조(140) 바닥에서 10cm 미만의 높이에 설치되면 철분 등이 함께 배출되어 여과 효율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폭기조(140) 바닥에서 50cm를 초과하는 높이에 설치하면 보조펌프의 작동이 잦아 주펌프와 보조펌프를 함께 사용하는 실익이 저하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도 5은 본 발명의 복층형 어류 양식 사육수용 여과 시스템(100)이 복수로 설치된 복층형 어류 양식 사육수용 여과 시스템(100)을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multi-layered fish cultured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층형 어류 양식 사육수용 여과 시스템(100)을 다수를 설치하여 여과효율을 높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5,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multi-layered fish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복층형 어류 양식 사육수용 여과 시스템(1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multi-layered fish farming
본 발명에 따른 복층형 어류 양식 사육수용 여과 시스템(100)은 어류 양식 사육수에 포함된 철분 등을 처리하여 상기 사육수를 재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사육수가 상기 상부가 개방되고 상하가 순차적으로 개방된 칸막이(130)가 설치된 제1 여과수조(110) 일측으로 유입되어 상기 칸막이(130)를 상하로 통과함으로써 상기 사육수에 포함되어 있는 철분 등이 하부로 가라앉게 되고, 상기 칸막이(130)를 반복적으로 상하로 순환 통과함으로써 철분 등이 다량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칸막이(130) 사이에는 여과재(150)가 포함되어 있어 상기 철분 등이 상기 여과제에 흡착되어 제거될 수 있다.Multi-layered fish culture
또한, 상기 처리수가 상기 제1 여과수조(110) 타측 바닥에 형성된 제1 배출구(111)를 통해 배출되고, 배출 시 공기와 맞닿은 상기 처리수에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배출된 처리수는 상부가 개방된 제2 여과수조(120)의 일측으로 유입되어, 상기 제1 여과수조(110)의 내부와 동일하게 칸막이(130) 및 여과재(150)가 설치된 제2 여과수조(120)의 내부를 상하 순환 통과함으로써 미처 여과되지 못한 철분 등이 제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eated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상기 유기물이 제거된 처리수는 상기 제2 여과수조(120) 타측 외벽 하부에 형성된 제2 배출구(121)를 통하여 배출되고, 상기 배출된 처리수는 유입배관(144)을 통해 폭기조(140)에 유입된다.The treated water from which the organic matter is removed is discharged through the
상기 폭기조(140)에 유입된 처리수는 폭기조(140)에 저장되면서 물보다 비중이 높은 철분 등이 재차 가라앉고, 상기 폭기조(140) 바닥에서 10~50cm의 높이를 갖는 지지대(143) 위에 설치된 주펌프(141)를 통해 철분 등이 제거된 상층의 처리수만이 배출배관(145)을 통해 사육수조로 재차 유입된다.The treated water introduced into the
따라서 본 발명은 순환펌프 없이도 상기 유입수를 자연 순환시킬 수 있어 에너지 절감효과가 우수하고, 여과 수조를 복층으로 구성함으로써 공간활용도 및 여과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폭기조에 주펌프 및 보조펌프를 높이 차를 두어 설치함으로써 센스기구의 설치 없이 자동적으로 펌프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게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naturally circulate the inflow water without a circulation pump, the energy saving effect is excellent, and by configuring the filtration tank in multiple layers, space utilization and filtra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and the main pump and the auxiliary pump in the aeration tank height difference By installing it,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adjust the operation of the pump without installing the sense mechanism.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Hereinafter, specific examp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실시예 1Example 1
도 1 내지 4와 같이 구성된 복층형 어류 양식 사육수용 여과 시스템을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A filtration system for a multi-layered fish farming stock constructed as shown in FIGS. 1 to 4 was prepared as follows.
PVC(영남 PVC 상공사)로 가로 2m, 세로 1m, 높이 0.85m, 벽 두께 10mm인 제1 여과수조 및 제2 여과수조를 제조하고, 상기 제1 여과수조 바닥 일측에 제1 배출구를 직경 100mm, 길이 400mm로 제조한다. 상기 제2 여과수조 타측 외벽 하부에 직경 100mm, 길이 400mm의 제2 배출구를 제조한다. 상기 제1 여과수조 및 제2 여과수조 내부에 두께 100mm, 높이 0.6m인 칸막이를 상부 및 하부가 순차적으로 개방되도록 4개를 50cm 간격으로 설치한 후, 상기 칸막이 사이에 여과매트(안성비단잉어)를 빈틈없이 채우고, 제1 여과수조 하부에 제2 여과수조를 위치시킨 후 사육수조에서 상기 제1 여과수조로 사육수가 유입되도록 유입배관을 연결하여 여과시스템을 제조한다.A first filter tank and a second filter tank having a width of 2 m, a length of 1 m, a height of 0.85 m, and a wall thickness of 10 mm are made of PVC (Youngnam PVC Co., Ltd.). It is manufactured to a length of 400 mm. A second outlet having a diameter of 100 mm and a length of 400 mm is prepared under the other outer wall of the second filtered water tank. Four partitions each having a thickness of 100 mm and a height of 0.6 m in the first and second filtration tanks are installed at intervals of 50 cm so as to sequentially ope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then, a filtration mat (stable silk carp) between the partitions. Filling the gap, and placing the second filtration tank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filtration tank to connect the inlet pipe so that breeding water flows from the breeding tank to the first filtration tank to manufacture a filtration system.
폭기조는 가로 2m, 세로 1m, 높이 1m, 벽 두께 10mm인 PVC(영남 PVC 상공사)로 제작한 후 내부에 가로 0.2m, 세로 0.2m, 높이 0.25m인 PVC(영남 PVC 상공사)지지대를 설치하고 그 위에 주펌프를 설치하고, 상기 폭기조 바닥에 보조펌프를 설치한다.The aeration tank is made of PVC (Youngnam PVC Sangho) with 2m width, 1m height, 1m height and 10mm wall thickness, and then installs a PVC supporter with 0.2m width, 0.2m height and 0.25m height inside. The main pump is installed on it, and an auxiliary pump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aeration tank.
상기 제2 여과수조에 형성된 제2 배출구에 유입배관을 연결하여 상기 폭기조로 처리수가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주펌프 및 보조펌프에 배출배관을 연결하여 폭기조를 포함하는 여과시스템을 제조한다.The inlet pipe is connected to the second outlet formed in the second filtered water tank so that the treated water flows into the aeration tank, and the discharge pipe is connected to the main pump and the auxiliary pump to manufacture a filtration system including the aeration tank.
실시예 2Example 2
상기 실시예 1에서 제1 여과수조 및 제2 여과수조 내부에 칸막이를 30cm 간격으로 6개 설치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여과시스템을 제조하였다.A filtration system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six partitions were installed at intervals of 30 cm in the first filtration tank and the second filtration tank.
실시예 3Example 3
상기 실시예 1에서 제1 여과수조 및 제2 여과수조 내부에 칸막이를 70cm 간격으로 2개 설치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여과시스템을 제조하였다.A filtration system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wo partitions were installed at intervals of 70 cm in the first filtration tank and the second filtration tank.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PVC(영남 PVC 상공사)로 가로 4m, 세로 1m, 높이 0.85m, 벽 두께 10mm인 여과수조를 제조하고, 상기 여과수조 타측 외벽 하부에 직경 직경 100mm, 길이 400mm의 배출구를 제조한다. 상기 여과수조 내부에 두께 100mm, 높이 0.6m인 칸막이를 상부 및 하부가 순차적으로 개방되도록 8개를 50cm 간격으로 설치한 후, 상기 칸막이 사이에 여과매트(안성비단잉어)를 빈틈없이 채운다.A filtered water tank having a width of 4 m, a length of 1 m, a height of 0.85 m, and a wall thickness of 10 mm is manufactured from PVC (Youngnam PVC Co., Ltd.), and an outlet having a diameter of 100 mm and a length of 400 mm is manufactured at the bottom of the outer wall of the filtered water tank. After the eight partitions are installed at intervals of 50 cm so th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artition having a thickness of 100 mm and a height of 0.6 m are sequentially opened in the filtered water tank, a filter mat (an eye silk carp) is filled between the partitions.
폭기조는 가로 2m, 세로 1m, 높이 1m, 벽 두께 10mm인 PVC(영남 PVC 상공사)로 제작한 후 내부에 가로 0.2m, 세로 0.2m, 높이 0.25m인 PVC(영남 PVC 상공사) 지지대를 설치하고 그 위에 주펌프를 설치하고, 상기 폭기조 바닥에 보조펌프를 설치한다.The aeration tank is made of PVC (Youngnam PVC Sangho) with 2m width, 1m height, 1m height and 10mm wall thickness, and then installs PVC (Youngnam PVC Sangup) support with 0.2m width, 0.2m height and 0.25m height inside. The main pump is installed on it, and an auxiliary pump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aeration tank.
상기 여과수조에 형성된 배출구에 유입배관을 연결하여 상기 폭기조로 처리수가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주펌프 및 보조펌프에 배출배관을 연결하여 여과시스템을 제조한다.The inlet pipe is connected to the outlet formed in the filtered water tank so that the treated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aeration tank, and the discharge pipe is connected to the main pump and the auxiliary pump to manufacture a filtration system.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상기 실시예 1에서 제1 여과수조 및 제2 여과수조 내부에 칸막이를 설치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여과시스템을 제조하였다.A filtration system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no partition was installed in the first filtration tank and the second filtration tank.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여과시스템의 여과 효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철분이 다량 함유된 유입수, 여과 수조를 거친 후 배출되는 처리수 및 주펌프에 연결된 배출배관에서 배출된 배출수의 철의 함량을 먹는 물 수질 공정 시험기준에 따라 측정하여 각각 하기 표 1에 나타내었고, 상기 여과수조를 거친 후 폭기조 바닥에서 수위가 25cm 되는 순간의 시간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In order to measure the filtration efficiency of the filtration system prepared in Examples 1 to 3, Comparative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2 in the inflow water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iron, the treated water discharged after the filtration tank and the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main pump The iron content of the discharged effluent was measured in accordance with the water quality process test standards, respectively, and is shown in Table 1 below, and af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ed water tank, the time at which the water level became 25 cm at the bottom of the aeration tank was measured and shown in Table 2 It was.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칸막이의 간격이 50cm인 복층형 여과시스템(실시예 1)의 경우 및 칸막이의 간격이 30cm인 복층형 여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칸막이의 간격이 50cm인 복층형 여과시스템(실시예 1)의 경우 및 칸막이의 간격이 30cm인 복층형 여과시스템(실시예 3)의 경우는 여과효율 1이 90% 및 95%로 여과 수조내에서 대부분의 철이 제거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칸막이의 간격이 50cm인 복층형 여과시스템(실시예 3)의 경우는 여과효율 1이 73%로 유입수의 상하 순환이 적어 여과효율이 저조함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Table 1 above, in the case of a multi-layer filtration system (Example 1) having a partition spacing of 50 cm, and a multi-layered filtration system having a partition spacing of 30 cm. Referring to Table 1 above, a multi-layer filtration system having a partition spacing of 50 cm (implementation) In the case of Example 1) and in the case of a multi-layer filtration system (Example 3) having a partition spacing of 30 cm, it can be seen that most of iron is removed from the filtration tank with a filtration efficiency of 1 at 90% and 95%. In the case of the 50 cm multilayer filtration system (Example 3), the filtration efficiency of 1 was 73%, indicating that the up and down circulation of the influent was low, resulting in poor filtration efficiency.
또한, 복층형이 아닌 직선형인 경우(비교예 1)에는 여과 수조의 처리 효율이 81%로 복층형이 경우(실시예 1)보다 약 9% 저조한 것을 알 수 있고, 칸막이가 없어 물이 순환되지 않는 경우(비교예 2)에는 여과 수조의 처리 효율이 42%로 매우 저조한 것을 알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straight type rather than the double layer type (Comparative Example 1), the treatment efficiency of the filtration tank was 81%, which was about 9% lower than that of the double layer type (Example 1). In Comparative Example 2, it was found that the treatment efficiency of the filtration tank was very low at 42%.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칸막이의 간격이 50cm인 복층형 여과시스템(실시예 1)의 경우, 여과 시간이 15.1분이나, 칸막이의 간격이 30cm인 복층형 여과시스템(실시예 2)의 경우에느 여과시간이 19.8분으로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어 여과 효율면에서 저조함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Table 2 above, in the case of a multilayer filtration system (Example 1) having a partition of 50 cm, the filtration time is 15.1 minutes, but in the case of a multilayer filtration system (Example 2) having a partition of 30 cm. It can be seen that the time is increased to 19.8 minutes, which is poor in terms of filtration efficiency.
또한, 직선형 여과시스템(비교예 1)은 여과 시간이 24.6분으로 여과 시간 매우 긴것을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linear filtration system (Comparative Example 1) has a very long filtration time with a filtration time of 24.6 minutes.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층형 어류 양식 사육수용 여과 시스템은 복층형으로 여과 수조가 구성됨으로써 공간 활용도 및 여과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순환펌프를 사용하지 않고 물의 상하순환을 통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ltration system for aquaculture fish culture breeding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space utilization and filtration time by forming a filtration tank in a multilayer structure, and can save energy through the vertical circulation of water without using a circulation pump. .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asily modif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발명의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claims below rather tha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scope and equivalent concept of the claims are t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100 : 여과시스템 141 : 주펌프
110 : 제1 여과수조 142 : 보조펌프
111 : 제1 배출구 143 : 지지대
120 : 제2 여과수조 144 : 유입배관
121 : 제2 배출구 145 : 배출배관
130 : 칸막이 150 : 여과재
140 : 폭기조 L : 여과수조 길이 100: filtration system 141: main pump
110: first filtration water tank 142: auxiliary pump
111: first outlet 143: support
120: second filtration water tank 144: inlet pipe
121: second outlet 145: discharge pipe
130: partition 150: filter medium
140: aeration tank L: filtered water tank length
Claims (6)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제1 여과수조에서 여과된 유입수가 일측으로 유입되고, 수조바닥을 둘러싼 외벽과 타측 외벽 하부에 제2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여과수조 하부에 위치한 제2 여과수조; 및
상기 제1 여과수조 및 상기 제2 여과수조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유입수가 상하로 통과되도록 설치된 하나 이상의 칸막이;
를 포함하는 복층형 어류 양식 사육수용 여과 시스템으로서,
상기 칸막이는 간격이 40~60cm이고,
상기 복층형 어류 양식 사육수용 여과 시스템은 상기 제2 여과수조에서 여과된 유입수가 유입되는 폭기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폭기조는 내부에 주펌프 및 보조펌프가 설치되고,
상기 주펌프는 상기 보조펌프보다 폭기조 바닥에서 10~50cm 위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형 어류 양식 사육수용 여과 시스템.A first filtration water tank having an upper portion opened to inflow water to one side, and having a first outlet at one side of the outer wall and the water tank bottom surrounding the tank bottom;
A second outlet formed in an upper part of the first infiltration water filtered from the first filtration tank to one side, and having a second outlet formed in the outer wall surrounding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and the other outer wall; And
At least one partition installed in the first filtration tank and the second filtration tank, and installed to allow the inflow water to pass up and down;
As a multi-layered fish farming filtration system comprising:
The partition is 40 ~ 60cm apart,
The multi-layered fish farming filtration system further includes an aeration tank into which the inflow water filtered from the second filtration tank is introduced,
The aeration tank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pump and the auxiliary pump,
The main pump is a multi-layered fish culture breeding water filtr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10 ~ 50cm above the bottom of the aeration tank than the auxiliary pump.
상기 제1 여과수조 및 제2 여과수조는 내부에 설치된 칸막이 사이에 여과재가 내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형 어류 양식 사육수용 여과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filtration tank and the second filtration tank is a multi-layered fish culture breeding water filtr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er material is interposed between the partitions installed therei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37728A KR102053706B1 (en) | 2019-04-01 | 2019-04-01 | Filtration system for breeding of double-layer fish form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37728A KR102053706B1 (en) | 2019-04-01 | 2019-04-01 | Filtration system for breeding of double-layer fish form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53706B1 true KR102053706B1 (en) | 2019-12-09 |
Family
ID=68837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37728A Active KR102053706B1 (en) | 2019-04-01 | 2019-04-01 | Filtration system for breeding of double-layer fish form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53706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104571A (en) * | 2021-04-12 | 2022-09-27 | 上海海圣生物实验设备有限公司 | Small-size aquatic thing is bred and uses filtration water tank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03371U (en) * | 2009-09-28 | 2011-04-05 | 고동섭 | Two-stage sump filtration tank with L-shaped partition member for improved water circulation |
KR20160009831A (en) * | 2014-07-17 | 2016-01-27 | 주식회사 이노기술 | Apparatus for treatment of the water having organic matter |
KR20160053139A (en) * | 2014-10-31 | 2016-05-13 | 한국기계연구원 | Compound aquafarm |
KR20180011533A (en) * | 2016-07-25 | 2018-02-02 | 주식회사 나인시스 | Aquaponics system for farming aquarium fishes |
-
2019
- 2019-04-01 KR KR1020190037728A patent/KR10205370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03371U (en) * | 2009-09-28 | 2011-04-05 | 고동섭 | Two-stage sump filtration tank with L-shaped partition member for improved water circulation |
KR20160009831A (en) * | 2014-07-17 | 2016-01-27 | 주식회사 이노기술 | Apparatus for treatment of the water having organic matter |
KR20160053139A (en) * | 2014-10-31 | 2016-05-13 | 한국기계연구원 | Compound aquafarm |
KR20180011533A (en) * | 2016-07-25 | 2018-02-02 | 주식회사 나인시스 | Aquaponics system for farming aquarium fishes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104571A (en) * | 2021-04-12 | 2022-09-27 | 上海海圣生物实验设备有限公司 | Small-size aquatic thing is bred and uses filtration water tank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82736B1 (en) |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 |
KR101247990B1 (en) | Biofiltering tank using microbial media with solid removal function | |
KR101315624B1 (en) | A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 |
KR102568440B1 (en) | Culturing apparatus for rearing shrimp having water circulation system | |
KR101444206B1 (en) | Multi -process system for aquaculture waste water with package type bio-filter | |
CN110467253B (en) | Potential energy biological sewage purifier | |
CN105052807B (en) | A kind of double-deck constant temperature circulating filtering fish jar | |
KR101156215B1 (en) | A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 |
KR101782735B1 (en) | The device for circulating and filtering of sea fish water tank for exhibition | |
CN105060476A (en) | V-shaped filter tank for deep denitrogenation | |
CN107998746A (en) | A kind of aquaculture original position filter method and device | |
KR101185811B1 (en) | Solid removal system by multi-whirl combined with degassing function | |
KR20220075694A (en) | Water treatment system of circulation filtration system that can save energy | |
KR102053706B1 (en) | Filtration system for breeding of double-layer fish forms | |
CN106342742A (en) | Temporary culture system of marine fish by using circulating water | |
CN210620371U (en) | Potential energy biological sewage purifier | |
KR101730409B1 (en) | Water treatment system for eel culture apparatus | |
CN102986579B (en) | Multiple-effect super-intensification circulating breeding device | |
KR20220099626A (en) | Culturing apparatus for rearing shrimp having water circulation system | |
CN205151894U (en) | Degree of depth denitrogenation V type filtering pond | |
KR20120108585A (en) | Purification system of seawater for cistern | |
KR20160042333A (en) | Clean water device for aquarium | |
CN204968994U (en) | Marine park circulating filter apparatus | |
KR20230125472A (en) | Circulation filtration type high-density aquaculture module including functional aquaculture tank | |
JP2002223665A (en) | Liquid circulator and rearing equipment for fish and shellfish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0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40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7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1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