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3026B1 - Blind apparatus for sliding door - Google Patents
Blind apparatus for sliding do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53026B1 KR102053026B1 KR1020170105050A KR20170105050A KR102053026B1 KR 102053026 B1 KR102053026 B1 KR 102053026B1 KR 1020170105050 A KR1020170105050 A KR 1020170105050A KR 20170105050 A KR20170105050 A KR 20170105050A KR 102053026 B1 KR102053026 B1 KR 1020530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ndow
- fixing
- sliding
- frame
- sliding do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95 ligh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슬라이딩 도어에 효과적으로 적용 가능한 슬라이딩 도어용 블라인드장치가 제공된다. 슬라이딩 도어용 블라인드장치는, 서로 평행한 두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개폐되는 제1창문과 제2창문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블라인드장치에 있어서, 제1창문에 결합되어 함께 이동하는 프레임,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권취봉, 권취봉에 권취되어 보관되거나 제1창문과 제2창문의 슬라이딩 이동방향을 따라 권출되어 제2창문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는 스크린부재, 권취봉 또는 프레임에 설치되어 스크린부재를 권취하는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 권취봉과 평행하게 스크린부재의 일단부에 설치되며 스크린부재를 폭방향으로 펼쳐 고정하는 고정바, 및 탄성부재의 복원력을 상쇄하는 저항력을 발생시켜 제2창문에 고정바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A blind device for a sliding door that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a sliding door is provided. The sliding device for a sliding door is a blind device for a sliding door to be fixed to the first window and the second window to be slidingly opened and closed along two rails parallel to each other, the frame is coupled to the first window to move together, Winding rods rotatably fixed to the frame, installed on the screen member, winding rod or frame wound around the winding rods or unrolled along the sliding movement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windows to shield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window. And an elastic member for generating a restoring force for winding the screen member, a fixed bar installed at one end of the screen member in parallel with the winding rod, and generating a fixed bar for unfolding and fixing the screen member in the width direction, and generating a resistance force to offset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 includes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fixing bar to the window.
Description
본 발명은 창문을 차폐하는 블라인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되는 슬라이딩 도어에 효과적으로 적용 가능한, 슬라이딩 도어용 블라인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ind apparatus for shielding a window, and more particularly, to a blind apparatus for a sliding door, which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a sliding door that is opened and closed in a sliding manner.
블라인드장치는 창가에 설치되어 창문을 차폐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블라인드장치는 창문의 개폐구조와는 별도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구조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창문을 차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스크린이나, 틸팅 가능한 슬래트 등을 이용하여 창문을 통해 입사되는 입사광의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블라인드장치로 입사광을 조절하여 은은한 채광효과를 연출하거나, 불필요한 외부 시선 등을 차단할 수 있다.The blind device is installed near the window and used to shield the window. The blind device has a structure that is separate from th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the window and can shield the window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structure. For example, the amount of incident light incident through the window may be adjusted using a screen having a length adjustable or a tiltable slat. By controlling the incident light with a blind device, it is possible to produce a soft light effect or to block unnecessary external eyes.
특히 스크린을 이용하는 블라인드장치는 스크린의 길이를 조절하여 원하는 만큼 채광하거나 외부 시선을 차단할 수 있다. 단일 스크린으로 이루어진 경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스크린이 중첩하여 형성된 경우에도 스크린을 봉에 감거나 풀어 펼쳐진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블라인드장치는 대개 구동줄을 당겨 봉을 회전시키도록 되어있다.In particular, the blind apparatus using the screen may adjust the length of the screen to light as desired or block external gaze. Even when a single screen is formed or when one or more screens are overlapped, the length of the screen can be adjusted by winding or unwinding the screen. Blind devices of this structure are usually designed to rotate the rod by pulling the drive line.
그러나 구동줄은 중력 때문에 하방으로 늘어지므로 이러한 블라인드장치는 구동줄이 아래로 내려오도록 창문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이 적절하다. 또한 스크린 역시 줄과 마찬가지로 하방으로 늘어지므로 창문의 상단에 블라인드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구동줄과 스크린을 포함하는 통상의 블라인드장치는 구조적 특성상 수직방향으로 설치방향이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However, because the drive line is stretched downward due to gravity, it is appropriate that such a blind device is installed at the top of the window so that the drive line is lowered down. In addition, the screen is also stretched downward like a string, it is preferable to install a blind device on the top of the window. That is, the conventional blind device including the drive line and the screen has a disadvantage that the installation direction is limi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따라서, 통상 블라인드장치의 설치위치나 적용대상 등이 불필요하게 제한되는 문제가 있었다. 창문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개폐되는 슬라이딩 방식의 도어가 널리 사용되고 있음에도, 블라인드장치는 도어의 개폐방향과는 상관없이 창의 상방에 설치하여 수직방향으로 개폐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불편하였다. 즉, 창의 개방 정도와 스크린의 차폐량 등을 서로 유기적으로 맞추어 조절하기 어렵고, 서로 적당한 간격을 두지 않는 경우 창문과 구동줄, 스크린이 서로 걸려 문제를 일으키기도 하였다. 또한, 창문과 스크린 사이의 간격이 불필요하게 커지는 경우 스크린이 쉽게 흔들려 블라인드장치의 안정성도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stallation position, the application target, and the like of the blind apparatus are usually limited unnecessarily. Although the sliding type door which is opened and closed by sliding the window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widely used, the blind device is inconvenient because it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installing above the window regardless of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of the door. That is,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opening degree of the window and the shielding amount of the screen to each other organically, and the window, the drive line, and the screen are stuck to each other when there is no proper distance from each other. In additio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window and the screen is unnecessarily larg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creen is easily shaken and the stability of the blind device is also reduced.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되는 슬라이딩 도어에 효과적으로 적용 가능한 슬라이딩 도어용 블라인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lind device for a sliding door that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a sliding door that is opened and closed in a sliding manner to solve this problem.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딩 도어용 블라인드장치는, 서로 평행한 두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개폐되는 제1창문과 제2창문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블라인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창문에 결합되어 함께 이동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권취봉; 상기 권취봉에 권취되어 보관되거나, 상기 제1창문과 상기 제2창문의 슬라이딩 이동방향을 따라 권출되어 상기 제2창문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는 스크린부재; 상기 권취봉 또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부재를 권취하는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 상기 권취봉과 평행하게 상기 스크린부재의 일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스크린부재를 폭방향으로 펼쳐 고정하는 고정바; 및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을 상쇄하는 저항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2창문에 상기 고정바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The sliding device for a sliding door bli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liding device for a sliding door used to be fixed to the first window and the second window that is opened by sliding along two rails parallel to each other, it is coupled to the first window Frames moving together; A winding rod rotatably fixed to the frame; A screen member wound around the winding rod or wound along the sliding movement direction of the first window and the second window to shield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window; An elastic member installed on the winding rod or the frame to generate a restoring force for winding the screen member; A fixing bar installed at one end of the screen member in parallel with the winding rod to expand and secure the screen member in a width direction; And a fixing member for generating a resistance force that cancels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to fix the fixing bar to the second window.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창문의 이동방향과 수직한 상기 제1창문의 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바는 상기 제1창문과 마주보는 상기 제2창문의 창이 형성된 면에 고정될 수 있다.The frame may be coupled to a side of the first window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window, and the fixing bar may be fixed to a surface on which the window of the second window facing the first window is formed.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2창문에 흡착 또는 점착되어 상기 고정바를 고정할 수 있다.The fixing member may be adsorbed or adhered to the second window to fix the fixing bar.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2창문과 상기 고정바 사이에 자기력을 발생시켜 고정할 수 있다.The fixing member may be fixed by generating a magnetic force between the second window and the fixing bar.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2창문에 상기 레일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1자력부재와, 상기 고정바에 설치되며 상기 제1자력부재와 자기력으로 결합하는 제2자력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member may include a first magnetic member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ail on the second window, and a second magnetic member installed on the fixing bar and coupled to the first magnetic member by magnetic force.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바를 상기 제2창문의 유리면에 고정할 수 있다.The fixing member may fix the fixing bar to the glass surface of the second window.
상기 제1창문과 상기 제2창문은 각각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기 스크린부재는 수평방향으로 권출되어 상기 제2창문을 차폐할 수 있다.The first window and the second window may each slide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creen member may be unwind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shield the second window.
상기 프레임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권취봉을 수용하며 일측에 상기 스크린부재가 출입하는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The frame may include a slit in which an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to accommodate the winding rod and the screen member enters and exits on one side.
상기 프레임은 일단부가 내측으로 만입되어 상기 고정바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One end of the frame is inden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may be formed to accommodate the fixing bar.
본 발명에 의하면, 블라인드장치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되는 도어에 보다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특히, 블라인드장치의 스크린 개폐방향과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방향을 일치시켜 창문과 스크린의 상호 유기적 조정이 가능하며, 구동줄 등의 불필요한 구조를 제거하여 블라인드장치의 설치위치나 적용대상도 크게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블라인드장치와 창문 사이의 불필요한 이격도 없애 보다 안정적으로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lind apparatus can be more effectively applied to the door that is opened and closed in a sliding manner.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mutually adjust the window and the screen by matching the opening / closing direction of the screen of the blind device with the opening / closing direction of the sliding door, and greatly expand the installation position or the application object of the blind device by removing unnecessary structures such as drive lines. hav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use the device more stably by eliminating unnecessary separation between the blind device and the wind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라이딩 도어용 블라인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블라인드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블라인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블라인드장치의 권취봉 내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블라인드장치의 작동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슬라이딩 도어용 블라인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블라인드장치의 작동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슬라이딩 도어용 블라인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슬라이딩 도어용 블라인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블라인드장치의 프레임 일부를 확대하여 다른 방향으로 도시한 확대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liding device for a sliding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blind apparatus of FIG. 1. FIG.
3 is a plan view of the blind apparatus of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winding rod of the blind device of FIG.
5 is an operation of the blind device of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blind device for a sliding do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operation of the blind device of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blind device for a sliding do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blind device for a sliding doo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frame of the blind apparatus of FIG. 9 in an enlarged direc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 embodiments are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라이딩 도어용 블라인드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나머지 실시예에 대해서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First, a blind device for a sliding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and based on this, the remaining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라이딩 도어용 블라인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블라인드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블라인드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블라인드장치의 권취봉 내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블라인드장치의 작동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lind device for a sliding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the blind device of Figure 1, Figure 3 is a plan view of the blind device of Figure 1, Figure 4 is a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winding rod of a blind apparatus, and FIG. 5 is an operation diagram of the blind apparatus of FIG.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라이딩 도어용 블라인드장치(1)는 서로 평행한 두 레일(2c)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개폐되는 제1창문(2a)과 제2창문(2b)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슬라이딩 이동하며 서로 중첩되는 창문구조에 블라인드장치를 직접 설치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슬라이딩 도어용 블라인드장치(1)는 특히 두 창문의 상호 위치에 따라 함께 움직이며 스크린의 길이가 자동 조절되는 구조로 형성된다.1 to 5, the
슬라이딩 도어용 블라인드장치(1)는 창문과 움직임이 동기화되므로 창문의 움직임을 제한하지 않으며, 창문 상호간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스크린이 자동 조절되므로 차폐량도 그에 따라 유기적으로 조정된다. 즉, 따로 스크린을 조절하지 않아도 두 창문의 배치, 창문의 개방 정도 등에 따라서 블라인드장치가 매우 알맞게 가동되어 채광량 등이 적절하게 조정된다. 특히 창문의 슬라이딩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스크린의 크기가 조절되므로 창의 배치에 대응하여 매우 적절한 위치 및 적절한 방향으로 차폐효과가 발휘된다.The blind device for sliding
이러한 슬라이딩 도어용 블라인드장치(1)는 권취봉(200)이 설치된 프레임(100)이 제1창문(2a)에 결합되고, 반대편의 고정바(400)가 고정부재(500)를 통해 제2창문(2b)에 고정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스크린부재(300)는 고정바(400)와 권취봉(200)의 사이에서 길이가 자동으로 변경된다. 특히 탄성체의 탄성력으로 권취봉(200)을 회전시켜 스크린부재(300)를 권취하므로 종래 구동줄과 같은 불필요한 구조는 배제된다. 또한, 고정부재(500)에 의해 스크린부재(300)의 단부도 보다 효과적으로 창문에 고정되므로, 종전과 같은 제약 없이 블라인드장치를 슬라이딩 구조에 결합할 수 있다. 이하, 각 도면을 참조하여 슬라이딩 도어용 블라인드장치(1)의 구체적인 구조와 특징 등에 대해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The
먼저 슬라이딩 도어용 블라인드장치(1)가 적용되는 도어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창문(2a)과 제2창문(2b)이 서로 평행한 두 레일(2c)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개폐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두 창문이 각각 레일(2c)을 따라 이동하며 서로 중첩되거나 서로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구조이다. 이때 제1창문(2a)과 제2창문(2b)은 서로 다른 두 창문을 구별하기 위해 다른 명칭으로 구분한 것일 뿐 그 밖의 특별한 의미는 없다 따라서 창문의 명칭에 의해 본 발명이 제약될 필요는 없다. 각각의 창문은 레일(2c)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창틀 및 창틀 내부에 위치하는 유리면을 포함할 수 있다.First, the structure of the door to which the sliding device
프레임(1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창문(2a)에 결합된다. 프레임(100)은 제1창문(2a)에 결합되어 제1창문(2a)과 함께 이동한다. 즉, 프레임(100)은 제1창문(2a)과 결합되어 움직임이 동기화된다. 프레임(100)은 제1창문(2a)의 이동방향과 수직한 제1창문(2a)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1창문(2a)은 레일(2c)을 따라 이동하므로 프레임(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2c)과 수직한 제1창문(2a)의 창틀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100)은 창문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 바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말단은 굴절되어 판 형상의 연장부(도 4의 100a참조)를 형성할 수 있다. 프레임(100)은 나사 등의 결합부재, 홈과 돌기, 접착제 등을 이용하는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제1창문(2a)과 결합될 수 있다.The
권취봉(200)은 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권취봉(2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권취봉(2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을 따라서 제1창문(2a)의 이동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권취봉(200)은 양 단부가 프레임(100)의 연장부(도 4의 100a참조)와 축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100)에 고정된 상태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권취봉(200)의 결합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The winding
스크린부재(300)는 권취봉(200)에 권취(wind)되어 보관되거나, 제1창문(2a)과 제2창문(2b)의 슬라이딩 이동방향을 따라 권출(unwind)된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창문(2b)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할 수 있다. 스크린부재(300)의 양 단부에는 권취봉(200)과 고정바(400)가 연결되어 있으며 권취봉(200)은 제1창문(2a)에 결합된 프레임(100)에 고정되고 고정바(400)는 제2창문(2b)에 고정된다. 따라서 권취봉(200)과 제2창문(2b)의 사이에 스크린부재(300)가 펼쳐져 개재된다. 제1창문(2a)과 제2창문(2b)의 위치가 변동되면 권취봉(200)과 고정바(400)의 거리가 바뀌고 스크린부재(300)의 길이도 자동으로 변경되어 차폐량이 조절된다. 스크린부재(300)는 직물 등 권취봉(200)에 권취 가능하고 차광이 가능한 여러 가지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탄성부재(도 4의 230참조)는 스크린부재(300)를 권취하는 복원력을 발생시킨다. 탄성부재(230)는 권취봉(200) 또는 프레임(100)에 설치되며 권취봉(200)의 회전에 따라 압축 및 이완된다. 이에 따라 탄성부재(230)는 권취봉(200)에 스크린부재(300)를 권취하는 방향의 회전력을 부여한다. 즉, 탄성부재(230)는 스크린부재(300)의 길이에 따라서 변형되며 스크린부재(300)를 권취하는 복원력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탄성부재(230)의 복원력에 의해 스크린부재(300)의 길이가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탄성부재(230)를 포함하는 권취봉(200)의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The elastic member (see 230 of FIG. 4) generates a restoring force to wind the
탄성부재(2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봉(20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부재(230)는 권취봉(200)에 설치되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100)에 설치될 수도 있다. 탄성부재(230)는 권취봉(200)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배치 가능하다. 권취봉(200)은 프레임(100) 양단의 연장부(100a)에 축으로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연장부(100a)에 연결된 제1회전축(210)과 제2회전축(220)을 권취봉(200) 양 단에 삽입하여 권취봉(200)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탄성부재(230)는 이러한 회전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230)는 제1회전축(210)에 연결될 수 있다.The
탄성부재(230)는 비틀림 탄성을 갖는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전축(210)의 외주면에 감긴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230)의 일단부는 제1회전축(210)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제1회전축(210)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회전블록(211)과 결합될 수 있다. 회전블록(211)은 다시 권취봉(200)에 형성된 주행가이드(201)에 결합되어 권취봉(20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즉, 권취봉(200)의 회전이 회전블록(211)을 통해 탄성부재(230)에 전달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탄성부재(230)가 권취봉(200)의 회전에 따라 비틀려 압축되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부재(300)가 창문의 이동방향으로 신장되어 펼쳐지는 경우 탄성부재(230)가 압축되며 탄성에너지가 저장된다. 따라서 그에 따라 스크린부재(300)를 권취하는 반대 방향으로 대응하는 복원력이 발생하게 된다.The
즉, 스크린부재(300)가 권출되며 탄성부재(230)에 탄성에너지가 저장되고 탄성에너지에 의한 복원력으로 스크린부재(300)가 자동으로 권취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4의 반대방향으로 스크린부재(300)의 길이가 수축되는 경우에는 복원력에 의해서 스크린부재(300)가 보다 손쉽게 자동으로 권취된다. 이때 탄성부재(230)는 다시 이완되며 원래의 평형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230)를 이용하여 종래 구동줄과 같은 구조를 배제하고 간결하고 효과적인 구동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탄성부재(230)는 스크린부재(300)가 완전히 권취봉(200)에 감겼을 때 평형상태를 유지하고 스크린부재(300)가 펼쳐지면 압축되며 변위가 발생하도록 초기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탄성부재(230)의 탄성력은 스크린부재(300)의 중량이나 창문과 레일(2c)과의 마찰 등 저항성분을 고려하여 적절한 크기로 조정할 수 있다. That is, the
그 밖에 제1회전축(210)의 외면에는 회전링(212)을 형성하여 권취봉(20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제2회전축(220)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주행가이드(201)를 권취봉(200)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돌출시켜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회전블록(211)과 요철 결합 등의 방식으로 결합하여 회전블록(211)이 회전하며 주행가이드(201)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탄성부재(230)가 압축 또는 신장되어 길이가 변동되더라도 문제 없이 장치가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한편,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부재(300)의 일단부에 스크린부재(300)를 폭방향으로 펼쳐 고정하는 고정바(400)가 형성된다. 고정바(400)가 형성된 단부는 권취봉(200)이 형성된 단부의 반대편 단부이다. 고정바(400)는 스크린부재(300)의 말단에 결합되어 자신의 길이방향으로 스크린부재(300)를 펼쳐 고정할 수 있다. 고정바(400)는 자신을 형상을 유지 가능한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무게를 줄이기 위해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크린부재(300)를 펼쳐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재질과 형태로 고정바(400)를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은 제1창문(2a)의 이동방향과 수직한 제1창문(2a)의 측면에 결합되고, 고정바(4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창문(2a)과 마주보는 제2창문(2b)의 창이 형성된 면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바(400)는 고정부재(500)에 의해 제2창문(2b)에 고정된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S. 1 to 4, a fixing
고정부재(500)는 탄성부재(230)의 복원력을 상쇄하는 저항력을 발생시켜 제2창문(2b)에 고정바(400)를 고정한다. 따라서 탄성부재(230)가 탄성력을 가하고 있더라도 고정바(400)는 고정부재(500)에 의해 제2창문(2b)에 고정되어 스크린부재(300)를 펼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특히, 고정부재(500)는 여러 가지 다양한 방식으로 저항력을 생성하여 고정부재(500)를 고정할 수 있다. 고정부재(500)는 제2창문(2b)에 흡착 또는 점착되어 고정바(400)를 고정할 수 있다. 이때 흡착된다는 것은 흡착판 등을 이용하여 부압을 형성하고 외부와의 압력차이에 의해 제2창문(2b)에 고정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점착된다는 것은 접착 또는 점착성을 갖는 물질의 부착력에 의해 제2창문(2b)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것을 말한다.The fixing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고정부재(500)를 형성하고 제2창문(2b)을 향하는 면에 흡착면 또는 점착면을 형성하여 고정할 수 있다. 흡착면은 압축되어 기체를 배출하고 부압을 형성할 수 있는 오목한 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점착면은 점착물질 등이 표면에 도포된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고정부재(500)를 하나 또는 하나 이상 형성하여 고정바(40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xing
고정부재(500)는 고정바(400)를 제2창문(2b)의 유리면에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압을 이용한 흡착방식으로 고정바(400)를 유리면에 보다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유리면은 제2창문(2b)의 창틀의 제외한 나머지 전체를 이루므로 유리면을 이용하여 고정바(400)를 제2창문(2b)의 다양한 위치에 보다 용이하게 부착하여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고정부재(500)의 형성방식이나 구조에 따라 고정바(400)는 제2창문(2b)의 유리면이 아닌 부분에 고정될 수도 있다. 고정부재(500)는 전술한 흡착 또는 점착 방식으로 고정바(400)를 제2창문(2b)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유리면에 고정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돌기나 홈 등의 체결구조를 형성하는 등의 방식으로 고정바(400)를 제2창문(2b)의 창틀 등에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fixing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슬라이딩 도어용 블라인드장치(1)는 슬라이딩 도어에 매우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1창문(2a)에 프레임(100)을 결합하고, 제2창문(2b)에 고정바(400)를 고정하여 두 창문 사이에 슬라이딩 도어용 블라인드장치(1)를 설치할 수 있다. 제1창문(2a)과 제2창문(2b)은 도 5의 (a) 및 (b)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스크린부재(300)는 그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권출(unwind)되어 제2창문(2b)을 차폐할 수 있다. 제1창문(2a)과 제2창문(2b)의 슬라이딩 위치에 따라서 프레임(100)에 연결된 권취봉(200)과 고정바(400)의 간격도 변화되므로, 스크린부재(300)는 자동으로 길이가 조절되며 제2창문(2b)의 차폐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Due to this structure, the sliding device
제1창문(2a)과 제2창문(2b)의 중첩된 정도가 변화하면 스크린부재(300)의 길이도 탄성부재(도 4의 230참조)의 복원력에 의해 자동 조정되므로, 창문의 움직임에 따라 매우 유기적인 조정이 가능하다. 또한, 스크린부재(300)가 고정바(400)와 프레임(100)에 의해 두 창문과 밀착되어 있는바 창과의 유격이 줄어들어 장치의 안정성도 향상된다. 또한, 제1창문(2a)과 제2창문(2b)이 슬라이딩되어 위치가 교환되더라도, 착탈이 가능한 고정바(400)가 제2창문(2b)에서 자연스럽게 이탈되므로 문제 없이 창문을 조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딩 도어용 블라인드장치(1)로 슬라이딩 구조의 창문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When the overlapping degree of the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슬라이딩 도어용 블라인드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나는 부분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그 밖에 별도로 언급되지 않은 부분에 대한 설명은 모두 전술한 설명으로 대신한다.Hereinafter, a blind device for a sliding do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Hereinafter, description will be focused on parts that differ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descriptions of parts not otherwise mentioned will be replaced by the above descrip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슬라이딩 도어용 블라인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블라인드장치의 작동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a blind device for a sliding do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operation of the blind device of FIG.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슬라이딩 도어용 블라인드장치(1-1)는 고정부재(500-1)가 제2창문(2b)과 고정바(400) 사이에 자기력을 발생시켜 고정바(400)를 고정한다. 이에 따라 고정부재(500-1)는 자력을 교환할 수 있는 형태로 변형된다. 고정부재(500-1)는 제2창문(2b)에 레일(2c)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1자력부재(510)와, 고정바(400)에 설치되며 제1자력부재(510)와 자기력으로 결합하는 제2자력부재(5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호간에 자력의 교환이 가능한 구조를 제2창문(2b)과 고정바(400)에 각각 나누어 배치하고 자력을 이용하여 고정바(400)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6 and 7, in the blind apparatus 1-1 for the sliding do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xing member 500-1 is disposed between the
제1자력부재(510)는 창문이 슬라이딩 이동하는 레일(2c)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자력부재(510)는 얇은 판상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창틀과 유리면 사이의 단차가 발생하는 부분에 컴팩트하게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창문이 슬라이딩하더라도 다른 창문이나 블라인드장치와는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그 밖에도 창틀의 일부에 홈을 형성하여 삽입하는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제1자력부재(510)를 형성할 수 있다. 제1자력부재(510)는 박판이나, 가는 바의 형태 등으로 주변의 이동구조를 방해하지 않도록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며 금속이나 자석을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제2자력부재(520)는 고정바(400)에 설치된다. 제2자력부재(520) 역시 금속이나 자석을 재료로 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자력부재(510)가 금속으로 형성된 경우는 제2자력부재(520)를 자석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제1자력부재(510)가 자석으로 형성된 경우는 제2자력부재(520)를 금속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자력부재(520)를 자석으로 형성하되, 제1자력부재(510)에 제2자력부재(520)와 극성을 바꾸어 배치한 자석을 복수 개 배열하여 자기력을 강화시킬 수도 있다. 제2자력부재(520)는 고정바(400)의 양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이와 같이 제1자력부재(510)와 제2자력부재(520)를 포함하는 구조를 이용하여 도 7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위치에 고정바(400)를 고정할 수 있다. 특히 제1자력부재(510)는 창문 또는 스크린부재(30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 스크린부재(300)의 펼쳐진 길이에 따라 다양한 지점에서 제2자력부재(520)와 자력을 교환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자력부재(520)가 설치된 고정바(400)를 자력을 이용하여 제2창문(2b)에 매우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제1자력부재(5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창문(2b)의 서로 다른 측에 쌍으로 평행하게 배치하여 고정바(400)의 양 단부에 설치된 제2자력부재(520)와 쌍으로 자력을 교환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기력을 강화하여 고정바(400)를 보다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As such, the fixing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슬라이딩 도어용 블라인드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나는 부분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그 밖에 별도로 언급되지 않은 부분에 대한 설명은 모두 전술한 설명으로 대신한다.Hereinafter, the blind device for a sliding do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8. Hereinafter, description will be focused on parts that differ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descriptions of parts not otherwise mentioned will be replaced by the above descrip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슬라이딩 도어용 블라인드장치의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of a blind device for a sliding do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슬라이딩 도어용 블라인드장치(1-2)는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복수 개의 블라인드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프레임(100), 권취봉(200), 스크린부재(300), 고정바(400), 및 고정부재(500)를 각각 포함하는 블라인드 모듈을 복수 개 형성하고 이를 조합하여 하나의 창에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 모듈의 프레임(100), 권취봉(200), 스크린부재(300), 고정바(400), 및 고정부재(500)의 길이나 형상, 폭 등은 서로 동일하게, 또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모듈은 서로 독립하여 작동시킬 수 있는바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모듈의 스크린부재(300)를 서로 다른 길이로 연장하여 하나의 창을 보다 세밀하게 구획하고 원하는 차폐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blind apparatus 1-2 for the sliding do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blind modules operatin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That is, a plurality of blind modules each including a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슬라이딩 도어용 블라인드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나는 부분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그 밖에 별도로 언급되지 않은 부분에 대한 설명은 모두 전술한 설명으로 대신한다.Hereinafter, a blind device for a sliding doo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Hereinafter, description will be focused on parts that differ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descriptions of parts not otherwise mentioned will be replaced by the above description.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슬라이딩 도어용 블라인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블라인드장치의 프레임 일부를 확대하여 다른 방향으로 도시한 확대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of a blind device for a sliding doo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frame of the blind device of Figure 9 in an enlarged direction.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슬라이딩 도어용 블라인드장치(1-3)는 프레임(100-1) 내부에 권취봉(도 10의 200참조)이 완전히 수용된 구조로 형성된다. 프레임(100-1)은 내부에 수용공간(도 10의 101참조)이 형성되어 권취봉(200)을 수용하며 일 측에는 스크린부재(300)가 출입하는 슬릿(도 10의 102참조)이 형성된다. 따라서 슬릿(101)을 통해 스크린부재(300)를 권취하거나 권출할 수 있다. 프레임(100-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박스 형태로 컴팩트하게 형성하여 창문과의 일체감이 느껴지도록 할 수 있다.9 and 10, the blind device for a sliding door (1-3)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in which the winding rod (see 200 of FIG. 10) is completely accommodated in the frame (100-1) Is formed. Frame 100-1 has a receiving space (refer to 101 of FIG. 10) is formed therein to accommodate the take-up
특히 프레임(100-1)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내측으로 만입되어 고정바(400-1)를 수용하는 수용홈(100b)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홈(100b)과 고정바(400-1)는 도 10의 (a), (b)에 도시된 것처럼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바(400-1)가 수용홈(100b)에 삽입되면 도 10의 (a)와 같이 수용홈(100b)을 완전히 밀폐할 수 있다. 또한, 슬릿(10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100b)의 내측면에 배치하여 고정바(400-1)가 수용홈(100b)에 삽입되면 슬릿(101) 역시 완전히 밀폐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고정바(400-1)의 외면은 프레임(100-1)의 외면과 일치시켜 연속된 면으로 가공함으로써 고정바(400-1) 역시 프레임(100-1)의 일부와 같은 일체감을 주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블라인드장치를 보다 간결하고 컴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10, one end of the frame 100-1 may be indented to form an
이러한 구조의 슬라이딩 도어용 블라인드장치(1-3)는 도시된 것처럼 창문과 일체화되어 매우 간결하고 깨끗한 느낌을 줄 수 있다. 또한, 프레임(100-1)의 외형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여러 가지 심미적 효과를 줄 수도 있다. 프레임(100-1)은 박스 형상 외에도 내부에 수용공간(도 10의 101참조)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프레임(100-1) 외면을 다양한 방식으로 가공하거나 변형하여 창문의 형상이나 색상, 주변구조 등과 보다 잘 어울리는 다양한 형태의 슬라이딩 도어용 블라인드장치(1-3)를 형성할 수 있다.The blind device (1-3) for the sliding door of this structure can be integrated with the window as shown to give a very concise and clean feeling. In addition, the appearance of the frame 100-1 may be variously modified to give various aesthetic effects. The frame 100-1 may be deformed into various shapes including an accommodation space (see 101 in FIG. 10) in addition to the box shape.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100-1 may be processed or deformed in various ways to form a blind device for a sliding door 1-3 having various shapes that better match the shape, color, and surrounding structure of the window.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I can understand that.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 1-1, 1-2, 1-3: 슬라이딩 도어용 블라인드장치
2a: 제1창문 2b: 제2창문
2c: 레일 100, 100-1: 프레임
100a: 연장부 101: 수용공간
100b: 수용홈 102: 슬릿
200: 권취봉 201: 주행가이드
210: 제1회전축 211: 회전블록
212: 회전링 220: 제2회전축
230: 탄성부재 300: 스크린부재
400, 400-1: 고정바 500, 500-1: 고정부재
510: 제1자력부재 520: 제2자력부재1, 1-1, 1-2, 1-3: blind device for sliding door
2a:
2c:
100a: extension 101: accommodation space
100b: receiving groove 102: slit
200: winding rod 201: driving guide
210: first rotating shaft 211: rotation block
212: rotary ring 220: second rotating shaft
230: elastic member 300: screen member
400, 400-1: Fixing
510: first magnetic member 520: second magnetic member
Claims (9)
상기 제1창문에 결합되어 함께 이동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권취봉;
상기 권취봉에 권취되어 보관되거나, 상기 제1창문과 상기 제2창문의 슬라이딩 이동방향을 따라 권출되어 상기 제2창문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는 스크린부재;
상기 권취봉 또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부재를 권취하는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
상기 권취봉과 평행하게 상기 스크린부재의 일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스크린부재를 폭방향으로 펼쳐 고정하는 고정바; 및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을 상쇄하는 저항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2창문에 상기 고정바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창문의 이동방향과 수직한 상기 제1창문의 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바는 상기 제1창문과 마주보는 상기 제2창문의 창이 형성된 면에 고정되며,
상기 제1창문과 상기 제2창문은 각각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기 스크린부재는 수평방향으로 권출되어 상기 제2 창문을 차폐하되,
상기 제1창문과 상기 제2창문이 슬라이딩 이동하여 중첩된 정도가 변화하면,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스크린부재의 길이가 자동으로 조정되는 슬라이딩 도어용 블라인드장치.In the blind device for a sliding door to be fixed to the first window and the second window that is sliding and moving along two rails parallel to each other,
A frame coupled to the first window and moving together;
A winding rod rotatably fixed to the frame;
A screen member wound around the winding rod or wound along the sliding movement direction of the first window and the second window to shield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window;
An elastic member installed on the winding rod or the frame to generate a restoring force for winding the screen member;
A fixing bar installed at one end of the screen member in parallel with the winding rod to expand and secure the screen member in a width direction; And
It includes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fixing bar to the second window by generating a resistance to cancel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The frame is coupled to the side of the first window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first window, the fixing bar is fixed to the surface formed with the window of the second window facing the first window,
The first window and the second window are each sli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screen member is unwin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shield the second window,
When the first window and the second window is slidingly moved and overlapping degree is changed, the blind device for a sliding door that the length of the screen member is automatically adjust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2창문에 흡착 또는 점착되어 상기 고정바를 고정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블라인드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fixing member is sucked or adhered to the second window blind device for sliding the fixed bar.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2창문과 상기 고정바 사이에 자기력을 발생시켜 고정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블라인드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fixing member is a sliding device for a sliding door for generating and fixing a magnetic force between the second window and the fixing bar.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2창문에 상기 레일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1자력부재와, 상기 고정바에 설치되며 상기 제1자력부재와 자기력으로 결합하는 제2자력부재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블라인드장치.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xing member includes a first magnetic member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ail on the second window, and a second magnetic member installed on the fixing bar and coupled to the first magnetic member by magnetic force. Blind device.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바를 상기 제2창문의 유리면에 고정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블라인드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fixing member is a sliding device for a sliding door for fixing the fixing bar to the glass surface of the second window.
상기 프레임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권취봉을 수용하며 일 측에 상기 스크린부재가 출입하는 슬릿이 형성된 슬라이딩 도어용 블라인드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frame is a blind device for a sliding door formed with a slit formed in the receiving space therein to accommodate the take-up rod and the screen member to enter and exit on one side.
상기 프레임은 일단부가 내측으로 만입되어 상기 고정바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된 슬라이딩 도어용 블라인드장치.The method of claim 8,
One end of the frame is indented inward sliding device for sliding door formed with a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the fixed ba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5050A KR102053026B1 (en) | 2017-08-18 | 2017-08-18 | Blind apparatus for sliding do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5050A KR102053026B1 (en) | 2017-08-18 | 2017-08-18 | Blind apparatus for sliding do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19742A KR20190019742A (en) | 2019-02-27 |
KR102053026B1 true KR102053026B1 (en) | 2019-12-09 |
Family
ID=65560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05050A Active KR102053026B1 (en) | 2017-08-18 | 2017-08-18 | Blind apparatus for sliding do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53026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02061U (en) * | 2021-02-16 | 2022-08-23 | 박종현 | A louver system for Window with adjustable width to fit the window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51169B1 (en) * | 2023-02-09 | 2023-07-05 | 미르이엔티 주식회사 | Automatic door having a shading curtai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98819Y1 (en) | 2005-07-19 | 2005-10-18 | 노원철 | Weave for insect resistance |
KR200430949Y1 (en) * | 2006-08-25 | 2006-11-14 | 이성운 | Automotive sunshade |
KR101282736B1 (en) * | 2013-04-15 | 2013-07-05 | 김태경 | Mounting structure of a net apparatus with automatic cleaning function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78759B1 (en) * | 1995-10-26 | 1999-04-01 | 남창완 | Sliding sash window with a curtain and fly screen device |
KR20010096441A (en) * | 2000-03-31 | 2001-11-07 | 이상철 | Windows and doors system having guarding insect and sunshading function multiple thereof |
KR200457717Y1 (en) * | 2008-12-24 | 2012-01-03 | (주)인익스 | Roll Screen Device |
KR20100079432A (en) * | 2008-12-31 | 2010-07-08 | 정수영 | Net windows in window frame |
KR200480955Y1 (en) | 2015-03-09 | 2016-07-29 | 문제선 | Roll blind |
-
2017
- 2017-08-18 KR KR1020170105050A patent/KR10205302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98819Y1 (en) | 2005-07-19 | 2005-10-18 | 노원철 | Weave for insect resistance |
KR200430949Y1 (en) * | 2006-08-25 | 2006-11-14 | 이성운 | Automotive sunshade |
KR101282736B1 (en) * | 2013-04-15 | 2013-07-05 | 김태경 | Mounting structure of a net apparatus with automatic cleaning functio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02061U (en) * | 2021-02-16 | 2022-08-23 | 박종현 | A louver system for Window with adjustable width to fit the window |
KR200498178Y1 (en) * | 2021-02-16 | 2024-07-19 | 박종현 | A louver system for Window with adjustable width to fit the window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19742A (en) | 2019-02-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163685U (en) | Blind system | |
EP2773831B1 (en) | Movable mosquito screen, particularly for windows, doors and the like | |
KR101851044B1 (en) | roll screen device | |
TW201500634A (en) | Roller shutter | |
RU2005101089A (en) | SIMPLIFIED DEVICE FOR MAGNETIC CONTROL OF CURTAINS POSITIONED INSIDE THE CAMERA GLASS | |
CN107075903A (en) | The extensible screen system that can be transformed | |
KR102053026B1 (en) | Blind apparatus for sliding door | |
CN105569540A (en) | Cordless curtain and its spring drive system | |
KR101492050B1 (en) | Apparatus for a blind | |
US20160130867A1 (en) | Window Shade Allowing Adjustment of the Amount of Incoming Light in Different Sections | |
KR101903109B1 (en) | Sliding windows and door | |
JP4956198B2 (en) | Screen device | |
KR200485829Y1 (en) | Blind frame | |
KR102757547B1 (en) |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feature having a bottom rail leveling mechanism | |
JP6530879B2 (en) | Shielding device | |
JP4411198B2 (en) | Screen device | |
JP6665008B2 (en) | Screen device | |
KR20220074213A (en) | Fabric tension device | |
JP6468930B2 (en) | Guide rail and guide rail installation method | |
KR100822176B1 (en) | Blind installation structure in double windows | |
JP6306406B2 (en) | Height adjustment device and horizontal blind | |
KR20130140292A (en) | Door having a window | |
KR20150000322A (en) | Sealing type blind device | |
KR102433109B1 (en) | Blind opening system | |
KR102310686B1 (en) | Winding rod positioning device for blind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5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2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12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