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2725B1 - 이미지 스티칭 기법을 이용한 차량 내부의 vr 이미지 생성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미지 스티칭 기법을 이용한 차량 내부의 vr 이미지 생성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52725B1 KR102052725B1 KR1020190035186A KR20190035186A KR102052725B1 KR 102052725 B1 KR102052725 B1 KR 102052725B1 KR 1020190035186 A KR1020190035186 A KR 1020190035186A KR 20190035186 A KR20190035186 A KR 20190035186A KR 102052725 B1 KR102052725 B1 KR 1020527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corrected
- area
- stitching
- reg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3702 image corr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1017 oper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7781 pre-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240 magnesium diglutam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190 augment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91 image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09 image seg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3 sens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08 shea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77—Retouching; Inpainting; Scratch removal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06T3/4038—Image mosaicing, e.g. composing plane images from plane sub-imag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 G06T3/0018—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04—Context-preserving transformations, e.g. by using an importance map
- G06T3/047—Fisheye or wide-angle transform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 G06T5/001—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5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two or more images, e.g. averaging or subtrac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90—Determination of colour characteristic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04—Still image; Photographic imag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24—Color imag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248—Vehicle exterior or interior
- G06T2207/30268—Vehicle interi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단말의 이미지 스티칭(stitching) 동작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단말의 이미지 보정 동작 수행 결과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제1 이미지, 제2이미지 및 스티칭된 이미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단말의 이미지 스티칭 동작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실내에서의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 촬영 결과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실내에서의 제1 이미지, 제2 이미지 및 제3 이미지 촬영 결과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는 제1 이미지, 제2이미지, 제3 이미지 및 스티칭된 이미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Claims (14)
- 차량 내부의 VR(virtual reality)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이미지 스티칭(stitching)을 수행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으로서,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이미지들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의 해상도, 프레임 레이트 및 휘도를 보정하여 보정된 제1 이미지 및 보정된 제2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1 이미지 보정 단계;
상기 보정된 제1 이미지 중 복수개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영역인 스티칭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스티칭 영역에 포함된 상기 복수개의 픽셀들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스티칭 영역에 포함된 상기 복수개의 픽셀들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보정된 제2 이미지 중에서 상기 스티칭 영역에 상응하는 영역을 탐색하는 단계;
상기 스티칭 영역에 포함된 픽셀 정보 및 상기 상응하는 영역에 포함된 픽셀 정보 간의 오차를 기초로 상기 제2 이미지를 보정하여 2차 보정된 제2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2 이미지 보정 단계; 및
상기 보정된 제1 이미지의 스티칭 영역에 상기 2차 보정된 제2 이미지의 상기 상응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스티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미지 보정 단계는,
각각의 이미지의 중심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의 중심 영역과 상기 중심 영역을 제외한 주변 영역의 해상도 및 프레임 레이트를 상이하게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
상기 복수개의 이미지들은,
어안 렌즈로 촬영된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
상기 보정된 제2 이미지 중에서 상기 스티칭 영역에 상응하는 영역을 탐색하는 단계는,
상기 보정된 제2 이미지 중 상기 스티칭 영역에 포함된 픽셀의 색상 정보와 일치하는 픽셀의 비율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영역을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
상기 보정된 제2 이미지 중에서 상기 스티칭 영역에 상응하는 영역을 탐색하는 단계는,
상기 보정된 제2 이미지 중 상기 보정된 제1 이미지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포함된 픽셀의 색상 정보와의 오차율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지 않는 영역을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 청구항 4에 있어,
상기 제2 이미지 보정 단계는,
상기 보정된 제1 이미지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포함된 픽셀들 각각의 색상 정보와 상기 보정된 제2 이미지의 중첩할 영역에 포함된 픽셀들 각각의 색상 정보의 오차율의 평균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오차율의 평균 값을 기초로 상기 보정된 제2 이미지의 색상을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
상기 보정된 제2 이미지 중에서 상기 스티칭 영역에 상응하는 영역을 탐색하는 단계에서, 상기 상응하는 영역을 탐색하지 못한 경우,
제 3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3 이미지를 기초로 보정된 제3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보정된 제1 이미지의 미리 설정된 영역의 픽셀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보정된 제3 이미지 중에서 상기 스티칭 영역에 상응하는 영역을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된 제1 이미지에 상기 보정된 제3 이미지의 상기 상응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스티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 청구항 6에 있어,
상기 제3 이미지는 상기 제1 이미지를 촬영한 카메라의 위치와 상기 제2 이미지를 촬영한 카메라의 위치 사이에서 촬영한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 차량 내부의 VR(virtual reality)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이미지 스티칭(stitching)을 수행하는 단말에 있어,
프로세서(processor);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된 메모리(memory);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이미지들을 획득하고,
상기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의 해상도, 프레임 레이트 및 휘도를 보정하여 보정된 제1 이미지 및 보정된 제2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1 이미지 보정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보정된 제1 이미지 중 복수개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영역인 스티칭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스티칭 영역에 포함된 상기 복수개의 픽셀들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스티칭 영역에 포함된 상기 복수개의 픽셀들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보정된 제2 이미지 중에서 상기 스티칭 영역에 상응하는 영역을 탐색하고,
상기 스티칭 영역에 포함된 픽셀 정보 및 상기 상응하는 영역에 포함된 픽셀 정보 간의 오차를 기초로 상기 제2 이미지를 보정하여 2차 보정된 제2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2 이미지 보정 동작을 수행하고, 그리고
상기 보정된 제1 이미지에 상기 2차 보정된 제2 이미지의 상기 상응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스티칭하도록 실행되고,
상기 제1 이미지 보정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
각각의 이미지의 중심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의 중심 영역과 상기 중심 영역을 제외한 주변 영역의 해상도 및 프레임 레이트를 상이하게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 청구항 8에 있어,
상기 복수개의 이미지들은,
어안 렌즈로 촬영된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보정된 제2 이미지 중 상기 스티칭 영역에 포함된 픽셀의 색상 정보와 일치하는 픽셀의 비율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영역을 탐색하도록 실행되는 단말.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보정된 제2 이미지 중 상기 보정된 제1 이미지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포함된 픽셀의 색상 정보와의 오차율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지 않는 영역을 탐색하도록 실행되는 단말.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제1 이미지 보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실행된 이후,
상기 보정된 제1 이미지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포함된 픽셀들 각각의 색상 정보와 상기 보정된 제2 이미지의 중첩할 영역에 포함된 픽셀들 각각의 색상 정보의 오차율의 평균을 산출하고, 그리고,
상기 오차율을 기초로 상기 보정된 제2 이미지의 색상을 보정하도록 더 실행되는 단말.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보정된 제2 이미지 중에서 상기 스티칭 영역에 상기 상응하는 영역을 탐색하지 못한 경우,
제 3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제3 이미지를 기초로 보정된 제3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보정된 제1 이미지의 미리 설정된 영역의 픽셀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보정된 제3 이미지 중에서 상기 스티칭 영역에 상응하는 영역을 탐색하고, 그리고
상기 보정된 제1 이미지에 상기 보정된 제3 이미지의 상기 상응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스티칭하도록 더 실행되는 단말.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3 이미지는 상기 제1 이미지를 촬영한 카메라의 위치와 상기 제2 이미지를 촬영한 카메라의 위치 사이에서 촬영한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35186A KR102052725B1 (ko) | 2019-03-27 | 2019-03-27 | 이미지 스티칭 기법을 이용한 차량 내부의 vr 이미지 생성 방법 및 장치 |
US16/829,821 US20200311884A1 (en) | 2019-03-27 | 2020-03-25 |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virtual reality image inside vehicle using image stitching technique |
CN202010228726.6A CN111754398A (zh) | 2019-03-27 | 2020-03-27 | 利用图像拼接技术生成虚拟现实图像的方法和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35186A KR102052725B1 (ko) | 2019-03-27 | 2019-03-27 | 이미지 스티칭 기법을 이용한 차량 내부의 vr 이미지 생성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52725B1 true KR102052725B1 (ko) | 2019-12-20 |
Family
ID=69062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35186A Expired - Fee Related KR102052725B1 (ko) | 2019-03-27 | 2019-03-27 | 이미지 스티칭 기법을 이용한 차량 내부의 vr 이미지 생성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200311884A1 (ko) |
KR (1) | KR102052725B1 (ko) |
CN (1) | CN111754398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02513A (ko) | 2022-06-29 | 2024-01-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가속기, 스토리지 장치, 및 vr 시스템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6066842A (ja) * | 2014-09-24 | 2016-04-28 | ソニー株式会社 | 信号処理回路および撮像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059174B2 (en) * | 2006-05-31 | 2011-11-15 | Ess Technology, Inc. | CMOS imager system with interleaved readout for providing an image with increased dynamic range |
KR100790887B1 (ko) * | 2006-09-22 | 2008-01-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영상 처리장치 및 방법 |
US10672180B2 (en) * | 2016-05-02 | 2020-06-0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for processing image |
CN106683045A (zh) * | 2016-09-28 | 2017-05-17 | 深圳市优象计算技术有限公司 | 一种基于双目像机的全景图像拼接方法 |
EP4254035A3 (en) * | 2016-10-12 | 2023-12-0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for processing image |
CN107248137B (zh) * | 2017-04-27 | 2021-01-15 | 努比亚技术有限公司 | 一种实现图像处理的方法及移动终端 |
CN109102464A (zh) * | 2018-08-14 | 2018-12-28 | 四川易为智行科技有限公司 | 全景图像拼接方法及装置 |
-
2019
- 2019-03-27 KR KR1020190035186A patent/KR102052725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20
- 2020-03-25 US US16/829,821 patent/US20200311884A1/en not_active Abandoned
- 2020-03-27 CN CN202010228726.6A patent/CN111754398A/zh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6066842A (ja) * | 2014-09-24 | 2016-04-28 | ソニー株式会社 | 信号処理回路および撮像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1754398A (zh) | 2020-10-09 |
US20200311884A1 (en) | 2020-10-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00296282A1 (en) | Imaging system, imaging apparatus, and system | |
CN114095662B (zh) | 拍摄指引方法及电子设备 | |
CN108600576B (zh) | 图像处理装置、方法和系统以及计算机可读记录介质 | |
JP5880182B2 (ja) | 画像生成装置、画像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EP3991132B1 (en) | Imaging system,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ing device, and recording medium | |
WO2023024697A1 (zh) | 图像拼接方法和电子设备 | |
US20100225785A1 (en) | Image processor and recording medium | |
CN109166076B (zh) | 多相机拼接的亮度调整方法、装置及便携式终端 | |
JP7306089B2 (ja) | 画像処理システム、撮像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 |
CN111866523B (zh) | 全景视频合成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 |
CN110326287A (zh) | 拍摄方法和装置 | |
TWI615808B (zh) | 全景即時影像處理方法 | |
KR102389304B1 (ko) | 주변 영역을 고려한 이미지 인페인팅 방법 및 디바이스 | |
JP6222205B2 (ja) | 画像処理装置 | |
JP6665917B2 (ja) | 画像処理装置 | |
TWI696147B (zh) | 全景圖形成方法及系統 | |
KR102052725B1 (ko) | 이미지 스티칭 기법을 이용한 차량 내부의 vr 이미지 생성 방법 및 장치 | |
CN110610171A (zh) | 图像处理方法和装置、电子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 | |
JP7697234B2 (ja) | 画像処理方法、撮像制御方法、プログラム、画像処理装置および撮像装置 | |
KR102389284B1 (ko) | 인공지능 기반 이미지 인페인팅 방법 및 디바이스 | |
JP5796611B2 (ja) |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撮像システム | |
US20130343656A1 (en) | Image creating device, image creat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 |
US20200412928A1 (en) | Imaging device, imaging system, and imaging method | |
JP6079838B2 (ja) | 画像処理装置、プログラム、画像処理方法および撮像システム | |
US11122202B2 (en) | Imaging device, image processing syste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3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2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4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8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1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11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