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51669B1 - 자동 풀림 샤클 - Google Patents

자동 풀림 샤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1669B1
KR102051669B1 KR1020180074347A KR20180074347A KR102051669B1 KR 102051669 B1 KR102051669 B1 KR 102051669B1 KR 1020180074347 A KR1020180074347 A KR 1020180074347A KR 20180074347 A KR20180074347 A KR 20180074347A KR 102051669 B1 KR102051669 B1 KR 102051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hole
shackle
unlocking means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4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경애
김덕련
Original Assignee
유경애
김덕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경애, 김덕련 filed Critical 유경애
Priority to KR1020180074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16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66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34Crane hooks
    • B66C1/38Crane hooks adapted for automatic disengagement from loads on release of cable t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풀림 샤클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중량물의 후크와 크레인을 연결하는 샤클에 있어서, 평판 형상이고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서로 이격되게 연결하는 이음부재로 이루어져 단면이 'H'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샤클몸체; 상기 후크가 걸리도록 상기 양 지지부재의 하부를 관통하되, 탄성 압축된 상태로 고정되는 체결수단; 상기 지지부재의 측면에 밀착되어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움직이고, 상기 체결수단의 단부가 걸리며, 중앙에 장공이 형성된 잠금해제수단; 상기 잠금해제수단의 양측으로 구비되어 상기 잠금해제수단의 상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장공을 통해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잠금해제수단의 상단을 연결하는 인장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샤클몸체가 중량물 상부면과 접촉하면 상기 잠금해제수단이 밀려 상승하여 상기 체결수단의 단부가 이탈하면서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 풀림 샤클{Automated unlocking shackle}
본 발명은 샤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샤클과 후크를 작업자가 일일이 풀지 않아도 자동으로 잠금이 해제되는 자동 풀림 샤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에서 중량물은 크레인을 이용하여 운반한다.
그런데 크레인의 로프 와이어와 중량물을 연결하는 매개체로는 샤클이 사용된다.
샤클은 중량물에 고정된 후크에 걸 수 있는 장치로서, 대개 'U' 자형으로 이루어지는데, 작업자는 중량물에 올라가서 직접 샤클을 후크에 걸어야 한다.
그리고 중량물을 이동한 후 작업자는 다시 중량물의 후크에서 샤클을 제거해야 하는 작업이 반드시 수반된다.
이러한 작업은 매우 번거롭고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특히, 중량이 매우 크거나 높은 곳에 위치하는 경우는 작업자가 일일이 이러한 작업을 하는 것이 매우 위험하다. 또 매우 터널과 같이 매우 좁은 곳에 중량물을 설치하는 경우 작업자가 진입하는 것이 어려워 더욱 문제가 된다.
이를 해결하고자 아래 선행기술과 같이 중량물의 후크로부터 샤클을 자동으로 또는 반자동으로 해제하기 위한 기술들이 공개된 바 있으나 대부분 복잡한 구조를 가지거나 작동의 정확성을 보장하기 어렵다.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부가적으로 조작해야 하므로 완전한 자동이라고 할 수 없었다.
-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8-0000757(2008.1.3) "샤클 조립체" -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011746(2009.2.2) "자동 개방형 샤클 조립체의 안전장치"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76869(2017.9.4) "반자동 샤클" -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7-0010748(2017.2.1) "승강고리, 승강고리의 안전래치 및 안전래치의 잠금 및 해제장치"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78395(2015.9.22) "스크류볼트 역회전 풀림방지용 샤클"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가 크레인과 중량물의 후크를 연결하는 샤클을 별도로 해제하지 않아도 크레인으로 중량물을 내려놓을 때 자동으로 체결핀이 풀려 후크가 분리될 수 있는 자동 풀림 샤클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풀림 샤클은, 중량물의 후크와 크레인을 연결하는 샤클에 있어서, 평판 형상이고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서로 이격되게 연결하는 이음부재로 이루어져 단면이 'H'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샤클몸체; 상기 후크가 걸리도록 상기 양 지지부재의 하부를 관통하되, 탄성 압축된 상태로 고정되는 체결수단; 상기 지지부재의 측면에 밀착되어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움직이고, 상기 체결수단의 단부가 걸리며, 중앙에 장공이 형성된 잠금해제수단; 상기 잠금해제수단의 양측으로 구비되어 상기 잠금해제수단의 상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장공을 통해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잠금해제수단의 상단을 연결하는 인장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샤클몸체가 중량물 상부면과 접촉하면 상기 잠금해제수단이 밀려 상승하여 상기 체결수단의 단부가 이탈하면서 잠금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의 하부 측면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중공 형상의 하우징; 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은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고 타측은 상기 각 지지부재의 하부를 관통하여 돌출되며, 일단은 상기 하우징의 단부에 걸리고 타단은 상기 잠금해제수단에 걸리며, 중간에 돌출된 리브가 형성되는 체결핀; 및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리브와 지지부재의 사이에 탄성적으로 수용되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핀의 타단에는 상기 체결핀의 외경보다 짧은 외경을 가지는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르게 상기 체결수단은, 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각 지지부재의 하부를 관통하되, 일단에는 스토퍼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잠금해제수단에 걸리도록 걸림홈이 형성되는 체결핀; 상기 스토퍼와 일측 지지부재 사이에 탄성적으로 게재되는 압축스프링; 상기 일측 지지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압축스프링에 의해 후진하는 상기 체결핀의 걸림홈에 걸리게 함으로써 상기 체결핀을 잡아주는 홀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홀딩체는, 상기 지지부재의 측면에 관통, 형성되는 가이드 홀에 삽입되고 단부에 경사면이 형성된 슬라이더와, 상기 가이드 홀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더를 탄성 지지하는 홀딩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해제수단은,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측에 상기 가이드 부재에 걸릴 수 있는 단턱이 형성되며, 중앙에 상하로 긴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의 하측에 상기 체결핀의 단부가 통과하여 걸릴 수 있는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공은, 상기 체결핀 단부의 외경보다 더 긴 내경을 가지는 이탈홀과, 상기 체결핀의 단부가 걸리도록 상기 체결핀 단부의 외경보다 짧은 내경을 가지는 걸림홀이 서로 중첩되되, 상기 걸림홀이 상기 이탈홀의 상측에 형성되도록 중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중량물의 후크와 크레인을 연결하는 샤클에 있어서, 평판 형상이고 상부에 연결핀이 관통하도록 상하로 긴 유격홀이 형성되며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서로 이격되게 연결하는 이음부재로 이루어져 단면이 'H'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샤클몸체; 상기 후크가 걸리도록 상기 양 지지부재의 하부를 관통하되, 탄성 압축된 상태로 고정되는 체결수단; 상부가 상기 연결핀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측면에 밀착되어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움직이며, 하부에 상기 체결수단의 단부가 걸리고, 중앙에 장공이 형성된 잠금해제수단; 상기 잠금해제수단의 양측으로 구비되어 상기 잠금해제수단의 상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장공을 통해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잠금해제수단의 상단을 연결하는 인장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샤클몸체가 중량물 상부면과 접촉하면 상기 연결핀의 하강과 함께 상기 잠금해제수단이 하강하여 상기 체결수단의 단부가 이탈하면서 잠금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의 하부 측면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중공 형상의 하우징; 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은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고 타측은 상기 각 지지부재의 하부를 관통하여 돌출되며, 일단은 상기 하우징의 단부에 걸리고 타단은 상기 잠금해제수단에 걸리며, 중간에 돌출된 리브가 형성되는 체결핀; 및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리브와 지지부재의 사이에 탄성적으로 수용되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르게 상기 체결수단은, 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각 지지부재의 하부를 관통하되, 일단에는 스토퍼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잠금해제수단에 걸리도록 걸림홈이 형성되는 체결핀; 상기 스토퍼와 일측 지지부재 사이에 탄성적으로 게재되는 압축스프링; 및 상기 일측 지지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압축스프링에 의해 후진하는 상기 체결핀의 걸림홈에 걸리게 함으로써 상기 체결핀을 잡아주는 홀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해제수단은,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측에 상기 가이드 부재에 걸릴 수 있는 단턱이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연결핀이 관통하는 핀홀이 형성되고, 중앙에 상하로 긴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장공의 하측에 상기 체결핀의 단부가 통과하여 걸릴 수 있는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공은, 상기 체결핀 단부의 외경보다 더 긴 내경을 가지는 이탈홀과, 상기 체결핀의 단부가 걸리도록 상기 체결핀 단부의 외경보다 짧은 내경을 가지는 걸림홀이 서로 중첩되되, 상기 이탈홀이 상기 걸림홀의 상측에 형성되도록 중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크레인으로 중량물을 내려 놓음과 동시에 잠금해제수단이 상승하고 체결핀이 자동으로 후진하면서 후크가 분리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일일이 샤클을 해제하는 작업을 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후크에 체결할 때도 체결핀을 밀어 체결핀의 단부가 체결공을 통과하면서 걸림홀에 걸리므로 아주 쉽게 샤클을 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를 따른 자동 풀림 샤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를 따른 자동 풀림 샤클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저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를 따른 자동 풀림 샤클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정면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를 따른 자동 풀림 샤클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면을 참조한 설명은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크레인과 같은 중장비로 매우 무거운 중량물을 걸이 이송할 때 중량물에 구비된 후크에 걸어 크레인으로 이송할 수 있는 샤클에 관한 것으로서, 후크에 걸린 샤클을 작업자가 해제할 필요가 없이 자동으로 해제될 수 있는 자동 풀림 샤클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 제1 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를 따른 자동 풀림 샤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측면도, 그리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크게 샤클몸체(100), 체결수단(200), 잠금해제수단(300), 가이드부재(400), 인장스프링(5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샤클몸체(1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샤클몸체(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단면이 'H' 형상을 가진다.
상기 샤클몸체(100)는 평판 형상의 동일한 두 지지부재(110)가 마주보도록 수직으로 배치되고 두 지지부재(110) 사이에 수평으로 이음부재(120)가 구비되어 두 지지부재(110)를 이격되게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샤클몸체(100)는 큰 중량, 특히 인장력을 견디도록 충분한 강도를 가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샤클몸체(100)의 상부에는 크레인(미도시)과 연결되는 연결부재(20)가 연결핀(30)에 의해 핀결합될 수 있다.
또 상기 샤클몸체(100)의 하부에는 후술하는 체결수단(200)의 체결핀(220)이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공(110a)이 형성된다. 즉 상기 각 지지부재(110)의 하부에 관통공(110a)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체결수단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체결수단(200)은 상기 샤클몸체(100)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후크(10)를 걸어 체결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체결수단(200)은 하우징(210), 체결핀(220), 압축스프링(2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10)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지지부재(110)의 하부 측면에 수직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10)의 단부는 개방되지 않고 막힌 상태일 수 있으며 분해를 위해 캡(211)으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10) 내에는 체결핀(220)이 수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체결핀(220)은 환봉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은 상기 하우징(210) 내에 길이방향을 따라 수용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부재(110)의 하부를 관통한다. 즉, 상기 지지부재(110)에 형성된 관통공(110a)들을 관통하여 단부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핀(220)은 상기 관통공(110a)을 통해 출입 가능하도록 상기 체결핀(220)의 외경보다 상기 관통공(110a)의 내경이 더 길게 형성된다.
또 상기 체결핀(220)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210)의 단부에 걸리는 구조를 가져 상기 하우징(210)의 외부로 인출은 가능하지만, 상기 하우징(210) 내부에 완전히 인입되지는 않도록 작동한다.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210)의 단부를 막는 캡(211)에는 상기 체결핀(220)이 관통할 수 있는 캡홀(211a)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핀(220)의 일단에는 상기 캡홀(211a)의 내경부다 더 긴 외경을 가지는 스토퍼(221)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221)는 상기 체결핀(220)에 나사 결합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스토퍼(221)를 잡고 당기면 상기 체결핀(220)이 상기 하우징(210)으로부터 빠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핀(220)의 타단은 상기 잠금해제수단(300)에 걸리는 구조를 가지는데, 상기 체결핀(220)의 타단부는 상기 관통공(110a)을 관통하여 일부가 상기 지지부재(110)로부터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이 상기 잠금해제수단(300)에 걸리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체결핀(220)의 타단부에는 걸림홈(2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홈(222)은 상기 체결핀(220)의 외경보다 짧은 외경을 가지며, 폭은 상기 잠금해제수단(300)의 두께보다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핀(220)의 타단부는 가장자리 원주를 따라 테이퍼진 테이퍼부(223)가 형성된다. 상기 테이퍼부(223)는 외측으로 외경이 줄어드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잠금해제수단(300)에 삽입되는 것이 용이한 구조이다.
한편, 상기 체결핀(220)의 중간에는 리브(224)가 형성된다. 상기 리브(224)는 상기 체결핀(220)으로부터 돌출되는 원판 형상을 이룬다.
상기 리브(224)의 외경은 상기 하우징(210)의 내경보다 약간 짧거나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체결핀(220)이 상기 하우징 내에서 전후진할 때 상기 리브(224)가 요동하지 않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압축스프링(230)은 상기 하우징(210) 내에 수용되는데, 상기 리브(224)와 지지부재(110)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압축스프링(230)의 외경은 상기 하우징(210)의 내경보다 짧고 상기 리브(224)의 외경와 동일하거나 짧게 형성되어 상기 리브(224)에 의해 걸린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압축스프링(230)의 내경은 상기 체결핀(220)의 외경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압축스프링(230) 내부로 상기 체결핀(220)이 삽입된 상태이다.
또 상기 압축스프링(230)의 내경은 상기 관통공(110a)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110)에 걸린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압축스프링(23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리브(224)는 밀리게 되어 상기 체결핀(220)의 일부는 상기 하우징(210)으로부터 후진하여 노출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압축스프링(230)의 탄성계수는 사람이 압축시킬 수 있을 정도의 적절한 탄성계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체결핀(220)을 상기 관통공(110a)에 완전히 삽입시키고 상기 잠금해제수단(300)에 걸리게 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축스프링(230)은 탄성 압축된 상태로 고정된다.
바람직한 것은, 상기 하우징(210)의 하부면에는 받침부재(240)가 더 구비되어 상기 샤클몸체(100)가 중량물의 상부면에 안정되게 안착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잠금해제수단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잠금해제수단(300)은 상기 체결핀(220)에 후크가 걸려 잠긴 상태로부터 자동으로 잠금을 해제시켜 상기 체결핀(220)이 후진하도록 하여 후크(10)에 걸린 체결핀이 풀리게 하는 구성이다.
상기 잠금해제수단(300)은 상하로 긴 평판 형상을 이루고 전체적으로 상부가 넓고 하부가 상대적으로 좁은 형상이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화살표 형상일 수 있다.
즉, 상기 잠금해제수단 상부에 양측으로 단턱(310)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중앙에 상하로 긴 장공(320)이 형성된다. 상기 장공(320)의 길이는 상기 잠금해제수단(300)의 상하 이동거리와 동일하거나 좀 더 길도록 구비된다.
또 상기 장공(320)의 하측에는 체결공(330)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330)은 상기 체결핀(220)의 단부(타단부)가 통과할 수 있고 걸릴 수 있는 구멍이다.
상세하게는 상기 체결공(3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홀이 중첩된 형상, 대략 튤립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체결공(330)은 이탈홀(331)과 걸림홀(332)로 구성되며, 상기 걸림홀(332)이 상기 이탈홀(331)의 상측에 형성되도록 중첩된다.
상기 이탈홀(331)은 상기 체결핀(220) 단부의 외경보다 더 긴 내경을 가져 상기 체결핀(220)이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다. 바람직한 것은, 상기 체결공(330)의 좌우 폭은 상기 체결핀(220) 단부의 외경보다 길고, 상하 폭은 상기 장공(320)의 길이와 유사하게 형성되어 상기 잠금해제수단(300)의 상하 이동이 보장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홀(332)은 상기 체결핀(220)의 단부가 걸리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체결핀(220)의 단부의 외경보다 더 짧은 내경을 가지며, 상기 이탈홀(331)과 중첩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홀(332)은 상기 체결핀(220)에 형성된 걸림홈(222)의 외경와 동일하거나 약간 더 긴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222)에 상기 걸림홀(332)이 걸리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홀(332)의 내주가 상기 걸림홈(222)에 안착되면서 상기 체결핀(220)의 단부가 상기 걸림홈(222)에 걸리게 된다.
한편, 상기 잠금해제수단(300)은 상기 지지부재(110)의 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상기 관통공(110a)은 상기 체결공(330)과 연통되도록 상기 잠금해제수단(300)이 위치하고, 상기 체결핀(220)이 상기 걸림홀(332)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잠금해제수단(300)의 하단이 상기 지지부재(110)의 하단보다 더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다음으로 가이드부재와 인장스프링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가이드부재(400)는 상기 지지부재(110)의 측면에 한 쌍이 나란이 부착된다.
즉, 상기 가이드부재(400)는 상기 잠금해제수단(300)이 구비되는 지지부재(110) 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잠금해제수단(300)의 양측으로 구비되어 상기 잠금해제수단(300)의 상하 이동시 좌우로 요동하지 않도록 양측에서 가이드한다.
상기 가이드부재(400)는 단면이 'ㄴ' 형상인 앵글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가이드부재(400)는 상기 단턱(310)이 걸리도록 배치되어 상기 잠금해제수단(300)이 일정높이 이상 하강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인장스프링(500)은 상기 잠금해제수단(300)과 상기 지지부재(110)를 탄성적으로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장스프링(500)의 상단은 상기 잠금해제수단(300)의 상단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상기 잠금해제수단(300)의 상단에 별도의 고정볼트(510)를 체결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장스프링(500)의 하단은 상기 지지부재(110)의 측면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부재(110)의 측면에 별도의 고정볼트(520)가 체결될 수 있는데, 상기 지지부재(110)에 체결된 고정볼트(520)는 상기 장공(320)을 통해 상기 잠금해제수단(300)을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잠금해제수단(300)을 밀어올리면 상기 인장스프링(500)은 늘어나고, 힘을 제거하면 상기 인장스프링(500)은 복귀되면서 상기 잠금해제수단(300)은 하강한다. 물론, 상기 지지부재(110)에 체결된 고정볼트(520)에 상기 장공(320)이 걸리면서 정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제1 실시 예를 따른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도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를 나타낸다.
먼저, 후크(10)에 본 발명을 체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이때, 상기 압축스프링(230)은 팽창된 상태이므로 상기 체결핀(220)은 상기 하우징(210)으로부터 완전히 인출된 상태이며 상기 체결핀(220)의 단부는 상기 하우징(210)이 결합된 지지부재(110)의 관통공(110a)까지 후진한 상태이다.
그리고 인장스프링(500)에 의해 상기 잠금해제수단(300)은 하강하여 하단부가 상기 지지부재(110)의 하단부보다 더 돌출된 상태이다. 이때, 상기 관통공(110a)과 상기 체결공(330)은 동일 중심선상에 위치한다.
작업자는 중량물(미도시)에 형성된 후크(10)가 상기 샤클몸체(100)의 지지부재(110) 사이에 삽입시킨다. 즉, 양 지지부재(110)의 하부 사이에 삽입하여 후크(10)가 상기 관통공(110a)과 연통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체결핀(220)을 밀어 상기 체결핀(220)을 전진시켜 후크(10)를 통과시킨다. 이때, 상기 압축스프링(230)은 압축되면서 상기 체결핀(220)은 전진하게 되고 단부는 상기 관통공(110a)을 관통하여 상기 잠금해제수단(300)에 도달하는데, 상기 체결핀(220)을 더 밀면 상기 체결핀(220)의 단부는 상기 체결공(330)을 통과한다.
바람직한 것은 상기 체결공(330) 내주면에도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상기 체결핀(220)의 테이퍼부(223)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체결핀(220) 단부가 상기 체결공(330)을 통과할 때, 상기 잠금해제수단(300)은 약간 상승했다가 하강하여 상기 걸림홈(222)에 상기 걸림홀(332)이 안착되면서 상기 체결핀(220)은 고정되므로 빠지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자동으로 상기 체결핀(220)이 후크(10)로부터 해제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크레인(미도시)으로 중량물을 필요한 곳에 내려놓을 경우 상기 샤클몸체(100)도 중량물의 상부면에 접촉된다. 이때, 상기 받침부재(240)에 의해서 상기 샤클몸체(100)는 안정적으로 안착된다.
그런데 상기 지지부재(110)의 하단부가 중량물의 상부면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잠금해제수단(300)의 하단부가 먼저 중량물의 상부면에 접촉하면서 상승하게 된다.
이것은 상기 샤클몸체(100)의 무게 때문에 상기 인장스프링(500)이 늘어나면서 상기 잠금해제수단(300)이 밀려 올라간다.
상기 잠금해제수단(300)이 상승함에 따라 상기 걸림홀(332)도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걸림홀(332)에 걸려 있던 상기 체결핀(220)의 단부는 상기 이탈홀(331)에 위치하는 순간 구속력이 제거되므로 상기 압축스프링(23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체결핀(220)은 즉각 후진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핀(220)이 완전히 후진하면 상기 체결핀(220)에 걸려 있던 후크(10)는 자동으로 풀리게 된다.
이 상태에서 크레인으로 상기 샤클몸체(100)를 상승시키면 중량물과 샤클몸체(100)는 분리되며 상기 잠금해제수단(300)은 상기 인장스프링(500)에 의해 다시 하강하여 원위치 된다.
< 제2 실시 예>
이하에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를 따른 자동 풀림 샤클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저면도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는 샤클몸체(100), 체결수단(200), 잠금해제수단(300), 가이드부재(400), 인장스프링(500)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샤클몸체, 잠금해제수단, 가이드부재, 인장스프링은 앞에서 설명한 내용과 대동소이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기 체결수단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체결수단(200)은 체결핀(220), 압축스프링(230), 홀딩체(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핀(220)은 환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부재(110)의 하부를 관통한다. 즉, 상기 지지부재(110)에 형성된 관통공(110a)들을 관통하여 양단부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핀(220)은 상기 관통공(110a)을 통해 출입 가능하도록 상기 체결핀(220)의 외경보다 상기 관통공(110a)의 내경이 더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핀(220)의 일단에는 상기 관통공(110a)의 내경부다 더 긴 외경을 가지는 스토퍼(221)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체결핀(220)의 타단은 상기 잠금해제수단(300)에 걸리는 구조를 가지는데, 상기 체결핀(220)의 타단부는 상기 관통공(110a)을 관통하여 일부가 상기 지지부재(110)로부터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이 상기 잠금해제수단(300)에 걸리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체결핀(220)의 타단부에는 걸림홈(2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홈(222)은 상기 체결핀(220)의 외경보다 짧은 외경을 가지며, 폭은 상기 잠금해제수단(300)의 두께보다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핀(220)의 타단부는 가장자리 원주를 따라 테이퍼진 테이퍼부(223)가 형성된다. 상기 테이퍼부(223)는 외측으로 외경이 줄어드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잠금해제수단(300)에 삽입되는 것이 용이한 구조이다.
상기 압축스프링(230)은 상기 스토퍼(221)와 지지부재(110) 사이에 개재된다.
이때, 상기 압축스프링(230)의 내경은 체결핀(220)의 외경보다 길고 상기 스토퍼(221)의 외경보다 짧게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110a)보다 길게 형성되어 양단이 상기 지지부재(110)와 스토퍼(221)에 걸린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압축스프링(23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체결핀(220)은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참고로 상기 압축스프링(230)의 탄성계수는 사람이 압축시킬 수 있을 정도의 적절한 탄성계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221)를 눌러 상기 체결핀(220)을 상기 관통공(110a)에 완전히 삽입시키고 단부가 상기 잠금해제수단(300)에 걸리게 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축스프링(230)은 탄성 압축된 상태로 고정된다.
한편, 어느 하나의 상기 지지부재(110)의 일측면에는 상기 체결핀(220)이 상기 압축스프링(230)에 의해 완전히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홀딩체(2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홀딩체(250)는 상기 지지부재(110)에 형성된 가이드 홀(251)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홀(251)의 내주면을 따라 왕복 가능하게 이동하는 슬라이더(252)와, 상기 가이드 홀(251)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더(252)를 탄성 지지하는 홀딩스프링(25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홀(251)은 상기 지지부재(110)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관통공(110a)과 연통된다. 그리고 홀딩스프링(253)은 압축스프링이다.
또 상기 슬라이더(252)의 폭은 상기 체결핀(220)의 걸림홈(222)의 폭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252)의 단부가 상기 걸림홈(222)에 인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252)의 단부에는 경사면(252a)이 형성되는데, 상기 경사면(252a)은 상기 체결핀(220)이 후진하여 이탈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핀(220)이 상기 잠금해제수단(300)으로부터 이탈하여 후진하더라도 상기 슬라이더(252)의 단부가 상기 홀딩스프링(253)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하면서 상기 걸림홈(222)에 걸리게 되어 상기 체결핀(220)은 상기 관통공(110a)으로부터 빠지지 않고 정지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상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체결핀(220)을 잠그는 과정은 작업자가 중량물(미도시)에 형성된 후크(10)를 상기 샤클몸체(100)의 지지부재(110) 사이에 삽입시킨다. 즉, 양 지지부재(110)의 하부 사이에 삽입하여 후크(10)가 상기 관통공(110a)과 연통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체결핀(220)을 밀어 상기 체결핀(220)을 전진시켜 후크(10)를 통과시킨다. 이때, 상기 압축스프링(230)은 압축되면서 상기 체결핀(220)은 전진하게 되고 단부는 상기 관통공(110a)을 관통하여 상기 잠금해제수단(300)에 도달하는데, 상기 체결핀(220)을 더 밀면 상기 체결핀(220)의 단부는 상기 체결공(330)을 통과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핀(220)이 전전할 때 상기 체결핀(220)의 걸림홈(222)에 삽입되어 있던 상기 슬라이더(252)는 경사면(252a)이 밀리면서 하강하게 된다. 즉, 상기 홀딩스프링(253)이 압축되면서 상기 슬라이더(252)는 상기 가이드 홀(251)을 따라 하강하여 대기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핀(220) 단부가 상기 체결공(330)을 통과할 때, 상기 잠금해제수단(300)은 약간 상승했다가 하강하여 상기 걸림홈(222)에 상기 걸림홀(332)이 안착되면서 상기 체결핀(220)은 고정되므로 빠지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체결핀(220)이 후크(10)로부터 자동으로 해제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크레인(미도시)으로 중량물을 필요한 곳에 내려놓으면 상기 샤클몸체(100)도 중량물의 상부면에 접촉하는데, 상기 지지부재(110)의 하단부가 중량물의 상부면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잠금해제수단(300)의 하단부가 먼저 중량물의 상부면에 접촉하면서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샤클몸체(100)의 무게 때문에 상기 인장스프링(500)이 늘어나면서 상기 잠금해제수단(300)이 밀려 올라간다.
상기 잠금해제수단(300)이 상승함에 따라 상기 걸림홀(332)도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걸림홀(332)에 걸려 있던 상기 체결핀(220)의 단부는 상기 이탈홀(331)에 위치하는 순간 구속력이 제거되므로 상기 압축스프링(23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체결핀(220)은 즉각 후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핀(220)이 후진하는 과정에서 상기 체결핀(220)에 걸려 있던 후크(10)는 자동으로 풀리게 된다.
그런데 상기 체결핀(220)이 후진하다가 상기 걸림홈(222)이 상기 슬라이더(252)의 직 상방에 위치하는 순간 상기 홀딩스프링(253)이 팽창하면서 상기 슬라이더(252)를 밀어올리면 상기 슬라이더(252)의 단부가 상기 걸림홈(222)에 삽입되면서 걸리게 되어 상기 체결핀(220)은 더 이상 후진하지 않고 정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크레인으로 상기 샤클몸체(100)를 상승시키면 중량물과 샤클몸체(100)는 분리되며 상기 잠금해제수단(300)은 상기 인장스프링(500)에 의해 다시 하강하여 원위치 된다.
< 제3 실시 예>
이하에서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를 따른 자동 풀림 샤클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샤클몸체(100), 체결수단(200), 잠금해제수단(300), 가이드부재(400), 인장스프링(500)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체결수단과 가이드부재는 상술한 <제1 실시 예>의 설명과 대동소이하므로 설명은 생략하고, 상기 샤클몸체, 잠금해제수단, 인장스프링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상기 샤클몸체(100)는 상술한 바와 대동소이하게, 평판 형상의 동일한 두 지지부재(110)가 마주보도록 수직으로 배치되고 그 사이에 이음부재(120)가 구비되어 대략 단면이 'H'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샤클몸체(100)의 하부, 즉 상기 각 지지부재(110)의 하부에는 관통공(110a)이 형성된다.
상기 샤클몸체(100)의 상부에는 크레인(미도시)과 연결되는 연결부재(20)가 연결핀(30)에 의해 핀 결합될 수 있다.
또 상기 각 지지부재(110)의 상부에는 연결핀(30)이 관통하는 유격홀(110b)이 형성되는데, 상기 유격홀(110b)은 상하로 긴 형상의 홀이다. 따라서, 상기 연결핀(30)이 상기 유격홀(110b) 내에 수평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일정 거리만큼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잠금해제수단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잠금해제수단(300)은 상하로 긴 평판 형상을 이루고 전체적으로 상부가 넓고 하부가 상대적으로 좁은 형상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화살표 형상일 수 있다. 즉, 상기 잠금해제수단(300) 상부에 양측으로 단턱(310)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잠금해제수단(300)의 상부에는 핀홀(340)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핀(30)이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핀(30)이 상하로 움직일 때 상기 잠금해제수단(300)도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또 상기 잠금해제수단(300)의 중앙에 상하로 긴 장공(320)이 형성된다. 상기 장공(320)의 길이는 상기 잠금해제수단(300)의 상하 이동거리와 동일하거나 좀 더 길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장공(320)의 하측에 체결공(330)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330)은 상기 체결핀(220)의 단부(타단부)가 통과하면서 걸릴 수 있는 구멍이다.
상세하게는 상기 체결공(3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홀이 중첩된 형상, 대략 튤립 형상이지만 앞의 <제1 실시 예>의 체결공을 뒤집어 놓은 것과 같다.
상기 체결공(330)은 이탈홀(331)과 걸림홀(332)로 구성되며, 상기 이탈홀(331)이 상기 걸림홀(332)의 상측에 형성되도록 중첩된다.
상기 이탈홀(331)은 상기 체결핀(220) 단부의 외경보다 더 긴 내경을 가져 상기 체결핀(220)이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다. 바람직한 것은, 상기 체결공(330)의 좌우 폭은 상기 체결핀(220) 단부의 외경보다 길고, 상하 폭은 상기 장공(320)의 길이와 유사하게 형성되어 상기 잠금해제수단(300)의 상하 이동이 보장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홀(332)은 상기 체결핀(220)의 단부가 걸리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체결핀(220)의 단부의 외경보다 더 짧은 내경을 가지며, 상기 이탈홀(331)과 중첩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홀(332)은 상기 체결핀(220)에 형성된 걸림홈(222)의 외경와 동일하거나 약간 더 긴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222)에 상기 걸림홀(332)이 걸리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홀(332)의 내주가 상기 걸림홈(222)에 안착되면서 상기 체결핀(220)의 단부가 상기 걸림홈(222)에 걸리게 된다.
한편, 상기 잠금해제수단(300)은 상기 지지부재(110)의 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상기 관통공(110a)은 상기 체결공(330)과 연통되도록 상기 잠금해제수단(300)이 배치되고, 상기 체결핀(220)이 상기 걸림홀(332)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잠금해제수단(300)의 하단이 상기 지지부재(110)의 하단보다는 더 높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인장스프링(500)은 상기 잠금해제수단(300)과 상기 지지부재(110)를 탄성적으로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장스프링(500)의 상단은 상기 잠금해제수단(300)의 상부, 좀 더 자세하게, 상기 핀홀(340)과 장공(320) 사이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상기 잠금해제수단(300)에 별도의 고정볼트(510)를 체결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장스프링(500)의 하단은 상기 지지부재(110)의 측면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부재(110)의 측면에 별도의 고정볼트(520)가 체결될 수 있는데, 상기 지지부재(110)에 체결된 고정볼트(520)는 상기 장공(320)을 통해 상기 잠금해제수단(300)을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잠금해제수단(300)이 상승하면 상기 인장스프링(500)은 늘어나고, 힘이 제거되면 상기 인장스프링(500)은 복귀되면서 상기 잠금해제수단(300)은 하강한다. 물론, 상기 지지부재(110)에 체결된 고정볼트(520)에 상기 장공(320)이 걸리면서 정지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를 나타낸다.
먼저, 후크(10)에 본 발명을 체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최초, 상기 압축스프링(230)은 팽창된 상태이므로 상기 체결핀(220)은 상기 하우징(210)으로부터 완전히 인출된 상태이며 상기 체결핀(220)의 단부는 상기 하우징(210)이 결합된 지지부재(110)의 관통공(110a)까지 후진한 상태이다.
작업자는 크레인을 제어하여 상기 연결부재(20)를 약간 상승시키면, 상기 연결핀(30)은 상기 유격홀(110b)을 따라 일정 거리 상승하여 상기 유격홀(110b)의 상단 내주면에 걸리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핀(30)에 결합된 상기 잠금해제수단(300)도 함께 상승하고 상기 인장스프링(500)은 늘어난다. 이때, 상기 관통공(110a)과 상기 체결공(330)은 동일 중심선상에 위치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중량물(미도시)에 형성된 후크(10)가 상기 샤클몸체(100)의 지지부재(110) 사이에 삽입시킨다. 즉, 양 지지부재(110)의 하부 사이에 삽입하여 후크(10)가 상기 관통공(110a)과 연통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체결핀(220)을 밀어 상기 체결핀(220)을 전진시켜 후크(10)를 통과시킨다. 이때, 상기 압축스프링(230)은 압축되면서 상기 체결핀(220)은 전진하게 되고 단부는 상기 관통공(110a)을 관통하여 상기 잠금해제수단(300)에 도달하는데, 상기 체결핀(220)을 더 밀면 상기 체결핀(220)의 단부는 상기 걸림홀(332)을 타고 넘어 상기 체결공(330)을 통과한다.
상기 체결핀(220) 단부가 상기 체결공(330)을 통과할 때, 상기 잠금해제수단(300)은 약간 하강했다가 상승하여 상기 걸림홈(222)에 상기 걸림홀(332)이 안착되면서 상기 체결핀(220)은 고정되므로 빠지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체결핀(220)이 후크(10)로부터 자동으로 해제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크레인(미도시)으로 중량물을 필요한 곳에 내려놓으면, 상기 샤클몸체(100)도 중량물의 상부면에 안착되고, 상기 인장스프링(500)의 인장력에 의해 상기 연결핀(30)도 상기 유격홀(110b) 내에서 하강하며, 상기 연결핀(30)에 결합된 상기 잠금해제수단(300)도 하강하게 된다.
상기 잠금해제수단(300)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걸림홀(332)도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걸림홀(332)에 걸려 있던 상기 체결핀(220)의 단부는 상기 이탈홀(331)에 위치하는 순간 구속력이 제거되므로 상기 압축스프링(23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체결핀(220)은 즉각 후진하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핀(220)이 완전히 후진하면 상기 체결핀(220)에 걸려 있던 후크(10)는 자동으로 풀리게 된다.
이 상태에서 크레인으로 상기 샤클몸체(100)를 상승시키면 중량물과 샤클몸체(100)는 분리된다.
< 제4 실시 예>
이하에서 도 11,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를 따른 자동 풀림 샤클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도 샤클몸체(100), 체결수단(200), 잠금해제수단(300), 가이드부재(400), 인장스프링(500)으로 구성되는데, 다른 구성은 제3 실시 예와 대동소이하고 다만, 상기 체결수단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의 체결수단(200)도 체결핀(220), 압축스프링(230), 홀딩체(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제2 실시 예에서 설명한 체결수단의 구성과 대동소이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후크(10)에 본 발명을 체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최초, 상기 압축스프링(230)은 팽창된 상태이므로 상기 체결핀(220)은 완전히 후진하여 인출된 상태이며 상기 체결핀(220)은 상기 홀딩체(250)에 걸려 정지된 상태이다.
작업자는 크레인을 제어하여 상기 연결부재(20)를 약간 상승시키면, 상기 연결핀(30)은 상기 유격홀(110b)을 따라 일정 거리 상승하여 상기 유격홀(110b)의 상단 내주면에 걸리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핀(30)에 결합된 상기 잠금해제수단(300)도 함께 상승하고 상기 인장스프링(500)은 늘어난다. 이때, 상기 관통공(110a)과 상기 체결공(330)은 동일 중심선상에 위치한다.
작업자는 중량물(미도시)에 형성된 후크(10)가 상기 샤클몸체(100)의 지지부재(110) 사이에 삽입시킨다. 즉, 양 지지부재(110)의 하부 사이에 삽입하여 후크(10)가 상기 관통공(110a)과 연통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체결핀(220)을 밀어 전진시켜 후크(10)를 통과시킨다. 이때, 상기 압축스프링(230)은 압축되고 상기 체결핀(220) 단부는 상기 관통공(110a)을 관통하여 상기 잠금해제수단(300)에 도달하는데, 상기 체결핀(220)을 더 밀면 상기 체결핀(220)의 단부는 상기 걸림홀(332)을 타고 넘어 상기 체결공(330)을 통과한다.
상기 체결핀(220) 단부가 상기 체결공(330)을 통과할 때, 상기 잠금해제수단(300)은 약간 하강했다가 상승하여 상기 걸림홈(222)에 상기 걸림홀(332)이 안착되면서 상기 체결핀(220)은 고정되므로 빠지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체결핀(220)이 후크(10)로부터 자동으로 해제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크레인(미도시)으로 중량물을 필요한 곳에 내려놓으면, 상기 샤클몸체(100)도 중량물의 상부면에 안착되고, 상기 인장스프링(500)의 인장력에 의해 상기 연결핀(30)도 상기 유격홀(110b) 내에서 하강하며, 상기 연결핀(30)에 결합된 상기 잠금해제수단(300)도 하강하게 된다.
상기 잠금해제수단(300)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걸림홀(332)도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걸림홀(332)에 걸려 있던 상기 체결핀(220)의 단부는 상기 이탈홀(331)에 위치하는 순간 구속력이 제거되므로 상기 압축스프링(23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체결핀(220)은 즉각 후진하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핀(220)이 후진하는 과정에서 상기 체결핀(220)에 걸려 있던 후크(10)는 자동으로 풀리게 된다.
그런데 상기 체결핀(220)이 후진하다가 상기 걸림홈(222)이 상기 슬라이더(252)의 직 상방에 위치하는 순간 상기 홀딩스프링(253)이 팽창하면서 상기 슬라이더(252)를 밀어올리면 상기 슬라이더(252)의 단부가 상기 걸림홈(222)에 삽입되면서 걸리게 되어 상기 체결핀(220)은 더 이상 후진하지 않고 정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크레인으로 상기 샤클몸체(100)를 상승시키면 중량물과 샤클몸체(100)는 분리된다.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샤클몸체
110 : 지지부재 110a : 관통공
110b : 유격홀 120 : 이음부재
200 : 체결수단 210 : 하우징
211 : 캡 211a : 캡홀
220 : 체결핀 221 : 스토퍼
222 : 걸림홈 223 : 테이퍼부
224 : 리브 230 : 압축스프링
240 : 받침부재 250 : 홀딩체
251 : 가이드 홀 252 : 슬라이더
252a : 경사면 253 : 홀딩스프링
300 : 잠금해제수단
310 : 단턱 320 : 장공
330 : 체결공 331 : 이탈홀
332 : 걸림홀 340 : 핀홀
400 : 가이드부재
500 : 인장스프링 510, 520 : 고정볼트
10 : 후크 20 : 연결부재
30 : 연결핀

Claims (12)

  1. 중량물의 후크와 크레인을 연결하는 샤클에 있어서,
    평판 형상이고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서로 이격되게 연결하는 이음부재로 이루어져 단면이 'H'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샤클몸체;
    상기 후크가 걸리도록 상기 양 지지부재의 하부를 관통하되, 탄성 압축된 상태로 고정되는 체결수단;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측에 하기 가이드 부재에 걸릴 수 있는 단턱이 형성되며, 중앙에 상하로 긴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의 하측에 상기 체결수단의 단부가 통과하여 걸릴 수 있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움직이는 잠금해제수단;
    상기 잠금해제수단의 양측으로 구비되어 상기 잠금해제수단의 상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장공을 통해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잠금해제수단의 상단을 연결하는 인장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샤클몸체가 중량물 상부면과 접촉하면 상기 잠금해제수단이 밀려 상승하여 상기 체결수단의 단부가 이탈하면서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풀림 샤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의 하부 측면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중공 형상의 하우징;
    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은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고 타측은 상기 각 지지부재의 하부를 관통하여 돌출되며, 일단은 상기 하우징의 단부에 걸리고 타단은 상기 잠금해제수단에 걸리며, 중간에 돌출된 리브가 형성되는 체결핀;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리브와 지지부재의 사이에 탄성적으로 수용되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풀림 샤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핀의 타단에는 상기 체결핀의 외경보다 짧은 외경을 가지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풀림 샤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각 지지부재의 하부를 관통하되, 일단에는 스토퍼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잠금해제수단에 걸리도록 걸림홈이 형성되는 체결핀;
    상기 스토퍼와 일측 지지부재 사이에 탄성적으로 게재되는 압축스프링;
    상기 일측 지지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압축스프링에 의해 후진하는 상기 체결핀의 걸림홈에 걸리게 함으로써 상기 체결핀을 잡아주는 홀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풀림 샤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체는,
    상기 지지부재의 측면에 관통, 형성되는 가이드 홀에 삽입되고 단부에 경사면이 형성된 슬라이더와, 상기 가이드 홀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더를 탄성 지지하는 홀딩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풀림 샤클.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은,
    상기 체결수단 단부의 외경보다 더 긴 내경을 가지는 이탈홀과, 상기 체결수단의 단부가 걸리도록 상기 체결수단 단부의 외경보다 짧은 내경을 가지는 걸림홀이 서로 중첩되되,
    상기 걸림홀이 상기 이탈홀의 상측에 형성되도록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풀림 샤클.
  8. 중량물의 후크와 크레인을 연결하는 샤클에 있어서,
    평판 형상이고 상부에 연결핀이 관통하도록 상하로 긴 유격홀이 형성되며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서로 이격되게 연결하는 이음부재로 이루어져 단면이 'H'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샤클몸체;
    상기 후크가 걸리도록 상기 양 지지부재의 하부를 관통하되, 탄성 압축된 상태로 고정되는 체결수단;
    상부가 상기 연결핀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측면에 밀착되어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움직이며, 하부에 상기 체결수단의 단부가 걸리고, 중앙에 장공이 형성된 잠금해제수단;
    상기 잠금해제수단의 양측으로 구비되어 상기 잠금해제수단의 상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장공을 통해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잠금해제수단의 상단을 연결하는 인장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샤클몸체가 중량물 상부면과 접촉하면 상기 연결핀의 하강과 함께 상기 잠금해제수단이 하강하여 상기 체결수단의 단부가 이탈하면서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풀림 샤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의 하부 측면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중공 형상의 하우징;
    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은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고 타측은 상기 각 지지부재의 하부를 관통하여 돌출되며, 일단은 상기 하우징의 단부에 걸리고 타단은 상기 잠금해제수단에 걸리며, 중간에 돌출된 리브가 형성되는 체결핀;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리브와 지지부재의 사이에 탄성적으로 수용되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풀림 샤클.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각 지지부재의 하부를 관통하되, 일단에는 스토퍼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잠금해제수단에 걸리도록 걸림홈이 형성되는 체결핀;
    상기 스토퍼와 일측 지지부재 사이에 탄성적으로 게재되는 압축스프링;
    상기 일측 지지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압축스프링에 의해 후진하는 상기 체결핀의 걸림홈에 걸리게 함으로써 상기 체결핀을 잡아주는 홀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풀림 샤클.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해제수단은,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측에 상기 가이드 부재에 걸릴 수 있는 단턱이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연결핀이 관통하는 핀홀이 형성되고, 중앙에 상하로 긴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장공의 하측에 상기 체결수단의 단부가 통과하여 걸릴 수 있는 체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풀림 샤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은,
    상기 체결수단 단부의 외경보다 더 긴 내경을 가지는 이탈홀과, 상기 체결수단의 단부가 걸리도록 상기 체결수단 단부의 외경보다 짧은 내경을 가지는 걸림홀이 서로 중첩되되,
    상기 이탈홀이 상기 걸림홀의 상측에 형성되도록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풀림 샤클.
KR1020180074347A 2018-06-27 2018-06-27 자동 풀림 샤클 Expired - Fee Related KR102051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347A KR102051669B1 (ko) 2018-06-27 2018-06-27 자동 풀림 샤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347A KR102051669B1 (ko) 2018-06-27 2018-06-27 자동 풀림 샤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1669B1 true KR102051669B1 (ko) 2020-01-08

Family

ID=69154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4347A Expired - Fee Related KR102051669B1 (ko) 2018-06-27 2018-06-27 자동 풀림 샤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1669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95802A (zh) * 2020-04-22 2020-08-07 河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手动推压式除尘装置
KR102201892B1 (ko) * 2020-02-13 2021-01-12 주식회사 대성지티 이동체의 원터치 미세이동 및 이동방지장치
KR20220000536U (ko) * 2020-08-26 2022-03-07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회전 각도 가변식 샤클구조체
CN114751296A (zh) * 2022-06-14 2022-07-15 杭州未名信科科技有限公司 一种塔机智能吊具及其电动解锁绳控制方法
CN116691459A (zh) * 2023-06-12 2023-09-05 安百拓(张家口)建筑矿山设备有限公司 凿岩台车、驾驶舱及其座椅装置
CN116729214A (zh) * 2023-08-10 2023-09-12 山东天河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煤矿液压锚杆钻车
KR20240006281A (ko) * 2022-07-06 2024-01-15 주식회사 이지락 안전 샤클
KR20240006280A (ko) * 2022-07-06 2024-01-15 주식회사 이지락 안전 샤클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6978U (ja) * 1984-08-29 1986-03-28 象印チエンブロツク株式会社 シヤツクル
KR20080000757A (ko) 2006-06-28 2008-01-03 홍제윤 샤클 조립체
KR20090011746A (ko) 2007-07-27 2009-02-02 주식회사 피엔에이치 자동 개방형 샤클 조립체의 안전장치
KR100891101B1 (ko) * 2007-10-31 2009-03-30 주식회사 피엔에이치 자동 개방형 샤클 조립체
KR200478395Y1 (ko) 2015-03-26 2015-09-30 최태진 스크류볼트 역회전 풀림방지용 샤클
KR20170010748A (ko) 2014-03-10 2017-02-01 코네크레인스 글로벌 코포레이션 승강 고리, 승강 고리의 안전 래치 및 그 안전 래치의 잠금 및 해제 장치
KR101776869B1 (ko) 2014-12-23 2017-09-14 주식회사 아인디자인 반자동 샤클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6978U (ja) * 1984-08-29 1986-03-28 象印チエンブロツク株式会社 シヤツクル
KR20080000757A (ko) 2006-06-28 2008-01-03 홍제윤 샤클 조립체
KR20090011746A (ko) 2007-07-27 2009-02-02 주식회사 피엔에이치 자동 개방형 샤클 조립체의 안전장치
KR100891101B1 (ko) * 2007-10-31 2009-03-30 주식회사 피엔에이치 자동 개방형 샤클 조립체
KR20170010748A (ko) 2014-03-10 2017-02-01 코네크레인스 글로벌 코포레이션 승강 고리, 승강 고리의 안전 래치 및 그 안전 래치의 잠금 및 해제 장치
KR101776869B1 (ko) 2014-12-23 2017-09-14 주식회사 아인디자인 반자동 샤클
KR200478395Y1 (ko) 2015-03-26 2015-09-30 최태진 스크류볼트 역회전 풀림방지용 샤클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892B1 (ko) * 2020-02-13 2021-01-12 주식회사 대성지티 이동체의 원터치 미세이동 및 이동방지장치
CN111495802A (zh) * 2020-04-22 2020-08-07 河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手动推压式除尘装置
KR20220000536U (ko) * 2020-08-26 2022-03-07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회전 각도 가변식 샤클구조체
KR200496065Y1 (ko) * 2020-08-26 2022-10-26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회전 각도 가변식 샤클구조체
CN114751296A (zh) * 2022-06-14 2022-07-15 杭州未名信科科技有限公司 一种塔机智能吊具及其电动解锁绳控制方法
KR20240006281A (ko) * 2022-07-06 2024-01-15 주식회사 이지락 안전 샤클
KR20240006280A (ko) * 2022-07-06 2024-01-15 주식회사 이지락 안전 샤클
KR102743006B1 (ko) * 2022-07-06 2024-12-16 주식회사 이지락 안전 샤클
KR102743004B1 (ko) * 2022-07-06 2024-12-16 주식회사 이지락 안전 샤클
US12331810B2 (en) 2022-07-06 2025-06-17 Easy Lock Co., Ltd. Safety shackle
CN116691459A (zh) * 2023-06-12 2023-09-05 安百拓(张家口)建筑矿山设备有限公司 凿岩台车、驾驶舱及其座椅装置
CN116729214A (zh) * 2023-08-10 2023-09-12 山东天河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煤矿液压锚杆钻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1669B1 (ko) 자동 풀림 샤클
KR100432776B1 (ko) 비계조인트
KR101960059B1 (ko)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US3033605A (en) Expansion-type grapple for lifting and carrying loads
US10577225B1 (en) Adjustable spreader bar
US4398762A (en) Pickup device for lifting concrete body
KR102415904B1 (ko) 견인 고리
CA2809684A1 (en) Chain hook
KR20180043516A (ko) 보강토 블럭 운반용 클램프
US2895430A (en) Freight securing means
KR101211038B1 (ko) 작업발판용 걸이고정구
US20060087137A1 (en) Remote release apparatus and method for lifting and releasing a load
KR20150061147A (ko) 퀵 커플러용 견인 고리
US7134701B1 (en) Frame for lifting beams and other elongated loads
KR101976378B1 (ko) 구조적인 안전성을 갖는 샤클
KR100974255B1 (ko) 중량물 인양에 사용되는 반자동 후크 장치
KR101211037B1 (ko) 작업발판용 걸이고정구
KR101954885B1 (ko) 오토바이용 슬라이드형 짐받이
KR102038200B1 (ko) 비계발판의 안전판
US2815556A (en) Safety belt clamp
KR102677144B1 (ko) 호이스트 크레인 래칭장치
KR102121924B1 (ko) 천장 크레인 제동장치
KR20150048455A (ko) 대차 고정장치
US3416830A (en) Releasable hanger for hoisting equipment
US816249A (en) Securing device for logging-chai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8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1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1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