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51495B1 - 방수방근시트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방수방근시트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1495B1
KR102051495B1 KR1020180145762A KR20180145762A KR102051495B1 KR 102051495 B1 KR102051495 B1 KR 102051495B1 KR 1020180145762 A KR1020180145762 A KR 1020180145762A KR 20180145762 A KR20180145762 A KR 20180145762A KR 102051495 B1 KR102051495 B1 KR 102051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sheet
waterproof sheet
pet film
self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5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0012A (ko
Inventor
김재용
Original Assignee
(주)세움특수건설
김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움특수건설, 김재용 filed Critical (주)세움특수건설
Publication of KR20190110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0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49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02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at least one of the layers permitting turfing of the ro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방수방근시트는, 부틸고무 재질의 자착식 방수시트와, 상기 자착식 방수시트의 저면에 적층되는 이형필름과, 상기 자착식 방수시트의 상면에 적층되는 PET필름과, 상기 PET필름 상면에 적층되는 유리메쉬섬유시트를 포함하되, 폭방향 일측은 상기 PET필름의 상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유리메쉬섬유시트가 짧게 형성되고, 폭방향 타측은 상기 PET필름 및 유리메쉬섬유가 상기 방수시트 및 이형필름보다 길게 연장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방수방근시트 시공방법은, 상기 이형필름을 제거한 후 상기 제1 방수방근시트를 상기 콘크리트 상면에 안착시키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방수방근시트에 포함되는 자착식 방수시트의 폭방향 일측 상면에 상기 제2 방수방근시트에 포함되는 자착식 방수시트의 폭방향 타측을 적층시키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방수방근시트에 포함되는 PET필름 및 유리메쉬섬유시트의 폭방향 타측을 상기 제1 방수방근시트에 포함되는 PET필름 및 유리메쉬섬유시트의 폭방향 타측 상면에 밀착시키는 제3 단계와, 상기 제1 방수방근시트의 폭방향 일측과 상기 제2 방수방근시트의 폭방향 타측이 상호 적층된 부위를 덮도록 우레탄보강부를 시공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방수방근시트 및 그 시공방법 {WATERPROOF AND ROOT ISOLATION SHEET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
본 발명은 방근기능과 방수기능을 구비하는 시트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두 개의 시트 간 결합력 및 방수성이 우수하고 시공이 용이한 방수방근시트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시 생태계 및 도시 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건물의 옥상녹화 또는 실내정원을 조성하는 사업을 많이 하고 있는데, 이들 옥상녹화 및 실내정원은 토양 생태계의 복원, 냉난방 에너지 절약, 도시 열섬화 현상 완화, 도시 홍수 예방, 공기 정화, 수질 정화, 소음 경감, 도시 경관 향상, 건축물의 내구성 향상 등 환경적 측면과 경제적 측면 등에서 여러 가지 이점이 있는 관계로 권장되고 있음은 물론, 일정 규모 이상의 건축물에는 의무적으로 옥상 녹화 시설을 갖추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옥상 녹화 시설을 설치하는데 자금도 지원해주고 있다.
상기와 같은 옥상녹화의 많은 이점에도 불구하고 옥상녹화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그중에서도 식물의 뿌리가 성장하여 건축물을 파손시키게 될 뿐만 아니라 방수층의 파손으로 건축물의 방수에 문제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즉, 옥상녹화 또는 실내정원을 조성하지 않았더라면 방수에 문제가 없었을 것인데, 옥상녹화 또는 실내정원을 조성함으로써 식물의 뿌리가 기존의 방수층은 쉽게 뚫고 들어가기 때문에 방근 뿐만 아니라 방수에도 문제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수시트인 고무화 콘크리트시트는 대부분 부직포가 시트의 두께방향에서 중간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접착층의 두께가 얇다. 이러한 방수시트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바닥면에 방수층을 형성하는 시공방법은 크게 밀착공법과 절연공법으로 나누어지는데, 밀착공법은 방수시트를 콘크리트 바닥면에 밀착시키는 시공법으로 만일 콘크리트 바닥면에 크랙이 발생하면 바닥면에 접착된 방수시트가 접착층의 두께가 얇아서 그 균열을 흡수해 줄 수가 없기 때문에 방수시트도 바닥면과 함께 크랙이 발생하게 되어 방수층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는 심각한 문제가 있고, 절연공법은 방수시트와 콘크리트 바닥면 사이가 접착되지 않고 떠 있기 때문에 바닥면에 크랙이 발생하더라도 방수시트에는 문제가 없지만 바닥면에 누수가 생기면 누수 개소를 찾기 위하여 방수시트 전체를 뜯어내고 찾아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방수시트를 시공할 때는 시트끼리의 접합부를 열융착방식으로 접착시키는데, 방수시트들은 열기구를 이용하여 시공하기 때문에 시트에 열이 과도하게 전달되었을 때에는 시트 표면이 손상되거나 변형되고, 또한 미열이 가해진 부분은 용융되지 않은 채 접착시킨 부분이 생기게 되어 접착력이 약화되게 되므로, 결국에는 들뜸 및 박리 등의 하자가 발생하여 누수가 발생하고 또, 접합부에서의 열융착 작업을 위하여 토치램프, 가스통, 가스관 등의 부수적인 장비가 필요하므로 화재 또는 화상을 입을 염려가 많아 안전 및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방수시트의 하부가 일반적인 콘크리트로 되어 있어서 콘크리트가 고형화되고 나면 딱딱해지기 때문에, 시공이 끝난 방수층에 하중이나 충격이 가해지면 콘크리트 자체가 깨지거나 갈라져서 방수시트에 문제가 생기게 될 뿐만 아니라, 방수시트와 방수시트가 접합되는 접합부에서 방수시트의 두께만큼의 높이 차가 생기기 때문에 시트의 길이를 따라 시트와 시트의 접합부에 공극(즉, 시트의 접합부에서 시트의 단부를 따라 생긴 공극)이 생기게 되고, 그 공극이 물이 흐르는 수로(水路) 역할을 하게 되어, 결국에는 그 수로를 따라 물이 고이고 방수에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방근 기능과 방수 기능을 구비하는 방수방근시트가 제안된바 있다. 이때 종래의 일반적인 방근시트는 강도 보강을 위해 최상층이 유리메쉬섬유로 이루어지는데, 유리메쉬섬유는 표면이 매끄럽지 아니하므로 두 개의 방수방근시트 양단을 겹쳐 연결하는 경우 두 개의 방수방근시트 간 결합력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유리메쉬섬유의 표면을 따라 수분이 침투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KR 10-1432707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방근기능과 방수기능을 구비하되, 두 시트 간 연결부위의 결합력 및 방수성이 우수하며, 두 시트 간 결합부위가 보강될 수 있고,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방수방근시트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방수방근시트는, 부틸고무 재질의 자착식 방수시; 상기 자착식 방수시트의 저면에 적층되는 이형필름; 상기 자착식 방수시트의 상면에 적층되는 PET필름; 및 상기 PET필름 상면에 적층되는 유리메쉬섬유시트; 를 포함하며, 폭방향 일측은 상기 PET필름의 상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유리메쉬섬유시트가 짧게 형성되고, 폭방향 타측은 상기 PET필름 및 유리메쉬섬유시트가 상기 자착식 방수시트 및 이형필름보다 길게 연장되되, 상기 PET필름의 상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 폭은 상기 PET필름 및 유리메쉬섬유시트가 상기 자착식 방수시트 및 이형필름보다 연장된 길이의 2배 이상이고, 상기 PET필름의 폭방향 타측에는 다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두 시트 간 결합부위는 제1 시트의 폭방향 일측의 노출된 PET필름 부분 상에 제2 시트의 방수시트가 놓여지고, 제2 시트의 폭방향 타측의 연장된 PET필름 및 유리메쉬섬유시트가 제2 시트의 방수시트의 측벽을 감싸며 제1 시트의 유리메쉬섬유시트 상에 놓여져 상호 겹쳐진 구조를 갖게 되고, 상기 상호 겹쳐진 두 시트 간 결합부위를 덮도록 우레탄보강부가 도포되어 상기 두 시트간 결합부위가 3중 보강구조를 갖도록 시공된다.
삭제
삭제
상기 자착식 방수시트와 상기 PET필름 사이에 삽입되는 부직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방수방근시트 시공방법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1 방수방근시트와 제2 방수방근시트를 콘크리트 상면에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이형필름을 제거한 후 상기 제1 방수방근시트를 상기 콘크리트 상면에 안착시키는 제1 단계; 상기 제1 방수방근시트에 포함되는 자착식 방수시트의 폭방향 일측 상면에 상기 제2 방수방근시트에 포함되는 자착식 방수시트의 폭방향 타측을 적층시키는 제2 단계; 상기 제2 방수방근시트에 포함되는 PET필름 및 유리메쉬섬유시트의 폭방향 타측을 상기 제1 방수방근시트에 포함되는 PET필름 및 유리메쉬섬유시트의 폭방향 타측 상면에 밀착시키는 제3 단계; 상기 제1 방수방근시트의 폭방향 일측과 상기 제2 방수방근시트의 폭방향 타측이 상호 적층된 부위를 덮도록 우레탄보강부를 시공하는 제4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방수방근시트는, 방근기능과 방수기능을 구비하되, 두 시트 간 연결부위의 결합력 및 방수성이 우수하며, 두 시트 간 결합부위가 3중으로 보강되어 결합력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방수방근시트 시공방법을 이용하면, 둘 이상의 시트를 매우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방수방근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방수방근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방수방근시트의 시공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방수방근시트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방수방근시트 제2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방수방근시트 제2 실시예의 시공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방수방근시트의 사용예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방수방근시트 제3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방수방근시트 제4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방수방근시트 및 그 시공방법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방수방근시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방수방근시트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방수방근시트는 건물의 옥상녹화 또는 실내정원 조성 시 방수기능을 수행함은 물론, 식물의 뿌리가 콘크리트(10)를 파고 들어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방근기능까지 구비하는 복합시트의 일종으로서, 부틸고무 재질의 자착식 방수시트(100)와, 상기 자착식 방수시트(100)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자착식 방수시트(100)의 저면에 적층되는 이형필름(200)과, 방수성 향상 및 취성강도 향상을 위해 상기 자착식 방수시트(100)의 상면에 적층되는 PET필름(300)과, 파단강도 향상을 위해 상기 PET필름(300) 상면에 적층되는 유리메쉬섬유시트(400)를 기본 구성요소로 구비한다. 상기 자착식 방수시트(100)는 별도의 점착제를 사용하지 아니하더라도 높은 밀착성을 가질 수 있도록 연성의 합성수지로 제작되며, 상기 이형필름(200)은 본 발명에 의한 방수방근시트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자착식 방수시트(100)의 표면이 손상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자착식 방수시트(10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자착식 방수시트(100) 및 이형필름(200)은 종래에도 다양한 재질로 적용된바 있으므로, 상기 자착식 방수시트(100)와 이형필름(2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방수방근시트 두 장을 연결할 때 상기 두 개의 방수방근시트의 끝단이 서로 맞닿도록 배열되면 두 개의 방수방근시트 사이로 물이 침투하거나 식물의 뿌리가 침투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바, 두 개의 방수방근시트 일측이 겹쳐지도록 즉, 두 겹으로 적층되는 구조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두 개의 방수방근시트 일측이 적층되더라도 외력에 의해 두 개의 방수방근시트가 분리될 우려가 있으므로, 방수방근시트가 상호 적층된 부위에는 우레탄이 추가로 도포된다.
이때, 우레탄이 도포되는 부위의 표면이 매끄러우면 우레탄 부착력이 떨어지므로, 본 발명에 의한 방수방근시트의 최상위층에는 거칠기가 매우 큰 유리메쉬섬유시트(400)가 적층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메쉬섬유시트(400)는 각 방향별 거칠기가 균일하게 확보되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무늬 형상을 이루도록 제작될 수도 있고, 일반 유리섬유와 같이 비정방형의 거친 표면을 갖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한편, 두 개의 방수방근시트 일부를 겹쳐 연결할 때 어느 하나의 방수방근시트에 포함되는 자착식 방수시트(100)가 다른 하나의 방수방근시트에 포함되는 유리메쉬섬유시트(400)의 상면에 직접 안착되는 경우, 자착식 방수시트(100)와 유리메쉬섬유시트(400)가 완벽하게 밀착되지 아니하여 투수의 우려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자착식 방수시트(100)와 유리메쉬섬유시트(400)가 완벽하게 밀착되지 아니하면 상호 결합력이 저감되는바, 두 개의 방수방근시트가 외력에 의해 쉽게 분리될 수 있다는 문제점도 발생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방수방근시트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상기 유리메쉬섬유시트(400)가 상기 PET필름(300)의 상면 전체를 덮는 것이 아니라 상기 PET필름(300)의 상면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적층된다는 점에 구성상의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방수방근시트의 폭방향 일측(도 2에서는 좌측)은 상기 PET필름(300)의 상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유리메쉬섬유시트(400)가 짧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PET필름(300)의 상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유리메쉬섬유시트(400)가 짧게 형성되면, 외부로 노출된 PET상면에 다른 하나의 방수방근시트를 적층시켜 두 개의 방수방근시트 간 접촉부위가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두 개의 방수방근시트 간 결합력과 방수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두 방수방근시트의 적층부위가 밀착되더라도 상호 맞닿는 면 사이로 물이 유입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방수방근시트는 적층 구조로 겹쳐진 부위가 보다 확실하게 밀봉될 수 있도록, 방수방근시트의 폭방향 타측(도 3에서는 우측)은 상기 PET필름(300) 및 유리메쉬섬유(400)가 상기 자착식 방수시트(100) 및 이형필름(200)보다 길게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PET필름(300) 및 유리메쉬섬유(400)의 폭방향 타측이 자착식 방수시트(100) 및 이형필름(200)보다 길게 연장되면, 두 개의 방수방근시트가 적층된 이후 PET필름(300) 및 유리메쉬섬유(400)의 폭방향 타측으로 두 개의 방수방근시트가 맞닿는 부위를 감싸 덮음으로써 두 방수방근시트 사이로 물이 투수되는 현상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방수방근시트의 시공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방수방근시트 2개(이하 '제1 방수방근시트'와 '제2 방수상근시트'라 한다)를 연결 시공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각 방수방근시트에 포함되어 있는 이형필름(200)을 제거한 후, 제1 방수방근시트(본 실시예에서는 우측 방수방근시트)를 콘크리트(10) 상면에 안착시키고, 상기 제1 방수방근시트에 포함되는 자착식 방수시트(100)의 폭방향 일측(본 실시예에서는 좌측) 상면에 제2 방수방근시트(본 실시예에서는 좌측 방수방근시트)에 포함되는 자착식 방수시트(100)의 폭방향 타측(본 실시예에서는 우측)을 적층시킨다.
이와 같이 제2 방수방근시트에 포함되는 자착식 방수시트(100)의 폭방향 타측이 제1 방수방근시트에 포함되는 PET필름(300)의 상면에 안착되면, 제2 방수방근시트의 자착식 방수시트(100)와 제1 방수방근시트의 PET필름(300)이 완벽하게 밀착되는바, 제1 방수방근시트와 제2 방수방근시트의 적층부위를 통해 물이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제1 방수방근시트와 제2 방수방근시트 간의 결합력이 높게 유지된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제2 방수방근시트의 자착식 방수시트(100)와 제1 방수방근시트의 PET필름(300)이 밀착되더라도, 상기 제2 방수방근시트의 자착식 방수시트(100)가 외력에 의해 들어 올려지는 경우 제2 방수방근시트의 자착식 방수시트(100)와 제1 방수방근시트의 PET필름(300) 사이로 물이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방수방근시트를 시공할 때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방수방근시트에 포함되는 PET필름(300) 및 유리메쉬섬유시트(400)의 폭방향 타측을 하향으로 절곡시켜 제2 방수방근시트에 포함되는 자착식 방수시트(100)의 끝단을 덮은 후, 수평방향으로 절곡시켜 제1 방수방근시트에 포함되는 PET필름(300) 및 유리메쉬섬유시트(400)의 폭방향 타측 상면에 밀착시킨다. 이와 같이 제2 방수방근시트에 포함되는 PET필름(300) 및 유리메쉬섬유시트(400)를 계단식으로 절곡시켜 밀착시키면, 상기 제2 방수방근시트의 자착식 방수시트(100)가 외력에 의해 들어 올려지더라도 제2 방수방근시트에 포함되는 PET필름(300) 및 유리메쉬섬유시트(400)는 제1 방근시트에 포함되는 유리메쉬섬유(400)를 덮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바, 제1 방수방근시트와 제2 방수방근시트 사이로 물이 유입되는 현상이 방지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제1 방수방근시트의 PET필름(300)과 제2 방수방근시트의 자착식 방수시트(100)의 접촉면적이 증가할수록 결합력 및 방수성이 향상되므로 제1 방수방근시트의 PET필름(300) 상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 폭은 충분히 넓게 확보되어야 함이 바람직하지만, 제2 방수방근시트에 포함되는 PET필름(300) 및 유리메쉬섬유시트(400)의 연장 길이는 제1 방수방근시트에 포함되는 자착식 방수시트(100)의 끝단을 감싼 후 제1 방수방근시트에 포함되는 유리메쉬섬유시트(400)의 상면 일부만을 덮을 수 있는 길이라면 충분하다. 따라서 상기 PET필름(300)의 상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 폭은 상기 PET필름(300) 및 유리메쉬섬유(400)가 상기 자착식 방수시트(100) 및 이형필름(200)보다 연장된 길이의 2배 이상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PET필름(300)의 상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 폭이 100㎜인 경우, 상기 PET필름(300) 및 유리메쉬섬유(400)가 상기 자착식 방수시트(100) 및 이형필름(200)보다 연장된 길이는 50㎜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제1 방수방근시트와 제2 방수방근시트의 안착이 완료되면, 상기 제1 방수방근시트의 폭방향 일측과 상기 제2 방수방근시트의 폭방향 타측이 상호 적층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수방근시트와 제2 방수방근시트의 적층 부위를 덮도록 우레탄보강부(500)를 시공한다. 상기 우레탄보강부(500)는 액상의 고경질 우레탄을 도포한 후 경화시키는 과정을 통해 제작되어, 제1 방수방근시트와 제2 방수방근시트의 결합부위가 3중으로 보강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우레탄보강부(500)는 종래의 방수시트에도 다양한 성분으로 제작되어 적용된바 있으므로, 상기 우레탄보강부(500)의 물성 및 형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기존발명기술 중 보강날개 형식인 삽입고정형 복합방수 공법을 보게 되면, 시트구성에서 개량아스팔트시트 하부에 부직포가 부착되어 있으며 시트 상부에는 폴리섬유가 부착되어 시트형성 되며 시트 끝단 부에 폭 90mm를 갖는 삽입고정형 보강테이프가 삽입된 제품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시트 시공 공법은 시트 간 맞땜으로 시공 조인투 보강 테이프 결합 후 상부에 전면적으로 도막방수재 를 도포하는 방식으로서, 바탕면과 부분절연으로 시공하는 공법이다. 이에 비해 본원발명은 자착식 방수시트(100) 하부에 이형필름(200)이 부착되어 있으며 자착식 방수시트(100) 상부에는 방근성능이 우수한 PET필름(300) 과 유리메쉬섬유(400)가 부착된 구조로서, 생산시 PET필름(300)과 유리메쉬섬유(400) 일부가 자착식 방수시트(100)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2중으로 보강된 후, 우레탄보강부(500)에 의해 3차 보강이 이루어지는바, 방수 및 방근 성능이 매우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방수방근시트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방수방근시트 제2 실시예의 단면도이며,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방수방근시트 제2 실시예의 시공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방수방근시트는 파단강도 및 수평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상기 자착식 방수시트(100)와 상기 PET필름(300) 사이에 삽입되는 부직포(60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600)가 추가로 구비되면 방수방근시트의 강도를 증가시킬뿐만 아니라 방수방근시트의 두께를 증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바, 상기 부직포(600)의 재질 및 두께는 방수방근시트의 용도나 특성 등 여러가지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직포(600)가 추가된 방수방근시트를 2개 이상 연이어 시공하는 경우에도, 이형필름(200)을 제거한 후 상기 제1 방수방근시트를 콘크리트(10) 상면에 안착시키는 단계와, 제1 방수방근시트에 포함되는 자착식 방수시트(100)의 폭방향 일측 상면에 제2 방수방근시트에 포함되는 자착식 방수시트(100)의 폭방향 타측을 적층시키는 단계와, 제2 방수방근시트에 포함되는 PET필름(300) 및 유리메쉬섬유시트(400)의 폭방향 타측을 제1 방수방근시트에 포함되는 PET필름(300) 및 유리메쉬섬유시트(400)의 폭방향 타측 상면에 밀착시키는 단계와, 제1 방수방근시트의 폭방향 일측과 제2 방수방근시트의 폭방향 타측이 상호 적층된 부위를 덮도록 우레탄보강부(500)를 시공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즉, 부직포(600)가 추가된 방수방근시트를 2개 이상 연이어 시공하는 방법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부직포(600)가 추가된 방수방근시트를 시공하는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방수방근시트의 사용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방수방근시트를 이용하여 옥상녹화를 하는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10) 상에 프라이머(20)를 도포한 후, 자착식 방수시트(100)와 이형필름(200), PET필름(300), 유리메쉬섬유(400)를 안착시키고, 우레탄보강부(500)를 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방수방근시트의 설치가 완료되면, 조경용배수판(30)을 설치한 후 그 위에 조경토(40)를 적층시킴으로써, 식물을 식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옥상녹화를 하면, 콘크리트(10)의 상면이 방수처리되면서 식물의 뿌리가 본 발명에 의한 방수방근시트를 뚫고 내려가지 못하므로, 콘크리트(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방수방근시트 상에 조경용배수판(30)을 설치하면 조경토(40)로 공급한 물이 원활하게 배수되므로, 배수 불량으로 인해 식물의 뿌리가 썩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방수방근시트 제3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방수방근시트 제4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방수방근시트는 일측(도 12에서는 좌측)의 PET필름(300)이 타측(도 12에서는 우측)의 유리메쉬섬유(400)를 덮도록 결합된다는 점에 구조상의 특징이 있는데, 이때 상기 PET필름(300)이 유리메쉬섬유(400)에 안정적으로 부착되지 아니하면 우레탄보강부(500)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PET필름(300)이 젖혀질 수 있을뿐만 아니라, 일측의 PET필름(300)과 타측의 유리메쉬섬유(400) 사이에 이격공간이 발생되어 조인트 부위의 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방수방근시트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상기 PET필름(300) 저면에 도포되는 접착층(310)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착층(310)은 일측의 PET필름(300)을 타측의 유리메쉬섬유(400) 상에 안정적으로 부착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종류의 점착제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일측의 PET필름(300)을 타측의 유리메쉬섬유(400) 상에 부착시키기 이전에 접착층(310)이 오염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접착층(310)에는 별도의 이형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착층(310)은 PET필름(300)의 저면 중 자착식 방수시트(100) 및 부직포(600)보다 더 돌출된 부위에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방수방근시트는 우레탄보강부(500) 시공 시 우레탄이 일측의 PET필름(300)을 타측의 유리메쉬섬유(400)에 더욱 확실하게 고착시킬 수 있도록,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PET필름(300)의 폭방향 타측에는 다수 개의 관통공(3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PET필름(300)에 관통공(320)이 형성되면, 우레탄보강부(500)를 시공하였을 때 액상의 우레탄이 상기 관통공(320)을 통과한 후 경화되는 과정을 통해 유리메쉬섬유(400)와 접합되는바, 두 개의 방수방근시트 간의 결합력이 더욱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관통공(320)의 형상 및 개수는 본 발명에 의한 방수방근시트의 용도 및 규격 등 여러가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콘크리트 100 : 자착식 방수시트
200 : 이형필름 300 : PET필름
310 : 접착층 320 : 관통공
400 : 유리메쉬섬유 500 : 우레탄보강부
600 : 부직포

Claims (3)

  1. 부틸고무 재질의 자착식 방수시트(100);
    상기 자착식 방수시트(100)의 저면에 적층되는 이형필름(200);
    상기 자착식 방수시트(100)의 상면에 적층되는 PET필름(300); 및
    상기 PET필름(300) 상면에 적층되는 유리메쉬섬유시트(400); 를 포함하며,
    폭방향 일측은 상기 PET필름(300)의 상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유리메쉬섬유시트(400)가 짧게 형성되고, 폭방향 타측은 상기 PET필름(300) 및 유리메쉬섬유시트(400)가 상기 자착식 방수시트(100) 및 이형필름(200)보다 길게 연장되되, 상기 PET필름(300)의 상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 폭은 상기 PET필름(300) 및 유리메쉬섬유시트(400)가 상기 자착식 방수시트(100) 및 이형필름(200)보다 연장된 길이의 2배 이상이고, 상기 PET필름(300)의 폭방향 타측에는 다수 개의 관통공(320)이 형성되며,
    두 시트 간 결합부위는 제1 시트의 폭방향 일측의 노출된 PET필름(300) 부분상에 제2 시트의 방수시트(100)가 놓여지고, 제2 시트의 폭방향 타측의 연장된 PET필름(300) 및 유리메쉬섬유시트(400)가 제2 시트의 방수시트(100)의 측벽을 감싸며 제1 시트의 유리메쉬섬유시트(400) 상에 놓여져 상호 겹쳐진 구조를 갖게 되고, 상기 상호 겹쳐진 두 시트 간 결합부위를 덮도록 우레탄보강부가 도포되어 상기 두 시트간 겹합부위가 3중 보강구조를 갖도록 시공되고,
    상기 PET필름(300)의 상기 자착식 방수시트(100)보다 더 돌출된 부위 저면에는 접착층(310)이 도포되고,
    상기 자착식 방수시트(100)와 상기 PET필름(300) 사이에 부직포(600)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방근시트.
  2. 삭제
  3. 청구항 1에 의한 제1 방수방근시트와 제2 방수방근시트를 콘크리트(10) 상면에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이형필름(200)을 제거한 후 상기 제1 방수방근시트를 상기 콘크리트(10) 상면에 안착시키는 제1 단계;
    상기 제1 방수방근시트에 포함되는 자착식 방수시트(100)의 폭방향 일측 상면에 상기 제2 방수방근시트에 포함되는 자착식 방수시트(100)의 폭방향 타측을 적층시키는 제2 단계;
    상기 제2 방수방근시트에 포함되는 PET필름(300) 및 유리메쉬섬유시트(400)의 폭방향 타측을 상기 제1 방수방근시트에 포함되는 PET필름(300) 및 유리메쉬섬유시트(400)의 폭방향 타측 상면에 밀착시키는 제3 단계;
    상기 제1 방수방근시트의 폭방향 일측과 상기 제2 방수방근시트의 폭방향 타측이 상호 적층된 부위를 덮도록 우레탄보강부(500)를 시공하는 제4 단계; 를 포함하는 방수방근시트 시공방법.
KR1020180145762A 2018-03-19 2018-11-22 방수방근시트 및 그 시공방법 Active KR1020514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608 2018-03-19
KR20180031608 2018-03-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012A KR20190110012A (ko) 2019-09-27
KR102051495B1 true KR102051495B1 (ko) 2019-12-04

Family

ID=68097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5762A Active KR102051495B1 (ko) 2018-03-19 2018-11-22 방수방근시트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14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5908B1 (ko) 2021-02-18 2021-09-01 주식회사흥신이엔씨 수팽창성 아크릴레이트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근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004B1 (ko) * 2019-10-02 2020-05-26 주식회사 파워픽스코리아 건식 방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식 방수 공법
KR102388475B1 (ko) * 2020-05-21 2022-04-19 배근우 옥상 녹화용 광학식 방근시스템
KR102339395B1 (ko) * 2021-06-09 2021-12-15 주식회사 알피티 라돈 차단 시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799907B1 (ko) * 2023-11-24 2025-04-30 권영화 방수/방근시트 시공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7618B1 (ko) * 1999-08-18 2002-05-23 김경옥 개량 방수시트 및 이를 사용한 복합도막 방수시공방법
KR200405387Y1 (ko) * 2005-10-07 2006-01-11 김지윤 메쉬형 유리섬유시트
KR100804677B1 (ko) * 2007-03-12 2008-02-20 김기철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옥상 방수층 및 방수방법
KR101042386B1 (ko) * 2010-12-21 2011-06-17 (주)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방수 시트, 그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방수/방근 공법 및 방수/방근 구조
KR101214810B1 (ko) * 2012-04-27 2012-12-24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방수?방근 일체형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근구조의 시공방법
JP5380917B2 (ja) * 2008-06-18 2014-01-08 日東紡績株式会社 防水シート及び防水施工方法
KR101432707B1 (ko) * 2014-05-22 2014-08-25 김재용 삽입 고정형 조인트를 가진 복합방수용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101541324B1 (ko) * 2015-05-08 2015-08-03 강충모 방수용 씰 도막재와 테이프 및 이를 사용한 방수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7618B1 (ko) * 1999-08-18 2002-05-23 김경옥 개량 방수시트 및 이를 사용한 복합도막 방수시공방법
KR200405387Y1 (ko) * 2005-10-07 2006-01-11 김지윤 메쉬형 유리섬유시트
KR100804677B1 (ko) * 2007-03-12 2008-02-20 김기철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옥상 방수층 및 방수방법
JP5380917B2 (ja) * 2008-06-18 2014-01-08 日東紡績株式会社 防水シート及び防水施工方法
KR101042386B1 (ko) * 2010-12-21 2011-06-17 (주)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방수 시트, 그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방수/방근 공법 및 방수/방근 구조
KR101214810B1 (ko) * 2012-04-27 2012-12-24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방수?방근 일체형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근구조의 시공방법
KR101432707B1 (ko) * 2014-05-22 2014-08-25 김재용 삽입 고정형 조인트를 가진 복합방수용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101541324B1 (ko) * 2015-05-08 2015-08-03 강충모 방수용 씰 도막재와 테이프 및 이를 사용한 방수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5908B1 (ko) 2021-02-18 2021-09-01 주식회사흥신이엔씨 수팽창성 아크릴레이트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근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012A (ko) 2019-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1495B1 (ko) 방수방근시트 및 그 시공방법
US8104245B2 (en) Method for waterproofing a structural surface
KR100363436B1 (ko) 옥상 방수용 플라스틱 패널
KR100869167B1 (ko) 양단부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 하부가 고정 접합 되는시트 조인트를 구비한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TWI267576B (en) Prefab-type waterproofing structur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waterproofing structure
KR101366160B1 (ko)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061241B1 (ko) 복합 기능성 보드와 이를 이용한 옥상 방수 및 녹화 구조
KR101431380B1 (ko) 조인트 절연형 삼중 복합방수공법
KR101530600B1 (ko) 시공성과 내구성 및 내크랙성이 뛰어난 방수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875476B1 (ko) 건설구조물의 방수공법
KR20100105211A (ko) 개량방수시트와 이를 사용한 방수시공방법 및 방수구조
KR100412935B1 (ko) 복합 시트 방수재와 그 방수재를 이용한 방수방법
KR100885024B1 (ko) 터널용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터널용 방수부재
KR102072401B1 (ko) 금속사시트테이프를 이용한 방근방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근방수공법
KR20070006001A (ko) 2중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및 방수구조
KR101465453B1 (ko) 건물의 방수구조
KR20170104172A (ko) 교량 슬래브의 복합식 방수 공법 및 방수 구조
KR102438120B1 (ko) 접합부 상호결합형 시트
KR101041557B1 (ko) 지붕 슁글의 보수 및 날림방지 공법과 그 지붕 슁글
JP4794375B2 (ja) 外装材及び外装構造
KR100878342B1 (ko) 지하시설물의 비노출식 방수 시공방법
KR20070085022A (ko) 옥상 코너부의 방수 보호대
KR200211908Y1 (ko) 복합 시트 방수재
KR101488843B1 (ko) 시트 방수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050120222A (ko) 발포층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방수시트 및 방수시트연결부의 절연식 접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2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3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1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1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