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51132B1 - 미라베그론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방출조절용 약제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미라베그론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방출조절용 약제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1132B1
KR102051132B1 KR1020170033944A KR20170033944A KR102051132B1 KR 102051132 B1 KR102051132 B1 KR 102051132B1 KR 1020170033944 A KR1020170033944 A KR 1020170033944A KR 20170033944 A KR20170033944 A KR 20170033944A KR 102051132 B1 KR102051132 B1 KR 102051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rmaceutical composition
mirabegron
peo
present
controlled relea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3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6185A (ko
Inventor
김수연
김민수
서혜진
박신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종근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종근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종근당
Priority to KR1020170033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1132B1/ko
Priority to CN201880018616.8A priority patent/CN110446490B/zh
Priority to JP2019548680A priority patent/JP2020510679A/ja
Priority to PCT/KR2018/003043 priority patent/WO2018169325A1/ko
Publication of KR20180106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132B1/ko
Priority to JP2021123899A priority patent/JP2021185139A/ja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3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thylene glycol, polyethylene oxide, poloxa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5Thiazoles
    • A61K31/4261,3-Th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라베그론(mirabegron)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방출조절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활성성분으로 미라베그론의 방출조절을 위하여 폴리에틸렌옥사이드를 포함하여, 인체에 무해하고 제제학적으로 제조하기 용이한 방출조절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미라베그론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방출조절용 약제학적 조성물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controlled release comprising Mirabegron or its salts}
본 발명은 미라베그론(mirabegron)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방출조절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활성성분으로 미라베그론의 방출조절을 위하여 폴리에틸렌옥사이드를 포함하여, 인체에 무해하고 제제학적으로 제조하기 용이한 방출조절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미라베그론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로, 이의 화학명은 (R)-2-(2-아미노티아졸-4-일)-4'-{2-[(2-히드록시-2-페닐에틸)아미노]에틸}아세트아닐리드이다.
Figure 112017026784818-pat00001
미라베그론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β3 아드레날린 수용체 아고니스트 작용을 갖고 있다. 미라베그론은 과민성 방광 환자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절박뇨, 빈뇨 또는 절박요실금의 증상의 치료를 위해 사용되고 있으며, 한국에서 베타미가서방정®의 제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다.
미라베그론은 방광에 소변이 차오르는 저장기(storage phase)에 방광을 이완시키고, 이러한 방광 이완 효과로 인해 방광의 저장 능력을 향상시킨다(Naunyn Schmiedebergs Arch Pharmacol 2013; 386: 71-8). 또한, 방광에 허혈이 발생한 쥐 모델을 이용해 연구를 진행한 결과, 미라베그론은 방광기능 및 형태를 보호하여 방광의 과활동성을 감소시킨다고 밝혀졌다(Eur Urol 2013; 64: 664-71).
미라베그론의 이러한 약물학적 효과를 최대한 발현하기 위해서, 방출조절용 제제의 개발이 필요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1524164호는 미라베그론을 포함하는 방출제어용 의약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a) 제제 내부에 물을 침입시키기 위한 친수성 첨가제 및 (b) 하이드로겔을 형성하는 고분자 물질을 포함함으로써, 1.5시간에 제제로부터 약물 용출률이 75% 이하, 7시간에 75% 이상 100% 이하인 방출제어용 제제를 개시한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507400호는 광조사 하에 저장시 약물 용출에 변화가 없는 의약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a) 친수성 기제, (b) 평균분자량이 200만 이상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및 (c) 산화철을 포함하는 경구용 의약 조성물을 개시한다.
상기 등록특허는 모두 친수성 기제를 포함하고, 친수성 기제의 대표적인 물질로 폴리에틸렌글리콜(PEG)를 사용한다.
그러나, 친수성 기제로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할 경우, 폴리에틸렌글리콜이 지연된 또는 즉각적인 과민반응(delayed and immediate hypersensitivity)을 유발하는 사례들이 발견되었다(Sapna Shah MD, et al., Hypersensitivity to Polyethylene Glycols, The Journal of Clinical Pharmacology). 이와 더불어 폴리에틸렌글리콜은 ABC Phenomenon(accelerated blood clearance)으로 인한 약동학적 거동의 변화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U.S. Schuber et al., Polyethylene glycol in Drug delivery, Angewandte chemie).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미라베그론을 포함하는 방출조절용 제제의 제조시, 인체에 무해하고 안정한 약제학적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일반적으로 생물학적으로 비활성이고 안전하다고 간주된다. 그러나 소수의 사람들에게 과민반응을 유발하며, 약동학적 거동을 변화시키는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폴리에틸렌글리콜과 같은 친수성 기제를 포함하지 않으면서, 안전하고 제제학적으로 제조하기 용이한 약제학적 조성물 및 제제를 개발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활성성분으로 미라베그론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고 서방화기제로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PEO)를 포함하는 방출조절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는 PEO 30만 및 PEO 100만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때, 약물의 지속적인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약물동태 및 용출률이 매우 우수하다. 또한, PEO 30만 및 PEO 100만을 1:0.1 내지 1:5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는 약 30만 이상의 평균 분자량을 갖는다. 또한, 폴리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분자량이 100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폴리에틸렌옥사이드는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예를 들면, Polyox WSR N-12K, Polyox N-60K, Polyox N-750, Polyox WSR 301 NF 또는 Polyox WSR 303NF가 본 발명의 투여 제형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친수성 기제를 5% 미만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친수성 기제는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비닐피롤리돈(PVP) 등의 수용성 고분자; D-만니톨, 소르비톨, 자일리톨 등의 당알코올류; 젖당, 백당, 무수 말토오스, D-프럭토오스, 덱스트란, 포도당 등의 당류;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계면활성제; 염화나트륨, 염화마그네슘 등의 염류;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등의 유기산; 글리신, 알라닌, 염산리신 등의 아미노산류; 메글루민 등의 아미노산 당류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착색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색제는 카르민, 카라멜, β-카로틴, 산화티탄, 탈크, 인산리보플라빈나트륨, 황색 알루미늄레이크 등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레이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미라베그론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고, 약제학적 분야에서 통상적인 제제, 예를 들면 정제, 캅셀제, 비드, 비들렛, 과립, 환제, 트로키제, 액제, 현탁제 등의 경구투여용 제제 또는 비경구투여용 제제로 제제화될 수 있으며, 특히 경구투여용 정제일 수 있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의 약제학적 제제는 필요에 따라 pH 조절제, 현탁화제, 보존제, 착향제, 착색제, 감미제, 흡착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함량은 본 발명에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제는 용기에 포장될 수 있으며, 기밀 포장체에 포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용기는 기밀용기 및 밀봉용기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경구투여용 정제는 알루미늄은박(alu-alu) 포장 용기로 포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미라베그론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방출제어를 통해 약효를 오랫동안 지속시키고, 인체에 무해하며, 제제학적으로 제조하기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의 pH 6.8 용출액에서 패들법(50rpm, 37℃)으로 용출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활성성분으로 미라베그론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고 서방화기제로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를 포함하는 방출조절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는 PEO 100만 및 PEO 30만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PEO 30만 및 PEO 100만을 1:0.1 내지 1:5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의 평균분자량이 100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친수성 기제를 5% 이상 포함하지 않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은 친수성 기제로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이 제제화되는 방출조절용 제제를 포함하며, 이는 경구투여용 정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제는 플라스틱 용기로 포장될 수 있고, 플라스틱 용기가 알루미늄은박(Alu-Alu)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에 사용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의 분자량을 변화시켜 약제학적 제제를 아래와 같은 제조방법으로 제조하였다.
과립의 조제
미라베그론과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olyox® WSR N-12K)을 균질하게 혼합한 후, 에탄올에 히드록시프로필셀롤로오스와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이 용해된 결합액을 넣어 연합하여 제립, 건조하고 정립하였다.
최종혼합
상기 정립물을 혼합기에 넣고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및 스테아르산마그네슘을 체과하여 투입한 후, 혼합을 진행하여 최종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타정
상기 최종 혼합물을 자동 타정기(XP1, Korsh, 독일)을 이용하여 타정하여 총 중량 250mg의 정제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19069039326-pat00006
[시험예 1]
용출시험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정제를 pH 6.8(900mL, 50rpm)에서 용출시험을 수행하였고, 이의 액체크로마토그래프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 검출기 : 자외부흡광광도계 (측정파장 : 250 nm)
- 칼럼 : C18 (4.6 mm × 150 mm, 5 μm)
- 이동상 : 이동상 A와 B를 7:3 비율로 혼화하여 사용한다.
Figure 112017026784818-pat00003
이동상 A : 물 900 mL에 8.7 mL의 과염소산(70%)과 3.0g의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한 후, 0.1 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pH 2.0을 조정한 다음 1000 mL로 맞춘다.
Figure 112017026784818-pat00004
이동상 B : 아세토니트릴
- 유속 : 4분에 미라베그론이 검출되도록 유속을 조절
- 컬럼온도 : 40 ℃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으며, 용출률을 확인하였다. 즉, PEO 100만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PEO 100만과 PEO 30만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더 우수한 용출률을 나타내었다.

Claims (11)

  1. 활성성분으로 미라베그론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고, 서방화기제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EO) 30만 및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EO) 100만을 포함하고, 친수성 기제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조절용 약제학적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PEO 30만 및 PEO 100만을 1:0.1 내지 1:5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착색제로 알루미늄레이크를 추가로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8. 제1항에 따른 조성물이 제제화되는 방출조절용 제제.
  9. 제8항에 있어서, 경구투여용 정제인 방출조절용 제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플라스틱 용기로 포장되는 방출조절용 제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용기가 알루미늄은박(Alu-Alu)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조절용 제제.
KR1020170033944A 2017-03-17 2017-03-17 미라베그론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방출조절용 약제학적 조성물 Active KR102051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944A KR102051132B1 (ko) 2017-03-17 2017-03-17 미라베그론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방출조절용 약제학적 조성물
CN201880018616.8A CN110446490B (zh) 2017-03-17 2018-03-15 包含米拉贝隆或其盐的用于调节释放的药剂学组合物
JP2019548680A JP2020510679A (ja) 2017-03-17 2018-03-15 ミラベグロンまたはその塩を含む放出調節用薬剤学的組成物
PCT/KR2018/003043 WO2018169325A1 (ko) 2017-03-17 2018-03-15 미라베그론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방출조절용 약제학적 조성물
JP2021123899A JP2021185139A (ja) 2017-03-17 2021-07-29 ミラベグロンまたはその塩を含む放出調節用薬剤学的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944A KR102051132B1 (ko) 2017-03-17 2017-03-17 미라베그론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방출조절용 약제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185A KR20180106185A (ko) 2018-10-01
KR102051132B1 true KR102051132B1 (ko) 2019-12-02

Family

ID=63522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3944A Active KR102051132B1 (ko) 2017-03-17 2017-03-17 미라베그론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방출조절용 약제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2) JP2020510679A (ko)
KR (1) KR102051132B1 (ko)
CN (1) CN110446490B (ko)
WO (1) WO201816932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2240A (ko) 2020-03-03 2021-09-14 동광제약 주식회사 미라베그론을 포함하는 제어 방출 제제
KR20230026963A (ko) * 2021-08-18 2023-02-27 주식회사 삼양홀딩스 룩소리티닙의 경구용 정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9944A1 (en) * 2019-10-09 2021-04-15 Alvogen Korea Co.,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mirabegron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4338729A1 (en) 2022-09-19 2024-03-20 Sanovel Ilac Sanayi Ve Ticaret A.S. A tablet comprising mirabegron
WO2024144207A1 (en) * 2022-12-26 2024-07-04 Rexpharmtech Co., Ltd Sustained-release tablet comprising apixaban
EP4410279A1 (en) 2023-01-25 2024-08-07 Sanovel Ilac Sanayi Ve Ticaret A.S. A film tablet comprising mirabegr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4164B1 (ko) * 2008-09-30 2015-06-01 아스텔라스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방출 제어 의약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ZA99407B (en) * 1998-01-22 1999-07-20 Abbott Lab Extended release tiagabine formulations with reduced side-effects.
JP3815496B2 (ja) * 2002-11-07 2006-08-30 アステラス製薬株式会社 酢酸アニリド誘導体を有効成分とする過活動膀胱治療剤
CN1905856A (zh) * 2003-12-23 2007-01-31 阿尔扎公司 用于增加受控递送的药物组合物的溶解度的方法和剂型
SA07280459B1 (ar) * 2006-08-25 2011-07-20 بيورديو فارما إل. بي. أشكال جرعة صيدلانية للتناول عن طريق الفم مقاومة للعبث تشتمل على مسكن شبه أفيوني
JP5849946B2 (ja) * 2010-03-29 2016-02-03 アステラス製薬株式会社 放出制御医薬組成物
EP2832730A4 (en) * 2012-03-30 2015-09-09 Astellas Pharma Inc MIRABEGRAPHIC PHARMACEUTICAL COMPOSITION
HK1208801A1 (en) * 2012-08-31 2016-03-18 安斯泰来制药株式会社 Orally administered medical composition
CN104288116A (zh) * 2014-09-05 2015-01-21 南京华威医药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米拉贝隆缓释片组合物
KR20170088783A (ko) * 2017-07-07 2017-08-02 지엘팜텍주식회사 미라베그론의 습식과립 조성물
EP3292864A1 (en) * 2017-10-12 2018-03-14 Synthon B.V. Modified release tablet composition comprising mirabegr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4164B1 (ko) * 2008-09-30 2015-06-01 아스텔라스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방출 제어 의약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2240A (ko) 2020-03-03 2021-09-14 동광제약 주식회사 미라베그론을 포함하는 제어 방출 제제
KR20230026963A (ko) * 2021-08-18 2023-02-27 주식회사 삼양홀딩스 룩소리티닙의 경구용 정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794148B1 (ko) * 2021-08-18 2025-04-11 주식회사 삼양홀딩스 룩소리티닙의 경구용 정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446490A (zh) 2019-11-12
WO2018169325A1 (ko) 2018-09-20
JP2020510679A (ja) 2020-04-09
KR20180106185A (ko) 2018-10-01
CN110446490B (zh) 2023-04-04
JP2021185139A (ja) 2021-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1132B1 (ko) 미라베그론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방출조절용 약제학적 조성물
EP2200591A2 (en) Controlled release pharmaceutical dosage forms of trimetazidine
ES2281313T3 (es) Composiciones farmacéuticas que comprenden lercanidipino
KR102479497B1 (ko) 바레니클린 서방성 제제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2503613A (ja) コンパクト化シナカルセット
KR20150002453A (ko) 타다라필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저작정 제제
CA2852417A1 (en) Sustained-release preparation
KR102062791B1 (ko) 미라베그론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함유한 방출조절 제제
EP2377522B1 (en) Orally disintegrating tablet formulations of mirtazapine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EP2335698B1 (en) Pharmaceutical solid preparation having active ingredients separated by boundary therein
KR102206104B1 (ko) 실로도신을 포함하는 과립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제형
CA3190856A1 (en) Solid dosage forms of palbociclib
EP3697392B1 (en) Tablets comprising tamsulosin and solifenacin
EP3025707A1 (en) A multilayer tablet comprising metformin and pioglitazone
RU2616263C2 (ru) Таблетка с замедленным высвобождением, содержащая леводропропизин,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JP2023071921A (ja) 様々な用量のレナリドミドの経口用錠剤組成物
EP2409685A2 (en) Orally-disintegrating formulations of prasugrel
EP2903593B1 (en) Tablet containing composite with cyclodextrin
CA2420712C (en) Fast release cefuroxime axetil compositions
JP2023035359A (ja) グアンファシン製剤
CA2520813C (en) Sustained release formulations of alkylene dioxybenzene derivatives useful as 5-ht1a agonists
TR202019592A2 (tr) Amorf dapagliflozinin katı farmasötik formülasyonları
WO2003075919A1 (fr) Comprime contenant du chlorhydrate de pilsicainide (voie seche)
EP3023094B1 (en) Novel formulation of cilostazol
KR20210096162A (ko) 의약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17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1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3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5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1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