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50912B1 - 스위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0912B1
KR102050912B1 KR1020190116159A KR20190116159A KR102050912B1 KR 102050912 B1 KR102050912 B1 KR 102050912B1 KR 1020190116159 A KR1020190116159 A KR 1020190116159A KR 20190116159 A KR20190116159 A KR 20190116159A KR 102050912 B1 KR102050912 B1 KR 102050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movable contact
coil spring
handle
guide groo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6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현
Original Assignee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6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09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0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091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20Driving mechanisms
    • H01H13/22Driving mechanisms acting with snap a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6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wherein the switch has more than two electrically distinguishable positions, e.g. multi-position push-button switches
    • H01H13/66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wherein the switch has more than two electrically distinguishable positions, e.g. multi-position push-button switches the operating member having only two posi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정격 용량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외부전선이 내부로 수용되도록 구비되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가이드홈이 후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 일측에 한쌍의 스토퍼부가 형성되며, 전단측 테두리에 축삽입부가 형성되는 바디부;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축삽입부에 힌지 연결되되, 전단부에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노출 배치되는 손잡이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후단부 중앙측에 플런저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 수용부의 폭방향 양측에 가동접촉부재 수용부가 각각 형성되는 핸들부; 상기 핸들부를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플런저 수용부에 배치되며, 상기 핸들부의 회동시 압축한계점에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코일스프링; 전단부 중앙측이 상기 제1코일스프링에 연결되되, 상기 핸들부의 회동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전단부 폭방향 양측이 상기 플런저 수용부에 힌지 연결되며, 후측이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플런저; 상기 핸들부와 연동되어 회동되도록 상기 가동접촉부재 수용부에 삽입 고정되며, 일단에 이동접촉단이 형성되고 타단이 전선 연결되는 한쌍의 가동접촉부재; 각 상기 가동접촉부재의 타단에 전선 연결되어 제1외부전선과 통전되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는 한쌍의 제1통전단자; 및 상기 수용공간에 제2외부전선과 통전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이동접촉단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이동접촉단에 대향되는 위치에 고정접촉단이 형성되는 제2통전단자를 포함하는 스위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위치{switch}
본 발명은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격 용량이 개선되는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용품, 전기장치 및 전기설비 같은 전기 응용품에 불필요한 경우 외에 전기 스위치는 필수적이다. 이때, 공지되어 있는 여러 종류의 스위치 중에서 로커(rocker) 스위치와, 푸시버튼(push-button) 스위치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로커 스위치는 서로 다른 선택적인 동작 모드에 대응하는 적어도 2개의 선택적인 안정 동작 위치들 사이에서 토글(toggle)될 수 있는 로커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상기 푸시버튼 스위치는 누른 후에 떼는 것과 같이 순차적인 간단한 선형 동작에 의해 선형으로 구동되는 푸시버튼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로커형 스위칭 기구를 포함하고 있는 푸시버튼 구동형 스위치도 이미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스위치는 한 쌍의 회로라인 중 하나를 교번하여 연결하는 전환 기능을 제공함에 따라 계단의 상하, 베란다나 거실 등 떨어진 위치에서 하나의 전기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두개의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푸시버튼 스위치는 가압을 위한 푸시버튼, 회로 사이의 연결을 전환하는 스위칭 기구, 푸시버튼의 동작을 스위칭 기구의 모드 변환에 적합한 동작으로 변환하는 구동변환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구동변환수단은 스위칭 기구에 연결되어 스위칭 기구의 횡방향 구동력을 제공하는 로커부재와, 상기 푸시버튼의 하부에 구비되어 횡방향으로 탄발 이동되는 슬라이드작동부재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로커부재의 상면부 양측에는 한 쌍의 쐐기형 돌출헤드가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작동부재의 하면부 양측에는 상기 각 연결돌기에 대응되는 한 쌍의 가압돌기가 구비된다.
이러한, 종래의 푸시버튼 스위치는 상기 푸시버튼의 하강시 상기 슬라이드작동부재의 연결돌기 중 하나가 돌출헤드 중 하나의 내측면을 따라 다른 돌출헤드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그리고, 슬라이드 이동된 위치에서 다른 돌출헤드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로커부재를 일측으로 회전시키는 복잡한 과정으로 스위칭 기구의 모드 변환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돌출헤드 사이의 간격과 로커부재의 회전각도에 따라 연결돌기 사이의 간격이 정확하게 설계되는 경우에만 스위칭 기구의 모드 변환이 이루어질 수 있어 전체적인 스위치의 구조 변경이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위칭 기구의 모드 변환시 로커부재의 회전각도가 미세하게 어긋난 경우에도 로커부재의 돌출헤드 사이에 슬라이드작동부재의 연결돌기가 걸려 로커부재의 회전 내지는 슬라이드작동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이 불가능해지므로 고장이 잦아 불편함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정격 용량이 높은 스위치가 없어 차단기에서 실외기로 곧바로 전원이 들어오는 구조로 되어있기 때문에 실외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차단기를 내려 전원을 차단해야 하여 사용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스위치는 방수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실외에 설치되는 경우 누수가 발생하여 사용시 안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025679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정격 용량이 개선되는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전선이 내부로 수용되도록 구비되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가이드홈이 후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 일측에 한쌍의 스토퍼부가 형성되며, 전단측 테두리에 축삽입부가 형성되는 바디부;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축삽입부에 힌지 연결되되, 전단부에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노출 배치되는 손잡이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후단부 중앙측에 플런저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 수용부의 폭방향 양측에 가동접촉부재 수용부가 각각 형성되는 핸들부; 상기 핸들부를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플런저 수용부에 배치되며, 상기 핸들부의 회동시 압축한계점에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코일스프링; 전단부 중앙측이 상기 제1코일스프링에 연결되되, 상기 핸들부의 회동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전단부 폭방향 양측이 상기 플런저 수용부에 힌지 연결되며, 후측이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플런저; 상기 핸들부와 연동되어 회동되도록 상기 가동접촉부재 수용부에 삽입 고정되며, 일단에 이동접촉단이 형성되고 타단이 전선 연결되는 한쌍의 가동접촉부재; 각 상기 가동접촉부재의 타단에 전선 연결되어 제1외부전선과 통전되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는 한쌍의 제1통전단자; 및 상기 수용공간에 제2외부전선과 통전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이동접촉단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이동접촉단에 대향되는 위치에 고정접촉단이 형성되는 제2통전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플런저는 후단부로 갈수록 폭이 협소화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며, 상기 플런저의 후단부는 상기 가이드홈의 최내측단에 선접촉되되 상기 제1코일스프링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가압 지지되며, 상기 가이드홈은 최내측단에 후단부가 선접촉된 상태의 상기 플런저의 전단부의 회동방향이 안내되도록 최내측단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바디부의 상하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확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플런저 수용부와 각 상기 가동접촉부재 수용부는 상기 핸들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한쌍의 구획격벽에 의해 각각 구획되며, 각 상기 구획격벽의 폭방향 내측면에는 상기 플런저가 힌지 연결되도록 힌지수용부가 내측단으로부터 연장 돌설되되, 상기 힌지수용부의 후측단에는 개구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의 전단부 폭방향 양측에는 상기 개구홈에 삽입되어 힌지 연결되는 힌지돌기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상기 플런저 수용부에는 상기 제1코일스프링의 일단이 삽입되어 걸림되도록 상기 제1코일스프링에 대향되는 내측단으로부터 후측방향으로 제1수용돌기가 연장 돌설되고, 상기 플런저에는 상기 제1코일스프링의 타단이 삽입되어 걸림되도록 상기 제1코일스프링에 대향되는 전단부에 제2수용돌기가 연장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동접촉부재 수용부에는 상기 핸들부의 전방으로 배치된 상기 이동접촉단의 후면을 향하여 제3수용돌기가 연장 돌설되며, 전단부에 스토퍼단턱이 연장 돌설되고, 상기 제3수용돌기 및 상기 이동접촉단의 후면 사이에는 상기 핸들부의 회동에 따른 상기 이동접촉단 및 상기 고정접촉단 간의 가압 접촉시 상기 이동접촉단이 탄발 지지되도록 제2코일스프링이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전되는 핸들부에 장착된 가동접촉부재의 이동접촉단과 바디부의 내부에 고정된 고정접촉단 간의 접촉 하중이 플런저 및 제1코일스프링에 의해 증가됨에 따라 정격 용량이 현저히 개선되므로 높은 정격 용량이 요구되는 실외기 등에 적용 가능하여 범용성이 개선될 수 있다.
둘째, 플런저의 후단부가 테이퍼지게 함몰 형성되는 가이드홈의 최내측단에 선접촉되어 제1코일스프링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 플런저의 전단부가 핸들부의 회전 반대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이동접촉단 및 고정접촉단 간의 접촉 하중이 증가되므로 제품의 정격 용량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셋째, 핸들부의 회동시 연동되어 이동되는 이동접촉단과 고정접촉단 간의 가압 접촉시 이동접촉단이 제2코일스프링에 의해 탄발 지지됨에 따라 강한 접촉 하중의 작용시에도 완충력이 제공되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개선될 수 있다.
넷째, 도어부 및 팩킹부가 바디부의 전단측에 구비된 하우징부의 전후방을 밀폐 커버하며, 커넥터커버가 도어부와 별도로 바디부를 이중으로 커버하는 구조로 스위치가 실외에 설치되더라도 스위치 내부에 수용된 각 전선에 빗물의 유입이 최소화되므로 방수 성능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100)는 바디부(10), 핸들부(20), 제1코일스프링(30), 플런저(40), 가동접촉부재(50), 제1통전단자(60) 및 제2통전단자(7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100)는 정격 용량이 개선되어 실외기 등의 높은 정격 용량 요구되는 제품에 대하여 선택적인 전원 인가 및 차단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장치이다.
한편, 상기 바디부(10)는 각 외부전선(미도시)의 단부가 내부로 수용되도록 구비되되,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내부에 수용공간(10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바디부(10)는 전체적인 형상이 중공형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바디부(10)에는 상기 수용공간(10a) 및 외부와 연통되어 각 상기 외부전선(미도시)이 인입되기 위한 복수개의 연통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외부전선(미도시)은 제1외부전선(미도시) 및 제2외부전선(미도시)을 포함하며, 입력 및 출력 중 어느 하나를 위해 외부와 연결되는 전선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10) 내부의 상기 수용공간(10a)에는 상기 플런저(40)가 삽입되도록 가이드홈(11)이 후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이드홈(11)은 상기 플런저(40)의 테이퍼면(42)이 회동시 안내되도록 최내측단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테이퍼지게 확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가이드홈(11)은 최내측단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바디부(10)의 상하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확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이드홈(11)의 경사면에 상기 플런저(40)의 테이퍼면(42)이 선택적으로 면접촉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11)의 최내측단에 상기 플런저(40)의 후단부가 상기 제1코일스프링(30)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가압 접촉되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플런저(40)의 전단부가 상기 핸들부(20)에 연동되어 상하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런저(40)의 후단부가 상기 가이드홈(11)의 최내측단에 선접촉된 상태에서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가이드홈(11)이 별도의 부재가 아닌, 상기 바디부(10)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플런저(40)를 안내 및 지지하므로 상기 플런저(40)에 대한 작동정밀성이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10)에는 상기 핸들부(20)의 회동 반경을 제한하도록 상기 수용공간(10a) 일측에 한쌍의 스토퍼부(1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스토퍼부(12)는 상기 바디부(10)의 폭방향 양측의 내측단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10a)으로 일체로 연장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디부(10)에는 전단측 테두리에 축삽입부(13)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축삽입부(13)는 상기 바디부(10)의 전단측 테두리에 일체로 연장 돌설되되 폭방향 내측으로 상기 힌지연결돌기(21)가 걸림되도록 축삽입홈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축삽입홈은 뒤집힌 'U'자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위치(100)는 상기 바디부(10)의 개구된 후방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바디부(10)의 후방부에 스크류 결합되는 바디커버(85)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바디커버(85)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수용공간(10a)에 연통되도록 복수개의 외부전선 삽입홀(85a)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핸들부(20)는 상기 수용공간(10a)에 배치되어 상기 축삽입부(13)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축삽입부(13)를 기준으로 선택적으로 회동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핸들부(20)의 폭방향 양측에는 상기 축삽입부(13)와 힌지 연결되도록 힌지연결돌기(21)가 일체로 연장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힌지연결돌기(21)와 상기 핸들부(20)의 하단 사이의 길이는 후술되는 이동접촉단(51) 및 고정접촉단(71) 간의 접촉 하중이 증가되도록 기설정된 길이 이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핸들부(20)의 전단부에는 상기 수용공간(10a)으로부터 노출 배치되는 손잡이부(22)가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손잡이부(22)를 제외한 상기 핸들부(20)는 상기 수용공간(10a)에 배치되되, 상기 손잡이부(22)가 상기 수용공간(10a)으로부터 노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손잡이부(22)는 후술되는 하우징부(80)의 중앙부에 관통 형성된 스위칭홀부(80a)를 통과하여 전방으로 노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힌지연결돌기(12)에서 상기 손잡이부(22)의 전단부까지의 길이는 상기 힌지연결돌기(12)에서 상기 핸들부(20)의 하단부까지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22)의 표면에는 사용자의 그립시 마찰력이 증가되도록 복수개의 미세한 요철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22)를 상하방향 중 어느 일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핸들부(20)가 상기 축삽입부(13) 및 상기 힌지연결돌기(21)를 기준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손잡이부(22)가 도 3에서와 같이 상측으로 회동된 상태를 ON 상태, 도 4에서와 같이 하측으로 회동된 상태를 OFF 상태가 되는 것을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핸들부(20)의 몸체(20a)는 상기 스위칭홀부(80a)의 하부 테두리에 걸림되도록 상기 손잡이부(20)의 상하방향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부(20)에는 상기 핸들부(20)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대응되는 몸체(20a) 일측에 복수개의 경량홈(20b)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핸들부(20)의 길이방향 중앙부 무게가 감소됨에 따라 회동이 용이해져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핸들부(20)의 후단부 중앙측에는 플런저 수용부(23)가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 수용부(23)의 폭방향 양측에 가동접촉부재 수용부(26,27)가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플런저 수용부(23)와 각 상기 가동접촉부재 수용부(26,27)는 상기 핸들부(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한쌍의 구획격벽(28,29)에 의해 각각 구획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플런저 수용부(23)에는 각 상기 구획격벽(28,29)의 폭방향 내측면에 상기 플런저(40)가 힌지 연결되도록 힌지수용부(24)가 내측단으로부터 연장 돌설되되, 상기 힌지수용부(24)의 후측단에는 개구홈(24a)이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힌지수용부(24)는 뒤집힌 'U'자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축삽입부(13)와 실질적으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런저(40)의 전단부 폭방향 양측에는 상기 개구홈(24a)에 삽입되어 상기 힌지수용부(24)에 힌지 연결되는 힌지돌기(4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힌지돌기(41)가 상기 힌지수용부(24)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플런저(40)가 상기 힌지돌기(41) 및 상기 힌지수용부(24)를 기준으로 선택적으로 회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런저 수용부(23)에는 상기 제1코일스프링(30)의 일단이 삽입되어 걸림되도록 상기 제1코일스프링(30)에 대향되는 내측단으로부터 후측방향으로 제1수용돌기(25)가 연장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코일스프링(30)은 상기 핸들부(20)를 탄성 지지하도록 일단이 상기 플런저 수용부(23)에 배치되며 타단이 상기 플런저(40)에 연결되고, 상기 핸들부(20)의 회동시 압축한계점에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코일스프링(30)은 일단이 상기 제1수용돌기(25)에 삽입되어 걸림되며, 타단이 상기 플런저(40)의 전단부 중앙측에 형성되는 제2수용돌기(43)에 삽입되어 걸림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코일스프링(30)의 양단부가 상기 제1수용돌기(25) 및 상기 제2수용돌기(4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억지 끼움되어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일단 및 타단이 상기 제1수용돌기(25) 및 상기 제2수용돌기(43)에 삽입되어 걸림된 상태의 상기 제1코일스프링(30)에 의해 상기 핸들부(20)에 탄발 복원력이 항시 작용하여 상기 힌지연결돌기(21)가 전방으로 가압됨에 따라 상기 축삽입부(13)에 견고하게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코일스프링(30)가 완전 탄성복원된 상태에서의 최대 인장 길이는 상기 제1수용돌기(25) 및 상기 개구홈(24a) 사이의 전후방향 간격을 초과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코일스프링(30)이 상기 제1수용돌기(25) 및 상기 제2수용돌기(43)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돌기(41)가 상기 상기 개구홈(24a)에 삽입되어 걸림되므로 상기 제1코일스프링(30)이 항상 압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22)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켜 스위칭시 상기 제1코일스프링(30)에 의한 탄발복원력에 의해 회전토크가 증가됨에 따라 상기 이동접촉단(51) 및 상기 고정접촉단(71) 간의 접촉 하중이 현저히 증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런저(40)는 전단부 중앙측이 상기 제1코일스프링(30)에 연결되되, 상기 핸들부(20)의 회동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전단부 폭방향 양측이 상기 플런저 수용부(23)에 힌지 연결되며, 후측이 상기 가이드홈(11)에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플런저(40)에는 상기 제1코일스프링(30)의 타단이 삽입되어 걸림되도록 상기 제1코일스프링(40)에 대향되는 전단부 중앙측에 상기 제2수용돌기(43)가 연장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런저(40)에는 전단부 폭방향 양측에 상기 개구홈(24a)에 삽입되어 상기 힌지수용부(24)에 힌지 연결되는 상기 힌지돌기(4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플런저(40)의 후측에는 후단부로 갈수록 폭이 협소화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상기 테이퍼면(4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런저(40)의 후단부는 상기 가이드홈(11)의 최내측단에 선접촉되되 상기 제1코일스프링(30)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가압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플런저(40)는 상기 핸들부(20)에 힌지 연결되어 사용자에 의한 상기 손잡이부(22)의 상하방향 가압시 상기 핸들부(20)의 회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동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테이퍼면(42)이 상기 가이드홈(11)에 면접촉되어 상기 플런저(40)의 회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플런저(40)의 후단부가 상기 제1코일스프링(30)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가압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홈(11)의 최내측단에 선접촉되며 상기 플런저(40)의 전측이 상기 핸들부(20)에 연동되어 동시에 회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플런저(40)의 후단부가 테이퍼지게 함몰 형성되는 상기 가이드홈(11)의 최내측단에 선접촉되어 상기 제1코일스프링(30)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플런저(40)의 전단부가 상기 핸들부(20)의 회전 반대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상기 이동접촉단(51) 및 상기 고정접촉단(71) 간의 접촉 하중이 증가되므로 제품의 정격 용량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전되는 상기 핸들부(20)에 장착된 상기 가동접촉부재(50)의 이동접촉단(51)과 상기 바디부(10)의 내부에 고정된 고정접촉단(71) 간의 접촉 하중이 상기 플런저(40) 및 상기 제1코일스프링(30)에 의해 증가됨에 따라 정격 용량이 현저히 개선되므로 높은 정격 용량이 요구되는 실외기 등에 적용 가능하여 범용성이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각 외부전선(미도시)의 양극이 상기 이동접촉단(51) 및 상기 고정접촉단(71)의 분리시 동시에 차단되므로 안전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동접촉부재(50)는 한쌍으로 구비되되, 상기 핸들부(20)와 연동되어 회동되도록 상기 가동접촉부재 수용부(26,27)에 삽입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동접촉부재 수용부(26,27)의 전방으로 배치되는 일단에는 이동접촉단(51)이 형성되고, 상기 가동접촉부재 수용부(26,27)의 내부로 수용 및 고정되는 타단에는 연결전선(52)이 전선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동접촉부재(50) 및 상기 이동접촉단(51)은 도전성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구리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각 상기 가동접촉부재 수용부(26,27)에는 상기 핸들부(20)의 전방 하부, 즉 각 상기 가동접촉부재 수용부(26,27)의 전방 하부로 배치된 상기 이동접촉단(51)의 후면을 향하여 제3수용돌기(26a)가 각각 연장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3수용돌기(26a) 및 상기 이동접촉단(51)의 후면 사이에는 상기 핸들부(20)의 회동에 따른 상기 이동접촉단(51) 및 상기 고정접촉단(71) 간의 가압 접촉시 상기 이동접촉단(51)이 탄발 지지되도록 제2코일스프링(53)이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가동접촉부재(50)에는 상기 이동접촉단(51)의 후면에 상기 제3수용돌기(26a)를 향하도록 연장 돌설되는 제4수용돌기가 연장 돌설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코일스프링(53)은 상기 제3수용돌기(26a) 및 상기 제4수용돌기 사이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핸들부(20)의 회동시 연동되어 이동되는 상기 이동접촉단(51)과 상기 고정접촉단(71) 간의 가압 접촉시 상기 이동접촉단(51)이 상기 제2코일스프링(53)에 의해 탄발 지지됨에 따라 강한 접촉 하중의 작용시에도 완충력이 제공되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접촉부재 수용부(26,27)의 전단부에는 상기 제2코일스프링(53)의 탄발지지력에 의한 상기 이동접촉단(51)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각 상기 가동접촉부재 수용부(26,27)의 내벽면 양측에 폭방향 내측 스토퍼단턱(26b)이 연장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통전단자(60)는 한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10a)에 배치되되 각 상기 가동접촉부재(50)의 타단에 전선 연결되며, 제1외부전선(미도시)과 통전되도록 상기 수용공간(10a)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동접촉부재(50)의 타단 및 상기 제1통전단자(60)의 일단 사이에는 상기 연결전선(52)이 용접 결합되어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동접촉부재(50)는 'ㄴ'자 형상으로 절곡지게 구비되되, 도전성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연결전선(52)이 연결된 상기 가동접촉부재(50)의 일측은 상기 바디부(10)의 후방부에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체결홀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바디부(10)에 스크류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접촉부(50)의 일측과 일체로 절곡지게 형성된 상기 제1통전단자(60)의 타측은 상기 바디부(10)의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통전단자(60)의 타측면에 제1러그(54)가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통전단자(60)의 타측면과 상기 제1러그(54)의 일면 사이에 상기 제1외부전선(미도시)이 개재되어 상기 제1러그(54)가 스크류에 의해 조임 체결됨에 따라 상기 제1외부전선(미도시)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통전단자(60)와 상기 제1러그(54)가 상기 수용공간(10a)에 배치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외부전선(미도시)은 상기 외부전선 삽입홀(85a)을 통과하여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통전단자(70)는 제2외부전선(미도시)과 통전되도록 상기 수용공간(10a)에 구비되되, 상기 이동접촉단(51)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이동접촉단(51)에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고정접촉단(7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통전단자(70) 및 상기 고정접촉단(71)은 도전성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구리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통전단자(70)는 일측에 체결홀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바디부(10)의 내측에 스크류 체결되어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통전단자(70)는 'ㄴ'자 형상으로 절곡지게 구비되되, 일측에 상기 고정접촉단(71)이 구비되어 상기 바디부(10)의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절곡된 타측이 상기 바디부(10)의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동접촉부(50)의 타측면에 제2러그(72)가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통전단자(70)의 타측면과 상기 제2러그(72)의 일면 사이에 상기 제2외부전선(미도시)이 개재되어 상기 제2러그(72)가 스크류에 의해 조임 체결됨에 따라 상기 제2외부전선(미도시)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통전단자(70)와 상기 제2러그(72)가 상기 수용공간(10a)에 배치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외부전선(미도시)은 상기 바디부(10)의 하부에 형성된 연통부를 통과하여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스위치(100)는 상기 바디부(10)의 전단측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부(10)와 연결되는 하우징부(80)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바디부(10)의 전단부에는 복수개의 결합홀부(14)가 전후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결합홀부(14)에 나사가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부(80)에 나사 체결됨에 따라 상기 바디부(10)와 상기 하우징부(80)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부(80)의 상부에는 외부 벽체 등과의 결합을 위해 삽입된 스크류가 통과되도록 스크류커버 삽입홀(80d)이 전후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위치(100)는 상기 스크류커버 삽입홀(80d)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스크류커버(84)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크류커버(84)는 상기 스크류커버 삽입홀(80d)에 결합시 전면부 프로파일이 상기 하우징부(80)의 전면부 프로파일과 실질적인 연속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부(80)의 중앙부에는 상기 손잡이부(22)의 전단부가 노출되도록 스위칭홀부(80a)가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80)의 하부에는 상기 러그(72)의 스크류 체결을 위한 복수개의 스크류홀(80c)가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홀(80c)의 하부에는 상기 외부전선(미도시)가 안내되는 복수개의 안내홈(80b)이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안내홈(80b)의 상단이 관통되어 상기 수용공간(10a)에 연통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100)는 상기 안내홈(80b) 및 상기 스크류홀(80c)의 전방부를 선택적으로 커버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하우징부(80)에 힌지 연결되는 커넥터커버(83)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하우징부(80)에는 상기 스크류홀(80c)의 폭방향 양측에 대응되는 위치에 힌지회전축부가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커버(83)가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커버(83)의 상부 폭방향 양측에는 상기 힌지회전축부에 힌지 연결되는 힌지연결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힌지연결부 및 상기 힌지회전축부가 상호 힌지 연결됨에 따라 상기 커넥터커버(83)가 상기 안내홈(80b) 및 상기 스크류홀(80c)의 전방부를 선택적으로 커버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힌지회전축부에는 힌지 회동되어 상기 하우징부(80)로부터 개방된 상기 커넥터커버(83)가 억지 끼움되도록 폭방향 내측에 끼움고정돌기가 연장 돌설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력이 작용하여 상기 커넥터커버(83)의 개방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커버(83)가 상기 끼움고정돌기에 억지 끼움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커넥터커버(83)가 개방 상태에서 고정이 유지되므로 사용자가 전선 작업 등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작업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위치(100)는 상기 하우징부(80)의 전방부를 선택적으로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도어부(81)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도어부(81)는 상기 하우징부(80)의 상부에 힌지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부(81)의 상단에는 고정돌기가 연장 돌설되어 힌지 회동시 상기 하우징부(80)의 상부 일측에 억지 끼움됨에 따라 상기 도어부(81)의 개방 상태에서 고정이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부(81)는 상기 손잡이부(22)와 이격되도록 내측이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되되, 테두리부가 상기 하우징부(80)의 테두리를 선택적으로 밀착 커버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위치(100)는 상기 하우징부(80)의 후방부 테두리에 밀착되도록 구비되는 팩킹부(82)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부(81) 및 상기 팩킹부(82)가 상기 바디부(10)의 전단측에 구비된 상기 하우징부(80)의 전후방을 밀폐 커버하며, 상기 커넥터커버(83)가 상기 도어부(81)와 별도로 상기 바디부(10)를 이중으로 커버하는 구조로 상기 스위치(100)가 실외에 설치되더라도 상기 스위치(100) 내부에 수용된 각 전선에 빗물의 유입이 최소화되므로 방수 성능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위치(100)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손잡이부(22)가 상기 바디부(10)의 상측방향으로 회동된 상기 스위치(100)의 ON 상태에서, 상기 핸들부(20)가 일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이동접촉단(51) 및 상기 고정접촉단(71)이 상호간 가압 접촉되어 통전된다.
여기서, 상기 핸들부(20)가 일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플런저(40)의 후단부가 상기 가이드홈(11)의 최내측단에 선접촉되어 상기 제1코일스프링(30)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플런저(40)의 전측이 상기 핸들부(2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동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코일스프링(30)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상기 이동접촉단(51) 및 상기 고정접촉단(71)이 상호간 가압 접촉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2코일스프링(53)에 의해 상기 이동접촉단(51)이 탄발지지되므로 상기 이동접촉단(51) 및 상기 고정접촉단(71)이 상호간 견고하게 가압 접촉되면서도 과도한 작용력에 의한 마모가 방지되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22)가 상기 스위치(100)의 ON 상태에서 OFF 상태로 스위칭 되기 위해 상기 바디부(10)의 하측방향으로 회동시 상기 손잡이부(22)가 상기 바디부(10)의 수직으로 배치되는 지점에서 상기 제1코일스프링(30)이 압축한계점에 도달한다. 여기서, 상기 제1코일스프링(30)이 압축한계점으로부터 이탈되는 순간 상기 제1코일스프링(30)이 인장되며 강한 탄발복원력이 작용한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손잡이부(22)가 상기 바디부(10)의 하측방향으로 회동된 상기 스위치(100)의 OFF 상태에서, 상기 핸들부(20)가 타방향으로 회전회동됨에 따라 상기 이동접촉단(51) 및 상기 고정접촉단(71)이 상호간 이격되어 전력이 차단된다.
여기서, 상기 핸들부(20)가 타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플런저(40)의 후단부가 상기 가이드홈(11)의 최내측단에 선접촉되어 상기 제1코일스프링(30)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플런저(40)의 전측이 상기 핸들부(2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동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핸들부(20)가 타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1코일스프링(30)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상기 핸들부(20)가 고정 및 유지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핸들부(20)의 후단부가 상기 스토퍼부(12)에 걸림됨에 따라 상기 핸들부(20)의 회동 반경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전되는 핸들부(20)에 장착된 가동접촉부재(50)의 이동접촉단(51)과 바디부(10)의 내부에 고정된 제2통전단자(70)의 고정접촉단(71) 간의 접촉 하중이 플런저(40) 및 제1코일스프링(30)에 의해 증가됨에 따라 정격 용량이 현저히 개선되므로 높은 정격 용량이 요구되는 실외기 등에 적용 가능하여 범용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스위치 10: 바디부
11: 가이드홈 12: 스토퍼부
13: 축삽입부 14: 결합홀부
20: 핸들부 21: 힌지연결돌기
22: 손잡이부 23: 플런저 수용부
24: 힌지수용부 24a: 개구홈
25: 제1수용돌기 26,27: 가동접촉부재 수용부
26a: 제3수용돌기 28,29: 구획격벽
30: 제1코일스프링 40: 플런저
41: 힌지돌기 42: 테이퍼면
43: 제2수용돌기 50: 가동접촉부재
51: 이동접촉단 52: 연결전선
53: 제2코일스프링 60: 제1통전단자
70: 제2통전단자 71: 고정접촉단
80: 하우징부 81: 도어부
82: 팩킹부 83: 커넥터커버
84: 스크류커버 85: 바디커버

Claims (5)

  1. 외부전선이 내부로 수용되도록 구비되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가이드홈이 후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 일측에 한쌍의 스토퍼부가 형성되며, 전단측 테두리에 축삽입부가 형성되는 바디부;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축삽입부에 힌지 연결되되, 전단부에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노출 배치되는 손잡이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후단부 중앙측에 플런저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 수용부의 폭방향 양측에 가동접촉부재 수용부가 각각 형성되는 핸들부;
    상기 핸들부를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플런저 수용부에 배치되며, 상기 핸들부의 회동시 압축한계점에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코일스프링;
    전단부 중앙측이 상기 제1코일스프링에 연결되되, 상기 핸들부의 회동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전단부 폭방향 양측이 상기 플런저 수용부에 힌지 연결되며, 후측이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플런저;
    상기 핸들부와 연동되어 회동되도록 상기 가동접촉부재 수용부에 삽입 고정되며, 일단에 이동접촉단이 형성되고 타단이 전선 연결되는 한쌍의 가동접촉부재;
    각 상기 가동접촉부재의 타단에 전선 연결되어 제1외부전선과 통전되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는 한쌍의 제1통전단자; 및
    상기 수용공간에 제2외부전선과 통전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이동접촉단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이동접촉단에 대향되는 위치에 고정접촉단이 형성되는 제2통전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플런저는 후단부로 갈수록 폭이 협소화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며, 상기 플런저의 후단부는 상기 가이드홈의 최내측단에 선접촉되되 상기 제1코일스프링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가압 지지되며,
    상기 가이드홈은 최내측단에 후단부가 선접촉된 상태의 상기 플런저의 전단부의 회동방향이 안내되도록 최내측단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바디부의 상하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확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수용부와 각 상기 가동접촉부재 수용부는 상기 핸들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한쌍의 구획격벽에 의해 각각 구획되며,
    각 상기 구획격벽의 폭방향 내측면에는 상기 플런저가 힌지 연결되도록 힌지수용부가 내측단으로부터 연장 돌설되되, 상기 힌지수용부의 후측단에는 개구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의 전단부 폭방향 양측에는 상기 개구홈에 삽입되어 힌지 연결되는 힌지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수용부에는 상기 제1코일스프링의 일단이 삽입되어 걸림되도록 상기 제1코일스프링에 대향되는 내측단으로부터 후측방향으로 제1수용돌기가 연장 돌설되고,
    상기 플런저에는 상기 제1코일스프링의 타단이 삽입되어 걸림되도록 상기 제1코일스프링에 대향되는 전단부에 제2수용돌기가 연장 돌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촉부재 수용부에는 상기 핸들부의 전방으로 배치된 상기 이동접촉단의 후면을 향하여 제3수용돌기가 연장 돌설되며, 전단부에 스토퍼단턱이 연장 돌설되고,
    상기 제3수용돌기 및 상기 이동접촉단의 후면 사이에는 상기 핸들부의 회동에 따른 상기 이동접촉단 및 상기 고정접촉단 간의 가압 접촉시 상기 이동접촉단이 탄발 지지되도록 제2코일스프링이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KR1020190116159A 2019-09-20 2019-09-20 스위치 Active KR102050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159A KR102050912B1 (ko) 2019-09-20 2019-09-20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159A KR102050912B1 (ko) 2019-09-20 2019-09-20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0912B1 true KR102050912B1 (ko) 2019-12-02

Family

ID=68847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6159A Active KR102050912B1 (ko) 2019-09-20 2019-09-20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09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56106A (zh) * 2020-09-08 2022-03-08 罗克韦尔自动化瑞士有限责任公司 开关装置及用于开关元件的引导件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4647B1 (ko) * 1993-04-07 1998-08-17 미셸 까바레 모듈러 조립체를 구비한 다극 회로차단기
JP2000133111A (ja) * 1998-10-21 2000-05-12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路遮断器
KR101025679B1 (ko) 2009-06-29 2011-03-30 클리오주식회사 푸쉬버튼 스위치
KR20150020709A (ko) * 2012-10-11 2015-02-26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회로 차단기
KR101818197B1 (ko) * 2017-08-28 2018-01-12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4647B1 (ko) * 1993-04-07 1998-08-17 미셸 까바레 모듈러 조립체를 구비한 다극 회로차단기
JP2000133111A (ja) * 1998-10-21 2000-05-12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路遮断器
KR101025679B1 (ko) 2009-06-29 2011-03-30 클리오주식회사 푸쉬버튼 스위치
KR20150020709A (ko) * 2012-10-11 2015-02-26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회로 차단기
KR101818197B1 (ko) * 2017-08-28 2018-01-12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56106A (zh) * 2020-09-08 2022-03-08 罗克韦尔自动化瑞士有限责任公司 开关装置及用于开关元件的引导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1322B1 (ko) 푸쉬버튼 스위치
KR102050912B1 (ko) 스위치
US6753489B2 (en) Switch, push-button switch and rotary-lever switch
CN212365886U (zh) 一种接线端子和断路器
US8497438B2 (en) Emergency stop device
US7291796B2 (en) Press switch having a force-to-detach function
CN108711525B (zh) 一种转换开关电器
CN113871246B (zh) 一种储能脱扣装置和旋转开关
EP0872867A2 (en) Electrically assembly with actuating device for a switch
CN216213087U (zh) 一种储能脱扣装置和旋转开关
CN111446131B (zh) 一种配电电器的状态指示结构
CN212265734U (zh) 锁止机构及设有该锁止机构的电动工具
KR101863726B1 (ko) 스위치
US3482064A (en) Electrical switch having pressure contacts
CN114830279A (zh) 用于电气开关的机构、相关联的电气组件和电气开关
CN221327628U (zh) 操作手柄及断路器
CN218677014U (zh) 一种辅助触头组件及断路器
RU2717580C2 (ru)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выключатель с управлением от нажимной кнопки с качающимся рабочим органом
CN117352328B (zh) 一种负荷隔离开关
RU2816578C1 (ru) Механизм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переключателя,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е электрический узел и электрический переключатель
CN114664589B (zh) 一种组合式隔离开关
CN114639566B (zh) 开关
KR910005411Y1 (ko) 다접점 푸시 스위치 장치
CN110932462A (zh) 一种具有防抖和防冲程功能的电动推杆
CN218274336U (zh) 双电源自动转换开关的自动转换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2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2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1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