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8899B1 - Cosmetic container - Google Patents
Cosmetic contai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48899B1 KR102048899B1 KR1020180029709A KR20180029709A KR102048899B1 KR 102048899 B1 KR102048899 B1 KR 102048899B1 KR 1020180029709 A KR1020180029709 A KR 1020180029709A KR 20180029709 A KR20180029709 A KR 20180029709A KR 102048899 B1 KR102048899 B1 KR 1020488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smetic
- fixing
- housing
- blocking portion
- groov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5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NLYAJNPCOHFWQQ-UHFFFAOYSA-N kaolin Chemical compound O.O.O=[Al]O[Si](=O)O[Si](=O)O[Al]=O NLYAJNPCOHFWQQ-UHFFFAOYSA-N 0.000 claims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71 cre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 pencil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or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2—Containers adapted to be temporarily deformed by external pressure to expel cont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6—Collapsible or telescopic 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254/00—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력에 의해 내부에 위치한 화장품이 토출되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화장품이 수용 가능한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가요성 소재로 형성되는 화장품 수용부와, 화장품 수용부를 수용하고, 화장품 수용부로부터 토출되는 화장품의 이동을 안내하는 토출유로가 형성되는 하우징부와, 하우징부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며, 회동에 따라 토출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는 막음부를 포함하고, 하우징부는 막음부와 접촉되는 양면에 고정홈이 함몰 형성되고, 막음부는 내측에서 하우징부 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막음부의 일영역은 외력에 따라 막음부 내부에 형성된 홈을 따라 이동되며, 고정돌기를 내측으로 인입시켜 고정홈으로부터 분리시키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smetic container discharged cosmetics located inside by an external for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ceiving space is formed to accommodate cosmetics, and a cosmetic receiving portion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and a discharge passage for receiving the cosmetic receiving portion and guiding movement of the cosmetic discharged from the cosmetic receiving portion are formed. The housing portion is hinged to one end of the housing portion, and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discharge passage according to the rotation includes a blocking portion, the housing portion is formed with a recessed groove formed on both sides in contact with the blocking portion, the blocking portion inside the housing portion It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side, the fixing projection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is formed, one area of the blocking portion including the fixing projection is moved along the groove formed inside the blocking portion according to the external force, and the fixing protrusion is introduced inward from the fixing groove Provided is a cosmetic container for separa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력에 의해 내부에 위치한 화장품이 토출되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smetic container discharged cosmetics located inside by an external force.
여성들은 얼굴이 아름답게 보일 수 있도록 피부색, 착용한 옷의 디자인 및 외출장소에 따라 어울리는 화장품을 선택해 화장을 한다.Women choose makeup that matches their skin color, the design of clothes they wear, and where they go out to make their faces look beautiful.
화장품은 상태에 따라 크림, 분말, 펜슬, 액상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태에 따라 알맞은 화장품 용기에 수용된 후,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이때, 일반적으로 액상의 화장품은 튜브형의 화장품 용기에 수용되며, 사용자는 화장품 용기를 가압하여, 튜브 내에 수용된 화장품을 토출할 수 있다.The cosmetics may be classified into creams, powders, pencils, liquids, and the like according to conditions, and are provided to a user after being accommodated in a suitable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conditions. At this time, the liquid cosmetic is generally accommodated in a tubular cosmetic container, the user can press the cosmetic container, it is possible to discharge the cosmetic contained in the tube.
그런데 튜브형의 화장품 용기는 사용자가 화장품 용기를 가압하는 부위 및 가압하는 힘에 따라 화장품의 토출양이 달라지기 때문에, 일정한 양의 화장품을 토출하는데 어려움이 있다.However, the tubular cosmetic container has a difficulty in dispensing a certain amount of cosmetics because the amount of the cosmetics varies depending on the portion of the user pressurizing the cosmetic container and the pressing force.
또한, 종래의 튜브형의 화장품 용기는 튜브의 토출구를 막는 막음부가 튜브로부터 손쉽게 분리되어, 의도치 않게 화장품이 외부로 토출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tubular cosmetic container has a problem that the blocking portion for blocking the discharge port of the tube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tube, the cosmetic is often unintention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따라서, 가압에 의해 일정한 양의 화장품이 토출되며, 막음부가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는 화장품 용기에 대한 요구가 생기게 됐다.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a cosmetic container in which a certain amount of cosmetic is discharged by pressurization and the clogging portion is not easily separated.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일정한 양의 화장품이 토출되며, 막음부가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smetic container in which a certain amount of cosmetic is discharged, the blocking portion is not easily separated.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bove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re will b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화장품이 수용 가능한 일단이 개구된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가요성 소재로 형성되는 튜브 타입의 화장품 수용부와, 화장품 수용부를 수용하고, 화장품 수용부로부터 토출되는 화장품의 이동을 안내하는 토출유로가 형성되는 하우징부와, 하우징부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며, 회동에 따라 토출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고, 회동 시, 하우징부의 일영역을 가압하는 막음부를 포함하고, 하우징부는 막음부와 접촉되는 양면에 고정홈이 함몰 형성되고, 막음부는 내측에서 하우징부 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막음부의 일영역은 외력에 따라 막음부 내부에 형성된 홈을 따라 이동되며, 고정돌기를 내측으로 인입시켜 고정홈으로부터 분리시키고, 고정돌기가 고정홈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막음부는 회동이 가능하며, 고정돌기가 고정홈에 삽입되는 경우, 막음부는 회동이 불가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receiving space is open one end that can accommodate cosmetics, the tube-type cosmetic receiving portion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and accommodates the cosmetic receiving portion, cosmetics It is hinged to one end of the housing portion and the housing portion is formed, the discharge passag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cosmetics discharged from the receiving portion, opening or closing the discharge passag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preventing the pressurizing one area of the housing portion during rotation And a housing, wherein the housing is formed with recesses formed on both surfaces thereof in contact with the blocking portion, and the blocking portion protrudes from the inner side to the housing portion to form a fix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and the blocking portion including the fixing protrusion. The area is moved along the groove formed inside the blocking portion according to the external force and separated from the fixing groove by drawing the fixing protrusion inward. Kigo, when the fixing protrusion is separated from the fixing groove, enables preventing rotation unit, and provides a case where the fixing projection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a blocking portion is not rotated cosmetic container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막음부는 하우징부에 힌지 결합되며, 내부에 가이드홈 및 인출홈이 형성되는 베이스모듈과, 가이드홈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인출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고정모듈을 포함하고, 고정돌기는 고정모듈의 이동에 따라 내측으로 인입 또는 외측으로 인출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ing portion is hinged to the housing portion, the base module and the guide groove and the drawing groove is formed therein, and is disposed to be movable in the guide groove, the fixing projection is inserted into the drawing groove is formed It includes a fixing module, the fixing protrusion may be drawn in or out to the insid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xing modu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모듈은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방향으로 한 쌍의 힌지돌기가 서로 대항되게 형성되며, 하우징부는 외주면에 서로 대항되게 한 쌍의 힌지홈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module is formed in a U-shape, a pair of hinge protrusions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in the inward direction, the housing portion is formed with a pair of hinge grooves to be opposed to each other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Can b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모듈은 ∩자 형상의 가이드홈이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가이드홈의 양단에 내측을 향하는 인출홈이 형성되고, 고정모듈은 적어도 일영역이 베이스모듈의 외부로 돌출되는 버튼부재와 인출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버튼부재의 일면에 서로 대칭되게 결합되고, 일지점이 절곡된 한 쌍의 핀부재를 포함하고, 버튼부재가 가압되는 경우, 한 쌍의 핀부재가 베이스 모듈과 맞닿아 서로 멀어지면서, 고정돌기가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module has a U-shaped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in, the withdrawal grooves are formed in both ends of the guide groove inward, at least one area of the fixed module base module When the button member protruding to the outside and the fixing projection is inserted into the withdrawal groove is formed, and symmetrically coupled to each other on one surface of the button member, a pair of pin members are bent, the button member is pressed, The pair of pin members may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ase module to move away from each other, the fixing protrusion may be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부는 일면이 개구되며, 화장품 수용부를 수용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메인바디와, 메인바디에 결합되며,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토출유로가 형성되는 토출관을 포함하는 제1하우징 모듈과, 제1하우징 모듈에 결합되며, 외력에 의해 내부공간 측으로 탄성 이동되어, 화장품 수용부를 가압하는 제2하우징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portion is open on one side, the main body is formed with an inner space for receiving the cosmetic receiving portion, and the discharge pipe is coupled to the main body, the discharge passage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inner space is formed. The first housing module and the second housing module may be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module and elastically moved to an inner space side by an external force to press the cosmetic contain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토출유로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어플리케이터부를 더 포함하며, 어플리케이터부는 화장품이 이동 가능한 이동유로가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n applicator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discharge passage, the applicator portion may be formed therein a moving passage to move the cosmetic.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막음부는 어플리케이터부의 이동유로와 대응되는 위치에 이동유로를 폐쇄하는 돌출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ing portion may be formed with a protruding member for closing the moving passag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oving passage of the applicat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버튼부재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막음부가 회동되지 않기 때문에, 화장품 용기의 휴대 중 임의로 막음부가 개방되어, 화장품이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xternal force of the button member is not applied, since the blocking portion is not rotated, the blocking portion may be arbitrarily opened while carrying the cosmetic container, thereby preventing cosmetics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hav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회동된 막음부에 의해 동일한 위치가 가압되기 때문에, 일정한 양의 화장품이 토출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ame position is pressed by the rotated blocking portion, a certain amount of cosmetics can be discharged.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bu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he effects deduc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막음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용 상태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locking portion of the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coupl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 between. "Includes the case. In addi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unless otherwise stated,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rather than excluding the other components.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s used herei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o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의 분해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
화장품 용기(1)는 화장품 수용부(10), 하우징부(20) 및 막음부(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화장품 수용부(10)는 액상의 화장품을 수용하는 구성요소로서, 내부에 화장품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가 가요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화장품 수용부(10)는 튜브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화장품 수용부(10)는 일단이 개구되어, 외력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 내부에 수용된 액상의 화장품이 일단을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이때, 화장품 수용부(10)는 일단으로 갈수록 수용공간의 단면적이 점차 줄어들거나, 일단을 포함하는 일영역의 수용공간의 단면적이 나머지 영역의 수용공간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어, 한 번의 가압으로 다량의 화장품이 토출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하우징부(20)는 화장품 수용부(10)를 수용하며, 화장품 수용부(10)의 일단에서 토출되는 화장품의 이동을 안내하는 구성요소로서, 내부에 내부공간(202)이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공간(202)과 연통하는 토출유로(20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20)는 적어도 일영역이 외력에 의해 탄성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화장품 수용부(10)를 가압할 수 있다.The
하우징부(20)에 대해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며, 하우징부(20)는 제1하우징 모듈(200) 및 제2하우징 모듈(21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제1하우징 모듈(200)은 일면이 개구된 내부공간(202)이 형성되는 메인바디(201) 및 메인바디(201)의 일면과 수직한 측면에 결합되며, 내부공간(202)과 연통되는 토출유로(204)가 형성되는 토출관(20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토출관(203)의 외주면에는 후술할 고정돌기(313)와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돌기(313)의 적어도 일영역이 삽입되는 고정홈(206)이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한 쌍의 힌지돌기(303)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힌지돌기(303)의 적어도 일영역이 삽입되는 한 쌍의 힌지홈(205)이 형성될 수 있다.The
제2하우징 모듈(210)은 제1하우징 모듈(200)의 개구된 일면에 위치하도록, 제1하우징 모듈(200)에 결합되며, 외력에 의해 내부공간(202) 측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외력이 해제되는 경우, 본래의 위치로 다시 되돌아 올 수 있다. 즉, 제2하우징 모듈(210)은 내부공간(202) 측으로 탄성 이동되어, 내부공간(202)에 위치한 화장품 수용부(10)를 가압할 수 있다.Th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하우징 모듈(210)는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중공(2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중공(211)에는 화장품 수용부(10)에 수용된 화장품의 색상을 나타내는 색상표시부재(5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화장품 수용부(10)에 수용된 화장품을 광선에 노출시키지 않으면서, 사용자가 화장품의 색상을 직관적으로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막음부(30)는 회동에 따라 토출유로(204)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구성요소로서, 하우징부(20)에 힌지 결합될 수 있으며, 회동 시 제2하우징 모듈(210)의 일영역을 가압할 수 있다. 또한, 막음부(30)는 하우징부(20)의 고정홈(206)에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되며, 외력에 따라 내측으로 인입되는 고정돌기(31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막음부(30)의 고정돌기(314)가 고정홈(206)에 삽입되는 경우, 막음부(30)는 회동이 불가하다.The blocking
도 3을 참조하여 막음부(30)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막음부(30)는 베이스 모듈(300) 및 고정 모듈(31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모듈(300)은 ∩자 형상 즉, 하면에서 내측방향으로 함몰되는 안착홈(304)이 형성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안착홈(304)에는 토출관(203)이 안착될 수 있고, 베이스 모듈(300)은 안착홈(304)이 위치한 면에 서로 대항되게 한 쌍의 힌지돌기(303)가 형성될 수 다. 힌지돌기(303)는 토출관(203)에 형성된 힌지홈(205)에 삽입되어, 막음부(30)가 힌지돌기(303)를 기준으로 힌지 회동되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또한, 베이스 모듈(300)은 내부에 ∩자 형상의 가이드홈(301) 및 가이드홈(301)의 양단에 내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가이드홈(301)과 연통하는 인출홈(302)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때, 베이스 모듈(300)은 토출유로(204)와 대응되는 위치에 토출유로(204)를 밀폐하기 위한 가요성 소재의 돌출부재(305, 도 4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토출유로(204)에 후술할 어플리케이터부(40)가 결합되는 경우, 돌출부재(305)는 어플리케이터부(40)의 이동유로(400)를 밀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한편, 고정 모듈(310)은 베이스 모듈(300)의 가이드홈(30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고정 모듈(310)은 적어도 일영역이 외부로 돌출되는 버튼부재(311) 및 버튼부재(311)의 일면에 서로 대칭되게 결합되며, 인출홈(302)에 삽입되는 고정돌기(313)가 형성되는 한 쌍의 핀부재(3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핀부재(312)는 하부방향을 향하도록 일영역이 절곡된 바(bar)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fixing
본 발명에서 버튼부재(311)가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 한 쌍의 핀부재(312)는 가이드홈(301)을 따라 이동하다 베이스 모듈(300)의 내주면 맞닿게 되어 서로 간의 이격 거리가 멀어지고, 이로 인해 고정돌기(313)가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핀부재(312)는 가압이 해제되면, 본래의 형태로 복원되고, 버튼부재(311)도 본래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다시 말해, 버튼부재(311)가 가압되지 않는 상태 즉, 고정돌기(313)가 고정홈(206)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막음부(30)가 회동되지 않으며, 버튼부재(311)가 가압된 상태 즉, 고정돌기(313)가 고정홈(206)에서 이탈된 상태에서는 막음부(30)가 회동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외부로 돌출된 버튼부재(311)의 일영역을 가압하여, 막음부(30)의 회동 잠금을 해제한 후 사용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화장품 용기(1)는 토출유로(204)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어플리케이터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부(40)는 스펀지, 붓, 솜, 퍼프, 롤러, 롤온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내부에 화장품이 이동 가능한 이동유로(40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화장품을 토출하여, 어플리케이터부(40)로 도포할 수 있으며, 기호에 따라 어플리케이터부(40)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터부(40)의 이동유로(400)에는 내용물의 이동에 의해 따라 이동하면서 일정량의 화장품을 토출시키는 이동부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moving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의 사용 상태도이다. 4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도 4의 (a)는 토출유로(204)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때, 막음부(30)의 돌출부재(305)는 이동유로(400)를 막아, 화장품 수용부(10)에 수용된 화장품(A)이 토출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도 4의 (a)는 막음부(30)의 버튼부재(311)가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지 않은 상태로, 고정돌기(313)가 고정홈(206)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막음부(30)는 외력에 의해서 회동되지 않는다.FIG. 4A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도 4의 (b)는 토출유로(204)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의 (a) 상태에서 사용자는 버튼부재(311)를 내측으로 가압하여, 고정돌기(313)를 고정홈(206)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으며, 이후, 막음부(30)를 회동하여 이동유로(400)를 개방할 수 있다.4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이때, 막음부(30)는 제2하우징 모듈(210) 측으로 회동되기 때문에, 제2하우징 모듈(210)을 가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막음부(30)에 의해 제2하우징 모듈(210)의 일정 영역이 가압되기 때문에, 일정한 양의 화장품(A)이 토출될 수 있다. 한편, 제2하우징 모듈(210)을 가압하는 외력이 해제되는 경우, 제2하우징 모듈(210)은 탄성력에 의해 본래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blocking
립 메이크업을 위한 화장품이 수용공간에 수용된 경우, 화장품 용기(1)는 0.3ml 내지 0.5ml의 화장품을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When the cosmetic for lip makeup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버튼부재(311)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막음부(30)가 회동되지 않기 때문에, 화장품 용기의 휴대 중 임의로 막음부(30)가 개방되어, 화장품이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xternal force of the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for illustration,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asily modif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it should be construed that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화장품 용기
10 : 화장품 수용부
20 : 하우징부
30 : 막음부
40 : 어플리케이터부1: cosmetic container
10: cosmetic container
20: housing part
30: blocking portion
40: applicator
Claims (7)
상기 화장품 수용부를 수용하고, 상기 화장품 수용부로부터 토출되는 화장품의 이동을 안내하는 토출유로가 형성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며, 회동에 따라 상기 토출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고, 회동 시, 상기 하우징부의 일영역을 가압하는 막음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막음부와 접촉되는 양면에 고정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막음부는, 내측에서 하우징부 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막음부의 일영역은 외력에 따라 상기 막음부 내부에 형성된 홈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고정돌기를 내측으로 인입시켜 상기 고정홈으로부터 분리시키고,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홈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막음부는 회동이 가능하며,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막음부는 회동이 불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토출유로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어플리케이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어플리케이터부는, 상기 화장품이 이동 가능한 이동유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A tube-type cosmetic accommodating part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the accommodating space having one end open to accommodate cosmetics;
A housing part accommodating the cosmetic accommodating part and having a discharge passage configured to guide movement of the cosmetic discharged from the cosmetic accommodating part;
It is hinged to one end of the housing portion, and includes a blocking portion for opening or closing the discharge passag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and pressurizing one region of the housing portion during rotation,
The housing portion, the fixing groove is formed recessed on both sides in contact with the blocking portion,
The blocking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side to the housing portion, the fixing projection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One region of the blocking portion including the fixing protrusion is moved along the groove formed in the blocking portion according to an external force, and the fixing protrusion is introduced into the separating portion from the fixing groove,
When the fixing protrusion is separated from the fixing groove, the blocking portion is rotatable,
When the fix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the block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 is impossible,
Further comprising an applicator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discharge passage,
The applicator is a cosmetic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ement flow path is movable inside the cosmetic is formed.
상기 막음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힌지 결합되며, 내부에 가이드홈 및 인출홈이 형성되는 베이스 모듈과,
상기 가이드홈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인출홈에 삽입되는 상기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고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고정 모듈의 이동에 따라 내측으로 인입 또는 외측으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blocking portion,
A base module hinged to the housing and having a guide groove and a drawing groove formed therein;
It is disposed to be movable in the guide groove, and includes a fixing module in which the fixing projection is inserted into the drawing groove,
The fixing protrus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smetic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ead in or out to move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fixing module.
상기 베이스 모듈은,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방향으로 한 쌍의 힌지돌기가 서로 대항되게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부는, 외주면에 서로 대항되게 한 쌍의 힌지홈이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base module is formed in a U-shape, a pair of hinge protrusions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in the inward direction,
The housing portion, cosmetic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of hinge grooves are formed recessed to face each other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상기 베이스 모듈은, ∩자 형상의 가이드홈이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의 양단에 내측을 향하는 인출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모듈은,
적어도 일영역이 베이스 모듈의 외부로 돌출되는 버튼부재와,
상기 인출홈에 삽입되는 상기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버튼부재의 일면에 서로 대칭되게 결합되고, 일지점이 절곡된 한 쌍의 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재가 가압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핀부재가 상기 베이스 모듈과 맞닿아 서로 멀어지면서, 상기 고정돌기가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base module, the U-shaped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in, the drawing grooves are formed in both ends of the guide groove inwards,
The fixed module,
A button member at least one region protruding out of the base module;
The fix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lead-out groove is formed, symmetrically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button member, including a pair of pin members bent one point,
When the button member is pressed, the pair of pin members are in contact with the base module away from each other, the fixing projection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let is introduced into the cosmetic container.
상기 하우징부는,
일면이 개구되며, 상기 화장품 수용부를 수용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에 결합되며,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토출유로가 형성되는 토출관을 포함하는 제1하우징 모듈과,
상기 제1하우징 모듈에 결합되며,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 측으로 탄성 이동되어, 상기 화장품 수용부를 가압하는 제2하우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housing part,
A first housing module including a main body having one surface open and having an inner space accommodating the cosmetic accommodating part, a discharge tube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having a discharge flow path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space;
And a second housing module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module and elastically moved toward the inner space by the external force to press the cosmetic container.
상기 막음부는, 상기 어플리케이터부의 이동유로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이동유로를 폐쇄하는 돌출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blocking portion is a cosmetic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 member for closing the moving flow path is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oving flow path of the applicato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9709A KR102048899B1 (en) | 2018-03-14 | 2018-03-14 | Cosmetic contai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9709A KR102048899B1 (en) | 2018-03-14 | 2018-03-14 | Cosmetic contai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08331A KR20190108331A (en) | 2019-09-24 |
KR102048899B1 true KR102048899B1 (en) | 2019-11-26 |
Family
ID=68069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29709A Expired - Fee Related KR102048899B1 (en) | 2018-03-14 | 2018-03-14 | Cosmetic contai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48899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87031B1 (en) | 2014-07-31 | 2016-01-20 | 주식회사 미영 | Locking device by pushing |
KR101796960B1 (en) * | 2017-07-25 | 2017-11-13 | 주식회사 씨티케이코스메틱스 | Folding type cosmetic container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41806A (en) * | 2009-10-16 | 2011-04-22 | 신명식 | Door handle |
KR101628753B1 (en) * | 2014-10-29 | 2016-06-09 | 주식회사 서연이화 | Seat for automobile having armrest |
-
2018
- 2018-03-14 KR KR1020180029709A patent/KR10204889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87031B1 (en) | 2014-07-31 | 2016-01-20 | 주식회사 미영 | Locking device by pushing |
KR101796960B1 (en) * | 2017-07-25 | 2017-11-13 | 주식회사 씨티케이코스메틱스 | Folding type cosmetic contain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08331A (en) | 2019-09-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60627B1 (en) | Lip gross vessel | |
KR200385091Y1 (en) | It is possible for cosmetic case to open and shut of conents an outlet | |
JP6669857B2 (en) | Foldable cosmetic container | |
US20180220771A1 (en) | Hose - type cosmetic container structure | |
US10327531B2 (en) | Cosmetics container | |
KR101048412B1 (en) | Cosmetic container | |
KR102048899B1 (en) | Cosmetic container | |
CN111031845B (en) | Cosmetic container including replaceable inner container | |
KR200440620Y1 (en) | Eye dropper type cosmetic container | |
KR20120140459A (en) | Cosmetic container | |
CN108567220B (en) | Cosmetic container | |
KR101151002B1 (en) | case for cosmetic | |
US8905045B2 (en) | Case for liquid state cosmetics | |
US9185959B2 (en) | Liquid applicator | |
US12150537B2 (en) | Cosmetic case having refill structure | |
KR102117100B1 (en) | Rotary typed cosmetic container | |
US11930907B1 (en) | Side-pushed makeup pen | |
KR101889971B1 (en) | Pencil type cosmetic case | |
KR20130003770U (en) | Cosmetic Vessel with Blocking Member | |
KR20080087464A (en) | Cosmetic supply unit and cosmetic tools including the same | |
US10392170B2 (en) | Container cap | |
KR102052996B1 (en) | Cosmetic compact container | |
KR102145268B1 (en) | Cosmetic powder case | |
CN111328265B (en) | Cosmetic container having discharge hole automatically opened/closed by top cover | |
KR101900086B1 (en) | Filling apparatus and cosmetic filling set includ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4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0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1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11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