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48795B1 - 방전 회로, 방전 회로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전력 공급부 - Google Patents

방전 회로, 방전 회로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전력 공급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8795B1
KR102048795B1 KR1020120095577A KR20120095577A KR102048795B1 KR 102048795 B1 KR102048795 B1 KR 102048795B1 KR 1020120095577 A KR1020120095577 A KR 1020120095577A KR 20120095577 A KR20120095577 A KR 20120095577A KR 102048795 B1 KR102048795 B1 KR 102048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or
switch element
power
discharge circuit
capaci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5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8698A (ko
Inventor
정안식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120095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8795B1/ko
Priority to EP13182073.0A priority patent/EP2704281B1/en
Priority to US14/013,111 priority patent/US9559527B2/en
Priority to CN201310390870.XA priority patent/CN103683903B/zh
Publication of KR20140028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8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8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879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1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A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4Power supply control, e.g. power-saving mode, automatic power turn-of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80Details relating to power supplies, circuits boards, electrical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2Arrangements for reducing harmonics from AC input or output
    • H02M1/126Arrangements for reducing harmonics from AC input or output using passive fil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02M1/322Means for rapidly discharging a capacitor of the converter for protecting electrical components or for preventing electrical sho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전기 제품의 대기 모드 시 발생하는 대기 전력을 최소로 하기 위한 방전 회로, 방전 회로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전력 공급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교류 전력이 공급되는 교류 전력 입력 라인 사이에 연결되어 교류 전력에 의해 충전되는 제 1 캐패시터를 방전시키기 위한 방전 회로에 있어서, 교류 전력 입력 라인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제 1 저항 및 제 1 스위치 소자와; 교류 전력 입력 라인 사이에 직렬 연결되며, 교류 전력이 공급되는 동안 통전되어 제 1 스위치 소자를 턴 오프 시키고, 교류 전력의 차단에 응답하여 제 1 스위치 소자를 턴 온 시켜서 제 1 캐패시터가 제 1 저항 및 제 1 스위치 소자를 통해 방전되도록 하는 제 2 저항 및 제 2 스위치 소자를 포함하고, 제 2 저항의 저항 값이 제 1 저항의 저항 값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다.

Description

방전 회로, 방전 회로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전력 공급부{DISCHARGING CIRCUIT,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DISCHARGING CIRCUIT AND POWER SUPPLYING UNIT}
본 발명은 방전 회로, 방전 회로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전력 공급부에 관한 것으로, 대기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전 회로, 방전 회로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환경 보호의 관점에서 에너지 절감을 위해 전기 제품의 대기 전력 규제가 국내뿐만 아니라 미주(EPA1.2)와 유럽(ErP 2단계) 등에서 강력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전기 제품의 대기 전력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전력 공급 장치(예를 들면 SMPS)의 입력단에는 노이즈 제거를 위한 EMI 필터가 마련되는데, 이 EMI 필터에 마련되는 X-Capacitor의 충전 전하가 플러그-오프 시 플러그의 금속 단자로 흘러서 안전에 문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X-Capacitor에 충전되어 있는 전하를 방전시키는 위한 방전 저항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 방전 저항으로 인해 대기 모드에서의 전력 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는 곧 전기 제품의 대기 전력을 줄이기 위한 노력에 역행하는 것이어서,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대책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전기 제품의 대기 모드 시 발생하는 대기 전력을 최소로 하고, 전력 차단 시 캐패시터의 방전 속도를 개선하기 위한 방전 회로, 방전 회로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전력 공급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방전 회로는, 교류 전력이 공급되는 교류 전력 입력 라인 사이에 연결되어 교류 전력에 의해 충전되는 제 1 캐패시터를 방전시키기 위한 방전 회로에 있어서, 교류 전력 입력 라인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제 1 저항 및 제 1 스위치 소자와; 교류 전력 입력 라인 사이에 직렬 연결되며, 교류 전력이 공급되는 동안 통전되어 제 1 스위치 소자를 턴 오프 시키고, 교류 전력의 차단에 응답하여 제 1 스위치 소자를 턴 온 시켜서 제 1 캐패시터가 제 1 저항 및 제 1 스위치 소자를 통해 방전되도록 하는 제 2 저항 및 제 2 스위치 소자를 포함하고, 제 2 저항의 저항 값이 제 1 저항의 저항 값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전 회로는, 제 2 스위치 소자의 턴 오프에 의해 제 1 스위치 소자가 턴 온되고; 제 2 스위치 소자의 턴 온에 의해 제 1 스위치 소자가 턴 오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전 회로는, 교류 전력이 공급되는 동안 제 2 저항을 통해 충전되어 제 2 스위치 소자를 턴 온 시키기 위한 제 2 캐패시터와; 교류 전력의 차단 시 제 2 캐패시터를 방전시켜서 제 2 스위치 소자를 턴 오프시키기 위한 제 3 저항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전 회로는, 제 2 저항과 제 2 스위치 소자 사이에 제 1 스위치 소자의 온/오프 제어 단자가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전 회로는, 제 2 저항을 통해 흐르는 전류가 제 2 캐패시터로 공급되도록 제 2 저항에서 제 2 캐패시터로 연결되는 정류 소자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전 회로는, 제 2 스위치 소자의 턴 온 전압이 0.7V이고 입력 전압이 직류 전압일 때, 제 1 저항과 제 2 캐패시터에 의해 결정되는 시정수가 8.45 미만이 되도록 제 1 저항의 저항 값과 제 2 캐패시터의 용량이 결정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전 회로는, 제 2 저항이 단일의 저항 소자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전 회로는, 제 2 저항이 복수의 저항 소자가 직렬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전 회로는, 제 2 스위치 소자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Bipolar Transistor)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전 회로는, 제 2 스위치 소자가 MOS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전 회로는, 제 1 저항이 단일의 저항 소자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전 회로는, 제 1 저항이 복수의 저항 소자가 직렬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방전 회로는, 교류 전력이 공급되는 교류 전력 입력 라인 사이에 연결되어 교류 전력에 의해 충전되는 제 1 캐패시터를 방전시키기 위한 방전 회로에 있어서, 교류 전력 입력 라인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제 1 저항 및 제 1 스위치 소자와, 교류 전력 입력 라인 사이에 직렬 연결되며 교류 전력이 공급되는 동안 통전되어 제 1 스위치 소자를 턴 오프 시키고 교류 전력의 차단에 응답하여 제 1 스위치 소자를 턴 온 시켜서 제 1 캐패시터가 제 1 저항 및 제 1 스위치 소자를 통해 제 1 극성의 방향으로 방전되도록 하는 제 2 저항 및 제 2 스위치 소자로 이루어지는 제 1 방전 회로부와; 교류 전력 입력 라인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제 3 저항 및 제 3 스위치 소자와, 교류 전력 입력 라인 사이에 직렬 연결되며 교류 전력이 공급되는 동안 통전되어 제 3 스위치 소자를 턴 오프 시키고 교류 전력의 차단에 응답하여 제 3 스위치 소자를 턴 온 시켜서 제 1 캐패시터가 제 3 저항 및 제 3 스위치 소자를 통해 제 1 극성의 반대인 제 2 극성의 방향으로 방전되도록 하는 제 4 저항 및 제 4 스위치 소자로 이루어지는 제 2 방전 회로부를 포함하고, 제 2 저항의 저항 값이 제 1 저항의 저항 값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고, 제 4 저항의 저항 값이 제 3 저항의 저항 값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전 회로에서, 제 1 방전 회로부는, 제 2 스위치 소자의 턴 오프에 의해 제 1 스위치 소자가 턴 온되고; 제 2 스위치 소자의 턴 온에 의해 제 1 스위치 소자가 턴 오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전 회로에서, 제 1 방전 회로부는, 교류 전력이 공급되는 동안 제 2 저항을 통해 충전되어 제 2 스위치 소자를 턴 온 시키기 위한 제 2 캐패시터와; 교류 전력의 차단 시 제 2 캐패시터를 방전시켜서 제 2 스위치 소자를 턴 오프시키기 위한 제 5 저항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전 회로에서, 제 2 방전 회로부는, 제 4 스위치 소자의 턴 오프에 의해 제 3 스위치 소자가 턴 온되고; 제 4 스위치 소자의 턴 온에 의해 제 3 스위치 소자가 턴 오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전 회로에서, 제 2 방전 회로부는, 교류 전력이 공급되는 동안 제 4 저항을 통해 충전되어 제 4 스위치 소자를 턴 온 시키기 위한 제 2 캐패시터와;
교류 전력의 차단 시 제 4 캐패시터를 방전시켜서 제 4 스위치 소자를 턴 오프시키기 위한 제 6 저항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전 회로는, 교류 전력의 극성의 변화에 따라 제 1 방전 회로부와 제 2 방전 회로부가 서로 상보적으로 방전을 실시한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교류 전력이 공급되는 교류 전력 입력 라인 사이에 연결되어 교류 전력에 의해 충전되는 제 1 캐패시터를 방전시키기 위한 방전 회로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방전 회로는, 교류 전력 입력 라인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제 1 저항 및 제 1 스위치 소자와; 교류 전력 입력 라인 사이에 직렬 연결되며, 교류 전력이 공급되는 동안 통전되어 제 1 스위치 소자를 턴 오프 시키고, 교류 전력의 차단에 응답하여 제 1 스위치 소자를 턴 온 시켜서 제 1 캐패시터가 제 1 저항 및 제 1 스위치 소자를 통해 방전되도록 하는 제 2 저항 및 제 2 스위치 소자를 포함하고, 제 2 저항의 저항 값이 제 1 저항의 저항 값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방전 회로를 구비한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화상 형성 장치는, 교류 전력이 공급되는 교류 전력 입력 라인 사이에 연결되어 교류 전력에 의해 충전되는 제 1 캐패시터를 방전시키기 위한 방전 회로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방전 회로는, 교류 전력 입력 라인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제 1 저항 및 제 1 스위치 소자와, 교류 전력 입력 라인 사이에 직렬 연결되며 교류 전력이 공급되는 동안 통전되어 제 1 스위치 소자를 턴 오프 시키고 교류 전력의 차단에 응답하여 제 1 스위치 소자를 턴 온 시켜서 제 1 캐패시터가 제 1 저항 및 제 1 스위치 소자를 통해 제 1 극성의 방향으로 방전되도록 하는 제 2 저항 및 제 2 스위치 소자로 이루어지는 제 1 방전 회로부와; 교류 전력 입력 라인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제 3 저항 및 제 3 스위치 소자와, 교류 전력 입력 라인 사이에 직렬 연결되며 교류 전력이 공급되는 동안 통전되어 제 3 스위치 소자를 턴 오프 시키고 교류 전력의 차단에 응답하여 제 3 스위치 소자를 턴 온 시켜서 제 1 캐패시터가 제 3 저항 및 제 3 스위치 소자를 통해 제 1 극성의 반대인 제 2 극성의 방향으로 방전되도록 하는 제 4 저항 및 제 4 스위치 소자로 이루어지는 제 2 방전 회로부를 포함하고, 제 2 저항의 저항 값이 제 1 저항의 저항 값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고, 제 4 저항의 저항 값이 제 3 저항의 저항 값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방전 회로를 구비한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전력 공급부는, 교류 전력이 공급되는 교류 전력 입력 라인 사이에 연결되어 교류 전력에 의해 충전되는 제 1 캐패시터를 방전시키기 위한 방전 회로를 구비하는 전력 공급부에 있어서, 교류 전력 입력 라인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저항 및 스위치 소자와; 직류 전압 강하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치 소자를 턴 오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전력 공급부는, 교류 전력의 차단 시 제어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전력 공급부는, 저항이 복수의 저항 소자가 직렬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전기 제품의 대기 모드 시 발생하는 대기 전력을 최소로 하고, 전력 차단 시 캐패시터의 방전 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인 레이저 프린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계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전력 공급부(202)의 제 1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방전 회로(302)의 제 1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3에 나타낸 방전 회로(302)의 제 2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3에 나타낸 방전 회로(302)의 제 3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3에 나타낸 방전 회로부의 제 4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2에 나타낸 전력 공급부(202)의 제 2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인 레이저 프린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화상 형성 장치(102)에는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전력 케이블(Power Cable)(104)이 설치되고, 전력 케이블(104)의 끝에는 플러그(106)가 마련된다. 이 플러그(108)가 콘센트 또는 멀티 탭의 소켓(108)에 삽입됨으로써 외부의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 교류 전력이 화상 형성 장치(102)에 공급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2)는, 소켓(108)에 삽입된 플러그(106)와 전력 케이블(104)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화상 처리에 관련된 작업을 수행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플러그(106)가 소켓(108)에 삽입되는 것을 플러그-온(Plug-On)으로 표현하고, 소켓(108)에 삽입되어 있던 플러그(106)가 소켓(108)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플러그-오프(Plug-Off)으로 표현하고자 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계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2)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240)에는 급지부(230)와 배지부(220), 화상 전사부(250), 전사부(270), 디스플레이(206), 스피커(208)가 통신 가능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력 공급부(202)(예를 들면 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는 5V 및 24V의 시스템 직류 전력을 생성하여 제어부(240) 및 화상 전사부(270), 그 밖에 다른 여러 부분에 공급한다. 또한 전력 공급부(202)는 입력되는 상용 전력을 필요한 부분(예를 들면 정착부(270)의 정착 히터 등)에 제공하기도 한다. 급지부(230)는 급지 카세트에 적재된 인쇄 매체(용지)를 화상 전사부(250)로 급지하기 위한 것이다. 화상 전사부(250)는 화상 신호에 따라 소정 화상을 형성한 다음 이를 인쇄 매체의 상면에 전사하기 위한 것이다. 정착부(270)는 인쇄 매체에 전사된 화상을 반영구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배지부(220)는 정착부(270)에서 화상이 정착된 인쇄 매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부(240)는 화상 형성 장치(102)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며, 화상 형성 장치(102)의 각 부분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다수의 센서와 통신 가능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디스플레이(206)는 화상 형성 장치(102)의 운전 정보 또는 상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안내 메시지 등을 표시한다. 스피커(208)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동작 시 발생하는 안내음이나 경고음 등을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전력 공급부(202)의 제 1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전력 공급부(202)는, 방전 회로(302)와 EMI 필터(Electromagnetic Interference Filter)(304), 정류부(306), 변압기(308)를 포함한다. 방전 회로(302)는 EMI 필터(304)의 X-Cap(X-Capacitor)(제 1 캐패시터)을 방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EMI 필터(304)는 상용 전력(AC 또는 DC)이 공급되는 전력 케이블(104)(도 1 참조)에 포함되어 있는 여러 가지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코일과 콘덴서로 이루어지는 라인 필터이다. 정류부(306)는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거나, 교류 전력을 목적하는 다른 위상의 교류 전력으로 변환한다. 변압기(308)는 정류부(306)에서 정류된 직류 전력의 전압을 낮추어 목적하는 레벨의 직류 전압이 생성되도록 한다.
도 3에 나타낸 전력 공급부(202a)에서는 교류-직류 변환(AC-DC Conversion)을 통해 5V와 24V의 두 가지 시스템 직류 전력을 생성하는 경우를 나타내었다. 5V의 직류 전력은 제어부(240)와 같은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회로 소자 등에 공급되고, 24V의 직류 전력은 정착부(170) 등에 공급된다. 물론 화상 형성 장치(102)의 다른 구성 요소에도 전력 공급부(202a)에서 출력되는 5V와 24V의 시스템 직류 전력이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도 3에서 EMI 필터(304)의 X-Cap은, 플러그-온 상태에서 전력 공급부(202)에 입력되는 상용 전력에 의해 충전되었다가, 플러그-오프되면 방전 회로(302)의 작용에 의해 방전된다. X-Cap이 충전되었다가 방전되지 않으면 그 충전 전압이 플러그(106)의 금속 단자 양단에 나타나기 때문에 안전을 위해 X-Cap을 방전시킬 필요가 있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방전 회로(302)의 제 1 실시 예(302a)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플러그-온 상태이고, (B)는 플러그-오프 상태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방전 회로(302a)는, 교류 전력 입력 라인의 양단(Live)(Neutral) 사이에 방전 저항(R) 및 바이폴라 트랜지스터(Bipolar Transistor)(Q1)가 직렬 연결되고, 이와 병렬로 또 다른 저항(5R) 및 MOS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Q2)가 직렬 연결된다.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단자는 저항(5R)과 MOSFET(Q2) 사이에 연결되고, MOSFET(Q2)의 게이트 단자와 뉴트럴(Neutral) 사이에는 저항(R1)과 캐패시터(C1)(제 2 캐패시터)가 병렬 연결된다. 저항(5R)과 MOSFET(Q2) 사이의 노드와 MOSFET(Q2)의 게이트 단자 사이에는 다이오드(D)가 연결된다.
이와 같은 방전 회로(302a)는 플러그-온 상태로 대기 중일 때 발생할 수 있는 방전 저항에 의한 전력 소비를 최소로 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도 4(A)의 플러그-온 상태일 때 입력되는 전력에 의해 캐패시터(C1)가 충전되고, 이로 인해 MOSFET(Q2)의 게이트 단자 전압이 상승하여 MOSFET(Q2)가 턴 온된다. 턴 온된 MOSFET(Q2)는 저항(5R)을 통해 흐르는 전류를 그대로 뉴트럴로 흘려보내서,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는 턴 오프된다.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가 턴 오프 됨에 따라, 방전 저항(R)과 뉴트럴 사이가 스위치 오프 됨으로써 방전 저항(R)을 통한 X-Cap의 방전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 때 MOSFET(Q2)의 턴 온에 의한 미세한 전력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나, 이는 방전 저항(R)이 통전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전력 손실에 비하면 그 크기가 상대적으로 매우 작다. 예를 들면, 방전 저항에서의 손실은 P=V2/Rdischarge이고, 규격적으로 문제가 없는 조건은 R*C < 1이므로, 보통 방전 저항으로 680kΩ 저항을 사용한다. 입력되는 상용 전력이 230V일 때 플러그-온 시 발생하는 전력 손실은 2302/680k=0.08W의 상시 전력 손실이 발생한다. 대부분의 MOSFET의 경우 턴 온 시 발생하는 전력 소비량은 0.08W에 크게 못 미치기 때문에, 도 4(A)에서 MOSFET(Q2)의 턴 온에 의해 발생하는 전력 손실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를 턴 오프 시켜서 방전 저항(R)을 통한 방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전력 손실 억제 효과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작다고 할 수 있다.
플러그-오프 시에는 매우 짧은 시간 내에(예를 들면 1초 이내에) X-Cap에 충전되어 있던 전압이 인체에 해롭지 않은 수준으로 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가 다시 턴 온 되어 X-Cap이 빠르게 방전될 수 있어야 한다. 플러그-오프 시, 캐패시터(C1)에 충전되어 있던 전하는 저항(R1)을 통해 급속히 방전되고, 이로 인해 MOSFET(Q2)가 턴 오프 된다. MOSFET(Q2)가 턴 오프 되면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단자로 전류가 흘러서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가 턴 온되고, 이로 인해 방전 저항(R)과 턴 온 된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를 통해 X-Cap의 충전 전하가 급속히 모두 방전된다. 방전 저항(R)의 크기 조절을 통해 방전 저항(R)을 통한 X-Cap의 방전 속도를 목적하는 수준으로 달성할 수 있다. 만약 EMI 필터(304)의 EMI 특성을 만족하기 위해 X-Cap의 규격이 변경되면 그에 따른 방전 저항(R)의 규격도 유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방전 회로(302)의 제 2 실시 예(302b)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플러그-온 상태이고, (B)는 플러그-오프 상태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방전 회로(302b)는, 교류 전력 입력 라인의 양단(Live)(Neutral) 사이에 복수의 방전 저항(R) 및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가 직렬 연결되고, 이와 병렬로 또 다른 복수의 저항(5R) 및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2)가 직렬 연결된다.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단자는 저항(5R)과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2) 사이에 연결되고,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단자와 뉴트럴(Neutral) 사이에는 저항(R1)과 캐패시터(C1)(제 2 캐패시터)가 병렬 연결된다. 저항(5R)과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2) 사이의 노드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단자 사이에는 다이오드(D)와 저항(5R’)이 연결된다.
이와 같은 방전 회로(302a)는 플러그-온 상태로 대기 중일 때 발생할 수 있는 방전 저항에 의한 전력 소비를 최소로 하기 위한 것으로, 앞서 설명한 도 4의 방전 회로(302a)처럼 동작하여 대기 전력 손실을 최소화한다.
다만, 도 5의 방전 회로(302b)에서는, 복수의 방전 저항(R)을 직렬로 연결하였는데, 이를 통해 외부에서 유입되는 서지 전압(Surge Voltage) 등의 외란에 대해 방전 저항(R)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특정 규격의 저항이 아닌 범용의 일반 저항을 사용할 수 있어서 전력 공급부(202)의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정상 동작 시의 저항(5R)에서의 손실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저항(5R)의 크기를 방전 저항(R)보다 크게 설정하여 저항(5R)에서의 도통 손실을 줄인다. 또한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를 턴 오프 시키기 위한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2)의 턴 온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 다이오드(D)를 이용하여 반파 정류하고, 이 반파 정류된 전류마저도 최소로 하기 위해 저항(5R’)을 삽입하여 전류를 제한한다.
플러그-오프 시 가능하면 짧은 시간 내에(예를 들면 1초 이내에) X-Cap의 전하를 방전시켜야 하므로 이를 고려하여 저항(R1)과 캐패시터(C1)의 값을 결정한다. 즉,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2)의 턴 온 전압이 0.7V이고, 입력 전압이 정류된 DC 전압인 것으로 가정하면, Vt=Vt*0.9*(1-e(-1/R1C1))이 되어 시정수 R1C1 < 8.45가 되도록 저항(R1)과 캐패시터(C1)의 크기를 설정하여 대기 전력을 최소로 하면서 최단 시간에 방전이 이루어지도록 설정하면 된다.
또한, X-Cap에 대한 방전 시간은 정류되지 않은 교류 전력의 충전 전하에 관련되므로, 시정수 RC < 1(여기서 C는 X-Cap)이 되는 R값을 선정하여 사용하면 된다.
도 6은 도 3에 나타낸 방전 회로(302)의 제 3 실시 예(302c)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플러그-온 상태이고, (B)는 플러그-오프 상태이다. 도 6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방전 회로(302c)는, 도 5에 나타낸 방전 회로(302b)에서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2)를 MOSFET(Q2)로 대체한 것으로서, 전력선의 양단(Live)(Neutral) 사이에 복수의 방전 저항(R) 및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가 직렬 연결되고, 이와 병렬로 또 다른 복수의 저항(5R) 및 MOSFET(Q2)가 직렬 연결된다.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단자는 저항(5R)과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2) 사이에 연결되고, MOSFET(Q2)의 게이트 단자와 뉴트럴(Neutral) 사이에는 저항(R1)과 캐패시터(C1)(제 2 캐패시터)가 병렬 연결된다. 저항(5R)과 MOSFET(Q2) 사이의 노드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단자 사이에는 다이오드(D)와 저항(5R’)이 연결된다.
이와 같은 방전 회로(302a)는 플러그-온 상태로 대기 중일 때 발생할 수 있는 방전 저항에 의한 전력 소비를 최소로 하기 위한 것으로, 앞서 설명한 도 4의 방전 회로(302a)처럼 동작하여 대기 전력 손실을 최소화한다.
도 7은 도 3에 나타낸 방전 회로(302)의 제 4 실시 예(302d)(304d)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방전 회로(302d)(304d)는 제 1 방전 회로부(302d)와 제 2 방전 회로부(304d)로 구성되며, 전력선의 양단(Live)(Neutral) 사이에 제 1 방전 회로부(302d)와 제 2 방전 회로부(304d)가 병렬 연결된다. 제 1 방전 회로부(302d)는, 도 6의 방전 회로(302c)와 같은 구조이다. 즉, 전력선의 양단(Live)(Neutral) 사이에 복수의 방전 저항(R)(제 3 방전 저항) 및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제 3 스위치 소자)가 직렬 연결되고, 이와 병렬로 또 다른 복수의 저항(5R) 및 MOSFET(Q2)가 직렬 연결된다.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단자는 저항(5R)과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2) 사이에 연결되고, MOSFET(Q2)의 게이트 단자와 뉴트럴(Neutral) 사이에는 저항(R1)과 캐패시터(C1)가 병렬 연결된다. 저항(5R)과 MOSFET(Q2) 사이의 노드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단자 사이에는 다이오드(D)와 저항(5R’)이 연결된다. 또 다른 제 2 방전 회로부(304d)는, 구조는 앞서 설명한 제 1 방전 회로부(302d)와 같지만, 제 1 방전 회로부(302d)를 상하 반전시킨 것과 같은 상태로 전력선의 양단(Live)(Neutral) 사이에 연결된다. 즉, 제 1 방전 회로부(302d)는 라이브 단자(Live)에서 뉴트럴 단자(Neutral) 방향으로 방전이 이루어지도록 연결되지만, 제 2 방전 회로부(304d)는 뉴트럴 단자(Neutral)에서 라이브 단자(Live) 방향으로 방전이 이루어지도록 연결된다. 제 2 방전 회로부(304d)에도 복수의 방전 저항(R)(제 4 방전 저항)과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제 4 스위치 소자)가 마련된다. 이와 같은 제 1 방전 회로부(302d)는 전력선의 양단에 대해 제 1 극성의 방향으로 방전이 이루어지고, 제 2 방전 회로부(304d)는 전력선의 양단에 대해 제 1 극성의 반대 방향의 극성으로 방전이 이루어진다. 이는 X-Cap의 방전이 이루어지는 앙?향 극성에 모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방전 회로(302)의 제 4 실시 예(302d)(304d)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도 7의 (A)에 나타낸 것처럼, X-Cap의 상단이 (+) 극성을 갖고 하단이 (-) 극성을 갖도록 충전된 상태에서는 제 1 방전 회로부(302d)가 동작하여 X-Cap의 방전이 이루어진다. 반대로, 도 7의 (B)에 나타낸 것처럼, X-Cap의 하단이 (+) 극성을 갖고 상단이 (-) 극성을 갖도록 충전된 상태에서는 제 2 방전 회로부(304d)가 동작하여 X-Cap의 방전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제 1 방전 회로부(302d)와 제 2 방전 회로부(304d)의 병렬 연결 구조에 의해, X-Cap의 방전 극성이 바뀌더라도 안전하게 X-Cap의 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도 2에 나타낸 전력 공급부(202)의 제 2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나타낸 전력 공급부(202)는, 방전 회로(802)와 EMI 필터(Electromagnetic Interference Filter)(304), 정류부(306), 변압기(308)를 포함한다. 방전 회로(802)는 EMI 필터(304)의 X-Cap(X-Capacitor)을 방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방전 회로(802)는 복수의 저항(R)과 스위치(SW)가 전력선의 양단(Live)(Neutral) 사이에 직렬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EMI 필터(304)는 상용 전력(AC 또는 DC)이 공급되는 전력 케이블(104)(도 1 참조)에 포함되어 있는 여러 가지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코일과 콘덴서로 이루어지는 라인 필터이다. 정류부(306)는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거나, 교류 전력을 목적하는 다른 위상의 교류 전력으로 변환한다. 변압기(308)는 정류부(306)에서 정류된 직류 전력의 전압을 낮추어 목적하는 레벨의 직류 전압이 생성되도록 한다. 제어부(804)는 배터리(806)에 의해 동작하기 때문에 플러그-오프 시에도 동작할 수 있다. 제어부(804)는 직류 전압 강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방전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서 방전 회로(802)의 스위치(SW)를 턴 온 또는 턴 오프 시킨다. 직류 전압 강하 검출 신호는 변압기(308)의 2차 측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압이 일정 수준까지 강하면 발생하는 신호로서, 제어부(804)는 이 직류 전압 강하 검출 신호를 통해 플러그-오프 시점을 인지하고 방전 회로(802)의 스위치(SW)를 턴 온 시켜서 X-Cap을 방전시킨다. X-Cap이 방전에 필요한 시간(예를 들면 1초)이 경과하면 제어부(804)는 방전 회로(802)의 스위치(SW)를 턴 오프 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소켓에 삽입되는 플러그와, 플러그에 연결되는 전력 케이블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모든 전기 기기들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력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모든 산업 기기와 사무 자동화 기기, 가전 기기 등에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102 : 화상 형성 장치
104 : 전력 케이블
106 : 플러그
108 : 소켓
202 : 전력 공급부
206 : 디스플레이
208 : 스피커
220 : 배지부
230 : 급지부
240 : 제어부
250 : 화상 전사부
270 : 정착부
302 : 방전 회로
304 : EMI 필터(Electromagnetic Interference Filter)
306 : 정류부
308 : 변압기

Claims (23)

  1. 교류 전력이 공급되는 교류 전력 입력 라인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교류 전력에 의해 충전되는 제 1 캐패시터를 방전시키기 위한 방전 회로에 있어서,
    상기 교류 전력 입력 라인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제 1 저항 및 제 1 스위치 소자와, 상기 교류 전력 입력 라인 사이에 직렬 연결되며 상기 교류 전력이 공급되는 동안 통전되어 상기 제 1 스위치 소자를 턴 오프 시키고 상기 교류 전력의 차단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스위치 소자를 턴 온 시켜서 상기 제 1 캐패시터가 상기 제 1 저항 및 상기 제 1 스위치 소자를 통해 제 1 극성의 방향으로 방전되도록 하는 제 2 저항 및 제 2 스위치 소자로 이루어지는 제 1 방전 회로부와;
    상기 교류 전력 입력 라인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제 3 저항 및 제 3 스위치 소자와, 상기 교류 전력 입력 라인 사이에 직렬 연결되며 상기 교류 전력이 공급되는 동안 통전되어 상기 제 3 스위치 소자를 턴 오프 시키고 상기 교류 전력의 차단에 응답하여 상기 제 3 스위치 소자를 턴 온 시켜서 상기 제 1 캐패시터가 상기 제 3 저항 및 상기 제 3 스위치 소자를 통해 상기 제 1 극성의 반대인 제 2 극성의 방향으로 방전되도록 하는 제 4 저항 및 제 4 스위치 소자로 이루어지는 제 2 방전 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저항의 저항 값이 상기 제 1 저항의 저항 값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고, 상기 제 4 저항의 저항 값이 상기 제 3 저항의 저항 값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방전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전 회로부는,
    상기 제 2 스위치 소자의 턴 오프에 의해 상기 제 1 스위치 소자가 턴 온되고;
    상기 제 2 스위치 소자의 턴 온에 의해 상기 제 1 스위치 소자가 턴 오프되는 방전 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전 회로부는,
    상기 교류 전력이 공급되는 동안 상기 제 2 저항을 통해 충전되어 상기 제 2 스위치 소자를 턴 온 시키기 위한 제 2 캐패시터와;
    상기 교류 전력의 차단 시 상기 제 2 캐패시터를 방전시켜서 상기 제 2 스위치 소자를 턴 오프시키기 위한 제 3 저항을 더 포함하는 방전 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저항과 상기 제 2 스위치 소자 사이에 상기 제 1 스위치 소자의 온/오프 제어 단자가 연결되는 방전 회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저항을 통해 흐르는 전류가 상기 제 2 캐패시터로 공급되도록 상기 제 2 저항에서 상기 제 2 캐패시터로 연결되는 정류 소자를 더 포함하는 방전 회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위치 소자의 턴 온 전압이 0.7V이고 입력 전압이 직류 전압일 때, 상기 제 1 저항과 상기 제 2 캐패시터에 의해 결정되는 시정수가 8.45 미만이 되도록 상기 제 1 저항의 저항 값과 상기 제 2 캐패시터의 용량이 결정되는 방전 회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저항이 단일의 저항 소자로 이루어지는 방전 회로.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저항이 복수의 저항 소자가 직렬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방전 회로.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위치 소자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Bipolar Transistor)인 방전 회로.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위치 소자가 MOS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인 방전 회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항이 단일의 저항 소자로 이루어지는 방전 회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항이 복수의 저항 소자가 직렬 연결되 이루어지는 방전 회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방전 회로부는,
    상기 제 4 스위치 소자의 턴 오프에 의해 상기 제 3 스위치 소자가 턴 온되고;
    상기 제 4 스위치 소자의 턴 온에 의해 상기 제 3 스위치 소자가 턴 오프되는 방전 회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방전 회로부는,
    상기 교류 전력이 공급되는 동안 상기 제 4 저항을 통해 충전되어 상기 제 4 스위치 소자를 턴 온 시키기 위한 제 4 캐패시터와;
    상기 교류 전력의 차단 시 상기 제 4 캐패시터를 방전시켜서 상기 제 4 스위치 소자를 턴 오프시키기 위한 제 6 저항을 더 포함하는 방전 회로.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 전력의 극성의 변화에 따라 상기 제 1 방전 회로부와 상기 제 2 방전 회로부가 서로 상보적으로 방전을 실시하는 방전 회로.
  19. 삭제
  20. 교류 전력이 공급되는 교류 전력 입력 라인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교류 전력에 의해 충전되는 제 1 캐패시터를 방전시키기 위한 방전 회로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전 회로는,
    상기 교류 전력 입력 라인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제 1 저항 및 제 1 스위치 소자와, 상기 교류 전력 입력 라인 사이에 직렬 연결되며 상기 교류 전력이 공급되는 동안 통전되어 상기 제 1 스위치 소자를 턴 오프 시키고 상기 교류 전력의 차단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스위치 소자를 턴 온 시켜서 상기 제 1 캐패시터가 상기 제 1 저항 및 상기 제 1 스위치 소자를 통해 제 1 극성의 방향으로 방전되도록 하는 제 2 저항 및 제 2 스위치 소자로 이루어지는 제 1 방전 회로부와;
    상기 교류 전력 입력 라인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제 3 저항 및 제 3 스위치 소자와, 상기 교류 전력 입력 라인 사이에 직렬 연결되며 상기 교류 전력이 공급되는 동안 통전되어 상기 제 3 스위치 소자를 턴 오프 시키고 상기 교류 전력의 차단에 응답하여 상기 제 3 스위치 소자를 턴 온 시켜서 상기 제 1 캐패시터가 상기 제 3 저항 및 상기 제 3 스위치 소자를 통해 상기 제 1 극성의 반대인 제 2 극성의 방향으로 방전되도록 하는 제 4 저항 및 제 4 스위치 소자로 이루어지는 제 2 방전 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저항의 저항 값이 상기 제 1 저항의 저항 값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고, 상기 제 4 저항의 저항 값이 상기 제 3 저항의 저항 값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방전 회로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21. 교류 전력이 공급되는 교류 전력 입력 라인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교류 전력에 의해 충전되는 제 1 캐패시터를 방전시키기 위한 방전 회로를 구비하는 전력 공급부에 있어서,
    상기 교류 전력 입력 라인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저항 및 스위치 소자;
    정류부에서 정류된 직류 전압을 낮추어 목적하는 레벨의 직류 전압을 생성하는 변압기; 및
    직류 전압 강하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스위치 소자를 턴 오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직류 전압 강하 검출 신호는 상기 변압기의 2차 측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압이 일정 수준 이하로 낮아지면 발생하는 전력 공급부.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 전력의 차단 시 상기 제어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전력 공급부.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이 복수의 저항 소자가 직렬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인 전력 공급부.
KR1020120095577A 2012-08-30 2012-08-30 방전 회로, 방전 회로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전력 공급부 Expired - Fee Related KR102048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577A KR102048795B1 (ko) 2012-08-30 2012-08-30 방전 회로, 방전 회로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전력 공급부
EP13182073.0A EP2704281B1 (en) 2012-08-30 2013-08-28 Discharging circuit
US14/013,111 US9559527B2 (en) 2012-08-30 2013-08-29 Discharging circuit,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discharging circuit, and power supply unit
CN201310390870.XA CN103683903B (zh) 2012-08-30 2013-08-30 放电电路、具有该放电电路的图像形成装置以及电源单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577A KR102048795B1 (ko) 2012-08-30 2012-08-30 방전 회로, 방전 회로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전력 공급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8698A KR20140028698A (ko) 2014-03-10
KR102048795B1 true KR102048795B1 (ko) 2019-11-26

Family

ID=49036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5577A Expired - Fee Related KR102048795B1 (ko) 2012-08-30 2012-08-30 방전 회로, 방전 회로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전력 공급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59527B2 (ko)
EP (1) EP2704281B1 (ko)
KR (1) KR102048795B1 (ko)
CN (1) CN10368390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TO20110769A1 (it) * 2011-08-12 2013-02-13 Magneti Marelli Spa Dispositivo e metodo di scarica per un condensatore in un impianto elettrico di potenza di un veicolo con trazione elettrica
US10345348B2 (en) 2014-11-04 2019-07-09 Stmicroelectronics S.R.L. Detection circuit for an active discharge circuit of an X-capacitor, related active discharge circuit,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US9831761B2 (en) * 2015-03-19 2017-11-28 Chicony Power Technology Co., Ltd. Speedy discharging circuit and power supply apparatus with speedy discharging circuit
CN104901297A (zh) * 2015-06-26 2015-09-0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的放电电路及其放电方法
JP6611530B2 (ja) * 2015-09-11 2019-11-27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力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7146260A (ja) * 2016-02-19 2017-08-24 株式会社ケーヒン 電圧検出装置
US9985452B2 (en) * 2016-03-03 2018-05-2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pparatus for discharging a high-voltage bus
CN106612067A (zh) * 2017-01-06 2017-05-03 浙江凯耀照明股份有限公司 一种防过冲快速放电电路
US11863062B2 (en) * 2018-04-27 2024-01-02 Raytheon Company Capacitor discharge circuit
JP7119872B2 (ja) * 2018-10-09 2022-08-17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イッチの駆動回路
TWI677173B (zh) * 2018-10-29 2019-11-11 群光電能科技股份有限公司 電源轉換器
JP7629831B2 (ja) 2021-09-17 2025-02-14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電気機器
CN113793815B (zh) * 2021-09-26 2024-04-26 杭州广立测试设备有限公司 一种宽电压范围高速多级放电电路、测试系统和放电方法
TWI822239B (zh) * 2022-08-11 2023-11-11 致茂電子股份有限公司 雙向交流功率轉換裝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25278A1 (en) 2009-07-31 2011-02-03 Power Integr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power converter input terminal voltage discharge circuit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45324A1 (de) * 1985-12-20 1987-06-25 Braun Ag Elektronisches schaltnetzteil
US6252786B1 (en) * 1998-04-28 2001-06-26 Chi-Myung Ahn Electric power control method and circuit with controlled fadeout of power consumption
JP2000184718A (ja) 1998-12-10 2000-06-30 Sharp Corp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7456611B2 (en) * 2005-08-11 2008-11-25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Multi-current battery charger circuit and method therefor
US8212494B2 (en) * 2008-04-04 2012-07-03 Lemnis Lighting Patents Holding B.V. Dimmer triggering circuit, dimmer system and dimmable device
US8829812B2 (en) * 2008-04-04 2014-09-09 Koninklijke Philips N.V. Dimmable lighting system
JP5511225B2 (ja) * 2009-06-03 2014-06-04 ローム株式会社 昇圧型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DE102009034350A1 (de) * 2009-07-23 2011-02-03 Tridonicatco Gmbh & Co. Kg Verfahren und Schaltung zur Leistungsfaktor-Korrektur
JP5094797B2 (ja) * 2009-08-07 2012-12-12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直流電源平滑用コンデンサーの放電回路
KR20120016792A (ko) * 2010-08-17 2012-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전원공급장치 및 그 전원공급방법
JP5645700B2 (ja) * 2011-02-16 2014-12-24 キヤノン株式会社 放電回路、放電回路を有する電源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2186893A (ja) * 2011-03-04 2012-09-27 Honda Motor Co Ltd 電動車両
CN103219878B (zh) * 2012-01-20 2016-06-01 台达电子企业管理(上海)有限公司 一种电容放电电路及功率变换器
CN102594111A (zh) * 2012-02-24 2012-07-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快速放电电路
US9374858B2 (en) * 2012-05-21 2016-06-21 Cree, Inc. Solid-state lighting apparatus and methods using switched energy storag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25278A1 (en) 2009-07-31 2011-02-03 Power Integr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power converter input terminal voltage discharge circu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8698A (ko) 2014-03-10
US20140062421A1 (en) 2014-03-06
US9559527B2 (en) 2017-01-31
CN103683903A (zh) 2014-03-26
EP2704281A2 (en) 2014-03-05
EP2704281A3 (en) 2017-04-05
CN103683903B (zh) 2019-04-12
EP2704281B1 (en) 2021-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8795B1 (ko) 방전 회로, 방전 회로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전력 공급부
KR101365602B1 (ko) 전원 공급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EP2827482B1 (en) Power control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lcuding the same
CN107431351B (zh) 对快充usb充电器中的数据线的软短路过电压保护
US9715204B2 (en) Discharge circuit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9374010B2 (en) Power adaptor
JP4934479B2 (ja) 電子機器
JP4962793B2 (ja) 充電装置
US8923020B2 (en)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having shunt regulator with switchable gain
JP2009081901A (ja) 過電圧保護装置
JP2010098875A (ja) 電源装置
JP2002095246A (ja) 電源装置
US8374013B2 (en) Power supply with an interface for AC and DC signals
JP2016152671A (ja) 突入電流保護機能付電源装置
JP2009213261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5401045B2 (ja) 電源回路
KR101213696B1 (ko) 과전압 보호 장치
JP2010016962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CN107231092A (zh) 具有pwm控制器外加短路保护电路的开关电源
JP2024167043A (ja) 電力供給装置
JP2010226933A (ja) 保護回路、及び、電子機器
JP5029034B2 (ja) 電源装置
JP2010017001A (ja) 多出力型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001327160A (ja) 電源装置
JP2015139304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30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611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6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8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9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3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9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3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110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81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5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907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MND Amendment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1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9072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42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3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110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81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1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1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