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48145B1 - 결로방지용 방화문 도어 - Google Patents

결로방지용 방화문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8145B1
KR102048145B1 KR1020180047907A KR20180047907A KR102048145B1 KR 102048145 B1 KR102048145 B1 KR 102048145B1 KR 1020180047907 A KR1020180047907 A KR 1020180047907A KR 20180047907 A KR20180047907 A KR 20180047907A KR 102048145 B1 KR102048145 B1 KR 102048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anel
door
rear panel
front pan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7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3953A (ko
Inventor
남효명
Original Assignee
남효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효명 filed Critical 남효명
Priority to KR1020180047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8145B1/ko
Publication of KR20190123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3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8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814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8Shape of edges of wing and/or its frame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2Measures preventing the formation of condense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59Specific frame characteristics
    • E06B2003/708Specific frame characteristics insul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로방지용 방화문 도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화문 도어의 전면패널과 후면패널 사이에 형성한 개방부를 결로방지용 단열 프레임에 의하여 밀폐시키도록 하여 전면패널과 후면패널 사이에 발생하는 온도 저하율을 낮추어 방화문 도어의 후면패널 및 후면패널 하부에 발생하는 결로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문틀과; 상기 문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한 도어 패널부와; 상기 문틀과 도어 패널부를 구성하는 후면패널 사이에 설치된 밀폐 패킹;으로 구성된 것방화문에 있어서, 상기 도어 패널부를 철재 전면패널과 철재 후면패널로 분할하여 구성하되, 상기 전면패널과 후면패널 사이에 형성한 개방부에 결로방지용 단열 프레임을 결합하여 상기 개방부를 밀폐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결로방지용 방화문 도어{Fireproof door for condensation prevention}
본 발명은 결로방지용 방화문 도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화문 도어의 전면패널과 후면패널 사이에 형성한 개방부를 결로방지용 단열 프레임에 의하여 밀폐시키도록 하여 전면패널과 후면패널 사이에 발생하는 온도 저하율을 낮추어 방화문 도어의 후면패널 및 후면패널 하부에 발생하는 결로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문은 아파트나 연립 단독주택 등의 출입문으로 사용되고, 벽체에 고정된 문틀을 이용하여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있으나, 방화문과 문틀은 한 쪽이 외기(外氣)와 접하고, 반대쪽은 내기(內氣)와 접하는 관계로 겨울철과 같이 내외부 온도차가 클 경우는 방화문의 내측이나 문틀의 내측에 결로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결로현상에 의해 발생 된 물방울은 페인트로 도색한 벽면이나 벽지 등의 오염과 함께 곰팡이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결로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화문은 다양한 형태가 제공되어 결로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나, 문틀에서 발생 되는 결로 현상은 효과적으로 차단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기존의 결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은 국내 등록실용 20-0283671호에 제시된 바와 같이 문틀을 외측 문틀과 내측 문틀로 분리한 후 온도 차단용 체결부재를 삽입하여 외측과 내측 문틀을 결합시킴으로써 결로현상을 방지하고 있으나, 이 경우 문틀에서 발생하는 결로현상을 방지는 가능하나 도어 패널을 구성하는 후면패널에서 발생하는 경로현상을 방지하는 기능이 없고, 설사 상기 문틀에 적용한 결로현상 방지를 위한 구성을 도어 패널부에 적용할 경우 도어 프레임과 도어 프레임 사이에 온도 차단용 체결부재를 게재한 다음 상기 도어 프레임과 도어 프레임을 겹쳐 결합하는 형태로 제공하게 되므로, 이로 인해 온도 차단용 체결부재가 게재되는 도어 프레임이 두꺼워지고, 이로 인하여 전면패널과 후면패널의 두께를 크게 변경시켜야 하며, 이로 인하여 전면패널과 후면패널 사이에 충진되는 단열재의 충진 공간율이 적게 되어 단열재 충진율을 크게 저하 시키게 되므로 단열효과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지적되며, 더구나 상기 전면패널과 후면패널 사이의 틈새를 밀폐시키지 못하는 구성을 갖게 되므로 실외 측 외기 상기 단열재측으로 침입하여 단열효과를 저하 시키는 문제점이 지적될 수 있다.
국내 등록실용 20-0283671호
본 발명은 방화문 도어의 전면패널과 후면패널 사이에 형성한 개방부를 결로방지용 단열 프레임에 의하여 밀폐시키도록 하여 전면패널과 후면패널 사이에 발생하는 온도 저하율을 낮추어 방화문 도어의 후면패널 및 후면패널 하부에 발생하는 결로현상을 방지하도록 함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본 발명은 문틀과; 상기 문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한 도어 패널부와; 상기 문틀과 도어 패널부를 구성하는 후면패널 사이에 설치된 밀폐 패킹;으로 구성된 것방화문에 있어서, 상기 도어 패널부를 철재 전면패널과 철재 후면패널로 분할하여 구성하되, 상기 전면패널과 후면패널 사이에 형성한 개방부에 결로방지용 단열 프레임을 결합하여 상기 개방부를 밀폐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어 패널부를 철재 전면패널과 철재 후면패널로 분할하여 일전간격을 두고 형성한 개방부에 합성수지재 또는 고무재 또는 목재로 성형된 결로방지용 단열 프레임을 결합하여 상기 개방부를 밀폐시키므로 실외 측 철재 전면패널의 열이 상기 결로방지용 단열 프레임에 의하여 실내 측 철재 후면패널 측으로 전도되지 않게 됨으로써 온도 저하율을 크게 낮추게 되어 방화문 도어의 후면패널 및 후면패널 하부 및 후면패널 하부 양측에 발생하는 결로현상을 방지하고, 이로 인하여 결로현상에 의해 발생 된 물방울은 페인트로 도색한 벽면이나 벽지 등의 오염과 함께 곰팡이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 패널부를 구성하는 철재 전면패널과 철재 후면패널의 개방부 단부를 절곡 시키되, 상기 개방부 단부에 결로방지용 단열 프레임의 돌출부를 면접시켜 철재 전면패널과 철재 후면패널 및 결로방지용 단열 프레임이 상호 흔들림없이 견고한 상태로 결합하게 함으로써 철재 전면패널과 철재 후면패널의 보강력을 증진시켜 도어 패널부의 훼손을 방지하는 효과와 상기 철재 전면패널과 철재 후면패널의 두께를 크게 변경함이 없이 결로방지용 단열 프레임을 결합하게 하여 철재 전면패널과 철재 후면패널 사이에 충진되는 단열재의 충진율을 저하 시키지 않게 하므로 단열효과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철재 전면패널과 철재 후면패널 및 결로방지용 단열 프레임 사이의 틈새를 오링에 의하여 밀폐력을 증진시켜 실외 측 외기가 단열재 측으로 침입하지 않도록 하여 단열재의 단열 성능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화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방화문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방화문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일부 확대 단면도로서, 결로방지용 단열 프레임이 결합 되기 전 상태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일부 확대 단면도로서, 결로방지용 단열 프레임이 결합 된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일부 확대 단면도로서, 결로방지용 단열 프레임이 결합 된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일부 확대 단면도로서, 결로방지용 단열 프레임이 결합 된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적용하는 결로방지용 단열 프레임의 사시도 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적용하는 결로방지용 단열 프레임의 사시도 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하는 결로방지용 단열 프레임이 결합 된 상태의 일부 발췌 결합 사시도로서, (a)는 제1실시예에 의한 일부 발췌 결합 사시도 이고, (b)는 제2실시예에 의한 일부 발췌 결합 사시도 이다.
본 발명은 문틀(10)과; 상기 문틀(10)에 힌지부재(20)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한 도어 패널부(30)와; 상기 문틀(10)과 도어 패널부(30)를 구성하는 후면패널(32) 사이에 설치된 밀폐 패킹(40);으로 구성된 방화문(100)에 있어서, 상기 도어 패널부(30)를 철재 전면패널(31)과 철재 후면패널(32)로 분할하여 구성하되, 상기 전면패널(31)과 후면패널(32) 사이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한 개방부(50)에 결로방지용 단열 프레임(60)을 결합하여 상기 개방부(50)를 밀폐시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도어 패널부(30)를 구성하는 철재 전면패널(31)과 철재 후면패널(32)은 각각 내측으로 1차 절곡 시켜 겹쳐지게 하여 철재 전면패널(31), 철재 후면패널(32) 각각의 만곡 단부(31A)(32A)를 형성하며, 상기 철재 전면패널(31)의 만곡 단부(31A)와 철재 후면패널(32)의 만곡 단부(32A) 사이에 일정간격을 두고 개방부(50)를 형성시켜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개방부(50)는 철재 전면패널(31)과 철재 후면패널(32) 사이의 가로 및 세로 전체 둘레에 형성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개방부(50)에 의하여 철재 전면패널(31)과 철재 후면패널(32)은 상호 이격된 상태를 가지게 되고, 상기 개방부(50)에 합성수지재 또는 고무재 또는 목재로 성형된 결로방지용 단열 프레임(60)을 결합함으로써 철재 전면패널(31) 및 철재 후면패널(32)과 결로방지용 단열 프레임(60)은 상호 이종 재질로 결합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철재 전면패널(31)의 낮은 온도가 상기 결로방지용 단열 프레임(60)에 의하여 직접 동종 재질의 철재 후면패널(32)에 전도되지 않게 되므로 온도 저하율이 낮아지게 됨으로써 철재 전면패널(31)의 낮은 온도가 철재 후면패널(32)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실내 측 철재 후면패널(32)의 패널 표면에는 온도 변화가 크지 않게 되므로 결로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개방부(50)에 결합하는 결로방지용 단열 프레임(60)은 철재 전면패널(31)의 만곡 단부(31A)와 철재 후면패널(32)의 만곡 단부(32A) 사이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한 개방부(50)에 끼워지는 단열 프레임 본체(60A) 외측면에 돌출시킨 밀폐용 돌출부(61)와; 상기 단열 프레임 본체(60A)의 상, 하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한 복수의 결합용 리벳 구멍(62)과; 상기 단열 프레임 본체(60A)의 내측 상, 하부에 철재 전면패널(31)과 철재 후면패널(32)의 내측면에 면접되는 단턱부(63)(64);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의 결로방지용 단열 프레임(60)의 설치구성을 살펴보면, 도 4와 같이 단열 프레임 본체(60A) 외측면에 돌출시킨 밀폐용 돌출부(61)를 상기 개방부(50)에 끼우되, 상기 밀폐용 돌출부(61)의 상부 턱(61A)과 하부 턱(61B) 각각을 상기 철재 전면패널(31)의 만곡 단부(31A)와 철재 후면패널(32)의 만곡 단부(32A)에 각각 면접시켜 개방부(50)를 밀폐시킨 다음 단열 프레임 본체(60A)의 단턱부(63)(64) 각각의 상, 하부면이 철재 전면패널(31)과 철재 후면패널(32) 각각의 내측면에 면접시키고, 도 5와 같이 단열 프레임 본체(60A)의 상, 하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한 복수의 결합용 리벳 구멍(62)을 통하여 리벳(70)으로 결합하여 결로방지용 단열 프레임(60)이 철재 전면패널(31)과 철재 후면패널(32) 각각에 견고한 상태로 결합 되면서 상기 개방부(50)를 밀폐시키고, 상기에서, 상기 1차 절곡된 철재 전면패널(31)과 철재 후면패널(32)의 후면부(31B)(32B)는 결로방지용 단열 프레임(60)의 단열 프레임 본체(60A)의 외측면(60B)에 면접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흔들림 없이 더욱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리벳(70) 공정을 수월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리벳 구멍(62)과 대응되는 철재 전면패널(31)과 철재 후면패널(32) 각각의 위치에 결합구멍을 뚫어 형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결로방지용 단열 프레임(60)의 밀폐용 돌출부(61)는 철재 전면패널(31)과 철재 후면패널(32) 사이에 형성한 개방부(50)에 끼워지고, 철재 전면패널(31)과 철재 후면패널(32)의 후면부(31B)(32B)와 결로방지용 단열 프레임(60)의 단열 프레임 본체(60A)의 외측면(60B)을 상호 면접시키는 결합 구성이므로 상기 철재 전면패널(31)과 철재 후면패널(32)의 두께를 크게 변경함이 없이 결로방지용 단열 프레임(60)을 결합하게 하여 철재 전면패널(31)과 철재 후면패널(32) 사이에 충진되는 단열재(80)의 충진율을 저하 시키지 않게 하므로 단열효과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단열재(80)는 철재 전면패널(31)과 철재 후면패널(32) 사이에 충진되는 단열재이고, 90은 문틀(10) 내부에 충진 되는 단열재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일부 확대 단면도로서, 결로방지용 단열 프레임이 결합 된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일부 확대 단면도로서, 결로방지용 단열 프레임이 결합 된 상태도 이다.
상기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도어 패널부(30)를 구성하는 철재 전면패널(31)과 철재 후면패널(32)은 각각 내측으로 1차 절곡 시켜 겹쳐지게 하여 철재 전면패널(31), 철재 후면패널(32) 각각의 만곡 단부(31A)(32A)를 형성하고, 상기 1차 절곡된 후면부(31B)(32B)를 2차 절곡 시켜 끼움 돌기부(31B')(32B')를 형성시키되, 상기 끼움 돌기부(31B')(32B')를 상기 결로방지용 단열 프레임(60)의 단열 프레임 본체(60A)에 형성한 끼움 요입부(60A-1)(60A-2)에 끼워 결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제2 실시예는 철재 전면패널(31)과 철재 후면패널(32) 각각의 끼움 돌기부(31B')(32B')가 결로방지용 단열 프레임(60)의 단열 프레임 본체(60A)에 형성한 끼움 요입부(60A-1)(60A-2)에 끼워 결합 됨과 동시에 리벳(70)으로 체결되게 하므로 유동 됨이 없이 결로방지용 단열 프레임(60)과 철재 전면패널(31) 및 철재 후면패널(32)이 상호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며, 이로 인하여 철재 전면패널(31)과 철재 후면패널(32)이 보강되면서 견고한 상태를 유지하여 찌그러지는 등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실시예는 결로방지용 단열 프레임(60)의 단열 프레임 본체(60A)에 형성한 밀폐용 돌출부(61)의 상, 하부 턱(61A)(61B) 각각에 오링 끼움홈(61A')(61B')을 형성하고 상기 오링 끼움홈(61A')(61B')에 오링(R)을 끼워 상기 밀폐용 돌출부(61)의 상부 턱(61A) 및 하부 턱(61B)과 철재 전면패널(31), 철재 후면패널(32) 각각의 만곡 단부(31A)(32A) 사이의 미세 틈새를 밀폐시키도록 하여 실외 측 외부 공기가 전면 패널(31)과 후면패널(32) 사이에 충진된 단열재(80)측으로의 유입을 방지하게 할 수 있어 단열재(80)의 단열 성능 저하를 방지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 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실
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문틀 20 : 힌지부재
30 : 도어 패널부 31 : 철재 전면패널
32 : 철재 후면패널 31A, 32A : 만곡 단부
31B, 32B : 후면부 31B', 32B' : 끼움 돌기부
40 : 밀폐 패킹 50 : 개방부
60 : 결로방지용 단열 프레임 60A : 단열 프레임 본체
60B : 외측면 60A, 61B : 상, 하부 턱
6A-1, 60A-2 : 끼움 요입부 60A', 61B' : 오링 끼움홈
61 : 밀폐용 돌출부 62 : 리벳 구멍
63, 64 : 단턱부 R : 오링
70 : 리벳 80, 90 : 단열재
100 : 방화문

Claims (4)

  1. 문틀(10)과; 상기 문틀(10)에 힌지부재(20)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한 도어 패널부(30)와; 상기 문틀(10)과 도어 패널부(30)를 구성하는 후면패널(32) 사이에 설치된 밀폐 패킹(40);으로 구성된 방화문(100)에 있어서, 상기 도어 패널부(30)를 철재 전면패널(31)과 철재 후면패널(32)로 분할하여 구성하되, 상기 전면패널(31)과 후면패널(32) 사이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한 개방부(50)에 합성수지재 또는 고무재 또는 목재로 성형된 결로방지용 단열 프레임(60)을 결합하여 상기 개방부(50)를 밀폐시켜 구성시키고, 상기 결로방지용 단열 프레임(60)은 철재 전면패널(31)의 만곡 단부(31A)와 철재 후면패널(32)의 만곡 단부(32A) 사이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한 개방부(50)에 끼워지는 단열 프레임 본체(60A) 외측면에 돌출시킨 밀폐용 돌출부(61)와; 상기 단열 프레임 본체(60A)의 상, 하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한 복수의 결합용 리벳 구멍(62)과; 상기 단열 프레임 본체(60A)의 내측 상, 하부에 철재 전면패널(31)과 철재 후면패널(32)의 내측면에 면접되는 단턱부(63)(6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도어 패널부(30)를 구성하는 철재 전면패널(31)과 철재 후면패널(32)은 각각 내측으로 1차 절곡 시켜 겹쳐지게 하여 철재 전면패널(31), 철재 후면패널(32) 각각의 만곡 단부(31A)(32A)를 형성하고, 상기 1차 절곡된 후면부(31B)(32B)를 2차 절곡 시켜 끼움 돌기부(31B')(32B')를 형성시키되, 상기 끼움 돌기부(31B')(32B')를 상기 결로방지용 단열 프레임(60)의 단열 프레임 본체(60A)에 형성한 끼움 요입부(60A-1)(60A-2)에 끼워 결합하도록 구성하고, 결로방지용 단열 프레임(60)의 단열 프레임 본체(60A)에 형성한 밀폐용 돌출부(61)의 상, 하부 턱(61A)(61B) 각각에 오링 끼움홈(61A')(61B')을 형성하되, 상기 오링 끼움홈(61A')(61B')에 오링(R)을 끼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방지용 방화문 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단열 프레임 본체(60A) 외측면에 돌출시킨 밀폐용 돌출부(61)를 상기 개방부(50)에 끼우되, 상기 밀폐용 돌출부(61)의 상부 턱(61A)과 하부 턱(61B) 각각을 상기 철재 전면패널(31)의 만곡 단부(31A)와 철재 후면패널(32)의 만곡 단부(32A)에 각각 면접시켜 개방부(50)를 밀폐시킨 다음 단열 프레임 본체(60A)의 단턱부(63)(64) 각각의 상, 하부면이 철재 전면패널(31)과 철재 후면패널(32) 각각의 내측면에 면접시키고, 단열 프레임 본체(60A)의 상, 하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한 복수의 결합용 리벳 구멍(62)을 통하여 리벳(70)으로 결합하여 설치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방지용 방화문 도어.



  3. 삭제
  4. 삭제
KR1020180047907A 2018-04-25 2018-04-25 결로방지용 방화문 도어 Active KR102048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907A KR102048145B1 (ko) 2018-04-25 2018-04-25 결로방지용 방화문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907A KR102048145B1 (ko) 2018-04-25 2018-04-25 결로방지용 방화문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953A KR20190123953A (ko) 2019-11-04
KR102048145B1 true KR102048145B1 (ko) 2019-11-22

Family

ID=68578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7907A Active KR102048145B1 (ko) 2018-04-25 2018-04-25 결로방지용 방화문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8145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671Y1 (ko) 2002-04-23 2002-07-27 백은기 방화문용 결로현상방지 프레임
KR101101935B1 (ko) * 2008-11-19 2012-01-02 (주)삼선씨에스에이 단열체가 마련된 방화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03951B1 (ko) * 2009-04-24 2012-01-12 조현식 문틀용 후레임
KR101795622B1 (ko) * 2015-12-30 2017-11-08 원태연 방화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953A (ko) 2019-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5626B1 (ko) 단열 방화문
KR101638083B1 (ko) 단열 및 차수 구조를 구비한 커튼월
KR100766199B1 (ko) 방화문의 결로방지 장치
KR101514022B1 (ko) 단열성이 개선된 창호용 프레임의 제조방법
KR101609246B1 (ko) 다중 단열 개폐창호 시스템
JP7174104B2 (ja) 建具
KR101607927B1 (ko) 방화문의 투시창 프레임
KR20130115608A (ko) 구조적인 강성과 기밀성 및 수밀성이 향상된 프로젝트 풀다운 창호의 단열 샤시구조체
KR20120002564U (ko) 방화문 기밀 구조
KR101317217B1 (ko) 차열과 단열 및 밀폐 조절 기능을 갖는 방화문
ITBZ20110056A1 (it) Telai per serramenti in materiale termoplastico saldabile, rivestibili con materiali diversi
KR20180100795A (ko) 창호 시스템
KR102117529B1 (ko) 유리창 고정구조
KR101327457B1 (ko) 미닫이 창호의 밀폐구조
KR102048145B1 (ko) 결로방지용 방화문 도어
KR20120100310A (ko) 결로 방지용 문틀
KR101764206B1 (ko) 중공형 단열 고효율 창호프레임
KR100969495B1 (ko) 시스템 창호의 기밀 유지구조
KR102141931B1 (ko) 기밀성이 향상된 슬라이딩 미닫이 창호 시스템
KR20160000197U (ko) 방화문 결합 구조물
KR20150068567A (ko) 고효율 단열 보강형 창호 구조물
KR101436609B1 (ko) 창호 시스템
JP6693792B2 (ja) 建具
KR101460617B1 (ko) 창 틈새 기밀 장치
KR101171468B1 (ko) 결로방지용 문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8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1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1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705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30705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