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47780B1 -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7780B1
KR102047780B1 KR1020170017912A KR20170017912A KR102047780B1 KR 102047780 B1 KR102047780 B1 KR 102047780B1 KR 1020170017912 A KR1020170017912 A KR 1020170017912A KR 20170017912 A KR20170017912 A KR 20170017912A KR 102047780 B1 KR102047780 B1 KR 102047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discharge
air
water
washing hea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7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2367A (ko
Inventor
최명근
Original Assignee
최명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명근 filed Critical 최명근
Priority to KR1020170017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780B1/ko
Publication of KR20180092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2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78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05Means for bathing bedridden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47Beds for special sanitary purposes, e.g. for giving enemas, irrigations, flush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1/00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원은 기존기술의 문제점인 기계적 회전수단이 없이 세정목적물(사람 혹은 동물의 신체 표피 및 머리카락, 털, 배설물)과 기기 접촉면 사이에서 진공과 등압 조건 하에서 세정수와 공기가 고압의 유동학적 고속 소용돌이 물살을 만들어 세척부위에 미세한 자극이나 통증도 주지 않으면서 세정효과를 극대화시킨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기술이다.
본원은 오염물처리를 위한 세척헤드부는 세척대상 접촉부를 형성하는 상단부위는 넓고 저부로는 좁아지는 형태를 이루는 세척헤드부의 일측으로는 물과 공기가 공급되는 구조를 이루고, 세척헤드부의 중심부에는 중앙배출부가 마련되며 중앙배출구를 기준으로 그 외연을 다수개의 격벽이 다중으로 감싸는 구조를 이루되, 각각의 격벽에는 경사각을 이룬 배출유로가 다수개 형성되어 세척헤드부로 유입된 물과 공기가 각각의 격벽에 형성된 배출유로를 따라 흐를 때 외측 격벽부터 내측 격벽까지 각각의 격벽에 마련된 배출유로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며 소용돌이 와류를 형성하며 물과 공기가 배출되는 구조를 이루며, 상기 세척헤드부가 제어부 몸체와 연결되어 물 및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제어되며 세척헤드부의 중앙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오염원은 배출관을 경유하여 오염물수거통과 연결되고 오염물수거통은 진공장치와 연결된 구성을 이루어서 제어부에 설정된 조건이 충족되면 오염물 세정 및 배출장치에 진공상태가 설정됨과 동시에 세척헤드부에 물 및 공기가 공급되고 중앙배출부 후미에서는 높은 진공압으로 흡입함으로 인해 세척헤드부로 유입되는 물과 공기가 각각의 격벽에 마련된 경사면 배출유로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며 소용돌이 와류를 형성하며 오염물을 세정 후 오염물 수거통으로 배출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automatic cleaning apparatus}
본 발명은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이 침대에 누워 옷을 입고 있는 상태에서 신체의 복부나 등은 물론 머리감기를 포함한 원하는 어떤 부위든지 원하는 부위를 세정하거나 또는 머리를 감기거나, 신체 하반신에 용변 분비물이 남아 있는 경우 등에 본원의 오염물 세정 및 배출장치가 사용되어 배설물이나 신체 피부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적용되는 오염물 세정 및 배출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또한 본원에서 제공되는 오염물 세정 및 배출장치는 사람을 포함한 동물의 분변물, 토설물, 배설물, 털, 노화 각질물, 신체의 겉 피부 중 선택되는 물질이나 부위을 세척하는데 사용하도록 적용될 수 있는 오염물 세정 및 배출장치로 사용될 수 있는 기술이다
병원에는 자신의 몸을 가눌 수 없을 정도로 허약해진 노인 또는 사고나 질병의 치료를 목적으로 입원한 중환자들이 많이 있으며, 이러한 중환자들은 자신의 신체를 제대로 가눌 수 없기 때문에 대부분의 시간을 침대에 누워서 에서 보내게 되는데, 장시간 신체를 씻지 못하거나 는 불편함, 머리를 자주 감지 못하는 불편한 문제들을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자의적으로 거동할 수 없는 환자들은 가족이나 직업간병인의 도움을 받아 마치 물건처럼 들려서 옮겨지거나 간병인이 환자를 부축하여 이동하거나 휠체어와 같은 환자용 특수 이송수단을 이용해 환자를 화장실 또는 세면실까지 이동하도록 한 후, 화장실에서 용변을 보거나 신체 혹은 두발세척을 시행해오고 있는바 머리를 감도록 적용해오고 있으며, 환자가 어린 아이이거나 체구가 작은 경우에는 환자를 화장실이나 세면실로 옮기는 것에 큰 어려움이 없으나, 환자가 성인 혹은 덩치가 어린이인 경우에는 간병인이 여자인 경우 매번 환자를 화장실이나 세면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번거로울 뿐 아니라 매우 힘이 들며, 특히 간병인으로 노약자 아내가 수발을 드는 경우 더욱 큰 어려움을 호소하게 된다.
따라서 환자를 이동시키지 않고 배변을 볼 수 있도록 배변기가 설치된 환자용 침대에 대한 기술개발이 많이 이루어져 왔으나, 배설물의 위생적인 처리가 용이하지 않았으며, 배설물에 의한 악취 발생으로 환자의 생활공간이 오염되고 주변 환자들에게 불편함을 주게 되며 환자 자신도 수치심을 느끼는 등의 문제가 여전히 잔존하여 왔다.
종래의 기술에서도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의 세발을 위한 세정기가 등록특허 10-1112769호에 제시되어 있는바, 상기 세정기는 도 1에 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흡입부가 진공장치에 연결되어 흡입되는 구조를 이루고 물과 공기가 세정기로 유입되는 구성을 이루며, 세정기는 상면이 개방된 원통부(112)와, 원통부(112)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하협부(114)를 포함하고 원통부(112)와 하협부(114)의 내부에 세정공간(115)이 형성되며, 하협부(114)는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 단부는 사용자가 손가락 사이에 끼울 크기로 형성되어 하협부(114)의 단부를 손가락에 끼우고 세정기(110)를 움직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하협부(114)에는 세정공간(115) 내부의 공기와 물을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관(116)이 연결되어 있으며, 흡입관(116)은 후술하는 오물통(150) 및 흡입수단(140)과 연결되고 하협부(114)에는 급수관(117)이 연결되어 세정을 위한 세척수가 유입되는 구성을 이루며, 상기 세정기(110)의 내측에는 개방부를 통해 단부가 소정길이 돌출되도록 세정용 브러시(120)가 결합되어 있는 구성의 세정기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세정기에서 외기유입부(130)는 세정기(110)의 내부로 외부공기가 유입되고 원통부(1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바디(131)와, 세정기(110)의 내측에 설치되는 차단블럭(134)을 포함하고 회전바디(131)는 원통부(112)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데, 원통부(112)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외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돌기(113)가 형성되어 있고, 회전바디(131)의 내주면에는 이 가이드돌기(113)가 끼워지는 가이드홈(132)이 마련되어 있어서, 회전바디(131)가 원통부(112)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는 복잡한 구성을 이루고 있다.
상기와 같은 복잡하고 기계적으로 회전바디(131)가 원통부(112)의 외주면을 연속 회전하는 구성의 기계적 세정기는 제작단가가 높아질 뿐 아니라 사람이나 동물이 접촉하기를 두려워하고 꺼리는 문제점을 가지며, 실제 세정과정에서 신체부위에 상처를 유발시키는 사례 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두발세척(머리카락 및 두피세척)은 아예 불가능한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제품의 높은 제작단가로 인하여 어쩔 수 없이 고가로 책정된 인한 높은 제품가격에 비하여 현실적으로 적응성이 낮을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원은 기존기술의 한계점 및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기계적 회전수단이 없이 세정목적물(사람 혹은 동물의 신체표피 및 머리카락, 털)과 기기 접촉면 사이에서 진공과 등압조건에서 세정수와 공기가 고압의 유동학적 고속 소용돌이 물살을 만들어 세척부위에 미세한 자극이나 통증도 을 주지 않으면서 세정효과를 극대화시킨 높인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본원은 기계공학적이 아닌 유체 유동학적 기술을 통하여 단순구성을 이루면서 사람을 포함한 동물의 분변물, 토설물, 배설물, 털, 노화 각질물 중 선택되는 오염물을 용이하게 흡입 또는 세척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다용도 오염물 세정 및 배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본원은 세정목적물(사람 혹은 동물의 신체 표피 및 머리카락, 털)과 기기 접촉면 사이에서 진공과 등압 조건에서 세정수와 공기가 융합되어 함께 고압의 유동학적 고속 소용돌이 물살을 만들어 사용자의 예민한 피부 혹은 털, 모발에 미세한 자극이나 통증을 주지 않으면서 세정효과를 극대화시킨 높인 오염물 세정 및 배출장치를 제공하여 사람을 포함한 동물의 분변물, 토설물, 배설물, 털, 노화 각질물, 신체의 겉 피부 중 선택되는 물질이나 세척목적 부위를 을 옷을 입은 상태로 용이하게 쉽게 흡입 또는 세척하는데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오염물 세정 및 배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기술사상의 발명이다.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되는 오염물 세정 및 배출장치는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 기능을 갖도록 세척헤드부와 오염물수거통과 진공설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에 있어서,
오염물처리를 위한 세척헤드부는 세척대상 접촉부를 형성하는 상단부위는 넓고 저부로는 좁아지는 형태를 이루는 세척헤드부의 일측으로는 물과 공기가 공급되는 구조를 이루고, 세척헤드부의 중심부에는 중앙배출부가 마련되며 중앙배출구를 기준으로 그 외연을 다수개의 격벽이 다중으로 감싸는 구조를 이루되, 각각의 격벽에는 경사각을 이룬 배출유로가 다수개 형성되어 세척헤드부로 유입된 물과 공기가 각각의 격벽에 형성된 배출유로를 따라 흐를 때 외측 격벽부터 내측 격벽까지 각각의 격벽에 마련된 배출유로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며 소용돌이 와류를 형성하며 물과 공기가 배출되는 구조를 이루고
상기 세척헤드부가 제어부 몸체와 연결되어 물 및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제어되며 세척헤드부의 중앙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오염원은 배출관을 경유하여 오염물수거통과 연결되고 오염물수거통은 진공장치와 연결된 구성을 이루어서 제어부에 설정된 조건이 충족되면 오염물 세정 및 배출장치에 진공상태가 설정됨과 동시에 세척헤드부에 물 및 공기가 공급되고 중앙배출부 후미에서는 높은 진공압으로 흡입함으로 인해 세척헤드부로 유입되는 물과 공기가 각각의 격벽에 마련된 경사면 배출유로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며 소용돌이 와류를 형성하며 오염물을 세정 후 수반하여 오염물 수거통으로 배출시키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오염물 세정 및 배출장치를 통하여 본원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원의 오염물 세정 및 배출장치에서 상기 세척헤드부 내부에 설치되는 격벽은 4~8개로 제공되고, 격벽에 형성되는 경사각 배출유로는 1~6개 범위로 제공되도록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세척헤드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급기배관 내부에 음이온공급 칩이 내장되는 구조를 이루어서 음이온을 함유한 공기가 각각의 격벽 및 경사각 배출유로를 통하여 배출됨으로 오염물 세정 및 배출장치의 살균, 소독, 탈취효과를 도모하도록 적용될 수 있는 기술사상의 발명이다.
본원은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 기능을 갖도록 세척헤드부와 오염물수거통과 진공설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오염물 세정 및 배출장치의 이용방법에 있어서, 오염물처리를 위한 세척헤드부는 세척대상 접촉부를 형성하는 상단부위는 넓고 저부로는 좁아지는 형태를 이루는 세척헤드부의 일측으로는 물과 공기가 공급되는 구조를 이루고, 세척헤드부의 중심부에는 중앙배출부가 마련되며 중앙배출구를 기준으로 그 외연을 다수개의 격벽이 다중으로 감싸는 구조를 이루되, 각각의 격벽에는 경사각을 이룬 배출유로가 다수개 형성되어 세척헤드부로 유입된 물과 공기가 각각의 격벽에 형성된 배출유로를 따라 흐를 때 외측 격벽부터 내측 격벽까지 각각의 격벽에 마련된 배출유로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며 소용돌이 와류를 형성하며 물과 공기가 배출되는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세척헤드부가 제어부 몸체와 연결되어 물 및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제어되며 세척헤드부의 중앙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오염원은 배출관을 경유하여 오염물수거통과 연결되고 오염물수거통은 진공장치와 연결된 구성을 이루어서 제어부에 설정된 조건이 충족되면 오염물 세정 및 배출장치에 진공상태가 설정됨과 동시에 세척헤드부에 물 및 공기가 공급되고 중앙배출부 후미에서는 높은 진공압으로 흡입함으로 인해 세척헤드부로 유입되는 물과 공기가 각각의 격벽에 마련된 경사면 배출유로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며 소용돌이 와류를 형성하며 오염물을 세정 후 수반하여 오염물 수거통으로 배출시키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오염물 세정 및 배출장치의 이용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원의 오염물 세정 및 배출장치는 사람을 포함한 동물의 분변물, 토설물, 배설물, 털, 노화 각질물, 신체의 겉 피부 중 선택되는 물질이나 부위을 세척하는데 사용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원의 기술사상이 구체적으로 구현되는 실시양태는 하기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란에서 도면이 제시되어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오염물 세정 및 배출장치는 경량 이동식으로 필요한 장소로 용이하게 이동하여 사람을 포함한 동물의 분변물, 토설물, 배설물, 털, 노화 각질물, 신체의 겉 피부 중 선택되는 요구물질이나 세척목적 부위를 옷을 입은 상태로 용이하게 쉽게 흡입 또는 부위을 세척하는데 무자극, 무충격 고압 유동학적 고속 소용돌이 물살에 의한 세척이 가능하도록 적용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원은 예를 들어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이 옷을 입은 상태로 침대에 누워있는 상태에서 세척하고자 하는 목적부위(신체의 복부나 등은 물론 동물이나 물건 등 모든 부위)에 원주형 헤드부를 의 세척대상 접촉상단부위 표면에 밀착, 이동하면서 아주 용이하게 세정시킬 수 있으며 를 밀착시키고 세정시키거나 또는 동일한 요령으로 환자의 두발이나 동물의 털을 세척할 수 있음은 물론 이때 모발 혹은 털만 세정되는 것이 아니라 모발 속 두피 혹은 동물의 털 속 피부도 동시에 세정이 이루어지며, 머리를 감기거나, 또는 중환자가 혼자 있다가 실수를 하여 용변을 보고 제 때 세척을 하지 못하여 신체의 특정부위에 하반신에 용변 분비물이 남아 있는 경우에도 본원의 오염물 세정 및 배출장치의 접촉상단부를 신체의 세정목적 부위에 밀착시켜 이동시키면서 배설물이나 신체 피부에 말라붙어 있는 용변배설물이나 이물질을 깨끗하게 세척하여 제거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원 발명기술제품을 통하여 세정하게 되는 환자 혹은 동물은 일반목욕 시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세제는 물론 때밀이 타올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충분히 그 이상의 세척효과를 얻을 수 있는 만큼 물리적 피부마찰 혹은 화학적 피부손상 등의 우려로부터 완전히 해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약자나 중환자들의 허약해진 신체가 일반목욕 시 뜨거운 목욕물에 몸을 담그거나 끼얹을 시 신체적 정신적 부담 및 거부감, 그리고 본인 스스로 자신의 몸을 씻을 수 없는 불가항력적 한계로 부득이 가족이나 간병인 등 제3자의 도움을 받아야만 하는 과정에서 환자가 피할 수 없이 경험하게 되는 인간적 수치심, 박탈감, 자괴감 등으로부터 해방됨으로써 환자의 자존감 및 정신적 자신감회복에 따른 치유 및 건강유지회복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 : 종래기술에서 제시되는 세정기의 적용예시도.
도 2 :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되는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의 처리흐름 예시도.
도 3 :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되어 진공과 등압 조건에서 세정이 이루어지는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의 적용예시도
도 4 : 본원의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에 적용되는 본체의 일 적용예시도
이하 본원의 기술사상이 구현되기 위한 발명의 실시양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하는바, 본 출원의 명세서나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며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본원의 보호범위는 발명의 기술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할 것이다.
본원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의 예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일 적용예를 제시한 것에 불과할 뿐이고 본원의 기술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특징부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므로, 본원 출원시점에 있어서 종래의 오염물 세정 및 배출장치에 이용되어 왔던 기술들이 추가되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서 제공되는 세정기의 일적용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흡입부가 진공장치에 연결되어 흡입되는 구조를 이루고 물과 공기가 세정기로 유입되는 구성을 이루며, 세정기는 회전바디(131)의 내주면으로 가이드돌기(113)가 끼워지는 가이드홈(132)이 마련되어 있어서, 회전바디(131)가 원통부(112)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는 복잡한 구성을 이루고 있다.
상기와 같은 복잡하고 기계적으로 회전바디(131)가 원통부(112)의 외주면을 연속 회전하는 구성의 기계적 세정기는 사람이나 동물이 접촉하기를 두려워하는 문제점뿐 아니라 예를 들면 보호자가 자리를 비운 사이 중환자가 누운 자세에서 용변을 봐서 신체부위와 침대시트에 오염물을 배설한 경우 상기 도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회전바디가 원통부 외연을 회전하는 세정기를 항문 주위에 대고 세정하게 된다면 연약한 사타구니 부위를 상하게 되어 사용할 수 없고, 침대시트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세정브러쉬가 오히려 오염부위를 넓히는 문제점을 노출할 수 밖에 없을 것임에 비하여 본원 기술사상으로 제공되는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는 신체에 아무런 위해 요인이 없이 사타구니나 국부, 회음부 주위를 깨끗하게 씻어 흡수해내고 침대시트의 오염물도 10~30초 내에 깨끗하게 씻어 흡수할 수 있도록 적용될 수 있는 근본적 차이점을 갖는다.
도 2는 본원 기술사상이 적용되는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의 처리 흐름을 일 적용예로 나타낸 것으로, 일측에서 공기흡입 및 공기가온부를 갖고 공기공급배관 내부에 음이온발생기가 접목되어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에 음이온이 함유된 공기를 공급하는 구성을 이루고, 또 다른 측에서 물통으로부터 온수를 만들어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에 온수를 공급하는 구성을 이루며,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에서 처리되는 오염배출원을 수거통에 담고 공기공급량을 조절되며 진공펌프와 연결되어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에 진공압을 걸어줘서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에서 처리되는 오염배출원을 배출해주는 구성의 개략을 열풍공기 이동로, 온수로, 오물수거로 등으로 구분하여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의 처리 흐름을 일 적용예로 나타낸 것이다.
도 2에서는 본원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에 세정수인 물을 공급하는 물통의 공급라인에 알력감지기 및 유량감지기가 설치되고 세정수가 적당한 온도로 가열되어 공급될 수 있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고, 공기공급기로 보내지는 공기가 가온되어 공급되고 공기이송라인에 음이온 발생칩이 내장되어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 내부로 음이온이 함유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또한, 본원의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에서는 진공펌프 다음에 살균필터를 설치하여 살균된 공기를 다시 공기공급기 보내서 순환시키는 수단으로도 적용 가능함을 나타내고 있으나 도 2의 순환구성은 종래의 기술에서도 많이 이용되고 있으므로 새로운 구성만 언급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되어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50)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의 좌측도면에서는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50)의 정면을 상부평면도 형태로 나타낸 것이고, 우측도면에서는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50)에서 전면이 죄측으로 향하도록 측면으로 뉘여진 상태의 측면도 형태로 나타낸 것이며, 도 3b에서는 본원 기술사상의 특징부인 세척헤드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계통도 형식으로 나타낸 격벽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것이며, 도 3c에서는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50)가 제어되며 운전될 수 있는 제어부 몸체(80)를 나타낸 것이다.
본원 기술사상이 적용되는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50)는 세척헤드부(40)와 오염물수거통(84)과 진공펌프(8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어부몸체(8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적용될 수 있는데, 오염물처리를 위한 세척헤드부(40)는 세척대상 접촉부를 형성하는 상단부위는 넓고 저부로는 좁아지는 형태로 세척헤드부(40)를 형성하게 되며, 세척헤드부(40)의 일측으로는 물과 공기가 공급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3a에서 제시되는 세척헤드부(40)는 중앙위치에 손잡이부를 형성하는 몸체바디부(45)를 가지며 후미에 배관접속부(30)를 갖는 구조를 이루고 배관접속부(30)가 제어부 몸체(80)와 배관(31a)이 연결되어 제어부 몸체(80)에서 물 및 공기가 세척헤드부(40)로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제어되며 세척헤드부(40)의 중앙배출구(31)로부터 배출되는 오염원은 배관(31a)을 경유하여 오염물수거통(84)과 연결되고 오염물수거통(84)은 진공펌프(86)과 연결된 구성을 이루며 세척헤드부(40)에서 발생되는 오염원 및 세척수, 공기를 오염물수거통(84)으로 이송시키도록 적용되는바, 세척헤드부(40)의 구성은 외연으로 원형의 외벽체(41)를 이루어 원형 내면은 약간의 오목부를 형성하여 청소 대상물과의 접촉면을 형성하는 구조이고 중심의 하단부로는 중앙배출구(31)가 마련되되 중앙격벽(43)을 형성하여 일측으로 관통홀이 형성되어 오염물 및 세척수 및 공기가 관통홀을 경유하여 중앙배출구(31)로 배출되도록 적용되며, 외벽체(41)와 중앙격벽(43) 사이로는 다수개의 격벽(42)이 다중으로 감싸는 구조를 형성하되, 각각의 격벽(42)에는 경사각을 이룬 배출유로(44)가 다수개 형성된 구조를 이루어서, 세척헤드부(40)로 유입되는 세척수 및 공기가 오염원을 세척한 후 외측의 격벽 및 배출유로를 거친 후 다음 단계의 내측에 마련된 격벽 및 배출유로를 거친 후 또 그 다음 단계 내측에 마련된 격벽 및 배출유로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며 소용돌이 와류를 형성하며 물과 공기가 배출되는 구성의 세척헤드부(40)로 제공된다.
상기 세척헤드부(40)의 중앙배출구(31)로부터 배출되는 오염원은 배관(31a)을 경유하여 오염물수거통(84)과 연결되고 오염물수거통(84)은 진공펌프(86)과 연결된 구성을 이루어서 제어부에 설정된 조건이 충족되면 오염물 세정 및 배출장치에 진공상태가 설정됨과 동시에 세척헤드부(40)에 물 및 공기가 공급되고 중앙배출공(31) 및 배관(31a) 후미에서는 높은 진공압으로 흡입함으로 인해 세척헤드부(40)로 유입되는 물과 공기가 각각의 격벽(42)에 마련된 경사각 배출유로(44)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며 소용돌이 와류를 형성하며 오염물을 세정 후 수반하여 중앙배출공(31) 및 배관(31a)을 경유하여 오염물수거통(84)으로 배출시키는 구성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3b은 본원 기술사상의 특징부인 세척헤드부(40)에서 원형구조의 외벽체(41)와 중앙격벽(43) 사이에 다중구조로 격벽(42) 및 경사각 배출유로(44)가 설치되는 구성을 단계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a),(b),(c),(d),(e)로 구분하고 제일 안쪽의 중앙배출공(31)을 갖는 중앙격벽(43)을 n격벽으로 표현하여 각각의 도면을 설명하여 보면, (a)도면에서는 세척헤드부(40)의 외벽체(41) 내부에 다수개의 격벽이 설치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중앙격벽(43 : n)만이 있는 상태로 표시한 것으로, 세척헤드부(40)의 몸체바디부(45)의 일측에는 세척수 공급라인(26)을 갖고 몸체바디부(45)의 내측에서 외벽체(41)를 이루는 부위에 물공급관(26a)이 마련되고 물공급관의 외연으로는 공기공급구로 적용되는 구성을 나타내고 중앙격벽(43)은 중앙배출공(31)의 상단을 감싸는 구조를 이루며 저부로는 일측으로 배출홀이 형성되어 중앙배출공(31)을 통하여 오염물을 배관(31a)으로 배출시키도록 적용된다.
도 3b의 (b)도면에서는 외벽체(41)와 중앙격벽(43) 사이에 (n+1)격벽(42a)이 설치되고 격벽(42a)에는 경사각 배출유로(44)가 44a,44b,44c,44d,44e 5개로 형성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고, 도 3b의 (c)도면에서는 상기 (n+1)격벽(42a) 외연으로 또 다른 (n+2)격벽(42b)이 설치되고 격벽(42b)에도 역시 경사각 배출유로(44)가 다수개 설치된 구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3b의 (d)도면에서는 상기 (n+2)격벽(42b) 외연으로 또 다른 (n+3)격벽(42c)이 설치되고 또한 격벽(42c)에도 경사각 배출유로(44)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음을 나타낸 것이고, 도 3b의 (e)도면에서는 외벽체(41)와 격벽(42c) 사이에 (n+4)격벽(42d)이 설치되어 전체적으로 외벽체(41), (n+4)격벽(42d), (n+3)격벽(42c), (n+2)격벽(42b), (n+1)격벽(42a) 및 중앙격벽(43)이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각각의 격벽에는 또한 경사각 배출유로(44)가설치된 구조를 이루어서 오염물과 세척수 및 공기가 회오리흐름의 와류흐름을 유도하면서 높은 진공압으로 빨려 들어가 중앙배출공(31) 및 배관(31a)을 통하여 오염물수거통(84)으로 빨려들여 가도록 운전될 수 있다.
도 3c에서는 본원에서 제공되는 세척헤드부(40)의 후단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배관접속부(30)를 전면으로 하여 나타낸 후면도로서 배관접속부(30)는 내부에 오염물배출구(31)를 갖고 오염물배출구 상단부에는 공기공급로(32)를 가지며 측면부으로는 물공급로(33)를 갖고 배관접속부(30)가 세척헤드부에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결합되기 위한 본체체결부(34)를 가지며 배관접속부(30)의 상단 및 하단에는 접속 배관(31a)이 연결되기 위한 접속구(35)를 갖는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원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에 적용되는 제어부 본체(80)의 일 적용예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제어부 본체(80)는 외통체(81)가 일측으로 손잡이부(82)를 갖고 상부로 뚜껑부(83)를 가지며, 외통체(81) 내부에 오염물수거통(84)과 물통(85)을 갖고 저부로는 진공펌프(86)가 내장되는 구성을 이루고, 외통체(81)의 상단 일측으로는 세정 대상의 오염물 종류에 따른 작동제어표시부(81a)를 갖고 본체의 바닥면으로는 바퀴(87)을 갖는 구성을 이루고, 본체의 측벽 저부 일측으로 전원코드접속부(88b) 및 온/오프 스위치(88a)를 가지며, 본체의 좌측벽부에는 오염물배출관(31)으로부터 이송되는 오염물이 배관(32)을 거쳐 오염물수거통(84)과 연결되는 오염물배출구(31)의 접속구(89)을 갖는 외형을 갖는 구조로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원 기술사상이 적용되어 제공되는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를 도면으로 예시하여 설명한 기술내용은 당업자에 종사하는 사람이 용이하게 발명의 기술구성을 이해하고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판단되나 더욱 구체적으로 본원 기술사상이 적용되는 일 실시양태에 따른 위생세정처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는 종래기술과 같이 단순히 세정수나 공기를 공급하며 진공으로 뽑아내는 구조가 아니라,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에 다수개의 격벽 및 다수개의 경사각 배출유로를 형성하는 세척헤드부(40)에 소용돌이 와류를 형성하며 진공임에도 등압 조건을 형성하여 예를 들면 신체의 항문, 회음부, 생식기 부위 등 예민한 세척부위에서도 통증을 주지 않으면서 세정효과를 높인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를 이루는 부분에 특징을 갖는 기술로, 예를 들어 항문이나 회음부 부위에 대변이 묻어 있는 경우에 세척헤드부(40)의 전면 접촉면 외연이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밀착한 상태를 이루고 제어부 본체(80)에 진공펌프가 작동하여 진공압이 걸리면 물통(85)의 세정수가 세척헤드부(40)의 물 공급구(26a)로 보내지고 물 공급구 외연에 있던 공기가 합세하여 대변 외연으로 분출될 때 정상류가 아닌 분산된 수류를 형성하며 소용돌이 와류 물살을 만들어 순식간에 오염물 및 세척수, 공기가 격벽 및 경사각 배출유로를 거치며 오염물배출관(31)에서 지속적으로 높은 진공압으로 뽑아내는 결과로 인하여 나선형상의 외류 유로가 회전운동을 지속하면서 오염물수거통(84)까지 배출되게 되는 구성으로 달성된다.
본원의 세척헤드부(40)는 후면쪽에 공기공급량 조절부(27)를 갖고 세척헤드부(40)에 세정하고자 하는 제거대상물에 따라 예를 들면 고체상태로 굳어진 애완동물의 배설물 등은 진공압이 높게 걸리지 조절되는 형태 등으로 세정수공급, 공기흡입량, 진공압 조절 등이 작동환경에 따라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도록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원의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에서 사용자가 가능한 한 세척헤드부(40)의 전면 접촉면이 제거 대상물에 밀착된 상태로 접촉되어 세척헤드부(40)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진공압력은 약 - 12.8 kPa 으로 설정되도록 적용될 수 있는바, 상기 진공압력은, 예를 들어 공기 흡입수단인 진공펌프(VP)가 약 6,000rpm ~ 12,000 rpm 범위로 구동시켜 적용될 수 있는바, 본원 기술에 사용 가능한 진공펌프는 통상적으로 진공청소기에 사용되는 유형의 진공펌프로서, 약 740watt 규격의 BLDC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본원의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가 중환자가 혼자 배설한 대변을 처리해야 하는 과제를 수행하여야 하는 경우의 대변처리 모드(Strong Mode)의 일 적용예로 제어부 본체(80)에서 대변세척 버튼을 누르게 되면, 세정수 공급라인에 설치된 물공급 밸브가 개방되고 약 30초 동안 진공펌프(86)가 약 12,000 RPM으로 작동되어 약 - 12.8kPa의 진공압을 생성시키며 이러한 진공압에 의해 물통(85)으로부터 세정수가 세정수 분출구(26a)를 통하여 세척헤드부(40)로 공급됨과 동시에 세정수공급라인의 외연에 있는 공기와 함께 대변배설물에 분사되어 오염물과 세정수와 공기가 함께 와류를 형성하며 각각의 격벽(42) 및 경사각 배출유로(44)를 거쳐 회오리 흐름을 유도하면서 높은 진공압으로 빨려 들어가 중앙배출공(31) 및 배관(32)을 통하여 오염물수거통(84)으로 빨려들여 배출된다.(진공흡입단계)
다음에 진공펌프(VP)가 약 60초 동안 약 6,000 RPM으로 작동하여 약 -6.4 kPa 진공압력이 생성된다(대기 단계).
다음에, 중환자의 진공펌프(VP)가 약 20초 동안 약 10,000 RPM으로 작동하여 약 -10.4 kPa 진공압력이 생성되며, 이때 밑에서 세정수가 토출되어 배설물 주변 또는 중환자의 항문 주변과 국부 또는 음부 주변에 배설된 오물이 묻어 있는 오물에 대한 세정이 수행된다(세척 단계).
다음에, 밸브(610)가 폐쇄되고, 진공펌프(VP)가 약 120초 동안 약 8,000 RPM으로 작동하여 약 -8.0 kPa 진공압력이 생성되며, 이때 건조공기가 유입되며, 건조공기 이송라인에는 음이온 발생칩이 내장된 음이온을 함유한 공기를 발생시키거나 가온된 따듯한 공기를 통하여 건조공정이 수행된다(건조단계).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양태는 반듯이 상기 적용예에 의해 실시하도록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종래의 여러 가지 종래의 세척기에 사용되는 기술과 장치들이 준용되거나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종래에 세척처리기술이 접목되어 여러 가지 형태로 치환, 변경되어 적용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26 : 세척수 공급라인 26a : 세척수공급구
27 공기량 조절부 28 : 배관
30 : 배관접속부 31 : 오염물배출구
32 : 공기공급로 33 : 물공급로
34 : 본체체결부 35 : 접속구
40 : 세척헤드부 41 : 외벽체
42 : 격벽 43 : 중앙격벽
44 : 경사각 배출유로 45 : 몸체바디부
50 :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
80 : 제어부 몸체 81 : 외통체
82 : 손잡이부 83 : 뚜껑부
84 : 오염물수거통 85 : 물통
86 : 진공펌프 87 : 바퀴

Claims (5)

  1. 사람을 포함한 동물의 분변물, 토설물, 배설물, 털, 노화 각질물 중에서 선택되는 오염물을 세정하는데 사용하도록 세척헤드부와 오염물수거통과 진공설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에 있어서,
    오염물처리를 위한 세척헤드부는 세척대상 접촉부를 형성하는 상단부위는 넓
    고 저부로는 좁아지는 형태를 이루며 세척헤드부의 일측으로는 물과 공기가 공급되
    는 구조를 이루고, 세척헤드부의 중심부에는 중앙배출부가 마련되며 중앙배출구를
    기준으로 그 외연을 다수개의 격벽이 다중으로 감싸는 구조를 이루되, 각각의 격벽
    에는 경사각을 이룬 배출유로가 다수개 형성되어 세척헤드부로 유입된 물과 공기가
    각각의 격벽에 형성된 배출유로를 따라 흐를 때 외측 격벽부터 내측 격벽까지 각각
    의 격벽에 마련된 배출유로를 순차적으로 경유 소용돌이 와류를 형성하며 물과
    공기가 배출되는 구조를 이루고,
    상기 세척헤드부는 제어부 몸체와 연결되어 물 및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
    록 제어되며 세척헤드부의 중앙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오염원은 배출관을 경유하여
    오염물수거통과 연결되고 오염물수거통은 진공장치와 연결된 구성을 이루어서 제어부에 설정된 조건이 충족되면 오염물 세정 및 배출장치에 진공상태가 설정됨과 동시에 세척헤드부에 물 및 공기가 공급되고 중앙배출부 후미에서 진공압으로 흡입되므로 세척헤드부로 유입된 물과 공기가 각각의 격벽에 마련된 경사면
    배출유로를 순차적으로 경유 소용돌이 와류를 형성하며 오염물을 세정 후 오염물 수거통으로 배출시키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 세정 및 배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헤드부 내부에 설치되는 격벽은 4~8개로 제공되고, 격벽에 형성되는 경사각 배출유로는 1~6개 범위로 제공되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 세정 및 배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헤드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급기배관 내부에 음이온공급칩이 내장
    되는 구조를 이루어서 음이온을 함유한 공기가 각각의 격벽 및 경사각 배출유로를
    통하여 배출됨으로 오염물 세정 및 배출장치의 살균, 소독, 탈취효과를 도모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 세정 및 배출장치.
  4. 사람을 포함한 동물의 분변물, 토설물, 배설물, 털, 노화 각질물 중에서 선택되는 오염물을 세정하도록 세척헤드부와 오염물수거통과 진공설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오염물세정 및 배출장치의 이용방법에 있어서,
    오염물처리를 위한 세척헤드부는 세척대상 접촉부를 형성하는 상단부는 넓
    고 저부는 좁아지는 형태를 이루며 세척헤드부의 일측으로는 물과 공기가 공급되
    는 구조를 이루고, 세척헤드부의 중심부에는 중앙배출부가 마련되며 중앙배출구를
    기준으로 그 외연을 다수개의 격벽이 다중으로 감싸는 구조를 이루되, 각각의 격벽
    에는 경사각을 이룬 배출유로가 다수개 형성되어 세척헤드부로 유입된 물과 공기가
    각각의 격벽에 형성된 배출유로를 따라 흐를 때 외측 격벽부터 내측 격벽까지 각각
    의 격벽에 마련된 배출유로를 순차적으로 경유 소용돌이 와류를 형성하며 물과
    공기가 배출되는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세척헤드부가 제어부 몸체와 연결되어 물 및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
    록 제어되며 세척헤드부의 중앙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오염원은 배출관을 경유하여
    오염물수거통으로 연결되고 오염물수거통은 진공장치와 연결된 구성을 이루어서 제어부에 설정된 조건이 충족되면 오염물 세정 및 배출장치에 진공상태가 설정됨과 동시에 세척헤드부에 물 및 공기가 공급되고 중앙배출부 후미에서 진공압으로 흡입되므로 세척헤드부로 유입된 물과 공기가 각각의 격벽에 마련된 경사면
    배출유로를 순차적으로 경유 소용돌이 와류를 형성하며 오염물을 세정 후 오염물 수거통으로 배출시키도록 적용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 세정 및 배출장치의 이용방법.

  5. 삭제
KR1020170017912A 2017-02-09 2017-02-09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 Active KR102047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7912A KR102047780B1 (ko) 2017-02-09 2017-02-09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7912A KR102047780B1 (ko) 2017-02-09 2017-02-09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2367A KR20180092367A (ko) 2018-08-20
KR102047780B1 true KR102047780B1 (ko) 2019-11-22

Family

ID=63442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7912A Active KR102047780B1 (ko) 2017-02-09 2017-02-09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77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437B1 (ko) 2019-04-22 2019-11-05 주식회사 휴텀 접촉 이동형 흡인 세정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981Y1 (ko) * 2011-04-08 2012-01-16 (주) 진진메디텍 스킨케어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813B1 (ko) * 2012-08-10 2015-03-25 김양수 피부관리장치
KR20160021500A (ko) * 2014-08-18 2016-02-26 최명근 미세기포발생장치를 통한 위생세정 및 세욕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981Y1 (ko) * 2011-04-08 2012-01-16 (주) 진진메디텍 스킨케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2367A (ko) 2018-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84427A (en) Body vacuum
CN105268043B (zh) 用于移除和容纳人体排泄物的设备和方法
KR102047781B1 (ko) 환자용 배변처리기 및 그 이용방법
JP2016523170A (ja) 自動排便処理装置
WO2009015542A1 (fr) Dispositif automatique apportant des soins à un patient
KR100955105B1 (ko) 환자용 침대 겸용 배변장치
KR101579889B1 (ko) 자동배변 처리장치의 컵유닛 분사노즐
KR200453814Y1 (ko) 자동배변처리장치가 구비된 매트리스
KR102047780B1 (ko)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
KR200348639Y1 (ko) 환자용 이동식 배변기
KR102075301B1 (ko) 환자용 배설물 용변기 및 용변기의 배설물 처리장치
WO2015183209A1 (en) A cleaning device for bedridden patients
JP2014030511A (ja) 洗浄装置
JP6472071B2 (ja) 洗浄装置
CN211962424U (zh) 具有集便功能的护理床
CN210873361U (zh) 一种泌尿外科护理冲洗装置
WO2017024887A1 (zh) 一种排泄物处理装置及其方法
KR102110052B1 (ko) 와상 환자용 자동 배변장치
JP7031865B2 (ja) 排泄物クリーニング装置
KR20160097531A (ko) 전후이동가능한 연결배관을 구비한 자동배변 처리장치
JP2000024073A (ja) 身体洗浄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1018887B1 (ko) 환자용 침대 겸용 배변장치
JP3014922U (ja) 携帯水洗便器
KR20200045228A (ko) 침대용 자동 배변 처리장치
KR101112769B1 (ko) 자동 세정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2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8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2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80917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8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identifier: 2018101003873

Request date: 20180917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387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917

Effective date: 20191014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91014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80917

Decision date: 20191014

Appeal identifier: 2018101003873

P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PS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14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15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1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1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