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47331B1 - 엄지 발가락 교정구 - Google Patents

엄지 발가락 교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7331B1
KR102047331B1 KR1020170135637A KR20170135637A KR102047331B1 KR 102047331 B1 KR102047331 B1 KR 102047331B1 KR 1020170135637 A KR1020170135637 A KR 1020170135637A KR 20170135637 A KR20170135637 A KR 20170135637A KR 102047331 B1 KR102047331 B1 KR 102047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e
big toe
toe
ring portion
groo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5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3721A (ko
Inventor
이휘경
Original Assignee
이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휘경 filed Critical 이휘경
Priority to KR1020170135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331B1/ko
Publication of KR20190043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3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33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9Toe correcting or spread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엄지 발가락 교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모서리 끝이 마모되어 있고, 한쪽 끝단에 버클홈이 구성되어 있으며, 발 안쪽에 밀착되어 받치는 몸체부와 고리 형상으로 상기 버클홈과 결합 및 분리되는 버클이 돌출되어 있으며, 버클 반대 끝단으로 발가락을 감싸서 고정시키는 고리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발가락을 고정하여 ‘무지외반증’과 같은 질병을 예방 및 교정이 가능하고, 몸체부에 티타늄을 사용하여 쉽게 늘어거나 부러지는 것과 같이 쉽게 훼손되지 않으며, 편안하고 부드러운 착용감을 제공하고, 고리 형상으로 발가락을 감싸서 고정시키는 고리부로 구성되어 몸체부와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안정되게 발가락을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엄지 발가락 교정구{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본 발명은 엄지 발가락 교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모서리 끝이 마모되어 있고, 한쪽 끝단에 버클홈이 구성되어 있으며, 발 안쪽에 밀착되어 받치는 몸체부와 고리 형상으로 상기 버클홈과 결합 및 분리되는 버클이 돌출되어 있으며, 버클 반대 끝단으로 발가락을 감싸서 고정시키는 고리부로 구성되어, 발가락 휨과 같은 변형을 예방 또는 교정시키는 엄지 발가락 교정구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현대인들은 패션을 고려하여 구두 또는 롱부츠를 즐겨신는 경향이 있다. 구두나 롱부츠는 신체적으로 각선미를 잡아줌으로서 많은 사람들이 선호하지만 볼이 좁고 일반 신발보다 무거워서 발에 많은 부담을 주게 된다.
특히 굽이 높고 종아리를 쪼이는 부츠일 경우 발 앞쪽에 하중이 집중되고 발을 압박해 통증을 유발하며 발가락의 변형이 오는 ‘무지외반증’과 같은 병을 유발하게 된다.
무지외반증이란 엄지발가락이 둘째 발가락 쪽으로 휘어 엄지발가락 쪽 안쪽 뼈가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이 신발을 신고 걸을 때 마찰되면서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으로 증상이 심해지면 엄지 발가락 뿐만 아니라 다른 발가락에도 영향을 미쳐 변형을 초래하며, 무지외반증으로 발가락이 정상적인 기능을 하지 못하면 보행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발목이나 무릎 및 척추까지 영향을 주며 2차적 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 병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제안되었다.
상기 제안된 기술은 엄지발가락 교정기 및 그 생산방법(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420504호)으로 상기 기술은 교정기(1)는 발가락수용부(2)와 받침점(4)과 지지대(5)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받침점(4)을 중심으로 발가락수용부(2)와 지지대(5)가 휘어져 있어 지레의 원리에 의해 힘이 작용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발가락수용부(2)는 고리형상으로 엄지발가락이 삽입되어 끼워지는 발가락삽입구(3)가 형성되어 있으며, 받침점(4)은 발과 접하는 쪽이 돌출되어 있어 엄지발가락 아래의 튀어나온 뼈부분을 눌러주도록 형성되어 있고, 지지대(5)는 받침점(4) 아래부분으로 고정벨크로테잎(6)에 의해 발등에 고정부착되며 발등쪽으로 조여주는 힘에 의해 받침점(4)과 발가락수용부(2)에 힘이 전달되도록 형성되어, 지레의 원리를 이용하여 지속적인 강한 힘이 발생하여 받침점에서는 엄지발가락 아래의 튀어나온 뼈 부분을 들어가도록 함과 동시에 외측으로 휘어진 엄지발가락은 내측으로 잡아당기도록 하여 효과적으로 단기간에 휘어진 엄지발가락을 교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두꺼운 천이나 스판 재질의 헝겊으로 사용시 늘어나는 훼손이 쉽게 발생하며, 고정벨크로테잎이 자주 벗겨지므로 고정상태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엄지발가락 교정기 및 그 생산방법(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420504호(2004.02.16)) 외측으로 휜 엄지발가락 교정용 지지구(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1992-0004499호(1992.03.19))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티타늄과 실리콘 재질을 사용하는 엄지 발가락 교정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고리 형상으로 엄지 발가락을 감싸서 고정시키는 엄지 발가락 교정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엄지 발가락 교정구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모서리 끝이 마모되어 있고, 한쪽 끝단에 버클홈(110)이 구성되어 있으며, 발 안쪽에 밀착되어 받치는 몸체부(100)와
고리 형상으로 상기 버클홈(110)과 결합 및 분리되는 버클(210)이 돌출되어 있으며, 버클(210) 반대 끝단으로 발가락을 감싸서 고정시키는 고리부(20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100)는 복수개의 중공(120)이 구성되며, 상기 중공(120)으로 스트랩이 통과되고, 통과된 스트랩의 양 끝단에 구성된 밸크로 인해 결합된다.
상기 몸체부(100)와 고리부(200)는 고정수단(22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220)은 중심축으로 하여 고리부(200)가 발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좌우로 15°이내로 회동할 수 있으며, 이때, 버클홈(110)이 좌우로 15°이내로 회동할 수 있도록 일정한 크기로 구성된다.
상기 엄지 발가락 교정구는 몸체부(100)와 고리부(200)에 빈 공간(300)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00)와 고리부(200)는 재질이 티타늄, 실리콘, 스테인리스강 및 목재 중 하나를 선택한다.
상기 고리부(200)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된다.
상기 고리부(200)는 발가락의 크기에 따라 크기 조절이 가능하고, 버클(21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엄지 발가락 교정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본 발명은 발가락을 고정하여 ‘무지외반증’과 같은 질병을 예방 및 교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2) 본 발명은 티타늄과 실리콘을 사용하여 쉽게 늘어지거나 부러지는 것과 같이 쉽게 훼손되지 않고, 편안하고 부드러운 착용감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3) 본 발명은 고리 형상으로 발가락을 감싸서 고정시키는 고리부로 구성되어 몸체부와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안정되게 발가락을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고리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와 고리부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와 고리부가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엄지 발가락 교정구의 실물 형태의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와 고리부에 형성된 빈공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엄지 발가락 교정구에 형성된 빈 공간을 나타낸 형태의 사진이다.
먼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 따른 "엄지 발가락 교정구"를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고리부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와 고리부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와 고리부가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엄지 발가락 교정구의 실물 형태의 사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와 고리부에 형성된 빈공간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엄지 발가락 교정구에 형성된 빈 공간을 나타낸 형태의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엄지 발가락 교정구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모서리 끝이 마모되어 있고, 한쪽 끝단에 버클홈(110)이 구성되어 있으며, 발 안쪽에 밀착되어 받치는 몸체부(100)와
고리 형상으로 상기 버클홈(110)과 결합 및 분리되는 버클(210)이 돌출되어 있으며, 버클(210) 반대 끝단으로 발가락을 감싸서 고정시키는 고리부(200)로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몸체부(100)는 복수개의 중공(120)이 구성되며, 상기 중공(120)으로 스트랩이 통과되고, 통과된 스트랩의 양 끝단에 구성된 밸크로 인해 결합된다. 상기 고리부(200)와 연결된 몸체부(100)가 발 안쪽에 밀착되어 받치는 형태에서 스트랩이 발과 결합되어 고정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몸체부(100)와 고리부(200)는 더욱 단단히 고정하기 위해 고정수단(22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220)에 의해 결합하는 것은 사용자가 편의에 따라 결합하거나 또는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220)은 중심축으로서 고리부(200)가 발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좌우로 15°이내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하며, 이때, 버클홈(110)이 좌우로 15°이내로 회동할 수 있도록 일정한 크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구성은 고리부(200)가 엄지 발가락을 쉽고 유연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6 내지 7을 상기 엄지 발가락 교정구는 몸체부(100)와 고리부(200)에 빈 공간(300)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빈 공간(300)의 구성은 엄지 발가락 교정구를 경량화 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에서 언급한 티타늄을 사용하는 것과 유기적인 구성으로 기존의 제작되는 엄지 발가락 교정구의 무게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몸체부(100)와 고리부(200)는 재질이 플라스틱, 티타늄, 스테인리스강, 지르코니아, 실리콘 및 목재 중 하나를 선택한다. 기본적으로 가볍고 강도가 높은 티타늄을 사용하여 몸체부(100) 또는 고리부(200)가 휘거나 또는 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반드시 상기와 같은 재질로 꼭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도 사용자가 적절한 재질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고리부(200)는 유연하고 부드러운 실리콘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실리콘 재질을 사용하여 엄지 발가락을 감싸면 기존의 다른 재질과는 달리 착용감이 편안하여, 사용자가 발가락 교정구에 쉽게 적응할 수 있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의 상기의 좌우로 15°이동하는 구성과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엄지 발가락에 고리부를 쉽고 편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고리부(200)는 인체의 발 사이즈의 차이가 심하므로 사용자가 발가락의 크기에 따라 크기 조절이 가능하고, 버클(21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버클의 길이 조절은 몸체부에 버클홈이 복수개 구비되고, 고리부 방향 버클홈은 톱니형상의 홈을 구성하되 상기 톱니형상의 홈과 맞물리도록 버클 상부면에 돌출부가 포함되고, 고리부의 반대방향 버클홈은 중앙에 홈이 길게 구비되되 양측에 복수개의 중공이 구비되며, 버클 끝단에 상기 길게 구비된 홈 및 중공과 동일선상으로 돌출부가 포함된다. 따라서, 톱니형상의 홈과 버클 상부며의 돌출부가 삽입되고, 길게 구비된 홈과 양측의 중공에 버클 끝단의 중간에 위치된 홈과 양측에 구비되는 돌출부가 삽입되어 고리부와 몸체부의 결착이 실시되며, 길이 조절에 따라 톱니형상의 홈과 중공을 선택하여 결착시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로서, 발가락을 고정하여 ‘무지외반증’과 같은 질병을 예방 및 교정이 가능하고, 티타늄을 사용하여 몸체부가 쉽게 늘어지거나 부러지는 것과 같이 쉽게 훼손되지 않으며, 고리 형상으로 발가락을 감싸서 고정시키는 고리부로 구성되어 몸체부와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안정되게 발가락을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갖는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몸체부 110 : 버클홈
120 : 중공 200 : 고리구
210 : 버클 220 : 고정수단
300 : 빈 공간

Claims (9)

  1. 엄지 발가락 교정구에 있어서,
    상기 교정구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모서리 끝이 마모되어 있고, 한쪽 끝단에 버클홈이 구성되어 있으며, 발 안쪽에 밀착되어 받치는 몸체부와
    고리 형상으로 상기 버클홈과 결합 및 분리되는 버클이 돌출되어 있으며, 버클 반대 끝단으로 발가락을 감싸서 고정시키는 고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 발가락 교정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복수개의 중공이 구성되며, 상기 중공으로 스트랩이 통과되고, 통과된 스트랩의 양 끝단에 구성된 밸크로로 인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 발가락 교정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고리부는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 발가락 교정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중심축으로 하여 고리부가 발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좌우로 15°이내로 회동할 수 있으며, 이때, 버클홈이 좌우로 15°이내로 회동할 수 있도록 일정한 크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 발가락 교정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엄지 발가락 교정구는 몸체부와 고리부에 빈 공간이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 발가락 교정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고리부는 재질이 티타늄, 실리콘, 스테인리스강 및 목재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 발가락 교정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 발가락 교정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는 발가락의 크기에 따라 크기 조절이 가능하고, 버클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 발가락 교정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의 길이 조절은 몸체부에 버클홈이 복수개 구비되고, 고리부 방향 버클홈은 톱니형상의 홈을 구성하되 이때 상기 톱니형상의 홈과 맞물리도록 버클 상부면에 돌출부가 포함되고, 고리부의 반대방향 버클홈은 중앙에 홈이 길게 구비되되 양측에 복수개의 중공이 구비되며, 버클 끝단에 상기 길게 구비된 홈 및 중공과 동일선상으로 돌출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 발가락 교정구.
KR1020170135637A 2017-10-19 2017-10-19 엄지 발가락 교정구 Active KR102047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637A KR102047331B1 (ko) 2017-10-19 2017-10-19 엄지 발가락 교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637A KR102047331B1 (ko) 2017-10-19 2017-10-19 엄지 발가락 교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721A KR20190043721A (ko) 2019-04-29
KR102047331B1 true KR102047331B1 (ko) 2019-11-21

Family

ID=66282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5637A Active KR102047331B1 (ko) 2017-10-19 2017-10-19 엄지 발가락 교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733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6696A (ja) 1998-10-12 2000-04-25 Emiko Murayama 外反母趾矯正具
JP2005237962A (ja) 2004-02-24 2005-09-08 Bauerfeind Ag 身体関節の位置を矯正するための装具
JP2008178436A (ja) 2007-01-23 2008-08-07 Honan Corporation:Kk 外反母趾矯正具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0228A (en) 1987-12-28 1991-04-23 Obara Corporation Tool changer for welding robot
JPH07241307A (ja) * 1994-03-02 1995-09-19 Michiyo Yoshinaga 足の矯正具構造
KR100420504B1 (ko) 2001-08-18 2004-03-09 김명순 엄지발가락 교정기 및 그 생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6696A (ja) 1998-10-12 2000-04-25 Emiko Murayama 外反母趾矯正具
JP2005237962A (ja) 2004-02-24 2005-09-08 Bauerfeind Ag 身体関節の位置を矯正するための装具
JP2008178436A (ja) 2007-01-23 2008-08-07 Honan Corporation:Kk 外反母趾矯正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721A (ko) 2019-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0653B1 (ko) 신축성을 보유한 신발
US10849778B2 (en) Ankle-foot orthosis
US20130060181A1 (en) Orthopedic device for the mechanical treatment of hallux valgus
KR102007740B1 (ko) 무지외반증 교정 및 보정용 신발 갑피
JP7386316B2 (ja) 曲がった脚変形に対する下部体形及び歩行矯正用圧迫衣類
US20180042751A1 (en) Optional two piece supra malleolar and ankle foot orthosis system and method therefor
US20140350447A1 (en) Gel-side cushion
US20050251081A1 (en) Orthotic foot care and platform method and apparatus
KR20090065734A (ko) 발목 고정 보조기
KR20190049118A (ko) 발가락 교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교정 장치
US20170172248A1 (en) Arch Support
US20140144048A1 (en) Naturally Adjusting Sandal
KR102047331B1 (ko) 엄지 발가락 교정구
US20200375777A1 (en) Flexible foot abduction apparatus
WO2014030143A2 (en) Orthopedic device for correction of hallux valgus
KR200378623Y1 (ko) 무지외반증 교정기
KR102462175B1 (ko) 발가락 스트레칭기
KR200465942Y1 (ko) 무지외반증 교정기
KR200428642Y1 (ko) 엄지발가락 교정용 양말
KR102795228B1 (ko) 발가락 스트레칭기
JPH0741460Y2 (ja) 外反母指矯正用サポータ
KR101911163B1 (ko) 하지 수술 환자를 위한 재활 운동용 신발
KR102150708B1 (ko) 발가락 교정기
US20230143699A1 (en) Foot neuropathy springs (fns)
KR20180002289U (ko) 발가락 지압 교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8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10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1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1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821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713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40821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