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45523B1 - 폐염산 정제 방법 - Google Patents

폐염산 정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5523B1
KR102045523B1 KR1020170138499A KR20170138499A KR102045523B1 KR 102045523 B1 KR102045523 B1 KR 102045523B1 KR 1020170138499 A KR1020170138499 A KR 1020170138499A KR 20170138499 A KR20170138499 A KR 20170138499A KR 102045523 B1 KR102045523 B1 KR 102045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chloric acid
organic solvent
waste hydrochloric
waste
purification metho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8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2084A (ko
Inventor
엄희준
이동철
김연이
최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CN201780004237.9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8290083B/zh
Priority to PCT/KR2017/011869 priority patent/WO2018088727A1/ko
Priority to EP17863300.4A priority patent/EP3539636A4/en
Priority to JP2018538688A priority patent/JP6660476B2/ja
Priority to US15/774,915 priority patent/US11472702B2/en
Publication of KR20180052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2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52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7/00Halogens; Halogen acids
    • C01B7/01Chlorine; Hydrogen chloride
    • C01B7/07Purification ; Separation
    • C01B7/0706Purification ; Separation of hydrogen chloride
    • C01B7/0731Purification ; Separation of hydrogen chloride by extraction
    • C01B7/0737Purification ; Separation of hydrogen chloride by extraction hydrogen chloride being extra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 B01D11/04Solvent extraction of solutions which are liquid
    • B01D11/0492Applications, solvents u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 B01D11/02Solvent extraction of solids
    • B01D11/0292Treatment of the solv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 B01D11/02Solvent extraction of solids
    • B01D11/0288Applications, solv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 B01D11/04Solvent extraction of solutions which are liquid
    • B01D11/0484Controll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7/00Halogens; Halogen acids
    • C01B7/01Chlorine; Hydrogen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49/00Compounds of iron
    • C01G49/0009Preparation involving a liquid-liquid extraction, an adsorption or an ion-exch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 B01D11/04Solvent extraction of solutions which are liquid
    • B01D11/0446Juxtaposition of mixers-settlers
    • B01D11/0457Juxtaposition of mixers-settlers comprising rotating mechanisms, e.g. mixers, mixing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60Heavy metals or heavy met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80Compositional purity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1/00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 C23G1/36Regeneration of waste pickling liqu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xtraction Or Liquid Replac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염산 정제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추출제를 유기용매에 용해시켜 추출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1); 폐염산에 상기 추출 용액을 투입하여 금속 성분을 유기용매로 추출하는 단계(S2); 금속 성분을 함유한 유기용매와 폐염산층을 상분리하는 단계(S3); 및 상분리(분획)된 폐염산층을 회수하여 정제된 염산을 수득하는 단계(S4);를 포함하며, 상기 추출제는 폐염산에 포함된 Fe 1 몰을 기준으로 40몰 이상으로 사용되며, 상기 폐염산 : 추출 용액은 1:0.1 내지 1 부피비로 혼합하는 폐염산 정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폐염산 정제 방법 {PROCESS FOR PURIFIYING WASTE HYDROCHLORIC ACID}
본 발명은 폐염산 정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에틸렌 디클로라이드 (1,2-디클로로에탄, EDC)는 비닐 클로라이드 단량체 합성 반응시에 생성되는 물질로서 (하기 반응식 1 참조), 에틸렌과 염소의 반응에 의한 직접염소방법과 에틸렌과 염화수소 및 공기(산소)의 반응에 의한 산화염소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1]
C2H4 + Cl2(또는 HCl) → CH2=CHCl + CH2ClCH2Cl
CH2ClCH2Cl → CH2=CHCl + HCl
한편, 상기 에틸렌 디클로라이드 생산 시에 일정량의 폐염산 (또는 희염산)과 같은 부산물이 지속적으로 발생한다.
이러한 폐염산을 염소 알칼리 (Chlor-Alkali) 전해조 양극액에 들어가는 염산으로 재활용하거나, 또는 산소첨가염소화 (oxy-chlorination) 원료로 재활용하는 경우, 공장의 유해 물질 배출량 감소 및 염화수소 구입 비용 감소로 인하여 환경적 및 경제적 이득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 비용 절감 등을 위하여, 폐염산을 정제하여 재활용하는 방법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폐염산을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폐염산 내에 잔류하는 Fe, Al, Ca, K, Mg, 및 Ni 등과 같은 다양한 금속 성분들을 제거해야 한다. 만약, 상기와 같은 금속의 양이온이 양극액 (anolyte) 내에 존재하는 경우, 전해조 내의 멤브레인 표면이나 내부에서 OH- 이온과 반응하여 수산화물을 야기하기 때문에, 전압 상승 및 전류 효율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특히, 상기 Fe를 제외한 대부분의 금속 성분은 에틸렌 디클로라이드 공정에 사용되는 물이 데미 워터 (de-minerals water)로 교체될 때 제거되는 반면, Fe는 물을 교체해도 여전히 잔류하기 때문에, 폐염산 내에서 Fe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정제 공정이 필요하다.
현재, Fe를 제거하기 위한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폐염산에 존재하는 유리 잔류염소 (free residual chlorine) 성분을 제거한 다음,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하여 FeCl3를 분리하는 방법이다.
상기 폐염산에 존재하는 유리 잔류염소는 이온교환수지의 활성점의 심각한 비활성화를 야기하기 때문에, Fe 정제 공정을 수행하기 전에 반드시 유리 잔류염소를 먼저 제거하는 공정을 실시해야 한다.
상기 유리 잔류염소를 제거하는 방법은 진공(감압) 탈염법 (vacuum dechlorination), 증기/공기 탈거법 (steam/air stripping), 설파이트 투입법 (sulfite addition), 활성탄 (active carbon) 이용법 및 UV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진공(감압) 탈염법은 압력 조절을 통하여 Cl2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기존 양극액 탈염법과 병합 가능하다. 하지만, 공정 과정이 복잡하고, 높은 공정 비용 및 제거 효율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 증기/공기 탈거법은 증기 혹은 공기를 통한 탈거법으로 에너지 소모가 크고, 추기 투자 비용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설파이트 투입법은 하기 반응식 2와 같이 Na2SO3, NaHSO3 등의 설파이트로부터 설페이트로의 산화 반응을 통해, Cl2를 환원하는 공정 방법으로, 이 방법 역시 유리 잔류염소 제거 효율이 낮고, 기존 SRS system (Sulfate Removal System)에서 설페이트 처리에 과부하를 줄 수 있다.
[반응식 2]
NaHSO3 + HOCl NaHSO4 +HCl
상기 활성탄 이용법은 활성탄을 이용하여 Cl2를 흡착하는 방법으로, 강산 분위기에서의 효율을 고려해야 하며 기체 대상, 액체 대상 여부 등을 고려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상기 UV 방법은 하기 반응식 3과 같이 UV 에너지를 이용하여 유리 잔류염소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공정으로 HOCl은 238nm 파장에서 잘 흡수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이 방법 역시 공정 비용의 증가와 유리 잔류염소 제거 효율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반응식 3]
Cl2 + H2O → HOCl + HCl
2HOCl → O2 + 2HCl
전술한 바와 같이, Fe 제거 전에 유리 잔류염소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고 있으나, 폐염산과 같이 pH가 0.8 이하로 매우 낮은 경우에는 5 ppm 미만으로 유리 잔류염소를 제거하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하여 FeCl3를 분리하는 일반적인 방법의 경우, 상기 유리 잔류염소가 제거된 물을 흔들어(swing) 재생하여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2 단계의 정제 공정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공정 설비 및 유지 비용이 증가하여, 실제 공정에 적용하기 어려움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 폐염산으로부터 Fe를 제거하는 방법은 공정 단계가 복잡하기 때문에 에너지 및 비용 소비가 많을 뿐만 아니라, 폐염산으로부터 유리 잔류염소 제거 효율 또한 낮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에너지 소비량 및 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고순도의 폐염산 정제 방법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미국 특허등록공보 제2,787,525호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3511244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기술적 과제는 용매 추출법을 이용한 폐염산 정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추출제를 유기용매에 용해시켜 추출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1);
폐염산에 상기 추출 용액을 투입하여 폐염산 내의 금속 성분을 유기용매로 추출(extraction)하는 단계(S2);
금속 성분을 함유한 유기용매와 폐염산층을 상분리(separation)하는 단계(S3); 및
상분리(분획)된 폐염산층을 회수하여 정제된 염산을 수득하는 단계(S4);를 포함하며,
상기 추출제의 사용량은 폐염산에 함유된 금속 성분 중 철(Fe) 이온 성분 1 몰을 기준으로 40 몰 이상이고,
상기 폐염산 : 추출 용액은 1:0.1 내지 1:1 부피비로 혼합하는 것인 폐염산 정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폐염산 정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추출 용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유기용매는 방향족 탄화수소 용매, 지방족 탄화수소 용매, 및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향족 탄화수소 용매는 톨루엔 및 크실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방족 탄화수소 용매는 메틸 시클로헥산 및 시클로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환족 탄화수소 용매, 또는 탄소수 6 내지 20의 선형 탄화수소 용매, 예컨대 케로센 (kerosene, 등유), 노르말헥산, 헵탄, 옥탄, 노난, 데칸, 및 도데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코올은 탄소수 6 내지 20의 1가 알코올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제는 트리옥틸아민, 메틸 이소부틸케톤, 트리알킬포스핀 옥사이드 및 트리부틸 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트리옥틸아민 및 메틸 이소부틸케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트리옥틸아민 일 수 있다.
상기 추출제의 사용량은 폐염산에 함유된 금속 성분 중 철(Fe) 이온 성분 1 몰을 기준으로 40 몰 내지 60 몰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매 추출법을 이용한 폐염산 정제 방법의 경우, 폐염산으로부터 금속 성분, 특히 철(Fe) 이온 성분을 1 ppm 이하로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염산의 재활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용매 추출 방법을 이용한 폐염산 정제 방법은 사용 용매의 재생을 통해 수회의 반복 사용이 가능함에 따라, 기존 공정에 비해 공정의 단순화와, 이에 따른 에너지 및 제조 비용 절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용매 추출 방법을 이용한 폐염산 정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용매 추출 방법을 이용한 폐염산 정제 방법에 대한 공정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용매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된 폐염산의 정제 전,후의 염산의 색 변화를 비교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종래 폐염산으로부터 금속 성분, 특히 철(Fe) 이온 성분을 제거하는 방법은 유리 잔류염소 제거 단계를 포함하는 등 공정 단계가 복잡하기 때문에 에너지 및 비용 소비가 많을 뿐만 아니라, 폐염산으로부터 유리 잔류염소 및 철(Fe) 이온 성분의 제거 효율 또한 낮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용매 추출법을 이용하여 폐염산으로부터 유기 잔류염소 성분 제거 단계를 추가로 수행하지 않아도, 금속 성분, 특히 철(Fe) 이온 성분을 1 ppm 이하, 구체적으로 0.1 ppm 이하로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에너지 소비량 및 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폐염산을 고순도로 정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추출제를 유기용매에 용해시켜 추출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1);
폐염산에 상기 추출 용액을 투입하여 폐염산 내의 금속 성분을 유기용매로 추출(extraction)하는 단계(S2);
금속 성분을 함유한 유기용매와 폐염산층을 상분리(separation)하는 단계(S3); 및
상분리(분획)된 폐염산층을 회수하여 정제된 염산을 수득하는 단계(S4);를 포함하며,
상기 추출제의 사용량은 폐염산에 함유된 금속 성분 중 철(Fe) 이온 성분 1 몰을 기준으로 40 몰 이상이고,
상기 폐염산 : 추출 용액은 1:0.1 내지 1:1 부피비로 혼합하는 것인 폐염산 정제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본 발명의 용매 추출 방법을 이용한 폐염산 정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용매 추출 방법을 이용한 폐염산 정제 방법에 대한 공정 개략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페염산 정제 방법은 상기 추출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1) 전에, 폐염산에 포함된 금속 성분 중 철(Fe) 이온 성분의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S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폐염산에 포함된 금속 성분 중 철(Fe) 이온 성분의 농도는 유도 결합플라즈마 질량분석기 방법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ry)으로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은 시료 약 5g을 코닝 튜브 (corning tube)에 측정하여 내부 표준물로 투입하고, 초순수 25 mL로 희석한 다음 ICP-OES (Optima 7300 DV) 장치를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폐염산 정제 방법에서는 유기용매에 추출제를 용해시켜 추출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1).
이때, 상기 유기용매는 유기상의 점도, 비중 등의 물리적 성질을 개선하고, 일정량의 추출제 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희석) 용매로서, 그 대표적인 예로 방향족 탄화수소 용매, 지방족 탄화수소 용매, 및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향족 탄화수소 용매는 톨루엔, 및 크실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방족 탄화수소 용매는 메틸 시클로헥산 및 시클로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환족 탄화수소 용매, 또는 탄소수 6 내지 20의 선형 탄화수소 용매, 구체적으로 케로센 (kerosene, 등유), 노르말헥산, 헵탄, 옥탄, 노난, 데칸, 및 도데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코올은 탄소수 6 내지 20의 1가 알코올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 2-에틸 헥산올, 또는 2-도데칸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탄화 수소의 함유 율에 따라 추출 평형 및 추출 속도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유기용매는 물과의 상분리(phase separation)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금속에 대한 선택도(selectivity)가 물에 비해 높아, 추출 공정 후 TOC (total organic carbon) 수치가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는 톨루엔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TOC 수치란 추출 공정 후 정제된 고순도 염산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 불순물의 농도를 확인함으로써 추출제 또는 희석제가 얼마나 포함되어 있는지를 알 수 있는 수치이다.
또한, 상기 추출제는 이온 교환 반응을 위한 화합물로서, 그 대표적인 예로서 트리옥틸아민, 메틸 이소부틸케톤, 트리알킬포스핀 옥사이드 및 트리부틸 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중에서도 인계 추출제인 트리알킬포스핀 옥사이드 또는 트리부틸 포스페이트보다 상 분리 효과가 높을 뿐만 아니라, 폐염산 내에서 금속 성분, 특히 철(Fe) 이온 성분 제거가 용이하고, 정제 과정에 사용된 유기용매의 재사용과 이에 따른 비용 절감 효과 등을 구현할 수 있는 트리옥틸아민 및 메틸 이소부틸케톤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트리옥틸아민이 더욱 바람직하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추출제로는 질소계 추출제 (트리옥틸아민 함유)인 알라민 (Alamine) 336 또는 Aliquat 336, 또는 인계 추출제 (트리알킬포스핀 옥사이드 함유)인 Cyanex 923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추가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추출제의 사용량은 폐염산에 포함된 금속 성분 중 철(Fe) 이온 성분 1 몰을 기준으로 40 몰 이상, 구체적으로 40 몰 내지 60 몰, 보다 구체적으로 40 몰 내지 50 몰, 더욱 구체적으로 40 몰 내지 45 몰일 수 있다.
상기 추출제의 사용량이 40 몰 미만인 경우, 금속 성분 특히 철(Fe) 이온 성분 제거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또한, 추출제 사용량이 60 몰을 초과하는 경우, 금속 성분 특히, 철(Fe) 이온 성분 제거 효과는 크게 차이가 없으나, 추출제를 다량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제조 비용과 철(Fe) 이온 성분 제거 효율을 고려할 때, 60 몰 이하로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폐염산 정제 방법에서는 폐염산을 반응 용기에 투입한 다음, 추출 용액을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폐염산에 함유된 금속 성분을 유기용매로 추출하는 단계를 실시할 수 있다(S2).
이때, 상기 폐염산 내에는 포함된 금속 성분은 주로 철 이온 성분이 포함되어 있고, 이 외에 Al3 +, Ca2 +, K+, Mg2 +, Ni2 + 등의 금속 성분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폐염산 : 추출 용액은 1:0.1 내지 1:1 부피비, 구체적으로 1:1 부피비로 혼합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추출 용액이 폐염산에 대하여 0.1 부피비(1/10) 미만으로 투입되는 경우, 폐염산 층에서 에멀젼이 발생하여 상분리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추출 용액이 1 부피비를 초과하여 투입되는 경우, 공정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 추출 단계(S2)는 폐염산과 추출 용액의 혼합 용액을 상온(atmospheric temperature)에서 200 rpm 내지 600 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10초 내지 60초, 구체적으로 20초 내지 60초동안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상온이란 연간을 통한 평상의 평균 온도 또는 대기 중의 온도로서, 구체적으로 20±5℃의 범위의 온도를 의미한다.
상기 교반 속도가 200 rpm 미만인 경우, 혼합이 원활하지 않아 금속 성분이나, 철 이온 성분의 추출 효율이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교반 속도가 600 rpm을 초과하는 경우, 금속 성분 추출 효과는 미미한 반면에 에너지 소비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 시간이 10초 미만인 경우, 금속을 추출하기 위한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기 못하여, 금속 성분 추출 효율이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교반 시간이 60초를 초과하여도 추출되는 금속 성분의 양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반면, 공정상 처리 가능 폐염산의 양이 제한되기 때문에 공정 시간 및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 교반 단계는 여러 가지 혼합장치가 이용될 수 있는데, 그 대표적인 예로서 마그네틱바 교반식 플레이트 또는 스태틱 믹서를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방법 중 추출 단계(S2)에서는 폐염산 내에 함유되어 있는 금속 성분, 구체적으로 철(Fe) 이온 성분뿐만 아니라, 노란색을 나타내는 성분인 FeCl4 - 및 FeCl3도 함께 제거되므로(하기 반응식 4 참조), 정제 후 수득된 고순도의 염산은 색이 투명하게 변화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 참조)
[반응식 4]
R3N (유기상) + HCl (폐염산) → R3NHCl (유기상)
FeCl4 - (물층) + R3NHCl (유기상) → FeCl3R3NHCl (유기상) + Cl- (물층)
FeCl3 (물층) + R3NHCl (유기상) → FeCl3R3NHCl (유기상)
그 다음으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폐염산 정제 방법에서는 교반이 평형에 도달한 후, 상기 유기용매와 폐염산의 혼합 용액을 세퍼레이터에 넣고 흔든 후 정치시켜 잔류하는 상인 금속 성분을 함유한 유기용매와, 추출상(extract)인 폐염산층으로 상분리(분획)시켰다(S3).
이때, 상기 상분리를 위한 혼합 단계는 20초 이내로 실시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폐염산 정제 방법에서는 상기 상분리 단계(S3)에서 상분리되어 하단에 위치하는 추출상인 폐염산층을 회수하여 정제된 염산을 수득할 수 있다(S4).
이때, 상기 정제된 염산 중에는 금속 성분, 특히 철(Fe) 이온 성분이 효과적으로 제거되어, 철(Fe) 이온 성분이 1 ppm 이하, 구체적으로 0.1 ppm 이하의 농도로 잔류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폐염산 정제 방법은 상기 폐염산 정제에 사용되는 유기용매의 재생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폐염산에 사용된 유기용매를 정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폐염산 정제 방법은 상기 정제된 염산 수득단계(S4) 후에,
상기 상분리 단계(S3)에서 분리된 금속 성분을 함유한 유기용매에 증류수를 첨가하여 유기용매 중의 잔류 금속 성분을 탈거하는 단계(S5);
탈거된 유기용매와 물층을 상분리(분획)하는 단계(S6); 및
상분리된 유기용매 및 물층을 각각 회수하는 단계(S7);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폐염산 정제 후 상분리되어 회수된 유기용매를 다시 한번 반응기에 투입한 다음, 증류수를 첨가하여 유기용매 중에 잔류하는 금속 성분을 탈거하는 단계를 실시할 수 있다(S5).
상기 탈거 단계에 의해 유기용매 중의 잔류 금속 성분을 물로 추출해 낼 수 있다.
이때, 상기 유기용매 : 증류수는 1: 0.1 내지 1:1의 부피비, 구체적으로 1:1 부피비로 혼합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증류수가 0.1 미만으로 투입되는 경우, 금속 성분 추출 효과가 감소하고, 상기 증류수가 1 부피비 (1/1)를 초과하여 투입되는 경우, 에멀젼이 일어나 상분리가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탈거 단계(S5)는 분리된 유기용매와 증류수의 혼합 용액을 상온에서 200 rpm 내지 600 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10초 내지 60초, 구체적으로 20초 내지 60초 동안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상온이란 연간을 통한 평상의 평균 온도 또는 대기 중의 온도로서, 구체적으로 20±5℃의 범위의 온도를 의미한다.
상기 교반 속도가 200 rpm 미만인 경우, 혼합이 원활하지 않아 금속 성분의 추출 효율이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교반 속도가 600 rpm을 초과하는 경우, 금속 성분 추출 효과는 미미한 반면에 에너지 소비가 증가될 수 있다.
상기 탈거를 위한 교반 시간이 20초 미만인 경우, 금속을 추출하기 위한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기 못하여, 금속 성분 추출 효율이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교반 시간이 60초를 초과하여도 추출되는 금속 성분의 양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반면, 공정상 처리 가능한 폐 유기용매의 양이 제한되기 때문에 공정 시간 및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 탈거 단계(S5)는 여러 가지 혼합장치가 이용될 수 있는데, 그 대표적인 예로서 마그네틱바 교반식 플레이트 또는 스태틱 믹서를 이용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교반이 평형에 도달한 후, 상기 유기용매와 증류수층의 혼합 용액을 세퍼레이터에 넣고 흔든 후 정치시켜 금속 성분이 탈거된 유기용매와, 철(Fe) 이온 성분 등이 함유된 증류수층으로 상분리(분획)시켰다(S6).
이때, 상기 상분리 단계는 20초 이내로 실시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상분리되어 하단에 위치하는 추출상인 증류수층을 제거하고, 상단에 위치하는 유기층을 회수하여(S7) 폐염산 정제에 사용되는 유기상을 효과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
이때, 회수된 유기용매 및 물층에 포함된 잔여 금속의 농도를 측정하여, 본 발명이 방법에 따른 유기용매의 재생 효율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용매 추출법을 이용한 폐염산 정제 방법의 경우, 폐염산으로부터 철(Fe) 이온 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공정의 단순화에 이에 따른 에너지 및 비용 절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추가로 폐염산 정제 방법에 사용된 유기용매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유기용매를 수회 반복 사용이 가능해짐에 따라, 기존 공정에 비해 공정 운용 비용 등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유도 결합플라즈마 질량분석기(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ry)로 폐염산 100 ml에 포함된 철(Fe) 이온 성분의 농도를 측정하였다(S0).
이어서, 유기용매인 톨루엔 100ml에 추출제인 트리옥틸아민 (폐염산에 포함된 철(Fe) 이온 성분 : 추출제 = 1몰 : 40몰)를 용해시켜 추출 용액을 제조하였다(S1).
그 다음으로, 폐염산 100 ml에 상기 추출 용액을 투입하고, 200 rpm의 속도로 60초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면서 폐염산에 포함된 금속 성분들을 유기용매로 추출하였다(S2).
교반이 평형에 도달한 후, 상기 유기용매와 폐염산의 혼합 용액을 세퍼레이터에 넣고 약 20초간 흔든 후 정치시켜 금속 성분을 함유한 유기용매와, 폐염산층으로 상분리(분획)시켰다(S3).
이어서, 분리된 폐염산층을 회수하여 정제된 염산을 수득하였다(S4) (도 3 참조).
상기 정제된 염산 내의 잔여 금속 농도와, TOC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2에 나타내었다.
이때, 잔여 금속 농도는 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scopy (ICP-OE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TOC (total organic carbon) 성분은 TOC 분석기 (analyzer)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의 (S1) 단계에서 폐염산에 포함된 Fe : 추출제 = 1 : 60몰비로 추출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정제된 염산을 수득하였다. 상기 정제된 염산 내의 잔여 금속 농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톨루엔 대신 시클로헥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정제된 염산을 수득하였다. 상기 정제된 염산 내의 잔여 금속 농도와 TOC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3에서 분리된 폐염산층을 추출제 40 몰이 용해된 시클로헥산을 이용하여 한번 더 추출(S2)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정제된 염산을 수득하였다. 상기 정제된 염산 내의 잔여 금속 농도와 TOC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톨루엔 대신 크실렌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정제된 염산을 수득하였다. 상기 정제된 염산 내의 잔여 금속 농도와 TOC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5에서 분리된 폐염산층을 추출제 40 몰이 용해된 크실렌을 이용하여 한번 더 추출(S2)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정제된 염산을 수득하였다. 상기 정제된 염산 내의 잔여 금속 농도와 TOC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1에서 톨루엔 대신 옥탄과 2-에틸 헥산올의 혼합 용액 (1:1 부피비)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정제된 염산을 수득하였다. 상기 정제된 염산 내의 잔여 금속 농도와 TOC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8.
상기 실시예 1에서 톨루엔 대신 데칸과 2-에틸 헥산올의 혼합 용액 (1:1 부피비)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정제된 염산을 수득하였다. 상기 정제된 염산 내의 잔여 금속 농도와 TOC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9.
상기 실시예 1에서 톨루엔 대신 도데칸과 2-에틸 헥산올의 혼합 용액 (1:1 부피비)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정제된 염산을 수득하였다. 상기 정제된 염산 내의 잔여 금속 농도와 TOC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0.
상기 실시예 1에서 톨루엔 대신 케로센과 2-에틸 헥산올의 혼합 용액 (1:1 부피비)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정제된 염산을 수득하였다. 상기 정제된 염산 내의 잔여 금속 농도와 TOC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1.
상기 실시예 1에서 톨루엔 대신 케로센과 2-도데칸올의 혼합 용액 (1:1 부피비)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정제된 염산을 수득하였다. 상기 정제된 염산 내의 잔여 금속 농도와 TOC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2.
상기 실시예 1의 (S1) 단계에서 추출제로 트리옥틸아민 대신 트리알킬포스핀 옥사이드를 용해시켜 추출 용액을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정제된 염산을 수득하였다. 상기 정제된 염산 내의 잔여 금속 농도와 TOC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3.
상기 실시예 3의 (S1) 단계에서 추출제로 트리옥틸아민 대신 트리알킬포스핀 옥사이드를 용해시켜 추출 용액을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정제된 염산을 수득하였다. 상기 정제된 염산 내의 잔여 금속 농도와 TOC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4.
상기 실시예 1의 (S1) 단계에서 추출 용액 제조 시에 톨루엔 대신 메틸 사이클로헥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정제된 염산을 수득하였다. 상기 정제된 염산 내의 잔여 금속 농도와 TOC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폐염산 100ml에 이온 교환수지(IRA-900) 10 중량%를 주입하고, 200 rpm의 속도로 1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상기 반응물을 여과하여 이온 교환 수지를 제거하고, 정제된 염산을 수득하였다.
상기 정제된 염산 내의 잔여 금속 농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상기 비교예 1에서 이온교환수지(IRA-900) 대신 이온교환수지(IRA-910)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정제된 염산을 수득하였다. 상기 정제된 염산 내의 잔여 금속 농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폐염산 100ml에 유리 잔류염산을 제거하기 위하여 NaSO3를 투입하고 200 rpm의 속도로 1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한 다음, 상기 혼합물에 이온 교환수지(IRA-910) 10 중량%를 주입하고, 200 rpm의 속도로 1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상기 반응물을 여과하여 이온 교환 수지를 제거하고, 정제된 염산을 수득하였다. 상기 정제된 염산 내의 잔여 금속 농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4.
폐염산 100ml에 활성탄 20 중량%를 투입하고 200 rpm의 속도로 1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한 다음, 상기 반응물을 여과하여 활성탄을 제거하였다.
상기 여과 공정에 의해 얻어진 폐염산 100 ml에 이온 교환수지(IRA-910) 10 중량%를 주입하고, 200 rpm의 속도로 1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상기 반응물을 여과하여 이온 교환 수지를 제거하고, 정제된 염산을 수득하였다.
상기 정제된 염산 내의 잔여 수득된 염산 내의 잔여 금속 농도와 TOC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2 에 나타내었다.
추출 용액 Al Ca Fe K Mg
추출제 유기용매
폐염산 - - 5 15 20 5 5
실시예 1 트리옥틸아민 톨루엔 6 16 <0.1 5 5
실시예 2 트리옥틸아민 톨루엔 6 17 <0.1 5 5
실시예 3 트리옥틸아민 시클로헥산 5 16 <0.1 5 5
실시예 4 트리옥틸아민 시클로헥산 (2회) 5 16 <0.1 5 5
실시예 5 트리옥틸아민 크실렌 6 16 <0.1 5 5
실시예 6 트리옥틸아민 크실렌 (2회) 6 17 <0.1 5 5
실시예 7 트리옥틸아민 옥탄+2-에틸 헥산올 7 17 <0.1 5 5
실시예 8 트리옥틸아민 데칸+ 2-에틸 헥산올 7 16 <0.1 5 5
실시예 9 트리옥틸아민 도데칸+2-에틸 헥산올 7 16 <0.1 5 5
실시예 10 트리옥틸아민 케로센+ 2-에틸 헥산올 7 17 <0.1 6 5
실시예 11 트리옥틸아민 케로센+ 2-도데칸올 6 16 1 5 5
실시예 12 트리알킬포스핀
옥사이드
톨루엔 3 16 <0.1 3 4
실시예 13 트리알킬포스핀
옥사이드
시클로헥산 4 16 <0.1 4 5
실시예 14 트리옥틸아민 메틸 사이클로헥산 2 8 <0.1 3 2
비교예1 - - 4 16 4 4 5
비교예2 - - 4 16 4 4 5
비교예3 - - 4 18 4 4 6
비교예4 - - N.D N.D 21 N.D N.D
* 금속 성분 농도 단위 (ppm)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용매 추출법을 이용한 실시예 1 내지 14의 경우, 유기용매의 종류에 상관 없이 잔류 철(Fe) 이온 성분의 농도가 1 ppm 이하 (95% 이상 제거)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더욱이, 정제 공정 중에 폐염산의 노란색을 나타내는 성분인 FeCl4 - 및 FeCl3가 함께 제거되어, 정제 후 폐염산 색이 투명하게 변화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 참조),
반면에, 폐염산 내의 철(Fe) 이온 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한 비교예 1 내지 3의 경우, 잔류 철(Fe) 이온 성분의 농도가 1 ppm 이상 (약 80% 정도 제거) 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유리 잔류염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NaSO3를 첨가한 비교예 3의 경우, Fe 제거 효율에 영향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활성탄 처리한 이후 이온 교환수지를 사용한 비교예 4의 방법의 경우, 비교예 1 및 2과 비교하여 오히려 Fe 의 농도가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활성 탄소에서 과량의 금속 불순물이 포함되어 배출된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추출 용액 TOC
(total organic carbon)
TIC
(total inorganic carbon)
TC
(total carbon)
추출제 유기용매
폐염산 - - 67.65 54.64 122.29
실시예 1 트리옥틸아민 톨루엔 5.22 64.18 69.4
실시예 3 트리옥틸아민 시클로헥산 37.1 54.17 91.27
실시예 4 트리옥틸아민 시클로헥산
(2회)
14.27 53.85 68.12
실시예 5 트리옥틸아민 크실렌 40.7 54.4 95.1
실시예 6 트리옥틸아민 크실렌 (2회) 6.28 63.7 69.98
실시예 7 트리옥틸아민 옥탄 +
2-에틸 헥산올
45.93 54.84 100.77
실시예 8 트리옥틸아민 데칸 + 2-에틸
헥산올
65.48 140.56 206.04
실시예 9 트리옥틸아민 도데칸 +
2-에틸 헥산올
66.15 145.06 211.21
실시예 10 트리옥틸아민 케로센 +
2-에틸 헥산올
59.51 144.24 203.85
실시예 11 케로센 +
2-도데칸올
53.51 55.05 108.56
실시예 14 트리옥틸아민 메틸
사이클로헥산
53.58 151.7 205.28
비교예4 - - 18.79 54.78 73.57
또한,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추출 후 회수된 정제된 염산의 TOC 값을 비교해 보면, 톨루엔을 추출 용액에 사용했을 때의 수치가 5.22로, 가장 낮은 TOC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톨루엔을 사용하는 경우 상분리가 가장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상분리 이후 유기 불순물이 폐염산에 포함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5.
상기 실시예 1에서 유기용매를 100ml를 사용하는 대신 50 ml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정제된 염산을 수득하였다. 상기 정제된 염산 내의 잔여 금속 농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6.
상기 실시예 1에서 유기용매를 100ml를 사용하는 대신 30 ml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정제된 염산을 수득하였다. 상기 정제된 염산 내의 잔여 금속 농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7.
상기 실시예 1에서 유기용매를 100ml를 사용하는 대신 10 ml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정제된 염산을 수득하였다. 상기 정제된 염산 내의 잔여 금속 농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유기용매를 100 ml를 사용하는 대신 9 ml를 사용하는 경우, 폐염산층에서 에멀젼(emulsion) 현상이 발생하면서, 상분리가 쉽지 않았다.
유기용매 함량 (ml) Al Ca Fe K Mg
폐염산 - 5 15 20 5 5
실시예 15 50 4 16 <0.1 4 5
실시예 16 30 4 16 <0.1 4 5
실시예 17 10 4 16 <0.1 4 5
비교예 5 9 - - - - -
상기 표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추출 용액과 및 폐염산의 혼합 비율을 변화해 가며 철(Fe) 이온 성분의 농도 변화를 측정한 결과, 추출 용액 중의 유기용매의 사용량이 감소하여도 Fe 제거 효율이 감소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비교예 5와 같이 유기용매/폐염산의 혼합비가 1/10 이하인 경우 에멀젼 현상이 발생하여, 상분리 자체가 어려워 순수한 염산 정제가 어려운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8.
상기 실시예 1에서 유기용매와 폐염산을 교반하여 추출하는 시간을 50초로 실시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정제된 염산을 수득하였다. 상기 정제된 염산 내의 잔여 금속 농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9.
상기 실시예 1에서 유기용매와 폐염산을 교반하여 추출하는 시간을 30초로 실시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정제된 염산을 수득하였다. 상기 정제된 염산 내의 철(Fe) 이온 성분의 농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0.
상기 실시예 1에서 유기용매와 폐염산을 교반하여 추출하는 시간을 20초로 실시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정제된 염산을 수득하였다. 상기 정제된 염산 내의 철(Fe) 이온 성분의 농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1.
상기 실시예 1에서 유기용매와 폐염산을 교반하여 추출하는 시간을 10초로 실시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정제된 염산을 수득하였다. 상기 정제된 염산 내의 철(Fe) 이온 성분의 농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교반 시간 (초) Fe
폐염산 - 20
실시예 18 50 <0.1
실시예 19 30 <0.1
실시예 20 20 <0.1
실시예 21 10 0.1
상기 표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기용매와 폐염산의 혼합 시간을 변화해 가며 철(Fe) 이온 성분의 농도 변화를 측정한 결과, 추출 시간을 20초까지 감소시켜도 폐염산 내 Fe 제거 효율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추출 시간을 10초로 하는 경우, Fe 제거 효율이 감소하여 1 ppm 이하의 Fe가 검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2.
상기 실시예 1에서 추출을 위한 유기용매와 폐염산의 교반 속도를 200 rpm 대신 600 rpm으로 실시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정제된 염산을 수득하였다. 상기 정제된 염산 내의 잔여 금속 농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3.
상기 실시예 1에서 추출을 위한 유기용매와 폐염산의 교반 속도를 200 rpm 대신 300 rpm으로 실시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정제된 염산을 수득하였다. 상기 정제된 염산 내의 잔여 금속 농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4.
상기 실시예 1에서 추출을 위한 유기용매와 폐염산의 교반 속도를 200 rpm 대신 100 rpm으로 실시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정제된 염산을 수득하였다. 상기 정제된 염산 내의 잔여 금속 농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교반 속도 (rpm) Al Ca Fe K Mg
폐염산 - 5 15 20 5 5
실시예 22 600 1 7 <0.1 2 2
실시예 23 300 1 7 <0.1 2 2
실시예 24 100 1 7 0.7 2 2
상기 표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추출을 위한 교반 과정에서 교반 속도를 낮춰가며 실험한 결과, 200rpm 보다 낮은 100 rpm 속도로 교반하는 경우 층간 혼합이 원활하지 않아, ICP 측정 결과 약 0.7 ppm의 Fe가 검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5.
폐염산 100 ml에 포함된 철(Fe) 이온 성분의 농도를 측정한 후, 유기용매인 톨루엔 100ml에 추출제인 트리옥틸아민 (폐염산에 포함된 Fe : 추출제 = 1 : 40몰)를 용해시켜 추출 용액을 제조하였다(S1).
이어서, 폐염산 100 ml에 상기 추출 용액을 투입하고, 200 rpm의 속도로 60초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면서 폐염산에 포함된 금속 성분들을 유기용매로 추출하였다(S2).
교반이 평형에 도달한 후, 상기 유기용매와 폐염산의 혼합 용액을 세퍼레이터에 넣고 약 20초간 흔든 후 정치시켜 금속 성분을 함유한 유기용매와, 폐염산층으로 상분리(분획)시켰다(S3).
이어서, 분리된 폐염산층을 회수하여 정제된 염산(1)을 수득하였다(S4).
이어서, 분리된 유기용매에 증류수 100 ml를 첨가하고, 200 rpm의 속도로 1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면서 유기용매 중 잔류 금속 성분을 탈거하였다(S5).
교반 완료 후, 상기 탈거된 유기용매(1)와 물층의 혼합 용액을 세퍼레이터에 넣고 약 20초간 상분리하여, 유기용매와 물층을 분획하였다(S6). 분리된 물층(1)을 회수하였다(S7).
상기 정제된 염산(1)과 물층(1) 내의 잔여 금속 농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6.
폐염산 100 ml에 상기 실시예 25의 폐염산층으로부터 상분리되어 회수된 유기용매(1)를 재투입하고, 200 rpm의 속도로 1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면서 폐염산에 포함된 금속 성분들을 유기용매로 추출하였다(S2-2).
교반이 평형에 도달한 후, 상기 재투입된 유기용매(1)와 폐염산의 혼합 용액을 세퍼레이터에 넣고 약 20초간 흔든 후 정치시켜 금속 성분을 함유한 유기용매와 폐염산층으로 상분리(분획)시켰다(S3-2).
이어서, 분리된 폐염산층을 회수하여 정제된 염산(2)을 수득하였다(S4-2).
이어서, 상분리된 유기용매에 증류수 100 ml를 첨가하고, 200 rpm의 속도로 1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면서 유기용매 중 잔류 금속 성분을 재탈거하였다(S5-2).
교반 완료 후, 상기 탈거된 유기용매(2)와 물층의 혼합 용액을 세퍼레이터에 넣고 약 20초간 상분리하여, 유기용매와 물층을 상분리하였다(S6-2). 상분리된 물층(2)을 회수하였다(S7-2).
상기 정제된 염산(2)과 물층(2) 내의 잔여 금속 농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7.
폐염산 100 ml에 상기 실시예 26의 폐염산층으로부터 상분리되어 회수된 유기용매(2)를 재투입하고, 200 rpm의 속도로 1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면서 폐염산에 포함된 금속 성분들을 유기용매로 추출하였다(S2-3).
교반이 평형에 도달한 후, 상기 재투입된 유기용매와 폐염산의 혼합 용액을 세퍼레이터에 넣고 약 20초간 흔든 후 정치시켜 금속 성분을 함유한 유기용매와 폐염산층으로 상분리(분획)시켰다(S3-3)
이어서, 분리된 폐염산층을 회수하여 정제된 염산(3)을 수득하였다(S4-3).
이어서, 상분리된 유기용매에 증류수 100 ml를 첨가하고, 200 rpm의 속도로 1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면서 유기용매 중 잔류 금속 성분을 탈거하였다(S5-3).
교반 완료 후, 상기 탈거된 유기용매(3)와 물층의 혼합 용액을 세퍼레이터에 넣고 약 20초간 상분리하여, 유기용매와 물층을 분획하였다(S6-3). 분리된 물층(3)을 회수하였다(S7-3).
상기 정제된 염산(3)과 물층(3) 내의 잔여 금속 농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8.
폐염산 100 ml에 상기 실시예 27의 폐염산층으로부터 상분리되어 회수된 유기용매(3)를 재투입하고, 200 rpm의 속도로 1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면서 폐염산에 포함된 금속 성분들을 유기용매로 추출하였다(S2-4).
교반이 평형에 도달한 후, 상기 재투입된 유기용매와 폐염산의 혼합 용액을 세퍼레이터에 넣고 약 20초간 흔든 후 정치시켜 금속 성분을 함유한 유기용매와 폐염산인층으로 상분리(분획)시켰다(S3-4).
이어서, 분리된 폐염산층을 회수하여 정제된 염산(4)을 수득하였다(S4-4).
이어서, 상분리된 유기용매에 증류수 100 ml를 첨가하고, 200 rpm의 속도로 1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면서 유기용매 중 잔류 금속 성분을 탈거하였다(S5-4).
교반 완료 후, 상기 탈거된 유기용매(4)와 물층의 혼합 용액을 세퍼레이터에 넣고 약 20초간 상분리하여, 유기용매와 물층을 분획하였다(S6-4). 분리된 물층(4)을 회수하였다(S7-4).
상기 정제된 염산(4)과 물층(4) 내의 잔여 금속 농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추출 횟수 Al Ca Fe K Mg
폐염산 - 5 15 20 5 5
실시예 25 정제된 염산 (1) 4 16 <0.1 4 5
물층 (1) 0.6 0.2 20 0.3 <0.1
실시예 26 정제된 염산 (2) 4 16 <0.1 4 5
물층 (2) 0.5 0.2 21 0.2 <0.1
실시예 27 정제된 염산 (3) 4 16 <0.1 4 5
물층 (3) 0.5 0.2 21 0.2 <0.1
실시예 28 정제된 염산 (4) 4 16 <0.1 4 5
물층 (4) 0.5 0.2 21 0.2 <0.1
상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탈거된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폐염산 정제 과정을 수 회 반복한 결과, 폐염산 내 철(Fe) 이온 성분은 0.1 ppm 이하로 일정하게 제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유기용매를 정제하여 실시예 26 내지 28와 같이 여러 차례 폐염산 정제 단계 (금속 성분 추출 단계)에 이용하여도, 실시예 25의 폐염산 정제 효과와 크게 차이가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폐염산 정제 방법의 경우 유기용매를 효과적으로 재생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29.
폐염산 100 ml에 포함된 철(Fe) 이온 성분의 농도를 측정한 후, 유기용매인 톨루엔 100ml에 추출제인 트리알킬포스핀 옥사이드 (폐염산에 포함된 Fe : 추출제 = 1 : 40몰)를 용해시켜 추출 용액을 제조하였다(S'1).
이어서, 폐염산 100 ml에 상기 추출 용액을 투입하고, 200 rpm의 속도로 60초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면서 폐염산에 포함된 금속 성분들을 유기용매로 추출하였다(S'2).
교반이 평형에 도달한 후, 상기 유기용매와 폐염산의 혼합 용액을 세퍼레이터에 넣고 약 20초간 흔든 후 정치시켜 금속 성분을 함유한 유기용매와, 폐염산층으로 상분리(분획)시켰다(S'3).
이어서, 분리된 폐염산층을 회수하여 정제된 염산(1)을 수득하였다(S'4).
이어서, 분리된 유기용매에 증류수 100 ml를 첨가하고, 200 rpm의 속도로 1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면서 유기용매 중 잔류 금속 성분을 탈거하였다(S'5).
교반 완료 후, 상기 유기용매와 물층의 혼합 용액을 세퍼레이터에 넣고 약 20초간 상분리하여, 유기용매와 물층을 분획하였다(S'6). 분리된 물층(1)을 회수하였다(S'7).
상기 정제된 유기용매와 물층(1) 내의 잔여 금속 농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0.
폐염산 100 ml에 포함된 철(Fe) 이온 성분의 농도를 측정한 후, 유기용매인 시클로헥산 100ml에 추출제인 트리알킬포스핀 옥사이드 (폐염산에 포함된 Fe : 추출제 = 1 : 40몰)를 용해시켜 추출 용액을 제조하였다(S'1).
이어서, 폐염산 100 ml에 상기 추출 용액을 투입하고, 200 rpm의 속도로 60초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면서 폐염산에 포함된 금속 성분들을 유기용매로 추출하였다(S'2).
교반이 평형에 도달한 후, 상기 유기용매와 폐염산의 혼합 용액을 세퍼레이터에 넣고 약 20초간 흔든 후 정치시켜 금속 성분을 함유한 유기용매와, 폐염산층으로 상분리(분획)시켰다(S'3).
이어서, 분리된 폐염산층을 회수하여 정제된 염산(1)을 수득하였다(S'4).
이어서, 분리된 유기용매에 증류수 100 ml를 첨가하고, 200 rpm의 속도로 1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면서 유기용매 중 잔류 금속 성분을 탈거하였다(S'5).
교반 완료 후, 상기 유기용매와 물층의 혼합 용액을 세퍼레이터에 넣고 약 20초간 상분리하여, 유기용매와 물층을 분획하였다(S'6). 분리된 물층(1)을 회수하였다(S'7).
상기 정제된 유기용매와 물층(1) 내의 잔여 금속 농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추출 횟수 Al Ca Fe K Mg
폐염산 - 5 15 20 5 5
실시예 29 유기용매층 1 <0.1 9 1 1
물층 (1) 0.4 0.2 11 0.3 <0.1
실시예 30 유기용매층 <0.1 <0.1 12 <0.1 <0.1
물층 (1) 0.4 0.1 8 0.2 <0.1
상기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추출제로 트리알킬포스핀 옥사이드를 이용하여 폐염산 정제 및 유기용매에 대한 탈거 과정을 실시한 결과,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염산 내 금속 성분, 특히 철(Fe) 이온 성분은 1 ppm 이하로 제거된 반면에, 유기용매층 내에서 탈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유기용매를 재사용하는 것이 제약이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16)

  1. 추출제인 트리옥틸아민 또는 메틸 이소부틸케톤을 유기용매에 용해시켜 추출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1);
    폐염산에 상기 추출 용액을 투입하여 폐염산 내의 금속 성분을 유기용매로 추출하는 단계(S2);
    금속 성분을 함유한 유기용매와 폐염산층을 상분리하는 단계(S3); 및
    상분리(분획)된 폐염산층을 회수하여 정제된 염산을 수득하는 단계(S4);를 포함하며,
    상기 추출제의 사용량은 폐염산에 함유된 금속 성분 중 철(Fe) 이온 성분 1 몰을 기준으로 40 몰 내지 60몰이고,
    상기 폐염산 : 추출 용액은 1:0.1 내지 1:1 부피비로 혼합하는 것인 폐염산 정제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폐염산 정제 방법은 추출 용액을 제조하기 전에 폐염산에 포함된 금속 성분 중 철(Fe) 이온 성분의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S0)를 더 포함하는 것인 폐염산 정제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방향족 탄화수소 용매, 지방족 탄화수소 용매 및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매를 포함하는 것인 폐염산 정제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탄화수소 용매는 톨루엔, 및 크실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지방족 탄화수소 용매는 메틸 시클로헥산 및 시클로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환족 탄화수소 용매, 또는 탄소수 6 내지 20의 선형 탄화수소 용매를 포함하며,
    상기 알코올은 탄소수 6 내지 20의 1가 알코올을 포함하는 것인 폐염산 정제 방법.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제는 트리옥틸아민인 것인 폐염산 정제 방법.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제의 사용량은 철(Fe) 이온 성분 1 몰을 기준으로 40 몰 내지 50 몰인 것인 폐염산 정제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추출제의 사용량은 철(Fe) 이온 성분 1 몰을 기준으로 40 몰 내지 45 몰인 것인 폐염산 정제 방법.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 단계(S2)는 폐염산과 추출 용액의 혼합 용액을 200 rpm 내지 600 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상온에서 20초 내지 60초 동안 실시하는 것인 폐염산 정제 방법.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분리 단계(S3)는 20초 이내로 실시하는 것인 폐염산 정제 방법.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정제된 염산 수득단계(S4) 후에,
    상기 분리된 금속 성분을 함유한 유기용매에 증류수를 첨가하여 유기용매 중의 잔류 금속 성분을 탈거하는 단계(S5);
    탈거된 유기용매와 물층을 상분리하는 단계(S6); 및
    상분리된 유기용매 및 물층을 각각 회수하는 단계(S7);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폐염산 정제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증류수는 1:1의 부피비로 혼합하는 것인 폐염산 정제 방법.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탈거 단계(S5)는 분리된 유기용매와 증류수의 혼합 용액을 200 rpm 내지 600 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상온에서 20초 내지 60초 동안 실시하는 것인 폐염산 정제 방법.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상분리 단계(S6)는 20초 이내로 실시하는 것인 폐염산 정제 방법.
KR1020170138499A 2016-11-09 2017-10-24 폐염산 정제 방법 Active KR102045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80004237.9A CN108290083B (zh) 2016-11-09 2017-10-25 纯化废盐酸的方法
PCT/KR2017/011869 WO2018088727A1 (ko) 2016-11-09 2017-10-25 폐염산 정제 방법
EP17863300.4A EP3539636A4 (en) 2016-11-09 2017-10-25 METHOD FOR CLEANING WASTE ACID ACID
JP2018538688A JP6660476B2 (ja) 2016-11-09 2017-10-25 廃塩酸の精製方法
US15/774,915 US11472702B2 (en) 2016-11-09 2017-10-25 Method of purifying waste hydrochloric aci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48633 2016-11-09
KR1020160148633 2016-1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2084A KR20180052084A (ko) 2018-05-17
KR102045523B1 true KR102045523B1 (ko) 2019-11-18

Family

ID=62486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8499A Active KR102045523B1 (ko) 2016-11-09 2017-10-24 폐염산 정제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472702B2 (ko)
EP (1) EP3539636A4 (ko)
JP (1) JP6660476B2 (ko)
KR (1) KR102045523B1 (ko)
CN (1) CN10829008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81309B (zh) * 2018-08-01 2020-06-23 江苏焕鑫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提高含有多酚混合物和亚硫酸的工业盐酸的品质的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38017A (ja) 2015-01-28 2016-08-04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高純度塩酸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87525A (en) 1952-01-23 1957-04-02 Columbia Southern Chem Corp Removal of free chlorine from hci
GB1384536A (en) 1971-05-13 1975-02-19 Ici Ltd Liquid hydrocarbons
JPS511244A (en) 1974-06-19 1976-01-07 Findus Komochikanrano sonokukibukarahagitoruhohoto sonosochi
JPS52115796A (en) 1976-03-25 1977-09-28 Solex Res Corp Japan Recovery process for waste acid containing iron
CA1303815C (en) 1987-06-30 1992-06-23 Solex Research Corporation Of Japan Method for neutralization treatment of sulfuric acid containing iron ions
US4971780A (en) 1987-12-14 1990-11-20 East Penn Manufacturing Co., Inc. Process for the reclamation of battery acid and fluid from expended lead-acid batteries
US5009868A (en) 1987-12-14 1991-04-23 East Penn Manufacturing Co., Inc. Process for the extended use of strip acid employed in the reclamation of battery acid fluid from expanded lead-acid batteries
US5078887A (en) * 1990-10-31 1992-01-07 Westinghouse Electric Corp. Removal of iron contaminant from zirconium chloride solution
DE69400452T2 (de) * 1993-03-31 1997-02-27 Basf Corp Verfahren zur Gewinnung von als Reagens geeigneter Salzsäure aus der Herstellung von organischen Isocyanaten
FR2823195B1 (fr) * 2001-04-09 2004-07-02 Electricite De France Regeneration par extraction liquide-liquide des acides a partir de solution aqueuse contenant des metaux
US20050058670A1 (en) * 2003-09-09 2005-03-17 Jong-Soo Woo Oral itraconazole composition which is not affected by ingested food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KR100738507B1 (ko) * 2006-01-24 2007-07-11 대일개발 주식회사 전자산업 에칭과정의 혼합폐산액으로부터 각 산을 분리회수하는 방법
JP5317273B2 (ja) 2009-02-03 2013-10-16 国立大学法人 宮崎大学 金属イオンの抽出剤、及び抽出方法
RU2595178C2 (ru) * 2012-03-19 2016-08-20 Орбит Текнолоджиз Инк. Способ извлечения редкоземельных элементов и редких металлов
CN104192898B (zh) * 2014-09-11 2016-03-02 福建坤彩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从钛铁矿所制备的富钛有机相直接合成钛白粉的制备方法
KR101686418B1 (ko) * 2014-09-30 2016-12-14 (주)엔나노텍 유가금속 및 유기용제를 함유하는 폐산으로부터 유가금속의 회수 및 폐산의 재생 방법
CN105696010B (zh) * 2016-01-12 2018-07-06 惠州市斯瑞尔环境化工有限公司 一种含铁含锌废盐酸溶液的回收利用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38017A (ja) 2015-01-28 2016-08-04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高純度塩酸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70132A1 (en) 2020-08-27
JP6660476B2 (ja) 2020-03-11
CN108290083A (zh) 2018-07-17
KR20180052084A (ko) 2018-05-17
EP3539636A4 (en) 2019-11-20
JP2019505470A (ja) 2019-02-28
EP3539636A1 (en) 2019-09-18
US11472702B2 (en) 2022-10-18
CN108290083B (zh) 2021-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95321B (zh) 钪回收方法
CA2943483C (en) Copper removal method for aqueous nickel chloride solution
KR102244957B1 (ko) 폐염산 정제 장치
KR102045523B1 (ko) 폐염산 정제 방법
KR102605699B1 (ko) 과산화수소의 정제 방법
CN106892479B (zh) 一种从稀土草酸沉淀废水中回收草酸和盐酸的方法
US3077378A (en) Separation of europium from other lanthanide rare earths by solvent extraction
CN109607914A (zh) 一种稀有金属的工业废水处理工艺
CN110983051A (zh) 一种低浓度钒液反洗富集方法
KR101130824B1 (ko) 액정 표시 장치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혼합 폐산으로부터산을 회수하는 방법
CN109266870A (zh) 提取氧化钪的方法
KR20090083119A (ko) 용매추출법 및 진공증발법을 이용한 lcd혼합폐산으로부터 산을 회수하는 방법
JPS6111891B2 (ko)
CN109824155B (zh) 一种高浓度cod废水资源化处理的系统和方法
US4125587A (en) Removing zinc from a nickel solution by extraction
Berhe et al. Green extraction of niobium and tantalum from Kenticha tantalite ore using 1-ethyl-3-methyl imidazolium chloride ionic liquid
KR101382646B1 (ko) 용매 추출법 및 진공증발법을 이용한 혼산 폐액으로부터산을 회수하는 방법
KR101130823B1 (ko) 액정 표시 장치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혼합 폐산으로부터고순도 인산을 회수하는 방법
KR102512256B1 (ko) 고비점 유기물 및 저비점 유기물을 제거하기 위한 폐수의 처리 방법
WO2021112906A1 (en) Processes and systems for treating sour water
KR101009025B1 (ko) 액정 표시 장치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혼합 폐산으로부터고순도의 인산을 회수하는 방법
CN216273570U (zh) 一种处理复合盐中水溶性有机膦的装置
WO1999043408A1 (en) Solvent extraction of ferric chloride
CN110885930B (zh) 一种氧氯化锆结晶母液的资源化利用方法
RU2260068C1 (ru) Экстракционный способ извлечения мышьяка (+5) из кислых сульфатных раствор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24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4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10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4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1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1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