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45002B1 - Robot cleaner - Google Patents

Robot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5002B1
KR102045002B1 KR1020130023561A KR20130023561A KR102045002B1 KR 102045002 B1 KR102045002 B1 KR 102045002B1 KR 1020130023561 A KR1020130023561 A KR 1020130023561A KR 20130023561 A KR20130023561 A KR 20130023561A KR 102045002 B1 KR102045002 B1 KR 102045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main body
driving
robot cleaner
cliff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35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09173A (en
Inventor
김동성
선창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3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5002B1/en
Publication of KR20140109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91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002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47L9/2826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the condition of the fl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9Carrying-vehicles; Arrangements of trollies or wheels; Means for avoiding mechanical obs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4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Automatic obstacl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al Radar Systems And Details Thereof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로봇 청소기는 바닥을 향해 개구된 하방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어, 광을 출사하는 송광부와 물체에 의해 반사 또는 산란된 광을 수신하는 수광부를 포함하는 절벽감지센서; 및 상기 송광부로부터 출사된 광이 상기 하방 개구부를 통해 출사되도록 반사시키고, 상기 물체에 의해 반사 또는 산란된 광이 상기 수광부를 향해 진행되도록 반사시키는 반사경을 포함한다.The robot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lower opening opened toward the floor; A cliff detection sensor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including a light transmitting part for emitting light and a light receiving part for receiving light reflected or scattered by an object; And a reflector reflec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transmitter to be emitted through the lower opening and reflecting the light reflected or scattered by the object to be directed toward the light receiver.

Description

로봇 청소기{ROBOT CLEANER}Robot Cleaner {ROBOT CLEANER}

본 발명은 로봇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 cleaner.

로봇 청소기는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내를 스스로 주행하면서 바닥면으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여 자동으로 청소하는 기기이다.The robot cleaner is a device that automatically cleans by inhal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from the floor while driving by itself in the area to be cleaned without a user's operation.

로봇 청소기는 바닥을 향해 광을 출사하고, 바닥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신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센서를 갖추기도 하는데, 이러한 거리측정센서를 통해 측정된 거리는 바닥의 깊이를 반영하기 때문에 청소구역 내 절벽(cliff)의 존재를 감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를 통상적으로 절벽센서(cliff sensor)라고 부르기도 한다.The robot cleaner also has a distance sensor that emits light toward the floor and receives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floor to measure the distance. The distance measured by the distance sensor reflects the depth of the floor, so The presence of a cliff can be detected, so it is commonly referred to as a cliff sensor.

그런데, 종래의 로봇 청소기는 본체의 하부에 광의 출입을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고, 절벽센서의 송광부는 상기 개구부를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출사된 광이 상기 개구부를 향해 직진하며 바닥에 이르기 때문에, 본체 내에서 절벽센서의 배치위치 역시 상기 개구부의 상측으로 한정되어야 하여, 본체 내의 공간 활용에 제약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robot cleaner, an opening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and the light transmitting part of the cliff sensor is formed to face the opening, so that the emitted light travels straight toward the opening and reaches the floor. In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cliff sensor should also be limited to the upper side of the opening, there was a problem that there is a restriction on the space utilization in the body.

또한, 절벽센서는 그 목적상 본체를 이동시키는 주행륜(61a, 62a)이 이르기 전에 절벽을 감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본체의 전측에 배치되어야 하는데, 본체의 전측에는 전방의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들, 주행륜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 등의 부품들이 밀집해 있어 절벽센서를 설치하기가 용이하지 않았다.In addition, since the cliff sensor must detect the cliff before the traveling wheels 61a and 62a for moving the main body for the purpose, the cliff sensor should be disposed at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and sensors for detecting the obstacle in front of the main body. In addition, it is not easy to install the cliff sensor because parts such as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driving wheel are concentrated.

또한, 일반적으로 절벽센서는 송광부 또는 수광부를 구성하는 렌즈들과, 렌즈를 통과한 광이 맺히는 이미지 센서 등이 광의 출사 또는 수신 경로를 따라 배열되기 때문에, 광의 출사방향 또는 수신 방향으로 상당한 길이를 차지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종래의 로봇 청소기와 같이 출사된 광이 본체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향해 바로 진행되도록 절벽센서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절벽센서가 점유하는 상하방향의 높이가 길어지는 만큼 본체의 높이도 증가시켜야 하였으며, 본체의 높이 상승은 침대나 가구 밑으로 로봇 청소기가 진입하는데 장애가 되는 문제를 야기하였다.In addition, the cliff sensor generally has a considerable length in the light emitting or receiving direction because the lenses constituting the transmitting part or the light receiving part and the image sensor in which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lens are formed are arranged along the emission or reception path of the light. Occupies a structure. Therefore, when installing the cliff sensor so that the light emitted like a conventional robot cleaner proceeds directly toward the opening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the height of the main body should also be increased as the height of the vertical direction occupied by the cliff sensor becomes longer. In addition, the height increase of the main body causes a problem that the robot cleaner enters the bed or under the furniture.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광을 출사하고, 장애물로부터 반사 또는 산란된 광을 수신하여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식의 거리측정센서에서 광의 출사 또는 수신 경로를 개선함으로써, 본체 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로봇 청소기의 전체적인 높이를 낮추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emission or reception path of the light in the distance measuring sensor of the method of emitting the light, and receiving the reflected or scattered light from the obstacle to measure the distance to the obstacle, thereby improving the space in the main body It is used to lower the overall height of the robot cleaner.

본 발명의 로봇 청소기는 바닥을 향해 개구된 하방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어, 광을 출사하는 송광부와 물체에 의해 반사 또는 산란된 광을 수신하는 수광부를 포함하는 절벽감지센서; 및 상기 송광부로부터 출사된 광이 상기 하방 개구부를 통해 출사되도록 반사시키고, 상기 물체에 의해 반사 또는 산란된 광이 상기 수광부를 향해 진행되도록 반사시키는 반사경을 포함한다.The robot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lower opening opened toward the floor; A cliff detection sensor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including a light transmitting part for emitting light and a light receiving part for receiving light reflected or scattered by an object; And a reflector reflec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transmitter to be emitted through the lower opening and reflecting the light reflected or scattered by the object to be directed toward the light receiver.

본 발명의 로봇 청소기는 바닥을 향해 개구된 하방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어, 광을 출사하는 송광부와 물체에 의해 반사 또는 산란된 광을 수신하는 수광부를 포함하는 절벽감지센서; 및 상기 송광부로부터 출사된 광이 상기 하방 개구부를 통해 출사되도록 반사시키고, 상기 물체에 의해 반사 또는 산란된 광이 상기 수광부를 향해 진행되도록 반사시키는 반사경을 포함한다.The robot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lower opening opened toward the floor; A cliff detection sensor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including a light transmitting part for emitting light and a light receiving part for receiving light reflected or scattered by an object; And a reflector reflec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transmitter to be emitted through the lower opening and reflecting the light reflected or scattered by the object to be directed toward the light receiv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로봇 청소기의 저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의 로봇 청소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위치감지센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4의 위치감지센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주요부간의 제어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절벽감지센서에 의해 절벽이 감지되는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절벽감지센서의 장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 절벽감지센서로부터 출사된 광이 반사경에 의해 반사되는 경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절벽감지센서의 장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 바닥으로부터 반사된 광이 반사경에 의해 반사되는 경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절벽감지센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llustrates a bottom of the robot cleaner of FIG. 1.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obot cleaner of FIG. 1.
4 illustrates the position sensor of FIG. 3.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sition sensor of FIG. 4.
6 shows a control relationship between main parts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llustrates a situation in which a cliff is detected by the cliff detection sensor.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ounting structure of the cliff detection sensor and illustrates a path in which light emitted from the cliff detection sensor is reflected by a reflector.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cliff detection sensor showing a path in which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bottom is reflected by the reflector.
10 shows an embodiment of a cliff detection sensor.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hav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which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로봇 청소기의 저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의 로봇 청소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위치감지센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4의 위치감지센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주요부간의 제어관계를 도시한 것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llustrates a bottom of the robot cleaner of FIG. 1.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obot cleaner of FIG. 1. 4 illustrates the position sensor of FIG. 3.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sition sensor of FIG. 4. 6 shows a control relationship between main parts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는 바닥을 향해 개구된 하방 개구부(10h)가 형성된 본체(10)와, 본체(10) 내에 구비되어 하방의 물체(예를들어, 문턱이나, 청소구역의 바닥)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절벽감지센서(50)와, 절벽감지센서(50)로부터 출사된 광 또는 물체에 의해 반사 또는 산란된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경(81)을 포함한다.1 to 6, the robot cleaner 1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having a lower opening 10h opened toward the floor, and a lower part of the main body 10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A cliff sensor 50 for measuring a distance to an object (for example, a threshold or a floor of a cleaning area) and a light reflected or scattered by an object or light emitted from the cliff sensor 50; Reflector 81 is included.

본체(10)는 좌륜(61a)과 우륜(62a)이 회전함에 따라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이하, 청소구역이라고 함.)을 이동하며, 흡입유닛(70)을 통해 청소구역 내의 먼지나 쓰레기 등의 이물질을 흡입한다.As the left wheel 61a and the right wheel 62a rotate, the main body 10 moves a zone to be clean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leaning zone), and the dust or garbage in the cleaning zone through the suction unit 70. Inhale foreign substance.

흡입유닛(70)은 본체(10)에 구비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팬(72)과, 흡입 팬(72)의 회전에 의해 생성된 기류가 흡입되는 흡입구(7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흡입유닛(70)은 흡입구(71)를 통해 흡입된 기류 중에서 이물질을 채집하는 필터(미도시)와, 상기 필터에 의해 채집된 이물질들이 축적되는 이물질 수용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uction unit 70 may include a suction fan 72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to generate suction force, and a suction port 71 through which air flow generated by rotation of the suction fan 72 is sucked. In addition, the suction unit 70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not shown) that collects foreign matters from the airflow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71, and a foreign matter receiver (not shown) in which foreign matters collected by the filter are accumulated. have.

좌륜(61a)과 우륜(62a)을 구동시키는 주행 구동부(6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좌륜을 구동시키는 좌륜 구동부(61)와 우륜(62a)을 구동시키는 우륜 구동부(62, 도3에서 (62)는 좌륜 구동부(61)의 반대쪽에 구비된 우륜 구동부에 대한 참조부호이다.)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90) 제어에 의해 좌륜 구동부(61)와 우륜 구동부(62)의 작동이 독립적으로 제어됨으로써 본체(10)의 직진, 후진 또는 선회가 이루어 진다. 예를들어, 좌륜 구동부(61)에 의해 좌륜이 정방향으로 회전되고, 우륜 구동부(62)에 의해 우륜(62a)은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본체(1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된다. 제어부(90)는 좌륜 구동부(61)와 우륜 구동부(62)의 회전 속도에 차이가 있도록 제어함으로써, 직진운동과 회전운동을 겸하는 본체(10)의 병진운동을 유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제어부(90) 제어를 통한 본체(10)의 운동은 장애물에 대한 회피 또는 선회를 가능하게 한다. 본체(10)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보조바퀴(13)가 더 구비될 수 있다.A driving driver 60 for driving the left wheel 61a and the right wheel 62a may be provided, and the left wheel driving part 61 for driving the left wheel and the right wheel driving part 62 for driving the right wheel 62a (62 in Fig. 3). ) Is a reference numeral for the right wheel drive unit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left wheel drive unit 61).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90, the operation of the left wheel drive unit 61 and the right wheel drive unit 62 is independently controlled, such that the main body 10 is moved straight, backward or swiveled. For example, when the left wheel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by the left wheel drive unit 61, and the right wheel 62a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by the right wheel drive unit 62, the main body 10 is rotated to the left or the right. The control unit 90 may control the left wheel drive unit 61 and the right wheel drive unit 62 to have a difference in rotation speed, thereby inducing a translational movement of the main body 10 that combines a linear motion and a rotational motion. The movement of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90 enables the avoidance or turning of obstacles. At least one auxiliary wheel 13 may be further provided to stably support the main body 10.

본체(10)는 회전 구동부(40), 주행 구동부(60) 등을 수용하는 본체 하부(11)와, 본체 하부(11)를 덮는 본체 상부(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body 10 may include a main body lower part 11 accommodating the rotation driver 40, a driving driver 60, and the like, and a main body upper part 12 covering the main body lower part 11.

투명부재(32)는 위치감지센서(20)의 송광부(21)로부터 출사된 광 또는 수광부(23)로 수신되는 광이 진행되는 경로상에 배치된다. 투명부재(32)는 본체(10)에 고정될 수 있다. 본체(10)는 전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 설치되는 투명부재 프레임(31)에 의해 투명부재(32)가 고정될 수 있다.The transparent member 32 is disposed on a path through which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transmitting unit 21 of the position sensor 20 or the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23 travels. The transparent member 32 may be fixed to the main body 10. The main body 10 may have an opening formed at a front side thereof, and the transparent member 32 may be fixed by the transparent member frame 31 installed at the opening.

위치감지센서(20)는 장애물을 향해 광을 출사하여 장애물의 위치 또는 거리를 감지한다. 위치감지센서(20)는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위치감지센서(20)는 송광부(21)와, 수광부(22)와, 베이스(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sition sensor 20 emits light toward the obstacle to detect the position or distance of the obstacle. The position sensor 20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The position detecting sensor 20 may include a light transmitting unit 21, a light receiving unit 22, and a base 23.

송광부(21)는 광을 출사하는 것으로,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도 4 내지 도 5의 L1)이 평행하게 조시되도록 굴절시키는 콜리메이트 렌즈(collimate lens)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으로는 적외선이나 가시광선을 발광시키는 발광체, 예를들어, 적외선 또는 가시광선 발광 다이오드(LED)가 적용될 수도 있으나, 레이져 광을 출사하는 발광체가 바람직하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광원으로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를 제안한다. 특히, 레이저를 이용한 광원은 레이저 빔이 갖는 단색성, 직진성 및 접속 특성으로 다른 광들에 비해 보다 정밀한 측정이 가능하다. 예를들어, 레이저 광에 비해 적외선 또는 가시광선은 대상체의 색상과 재질 등의 주위 환경에 따라 측정 정밀도에 있어서 차이가 크다.The light transmitting unit 21 emits light, and may include a light source and a collimator lens that refract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L1 of FIGS. 4 to 5) to be viewed in parallel. As a light source, a light emitter for emitting infrared or visible light, for example, an infrared or visible light emitting diode (LED) may be applied, but a light emitter for emitting laser light is preferable.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laser diode as a light source. In particular, the light source using the laser can measure more precisely than other lights due to the monochromatic, linearity, and connection characteristics of the laser beam. For example, compared to laser light, infrared or visible light has a large difference in measurement accuracy depending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uch as color and material of the object.

수광부(22)는 장애물로부터 반사 또는 산란된 빛(도 4 내지 도 5의 L2)의 스팟이 맺히는 이미지 센서(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220)는 mXn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개의 단위 픽셀들의 집합체이다. 각 단위 픽셀들은 CdS (CADMIUM SULFIDE CELL, 황화 카드뮴 셀), 광 다이오드(PHOTO DIODE), 광 트랜지스터(PHOTO TRANSISTOR), 태양전지(SOLAR CELL), 광전관(PHOTOELECTRIC TUBE) 등의 다양한 방식의 수광소자로 구현 수 있으며, 이러한 수광소자들은 광에 의한 광학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시킨다. 또한, 수광부(22)는 수광 렌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장애물로부터 반사 또는 산란된 광이 상기 수광 렌즈)를 통과하며 굴절되어 이미지 센서(220)에 맺힌다. 상기 수광 렌즈는 복수의 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The light receiver 22 may include an image sensor 220 in which a spot of light reflected or scattered from an obstacle (L2 of FIGS. 4 to 5) is formed. The image sensor 220 is a collection of a plurality of unit pixels arranged in a matrix form of mXn. Each unit pixel is realized by various light-receiving elements such as CdS (CADMIUM SULFIDE CELL), photodiode (PHOTO DIODE), phototransistor (PHOTO TRANSISTOR), SOLAR CELL, and photoelectric tube These light receiving elements convert an optical signal by light into an electrical signal. In addition, the light receiving unit 22 may include a light receiving lens (not shown), and light reflected or scattered from an obstacle passes through the light receiving lens and is refracted to form an image sensor 220. The light receiving lens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lenses.

베이스(23)는 송광부(21)와 수광부(22)를 지지하며, 본체(10)에 회전 및 승강 가능하게 구비된다. 송광부(21)와 이미지 센서(220)는 베이스(23) 상에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될 수 있다.The base 23 supports the light transmitting unit 21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22, and is provided on the main body 10 to be rotatable and liftable. The transmitter 21 and the image sensor 220 may be disposed on the base 23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interval.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회전 구동부(40)는 베이스(23)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41)와, 모터(41)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베이스(23)를 회전시키는 밸트, 기어 등의 동력 전달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 수단으로는 모터(41)의 회전축에 연결된 풀리(42)와, 풀리(42)와 베이스(23) 사이에서 모터(41)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밸트(43)가 사용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4 to 5, the rotation driving unit 40 rotates the base 23, and transmits the motor 41 providing the rotational force an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41 to rotate the base 23. It may include a power transmission means such as a belt, a gear. As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a pulley 42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motor 41 and a belt 43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41 between the pulley 42 and the base 23 are used. It should not be limited.

베이스 커버(24)는 베이스(23)에 결합되어, 베이스(23)와 일체로 회전된다. 베이스 커버(24)와 베이스(23) 사이에는 송광부(21)로부터 출사된 광이 통과되는 송광통로(21a)와, 수광부(22)로 수신되는 광이 통과되는 수광통로(22a)가 형성될 수 있다.The base cover 24 is coupled to the base 23 and rotated integrally with the base 23. Between the base cover 24 and the base 23, a light transmission passage 21a through which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transmission unit 21 passes, and a light reception passage 22a through which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ption unit 22 passes are formed. Can be.

한편, 위치감지센서(20)를 지지하기 위한 서포터(25)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서포터(25)에는 베이스(23)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서포터(25)는 하부 본체(11)에 나사나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Meanwhile, a supporter 25 for supporting the position sensor 20 may be further provided, and the base 23 may be rotatably supported by the supporter 25. The supporter 25 may be fixed to the lower main body 11 by fastening members such as screws or bolts.

제어부(90)는 회전 구동부(40)와 주행 구동부(60)의 작동을 제어한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90)는 광원(미도시), 이미지 센서(220), 주행 구동부(60) 등의 로봇 청소기(1)를 구성하는 각부의 제어를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예를들어, 제어부(90)는 이미지 센서(220)로부터 입력된 전기신호를 처리하는 MCU(microcontroller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90)는 반드시 하나의 제어유닛(control unit)으로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통상적으로 로봇 청소기(1)는 각부의 제어를 위한 다수개의 제어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어부(90)는 상기 다수 개의 제어유닛의 일부 또는 전부로 정의될 수도 있는 것으로, 각 제어유닛은 전기적으로 또는 신호의 송수신 관점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면 족하고, 각 제어유닛 간의 공간상의 배치는 제어부(90)를 정의함에 있어서 무관하다.The controller 90 controls the operations of the rotation driver 40 and the driving driver 6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controller 90 may perform control of each unit constituting the robot cleaner 1 such as a light source (not shown), an image sensor 220, and a driving driver 60. For example, the controller 90 may include a microcontroller unit (MCU) for processing an electrical signal input from the image sensor 220. The controller 90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configured as one control unit. Typically, the robot cleaner 1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trol units for the control of each unit, in which case the control unit 90 may be defined as some or all of the plurality of control units, each control unit is It is sufficient if the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electrically or in terms of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the arrangement of the spaces between the respective control units is irrelevant in defining the controller 90.

도 7은 절벽감지센서에 의해 절벽이 감지되는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절벽감지센서의 장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 절벽감지센서로부터 출사된 광이 반사경에 의해 반사되는 경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절벽감지센서의 장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 바닥으로부터 반사된 광이 반사경에 의해 반사되는 경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절벽감지센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7 illustrates a situation in which a cliff is detected by the cliff detection sensor.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ounting structure of the cliff detection sensor and illustrates a path in which light emitted from the cliff detection sensor is reflected by a reflector.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cliff detection sensor showing a path in which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bottom is reflected by the reflector. 10 shows an embodiment of a cliff detection sensor.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절벽감지센서(50)는 광을 출사하는 송광부(52)와, 물체에 의해 반사 또는 산란된 광을 수신하는 수광부(53)를 포함한다.7 to 9, the cliff detection sensor 50 includes a light transmitting unit 52 for emitting light and a light receiving unit 53 for receiving light reflected or scattered by an object.

로봇 청소기(1)의 주행 중에 송광부(52)로부터 출사된 광은 반사경(81)에 반사된 후, 하방 개구부(10h)를 통해 본체(10)의 하측으로 출사된다. 본체(10)에는 송광부(52)로부터 출사된 광 또는 수광부(53)로 수신되는 광이 진행되는 광통로(8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광통로(82)는 본체(1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광통로(82)는 그 내측에서 진행되는 광이 본체(10) 내의 다른 공간으로 분산되지 않도록 본체(10) 내의 다른 공간과 그 내부를 구획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light emitted from the transmitting part 52 during the running of the robot cleaner 1 is reflected by the reflecting mirror 81 and then is emitted to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lower opening 10h. The main body 10 may be formed with an optical path 82 through which the light emitted from the transmitting unit 52 or the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53 proceeds, and the optical path 82 is integrated with the main body 10. It can be formed as. Preferably, the light path 82 may be formed to partition the other space in the main body 10 and the inside thereof so that the light propagating therein is not distributed to other spaces in the main body 10.

절벽감지센서(50)를 통해 물체까지의 거리가 측정되는 원리는, 물체와의 거리에 따라 송광부(52)로부터 출사된 광이 청소구역 내의 바닥 또는 장애물로부터 반사되어 수광부(53)에 다시 수신될 시 광량이 달라지는 점에 착안한 것이다. 즉, 청소구역의 바닥(B1)에 문턱과 같은 돌출된 장애물(B2)이 존재하는 경우, 즉, 물체까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까운 경우에는, 절벽감지센서(50)의 수광부(53)로 수광되는 광량이 절벽(B3)이 존재하는 경우보다는 많을 것이기 때문에, 이를 바탕으로 바닥(B1)에 돌출물이 존재하는지 또는 전방에 절벽(B3)이 존재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The principle that the distance to the object is measured by the cliff detection sensor 50 is, the light emitted from the transmitter 52 according to the distance to the object is reflected from the bottom or obstacle in the cleaning area and received again by the light receiver 53 Attention is drawn to the fact that the amount of light changes. That is, when there is a protruding obstacle B2 such as a threshold on the bottom B1 of the cleaning area, that is, when the distance to the object is relatively close, the light receiving unit 53 of the cliff detection sensor 50 receives the light. Since the amount of light to be used will be more than if the cliff (B3) is presen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protrusion on the bottom (B1) or the cliff (B3) in the front based on this.

하방 개구부(10h)는 본체(10)의 전측, 특히, 주행륜(61a, 62a) 또는 보조륜(13) 보다 전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주행경로 상에 문턱(B2)이나 절벽(B3)과 같은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에, 이들 장애물까지 주행륜(61a, 61b) 또는 보조륜(13)이 이르기 전에 문턱(B2) 또는 절벽(B3)을 감지할 수 있다.Since the lower opening 10h is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 in particular, on the front side of the driving wheels 61a and 62a or the auxiliary wheels 13, the lower opening 10h, such as the threshold B2 or the cliff B3, is located on the driving path. If there are obstacles, the threshold B2 or the cliff B3 can be sensed before the driving wheels 61a, 61b or the auxiliary wheels 13 reach these obstacles.

그러나, 절벽감지센서(50)에 의해 바닥의 돌출물(B2) 또는 절벽(B3)과 같은 장애물이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반드시 로봇 청소기(1)가 이들 장애물을 회피하는 주행(이하, '회피주행'이라고 함.)을 해야하는 것은 아니다. 바닥의 돌출물이 감지된 경우에는, 이러한 돌출물이 하방 개구부(10h)의 하측에 있는 경우이기 때문에, 본체(10)의 저면이 상기 돌출물보다 더 높이 있을 것이고, 따라서 회피주행 뿐만 아니라, 상기 돌출물을 타고 넘어 진행하는 극복주행도 가능하다. 제어부(90)는 절벽감지센서(50)에 의해 감지된 돌출물까지 거리가 바닥으로부터 본체(10) 저면까지의 거리보다는 짧고, 로봇 청소기(1)가 타고 넘을 수 있는 최대 높이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거리보다는 긴 경우에는 극복주행을 하도록 주행 구동부(60)를 제어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회피주행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회피주행은 장애물을 선회하는 것은 물론이고, 후진하는 경우도 포함한다.However, even if an obstacle such as the protrusion B2 or the cliff B3 on the floor is present by the cliff detection sensor 50, the robot cleaner 1 always avoids these obstacl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voiding driving'). I do not have to.) If a protrusion of the bottom is detected, since the protrusion is under the lower opening 10h,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 will be higher than the protrusion, and thus, the protrusion may be carried on as well as the avoiding driving. Overcoming driving is also possible. The controller 90 has a predetermined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height that the distance from the bottom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 is short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bottom to the protrusion detected by the cliff sensor 50, and that the robot cleaner 1 can ride over. Rather, if the drive is longer to control the driving drive unit 60, otherwise it can be controlled to avoid the running. Here, the avoiding driving includes not only turning the obstacle, but also moving backward.

절벽감지센서(50)를 통해 측정된 물체까지의 거리가 바닥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기 설정된 기준치보다 먼 경우는 절벽(B3)이 존재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절벽(B3)의 깊이에 따라 회피주행을 할 것인지 극복주행을 할 것인지가 정해진다. 즉, 제어부(90)는 절벽감지센서(50)를 통해 측정된 거리와 상기 기준치를 비교하여 절벽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When the distance to the object measured by the cliff detection sensor 50 is farther than the preset reference value in consideration of the distance to the floor, the cliff B3 is present. In this case, depending on the depth of the cliff (B3) it is determined whether to dodge or overcome. That is, the controller 90 may determine whether the cliff exists by comparing the distance measured by the cliff detection sensor 50 with the reference value.

예를들어, 절벽(B3)의 깊이가 기준치 보다 얕은 경우, 제어부(90)는 로봇 청소기(1)가 절벽(B3) 아래로 계속 진행하는 극복주행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반대의 경우에는 회피주행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depth of the cliff B3 is shallow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controller 90 may control the robot cleaner 1 to perform the overcoming driving that continues under the cliff B3, and vice versa. It can be controlled to drive.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반사경(81)은 송광부(52)로부터 출사된 광이 하방 개구부(10h)를 통해 출사되도록 반사시키고, 물체 또는 장애물에 의해 반사 또는 산란된 광이 수광부(53)를 통해 진행되도록 반사시킨다. 광통로(82)에는 반사경(81)이 기울기와 대응하는 경사면(82a)이 형성될 수 있다.8 to 9, the reflector 81 reflects the light emitted from the transmitter 52 so as to be emitted through the lower opening 10h, and the light reflected or scattered by the object or the obstacle receives the light receiver 53. ) To reflect through. An inclined surface 82a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reflector 81 may be formed in the light path 82.

송광부(52)는 수평 방향으로 광을 출사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송광부(52)로부터 출사된 광은 45도로 반사경(81)에 입사된다. 따라서, 반사경(81)에 의해 반사된 광은 연직 하방으로 반사되어 하방 개구부(10h)를 통해 출사된다. 이하, 반사경(81)에 대한 광의 입사각 또는 반사각은 법선(N)에 대해 측정된 것으로 정의한다.The transmitter 52 may be provided to emit ligh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is case, the light emitted from the transmitter 52 is incident on the reflector 81 at 45 degrees. Therefore, the light reflected by the reflector 81 is reflected vertically downward and is emitted through the lower opening 10h. Hereinafter, the angle of incidence or reflection of light with respect to the reflector 81 is defined as measured with respect to the normal line N.

송광부(52)는 출사되는 광의 종류에 따라, 광원으로 적외선 다이오드(InfraRed Emitting Diode),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 또는 가시광선 영역의 광을 출사하는 통상의 광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ight transmitting unit 52 includes an infrared diode, a laser diode, or a conventional light-emitting diode that emits light in a visible light region as a light source according to the type of light emitted. can do.

수광부(53)는 검출대상물체로부터 반사 또는 산란된 광을 수광하는 것으로, 수광량의 크고 작은 차이에 의해 대상물의 유무, 대소, 명암, 거리 등을 감지하여, 검출한 대상물체에 의한 광의 반사량과 차광량의 차이를 수광량에 따라 전기신호로 출력하는 광량센서(530)를 포함할 수 있다. 광량센서(530)는 수신된 광량에 따라 저항값이 가변되는 광도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 receiving unit 53 receives light reflected or scattered from the object to be detected, and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size, contrast, distance, etc. of the object by a large and small difference in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It may include a light amount sensor 530 for outputting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light as an electrical signal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The light amount sensor 530 may include a photoconductor whose resistance valu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received light amount.

도 9를 참조하면, 물체에 의해 반사 또는 산란된 광은 45도로 반사경(81)에 입사된다. 따라서, 반사경(81)에 의해 반사된 광의 반사각 역시 45도를 이루며 수광부(54)로 진행된다.9, light reflected or scattered by an object is incident on the reflector 81 at 45 degrees. Therefore, the reflection angle of the light reflected by the reflector 81 also reaches 45 degrees and proceeds to the light receiving unit 54.

한편, 도 8 내지 도 9에서 송광부(52)로부터 출사된 광과 수광부(53)로 수신되는 광이 서로 평행하다. 이 경우, 송광부(52)는 수광부(53)와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8 to 9, the light emitted from the transmitter 52 and the light received by the receiver 53 are parallel to each other. In this case,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52 is preferably disposed to face the same direction as the light receiving portion 53.

도 3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본체(10) 내에는 로봇 청소기(1)이 각종 구성들이 실장되는 PCB(Printed Circuit Board) 등의 회로기판(17), 위치감지센서(20), 주행 구동부(60), 주행륜(61a, 62a)이나 보조륜(13)을 지지하는 지지물, 투명부재(32)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31)등의 각종 부품들이 수용된다. 로봇 청소기(1)의 소형, 경량화에 유리하도록, 본체(10) 내의 공간이 효율적으로 이용되기 위해서는 이들 부품들을 적절하게 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로봇 청소기(1)는 침대나 테이블 등과 같이 다리에 의해 지지되어, 바닥과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장애물의 경우, 상기 공간 내로 진입하여 청소를 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본체(10)의 높이를 최대한 낮출 수 있어야 한다.Referring to FIG. 3, in general, the main body 10 includes a circuit board 17 such as a printed circuit board (PCB), a position sensor 20, and a driving driver 60 in which various components are mounted. ),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running wheels 61a and 62a or the auxiliary wheel 13, and a supporting frame 31 for supporting the transparent member 32 are accommodated. In order to make the robot cleaner 1 smaller and lighter, it is important to arrange these parts appropriately so that the space in the main body 10 can be effectively used. In particular, the robot cleaner 1 is supported by a leg such as a bed or a table, and in the case of an obstacle providing a predetermined space between the floor, the robot cleaner 1 should be able to enter into the space and clean it. The height of the body 10 should be as low as possible.

그런데, 본체(10) 내의 수용공간 중 전측에는 위치감지센서(20), 지지프레임(31), 주행륜(61a, 62a) 또는 보조륜(13) 등을 지지하는 구조체가 밀집되어 있어, 절벽감지센서(50)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가 쉽지 않다. 특히, 송광부(52)로부터 하방 개구부(10h)를 향해 직접적으로 광이 출사되는 구조는, 하방 개구부(10h)의 상측에 절벽감지센서(50)가 배칠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본체(10) 내 공간 활용에 제약이 따르는 것은 당연하다.However, the front side of the receiving space in the main body 10 has a structure that supports the position sensor 20, the support frame 31, the driving wheels (61a, 62a) or the auxiliary wheels 13 and the like, the cliff detection It is not easy to secure a space for installing the sensor 50. In particular, in the structure in which light is emitted directly from the light transmitting part 52 toward the lower opening 10h, since the cliff detection sensor 50 is inevitably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opening 10h,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Naturally, there are limitations in using my space.

그러나, 본원발명은 반사경(81)에 의해 송광부(52)로부터 출사된 광의 진행경로가 전환되기 때문에, 절벽감지센서(50)가 본체(10) 내에서 더 자유롭게 위치에 배치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본체(10) 내 부품들의 배치관계에 따라, 반사경(81)은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cliff detection sensor 50 can be disposed more freely in the main body 10 because the traveling path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transmitting part 52 is changed by the reflector 81. to provide.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s in the main body 10, a plurality of reflectors 81 may be provided.

도 10을 참조하면, 절벽감지센서(50) 송광부(52)와 수광부(53)가 지지되는 몸체부(51)를 포함할 수 있고, 몸체부(51)는 높이방향의 길이(h)보다 수평방향 길이(w)가 더 긴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수평방향은 송광부(52)에서 출사되는 광, 또는 수광부(53)로 수신되는 광의 진행방향으로 정의되었다.Referring to FIG. 10, the cliff detection sensor 50 may include a body portion 51 on which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52 and the light receiving portion 53 are supported, and the body portion 51 may be larger than the length h in the height direction. The horizontal length w is formed in a longer shape. Here, the horizontal direction is defined as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transmitter 52 or the light received by the receiver 53.

만약, 종래와 같이 반사경(81)이 없고, 송광부(52)와 수광부(53)가 직접 하방 개구부(10h)를 향하는 경우는, 도 10에 도시된 수평방향(w)이 본체(10) 바닥으로부터 절벽감지센서(50)가 차지하는 높이가 될 것이나, 이와 비교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는 반사경(81)으로 인해 절벽감지센서(50)의 설치 자유도를 늘릴 수 있고, 즉, 높이방향 길이(h)가 본체(10) 바닥으로부터 측정된 절벽감지센서(50)의 높이에 대응하도록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절벽감지센서(50)의 형태로 인하여 어쩔수 없이 본체(10)의 높이 또한 높아질 수 밖에 없었던 종래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
If there is no reflector 81 and the light-transmitting part 52 and the light-receiving part 53 directly face the downward opening 10h as in the related art, the horizontal direction w shown in FIG. 10 is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 From the cliff detection sensor 50 will be a height occupied from, but compared to the robot clea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increase the installation freedom of the cliff detection sensor 50 due to the reflector 81, that is, Since the height h may be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height of the cliff detection sensor 50 measured from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 the height of the main body 10 is inevitably also increased due to the shape of the cliff detection sensor 50. It can overcome the conventional problem that had to be high.

한편, 본 발명의 로봇 청소기 제어방법은 로봇 청소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형식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이면 족하다. 예를들어,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크스,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robot cleaner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code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on a recording medium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provided in the robot cleaner. Such a recording medium is sufficient to store data in a format that can be read by a processor. For example, there ar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such as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Claims (8)

바닥을 향해 개구된 하방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어, 광을 출사하는 송광부와 물체에 의해 반사 또는 산란된 광을 수신하는 수광부를 포함하는 절벽감지센서;
상기 송광부로부터 출사된 광이 상기 하방 개구부를 통해 출사되도록 반사시키고, 상기 물체에 의해 반사 또는 산란된 광이 상기 수광부를 향해 진행되도록 반사시키는 반사경;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는 주행륜; 및
상기 주행륜보다 전측에 배치되어, 상기 주행륜에 의해 상기 본체가 이동될 시 회전되는 보조륜을 포함하고,
상기 하방 개구부는 상기 보조륜보다 전측에 배치되고,
상기 주행륜을 구동시키는 주행 구동부; 및
상기 절벽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거리가 상기 바닥으로부터 상기 본체 저면까지의 거리보다는 짧고, 기 설정된 거리보다는 긴 경우에는 극복주행을 하도록 상기 주행 구동부를 제어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회피주행을 하도록 상기 주행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
A main body having a lower opening opened toward the bottom;
A cliff detection sensor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including a light transmitting part for emitting light and a light receiving part for receiving light reflected or scattered by an object;
A reflector reflec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transmitting part so as to be emitted through the lower opening and reflecting the light reflected or scattered by the object toward the light receiving part;
A driving wheel for moving the main body; And
It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than the driving wheel, and includes an auxiliary wheel rotated when the main body is moved by the driving wheel,
The lower opening is disposed in front of the auxiliary wheel,
A driving driver for driving the driving wheels; And
If the distance detected by the cliff sensor is short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floor to the bottom of the main body, and longer than the predetermined distance, the driving drive unit is controlled to overcome the driving, otherwise the driving to avoid the driving A robot cleaner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광부는 수평 방향으로 광을 출사하고,
상기 반사경에 대한 상기 송광부로부터 출사된 광의 입사각은 45도인 로봇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transmitting part emits light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incident angl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transmitting part with respect to the reflecting mirror is a robot cleaner is 45 degre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에 대한, 상기 물체에 의해 반사 또는 산란된 광의 입사각은 45도인 로봇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incident angle of the light reflected or scattered by the object to the reflector is 45 degre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부는 수신된 광량에 따라 저항값이 가변되는 광도전체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light receiver comprises a photoconductor whose resistance is variable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벽감지센서는,
상기 하방 개구부와 상기 보조륜 사이에 배치되는 로봇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liff detection sensor,
The robot cleaner disposed between the lower opening and the auxiliary whe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벽감지센서는,
상기 송광부와 수광부가 지지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높이방향의 길이보다 수평방향 길이가 더 긴 로봇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liff detection sensor,
It includes a body portion for supporting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and the light receiving portion,
The body portion,
Robot cleaner which is longer in horizontal direction than in height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송광부로부터 출사된 광 또는 수광부로 수신되는 광이 진행되는 광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광통로는,
상기 광통로의 내측에서 진행되는 광이 상기 본체 내의 다른 공간으로 분산되지 않도록 상기 본체 내의 다른 공간과 상기 광통로 내부를 구획하는 로봇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body is formed with an optical path through which the light emitted from the transmitter or the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er proceeds,
The optical path,
And a robot cleaner for partitioning the inside of the light path and the other space in the main body so that light traveling inside the light path is not distributed to other spaces in the main body.
KR1020130023561A 2013-03-05 2013-03-05 Robot cleaner Expired - Fee Related KR1020450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561A KR102045002B1 (en) 2013-03-05 2013-03-05 Robot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561A KR102045002B1 (en) 2013-03-05 2013-03-05 Robot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9173A KR20140109173A (en) 2014-09-15
KR102045002B1 true KR102045002B1 (en) 2019-11-14

Family

ID=51755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3561A Expired - Fee Related KR102045002B1 (en) 2013-03-05 2013-03-05 Robot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500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1849B1 (en) * 2016-08-23 2023-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Robot cleaner
KR102023614B1 (en) * 2017-07-05 2019-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Guidance robo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7519A (en) * 1989-08-18 1991-04-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Floor surface discrimin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9173A (en) 2014-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0210B1 (en) Sensor module and robot cleaner having the same
US9271621B2 (en) Robot cleaner
KR101450537B1 (en) Robot cleaner
RU2719222C1 (en) Robot vacuum cleaner
KR102677261B1 (en) Cleaning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326479B1 (en) Cleaning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TWI611791B (en) Robot cleaner
US10199840B2 (en) Charging unit and charging system for self-propelled electric vacuum cleaner
JP2013172961A (en) Sensor assembly and robot cleaner having the same
US8525975B2 (en) Detector device and mobile robot having the same
KR20130097623A (en) Sensor assembly and robot cleaner having the same
KR101660749B1 (en) Robot Cleaner
KR102045002B1 (en) Robot cleaner
CN216135782U (en) Material sensor and robot of sweeping floor
KR20220021980A (en) Cleaning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080027675A (en) Robot cleaner and control method accordingly
KR101004477B1 (en) Prismatic Rain Sensor with Double Detection
TWM521997U (en) Falling prevention system of autonomous device
JP6626723B2 (en) A moving object that moves on the floor
CN116264954A (en) LDS module and automatic cleaning equipment
JP2018078222A (en) Detector, self-propelled cleaner using the detector, and optical sensor
CN216932959U (en) LDS module and automatic cleaning equipment
US12268353B1 (en) System and method for utilizing SWIR sensing in cleaning machines
TWI671053B (en) Detecting system of autonomous robot
CN115755085A (en) a laser rad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0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2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3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16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1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1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