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44678B1 - 지하수를 이용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하수를 이용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4678B1
KR102044678B1 KR1020180060786A KR20180060786A KR102044678B1 KR 102044678 B1 KR102044678 B1 KR 102044678B1 KR 1020180060786 A KR1020180060786 A KR 1020180060786A KR 20180060786 A KR20180060786 A KR 20180060786A KR 102044678 B1 KR102044678 B1 KR 102044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groundwater
heat exchange
fluid
pum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0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범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너지컨설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너지컨설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너지컨설팅
Priority to KR1020180060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46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67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1/00Central heating systems using heat accumulated in storage masses
    • F24D11/02Central heating systems using heat accumulated in storage masses using heat pumps
    • F24D11/0214Central heating systems using heat accumulated in storage masses using heat pumps water heating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24D19/103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the system uses a heat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3Exclusively-fluid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6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using natural energy, e.g. solar energy, energy from the gr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TGEOTHERMAL COLLECTORS; GEOTHERMAL SYSTEMS
    • F24T10/00Geothermal collectors
    • F24T10/20Geothermal collectors using underground water as working fluid; using working fluid injected directly into the ground, e.g. using injection wells and recovery w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particular sources of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11Geothermal energy
    • F24D2200/115Involving mains 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07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TGEOTHERMAL COLLECTORS; GEOTHERMAL SYSTEMS
    • F24T10/00Geothermal collectors
    • F24T2010/5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F24T2010/56Control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40Geothermal heat-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10Geothermal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수를 이용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중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의 일 양태는, 집수정에 집수된 지하수를 이용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에 있어서: 열교환 유체가 저장되는 축열 탱크; 상기 축열 탱크에 저장된 열교환 유체를 공급받아서 공조 부하와 열교환시키는 히트 펌프; 상기 축열 탱크 및 히트 펌프 사이를 순환하는 열교환 유체와 상기 집수정으로부터 공급받은 지하수 사이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부;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하수를 이용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REGENERATIVE HEAT PUMP SYSTEM USING UNDERGROUND WATER}
본 발명은 지하수를 이용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중 열교환기란, 지중에 매립되어 그 내부를 유동하는 지하수와 같은 열교환 유체와 지중 사이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선행특허문헌 1(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715752호), 선행특허문헌 2(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92512호) 및 선행특허문헌 3(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568847호)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히트 펌프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먼저, 선행특허문헌 1에서는, 집수관정(100)에서 공급된 지하수가 히트펌프(300)에서 열교환되고, 선행특허문헌 2에서는, 집수정의 지하수를 열교환부(110)로 유입된다. 그리고 선행특허문헌 3에서는, 지중 열교환기(300)에서 열교환된 열교환 유체가 지열 히트 펌프(100) 또는 축열부(200)로 공급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히트 펌프 시스템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먼저, 선행특허문헌 1 및 2에서는, 실질적으로, 지하수가 집수관정(100) 등에서 직접 히트펌프(300) 등으로 공급되어 전체 시스템을 순환하게 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히트펌프(300) 등은 실내에 부하에 인접하는 설치되고, 집수관정(100) 등은 실외에 설치된다. 따라서, 선행특허문헌 1 및 2의 경우에는, 히트펌프(300) 등으로 지하수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고출력의 펌프가 필요하고, 이에 소요되는 에너지가 증가하게 된다.
한편, 선행특허문헌 3에서는, 지열 히트 펌프(100)와 지중 열교환기(300) 사이에 축열부(200)에 위치되므로, 상대적으로 저출력의 펌프를 사용하여 축열부(200)와 지중 열교환기(300) 사이에서 열교환 유체를 순환시킬 수 있다. 그러나 선행특허문헌 3에서는, 지열 히트 펌프(100)와 지중 열교환기(300) 사이에서 열교환 유체를 순환시키기 위해서는, 고출력의 펌프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선행특허문헌 3에서는, 축열부(200)와 지중 열교환기(300) 사이에서 열교환 유체가 순환하는 경우에는, 지중 열교환기(300)에서 지중과 열교환된 열교환 유체가 축열부(200)에 저장된 열교환 유체와 혼합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지열 히트 펌프(100)로 전달되는 열교환 유체의 온도가 불필요하게 저하되거나 증가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715752호(명칭: 지하수를 이용한 지열 냉난방시스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92512호(명칭: 지하수를 이용한 냉난방 시스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568847호(명칭: 지중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경제적으로 지열을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지중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다 효율적으로 운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지중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중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의 일 양태는, 집수정에 집수된 지하수를 이용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에 있어서: 열교환 유체가 저장되는 축열 탱크; 상기 축열 탱크에 저장된 열교환 유체를 공급받아서 공조 부하와 열교환시키는 히트 펌프; 상기 축열 탱크 및 히트 펌프 사이를 순환하는 열교환 유체와 상기 집수정으로부터 공급받은 지하수 사이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축열 탱크에 저장된 열교환 유체는, 유체 공급관을 유동하여 상기 히트 펌프로 전달되고, 상기 히트 펌프에서 상기 공조 부하와 열교환된 열교환 유체는, 유체 회수관을 유동하여 상기 축열 탱크로 전달되며, 상기 유체 공급관 및 유체 회수관 중 어느 일방에 설치되는 유체 펌프가 동작하면, 상기 유체 공급관 및 유체 회수관을 유동하는 열교환 유체가 상기 축열 탱크 및 히트 펌프 사이를 순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집수정에 집수된 지하수는, 지하수관을 유동하여 상기 열교환부를 경유한 후 상기 집수정으로 회수되고, 상기 지하수관에 설치되는 지하수 펌프가 동작하면, 상기 집수정에 집수된 지하수가 상기 지하수관을 유동하면서 상기 열교환부에서 열교환 유체와 열교환된 후 상기 집수정으로 회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상기 유체 공급관을 유동하여 상기 축열 탱크에서 상기 히트 펌프로 공급되는 열교환 유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하수 펌프는, 상기 공조 부하가 냉방 부하이면, 상기 제1온도 센서가 감지한 열교환 유체의 온도가 기설정된 제1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에 동작하고, 상기 공조 부하가 난방 부하이면, 상기 제1온도 센서가 감지한 열교환 유체의 온도가 기설정된 제2기준 온도 이하인 경우에 동작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상기 열교환부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제2온도 센서; 및 상기 집수정에 집수된 지하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3온도 센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하수 펌프는, 상기 제2온도 센서가 감지한 상기 열교환부의 내부 온도와 상기 제3온도 센서가 감지한 지하수 온도의 차가 기설정된 기준 온도차 이하이면 정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열교환부의 내부에서는, 상기 열교환부의 내부에 충진된 열교환 매개체를 매개로 상기 유체 공급관을 유동하는 열교환 유체와 상기 지하수관을 유동하는 지하수 사이의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하수를 이용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 유체 펌프에 의하여 축열 탱크와 히트 펌프 사이를 순환하는 열교환 유체가, 지하수 펌프에 의하여 순환하는 지하수와 열교환부에서 열교환된 후 히트 펌프로 전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지하수와의 열교환에 의하여 온도가 저하 또는 증가된 열교환 유체가 히트 펌프로 곧바로 공급됨으로써, 지하수로부터 전달되는 에너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실질적으로 열교환부를 중심으로 유체 펌프와 지하수 펌프에 의하여 열교환 유체와 지하수의 순환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대적으로 저출력의 펌프를 사용하여 열교환 유체와 지하수를 순환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실질적으로 열교환 유체와 지하수와의 열교환 효율에 따라서 지하수 펌프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보다 경제적인 시스템의 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지하수를 이용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을 보인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지하수를 이용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에서 유체의 흐름을 보인 유체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지하수를 이용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을 보인 구성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하수를 이용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지하수를 이용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을 보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지하수를 이용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1)은, 집수정(10)에 집수된 지하수를 이용하는 것으로, 축열 탱크(100), 히트 펌프(200) 및 열교환부(3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축열 탱크(100)에는 열교환 유체가 저장된다. 여기서, '열교환 유체'로는, 물이나 냉매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상기 축열 탱크(100)는, 기계실과 같은 건물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히트 펌프(200)에서는, 공조 부하(20)와 상기 축열 탱크(100)로부터 공급받은 열교환 유체 사이의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상기 공조 부하(20)는, 실질적으로 건물의 공조를 위한 부하, 즉 냉방 부하 또는 난방 부하 중 어느 하나일 것이다. 따라서, 상기 공조 부하(20)가 냉방 부하인 경우에는, 상기 히트 펌프(200)에서의 상기 공조 부하(20)와 열교환 유체의 열교환에 의하여 상기 공조 부하(20)의 폐열이 회수되고, 상기 공조 부하(20)가 난방 부하인 경우에는, 상기 히트 펌프(200)에서의 상기 공조 부하(20)와 열교환 유체의 열교환에 의하여 상기 공조 부하(20)로 열이 제공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축열 탱크(100)에 저장된 열교환 유체는, 유체 공급관(410)을 유동하여 상기 히트 펌프(200)로 전달되고, 상기 히트 펌프(200)에서 상기 공조 부하(20)와 열교환된 열교환 유체는, 유체 회수관(420)을 유동하여 상기 축열 탱크(100)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유체 공급관(410)에 설치되는 유체 펌프(P1)가 동작하면, 상기 유체 공급관(410) 및 유체 회수관(420)을 유동하는 열교환 유체가 상기 축열 탱크(100) 및 히트 펌프(200) 사이를 순환한다.
한편, 상기 열교환부(300)에는, 상기 축열 탱크(100) 및 히트 펌프(200) 사이를 순환하는 열교환 유체와 상기 집수정(10)으로부터 공급받은 지하수 사이의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집수정(10)에 집수된 지하수는, 지하수관(500)을 유동하여 상기 열교환부(300)를 경유한 후 상기 집수정(10)으로 회수된다. 그리고 상기 지하수관(500)에 설치되는 지하수 펌프(P2)가 동작하면, 상기 집수정(10)에 집수된 지하수가 상기 지하수관(500)을 유동하면서 상기 열교환부(300)에서 열교환 유체와 열교환된 후 상기 집수정(10)으로 회수된다. 또한, 상기 열교환부(300)의 내부에서는, 상기 열교환부(300)의 내부에 충진된 열교환 매개체(310)를 매개로 상기 유체 공급관(410)을 유동하는 열교환 유체와 상기 지하수관(500)을 유동하는 지하수 사이의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상기 열교환 매개체(310)로는, 물이나 냉매 등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는, 제1온도 센서(S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온도 센서(S1)는, 상기 유체 공급관(410)을 유동하여 상기 축열 탱크(100)에서 상기 히트 펌프(200)로 공급되는 열교환 유체의 온도(T)를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지하수 펌프(P2)는, 상기 공조 부하(20)가 냉방 부하이면, 상기 제1온도 센서(S1)가 감지한 유체 온도(T)가 기설정된 제1기준 온도(TS1) 이상인 경우에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하수 펌프(P2)는, 상기 공조 부하(20)가 난방 부하이면, 상기 제1온도 센서(S1)가 감지한 유체 온도(T)가 기설정된 제2기준 온도(TS2) 이하인 경우에 동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지하수를 이용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지하수를 이용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에서 유체의 흐름을 보인 유체 흐름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유체 펌프(P1)가 동작하면, 축열 탱크(100)에 저장된 열교환 유체가 유체 공급관(410)을 통하여 히트 펌프(200)로 공급된다. 상기 히트 펌프(200)로 공급된 열교환 유체는, 공조 부하(20)와의 열교환에 의하여 상기 공조 부하(20)로부터 폐열을 회수하거나 상기 공조 부하(20)로 열을 제공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히트 펌프(200)에서 상기 공조 부하(20)와 열교환된 열교환 유체가 상기 유체 펌프(P1)의 계속적인 동작에 의하여 유체 회수관(420)을 통하여 상기 축열 탱크(100)로 회수되면서, 실질적으로 상기 축열 탱크(100)와 히트 펌프(200) 사이에서 열교환 유체가 순환할 것이다.
한편, 상기 히트 펌프(200)에서의 상기 공조 부하(20)와의 열교환에 의하여 열교환 유체의 온도가 증가 또는 감소되면, 상기 축열 탱크(100)와 히트 펌프(200) 사이를 순환하는 열교환 유체에 의하여 상기 공조 부하(20)로부터의 폐열의 회수나 상기 공조 부하(20)로의 열의 제공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축열 탱크(100)와 히트 펌프(200) 사이를 순환하는 열교환 유체와 집수정(10)에 집수된 지하수와의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공조 부하(20)가 냉방 부하인 경우에는, 제1온도 센서(S1)가 감지한 유체 온도(T)가 제1기준 온도(TS1) 이상이거나, 상기 공조 부하(20)가 난방 부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1온도 센서(S1)가 감지한 유체 온도(T)가 제2기준 온도(TS2) 이하이면, 지하수 펌프(P2)가 동작한다. 따라서, 상기 집수정(10)에 집수된 지하수가 지하수관(500)을 유동하면서 열교환부(300)를 경유하여 다시 상기 집수정(10)으로 회수된다.
한편, 상기 유체 펌프(P1)와 지하수 펌프(P2)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유체 회수관(420)와 지하수관(500)을 유동하는 열교환 유체와 지하수는, 상기 열교환부(300)에서 열교환된다. 실질적으로는, 상기 열교환부(300)의 내부에 충진된 열교환 매개체(310)를 매개로 상기 유체 회수관(420)을 유동하는 열교환 유체와 상기 지하수관(500)을 유동하는 지하수 사이의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공조 부하(20)가 냉방 부하인 경우에는, 지하수와의 열교환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온도가 저감된 열교환 유체에 의하여 상기 공조 부하(20)로부터의 폐열의 회수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조 부하(20)가 난방 부하인 경우에는, 지하수와의 열교환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온도가 증가된 열교환 유체에 의하여 상기 공조 부하(20)로의 열의 제공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체 펌프(P1)에 의하여 유동되는 열교환 유체가, 상기 열교환부(300)에서 지하수와 열교환된 후 상기 축열 탱크(100)로 전달되어 그 내부에 저장된 열교환 유체와 혼합되지 않고 상기 히트 펌프(200)로 전달되므로, 불필요하게 온도가 증가되거나 저하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다시 말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열교환부(300)에서 지하수와 열교환된 열교환 유체가, 상기 히트 펌프(200)로 곧바로 전달됨으로써, 실질적인 열교환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지하수를 이용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지하수를 이용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을 보인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 요소 중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시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3의 도면 부호를 원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지하수를 이용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2)은, 제2 및 제3온도 센서(S2)(S3)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온도 센서(S2)는, 열교환부(300)의 내부 온도(t1)를 감지하고, 상기 제3온도 센서(S3)는, 집수정(10)에 집수된 지하수의 온도(t2)를 감지한다.
그리고 실시예에서는 , 상기 제2온도 센서(S2)가 감지한 상기 열교환부(300)의 내부 온도(t1)와 상기 제3온도 센서(S3)가 감지한 지하수 온도(t2)의 차에 따라서 지하수 펌프(P2)의 동작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온도 센서(S2)가 감지한 상기 열교환부(300)의 내부 온도(t1)와 상기 제3온도 센서(S3)가 감지한 지하수 온도(t2)의 차가 기설정된 기준 온도차(Δts) 이하이면, 상기 지하수 펌프(P2)가 정지한다.
이와 같은, 상기 제2온도 센서(S2)가 감지한 상기 열교환부(300)의 내부 온도(t1)와 상기 제3온도 센서(S3)가 감지한 지하수 온도(t2)의 차에 따른 상기 지하수 펌프(P2)의 선택적인 동작은, 상대적으로 동작시 다량의 에너지가 소요되는 상기 지하수 펌프(P2)를 효율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함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지하수 펌프(P2)가 동작하면, 상대적으로 저온 또는 고온의 지하수가 상기 집수정(10)에서 상기 열교환부(300)로 공급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상기 열교환부(300)의 내부 온도(t1)가 저하 또는 증가된다. 그런데, 상기 제2온도 센서(S2)가 감지한 상기 열교환부(300)와 상기 제3온도 센서(S3)가 감지한 지하수 온도(t2)의 차가 상기 기준 온도차(Δts) 이하인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지하수에서 상기 열교환부(300)로의 열의 회수 또는 열의 제공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실질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지하수 펌프(P2)가 정지함으로써, 불필요한 에너지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2온도 센서(S2)가 감지한 상기 열교환부(300)의 내부 온도(t1)와 상기 제3온도 센서(S3)가 감지한 지하수 온도(t2)의 차가, 5℃ 이하, 바람직하게는, 0℃일 때, 상기 지하수 펌프(P2)가 정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집수정 20: 공조 부하
100: 축열 탱크 200: 히트 펌프
300: 열교환부 410: 유체 공급관
420: 유체 회수관 500: 지하수관
P1, P2: 펌프 S1, S2, S3: 온도 센서

Claims (6)

  1. 집수정(10)에 집수된 지하수를 이용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에 있어서:
    열교환 유체가 저장되는 축열 탱크(100);
    상기 축열 탱크(100)에 저장된 열교환 유체를 공급받아서 공조 부하(20)와 열교환시키는 히트 펌프(200);
    상기 축열 탱크(100) 및 히트 펌프(200) 사이를 순환하는 열교환 유체와 상기 집수정(10)으로부터 공급받은 지하수 사이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부(300);
    상기 열교환부(300)의 내부 온도(t1)를 감지하는 제2온도 센서(S2); 및
    상기 집수정(10)에 집수된 지하수의 온도(t2)를 감지하는 제3온도 센서(S3); 를 포함하고,
    상기 집수정(10)에 집수된 지하수는, 지하수관(500)을 유동하여 상기 열교환부(300)를 경유한 후 상기 집수정(10)으로 회수되고,
    상기 지하수관(500)에 설치되는 지하수 펌프(P2)가 동작하면, 상기 집수정(10)에 집수된 지하수가 상기 지하수관(500)을 유동하면서 상기 열교환부(300)에서 열교환 유체와 열교환된 후 상기 집수정(10)으로 회수되며,
    상기 지하수 펌프(P2)는,
    상기 제2온도 센서(S2)가 감지한 상기 열교환부(300)의 내부 온도(t1)와 상기 제3온도 센서(S3)가 감지한 지하수 온도(t2)의 차가 기설정된 기준 온도차(Δts) 이하이면 정지하는 지하수를 이용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 탱크(100)에 저장된 열교환 유체는, 유체 공급관(410)을 유동하여 상기 히트 펌프(200)로 전달되고,
    상기 히트 펌프(200)에서 상기 공조 부하(20)와 열교환된 열교환 유체는, 유체 회수관(420)을 유동하여 상기 축열 탱크(100)로 전달되며,
    상기 유체 공급관(410) 및 유체 회수관(420) 중 어느 일방에 설치되는 유체 펌프(P1)가 동작하면, 상기 유체 공급관(410) 및 유체 회수관(420)을 유동하는 열교환 유체가 상기 축열 탱크(100) 및 히트 펌프(200) 사이를 순환하는 지하수를 이용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300)의 내부에서는, 상기 열교환부(300)의 내부에 충진된 열교환 매개체(310)를 매개로 상기 유체 공급관(410)을 유동하는 열교환 유체와 상기 지하수관(500)을 유동하는 지하수 사이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지하수를 이용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
KR1020180060786A 2018-05-29 2018-05-29 지하수를 이용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 Active KR102044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786A KR102044678B1 (ko) 2018-05-29 2018-05-29 지하수를 이용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786A KR102044678B1 (ko) 2018-05-29 2018-05-29 지하수를 이용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4678B1 true KR102044678B1 (ko) 2019-11-14

Family

ID=68577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0786A Active KR102044678B1 (ko) 2018-05-29 2018-05-29 지하수를 이용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467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3724A (ko) * 2000-08-18 2003-03-19 셩헝 쉬 우물물형 액체 냉각 및 가열자원시스템
KR100641576B1 (ko) * 2005-11-01 2006-11-0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지열 히트펌프용 관정 장치
KR101092512B1 (ko) 2011-06-17 2011-12-13 (주)지오쓰리에코 지하수를 이용한 냉난방 시스템
KR20130052324A (ko) * 2011-11-11 2013-05-22 주식회사 대영파워펌프 지열 히트펌프 시스템
KR101568847B1 (ko) 2015-08-10 2015-11-12 주식회사 에너지컨설팅 지중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
KR101715752B1 (ko) 2015-10-30 2017-03-2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지하수를 이용한 지열 냉난방시스템
KR101801775B1 (ko) * 2016-08-18 2017-11-29 주식회사 지지케이 지중 열교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3724A (ko) * 2000-08-18 2003-03-19 셩헝 쉬 우물물형 액체 냉각 및 가열자원시스템
KR100641576B1 (ko) * 2005-11-01 2006-11-0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지열 히트펌프용 관정 장치
KR101092512B1 (ko) 2011-06-17 2011-12-13 (주)지오쓰리에코 지하수를 이용한 냉난방 시스템
KR20130052324A (ko) * 2011-11-11 2013-05-22 주식회사 대영파워펌프 지열 히트펌프 시스템
KR101568847B1 (ko) 2015-08-10 2015-11-12 주식회사 에너지컨설팅 지중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
KR101715752B1 (ko) 2015-10-30 2017-03-2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지하수를 이용한 지열 냉난방시스템
KR101801775B1 (ko) * 2016-08-18 2017-11-29 주식회사 지지케이 지중 열교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37236A1 (en) Geothermal facility with thermal recharging of the subsoil
KR101316691B1 (ko) 지중열 및 태양열을 이용한 냉난방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044681B1 (ko) 지중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10401057B2 (en) Induced groundwater flow closed loop geothermal system
KR101568847B1 (ko) 지중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
JP2003214722A (ja) 水熱源ヒートポンプを用いた空調・給湯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1389361B1 (ko) 고효율 하이브리드 흡수식 냉난방 및 급탕 시스템
EP2641034B1 (en) Closed-loop geothermal probe
JP2019052845A (ja) 熱交換装置の制御方法及び熱交換装置並びに水冷式ヒートポンプ冷暖房装置・水冷式ヒートポンプ装置
JP2005127612A (ja) 地下水槽水熱源ヒートポンプ地中熱利用システム
JP2016070531A (ja) 浸透桝を活用した地下水熱利用システム
KR101403451B1 (ko) 지열 히트펌프 시스템
WO2018186250A1 (ja) 空気調和機
KR102044678B1 (ko) 지하수를 이용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
KR101078070B1 (ko) 냉온수 및 냉난방 히트펌프시스템
JP2006145059A (ja) ハイブリッド式地中熱利用ヒートポンプ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JP2009250555A (ja) 地中熱利用ハイブリッド空調システム
KR101881851B1 (ko) 지열-수열 복합 냉난방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KR101579458B1 (ko) 복합열원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냉난방 시스템
KR101655664B1 (ko) 저수조 탱크 및 지열원을 이용한 열원 보상형 지열시스템
JP7359361B2 (ja) ヒートポンプ装置
JP5857000B2 (ja) 揚水型熱交換装置
KR20090111782A (ko) 히트 파이프 형 지열 교환기
KR101194081B1 (ko) 전력구 터널 내부의 폐열 회수 및 활용 장치
JP2000329412A (ja) 集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4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1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1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