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4613B1 - Car seat with adjustable angle of backrest with one hand - Google Patents
Car seat with adjustable angle of backrest with one han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44613B1 KR102044613B1 KR1020170182356A KR20170182356A KR102044613B1 KR 102044613 B1 KR102044613 B1 KR 102044613B1 KR 1020170182356 A KR1020170182356 A KR 1020170182356A KR 20170182356 A KR20170182356 A KR 20170182356A KR 102044613 B1 KR102044613 B1 KR 1020446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ckrest
- seat
- reclining
- inclination angle
- adjusting memb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75—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inclinable, as a whole or partially
- B60N2/287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inclinable, as a whole or partially the back-rest being inclin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에 설치되어 유아가 앉는 공간을 제공하는 카시트로서, 상기 카시트의 일부분을 이루며 유아의 몸통을 지지해주는 등받이; 상기 등받이의 하부에 연결되어 유아가 착석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좌석시트; 및 상기 등받이와 상기 좌석시트가 연결되는 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등받이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경사조절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조절유닛은, 상기 카시트 내부에서 일체로 연결되어 양손이나 한 손을 이용하여 상기 등받이의 경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r seat that is installed on the seat of the vehicle to provide a space for the infant to sit, the backrest forming a part of the car seat and supporting the torso of the infant; A seat seat connected to a lower part of the backrest to provide a space for the infant to sit; And an inclination adjustment unit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backrest and the seat seat are connected to adjus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backrest. It includes, and the inclination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car sea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backrest can be adjusted using both hands or one hand.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아용 카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등받이의 경사 조절이 가능한 한 손으로 등받이의 경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카시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by car seat,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r seat capable of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backrest with one hand capable of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backrest.
일반적으로 승용차를 비롯한 각종 차량의 탑승시에는 탑승자의 안전을 위하여 안전벨트를 맨 상태에서 운행을 하게 된다. 그런데, 대개의 안전벨트는 성인을 기준으로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성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몸집이 적은 유아나 어린이의 경우에는 안전벨트의 착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유아용 보호시트, 일 명 카시트를 차량의 시트에 장착하여 그 카시트에 유아를 앉힌 상태에서 차량의 운행을 하고 있다.In general, when riding a variety of vehicles, including passenger cars for the safety of the occupants are operating in the seat belt. However, since most seat belts are installed based on adults, it is impossible to wear seat belts for infants or children who are relatively smaller than adults. The vehicle is mounted while the infant is seated on the car seat.
종래의 유아용 카시트는 차량의 시트에 안착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유아가 착석 가능하도록 하는 시트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베이스부는 유아가 착석하는 시트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시트부의 경사각도를 조절한다던가 혹은 시트부의 설치방향을 전방과 후방으로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Conventional infant car seat is composed of a base portion seated on the seat of the vehicle, and a seat portion provided on the base portion to allow the infant seating, the base portion serves to stably support the seat portion seated by the infant It adjust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eat portion or serves to change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seat portion to the front and rear.
시트부는 유아가 안전하게 차량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를 위하여 차량의 안전벨트가 시트부의 일 측을 관통하여 유아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고, 혹은 시트부 자체에 별도의 안전벨트를 구비하여 유아를 감싸도록 할 수도 있다.The seat part serves to allow the infant to safely ride in the vehicle. To this end, the seat belt of the vehicle may be installed to surround the infant by passing through one side of the seat part, or the seat part may have a separate seat belt. You can also wrap the infant.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유아용 카시트에 있어서, 소비자가 유아용 카시트를 구입 초기에 유아의 연령에 맞는 크기의 유아용 카시트를 구입하여 사용하게 되며, 유아의 성장에 따라 유아의 신체가 커질 경우에는 연령에 맞는 새로운 유아용 카시트를 구입하여 사용해야 하므로 유아의 성장에 따라 매번 유아용 카시트를 구입해야 하므로 경제적인 부담을 가중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onventional infant car seat as described above, a consumer purchases and uses an infant car seat of a size suitable for the age of the infant at the beginning of the infant car seat, and when the body of the infant grows with the growth of the infant, Since a new baby car seat must be purchased and us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conomic burden is increased because the baby car seat must be purchased every time the baby grows.
또한, 동일한 연령의 유아라 하더라도 발달 정도에 따라 신체 크기가 차이가 나게 되는데, 종래의 유아용 카시트는 연령에 따른 평균 신체 크기에 따라 제작이 이루어지므로 소비자의 입장에서 유아의 신체 크기에 따라 유아용 카시트의 크기를 전혀 조절할 수 없으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을 유발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infant of the same age body size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degree of development, the conventional infant car seat is made according to the average body size according to the age, so from the consumer's point of view of the infant car seat Since the size can not be adjusted at all, there is a problem that causes inconvenience in use.
또한, 종래의 카시트는 리클라이닝이 자립하지 않는 자유로운 상태의 제품이 많으며, 취급 및 안전성이 결여되어 있다. 또한, 자립한 제품이라도 전면에 설치된 핸들 등을 회전시켜 리클라이닝 상태를 조작해 놓은 구조가 복잡해, 또한 편리성이 결여 되어 있다.In addition, conventional car seats have many products in a free state in which reclining is not self-reliant, and there is a lack of handling and safety. In addition, even a self-supporting product has a complicated structure in which a reclining state is operated by rotating a handle or the lik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and lacks convenienc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양손이나 한손으로 카시트 등받이의 경사 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한 손으로 등받이의 경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카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oblem to be solve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r seat capable of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backrest with one hand capable of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car seat back with both hands or one hand. To provide.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bove are clear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can be understoo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차량의 시트에 설치되어 유아가 앉는 공간을 제공하는 카시트로서, 상기 카시트의 일부분을 이루며 유아의 몸통을 지지해주는 등받이; 상기 등받이의 하부에 연결되어 유아가 착석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좌석시트; 및 상기 등받이와 상기 좌석시트가 연결되는 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등받이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경사조절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조절유닛은, 상기 카시트 내부에서 일체로 연결되어 양손이나 한 손을 이용하여 상기 등받이의 경사각도 조절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car seat is installed on the seat of the vehicle to provide a space for the infant sitting, the backrest forming a part of the car seat and supporting the torso of the infant; A seat seat connected to a lower part of the backrest to provide a space for the infant to sit; And an inclination adjustment unit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backrest and the seat seat are connected to adjus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backrest. It includes, the inclination adjustment unit is connected integrally in the car seat is possible to adjus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backrest using both hands or one hand.
또한, 상기 경사조절유닛은, 상기 좌석시트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외력에 의한 가압을 통해서 상기 등받이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작동부재; 상기 작동부재와 상기 등받이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작동부재의 제어에 의해 상기 등받이의 경사각도를 제어하는 고정부재; 상기 등받이를 관통하면서 양측의 상기 고정부재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등받이와 함께 일체로 움직이는 리클라이닝 조절부재; 및 상기 리클라이닝 조절부재와 상기 등받이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리클라이닝 조절부재를 상기 등받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clination control unit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at seat, the operation member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backrest through the pressure by the external force; Fixed members connected to the operating member and the backrest respectively to control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backrest by the control of the operating member; A reclining adjusting member connected to the fixing members at both sides while penetrating the backrest and moving together with the backrest; And fixing members connected to the reclining adjusting member and the backrest, respectively, to fix the reclining adjusting member to the backrest.
또한,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좌석시트의 측면에 설치되어 외력에 의한 상하 이동을 통해서 상기 등받이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작동레버; 및 상기 작동레버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좌석시트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레버의 작동 후 원상복귀가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지지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member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seat seat operating lever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backrest through the vertical movement by the external force; And a support spring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actuating lever and installed on the seat seat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enable a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after the actuating lever is operated.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리클라이닝 조절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리클라이닝 조절부재가 이동이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브라켓; 및 상기 리클라이닝 조절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작동부재와 함께 상하로 움직이면서 상기 브라켓에 형성된 복수의 수용홈을 통한 분리와 결합에 의해 상기 등받이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로커;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member may include a bracket connected to the reclining adjusting member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reclining adjusting member may move; And a rocker connected to the reclining adjusting member and the operating member, respectively, and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backrest by separation and coupling through a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formed in the bracket while moving up and down with the operating member. have.
또한, 상기 리클라이닝 조절부재는, 상기 등받이를 관통하면서 상기 각각의 고정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리클라이닝 샤프트; 상기 리클라이닝 샤프트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리클라이닝 샤프트를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시키는 롱 넛트; 및 상기 좌석시트에 설치되면서 상기 등받이에 연결되어 상기 리클라이닝 샤프트가 상기 좌석시트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회전축을 제공하는 회전축리클라이닝 샤프트; 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clining adjustment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reclining shaft movably connected to the respective fixing members while penetrating the backrest; A long nut coupled to both ends of the reclining shaft to fix the reclining shaft to the fixing member; And a rotating shaft reclining shaft installed on the seat seat and connected to the backrest to provide a rotating shaft to allow the reclining shaft to rotate on the seat seat. It may include.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리클라이닝 조절부재와 상기 등받이에 각각 연결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면서 상기 리클라이닝 조절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 스프링; 및 상기 리클라이닝 조절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 스프링을 상기 리클라이닝 조절부재에 고정시켜주는 스테이; 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spring connected to the reclining adjusting member and the backrest to fix the reclining adjusting member while providing an elastic force; And a stay installed in the reclining adjusting member to fix the fixing spring to the reclining adjusting member. It may includ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클라이닝 샤프트가 양측에 각각 구비된 작동부재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어서, 어느 하나의 작동부재의 작동만으로도 등받이의 경사각도 조절이 가능하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reclining shaft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operating member provided on each sid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backrest only by the operation of any one operating member.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effects obta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above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Could be.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a, 1b는 각각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한 손으로 등받이의 경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카시트의 측면도이다.
도 2a, 2b는 각각 상기 카시트의 측면상세 개념도이다.
도 3a, 3b는 각각 상기 경사조절유닛의 내부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작동부재와 리클라이닝 조절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상기 경사조절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The following drawings, which are attached in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1A and 1B are side views of a car seat capable of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backrest with one han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2A and 2B are detailed side views of the car seat, respectively.
3a and 3b are respectively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inclination control unit.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rating member and the reclining adjustment member is coupled.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clination control unit.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the embodiments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may have various forms, and thu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for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the objects or effects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r only such effec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limited thereby.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intend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other components in between, although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neighboring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refer to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parts thereof describ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be present and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otherwise defined. Generally, the terms defined in the dictionary used are to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clear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a,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한 손으로 등받이의 경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카시트의 측면도이고, 도 2a, 2b는 상기 카시트의 측면상세 개념도이며, 도 3a, 3b는 상기 경사조절유닛의 내부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작동부재와 리클라이닝 조절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상기 경사조절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Figure 1a, 1b is a side view of a car seat capable of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backrest with one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a, 2b is a detailed conceptual view of the side of the car seat, Figure 3a, 3b is the inclination control unit Figure 4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rating member and the reclining adjustment member is coupled,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clination control unit.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시트에 설치되어 유아가 앉는 공간을 제공하는 카시트로서, 본 발명은 등받이(100), 좌석시트(200) 및 경사조절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1 to 5, the car seat is installed on the seat of the vehicle to provide a seating space for the infan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등받이(100)는 카시트의 일부분을 이루며 유아의 몸통을 지지해줄 수 있다.The
좌석시트(200)는 등받이(100)의 하부에 연결되어 유아가 착석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The
경사조절유닛(300)은 등받이(100)와 좌석시트(200)가 연결되는 부분에 구비되어 등받이(100)의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inclination control unit 300 may be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경사조절유닛9300)은 카시트(10) 내부에서 일체로 연결되어 양손이나 한 손을 이용하여 등받이(100)의 경사각도 조절이 가능하다.The inclination adjustment unit 9300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car seat 10,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경사조절유닛(300)은 작동부재(310), 고정부재(320), 리클라이닝 조절부재(330), 및 고정부재(3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clination adjustment unit 300 may include an
작동부재(310)는 좌석시트(20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외력에 의한 가압을 통해서 등받이(100)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The
작동부재(310)는 작동레버(312) 및 지지스프링(314)을 포함할 수 있다.The actuating
작동레버(312)는 좌석시트(200)의 측면에 설치되어 외력에 의한 상하 이동을 통해서 등받이(100)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The
지지스프링(314)은 작동레버(312)의 하부에 연결되며 좌석시트(200)에 설치되어 작동레버(312)의 작동 후 원상복귀가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고정부재(320)는 작동부재(310)와 등받이(100)에 각각 연결되어 작동부재(310)의 제어에 의해 등받이(100)의 경사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The
고정부재(320)는 브라켓(322) 및 로커(324)를 포함할 수 있다.The
브라켓(322)은 리클라이닝 조절부재(330)에 연결되어 리클라이닝 조절부재(330)가 이동이 가능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The
브라켓(322)은 브라켓(322)의 일부분에 형성된 결합홀에 피스(30)나 볼트 등을 통해서 카시트에 고정될 수 있다.The
로커(324)는 리클라이닝 조절부재(330)와 작동부재(310)에 각각 연결되며 작동부재(310)와 함께 상하로 움직이면서 브라켓(322)에 형성된 복수의 수용홈을 통한 분리와 결합에 의해 등받이(100)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리클라이닝 조절부재(330)는 등받이(100)를 관통하면서 양측의 고정부재(320)에 각각 연결되어 등받이(100)와 함께 일체로 움직일 수 있다.The
리클라이닝 조절부재(330)는 리클라이닝 샤프트(332), 롱 넛트(334), 및 회전축리클라이닝 샤프트(336)을 포함할 수 있다.The
리클라이닝 샤프트(332)는 등받이(100)를 관통하면서 각각의 고정부재(320)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The
롱 넛트(334)는 리클라이닝 샤프트(332)의 양단에 결합되어 리클라이닝 샤프트(332)를 고정부재(320)에 고정시킬 수 있다.The
회전축리클라이닝 샤프트(336)는 좌석시트(200)에 설치되면서 등받이(100)에 연결되어 리클라이닝 샤프트(332)가 좌석시트(200)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회전축을 제공할 수 있다.The rotary
회전축리클라이닝 샤프트(336)는 일부분에 형성된 핀홀에 고정핀(50)이 수용되면서 카시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rotary
고정부재(340)는 리클라이닝 조절부재(330)와 등받이(100)에 각각 연결되어 리클라이닝 조절부재(330)를 등받이(100)에 고정시킬 수 있다.The fixing
고정부재(340)는 고정 스프링(342) 및 스테이(344)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고정 스프링(342)은 리클라이닝 조절부재(330)와 등받이(100)에 각각 연결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면서 리클라이닝 조절부재(330)를 고정시킬 수 있다.The fixing
스테이(344)는 리클라이닝 조절부재(330)에 설치되어 고정 스프링(342)을 리클라이닝 조절부재(330)에 고정시켜줄 수 있다.The
스테이(344)는 스테이(344)에 형성된 결합홀과 이에 대응하여 리클라이닝 샤프트(332)에 형성된 결합홀에 스크류(20)나 볼트 나사 등을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카시트는 리클라이닝 샤프트(332)가 양측에 각각 구비된 작동부재(310)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어서, 어느 하나의 작동부재(310)의 작동만으로도 등받이(100)의 경사각도 조절이 가능하다.The car sea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operating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isclos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implement and practice the invention. 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se each of the components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The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features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limiting in all a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In addition, the claims may be incorporated into claims that do not have an explicit citation relationship in the claims, or may be incorporated into new claims by amendment after filing.
10 : 카시트
20 : 스크류
30 : 피스
50 : 고정핀
100 : 등받이
200 : 좌석시트
300 : 경사조절유닛
310 : 작동부재
312 : 작동레버
314 : 지지스프링
320 : 고정부재
322 : 브라켓
324 : 로커
330 : 리클라이닝 조절부재
332 : 리클라이닝 샤프트
334 : 롱 넛트
336 : 회전축리클라이닝 샤프트
340 : 고정부재
342 : 고정 스프링
344 : 스테이10: car seat
20: screw
30: piece
50: fixed pin
100: backrest
200: seat
300: inclination control unit
310: operating member
312: Operation lever
314: support spring
320: fixed member
322 bracket
324: locker
330: reclining adjustment member
332: Reclining Shaft
334: Long Nut
336: rotating shaft reclining shaft
340: fixing member
342: fixed spring
344: Stay
Claims (6)
상기 카시트의 일부분을 이루며 유아의 몸통을 지지해주는 등받이;
상기 등받이의 하부에 연결되어 유아가 착석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좌석시트; 및
상기 등받이와 상기 좌석시트가 연결되는 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등받이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경사조절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조절유닛은,
상기 카시트 내부에서 일체로 연결되어 양손이나 한 손을 이용하여 상기 등받이의 경사각도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경사조절유닛은,
상기 좌석시트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외력에 의한 가압을 통해서 상기 등받이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작동부재;
상기 작동부재와 상기 등받이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작동부재의 제어에 의해 상기 등받이의 경사각도를 제어하는 고정부재;
상기 등받이를 관통하면서 양측의 상기 고정부재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등받이와 함께 일체로 움직이는 리클라이닝 조절부재; 및
상기 리클라이닝 조절부재와 상기 등받이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리클라이닝 조절부재를 상기 등받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리클라이닝 조절부재는,
상기 등받이를 관통하면서 상기 각각의 고정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리클라이닝 샤프트;
상기 리클라이닝 샤프트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리클라이닝 샤프트를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시키는 롱 넛트; 및
상기 좌석시트에 설치되면서 상기 등받이에 연결되어 상기 리클라이닝 샤프트가 상기 좌석시트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회전축을 제공하는 회전축리클라이닝 샤프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손으로 등받이의 경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카시트.
The car seat is installed on the seat of the vehicle to provide a space for the infant sitting,
A backrest which forms part of the car seat and supports the torso of the infant;
A seat seat connected to a lower part of the backrest to provide a space for the infant to sit; And
An inclination control unit provided at a portion at which the backrest and the seat seat are connected to adjust an inclination angle of the backrest; Including,
The inclination control unit,
It is integrally connected in the car seat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backrest can be adjusted using both hands or one hand.
The inclination control unit,
Operating member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at seat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backrest through pressurization by external force;
Fixed members connected to the operating member and the backrest respectively to control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backrest by the control of the operating member;
A reclining adjusting member connected to the fixing members at both sides while penetrating the backrest and moving together with the backrest; And
And a fixing member connected to the reclining adjusting member and the backrest, respectively, to fix the reclining adjusting member to the backrest.
The reclining adjusting member,
A reclining shaft movably connected to each of the fixing members while penetrating the backrest;
A long nut coupled to both ends of the reclining shaft to fix the reclining shaft to the fixing member; And
A rotating shaft reclining shaft installed on the seat seat and connected to the backrest to provide a rotating shaft to allow the reclining shaft to rotate on the seat seat; Car seat capable of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backrest with one h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좌석시트의 측면에 설치되어 외력에 의한 상하 이동을 통해서 상기 등받이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작동레버; 및
상기 작동레버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좌석시트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레버의 작동 후 원상복귀가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지지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손으로 등받이의 경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카시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operating member,
An actuating lever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seat seat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backrest through vertical movement by external force; And
A support spring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actuating lever and installed on the seat seat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allow a return to original shape after the actuating lever; Car seat capable of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backrest with one h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리클라이닝 조절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리클라이닝 조절부재가 이동이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브라켓; 및
상기 리클라이닝 조절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작동부재와 함께 상하로 움직이면서 상기 브라켓에 형성된 복수의 수용홈을 통한 분리와 결합에 의해 상기 등받이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로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손으로 등받이의 경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카시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fixing member,
A bracket connected to the reclining adjusting member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reclining adjusting member is movable; And
A rocker connected to the reclining adjusting member and the operating member to adjus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backrest by separation and coupling through a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formed in the bracket while moving up and down with the operating member; Car seat capable of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backrest with one h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리클라이닝 조절부재와 상기 등받이에 각각 연결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면서 상기 리클라이닝 조절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 스프링; 및
상기 리클라이닝 조절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 스프링을 상기 리클라이닝 조절부재에 고정시켜주는 스테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손으로 등받이의 경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카시트.The method of claim 1,
The fixing member,
A fixing spring connected to the reclining adjusting member and the backrest, respectively, to fix the reclining adjusting member while providing an elastic force; And
A stay installed on the reclining adjusting member to fix the fixing spring to the reclining adjusting member; Car seat capable of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backrest with one h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82356A KR102044613B1 (en) | 2017-12-28 | 2017-12-28 | Car seat with adjustable angle of backrest with one han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82356A KR102044613B1 (en) | 2017-12-28 | 2017-12-28 | Car seat with adjustable angle of backrest with one han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80115A KR20190080115A (en) | 2019-07-08 |
KR102044613B1 true KR102044613B1 (en) | 2019-11-13 |
Family
ID=67256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82356A Active KR102044613B1 (en) | 2017-12-28 | 2017-12-28 | Car seat with adjustable angle of backrest with one han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44613B1 (en)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288002B2 (en) * | 1997-01-08 | 2002-06-04 |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 Automotive child safety seats |
KR100825110B1 (en) * | 2006-08-16 | 2008-04-25 | 주식회사 순성산업 | Child protection devices for cars |
KR20160001873A (en) | 2014-06-27 | 2016-01-07 | (유)삼송 | Baby's car-seat having width variable part |
-
2017
- 2017-12-28 KR KR1020170182356A patent/KR102044613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80115A (en) | 2019-07-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776533B2 (en) | Torsion bar upper seatback support assembly | |
JP2020097414A (en) | Child seat for motor vehicle | |
CN100584418C (en) | Seat components for entertainment devices | |
KR101866149B1 (en) | Car seat with adjustable width and length | |
US9333882B2 (en) | Manual upper seatback support | |
KR102173773B1 (en) | Baby car seats that can be repositioned | |
CN105667353B (en) | Seat capable of inclining backwards | |
US9504326B1 (en) | Reclining chair | |
CN104590069A (en) | Footrest for car seat | |
JP5167359B2 (en) | Child protection system for car seat | |
CN111565969A (en) | child seat unit | |
KR102208169B1 (en) | Seat for vehicle | |
KR20240157601A (en) | Child safety seat | |
KR102044613B1 (en) | Car seat with adjustable angle of backrest with one hand | |
KR20180061582A (en) | 4way backrest frame of automobile seat | |
EP2662235B1 (en) | Child vehicle seat and seat and base suitable for such a child vehicle seat | |
EP0832811A1 (en) | Bicycle baby-seat | |
JP5584035B2 (en) | Child care equipment seat structure and car child seat | |
EP3778294B1 (en) | A vehicle seat arrangement | |
KR102107413B1 (en) | Variable vehicle seat | |
KR102201315B1 (en) | Rear seat frame for SUV vehicle | |
KR101600198B1 (en) | Childrens seats for vehicles | |
US9049945B2 (en) | Space adjustment mechanism for a chair | |
KR102349798B1 (en) | Vehicle seat with continuously height adjustable child booster device | |
CN221293398U9 (en) | Seat belt lower support point front and rear adjustment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1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11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