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4304B1 - Hscd 및 이것을 이용한 hscd형 풀브릿지 dc/dc 컨버터와 분산형 전력최적화기 - Google Patents
Hscd 및 이것을 이용한 hscd형 풀브릿지 dc/dc 컨버터와 분산형 전력최적화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44304B1 KR102044304B1 KR1020180022630A KR20180022630A KR102044304B1 KR 102044304 B1 KR102044304 B1 KR 102044304B1 KR 1020180022630 A KR1020180022630 A KR 1020180022630A KR 20180022630 A KR20180022630 A KR 20180022630A KR 102044304 B1 KR102044304 B1 KR 10204430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witch
- gate
- input
- hscd
- driving volta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7 optim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41000191291 Abies alb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예에 따라서 HSCD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의 HSCD를 보다 구체적으로 구현한 회로도 및 HSCD형 풀브릿지 DC/DC 컨버터와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도 3의 HSCD형 풀브릿지 DC/DC 컨버터를 적용한 전력최적화기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최적화기가 설치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집광패널 뒷면을 나타낸 사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최적화기(DMPPT)와 종래 전력최적화기(MPPT)가 적용된 인버터에서의 최대전력점 추적 효율을 비교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6의 (A)는 삼단봉 하나의 그림자를 MPPT 패널과 DMPPT 집광패널에 비추는 모습을 나타낸 사진도이고, 도 6의 (B)는 삼단봉 두개의 그림자를 MPPT 패널과 DMPPT 집광패널에 비추는 모습을 나타낸 사진도이며, 도 6의 (C)는 (A)의 실험결과를 나타내는 비교 그래프도이고, 도 6의 (D)는 (B)의 실험결과를 나타내는 비교 그래프도이다.
도 7은 종래기술의 일예로서 풀브릿지 DC/DC 컨버터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 회로도이다.
도 8은 종래기술의 일예로서 HSGD의 구성 및 적용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5: 집광패널 7:인버터
10: HSCD형 (풀브릿지 DC/DC) 컨버터
11: 입력단(컨버터측) 12: 출력단(컨버터측)
20: 입력단(전력최적화기측) 30: 출력단(전력최적화기측)
40: 입력단 센서부(전력최적화기측) 41: V 센서(전력최적화기측)
42: I 센서(전력최적화기측) 50: 출력단(전력최적화기측) 센서부
51: V 센서(전력최적화기측) 52: I 센서(전력최적화기측)
70: 통신부(전력최적화기측) 100: HSCD
110: 인에이블 신호 제공부 120: 입력부
130: 게이트 구동전압 생성부 131: 스위칭 드라이버
140: 게이트 구동전압 안정화부 200: HSGD
300: LSGD C1: 캐패시터(HSCD측)
C20: 캐패시터(HSGD측) D1: 정류 다이오드(HSCD측)
GD: 게이트 드라이버(컨버터측) HB: H 브릿지부(컨버터측)
L1: 리액터(HSCD측) L10: 리액터(컨버터측)
MCU: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분산형 전력최적화기측)
Q1 - Q4: 스위치(HSCD측) S1 - S4: 스위치(컨버터측)
VIN: 입력 (DC) 전압(HSCD측)
Claims (18)
- 풀브릿지 DC/DC 컨버터의 하이 사이드 스위치를 구동하기 위한 하이 사이드 콘티뉴어스 드라이버(HSCD: High Side Continuous Driver)로서,
외부제어신호 또는 자체제어신호에 따라서 인에이블 신호를 제공하는 인에이블 신호 제공부와;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입력하고, 입력된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서 입력 DC 전압 VIN을 출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의 입력 DC 전압 VIN을 승압하여 상기 하이 사이드 스위치의 게이트를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게이트 구동전압 생성부와;
상기 게이트 구동전압 생성부와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입력부에 입력되는 인에이블 신호와 동기하여 입력되는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서 활성화되어 상기 게이트 구동전압 생성부로부터 생성되는 게이트 구동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게이트 구동전압 안정화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SCD.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게이트에 입력하는 NMOS-FET형 스위치 Q1과 상기 스위치 Q1의 드레인에 게이트가 연결된 PMOS-FET형 스위치 Q2를 포함하고,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서 상기 스위치 Q1 및 Q2의 활성화로 상기 스위치 Q2의 소스에 연결된 상기 입력 DC 전압 VIN이 상기 게이트 구동전압 생성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SCD.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구동전압 생성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전달되는 입력 DC 전압 VIN을 전달받는 리액턴스를 가지는 리액터 L1과, 정류 다이오드 D1과, 상기 리액터 L1과 정류 다이오드 D1 사이에 병렬로 접속되는 스위칭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드라이버의 구동에 의해 상기 리액터 L1의 승압기능과 상기 정류다이오드 D1의 정류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게이트 구동전압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SCD.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구동전압 안정화부는 상기 정류 다이오드 D1과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게이트 구동전압을 유지하는 캐패시터 C1와, 상기 캐패시터 C1에 드레인이 연결되고 게이트가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연결되어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서 상기 캐패시터 C1을 활성화시키는 스위치 Q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SCD.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구동전압 생성부는 캐패시터와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차지 펌프(Charge Pump)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SCD.
- 제1 내지 제4 스위치와 이에 대응하는 2개의 하이 사이드 게이트 드라이버(HSGD) 및 2개의 로우 사이드 게이트 드라이버(LSGD)를 포함하는 HSCD(High Side Continuous Driver)형 풀브릿지 DC/DC 컨버터로서,
제1스위치 및 제3스위치는 하이 사이드 스위치이고, 제2스위치 및 제4스위치는 로우 사이드 스위치이며, 제1스위치에는 제1HSGD와 제1HSCD가 병렬로 연결되고, 제3스위치에는 제2HSGD와 제2HSCD가 병렬로 연결되며, 제2스위치에는 제1LSGD가 연결되고, 제4스위치에는 제2LSGD가 연결되며,
벅 모드 동작 중에는 제1HSGD와 제1LSGD는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를 반복하여 온/오프로 동작하도록 구동시키고, 제2HSGD 및 제2LSGD는 항상 오프되고, 제2HSCD는 항상 온으로 동작하여 제3스위치는 항상 온으로 동작하고, 제4스위치는 항상 오프로 동작하며,
부스트 모드 동작 중에는 제2HSGD와 제2LSGD는 제3스위치와 제4스위치를 반복하여 온/오프로 동작하도록 구동시키고, 제1HSGD 및 제1LSGD는 항상 오프되고, 제1HSCD는 항상 온으로 동작하여 제1스위치는 항상 온으로 동작하고, 제2스위치는 항상 오프로 동작하며,
상기 HSCD는 상기 벅 모드 동작 또는 상기 부스트 모드 동작 중에 HSCD의 입력전압를 활성화시키는 인에이블 신호와 동기하여 게이트 구동전압을 안정화시키도록 동작하는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구동전압 안정화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SCD형 풀브릿지 DC/DC 컨버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HSCD는,
외부제어신호 또는 자체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제공하는 인에이블 신호 제공부와;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입력하고, 입력된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서 입력 DC 전압 VIN 을 출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의 입력 DC 전압 VIN을 승압하여 상기 하이 사이드 스위치의 게이트를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게이트 구동전압 생성부와;
상기 게이트 구동전압 생성부와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입력부에 입력되는 인에이블 신호와 동기하여 입력되는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서 활성화되어 상기 게이트 구동전압 생성부로부터 생성되는 게이트 구동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상기 게이트 구동전압 안정화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SCD형 풀브릿지 DC/DC 컨버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게이트에 입력하는 NMOS-FET형 스위치 Q1과 상기 스위치 Q1의 드레인에 게이트가 연결된 PMOS-FET형 스위치 Q2를 포함하고,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서 상기 스위치 Q1 및 Q2의 활성화로 상기 스위치 Q2의 소스에 연결된 상기 입력 DC 전압 VIN이 상기 게이트 구동전압 생성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SCD형 풀브릿지 DC/DC 컨버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구동전압 생성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전달되는 입력 DC 전압 VIN을 전달받는 리액턴스를 가지는 리액터 L1과, 정류 다이오드 D1과, 상기 리액터 L1과 정류 다이오드 D1 사이에 병렬로 접속되는 스위칭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드라이버의 구동에 의해 상기 리액터 L1의 승압기능과 상기 정류다이오드 D1의 정류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게이트 구동전압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SCD형 풀브릿지 DC/DC 컨버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구동전압 안정화부는 상기 정류 다이오드 D1과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게이트 구동전압을 유지하는 캐패시터 C1와, 상기 캐패시터 C1에 드레인이 연결되고 게이트가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연결되어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서 상기 캐패시터 C1을 활성화시키는 스위치 Q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SCD형 풀브릿지 DC/DC 컨버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구동전압 생성부는 캐패시터와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차지 펌프(Charge Pump)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SCD형 풀브릿지 DC/DC 컨버터.
-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집광패널군 중 일부 또는 하나에 연결되어 분산된 패널별로 최대전력점을 추적하여 인버터에 출력하는 분산형 전력최적화기에 있어서,
입력단 센서부로부터 감지된 전압 및 전류와 출력단 센서로부터 감지된 전압 및 전류를 기초로 최대전력점을 추적하여 최대전력점 추적정보를 제공하는 MCU와, 상기 MCU로부터의 최대전력점 추적정보에서 제공하는 듀티와 벅 모드 동작 또는 부스트 모드 동작에 따라서 최대전력을 생성하는 풀브릿지 DC/DC 컨버터와, 입력단에서 출력단에 이르는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을 담당하는 통신부를 구비하며,
상기 풀브릿지 DC/DC 컨버터는 제1 내지 제4 스위치와 이에 대응하는 2개의 하이 사이드 게이트 드라이버(HSGD) 및 2개의 로우 사이드 게이트 드라이버(LSGD)를 포함하는 HSCD(High Side Continuous Driver)형 풀브릿지 DC/DC 컨버터로서,
제1스위치 및 제3스위치는 하이 사이드 스위치이고, 제2스위치 및 제4스위치는 로우 사이드 스위치이며, 제1스위치에는 제1HSGD와 제1HSCD가 병렬로 연결되고, 제3스위치에는 제2HSGD와 제2HSCD가 병렬로 연결되며, 제2스위치에는 제1LSGD가 연결되고, 제4스위치에는 제2LSGD가 연결되며,
벅 모드 동작 중에는 제1HSGD와 제1LSGD는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를 반복하여 온/오프로 동작하도록 구동시키고, 제2HSGD 및 제2LSGD는 항상 오프되고, 제2HSCD는 항상 온으로 동작하여 제3스위치는 항상 온으로 동작하고, 제4스위치는 항상 오프로 동작하며,
부스트 모드 동작 중에는 제2HSGD와 제2LSGD는 제3스위치와 제4스위치를 반복하여 온/오프로 동작하도록 구동시키고, 제1HSGD 및 제1LSGD는 항상 오프되고, 제1HSCD는 항상 온으로 동작하여 제1스위치는 항상 온으로 동작하고, 제2스위치는 항상 오프로 동작하며,
상기 HSCD는 상기 벅 모드 동작 또는 상기 부스트 모드 동작 중에 HSCD의 입력전압를 활성화시키는 인에이블 신호와 동기하여 게이트 구동전압을 안정화시키도록 동작하는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구동전압 안정화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형 전력최적화기.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MCU는 최대전력점 추적 알고리즘으로서 P&O(PERTURB AND OBSERVE) 방식, IC(INCREMENTAL CONDUCTANCE) 방식 및 RCC(RIPPLE CORRELATION CONTROL)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방식 또는 무선통신 방식의 통신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형 전력최적화기.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HSCD는,
외부제어신호 또는 자체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제공하는 인에이블 신호 제공부와;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입력하고, 입력된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서 입력 DC 전압 VIN 을 출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의 입력 DC 전압 VIN을 승압하여 상기 하이 사이드 스위치의 게이트를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게이트 구동전압 생성부와;
상기 게이트 구동전압 생성부와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입력부에 입력되는 인에이블 신호와 동기하여 입력되는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서 활성화되어 상기 게이트 구동전압 생성부로부터 생성되는 게이트 구동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상기 게이트 구동전압 안정화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형 전력최적화기.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게이트에 입력하는 NMOS-FET형 스위치 Q1과 상기 스위치 Q1의 드레인에 게이트가 연결된 PMOS-FET형 스위치 Q2를 포함하고,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서 상기 스위치 Q1 및 Q2의 활성화로 상기 스위치 Q2의 소스에 연결된 상기 입력 DC전압 VIN이 상기 게이트 구동전압 생성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형 전력최적화기.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구동전압 생성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전달되는 입력 DC 전압 VIN을 전달받는 리액턴스를 가지는 리액터 L1과, 정류 다이오드 D1과, 상기 리액터 L1과 정류 다이오드 D1 사이에 병렬로 접속되는 스위칭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드라이버의 구동에 의해 상기 리액터 L1의 승압기능과 상기 정류다이오드 D1의 정류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게이트 구동전압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형 전력최적화기.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구동전압 안정화부는 상기 정류 다이오드 D1과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게이트 구동전압을 유지하는 캐패시터 C1와, 상기 캐패시터 C1에 드레인이 연결되고 게이트가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연결되어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서 상기 캐패시터 C1을 활성화시키는 스위치 Q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형 전력최적화기.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구동전압 생성부는 캐패시터와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차지 펌프(Charge Pump)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형 전력최적화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2630A KR102044304B1 (ko) | 2018-02-26 | 2018-02-26 | Hscd 및 이것을 이용한 hscd형 풀브릿지 dc/dc 컨버터와 분산형 전력최적화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2630A KR102044304B1 (ko) | 2018-02-26 | 2018-02-26 | Hscd 및 이것을 이용한 hscd형 풀브릿지 dc/dc 컨버터와 분산형 전력최적화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02354A KR20190102354A (ko) | 2019-09-04 |
KR102044304B1 true KR102044304B1 (ko) | 2019-12-02 |
Family
ID=67950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22630A Active KR102044304B1 (ko) | 2018-02-26 | 2018-02-26 | Hscd 및 이것을 이용한 hscd형 풀브릿지 dc/dc 컨버터와 분산형 전력최적화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4430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50487B1 (ko) * | 2019-11-12 | 2021-05-12 | 현대솔라에너지(주) | 태양광 발전 패널 일체형 창호 시스템 |
KR102295757B1 (ko) * | 2019-12-11 | 2021-08-31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벅 컨버터가 포함된 전력 시스템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215034A (ja) | 2012-04-02 | 2013-10-17 | Renesas Electronics Corp | Dc−dcコンバータ |
JP2014023269A (ja) | 2012-07-18 | 2014-02-03 | Renesas Electronics Corp | 半導体集積回路およびその動作方法 |
JP2015012666A (ja) | 2013-06-27 | 2015-01-19 | 株式会社デンソー | 駆動装置 |
JP2016540493A (ja) | 2013-12-05 | 2016-12-22 | テキサス インスツルメンツ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電力コンバータソフトスタート回路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50244B1 (ko) | 2005-08-23 | 2011-07-19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태양광 발전용 풀브릿지 디씨/디씨 컨버터의 효율 개선방법 |
-
2018
- 2018-02-26 KR KR1020180022630A patent/KR102044304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215034A (ja) | 2012-04-02 | 2013-10-17 | Renesas Electronics Corp | Dc−dcコンバータ |
JP2014023269A (ja) | 2012-07-18 | 2014-02-03 | Renesas Electronics Corp | 半導体集積回路およびその動作方法 |
JP2015012666A (ja) | 2013-06-27 | 2015-01-19 | 株式会社デンソー | 駆動装置 |
JP2016540493A (ja) | 2013-12-05 | 2016-12-22 | テキサス インスツルメンツ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電力コンバータソフトスタート回路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02354A (ko) | 2019-09-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935464B2 (en) | Smart junction box for photovoltaic solar power modules with novel power supply circuits and related method of operation | |
US7969133B2 (en)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cal converters to provide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in an energy generating system | |
JP5526333B2 (ja) | エネルギ発生システムにおいて集中型と分散型の最大パワーポイントトラッキングの間で選択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 |
US20090283128A1 (en) | Method and system for activating and deactivating an energy generating system | |
US20090284232A1 (en) |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between centralized and distributed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in an energy generating system | |
JP2022027392A (ja) | Mlpe機器の制御方法、運転制御方法、及び光起電力システム | |
KR20110014201A (ko) | 중앙집중형 최대 전력 포인트 트래킹을 갖는 에너지 발생 시스템에 국부 최대 전력 포인트 트래킹을 통합하는 시스템 및 방법 | |
KR20110011683A (ko) | 에너지 발생 시스템에서 최대 전력 포인트 트래킹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 |
US20130293154A1 (en) |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circuits with dimming function and control methods thereof | |
US11515709B2 (en) | System and device for exporting power, and method of configuring thereof | |
CN101232761A (zh) | 发光二极管驱动电路 | |
KR102044304B1 (ko) | Hscd 및 이것을 이용한 hscd형 풀브릿지 dc/dc 컨버터와 분산형 전력최적화기 | |
US20200144825A1 (en) | Power convertor, power generation system, and power generation control method | |
JP6005109B2 (ja) | 太陽光出力オプティマイザ回路 | |
Ali et al. | Design considerations of a single-stage LED lamp driver with power factor correction | |
CN100553393C (zh) | 发光二极管的调光方法 | |
CN207926988U (zh) | 灯光状态调节控制器和控制系统 | |
EP3328160B1 (en) | Constant current power supply providing a plurality of current output values for led lamps | |
EP4033863A1 (en) | Drive circuit, and related circuit and device | |
CN111756222B (zh) | 并联均流控制模块和高压线性电源 | |
CN102469665B (zh) | 发光二极管驱动系统及驱动方法 | |
JP5660936B2 (ja) | 発光素子駆動回路 | |
CN102761258A (zh) | 升压电路及其控制方法 | |
JP2003088140A (ja) | 昇降圧コンバータ及びこれを用いた系統連系インバータ | |
JP6515006B2 (ja) | 太陽光発電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4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1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11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