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4122B1 - 엽채류의 미분쇄 구현이 가능한 건강기능식품 첨가용 보리어린잎 분말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엽채류의 미분쇄 구현이 가능한 건강기능식품 첨가용 보리어린잎 분말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44122B1 KR102044122B1 KR1020190068594A KR20190068594A KR102044122B1 KR 102044122 B1 KR102044122 B1 KR 102044122B1 KR 1020190068594 A KR1020190068594 A KR 1020190068594A KR 20190068594 A KR20190068594 A KR 20190068594A KR 102044122 B1 KR102044122 B1 KR 1020441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ying
- powder
- leaf
- barley
- drying chamb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1—Instant products; Powders; Flakes; Granul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2/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B2/5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 A23B2/53—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with ultraviolet light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2/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B2/9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2/97—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using irradiation or electric treatment, e.g. ultrasonic waves
-
- A23L3/28—
-
- A23L3/54—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05—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cleaning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083—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with stirring, vibrating or grind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086—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with centrifug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Toxicology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따라서, 본 발명은, 삼중 하이브리드 건조방식을 채용한 원적외선 건조장치와 전처리 분쇄기 및 하이퍼 분쇄기를 이용하여 원재료 및 영양소의 손실을 방지하고 분말화가 어려운 엽채류의 미분쇄공정을 구현함으로써 다이어트 및 성인병예방에 효과가 탁월한 보리어린잎 분말을 제공할 수 있는 엽채류의 미분쇄 구현이 가능한 건강기능식품 첨가용 보리어린잎 분말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조공장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적외선 건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시스템을 이용한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케이스케이드 자력선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케스케이드 자력선별장치를 구성하는 단일의 자력선별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하이퍼분쇄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은 도 8에 도시된 하이퍼분쇄기의 원재료 이송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는 도 8에 도시된 하이퍼분쇄기의 사이클론 분말수집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하이퍼분쇄기를 구성하는 분쇄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하이퍼 분쇄기를 이용한 분말가루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도 2에 도시된 전처리분쇄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2에 도시된 열풍건조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2에 도시된 세척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는 도 2에 도시된 절단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00 : 원적외선 건조장치시스템
101 : 자동세척기
102 : 수평컨베이어 벨트부
103 : 분쇄기
104 : 선별용 이송컨베이어
105 : 스크류 컨베이어
106 : 탈수부
110(110a) : 건조하우징(건조실)
111(111a) : 제 1 건조수단(면상발열체)
112 : 제 2 건조수단
112a : 송풍용 에어팬
112b : 냉각기
112c : 보조히터부
113 : 제 3 건조수단
113a: 진공펌프
120 : 제어패널
130 : 진공제어부
210 : 제 1 선별기
220 : 제 2 선별기
300 : 세척기
400 : 열풍건조기
410 : 열풍건조하우징
420 : 열발생장치
430 : 열풍건조제어박스
500 : 하이퍼 분쇄기
510 : 원재료이송부
520 : 제 1 차 분쇄기
530 : 사이클론 분말 수집기
531 : 원통체
532 : 원심호퍼
532a : 펄스발생수단
540 : 제 2차 분쇄기
550 : 수평하우징부
560 : 하이퍼진동체
570 : 하이퍼구동부
600 : 자력선별장치
601 : 호퍼부
602 : 경사형 스크류 컨베이어부
603 : 사각하우징
604 : 원통형진동체
605 : 구동부
700 : 절단기
800 : 전처리분쇄기
900 : 포장 및 적재기
Claims (10)
- 보리어린잎 분말 제조방법에 있어서,
절단기를 이용해 자연에서 수확한 보리어린잎을 길이가 5cm이하의 크기로 형성되게 절단하는 단계(S1000);
원적외선 건조장치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상기 5cm이하의 크기로 절단된 보리어린잎의 수분함유량이 7% 이하가 될 수 있게 섭씨 55도 이하 저온상태로 전처리 건조공정을 수행하는 단계(S2000);
복수개의 LED등이 설치된 제 1 비젼선별기(210)를 이용해 상기 원적외선 건조장치시스템(100)을 통과한 재료에서 일회당 100kg 단위로 이물질을 제거하는 전처리 선별단계(S3000);
세척기(300)를 이용해 상기 전처리 선별단계를 통과한 재료 중 세척이 필요한 재료를 일회당 100kg 단위로 하루 최대 3톤까지 상온에서 세척하여 사분, 흙가루, 지푸라기, 및 끈을 포함한 이물질을 깨끗이 제거하는 단계(S4000);
일회당 500kg을 수용할 수 있는 사각함체를 구비한 열풍건조기(400)를 이용해 상기 세척기(300)를 통과한 재료를 섭씨 60도 내지 70도 사이의 온도에서 5시간 내지 6시간 건조하여 수분함유량이 5% 이하가 될때까지 열풍 건조공정을 수행하는 단계(S5000);
복수개의 LED등이 설치된 제 2 선별기(220)를 이용해 상기 열풍건조기(400)를 통과한 재료를 하루에 최대 3톤까지 선별하는 단계(S6000);
하이퍼 분쇄기(500)를 이용해 상기 제 2 선별기(220)를 통과한 재료를 사전에 설정한 입자크기의 분말이 되도록 일회당 200kg의 처리속도로 분쇄공정을 수행하는 단계(S7000);
일회당 100kg씩 처리할 수 있는 복수개의 자력선별기(610,620,630)를 연속하여 통과하는 방식으로 다중선별하는 케스케이드 자력선별장치(600)를 이용해 상기 하이퍼 분쇄기(500)를 통과한 보리어린잎 분말가루의 금속이물질을 제거하는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S8000); 및
보리어린잎 분말을 20kg 단위로 포장하여 적재하는 단계(S9000);를 구비하고,
상기 보리어린잎 분말 제조방법은, 상기 섭씨 55도 이하 저온상태의 전처리 건조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거친 보리어린잎을 20kg단위로 포장하여 적재하기 까지 24시간이내에 처리하며,
상기 보리어린잎 분말 제조방법의 하이퍼분쇄기를 이용한 분쇄공정은,
원재료이송부(510)의 투입호퍼(511)를 통해 대량의 재료가 투입되는 단계(S7100);
상기 투입호퍼(511)의 하부와 연통되는 이송스크류(512a)가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원재료이송부(510)의 스크류하우징관(512)을 통해 상기 투입호퍼(511)에 투입되는 분쇄대상 재료가 이송되는 단계(S7200);
상광하협 형상의 연결호퍼(501)를 통해 상기 원재료이송부(510)를 구성하는 스크류하우징(512)의 끝단에서 배출되는 상기 분쇄대상재료가 유입되면 원통형 내벽면에 일정 크기의 요철돌기(521a)를 형성하고 상기 요철돌기(521a)와 미세간격으로 근접하게 배치되는 파쇄용 회전날개(522)가 중심축(52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 1 차 분쇄기(520)를 통해 1차 분쇄하는 단계(S7300);
상기 제 1 차 분쇄기(520)에 의해 분쇄된 분말가루가 블로우를 이용해 에어 압송되어 복수개의 사이클론 분말수집기(53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원통체(531)에 수용되는 단계(S7400);
상기 복수개의 사이클론 분말수집기(531)를 구성하기 위하여 상기 원통체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구성되는 원심호퍼(532)를 동작시켜 분말덩어리를 배출시키는 단계(S7500);
상기 복수개의 사이클론 분말수집기(531) 하측으로 각각 연통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 2 차 분쇄기(540)를 통해 상기 사이클론 분말수집기(531)에 의해 배출되는 분말덩어리를 추가로 분쇄하여 가루화 하는 단계(S7600);
단일의 이송관으로 이루어진 수평하우징부(550)를 통해 상기 복수개의 제 2 차 분쇄기(540) 하측으로 배출되는 분말가루를 수평으로 이송시키는 단계(S7700); 및
메쉬망을 내부에 구비하며 구동부(560)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체(560)를 이용해 상기 수평하우징부(550)에서 유입되는 분말가루를 선별하여 사전에 설정한 입자크기의 분말가루를 포집하는 단계(S780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엽채류의 미분쇄 구현이 가능한 건강기능식품 첨가용 보리어린잎 분말 제조방법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리어린잎 분말 제조방법은,
상기 제 1 차 분쇄기(520)에서 1차 분쇄공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원재료이송부의 투입호퍼를 통해 재료가 투입되기 이전에 보리어린잎을 적당한 크기로 파쇄하는 전처리 분쇄기(800)에 의한 전처리 분쇄공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차 분쇄기(520) 이전의 전처리 분쇄공정은 보리어린잎의 입자크기를 1cm이하로 하는 중분쇄 공정을 수행하고,
상기 제 1 차 분쇄기(520)의 1차 분쇄공정은 입자크기를 1mm 이하로 하는 일반분쇄공정을 수행하며,
상기 제 1차 분쇄기(520) 이후의 재 2차 분쇄기(540)에 의한 2차 분쇄공정은 입자크기를 10μm 이하로 하는 미분쇄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엽채류의 미분쇄 구현이 가능한 건강기능식품 첨가용 보리어린잎 분말 제조방법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보리어린잎 분말 제조방법의 하이퍼분쇄기를 이용한 분쇄공정 중 원심호퍼를 동작시켜 분말덩어리를 배출시키는 단계는,
원심력을 작용시켜 분쇄물을 분리포집하는 원심호퍼(532)에서 와류현상이 일어나면서 상기 원통체(531)에 수용되는 분말가루가 덩어리로 포집되어 빠르게 회전낙하되고 원통체(531)의 내부에 분말가루와 함께 유입되는 에어는 집진수단에 연결된 에어배출부(533)를 통해 배출되는 단계; 및
상기 원심호퍼(532)의 외주면상에 형성된 펄스발생수단(532a)을 이용하여 상기 원심호퍼(532)의 내벽면에 충격파를 전달하면 원심호퍼(532)의 내면에 달라붙어 있던 분말가루가 떨어지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엽채류의 미분쇄 구현이 가능한 건강기능식품 첨가용 보리어린잎 분말 제조방법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보리어린잎 분말 제조방법의 전처리 건조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자동세척기(101)를 이용해 자연에서 수확한 보리어린잎이 연속적으로 공급되면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자동세척공정을 수행하는 세척단계(S2100);
수평컨베이어 벨트부(102)를 이용해 상기 자동세척기(101)를 통과한 재료를 전처리 하기 위한 작업대가 설치된 방향으로 수평으로 이송시키는 수평이송단계(S2200);
파쇄기(103)를 이용해 상기 수평컨베이어 벨트부(102)를 통과한 재료가 상부호퍼에 투입되면 일정한 크기로 분쇄하여 배출시키는 분쇄단계(S2300);
작은 크기의 재료는 밑으로 떨어지고 특정 크기 이상의 재료는 통과하도록 일정한 간격을 갖는 다수개의 롤러로 구성된 선별용 이송컨베이어(104)를 이용해 상기 파쇄기(103)를 통과하여 일정한 크기로 분쇄된 재료를 크기에 따라 선별하는 크기선별단계(S2400);
전단은 상기 선별용 이송컨베이어(104)의 끝단에 위치하고 후단은 포집용 자루가 설치된 지점의 상측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스크류 컨베이어(105)를 이용해 상기 선별용 이송컨베이어(104)를 통과한 특정 크기 이상의 재료를 포집하여 배출하는 배출단계(S2500) ;
탈수부(106)를 이용해 상기 선별용 이송컨베이어(104)의 밑으로 떨어진 재료를 포집하여 물기를 제거하는 물기제거단계(S2600);
상기 물기를 제거하는 단계의 상기 탈수부(106)를 통과한 재료를 다수개의 건조채반(1)에 담아 건조실에 투입하는 건조실투입단계(S2700); 및
원적외선과 복사열을 제공하는 면상발열체(111a)를 이용하여 건조실(110a)에 투입된 재료의 수분을 공기중에 수증기로 증발시키는 제 1 건조수단(111)과, 상기 제 1 건조수단(111)에 의해 증발된 재료의 수증기를 상기 각각의 건조실(110a) 내부 공기중에서 순환시키면서 외부로 배출시킬 뿐만 아니라, 동시에 온도를 떨어뜨리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상기 건조실(110a) 내부 공기중에 열을 제공할 수 있는 제 2 건조수단(112), 및 상기 제 1 건조수단(111) 및 상기 제 2 건조수단(112)에 비해 상대적으로 건조실(110a) 내부의 수증기를 빠르게 배출시키는 제 3 건조수단(113);을 구비하는 건조실(110a)을 이용하여 내부온도를 섭씨55도 이하의 저온상태를 유지하면서 건조시키는 건조단계(S280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엽채류의 미분쇄 구현이 가능한 건강기능식품 첨가용 보리어린잎 분말 제조방법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보리어린잎 분말 제조방법의 전처리 건조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삼중 하이브리드 방식의 원적외선 건조장치시스템은,
원적외선과 복사열을 제공하는 면상발열체(111a)를 이용하여 건조실 내부에 투입되는 재료의 수분을 공기중에 수증기로 증발시키는 제 1 건조수단(111)과, 상기 제 1 건조수단(111)에 의해 증발된 원재료의 수증기를 상기 각각의 건조실(110a) 내부 공기중에서 순환시키면서 건조실(110a) 외부로 배출시킬 뿐만 아니라, 동시에 가열된 수증기가 배출된 건조실(110a) 내부 온도를 떨어뜨리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상기 각각의 건조실(110a) 내부 공기중에 열을 제공할 수 있는 제 2 건조수단(112), 및 상기 제 1 건조수단(111) 및 상기 제 2 건조수단(112)에 비해 상대적으로 건조실(110a) 내부의 수증기를 빠르게 배출시키는 제 3 건조수단(113);을 구비하고, 내부온도를 섭씨55도 이하의 저온상태를 유지하면서 세 개의 건조실(110a)을 구비한 건조하우징(110); 및
상기 건조하우징(110)을 구성하는 세 개의 건조실(110a) 및 제 1 건조수단 (111)내지 제 3 건조수단(113)을 동작시키고, 상기 세 개의 건조실(110a) 및 제 1 건조수단(111) 내지 제 3 건조수단(113)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패널(120) 및 상기 세 개의 건조실 내부 진공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진공제어부(130);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패널(120)은,
상기 세 개의 건조실(110a) 내부온도가 각각 섭씨 45도, 섭씨 50도, 및 섭씨 55도가 되게 면상발열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건조실(110a)에 원재료가 투입되면 상기 진공제어부(130)에 의해 내부온도가 사전에 설정한 특정온도에 이르게 될 때까지 상기 제 3 건조수단(113)을 구성하는 진공펌프(113a)를 이용해 건조실(110a) 내부의 수분을 신속하게 배출시키고,
상기 제 1 건조수단(111)과 제 2 건조수단(112)을 이용해 건조실(110a) 내부온도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엽채류의 미분쇄 구현이 가능한 건강기능식품 첨가용 보리어린잎 분말 제조방법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삼중 하이브리드 방식의 원적외선 건조장치시스템을 구성하는 제 2 건조수단은,
건조실(110a) 내부의 수증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송풍용 에어팬(112a);
상기 송풍용 에어팬(112a)에 의해 건조실(110a) 내부를 순환하는 수증기에 포함된 수분을 냉각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는 냉각기(112b); 및
상기 냉각기(112b)를 구성하는 구동모터부의 열을 전달받아 상기 건조실(110a) 내부로 공급하여 건조실(110a) 내부공기를 추가로 가열함으로써 내부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보조히터부(112c);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엽채류의 미분쇄 구현이 가능한 건강기능식품 첨가용 보리어린잎 분말 제조방법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삼중 하이브리드 방식의 원적외선 건조장치시스템을 구성하는 상기 제 3 건조수단(113)은,
상기 냉각기(112b)를 통해 냉각 응축된 수증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급속 배출함으로써 상기 건조실(110a) 내부를 진공화하는 진공펌프(113a);를 구비하고,
상기 건조실(110a) 내부온도가 사전에 설정한 특정 온도에 이르게 되면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엽채류의 미분쇄 구현이 가능한 건강기능식품 첨가용 보리어린잎 분말 제조방법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110a) 내부온도가 사전에 설정한 특정온도에 이르게 될 때까지 상기 제 3 건조수단(113)을 구성하는 진공펌프(113a)를 이용해 건조실 내부의 수분을 신속하게 배출시키고,
상기 건조실(110a) 내부온도가 사전에 설정한 특정온도에 도달한 이후에는 제 1 건조수단(111)과 제 2 건조수단(112)을 이용해 건조실 내부온도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엽채류의 미분쇄 구현이 가능한 건강기능식품 첨가용 보리어린잎 분말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8594A KR102044122B1 (ko) | 2019-06-11 | 2019-06-11 | 엽채류의 미분쇄 구현이 가능한 건강기능식품 첨가용 보리어린잎 분말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8594A KR102044122B1 (ko) | 2019-06-11 | 2019-06-11 | 엽채류의 미분쇄 구현이 가능한 건강기능식품 첨가용 보리어린잎 분말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44122B1 true KR102044122B1 (ko) | 2019-11-13 |
Family
ID=68534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68594A Active KR102044122B1 (ko) | 2019-06-11 | 2019-06-11 | 엽채류의 미분쇄 구현이 가능한 건강기능식품 첨가용 보리어린잎 분말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44122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67858A (ko) * | 2022-06-03 | 2023-12-12 | 김태욱 | 근적외선을 활용한 분말 살균 여과장치 |
CN117429716A (zh) * | 2023-12-20 | 2024-01-23 | 江苏维锂新能源材料有限公司 | 一种锂电池再利用用的打包装置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24677A (ko) | 1994-02-24 | 1995-09-15 | 서중일 | 보리 어린잎 분말(과립)의 제조방법 |
KR970005123A (ko) * | 1995-07-04 | 1997-02-19 | 남인섭 | 보리 어린잎 분말과 즙을 이용한 과립의 제조방법 |
KR20080102719A (ko) * | 2007-05-22 | 2008-11-26 | 노승호 | 보리잎분말 제조방법 |
KR20110027514A (ko) * | 2009-09-10 | 2011-03-16 | 정종진 | 벼(또는 밀, 보리, 옥수수 등 곡류) 새싹채소 재배 와 새싹분말 및 정제 가공방법 |
KR20110045619A (ko) * | 2009-10-27 | 2011-05-04 | 임기원 | 신선뽕잎 환의 제조방법 |
-
2019
- 2019-06-11 KR KR1020190068594A patent/KR102044122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24677A (ko) | 1994-02-24 | 1995-09-15 | 서중일 | 보리 어린잎 분말(과립)의 제조방법 |
KR970005123A (ko) * | 1995-07-04 | 1997-02-19 | 남인섭 | 보리 어린잎 분말과 즙을 이용한 과립의 제조방법 |
KR20080102719A (ko) * | 2007-05-22 | 2008-11-26 | 노승호 | 보리잎분말 제조방법 |
KR20110027514A (ko) * | 2009-09-10 | 2011-03-16 | 정종진 | 벼(또는 밀, 보리, 옥수수 등 곡류) 새싹채소 재배 와 새싹분말 및 정제 가공방법 |
KR20110045619A (ko) * | 2009-10-27 | 2011-05-04 | 임기원 | 신선뽕잎 환의 제조방법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67858A (ko) * | 2022-06-03 | 2023-12-12 | 김태욱 | 근적외선을 활용한 분말 살균 여과장치 |
KR102710498B1 (ko) | 2022-06-03 | 2024-09-25 | 김태욱 | 근적외선을 활용한 분말 살균 여과장치 |
CN117429716A (zh) * | 2023-12-20 | 2024-01-23 | 江苏维锂新能源材料有限公司 | 一种锂电池再利用用的打包装置 |
CN117429716B (zh) * | 2023-12-20 | 2024-03-01 | 江苏维锂新能源材料有限公司 | 一种锂电池再利用用的打包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57415B1 (ko) | 삼중 하이브리드 방식의 원적외선 건조장치를 구비한 친환경 농수산물 건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농수산물 유기가공식품 제조방법 | |
KR102063413B1 (ko) | 원적외선 건조장치와 케스케이드 자력선별장치를 포함한 복합생산설비를 구비한 친환경 농수산물 유기가공식품 제조공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말가루 제조방법 | |
KR101966788B1 (ko) | 쌀눈 분리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쌀눈 분리 방법 | |
KR102044122B1 (ko) | 엽채류의 미분쇄 구현이 가능한 건강기능식품 첨가용 보리어린잎 분말 제조방법 | |
CN102630899B (zh) | 薯类全营养粉的加工方法 | |
JP6727528B2 (ja) | 緑茶製造ラインおよびこれに碾茶製造ラインを備えたハイブリッドライン | |
CN104039177A (zh) | 用于从大尺寸食品中提取酱泥或汁液的设备和方法 | |
EP3186018A1 (en) | Organic waste digester system | |
KR20100101468A (ko) |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사료 제조장치 | |
JP5000785B1 (ja) | 粉粒状食品製造用乾燥粉砕装置 | |
CN219129366U (zh) | 一种蔬菜粉粉磨风选设备 | |
CN107677107A (zh) | 一种用于樱花树种子的连续烘干装置 | |
CN114259066B (zh) | 一种高效规模化的油茶果脱壳烘干加工生产线及其生产工艺 | |
KR102532193B1 (ko) | 고춧가루 제조 시스템 | |
KR20000031285A (ko) | 전지활성 생콩 미분말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 |
CN100448368C (zh) | 无菌去皮大豆和无菌全脂大豆粉的制造方法 | |
KR102454111B1 (ko) | 유기성폐기물 건조시스템의 음식물류 폐기물 건조제품의 생산효율 향상된 제품균질화 및 협잡물재순환을 통한 협잡물 최소화 생산설비 | |
KR102158461B1 (ko) | 풋귤 분말 제조방법 | |
CN105710953B (zh) | 农作物秸秆原料加工方法 | |
KR100577767B1 (ko) | 전지활성 생 콩 미세분말의 제조시스템 및 그 방법 | |
RU2492697C1 (ru) | Способ влаготепловой обработки зерна крупяных культур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побочных продуктов их переработки в технологии комбикормов | |
US20220192212A1 (en) |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on-site processing of plant-based waste foods | |
CN117380580B (zh) | 一种黄精制造系统及工艺 | |
US2705842A (en) | Dehydrating apparatus | |
CN114176232B (zh) | 一种油茶果的脱壳色选干燥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8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1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1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11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