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3847B1 - 정전용량 방식 터치 스크린 패널 - Google Patents
정전용량 방식 터치 스크린 패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43847B1 KR102043847B1 KR1020120130523A KR20120130523A KR102043847B1 KR 102043847 B1 KR102043847 B1 KR 102043847B1 KR 1020120130523 A KR1020120130523 A KR 1020120130523A KR 20120130523 A KR20120130523 A KR 20120130523A KR 102043847 B1 KR102043847 B1 KR 1020438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uch
- touch electrode
- branch
- electrode
- ste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2
- 230000003071 parasi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03460 diamon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432 diamo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16027 MoTi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XLOMVQKBTHCTTD-UHFFFAOYSA-N Zinc monoxide Chemical compound [Zn]=O XLOMVQKBTHCTT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90 adhesive ta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804 chro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70 nanowi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YHNNYVSQQEPJS-UHFFFAOYSA-N Gallium Chemical compound [Ga] GYHNNYVSQQEPJ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81 Si3N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4205 SiNX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4298 S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74 electromagnetic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3 gall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AMGQUBHHOARCQH-UHFFFAOYSA-N indium;oxotin Chemical compound [In].[Sn]=O AMGQUBHHOARCQ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239 silicon diox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HQVNEWCFYHHQES-UHFFFAOYSA-N silicon nitride Chemical compound N12[Si]34N5[Si]62N3[Si]51N64 HQVNEWCFYHHQE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341 toughened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YVTHLONGBIQYBO-UHFFFAOYSA-N zinc indium(3+) oxygen(2-) Chemical compound [O--].[Zn++].[In+3] YVTHLONGBIQY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7 zinc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8—Details of the electrode shape, e.g. for enhancing the detection of touches, for generating specific electric field shapes, for enhancing display qualit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터치 스크린 패널의 영역 R을 도시한 평면도,
도 2b는 종래의 정전용량식 터치 스크린 패널이 표시장치에 결합된 상태의 도 1의 I-I'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각 전극들간에 형성되는 상호 정전용량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제 1 터치 전극들(터치 구동전극들)(Tx)과 제 2 터치전극들(터치 센싱전극들)(Rx)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4b는 도 4a의 II-II'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a는 도 3에 도시된 제 1 터치 전극패턴들(터치 구동전극들)(Tx)과 제 2 터치전극(터치 센싱전극들)(Rx)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5b는 도 5a의 III-III'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a는 도 3에 도시된 제 1 터치 전극패턴들(터치 구동전극들)(Tx)과 제 2 터치전극(터치 센싱전극들)(Rx)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6b는 도 6a의 IV-IV'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7a는 도 3에 도시된 제 1 터치 전극패턴들(터치 구동전극들)(Tx)과 제 2 터치전극(터치 센싱전극들)(Rx)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7b는 도 7a의 IV-IV'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에 따른 터치 구동전극들과 터치 센싱전극들이 기판의 하면 및 상면에 각각 분리되어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에 따른 터치 구동전극들과 터치 센싱전극들이 윈도우 커버의 하면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에 따른 터치 구동전극들과 터치 센싱전극들이 제 1 및 제 2 기판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에 따른 터치 구동전극들과 터치 센싱전극들이 기판과 윈도우 커버에 각각 적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에 따른 터치 구동전극들과 터치 센싱전극들이 필름의 하면 및 상면에 각각 적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에 따른 터치 구동전극들과 터치 센싱전극들이 표시장치의 상부 기판에 각각 적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RA: 라우팅 배선 형성영역
PA: 패드 형성영역
TS1~TS4: 제 1 터치 전극열(터치 구동전극열)
Tx: 제 1 터치전극(터치 구동전극)
RS1~RS4: 제 2 터치 전극열(터치 센싱전극열)
Rx: 제 2 터치전극(터치 센싱전극)
BR: 브릿지 패턴
DUM: 더미 패턴
Claims (17)
- 제 1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 1 터치 전극열들; 및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복수의 제 1 터치 전극열들과 절연되는 복수의 제 2 터치 전극열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터치 전극열들의 각각은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제 1 터치 전극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 2 터치 전극열들의 각각은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제 2 터치 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터치전극들의 각각은 줄기부와, 상기 줄기부의 한쪽 측면에 적어도 2개의 오목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줄기부로부터 길이방향의 양측으로 돌출된 가지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터치전극들의 각각은 줄기부와, 상기 제 1 터치전극의 오목부들에 수용되도록 상기 줄기부로부터 돌출되는 가지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터치전극의 제1 가지부들과 상기 제 2 터치전극의 가지부들은 모두 서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터치전극의 가지부들은 상기 제 1 터치전극의 줄기부 상단부로부터 우측으로 연장되는 제 1 가지부, 상기 제 1 터치전극의 줄기부 중간부분으로부터 우측으로 연장되는 제 2 가지부, 상기 제 1 터치전극의 줄기부 하단부로부터 우측으로 연장되는 제 3 가지부, 상기 제 1 터치전극의 줄기부 상단부로부터 좌측으로 연장되는 제 4 가지부, 상기 제 1 터치전극의 줄기부 중간부분으로부터 좌측으로 연장되는 제 5 가지부, 및 상기 제 1 터치전극의 줄기부 하단부로부터 좌측으로 연장되는 제 6 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터치전극의 제 1 가지부, 줄기부, 및 제 2 가지부에 의해 제 1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터치전극의 제 2 가지부, 줄기부, 및 제 3 가지부에 의해 제 2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터치전극의 제 4 가지부, 줄기부, 및 제 5 가지부에 의해 제 3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터치전극의 제 5 가지부, 줄기부, 및 제 6 가지부에 의해 제 4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터치전극의 가지부들은 상기 제 2 터치전극의 줄기부 상단부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서 우측으로 연장되는 제 1 가지부, 상기 제 2 터치전극의 줄기부 하단부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지고 상기 제 2 터치전극의 제 1 가지부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서 우측으로 연장되는 제 2 가지부, 상기 제 2 터치전극의 줄기부 상단부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서 좌측으로 연장되는 제 3 가지부, 상기 제 2 터치전극의 줄기부 하단부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지고 상기 제 2 터치전극의 제 3 가지부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서 좌측으로 연장되는 제 4 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터치전극의 제 1 오목부 내에는 제 2 터치전극 제 4 가지부가 위치하고, 상기 제 1 터치전극의 제 2 오목부 내에는 상기 제 2 터치전극에 이웃하는 다른 제 2 터치전극의 제 3 가지부가 위치하며, 상기 제 1 터치전극과 이웃하는 다른 제 1 터치전극의 제 3 오목부 내에는 상기 제 2 터치전극의 제 2 가지부가 위치하고, 상기 제 1 터치 구동전극과 이웃하는 상기 다른 제 1 터치전극의 제 4 오목부 내에는 상기 제 2 터치전극에 이웃하는 상기 다른 제 2 터치전극의 제 1 가지부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터치전극의 줄기부의 상단부는 그 폭 방향의 중앙지점으로부터 상기 제 1 터치전극의 제 1 가지부의 우상단 코너부를 향하여 제 1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터치전극의 제 1 가지부는 줄기부의 상기 제 1 터치전극의 제 1 가지부의 상기 제 1 경사면으로부터 그의 우상단 코너부까지 연장된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터치전극의 줄기부의 상단부는 그 폭 방향의 중앙지점으로부터 상기 제 1 터치전극의 제 4 가지부의 좌상단 코너부를 향하여 제 3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터치전극의 제 4 가지부는 상기 제 1 터치전극의 줄기부의 제 3 경사면으로부터 상기 제 1 터치전극의 제 4 가지부의 좌상단 코너부까지 연장된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터치전극의 줄기부의 하단부는 그 폭 방향의 중앙지점으로부터 제 3 가지부의 우하단 코너부를 향하여 제 2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터치전극의 제 3 가지부는 상기 제 1 터치전극의 줄기부의 제 2 경사면으로부터 상기 제 1 터치전극의 제 3 가지부의 우하단 코너부까지 연장된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 터치전극의 줄기부의 하단부는 그 폭 방향의 중앙지점으로부터 상기 제 1 터치전극의 제 6 가지부의 좌하단 코너부를 향하여 제 4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터치전극의 제 6 가지부는 상기 제 1 터치전극의 줄기부의 제 4 경사면으로부터 상기 제 1 터치전극의 제 6 가지부의 좌하단 코너부까지 연장된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터치전극의 줄기부의 상단부는 그 폭 방향의 중앙지점으로부터 상기 제 1 터치전극의 제 1 가지부의 좌상단 코너부를 향하여 제 1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터치전극의 줄기부의 상단부는 그 폭 방향의 중앙지점으로부터 상기 제 1 터치전극의 제 4 가지부의 우상단 코너부를 향하여 제 3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터치전극의 줄기부의 하단부는 그 폭 방향의 중앙지점으로부터 상기 제 1 터치전극의 제 3 가지부의 좌하단 코너부를 향하여 제 2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터치전극의 줄기부의 하단부는 그 폭 방향의 중앙지점으로부터 상기 제 1 터치전극의 제 6 가지부의 우하단 코너부를 향하여 제 4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터치전극의 제 1 내지 제 3 가지부들은 상기 제 1 터치전극의 제 4 내지 제 6 가지부들과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터치전극의 제 1 및 제 2 가지부들은 상기 제 2 터치전극의 제 3 및 제 4 가지부들과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 제 2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터치전극의 줄기부의 폭은 상기 제 2 터치전극의 길이의 1/5~3/5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터치전극의 제 1 내지 제 4 가지부들 각각의 폭은 제 2 터치전극의 줄기부의 폭의 1/4~3/4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 제 2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터치전극과 상기 제 2 터치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복수의 더미전극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 제 2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터치 전극들은 투명기판의 제 1 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터치 전극들은 상기 투명기판의 제 2 면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 제 2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터치전극들 및 상기 제 2 터치전극들은 윈도우 커버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 제 2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터치전극들은 제 1 연성기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터치전극들은 제 2 연성기판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연성기판과 제 2 연성기판은 접착용 투명필름에 의해 합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 제 2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터치전극들은 제 1 연성기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터치전극들은 윈도우 커버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연성기판과 상기 윈도우 커버는 접착용 투명필름에 의해 합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 제 2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터치전극들은 연성기판의 제 1 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터치전극들은 상기 연성기판의 제 2 면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 제 2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터치전극들 및 상기 제 2 터치전극들은 표시장치의 상부 기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0523A KR102043847B1 (ko) | 2012-11-16 | 2012-11-16 | 정전용량 방식 터치 스크린 패널 |
US14/080,641 US9569042B2 (en) | 2012-11-16 | 2013-11-14 | Electrostatic capacitive type touch screen panel |
CN201310573161.5A CN103823599B (zh) | 2012-11-16 | 2013-11-15 | 静电电容型触摸屏面板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0523A KR102043847B1 (ko) | 2012-11-16 | 2012-11-16 | 정전용량 방식 터치 스크린 패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65598A KR20140065598A (ko) | 2014-05-30 |
KR102043847B1 true KR102043847B1 (ko) | 2019-11-13 |
Family
ID=50727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30523A Active KR102043847B1 (ko) | 2012-11-16 | 2012-11-16 | 정전용량 방식 터치 스크린 패널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9569042B2 (ko) |
KR (1) | KR102043847B1 (ko) |
CN (1) | CN103823599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809796B (zh) * | 2012-11-09 | 2018-03-16 | 宝宸(厦门)光学科技有限公司 | 触控感应电极结构及其制造方法 |
TWI502445B (zh) * | 2014-06-11 | 2015-10-01 | Innolux Corp | 觸控顯示裝置及觸控基板 |
CN105302351A (zh) * | 2014-07-29 | 2016-02-03 | 南京瀚宇彩欣科技有限责任公司 | 抗扰触控显示面板 |
CN104484069B (zh) * | 2014-12-18 | 2017-07-25 |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 一种触摸传感器及显示装置 |
CN104461158A (zh) * | 2014-12-26 | 2015-03-25 |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 触控面板及显示装置 |
KR102335116B1 (ko) * | 2015-04-13 | 2021-12-0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
US9547383B1 (en) * | 2015-06-25 | 2017-01-17 | Cando Corporation | Touch panel |
US10162441B2 (en) * | 2016-03-10 | 2018-12-25 | Raydium Semiconductor Corporation | Capacitive touch panel |
KR102454824B1 (ko) * | 2016-03-25 | 2022-10-1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플렉서블 표시장치 |
KR102698761B1 (ko) * | 2016-08-02 | 2024-08-26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KR102563741B1 (ko) * | 2016-09-06 | 2023-08-0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KR101926527B1 (ko) | 2016-09-30 | 2018-12-10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터치 센서를 가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KR101992915B1 (ko) * | 2016-09-30 | 2019-06-25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터치 센서를 가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TWI622911B (zh) * | 2017-02-14 | 2018-05-01 | 宏碁股份有限公司 | 觸控裝置 |
KR102424954B1 (ko) | 2017-08-07 | 2022-07-26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입력 감지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
CN208954070U (zh) * | 2018-02-27 | 2019-06-07 |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传感器和触摸显示屏 |
WO2019200263A1 (en) * | 2018-04-13 | 2019-10-17 | Tactual Labs Co. | Capacitively coupled conductors |
CN108920010B (zh) * | 2018-07-27 | 2021-09-24 |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 一种触摸屏及oled显示面板 |
JP2020187684A (ja) * | 2019-05-17 | 2020-11-19 |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 表示装置およびタッチ検出装置 |
JP7395402B2 (ja) * | 2020-03-26 | 2023-12-11 |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 検出装置 |
CN114647331A (zh) | 2020-12-21 | 2022-06-21 | 三星电子株式会社 | 包括触摸屏面板的显示装置和触摸驱动电路的操作方法 |
CN115237281B (zh) * | 2022-09-22 | 2023-06-27 | 惠科股份有限公司 | 触控面板及电子设备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9910B1 (ko) | 2008-01-29 | 2010-09-06 | (주)멜파스 | 분할 투명 전극 구조를 갖는 터치스크린 패널 |
US9836167B2 (en) * | 2009-08-03 | 2017-12-05 | Atmel Corporation | Electrode layout for touch screens |
TW201108080A (en) | 2009-08-18 | 2011-03-01 | Integrated Device Tech | Alternating, complementary conductive element pattern for multi-touch sensor |
KR101448250B1 (ko) * | 2010-08-19 | 2014-10-0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터치 스크린 패널 |
US8698767B2 (en) * | 2010-08-19 | 2014-04-15 | Samsung Display Co., Ltd. | Touch screen panel |
KR101219273B1 (ko) * | 2011-01-14 | 2013-01-0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터치 스크린 시스템 |
-
2012
- 2012-11-16 KR KR1020120130523A patent/KR102043847B1/ko active Active
-
2013
- 2013-11-14 US US14/080,641 patent/US9569042B2/en active Active
- 2013-11-15 CN CN201310573161.5A patent/CN103823599B/zh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9569042B2 (en) | 2017-02-14 |
US20140139481A1 (en) | 2014-05-22 |
CN103823599B (zh) | 2017-08-01 |
KR20140065598A (ko) | 2014-05-30 |
CN103823599A (zh) | 2014-05-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43847B1 (ko) | 정전용량 방식 터치 스크린 패널 | |
KR102009880B1 (ko) | 메탈 메쉬형 터치 스크린 패널 | |
US9195348B2 (en) | Electrostatic capacitive type touch screen panel | |
US8653382B2 (en) | Electrostatic capacitive type touch screen panel | |
CN103513842B (zh) | 触摸屏面板 | |
US9137882B2 (en) | Electrostatic capacity type touch screen panel for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2037515B1 (ko) | 정전용량식 터치 감지 패널 | |
US8988383B2 (en) | Electrostatic capacitive type touch screen panel | |
KR102247135B1 (ko) | 정전용량식 터치 감지 패널 | |
KR102347795B1 (ko) | 정전용량 방식 터치 스크린 패널 | |
KR101818258B1 (ko) | 표시장치용 터치 스크린 패널 | |
KR102232774B1 (ko) |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
KR20150009420A (ko) | 터치 윈도우 | |
KR20140063315A (ko) | 상호 정전용량식 터치 스크린 패널 | |
KR101318446B1 (ko) | 표시장치용 정전용량식 터치 감지 패널 | |
KR20150046668A (ko) |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130013070A (ko) | 터치 스크린 패널 | |
KR101510888B1 (ko) |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 | |
KR20120055215A (ko) | 정전용량 방식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 |
TW201616311A (zh) | 觸控面板 | |
KR102156771B1 (ko) | 터치스크린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304810B1 (ko) | 터치 스크린 패널 | |
TW201519030A (zh) | 觸控面板和其驅動方法 | |
KR101303511B1 (ko) | 정전용량 방식 터치 스크린 패널 | |
KR101323048B1 (ko) | 표시장치용 정전용량식 터치 감지 패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1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11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11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1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11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