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43069B1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3069B1
KR102043069B1 KR1020170113551A KR20170113551A KR102043069B1 KR 102043069 B1 KR102043069 B1 KR 102043069B1 KR 1020170113551 A KR1020170113551 A KR 1020170113551A KR 20170113551 A KR20170113551 A KR 20170113551A KR 102043069 B1 KR102043069 B1 KR 102043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power
top cover
cover assembly
air
standby mo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5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26522A (en
Inventor
김동현
김응호
신혜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3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3069B1/en
Publication of KR20190026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65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3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3069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가습청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분리가능하게 거치되는 탑커버어셈블리, 상기 탑커버어셈블리에 구비되어, 입력부를 포함하는 조작모듈, 상기 베이스바디에 형성되어 상기 탑커버어셈블리로 무선전력신호를 송신하는 무선전력송신부, 상기 탑커버어셈블리에 구비되어 상기 무선전력송신부로부터의 무선전력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조작모듈로 동작전원을 제공하는 무선전력수신부 및 상기 입력부의 데이터에 따라 정상모드 또는 대기모드로 동작모드를 설정하여 상기 탑커버어셈블리로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전력송신부는, 대기모드가 설정되면, 신호에 구간을 설정하고 구간별로 스위칭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무선전력수신부로 동작전원을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무선전력전송을 통해 감전의 위험성을 제거하고 전기사고의 발생을 방지하여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고, 불필요하게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며, 소비전력을 감소시켜 에너지를 절약하는 효과가 있으며, 대기모드에서 구간별 스위칭제어를 통해 탑커버어셈블리로 공급되는 전압을 제어하여, 낮은 전압이라도 적은 손실로 동작전원을 공급하여 무선전력전송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Humidification and cleaning method and a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 top cover assembly detachably mounted, an operation module provided in the top cover assembly, including an input unit, formed on the base body and the wireless power signal to the top cover assembly Wireless power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the wireless power receiver for receiving the wireless power signal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to provide an operating power to the operation module and the normal mode or standby mode according to the data of the input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to the top cover assembly by setting an operation mode, and when the standby mode is set,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sets a section to a signal and applies a switching control signal for each section to supply current. By supplying the operating power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by applying, through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tability by eliminating the risk of electric shock and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electric accidents, cutting off unnecessary power supply, saving energy 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and switching control by section in standby mode. By controlling the voltage supplied to the top cover assembly through, by supplying the operating power with a small loss even at a low voltage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efficiency o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Figure R1020170113551
Figure R1020170113551

Description

가습청정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nd method thereof}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nd method

본 발명은 가습청정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umidification cleaning device and a method thereof.

공기조화장치는 공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에어컨디셔너,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청정도를 유지시키는 공기청정기, 공기 중에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기,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기 등이 있다.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n air conditioner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 an air cleaner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air to maintain cleanliness, a humidifier for providing moisture in the air, and a dehumidifier for removing moisture in the air.

종래 가습기는 진동판에서 물을 기화시켜 공기 중으로 토출하는 진동식 및 가습필터에서 자연증발시키는 자연증발식으로 구분된다. Conventional humidifiers are classified into a vibrating type that vaporizes water in the diaphragm and discharges it into the air, and a natural evaporating type that evaporates in the humidification filter.

상기 자연식 증발식 가습기는 구동력을 이용하여 디스크를 회전시키고, 공기 중의 디스크 표면에서 물이 자연증발되는 디스크식 가습기와, 물이 적셔진 가습매체에서 유동되는 공기에 의해 자연증발되는 가습필터식 가습기로 구분된다. The natural evaporative humidifier is a humidifier filter humidifier that rotates the disk by using a driving force, the disk-type humidifier is spontaneously evaporated water on the surface of the disk in the air, and the evaporated naturally by the air flowing in the humidifying medium wet water Are distinguished.

그러나 종래 가습기는 커버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전기적 접촉을 위한 단자가 구비됨에 따라, 물에 의한 감전 등의 전기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동작을 정지하고 대기모드에서 소비되는 대기전력이 일정 크기 이상으로 에너지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humidifier is provided with a terminal for electrical contact to supply power to the cover, there was a problem that an electrical accident such as electric shock caused by water.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energy is wasted more than a certain amount of standby power consumed in the standby mode to stop the operation.

본 발명은 공기가 토출되는 중에도 물을 급수할 수 있고, 분리가능한 탑커버어셈블리를 거치할 수 있고, 탑커버어셈블리가 거치된 상태에서 베이스바디로부터 탑커버어셈블리에 비접촉 방식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가습청정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ly water even while the air is discharged, can be mounted on the removable top cover assembly, the humidification clean to supply power to the top cover assembly from the base body to the top cover assembly in a state that the top cover assembly is mount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탑커버어셈블리의 분리 여부 및 동작모드의 설정에 따라 탑커버어셈블리로 전원이 공급되거나 차단되도록 제어하고, 소비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가습청정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midification and clean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to be supplied or cut off to a top cover assembly according to whether the top cover assembly is detached and an operation mode is set.

본 발명은 대기모드에서, 낮은 전압이라도 탑커버어셈블리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가습청정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and method for supplying power to a top cover assembly even at a low voltage in a standby mode.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외부공기를 흡입한 후 여과하고, 여과공기를 제공하는 에어클린모듈로 구성되어, 내측에 수조삽입공간이 형성된 베이스바디, 상기 수조삽입공간에 거치되는 수조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와 분리가능하게 거치되는 탑커버어셈블리, 상기 탑커버어셈블리에 구비되어, 입력부를 포함하는 조작모듈, 상기 베이스바디에 형성되어 상기 탑커버어셈블리로 무선전력신호를 송신하는 무선전력송신부, 상기 탑커버어셈블리에 구비되어 상기 무선전력송신부로부터의 무선전력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조작모듈로 동작전원을 제공하는 무선전력수신부 및 상기 입력부의 데이터에 따라 정상모드 또는 대기모드로 동작모드를 설정하여 상기 탑커버어셈블리로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전력송신부는, 대기모드가 설정되면, 신호에 구간을 설정하고 구간별로 스위칭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무선전력수신부로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umidification and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n air clean module for sucking and filtering the outside air, and providing the filtered air, the base body is formed in the tank insertion space on the inside, mounted in the tank insertion space A top cover assembly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water tank, the top cover assembly detachably mounted to the water tank, the top cover assembly provided on the top cover assembly, and formed on the base body to provide a wireless power signal to the top cover assembly.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wireless power receiver provided in the top cover assembly to receive a wireless power signal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to provide operating power to the operation module and to the normal mode or standby mode according to data of the input unit.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set an operation mode to control power supply to the top cover assembly; When the standby mode is set, the power transmitter sets a section to the signal and applies a current by applying a switching control signal for each section to supply operating power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상기 무선전력송신부는, 신호의 구간을 동작구간과 정지구간으로 구분하여 상기 동작구간 동안 스위칭부가 동작하도록 상기 스위칭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may divide the signal section into an operation section and a stop section to generate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to operate the switching unit during the operation section.

상기 무선전력송신부는 상기 전력전송제어부는, 정상모드 설정 시, 제 1 주파수의 스위칭제어신호를 상기 스위칭부로 인가하고, 대기모드 설정 시, 상기 제 1 주파수 보다 낮은 주파수로 구간스위칭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transmits a switching control signal of a first frequency to the switching unit when the normal mode is set, and performs interval switching at a frequency lower than the first frequency when the standby mode is set. It is done.

본 발명의 가습청정장치의 제어방법은, 분리가능하게 거치되는 탑커버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가습청정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대기모드가 설정되는 단계, 동작을 정지하고, 정상전압보다 낮은 대기전압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무선전력송신부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에 구간을 설정하고, 구간별로 동작하도록 스위칭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스위칭제어신호에 따른 구간스위칭에 의해 상기 대기전압이 인가되어 전력송신부에 전류가 인가되는 단계, 상기 전력송신부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무선전력수신부에 전류가 유도되어 상기 탑커버어셈블리로 전원이 공급되는 단계 및 상기 탑커버어셈블리가 대기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control method of the humidification clea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rol method of a humidification cleaning apparatus including a top cover assembly detachably mounted, the step of setting the standby mode, the operation is stopped, the standby voltage lower than the normal voltage Setting a section, generating a section to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generating a switching control signal to operate for each section, and applying the standby voltage by section switching according to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so that the power transmitter The step of applying a current, the current is induced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by the current applied to the power transmitter to supply power to the top cover assembly and the top cover assembly operating in the standby mode.

상기 신호에 동작구간과 정지구간을 설정하여 상기 동작구간 동안 스위칭동작이 수행되도록 상기 스위칭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And generating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so that a switching operation is performed during the operation period by setting an operation period and a stop period to the signal.

대기모드에서, 정상모드보다 낮은 듀티로 상기 스위칭제어신호를 생성하고, 대기모드 설정 시, 상기 듀티에 따라 동작구간과 정지구간의 길이의 비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standby mode,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t a duty lower than that of the normal mode, and when the standby mode is set,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operation section to the stop section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duty.

본 발명의 가습청정장치 및 그 방법은 전기회로가 내장된 탑커버어셈블리가 분리가능하게 거치되어도, 탑커버어셈블리의 조작모듈을 작동시킬 수 있고, 탑커버어셈블리가 분리가능하기 때문에, 탑커버어셈블리가 분리된 가습모듈 전체를 물로 닦아 청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humidification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operate the operation module of the top cover assembly even when the top cover assembly in which the electric circuit is built therein is detachably mounted, and thus the top cover assembly is detachabl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cleaned by wiping the entire separated humidification module with water.

본 발명은 무선전력전송을 통해 탑커버어셈블리로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감전의 위험성을 제거하고 전기사고의 발생을 방지하여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tability by supplying power to the top cover assembly through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eliminating the risk of electric shock and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electrical accidents.

본 발명은 탑커버어셈블리의 분리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탑커버어셈블리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여 전원공급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고, 불필요하게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며, 소비전력을 감소시켜 에너지를 절약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control the power supply by supplying or cutting off power to the top cover assembly by detecting whether the top cover assembly is detached, cutting off unnecessary power supply, and reducing power consumption to save energy. It works.

또한, 본 발명은 대기모드에서 구간별 스위칭제어를 통해 탑커버어셈블리로 공급되는 전압을 제어하여, 낮은 전압이라도 적은 손실로 동작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무선전력전송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controlling the voltage supplied to the top cover assembly through the switching control for each section in the standby mode, by supplying the operating power with a small loss even at a low voltag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efficiency o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is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에어워시모듈에서 탑커버어셈블리가 분리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탑커버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탑커버어셈블리에서 상부조작하우징이 분리된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가습청정장치에서 탑커버어셈블리로 전원을 공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가습청정장치의 제어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11은 가습청정장치의 전력공급 및 통신을 위한 제어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12는 탑커버어셈블리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무선전력송신부의 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13은 탑커버어셈블리의 무선전력수신부 및 제어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무선전력전송에 따른 회로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도이다.
도 15 는 본 발명의 무선전력전송을 위한 제어신호의 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 16 은 도 15의 제어신호에 따른 전압변화가 도시된 도이다.
도 17 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습청정장치의 무선전력전송에 따른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3 is an exploded front view of FIG. 1.
4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3.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op cover assembly separated from the air wash module shown i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p cover assembly of FIG. 5.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operation housing separated from the top cover assembly of FIG. 6.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side of FIG. 7.
9 is a view referred to for explaining a method for supplying power to the top cover assembly in the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lock diagram briefly showing a control configuration of the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trol configuration for power supply and communication of the humidification and cleaning device.
1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for supplying power to a top cover assembly.
FIG. 1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wireless power receiver and a control configuration of the top cover assembly.
1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ircuit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trol signal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oltage chang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FIG. 15.
1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according to wireless power transmission of the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또한, 본 발명의 제어부 및 각 부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고, 하드웨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hav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which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and each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one or more processors and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devices.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분해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의 공기흐름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umidification and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n exploded front view of Figure 1, Figure 4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3,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air flow of the humidification and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에어클린모듈(100) 및 상기 에어클린모듈(100) 상측에 거치되는 에어워시모듈(200)을 포함한다.The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air clean module 100 and an air wash module 200 mounted on an upper side of the air clean module 100.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은 외부공기를 흡입한 후 여과하고, 여과공기를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 제공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상기 여과공기를 공급받아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을 실시하고, 가습공기를 외부로 토출한다. The air clean module 100 inhales and then filters external air, and provides filtered air to the air wash module 200. The air wash module 200 receives the filtered air to perform humidification to provide moisture, and discharges the humidified air to the outside.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물이 저장되는 수조(300)를 포함한다. 상기 수조(300)는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분리될 때,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에서 분리가능하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에어클린모듈(100) 위에 거치된다. The air wash module 200 includes a water tank 300 in which water is stored. The water tank 300 is detachable from the air clean module 100 when the air wash module 200 is separated. The air wash module 200 is mounted on the air clean module 100.

사용자는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을 에어클린모듈(100)에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에어워시모듈(200)을 청소할 수 있다. 사용자는 에어워시모듈(200)이 분리된 에어클린모듈(100) 내부를 청소할 수도 있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분리된 경우,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의 상면이 사용자에게 개방된다. The user may separate the air wash module 200 from the air clean module 100 and clean the separated air wash module 200. The user may clean the inside of the air clean module 100 from which the air wash module 200 is separated. When the air wash module 200 is separated, the upper surface of the air clean module 100 is opened to the user.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은 후술하는 필터어셈블리(10)를 포함하고, 베이스바디(110)에서 필터어셈블리(10)를 분리한 후 청소할 수 있다. The air clean module 100 includes a filter assembly 10 to be described later, and can be cleaned after removing the filter assembly 10 from the base body 110.

사용자는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는 외부에서 상기 수조(300)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급수유로(109)가 형성된다. The user may supply water to the air wash module 200. The air wash module 200 has a water supply passage 109 that can supply water to the water tank 300 from the outside.

상기 급수유로(109)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유로(107)와 분리되어 구성된다. 상기 급수유로(109)는 어느 때나 상기 수조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작동 중일 때에도 급수유로를 통해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에어클린모듈(100)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급수유로를 통해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에어클린모듈(100)에서 분리될 상태일 때에도 급수유로를 통해 물을 공급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passage 109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from the discharge passage 107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The water supply passage 109 is configured to supply water to the tank at any time. For example, even when the air wash module 200 is in operation, water may be supplied through a water supply passage. For example, even when the air wash module 200 is coupled to the air clean module 100, water may be supplied through a water supply passage. For example, even when the air wash module 200 is separated from the air clean module 100, water may be supplied through a water supply passage.

상기 에어클린모듈(100) 및 에어워시모듈(200)은 연결유로(103)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분리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연결유로(103)는 에어클린모듈(100) 및 에어워시모듈(200)에 분산되어 배치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에어클린모듈(100)에 거치될 때, 비로소 에어워시모듈(200)의 유로와 에어클린모듈(100)의 유로가 연결유로(103)를 통해 서로 연통된다. The air clean module 100 and the air wash module 200 are connected through a connection passage 103. Since the air wash module 200 is separable, the connection flow path 103 is arranged to be dispersed in the air clean module 100 and the air wash module 200. When the air wash module 200 is mounted on the air clean module 100, the flow path of the air wash module 200 and the flow path of the air clean module 10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connection path 103.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에 형성된 연결유로를 클린연결유로(104)라 정의하고,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 형성된 연결유로를 가습연결유로(105)라 정의한다. The connection flow path formed in the air clean module 100 is defined as a clean connection flow path 104, and the connection flow path formed in the air wash module 200 is defined as a humidification connection flow path 105.

상기 에어클린모듈(100) 및 에어워시모듈(200)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은 이후에 보다 상세하게 후술하겠다. The flow of air passing through the air clean module 100 and the air wash module 200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이하, 에어클린모듈(100) 및 에어워시모듈(2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air clean module 100 and the air wash module 2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은 베이스바디(110)와,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배치되고, 공기를 여과시키는 필터어셈블리(10)와,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배치되고,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유닛(20)을 포함한다. The air clean module 100 is disposed on the base body 110, the base body 110, and a filter assembly 10 for filtering air, and disposed on the base body 110 to flow air. Blowing unit 20 is included.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가습을 위한 물이 저장되고,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되는 수조(300)와, 상기 수조(300)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3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의 물을 분사하는 워터링유닛(400)과, 상기 워터링유닛(400)에서 분사된 물에 의해 적셔지고, 유동되는 공기에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매체(50)와, 상기 수조(300)에 결합되고, 내부를 볼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 비주얼바디(210)와,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되고,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유로(107) 및 물이 공급되는 급수유로(109)가 형성된 탑커버어셈블리(230)를 포함한다. The air wash module 200 is stored in the water for the humidification, the water tank 300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air clean module 100, and disposed in the water tank 300,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300 A humidifying medium (50) disposed in the watering unit (400) for injecting water from the tank, wetted by water sprayed from the watering unit (400), and providing moisture to the flowed air; It is coupled to the water tank 300, the visual body 210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see the inside, and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visual body 210, the discharge passage 107 and water is discharged to supply air is supplied It includes a top cover assembly 230 in which the water supply passage 109 is formed.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에는 흡입유로(101), 여과유로(102), 송풍유로(108), 클린연결유로(104)가 배치된다. 상기 흡입유로(101)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여과유로(102), 송풍유로(108)를 거쳐 클린연결유로(104)로 유동된다. The air clean module 100 is provided with a suction flow path 101, a filtration flow path 102, a blowing flow path 108, and a clean connection flow path 104.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flow path 101 flows to the clean connection flow path 104 through the filtration flow path 102 and the blowing flow path 108.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가습연결유로(105), 가습유로(106), 토출유로(107) 및 급수유로(109)가 배치된다. The air wash module 200 has a humidification connection passage 105, a humidification passage 106, a discharge passage 107, and a water supply passage 109.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의 클린연결유로(104) 및 에어워시모듈(200)의 가습연결유로(105)는 에어워시모듈(200)이 에어클린모듈(100)에 거치될 때, 비로소 연결된다. The clean connection channel 104 of the air clean module 100 and the humidification connection channel 105 of the air wash module 200 are connected when the air wash module 200 is mounted on the air clean module 100. .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의 가습연결유로(105)를 통해 공급된 여과공기는, 가습유로(106) 및 토출유로(107)를 거쳐 실내로 토출된다. 상기 급수유로(109)는 가습유로(106)와 연통되지만, 공기는 토출시키지 않고, 물만 급수받을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된다. The filtered air supplied through the humidification connection passage 105 of the air wash module 200 is discharged into the room via the humidification passage 106 and the discharge passage 107. The water supply passage 109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humidification passage 106, but is manufactured in a structure that can receive water only without discharging air.

먼저, 에어클린모듈(100)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First, each configuration of the air clean module 100 will be described.

상기 베이스바디(110)는 어퍼바디(120) 및 로어바디(130)로 구성된다. 상기 로어바디(130) 상측에 상기 어퍼바디(120)가 적층되고, 상기 어퍼바디(120) 및 로어바디(130)는 조립된다. The base body 110 is composed of an upper body 120 and a lower body 130. The upper body 120 is stacked on the lower body 130, and the upper body 120 and the lower body 130 are assembled.

상기 베이스바디(110) 내부로 공기가 유동된다. Air flows into the base body 110.

상기 로어바디(130)에 흡입유로(101), 여과유로(102) 및 송풍유로(108)가 배치되고, 상기 흡입유로(101), 여과유로(102) 및 송풍유로(108)를 형성시키는 구조물들이 배치된다. A suction passage 101, a filtration passage 102, and a blowing passage 108 are disposed in the lower body 130, and the suction passage 101, the filtering passage 102, and the blowing passage 108 are formed. Are placed.

상기 어퍼바디(120)에 연결유로(103)의 일부가 배치되고, 여과된 공기를 상기 에어워시모듈(200)로 안내하기 위한 구조물들 및 에어워시모듈(200)을 거치하기 위한 구조물들이 배치된다. A portion of the connection passage 103 is disposed on the upper body 120, and structures for guiding the filtered air to the air wash module 200 and structures for mounting the air wash module 200 are disposed. .

상기 베이스바디(110)는 외형을 형성하고, 하측면에 흡입구(111)가 형성된 로어바디(130)와, 외형을 형성하고, 상기 로어바디(130) 상측에 결합되는 어퍼바디(120)를 포함한다. The base body 110 forms an outer shape, a lower body 130 having an inlet 111 formed on a lower side thereof, and an upper body 120 that forms an outer shape and is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lower body 130. do.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상기 베이스바디(110)에서 탈착 가능하게 조립된다. The filter assembly 10 is detachably assembled to the base body 110.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여과유로(102)를 제공하고, 외부 공기에 대해 필터링을 실시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탈착가능한 구조이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수직방향을 거슬러 유동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에 대해 교차되게 배치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수직방향 상측으로 유동되는 공기에 대해 여과를 실시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여과유로(102)를 형성한다. The filter assembly 10 provides a filtration flow path 102 and performs filtering on the outside air. The filter assembly 10 is detachable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body 110. The filter assembly 10 is arranged to intersect with the flow direction of air flowing back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lter assembly 10 is slidably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performs filtration on the air flowing upwardly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lter assembly 10 is disposed horizontally, and forms the filtration flow path 102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The filter assembly 10 may slide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body 110.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상기 로어바디(130) 내부에 배치되고, 여과유로(102)를 형성하는 필터하우징(11)과, 상기 필터하우징(11)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여과유로(102)를 통과하는 공기에 대해 여과를 실시하는 필터(14)를 포함한다. The filter assembly 10 is disposed inside the lower body 130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lter housing 11 forming the filtration flow path 102 and the filter housing 11. And filter 14 for filtration on the air passing through 102.

상기 필터하우징(12)은 하측이 흡입유로(101)와 연통되고, 상측이 송풍유로(108)와 연통된다. 상기 흡입유로(101)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여과유로(102)를 거쳐 송풍유로(108)로 유동된다. The filter housing 12 has a lower side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passage 101, and an upper side thereof communicating with the blowing passage 108.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assage 101 flows to the blowing passage 108 via the filtration passage 102.

상기 필터하우징(12)은 상기 여과유로(102)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일측이 개구된다. 상기 필터하우징(12)의 개구면을 통해 상기 필터(14)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필터하우징(12)의 개구면은 측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필터하우징(12)의 개구면은 로어바디(130)의 외측면에 배치된다. 그래서 상기 필터(14)는 상기 로어바디(130)의 측면을 통해 삽입되고, 필터하우징(12)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필터(14)는 상기 여과유로(102)와 교차되게 배치되고, 상기 여과유로(102)를 통과하는 공기에 대해 여과를 실시한다. One side of the filter housing 12 is open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ltration flow passage 102. The filter 14 may be detachably coupled through the opening surface of the filter housing 12. The opening face of the filter housing 12 is formed laterally. The opening face of the filter housing 12 is disposed on the outer face of the lower body 130. Thus, the filter 14 is inserted through the side of the lower body 130 and is located inside the filter housing 12. The filter 14 is disposed to intersect with the filtration channel 102, and filters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ltration channel 102.

상기 필터(14)는 인가된 전원을 대전시켜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전기집진필터일 수 있다. 상기 필터(14)는 여과재를 통해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14)는 다양한 구조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14)의 여과방식 또는 필터의 여과재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가 제한되지 않는다. The filter 14 may be an electrostatic precipitating filter that collects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by charging the applied power. The filter 14 may be formed of a material for collecting foreign matter in the air through the filter medium. The filter 14 may be arranged in various structures. The righ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iltration method of the filter 14 or the filter medium of the filter.

상기 여과유로(102)는 가습청정장치의 주된 유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여과유로(102)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중력 반대방향으로 공기를 유동시킨다. 즉, 상기 가습청정장치의 주된 유동방향은 하측에서 상측을 향하게 형성된다. The filtration flow path 102 is dispos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ain flow direction of the humidification cleaning device. In this embodiment, the filtration flow path 102 is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flows air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gravity. That is, the main flow direction of the humidification cleaning device is formed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상기 필터하우징(12)의 상측에 송풍유닛(20)이 배치된다. The blowing unit 20 is disposed above the filter housing 12.

상기 필터하우징(12)의 상측면은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여과유로(102)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송풍유닛(20)으로 유동된다. The upper side surface of the filter housing 12 is formed to be open, and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ltration flow path 102 flows to the blowing unit 20.

상기 송풍유닛(20)은 공기의 유동을 생성시킨다. 상기 송풍유닛(20)은 상기 베이스바디(110) 내부에 배치되고, 하측에서 상측으로 공기를 유동시킨다. The blowing unit 20 generates a flow of air. The blower unit 20 is disposed inside the base body 110 and flows air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상기 송풍유닛(20)은 송풍하우징(150), 송풍모터(22) 및 송풍팬(24)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송풍모터(22)가 상측에 배치되고, 송풍팬(24)이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송풍모터(22)의 모터축을 아래를 향해 설치되고, 상기 송풍팬(24)과 조립된다. The blowing unit 20 is composed of a blowing housing 150, a blowing motor 22 and a blowing fan 24. In this embodiment, the blower motor 22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and the blower fan 24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The motor shaft of the blower motor 22 is installed downward, and is assembled with the blower fan 24.

상기 송풍하우징(150)은 상기 베이스바디(110)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송풍하우징(150)은 유동되는 공기의 유로를 제공한다. 상기 송풍하우징(150)에 상기 송풍모터(22) 및 송풍팬(24)이 배치된다. The air blowing housing 150 is disposed in the base body 110. The air blowing housing 150 provides a flow path of air that flows. The blowing motor 22 and the blowing fan 24 are disposed in the blowing housing 150.

상기 송풍하우징(150)은 상기 필터어셈블리(10)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바디(120) 하측에 배치된다. The air blowing housing 150 is disposed above the filter assembly 10 and disposed below the upper body 120.

상기 송풍하우징(150)은 내부에 송풍유로(108)를 형성시킨다. 상기 송풍유로(108)에 상기 송풍팬(24)이 배치된다. 상기 송풍유로(108)는 여과유로(102) 및 클린연결유로(104)를 연결시킨다. The blowing housing 150 forms a blowing passage 108 therein. The blowing fan 24 is disposed in the blowing passage 108. The blow passage 108 connects the filter passage 102 and the clean connection passage 104.

상기 송풍팬(24)은 원심팬으로서, 하측에서 공기를 흡입한 후, 반경방향 외측으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상기 송풍팬(24)은 반경방향 바깥쪽 및 상측으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상기 송풍팬(24)은 외측단이 반경방향 상측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The blower fan 24 is a centrifugal fan that sucks air from the lower side and discharges the air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The blowing fan 24 discharges air to the radially outer side and the upper side. The blower fan 24 is formed such that its outer end faces radially upward.

상기 송풍모터(22)는 유동되는 공기와의 접촉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상기 송풍팬(24)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송풍모터(22)는 송풍팬(24)에 의해 감싸져 설치된다. 상기 송풍모터(22)는 상기 송풍팬(24)에 의한 공기 유로 상에 위치되지 않고, 송풍팬(24)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와 저항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The blower motor 22 is disposed above the blower fan 24 to minimize contact with the flowing air. The blowing motor 22 is installed wrapped by the blowing fan (24). The blower motor 22 is not located on the air flow path by the blower fan 24 and does not generate resistance with the air flowing by the blower fan 24.

상기 어퍼바디(120)는 베이스바디(110)의 외형을 형성하고, 로어바디(130)와 결합되는 어퍼아우터바디(128)와, 상기 어퍼아우터바디(128)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300)가 삽입되고, 연결유로(103)를 제공하는 어퍼이너바디(140)와, 상기 어퍼이너바디(140) 및 어퍼아우터바디(128)를 결합시키고, 공기를 상기 수조(300)로 안내하는 에어가이드(170)를 포함한다. The upper body 120 forms an outer shape of the base body 110 and is disposed inside the upper outer body 128 and the upper outer body 128, which are coupled to the lower body 130, and the water tank ( 300 is inserted and combines the upper body 140, which provides the connection flow path 103, the upper body 140 and the upper outer body 128, and guides air to the water tank 300. Air guide 170 is included.

상기 어퍼바디(120)는 연결유로 및 수조삽입공간을 분리하여 배치하기 때문에, 수조(300)의 물이 연결유로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어퍼이너바디를 통해 구획되어 연결유로가 물이 저장되는 공간의 바깥쪽에 배치되기 때문에, 물이 연결유로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Since the upper body 120 separates the connection flow path and the tank insertion space, water of the water tank 300 may be minimized from entering the connection flow path. In particular, since the connecting passage is partitioned through the upper body and disposed outside the space where the water is stored, water can be prevented from entering the connecting passage.

상기 어퍼이너바디(140)는 상측이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수조(300)가 삽입된다. 상기 어퍼이너바디(140)는 여과공기가 유입되는 클린연결유로(104) 중 일부를 형성한다. The upper body 140 is formed by opening the upper side, the water tank 300 is inserted. The upper body 140 forms a part of the clean connection passage 104 through which the filtered air flows.

상기 어퍼이너바디(140)는 에어워시유입구(31)와 대응되는 어퍼유입구(121)가 형성된다. 상기 어퍼유입구(121)는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다. 어퍼바디(120)가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를 연결유로(103)에 노출시키는 형상이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The upper body 140 is formed with an upper inlet 121 corresponding to the air wash inlet 31. The upper inlet 121 is not an essential component. If the upper body 120 is a shape which exposes the said air wash inlet 31 to the connection flow path 103, it is enough.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클린연결유로(104)를 통해 공급된 공기를 상기 어퍼유입구(121)로 안내한다.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베이스바디(110)의 바깥쪽을 따라 상승된 공기를 안쪽으로 모아준다.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시킨다. 다만,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시키되, 그 각도를 최소화시켜 공기의 유동저항을 최소화시킨다. The air guide 170 guides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clean connection flow path 104 to the upper inlet 121. The air guide 170 collects the air raised along the outside of the base body 110 inward. The air guide 170 switches the flow direction of air flowing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However, the air guide 170 changes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but minimizes the flow resistance of the air by minimizing the angle.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어퍼이너바디(140)의 외측을 360도 감싸게 형성된다.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360도 전 방향에 대해 공기를 상기 수조(300)로 안내한다.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로어바디(130)의 바깥쪽을 따라 안내된 공기를 안쪽으로 모아 수조(300)에 공급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상기 수조(300)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The air guide 170 is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side of the upper body 140 by 360 degrees. The air guide 170 guides air to the water tank 300 in all directions of 360 degrees. The air guide 170 collects the air guided along the outside of the lower body 130 to the water tank 300. Through such a structure, the flow rate of the air supplied to the water tank 300 can be sufficiently secured.

그래서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형성된 안내부(172)와, 상기 안내부(172)와 연결되고, 안내된 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시키는 전환부(174)를 포함한다. Thus, the air guide 170 includes a guide part 172 formed in the flow direction of air, and a switching part 174 connected to the guide part 172 and switching the flow direction of guided air.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연결유로(103)를 형성한다. The air guide 170 forms a connection flow path 103.

상기 안내부(172)는 여과유로(102)와 대략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환부(174)는 상기 여과유로(102)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The guide portion 172 is formed in substantially the same direction as the filtration flow path 102, in this embodiment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witching unit 174 is form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filtration flow path 102, and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horizontal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상기 전환부(174)는 에어가이드(170)의 상측에 형성된다. 상기 전환부(174)는 안내부(172)와 곡면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witching unit 174 is formed above the air guide 170. The switching unit 174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guide portion 172 and the curved surface.

상기 전환부(174)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도, 상기 연결유로(103)를 통과하는 공기는 대략 경사진 상측 방향으로 유동된다. 상기 연결유로(103) 및 여과유로(102)의 전환각을 직진방향과 유사하게 형성하여 공기의 유동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Even when the switching unit 174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connection passage 103 flows in the upwardly inclined direc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flow resistance of the air by forming a switching angle of the connection passage 103 and the filtration passage 102 similar to the straight direction.

상기 안내부(172)의 하단이 상기 어퍼아우터바디(128)에 고정된다. 상기 전환부(174)의 상측단이 상기 어퍼이너바디(140)에 고정된다. The lower end of the guide portion 172 is fixed to the upper outer body (128). The upper end of the switching unit 174 is fixed to the upper body 140.

상기 어퍼이너바디(140) 바깥쪽에 상기 클린연결유로(104) 중 일부가 형성된다. 상기 에어가이드(170)가 클린연결유로(104) 중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클린연결유로(104)를 통과한 공기는 어퍼유입구(121) 및 에어워시유입구(31)를 통해 수조(300) 내부로 유동된다.A portion of the clean connection passage 104 is formed outside the upper body 140. The air guide 170 forms part of the clean connection flow path 104. The air passing through the clean connection passage 104 flows into the water tank 300 through the upper inlet 121 and the air wash inlet 31.

상기 어퍼이너바디(140)는 전체적으로 바스켓 형상이다. 상기 어퍼이너바디(140)는 평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클린연결유로(104)는 360도 전 방향으로 형성된다. The upper body 140 has a basket shape as a whole. The upper body 140 has a flat cross section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the clean connection flow path 104 is formed in a 360-degree direction.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여과공기를 상기 클린연결유로(104)로 안내하기 위한 구성이고, 실시예에 따라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어퍼이너바디(140) 또는 어퍼아우터바디(128)를 결합시킨다. The air guide 170 is configured to guide the filtered air to the clean connection flow path 104, and may not be included in some embodiments. The air guide 170 couples the upper body 140 or the upper outer body 128.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상기 어퍼이너바디(140)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어퍼유입구(121)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어퍼유입구(121)로 여과공기를 안내한다. 평면에서 볼때,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도넛형상이다. The air guide 170 is formed to surround the upper body 140. In particular, the air guide 170 is formed to surround the upper inlet 121, and guides the filtered air to the upper inlet 121. In plan view, the air guide 170 is in a donut shap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가이드(170)의 상단은 상기 어퍼이너바디(140)의 상단에 밀착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end of the air guide 17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upper body 140.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에어가이드(170)의 상측면과 상기 어퍼이너바디(140)의 상측면이 일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어퍼이너바디(140)의 상단에는 상기 에어가이드(170)와 결합 또는 밀착되는 어퍼이너바디링(126)이 형성된다. In plan view, the upper surface of the air guide 17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ody 140 coincide with each o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an upper inner body ring 126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upper body 140 to be coupled to or in close contact with the air guide 170.

상기 어퍼이너바디(140) 및 어퍼이너바디링(126)을 연결하는 이너바디연장부(148)가 형성된다. 상기 이너바디연장부(148)는 복수개가 배치된다. 상기 이너바디연장부(148)들 및 어퍼이너바디링(126) 사이에 어퍼유입구(121)가 형성된다. An inner body extension part 148 connecting the upper body 140 and the upper body ring 126 is formed. The inner body extension part 148 is disposed in plurality. An upper inlet 121 is formed between the inner body extension parts 148 and the upper inner body ring 126.

상기 이너바디연장부(148)는 수조바디연장부(380)와 대응된다. 상기 수조(300)의 거치 시, 상기 이너바디연장부(148)의 내측에 수조바디연장부(380)가 위치된다. 상기 이너바디연장부(148) 및 수조바디연장부(380)는 안밖으로 겹쳐진다. The inner body extension 148 corresponds to the tank body extension 380. When the tank 300 is mounted, the tank body extension 380 is positioned inside the inner body extension 148. The inner body extension 148 and the tank body extension 380 overlap in and out.

상기 에어가이드(170)의 상단은 상기 어퍼이너바디링(126)과 밀착 또는 결합된다. 상기 에어가이드(170)의 하단은 어퍼아우터바디(128)와 밀착 또는 결합된다. The upper end of the air guide 170 is in close contact with or coupled to the upper body ring 126. The lower end of the air guide 170 is in close contact with or coupled to the upper outer body (128).

그래서 상기 어퍼이너바디(140) 및 어퍼아우터바디(128) 사이의 클린연결유로(104)를 통해 유동되는 공기는 어퍼유입구(121)로 안내된다. Thus, the air flowing through the clean connection flow path 104 between the upper body 140 and the upper outer body 128 is guided to the upper inlet 121.

상기 어퍼이너바디링(126)의 직경과 상기 에어가이드(170) 상단의 직경이 일치하거나 유사하다. 상기 에어가이드(170) 및 어퍼이너바디링(126)이 밀착되어 여과공기의 누출을 방지한다. 상기 어퍼이너바디링(126)은 에어가이드(170)의 내측에 배치된다. The diameter of the upper body ring 126 and the diameter of the upper end of the air guide 170 is the same or similar. The air guide 170 and the upper body ring 126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prevent leakage of filtered air. The upper body ring 126 is disposed inside the air guide 170.

상기 어퍼아우터바디(128)에 손잡이(12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바디(120)에 에어워시모듈(200)이 거치되는 바, 상기 손잡이(129)를 통해 가습청장장치 전체를 들어올릴 수 있다. A handle 129 may be formed on the upper outer body 128. The air wash module 200 is mounted on the upper body 120, and the entire humidification apparatus may be lifted through the handle 129.

상기 어퍼이너바디(140)는 수조(3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조삽입공간(125)이 형성된다. The upper body 140 has a tank insertion space 125 formed therein so that the tank 300 can be inserted.

상기 어퍼유입구(121)를 기준으로 외측에 클린연결유로(104)가 배치되고, 내측에 수조삽입공간(125)이 배치된다. 상기 클린연결유로(104)를 따라 유동된 공기는 어퍼유입구(121)를 통과한다. 상기 수조(300)가 수조삽입공간(125)에 거치된 경우, 상기 어퍼유입구(121)를 통과한 여과공기는 수조(300) 내부로 유입된다. The clean connection flow path 104 is disposed outside the upper inlet 121 and the water tank insertion space 125 is disposed inside. Air flowing along the clean connection passage 104 passes through the upper inlet 121. When the water tank 300 is mounted in the water tank insertion space 125, the filtered air passing through the upper inlet 121 is introduced into the water tank 300.

한편, 어퍼바디(120)의 상측에 아우터비주얼바디(214)가 결합된다.On the other hand, the outer visual body 214 is coupled to the upper body 120.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비주얼바디(210)의 구성이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어퍼바디(120)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에어워시모듈(200)에 고정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삭제 가능한 구성이다. The outer visual body 214 is a configuration of the visual body 210, but is fixed to the upper body 120 in the present embodiment.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outer visual body 214 may be fixed to the air wash module 200.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outer visual body 214 is a removable configuration.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어퍼바디(120)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어퍼아우터바디(128)에 결합된다.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어퍼아우터바디(128)의 외측면은 연속된 면을 형성한다. The outer visual body 214 is fixed to the upper body 12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uter visual body 214 is coupled to the upper outer body 128. The outer visual body 214 has an outer surface of the upper outer body 128 to form a continuous surface.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visual body 214 is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see through the inside. The outer visual body 214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상기 에어클린모듈(100) 또는 에어워시모듈(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작동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160)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가습청정장치의 작동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160)이 설치된다. At least one of the air clean module 100 or the air wash module 200 may be provided with a display module 160 for displaying an operation state to the user. In the present embodiment, a display module 160 is installed on the base body 110 to display an operating state of the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to the user.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 내측에 디스플레이모듈(160)이 배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아우터비주얼바디(214)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배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평면에서 볼때, 도넛형상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내측으로 상기 수조(300)가 삽입된다. The display module 160 is disposed inside the outer visual body 214. The display module 160 is dispos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outer visual body 214. The display module 160 has a donut shape when viewed in a plan view. The water tank 300 is inserted into the display module 160.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아우터비주얼바디(214)에 지지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내측 가장자리는 어퍼이너바디링(126)에 지지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에어가이드(170)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베이스커넥터(260)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The display module 160 is supported by the outer visual body 214. The inner edge of the display module 160 is supported by the upper body ring 126. The display module 160 is located above the air guide 170. The display module 160 may be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 base connector 260.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에어가이드(170)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어퍼아우터바디(128) 및 어퍼이너바디(1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사용자가 어퍼아우터바디(128) 및 어퍼이너바디(140) 사이를 볼 수 없도록 커버한다. 특히 상기 어퍼아우터바디(128) 및 어퍼이너바디(140) 사이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내측 및 외측은 실링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display module 160 is located above the air guide 170. The display module 16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upper outer body 128 and the upper body 140. The display module 160 covers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not see the upper outer body 128 and the upper body 140. In particular, in order to prevent water from seeping between the upper outer body 128 and the upper inner body 140,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display module 160 is preferably made of a sealing.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내측은 어퍼이너바디(140)에 지지되고, 외측은 아우터비주얼바디(218)에 지지된다. The inside of the display module 160 is supported by the upper body 140, and the outside of the display module 160 is supported by the outer visual body 218.

본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링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표면은 빛을 반사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거나, 빛을 반사할 수 있는 재질이 코팅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play module 160 is formed in a ring shape.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play module 160 may be formed in an arc shape. The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60 is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reflecting light or coated with a material capable of reflecting light.

그래서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물이 맺힐 경우, 비주얼바디(210) 맺힌 물이 디스플레이모듈(160) 표면에 투영되거나 반사될 수 있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에서 맺힌 물이 흘러내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에도 동일한 효과가 나타난다. Thus, when water is formed on the visual body 210, the water formed on the visual body 210 may be projected or reflected on the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60. When water formed in the visual body 210 flows down, the same effect occurs on the display module 160.

이러한 효과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자극을 주고, 가습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에 투영된 물방울 이미지는 사용자에게 청량감을 주는 감성적 효과뿐만 아니라 가습 상태를 알 수 있는 기능적 효과도 있다. This effect gives a visual stimulus to the user, and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that the humidification is being performed. The water droplet image projected on the display module 160 has a functional effect of knowing a humidification state as well as an emotional effect of giving a refreshing feeling to a user.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상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사용자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래서 내측이 높고, 외측이 낮게 형성된다.
The upper side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60 is inclined. The display module 160 is inclined toward the user side. Thus, the inner side is high and the outer side is formed low.

다음으로, 에어워시모듈(200)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Next, each configuration of the air wash module 200 will be described.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여과공기에 대해 가습을 제공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가습유로(106)에서 레인뷰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0은 수조(300)의 물을 분사하고, 이를 순환시킨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물을 작은 크기의 액적으로 변환시키고, 비산된 액적을 통해 여과공기를 다시 한번 씻어낸다. 비산된 물방을 통해 여과공기를 워싱(washing)할 때, 가습 및 여과가 다시 한번 이루어진다. The air wash module 200 provides humidification to the filtered air. The air wash module 200 may implement a rain view in the humidifying passage 106. The air wash module 2000 injects water and circulates the water in the water tank 300. The air wash module 200 converts water into droplets of small size, and washes the filtered air once again through the scattered droplets. When washing the filtered air through scattered water droplets, humidification and filtration are once again performed.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가습연결유로(105), 가습유로(106), 토출유로(107) 및 급수유로(109)를 포함한다. The air wash module 200 includes a humidification connection passage 105, a humidification passage 106, a discharge passage 107, and a water supply passage 109.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수조(300), 워터링유닛(400), 가습매체(50), 비주얼바디(210), 탑커버어셈블리(230) 및 핸들(180)을 포함한다. The air wash module 200 includes a water tank 300, a watering unit 400, a humidifying medium 50, a visual body 210, a top cover assembly 230, and a handle 180.

상기 핸들(180)은 비주얼바디(210)에 결합되고, 상기 비주얼바디(210)에서 회전되며,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수납된다. 상기 핸들(180)을 통해 에어워시모듈(200)만을 간편하게 들어올릴 수 있고,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에서 분리할 수 있다. The handle 180 is coupled to the visual body 210, rotates in the visual body 210, and is received in the visual body 210. Only the air wash module 200 may be easily lifted through the handle 180, and may be separated from the air clean module 100.

상기 가습연결유로(105)는 수조(300)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300)의 내부로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가습연결유로(105)는 비주얼바디(210)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부로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The humidification connection passage 105 may be disposed outside the water tank 300 and guide air into the water tank 300. The humidification connection passage 105 may be disposed outside the visual body 210 and guide air into the visual body 210.

상기 가습연결유로(105)는 수조(300) 또는 비주얼바디(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에 배치되고, 수조(300) 또는 비주얼바디(210) 중 어느 하나의 내부로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The humidifying connection flow path 105 may be disposed outside at least one of the water tank 300 or the visual body 210, and guide the air into any one of the water tank 300 or the visual body 210. .

상기 토출유로(107)는 탑커버어셈블리(230) 및 비주얼바디(2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토출유로(107)는 탑커버어셈블리(230) 또는 비주얼바디(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The discharge passage 107 may be disposed between the top cover assembly 230 and the visual body 210. The discharge passage 107 may be disposed in at least one of the top cover assembly 230 and the visual body 210.

본 실시예에서는 탑커버어셈블리(230) 및 비주얼바디(210) 사이에 토출유로(107)가 형성되고,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의 내측 중앙에 급수유로(109)가 각각 배치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charge passage 107 is formed between the top cover assembly 230 and the visual body 210, and the water supply passage 109 is disposed at the inner center of the top cover assembly 230, respectively.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에 전원이 연결되고,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다. Humidification and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power is connected to the air clean module 100, the air wash module 200 is supplied with power through the air clean module (100).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에 대해 분리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에어클린모듈(100) 및 에어워시모듈(200)은 분리가능한 전원공급구조가 구비된다. Since the air wash module 200 is detachable with respect to the air clean module 100, the air clean module 100 and the air wash module 200 are provided with a detachable power supply structure.

상기 에어클린모듈(100) 및 에어워시모듈(200)은 상기 어퍼바디(120)를 통해 분리가능하게 조립되기 때문에, 상기 어퍼바디(120)에는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 전원을 제공하는 베이스커넥터(260)가 배치된다. 상기 베이스커넥터에는 내부 무선전력송신부(410)가 설치된다. Since the air clean module 100 and the air wash module 200 are detachably assembled through the upper body 120, the upper body 120 provides a base for supplying power to the air wash module 200. The connector 260 is disposed. An internal wireless power transmitter 410 is installed in the base connector.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의 탑커버어셈블리(230)는 전원을 필요로하는 조작부 및 디스플레이가 배치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는 상기 베이스커넥터(260)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탑커넥터(270)가 배치된다. 상기 탑커넥터(270)는 탑커버어셈블리(230)에 배치된다. The top cover assembly 230 of the air wash module 200 has an operation unit and a display that require power. The air wash module 200 has a top connector 270 that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base connector 260. The top connector 270 is disposed on the top cover assembly 230.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를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 또는 수조(300)의 내측면을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top cover assembly 230 can be separated, the inner surface of the visual body 210 or the inner surface of the water tank 300 can be easily cleaned.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내측에 급수유로(109)가 형성되고, 비주얼바디(210)와의 사이에 토출유로(107)를 형성시킨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대해 분리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베이스커넥터(2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탑커넥터(270)가 배치된다. The top cover assembly 230 has a water supply passage 109 formed therein, and forms a discharge passage 107 between the top cover assembly 230 and the visual body 210. The top cover assembly 230 is detachab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visual body 210. The top cover assembly 230 includes a top connector 27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se connector 260.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가 거치될 때, 탑커넥터(270)가 베이스커넥터(260) 상측에 거치된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상기 탑커넥터(270)를 통해 상기 베이스커넥터(260)로부터 전기를 공급받는다. When the top cover assembly 230 is mounted, the top connector 270 is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connector 260. The top cover assembly 230 receives electricity from the base connector 260 through the top connector 270.

탑커넥터(270)에는 내부에 무선전력수신부(420)가 설치된다. The top connector 270 is provided with a wireless power receiver 420 therein.

탑커넥터(270)는 탑커버어셈블리 거치 시, 베이스커넥터에 대응하도록 배치됨에 따라, 무선전력송신부로부터 무선전력수신부로 무선전력신호가 전송되어 탑커버어셈블리로 전원이 공급된다. When the top connector 270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base connector when the top cover assembly is mounted, the wireless power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to supply power to the top cover assembly.

상기 급수유로(109) 주변에는 상기 수조(300)의 수위를 표시하는 수위표시부(247)가 배치된다. 그래서 사용자는 물을 급수할 때, 안 보이는 수조(300)의 수위가 얼만큼 찼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사용자가 물을 급수하는 동선 상에 수위표시부(247)를 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물을 과도하게 공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수조(300)에서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 water level display unit 247 displaying a water level of the water tank 300 is disposed around the water supply passage 109. So, when the user waters the water, the user can check how high the water level of the invisible water tank 300 is filled. By arranging the water level display unit 247 on the copper wire for water supply by the user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from excessively supplying water and to prevent the water from overflowing in the water tank 300.

상기 수위표시부(247)는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에 배치된다. 상기 탑커넥터(270) 및 베이스커넥터(260)의 분리가능한 전원공급구조는 상부급수를 효과적으로 구성할 수 있게 한다. The water level display 247 is disposed on the top cover assembly 230. The detachable power supply structure of the top connector 270 and the base connector 260 makes it possible to effectively configure the upper water supply.

상기 수조(300)는 상기 어퍼바디(120)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된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상기 수조(3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300) 내부에서 회전된다. The water tank 300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upper body 120. The watering unit 400 is disposed inside the water tank 300, and rotates inside the water tank 300.

상기 수조(300)는 물이 저장되는 수조바디(320)와, 상기 수조바디(320)의 측면에 형성된 에어워시유입구(31)와, 상기 수조바디(320)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결합되는 수조바디연장부(380)를 포함한다. The water tank 300 is formed of a water tank body 320 in which water is stored, an air wash inlet 31 formed at a side surface of the water tank body 320, and extended upward from the water tank body 320. Includes a tank body extension portion 380 coupled to the visual body (210).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조바디(320)는 상측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수조바디(32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tank body 32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of the upper side is opened.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tank body 32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상기 수조바디연장부(380)는 상기 수조(300)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수조바디연장부(380)는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를 형성시킨다. 상기 수조바디연장부(380) 사이에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가 형성된다. The tank body extension 380 is formed to extend upward from the tank (300). The tank body extension 380 forms the air wash inlet 31. The air wash inlet 31 is formed between the tank body extending portion 380.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수조바디(320)의 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수조바디(320)에 대하여 360도 전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가습연결유로(105)와 연통된다. The air wash inlet 31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tank body (320). The air wash inlet 31 is formed in a 360-degree for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ank body (320). The air wash inlet 31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humidification connecting passage 105.

상기 수조바디연장부(380)는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에서 흘러내리는 물을 상기 수조(300) 내부로 안내한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에서 흘러내리는 물을 안내함으로써 낙수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 water tank body 380 guides the water flowing down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visual body 210 into the water tank 300. By guiding the water flowing down from the visual body 210,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fall noise.

상기 수조바디연장부(380)는 비주얼바디(210)의 하단에 체결된다. The tank body extension 380 is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visual body (210).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조바디(320)의 구성을 통해 에어워시유입구(31)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수조바디연장부(380)를 배치하여 에어워시유입구(31)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달리 복수개의 수조바디연장부(380) 중 일부는 수조(300)에 배치하고, 복수개의 수조바디연장부(380) 중 나머지는 비주얼바디(210)에 배치하여 에어워시유입구(31)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달리 비주얼바디(210) 및 수조(300)와 구분되는 별도의 구성에 에어워시유입구(31)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달리 비주얼바디(210)에 개구면을 형성하여 에어워시유입구(31)를 형성시키고, 수조(300)에도 개구면을 형성하여 에어워시유입구(31)를 형성시킬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ir wash inlet 31 is formed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water tank body 320.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water body inlet 31 may be disposed on the visual body 210 to form the air wash inlet 31. In addition,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some of the plurality of tank body extension parts 380 are disposed in the water tank 300, and the remaining of the plurality of tank body extension parts 380 are disposed in the visual body 210 to provide an air wash inlet ( 31) can be configured. In addition,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air wash inlet 31 may be formed in a separate configuration from the visual body 210 and the water tank 300. In addition,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ening surface may be formed in the visual body 210 to form the air wash inlet 31, and the opening surface may also be formed in the water tank 300 to form the air wash inlet 31.

즉,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수조(300) 또는 비주얼바디(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수조(300) 및 비주얼바디(210)의 결합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를 수조(300) 및 비주얼바디(210)와 구분되는 별도의 구성에 배치한 후, 이를 수조(300) 및 비주얼바디(210)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상기 수조(300) 및 비주얼바디(210)의 결합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air wash inlet 31 may be disposed in at least one of the water tank 300 or the visual body 210. The air wash inlet 31 may be form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water tank 300 and the visual body 210. The air wash inlet 31 may be disposed in a separate configuration from the water tank 300 and the visual body 210, and then disposed between the water tank 300 and the visual body 210. The air wash inlet 31 may be form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water tank 300 and the visual body 210.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에어워시모듈(200)의 측부에 배치되고, 가습유로(106)와 연결된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가습연결유로(105)와 연통 또는 연결될 수 있다. The air wash inlet 31 is disposed at the side of the air wash module 200 and is connected to the humidifying passage 106. The air wash inlet 31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or connected to the humidification connecting passage 105.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가습매체(50)에 물을 공급하는 기능이 있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가습과정을 시각화하는 기능이 있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에어워시모듈(200) 내부에 레인뷰를 구현하는 기능이 있다. The watering unit 400 has a function of supplying water to the humidifying medium 50. The watering unit 400 has a function of visualizing the humidification process. The watering unit 400 has a function of implementing a rain view inside the air wash module 200.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워터링하우징(800)을 회전시켜 상기 수조 내부의 물을 흡입하고, 흡입된 물을 상측으로 양수하고, 양수된 물을 반경방향 바깥으로 분사한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물을 내부로 흡입하고, 흡입된 물을 상측으로 양수한 후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분사시키는 워터링하우징(800)을 포함한다.The watering unit 400 rotates the watering housing 800 to suck water in the water tank, pump the sucked water upwards, and spray the pumped water radially outward. The watering unit 400 includes a watering housing 800 that sucks water into the inside, pumps the sucked water upward, and sprays it outward in a radial direction.

본 실시예에서는 물을 분사시키기 위해 워터링하우징(800)을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워터링하우징(800) 대신 노즐을 사용하여 물을 분사하여도 무방하다. 노즐에서 물을 분사하여 가습매체(50)에 물을 공급할 수 있고, 레인뷰도 유사하게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노즐에서 물을 분사하고, 노즐을 회전시킬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watering housing 800 is rotated to spray water.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water may be sprayed using a nozzle instead of the watering housing 800. Water may be supplied to the humidifying medium 50 by spraying water from the nozzle, and rainview may be similarly impleme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water may be sprayed from the nozzle and the nozzle may be rotated.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에서 분사된 물이 상기 가습매체(50)를 적신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에서 분사된 물은 상기 비주얼바디(210) 또는 가습매체(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향해 분사될 수 있다. Water sprayed from the watering housing 800 wets the humidifying medium 50. Water sprayed from the watering housing 800 may be sprayed toward at least one of the visual body 210 or the humidifying medium 50.

비주얼바디(210)를 향해 분사되는 물은 레인뷰를 구현할 수 있다. 가습매체(50)를 향해 분사되는 물은 여과공기를 가습하는데 이용된다. 비주얼바디(210)를 향해 물을 분사하여 레인뷰를 구현한 후, 비주얼바디(210)에서 흘러내린 물이 가습매체(50)를 적시도록 구현할 수 있다. Water sprayed toward the visual body 210 may implement a rain view. Water sprayed toward the humidifying medium 50 is used to humidify the filtered air. After spraying water toward the visual body 210 to implement the rainview, water flowing down from the visual body 210 may be implemented to wet the humidifying medium 50.

본 실시예에서는 워터링하우징(800)에 높이가 다른 복수개의 분사구를 배치한다. 어느 하나의 분사구에서 토출된 물이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에 액적을 형성하여 레인뷰를 구현하고, 나머지 하나의 분사구에서 토출된 물이 가습매체(50)를 적셔 가습에 이용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jets having different heights are disposed in the watering housing 800. Water discharged from any one of the injection holes to form a drople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visual body 210 to implement a rain view,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other injection port is used to humidify the humidifying medium 50.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은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을 향해 물을 분사하고, 분사된 물은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을 따라 아래로 흘러내린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에는 물방울 형태로 맺힌 액적이 형성되고, 사용자는 상기 비주얼바디(210)를 통해 상기 액적을 볼 수 있다. The watering housing 800 sprays water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visual body 210, and the sprayed water flows down along the inner side of the visual body 210. Droplets formed in the form of water droplets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visual body 210, the user can see the droplets through the visual body 210.

특히, 비주얼바디(210)에서 흘러내린 물은 가습매체(50)를 적셔 가습에 이용된다. 상기 가습매체(50)는 워터링하우징(800)에서 분사된 물 및 비주얼바디에서 흘러내린 물에 의해 적셔질 있다. In particular, the water flowing down from the visual body 210 is used to humidify the humidifying medium 50. The humidifying medium 50 may be wetted by water sprayed from the watering housing 800 and water flowing down from the visual body.

상기 비주얼바디(210)는 상기 수조(300)와 결합되고, 상기 수조(300)의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적어도 일부는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The visual body 210 is coupled to the water tank 300 and is located above the water tank 300. At least a portion of the visual body 210 is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see through the inside.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바깥쪽에 디스플레이모듈(16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비주얼바디(210) 또는 어퍼바디(12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The display module 160 may be disposed outside the visual body 210. The display module 160 may be coupled to any one of the visual body 210 and the upper body 120.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레인뷰를 관찰할 수 있는 시선 상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상기 어퍼바디(120)에 배치된다. The display module 160 is disposed on a line of sight through which the rain view can be observ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play module 160 is disposed on the upper body 120.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거치될 때,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외측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에 밀착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는 빛을 반사하는 재질로 형성되거나 코팅될 수 있다. When the air wash module 200 is mounted, the outer surface of the visual body 2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display module 160. At least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60 may be formed or coated with a material that reflects light.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맺힌 액적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표면에도 투영된다. 그래서 사용자는 상기 비주얼바디(210) 및 디스플레이모듈(160) 2군데에서 액적의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다. Droplets formed on the visual body 210 are projected onto the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60. Thus, the user can observe the movement of the droplets in two places of the visual body 210 and the display module 160.

상기 수조(300)는 공기가 소통되는 에어워시유입구(31)가 형성된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연결유로(103) 및 가습유로(106)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연결유로(103)의 출구이고, 가습유로(106)의 입구이다. The water tank 300 is formed with an air wash inlet 31 through which air is communicated. The air wash inlet 31 is located between the connecting passage 103 and the humidifying passage 106. The air wash inlet 31 is an outlet of the connecting passage 103 and is an inlet of the humidifying passage 106.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에서 공급된 여과공기는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를 통해 상기 에어워시모듈(200) 내부로 유동된다. The filtered air supplied from the air clean module 100 flows into the air wash module 200 through the air wash inlet 31.

상기 가습매체(50)는 가습유로(106) 입구에 배치되는 수조가습매체(51) 및 가습유로(106) 출구에 배치되는 토출가습매체(55)를 포함한다. 상기 가습유로(106)의 출구와 토출유로(107)의 입구는 서로 연결된다. 그래서 상기 토출가습매체(55)가 토출유로(107)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The humidifying medium 50 includes a water tank humidifying medium 51 disposed at the inlet of the humidifying passage 106 and a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55 disposed at the outlet of the humidifying passage 106. The outlet of the humidifying passage 106 and the inlet of the discharge passage 107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us,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55 may be disposed in the discharge passage 107.

상기 연결유로(103), 가습유로(106) 및 토출유로(107)는 덕트 등과 같은 구조물을 통해 형성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 경계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렵다. 다만, 가습이 이루어지는 가습유로(106)를 수조가습매체(51) 및 토출가습매체(55) 사이로 정의할 경우, 연결유로(103) 및 토출유로(107)가 자연스럽게 정의된다. Since the connection passage 103, the humidifying passage 106, and the discharge passage 107 are not formed through a structure such as a duct, it is difficult to clearly distinguish the boundary. However, when the humidifying passage 106 in which the humidification is performed is defined between the water tank humidifying medium 51 and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55, the connecting passage 103 and the discharge passage 107 are naturally defined.

상기 연결유로(103)는 송풍하우징(150) 및 수조가습매체(51) 사이로 정의된다. 상기 토출유로(107)는 토출가습매체(55) 이후로 정의된다. . The connection passage 103 is defined between the air blowing housing 150 and the tank humidifying medium 51. The discharge passage 107 is defined after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55. .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조가습매체(51)는 수조(300)의 에어워시유입구(31)에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water tank humidifying medium 51 is disposed at the air wash inlet 31 of the water tank 300.

상기 수조가습매체(51)는 에어워시유입구(31)와 동일 평면상, 바깥쪽, 또는 안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수조가습매체(51)는 가습을 위해 물이 적셔지기 때문에,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의 안쪽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ath humidifying medium 51 may be located on at least one of the same plane, the outside, or the inside of the air wash inlet 31. Since the water tank humidifying medium 51 is wetted for humidifica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water tank humidifying medium 51 is located inside the air wash inlet 31.

상기 수조가습매체(51)를 적신 후 흘러내린 물은 상기 수조(300)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조가습매체(51)를 적신 후 흘러내린 물이 상기 수조(300) 외부로 흘러내지지 않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water flowing down after wetting the water tank humidifying medium 51 is stored in the water tank 300. It is preferable that the water flowing after the water bath humidifying medium 51 flows out of the water tank 300 does not flow out.

그래서 상기 수조가습매체(51)는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를 통과하는 여과공기에 대해 가습을 제공한다. Thus, the bath humidifying medium 51 provides humidification to the filtered air passing through the air wash inlet 31.

상기 가습매체(50)에서 자연증발된 물에 의해 여과공기가 가습된다. 상기 자연증발은 별도의 열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물이 증발되는 것을 말한다. 공기와의 접촉이 증가할수록, 공기의 유속이 빨라질수록, 공기 중의 압력이 낮아질수록 자연증발이 촉진된다. 상기 자연증발을 자연기화라고 지칭하기도 한다. Filtered air is humidified by water naturally evaporated from the humidifying medium 50. The spontaneous evaporation refers to the evaporation of water without additional heat. As the contact with the air increases, the faster the flow rate of the air, the lower the pressure in the air, the spontaneous evaporation is promoted. The natural evaporation may also be referred to as natural vaporization.

상기 가습매체(50)는 물의 자연증발을 촉진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매체(50)는 물에 적셔지지만, 수조(300)에 잠기지는 않는다.The humidifying medium 50 promotes natural evaporation of water. In this embodiment, the humidifying medium 50 is wetted with water, but is not immersed in the water tank 300.

상기 수조(300)에 저장된 물과 이격되고, 분리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수조(300)에 저장된 물이 있어도 수조가습매체(51) 및 토출가습매체(55)는 항상 적셔진 상태가 아니다. 즉, 가습모드로 작동될 때에만 수조가습매체(51) 및 토출가습매체(55)가 적셔진 상태이고, 공기청정모드로 작동될 때에는 수조가습매체(51) 및 토출가습매체(55)가 건조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Since the water is separated from the water tank 300 and disposed separately, the water tank humidification medium 51 and the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55 are not always wet even if there is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300. That is, the bath humidifying medium 51 and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55 are wetted only when the humidification mode is operated, and when the tank humidifying medium 51 and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55 are dried when the air humidifying mode is operated. Can be maintained.

상기 수조가습매체(51)는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를 커버하고, 공기는 상기 수조가습매체(51)를 관통하여 상기 수조(300) 내부로 유동된다. The water tank humidifying medium 51 covers the air wash inlet 31, and air flows through the water tank humidifying medium 51 to flow into the water tank 300.

상기 토출가습매체(55)는 가습유로(106)의 출구 또는 토출유로(107) 입구에 배치될 수 있다.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55 may be disposed at the outlet of the humidifying passage 106 or the inlet of the discharge passage 107.

본 실시예에서 상기 토출가습매체(55)는 비주얼바디(21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토출가습매체(55)는 비주얼바디(210)에 거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토출가습매체(55)는 탑커버어셈블리(230)의 저면에 결합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55 is disposed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visual body 210.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55 is mounted on the visual body 210.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55 may be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cover assembly 230.

상기 토출가습매체(55)는 상기 토출유로(107)를 커버하고, 가습공기는 상기 토출가습매체(55)를 관통한 후, 토출유로(107)로 유동된다.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55 covers the discharge passage 107, and the humidifying air passes through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55 and then flows to the discharge passage 107.

이하 탑커버어셈블리(230)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top cover assembly 230 will be described.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에어워시모듈에서 탑커버어셈블리가 분리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탑커버어셈블리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탑커버어셈블리에서 상부조작하우징이 분리된 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5 is a perspective view in which the top cover assembly is separated from the air wash module shown in FIG. 2,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p cover assembly of FIG. 5, and FIG. 7 is an upper operation housing separated from the top cover assembly of FIG. 6.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een from the lower side of FIG.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조(300) 및 비주얼바디(210)는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수조(300)는 비주얼바디(210)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중사출을 통해 상기 수조(300)의 일부 구성을 투명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비주얼바디(210)는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되지 않는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ater tank 300 and the visual body 210 are manufactured as separate components.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water tank 300 may be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 visual body 210. For example, some components of the water tank 30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through double injection. In this case, the visual body 210 is not manufactured as a separate component.

본 실시예에서는 탑커버어셈블리(230)가 비주얼바디(210)에 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실시예와 달리 비주얼바디(210)가 수조(300)와 일체화되는 경우, 수조(300)의 개구된 상측에 거치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op cover assembly 230 is described as being mounted on the visual body 210, but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visual body 210 is integrated with the water tank 300, the opening of the water tank 300 It can be mounted on the upper side.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비주얼바디(210)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토출유로(107)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급수를 위한 급수유로(109)도 제공한다.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top cover assembly 230 may be detachably mounted to the visual body 210. The top cover assembly 230 not only provides a discharge passage 107 but also provides a water supply passage 109 for water supply.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토출가습매체(55)의 상측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토출가습매체(55)가 배치된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이 배치하고,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 상부에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가 배치된다.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은 비주얼바디(210)의 상부에 거치된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의 상부에 거치된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과 일체로 조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탑커버어셈블리(230) 및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이 각각 제작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op cover assembly 230 is located above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55.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housing 1400 in which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55 is disposed is disposed, and the top cover assembly 230 is disposed on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housing 1400.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housing 1400 is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visual body 210. The top cover assembly 230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housing 1400. The top cover assembly 230 may be integrally assembled with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housing 140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op cover assembly 230 and the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housing 1400 are manufactured, respectively.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비주얼바디(210)에 거치되어 지지되고,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에는 하중을 가하지 않는다. The top cover assembly 230 is mounted on and supported by the visual body 210, and does not apply a load to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housing 1400.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은 토출가습매체(55)가 내부에 배치되고, 비주얼바디(210)의 상부를 커버한다. 급수유로(109)는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을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토출유로(107)는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을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housing 1400 has a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55 disposed therein and covers an upper portion of the visual body 210. The water supply passage 109 is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housing 1400. The discharge passage 107 is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housing 1400.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토출유로(107) 및 급수유로(109)를 형성하는 탑커버그릴(232)과, 상기 탑커버그릴(232)에 설치되는 조작모듈(240)과, 상기 조작모듈(240)에 전원 또는 신호를 제공하는 탑커넥터(270)를 포함한다. The top cover assembly 230 includes a top cover grill 232 forming a discharge passage 107 and a water supply passage 109, an operation module 240 installed on the top cover grill 232, and the operation module. Top connector 270 that provides power or a signal to 240.

상기 탑커버그릴(232)은 토출유로(107)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그릴토출구(231)와 급수유로(109)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그릴급수구(233)를 포함한다. 상기 그릴토출구(231) 및 그릴급수구(233)는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그릴급수구(233)는 탑커버그릴(232)의 내측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그릴토출구(231)는 상기 그릴급수구(233)의 외측에 배치된다. The top cover grill 232 includes a grill discharge port 231 form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discharge passage 107 and a grill water supply port 233 form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water supply passage 109. The grill discharge port 231 and the grill water supply port 233 are formed to be op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grill water supply port 233 is disposed at the inner center of the top cover grill 232, and the grill discharge port 231 is disposed outside the grill water supply port 233.

상기 탑커버그릴(232)은 비주얼바디(210)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된다. 상기 탑커버그릴(232)은 비주얼바디(210)의 내측에 거치된다. The top cover grill 232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visual body 210. The top cover grill 232 is mounted to the inside of the visual body 210.

상기 조작모듈(240)은 탑커버그릴(232)에 결합된다. The operation module 240 is coupled to the top cover grill 232.

상기 조작모듈(240)은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조작모듈은 사용자에게 수위정보를 전달한다. 상기 조작모듈(240)에 급수유로(109)가 배치된다. 상기 조작모듈(240)은 탑커넥터(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탑커넥터(270)로부터 전원을 제공받는다. The operation module 240 may receive a user's operation signal. The operation module delivers the water level information to the user. A water supply passage 109 is disposed in the operation module 240. The operation module 24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op connector 270 and receives power from the top connector 270.

상기 조작모듈(240, operation module)은 토출그릴과 결합되고 내측에 급수유로(109) 중 적어도 일부가 형성된 조작하우징(250)과, 상기 조작하우징(250) 내부에 형성된 조작공간(243)과, 상기 조작하우징(250)에 배치된 입력부(245)와, 상기 조작하우징(250)에 배치된 수위표시부(247)와, 상기 입력부(245) 및 수위표시부(247)를 제어하는 입출력제어부(246)를 포함한다. The operation module 240 is coupled to the discharge grill, the operation housing 250 formed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water supply passage 109 therein, the operation space 243 formed inside the operation housing 250, An input unit 245 disposed in the operation housing 250, a water level display unit 247 disposed in the operation housing 250, and an input / output control unit 246 controlling the input unit 245 and the water level display unit 247. It includes.

상기 조작하우징(250)은 상부조작하우징(242) 및 하부조작하우징(244)을 포함한다. The operation housing 250 includes an upper operation housing 242 and a lower operation housing 244.

상기 상부조작하우징(242) 및 하부조작하우징(244) 사이에 상기 조작공간(243)이 형성되고, 상기 조작공간(243)을 물이 침투하지 않도록 실링된다. 상기 조작공간(243)에 상기 입력부(245), 수위표시부(247) 및 입출력제어부(246)가 배치된다. The operation space 243 is formed between the upper operation housing 242 and the lower operation housing 244, and is sealed to prevent water from penetrating the operation space 243. The input unit 245, the water level display unit 247, and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246 are disposed in the operation space 243.

상기 조작모듈(240)에는 급수유로(109)가 형성된다. 상기 조작모듈(240)의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급수유로(109)의 일부가 형성된다. 상기 조작모듈(240)에는 급수유로(109)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조작급수구(2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작급수구(241)는 조작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된다. A water supply passage 109 is formed in the operation module 240. A portion of the water supply passage 109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manipulation module 24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 operation water supply port 241 form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water supply passage 109 may be disposed in the operation module 240. The operation water supply port 241 is disposed inside the operation housing and is formed to open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조작급수구(241)는 이너월(248)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이너월(248)은 상부조작하우징(242) 또는 하부조작하우징(24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부조작하우징(244) 및 이너월(248)이 일체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상부조작하우징(242) 및 이너월(248)이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그래서 상기 상부조작하우징(242), 하부조작하우징(244) 및 이너월(248) 사이에 상기 조작공간(243)이 형성된다. The operation water supply port 241 is formed by an inner wall 248. The inner wall 248 may be disposed in at least one of the upper operation housing 242 or the lower operation housing 244.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wer operation housing 244 and the inner wall 248 are manufactured integrally.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per operation housing 242 and the inner wall 248 may be integrally manufactured. Thus, the operation space 243 is formed between the upper operation housing 242, the lower operation housing 244, and the inner wall 248.

본 실시예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급수유로(109) 상 또는 수조(300)에 상기 정수필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정수필터는 센물을 연수로 정수할 수 있다. 상기 정수필터가 배치될 경우, 조작하우징에 배치되고, 중력에 의해 연수화된 후, 수조(300)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ater filter (not shown) may be installed on the water supply passage 109 or the water tank 300. The water filter may purify hard water by soft water. When the water filter is disposed, it is preferably disposed in the operation housing, softened by gravity, and then moved to the water tank 300.

상기 입력부(245)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패널일 수 있다. 입력부(245)는 정압식 또는 정전용량 방식으로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입력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입력부(245)는 버튼일 수 있다. The input unit 245 may be a touch panel capable of detecting a user's touch manipulation. The input unit 245 may receive a user's touch manipulation in a positive pressure or capacitive manner.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put unit 245 may be a button.

상기 입력부(245)는 상부조작하우징(242) 저면에 배치된다. 상기 입력부(245)는 발광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상기 발광부재에서 빛이 발생될 수 있다.The input unit 245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operation housing 242. A light emitting member (not shown) may be disposed in the input unit 245, and light may be selectively generated from the light emitting member.

예를 들어,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을 필요가 있을 때, 상기 입력부(245)가 발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한 조작신호를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필요가 있을 때, 입력부(245)가 발광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입력한 조작신호에 따라 가습청정장치가 작동될 때, 발광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it is necessary to receive a user's operation signal, the input unit 245 may emit light. For example, when it is necessary to make the user recognize the operation signal input by the user, the input unit 245 may emit light. In addition, when the humidification and cleaning device is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signal input by the user, it may be emitted.

상기 상부조작하우징(242)의 표면은 빛을 선택적으로 투과할 수 있는 재질이 코팅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입력부(245)에서 발광된 빛은 상부조작하우징(242)을 투과할 수 있고, 사용자는 이를 볼 수 있다. 상기 입력부(245)가 발광되지 않을 때, 외부의 빛은 상기 상부조작하우징(242) 표면에서 반사되고, 사용자는 입력부(245)의 위치를 확인할 수 없다. The surface of the upper operation housing 242 may be coated with a material that can selectively transmit light. Thus, the light emitted from the input unit 245 can pass through the upper operation housing 242, the user can see it. When the input unit 245 does not emit light, external light is reflected from the surface of the upper operation housing 242, and the user cannot confirm the position of the input unit 245.

상기 입력부(245)는 아우터경사면(242-2)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수위표시부(247)는 이너경사면(242-1) 하측에 배치된다. The input unit 245 is disposed below the outer slope 242-2. The water level display 247 is disposed below the inner inclined surface 242-1.

입력부(245), 조작급수구(241) 및 수위표시부(247)는 일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입력부(245), 조작급수구(241) 및 수위표시부(247)는 사용자의 시선에서 일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The input unit 245, the operation water supply port 241, and the water level display unit 247 may be disposed in a straight line. In particular, the input unit 245, the operation water supply port 241, and the water level display unit 247 may be disposed in a straight line from the line of sight of the user.

입력부(245)가 전방에 위치되고, 입력부(245) 후방에 조작급수구(241)가 위치되고, 수위표시부(247)가 조작급수구(241)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The input unit 245 may be located at the front, the operation water supply port 241 may be positioned behind the input unit 245, and the water level display unit 247 may b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operation water supply port 241.

그래서 사용자가 상부급수할 때, 조작급수구(241)로 물을 부으면서 수위표시부(247)를 확인할 수 있다. Thus, when the user waters the upper portion, it is possible to check the water level display unit 247 while pouring water into the operation water supply port 241.

상기 조작하우징(250)에 상기 입력부(245)가 표시되는 입력부표시영역(255)과 수위표시부(247)가 표시되는 수위표시영역(257)이 배치된다. An input unit display area 255 on which the input unit 245 is displayed and a water level display area 257 on which the water level display unit 247 is displayed are disposed in the operation housing 250.

상기 이너경사면(242-1) 및 아우터경사면(242-2)은 조작급수구(241)를 기준으로 할때는 경사방향이 반대이지만, 사용자의 시선방향에서는 경사방향이 같을 수 있다. The inner inclined surface 242-1 and the outer inclined surface 242-2 are opposite in the inclined direction when the operation water supply port 241 is referred to, but may be in the inclined direction in the user's eyeline direction.

상기 입력부표시영역(255)은 아우터경사면(242-2)에 배치되고, 수위표시영역(257)은 이너경사면(242-1)에 배치된다. 상기 입력부표시영역(255) 및 수위표시영역(257)은 사용자의 시선에 대해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The input unit display area 255 is disposed on the outer slope surface 242-2, and the water level display region 257 is disposed on the inner slope surface 242-1. The input unit display area 255 and the water level display area 257 may be disposed to be inclined in the sam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ine of sight of the user.

상기 입력부표시영역(255) 및 수위표시영역(257)은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The input unit display area 255 and the water level display area 257 may be inclined forward.

상기 입출력제어부(246)는 상기 입력부(245)의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입력부(245)의 신호를 분석하여 제어부(미도시)에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는 베이스바디(110)에 배치될 수 있다.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246 detects a signal of the input unit 245, analyzes the signal of the input unit 245,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control unit (not shown). The controller may be disposed in the base body 110.

상기 입력부(245)는 상부조작하우징(242)에 은닉될 수 있고, 작동 시에만 발광되어 사용자에게 위치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245), 수위표시부(247) 및 입출력제어부(246)의 전원은 베이스커넥터(260)를 통해 제공받는다. The input unit 245 may be concealed in the upper operation housing 242 and may emit light only during operation to expose a position to the user. The power of the input unit 245, the water level display unit 247, and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246 is provided through the base connector 260.

상기 조작공간(243)은 물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실링된다. 이를 위해 상부조작하우징(242) 및 하부조작하우징(244) 사이에 개스킷(249)이 설치된다. The operation space 243 is sealed to prevent water from penetrating. To this end, a gasket 249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operation housing 242 and the lower operation housing 244.

조작하우징(250) 및 탑커넥터(270)는 각각 제작된 후 조립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부조작하우징(244)을 통해 입출력제어부(246) 및 탑커넥터(270)가 연결된다. 상기 하부조작하우징(244)에는 탑커넥터(270)와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연결홀(244b)이 형성된다. The operation housing 250 and the top connector 270 are each manufactured and assembled. In this embodiment,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246 and the top connector 270 are connected through the lower operation housing 244. The lower operation housing 244 is formed with a connector connection hole 244b for connection with the top connector 270.

상기 탑커넥터(270)의 일부는 상기 커넥터연결홀(244b)을 관통하여 삽입되고, 상기 조작공간(243) 내부의 부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탑커넥터(270)가 하부조작하우징(244)을 통해 결합되기 때문에, 실링구조를 보다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아우터경사면(242-2)으로 물이 흘러내리더라고 상기 커넥터연결홀(244b)로 물이 침투되지 않는다. A portion of the top connector 270 is inserted through the connector connection hole 244b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components inside the manipulation space 243. Since the top connector 270 is coupled through the lower operation housing 244, the sealing structure can be configured more easily. Water does not penetrate into the connector connection hole 244b even though water flows down to the outer inclined surface 242-2.

상기 탑커넥터(270)는 조작모듈(240)과 조립되어 탑커버어셈블리(230)를 구성한다. 상기 탑커넥터(270) 및 베이스커넥터(260)를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탑커버어셈블리(230)를 비주얼바디(210)에 분리가능하게 거치할 수 있고, 베이스바디(110)로부터 전원 또는 전기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The top connector 270 is assembled with the operation module 240 to form the top cover assembly 230. Since the top connector 270 and the base connector 260 can be separated, the top cover assembly 230 can be detachably mounted to the visual body 210, and a power or electric signal from the base body 110 can be mounted. Can transmit and receive.

상기 탑커넥터(270)가 베이스커넥터(260) 상측에 거치될 때, 베이스커넥터(2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탑커넥터(270)가 베이스커넥터(260)에서 분리될 때, 베이스커넥터(260)와 전기적으로 단절된다. When the top connector 270 is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connector 260,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se connector 260, and when the top connector 270 is separated from the base connector 260, the base connector 260. ) Is electrically disconnected.

상기 탑커넥터(270)는 별도의 구조물이 없이, 상기 베이스커넥터(260) 상측에 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탑커버어셈블리(230)가 비주얼바디(210)에 거치될 때, 비주얼바디(210)의 바깥쪽에 탑커넥터(270) 및 베이스커넥터(260)가 위치되는 구조일 수 있다. The top connector 270 may be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connector 260 without a separate structure. For example, when the top cover assembly 230 is mounted on the visual body 210, the top cover 270 and the base connector 260 may be positioned outside the visual body 210.

본 실시예에서는 비주얼바디(210)의 내측에 탑커넥터(270)가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상측에 상기 탑커넥터(270)가 배치되고, 상기 비주얼바디(210) 하측에 상기 베이스커넥터(260)가 배치된다.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since the top connector 270 is positioned inside the visual body 210, the top connector 270 is disposed above the visual body 210, and the top connector 270 is disposed below the visual body 210. Base connector 260 is disposed.

즉, 탑커넥터(270) 및 베이스커넥터(260)는 비주얼바디(210)를 경계로 분리된다. 그래서 상기 탑커넥터(270) 및 베이스커넥터(260)는 비주얼바디(210)를 통해 전원 및 신호를 전달해야 한다.That is, the top connector 270 and the base connector 260 are separated by the boundary of the visual body 210. Therefore, the top connector 270 and the base connector 260 should transmit power and signals through the visual body 210.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탑커넥터(270) 및 베이스커넥터(260)는 직접 접촉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를 통해 전원을 제공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op connector 270 and the base connector 26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direct contact, thereby providing power.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탑커넥터(270) 및 베이스커넥터(260)는 무선통신을 통해 신호를 전달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직접 접촉을 통해 통신 신호를 전달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op connector 270 and the base connector 260 transmit a signal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a communication signal may be transmitted through direct contact.

상기 비주얼바디(210)는 상기 탑커넥터(270)가 거치되는 커넥터거치부(212)가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거치부(212)에 탑커넥터(270)의 적어도 일부가 거치된다. 상기 커넥터거치부(212)의 상측에 탑커넥터(270)가 위치되고, 하측에 베이스커넥터(260)가 위치된다. The visual body 210 has a connector mounting portion 212 on which the top connector 270 is mounted. At least a portion of the top connector 270 is mounted to the connector mounting portion 212. The top connector 270 is positioned above the connector mounting unit 212, and the base connector 260 is positioned below the connector connector 212.

상기 탑커넥터(270)는 상기 커넥터거치부(212)에 거치될 때, 수평이동이 제한된다. 이를 위해 상기 비주얼바디(210)는 상기 탑커넥터(270)의 수평이동을 제한하는 커넥터걸림부(211)가 형성된다. 탑커넥터(270)가 거치될 때, 상기 커넥터걸림부(211)는 탑커넥터(270)의 측부에 밀착된다. When the top connector 270 is mounted on the connector mounting portion 212, horizontal movement is limited. To this end, the visual body 210 has a connector catching portion 211 for limiting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top connector 270 is formed. When the top connector 270 is mounted, the connector catching portion 21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top connector 270.

상기 베이스커넥터(260) 및 탑커넥터(270)는 전기신호를 비접촉 방식으로 통신한다. 베이스커넥터(260) 및 탑커넥터(270) 간의 무선통신을 위해 다양한 통신모듈이 사용될 수 있다. The base connector 260 and the top connector 270 communicate electrical signals in a non-contact manner. Various communication modules may be us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base connector 260 and the top connector 270.

상기 베이스커넥터(260) 및 탑커넥터(270)는 근거리에 배치되기 때문에, 근거리통신에 적합한 IR, Zigbee, NFC, 블루투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Since the base connector 260 and the top connector 270 are disposed at a short distance, IR, Zigbee, NFC, Bluetooth, and the like suitable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may be used.

본 실시예에서는 IR 신호를 통해 베이스커넥터(260) 및 탑커넥터(270)가 통신한다. 상기 IR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상기 커넥터거치부(212)는 IR신호를 통과시킬 수 있는 재질이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넥터거치부(212)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비주얼바디(210) 전체가 빛을 투과할 수 있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커넥터거치부(212)만을 위해 별도의 재질이 배치될 필요는 없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ase connector 260 and the top connector 27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an IR signal. In order to transmit the IR signal, the connector mounting unit 212 should be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passing the IR signal. 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or mounting portion 212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ince the entire visual body 210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that can transmit light, a separate material need not be disposed only for the connector mounting portion 212.

상기 베이스커넥터(260)에는 상기 IR 신호를 투과시킬 수 있는 베이스커넥터윈도우(263)가 배치된다. 상기 탑커넥터(270)에는 상기 IR 신호를 투과시킬 수 있는 탑커넥터윈도우(273)가 배치된다. The base connector 260 is provided with a base connector window 263 that can transmit the IR signal. The top connector 270 is provided with a top connector window 273 capable of transmitting the IR signal.

상기 탑커넥터윈도우(273) 상측에 탑커넥터통신부(275)가 배치된다. 상기 베이스커넥터윈도우(263) 하측에 베이스커넥터통신부(265)가 배치된다. The top connector communication unit 275 is disposed above the top connector window 273. The base connector communication unit 265 is disposed below the base connector window 263.

상기 탑커넥터통신부(275)에서 송신된 신호는 상기 탑커넥터윈도우(273), 커넥터거치부(212) 및 베이스커넥터윈도우(263)를 거쳐 베이스커넥터통신부(265)에서 수신된다.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op connector communication unit 275 is received by the base connector communication unit 265 via the top connector window 273, the connector mounting unit 212, and the base connector window 263.

이와 반대로 베이스커넥터통신부(265)에서 송신된 신호는 베이스커넥터윈도우(263), 커넥터거치부(212) 및 탑커넥터윈도우(273)를 거쳐 탑커넥터통신부(275)에서 수신된다. On the contrary,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ase connector communication unit 265 is received by the top connector communication unit 275 via the base connector window 263, the connector mounting unit 212, and the top connector window 273.

상기 탑커넥터통신부(275)에서 베이스커넥터통신부(265)로 전송되는 신호는 상기 조작모듈(240)에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신호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커넥터통신부에서 탑커넥터통신부(275)로 전송되는 신호는 수위표시부(247)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op connector communication unit 275 to the base connector communication unit 265 may be a user's operation signal input to the operation module 240.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ase connector communication unit to the top connector communication unit 275 may be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water level display unit 247.

상기 베이스커넥터(260) 및 탑커넥터(270)는 전기신호를 이용한 통신뿐 아니라 비주얼바디로부터 커버어셈블리로 전원을 공급한다. 베이스커넥터(260)는 무선전력송신부(277)(410)를 포함하고, 탑커넥터(270)는 무선전력수신부(276)(420)를 포함하여, 비접촉방식으로 비주얼바디로부터 커버어셈블리로 전원을 공급한다. The base connector 260 and the top connector 270 supply power to the cover assembly from the visual body as well as communication using an electrical signal. The base connector 260 includes wireless power transmitters 277 and 410, and the top connector 270 includes wireless power receivers 276 and 420 to supply power from the visual body to the cover assembly in a non-contact manner. do.

탑커버어셈블리가 비주얼바디에 거치되면, 무선전력송신부(277)와 무선전력수신부(276)에 유도기전력이 발생하며, 비주얼바디의 전원부(185)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이 전력수신부의 탑커버어셈블리로 공급된다. When the top cover assembly is mounted on the visual body, induced electromotive force is generated i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77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76, and the power applied from the power unit 185 of the visual body is supplied to the top cover assembly of the power receiver. do.

무선전력송신부(277)와 무선전력수신부(276)는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탑커버어셈블리가 거치된 상태에서 무선전력송신부(277)와 무선전력수신부(276)는 일정거리 이하로 근접하도록 설치된다.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77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76 are dispos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n additio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77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76 are installed in a state where the top cover assembly is moun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탑커버어셈블리가 비주얼바디에 거치되면, 베이스바디로부터 전원부(185)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고, 탑커버어셈블리의 조작모듈로 전원이 공급되어,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터치입력 또는 키입력을 통한 신호입력이 가능해진다. 또한, 입력부를 통한 신호입력에 대응하여 발광모듈이 동작하여 소정의 빛이 발광될 수 있다. 발광모듈이 발광하여 빛을 조사함에 따라, 사용자는 터치조작 또는 키입력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작모듈의 조명이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 등에 의한 키입력에 대응하는 조명이 점등될 수 있다. When the top cover assembly is mounted on the visual body, power is supplied from the base body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185, and power is supplied to the operation module of the top cover assembly, and a signal input is performed through a user's touch input or key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This becomes possible. 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module may operate in response to a signal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to emit light. As the light emitting module emits light and emits light, the user may visually check a touch operation or a key input state. In addition, the illumination of the operation module may operate to illuminate the light corresponding to the key input by the user's touch.

탑커버어셈블리가 비주얼바디로부터 분리되면, 무선전력송신부와 무선전력수신부간의 전원공급은 차단된다. 탑커버어셈블리가 일정거리 미만으로 비주얼바디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는 전원공급이 유지될 수 있으나, 상호 전력공급이 불가능한 거리로 분리되는 경우 전원공급은 즉시 중단된다. When the top cover assembly is separated from the visual body, the power supply betwee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is cut off. If the top cover assembly is separated from the visual body by less than a certain distance, the power supply can be maintained. However, if the top cover assembly is separated from the mutually impossible distance, the power supply is immediately stopped.

비접촉방식의 무선전력전송(WPT)은 유도기전력을 이용하는 전원공급을 설명하나, 이는 일예일뿐,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전력송신부와 무선전력수신부는 각각 베이스커넥터와 탑커넥터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Non-contact wireless power transfer (WPT) describes a power supply using induction electromotive force, but this is only one example, it may be implemented in other ways.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are provided inside the base connector and the top connector, respectively, and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한편,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 하측에는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이 배치된다. 사용자는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에 형성된 조작급수구(241)를 통해 물을 급수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housing 1400 is disposed below the top cover assembly 230. The user may supply water through the operation water supply port 241 formed in the top cover assembly 230.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은, 커버어셈블리가 비주얼바디에 장착되는 경우, 탑커넥터가 안착되기 용이하도록 일측에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토출가습매체하우징는 홈의 형태가 탑커넥터의 형상과 유사하도록 구성된다. When the cover assembly is mounted on the visual body,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housing 1400 may have a groove formed at one side thereof so that the top connector is easily seated.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housing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hape of the groove is similar to that of the top connector.

사용자는 탑커버어셈블리(230)의 상측에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조작급수구(241)로 낙하된 물은 급수캡(1430)의 표면을 따라 흘러 급수레저버(1441)에 일시 저장된 후, 급수구(1445)를 통해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40) 하부로 유동된다. The user may supply water from the upper side of the top cover assembly 230. The water dropped into the operation water supply port 241 flows along the surface of the water supply cap 1430 and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water supply reservoir 1442, and then flows down the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housing 1440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 1445. .

상기 급수구(1445)를 통과한 물은 비주얼바디(210)의 내부로 낙하된 후, 워터링하우징(800) 상부로 낙하된다.After passing through the water inlet 1445, the water falls into the interior of the visual body 210, and then falls to the top of the watering housing 800.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이 회전되는 경우, 상부 급수를 통해 공급된 물은 비주얼바디(210) 내측면으로 비산된다. 이후, 비산된 물은 상기 비주얼바디(210) 내측면을 따라 흘러 수조(300) 내부에 저장되고, 수조(300)의 수위를 상승시킨다. When the watering housing 800 is rotated,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upper water supply is scatter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visual body 210. Then, the scattered water flow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visual body 210 and is stored in the water tank 300 to raise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tank 300.

제어부는 수위센서(135)에서 감지된 신호를 판단하고, 수위표시부(247)에 수조(300)의 수위를 표시한다.The controller determines the signal detected by the water level sensor 135 and displays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tank 300 on the water level display unit 247.

사용자는 상부 급수 시, 수조(300) 내부의 수위를 볼 수 없지만, 조작급수구(241) 주변에 배치된 수위표시부(247)를 통해 상승된 수위를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The user can not see the water level inside the water tank 300 during the upper water supply, but can immediately check the elevated water level through the water level display unit 247 disposed around the operation water supply port 241.

사용자는 상부 급수 중에 수위표시부(247)를 통해 수위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상부급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Since the user can check the water level through the water level display unit 247 during the upper water supply, the upper water supply flow rate can be adjusted.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탑커버어셈블리(230)가 비주얼바디(210)에서 분리가능한 구조로 설명되었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op cover assembly 230 has been described as a structure detachable from the visual body 210.

도 9는 본 발명의 가습청정장치에서 탑커버어셈블리로 전원을 공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9 is a view referred to for explaining a method for supplying power to the top cover assembly in the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베이스바디의 베이스커넥터(260)에는 무선전력송신부가 구비되어, 비접속 방식으로 탑커버어셈블리로 전원을 공급한다. 탑커버어셈블리의 탑커넥터에는 무선전력수신부가 구비된다.As described above, the base connector 260 of the base body is provided with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and supplies power to the top cover assembly in a connectionless manner. The top connector of the top cover assembly is provided with a wireless power receiver.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바디의 무선전력송신부와, 탑커버어셈블리의 무선전력수신부 간의 자기유도방식에 따라 탑커버어셈블리에 전원이 공급된다. As shown in (a) of FIG. 9, power is supplied to the top cover assembly according to a magnetic induction method betwee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of the base body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of the top cover assembly.

베이스바디의 무선전력송신부와, 탑커버어셈블리의 무선전력수신부가 일정거리 근접하여 배치되면, 스위칭제어를 통해 무선전력송신부의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어, 전류흐름에 따른 자기장이 형성된다. Whe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of the base body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of the top cover assembly are disposed close to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through switching control to form a magnetic field according to the current flow.

무선전력수신부의 코일이 무선전력송신부의 자기장의 범위에 위치하게 되면, 무선전력수신부의 코일에 전류가 유도된다. 그에 따라 베이스바디로부터 탑커버오셈블리로 전원이 공급된다. 이러한 무선전력전송 방식은 자기유도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예로하여 설명하나 일 예 일뿐, 자기공진(MR) 방식, 그리고 원거리 마이크로파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When the coil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is located in the range of the magnetic field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 current is induced in the coil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As a result, power is supplied from the base body to the top cover assembly.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is described by using a magnetic induction method as an example, but only one example, a magnetic resonance (MR) method, and a remote microwave method may be used.

무선전력전송을 통해 탑커버어셈블리로 전원이 공급되면,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커버어셈블리에 구비되는 조작모듈, 제 2 디스플레이로 전원이 공급된다.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top cover assembly through wireless power transmission, power is supplied to the operation module and the second display provided in the top cover assembly, as shown in FIG.

전원공급을 통해 조작모듈을 통한 터치 또는 키입력이 가능해진다. 또한, 입력부에 조명이 구비되어 조명이 점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입력부의 조작에 대응하여 조명의 밝기가 변경되거나 소정의 효과음이 출력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enables touch or key input through the operation module. In addition, the input unit is provided with lighting, so that the lighting can be turned on. In some cases, the brightness of the illumination may be changed or a predetermined sound may be output in response to the manipulation of the input unit.

도 10은 본 발명의 가습청정장치의 제어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블록도이다. 10 is a block diagram briefly showing a control configuration of the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청정장치는 입력부(245)를 포함하는 조작모듈(240), 디스플레이모듈이 포함된 디스플레이모듈(160), 복수의 센서, 전기집진부(500), 송풍모터(22), 수차모터(42), 통신부(181), 그리고 동작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0, the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includes an operation module 240 including an input unit 245, a display module 160 including a display module, a plurality of sensors,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500, and a blower motor 22. ), The aberration motor 42, the communication unit 181, and a control unit 190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가습청정장치는 가스센서(131), 먼지센서(133), 온도센서(124), 습도센서(134), 수위센서(135), 필터센서(127)를 포함한다. 그외 다양한 센서가 설치될 수 있으나 그외의 센서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The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includes a gas sensor 131, a dust sensor 133, a temperature sensor 124, a humidity sensor 134, a water level sensor 135, and a filter sensor 127. Various other sensors may be installed, but other sensors will not be described.

먼지센서(133)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흡입된 공기로부터 먼지를 감지한다. 먼지센서(133)는 공기중 먼지 농도를 감지하여 제어부(190)로 입력한다. 먼지센서(133)는 먼지입자 크기별로 먼지의 농도를 감지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PM 1.0, PM 2.5, 및 PM 10.0인 먼지의 농도를 구분하여 감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ust sensor 133 detects dust from sucked air. The dust sensor 133 detects the concentration of dust in the air and inputs it to the controller 190. The dust sensor 133 may detect the concentration of dus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ust particles, and in this embodiment, may distinguish and detect the concentration of dusts of PM 1.0, PM 2.5, and PM 10.0.

가스센서(131)는 흡입된 공기로부터 냄새의 농도를 감지한다. 가스센서(131)는 실내공기에 포함된 냄새물질의 농도를 감지하고, 음식물 냄새뿐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가스 농도를 감지한다. The gas sensor 131 detects the concentration of odor from the sucked air. The gas sensor 131 detects the concentration of odorous substances contained in the indoor air, and detects the concentration of gas in various forms as well as the smell of food.

온도센서(124)는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고, 습도센서(134)는 흡입되는 공기의 습도를 감지한다. 이때, 흡인되는 공기의 온도와 습도는 실내공기의 온도와 습도이므로 감지된 온도와 습도를 바탕으로 제어부(190)는 동작을 변경하거나 가습모듈을 제어하여 가습 정도를 조절한다. The temperature sensor 124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inhaled air, and the humidity sensor 134 senses the humidity of the inhaled air. At this time, since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air to be sucked are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indoor air, the controller 190 changes the operation or controls the humidification module based on the detected temperature and humidity.

수위센서(135)는 수조(300) 내에 수용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한다. 수위센서는 수조의 물의 높이를 통해 수조내에 물이 만수상태인지 또는 물이 없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The level sensor 135 detects the level of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tank 300. The water level sensor detects whether the water in the tank is full or no water through the height of the water in the tank.

필터센서(127)는 필터어셈블리(10)가 바디로부터 오픈되는 경우를 감지할 수 있고, 또한, 필터어셈블리(10) 내에 설치되는 필터(14)의 탈거 여부를 감지한다. 필터센서(127)는 필터가 정상적으로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어느 하나의 필터가 삽입되지 않은 경우 필터없음을 감지한다. The filter sensor 127 may detect the case where the filter assembly 10 is opened from the body, and also detect whether the filter 14 installed in the filter assembly 10 is removed. The filter sensor 127 detects whether a filter is normally inserted, and detects no filter when one filter is not inserted.

입력부(245)는 조작모듈(240)로써, 복수의 키 또는 터치수단이 구비되어,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는다. 입력부(245)는 탑커버어셈블리(230)의 상면에 배치되어 가습청정장치의 동작에 대한 명령 및 동작모드를 설정한다. The input unit 245 is an operation module 240 an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keys or touch means and receives a command from a user. The input unit 245 is disposed on the top surface of the top cover assembly 230 to set a command and an operation mode for the operation of the humidification cleaning apparatus.

이때, 조작모듈(240)은 탑커버어셈블리(230)에 구비됨에 따라, 탑커버어셈블리(230)가 오픈되어 베이스바디(110)로부터 탈거되는 경우, 바디로부터의 전원공급이 차단됨에 따라 동작하지 않는다. In this case, as the operation module 240 is provided in the top cover assembly 230, when the top cover assembly 230 is opened and removed from the base body 110, the operation module 240 does not operate as the power supply from the body is cut off. .

탑커버어셈블리(230)와 바디는, 탑커버어셈블리(230)가 바디에 장착되는 경우 접촉단자를 통해 연결됨에 따라 조작모듈(240)로 전원이 공급되고, 입력부(245)의 키입력에 따른 신호가 제어부(190)로 입력된다. When the top cover assembly 230 and the body are mounted on the body, power is supplied to the operation module 240 as the top cover assembly 230 is connected to the body, and a signal according to a key input of the input unit 245 is provided. Is input to the controller 190.

제어부(190)는 접촉단자 또는 구비되는 커버감지부의 센서를 통해 탑커버어셈블리(230)의 탈거 여부를 감지하여, 커버오픈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90 may detect whether the top cover assembly 230 is removed through a contact terminal or a sensor provided in the cover sensing unit to determine a cover open state.

디스플레이모듈(160)은 가습청정장치의 동작상태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모듈(160)은 문자, 숫자, 아이콘 또는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동작상태를 출력한다. The display module 160 displays an operation state of the humidification cleaning device. The display module 160 outputs an operation state by at least one combination of letters, numbers, icons, and images.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조작모듈(240)의 키입력에 따라 설정되는 동작모드에 대한 정보 및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냄새 또는 먼지의 농도를 표시하고, 측정되는 온도와 습도를 표시할 수 있으며, 가습기능에 따른 습도 설정과, 네트워크 연결상태, 수조의 상태 등을 표시한다. The display module 160 may display the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mode set according to the key input of the operation module 240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smell or dust detected through the sensor, and display the measured temperature and humidity. It displays the humidity setting according to the function, network connection status and the status of the tank.

또한, 디스플레이모듈(160)의 하나인 라이팅부(165)는 점등되어 가습청정장치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고, 또한 냄새 또는 먼지의 농도에 대응하여 상이한 색상으로 점등됨에 따라 실내 환경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In addition, the lighting unit 165, which is one of the display modules 160, is turned on to indicate an operation state of the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and also outputs information on the indoor environment as it is lit in different colors in response to the concentration of odor or dust. do.

송풍모터(22)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송풍팬을 회전동작시켜, 실내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에어클린모듈(100)을 통과하여 에어워시모듈(200)로 송풍한다. 송풍모터의 회전속도는 입력부의 바람세기 설정에 따라 변경된다.As described above, the blower motor 22 rotates the blower fan, sucks indoor air, and blows the sucked air to the air wash module 200 through the air clean module 100. The rotation speed of the blower motor is changed according to the wind strength setting of the input unit.

수차모터(42)는 수조(300)에 수용됨 물을 흡입하여 분사되도록 한다. 수차모터(42)는 수조에 구비되는 수차(44)를 회전시켜 수조의 물을 흡입하여 분사되도록 한다. 수차모터(42)에 의해 물이 분사되면, 에어워시모듈(200)을 통과하는 공기가 가습되어 실내로 토출된다. The aberration motor 42 sucks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tank 300 to be sprayed. The aberration motor 42 rotates the aberration 44 provided in the water tank so as to suck and spray water from the water tank. When water is injected by the aberration motor 42,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ir wash module 200 is humidified and discharged to the room.

또한, 가습청정장치의 수조에는 수조(300)의 바닥부분에 설치되어 수조 및 수조에 수용된 물을 살균하는 자외선부(136)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자외선부는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램프로 구성되고, 소정 시간 온(ON) 상태를 유지한 후 일정시간 오프되는 것을 반복한다. 이때, 자외선부가 동작하는 시간은, 수조 내의 물을 살균하기 충분한 시간이다. In addition, the water tank of the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ultraviolet unit 136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300 to sterilize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tank and the water tank. The ultraviolet portion is composed of a lamp for generating ultraviolet rays, and repeatedly turns off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maintaining the ON state for a predetermined time. At this time, the time for the ultraviolet ray operation is sufficient to sterilize the water in the water tank.

통신부(181)는 사용자의 휴대기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사용자의 휴대기기에 가습청정장치의 상태를 전송한다. 또한, 통신부(181)는 사용자의 휴대기기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하여 제어부(190)로 인가한다. 통신부(181)는 사용자의 핸드폰 또는 태블릿 등과 같은 휴대기기와 WLAN(Wireless LAN, Wi-Fi), 3G 또는 4G LTE 등과 같은 무선통신, 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등을 통하여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통신부(181)가 휴대기기와 연결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모듈(160)에는 통신연결상태가 아이콘으로 표시된다. The communication unit 181 is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mobile device of the user and transmits the state of the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to the mobile device of the user.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81 receives a user's command input through the user's mobile device and applies it to the controller 190. The communication unit 181 is a mobile device such as a user's mobile phone or tablet and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WLAN (Wireless LAN, Wi-Fi), 3G or 4G LTE,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communication (IrDA) Association may be connected wirelessly. When the communication unit 181 is connected to the mobile device, the display module 160 displays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state as an icon.

전기집진부(500)는 가습청정장치에 장착되어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입자를 대전시켜 집진한다.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500 is mounted on the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to charge and collect dust particles contained in the air.

전기집진부(500)는 복수의 필터(14)가 설치되는 필터어셈블리(10)에 설치될 수 있다. 전기집진부(500)는 전기장을 형성하는 대전부와, 대전부에 의해 대전된 먼지입자가 집진되는 집진부를 포함한다. 공기가 대전부를 통과한 후 집진부를 통과하는 동안, 공기 중의 먼지는 집진부에 포집된다. 대전부는 방전전극들과, 방전전극들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대향전극들을 포함하고, 먼지는 서로 마주보는 방전전극과 대향전극 사이의 코로나 방전에 의해 대전된다.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500 may be installed in the filter assembly 10 in which the plurality of filters 14 are installed.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500 includes a charging unit for forming an electric field, and a dust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dust particles charged by the charging unit. While the air passes through the dust collector after passing through the charging unit, dust in the air i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or. The charging unit includes discharge electrodes and counter electrode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discharge electrodes, and dust is charged by corona discharge between the discharge electrodes facing each other and the counter electrodes.

전원부(185)는 공급되는 전원을 정류 및 평활하고, 동작에 필요한 전압으로 변경하여 각 부로 공급한다. 또한, 전원부(185)는 바디로부터 분리되는 탑커버어셈블리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185)는 비접촉 방식으로 탑커버어셈블리로 동작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베이스바디에 구비되는 무선전력송신부와, 탑커버어셈블리에 구비되는 무선전력수신부를 포함한다. The power supply unit 185 rectifies and smoothes the supplied power, changes the voltage to a voltage required for operation, and supplies the power to each unit.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185 supplies power to the top cover assembly separated from the body. The power supply unit 185 includes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provided in the base body and a wireless power receiver provided in the top cover assembly to supply operating power to the top cover assembly in a non-contact manner.

제어부(190)는 입력부(245) 또는 통신부(181)를 통하여 입력된 명령에 따라 동작을 시작하거나 종료하고, 동작모드를 설정한다. 제어부(19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고, 하드웨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The controller 190 starts or ends an operation according to a command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245 or the communication unit 181, and sets an operation mode. The controller 190 may be implemented by one or more processors and may be implemented by a hardware device.

제어부(190)는 동작모드에 따라 전기집진부(500), 송풍모터(22), 수차모터, 이온발생부(137) 및/또는 자외선부(136)를 제어하고, 라이팅부(165), 디스플레이모듈(160) 및/또는 통신부(181)를 통하여 사용자에 가습청정장치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거나 알릴 수 있다.The controller 190 controls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500, the blower motor 22, the aberration motor, the ion generator 137 and / or the ultraviolet unit 136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and the lighting unit 165 and the display module. The operation state of the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may be displayed or notified to the user through the 160 and / or the communication unit 181.

제어부(190)는 복수의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동작모드를 변경하거나 설정을 변경할 수 있고, 또한, 센서의 데이터로부터 가습청정장치의 고장 또는 이상동작을 판단하여 디스플레이모듈(160) 또는 통신부(181)를 통해 에러를 출력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90 may change an operation mode or change a setting in response to data sensed by a plurality of sensors, and may also determine the display module 160 or the communication unit by determining a failure or abnormal operation of the humidification cleaner from the data of the sensor. An error may be output through 181.

또한, 제어부(190)는 탑커버어셈블리가 비주얼바디에 거치되는 것을 입력되는 감지신호로 판단하여 무선전력송신부를 통해 탑커버어셈블리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90 determines that the top cover assembly is mounted on the visual body as an input sensing signal and controls the power to be supplied to the top cover assembly through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제어부(190)는 탑커버어셈블리에 구비되는 입력부의 신호를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그에 따라 동작모드를 설정하여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90)는 탑커버어셈블리의 입력부로부터 대기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전원부로 제어명령을 인가하여, 비주얼 바디가 대기전압으로 동작하도록 하고, 또한, 탑커버어셈블리도 공급되는 전압을 제어한다. The controller 190 receives a signal from the input unit included in the top cover assembly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sets an operation mode to control the operation. When the standby mode is set from the input unit of the top cover assembly, the controller 190 applies a control command to the power supply unit so that the visual body operates at the standby voltage, and also controls the voltage supplied to the top cover assembly.

도 11은 가습청정장치의 전력공급 및 통신을 위한 제어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블록도이다. 1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trol configuration for power supply and communication of the humidification and cleaning device.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부(185)는 베이스바디(110)로 동작전원을 공급하고, 또한, 무선전력송신부(410)와, 무선전력수신부(420)를 포함하여 베이스바디로부터 탑커버어셈블리(230)로 전원을 공급한다. As shown in FIG. 11, the power supply unit 185 supplies operating power to the base body 110, and also includes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410 and a wireless power receiver 420 to cover the top cover from the base body. Supply power to 230.

탑커버어셈블리(230)에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조작모듈과,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고, 조작모듈과 디스플레이부는 무선전력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한다. The top cover assembly 230 includes an operation module including an input unit and a display unit, and the operation module and the display unit operate by receiving power received by the wireless power receiver.

제어부(190)는 커버감지부(440)의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탑커버어셈블리가 비주얼바디로부터 분리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무선전력송신부(410)의 동작을 제어한다. The controller 190 determines whether the top cover assembly is separated from the visual body in response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cover detector 440,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410 accordingly.

제어부(190)는, 탑커버어셈블리가 분리되는 경우, 전원공급이 불가능하므로, 무선전력송신부를 차단하여 불필요하게 전원이 인가되지 않도록 한다. When the top cover assembly is separated, the control unit 190 cannot supply power, thereby blocking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to prevent unnecessary power supply.

또한, 제어부(190)는 입력부를 통해 대기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전원부를 제어하여 대기모드로 동작하고, 대기모드상태에서 신호를 입력받기 위해 탑커버어셈블리로 대기모드에 따른 전압이 인가되도록 한다. 즉 대기모드상태에서 탑커버어셈블리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경우, 입력부가 동작하지 않게 되므로, 동작설정 또는 대기모드 해제에 따른 입력을 받을 수 없으므로, 대기모드 설정에 따른 전압이 탑커버어셈블리로 인가되도록 전원부를 제어한다. In addition, when the standby mode is set through the input unit, the controller 190 controls the power supply unit to operate in the standby mode, so that a voltage according to the standby mode is applied to the top cover assembly to receive a signal in the standby mode state. That is, when the power supplied to the top cover assembly is cut off in the standby mode, the input unit does not operate. Therefore, the input according to the operation setting or the release of the standby mode cannot be received, so the voltage according to the standby mode setting is applied to the top cover assembly. Control the power supply as much as possible.

탑커버어셈블리는 무선전력수신부를 통해 입력부와 제 2 디스플레이부에 전압이 인가되고, 입출력을 제어하는 입출력제어부(246)(470)가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제 2 디스플레이부의 출력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제 3 통신부를 통해 베이스바디로 전송한다. In the top cover assembly, a voltage is applied to the input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through the wireless power receiver, and the input / output controllers 246 and 470 controlling the input / output control the output of the second display unit in response to a signal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The data is transmitted to the base body through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제 2 통신부는 수신되는 데이터는 제어부(190)로 입력하고, 제어부에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동작을 제어한다.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inputs the received data to the controller 190 and controls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data input to the controller.

또한,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외에도, 베이스바디와 탑커버어셈블리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베이스바디에 제 2 통신부, 탑커버어셈블리에 제 3 통신부가 구비된다. 제 2 통신부와 제 3 통신부는, 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등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되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WIFI 등의 다른 무선통신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a second communication unit is provided in the base body and a third communication unit is provided in the top cover assembly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between the base body and the top cover assembly.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and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are wirelessly connected through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Other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WIFI may be applied. .

정상모드에서, 입력부를 통해 대기모드가 설정되면, 입출력제어부(246)(470)는 대기모드 설정에 따른 데이터를 제 3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고, 제어부(190)는 대기모드 설정에 따라 에어클린모듈(100) 및 에어워시모듈(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90)는 무선전력송신부로부터 탑커버어셈블리로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한다. 그에 따라, 대기모드가 설정되어, 무선전력수신부를 통해 인가되는 전압이 대기모드에 따른 저전압으로 변경된다. In the normal mode, when the standby mode is set through the input unit, the input / output controllers 246 and 470 transmit data according to the standby mode setting through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and the controller 190 controls the air clean module according to the standby mode setting.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100 and the air wash module 200. In addition, the controller 190 controls the voltage applied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to the top cover assembly. Accordingly, the standby mode is set, and the voltage applied through the wireless power receiver is changed to the low voltage according to the standby mode.

대기모드에 따른 전압은 입력부의 키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고, 그외의 동작에 대하여 전원공급이 차단된다. 경우에 따라 제 2 디스플레이부 중 일부가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디스플레이부 중, 대기모드 설정상태를 알리는 알림표시는 유지하되, 나머지 표시는 모두 오프되도록 할 수 있다. The voltage according to the standby mode is used to receive the key input of the input unit, and the power supply is cut off for other operations. In some cases, some of the second display units may be operated. For example, the second display unit may maintain the notification display indicating the standby mode setting state, but may turn off all remaining displays.

입력부를 통해 대기모드 해제가 선택되면, 입출력제어부(246)(470)는 대기모드 해제에 따른 데이터를 제 3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고, 제어부(190)는 대기모드를 해제하고 정상모드로 동작하도록 전원을 공급하여 에어클린모듈과 에어워시모듈이 각각 설정에 따라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90)는 무선전력송신부로부터 일반전압이 인가되도록 한다. 탑커버어셈블리는 일반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모든 동작이 정상 동작하게 된다. When the standby mode release is selected through the input unit, the input / output controllers 246 and 470 transmit data corresponding to the standby mode release through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and the controller 190 releases the standby mode and operates the power supply to operate in the normal mode. Control the air clean module and air wash module to operate according to their settings. In addition, the controller 190 allows a general voltage to be applied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s the top cover assembly is applied with a general voltage, all operations are normally performed.

도 12는 탑커버어셈블리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무선전력송신부의 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13은 탑커버어셈블리의 무선전력수신부 및 제어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블록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무선전력전송에 따른 회로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도이다. 1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for supplying power to the top cover assembly, and FIG. 13 is a block diagram briefly showing a wireless power receiver and a control configuration of the top cover assembly. 1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ircuit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바디에는 무선전력송신부가 구비되고, 탑커버어셈블리에는무선전력수신부가 구비됨에 따라, 비주얼바디로부터 분리되는 탑커버어셈블리에 비접속 방식을 이용하여 전원이 공급된다. 12 to 14, as the base body is provided with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the top cover assembly is provided with a wireless power receiver, the power supply is connected to the top cover assembly separated from the visual body by using a non-connection method. Supplied.

제어부(190)는 커버감지신호를 입력받아, 탑커버어셈블리가 비주얼바디에 거치되는지, 또는 분리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무선전력송신부를 통한 전원공급을 온오프제어한다. The controller 190 receives the cover detection signal and determines whether the top cover assembly is mounted on the visual body or separated, thereby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through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on and off.

무선전력송신부(410)는 필터부(413), 레귤레이터(414), 스위칭부(415), 전력송신부(416), 전류감지부(412), 그리고 전력전송제어부(411)를 포함한다.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410 includes a filter unit 413, a regulator 414, a switching unit 415, a power transmitter 416, a current detector 412, and a power transmission controller 411.

필터부(413)는 입력되는 전원, 즉 전을 필터링하여 일정크기 이상 또는 이하의 전류를 필터링한다. 필터부(413)는 돌입전류를 차단한다. The filter unit 413 filters an input power source, i.e., a former, to filter a current larg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size. The filter unit 413 blocks inrush current.

레귤레이터(414)는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전력전송송신부에서 전력전송수신부로 전송할 전압을 생성한다. 레귤레이터는 설정에 따라 전압을 변경하여 전송한다. 예를 들어 레귤레이터(414)는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정상동작시에는 12V의 전압을 출력하고, 대기모드 설정시 6.5V의 전압을 출력한다. 이때, 제 1 지점(PV1)의 전압은 각각 12V와 6.5V이다. The regulator 414 generates a voltage to be transmitted from the power transmission transmitter to the power transmission receiver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ler. The regulator transmits by changing the voltage according to the setting. For example, the regulator 414 outputs a voltage of 12V in the normal operation in response to the control command, and outputs a voltage of 6.5V in the standby mode setting. At this time, the voltages of the first point PV1 are 12V and 6.5V, respectively.

전류감지부(412)는 레귤레이터(414)와 스위칭부(415)사이에 연결되어 레귤레이터로부터 스위칭부로 흐르는 전류를 감지한다. 전류감지부는 과전류를 감지하여 전력전송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입력한다. The current sensing unit 412 is connected between the regulator 414 and the switching unit 415 to sense the current flowing from the regulator to the switching unit. The current detector detects an overcurrent and inputs a detection signal to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ler.

스위칭부(415)는 전력전송제어부의 스위칭제어신호에 따라 복수의 스위치가 온오프 동작함에 따라 전력송신부로 무선전력신호를 인가한다. 스위칭부는 전력송신부의 코일의 양단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The switching unit 415 applies a wireless power signal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as the plurality of switches are turned on and off according to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of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The switching unit may b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oil of the power transmitter.

전력송신부(416)는 스위칭부의 동작에 의해,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고, 전기가 유도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전력송신부의 코일은 스위칭부 및 전력전송제어부가 구비되는 측의 배면, 전력수신부에 대면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ower transmitter 416, a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by the operation of the switching unit, and electricity is induced. The coil of the power transmitter is preferably provided to face the back of the side where the switching unit and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are provided and the power receiver.

전력전송제어부(411)는 정상모드와 대기모드에서 각각 상이한 형태의 스위칭제어신호(PWM제어신호)를 스위칭부로 인가한다.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411 applies a different type of switching control signal (PWM control signal) to the switching unit in the normal mode and the standby mode.

예를 들어 전력전송제어부(411)는 정상모드에서는 지정된 주파수의 스위칭제어신호를 인가하고, 대기모드에서는 구간 스위칭을 위한 스위칭제어신호를 인가한다. For example,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411 applies a switching control signal of a specified frequency in the normal mode, and applies a switching control signal for section switching in the standby mode.

전력전송제어부는 정상모드에서 고정 주파수의 PWM 제어신호를 스위칭부로 인가하고, 대기모드에서는 정상모드보다 낮은 주파수로 고효율구간스위칭을 수행한다.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ler applies a fixed frequency PWM control signal to the switching unit in the normal mode, and performs the high efficiency section switching at a lower frequency than the normal mode in the standby mode.

전력전송제어부는 신호의 구간을 동작구간과 정지구간으로 구분하여 상기 동작구간에서 스위칭부가 동작하도록 스위칭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전력전송제어부는 정상모드 설정 시, 제 1 주파수의 스위칭제어신호를 상기 스위칭부로 인가하고, 대기모드 설정 시, 상기 제 1 주파수 보다 낮은 주파수로 구간스위칭을 수행하도록, 정상모드와 대기모드에서 상이한 주파수의 스위칭제어신호를 생성한다.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ler divides the signal section into an operation section and a stop section to generate a switching control signal to operate the switching unit in the operation section.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applies a switching control signal of a first frequency to the switching unit when the normal mode is set, and performs the interval switching to a frequency lower than the first frequency when the standby mode is set, and different frequencies in the normal mode and the standby mode. Generates a switching control signal of.

고효율구간스위칭이란, LC공진에 의한 무효순환전류가 커서 대기모드에서의 소비되는 전력이 증가하게 되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해, 구간 별로 스위칭 구간과 정지구간을 구분하여 PWM제어를 수행하는 것이다. 전력전송제어부는 동작구간과 정지구간의 길이가 상이하도록 구간을 구분하여 동작구간에서 PWM제어가 수행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2ms의 동작구간과 8ms의 정지구간이 반복되도록 하여, 동작구간에서만 PWM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High-efficiency section switching means that the reactive circulating current by LC resonance is large, and thus power consumption in the standby mode is increased. Thus, PWM control is performed by dividing the switching section and the stop section for each section.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divides the sections so that the lengths of the operation sections and the stop sections are different so that PWM control is performed in the operation sections. For example, the PWM control can be performed only in the operation section by repeating the operation section of 2ms and the stop section of 8ms.

또한, 전력전송제어부는 대기모드 설정 시, 정상모드보다 낮은 듀티로 상기 스위칭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듀티에 따라 동작구간과 정지구간의 길이의 비율을 조절한다. 전력전송제어부는 대기모드 설정 시, 동작구간과 정지구간의 길이가 동일하거나, 또는 동작구간보다 정지구간의 길이가 길도록 구간을 설정한다. In addition,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ler generates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with a duty lower than the normal mode when the standby mode is set, and adjusts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operation section to the stop section according to the duty. When the standby mode is set,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ler sets the section so that the length of the operation section and the stop section is the same, or the length of the stop section is longer than the operation section.

전력전송제어부(411)는 정상모드에서 50% 듀티로 제어하고, 대기모드인 경우에는 0 내지 50 범위 내에서 듀티가 가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력전송제어부는 소프트스위칭을 통해 소음이 감소되도록 한다.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ler 411 may control the 50% duty in the normal mode, and control the duty to vary within the range of 0 to 50 in the standby mode. In addition,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to reduce the noise through the soft switching.

그에 따라 레귤레이터에서 출력되는 일정크기의 전압으로, 스위칭부에 의해 소정 공진주파수 무선전력신호가 송출되고, 무선전력수신부측에 유도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베이스바디로부터 탑커버어셈블리로 비접촉 방식으로 전원이 공급된다. Accordingly, a predetermined resonant frequency wireless power signal is transmitted by the switching unit with a constant voltage output from the regulator, and power is supplied from the base body to the top cover assembly in a non-contact manner as the induced current is applied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side. do.

무선전력송신부에는 전기적 접촉을 이용하여 커버 분리여부를 감지하는 수단을 구비되지 않는다. 단, 제어부(190)는 센서로 구성된 커버감지부를 통해 커버의 분리여부를 판단한다.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does not include a means for detecting whether the cover is separated by using electrical contact. However, the controller 190 determines whether the cover is separated through the cover detection unit configured as a sensor.

무선전력수신부(420)는 전력수신부(421) 및 정류부(422)를 포함하고, 스위칭레귤레이터(490)와 연결된다. The wireless power receiver 420 includes a power receiver 421 and a rectifier 422, and is connected to the switching regulator 490.

무선전력수신부(420)는 전력수신부(421)의 코일에 발생되는 유도전류에 의해 베이스바디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The wireless power receiver 420 receives power from the base body by the induced current generated in the coil of the power receiver 421.

수신된 전원은 정류부(422)를 통해 정류 및 평활되어 스위칭레귤레이터(490)로 입력되고, 스위칭레귤레이터(490)는 부하 즉, 입력부 또는 제 2 디스플레이로 공급되는 동작전원을 출력한다. 이때 제 2 지점(PV2)에 인가되는 전압은 9V 내지 20V이고, 스위칭레귤레이터에서 출력되는 동작전원의 전압, 즉 제 3 지점(PV3)에서의 전압은 모드에 따라 각각 8V 또는 6.5V이다. The received power is rectified and smoothed through the rectifying unit 422 to be input to the switching regulator 490, and the switching regulator 490 outputs the operating power supplied to the load, that is, the input unit or the second display. In this case, the voltage applied to the second point PV2 is 9V to 20V, and the voltage of the operating power output from the switching regulator, that is, the voltage at the third point PV3 is 8V or 6.5V, respectively, depending on the mode.

입출력제어부(246)(470)는 스위칭레귤레이터(490)로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정상모드 또는 대기모드에 따라 상이한 크기의 전압으로 동작전원이 출력되도록 한다. The input / output controllers 246 and 470 apply a control signal to the switching regulator 490 to output the operating power at voltages of different magnitudes depending on the normal mode or the standby mode.

스위칭레귤레이터(490)는 입출력제어부(246)(470)의 제어신호에 따라 DC-DC컨버팅을 수행하여 정상모드 또는 대기모드에 따라 출력전압을 제어하여 지정된 크기의 전압을 갖는 동작전원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스위칭레귤레이터는 정상모드에서 8V, 대기모드에서는 6.5V의 전압으로 동작전원을 출력한다. The switching regulator 490 performs DC-DC conversio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246 or 470 to control the output voltage according to the normal mode or the standby mode, and output an operating power having a voltage having a specified magnitude. For example, the switching regulator outputs the operating power at a voltage of 8V in normal mode and 6.5V in standby mode.

스위칭레귤레이터(490)와 전력수신부(421) 사이에는 정류부(422) 및 소정 크기의 커패시터가 구비된다. 대기모드에서, 무선전력송신부로부터 6.5V의 무선전력신호가 송출되므로, 전력효율이 높이 스위칭레귤레이터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대기모드에서 스위칭레귤레이터는 높은 효율로 6.5V의 동작전원을 출력해야하므로, 무선전력수신부에는 용량이 큰 커패시터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ectifier 422 and a capacitor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re provided between the switching regulator 490 and the power receiver 421. In the standby mode, since the 6.5V wireless power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it is preferable that a switching regulator having high power efficiency is used. In addition, in the standby mode, the switching regulator must output 6.5V of operating power with high efficiency, and therefore, a capacitor having a large capacity is preferably used for the wireless power receiver.

이때, 무선전력수신부(420)에는 별도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포함하지 않고, 정류된 동작전원이 스위칭레귤레이터에 의해 소정 크기의 전압으로 출력되는 때에, 입출력제어부에 의해 스위칭레귤레이터가 제어된다. 무선전력수신부에 마이크로프로세서가 구비되지 않음에 따라 하드웨어 구성이 단순화되고 전력소비가 감소하게 됨에 따라 탑커버어셈블리의 동작을 위한 대기전력이 감소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wireless power receiver 420 does not include a separate microprocessor, and when the rectified operating power is output at a voltag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by the switching regulator, the switching regulator is controlled by the input / output controller. Since the microprocessor is not provided in the wireless power receiver, hardware configuration is simplified and power consumption is reduced, thereby reducing standby power for the operation of the top cover assembly.

도 15 는 본 발명의 무선전력전송을 위한 제어신호의 예가 도시된 도이다.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trol signal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가습청정장치는, 무선전력송신부(410)는 전력송신부(416)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무선전력수신부(420)의 전력수신부(421)에 전류가 유도됨에 베이스바디로부터탑커버어셈블리로 동작전원이 공급된다. In the humidification and cleaning device,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410 has a current applied to the power receiver 421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420 by a current applied to the power transmitter 416, so that the operating power is supplied from the base body to the top cover assembly. Supplied.

무선전력송신부는 전력전송제어부(411)로부터 스위칭부(415)로 인가되는 스위칭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스위치가 온오프 동작하여, 전력송신부(416)에 전류가 인가된다.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transmits a current to the power transmitter 416 by turning on / off a plurality of switches provided in the switch according to a switching control signal applied from the power transfer controller 411 to the switch 415.

동작모드가 정상모드인 경우, 전력전송제어부는 스위칭부로 지정된 주파수의 스위칭제어신호를 스위칭부로 인가한다. 예를 덜어 120k 의 PWM제어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전력전송제어부는 T1 부터 연속하는 스위칭제어신호를 스위칭부로 인가한다. When the operation mode is the normal mode,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applies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of the frequency specified by the switching unit to the switching unit. For example, a 120k PWM control signal can be applied. The power transfer control unit applies a switching control signal continuous from T1 to the switching unit.

한편, 동작모드가 대기모드인 경우 전력전송제어부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간을 설정하여 구간별로 스위칭이 이루어지도록 구간스위칭을 수행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operation mode is the standby mode, as shown in Figure 15,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section performs the section switching so that the switching is performed for each section by setting the section.

대기모드의 경우 가습청정장치의 동작이 정지된 상태이기는 하나,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고,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일부 전원이 공급되어 대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에 따라 가습청정장치의 동작은 정지한 상태이나, 일정크기의 소비전력(대기전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대기전력은 그 값이 큰 경우 에너지의 낭비인 것은 물론, 전기세가 증가하는 요인이 되므로, 대기전력이 일정값을 넘지 않도록 제어할 필요성이 있다. 전자기기의 대기전력은 국가별로 일정값을 넘지 않도록 규제되고 있다. In the standby mode, although the operation of the humidifier cleaner is stopped, some power is supplied to maintain the standby state in order to detect a user's input and receive the transmitted data. As a result, the operation of the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is stopped, but a certain amount of power consumption (standby power) is generated. If the standby power is a large value, not only waste of energy, but also increase the electricity bill, there is a need to control the standby power does not exceed a certain value. Standby power of electronic devices is regulated not to exceed a certain value in each country.

이러한 대기전력의 감소를 위해, 대기모드에서는 레귤레이터의 출력전압을 감소시키고, 또한, 탑커버어셈블리로의 전원공급을 제어할 필요성이 있다. In order to reduce the standby power,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output voltage of the regulator in the standby mode and to control the power supply to the top cover assembly.

따라서 전력전송제어부는 대기모드에서 전구간에 대한 PWM제어신호를 인가하는 것이 아니라, 구간을 구분하여 구간별로 스위칭부가 동작하도록 구간스위칭을 수행한다. Therefore,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ler does not apply a PWM control signal for all the sections in the standby mode, but performs section switching so that the switching section operates by sectioning sections.

전력송신부는 코일과 커피시터로 구성되는 LC공진회로를 형성하는데, 공진에 의한 무효순환전류가 발생하게 된다. 정상모드에서는 가습청정장치의 동작에 따른 소비전력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값이나, 대기모드의 경우 일정값 미만으로 대기전력을 제어해야하므로,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The power transmission unit forms an LC resonant circuit composed of a coil and a coffee sheet, and generates an reactive circulating current due to resonance. In the normal mode, the power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humidification cleaning apparatus is relatively small, but in the standby mode, the standby power must be controlled below a certain value, which may have a relatively large effect.

예를 들어 대기전력에 대한 규제값이 1W이고, 무료순환전류에 의한 소비전력이 1W이면, 규제범위를 벗어나게 되므로 다른 동작을 제어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무료순환전류는, 저부하 상태에서의 전력공급에 따른 효율감소의 원인이 된다. For example, if the regulation value for the standby power is 1W and the power consumption due to the free circulation current is 1W, it is out of the regulation range and thus other operations cannot be controlled. In addition, the free circulation current causes a decrease in efficiency due to power supply at a low load state.

따라서 무효순환전류의 발생을 해소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전력전송제어부는 구간스위칭을 수행한다. Therefore, in order to eliminate or reduce the generation of the reactive circulating current,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ler performs the section switching.

전력전송제어부는 제 1 시간(t1) 내지 제 2 시간(t2)의 제 1 구간(T1)동안 스위칭되고, 제 2 구간(T2)의 제 2 시간 내지 제 3 시간(t3) 동안에는 스위칭이 정지되도록 한다.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is switched during the first period T1 of the first time t1 to the second time t2, and switching is stopped during the second time period to the third time t3 of the second period T2. do.

전력전송제어부는 제 1 구간(T1)(동작구간)과 제 2 구간(T2)(정지구간)이 반복되도록 하여 대기모드에서, 탑커버어셈블리로 전원이 공급되면서 그에 따른 소비전력이 감소되도록 한다.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repeats the first section T1 (operation section) and the second section T2 (stop section) so that power is supplied to the top cover assembly while in standby mode,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전력전송제어부는 제 1 구간(T1)과 제 2 구간(T2)의 길이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전력전송제어부는 레귤러이터로부터 출력되는 전압과, 탑커버어셈블리에서 필요한 전압에 따라, PWM제어에 따른 듀티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전송제어부는 제 1 구간(T1)과 제 2 구간(T2)을 동일하게 하는 경우 50%듀티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려전송제어부는 제 1 구간(T1)과 제 2 구간(T2)을 1:4의 길이로 설정하는 경우 25%의 듀티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ler may set the lengths of the first section T1 and the second section T2 differently.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may change the duty according to the PWM control according to the voltage output from the regulator and the voltage required in the top cover assembly. For example,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ler may control the operation to 50% duty when the first section T1 and the second section T2 are the same. In addition, the forward transmission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operation with a duty of 25% when the first section T1 and the second section T2 are set to a length of 1: 4.

정지구간(T2)에서는 순환전류가 0이 되므로, 필요에 따라 동작구간과 정지구간의 길이를 가변 설정하여 필요한 전압으로 전원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정지구간의 길이에 따라 소비전력의 감소정도가 가변된다. 단, 듀티가 작아지면 출력에 대하여 증폭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일정 크기 이사의 듀티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stop section T2, since the circulating current becomes 0, the operation section and the stop section length are variably set as necessary so that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with the required voltage. The degree of reduction in power consumption varies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stop section. However, if the duty is small, amplification may occur with respect to the output.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set a duty of a predetermined size.

도 16 은 도 15의 제어신호에 따른 전압변화가 도시된 도이다. 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oltage chang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FIG. 15.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기모드에서 구간스위칭을 통해, 무선전력전송 방식으로 탑커버어셈블리로 전원을 공급함에 따라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전력수신부에 일정 크기의 전압이 형성된다. As described above, as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top cover assembly by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through the interval switching in the standby mode, as shown in FIG. 16, a voltage having a predetermined magnitude is formed in the wireless power receiver.

동작구간인 제 1 구간에서는 고효율로 동작전원이 공급되도록 스위칭제어되고, 정지구간인 제 2 구간에서는 무선전력송신부의 스위칭부는 동작을 정지한다(S11). 무선전력수신부에는 커패시터가 구비됨에 따라 동작구간 동안 커피시터가 충전되고, 정지구간동안 커패시터가 방전되는 것을 반복하게 된다. In the first section, which is an operation section, switching control is performed to supply the operation power with high efficiency. In the second section, which is a stop section, the switching unit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stops the operation (S11). As the wireless power receiver includes a capacitor, the coffee sheet is charged during the operation period, and the capacitor is repeatedly discharged during the stop period.

그에 따라 무선전력수신부의 수신측 전압은 제 2 그래프(S12)와 같이 변경되며, 동작구간과 정지구간에 따라 반복된다. 대기모드에서, 탑커버어셈블리의 조작모듈, 입출력제어부, 스위칭레귤레이터는 물론 제 3 통신부가 동작하기 위해서는 약 6.5V의 전압이 요구되나, 무선전력송신부 측의 전압이 6.5V이고, 구간스위칭을 하게 됨에 따라, 수신측인 탑커버어셈블리에서 6.5V의 전압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커피시터의 용량이 일정 크기 이상의 대용량 커피시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ly, the voltage of the receiver side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is changed as shown in the second graph S12 and is repe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section and the stop section. In the standby mode, a voltage of about 6.5V is required to operate the operation module,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the switching regulator of the top cover assembly, as well as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but the voltage at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is 6.5V, and the interval switching is performed. Accordingly, in order to output a voltage of 6.5V from the top cover assembly on the receiving side, it is preferable that a large capacity coffee sheet having a predetermined capacity or more is provided.

무선전력수신부의 정류부는 이와 같이 전압의 크기가 변경되는 동작전원을 정류 및 평활하여 스위칭레귤레이터로 입력한다. The rectifying unit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unit rectifies and smoothes the operation power of which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is changed and inputs it to the switching regulator.

이때 스위칭레귤레이터는 다른 방식의 레귤레이터로 변경될 수도 있으나, 대기모드에서의 고효율의 전송을 위해서 스위칭레귤레이터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switching regulator may be changed to another type of regulator,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switching regulator is used for high efficiency transmission in the standby mode.

도 17 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습청정장치의 무선전력전송에 따른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1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according to wireless power transmission of the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청정장치는 입력되는 설정에 따라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되는 이물질(미세먼지)을 필터링하거나 또는 냄샘새를 제어하여 토출하고, 또한, 공기를 가습하여 토출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7, the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filters or discharges foreign substances (fine dust) included in the air to be sucked according to the input setting, or controls the smell, and further, humidifies and discharges the air. .

제어부(190)는 비주얼바디로부터 분리 가능한 탑커버어셈블리가 거치된 상태인 경우 정상상태로 판단하여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S615).When the top cover assembly detachable from the visual body is mounted, the controller 190 determines the normal state so that power is supplied (S615).

탑커버어셈블리가 분리된 경우 제어부(190)는 탑커버어셈블리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고, 정상상태 즉, 탑커버어셈블리가 거치된 상태인 경우 전원부를 통해 탑커버어셈블리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제어부(190)는 탑커버어셈블리가 거치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커버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탑커버어셈블리의 거치여부를 판단한다. When the top cover assembly is separated, the controller 190 cuts off power supply to the top cover assembly, and when the top cover assembly is in a normal state,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top cover assembly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The controller 190 determines whether the top cover assembly is mounted according to a detection signal input from the cover detection unit provided at the position where the top cover assembly is mounted.

동작모드가 정상모드이면, 제어부(199)는 가습청정장치의 에어클린모듈 및 에어모이스쳐모듈이 각각 설정에 따라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전원부는 무선전력송신부에 정상전압이 인가되도록 하고(S670), 전력전송제어부는 고정 듀티의 스위칭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칭부로 인가한다(S680). 전력전송제어부는 소정 주파수를 갖는 연속된 스위칭제어신호를 스위칭부로 인가한다. If the operation mode is the normal mode, the control unit 199 controls the air clean module and the air moisture module of the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to operate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settings. The power supply unit allows a normal voltage to be applied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S670), and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generates a switching control signal having a fixed duty and applies it to the switching unit (S680).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applies a continuous switching control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to the switching unit.

무선전력송신부의 전력송신부에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무선전력수신부에는 전자기 유동 현상에 의해 전류가 흐르게 되고, 그에 따라 탑커버어셈블리에 동작전원이 공급된다(S690). As the current is applied to the power transmitter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current flows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by an electromagnetic flow phenomenon, and thus operating power is supplied to the top cover assembly (S690).

입출력제어부(246)(470)는 수신되는 전압이 정상전압인 것을 판단하고, 스위칭레귤레이터(490)를 통해 일정 크기의 전압이 각 부하, 예를 들어 조작모듈과 조명 또는 제 2 디스플레이로 공급되어, 정상운전모드로 동작한다(S700).The input / output controllers 246 and 470 determine that the received voltage is a normal voltage, and a voltage having a predetermined magnitude is supplied to each load, for example, an operation module and an illumination or a second display through the switching regulator 490, Operation in the normal operation mode (S700).

한편, 제어부는 설정된 동작이 모두 완료되고 동작이 정지된 상태로 일정시간 이상 경과한 경우, 또는 탑커버어셈블리에 구비되는 조작모듈을 통해 대기모드가 선택된 경우(S620), 가습청정장치가 대기모드로 동작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is a case in which all of the set operation is completed and the operation is stopp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when the standby mode is selected through the operation module provided in the top cover assembly (S620), the humidification cleaning device is in the standby mode To work.

제어부(190)는 대기모드에서 가습청정장치의 모든 동작을 정지하고, 대기모드에서 소비되는 전력인 대기전력이 감소하도록, 가습청정장치의 신호입력 및 키입력등에 관계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품에 대한 전원공급이 차단된다. The controller 190 stops all operations of the humidification cleaner in the standby mode, and reduces the standby power, which is the power consumed in the standby mode, so as to reduce power of the components except for the parts related to signal input and key input of the humidifier cleaner. The supply is cut off.

제어부(190)는 대기모드가 설정되더라도, 대기모드 해제 및 그에 따른 설정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해서는 조작모듈, 조작모듈의 데이터를 베이스바디로 전송하기 위한 제 2, 3 통신부,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입출력제어부의 동작이 필요하므로, 일부 부품으로 전원이 공급된다. Even if the standby mode is set, the controller 190 releases the standby mode and receives the setting data according to the second and third communication units for transmitting data of the operation module and the operation module to the base body, and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of data. Since the operation of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is required, power is supplied to some components.

조작모듈은 탑커버어셈블리에 구비됨에 따라, 제어부(190)는 대기전압을 설정하고(S630), 전원부의 무선전력송신부 및 무선전력수신부가 동작하여 대기모드 중에 탑커버어셈블리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As the operation module is provided in the top cover assembly, the controller 190 sets the standby voltage (S630), and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of the power unit operate to supply power to the top cover assembly during the standby mode.

제어부(190)는 대기전력이 감소하도록 대기모드 설정 시, 전원부를 제어하여 탑커버어셈블리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소비되는 전력이 감소하도록 한다. 그에 따라 레귤레이터는 대기모드 시, 정상모드보다 낮은 전압을 출력한다. When the standby mode is set to reduce standby power, the controller 190 controls the power supply unit to reduce power consumed to supply power to the top cover assembly. As a result, the regulator outputs a voltage lower than the normal mode in the standby mode.

또한, 전력전송제어부(411)는 대기모드가 설정된 경우, 듀티를 가변하여 스위칭제어를 수행한다(S640), 전력전송제어부(411)는 스위칭제어시 동작구간과 정지구간으로 구분하여 구간별로 스위칭되도록 스위칭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칭부로 인가함으로써 구간스위칭을 수행한다. 이때 동작구간과 정지구간의 길이의 비율에 따라 듀티가 변경된다. In addition, when the standby mode is set,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411 performs a switching control by varying the duty (S640), and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411 is switched so as to switch by section by dividing the operation section and the stop section during the switching control. Section switching is performed by generating a control signal and applying it to the switching unit. At this time, the duty is changed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operation section to the stop section.

그에 따라 전력송신부에 전류가 인가되고, 전자기유도 방식에 따라 전력수신부에 전류가 인가되면 탑커버어셈블리에 전원이 공급된다. 무선전력수신부에는 정상전압보다 낮은 전압이 인가된다.Accordingly,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power transmitter and a current is applied to the power receiver according to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power is supplied to the top cover assembly. A voltage lower than the normal voltage is applied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입출력제어부(246)(470)는 스위칭레귤레이터를 제어하여, 무선전력수신부를 통해 공급되는 동작전원의 전압을 변환하여 각부로 대기전압의 동작전원이 인가된다(S650). 예를 들어 정상모드인 경우 스위칭레귤레이터는 8V전압을 출력하고, 대기모드인 경우 6.5V 전압을 출력한다. The input / output controllers 246 and 470 control the switching regulator, convert the voltage of the operating power supplied through the wireless power receiver, and apply the operating power of the standby voltage to each unit (S650). For example, in normal mode, the switching regulator outputs an 8V voltage, and in standby mode, it outputs a 6.5V voltage.

그에 따라 탑커버어셈블리는 대기모드로 동작하며, 조작모듈에 의해 새로운 명령이 입력되거나 대기모드가 해제되기 까지 대기상태를 유지한다(S660). Accordingly, the top cover assembly operates in the standby mode and maintains the standby state until a new command is inputted by the operation module or the standby mode is released (S660).

대기모드에서의 소비되는 전력은, 무선전력수신부의 프로세서를 제거하고 입출력제어부를 통한 직접제어를 수행함에 따라 소비전력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정상모드와 대기모드에서의 무선전력전송을 위한 스위칭부의 동작을 고정스위칭 또는 구간스위칭으로 제어함으로서 소비전력이 감소된다. The power consumed in the standby mode is reduced by removing the processor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and performing direct control through the input / output controller. In addition, the power consumption is reduced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witching unit for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in the normal mode and standby mode by fixed switching or section switching.

따라서 본 발명은 무선전력송신부와 무선전력수신부가 구비됨에 따라 전기접 접촉을 위한 단자에서의 전기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무선전력송신부가 대기모드에서 가변듀티제어를 통해 스위칭부의 주파수를 제어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설정된 전압의 동작전원을 탑커버어셈블리로 전송하고, 소비전력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전력수신부로 수신되는 전원에 대하여 입출력제어부를 통해 제어함으로써, 불필요한 부품을 제거하고, 그에 따른 소비전력을 감소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are provided, an electric accident at the terminal for electrical contact can be preven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controls the frequency of the switching unit through the variable duty control in the standby mode, thereby more effectively transmitting the operating power of the set voltage to the top cover assembly and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trolling the power received by the wireless power receiver through the input and output control unit, it is possible to remove unnecessary components,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Although the above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the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에어클린모듈 110 : 베이스바디
120 : 어퍼바디 130 : 로어바디
150 : 송풍하우징 160 : 디스플레이모듈
170 : 에어가이드 200 : 에어워시모듈
210 : 비주얼바디 230 : 탑커버어셈블리
240: 조작모듈 245: 입력부
260: 베이스커넥터 270: 탑커넥터
300 : 수조 400 : 워터링유닛
410: 무선전력송신부 411: 전력전송제어부
414: 레귤레이터 415: 스위칭부
420: 무선전력수신부 490: 스위칭레귤레이터
470: 입출력제어부
100: air clean module 110: base body
120: upper body 130: lower body
150: air blowing housing 160: display module
170: air guide 200: air wash module
210: visual body 230: top cover assembly
240: operation module 245: input unit
260: base connector 270: top connector
300: water tank 400: watering unit
410: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411: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414: regulator 415: switching unit
420: wireless power receiver 490: switching regulator
470: input and output control unit

Claims (19)

외부공기를 흡입한 후 여과하고, 여과공기를 제공하는 에어클린모듈로 구성되어, 내측에 수조삽입공간이 형성된 베이스바디;
상기 수조삽입공간에 거치되는 수조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와 분리 가능하게 거치되는 탑커버어셈블리;
상기 탑커버어셈블리에 구비되어, 입력부를 포함하는 조작모듈;
상기 베이스바디에 형성되어 상기 탑커버어셈블리로 무선전력신호를 송신하는 무선전력송신부;
상기 탑커버어셈블리에 구비되어 상기 무선전력송신부로부터 상기 무선전력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조작모듈로 동작전원을 제공하는 무선전력수신부; 및
상기 입력부의 데이터에 따라 정상모드 또는 대기모드로 동작모드를 설정하여 상기 탑커버어셈블리로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전력송신부는, 대기모드가 설정되면, 신호의 구간을 동작구간과 정지구간으로 구분하여 상기 동작구간에서 스위칭부가 동작하도록 스위칭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구간별로 스위칭제어신호에 따라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무선전력수신부로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청정장치.
A base body composed of an air clean module for sucking and filtering external air and providing filtered air, and having a water tank insertion space therein;
A top cover assembly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tank mounted in the tank insertion space and detachably mounted on the tank;
An operation module provided in the top cover assembly and including an input unit;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formed on the base body to transmit a wireless power signal to the top cover assembly;
A wireless power receiver provided in the top cover assembly to receive the wireless power signal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provide operating power to the operation module; And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a power supply to the top cover assembly by setting an operation mode in a normal mode or a standby mode according to the data of the input unit.
When the standby mode is set,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divides a signal section into an operation section and a stop section to generate a switching control signal to operate the switching unit in the operation section, and applies a current according to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for each section. Humidification clea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supplying the operating power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송신부는, 정상모드 설정 시, 제 1 주파수의 스위칭제어신호를 상기 스위칭부로 인가하고,
대기모드 설정 시, 상기 제 1 주파수 보다 낮은 주파수로 구간스위칭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청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when the normal mode is set, applies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of the first frequency to the switching unit,
The humidification clea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performing the section switching to a frequency lower than the first frequency when the standby mode is s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송신부는 대기모드 설정 시, 정상모드보다 낮은 듀티로 상기 스위칭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청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generates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with a duty lower than that of the normal mode when setting the standby mod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송신부는 대기모드 설정 시,
설정된 듀티에 따라 동작구간과 정지구간의 길이의 비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청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Whe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is set in the standby mode,
Humidification clea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adjusting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operation section and the stop s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set duty.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송신부는, 대기모드 설정 시,
동작구간과 정지구간의 길이가 동일하도록 설정된 스위칭제어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청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when the standby mode is set,
A humidification clea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applying a switching control signal set such that the length of the operation section and the stop section is the sam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송신부는, 대기모드 설정 시,
동작구간보다 정지구간의 길이가 길도록 구간을 설정하여 스위칭제어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청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when the standby mode is set,
A humidification clea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applying a switching control signal by setting the section so that the length of the stop section is longer than the operation s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송신부는, 인덕터 및 커패시터로 구성되어 상기 무선전력신호를 송신하는 전력송신부;
설정된 모드에 따라 출력전압을 제어하는 레귤레이터;
복수의 스위치가 고속으로 온오프됨에 따라 상기 전력송신부로 전원을 인가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터 소정 주파수의 스위칭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전력전송제어부;를 포함하는 가습청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includes a power transmitter configured to include an inductor and a capacitor to transmit the wireless power signal;
A regulator controlling the output voltage according to a set mode;
A switching unit for applying power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as a plurality of switches are turned on and off at high speed; And
And a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for applying a switching control signal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from the switching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수신부는, 상기 무선전력신호에 의해 유도되는 전류를 상기 탑커버어셈블리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청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wireless power receiver, characterized in that for supplying a current induced by the wireless power signal to the top cover assemb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커버어셈블리는, 상기 입력부를 통한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하고, 상기 탑커버어셈블리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또는 발광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입출력제어부;
상기 무선전력송신부를 통해 공급되는 동작전원의 전압을 변경하는 스위칭레귤레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청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op cover assembly may include an input / output control unit that controls input / output of data through the input unit and controls an operation of a display or a light emitting module included in the top cover assembly;
And a switching regulator for changing a voltage of an operating power supplied through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제어부는 상기 무선전력수신부로 부터 인가되는 동작전원이 정상전압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스위칭레귤레이터를 제어하고,
상기 스위칭레귤레이터는 상기 입출력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대기모드에서, 정상모드의 전압보다 낮은 전압을 상기 조작모듈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청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input / output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operating power applied from the wireless power receiver is a normal voltage, controls the switching regulator,
And the switching regulator outputs a voltage lower than a voltage of a normal mode to the operation module in a standby mode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f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대기모드 설정시, 정상모드보다 낮은 전압이 출력되도록 상기 무선전력송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청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ler controls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to output a lower voltage than the normal mode when the standby mode is set.
분리가능하게 거치되는 탑커버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가습청정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대기모드가 설정되는 단계;
동작을 정지하고, 정상전압보다 낮은 대기전압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탑커버어셈블리로 전원을 공급하는, 무선전력송신부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에 동작구간과 정지구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동작구간에서 스위칭 동작이 수행되도록, 구간별로 스위칭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스위칭제어신호에 따른 구간스위칭에 의해 상기 대기전압이 인가되어 전력송신부에 전류가 인가되는 단계;
상기 전력송신부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무선전력수신부에 전류가 유도되어 상기 탑커버어셈블리로 전원이 공급되는 단계; 및
상기 탑커버어셈블리가 대기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습청정장치의 제어방법.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humidifying cleaning device comprising a top cover assembly detachably mounted,
Setting a standby mode;
Stopping the operation and setting a standby voltage lower than the normal voltage;
Setting an operation section and a stop section to a signal for controlling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that supplies power to the top cover assembly;
Generating a switching control signal for each section so that a switching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operating section;
Applying the standby voltage by applying the standby voltage by the interval switching according to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to apply a current to a power transmitter;
Supplying power to the top cover assembly by inducing a current to a wireless power receiver by a current applied to the power transmitter; And
And operating the top cover assembly in a standby mode.
삭제delete 제 13 항에 있어서,
대기모드에서, 정상모드보다 낮은 듀티로 상기 스위칭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청정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And in the standby mode, generating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with a duty lower than the normal mode.
제 15 항에 있어서,
대기모드 설정 시, 상기 듀티에 따라 동작구간과 정지구간의 길이의 비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청정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5,
When the standby mode is set, the control method of the humidifying clea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adjusting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operation section and the stop s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duty.
제 15 항에 있어서,
대기모드 설정 시, 동작구간과 정지구간의 길이가 동일하도록 설정된 스위칭제어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청정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5,
When the standby mode is set, the control method of the humidifying clea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applying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set to the same length of the operation section and the stop section.
제 15 항에 있어서,
대기모드 설정 시, 동작구간보다 정지구간의 길이가 길도록 구간을 설정하여 스위칭제어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청정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5,
When the standby mode is set, the control method of the humidifying clea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applying a switching control signal by setting the section so that the length of the stop section is longer than the operation section.
제 13 항에 있어서,
정상모드인 경우 제 1 주파수의 상기 스위칭제어신호를 생성하고,
대기모드인 경우, 상기 제 1 주파수 보다 낮은 제 2 주파수의 상기 스위칭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습청정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Generating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of the first frequency in the normal mode;
And generating a switching control signal having a second frequency lower than the first frequency when in the standby mode.
KR1020170113551A 2017-09-05 2017-09-05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nd method thereof Active KR1020430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551A KR102043069B1 (en) 2017-09-05 2017-09-05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551A KR102043069B1 (en) 2017-09-05 2017-09-05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522A KR20190026522A (en) 2019-03-13
KR102043069B1 true KR102043069B1 (en) 2019-11-11

Family

ID=65761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551A Active KR102043069B1 (en) 2017-09-05 2017-09-05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306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6056A (en) * 2020-05-26 2021-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37378B2 (en) * 2010-10-15 2014-07-02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Air condition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4436B1 (en) * 2015-10-26 2017-12-04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Floating type of humidfier using vertical type of power transmission method
KR101973644B1 (en) * 2015-10-30 2019-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KR20170083442A (en) * 2016-01-08 2017-07-18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Device for controlling the brightness of mood lamp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37378B2 (en) * 2010-10-15 2014-07-02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Air condi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522A (en) 2019-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3644B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KR101888953B1 (en) Air Conditioner
KR101892474B1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US10054322B2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KR102777315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for the same
US20170122592A1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24090B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nd method thereof
US11549701B2 (en)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pparatus
KR102043069B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nd method thereof
KR102500527B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nd method thereof
KR102210359B1 (en) Apparatus for wireless power supply and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KR102550365B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nd method thereof
KR102043070B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nd method thereof
KR102629988B1 (en) Wireless humidifier set
KR102500522B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nd method thereof
KR102246977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for the same
KR102493846B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nd method thereof
KR102007303B1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2575865B1 (en) Wireless humidifier set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1653487B1 (en) Robot cleaner having humidifier and control method the same
KR20200047509A (en) Air-conditioner and Method thereof
CN108534343A (en) Filtering structure an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with same
KR20210048478A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for the same
KR20200112326A (en) Apparatus for humidity and air cleaning
CN108344092A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air humidif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1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1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