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1738B1 - Emergency braking system for vehicles - Google Patents
Emergency braking system for vehicl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41738B1 KR102041738B1 KR1020180170424A KR20180170424A KR102041738B1 KR 102041738 B1 KR102041738 B1 KR 102041738B1 KR 1020180170424 A KR1020180170424 A KR 1020180170424A KR 20180170424 A KR20180170424 A KR 20180170424A KR 102041738 B1 KR102041738 B1 KR 1020417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main body
- engine
- flow path
- emergenc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06 elast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60K28/14—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responsive to accident or emergency, e.g. deceleration, tilt of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8—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기계적 및 전기적 오류로 인하여 발생하는 차량의 급발진 및 차량의 엔진 이상 시 엔진의 구동에 필요한 공기의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운전자가 차량의 급발진 현상 및 비상 상황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비상 제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비상 제동 장치는 차량의 스로틀 밸브와 흡기 폴드 사이에 배치되며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의 유로를 개폐시키는 유량 조절부 및 차량의 비상 상황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유량 조절부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차량의 급발진 발생 시 유량 조절부가 엔진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함으로 엔진의 구동을 점진적으로 정지시켜 차량의 급발진 시 발생하는 사고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의 주행 중 엔진의 이상 발생 시 엔진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공급을 차단하여 엔진의 회전수를 제어함으로써 엔진의 이상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blocks the inflow of air required for driving the engine when the vehicle is suddenly started due to mechanical and electrical errors of the vehicle and the engine is malfunctioning, so that the driver can respond appropriately to the sudden phenomenon of the vehicle and the emergency situation. It is to provide a braking device.
Emergency braking apparatus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between the throttle valve and the intake fold of the vehicle and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flow path is formed therein, the flow control uni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low path of the main body and the emergency situation of the vehicle It determines whether or not, and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driving the flow rate adjusting unit.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blocking the accident caused during sudden start of the vehicle by gradually stopping the driving of the engine by blocking the air supplied to the engine when the flow rate of the vehicle suddenly occurs.
In addition, when an engine abnormality occurs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the abnormal operation of the engine may be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engine by cutting off the supply of air supplied to the engine.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비상 제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급발진 및 비상 상황 시 차량을 비상 제동시킬 수 있는 차량의 비상 제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braking apparatus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mergency braking apparatus for a vehicle capable of emergency braking of the vehicle in case of rapid start and emergency of the vehicle.
일반적으로 차량은 스로틀 밸브(throttle valve)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연료를 연소시켜 엔진을 구동하게 된다.In general, the vehicle is driven by the air sucked through the throttle valve (burning fuel) to drive the engine.
스로틀 밸브는 자동차 등에서 기화기 또는 스로틀 보디를 통과하는 공기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여닫는 밸브를 말한다. 운전자가 상기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조금 밟으면 유로를 통과하는 공기 유량이 감소하게 된다. The throttle valve refers to a valve that opens and closes in order to control the amount of air passing through a carburetor or a throttle body in an automobile or the like. When the driver slightly presses the accelerator pedal, the air flow rate through the flow path is reduced.
유로를 통과하는 공기 유량이 증가하면, 전자제어 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가 상기 유로의 공기 유량 증가를 감지하여, 엔진으로 분사되거나 흡입되는 연료의 양을 증가시키게 된다.When the air flow rate through the flow path increases,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detects an increase in the air flow rate of the flow path,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fuel injected or sucked into the engine.
한편, 운전자가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밟지 않은 경우에도 엔진이 과도하게 회전하는 자동차 급발진(SUA, Sudden Unintended Acceleration) 사고가 최근 급증하고 있다. 종래의 스로틀 밸브는 자동차 급발진 사고에 대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Sudden Unintended Acceleration (SUA) accidents in which the engine rotates excessively even when the driver does not press the accelerator pedal have recently increased. The conventional throttle valve has a problem that cannot be prepared for an accident of automobile acceleration.
최근의 차량은 엔진 계통과 브레이크 계통 및 변속기 등이 전자제어방식으로 적용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 engine system, the brake system, and the transmission are being applied by an electronic control method.
특히, 전자 제어 방식의 차량은 엔진으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기준으로 적당한 공연비가 되도록 연료를 분사함으로 운전자가 원하는 엔진출력을 얻을 수 있다.In particular, the electronically controlled vehicle can obtain the engine output desired by the driver by injecting fuel so as to have an appropriate air-fuel ratio based on the amount of air flowing into the engine.
그러나 전자 제어 방식의 차량은 엔진 및 자동 변속기가 전자 제어가 가능하여 전자제어유닛(ECU)과 자동변속기 제어유닛(TCU)간의 신호 전달과정 중 오작동이 발생하면 차량의 급발진 사고로 이어지거나 차량의 제어가 불능 상태에 놓이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an electronic control vehicle, the engine and the automatic transmission are electronically controlled, and if a malfunction occurs during the signal transmission process between the ECU and the automatic transmission control unit (TCU), it may lead to a sudden start of the vehicle or control the vehicle. There was a problem that was disabled.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량의 기계적 및 전기적 오류로 인하여 발생하는 차량의 급발진 및 차량의 엔진 이상 시 엔진의 구동에 필요한 공기의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운전자가 차량의 급발진 현상 및 비상 상황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비상 제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driver from responding to the sudden start of the vehicle and the emergency situation by blocking the inflow of the air required for driving the engine during the sudden start of the vehicle and the engine failure of the vehicle caused by the mechanical and electrical errors of the vehicl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a vehic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량용 비상 제동 장치는 차량의 스로틀 밸브와 흡기 매니폴드 사이에 배치되며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의 유로를 개폐시키는 유량 조절부 및 차량의 비상 상황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상기 유량 조절부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The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tooth we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between a throttle valve and an intake manifold of a vehicle and has a flow path formed therein, and a flow rat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open and close the flow path of the main body.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emergency state of the control unit and the vehicle, and includes a control unit for driving the flow rate accordingly,
상기 유량 조절부는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 내부의 유로 상에 결합되고 일부는 본체 외부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 상에 설치되되, 일단은 고정브라켓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회전체의 일측에 고정되는 탄성체와, The flow rate control unit is coupled to the flow passage inside the main body through the main body and a part of the rotating shaft is provided to protrude out of the main body, and installed on the rotating shaft, one end is fixed to one side of the fixing bracket and the other end is the rotating body With an elastic body fixed to one side of,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유로를 개폐하는 회전 디스크와, 상기 탄성체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회전축 및 상기 회전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체를 구속함과 동시에 그 구속을 해제하기 위한 액추에이터 및 상기 회전축의 측부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체의 작동 상태에 따른 상기 유로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 rotating disk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to open and close the flow path, a rotating body connected through the elastic body to rotate the rotating shaft and the rotating disk by an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and connected to the rotating body, Actuator for restraining and at the same time to release the restraint and disposed on the side of the rotating shaft, and comprises a sensing unit for detecting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flow path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ng state of the rotating body.
또한, 상기 회전체의 일측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회전 제한턱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 제한턱에 접촉하여 상기 회전체를 구속하며, 상기 액추에이터의 구동 시 상기 회전체의 구속을 해제하는 작동봉을 포함한다.In addition, a rotation limiting jaw recessed inwardly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rotating body, and restrains the rotating body in contact with the rotating limiting jaw, and includes an operating rod for releasing the restraining of the rotating body when the actuator is driven. do.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는 차량의 비상 상황 시 운전자가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킬 수 있게 차량 실내의 작동 버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액추에이터에는 차량의 비상 상황 시 액추에이터를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수동 케이블이 더 구비된다.In addition, the actuat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peration button of the vehicle interior to enable the driver to drive the actuator in the emergency situation of the vehicle, the actuator is further provided with a manual cable for manually operating the actuator in the emergency situation of the vehicle do.
또한, 상기 감지부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 상태에 따라 상기 회전축과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접촉 단자 및 상기 회전축의 측부에 위치하되 접촉 단자와 마주 보도록 배치되는 감지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 일측에는 내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이격홈이 구비된다.The sensing unit may include a contact terminal elastically contacting the rotating shaft according to the rotation state of the rotating body, and a sensing switch disposed on the side of the rotating shaft and disposed to face the contact terminal, and o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shaft. Spaced grooves are formed to be stepped inward.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의 접촉 단자와 감지 스위치가 접촉할 때 차량의 비상 상황으로 판단하여 비상등 및 경음기를 구동시킨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emergency state of the vehicle when the contact terminal and the sensing switch of the sensing unit contacts to drive the emergency light and the horn.
또한, 상기 제어부는 운전자가 가속 페달을 조작하지 않은 상태임에도 개방전압이 전자제어 유닛에 의해 감지된다면 이를 차량의 비상 상황으로 판단하여 상기 유량 조절부를 구동시킨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open voltage is detected by the electronic control unit even when the driver does not operate the accelerator pedal, and determines the emergency state of the vehicle to drive the flow control unit.
아울러,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구비되되, 바이패스 유로를 갖는 보조 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본체에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수동으로 패쇄할 수 있게 상기 보조 본체의 상부에서 하부로 나사 결합되는 조절 볼트가 포함된다.In addition, an adjustment bolt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auxiliary main body having a bypass flow path, and the auxiliary main body is screwed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of the auxiliary main body so as to manually close the bypass flow path. Included.
본 발명의 차량 비상 제동장치에 의하면, 차량의 급발진 발생 시 유량 조절부가 엔진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함으로 엔진의 구동을 점진적으로 정지시켜 차량의 급발진 시 발생하는 사고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vehicle emergency brak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topping the air supplied to the engine when the flow rate of the vehicle suddenly occur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accident caused during sudden start of the vehicle by gradually stopping the driving of the engine.
또한, 차량의 주행 중 엔진의 이상 발생 시 엔진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공급을 차단하여 엔진의 회전수를 제어함으로써 엔진의 이상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n engine abnormality occurs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the abnormal operation of the engine may be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engine by cutting off the supply of air supplied to the engine.
특히, 엔진 이상으로 인한 회전수의 급격한 증가 시에는 유량 조절부가 엔진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하여, 엔진 이상으로 인한 차량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In particular, when a sudden increase in the number of revolutions due to the engine failure, the flow rate control unit blocks the air supplied to the engin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ccident of the vehicle due to the engine failur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차량용 비상 제동 장치가 스로틀 밸브와 흡기 매니폴드 사이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차량용 비상 제동 장치에 있어서, 본체의 유로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차량용 비상 제동 장치에 있어서, 본체의 유로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mergency braking apparatus for a vehicle,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between a throttle valve and an intake manifold;
Figure 2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low path of the body in the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osed state of the flow path of the body in the emergency brak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will b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차량용 비상 제동 장치가 스로틀 밸브와 흡기 매니폴드 사이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차량용 비상 제동 장치에 있어서, 본체의 유로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차량용 비상 제동 장치에 있어서, 본체의 유로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a vehicle,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between a throttle valve and an intake manifold, and FIG. 2 is an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a vehicle,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state,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osed state of the flow path of the body in the emergency brak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인 차량용 비상 제동 장치(1)는 본체(100), 유량 조절부(200) 및 제어부(도면 미도시)를 포함한다.1 to 4, the
본체(100)는 차량의 스로틀 밸브(10)와 흡기 매니폴드(20) 사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본체(100)는 스로틀 밸브(10)에서 흡기 매니폴드(20)로 공급되는 공기를 공급 및 차단할 수 있다.The
이를 위해 본체(100)의 내부에는 유로(110)가 형성된다. 유량 조절부(200)는 본체(100)의 유로(110)를 개폐시킬 수 있다. 즉, 유량 조절부(200)는 본체(100)의 일측에 배치된다.To this end, the
한편, 본체(100)의 외주면에는 바이패스 유로(121)를 갖는 보조 본체(120)가 구비되고, 상기 바이패스 유로(121)는 유량 조절부(200)가 유로(110)를 폐쇄 시 엔진 구동을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보조 본체(120)에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보조 본체(120)에는 바이패스 유로(121)의 개방 정도를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게 보조 본체(120)의 상부에서 하부로 나사 결합되는 조절 볼트(130)를 더 포함한다.The auxiliary
한편, 차량의 배기량에 따라 엔진의 구동에 필요한 최소한이 공기양도 다르므로 그 공기양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 볼트(130)의 외주면에는 지시선(131)이 더 표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minimum amount of air required for driving the engine is also different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of the vehicle, the
즉, 지시선(131)에 표시된 만큼 조절 볼트(130)를 조절함으로써, 바이패스 유로(121)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That is,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그리고 유량 조절부(200)는 회전축(210), 탄성체(220), 회전 디스크(230), 회전체(240), 액추에이터(250), 감지부(260)를 포함한다.The flow
상기 회전축(210) 및 회전 디스크(230)는 본체(10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탄성체(220), 회전체(240), 액추에이터(250) 및 감지부(260)는 본체(100)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b)을 통해 장착된다.The rotating
회전축(210)은 본체(100)를 관통하여 본체(100) 내부의 유로(110) 상에 결합되고 일부는 본체(100) 외부로 돌출되어 구비된다.The rotating
탄성체(220)는 회전축(210) 상에 설치되되, 일단은 고정브라켓(b)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회전체(240)의 일측에 고정되어 그 탄성력에 의하여 회전체(240)에 회전력을 부여한다.The
회전 디스크(230)는 원판 형태로 이루어져 본체(100)의 유로(110) 상에 배치되고 회전축(210)에 결합되며, 회전축(210)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유로(110)를 개폐시킨다.The rotating
회전체(240)는 탄성체(220)의 탄성력에 의해서 회전되고, 회전체(240)가 회전하면 회전체(240)에 결합되어 있는 회전축(210) 및 회전 디스크(230)도 회전하게 된다.The rotating
액추에이터(250)는 초기에 회전력이 부여되어 있는 회전체(240)를 구속함과 동시에 그 구속을 해제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The
액추에이터(25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적 신호를 통해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250)와 회전체(240)의 사이에는 회전체(240)의 회전 제한턱(241)에 접촉하여 회전체(240)를 구속하고, 액추에이터(250)의 구동 시 액추에이터(250) 하부로 이동하여 회전체(240)의 구속을 해제하는 작동봉(251)을 포함한다.The
구체적으로 작동봉(251)은 액추에이터(250)의 상면에서 회전체(240)에 접촉되게 돌출되어, 회전체(240)가 탄성체(220)를 통해서 자유롭게 회전되는 상태를 구속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the
그리고 작동봉(251)은 액추에이터(250)의 전기적 신호를 통해 구동되면, 액추에이터(250)의 하부로 하강하여, 회전체(240)의 구속을 해제함으로써 회전체(24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When the
구체적으로 액추에이터(250)는 작동봉(251)을 전자석으로 구동시켜 액추에이터(250)와 회전체(240) 사이에서 회전체(240) 측으로 상승 및 하강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the
한편, 회전체(240)의 일측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회전 제한턱(241)이 형성된다. 회전 제한턱(241)은 작동봉(251)이 회전체(240)에 접촉 시 회전체(240)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one side of the rotating
구체적으로 회전 제한턱(241)에 작동봉(251)이 접촉 시에는 회전체(24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반면에, 작동봉(251)이 회전 제한턱(241) 내부에서 분리되어, 회전체(240)를 회전시킬 수 있다.In detail, when the operating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봉(251)이 회전 제한턱(241)에 접촉된 상태에서는 회전축(210)의 회전이 구속되어 유로(110)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As shown in FIG. 2, in the state in which the
한편, 도 3를 참조하면, 작동봉(251)이 회전 제한턱(241)에서 분리되면, 회전축(210)이 회전하여 회전 디스크(230)가 유로(110)를 폐쇄하게 된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3, when the operating
액추에이터(250)에는 차량의 급발진 및 엔진의 이상 작동으로 인한 차량의 비상 구동 시 액추에이터(250)를 운전자가 구동시킬 수 있게 차량 실내의 작동 버튼(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운전자가 차량 실내의 작동 버튼을 구동시키면, 액추에이터(250)가 회전 제한턱(241)에 결합되어 있는 작동봉(251)을 전자석으로 당겨서 회전체(240)와 작동봉(251)을 분리하여 회전체(240)를 회전시킨다.Specifically, when the driver drives the operation button of the vehicle interior, the
그리고 회전체(240)는 회전 디스크(230)를 회전시켜 유로(110)를 폐쇄한다.The
좀 더 구체적으로 회전 디스크(230)가 유로(110)를 폐쇄하면, 흡기 매니폴드(20) 및 엔진(미도시)으로 공급되는 공기가 차단되어, 엔진에서 연료의 연소가 중단되어, 엔진의 회전수가 감소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이에 따라, 차량의 비상 상황인 급발진 상황에서 엔진의 구동을 점차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고, 운전자에 의하여 차량의 제어가 가능해진다.As a result, the driving of the engine can be gradually stopped in the sudden start and stop state, which is the emergency state of the vehicle, and the vehicle can be controlled by the driver.
또한, 상기와 같은 차량의 비상 상황 시 액추에이터(250)를 수동으로 작동 시킬 수 있는 수동 케이블(270)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수동 케이블(270)은 차량의 비상 상황 시 운전자가 직접 수동 케이블(270)을 잡아 당겨, 액추에이터(250)의 작동봉(251)을 강제로 구동시킨다.In addition, a
한편, 수동 케이블(270)을 잡아당긴 이후에는 회전축(210)과 회전 디스크(230)가 회전 하면서 유로(110)를 폐쇄하게 되고, 유로(110)가 폐쇄된 이후의 과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아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after pulling the
감지부(260)는 회전축(210)의 측부에 배치되며, 회전체(240)의 작동 상태에 따른 유로(110)의 개폐 상태를 감지한다.The
이를 위해, 감지부(260)는 접촉 단자(261) 및 감지 스위치(262)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접촉 단자(261)는 회전체(240)의 회전 상태에 따라 회전축(210)과 탄성적으로 접촉되어 회전 디스크(230)의 개방 상태를 감지할 수 있게 회전축(210)과 감지 스위치(262) 사이에 배치된다.The
감지 스위치(262)는 회전축(210)의 회전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회전축(210)의 측부에 위치하되 접촉 단자(261)와 마주 보도록 배치된다.The
한편, 회전축(210)의 외주면 일측에는 내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접촉 단자(261)와 감지 스위치(262)를 이격시켜 감지부(260)가 회전 디스크(230)의 개방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격홈(211)이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도 2를 참조하면, 접촉 단자(261)가 회전축(210)에 형성된 이격홈(211)에 위치하면 감지 스위치(262)가 접촉 단자(261)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다.Referring to FIG. 2, when the
반면에 도 3을 참조하면, 회전축(210)의 외주면에 접촉 단자(261)가 위치하면 감지 스위치(262)가 접촉 단자(261)와 접촉된다.3, when the
즉, 감지부(260)는 감지 스위치(262)가 접촉 단자(261)와 분리 및 접촉됨에 따라 유로(110)의 개방 및 폐쇄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That is, the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110)가 개방된 상태인 경우 접촉 단자(261)가 이격홈(211)에 위치하여 접촉 단자(261)와 감지 스위치(262)가 이격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 when the
반면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110)가 폐쇄된 상태인 경우 접촉 단자(261)가 회전축(210)의 외주면에 위치하여 접촉 단자(261)가 감지 스위치(262)를 접촉하여 미는 상태가 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3, when the
한편, 제어부는 감지부(260)의 접촉 단자(261)와 감지 스위치(262)가 접촉할 때 차량의 비상 상황으로 판단하여 이를 외부에 알릴 수 있는 비상등 및 경음기를 구동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차량의 주행 시 발생하는 후속 차량과의 추돌에 따른 2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한편, 운전자가 차량의 가속 페달을 조작할 경우 스로틀 밸브(10)가 개방되고 대략 5V의 전압(이하, "개방전압"이라 한다)이 전자제어 유닛(미도시)을 통해 감지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river operates the vehicle's accelerator pedal, the
만약, 운전자가 가속 페달의 조작을 하지 않은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개방전압이 전자제어 유닛에 의해 감지된다면 제어부는 이를 차량의 비상 상황으로 판단하게 되고, 유량 조절부(200)를 구동시켜 엔진의 회전수를 낮추고 차량을 점진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다.If the open voltage is detected by the electronic control unit even though the driver does not operate the accelerator pedal, the controller determines this as an emergency situation of the vehicle and drives the
본 발명의 실시예인 차량용 비상 제동 장치(1)의 작동 상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의 비상 상황 시 유량 조절부(200)가 작동하는 상태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state of the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비상 제동 장치(1)는 차량의 급발진 발생 시 유량 조절부(200)가 엔진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함으로써 엔진의 회전수를 감소시켜 차량의 급발진으로 인한 사고를 차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차량의 주행 중 엔진의 이상 발생 시 엔진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공급을 차단하여 엔진의 회전수를 제어함으로써 엔진의 이상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n engine abnormality occurs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the abnormal operation of the engine may be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engine by cutting off the supply of air supplied to the engine.
특히, 엔진 이상으로 인한 회전수의 급격한 증가 시에는 유량 조절부(200)가 엔진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하여, 엔진 이상으로 인한 차량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In particular, when the number of revolutions due to the engine abnormally increases, the flow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이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설계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design change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이러한 설계변경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청구범위에서 기재된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균등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nd differences relating to such design changes should be construed as equivalents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1: 차량용 비상 제동 장치 10: 스로틀 밸브
20 : 흡기 매니폴드 100: 본체
110: 유로 120: 보조 본체
121: 바이패스 유로 130: 조절 볼트
131: 지시선 200: 유량 조절부
210: 회전축 211: 이격홈
220: 탄성체 230: 회전 디스크
240: 회전체 241: 회전 제한턱
250: 액추에이터 251: 작동봉
260: 감지부 261: 감지 스위치
262: 접촉 단자 270: 수동 케이블1: Vehicle emergency braking device 10: Throttle valve
20: intake manifold 100: main body
110: Euro 120: auxiliary body
121: bypass flow path 130: adjustment bolt
131: leader line 200: flow control unit
210: rotating shaft 211: separation groove
220: elastomer 230: rotating disk
240: rotating body 241: rotation limit jaw
250: actuator 251: operating rod
260: detection unit 261: detection switch
262: contact terminal 270: passive cable
Claims (7)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100)의 유로(110)를 개폐시키는 유량 조절부(200) 및 차량의 비상 상황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상기 유량 조절부(200)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량 조절부(200)는 상기 본체(100)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100) 내부의 유로(110) 상에 결합되고 일부는 본체(100) 외부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회전축(210)과,
상기 회전축(210) 상에 설치되되, 일단은 고정브라켓(b)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회전체(240)의 일측에 고정되는 탄성체(220)와,
상기 회전축(210)에 결합되어 상기 유로(110)를 개폐하는 회전 디스크(230)와,
상기 탄성체(220)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탄성체(220)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회전축(210) 및 상기 회전 디스크(230)를 회전시키는 회전체(240)와,
상기 회전체(240)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체(240)를 구속함과 동시에 그 구속을 해제하기 위한 액추에이터(250) 및 상기 회전축(210)의 측부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체(240)의 작동 상태에 따른 상기 유로(110)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비상 제동 장치.A main body 100 disposed between the throttle valve 10 and the intake manifold 20 of the vehicle and having a flow path 110 formed therein;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determines the flow rate control unit 20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low path 110 of the main body 100 and whether the emergency situation of the vehicle, and accordingly the flow rate control unit 20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for driving,
The flow rate adjusting unit 200 is coupled to the flow path 110 inside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main body 100 and a part of the rotating shaft 210 is provided to protrude out of the main body 100,
Is installed on the rotating shaft 210, one end is fixed to one side of the fixing bracket (b) and the other end is an elastic body 220 is fixed to one side of the rotating body 240,
A rotating disk 230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210 to open and close the flow path 110;
A rotating body 240 connected through the elastic body 220 to rotate the rotating shaft 210 and the rotating disk 230 by an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220;
It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body 240, the actuator 250 for restraining and at the same time restraining the rotating body 240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rotating shaft 210,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240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flow path (110)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상기 회전체(240)의 일측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회전 제한턱(241)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 제한턱(241)에 접촉하여 상기 회전체(240)를 구속하며, 상기 액추에이터(250)의 구동 시 상기 회전체(240)의 구속을 해제하는 작동봉(25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비상 제동 장치.The method of claim 1,
One side of the rotating body 240 is formed with a rotation limiting jaw recessed inwardly,
And a working rod 251 that contacts the rotation limiting jaw 241 to restrain the rotor 240 and release the restraint of the rotor 240 when the actuator 250 is driven. Emergency braking system for vehicles.
상기 액추에이터(250)에는 차량의 비상 상황 시 액추에이터(250)를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수동 케이블(27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비상 제동 장치.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actuator 25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peration button of the vehicle interior to enable the driver to drive the actuator 250 in the emergency situation of the vehicle,
The actuator 250 is a vehicle emergency brak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manual cable 270 for manually operating the actuator 250 in the emergency situation of the vehicle.
상기 회전축(210)의 외주면 일측에는 내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이격홈(211)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비상 제동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etection unit 260 is a contact terminal 261 in elastic contact with the rotary shaft 210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state of the rotating body 240 and the side of the rotary shaft 210 A sensing switch 262, positioned to face the contact terminal 261,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ating shaft 210 is provided with a separation groove 211 is formed to be stepped inwar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70424A KR102041738B1 (en) | 2018-12-27 | 2018-12-27 | Emergency braking system for vehicl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70424A KR102041738B1 (en) | 2018-12-27 | 2018-12-27 | Emergency braking system for vehicl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41738B1 true KR102041738B1 (en) | 2019-11-06 |
Family
ID=68541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70424A Active KR102041738B1 (en) | 2018-12-27 | 2018-12-27 | Emergency braking system for vehicl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41738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21302B1 (en) * | 2021-09-08 | 2022-07-15 | 이달재 | A device for preventing sudden acceleration of a vehicle and a vehicle using the same to prevent sudden acceleration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306735A (en) * | 1997-05-07 | 1998-11-17 | Hitachi Ltd | Engine throttle device |
KR19980078765A (en) * | 1997-04-30 | 1998-11-25 | 김영귀 | Throttle valve control device for vehicle engine |
KR100815162B1 (en) | 2007-04-03 | 2008-03-19 | (주)모토닉 | Car Throttle Device |
KR20110083841A (en) * | 2010-01-15 | 2011-07-21 | 서동욱 | Vehicle safety device |
KR20120001811A (en) * | 2006-06-23 | 2012-01-04 | 춘-시웅 창 | Variable flow control method and device between air intake and throttle |
KR101278688B1 (en) | 2013-01-07 | 2013-06-24 | 유명임 | Throttle valve preventing sudden unintended acceleration |
-
2018
- 2018-12-27 KR KR1020180170424A patent/KR10204173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78765A (en) * | 1997-04-30 | 1998-11-25 | 김영귀 | Throttle valve control device for vehicle engine |
JPH10306735A (en) * | 1997-05-07 | 1998-11-17 | Hitachi Ltd | Engine throttle device |
KR20120001811A (en) * | 2006-06-23 | 2012-01-04 | 춘-시웅 창 | Variable flow control method and device between air intake and throttle |
KR100815162B1 (en) | 2007-04-03 | 2008-03-19 | (주)모토닉 | Car Throttle Device |
KR20110083841A (en) * | 2010-01-15 | 2011-07-21 | 서동욱 | Vehicle safety device |
KR101278688B1 (en) | 2013-01-07 | 2013-06-24 | 유명임 | Throttle valve preventing sudden unintended acceleratio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21302B1 (en) * | 2021-09-08 | 2022-07-15 | 이달재 | A device for preventing sudden acceleration of a vehicle and a vehicle using the same to prevent sudden accelera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51520B1 (en) | Valve control device | |
JPH0533712A (en) | Monitor for electronic control throttle valve of automobile | |
US5016589A (en) | Throttle control device | |
KR102041738B1 (en) | Emergency braking system for vehicles | |
JP3883917B2 (en) | Control device for throttle valve drive device | |
KR100394654B1 (en) | Method for controlling limp home of electronic throttle system in vehicle | |
JP3688132B2 (en) | Throttle valve control device | |
KR100241043B1 (en) | Throttle Control of Vehicle | |
JP2005098178A (en) | Throttle valve control device | |
JP3848475B2 (en) | Automotive throttle control device and fuel control device | |
JP3760604B2 (en) | Vehicle travel control device | |
KR100858612B1 (en) | How to diagnose a malfunction of the vehicle accelerator pedal sensor | |
CN102953838B (en) | Damper assemblie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100288242B1 (en) | Method for diagnosis and threatment accel pedal sensor trouble in diesel vehicle | |
KR101876037B1 (en) | Device for preventing sudden start of automobiles | |
JP4717839B2 (en) | Engine control device for motorcycle | |
JPH034764Y2 (en) | ||
KR20040069604A (en) | Apparatus for failure detection of acceleration pedal sensor on diesel vehicle and method thereof | |
KR200183881Y1 (en) | An apparatus for protecting from a sudden start | |
CN202220662U (en) | Air throttle device | |
JPH01116253A (en) | throttle operating device | |
KR100229157B1 (en) | Method for self-diagnosing trouble in iacv | |
JPH05118231A (en) | Revolution speed adjusting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JP2003214198A (en) | Diagnostic device for electronically controlled throttle | |
JPS61282134A (en) | Constant travel control device for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0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10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