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41144B1 - 대장균 유래 지카바이러스 외피 단백질 도메인 iii 재조합 단백질의 가용화를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지카 재조합 단백질 생산방법 - Google Patents

대장균 유래 지카바이러스 외피 단백질 도메인 iii 재조합 단백질의 가용화를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지카 재조합 단백질 생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1144B1
KR102041144B1 KR1020180060635A KR20180060635A KR102041144B1 KR 102041144 B1 KR102041144 B1 KR 102041144B1 KR 1020180060635 A KR1020180060635 A KR 1020180060635A KR 20180060635 A KR20180060635 A KR 20180060635A KR 102041144 B1 KR102041144 B1 KR 102041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mbinant
composition
protein
antigen
domain iii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0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옥
홍선표
김석준
장선옥
정다흰
Original Assignee
(주)진매트릭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매트릭스 filed Critical (주)진매트릭스
Priority to KR1020180060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1144B1/ko
Priority to PCT/KR2019/004815 priority patent/WO201923111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14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00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12Viral antige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69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microorganisms, e.g. protozoa, bacteria, viru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69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microorganisms, e.g. protozoa, bacteria, viruses
    • G01N33/56983Viru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70/00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ssRNA viruses positive-sense
    • C12N2770/00011Details
    • C12N2770/24011Flaviviridae
    • C12N2770/24034Use of virus or viral component as vaccine, e.g. live-attenuated or inactivated virus, VLP, viral protei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70/00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ssRNA viruses positive-sense
    • C12N2770/00011Details
    • C12N2770/24011Flaviviridae
    • C12N2770/24051Methods of production or purification of viral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00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viruses
    • G01N2333/08RNA viruses
    • G01N2333/18Togaviridae; Flaviviridae
    • G01N2333/183Flaviviridae, e.g. pestivirus, mucosal disease virus, bovine viral diarrhoea virus, classical swine fever virus (hog cholera virus) or border disease virus
    • G01N2333/185Flaviviruses or Group B arboviruses, e.g. yellow fever virus, japanese encephalitis, tick-borne encephalitis, dengu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Vir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pH 8.5의 완충물질;b)글루타치온(GSH) 및 산화형 글루타치온(GSSG) 혼합물;c)염화나트륨; 및 d)아르기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카바이러스 외피 단백질 도메인 III 재조합 단백질 가용화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지카 재조합 항원의 가용화 조성물을 통하여 보다 손쉽게 지카 재조합 항원 제조 및 대량생산 할 수 있으며, 종래 가용화 조성조건에 비해 면역학적 검증 및 면역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하여 보다 뛰어난 성능을 나타내었으며, 이렇게 조제된 지카 재조합항원은 면역크로마토그래피 신속진단키트에 단백질 마커 원료로 적용 가능하고, 서브유닛 재조합 백신 원료로 적용 가능하다.

Description

대장균 유래 지카바이러스 외피 단백질 도메인 III 재조합 단백질의 가용화를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지카 재조합 단백질 생산방법{A COMPOSITION FOR REFOLDING RECOMBINANT ZIKA VIRUS EDIII PROTEIN, AND A REFOLD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대장균 유래 지카바이러스 외피 단백질 도메인 III 재조합 단백질의 가용화를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지카 재조합 단백질 생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ZIKV-EDIII 단백질의 내포체 분리 수득하여, 본 발명의 가용화 조성물을 통하여 안정적인 단백질 활성을 가지는 재조합 항원을 생산하는 방법이다. 생산된 ZIKV-EDIII 재조합 단백질 항원은 신속진단키트 테스트 적용, 마우스 면역시험을 통하여 지카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효능이 우수한 서브유닛 백신으로서 가능성을 제시한다.
감염 또는 질병을 유발하는 마커 단백질을 진단 목적의 원료로 사용하는데 있어 자연 상태의 물질을 대량 공급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주로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사용하게 된다. 외래 단백질을 재조합을 통해 발현하는 시스템은 전통적으로 박테리아, 이스트, 곤충 또는 포유류의 세포, 재조합 식물이나 동물 등에 의한 것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그 중 대장균은 손쉽게 다룰 수 있으며 유지 및 실험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Rosano G. L. 등, Front Microbiol, 5:172, 2014). 그러나, 대장균에서의 재조합 단백질 제조 과정에서는 때때로 타깃 단백질의 소수성, 이황화결합, 또는 독성 등의 원인으로 인해 불안정한 구조의 단백질이 비가역적 반응에 의해 고농도로 얽히는 불용성의 내포체가 형성된다. 내포체로 발현되는 경우, 액상의 재조합 단백질 형태로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발현 시에 가용성 단백질로 바꾸어 발현 하거나, 또는 내포체 형태로 발현 후 가용화하는 것이 필수적이다(Singh S. M. 등, J Biosci Bioeng, 99(4):303-10, 2005).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중 가용성 단백질로 발현하는 방법은 단백질 총합성량을 발현 온도나 프로모터, 배지, 발현 유도물질의 농도 등을 이용해 감소시키는 방법, 샤페론을 이용하는 방법, 분비 형태 또는 세포질(cytoplasm)로 발현하는 방법, 이황화결합 발현 전용 균주를 사용하는 방법, 표지단백질(tagging protein)을 이용하는 방법, 융합 형태의 단백질로 발현하는 방법 등이 포함되며, 내포체를 가용화 하는 방법으로는 화학성분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Singh S. M. 등, J Biosci Bioeng, 99(4):303-10, 2005; Yamaguchi H. 등, Biomolecules, 4(1):235-51, 2014; Ghosh S. 등, Biotechniques, 37(3):418, 420, 422-3, 2004; Singh P. 등, PLoS One, 8(5):e63442, 2013).
이러한 방법들 중 내포체를 가용화 하기 위해 화학성분을 이용하는 방법은 6M 이상의 우레아 또는 구아니디늄클로라이드 등의 카오트로픽제에 완충용액 성분을 포함한 조성으로 내포체를 변성하는 과정, 용액의 조성에 있어 각종 완충용액, 응집 방지 물질, 구조 안정화 물질, 계면활성제, 염, 킬레이트제, 산화환원제, 양이온성 물질 등의 조합으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가용화 과정을 포함한다(Singh S. M. 등, J Biosci Bioeng, 99(4):303-10, 2005; Yamaguchi H. 등, Biomolecules, 4(1):235-51, 2014).
지카바이러스 1947년 우간다 지카 숲(ZIKA forest)의 히말라야 원숭이에서 처음 발견되었고, 1952년 나이지리아에서 인간에게 처음 감염된 것으로 기록되고 있다. 아메리카에서 주요 전염병으로 야기되고 있으며, 2015년 이래 최소 84 국가와 지역으로 퍼져 세계적으로 확산되어 문제시 되고 있다. 2013년 남태평양의 폴리네시아에서 뎅기열을 수반한 전염병이 크게 나타나게 되고, 이는 나중에 south pacific까지 퍼지게 되어 2015년 초 브라질 18개주에서 발생한 후 콜롬비아 등 중앙아메리카 및 북아메리카까지 자생적으로 전염되었다.
지카바이러스 감염시, 감염자의 80%는 무증상이지만, 관절통, 발열, 오한, 피로, 근육통, 혈뇨 등이 지속되다가 회복된다. 심한 경우에 길렝-바레(Guillain-Barre) 증후군, 횡격막 척수염, 뇌염, 뇌수막염, 말초 안면 마비와 같은 심각한 신경장애를 초래할 수 있으며, 임신 중 감염시, 소두증을 포함한 선천성 장애와 관련있다(Musso D 등, Clin Microbiol, 29:487-524,2016, Zanluca C 등, Microbes Infect 18:395-301,2016). 특히, 임신초기에 지카바이러스에 감염시, 소두증(microcephaly)을 동반할 위험이 50%이상 상승하며, 실제 소두증 신생아가 태어난 것으로 확인되며, 브라질에서는 2015년 10월에서 2016년 4월 사이 7015 소두증 증례를 보고하였고 이중 1113건의 지카바이러스에 의한 소두증이 확인되었다(Zanluca C 등, 110:569-572, 2015).
지카바이러스는 크게 아시아계열과 아프리카계열 총 2가지로 나누어지며, 2015년초 전 세계적으로 대두되었던 브라질 및 중앙아메리카, 카리브해 근처에 나타난 지카바이러스는 아시아 계열의 바이러스로 확인되었다. 지카바이러스는 양성-센스, 단일가닥 RNA 바이러스로 플라비바이러스속, 플라비바이러스과에 속하며, 뎅기, 황열, 웨스트나일 등이 있다. 지카바이러스 구조는 3개의 구조적 단백질, 캡시드, Precursor membrane(prM), envelope(E)으로 구성되며, 7개의 비구조적 단백질 NS1, NS2, NS3, NS4, NS5로 이루어져 있다(Pierson TC 등, Fields virology, 747-794, 2013). 외피 당단백질은 EDI, EDII, EDIII 3개의 외부도메인으로 구성되며, 구조적으로 중심 아미노 말단도메인을 EDI, 이량체화 도메인 EDII, 카복시말단 Ig 유사도메인은 EDIII이다. 도메인 EDI 도메인 EDI (1-49; 136-195; 286-302 aa) 및 EDII는 연속적으로 인접하지 않으며, 가용성 힌지 영역 (EDI / II) 인 반면, EDIII (303-403aa)는 연속적인 도메인은 EDI에서 확장된다. 외피당단백질은 바이러스 어셈블리, cellular receptor 부착바이러스 entry와 관련된 후속 막 융합과 관련되어있다(Lazer HM, 등, J.Virol, 90:4864-75,2016). 또한, 외피 당단백질은 주요 항체반응의 주요타깃이며, 도메인 EDIII는 지카바이러스 중화반응에 특이적인 항체를 가지고 있어 강력한 항체반응을 유도하여 방어면역 가능하다.
지카바이러스 감염시 경미한 증상부터 위험 증상으로부터 예방하고자 전세계적으로 효과적인 지카 백신 개발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지카바이러스 백신 개발은 DNA 백신, 불활화, 약독화, mRNA, 재조합 서브유닛 백신, 핵산 백신 등 다양한 플랫폼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전세계적으로 다국적기업, 연구기관에서 임상시험단계에 진행 중이다. 임상시험 단계 백신 형태는 DNA 백신, 불활화 지카바이러스 백신, 펩타이드 백신, mRNA 백신 등이 있으며 각 후보물질마다 임상진행속도에는 차이가 있지만 개발가능성이 비교적 높은 편으로 평가되고 있다.
한편, 생백신 또는 약독화 백신은 병원균 독성을 약하게 만들어 그 자체를 사용함으로써 1회 접종만으로 면역지속기간이 길어지는 장점이 있지만, 보관시 주의가 필요하고 몸 안에서 병원체들이 변이반응이 일어 날 수 있으며 독성이 나타나는 위험이 있다. 이에 반해 재조합항원백신(서브유닛백신)은 중화항체를 유도하는 표면항원을 발현시켜 면역에 사용함으로써 안정적이고,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일관된 품질이 보장된다. 또한, 단회접종시 면역원성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으나, 면역증강제 및 다회투여를 통하여 면역원성이 증가 가능하여 백신 효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면역증강제는 서브유닛 백신의 면역원성을 높이고, 체내 지속력과 함께 면역 시스템을 활성화 하는 주요요소로 작용한다. 면역 증강제는 작용기전에 따라 장시간 체내에서 쉽게 분해되지 않는 특성을 통해 체액성 면역을 자극하는 Alum, liposome, emulsion 계열과, Toll-like receptor (TLR) 작용체로서 내재면역 자극 인자로 작용하여 세포성 면역반응을 높이는 MPL(monophosphoryl lipid A), LPS 계열 등이 존재하며, 현재 상용화된 인간백신 면역 증강제로 alum, MF59, AS03, AS04 등이 있고 여러 백신에 적용 시험하여 그 효능을 입증하고자 하는 면역 증강제가 다수 존재한다(Apostolico J.S 등, J immunology reseach , 2016).
[선행 특허 문헌]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70103473호
본 발명은 상기의 필요성에 의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내포체로 발현되는 지카바이러스 외피단백질 도메인 III 단백질의 가용화와 관련하여 종래기술의 가용화 조성물보다 우수한 새로운 가용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가용화 조성물을 이용하여 지카 재조합항원 단백질을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발명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a)pH 8.5의 완충물질;b)글루타치온(GSH) 및 산화형 글루타치온(GSSG) 혼합물;c)염화나트륨; 및 d)아르기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카바이러스 외피 단백질 도메인 III 재조합 단백질 가용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완충물질은 트리스(Tris-(hydroxymethyl)aminomethane) 완충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GSH 및 GSSG의 혼합 몰비는 5/1 내지 10/1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염화나트륨은 20 내지 180mM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아르기닌 농도는 0.5M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염화 마그네슘 및 염화 칼슘을 더욱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염화 마그네슘 및 염화 칼슘의 농도는 각각 2mM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본 발명은 a)내포체를 생산하는 재조합 균주로부터 내포체를 분리 수득하는 단계;및 b) 상기 수득된 내포체에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카바이러스 외피 단백질 도메인 III 재조합 단백질 가용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내포체는 발현 완료된 세포에 세포파쇄용액 처리 후 원심분리 하여 얻어진 불용성 침전물을 버퍼로 부유해 파쇄 및 원심분리를 반복하는 워싱 과정을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가용화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지카바이러스 외피 단백질 도메인 III 재조합 단백질을 재조합 항원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사용된 지카바이러스 외피 단백질 도메인 III 재조합 단백질 항원 또는 상기 항원에 대한 항체를 포함하는 지카바이러스 진단용 키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사용된 지카바이러스 외피 단백질 도메인 III 재조합 단백질 항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카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재조합 항원은 마우스 면역을 통하여 항체 생성 및 중화항체 효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지카 재조합 항원 10㎍이상, 면역증강제 Alum 및 MPL을 포함한 LPS 계열의 혼합제제를 사용하는 백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서 제공한 96종의 가용화 조성물 조건을 탐색하여, 새로운 내포체로 발현되는 ZIKV-EDIII 재조합 단백질 항원의 활성구조, 항원성, 면역능을 높이는 가장 우수한 조건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조건으로부터 얻어진 재조합 단백질 생산 방법을 적용하여 지카바이러스 외피단백질 도메인 III(ZIKV-EDIII) 재조합 단백질 항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지카바이러스 외피단백질 도메인 III 재조합 단백질은 발현, 변성, 정제, 가용화, 투석, 농축의 일련의 과정을 거쳐 생산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방법으로 수득한 ZIKV-EDIII 단백질 항원은 마우스 면역시험으로 면역보조제, 적정 면역 도즈를 선정하였고, 이는 우수한 중화항체능을 나타냄에 따라 백신으로서의 효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지카바이러스의 외피단백질 도메인 III(ZIKV-EDIII)는 지카바이러스에 대한 강력한 항체 형성 및 방어면역이 가능한 주요 타겟으로, 본 발명의 ZIKV-EDIII는 높은 항체가와 다수의 중화항체 생성으로 효과적인 면역 반응을 유도한다.
본 발명은 상기 지카바이러스 도메인 III 발현벡터에 있어서, 상기벡터는 pET-28a 벡터가 용이하며, 기타벡터(pET-22b) 사용시 플라스미드 불안정성 및 타깃 단백질 독성으로 인하여 발현이 어려웠기 때문이다. pET-28a 벡터는 상용벡터로, 당업자가 용이하게 구입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재조합벡터로 형질전환된 숙주세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숙주세포는 원핵세포로 대장균이 바람직하며, T7 프로모터를 가진 BL21, Rosetta, Origami와 같은 계열의 다양한 대장균을 이용하여 형질전환 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BL21(DE3) 균주를 사용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대장균 유래 타깃 단백질 과발현 유도 시, 발현온도, 유도시점, 유도물질의 농도, 유도 후 발현시간 등이 주요 실험 조건이며, ZIKV-EDIII는 O.D600 0.5-0.6이였으며, IPTG 농도 1mM, 4시간 발현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지카 재조합 단백질(ZIKV-EDIII)을 포함하는 내포체를 분리하는 방법은 발현 후 수득한 균체는 세포파쇄용액 bugbuster(Novagen) 사용하여 교반 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분리하여 상기 내포체를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침전물은 트리스 버퍼로 침전물을 부유, 초음파 파쇄, 원심분리를 반복하여 침전물을 회수한다. 회수한 침전물은 고농도의 카오트로픽제를 반드시 포함한 변성용액으로 용해시킨다. 지카 재조합 단백질은 8M 우레아, 트리스, 소듐클로라이드, GSH, GSSG의 변성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카오트로픽제는 8M 우레아 또는 6M 이상의 구아니디늄클로라이드일 수 있고, 환원제는 GSH, GSSH외 DTT, 시스테인, 2-머캅토에탄올 이 선택될 수 있다.
변성된 지카 단백질 정제 시에는 프로본드 니켈 킬레이트 레진을 사용하여 결합한 뒤, 우레아가 첨가된 정제 완충용액을 이용하여 pH별로 타깃 단백질을 수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 발명은, 수득한 변성 상태의 단백질을 이용하여 가용화 조건을 신속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화학성분의 농도와 비율을 포함하는 96종의 용액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지카 재조합 단백질의 가용화 조성물은 pH8.5 트리스 50mM 완충용액으로 0.5M 아르기닌, 2mM GSH와 0.2mM GSSG 또는 10mM GSH와 2mM GSSG 혼합용액, 20, 60, 또는 180mM 소듐클로라이드, 및/또는 0 또는 2mM 마그네슘클로라이드와 칼슘클로라이드 혼합용액의 조합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조제된 지카 재조합 단백질 항원(ZIKV-EDIII)은 항원-항체 면역기반 크로마토그래피 신속 진단 키트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재조합 항원은 마우스 면역을 통하여 항체 생성 및 중화항체 효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지카 재조합 항원 10㎍이상, 면역증강제 Alum 및 MPL을 포함한 LPS 계열의 혼합제제를 사용하는 백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중화항체란, 바이러스에 대한 특이적인 항체 중 바이러스 입자 표면과 결합하여 바이러스의 감염성을 중화하는 항체를 말하며, 바이러스에 대한 중화항체의 측정은 백신의 효능평가에 중요하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중화항체 측정으로 바이러스 중화항체 측정으로 플라크 감소 중화항체 검사(PRNT)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ZIKV-EDIII 재조합 항원은 면역접종량 10㎍이상, 면역증강제 혼합제제 함유 시, PRNT 50은 20 이상으로 우수한 중화항체 효능이 확인되었다. 한편, 지카 외피단백질 또는 도메인 III 타깃으로 재조합단백질 항원에 대한 중화항체 효능은 몇 가지 연구에서 보고되었다.
특히 대장균 유래 도메인 III 재조합 단백질 항원으로 마우스 면역 시험 결과, 중화항체가 확인 시 PRNT 50이 20미만로 나타났으며 Insect cell 발현 외피단백질 역시 유사한 결과가 보고되었다(Yang M. 등, j. Vaccine, 2017; Albert TO 등, mSphere, 3(1) e0057-17, 2018). 본 발명의 연구 결과와 비교해보았을 때, 본 발명의 지카 재조합 단백질의 안정적인 가용화 조성물 및 면역증강제의 효과로 사료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면역증강제는 지카 재조합 단백질 항원의 면역원성 및 지속력을 높이고자 사용되며 그 유효성은 마우스 시험에 투여하여 발생되는 지카 재조합 단백질 항원에 대한 항체 및 중화항체가를 통하여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수산화알루미늄(Alum) 및 MPL(monophosphoryl lipid A)이 혼합된 면역 증강제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항원 전달체로 작용하는 Alum을 포함하여 MF58, AS03, liposome 등이 있으며, 내재면역 자극인자로 세포성 면반응을 높이는 MPL을 포함하여 LPS 계열, CpGODN, AS04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카 재조합 항원의 가용화 조성물을 통하여 보다 손쉽게 지카 재조합 항원 제조 및 대량생산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조된 ZIKV-EDIII 재조합 항원은 종래 가용화 조성조건에 비해 면역학적 검증 및 면역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하여 보다 뛰어난 성능을 나타내었다. 이렇게 조제된 지카 재조합항원은 면역크로마토그래피 신속진단키트에 단백질 마커 원료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마우스 면역 시험을 통하여 면역보조제 및 면역 도스로 우수한 항체가 성능 및 중화항체 효능을 검증함에 따라 서브유닛 재조합 백신 원료로 적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도 1은 지카 외피단백질 도메인 III 단백질 발현 벡터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웨스턴 블랏 결과로, 가용화 조성화 버퍼별(트리스, HEPES, 글라이신) 조제된 지카 외피단백질 도메인 III 재조합 단백질의 항원성을 검증한 결과이다. a는 항-지카 단클론항체_외피단백질 Envelope, b는 항-지카 단클론항체_EDIII로 검증 결과이다. M은 분자량 마터, 라인 1은 트리스-ZIKV-EDIII, 라인2는 HEPES-ZIKV-EDIII, 라인 3은 글라이신-ZIKV-EDIII 재조합 항원 단백질
도 3은 가용화 조성화 버퍼별(트리스, HEPES, 글라이신) 조제된 지카 외피단백질 도메인 III 재조합 항원 단백질을 골드 컨쥬게이트의 원료로 하여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신속진단키트를 제작하고, 이를 양성 혈청을 이용해 검사한 결과이다. 1은 Negative control, 2는 트리스-ZIKV-EDIII, 3은 HEPES-ZIKV-EDIII, 4는 글라이신-ZIKV-EDIII 재조합 항원
도 4는 ELISA 결과로, 지카 재조합항원 면역농도(10㎍, 25㎍, 50㎍)및 면역보조제 Alum+MPL 함유 시험으로 재조합항원 단독 대비 면역증강제 Alum과 MPL 혼합제제에서 항체가 증가를 확인하였다.
도 5는 End point titer결과로, 최종 반응역가를 확인시, 25㎍, 50㎍ 항원과 Alum 및 MPL 혼합제제에서 104에 가까운 end point titer로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6은 ZIKV-EDIII 재조합항원 및 면역증강제(Alum 및 MPL 혼합제제) 함유하여 면역화된 마우스에서 중화항체 측정 결과이다. 지카재조합항원 단독 면역시, 중화항체 효능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면역증강제가 함유된 ZIKV-EDIII 재조합항원 10㎍는 PRNT50=20, 25㎍, 50㎍ 에서 PRNT 50=40 이 확인되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다음 실시예에 의해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 표면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 합성
지카바이러스 외피단백질 도메인 III 개발을 위해서, 주요면역 유발인자에 해당하는 구조단백질인 외피 단백질의 합성 gene을 확보하였다. Colombia strain(GenBank accession no. KU820897.1, Brazil strain과 target 서열 동일)을 선정하여 대장균에서 발현이 용이하도록 codon optimization 하였다.
실시예 2 : 대장균유래 지카바이러스 재조합단백질 클로닝
지카바이러스 외피단백질 합성 gene을 이용해 외피단백질 domain III(EDIII) 대장균 유래 재조합 항원을 발현하고자 하였다. 해당 target DNA를 얻기 위하여 표 1의 프라이머를 이용해 PCR을 수행 후, 전기영동 하여 약, 445bp 크기의 타깃 DNA가 얻어진 것을 확인하였다. 이때, 발현 벡터는 pET-28a을 이용하였다. 타깃 DNA를 BamHI, XhoI(Takara, Japan) 제한효소를 37℃에서 처리하여 동일 제한효소로 처리된 발현벡터인 pET-28a(Novagen, USA)를 이용해 도 1과 같이 서브 클로닝 하였다. 대장균 DH5α와 동일하게 앰피실린을 포함하는 배지를 이용해 조제 벡터(ZIKV-EDIII-pET28a)가 포함된 BL21(DE3)(Invitrogen, USA) 균주인 ZIKV-EDIII-pET-BL21을 선별하였다
ZIKV-EDIII-pET-BL21
정방향 프라이머 AGCT GGATCC G ATG AAGGGACGCCTGTCC
역방향 프라이머 CTACGC CTCGAG TCCCAAGACTGCCAT
표 1은 프라이머 서열
실시예 3 : ZIKV - EDIII - pET -BL21 재조합 단백질의 발현
시험관 내(in vitro) 지카바이러스 외피단백질 도메인 III 재조합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하기 위해 선별된 균주는 β(IPTG) 유도를 기반으로, 지카바이러스 외피단백질 도메인 III 발현하였다. 재조합 대장균의 발현 시, 발현 온도와 유도시점 흡광도(OD600), 유도물질 IPTG의 농도, 진탕배양 조건, 유도 후 발현 시간 등이 실험 조건으로 적용된다. 조건시험을 통해 흡광도(OD600=0.5-0.6)에서 유도물질 IPTG 1.0mM을 사용하여 37℃230rpm 쉐이커 인큐베이터(shaker incubator)에서 4시간 동안 발현하는 최적의 조건을 확립하였다. 재조합 단백질을 지닌 박테리아 세포를 분석하기 위해 수득한 균체 1g 당 세포파쇄용액 bugbuster(Novagen) 5ml을 사용하여 20분 교반 후 단백질 추출(protein extraction) 하였고, 10% SDS-PAGE을 통해 15kDa 위치에서 과발현 양상을 확인하였다. 발현된 재조합 단백질은 가용성 단편이 아닌 불용성 펠렛(Insoluble pellet)에서 확인되었다.
실시예 4 : ZIKV - EDIII - pET -BL21 재조합 단백질 내포체 분리 수득
불용성 펠렛 형태로 발현된 재조합 단백질은 세포파쇄용액과 교반 후 얻어진 상등액과 동일 부피의 트리스((Tris-(hydroxymethyl) aminomethane)버퍼로 침전물을 부유해 초음파 파쇄 및 원심분리를 반복하여 얻어진 상등액을 제거하였다. 최종 불용성 펠렛은 카오트로픽 변성제(chaotropic denaturant) 8M 우레아(Urea)와 2mM 환원형 글루타치온(reduced glutathione, GSH)과 1mM 산화형 이황화 글루타치온(glutathione disulfide, GSSG)를 첨가 후 16시간 동안 4°C 보관하면서 단백질의 3차 구조를 풀어내어 가용화(solubilization) 하여 변성 단백질 수득하였다.
실시예 5 : ZIKV - EDIII - pET -BL21 재조합 단백질 정제
상기 변성 단백질 ZIKV-EDIII 재조합 단백질의 정제를 위해, 6x His-tag 재조합 단백질 및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Ni-NTA) 콘주게이트를 함께 이용하여 오픈컬럼 정제를 진행하였다. 정제 전, 시린지 필터를 이용해 불순물을 제거하였고, 프로본드 니켈 레진(Probond nickel resin, NOVEX)을 사용하여 타깃단백질 C-term 말단의 6x His-tag 상온 2시간 교반하여 결합하였다. 우레아가 첨가된 정제 완충용액을 이용하고, 정제 버퍼는 8M 우레아, 20Mm 소듐포스페이트, 0.5M 소듐크로라이드로, pH 7.8, pH 6.5, pH 5.9, pH 4.0으로 타깃단백질과 결합 시, pH 7.8, pH 6.5, pH 5.9 버퍼는 워싱, 용리시에는 pH 4.0버퍼를 사용하였다.
오픈 컬럼 정제 시, 컬럼에 니켈 레진을 첨가한 뒤 증류수로 충분히 워싱한다. 워싱한 레진에 pH 7.8 완충버퍼를 레진부피의 5-10배 부피로 흘려준다. ZIKV-EDIII 변성 단백질을 컬럼에 주입한 후 레진과 함께 부드럽게 부유한 뒤 코니칼 튜브에 옮겨 상온 2시간 교반기에서 결합시킨다. 결합된 변성단백질을 컬럼에 옮긴 뒤, 바인딩되지 않은 버퍼, pH 7.8, pH 6.5, pH 5.9 순으로 완충용액을 흘려 워싱하고, 최종 용리시킬 pH 4.0버퍼를 흘려주어 타깃 단백질 ZIKV-EDIII를 얻었다. 회수된 각 pH 분획 별로 10% SDS-PAGE을 통해 타깃이 용리(elution)된 용액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 ZIKV - EDIII - pET -BL21 재조합 단백질의 가용화 방법
상기방법으로 정제한 변성 상태의 ZIKV-EDIII 재조합 단백질을 표2와 같은 다양한 화학성분의 농도와 비율의 용액 조성물을 미니스케일로 96종을 시험하였다. 각 가용화 조성물 1ml 내에 단백질 농도 기준 50mg/ml 이상 100mg/ml 내외의 변성 용액을 1/100 부피 비로 첨가하여 혼합한 후, 4℃에서 16시간 이상 반응하였다. 반응 후 4℃16,000g에서 10분 이상 원심분리 하여도 불용성 침전물의 형성이 확인되지 않은 가용화 용액 조성을 확립하였다.
Buffer
50mM
Arginine 0M Arginine 0.5M
MES
(pH 6.5)
1 2 3 4 5 6 7 8 9 10 11 12 GSH/GSSG
2/0.2mM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GSH/GSSG
10/2mM
HEPES
(pH 7.5)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GSH/GSSG
2/0.2mM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GSH/GSSG
10/2mM
Tris-HCl
(pH 8.5)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GSH/GSSG
2/0.2mM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GSH/GSSG
10/2mM
Glycine
(pH 9.5)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GSH/GSSG
2/0.2mM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GSH/GSSG
10/2mM
MgCl2/CaCl2 0mM MgCl2/CaCl2 2mM MgCl2/CaCl2 0mM MgCl2/CaCl2 2mM
NaCl 20mM 60mM 180mM 20mM 60mM 180mM 20mM 60mM 180mM 20mM 60mM 180mM NaCl
표 2 는 96종 미니스케일 스크리닝 조성결과,
표 3과 같이 ZIKV-EDIII 재조합 단백질의 가용화 가능한 조성은 pH 7.5 HEPES 버퍼는 0.5M Arginine, 염화마그네슘, 염화칼륨이 포함된 34~36, 46~48번, Glycine 버퍼도 동일한 82~84, 94~96번 조성물이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트리스 버퍼는 55~60, 67~72번으로 위 조성에서 마그네슘, 염화칼륨의 유무 상관없이 가용화 가능하였다.
상기 ZIKV-EDIII 변성용액은 각 pH를 적정할 수 있는 완충물질에 따른 조성 한 가지씩을 택하여 총 3가지 가용화 조성물에 적용하여 4℃에서 16시간 이상 반응하였다.
Buffer
50mM
Arginine 0M Arginine 0.5M
MES
(pH 6.5)
1 2 3 4 5 6 7 8 9 10 11 12 GSH/GSSG
2/0.2mM
X X X X X X X X X X X X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GSH/GSSG
10/2mM
X X X X X X X X X X X X
HEPES
(pH 7.5)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GSH/GSSG
2/0.2mM
X X X X X X X X X O O O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GSH/GSSG
10/2mM
X X X X X X X X X O O O
Tris-HCl
(pH 8.5)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GSH/GSSG
2/0.2mM
X X X X X X O O O O O O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GSH/GSSG
10/2mM
X X X X X X O O O O O O
Glycine
(pH 9.5)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GSH/GSSG
2/0.2mM
X X X X X X X X X O O O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GSH/GSSG
10/2mM
X X X X X X X X X O O O
MgCl2/CaCl2 0mM MgCl2/CaCl2 2mM MgCl2/CaCl2 0mM MgCl2/CaCl2 2mM
NaCl 20mM 60mM 180mM 20mM 60mM 180mM 20mM 60mM 180mM 20mM 60mM 180mM NaCl
표 3은 지카 재조합항원의 96종 미니스케일 스크리닝 결과
실시예 7 : ZIKV - EDIII - pET -BL21의 투석과 농축을 통한 ZIKV - EDIII 단백질 확보
가용화(refolding) 단백질을 포함하는 용액은 희석된 타깃 단백질과 더불어 카오트로픽제 등 다양한 화학성분을 포함하므로 항원 물질로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투석막을 이용해 완충용액 성분으로 충분히 교환하여 원치 않은 화학성분을 제거하였다. 10mM 트리스 완충용액에서 교반하며 투석용액을 반복적으로 교체하여 가용화 버퍼 내 조성물을 제거하였다. 이 후, 단백질 분리막을 포함하는 원심분리형 아미콘(Amicon) 튜브를 이용한 농축 과정을 거쳐 고농도의 ZIKV-EDIII 단백질을 수득할 수 있었다. 상기 방법으로 수득한 ZIKV-EDIII 단백질은 HEPES, 트리스, 글라이신 버퍼 가용화 조성물을 적용한 3종류로, 각 최종 단백질 항원의 비교 검증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8 : ZIKV - EDIII 재조합 항원의 면역학적 검증
상기 조제된 3종류의 ZIKV-EDIII 재조합 항원의 면역학적 방법으로 검증하고자 웨스턴 블랏을 실시하였다. 재조합단백질 ZIKV-EDIII는 SDS page loading dye를 첨가하여 100도씨 15분간 중탕하고, 이를 10-12% SDS-PAGE에 80-100V로 전기염동을 실시한다. Trans blot SD(BIO-RAD)를 이용해 PVDF 막(whatman, USA)에 반-건조법으로 단백질을 80V에서 40분동안 옮기고, 상기 PVDF막은 5% 스킨밀크 용액에서 1시간 교반하여 블로킹하였다. 이후 TBST 용액으로 교반해 반복 워싱하고, TBS로 1:2500으로 희석한 마우스 유래 항-ZIKV(Envelope), 항-ZIKV(EDIII) 단클론 항체와 교반해 1-2시간 결합시켰다. TBST 완충용액으로 반복 워싱하였고, 2차 항체 HRP가 결합된 염소 유래 항-마우스 면역글로블린G를 TBS에 1:5000 희석한 뒤 30분 반응하였다. 이를 TBST로 반복워싱하였고, 디아미노벤지딘(SIGMA Aldrich, Germany)를 이용하여 발색하여 확인하였다.
결과, 도 2과 같이 ZIKV-EDIII 재조합 항원 3종에서 각각의 단클론 항체에 모두 특이적으로 반응하여 약 15kDa 크기의 단백질이 검출되었으나, 동일 실험 조건하에서 반응밴드 진한 정도는 트리스 가용화 버퍼로 제조된 재조합항원에 한해서 10-20배정도 진함을 나타내었다. 이는 트리스 가용화 버퍼로 제조된 지카 재조합 단백질 항원작용기 기능이 HEPES, 글라이신보다 안정성이 높은것으로 사료된다.
실시예 9 : ZIKV - EDIII 재조합 항원의 항체 기반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신속키트 적용
상기방법으로 조제된 3종(HEPES, 트리스, 글라이신)의 지카바이러스 외피단백질 도메인 III 재조합 단백질 항원은 콜로이달 골드와 반응시켜 컨쥬케이트를 제작하였다. 컨쥬게이트를 트윈 20으로 전처리 된 PE 골드용 패드를 사용하여 흡습시킨 후, 항-사람 면역글로불린 G와 M을 테스트 라인 원료로 분주하여 상기와 같이 신속키트를 제작하였다. 적합한 조성의 시료 희석 용액과 함께 BEI resouces에서 분양받은 ZIKV 양성 환자 혈청을 이용해 검사하였다. 충분한 전개 및 전개 초기 과량의 콜로이달 골드로 인한 잘못된 결과 분석을 배제하기 위하여 시료 로딩 후 10분째에 검사 결과를 확인하였다.
결과, 도 3과 같이 항-사람 면역글로불린 G 테스트 라인 위치에 라인을 형성하였다. 조제된 3종(HEPES, 트리스, 글라이신)의 지카바이러스 외피단백질 도메인 III 재조합 단백질 항원에 골드 컨쥬게이트가 양성 혈청내 존재하는 항체와 반응하여 검출한 결과이다. 비교 결과, 트리스 항원에 대해 강양성을 보이는 반면, HEPES, 글라이신에서는 약양성으로 검출되는 것으로 보아, 트리스 지카항원의 단백질 구조의 안정성, 특이성, 정확성 등이 HEPES, 글라이신 보다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트리스 가용화 버퍼로 제조한 ZIKV-EDIII 재조합항원은 항체 기반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신속 키트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실시예 10 : 마우스 면역 시험_ ZIKV - EDIII 재조합 항원의 면역 증강제 효과 및 최적 항원접종량 선별
면역 신속진단키트 적용을 통해 선별된 상기 조제된 트리스 버퍼의 ZIKV-EDIII 재조합 단백질 항원의 마우스 면역을 실시하였다. 4주령 Balb/c 마우스를 구입하였고, 면역증강제 효과 확인 및 최적 항원 접종량 선별을 위하여, 재조합 항원 미첨가, 10㎍, 25㎍, 50㎍ , 면역증강제를 미첨가, Alum 및 MPL 혼합제제 군을 구성하여 마우스 5마리씩 실시하였다. 면역증강제 첨가 항원 조제 시, 먼저 Alum과 재조합항원을 2시간 흡착시켜 4도씨 보관한 후 MPL은 주사직전 혼합하여 반응없이 즉시 볼텍싱하여 사용하였다. 재조합 항원농도는 50㎍, 면역증강제 Alum은 10mg/ml, 2%농도로 stock 후 0.1% 사용하였으며, MPL은 1mg/ml 농도 stock 후 20㎍ 주사하였다. 마우스 입고 후, Normal serum 채혈 및 1주일 안정화 기간 설정한 뒤, 프라이밍, 1차 부스팅, 2차 부스팅 순으로 2주 간격으로 피하주사를 실시하였다. 항체 및 중화항체 확인은 백신 접종 1주일째, 최종채혈은 2차부스팅 2주째 수행 후 마우스 실험을 종료하였다.
실시예 11 : ELISA
1) ZIKV-EDIII 재조합 항원에 의해 생성된 마우스 항-혈청의 항체가 테스트
마우스 면역시험 채혈의 항체생성여부를 확인하고자 ELISA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ELISA 플레이트에 면역항원 ZIKV-EDIII를 1㎍/ml로 웰당 100㎕씩 분주하고 4도 16시간 이상 처리하였다. 항원 코팅한 웰은 TBST로 세척하였고, TBS에 녹인 0.5% 카제인 100㎕ 분주하여 37도 1시간 반응한 뒤 TBST로 세척하였다. 1:100으로 희석된 혈청시료를 웰에 첨가하고 37도 1시간 반응시킨 뒤, TBST로 세척하고 IgG 검출하고자 1:5000 희석한 Goat anti-mouse IgG HRP(제조사) 100㎕ 분주하여 37도 1시간 반응하였다. PBS 세척하여 TMB 발색을 진행하기 위해 웰당 chromogen 용액 25㎕ 와 TMB(Substrate) 50㎕혼합하여 75㎕씩 분주하여 반응시킨다. Negative control이 파란색 빛을 띄게되면 stop 용액 2M 황산용액 25㎕ 넣게 되면 노란색으로 변하면서 멈춘다.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재조합 항원 미첨가, 10㎍, 25㎍, 50㎍, 면역증강제 미첨가, Alum 및 MPL 혼합제제 군을 구성하여 최종 분리 혈청을 ELISA 통해 항체가를 확인한 결과, 도 4 와 같이 재조합 항원 단독 면역 대비 ZIKV-EDIII 재조합 항원농도 증가 및 면역증강제 Alum 및 MPL 혼합제제 함유함에 따라 항체가가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2) ZIKV-EDIII 재조합 항원에 의해 생성된 마우스 항-혈청의 End-point titer 테스트
생성된 총 항체가의 정량적 평가 방법으로 상기 항체가 검사에서 본 발명의 ZIKV-EDIII 재조합 항원에 대한 항혈청은 높은 항체 생성을 확인하였고, 각 군별 최종 혈청의 반응 역가를 확인하고자 재조합 항원의 항혈청을 1/100 희석 후 3배씩 단계별로 최대 0.1 x107까지 희석하였다. Cut off 450nm O.D 0.2를 기준으로 Cut off 이상의 연속 발색된 구간을 수치화하였고, 이외 상기 항체가 테스트와 동일한 방법으로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End-point titer 테스트 결과, 도 5와 같이 면역증강제 Alum 및 MPL이 함유된 재조합항원 농도 25㎍, 50㎍에서 end-point titer 기준으로 104 이상 나타내었으므로 최종 반응 역가가 매우 높은 수준으로 유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2 : ZIKV - EDIII 재조합 항원에 의해 생성된 마우스 항-혈청의 지카바이러스에 대한 중화항체가 측정
ZIKV-EDIII 재조합 항원에 의해 생성된 마우스 항-혈청의 지카바이러스에 대한 중화항체가를 측정하기 위해 플라크 감소 중화항체 검사(PRNT)를 실시하였다. 본 실험실에서 사용하는 표준 프로토콜에 따르며, 시험 절차 및 해석은 다음 단계로 이루어졌다. 베로 세포(Vero cell)는 10 % FBS (fetal bovine serum)와 1% Antibiotics(Gibco,USA)가 추가된 α-MEM(Gibco,USA) 에서 유지되었다. ZIKV-Mexico(멕시코 유래 지카바이러스)는 2 % FBS이 함유된 α-MEM을 사용하여 베로 세포에서 증식시켰다. 모든 마우스 혈청은 56℃에서 30분간 불활화하여 two-fold로 희석하였고, 지카바이러스는 희석된 혈청과 동일 양으로 혼합하였다. 혼합물은 37℃ 인큐베이터에서 30분 동안 배양되었다. 각 혼합물은 0.2ml씩 24-well에 접종하여 1시간 반 동안 세포에 흡착되게 배양하였다. 그 다음, 접종물을 제거한 후 1.4% 메틸셀룰로오즈 (methylcellulose)을 감염세포 위에 1ml씩 분주 한 뒤 4일 동안 추가적으로 배양하였다. 배양 종료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고정 및 염색을 위해 포르말린(formalin)과 크리스탈 바이올렛(crystal violet)을 사용하였고 30분 정치 후 물로 씻어냈다. 그리고 잘 말린 후 플라그 형성 여부를 관찰하였다. 모든 그룹은 3반복 이상 실험하여 결과 판독에 용이하게 하였고, 플라그 수가 50% 감소하는 최대 항-혈청 희석배수를 PRNT50 (plaque reduction neutralization endpoint)으로 결정하였다.
ZIKV-EDIII 재조합항원의 Alum 및 MPL 혼합제제의 면역 증강제 효과 및 최적 항원 접종량 선별을 위하여 마우스 면역시험을 시행하였고, 위와 같은 방법으로 중화항체시험을 통해 결과를 분석하였다. 도 6에서와 같이, ZIKV-EDIII 25㎍, 50㎍과 면역증강제 Alum 및 MPL 혼합제제가 접종된 혈청이 대략 PRNT50=40으로 확인됐으며, 이는 ZIKV-EDIII 재조합 항원 25㎍이 최적 항원 접종량이며, Alum 및 MPL 혼합제제에서 우수한 중화효능을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12)

  1. a)pH 8.5의 트리스(Tris-(hydroxymethyl)aminomethane) 완충 물질;
    b) 글루타치온(GSH) 및 산화형 글루타치온(GSSG)의 혼합 몰비가 5/1 내지 10/1인 글루타치온(GSH) 및 산화형 글루타치온(GSSG) 혼합물;
    c) 20 내지 180mM 범위의 염화나트륨;
    d)염화 마그네슘 및 염화 칼슘; 및
    e)아르기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카바이러스 외피 단백질 도메인 III 재조합 단백질을 재조합 항원으로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르기닌 농도는 0.5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카바이러스 외피 단백질 도메인 III 재조합 단백질을 재조합 항원으로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염화 마그네슘 및 염화 칼슘의 농도는 각각 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카바이러스 외피 단백질 도메인 III 재조합 단백질을 재조합 항원으로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4. a) 지카바이러스 외피 단백질 도메인 III 재조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내포체를 생산하는 재조합 균주로부터 내포체를 분리 수득하는 단계;및
    b) 상기 수득된 내포체에 상기 제 1 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카바이러스 외피 단백질 도메인 III 재조합 단백질을 재조합 항원으로 사용하기 위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포체는 발현 완료된 세포에 세포파쇄용액 처리 후 원심분리 하여 얻어진 불용성 침전물을 버퍼로 부유해 파쇄 및 원심분리를 반복하는 워싱 과정을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카바이러스 외피 단백질 도메인 III 재조합 단백질을 재조합 항원으로 사용하기 위한 방법.
  6. a)지카바이러스 외피 단백질 도메인 III 재조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내포체를 생산하는 재조합 균주로부터 내포체를 분리 수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수득된 내포체에 상기 제 1 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HEPES, 또는 글라이신 완충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지카바이러스 외피 단백질 도메인 III 재조합 단백질을 가용화 시킨 것과 비교하여 지카바이러스 외피 단백질 도메인 III 재조합 단백질 항원의 단백질 구조의 안정성 및 항체에 대한 특이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포체는 발현 완료된 세포에 세포파쇄용액 처리 후 원심분리 하여 얻어진 불용성 침전물을 버퍼로 부유해 파쇄 및 원심분리를 반복하는 워싱 과정을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EPES, 또는 글라이신 완충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지카바이러스 외피 단백질 도메인 III 재조합 단백질을 가용화 시킨 것과 비교하여 지카바이러스 외피 단백질 도메인 III 재조합 단백질 항원의 단백질 구조의 안정성 및 항체에 대한 특이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80060635A 2018-05-28 2018-05-28 대장균 유래 지카바이러스 외피 단백질 도메인 iii 재조합 단백질의 가용화를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지카 재조합 단백질 생산방법 Active KR102041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635A KR102041144B1 (ko) 2018-05-28 2018-05-28 대장균 유래 지카바이러스 외피 단백질 도메인 iii 재조합 단백질의 가용화를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지카 재조합 단백질 생산방법
PCT/KR2019/004815 WO2019231110A1 (ko) 2018-05-28 2019-04-22 대장균 유래 지카바이러스 외피 단백질 도메인 iii 재조합 단백질의 가용화를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지카 재조합 단백질 생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635A KR102041144B1 (ko) 2018-05-28 2018-05-28 대장균 유래 지카바이러스 외피 단백질 도메인 iii 재조합 단백질의 가용화를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지카 재조합 단백질 생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1144B1 true KR102041144B1 (ko) 2019-11-06

Family

ID=68541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0635A Active KR102041144B1 (ko) 2018-05-28 2018-05-28 대장균 유래 지카바이러스 외피 단백질 도메인 iii 재조합 단백질의 가용화를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지카 재조합 단백질 생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41144B1 (ko)
WO (1) WO20192311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63469B (zh) * 2022-08-29 2023-09-22 中山大学 一种寨卡病毒中和性纳米抗体及其制备方法与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0916A1 (ko) * 2016-03-04 2017-09-08 에치비아이주식회사 재조합 단백질의 가용화를 위한 조성물, 그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재조합 항원의 생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29449A2 (en) * 2011-03-24 2012-09-2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High level production of recombinant protei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0916A1 (ko) * 2016-03-04 2017-09-08 에치비아이주식회사 재조합 단백질의 가용화를 위한 조성물, 그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재조합 항원의 생산 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F. Robbiani 등, Cell, Vol.169, p.597-609 (2017.05.04.)* *
Diego Allonsoa 등, Journal of Virological Methods, Vol.175, p.109-116 (2011) *
M. Yang 등, Vaccine, Vol.35, p.4287-4294 (2017.06.29.)*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31110A1 (ko) 2019-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3215B2 (en) Synthetic polypeptide epitope based vaccine composition
CN110698543A (zh) 一种用于非洲猪瘟病毒抗体检测的双抗原间接elisa试剂盒
US20210188917A1 (en) Nucleic acids encoding zika virus-like particles and their use in zika virus vaccines and diagnostic assays
US10398770B2 (en) Influenza virus hemagglutinin protein as a vaccine antigen
KR101273264B1 (ko) 어류 노다바이러스 단백질의 에피토프 및 이를 이용한 재조합 백신
KR100927221B1 (ko) E형 간염 바이러스의 폴리펩티드 단편, 그를 이용한 백신조성물 및 진단용 키트
Viranaicken et al. ClearColi BL21 (DE3)-based expression of Zika virus antigens illustrates a rapid method of antibody production against emerging pathogens
EP2643015B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KR102041144B1 (ko) 대장균 유래 지카바이러스 외피 단백질 도메인 iii 재조합 단백질의 가용화를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지카 재조합 단백질 생산방법
CN110845584A (zh) 一种猪瘟病毒囊膜蛋白寡聚蛋白体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3480616A (zh) 异源三聚体化结构域、异源三聚体化融合蛋白、制备方法及应用
Valdes et al. Recombinant protein based on domain III and capsid regions of zika virus induces humoral and cellular immune response in immunocompetent BALB/c mice
Stenkova et al. Engineering of chimeric protein based on E protein domain III of tick-borne encephalitis virus and OmpF porin of Yersinia pseudotuberculosis
WO2020208434A1 (en) Zika virus subunit vaccine
Rizzo et al. A method for rapid and high-yield production of the tick-borne encephalitis virus E and DIII recombinant proteins in E. coli with preservation of the antigenic properties
US20240350611A1 (en) Recombinant antigen for inducing an immune response against the zika virus
Wu et al. Characterization of the monoclonal antibody against classical swine fever virus glycoprotein Erns and its application to an indirect sandwich ELISA
Tripathi et al. Enhanced production and immunological characterization of recombinant West Nile virus envelope domain III protein
Wang et al. Expression and Immunogenicity of VP40 Protein of ZEBOV
Mishra et al. Evidence of a humoral immune response against the prokaryotic expressed N-terminal autoprotease (Npro) protein of bovine viral diarrhoea vir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4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0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0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