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40651B1 -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0651B1
KR102040651B1 KR1020160053569A KR20160053569A KR102040651B1 KR 102040651 B1 KR102040651 B1 KR 102040651B1 KR 1020160053569 A KR1020160053569 A KR 1020160053569A KR 20160053569 A KR20160053569 A KR 20160053569A KR 102040651 B1 KR102040651 B1 KR 102040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incident
cover substrate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3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4160A (ko
Inventor
방형석
김철세
이부열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3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0651B1/ko
Priority to EP17168110.9A priority patent/EP3239824B1/en
Priority to CN201710287923.3A priority patent/CN107422788B/zh
Priority to US15/582,001 priority patent/US10564350B2/en
Publication of KR20170124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4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0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65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06K9/000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18Sensors therefor using electro-optical elements or layers, e.g. electroluminescent sen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2Holograms used as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0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for infrared and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02B6/12004Combinations of two or more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06Sensors therefor non-optical, e.g. ultrasonic or capacitive sen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24Sensors therefor by using geometrical optics, e.g. using prisms
    • H01L27/3225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60OLEDs integrated with inorganic light-sensitive elements, e.g. with inorganic solar cells or inorganic photodiodes
    • H10K59/65OLEDs integrated with inorganic image sens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1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16Grooves, prisms, gratings, scattering particles or rough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1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2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by sha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guide, e.g. with collimating, focussing or diverging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2Flat panel moni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9FTIR in optical digitiser, i.e. touch detection by frustrating the total internal reflection within an optical waveguide due to changes of optical properties or deformation at the touch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47Preprocessing; Feature extraction
    • G06V40/1359Extracting features related to ridge properties; Determining the fingerprint type, e.g. whorl or lo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mage Input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문 인식 센서와 같은 이미지 센서를 내장한 평판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는, 표시 패널과 지향성 광 유닛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은, 표시 영역과 비 표시 영역이 정의되어 있다. 지향성 광 유닛은, 표시 패널을 수용하는 길이와 폭 그리고 일정한 두께를 갖는다. 지향성 광 유닛은, 표시 패널의 상부 표면에 면 부착되어, 표시 영역으로 일정 방향성을 갖는 시준된(Collimated) 검출광을 제공한다. 상기 검출광이 상기 커버 기판의 하부 표면, 상기 지향성 광 유닛의 출광 소자 및 저 굴절층을 투과하여 상기 표시 패널로 진행한다.

Description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Embedding Optical Imaging Sensor}
본 발명은 지문 인식 센서와 같은 이미지 센서를 내장한 평판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지향성 광을 제공하는 초 박막형 기판과 광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광학식 이미지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기술의 발달에 따라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피시(Tablet PC),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현금 자동 입출금기(Automated Teller Machine), 검색 안내 시스템 등과 같은 다양한 용도의 컴퓨터 기반 시스템(Computer Based System)이 개발되어 왔다. 이들 시스템에는 통상적으로 개인 사생활과 관련된 개인정보는 물론 영업정보나 영업기밀 등과 같이 비밀을 요하는 많은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보안을 강화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종래부터 생체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보안성을 강화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예를 들어, 손가락의 지문을 이용하여 시스템의 등록이나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는 지문센서가 알려져 있다. 지문 센서는 인간의 손가락 지문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지문 센서는 광학식 지문 센서(Optical Fingerprint Sensor)와 정전용량식 지문 센서(Capacitive Fingerprint Sensor)로 크게 나누어진다.
광학식 지문 센서(Optical Fingerprint Sensor)는 내부에서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의 광원을 이용하여 빛을 조사하고 지문의 융선(ridge)에 의해 반사된 빛을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를 통해 감지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광학식 지문 센서는 LED를 이용해서 스캔을 해야 하기 때문에 스캔을 위한 부가 장비가 필요하다. 광학적 부가 장비를 구성해야 하므로, 스캔 가능한 크기를 크게 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와 결합하는 등 다양한 응용에는 한계가 있다.
종래의 광학식 지문센서로는 2006년 7월 26일자로 등록된 "지문인식 센서를 구비한 영상 표시장치"란 명칭의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08171과, 2016년 4월 21일자로 공개된 "지문 인식 소자를 포함한 표시장치"란 명칭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6-0043216이 알려져 있다.
상기 대한민국 공개공보에 기재된 광학식 지문 센서를 구비하는 표시장치는, 표시장치의 표시 영역을 터치 영역 및 지문 인식 영역으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하지만, 지문 인식을 위한 센싱용 빛이 지향성(혹은, Directivity)이 현저히 낮은 확산광을 사용한다. 따라서, 정확한 지문의 패턴을 인식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지향성이 높은 레이저 적외선과 같은 시준광(Collimated Light)을 사용하는 경우, 넓은 면적에 걸쳐 센싱용 빛을 조사하기 어렵기 때문에, 지문 인식 영역의 크기가 극히 한정된다. 또한, 지향성이 높은 시준광을 넓은 스캔 면적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스캔 기능을 부가하여야 하므로, 휴대용 평판 표시장치에 적용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지문 인식 센서를 내장하는 표시 장치에서는 주로 정전 용량식 지문센서를 적용하는 예가 많다. 하지만, 정전 용량식 지문 센서도 많은 문제점이 있다.
정전 용량식 지문 센서(Capacitive Fingerprint Sensor)는 지문 센서와 접촉되는 융선(Ridge)과 골(Valley) 사이에 대전되는 전기량의 차를 이용한 것이다. 종래의 정전 용량식 지문 센서로는 2013년 11월 21일자로 공개된 "정전 용량식 센서 패키징(Capacitive Sensor Packaging)"이란 명칭의 미국 공개특허 공보 US 2013/0307818가 알려져 있다.
상기 미국 공보에 기재된 정전 용량식 지문센서는 특정 푸시 버튼(Push Button)과 결합한 어셈블리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용량성 플레이트와 사용자의 지문(융선과 골) 사이의 정전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회로가 인쇄된 실리콘 웨이퍼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인간 지문의 융선과 골은 대략 300㎛~500㎛의 크기로 매우 미세하기 때문에, 상기 미국 공보의 정전 용량식 지문 센서는 고해상도 센서 어레이와 지문인식 처리를 위한 IC(Integrated Chip) 제작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센서 어레이와 IC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는 실리콘 웨이퍼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실리콘 웨이퍼를 이용하여 고해상도의 센서 어레이와 IC를 함께 형성할 경우, 푸시 버튼과 함께 지문 센서를 결합하기 위한 어셈블리 구조가 필요하게 되므로 구성이 복잡해 질 뿐 아니라 비 표시 영역(베젤영역)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푸시 버튼(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홈키)과 지문센서가 중첩되게 형성되므로, 그 두께가 증가할 뿐 아니라 지문 센싱 영역이 푸시 버튼의 크기에 좌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터치 센서 스크린의 영역을 지문식별 영역으로 이용하는 기술 등이 개발된 바 있다. 이러한 기술로서는 "지문식별용 용량성 터치센서(capacitive touch sensor for identifying a fingerprint)"란 명칭으로 2013년 10월 22일 등록된 미국 등록특허 제 US8,564,314호와, "지문인식 일체형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이란 명칭으로 2014년 8월 18일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2988호가 알려져 있다.
스마트 폰과 같은 개인 휴대용 표시장치에는 표시 패널 보호를 위한 보호 필름을 추가로 부착하는 경우가 많다. 상기와 같은 기술을 개인 휴대용 표시장치의 표시 영역을 지문 인식별 영역으로 적용하는 경우, 보호 필름을 부착하면, 지문 인식 기능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보호 필름을 부착하더라도 터치 기능은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지문 인식은 아주 미세한 지문을 인식하여야 하기 때문에, 정전 용량의 미세한 변화를 감지해야 한다. 보호 필름의 두께가 아무리 얇더라도, 미세한 지문을 인식하는 데 필요한 정전 용량의 변화를 정확하게 감지하도록 하는 데에는 심각한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정전 용량식 지문센서를 내장한 표시 장치에서는 표시 장치의 겉 표면에 보호 필름 혹은 강화 유리를 부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인식 능력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정전 용량식 지문 센서의 경우, 표시 기판의 두께에 대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반면에, 광학식 지문 센서를 내장한 표시 장치에서는, 산란광을 사용하기 때문에 정확한 인식 능력이 어렵다. 정확한 인식 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시준광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복잡하고 부피가 큰 광학 기구가 필요하므로 휴대성이 높은 평판용 표시 장치와 결합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초 박막형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 전체 혹은 대부분 영역에서 지문 패턴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는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향성 광을 검출광으로 대면적에 고르게 제공하는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향성 광을 사용함으로써, 검출 해상도와 민감도가 우수한 초 박막형, 대화면형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는, 표시 패널과 지향성 광 유닛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은, 표시 영역과 비 표시 영역이 정의되어 있다. 지향성 광 유닛은, 표시 패널을 수용하는 길이와 폭 그리고 일정한 두께를 갖는다. 지향성 광 유닛은, 표시 패널의 상부 표면에 면 부착되어, 표시 영역으로 일정 방향성을 갖는 시준된(Collimated) 검출광을 제공한다.
상기 지향성 광 유닛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비 표시 영역에 배치되어 입사광을 제공하는 광원; 상기 길이와 상기 폭에 대응하는 면적을 갖는 커버 기판; 상기 커버 기판의 하부 표면에서, 상기 표시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상기 커버 기판 내에서 전반사되는 진행광의 일부를 상기 검출광으로 전환하는 홀로그래피 패턴을 포함하는 출광 소자; 상기 커버 기판의 하부 표면에서,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비 표시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입사광을 상기 진행광으로 전환하여 상기 커버 기판 내부로 입사시키는 홀로그래피 패턴을 포함하는 입광 소자; 및 상기 출광 소자 및 상기 입광 소자의 하부 표면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패널의 상부 표면에 면 부착되며, 상기 커버 기판 및 상기 출광 소자보다 낮은 굴절율을 갖는 저 굴절층을 포함한다.
상기 검출광이 상기 커버 기판의 하부 표면, 상기 출광 소자 및 상기 저 굴절층을 투과하여 상기 표시패널로 진행한다.
삭제
삭제
일례로, 진행광은, 폭 방향 축과 길이 방향 축으로 이루어진 수평 평면에서는 확산각을 가지며, 길이 방향 축과 두께 방향 축으로 이루어진 수직 평면에서는 시준된 상태를 유지한다. 입사각은, 출광 소자와 저 굴절 층과의 계면에서의 전반사 임계각보다 큰 값을 갖는다. 반사각은, 커버 기판과 공기층과의 계면에서의 전반사 임계각보다는 크고, 출광 소자와 저 굴절 층과의 계면에서의 전반사 임계각보다는 작은 값을 갖는다.
일례로, 확산각은, 입사점에서 입광 소자와 대향하는 커버 기판의 타측변의 두 끝점을 각각 연결하는 두 선분이 이루는 내측 각도 이상이다.
일례로, 지향성 광 유닛은, 수평 시준 소자를 더 포함한다. 수평 시준 소자는, 입광 소자에서 진행광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하여, 커버 기판의 폭을 가로질러 배치된다. 확산각은, 입광 소자의 입사점에서 수평 시준 소자의 두 끝점을 각각 연결하는 두 선분이 이루는 내측 각도에 상응한다. 수평 시준 소자는, 확산각을 갖는 진행광을 커버 기판의 폭에 대응하도록 수평 평면에서 수평 시준하는 홀로그래피 패턴을 구비한다.
일례로, 수평 시준 소자는 입광 소자와 대향하는 커버 기판의 타측변의 비 표시 영역에 배치된다. 입광 소자는, 입사광을 입사각도와 다른 전반사각을 갖는 전반사광으로 전환하여 커버 기판 내부로 보내는 홀로그래피 패턴을 구비한다. 확산각은, 입광 소자의 입사점에서 수평 시준 소자의 두 끝점을 각각 연결하는 두 선분이 이루는 내측 각도에 상응한다. 수평 시준 소자는, 확산각을 갖는 진행광을 커버 기판의 폭에 대응하도록 수평 평면에서 수평 시준하며, 전반사광을 진행광으로 전환하여 입광 소자 측으로 되돌려 보내는 홀로그래피 패턴을 구비한다. 출광 소자는, 전반사광은 그대로 투과하는 홀로그래피 패턴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지향성(Directional) 광을 검출광으로 제공함으로써, 고 분해능의 이미지 인식 능력을 갖는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홀로그래피 기술을 이용하여 시준된 적외선 레이저를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대면적으로 확장시켜 검출광을 제공함으로써 대면적 인식이 가능한,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평판 표시장치의 화면 위에 얇은 필름형상을 갖는 지향성 광을 검출광으로 제공함으로써, 초박형의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표시 장치의 제일 겉면에 부착되는 보호 기판 자체를 본 발명에 의한 지향성 광 기판의 커버 기판으로 사용할 수 있다. 더구나, 홀로그래피 필름을 이용하여 시준광을 대면적으로 확산 공급함으로써 초 박형 지향성 광 기판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광학식 이미지 인식 장치를 표시 장치와 결합해도 표시 장치의 두께가 두꺼워지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한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는, 이미지 인식 영역을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 내에서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제품으로 응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광학식 이미지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에 적용하는 지향성 광 기판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의한 지향성 광 기판 내부에서의 광 경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지향성 광 유닛과 광 인식 센서를 포함하는 광학식 이미지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지향성 광 유닛과 광 인식 센서를 포함하는 광학식 이미지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지향성 광 유닛과 광 인식 센서를 포함하는 광학식 이미지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지향성 광 기판 내부에서의 광 경로를 나타내는 단면도들.
도 7a 및 7b는 제4 실시 예에 의한 지향성 광 유닛에서 커버 기판과 광원과의 관계에 따라 출사광이 어떻게 제공되는 지를 나타내는 측면도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의한 지향성 광 유닛에서 출사광의 분포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의한 지향성 광 유닛에서 출사광의 분포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응용 예에 의한 지향성 광 유닛과 광 인식 센서를 포함하는 광학식 이미지 센서 내장형 액정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응용 예에 의한 지향성 광 유닛과 광 인식 센서를 포함하는 광학식 이미지 센서 내장형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명칭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선택된 것일 수 있는 것으로서, 실제 제품의 부품 명칭과는 상이할 수 있다.
<제1 실시 예>
이하, 도 1 및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광학식 이미지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에 적용하는 지향성 광 유닛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 상부 도면은 XZ 평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고, 하부 도면은 위에서 XY 평면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지향성 광 유닛은, 지향성 광 기판(SLS)과 광원(LS)을 포함한다. 지향성 광 기판(SLS)은, 커버 기판(CP), 출광 소자(VHOE), 입광 소자(CHOE) 및 저 굴절층(LR)을 포함한다. 커버 기판(CP)은 대략 장방형의 사각 판상 모양으로, 길이와 폭 그리고 두께를 갖는다. 도 1에서는 길이는 X축, 폭은 Y축 그리고 두께는 Z축에 대응하여 표시한다.
지향성 광 유닛은 시준된(collimated) 광을 대면적으로 퍼트려 제공하는 광학 장치이다. 따라서, 광원(LS)은 시준된 빛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 기판(CP)의 하부 표면에는 출광 소자(VHOE)와 입광 소자(CHOE)가 면 부착되어 있다. 출광 소자(VHOE)는 출사광(300)을 제공하는 광학 소자이다. 따라서, 출광 소자(VHOE)는 이미지를 검출 및 인식하는 영역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입광 소자(CHOE)는 광원(LS)에서 제공하는 시준된 빛을 커버 기판(CP)에 대응하는 면적으로 퍼지면서 시준성을 갖도록 전환하는 광학 소자이다. 입광 소자는(CHOE) 이미지 인식과는 직접 관련이 없으므로, 출광 소자(VHOE)의 외측 영역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입광 소자(CHOE)는 광원(LS)과 대향하여 배치된다.
출광 소자(VHOE) 및 입광 소자(CHOE)는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다. 제조 공정을 고려하면, 하나의 필름 위에 출광 소자(VHOE)와 입광 소자(CHOE)의 영역을 나누어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광 소자(VHOE)와 입광 소자(CHOE)는 홀로그래피 패턴을 포함하는 광학 소자일 수 있다. 이 경우, 출광 소자(VHOE)의 패턴을 갖는 마스터 필름과 입광 소자(CHOE)의 패턴을 갖는 마스터 필름을 인접하여 배치한 후, 하나의 홀로그래피 기록 필름에 두 홀로그래피 패턴을 동시에 복사할 수 있다.
출광 소자(VHOE) 및 입광 소자(CHOE)의 하부 표면에는 저 굴절층(LR)이 적층되어 있다. 저 굴절층(LR)은, 커버 기판(CP) 및 출광 소자(VHOE)보다 낮은 굴절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커버 기판(CP)은 굴절율이 1.5인 투명한 강화 유리로 만들 수 있다. 출광 소자(VHOE)와 입광 소자(CHOE)는 투명한 홀로그래피 기록 필름으로서 굴절율이 커버 기판(CP)과 동일하거나 조금 더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는, 편의상 출광 소자(VHOE)와 입광 소자(CHOE)의 굴절율은 커버 기판(CP)의 굴절율과 동일한 것으로 설명한다. 저 굴절층(LR)의 굴절율은 인지하고자 하는 이미지 객체의 굴절율과 비슷한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지문 인식에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람의 피부가 갖는 굴절율인 1.39와 유사한 1.4 정도의 굴절율을 가질 수 있다.
입광 소자(CHOE)의 하부 공간에는 입광 소자(CHOE)와 대향하도록 광원(LS)이 배치되어 있다. 광원(LS)은 레이저와 같이 시준성이 높은 빛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휴대용 표시장치에 지문 인식 기능을 내장하는 시스템에 적용하는 경우, 사람이 인지할 수 없는 빛인 적외선 레이저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원(LS)에서 제공된 시준광(Collimated Light)은 입사광(100)으로서 일정한 단면적을 갖고 입광 소자(CHOE)에 정의된 입사점(IP)으로 제공된다. 입사광(100)은 입사점(IP)의 표면에 대해 법선 방향으로 입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는 입사점(IP) 표면의 법선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로 입사할 수도 있다.
입광 소자(CHOE)는 입사광(100)을 입사각을 갖는 진행광(200)으로 전환하여 커버 기판(CP)의 내부로 보낸다. 여기서, 입사각은 커버 기판(CP)의 내부 전반사 임계각(Internal Total Reflection Critical Angle)보다 큰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진행광(200)은 커버 기판(CP)의 내부에서 전반사를 하면서, 커버 기판(CP)의 길이 방향인 X축으로 진행한다.
출광 소자(VHOE)는 진행광(200)의 일부 광량을 출사광(300)으로 전환하여 커버 기판(CP)의 상부 표면으로 굴절 시킨다. 진행광(200)의 나머지 광량은 커버 기판(CP) 내부에서 전반사되어 진행한다. 출사광(300)은 커버 기판(CP)의 상부 표면에서는 전반사되지만, 하부 표면에서는 저 굴절층(LR)을 투과하여 지향성 광 기판(SLS) 외부로 출광된다. 즉, 출사광(300)은 커버 기판(CP)의 상부 표면에서 전반사되어, 하부 표면을 투과하는 검출광(혹은, '센싱광')(400)이 된다.
입광 소자(CHOE)에서 진행하면서, 출광 소자(VHOE)에 의해 점차적으로 출사광(300)이 방출된다. 이 때, 출사광(300)의 광량은 출광 소자(VHOE)의 광 추출 효율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어, 출광 소자(VHOE)의 광 추출 효율이 3%라고 하면, 첫 번째로 진행광(200)이 출광 소자(VHOE)에 닿은 지점인 첫 번째 발광 영역에서는 초기 입사광(100)의 3%에 해당하는 광량이 출사광(300)으로 추출된다. 97%의 진행광(200)은 계속 전반사되어 진행한다. 그 후, 두 번째 발광 영역에서는, 97%의 3%인 초기 입사광(100) 광량의 2.91%에 해당하는 광량이 출사광(300)으로 추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커버 기판(CP)의 끝 변에 다달을 때까지 출사광(300)이 추출된다. 이와 같이 균일한 출광 효율을 갖는 경우, 진행광(200)이 진행할 수록 추출되는 광량이 서서히 줄어든다. 진행광(200)이 진행하면서, 일정한 광량을 갖는 출사광(300)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출광 소자(VHOE)의 광 추출 효율이 지수함수적으로 점차 증가하는 값을 갖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행광(200)을 길이 방향 축과 두께 방향 축으로 이루어진 XZ 평면(혹은, '수직 평면') 상에서 보면, 입사광(100)의 시준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반면에, 폭 방향 축과 길이 방향 축으로 이루어진 XY 평면(혹은, '수평 평면')에서는 확산각(φ)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미지 검출 면적을 커버 기판(CP)의 면적에 대응하도록 설정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출광 소자(VHOE)는 가급적, 광 출사부(LOT) 면적 전체에 대응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확산각(φ)은 입사점(IP)에서 입광 소자(CHOE)와 대향하는 커버 기판(CP)의 타측변의 두 끝점(P1, P2)을 각각 연결하는 두 선분이 이루는 내측 각도와 같거나 큰 것이 바람직하다.
입광 소자(CHOE)가 배치된 영역을 광 입사부(LIN)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출광 소자(VHOE)가 배치된 영역을 광 출사부(LOT)로 정의할 수 있다. 한편, 광 출사부(LOT)는 광이 진행하기도 하는 광 진행부이기도 하다. 도 1에서 입광 소자(CHOE)가 광 입사부(LIN) 전체 영역을 덮도록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입사점(IP)의 크기보다 조금 더 큰 크기를 갖는 정도이어도 충분하다.
예를 들어, 광원(LS)에서 제공하는 시준된 빛의 단면적이 0.5mm x 0.5mm인 정원인 경우, 입광 소자(CHOE)는 커버 기판(CP)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와 3mm ~ 5mm정도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입광 소자(CHOE)는 커버 기판(CP)의 폭 방향으로 가로 질러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광원에서 제공된 시준된(Collimated) 적외선이 지향성 광 기판(SLS) 내부에서 어떠한 경로를 거쳐, 이미지 검출에 사용하는 지향성(Directional) 적외선으로 전환되는지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의한 지향성 광 기판 내부에서의 광 경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광원(LS)에서 제공된 입사광(100)은 입광 소자(CHOE)의 입사점(IP)의 표면에 대해 법선 방향으로 입사한다. 입광 소자(CHOE)는 입사광(100)을 입사각(θ)을 갖도록 굴절시킨 진행광(200)으로 전환하여 커버 기판(CP)의 내부로 보낸다.
진행광(200)의 입사각(θ)은 출광 소자(VHOE)와 저 굴절층(LR)의 계면에서의 전반사 임계각(TVHOE _ LR)보다 큰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커버 기판(CP) 및 출광 소자(VHOE)의 굴절율이 1.5이고, 저 굴절층(LR)의 굴절율이 1.4일 경우, 출광 소자(VHOE)와 저 굴절층(LR)의 계면에서의 전반사 임계각(TVHOE _ LR)은 약 69도로 계산된다. 따라서, 입사각(θ)은 69도보다 큰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입사각(θ)은 70도 내지 75 중 어느 한 값을 갖도록 설정할 수 있다.
커버 기판(CP)의 상부 표면은 공기층(AIR)과 접촉하고 있으므로, 진행광(200)은 커버 기판(CP)의 상부 표면에서 역시 전반사된다. 이는, 커버 기판(CP)과 공기층(AIR)의 계면에서의 전반사 임계각(TCP_AIR)은 약 41.4도이기 때문이다. 즉, 입사각(θ)이 출광 소자(VHOE)와 저 굴절층(LR)의 계면에서의 전반사 임계각(TVHOE_LR)보다 큰 값을 가지면, 이는 항상 커버 기판(CP)과 공기층(AIR)의 계면에서의 전반사 임계각(TCP_AIR)보다 큰 값이다.
출광 소자(VHOE)는 진행광(200)의 일정 광량을 반사각(α)을 갖는 출사광(300)으로 전환시켜 커버 기판(CP)의 내부로 되돌려 보낸다. 출사광(300)은 커버 기판(CP)의 상부 표면에 이미지를 갖는 객체가 접촉하는 경우, 그 이미지의 상을 인지하기 위한 광이다. 출사광(300)은 커버 기판(CP)의 표면에 아무 물체도 없는 경우에는, 전반사되어, 지향성 광 기판(SLS)의 하면 외부에 위치한 광 센서로 보내어져야 한다. 즉, 출사광(300)은 커버 기판(CP)의 상부 표면에서 전반사된 후에는 검출광(400)으로서 지향성 광 기판(SLS)의 외부로 출광된다.
지향성 광 기판(SLS)의 하부 표면에 배치된 저 굴절층(LR)의 외부로 출광된 검출광(400)을 인식함으로써, 커버 기판(CP)의 상부 표면에 배치된 물체의 이미지를 판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에서 설명한 지향성 광 유닛을 응용한 이미지 인식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특히, 지문 인식 센서를 내장한 평판 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지향성 광 유닛과 광 인식 센서를 포함하는 광학식 이미지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광학식 이미지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는, 표시 패널(DP), 지향성 광 기판(SLS) 및 광원(LS)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DP)에는 표시 영역(AA)과 비 표시 영역(NA)이 정의되어 있다. 표시 영역(AA)은 표시 패널(DP)의 중앙부 대부분을 차지하고, 비 표시 영역(NA)은 표시 영역의 주변에 배치된다. 표시 영역(AA)에는, 표시 패널(DP)이 나타내고자 하는 영상들이 표시되는 소자들이 배치되어 있다. 비 표시 영역(NA)에는 표시 영역에 배치된 소자들을 구동하기 위한 소자들이 배치되어 있다.
특히, 표시 영역(AA)에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다수 개의 화소 영역들이 매트릭스 방식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들 화소 영역에는 이미지 인식을 위한 광 센서들이 하나씩 배치되어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여러 개의 화소 영역들을 기본 단위로 하여, 하나씩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2x2, 3x3 혹은 4x4 화소들마다 하나씩 광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지향성 광 기판(SLS)은, 일정 길이, 일정 폭 및 일정 두께를 갖는 얇고 넓은 판상형이다. 지향성 광 기판(SLS)의 길이와 폭은 표시 패널(DP)을 수용하기에 충분한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표시 패널(DP)의 전체 크기보다 조금 더 큰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표시 패널(DP)의 한쪽 변으로 더 연장된 부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DP)의 한쪽 변으로 더 연장된 부분에는 광원(LS)을 배치한다.
지향성 광 기판(SLS)은 표시 패널(DP)의 상부 표면에 면 합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지향성 광 기판(SLS)은, 앞에서 설명했듯이, 커버 기판(CP), 입광 소자(CHOE), 출광 소자(VHOE) 및 저 굴절층(LR)을 포함한다. 저 굴절층(LR)이 표시 패널(DP)의 상부 표면과 면 합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표시 패널(DP)의 상부 표면은, 표시 패널(DP)에서 제공되는 영상 정보가 출광되는 면을 말한다. 즉, 사용자가 영상을 관람할 때 바라보는 표시 패널(DP)의 표면을 말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향성 광 기판(SLS)에서는 하부 표면으로 즉, 표시 패널(DP)의 상부 표면으로, 이미지 검출광(400)을 제공한다. 그러면, 지향성 광 기판(SLS)의 하부에 배치된 표시 패널(DP)의 광 센서가 검출광(400)을 인지한다. 그 결과, 지향성 광 기판(SLS)의 상부 표면에 접촉하는 물체의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지향성 광 기판(SLS)의 출광 소자(VHOE)에 의해 만들어지 출사광(300)이 커버 기판(CP)의 상부 표면에 다다른다. 특히, 커버 기판(CP) 위에 이미지 객체(IM)가 접촉하고 있을 때, 객체(IM)와 닿지 않은 곳에 다달은 출사광(300)은 전반사되어 검출광(400)으로서 표시 패널(DP)로 제공된다. 한편, 커버 기판(CP) 표면에서 객체(IM)가 닿는 부분에 다달은 출사광(300)은 외부로 굴절되어 나간다. 굴절율이 공기보다 큰 값을 갖는 객체(IM)가 커버 기판(CP)에 접촉한 부위에서는, 검출광(400)이 전반사되지 않고, 객체(IM) 쪽으로 굴절된다. 즉, 이미지 객체(IM)가 있는 부분에서는 출사광(300)이 흡수광(500)으로 되어 표시 패널(DP)의 광 센서로 제공되는 광량이 거의 없다.
그 결과, 표시 패널(DP)에는 출사광(300) 중에서 검출광(400)만 인지하고, 흡수광(500)은 인지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표시 패널(DP)의 광 센서들은, 커버 기판(CP)의 표면에서 반사된 검출광(400)의 반사 패턴을 인지함으로써 이미지의 패턴을 재현(reproduce)할 수 있다.
지향성 광 유닛을 지문 인식 장치에 적용하는 경우, 이미지 객체(IM)는 사람의 손가락(finger)이 된다. 그리고, 지문의 융기(R) 부분은 커버 기판(CP)의 표면과 접촉하고, 골(V) 부분은 커버 기판(CP)의 표면과 접촉하지 않는다. 골(V) 부분으로 간 출사광(300)은 전반사되어 검출광(400)으로 된다. 반면에, 융기(R) 부분으로 간 출사광(300)은 굴절되어 커버 기판(CP)의 외부로 빠져나가는 흡수광(500)이 된다.
도 3의 아래에 도시된 사시도를 더 참조하여 XY 평면상에서의 이미지 센싱에 대해 설명한다. 입사광(100)은 일정한 단면적을 갖는 시준된 적외선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광원(LS)은 적외선 레이저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입사광(100)은 입광 소자(CHOE)에 의해 진행광(200)으로 변환된다. 이 때, 진행광(200)은, 길이 방향 축인 X축과 폭 방향 축인 Y축으로 이루어진 수평 평면인 XY 평면에서는 확산각(φ)을 가지도록 변환된다. 또한, 길이 방향 축인 X과 두께 방향 축인 Z축으로 이루어진 수직 평면인 XZ 평면에서는 원래의 시준된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확산각(φ)은, 입사점(IP)에서 입광 소자(CHOE)와 대향하는 커버 기판(CP)의 타측변의 두 끝점을 각각 연결하는 두 선분이 이루는 내측 각도와 같거나 이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진행광(200)은 확산각을 갖는 삼각형 형상으로 퍼지면서 진행한다. 이에 따라, 출사광(300) 역시 진행광(200)과 동일한 범위에 걸쳐 제공된다. 그 결과, 이미지 인식 영역은 삼각형 내부 영역이 된다. 따라서, 지문 인식 장치로 적용하는 경우, 도 3에서 빗금친 원형으로 표시한 부분에 인식 영역(SA)을 설정할 수 있다.
도 3과 같이, 표시 패널의 중앙부 혹은 입광 소자(CHOE)와 대향하는 상단변의 일부에 인식 영역(SA)을 설정할 경우, 인식 영역(SA)에서 출사광(300)의 광량이 최대 값을 갖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출광 소자(VHOE)의 광 추출 효율이 인식 영역(SA)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최대 값을 갖고, 다른 부분에서는 최소 값 혹은 '0'에 가까운 값을 갖도록 위치에 따른 함수 관계로 설계할 수 있다.
<제2 실시 예>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지향성 광 유닛과 광 인식 센서를 포함하는 광학식 이미지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는 이미지 인식 영역(SA)을 좀 더 넓게 확보한 경우를 설명한다. 특히, 표시 영역(AA) 중 많은 부분을 이미지 인식 영역(SA)으로 설정할 수 있는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광학식 이미지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는 기본적으로 제1 실시 예에 의한 것과 동일하다. 차이가 있다면, 수평 평면인 XY 평면 상에서도 진행광(200)을 커버 기판(CP)의 폭에 대응하도록 수평 시준 시키기 위한 수평 시준 소자(PHOE)를 더 포함한다.
수평 시준 소자(PHOE)는, 입광 소자(CHOE)에서 진행광(200)이 진행하는 방향인 X축을 따라 일정 거리 이격하여, 커버 기판(CP)의 폭을 가로질러 배치된다. 여기서, 수평 시준 소자(PHOE)가 입광 소자(CHOE)에서 이격된 거리는 제조자 또는 설계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인식 영역을 커버 기판(CP)의 2/3 정도의 영역으로 설정하고자 한다면, 수평 시준 소자(PHOE)는 입광 소자(CHOE)에서 커버 기판(CP) 길이의 1/3되는 지점에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확산각(φ)은, 입광 소자(CHOE)의 입사점(IP)에서 수평 시준 소자(PHOE)의 두 끝점을 각각 연결하는 두 선분이 이루는 내측 각도에 상응한다. 확산각(φ)을 갖는 진행광(200)은, 수평 시준 소자(PHOE)에 의해 수평 시준 진행광(201)로 변환된다. 수평 시준 진행광(201)은 출광 소자(VHOE)에 의해 출사광(300)으로 변환된다. 이 때, 출사광(300)은 XY 평면 상에서 수평 시준된 상태가 된다. 출사광(300)은 커버 기판(CP)의 폭에 대응하는 면적에 걸친 넓은 면적에 걸쳐 고르게 분포된다. 수평 시준 소자(PHOE)는, 확산각(φ)을 갖는 진행광(201)을 커버 기판(CP)의 폭에 대응하도록 수평 평면에서 수평 시준하는 홀로그래피 패턴을 구비한 광학 소자일 수 있다.
도 4의 아래에 도시된 사시도를 더 참조하면, 수평 시준 소자(PHOE)는 입사부(LIN)에서 일정 거리 이격한 위치에 설정된 광 변환부(LCO)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실시 예에서는, 광 출사부(LOT)와 이미지 인식 영역(SA)이 실질적으로 거의 동일할 수 있다.
<제3 실시 예>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지향성 광 유닛과 광 인식 센서를 포함하는 광학식 이미지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3 실시 예는 표시 패널(DP)의 표시 영역(AA) 전체를 이미지 인식 영역(SA)으로 설정하는 경우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광학식 이미지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는 기본적으로 제2 실시 예에 의한 것과 동일하다. 차이가 있다면, 수평 시준 소자(PHOE)의 위치가 입광 소자(CHOE)와 대향하는 쪽의 비 표시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한다는 데 있다. 또한, 진행광(200)이 수평 시준 소자(PHOE)에서 입광 소자(CHOE) 쪽으로 되돌아오면서 출사광(300)을 제공한다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광학식 이미지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는, 지향성 광 기판(SLS), 표시 패널(DP) 및 광원(LS)을 포함한다. 지향성 광 기판(SLS)은 표시 패널(DP)의 상부 표면 위에 면 부착된다. 광원(LS)은 표시 패널(DP)의 일측변에서 지향성 광 기판(SLS)의 하부에 배치된다.
지향성 광 기판(SLS)은, 커버 기판(CP), 입광 소자(CHOE), 출광 소자(VHOE), 수평 시준 소자(PHOE) 및 저 굴절층(LR)을 포함한다. 출광 소자(VHOE)는 표시 패널(DP)의 표시 영역(AA)과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입광 소자(CHOE)는 출광 소자(VHOE) 일측변의 비 발광 영역(NA) 내에 배치된다. 수평 시준 소자(PHOE)는, 출광 소자(VHOE) 타측변의 비 발광 영역(NA) 내에 배치된다. 입광 소자(CHOE)와 수평 시준 소자(PHOE)는 출광 소자(VHOE)를 가운데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커버 기판(CP)의 양 끝변에 각각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입광 소자(CHOE)는 표시 기판(DP)의 비 표시 영역(NA)를 넘어 외측으로 연장된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광원(LS)이 입광 소자(CHOE)와 대향하여 표시 패널(DP)의 일측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입광 소자(CHOE)는, 입사광(100)을 전반사광(210)으로 변환하여 커버 기판(CP)으로 제공한다. 전반사광(210)은 커버 기판(CP) 내부에서 전반사되어 수평 시준 소자(PHOE)를 향해 전파된다. 이 과정에서, 전반사광(210)은 출광 소자(VHOE)에 의해 출사광(300)으로 변환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반사광(210)은 출광 소자(VHOE)를 그대로 투과하고, 출광 소자(VHOE)와 저 굴절층(LR)의 계면에서 모두 전반사된다.
수평 시준 소자(PHOE)는 전반사광(210)을 진행광(200)으로 전환하여 커버 기판(CP)의 내부로 보낸다. 그 결과, 진행광(200)은 수평 시준 소자(PHOE)에서 입광 소자(CHOE)를 향해 전파된다. 이 과정에서, 진행광(200)은, 제1 및 제2 실시 예에서 처럼, 출광 소자(VHOE)에 의해 일부 광량이 출사광(300)으로 전환되어 커버 기판(CP) 내부로 보내어진다. 출사광(300)은 커버 기판(CP)의 상부 표면에서 전반사되고 하부에 배치된 출광 소자(VHOE)와 저 굴절층(LR)을 모두 투과하여 외부로 출광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지향성 광 유닛에 의해 제공되는 지향성 광인 출사광(300)은 제1 및 제2 실시 예의 것들과 약간의 차이가 있다. 도 6a 및 6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지향성 광인 출사광(300)을 제공 과정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지향성 광 기판 내부에서의 광 경로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광원(LS)에서 제공된 일정 단면적을 갖는 입사광(100)은 입광 소자(CHOE)의 입사점(IP)으로 들어온다. 특히, 입사점(IP) 표면의 법선 방향으로 입사된다. 입사광(100)은, 입광 소자(CHOE)에 의해 전반사광(210)으로 전환된다. 여기서, 전반사광(210)은 커버 기판(CP) 내에서 전반사 조건을 만족하는 입사각도, δ를 갖는다.
특히, 전반사광(210)의 입사각은, 전반사광(210)이 출광 소자(VHOE)에 의해 전혀 영향을 받지 않고 그대로 투과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출광 소자(VHOE)는 특정한 입사각, 예를 들어 진행광(200)의 입사각(θ)에 대해만 일부 광량을 출사광(300)으로 전환하는 홀로그래피 패턴을 포함하는 광학 소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반사광(210)의 입사각은, 진행광(200)의 입사각(θ)과는 다른 값인, 전반사각(δ)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반사각(δ)은 입사각(θ)보다 클 수도 있고, 작을 수도 있다. 여기서는, 편의상, 전반사각(δ)은 입사각(θ)보다 큰 경우로 설명한다.
제3 실시 예에서 입광 소자(CHOE)는, 입사광(100)을 입사각도(θ)와 다른 전반사각(δ)을 갖는 전반사광(210)으로 전환하여 커버 기판(CP) 내부로 보내는 홀로그래피 패턴이 기록된 투명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전반사광(210)은 입광 소자(CHOE)에서 길이 방향인 X축을 따라 전파된다.
전반사광(210)은 수평 시준 소자(PHOE)에 의해 진행광(200)으로 전환된다. 진행광(200)은 제1 및 제2 실시 예에서의 진행광(200)과 동일한 광학적 성질을 갖는다. 차이가 있다면, 진행 방향으로서, 제1 및 제2 실시 예에서의 방향과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진행광(200)은 수평 시준 소자(PHOE)에서 입광 소자(CHOE) 쪽으로 진행한다.
도 6b에서 수평 시준 소자(PHOE)가 커버 기판(CP)의 하부 표면에서 출광 소자(VHOE)와 인접하여 배치된 경우를 도시하였다. 하지만, 이에 국한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수평 시준 소자(PHOE)는 커버 기판(CP)의 상부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혹은, 수평 시준 소자(PHOE)는 커버 기판(CP)의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부착될 수도 있다.
진행광(200)은 커버 기판(CP)의 상부 표면에서 전반사되고, 출광 소자 (VHOE)에 의해서 출사광(300)으로 전환된다. 여기서, 출사광(300)은 제1 및 제2 실시 예의 출사광(300)과 동일한 광학적 성질을 갖는다. 차이가 있다면, 진행 방향이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정리하면, 입사광(100)은 입사 소자(CHOE)에 의해 전반사각(δ)을 갖는 전반사광(210)으로 변환된다. 전반사광(210)은 커버 기판(CP) 내부에서 전반사 과정을 통해 입광 소자(CHOE)에서 수평 시준 소자(PHOE)로 진행한다. 전반사광(210)은 수평 시준 소자(PHOE)에 의해 입사각(θ)을 갖는 진행광(200)으로 전환된다. 진행광(200)은 커버 기판(CP) 내부에서 전반사 과정을 통해 수평 시준 소자(PHOE)에서 입광 소자(CHOE)로 진행한다. 진행광(200)은 출광 소자(VHOE)에 의해 일부 광량이 반사각(α)을 갖는 출사광(300)으로 전환된다. 나머지는 출광 소자(VHOE)와 저 굴절층(LR)의 계면에서 전반사되어 커버 기판(CP)의 상부로 반사된다.
진행광(200)의 입사각(θ)은 출광 소자(VHOE)와 저 굴절층(LR)의 계면에서의 전반사 임계각(TVHOE _ LR)보다 큰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반사광(210)의 전반사각(δ)은 진행광(200)의 입사각(θ)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커버 기판(CP) 및 출광 소자(VHOE)의 굴절율이 1.5이고, 저 굴절층(LR)의 굴절율이 1.4일 경우, 출광 소자(VHOE)와 저 굴절층(LR)의 계면에서의 전반사 임계각(TVHOE _ LR)은 약 69도로 계산된다. 따라서, 입사각(θ)은 69도보다 큰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 기판(CP)의 상부 표면은 공기층(AIR)과 접촉하고 있으므로, 전반사광(210) 및 진행광(200)은 커버 기판(CP)의 상부 표면에서 역시 전반사된다. 이는, 커버 기판(CP)과 공기층(AIR)의 계면에서의 전반사 임계각(TCP_AIR)은 약 41.4도이기 때문이다. 즉, 전반사각(δ) 및 입사각(θ)이 출광 소자(VHOE)와 저 굴절층(LR)의 계면에서의 전반사 임계각(TVHOE _ LR)보다 큰 값을 가지면, 이는 항상 커버 기판(CP)과 공기층(AIR)의 계면에서의 전반사 임계각(TCP_AIR)보다 큰 값이다.
예를 들어, 입사각(θ)은 70도 내지 75도 사이의 어느 한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반사각(δ)은 75도 내지 80도 사이의 어느 한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출사광(300)의 반사각(α)은 45도 내지 55도 사이의 어느 한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의 아래에 도시된 사시도를 더 참고하여 이미지 센싱 영역에 대해 설명한다. 제3 실시 예에서, 전반사광(210)은 입사점(IP)에서 확산각(φ)을 갖고, 수평 시준 소자(PHOE)로 진행한다. 수평 시준 소자(PHOE)는 전반사광(210)을 진행광(200)으로 변환할 때, 커버 기판(CP)의 폭에 대응하도록 XY 평면 상에서 수평 시준된 진행광(200)으로 전환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광학식 이미지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는, 입광 소자(CHOE)에서 수평 시준 소자(PHOE) 사이에 배치된 출광 소자(VHOE)의 전체 면적이 이미지 검출 영역(SA)에 해당한다. 특히, 출광 소자(VHOE)는 표시 패널(DP)의 표시 영역(AA)과 일치하여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패널(DP)의 표시 영역(AA) 전체 면적이 이미지 검출 영역(SA)이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지향성 광 기판(SLS)이 지향성 검출광(400)을 표시 패널(DP)의 표면적에 걸쳐 제공하기 위해서는, 진행광(200) 커버 기판(CP) 내부에서 전반사하여 진행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향성 광 기판(SLS)의 커버 기판(CP)은 표시 패널(DP)의 상부 표면에 면 합착된다. 커버 기판(CP)과 표시 패널(DP) 사이에 저 굴절 층(LR)이 없다면, 진행광(200)이 커버 기판(CP) 내부에서 전반사 과정에 의해 전파될 수 없다. 여기서, "저 굴절 층"의 "저(低)(혹은, 'low')"는 커버 기판(CP) 및 표시 패널(DP)의 기판의 굴절율보다 낮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차용한 용어이다.
<제4 실시 예>
지금까지는 지향성 광 유닛에서, 지향성 광 기판(SLS)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광원(LS)의 구성에 대해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7a 및 7b는 제4 실시 예에 의한 지향성 광 유닛에서 커버 기판과 광원과의 관계에 따라 출사광이 어떻게 제공되는 지를 나타내는 측면도들이다. 이하의 도면들은 광 경로에 초점을 맞추어 확대한 도면으로서, 편의상, 출광 소자(VHOE), 입광 소자(CHOE) 및 저 굴절층(LR)을 도시하지 않았다. 하지만, 앞에서 설명한 도면을 참조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커버 기판(CP)은 0.5mm의 두께를 갖는 투명한 유리 기판이며, 광원(LS)에서는 단면 형상이 직경 0.5mm의 정원 형상을 갖는 적외선 레이저를 제공한다. 도 7a는 0.5mm 두께의 커버 기판을 사용한 경우, 출사 소자에서 출사광을 제공하는 발광 영역의 분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 경우, 입광 소자(CHOE)에 의해 입사광(100)은 70도의 입사각을 갖는 진행광(200)으로 변환되어 커버 기판(CP) 내부로 입사된다.
진행광(200)이 커버 기판(CP) 내부에서 전반사 과정을 반복하면서 진행한다. 그 결과, 진행광(200)이 연속적으로 출광 소자(VHOE)로 입사되지 않고, 비 연속적인 패턴으로 입사된다. 즉, 입사각 70도인 경우, 도 7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첫 번째로 출광 소자(VHOE)에 입사되는 부분과 두 번째로 출광 소자(VHOE)에 입사되는 부분 사이에는 약 2.24mm의 이격 거리를 갖는다. 광원(LS)에서 제공되는 빛이 직경 0.5mm를 가지므로, 0.5mm의 진행광(200) 영역 사이에는 2.24mm의 이격 거리를 갖는다. 즉, 출사광(300)은, 2.24mm의 간격으로 배열된 0.5mm의 발광 영역들에서 제공된다.
동일한 조건에서, 출사광(300)을 제공하는 발광 영역들의 간격은, 커버 기판(CP)의 두께에 따라 다르게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기판(CP)의 두께를 0.3mm로 제작할 수 있다. 도 7b는 0.3mm 두께의 커버 기판을 사용한 경우, 출사 소자에서 출사광을 제공하는 발광 영역의 분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입사각이 70도인 경우, 도 7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첫 번째로 출광 소자(VHOE)에 입사되는 부분과 두 번째로 출광 소자(VHOE)에 입사되는 부분 사이에는 약 1.14mm의 이격 거리를 갖는다. 광원(LS)에서 제공되는 빛이 직경 0.5mm를 가지므로, 0.5mm의 진행광(200) 영역 사이에는 약 1.14mm의 이격 거리를 갖는다. 즉, 출사광(300)은, 1.14mm의 간격으로 배열된 0.5mm의 발광 영역들에서 제공된다.
<제5 실시 예>
이하, 출사광(300)이 제공되는 발광 영역들의 이격 간격을 더 좁게 형성하여 이미지 검출의 해상도를 높이는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제5 실시 예에서는, 복수 개의 광원들을 이용하여 출사광이 제공되는 발광 영역들의 이격 간격을 좁히는 구조를 제안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의한 지향성 광 유닛에서 출사광의 분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의한 지향성 광 유닛은, 지향성 광 기판(SLS)와 2 개의 광원들(LS1, LS2)을 포함한다. 지향성 광 기판(SLS)은, 커버 기판(CP), 출광 소자(VHOE), 입광 소자(CHOE) 및 저 굴절층(LR)을 포함한다. 커버 기판(CP)은 0.3mm의 두께를 갖는 투명한 유리 기판이다.
광원들(LS1, LS2)은 입광 소자(CHOE)와 대향하여 배치되며, 길이 방향인 X축을 따라 이웃하여 배치된다. 특히, 광원들(LS1, LS2)는 각각 단면 형상이, 직경 0.5mm의 정원 형상을 갖는 적외선 레이저를 제공한다. 그리고, 광원들(LS1, LS2)은 0.32mm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입사각이 70도인 경우,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광원(LS1)에서 첫 번째로 출광 소자(VHOE)에 입사되는 부분과 두 번째로 출광 소자(VHOE)에 입사되는 부분 사이에는 약 1.14mm의 이격 거리를 갖는다. 또한, 제2 광원(LS2)에서 첫 번째로 출광 소자(VHOE)에 입사되는 부분과 두 번째로 출광 소자(VHOE)에 입사되는 부분 사이에도 마찬가지로, 약 1.14mm의 이격 거리를 갖는다.
즉, 제1 및 제2 광원(LS1, LS2)에서 제공되는 빛이 직경 0.5mm를 가지므로, 0.5mm의 진행광(200) 영역 사이에는 약 0.32mm의 이격 거리를 갖는다. 즉, 출사광(300)은, 약 0.32mm의 간격으로 배열된 0.5mm의 발광 영역들에서 제공된다.
<제6 실시 예>
제6 실시 예에서는, 비 대칭 단면 형상의 입사광(100)을 제공하는 광원을 이용하여 출사광이 제공되는 발광 영역들의 이격 간격을 좁히는 구조를 제안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의한 지향성 광 유닛에서 출사광의 분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의한 지향성 광 유닛은, 지향성 광 기판(SLS)와 광원(LS)을 포함한다. 지향성 광 기판(SLS)은, 커버 기판(CP), 출광 소자(VHOE), 입광 소자(CHOE) 및 저 굴절층(LR)을 포함한다. 커버 기판(CP)은 0.3mm의 두께를 갖는 투명한 유리 기판이다.
광원(LS)은 단면 형상이, 비 대칭형인 타원 형상을 갖는 적외서 레이저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제1 축과 제2 축을 갖는 타원 형상일 수 있다. 특히, 제1 축과 제2 축은 1:2 내지 1:4의 비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축은 커버 기판(CP)의 폭 방향인 Y축에 대응하고, 제2 축은 길이 방향인 X축에 대응할 수 있다. 일례로, 광원(LS)이 제공하는 입사광(100)의 단면 형상은, 길이 방향의 축이 1.0mm 이고, 폭 방향의 축이 0.5mm인 타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입사각이 70도인 경우,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광원(LS)에서 첫 번째로 출광 소자(VHOE)에 입사되는 부분과 두 번째로 출광 소자(VHOE)에 입사되는 부분 사이에는 약 0.64mm의 이격 거리를 갖는다.
즉, 입사광(100)의 비 대칭 단면 형상은, 길이 방향으로 1.0mm의 길이를 가지므로, 1.0mm의 진행광(200) 영역 사이에는 약 0.64mm의 이격 거리를 갖는다. 즉, 출사광(300)은, 약 0.64mm의 간격으로 배열된 1.0mm의 발광 영역들에서 제공된다.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다른 예로, 광원(LS)이 제공하는 입사광(100)의 단면 형상은, 길이 방향의 축이 1.5mm 이고, 폭 방향의 축이 0.5mm인 타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입사각이 70도인 경우로 계산하면, 출사광은, 약 0.14mm의 간격으로 배열된 1.5mm의 발광 영역들에서 제공된다.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또 다른 예로, 광원(LS)이 제공하는 입사광(100)의 단면 형상은, 길이 방향의 축이 2.0mm 이고, 폭 방향의 축이 0.5mm인 타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입사각이 70도인 경우로 계산하면, 출사광은, 서로 중첩하므로, 발광 영역들의 이격 간격이 없다. 즉, 출광 소자(VHOE) 전체 영역에서 모두 출사광을 제공할 수 있다. 중첩되는 부분에서 출사광의 세기가 높을 수는 있으나, 이미지를 인식하는 데에는 아무런 부정적 영향을 주지 않는다.
<제1 응용 예>
지금까지는, 광학식 이미지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에서 지향성 광을 제공하기 위한 지향성 광 유닛을 중심으로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지향성 광 유닛을 광 인식 센서를 포함하는 평판 표시 패널과 결합하여 형성하는 광학식 이미지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들의 구체적인 응용 예들을 설명한다.
이하,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1 응용 예에 의한 광학식 이미지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응용 예에 의한 지향성 광 유닛과 광 인식 센서를 포함하는 광학식 이미지 센서 내장형 액정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응용 예에 의한 광학식 이미지 센서 내장형 액정 표시장치는, 액정 표시 패널(LCP), 지향성 광 기판(SLS) 및 광원(LS)을 포함한다. 액정 표시 패널(LCP)은, 서로 면 합착된 하부 기판(SL)과 상부 기판(SU) 그리고 그 사이에 개재된 액정 층(LC)을 포함한다. 하부 기판(SL)에는 다수 개의 화소 영역들이 매트릭스 방식으로 배열되어 있다. 상부 기판(SU)에는 화소 영역에 대응하여 칼라 필터들이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 혹은, 상부 기판(SU)에는 특별한 소자들이 형성되지 않은 기판일 수 있다. 여기서, 액정 표시 패널(LCP)은 수평 전계형의 경우를 도시하였다. 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고, 다양한 액정 표시 패널에 적용할 수 있다.
화소 영역에는 화상을 표현하기 위한 화소 전극(PXL)과 공통 전극(COM)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화소 전극(PXL)에 화상 신호를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박막 트랜지스터(T)가 배치되어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T)와 이웃하여 광 센서(TS)가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광 센서(TS)는 각 화소 영역마다 하나씩 혹은 그 이상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여러 화소 영역들 마다 하나씩 광 센서(TS)가 배치될 수도 있다.
액정 표시 패널(LCP)의 상부 기판(SU)의 윗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설명한 지향성 광 기판(SLS)이 면 부착되어 있다. 지향성 광 기판(SLS)은, 커버 기판(CP), 입광 소자(CHOE), 출광 소자(VHOE) 및 저 굴절층(LR)을 포함한다. 지향성 광 기판(SLS)의 저 굴절층(LR)이 상부 기판(SU)의 상부 표면에 면 부착된다.
액정 표시 패널(LCP)은 스스로 빛을 낼 수 없는 비 자발광 표시 장치이다. 이 경우, 하부 기판(SL)의 하면에 백 라이트 유닛(BLU)이 배치될 수 있다. 백 라이트 유닛(BLU)의 일측변에는 입광 소자(CHOE)와 대향하도록 광원(LS)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광원(LS)은 백 라이트 유닛(BLU)과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혹은, 광원(LS)은 별도의 구성으로 제작하여 백 라이트 유닛(BLU)의 근처에 배치할 수 있다.
액정 표시 패널(LCP)은 표시 영역(AA)과 비 표시 영역(NA)을 포함한다. 지향성 광 기판(SLS)의 출광 소자(VHOE)는 표시 영역(AA)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입광 소자(CHOE)는 비 표시 영역(NA)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또한, 광원(LS) 역시 비 표시 영역(NA)에서, 입광 소자(CHOE)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제2 응용 예>
이하, 도 1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2 응용 예에 의한 광학식 이미지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응용 예에 의한 지향성 광 유닛과 광 인식 센서를 포함하는 광학식 이미지 센서 내장형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응용 예에 의한 광학식 이미지 센서 내장형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OLP), 지향성 광 기판(SLS) 및 광원(LS)을 포함한다.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OLP)은, 표시 소자들이 배치된 기판(SUB)과 표시 소자를 보호하기 위한 인캡(ENC)이 서로 면 합착되어 있다. 기판(SUB)에는 다수 개의 화소 영역들이 매트릭스 방식으로 배열되어 있다. 인캡(ENC)에는 화소 영역에 대응하여 칼라 필터들이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 혹은, 인캡(ENC)에는 특별한 소자들이 형성되지 않은 투명 기판일 수 있다. 여기서는, 상부 발광형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OLP)의 경우를 도시하였다. 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고, 상부 발광형등 다양한 구조의 것을 적용할 수 있다.
화소 영역에는 화상을 표현하기 위한 유기발광 다이오드(OLE)와 유기발광 다이오드(OLE)에 화상 신호를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박막 트랜지스터(T)가 배치되어 있다. 유기발광 다이오드는, 애노드 전극(ANO), 유기발광 층(OL) 및 캐소드 전극(CAT)을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T)와 이웃하여 광 센서(TS)가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광 센서(TS)는 각 화소 영역마다 하나씩 혹은 그 이상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여러 화소 영역들 마다 하나씩 광 센서(TS)가 배치될 수도 있다.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OLP)의 인캡(ENC)의 윗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설명한 지향성 광 기판(SLS)이 면 부착되어 있다. 지향성 광 기판(SLS)은, 커버 기판(CP), 입광 소자(CHOE), 출광 소자(VHOE) 및 저 굴절층(LR)을 포함한다. 지향성 광 기판(SLS)의 저 굴절층(LR)이 인캡(ENC)의 상부 표면에 면 부착된다.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OLP)은 스스로 빛을 내는 자발광 표시 장치이다. 이 경우, 별도의 백 라이트 유닛(BLU)이 필요 없다. 따라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OLP)의 일측변에 입광 소자(CHOE)와 대향하도록 광원(LS)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OLP)은 표시 영역(AA)과 비 표시 영역(NA)을 포함한다. 지향성 광 기판(SLS)은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OLP)보다 큰 크기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향성 광 기판(SLS)의 출광 소자(VHOE)는 표시 영역(AA)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입광 소자(CHOE)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OLP)의 측변에서 확장된 공간 상부를 덮도록 배치한다. 그리고 광원(LS)은 그 확장된 공간 하부에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를 내장한 표시 장치에서는, 표시 장치의 겉면에 부착하는 커버 기판과 커버 기판의 일측 표면에 부착된 수백 ㎛ 정도에 불과한 초박형 홀로그래피 필름을 구비한다. 따라서, 표시 장치의 두께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를 내장할 수 있다. 또한, 시준성이 높은 광을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 전체 면적에 고르게 분포하도록 하여(또는 스캔하여)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으므로, 이미지 인식 분해능이 매우 우수하여, 지문 인식과 같이 미세 이미지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 및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DP: 표시 패널 SLS: 지향성 광 기판
CP: 커버 기판 CHOE: 입광 소자
VHOE: 출광 소자 PHOE: 수평 시준 소자
LR: 저 굴절 층 LS: 광원
100: 입사광 200: 진행광
201: 수평 시준 진행광 210: 전반사광
300: 출사광 400: 검출광
500: 흡수광 SA: 이미지 센싱 영역

Claims (13)

  1. 표시 영역과 비 표시 영역이 정의된 표시 패널; 그리고
    상기 표시 패널을 수용하는 길이와 폭 그리고 일정한 두께를 갖고, 상기 표시 패널의 상부 표면에 면 부착되며, 상기 표시 영역으로 일정 방향성을 갖는 시준된(Collimated) 검출광을 제공하는 지향성 광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지향성 광 유닛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비 표시 영역에 배치되어 입사광을 제공하는 광원;
    상기 길이와 상기 폭에 대응하는 면적을 갖는 커버 기판;
    상기 커버 기판의 하부 표면에서, 상기 표시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상기 커버 기판 내에서 전반사되는 진행광의 일부를 상기 검출광으로 전환하는 홀로그래피 패턴을 포함하는 출광 소자;
    상기 커버 기판의 하부 표면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비 표시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입사광을 상기 진행광으로 전환하여 상기 커버 기판 내부로 입사시키는 홀로그래피 패턴을 포함하는 입광 소자; 및
    상기 출광 소자 및 상기 입광 소자의 하부 표면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패널의 상부 표면에 면 부착되며, 상기 커버 기판 및 상기 출광 소자보다 낮은 굴절율을 갖는 저 굴절층을 포함하고,
    상기 검출광이 상기 커버 기판의 하부 표면, 상기 출광 소자 및 상기 저 굴절층을 투과하여 상기 표시 패널로 진행하는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행광은, 상기 폭 방향 축과 상기 길이 방향 축으로 이루어진 수평 평면에서는 확산각을 가지며, 상기 길이 방향 축과 상기 두께 방향 축으로 이루어진 수직 평면에서는 상기 시준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진행광의 입사각은, 상기 출광 소자와 상기 저 굴절 층과의 계면에서의 전반사 임계각보다 큰 값을 갖고; 그리고
    상기 출광 소자는 상기 진행광의 일정 광량을 반사각을 갖는 출사광으로 전환시켜 상기 커버 기판의 내부로 되돌려 보내고,
    상기 반사각은, 상기 커버 기판과 공기층과의 계면에서의 전반사 임계각보다는 크고, 상기 출광 소자와 상기 저 굴절 층과의 계면에서의 전반사 임계각보다는 작은 값을 갖는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광은 일정한 단면적을 갖고 상기 입광 소자에 정의된 입사점으로 제공되고,
    상기 확산각은,
    상기 입사점에서 상기 입광 소자와 대향하는 상기 커버 기판의 타측변의 두 끝점을 각각 연결하는 두 선분이 이루는 내측 각도 이상인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입광 소자에서 상기 진행광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하여, 상기 폭을 가로질러 배치된 수평 시준 소자를 더 포함하되,
    상기 확산각은,
    상기 입광 소자의 입사점에서 상기 수평 시준 소자의 두 끝점을 각각 연결하는 두 선분이 이루는 내측 각도에 상응하며,
    상기 수평 시준 소자는, 상기 확산각을 갖는 상기 진행광을 상기 폭에 대응하도록 상기 수평 평면에서 수평 시준하는 홀로그래피 패턴을 구비한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입광 소자와 대향하는 상기 커버 기판의 타측변의 상기 비 표시 영역에 배치된 수평 시준 소자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입광 소자는, 상기 입사광을 상기 입사각도와 다른 전반사각을 갖는 전출사광으로 전환하여 상기 커버 기판 내부로 보내는 홀로그래피 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확산각은,
    상기 입광 소자의 입사점에서 상기 수평 시준 소자의 두 끝점을 각각 연결하는 두 선분이 이루는 내측 각도에 상응하며,
    상기 수평 시준 소자는, 상기 확산각을 갖는 상기 진행광을 상기 폭에 대응하도록 상기 수평 평면에서 수평 시준하며, 상기 전반사광을 상기 진행광으로 전환하여 상기 입광 소자 측으로 되돌려 보내는 홀로그래피 패턴을 구비하며;
    상기 출광 소자는, 상기 전반사광은 그대로 투과하는 홀로그래피 패턴을 구비한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시준 소자는,
    상기 커버 기판의 하부 표면 및 상부 표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된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단면 형상이 정원형인 시준광(collimated light)을 제공하는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두 개 이상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된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단면 형상이 상기 폭 방향에 대응하는 제1 축과 상기 길이 방향에 대응하는 제2 축을 갖는 타원 형상이되,
    상기 제1 축과 제2 축의 비율은 1:2 내지 1:4 사이의 값을 갖는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광 소자는 상기 출광 소자와 이웃하고 상기 광원과 대향되며,
    상기 입광 소자와 상기 출광 소자가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 표면에서 동일층에 배치되는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검출광을 인식하여 상기 커버 기판 상의 사용자 지문을 센싱하는 광 센서를 포함하는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KR1020160053569A 2016-04-29 2016-04-29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Active KR102040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569A KR102040651B1 (ko) 2016-04-29 2016-04-29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EP17168110.9A EP3239824B1 (en) 2016-04-29 2017-04-26 Flat panel display embedding optical imaging sensor
CN201710287923.3A CN107422788B (zh) 2016-04-29 2017-04-27 嵌入有光学成像传感器的平板显示器
US15/582,001 US10564350B2 (en) 2016-04-29 2017-04-28 Flat panel display embedding optical imaging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569A KR102040651B1 (ko) 2016-04-29 2016-04-29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4160A KR20170124160A (ko) 2017-11-10
KR102040651B1 true KR102040651B1 (ko) 2019-11-06

Family

ID=58772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3569A Active KR102040651B1 (ko) 2016-04-29 2016-04-29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564350B2 (ko)
EP (1) EP3239824B1 (ko)
KR (1) KR102040651B1 (ko)
CN (1) CN10742278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99862B2 (en) 2019-12-24 2024-02-1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10588B2 (en) * 2015-06-18 2021-05-18 Shenzhen GOODIX Technology Co., Ltd. Large-sensing-area under-display optical sensor
US10726240B2 (en) * 2015-07-09 2020-07-28 Gingy Technology Inc. Image capturing apparatus
KR102679068B1 (ko) * 2016-08-23 2024-07-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30571B1 (ko) 2016-11-29 2024-01-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KR102136553B1 (ko) 2016-11-30 2020-07-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KR102418802B1 (ko) * 2017-05-02 2022-07-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07275376B (zh) * 2017-06-27 2019-12-20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2460111B1 (ko) 2017-09-07 2022-10-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KR102462246B1 (ko) 2017-09-11 2022-11-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와 이 표시장치를 포함한 모바일 정보 단말기
KR20190051409A (ko) 2017-11-07 2019-05-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시트 및 광학식 지문 인식 장치
KR102535177B1 (ko) 2017-12-21 2023-05-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지문 인식 장치와 이를 포함한 표시장치와 모바일 단말기
CN108108718A (zh) * 2018-01-05 2018-06-01 敦捷光电股份有限公司 屏内光学指纹辨识的薄膜晶体管面板
KR102167218B1 (ko) * 2018-03-14 2020-10-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지문 인식 필름
WO2020017858A1 (ko) 2018-07-17 2020-01-23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식 지문인식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KR102671730B1 (ko) * 2018-09-21 2024-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보호필름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87203B1 (ko) * 2018-10-01 2024-07-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수광화소영역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CN110008869B (zh) * 2019-03-25 2021-04-30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0308583B (zh) * 2019-07-05 2023-11-03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及指纹识别显示装置
CN112289839A (zh) * 2020-10-29 2021-01-29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5266A (en) * 1996-10-02 1998-04-28 Raytheon Company Quarter-wave film for brightness enhancement of holographic thin taillamp
US20040252867A1 (en) 2000-01-05 2004-12-16 Je-Hsiung Lan Biometric sensor
KR100608171B1 (ko) 2003-06-24 2006-08-02 주식회사 에스엘 엘씨디 지문인식센서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
US7969422B2 (en) * 2005-07-15 2011-06-28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Pattern detection system
US7845841B2 (en) * 2006-08-28 2010-12-07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Angle sweeping holographic illuminator
TWI331237B (en) * 2006-09-04 2010-10-01 Au Optronics Corp Liquid crystal display panels and realted display devices
WO2008059098A1 (en) * 2006-11-16 2008-05-22 Nanocomp Ltd An arrangement and a method for coupling light into a plate-like light guide
CN101821703A (zh) * 2007-08-03 2010-09-01 感知像素股份有限公司 通过受抑全内反射的多点触摸感测
JP2013511100A (ja) * 2009-11-17 2013-03-28 アールピーオー・ピーティワイ・リミテッド タッチ入力を受け付ける装置及び方法
KR101136153B1 (ko) * 2010-02-19 2012-04-1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지문 인식 또는 멀티 터치가 가능한 센서 그리드 방식의 투명 패널 사용자 입력 장치, 사용자 지문 인식 방법, 및 사용자 터치 인식 방법
JP4902768B2 (ja) * 2010-05-11 2012-03-21 シャープ株式会社 光ポインティング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US8564314B2 (en) 2010-11-02 2013-10-22 Atmel Corporation Capacitive touch sensor for identifying a fingerprint
US8884900B2 (en) 2011-07-13 2014-11-11 Flatfrog Laboratories Ab Touch-sensing 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therewith
US9030440B2 (en) 2012-05-18 2015-05-12 Apple Inc. Capacitive sensor packaging
US9841563B2 (en) 2012-08-04 2017-12-12 Paul Lapstun Shuttered waveguide light field display
KR101731141B1 (ko) * 2013-12-31 2017-04-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장치용 박막형 백 라이트 유닛
US20160342282A1 (en) * 2014-01-16 2016-11-24 Flatfrog Laboratories Ab Touch-sensing quantum dot lcd panel
KR101432988B1 (ko) 2014-04-02 2014-08-29 (주)이미지스테크놀로지 지문 인식 일체형 정전용량 터치스크린
KR102393370B1 (ko) * 2014-10-02 2022-05-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206332B1 (ko) 2014-10-10 2021-01-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지문 인식 소자를 포함한 표시 장치
US9829614B2 (en) 2015-02-02 2017-11-28 Synaptics Incorporated Optical sensor using collimator
CN105184282B (zh) * 2015-10-14 2019-04-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光学指纹检测装置及显示设备
KR102006267B1 (ko) 2016-06-30 2019-10-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CN107025451B (zh) 2017-04-27 2019-11-08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2418802B1 (ko) 2017-05-02 2022-07-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99862B2 (en) 2019-12-24 2024-02-1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422788B (zh) 2020-07-03
US10564350B2 (en) 2020-02-18
EP3239824A1 (en) 2017-11-01
US20170315293A1 (en) 2017-11-02
KR20170124160A (ko) 2017-11-10
EP3239824B1 (en) 2019-11-13
CN107422788A (zh) 2017-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0651B1 (ko)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KR102006267B1 (ko)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JP6553155B2 (ja) 光学式イメージ認識センサー内蔵型平板表示装置
JP6479151B2 (ja) 光学式イメージ認識センサー内蔵型平面表示装置
KR102418802B1 (ko) 표시장치
KR102515292B1 (ko) 박막 평판형 광학 이미지 센서 및 광학 이미지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KR102646158B1 (ko)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US10776598B2 (en) Display device with optical image sensor device for fingerprint detection
KR102460111B1 (ko)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CN108803781B (zh) 具有光学成像传感器的平板显示器
KR102680691B1 (ko)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KR102440209B1 (ko)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KR102629153B1 (ko)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
KR20190018905A (ko)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0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5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0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0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