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0493B1 - Heat sinking apparatus for printed circuit boar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Heat sinking apparatus for printed circuit boar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40493B1 KR102040493B1 KR1020170067678A KR20170067678A KR102040493B1 KR 102040493 B1 KR102040493 B1 KR 102040493B1 KR 1020170067678 A KR1020170067678 A KR 1020170067678A KR 20170067678 A KR20170067678 A KR 20170067678A KR 102040493 B1 KR102040493 B1 KR 1020404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
- circuit board
- printed circuit
- heat dissipation
- pa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5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11889 copper f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4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530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75 carbonace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293 ceram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31 conductive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85 plastic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255 plastic fil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61 polyme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50 progres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679 sold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01—Thermal arrangements, e.g. for cooling, heating or preventing overheating
- H05K1/0203—Cooling of mounted component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1—Surface mounted component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6—Thermal details
- H05K2201/066—Heatsink mount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PC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인쇄회로기판용 방열장치는 대각선으로 배치된 제1 및 제2 타공영역들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1 타공영역에 배치된 히트 소스, 상기 제2 타공영역에 배치된 히트 싱크 및 상호 비대칭적인 제1 및 제2 히트 전달면들을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후면에서 수직으로 결합하도록 타발 형성되고, 상기 제1 히트 전달면의 말단 부위에서 상기 히트 소스를 결합하며, 상기 제2 히트 전달면의 말단 부위에서 상기 히트 싱크를 결합한 방열 패드를 포함한다. 따라서, 인쇄회로기판용 방열장치는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는 방열 패드의 표면적을 증가시켜 인쇄회로기판에서 발생되는 열의 발산을 증가시킬 수 있다.The heat dissipation device for a printed circuit board includes a printed circuit board including first and second perforated areas disposed diagonally, a heat source disposed in the first perforated area, a heat sink disposed in the second perforated area, and asymmetrical to each other. A first punching portion formed to vertically join the first and second heat transfer surfaces at a rea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 heat source is joined at an end portion of the first heat transfer surface, and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heat transfer surface; Including a heat dissipation pad coupled to the heat sink. Therefore, the heat dissipation device for the printed circuit board may increase the surface area of the heat dissipation pad coupl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reby increasing the dissipation of heat generat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용 방열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는 방열 패드의 표면적을 증가시켜 인쇄회로기판에서 발생되는 열의 발산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용 방열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 dissipation technology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nd more particularly, a heat dissipation device for a printed circuit board that can increase the surface area of the heat dissipation pad coupl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to increase the dissipation of heat generated from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it relates to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은 전자제품의 부품 간 회로를 연결할 때 전선을 사용하지 않고 보드에 회로를 그려 전기를 통할 수 있게 만든 것으로, 절연물인 판에 얇은 구리 박을 씌운 기판을 회로도에 따라 불필요한 구리 박을 떼어내고 전자 회로를 구성한다. 최근에는 좀더 소형화하기 위해 얇은 기판을 여러 장 맞붙여서 일체화한 적층 기판이 쓰이고, 플라스틱 필름에 구리 박의 패턴을 씌운 플렉시블 기판도 사용되고 있다.Printed Circuit Board is a circuit that makes electricity by drawing a circuit on a board without using wires when connecting circuits between parts of electronic products. Unnecessary copper foil is removed to form an electronic circuit. Recently, in order to further miniaturize, a laminated substrate in which several thin substrates are bonded together is used, and a flexible substrate in which a copper foil pattern is coated on a plastic film is also used.
최근 전기·전자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전자 기기는 경량화, 박형화, 소형화 및 다기능화를 추구함에 따라 전자 소자는 고집적화되어 더욱 많은 열을 발생하게 되었고, 방출 열은 소자의 기능을 저하시킬 뿐 아니라 주변 소자의 오작동, 기판 열화 등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방출 열을 제어하는 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고방열 회로기판 소재 등으로 탄소 재료, 세라믹 소재 또는 고열전도성 필러, 고분자 소재가 혼합된 복합 소재가 방열 재료로 사용되고 있다.In recent years, as electronic devices used in the field of electric and electronic products have been pursued to be lighter, thinner, smaller, and multifunctional, electronic devices have become highly integrated and generate more heat. It is a cause of malfunction, substrate deterioration, and the like. Accordingly, interest in technology for controlling the heat of release is increasing, and a composite material including a carbon material, a ceramic material or a high thermal conductive filler, and a polymer material is used as a heat dissipation material as a high heat dissipation circuit board material.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63425(2013.05.06)호는 인쇄회로기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기회로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제1금속층과, 히트싱크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제2금속층을 베이스기판상에 증착시킨 후, 동일한 에칭 공정을 통해 전기회로패턴과 히트싱크패턴을 형성시킨, 히트싱크 일체형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히트싱크 일체형 인쇄회로기판 제조 방법은, 베이스기판의 양쪽 측면에 제1금속층 및 제2금속층을 증착시키는 단계; 상기 제1금속층 및 제2금속층 각각에 마스크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크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제1금속층 및 제2금속층에 동시에 에칭물질을 분사시켜, 상기 제1금속층에는 전기회로패턴을 형성시키고, 상기 제2금속층에는 히트싱크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금속층으로는 구리가 이용되고, 상기 제2금속층으로는 알루미늄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263425 (2013.05.06) relates to a printed circuit board, in particular, the first metal layer for forming the electrical circuit pattern, and the second metal layer for forming the heat sink pattern on the base substrate It is a technic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t sink integrated printed circuit board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in which an electric circuit pattern and a heat sink pattern are formed through the same etching process. To this end, the heat sink integrated printed circuit board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depositing a first metal layer and a second metal layer on both sides of the base substrate; Forming a mask pattern on each of the first metal layer and the second metal layer; And simultaneously etching an etching material onto the first metal layer and the second metal layer using the mask pattern as a mask to form an electric circuit pattern on the first metal layer, and forming a heat sink pattern on the second metal layer. And, copper is used as the first metal layer, and aluminum is used as the second metal layer.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32715(2004.05.13)호는 방열부재를 갖는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과 그 인쇄회로기판을 이용한 반도체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인쇄회로기판(80)은 합금패널(10)상에 다수의 회로패턴층을 형성한다. 상기 회로패턴층과 합금패널(10)은 비어홀(36)을 통해 전기적, 열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합금패널(10)의 일면에 부착되는 히트싱크패널(75) 상에는 칩(100)이 직접 안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회로패턴층과 합금패널(10)을 관통하여서 캐비티(82)가 형성된다. 상기 캐비티(82)의 일면을 상기 히트싱크패널(75)이 형성하고 이에 칩(100)이 안착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그라운드층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어 인쇄회로기판(80)의 전체 높이를 줄일 수 있고, 캐비티(82)에 칩(100)을 안착시키므로 패키지의 전체 높이를 낮출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히트싱크패널(75)을 부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캐비티(82)를 형성하므로 제조과정이 보다 용이해지고 캐비티(82)를 보다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432715 (2004.05.13) relates to a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a heat dissipation member,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a semiconductor package using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 printed circuit board 80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plurality of circuit pattern layers o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는 방열 패드의 표면적을 증가시켜 인쇄회로기판에서 발생되는 열의 발산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용 방열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t dissipation device for a printed circuit board that can increase the dissipation of heat generated from the printed circuit board by increasing the surface area of the heat radiation pad coupl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는 방열 패드의 표면에 굴곡을 포함하도록 제조하여 열이 발산되는 표면적을 증가시켜 방열의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용 방열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t dissipation device for a printed circuit board that can be manufactured to include a bend on the surface of the heat dissipation pad coupl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to increase the heat dissipation surface to increase the effect of heat dissipation. .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는 방열 패드를 구리와 알루미늄 등의 합금으로 제조하여 열전도도를 증가시키고 가격 경쟁력 또한 증가시킬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용 방열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t dissipation device for a printed circuit board that can increase the thermal conductivity and increase the cost competitiveness by manufacturing a heat dissipation pad coupled to a printed circuit board made of an alloy such as copper and aluminum.
실시예들 중에서, 인쇄회로기판용 방열장치는 대각선으로 배치된 제1 및 제2 타공영역들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1 타공영역에 배치된 히트 소스, 상기 제2 타공영역에 배치된 히트 싱크 및 상호 비대칭적인 제1 및 제2 히트 전달면들을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후면에서 수직으로 결합하도록 타발 형성되고, 상기 제1 히트 전달면의 말단 부위에서 상기 히트 소스를 결합하며, 상기 제2 히트 전달면의 말단 부위에서 상기 히트 싱크를 결합한 방열 패드를 포함한다.In one or more embodiments, a heat dissipation device for a printed circuit board may include a printed circuit board including first and second perforated regions disposed diagonally, a heat source disposed in the first perforated region, and a heat disposed in the second perforated region. A sink formed to vertically couple the sink and the mutually asymmetrical first and second heat transfer surfaces at the rea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 heat source at the distal end of the first heat transfer surface, and the second heat And a heat dissipation pad coupled to the heat sink at an end portion of the transfer surface.
방열 패드는 상기 제1 및 제2 히트 전달면들 사이에 배치되고 콘벡스 폴리곤(convex polygon)을 형성하는 히트 연결면을 포함할 수 있다.The heat dissipation pad may include a heat connection surface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eat transfer surfaces and forming a convex polygon.
히트 연결면은 상기 제1 및 제2 히트 전달면들의 외곽선들 각각에서 가상 연장되고 상기 콘벡스 폴리곤의 꼭지점에 해당하는 접점을 중심으로 대칭적인 펜타곤(pentagon)을 형성할 수 있다.The heat connection surface may form a symmetrical pentagon around a contact point corresponding to a vertex of the convex polygon and virtually extending from each of the outlines of the first and second heat transfer surfaces.
제1 및 제2 히트 전달면들은 상호 비-정수 배만큼의 길이차를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heat transfer surfaces may form a length difference that is non-integer times mutually.
방열 패드는 동박으로 제조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납땜으로 부착될 수 있다.The heat dissipation pad may be made of copper foil and attached by soldering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방열 패드는 상기 히트 소스 및 상기 히트 싱크 각각에 납땜하여 부착될 수 있다.The heat dissipation pad may be attached by soldering to each of the heat source and the heat sink.
방열 패드는 일정한 크기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The heat dissipation pad may be formed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방열 패드는 굴곡진 표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heat dissipation pad may be formed with a curved surface.
방열 패드는 구리와 알루미늄으로 구성되며, 7 : 3 ~ 6 : 4 의 중량비를 가질 수 있다.The heat dissipation pad may be composed of copper and aluminum, and may have a weight ratio of 7: 3 to 6: 4.
방열 패드는 구리와 알루미늄으로 구성되며, 7.4 : 2.6 ~ 6.8 : 3.2 의 중량비를 가질 수 있다.The heat dissipation pad is composed of copper and aluminum, and may have a weight ratio of 7.4: 2.6 to 6.8: 3.2.
방열 패드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의 관계에서 그 사이에 금속 배선을 통해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The heat dissipation pads may not be contacted through the metal wires therebetween in relation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히트 싱크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후면을 향해 개구된 부분 오프닝에 매립될 수 있다.The heat sink may be embedded in a partial opening opened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히트 싱크는 구리, 알루미늄 및 마그네슘으로 구성되며, 0.4 : 0.3 : 0.3 의 중량비를 가질 수 있다.The heat sink is composed of copper, aluminum and magnesium, and may have a weight ratio of 0.4: 0.3: 0.3.
실시예들 중에서, 인쇄회로기판용 방열장치의 제조방법은 (a) 대각선으로 배치된 제1 및 제2 타공영역들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을 배치하는 단계, (b) 제1 및 제2 히트 전달면들과 상기 제1 및 제2 히트 전달면들 사이에 콘벡스 폴리곤으로 형성된 히트 연결면을 포함하는 동박의 방열 패드를 타발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1 타공영역에 배치된 히트 소스 및 상기 제2 타공영역에 배치된 히트 싱크와 상기 방열 패드를 납땜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후면에서 수직으로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mong the embodiment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eat dissipation device for a printed circuit board includes (a) arranging a printed circuit board including first and second perforation regions disposed diagonally, (b) transferring first and second heats; Forming a heat dissipation pad of copper foil including a heat connection surface formed of convex polygon between the surfaces and the first and second heat transfer surfaces; and (c) a heat source disposed in the first perforated region; And soldering the heat sink disposed in the second perforation area and the heat dissipation pad to vertically couple the rea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disclosed technique can have the following effects. However, since a specific embodiment does not mean to include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or only the following effect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is limited by thi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용 방열장치는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는 방열 패드의 표면적을 증가시켜 인쇄회로기판에서 발생되는 열의 발산을 증가시킬 수 있다.The heat dissipation device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rease the surface area of the heat radiation pad coupl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reby increasing the dissipation of heat generated from the printed circuit boar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용 방열장치는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는 방열 패드의 표면에 굴곡을 포함하도록 제조하여 열이 발산되는 표면적을 증가시켜 방열의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The heat dissipation device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nufactured to include a bend on the surface of the heat radiating pad coupl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to increase the surface area where heat is dissipated, thereby increasing the effect of heat dissip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용 방열장치는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는 방열 패드를 구리와 알루미늄 등의 합금으로 제조하여 열전도도를 증가시키고 가격 경쟁력 또한 증가시킬 수 있다.In the heat dissipation device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eat dissipation pad coupled to a printed circuit board may be made of an alloy such as copper and aluminum to increase thermal conductivity and increase price competitivenes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용 방열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인쇄회로기판에 부착되는 방열 패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용 방열장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heat radiation device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eat radiation pad attach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of FIG. 1.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method of a heat dissipation device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s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may have various form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the objects or effects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r only such effec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limited thereby.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intend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other components in between, although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neighboring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refer to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feature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be present and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otherwise defined. Generally, the terms defined in the dictionary used are to be interpreted to coincide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clear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용 방열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heat radiation device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인쇄회로기판용 방열장치(10)는 인쇄회로기판(100) 및 방열 패드(200)를 포함하고, 인쇄회로기판(100)은 적어도 하나의 타공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고, 방열 패드(200)와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일 실시예에서, 인쇄회로기판(100)은 여러 종류의 많은 부품을 절연체로 된 평판 위에 밀집탑재하고 각 부품 간을 연결하는 회로를 절연체 평판의 표면에 밀집 단축하여 고정시킨 회로기판이다. 절연판의 한쪽면에 구리 등의 박판을 부착시킨 다음 회로의 배선패턴에 따라 식각(선상의 회로만 남기고 부식시켜 제거)하여 필요한 회로를 구성하고 부품들을 부착 탑재시키기 위한 구멍을 뚫어 만든다.In one embodiment, the printed
일 실시예에서, 인쇄회로기판(100)은 폴리이미드(Polyimide, PI) 절연 필름 위에 동박을 붙인 연성인쇄회로기판으로 제품 사이즈를 최소화하여 휴대폰과 같은 고집적 슬림화 제품에 적용될 수 있다.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flexible PCB)은 아주 얇은 두께를 갖는 절연 필름 위에 동박을 붙인 회로기판으로, 두께가 얇고 구부러지는 유연성이 좋아 휴대폰, 캠코더, PC 및 디지털 카메라 등 전자부품의 핵심기판으로 사용되고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printed
PC의 성능향상, 스마트폰/태블릿 등이 보급됨에 따라 디지털기기의 소형화 및 슬림화가 급속하게 진행되면서 회로용 소자의 고집적화가 증가되고 있다. 고성능 소자에 의해 발생된 열이 전자기기 내부에 가득 차면 전자기기로부터 발열, 발화 및 디바이스의 동작 스피드가 저하되며 동작불량 등이 발생하게 된다. 그에 따라 인쇄회로기판(100)에서 발생되는 발열에 대한 대책으로, 히트 싱크 또는 열확산을 높이는 부재를 설치하거나 기판이나 인쇄회로기판(100)에 적층되는 물질로 방열성이 높은 재료를 사용하고 있다.As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PCs and the spread of smart phones and tablets have been spreading, the miniaturization and slimming of digital devices are rapidly progressing, and the high integration of circuit elements is increasing. When the heat generated by the high-performance device is filled inside the electronic device, heat generation, ignition from the electronic device, the operation speed of the device is lowered, and a malfunction occurs. Accordingly, as a countermeasure against heat generation generated in the printed
일 실시예에서, 인쇄회로기판(100)은 대각선으로 배치된 제1 및 제2 타공영역들(110, 120)을 포함하고, 제1 타공영역(110)은 히트 소스(115)와 연결되고, 제2 타공영역(120)은 히트 싱크(125)와 연결된다. 여기에서, 히트 소스(115)는 인쇄회로기판(100)에서 주로 열이 발생되는 지점에 해당할 수 있고, 히트 싱크(125)는 발생한 열을 방출할 수 있는 지점에 해당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inted
일 실시예에서, 방열 패드(200)는 상호 비대칭적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 히트 전달면들(210, 220)과 제1 및 제2 히트 전달면들(210, 220) 사이에 배치된 히트 연결면(230)을 포함할 수 있다. 방열 패드(200)는 제1 히트 전달면(210)의 말단 부위에서 히트 소스(115)와 결합할 수 있고, 제2 히트 전달면(220)의 말단 부위에서 히트 싱크(125)와 결합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도 2는 도 1에 있는 인쇄회로기판에 부착되는 방열 패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a는 방열 패드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b는 인쇄회로기판에 부착된 방열 패드의 단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eat radiation pad attach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of FIG. 1. 2A is a view for explaining a heat radiation pad, and FIG. 2B is a view for explaining a cross section of the heat radiation pad attached to a printed circuit board.
도 2를 참조하면, 방열 패드(200)는 상호 비대칭적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 히트 전달면들(210, 220)과 제1 및 제2 히트 전달면들(210, 220) 사이에 배치된 히트 연결면(23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일 실시예에서, 방열 패드(200)는 상호 비대칭적인 제1 및 제2 히트 전달면(210, 220)과 제1 및 제2 히트 전달면들(210, 220) 사이에 배치된 히트 연결면(230)의 형태로 타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타발(Blanking)은 금속 가공법 중 하나로, 평판에 특정 형상으로 구멍을 내어 잘라내는 가공법이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히트 연결면(230)은 콘벡스 폴리콘(convex polygon)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콘벡스 폴리곤은 볼록 다각형에 해당하는 것으로, 각각의 내각이 180도보다 작으며, 다각형의 어느 변을 연장하여도 그 연장된 선이 다각형의 내부를 지나지 않는다. 히트 연결면(230)은 제1 및 제2 히트 전달면들(210, 220) 사이에 배치되고, 설계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나, 히트 소스(115)로부터 발생된 열을 발산시키기 위해 최대 표면적을 갖도록 특정 곡률로 굴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히트 연결면(230)은 제1 및 제2 히트 전달면들(210, 220)의 외곽선들 각각에서 가상 연장되는 선들의 교차되는 지점을 중심으로 대칭을 형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히트 연결면(230)은 콘벡스 폴리곤의 꼭지점에 해당하는 접점을 중심으로 대칭적인 펜타곤(pentagon)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히트 연결면(230)의 꼭지점에 해당하는 접점은 제1 및 제2 히트 전달면들(210, 220)의 외곽선들 각각에서 연장되는 선들이 수직으로 교차되는 점에 해당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히트 연결면(230)은 대칭적인 펜타곤(pentagon)으로 형성되지 않고, 제1 및 제2 히트 전달면들(210, 220)의 외곽선들 각각에서 연장되는 선들이 수직으로 교차되는 점에 대향하는 변에 해당하는 대변(opposite side)의 형상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트 연결면(230)은 제1 및 제2 히트 전달면들(210, 220)의 외곽선들 각각에서 연장되는 선들이 수직으로 교차되는 점에 대향하는 변에 해당하는 대변(opposite side)의 기울어짐 정도에 따라 그 형상과 면적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고, 히트 연결면(230)이 대칭적인 펜타곤의 형상일 경우에 인쇄회로기판(100)의 방열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히트 전달면들(210, 220)은 상호 비-정수만큼의 길이차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히트 전달면(210)은 말단 부위에서 히트 소스(115)와 결합될 수 있고, 제2 히트 전달면(220)은 말단 부위에서 히트 싱크(125)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히트 전달면(210)의 길이는 제2 히트 전달면(220)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인쇄회로기판(100)에서 발생되는 열을 보다 넓게 전달하여 방열의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heat transfer surfaces 210, 220 may form a length difference of each other non-integer. The first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히트 전달면들(210, 220)은 4.1 : 1.9 내지 3.7 : 2.3의 길이차를 형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히트 전달면들(210, 220)의 길이차가 3.8 : 2.1 또는 3.9 : 2.2 일 경우에 인쇄회로기판(100)에서 발생되는 열을 보다 넓게 전달할 수 있어 방열의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heat transfer surfaces 210 and 220 may form a length difference of 4.1: 1.9 to 3.7: 2.3. More specifically,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heat transfer surfaces 210 and 220 is 3.8: 2.1 or 3.9: 2.2, heat generated from the printed
일 실시예에서, 방열 패드(200)는 동박으로 제조되고, 인쇄회로기판(100)에 납땜으로 부착될 수 있다. 방열 패드(200)는 인쇄회로기판(100)의 제1 타공영역(110)에 배치되는 히트 소스(115) 및 제2 타공영역(120)에 배치되는 히트 싱크(125) 각각에 납땜하여 부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방열 패드(200)는 일정한 크기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굴곡진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방열 패드(200)는 일정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 표면에 굴곡을 형성하여 인쇄회로기판(100)에서 발생되는 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발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열 패드(200)는 표면에 v형 또는 s형 등의 굴곡을 포함할 수 있고, 설계에 따라 굴곡되는 형상을 다르게 제조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방열 패드(200)는 구리(Cu)와 알루미늄(Al)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구리와 알루미늄은 7 : 3 내지 6 : 4의 중량비를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구리와 알루미늄은 각각 상온(20℃)에서 각각 320(W/m·K) 및 196(W/m·K)의 열전도율을 가지고, 은 또는 금을 제외한 금속 재료 중에서 가격도 저렴하여 열전도 물질로 널리 사용된다.In one embodiment, the
표 1은 구리와 알루미늄의 중량비에 따른 열전도도를 나타낸 것이다.Table 1 shows the thermal conductivity according to the weight ratio of copper and aluminum.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방열 패드(200)는 구리와 알루미늄이 7 : 3 내지 6 : 4의 중량비를 가지도록 포함되어 제조될 경우 열전도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으며, 이 범위에서 방열 패드(200)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Table 1, the
일 실시예에서, 방열 패드(200)는 구리와 알루미늄이 7.4 : 2.6 ~ 6.8 : 3.2 의 중량비를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방열 패드(200)는 구리와 알루미늄이 7 : 3 내지 6 : 4의 중량비를 가지도록 포함되어 제조될 경우에 열전도도가 가장 높고, 특히, 구리와 알루미늄이 7.4 : 2.6 ~ 6.8 : 3.2 의 중량비를 가지도록 제조되었을 경우 열전도도가 가장 높고, 최대 5℃ 정도 인쇄회로기판(100)의 온도가 감소되어 방열 효과 또한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열 패드(200)는 구리와 알루미늄이 7.4 : 2.6 ~ 6.8 : 3.2 의 중량비를 갖는 범위에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방열 패드(200)는 구리, 알루미늄 및 은(Ag)을 포함한 합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은(Ag)은 각각 상온(20℃)에서 360(W/m·K) 의 열전도율을 가지며 금속 물질 중에서 열전도율이 가장 높은 물질에 해당한다. 방열 패드(200)는 제1 히트 전달면(210), 히트 연결면(230) 및 제2 히트 전달면(220)의 순으로 전체 방열 패드(200)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은 조성물의 함량을 다르게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히트 전달면(210)은 전체 방열 패드(200)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 7 중량부의 은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고, 히트 연결면(230)은 전체 방열 패드(200) 100 중량부에 대하여 4 ~ 6 중량부의 은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히트 전달면(220)은 전체 방열 패드(200)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 5 중량부의 은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히트 소스(115)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제1 히트 전달면(210)의 은 조성물의 함량이 가장 높아 발생되는 열의 전도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방열 패드(200)는 인쇄회로기판(100)과의 관계에서 그 사이에 금속 배선을 통해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열 패드(200)는 인쇄회로기판(100)의 히트 소스(115)에 해당하는 영역과 인쇄회로기판(100)의 히트 싱크(125)에 해당하는 영역에 납땜을 통해서 부착될 수 있고, 방열 패드(200)와 인쇄회로기판(100) 사이에는 금속 배선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용 방열장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eat dissipation device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대각선으로 배치된 제1 및 제2 타공영역들(110, 120)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100)를 배치할 수 있다(단계 S310).The printed
일 실시예에서, 히트 싱크(125)는 인쇄회로기판(100)의 후면을 향해 개구된 부분 오프닝에 매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히트 싱크(125)는 인쇄회로기판(100)의 후면에 일정 깊이로 파인 홈에 해당할 수 있고, 방열 패드(200)의 제2 히트 전달면(220)과 연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히트 싱크(125)는 구리(Cu), 알루미늄(Al) 및 마그네슘(Mg)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구리, 알루미늄 및 마그네슘이 0.4 : 0.3 : 0.3 의 중량비를 가지도록 제조될 수 있다. 히트 싱크(125)는 방열 패드(200)의 제2 히트 전달면(220)과 연결되어 인쇄회로기판(100)에서 발생되는 열을 발산하도록 할 수 있고, 설계에 따라 구리, 알루미늄 및 마그네슘이 아닌 금(Au) 또는 은(Ag)을 포함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제1 및 제2 히트 전달면들(210, 220)과 제1 및 제2 히트 전달면들(210, 220) 사이에 콘벡스 폴리곤으로 형성된 히트 연결면(230)을 포함하는 동박의 방열 패드(200)를 타발 형성할 수 있다(단계 S320).A heat dissipation pad of copper foil including a
일 실시예에서, 방열 패드(200)는 구리, 알루미늄 또는 은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방열 패드(200)는 전체 방열 패드(200)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은 조성물의 함량을 다르게 포함하는 2개의 동박으로 제조된 판형에 설계에 따라 정해진 형태로 타발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열 패드(200)의 판형 중 하나의 동박 판형은 전체 방열 패드(200)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7 중량부의 은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고, 다른 동박 판형은 전체 방열 패드(200)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 5 중량부의 은 조성물을 포함하도록 제조하여 2개의 동박 판형을 결합하여 하나의 판형을 제조하고, 설계에 따라 정해진 형상으로 방열 패드(200)를 타발 형성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타발 형성되는 방열 패드(200)는 제1 히트 전달면(210), 히트 연결면(230) 및 제2 히트 전달면(220)의 순으로 전체 방열 패드(200)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은 조성물의 함량을 다르게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제1 타공영역(110)에 배치된 히트 소스(115) 및 제2 타공영역(120)에 배치된 히트 싱크(125)와 방열 패드(200)를 납땜하여 인쇄회로기판(100)의 후면에서 수직으로 결합할 수 있다(단계 S330).The
일 실시예에서, 타발 형성된 동박의 방열 패드(200)는 인쇄회로기판(100)의 제1 타공영역(110)에 배치되는 히트 소스(115) 및 제2 타공영역(120)에 배치되는 히트 싱크(125) 각각에 납땜하여 인쇄회로기판(100)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heat-dissipating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that you can.
10: 인쇄회로기판용 방열장치
100: 인쇄회로기판 110: 제1 타공영역
120: 제2 타공영역 115: 히트 소스
125: 히트 싱크
200: 방열 패드 210: 제1 히트 전달면
220: 제2 히트 전달면 230: 히트 연결면10: radiator for printed circuit board
100: printed circuit board 110: first perforation area
120: second perforation area 115: heat source
125: heatsink
200: heat dissipation pad 210: first heat transfer surface
220: second heat transfer surface 230: heat connection surface
Claims (14)
상기 제1 타공영역에 배치된 히트 소스;
상기 제2 타공영역에 배치된 히트 싱크; 및
상호 비대칭적인 제1 및 제2 히트 전달면들을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후면에서 수직으로 결합하도록 타발 형성되고, 상기 제1 히트 전달면의 말단 부위에서 상기 히트 소스를 결합하며, 상기 제2 히트 전달면의 말단 부위에서 상기 히트 싱크를 결합한 방열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 패드는
상기 제1 및 제2 히트 전달면들 사이에 배치되고 콘벡스 폴리곤(convex polygon)을 형성하는 히트 연결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용 방열장치.
A printed circuit board including first and second perforation regions disposed diagonally;
A heat source disposed in the first perforation area;
A heat sink disposed in the second perforation area; And
The first and second heat transfer surfaces are asymmetrically formed so as to be vertically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heat source is coupled to an end portion of the first heat transfer surface. It includes a heat dissipation pad coupled to the heat sink at the end portion of,
The heat dissipation pad
And a heat connection surface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eat transfer surfaces and forming a convex polygon.
상기 제1 및 제2 히트 전달면들의 외곽선들 각각에서 가상 연장되고 상기 콘벡스 폴리곤의 꼭지점에 해당하는 접점을 중심으로 대칭적인 펜타곤(pentagon)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용 방열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eat connecting surface
And a pentagon symmetrically extending around each of the outlines of the first and second heat transfer surfaces and symmetrically about a contact point corresponding to a vertex of the convex polygon.
상호 비-정수 배만큼의 길이차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용 방열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heat transfer surfaces are
A heat dissipation device for a printed circuit board, characterized by forming a length difference by a non-integer multiple of each other.
동박으로 제조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납땜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용 방열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eat radiation pad
A heat dissipation device for a printed circuit board, which is made of copper foil and attached by soldering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상기 히트 소스 및 상기 히트 싱크 각각에 납땜하여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용 방열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heat radiation pad
And a heat sink attached to each of the heat source and the heat sink.
일정한 크기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용 방열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heat radiation pad
Heat radiation device for a printed circuit board,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thickness of a predetermined size.
굴곡진 표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용 방열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heat radiation pad
Heat dissipation device for a printed circuit board,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curved surface.
구리와 알루미늄으로 구성되며, 7 : 3 ~ 6 : 4 의 중량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용 방열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heat radiation pad
A heat dissipation device for a printed circuit board, comprising copper and aluminum, and having a weight ratio of 7: 3 to 6: 4.
상기 인쇄회로기판과의 관계에서 그 사이에 금속 배선을 통해 접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용 방열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eat radiation pad
And a heat dissipation device for a printed circuit board, wherein the heat dissipation device is not in contact with the printed circuit board through a metal wiring therebetween.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후면을 향해 개구된 부분 오프닝에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용 방열장치.
The heat sink of claim 1, wherein the heat sink is
Heat dissipation device for a printed circuit bo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buried in the partial opening opening toward the rear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구리, 알루미늄 및 마그네슘으로 구성되며, 0.4 : 0.3 : 0.3 의 중량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용 방열장치.
13. The heat sink of claim 12, wherein the heat sink is
A heat dissipation device for a printed circuit board, comprising: copper, aluminum, and magnesium, and having a weight ratio of 0.4: 0.3: 0.3.
(b) 제1 및 제2 히트 전달면들과 상기 제1 및 제2 히트 전달면들 사이에 콘벡스 폴리곤으로 형성된 히트 연결면을 포함하는 동박의 방열 패드를 타발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1 타공영역에 배치된 히트 소스 및 상기 제2 타공영역에 배치된 히트 싱크와 상기 방열 패드를 납땜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후면에서 수직으로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용 방열장치의 제조방법.
(a) disposing a printed circuit board including first and second perforation regions disposed diagonally;
(b) forming a heat dissipation pad of copper foil including a heat connection surface formed of a convex polyg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eat transfer surfaces and the first and second heat transfer surfaces; And
(c) soldering the heat source disposed in the first perforated area, the heat sink disposed in the second perforated area, and the heat dissipation pad, and vertically coupling the heat sink to the rea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Method of manufacturing a heat radiating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7678A KR102040493B1 (en) | 2017-05-31 | 2017-05-31 | Heat sinking apparatus for printed circuit boar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7678A KR102040493B1 (en) | 2017-05-31 | 2017-05-31 | Heat sinking apparatus for printed circuit boar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31094A KR20180131094A (en) | 2018-12-10 |
KR102040493B1 true KR102040493B1 (en) | 2019-11-05 |
Family
ID=64670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67678A Active KR102040493B1 (en) | 2017-05-31 | 2017-05-31 | Heat sinking apparatus for printed circuit boar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40493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60608A (en) * | 1999-12-02 | 2001-06-12 | Sharp Corp | Heat dissipating structure of heating part in electronic equipment unit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32715B1 (en) | 2001-07-18 | 2004-05-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anufacturing method of PCB, PCB and package thereby |
KR101263425B1 (en) | 2011-12-23 | 2013-05-10 | 김형수 | Printed circuit board with heat sin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KR102107038B1 (en) * | 2012-12-11 | 2020-05-07 | 삼성전기주식회사 | Chip embedded PCB(printed circuit board) and semiconductor package using the PCB,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CB |
-
2017
- 2017-05-31 KR KR1020170067678A patent/KR10204049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60608A (en) * | 1999-12-02 | 2001-06-12 | Sharp Corp | Heat dissipating structure of heating part in electronic equipment uni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31094A (en) | 2018-12-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463205B2 (en) | Flexible circuit board | |
KR100188620B1 (en) | Electronic package | |
EP3310140B1 (en) | Mounting assembly with a heatsink | |
JPH0786717A (en) | Printed wiring board structure | |
US20130027896A1 (en) | Electronic component embedded printed circuit boar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JP5173758B2 (en) |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package | |
JP2008251671A (en) | Heat dissipation boar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component module | |
JP5577694B2 (en) | Built-in module | |
JP2006270065A (en) | Circuit device | |
JP2005183559A (en) | Printed wiring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US10741465B2 (en) | Circuit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JP2007273835A (en) | Metal base board and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structure equipped therewith | |
KR102040493B1 (en) | Heat sinking apparatus for printed circuit boar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JP6686467B2 (en) | Electronic component heat dissipation structure | |
JP2007188945A (en) | Semiconductor device and electronic component module using same | |
JP2019140321A (en) |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substrate and electronic device | |
JP2005259860A (en) | Electronic circuit device | |
JPH065994A (en) | Multilayer printed wiring board | |
JP2019029622A (en) | Heat dissipation substr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heat dissipation substrate | |
JPH07321471A (en) | Multilayer board | |
JP2006135202A (en) | Heat radiating structure for electronic appliance | |
JP2009129960A (en) | Semiconductor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US9508639B2 (en) | Package-in-substrate, semiconductor device and module | |
JP2001244667A (en) | Electronic circuit device | |
KR102536256B1 (en) | Embedded printed circuit boar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4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0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10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