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0330B1 - Wireless Power Relay Apparatus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 Google Patents
Wireless Power Relay Apparatus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40330B1 KR102040330B1 KR1020120140794A KR20120140794A KR102040330B1 KR 102040330 B1 KR102040330 B1 KR 102040330B1 KR 1020120140794 A KR1020120140794 A KR 1020120140794A KR 20120140794 A KR20120140794 A KR 20120140794A KR 102040330 B1 KR102040330 B1 KR 1020403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lay
- wireless power
- coils
- coil
- relay coi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5000008694 Humulus lupul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646 magnetic resonance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5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additional energy repeaters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4—Inductive coupling
- H04B5/26—Inductive coupling using coils
- H04B5/263—Multiple coils at either sid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무선 전력 중계 장치 및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이 제공된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서 생성된 자기장을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중계하는 무선 전력 중계 장치는 자기장을 포집하여 중계하는 복수 개의 중계 코일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중계 코일 중 적어도 하나의 중계 코일은 위상 가변 중계 코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 wireless power relay device and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re provided. The wireless power relay apparatus for relaying a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includes a plurality of relay coils for capturing and relaying magnetic fields, wherein at least one relay coil of the plurality of relay coils is a phase variable rela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il.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선 전력 중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power relay apparatus and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using the same.
무선 전력 전송이란 종래의 유선으로 된 전력선 대신 무선으로 가전기기나 전기자동차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술을 말하며, 전원 케이블을 이용하여 전원이 필요한 장치를 전원 콘센트에 연결하지 않고도 무선으로 충전이 가능하다는 장점 때문에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Wireless power transfer refers to a technology for supplying power to home appliances or electric vehicles wirelessly instead of wired power lines, which can be charged wirelessly without using a power cable to connect a device that requires power to a power outlet. Therefore, related research is being actively conducted.
무선 전력 전송 기술에는 크게 자기유도방식, 자기공진방식 및 마이크로파 방식이 있다. 마이크로파 방식은 마이크로파와 같은 초고주파의 전자파를 안테나를 통해 방사시켜서 전력을 전송하는 기술로서, 장거리 무선전력전송이 가능하지만 전자파에 의한 안전문제가 고려되어야 한다. 자기유도방식은 근접한 코일 간의 자기유도결합을 이용한 기술로서, 2개의 송/수전 코일 간의 거리는 수 cm 이내이며 두 코일의 배열 조건에 의해서 전송 효율이 크게 좌우된다. 자기공진방식은 공진 결합(resonant coupling)에 의해 서로 떨어진 두 공진기 간에 비방사형 자기장 에너지가 전달되는 기술로서, 송/수전 코일 간의 거리가 1~2m 정도에서 무선전력전송이 가능하며, 자기유도방식에 비해 비교적 두 코일의 정렬이 유연하고, 중계 코일을 이용하여 무선충전 가능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echnology is largely classified into magnetic induction, magnetic resonance and microwave. The microwave method is a technology for transmitting power by radiating microwaves such as microwaves through an antenna, and long distanc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is possible, but safety issues due to electromagnetic waves should be considered. Magnetic induction is a technique using magnetic induction coupling between adjacent coils. The distance between two transmitting / receiving coils is within several cm, and the transmission efficiency is largely determined by the arrangement condition of the two coils. The magnetic resonance method is a technology in which non-radiative magnetic field energy is transmitted between two resonators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resonant coupling,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is possible at a distance of 1 to 2 m between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ils. In comparison, the two coils are more flexible in alignment, and the wireless charging range can be extended by using a relay coil.
하지만, 중계 코일을 이용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에서 생성된 자기장을 무선 전력 수신기로 중계하는 경우에, 코일의 K값, Q값의 특징에 의해 일부 중계 코일에서 플럭스 합(flux sum)이 작아져서 충전이 제대로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relaying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using the relay coil, the flux sum is reduced in some relay coil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il's K and Q values. Sometimes it doesn't work.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12-0040779호의 발명은, 자기 공명 방식으로 전원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 코일 및 복수의 중계 코일을 구비하고, 상기 중계 코일의 권선수가 상기 베이스 코일의 권선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In this regard, the invention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2012-0040779, relates to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power signal in a magnetic resonance method, comprising a base coil and a plurality of relay coils, the number of turns of the relay coil Many configurations are disclosed relative to the number of turns of the base coil.
하지만, 한국공개특허 제2012-0040779호의 발명은 동일한 중계 코일을 복수 개 사용하는 구조로서, 중계 코일 시스템 상의 임의의 위치에서 전력 전송이 되지 않거나 효율이 급격히 떨어지는 문제점 및 이의 해결 방법을 인지하고 있지 않다.However, the invention of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2-0040779 is a structure using a plurality of identical relay coils, and does not recognize a problem and a solution thereof in which power is not transmitted or drops rapidly in an arbitrary position on the relay coil system. .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118471호의 발명은 자기유도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에 관한 것으로서, 송수신 코일을 2종류의 도전성 라인으로 구성한 것을 언급하고 있다.In addition, the invention of Korean Patent No. 1118471 relates to wireless power transmission of a magnetic induction method, and refers to the configuration of a transmission / reception coil composed of two kinds of conductive lines.
하지만, 한국등록특허 제1118471호의 발명의 송수신 코일은 중계 코일이 아니며, 중계 코일 시스템 상의 임의의 위치에서 전력 전송이 되지 않거나 효율이 급격히 떨어지는 문제점 및 이의 해결 방법을 인지하고 있지 않다.However,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il of the invention of Korean Patent No. 1118471 is not a relay coil, and does not recognize a problem in which power is not transmitted or a sudden drop in efficiency at any position on the relay coil system and a solution thereof.
또한, 일본공개특허 제2012-075304호의 발명은 자기 공진형 무선 전력 전송의 중계 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중계 코일이 면방향으로 배열된 구조를 개시하고 있으며, 중계 효율의 향상을 주요한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vention of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2-075304 relates to a relay element of a self-resonant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disclose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relay coils are arranged in a plane direction, and its main purpose is to improve relay efficiency. .
하지만, 일본공개특허 제2012-075304호의 발명은 중계 코일 시스템 상의 임의의 위치에서 전력 전송이 되지 않거나 효율이 급격히 떨어지는 문제점 및 이의 해결 방법을 인지하고 있지 않다.However, the invention of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2-075304 does not recognize a problem and a solution thereof in which power transmission is not performed at any position on the relay coil system or the efficiency drops rapidly.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중계 코일 중에서 저효율 전송 구간에 위상 가변 중계 코일을 배치하여 해당 구간에서의 전력 전송 효율의 급격한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무선 전력 중계 장치 및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less power relay device that can prevent a sudden drop in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in the interval by arranging a phase-variable relay coil in a low efficiency transmission section of the plurality of relay coils; Provides a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서 생성된 자기장을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중계하는 무선 전력 중계 장치는, 자기장을 포집하여 중계하는 복수 개의 중계 코일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중계 코일 중 적어도 하나의 중계 코일은 위상 가변 중계 코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wireless power relay device for relaying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includes a plurality of relay coils to collect and relay the magnetic field, At least one relay coil of the plurality of relay coils may be a phase variable relay coil.
여기서, 상기 위상 가변 중계 코일은 저효율 전송 구간에 위치할 수 있다.Here, the phase variable relay coil may be located in a low efficiency transmission section.
여기서, 다수의 중계 코일이 일렬로 배치되는 중계 장치인 경우에, 상기 저효율 전송 구간은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부터 가장 멀리 배치된 중계 코일의 직전에 배치된 중계 코일이 위치하는 구간일 수 있다.Here, in the case of a relay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relay coils are arranged in a line, the low efficiency transmission section may be a section in which a relay coil disposed immediately before the relay coil disposed farthest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여기서, 다수의 중계 코일이 평면 상에 배치되는 중계 장치인 경우에, 상기 저효율 전송 구간은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서 가장 가까운 중계 코일로부터 홀수 홉(hop) 만큼 이격되어 배치된 중계 코일이 위치하는 구간일 수 있다.Here, when a plurality of relay coils are a relay device disposed on a plane, the low efficiency transmission section is a section in which the relay coils are arranged spaced apart by an odd hop from the relay coil closest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Can be.
여기서, 상기 위상 가변 중계 코일은 다른 섹터의 중계 코일보다 큰 결합 계수(K)를 가질 수 있다.Here, the phase variable relay coil may have a coupling coefficient K greater than that of the relay coils in other sectors.
여기서, 상기 위상 가변 중계 코일은 복수의 공진 코일로 구성될 수 있다.
Here, the phase variable relay coil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resonant coil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자기장을 통해 전력을 전송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상기 자기장을 포집하여 중계하는 복수 개의 중계 코일로 이루어진 무선 전력 중계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중계 코일 중 적어도 하나의 중계 코일은 위상 가변 중계 코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transmitting power through a magnetic field; And a wireless power relay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relay coils for capturing and relaying the magnetic field, wherein at least one relay coil of the plurality of relay coils is a phase variable relay coil.
여기서, 상기 위상 가변 중계 코일은 저효율 전송 구간에 위치할 수 있다.Here, the phase variable relay coil may be located in a low efficiency transmission section.
여기서, 다수의 중계 코일이 일렬로 배치되는 중계 장치인 경우에, 상기 저효율 전송 구간은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부터 가장 멀리 배치된 중계 코일의 직전에 배치된 중계 코일이 위치하는 구간일 수 있다.Here, in the case of a relay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relay coils are arranged in a line, the low efficiency transmission section may be a section in which a relay coil disposed immediately before the relay coil disposed farthest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여기서, 다수의 중계 코일이 평면 상에 배치되는 중계 장치인 경우에, 상기 저효율 전송 구간은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서 가장 가까운 중계 코일로부터 홀수 홉(hop) 만큼 이격되어 배치된 중계 코일이 위치하는 구간일 수 있다.Here, when a plurality of relay coils are a relay device disposed on a plane, the low efficiency transmission section is a section in which the relay coils are arranged spaced apart by an odd hop from the relay coil closest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Can be.
여기서, 상기 위상 가변 중계 코일은 다른 섹터의 중계 코일보다 큰 결합 계수(K)를 가질 수 있다.Here, the phase variable relay coil may have a coupling coefficient K greater than that of the relay coils in other sectors.
여기서, 상기 위상 가변 중계 코일은 복수의 공진 코일로 구성될 수 있다.
Here, the phase variable relay coil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resonant coil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무선 전력 중계 장치는, 포섭된 자기장을 중계하는 하나 이상의 중계 코일; 및 상기 중계 코일의 사이에 배치되고 다중 코일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위상 가변 중계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위상 가변 중계 코일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In addition, a wireless power re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relay coils for relaying the embedded magnetic field; And one or more phase variable relay coils disposed between the relay coils and configured of multiple coils, wherein the phase variable relay coil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여기서, 상기 위상 가변 중계 코일은 저효율 전송 구간에 위치할 수 있다.Here, the phase variable relay coil may be located in a low efficiency transmission section.
여기서, 다수의 중계 코일이 일렬로 배치되는 중계 장치인 경우에, 상기 저효율 전송 구간은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부터 가장 멀리 배치된 중계 코일의 직전에 배치된 중계 코일이 위치하는 구간일 수 있다.Here, in the case of a relay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relay coils are arranged in a line, the low efficiency transmission section may be a section in which a relay coil disposed immediately before the relay coil disposed farthest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여기서, 다수의 중계 코일이 평면 상에 배치되는 중계 장치인 경우에, 상기 저효율 전송 구간은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서 가장 가까운 중계 코일로부터 홀수 홉(hop) 만큼 이격되어 배치된 중계 코일이 위치하는 구간일 수 있다.Here, when a plurality of relay coils are a relay device disposed on a plane, the low efficiency transmission section is a section in which the relay coils are arranged spaced apart by an odd hop from the relay coil closest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Can be.
여기서, 상기 위상 가변 중계 코일은 다른 섹터의 중계 코일보다 큰 결합 계수(K)를 가질 수 있다.
Here, the phase variable relay coil may have a coupling coefficient K greater than that of the relay coils in other sector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된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Specific detail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configured in different forms, and the present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provide general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복수 개의 중계 코일 중에서 저효율 전송 구간에 위상 가변 중계 코일을 배치하여 해당 구간에서의 전력 전송 효율의 급격한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of the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udden decrease in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in the interval by arranging the phase-variable relay coil in a low efficiency transmission section of the plurality of relay coil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간략한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중계 장치에서 중계 코일의 내부 구성 및 구성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중계 장치에서 위상 가변 중계 코일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1차원으로 배치된 무선 전력 중계 장치를 구비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2차원으로 배치된 무선 전력 중계 장치를 구비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1 is a simplified schematic diagram of a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and a configuration circuit of a relay coil in a wireless power re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phase variable relay coil in a wireless power re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having a wireless power relay device arranged in one dimens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including a wireless power relay device arranged in two dimension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numerals (eg,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description proces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identification symbols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one component is referred to as "connected" or "connected" with another component, the on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n particula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unless there is an opposite substrate, it may be connected or connected via an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본 명세서에서, 무선 전력 수신 장치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장착한 전기/전자 장치이거나 또는 외부의 전기/전자 장치에 연결되어 충전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로서,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Navigation) 등과 같은 이동 가능한 단말일 수 있으며, 또는 벽걸이 TV, 스탠드, 전자 액자, 청소기 등의 전자 기기일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wireless power receiver is an electric /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rechargeable battery or a device connected to an external electric / electronic device to supply charging power, and include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notebook computer ( It may be a mobile terminal such as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navigation device, or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wall-mounted TV, a stand, an electronic frame, a cleaner, or the like. Can b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간략하게 도시하고 있다.1 briefly illustrates a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와 하나 이상의 중계 코일로 된 무선 전력 중계 장치(200)를 포함한다. 무선 전력 중계 장치(200)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로부터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로의 경로 상에 배치되어 자기 공진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로 전력 신호를 중계한다.As shown in FIG. 1,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는 전력 전송을 위해 자기장을 생성하고, 무선 전력 중계 장치(200)는 상기 자기장에 자기 공진되는 다수의 중계 코일을 이용하여 자기장을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로 중계한다.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는 상기 무선 전력 중계 장치(200)에 의해 중계된 자기장에 커플링되어 내부에 저장 또는 소비되는 출력 전력을 생성한다.The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와 무선 전력 중계 장치(200) 및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는 특정 주파수에서의 상호 공진 관계로 구성되고, 인접한 장치 간의 공진 주파수가 동일 또는 근사한 경우에, 둘 간의 송전 효율은 인접한 거리의 제곱에 비례한다.The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는 전력 전송 수단으로서 송전 코일(110)을 구비하며, 외부의 입력 전원(10)을 원하는 주파수의 RF 전력 신호로 변환한 후 이를 상기 송전 코일(110)에 인가하여 송전 코일(110) 주위에 자기장을 발생시킨다.The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는 전력 수신 수단으로서 수전 코일(310)을 구비하며, 상기 송전 코일(110) 또는 인접한 무선 전력 중계 장치(200)의 중계 코일과 특정 주파수에서 공진 상태로 커플링된 수전 코일(310)을 통해 상기 자기장으로부터 RF 전력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된 RF 전력 신호는 직류 전력 출력으로 변환되어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의 구동 전력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배터리 또는 외부의 부하 장치(400)에 공급된다.The
무선 전력 중계 장치(200)는 하나 이상의 중계 코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중계 코일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중계 코일의 직경 및 권선수는 무선 전력 전송의 전송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각각의 중계 코일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권선수로 감긴 코일(210) 및 코일에 병렬 연결되어 공진 및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콘덴서(220)로 구성될 수 있다.Wireless
도 2(b)에는 상기 도 2(a)의 코일(210)과 이의 내부 저항(230) 및 콘덴서의 커패시터(220)를 포함하는 등가 회로가 도시되어 있다. 중계 코일이 동작하는 공진 주파수는 코일(210)의 L값 및 커패시터(220) 의 C값을 조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의 코일(210)의 L값을 측정하고 원하는 공진 주파수를 결정한 후 커패시터(200)의 C 값을 조절하여 공진 주파수를 원하는 주파수로 설정할 수 있다.FIG. 2 (b) shows an equivalent circuit including the
이와 같이, 다수의 중계 코일을 이용하여 무선 전력 중계 장치(200)를 구성하는 경우에, 주변 코일의 영향에 의해 일부의 중계 코일에서 충전 효율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충전 효율이 저하되는 위치를 저효율 전송 구간 또는 중계 홀(hole)이라고 하며, 저효율 전송 구간에서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로 충전을 위한 충분한 전력이 전송되지 않아서 충전이 지연 또는 불가능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wireless
이러한 저효율 전송 구간은 주변의 중계 코일로부터의 영향, 예를 들어, 중계 코일들의 Q값이나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의 주파수 또는 주변 중계 코일의 배치 형태 등의 영향을 받아 일부 중계 코일에서 플럭스(flux)의 합(sum)이 작아짐에 따라 발생될 수 있다.The low efficiency transmission section is affected by flux from the surrounding relay coils, for example, the Q value of the relay coils, the frequency of the
한편, 주변의 둘 이상의 중계 코일로부터 수신되는 자기장들의 서로 다른 위상차에 의해 상쇄 간섭 효과가 발생한다.Meanwhile, an offset interference effect is caused by different phase differences of magnetic fields received from two or more relay coils in the vicinity.
(식 1) Zin ∝ ω2·Min 2 (Wherein 1) Z in ω 2 · α 2 M in
여기서 Min 은 중계 홀이 발생되는 중계 코일과 그 인접한 중계 코일 간의 상호 인덕턴스를 의미한다.Here M in means the mutual inductance between the relay coil in which the relay hole is generated and the adjacent relay coil.
따라서, 중계 홀이 발생되는 저효율 전송 구간의 상호 인덕턴스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저효율 전송 구간의 발생을 제거할 수 있다. 이 경우, 저효율 전송 구간에서의 상호 인덕턴스의 조절은 해당 구간의 중계 코일에 관한 결합 계수 K 를 조절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중계 코일을 위상 가변 중계 코일이라고 한다.Therefore, the generation of the low efficiency transmission section can be eliminated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mutual inductance of the low efficiency transmission section in which the relay hole is generated. In this case, the adjustment of the mutual inductance in the low efficiency transmission section may be implemented by adjusting the coupling coefficient K for the relay coil in the corresponding section. Such a relay coil is called a phase variable relay coil.
도 3에는 이와 같이 인접한 중계 코일과 상이한 결합 계수 K를 가지는 위상 가변 중계 코일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상 가변 중계 코일은 다른 중계 코일과 동일한 코일(210-1)(이하, 외측 코일)에 더하여 내측에 다른 코일(210-2)(이하, 내측 코일)이 추가로 배치되어 있다. 이때, 도 3(a)와 같이 외측 코일(210-1)과 내측 코일(210-2)이 연결되지 않는 별개의 코일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는 도 3(b)와 같이 외측 코일(210-1)과 내측 코일(210-2)이 연결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3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phase variable relay coil having a coupling coefficient K different from the adjacent relay coil in this way. As shown in FIG. 3, the phase variable relay coil further includes the same coil 210-1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outer coil) as another relay coil, and further includes another coil 210-2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inner coil). It is arranged. At this time, the outer coil 210-1 and the inner coil 210-2 as shown in Figure 3 (a) may be implemented in a separate coil shape, or the
위상 가변 중계 코일의 외부 코일(210-1) 및 내부 코일(210-2)은 각각 상이한 결합 계수 K1, K2 를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위상 가변 중계 코일의 전체 결합 계수 net K는 다른 중계 코일의 결합 계수와 상이한 값을 가지게 된다. 여기서, 위상 가변 중계 코일은 이중 코일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중 코일일 필요는 없으며, 셋 이상의 코일이 중첩된 다중 코일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outer coil 210-1 and the inner coil 210-2 of the phase variable relay coil may have different coupling coefficients K 1 and K 2 , respectively, so that the total coupling coefficient net K of the phase variable relay coil is different from the other relay. It will have a value different from the coupling coefficient of the coil. Here, although the phase-variable relay coil has been described as having a dual coil structure, the phase variable relay coil is not necessarily a dual coil, and may be configured as a multi-coil type in which three or more coils are overlapped.
한편, 위상 가변 중계 코일이 배치되는 저효율 전송 구간은 무선 전력 중계 장치(200)의 중계 코일의 배치 형태에 따라 상이한 위치에서 발생될 수 있다.Meanwhile, the low efficiency transmission section in which the phase variable relay coil is disposed may be generated at different position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type of the relay coil of the
도 4에는 복수의 중계 코일이 1차원으로 배치된 경우의 무선 전력 중계 장치(2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중계 장치(200)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와 인접한 구간(200-1)으로부터 순서대로 총 N+1 개의 중계 코일(200-1~ 200-(n+1))이 배치되는 (N+1, 1) 중계 시스템이며, 이 경우,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로부터 가장 멀리 배치된 중계 코일(200-(n+1))의 전단의 중계 코일(200-n)에서 중계 홀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중계 코일(200-(n+1))로부터의 반사파와 중계 코일(200-(n-1))로부터의 자기장에 의한 플럭스 합이 0가 되기 때문이다.4 illustrates a
따라서, 이와 같은 1차원으로 배치된 무선 전력 중계 장치(200)의 경우,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로부터 가장 멀리 배치된 중계 코일의 전단의 중계 코일을 위상 가변 중계 코일로 구현함으로써, 무선 전력 중계 장치(200)에서의 중계 홀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case of the
한편, 도 5에는 복수의 중계 코일이 2차원으로 배치된 경우의 무선 전력 중계 장치(2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중계 장치(200)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와 인접한 구간(200-11)으로부터 2차원의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구조로 배치되는 (M, N) 중계 시스템일 수 있다. 도 5에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4, 4) 구조로 도시되어 있다.Meanwhile, FIG. 5 illustrates a
이 경우, 2차원으로 배치된 중계 코일 각각은 주변의 적어도 둘 이상의 중계 코일과 자기적으로 커플링될 수 있으며, 따라서, 1차원으로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더 많은 구간에서 중계 홀이 발생할 수 있다.In this case, each of the relay coils arranged in two dimensions may be magnetically coupled with at least two relay coils in the vicinity, and thus, the relay holes may be generated in more sections than in the case where the relay coils are arranged in one dimension.
이 경우, 중계 홀이 발생되는 저효율 전송 구간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와 가장 근접한 중계 코일(200-11)을 기준으로 전후 좌우로 이격된 홉(hop) 수가 홀수인 중계 코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경우에는 중계 코일(200-11)로부터의 이격된 홉 수가 1인 중계 코일(200-12, 200-21)과, 이격된 홉 수가 3인 중계 코일(200-14), 200-23, 200-32, 200-41)과, 이격된 홉 수가 5인 중계 코일(200-34, 200-43)이 저효율 전송 구간이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상기 언급된 저효율 전송 구간에 위상 가변 중계 코일을 배치함으로써, 무선 전력 중계 코일(200)에서의 중계 홀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low efficiency transmission section in which the relay hole is generated may be a relay coil having an odd number of hops spaced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based on the relay coil 200-11 that is closest to the
이상과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무선 전력 중계 장치는 복수 개의 중계 코일 중에서 저효율 전송 구간에 위상 가변 중계 코일을 배치하여 해당 구간에서의 전력 전송 효율의 급격한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Throug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wireless power repe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sudden drop in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in the corresponding section by arranging the phase-variable relay coil in the low efficiency transmission section of the plurality of relay coils.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7)
자기장을 포집하여 중계하는 복수 개의 중계 코일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중계 코일 중 적어도 하나의 중계 코일은 복수의 공진 코일로 구성되는 위상 가변 중계 코일이며,
상기 위상 가변 중계 코일은 저효율 전송 구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중계 장치.
A wireless power relay device which relays a magnetic field generated by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to a wireless power receiver,
It includes a plurality of relay coils for collecting and relaying a magnetic field,
At least one relay coil of the plurality of relay coils is a phase variable relay coil composed of a plurality of resonant coils,
The phase variable relay coil is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in the low efficiency transmission section,
Wireless power repeater.
다수의 중계 코일이 일렬로 배치되는 중계 장치인 경우에,
상기 저효율 전송 구간은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부터 가장 멀리 배치된 중계 코일의 직전에 배치된 중계 코일이 위치하는 구간인,
무선 전력 중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case of a relay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relay coils are arranged in a line,
The low efficiency transmission section is a section in which the relay coil disposed immediately before the relay coil disposed farthest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is located.
Wireless power repeater.
다수의 중계 코일이 평면 상에 배치되는 중계 장치인 경우에,
상기 저효율 전송 구간은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서 가장 가까운 중계 코일로부터 홀수 홉(hop) 만큼 이격되어 배치된 중계 코일이 위치하는 구간인,
무선 전력 중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case of a relay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relay coils are disposed on a plane,
The low efficiency transmission section is a section in which the relay coils are spaced apart by an odd hop from the nearest relay coil i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Wireless power repeater.
상기 위상 가변 중계 코일은 다른 섹터의 중계 코일보다 큰 결합 계수(K)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중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hase variable relay coil has a larger coupling coefficient (K) than relay coils in other sectors,
Wireless power repeater.
자기장을 통해 전력을 전송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상기 자기장을 포집하여 중계하는 복수 개의 중계 코일로 이루어진 무선 전력 중계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중계 코일 중 적어도 하나의 중계 코일은 복수의 공진 코일로 구성되는 위상 가변 중계 코일이고,
상기 위상 가변 중계 코일은 저효율 전송 구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In a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transmitting power through a magnetic field; And
And a wireless power relay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relay coils for capturing and relaying the magnetic field.
At least one relay coil of the plurality of relay coils is a phase variable relay coil composed of a plurality of resonant coils,
The phase variable relay coil is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in the low efficiency transmission sectio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다수의 중계 코일이 일렬로 배치되는 중계 장치인 경우에,
상기 저효율 전송 구간은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부터 가장 멀리 배치된 중계 코일의 직전에 배치된 중계 코일이 위치하는 구간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In the case of a relay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relay coils are arranged in a line,
The low efficiency transmission section is a section in which the relay coil disposed immediately before the relay coil disposed farthest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is located.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다수의 중계 코일이 평면 상에 배치되는 중계 장치인 경우에,
상기 저효율 전송 구간은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서 가장 가까운 중계 코일로부터 홀수 홉(hop) 만큼 이격되어 배치된 중계 코일이 위치하는 구간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In the case of a relay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relay coils are disposed on a plane,
The low efficiency transmission section is a section in which the relay coils are spaced apart by an odd hop from the nearest relay coil i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상기 위상 가변 중계 코일은 다른 섹터의 중계 코일보다 큰 결합 계수(K)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hase variable relay coil has a larger coupling coefficient (K) than relay coils in other sectors,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포섭된 자기장을 중계하는 하나 이상의 중계 코일; 및
상기 중계 코일의 사이에 배치되고 다중 코일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위상 가변 중계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위상 가변 중계 코일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위상 가변 중계 코일은 저효율 전송 구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중계 장치.
In the wireless power relay device,
One or more relay coils for relaying the embedded magnetic field; And
And one or more phase-variable relay coils disposed between the relay coils and configured of multiple coils.
The phase variable relay coil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phase variable relay coil is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in the low efficiency transmission section,
Wireless power repeater.
다수의 중계 코일이 일렬로 배치되는 중계 장치인 경우에,
상기 저효율 전송 구간은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부터 가장 멀리 배치된 중계 코일의 직전에 배치된 중계 코일이 위치하는 구간인,
무선 전력 중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In the case of a relay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relay coils are arranged in a line,
The low efficiency transmission section is a section in which the relay coil disposed immediately before the relay coil disposed farthest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is located.
Wireless power repeater.
다수의 중계 코일이 평면 상에 배치되는 중계 장치인 경우에,
상기 저효율 전송 구간은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서 가장 가까운 중계 코일로부터 홀수 홉(hop) 만큼 이격되어 배치된 중계 코일이 위치하는 구간인,
무선 전력 중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In the case of a relay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relay coils are disposed on a plane,
The low efficiency transmission section is a section in which the relay coils are spaced apart by an odd hop from the nearest relay coil i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Wireless power repeater.
상기 위상 가변 중계 코일은 다른 섹터의 중계 코일보다 큰 결합 계수(K)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중계 장치.The method of claim 13,
The phase variable relay coil has a larger coupling coefficient (K) than relay coils in other sectors,
Wireless power repeat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40794A KR102040330B1 (en) | 2012-12-06 | 2012-12-06 | Wireless Power Relay Apparatus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40794A KR102040330B1 (en) | 2012-12-06 | 2012-12-06 | Wireless Power Relay Apparatus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73083A KR20140073083A (en) | 2014-06-16 |
KR102040330B1 true KR102040330B1 (en) | 2019-11-04 |
Family
ID=51126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40794A Active KR102040330B1 (en) | 2012-12-06 | 2012-12-06 | Wireless Power Relay Apparatus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4033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843217B2 (en) | 2015-01-05 | 2017-12-12 | Witricity Corporation | Wireless energy transfer for wearables |
KR102153330B1 (en) * | 2017-01-12 | 2020-09-08 |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 Wireless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magnetic field surface wav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199975A (en) * | 2010-03-18 | 2011-10-06 | Nec Corp |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
JP2012075304A (en) * | 2010-08-30 | 2012-04-12 | Univ Of Tokyo |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62841A (en) * | 2009-12-04 | 2011-06-10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Wireless power transmitter |
KR101414779B1 (en) | 2010-10-20 | 2014-07-03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Wireless power transfer device |
-
2012
- 2012-12-06 KR KR1020120140794A patent/KR10204033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199975A (en) * | 2010-03-18 | 2011-10-06 | Nec Corp |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
JP2012075304A (en) * | 2010-08-30 | 2012-04-12 | Univ Of Tokyo |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73083A (en) | 2014-06-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21919B1 (en) | Apparatus for transferring power | |
US10158253B2 (en) | Wireless power relay device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 |
US9112540B2 (en) |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 |
US7990103B2 (en) |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battery charging system comprising an antenna arrangement for a radio receiver | |
US10088508B2 (en) | Wireless power transfer method and apparatus and method of detecting resonant frequency used in wireless power transfer | |
CN106464019B (en) | Wireless power relay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 |
KR20170041706A (en) | Wireless electric field power transmission system, transmitter and receiver therefor and method of wirelessly transferring power | |
KR20140120404A (en) |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 |
KR20150090668A (en) | Wireless electric power relay apparatus, wireless electric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wireless electric power transmission system | |
JP2013110805A (en) | Non-contact power supply system and power supply method | |
KR101222137B1 (en) | Directional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using magnetic resonance induction | |
US10425049B2 (en) | Wireless electric power transmitter | |
KR102040330B1 (en) | Wireless Power Relay Apparatus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 |
KR102207998B1 (en) |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 |
JP6156872B2 (en) |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 |
Jolani et al. | A novel planar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with strong coupled magnetic resonances | |
JP2012034524A (en) |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 |
KR101985022B1 (en) | Wireless Power Relay Apparatus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 |
KR102109104B1 (en) | Apparatus for transferring power | |
US20170155285A1 (en) | Open type resonance coil without dual loops having serial type in-phase direct power feeding method without dual loops | |
JP2015053850A (en) |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 |
Morita et al. | Power efficiency improvement of wireless power transfer using magnetic material | |
CN109845033B (en) | Antenna with ferromagnetic rods wound and coupled together | |
Liu et al. | A simple structure of planar transmitting array for multi-receiver wireless power reception | |
Pu et al. | To improv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by using coil array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0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11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12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5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0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10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