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39645B1 - 드럼 브레이크 - Google Patents

드럼 브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9645B1
KR102039645B1 KR1020180032142A KR20180032142A KR102039645B1 KR 102039645 B1 KR102039645 B1 KR 102039645B1 KR 1020180032142 A KR1020180032142 A KR 1020180032142A KR 20180032142 A KR20180032142 A KR 20180032142A KR 102039645 B1 KR102039645 B1 KR 102039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push rod
adjust assembly
support
drum brak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0315A (ko
Inventor
쿠말 에스 아지쓰
씨 랑가난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80032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9645B1/ko
Publication of KR20190110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0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64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38Slack adjusters
    • F16D65/40Slack adjusters mechanical
    • F16D65/42Slack adjusters mechanical non-automatic
    • F16D65/44Slack adjusters mechanical non-automatic by means of direct linear adjus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38Slack adjusters
    • F16D2065/383Slack adjusters for adjusting the spring force in spring-applied bra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럼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휠과 함께 회전하는 드럼과, 상기 드럼 내측에 배치된 한 쌍의 슈우에 부착되어 상기 드럼의 내면과 접촉하면서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라이닝과, 상기 드럼의 내면과 상기 라이닝 외면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조절하는 어저스트 어셈블리가 구비되는 드럼 브레이크에 있어서, 상기 어저스트 어셈블리는, 일측에 배치된 제1 슈우를 지지하는 일측 지지체와, 타측에 배치된 제2 슈우를 지지하는 타측 지지체 및 상기 일측 지지체와 상기 타측 지지체를 연결하는 리프 스프링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드럼 브레이크{Drum brake}
본 발명은 드럼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과 함께 회전하는 드럼과 마찰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드럼 브레이크는 유압을 이용하거나, 주차 브레이크 레버와 연계된 케이블을 이용하여 라이닝이 부착된 슈우를 드럼과 마찰시켜 제동력을 얻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종래의 드럼 브레이크는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어 휠과 함께 회전하는 드럼과, 드럼의 내측에 배치된 한 쌍의 슈우에 부착된 라이닝과, 제동 유압을 전달 받아서 이러한 슈우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도록 피스톤이 내장된 휠 실린더를 구비한다.
다만, 종래의 드럼 브레이크는 반복적인 제동에 의해 라이닝에 마모가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라이닝의 마모 현상으로 인해 드럼의 내면과 라이닝의 외면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고, 이로 인해 브레이크의 제동 반응이 늦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으나, 이를 해결하기 위해 드럼의 내면과 라이닝의 외면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어저스터가 구비되어 있었다.
이러한 어저스터는 한 쌍의 슈우를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로드가 나사 체결 방식으로 연결되어 라이닝에 마모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 레버가 조정 너트를 회전시키면 어저스터 전체의 길이가 길어지면서 한 쌍의 슈우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를 통해 드럼의 내면과 라이닝의 외면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다만, 이와 같은 종래 구조의 어저스터는 레버의 이탈로 인해 조정 너트가 회전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드럼의 내면과 라이닝의 외면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조정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러한 어저스터를 구성하는 부품의 개수가 많아서 제품 구조가 복잡하고, 설치가 용이하지 않으며, 제조 원가가 증대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에 대한 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어저스트 어셈블리가 종래의 나사 체결 방식과는 상이한 체결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드럼의 내면과 라이닝의 외면 사이의 간격 조정이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전체 부품의 개수가 감소하여 제품 구조가 단순화된 어저스트 어셈블리가 구비되는 드럼 브레이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드럼 브레이크는 휠과 함께 회전하는 드럼과, 상기 드럼 내측에 배치된 한 쌍의 슈우에 부착되어 상기 드럼의 내면과 접촉하면서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라이닝과, 상기 드럼의 내면과 상기 라이닝 외면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조절하는 어저스트 어셈블리가 구비되는 드럼 브레이크에 있어서, 상기 어저스트 어셈블리는, 일측에 배치된 제1 슈우를 지지하는 일측 지지체와, 타측에 배치된 제2 슈우를 지지하는 타측 지지체 및 상기 일측 지지체와 상기 타측 지지체를 연결하는 리프 스프링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일측 지지체는 상기 제1 슈우를 지지하는 제1 푸시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타측 지지체는 상기 제2 슈우를 지지하는 제2 푸시로드와, 상기 제2 푸시로드와 습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리브와, 상기 제2 푸시로드와 상기 슬리브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어저스트 어셈블리의 길이 증가가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푸시로드는 상기 슬리브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리프 스프링에는 상기 제1 푸시로드와 상기 슬리브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톱니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톱니에는, 상기 어저스트 어셈블리에 압축력이 인가되는 경우에 상기 어저스트 어셈블리의 길이 변화를 방지하는 지지면과, 상기 어저스트 어셈블리에 인장력이 인가되는 경우에 상기 어저스트 어셈블리의 길이 변화가 가능하게 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슬리브에는 상기 톱니가 관통하는 복수 개의 소켓이 형성되고, 상기 어저스트 어셈블리에 인장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톱니는 상기 소켓으로부터 이탈한 후 인접한 다른 소켓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톱니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 하향 이동하면서 상기 소켓으로부터 이탈하고, 인접한 다른 소켓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지지면을 따라 상향 이동하면서 상기 소켓을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프 스프링에는 상기 톱니가 상기 지지면을 따라 상향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 만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톱니에는, 상기 어저스트 어셈블리에 압축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1 푸시로드가 상기 경사면을 따라 상향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보조 지지면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드럼 브레이크는 어저스트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일측 지지체와 타측 지지체가 리프 스프링에 의해 연결되되, 리프 스프링에는 경사면과 지지면이 형성된 톱니가 구비되어 어저스트 어셈블리의 길이가 증가하는 것은 가능하되, 길이가 임의로 감소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드럼의 내면과 라이닝의 외면 사이의 간격 조정이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드럼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어저스트 어셈블리는 종래 어저스터에 적용된 나사 체결 구조, 조정 너트 및 레버와 같은 부품의 삭제가 가능하여 제품의 구조가 단순화되고, 설치가 용이하며, 제조 원가도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럼 브레이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럼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어저스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럼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어저스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드럼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어저스트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럼 브레이크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럼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어저스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럼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어저스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드럼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어저스트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럼 브레이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휠(미도시)과 함께 회전하는 원통 형상의 드럼(10)과, 이러한 드럼(10) 내측에 배치된 한 쌍의 슈우(20)에 부착되어 드럼(10)의 내면과 접촉하면서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라이닝(30)과, 드럼(10)의 내면과 라이닝(30) 외면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조절하는 어저스트 어셈블리(100)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드럼 브레이크에는 제동 유압을 전달받아서 한 쌍의 슈우(20)를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휠 실린더(미도시)와, 제동 작동 해제 시 한 쌍의 슈우(20)를 초기 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리턴 스프링(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한 쌍의 슈우(20)는 드럼 브레이크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슈우(21)와 타측에 배치되는 제2 슈우(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드럼(10)의 회전 방향에 따라 리딩 슈우와 트레일링 슈우로 구별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드럼 브레이크는 반복적인 제동 작동에 따라 라이닝(30)이 마모하게 되며, 라이닝(30)의 마모 정도가 심해지는 경우 드럼(10)의 내면과 라이닝(30) 외면 사이의 간격이 넓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드럼 브레이크에는 어저스트 어셈블리(100)가 구비되어 이들 사이의 간격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어저스트 어셈블리(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배치된 제1 슈우(21)를 지지하는 일측 지지체(110)와 타측에 배치된 제2 슈우(22)를 지지하는 타측 지지체(120) 및 이러한 일측 지지체(110)와 타측 지지체(120)를 연결하는 리프 스프링(130)을 포함한다.
즉, 라이닝(30)의 마모 정도가 심해짐으로 인해 드럼(10)의 내면과 라이닝(30) 외면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는 경우 일측 지지체(110)와 타측 지지체(120)는 한 쌍의 슈우(20)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대 운동을 하게 되고, 이를 통해 어저스트 어셈블리(100)의 길이가 증가하게 되는데, 이때, 리프 스프링(130)은 어저스트 어셈블리(100)의 길이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일측 지지체(110)와 타측 지지체(120)가 상대 운동하는 것은 가능하게 하되, 어저스트 어셈블리(100)의 길이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일측 지지체(110)와 타측 지지체(120)가 상대 운동하는 것은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리프 스프링(130)의 상세한 구성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지지체(110)는 제1 슈우(21)를 지지하는 제1 푸시로드(111)를 포함하고, 타측 지지체(120)는 제2 슈우(22)를 지지하는 제2 푸시로드(121)와, 이러한 제2 푸시로드(121)에 습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리브(122)와, 제2 푸시로드(121)와 슬리브(122) 사이에 배치되어 어저스트 어셈블리(100)의 길이 증가가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압축 스프링(123)을 포함한다.
라이닝(30)의 마모가 심하지 않은 일반적인 조건 하에서 이러한 구성을 갖는 어저스트 어셈블리(10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휠 실린더에 제동 유압이 전달되면 한 쌍의 슈우(20)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한 쌍의 슈우(20)가 이동함에 따라 이러한 슈우(20)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제1 푸시로드(111)와 제2 푸시로드(121)도 슈우(20)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도 1 및 도 2 기준으로 설명하면, 제1 슈우(21)는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2 슈우(22)는 우측으로 이동하는 것이며, 이러한 제1 슈우(21)와 함께 제1 푸시로드(111)도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아울러 제1 푸시로드(111)와 슬리브(122)는 리프 스프링(130)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좌측으로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2 푸시로드(121)는 슬리브(122)와 습동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슬리브(122)와 상대 운동을 하면서 제2 슈우(22)와 함께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종래의 어저스터의 경우 나사 체결 방식을 통해 결합되어 있으므로 이와 같이 라이닝(30)의 마모가 심하지 않은 일반적인 조건 하에도 조정 너트가 회전을 통해 어저스터의 길이가 변화되어야 하나, 전술한 바와 같이, 조정 너트를 회전시키는 레버의 이탈로 인해 어저스터의 길이 변화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어저스트 어셈블리(100)는 이러한 일반적인 조건 하에서 제2 푸시로드(121)와 슬리브(122)가 단순히 습동하면서 상대 운동하는 방식으로 어저스트 어셈블리(100)의 길이가 변화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길이 변화가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즉, 제동 작동 시에는 제2 푸시로드(121)와 슬리브(122)가 습동하면서 어저스트 어셈블리(100)의 길이가 증가하고, 제동 작동 해제 시에는 어저스트 어셈블리(100)의 길이가 감소하면서 변화되는 것이다. 제2 푸시로드(121)와 슬리브(122)의 안정적인 습동을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122)에는 제2 푸시로드(121)의 내주면(121a)에 삽입되는 삽입부(122b)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2 푸시로드(121)와 슬리브(122) 사이에는 압축 스프링(123)이 배치되어 제2 푸시로드(121)와 슬리브(122)가 습동하도록 밀어주게 되므로 이들 사이의 습동을 통한 상대 운동이 더욱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제동 작동 해제 시 한 쌍의 슈우(20)를 초기 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리턴 스프링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리턴 스프링을 통한 복원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리턴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이 압축 스프링(123)의 탄성력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복 제동으로 인해 라이닝(30)의 마모가 심해지는 조건에서는 드럼(10)의 내면과 라이닝(30) 외면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므로 정상적인 제동을 위해서는 한 쌍의 슈우(20)가 이동해야 하는 거리가 증가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한 쌍의 슈우(20)가 일반적인 조건에서 보다 상대적으로 먼 거리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 푸시로드(111)와 제2 푸시로드(121)가 상대 운동하면서 어저스트 어셈블리(100)의 길이가 증가하게 되고, 어저스트 어셈블리(100)의 길이가 증가한 이후 다시 감소하지 않도록 길이가 유지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어저스트 어셈블리(100)의 길이가 증가한 상태로 유지되면 드럼(10)의 내면과 라이닝(30) 외면 사이의 간격이 다시 감소하게 되어 이후에는 제동 시 브레이크의 제동 반응이 늦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1 푸시로드(111)는 슬리브(122) 내측으로 삽입되며, 리프 스프링(130)에는 제1 푸시로드(111)와 슬리브(122)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톱니(131)가 형성된다. 아울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톱니(131)에는 지지면(131a)과 경사면(131b)이 형성되고, 슬리브(122)에는 톱니(131)가 관통하는 복수 개의 소켓(122a)이 형성된다.
즉, 라이닝(30)의 마모가 심해진 조건 하에서 제동 작동 시 한 쌍의 슈우(20)가 이동하면서 어저스트 어셈블리(100)에는 인장력이 인가되며, 이러한 인장력으로 인해 제1 푸시로드(111)는 좌측(도 4 기준)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1 푸시로드(111)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리프 스프링(130)의 톱니(131)는 경사면(131b)을 따라 하향 이동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톱니(131)는 슬리브(122)의 소켓(122a)으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이후 지속적으로 인장력이 인가되면 톱니(131)는 슬리브(122)의 내주면을 따라서 인장력 인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톱니(131)가 인접한 다른 소켓(122a)에 위치하게 되면 지지면(131a)을 따라 상향 이동하면서 소켓(122a)을 관통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어저스트 어셈블리(100)의 길이 증가가 가능하게 되고, 이후 리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어저스트 어셈블리(100)에 압축력이 인가되는 경우에도 톱니(131)의 지지면(131a)이 슬리브(122)의 소켓(122a)에 지지되어 어저스트 어셈블리(100)의 길이가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1 푸시로드(111)에도 톱니(131)가 관통하는 소켓(111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 스프링(130)에는 톱니(131)가 지지면(131a)을 따라 상향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 만곡부(132)가 형성된다. 즉, 어저스트 어셈블리(100)에 인장력이 인가되면 제1 푸시로드(111)가 이동함으로 인해 톱니(131)가 하향 이동하면서 리프 스프링(130)이 탄성 변형되고, 이후 톱니(131)가 인접한 다른 소켓(122a)에 위치하게 되면 톱니(131)가 지지면(131a)을 따라 상향 이동하면서 리프 스프링(130)이 탄성 복원되는 것이다.
이러한 톱니(131)의 경사면(131b)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지지면(131c)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지지면(131c)은 제1 푸시로드(111)의 소켓(111a) 내주면과 맞닿도록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보조 지지면(131c)이 형성되는 경우 어저스트 어셈블리(100)에 압축력이 인가되는 경우에도 제1 푸시로드(111)가 이러한 보조 지지면(131c)에 지지될 수 있으므로 제1 푸시로드(111)가 상향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 드럼 20 : 슈우
21 : 제1 슈우 22 : 제2 슈우
30 : 라이닝 100 : 어저스트 어셈블리
110 : 일측 지지체 111 : 제1 푸시로드
111a : 소켓 120 : 타측 지지체
121 : 제2 푸시로드 121a : 내주면
122 : 슬리브 122a : 소켓
122b : 삽입부 123 : 압축 스프링
130 : 리프 스프링 131 : 톱니
131a : 지지면 131b : 경사면
131c : 보조 지지면 132 : 탄성 만곡부

Claims (8)

  1. 휠과 함께 회전하는 드럼과, 상기 드럼 내측에 배치된 한 쌍의 슈우에 부착되어 상기 드럼의 내면과 접촉하면서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라이닝과, 상기 드럼의 내면과 상기 라이닝 외면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조절하는 어저스트 어셈블리가 구비되는 드럼 브레이크에 있어서,
    상기 어저스트 어셈블리는,
    일측에 배치된 제1 슈우를 지지하는 일측 지지체;
    타측에 배치된 제2 슈우를 지지하는 타측 지지체; 및
    상기 일측 지지체와 상기 타측 지지체를 연결하는 리프 스프링;
    을 포함하며,
    상기 일측 지지체는 상기 제1 슈우를 지지하는 제1 푸시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타측 지지체는 상기 제2 슈우를 지지하는 제2 푸시로드와, 상기 제2 푸시로드와 습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리브와, 상기 제2 푸시로드와 상기 슬리브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어저스트 어셈블리의 길이 증가가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브레이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푸시로드는 상기 슬리브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리프 스프링에는 상기 제1 푸시로드와 상기 슬리브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톱니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브레이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에는,
    상기 어저스트 어셈블리에 압축력이 인가되는 경우에 상기 어저스트 어셈블리의 길이 변화를 방지하는 지지면과,
    상기 어저스트 어셈블리에 인장력이 인가되는 경우에 상기 어저스트 어셈블리의 길이 변화가 가능하게 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브레이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에는 상기 톱니가 관통하는 복수 개의 소켓이 형성되고,
    상기 어저스트 어셈블리에 인장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톱니는 상기 소켓으로부터 이탈한 후 인접한 다른 소켓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브레이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 하향 이동하면서 상기 소켓으로부터 이탈하고,
    인접한 다른 소켓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지지면을 따라 상향 이동하면서 상기 소켓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브레이크.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 스프링에는 상기 톱니가 상기 지지면을 따라 상향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 만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브레이크.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에는,
    상기 어저스트 어셈블리에 압축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1 푸시로드가 상기 경사면을 따라 상향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보조 지지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브레이크.
KR1020180032142A 2018-03-20 2018-03-20 드럼 브레이크 Active KR102039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142A KR102039645B1 (ko) 2018-03-20 2018-03-20 드럼 브레이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142A KR102039645B1 (ko) 2018-03-20 2018-03-20 드럼 브레이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315A KR20190110315A (ko) 2019-09-30
KR102039645B1 true KR102039645B1 (ko) 2019-11-01

Family

ID=68098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142A Active KR102039645B1 (ko) 2018-03-20 2018-03-20 드럼 브레이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964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5512B1 (ko) * 1997-10-25 2000-09-15 정주호 자동차의 브레이크 라이닝 간극 자동조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7187A (ja) * 1995-03-08 1996-09-24 Nissin Kogyo Kk 液圧式車両用ディスクブレーキ
KR0122106Y1 (ko) * 1995-10-17 1998-08-17 박기영 드럼브레이크의 마모량 보상장치
KR20100047402A (ko) * 2008-10-29 2010-05-10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드럼 브레이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5512B1 (ko) * 1997-10-25 2000-09-15 정주호 자동차의 브레이크 라이닝 간극 자동조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315A (ko) 201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6684B2 (en) Pad liner for reducing drag in brake caliper
EP0392829A1 (en) Drum brake assembly
JP6498296B2 (ja) 後調整装置を有するドラムブレーキの為の電気機械式に操作可能な拡開装置
US7380644B2 (en) Disc sliding mechanism
CN105736604A (zh) 车辆盘式制动器
US3017962A (en) Limiting device for automatic brake shoe adjuster
US7721854B1 (en) Assured running clearance caliper
KR20170090459A (ko) 드럼 브레이크 장치
US2619198A (en) Wear compensating device for vehicle brakes
KR102039645B1 (ko) 드럼 브레이크
US3213970A (en) Automatic adjustor
US3605959A (en) Adjusting means for disc brakes
EP0171916A1 (en) Automatic adjuster for duo-servo internal shoe drum brakes
JP2017172731A (ja) ブレーキ装置
CN105090299B (zh) 可自调鼓式制动器
US1934235A (en) Friction brake for vehicles and the like
US7178642B1 (en) Drum brake
US2348960A (en) Internally expanding brake
JP2017172728A (ja) ブレーキ装置
JP6688645B2 (ja) ブレーキ装置
US3232392A (en) Brake adjuster
US20240159285A1 (en) Floating caliper brake with an adjustment device
JP6820415B2 (ja) 鉄道車両用浮動型キャリパブレーキ装置
US2291012A (en) Brake
US2006397A (en) Bra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4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0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0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