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9009B1 - 정전 용량식 센서 - Google Patents
정전 용량식 센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39009B1 KR102039009B1 KR1020187015825A KR20187015825A KR102039009B1 KR 102039009 B1 KR102039009 B1 KR 102039009B1 KR 1020187015825 A KR1020187015825 A KR 1020187015825A KR 20187015825 A KR20187015825 A KR 20187015825A KR 102039009 B1 KR102039009 B1 KR 1020390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idge wiring
- transparent electrode
- extends
- transparent electrodes
- capacitive sens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2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5
- 239000011241 protect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0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QNRATNLHPGXHMA-XZHTYLCXSA-N (r)-(6-ethoxyquinolin-4-yl)-[(2s,4s,5r)-5-ethyl-1-azabicyclo[2.2.2]octan-2-yl]methanol;hydrochloride Chemical group Cl.C([C@H]([C@H](C1)CC)C2)CN1[C@@H]2[C@H](O)C1=CC=NC2=CC=C(OCC)C=C21 QNRATNLHPGXHMA-XZHTYLCXSA-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522 acrylic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1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3460 diamon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432 diamo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0000006829 Ficus sundaic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6404 Sn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WABPQHHGFIMREM-UHFFFAOYSA-N lead(0) Chemical compound [Pb] WABPQHHGFIMRE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70 nanowi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986 novolac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44 sputte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40 vapo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90 adhesive ta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40 conductiv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AMGQUBHHOARCQH-UHFFFAOYSA-N indium;oxotin Chemical compound [In].[Sn]=O AMGQUBHHOARCQ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50 screen-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 G01B7/2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using change in capacitan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전 용량식 센서가 패널에 맞붙여지는 공정을 설명하는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3은 패널의 평면부에 맞붙여지는 제 1 부분의 브리지 배선부를 나타내는 모식적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절단면 S1-S1에 있어서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5는 패널의 곡면부에 맞붙여지는 제 2 부분의 브리지 배선부를 나타내는 모식적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절단면 S2-S2에 있어서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7은 제 1 부분에 있어서의 다른 브리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적 확대도이다.
도 8은 제 2 부분에 있어서의 다른 브리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적 확대도이다.
도 9는 굽힘에 대한 내성 평가 시험에 이용한 시료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시험에 있어서 실시한 굽힘의 방향을 나타내는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시험의 결과의 일례를 예시하는 그래프도이다.
도 12는 본 시험의 결과의 다른 일례를 예시하는 그래프도이다.
10 기재
10a 표면
11 제 1 전극
11a 인출 배선
12 제 2 전극
12a 인출 배선
20 브리지 배선부
30 절연층
30a 표면
35 광학 투명 점착층
50 보호층
50a 조작면
111 제 1 투명 전극
112 연결부
115 연장 돌출부
121 제 2 투명 전극
122 연결부
125 연장 돌출부
160 제 1 부분
170 제 2 부분
200 패널
210 평면부
220 곡면부
300 시료
310 제 1 보호층
320 센서부
330 보강판
340 제 2 보호층
A1 제 1 축
A11 화살표
A12 화살표
A2 제 2 축
F 손가락
S 검출 영역
Claims (16)
- 평면부와 곡면부를 가지는 패널에 맞붙여지는 정전 용량식 센서로서,
검출 영역에 있어서 제 1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며, 투광성을 가지는 복수의 제 1 투명 전극과,
상기 검출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에 교차하는 제 2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며, 투광성을 가지는 복수의 제 2 투명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제 1 투명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 2 투명 전극 중 어느 일방에 일체로 설치되며, 상기 어느 일방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연결부와,
상기 복수의 제 1 투명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 2 투명 전극 중 어느 타방과는 별체로 상기 연결부에 교차하는 부분에 절연층을 개재하여 설치되며, 상기 어느 타방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브리지 배선부를 구비하고,
상기 곡면부에 맞붙여지는 제 2 부분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연장되는 방향은, 상기 평면부에 맞붙여지는 제 1 부분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연장되는 방향과는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식 센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분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연장되는 방향은, 상기 제 1 부분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연장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식 센서.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분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 배선부가 연장되는 방향은, 상기 제 1 부분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 배선부가 연장되는 방향에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식 센서.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분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 배선부가 연장되는 방향은, 상기 제 1 부분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 배선부가 연장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식 센서.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에 있어서, 상기 어느 일방은 상기 복수의 제 2 투명 전극이며, 상기 어느 타방은 상기 복수의 제 1 투명 전극이고,
상기 제 2 부분에 있어서, 상기 어느 일방은 상기 복수의 제 1 투명 전극이며, 상기 어느 타방은 상기 복수의 제 2 투명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식 센서.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에 있어서, 상기 어느 일방은 상기 복수의 제 2 투명 전극이며, 상기 어느 타방은 상기 복수의 제 1 투명 전극이고,
상기 제 2 부분에 있어서, 상기 어느 일방은 상기 복수의 제 1 투명 전극이며, 상기 어느 타방은 상기 복수의 제 2 투명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식 센서.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에 있어서, 상기 어느 일방은 상기 복수의 제 2 투명 전극이며, 상기 어느 타방은 상기 복수의 제 1 투명 전극이고,
상기 제 2 부분에 있어서, 상기 어느 일방은 상기 복수의 제 1 투명 전극이며, 상기 어느 타방은 상기 복수의 제 2 투명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식 센서.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2 부분의 양방에 있어서, 상기 어느 일방은 상기 복수의 제 2 투명 전극이며, 상기 어느 타방은 상기 복수의 제 1 투명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정전 용량식 센서.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2 부분의 양방에 있어서, 상기 어느 일방은 상기 복수의 제 2 투명 전극이며, 상기 어느 타방은 상기 복수의 제 1 투명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정전 용량식 센서.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2 부분의 양방에 있어서, 상기 어느 일방은 상기 복수의 제 2 투명 전극이며, 상기 어느 타방은 상기 복수의 제 1 투명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정전 용량식 센서.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투명 전극은, 마름모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 2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투명 전극은, 상기 마름모형의 부분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된 연장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브리지 배선부는, 상기 마름모형의 형상의 단부에 접속되어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 2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브리지 배선부는, 상기 연장 돌출부의 단부에 접속되어 상기 제 1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식 센서.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투명 전극은, 마름모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 2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투명 전극은, 상기 마름모형의 부분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된 연장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브리지 배선부는, 상기 마름모형의 형상의 단부에 접속되어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 2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브리지 배선부는, 상기 연장 돌출부의 단부에 접속되어 상기 제 1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식 센서.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투명 전극은, 마름모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 2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투명 전극은, 상기 마름모형의 부분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된 연장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브리지 배선부는, 상기 마름모형의 형상의 단부에 접속되어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 2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브리지 배선부는, 상기 연장 돌출부의 단부에 접속되어 상기 제 1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식 센서.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투명 전극은, 마름모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 2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투명 전극은, 상기 마름모형의 부분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된 연장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브리지 배선부는, 상기 마름모형의 형상의 단부에 접속되어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 2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브리지 배선부는, 상기 연장 돌출부의 단부에 접속되어 상기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식 센서.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투명 전극은, 마름모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 2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투명 전극은, 상기 마름모형의 부분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된 연장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브리지 배선부는, 상기 마름모형의 형상의 단부에 접속되어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 2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브리지 배선부는, 상기 연장 돌출부의 단부에 접속되어 상기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식 센서.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투명 전극은, 마름모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 2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투명 전극은, 상기 마름모형의 부분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된 연장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브리지 배선부는, 상기 마름모형의 형상의 단부에 접속되어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 2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브리지 배선부는, 상기 연장 돌출부의 단부에 접속되어 상기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식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5-242042 | 2015-12-11 | ||
JP2015242042 | 2015-12-11 | ||
PCT/JP2016/086534 WO2017099173A1 (ja) | 2015-12-11 | 2016-12-08 | 静電容量式センサ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78315A KR20180078315A (ko) | 2018-07-09 |
KR102039009B1 true KR102039009B1 (ko) | 2019-10-31 |
Family
ID=59014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15825A Expired - Fee Related KR102039009B1 (ko) | 2015-12-11 | 2016-12-08 | 정전 용량식 센서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0558308B2 (ko) |
EP (1) | EP3388927A4 (ko) |
JP (1) | JP6509370B2 (ko) |
KR (1) | KR102039009B1 (ko) |
CN (1) | CN108351734B (ko) |
WO (1) | WO201709917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30807B1 (ko) * | 2017-12-12 | 2022-08-09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
US11640210B2 (en) * | 2020-11-27 | 2023-05-02 | Tpk Advanced Solutions Inc. | Touch panel and touch devic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0029979A1 (ja) | 2008-09-12 | 2010-03-18 | オプトレックス株式会社 | 静電容量型タッチパネル、表示装置および静電容量型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 |
US20150241924A1 (en) | 2014-02-27 | 2015-08-27 |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 Touch panel |
Family Cites Families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72644A (ja) * | 2006-03-31 | 2007-10-18 | Gunze Ltd | 透明タッチパネル |
US8593410B2 (en) * | 2009-04-10 | 2013-11-26 | Apple Inc. | Touch sensor panel design |
KR101100987B1 (ko) * | 2010-03-23 | 2011-12-30 |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 터치 스크린 패널 |
KR101706234B1 (ko) * | 2010-10-13 | 2017-02-15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
US8717330B2 (en) * | 2010-11-22 | 2014-05-06 |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 Flexible projective capacitive touch sensor structure |
CN102253776B (zh) * | 2011-07-06 | 2013-07-03 | 汕头超声显示器有限公司 | 用于遏制画面干扰的电容触摸屏的电极搭桥连接结构 |
KR101375335B1 (ko) * | 2012-05-15 | 2014-03-1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TWI460772B (zh) * | 2012-06-29 | 2014-11-11 | Innocom Tech Shenzhen Co Ltd | 觸控面板及觸控顯示裝置 |
US9419065B2 (en) * | 2012-08-07 | 2016-08-16 | Apple Inc. | Flexible displays |
TWI599921B (zh) * | 2012-09-07 | 2017-09-21 |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 觸控面板 |
KR102077316B1 (ko) * | 2012-11-14 | 2020-04-0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이를 구비한 플렉서블 표시장치 |
TWI494839B (zh) * | 2013-01-18 | 2015-08-01 | Elan Microelectronics Corp | 觸控感應結構 |
KR102075040B1 (ko) * | 2013-02-05 | 2020-02-11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터치 스크린 패널 |
US10120447B2 (en) * | 2013-06-24 | 2018-11-06 | Northwestern University | Haptic display with simultaneous sensing and actuation |
JP6176716B2 (ja) | 2013-09-04 | 2017-08-09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入力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携帯機器 |
KR102119603B1 (ko) * | 2013-09-06 | 2020-06-08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
CN104423715B (zh) * | 2013-09-11 | 2019-07-23 | Lg伊诺特有限公司 | 触摸窗和包括该触摸窗的显示器 |
KR102347532B1 (ko) * | 2014-01-23 | 2022-01-05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접을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US9965113B2 (en) * | 2014-04-14 | 2018-05-08 | Lg Innotek Co., Ltd. | Touch window |
JP2016027464A (ja) * | 2014-05-30 | 2016-02-18 |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 入力装置、情報処理装置 |
CN105183203A (zh) * | 2014-06-13 | 2015-12-23 | 宝宸(厦门)光学科技有限公司 | 触控面板及触控式电子装置 |
KR102267357B1 (ko) * | 2014-12-15 | 2021-06-21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터치 센서 장치 |
KR102312260B1 (ko) * | 2015-01-09 | 2021-10-1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플렉서블 터치 패널 및 플렉서블 표시 장치 |
-
2016
- 2016-12-08 EP EP16873066.1A patent/EP3388927A4/en not_active Withdrawn
- 2016-12-08 KR KR1020187015825A patent/KR102039009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6-12-08 JP JP2017555130A patent/JP6509370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6-12-08 WO PCT/JP2016/086534 patent/WO2017099173A1/ja unknown
- 2016-12-08 CN CN201680065446.XA patent/CN108351734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8
- 2018-03-29 US US15/940,651 patent/US10558308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0029979A1 (ja) | 2008-09-12 | 2010-03-18 | オプトレックス株式会社 | 静電容量型タッチパネル、表示装置および静電容量型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 |
US20150241924A1 (en) | 2014-02-27 | 2015-08-27 |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 Touch pane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7099173A1 (ja) | 2017-06-15 |
US10558308B2 (en) | 2020-02-11 |
KR20180078315A (ko) | 2018-07-09 |
CN108351734A (zh) | 2018-07-31 |
JPWO2017099173A1 (ja) | 2018-08-09 |
CN108351734B (zh) | 2020-12-01 |
US20180217703A1 (en) | 2018-08-02 |
EP3388927A1 (en) | 2018-10-17 |
JP6509370B2 (ja) | 2019-05-08 |
EP3388927A4 (en) | 2019-08-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69224B1 (ko) | 정전 용량식 센서 | |
KR102267357B1 (ko) | 터치 센서 장치 | |
EP2977866B1 (en) |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touch panel | |
US8698025B2 (en) | Input device | |
US9817529B2 (en) | Flexible touch panel | |
KR102053258B1 (ko) | 터치 윈도우 | |
KR20120030422A (ko) |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 | |
TW201337680A (zh) | 輸入裝置 | |
KR102039009B1 (ko) | 정전 용량식 센서 | |
KR102105607B1 (ko) | 정전 용량식 센서 | |
KR101181056B1 (ko) | 터치 패널 | |
KR20150045311A (ko) | 터치 패널 | |
KR102098383B1 (ko) | 터치 윈도우 및 이의 제조방법 | |
US20200333937A1 (en) | Input device | |
CN211742067U (zh) | 输入装置 | |
KR102120184B1 (ko) | 터치 센서 | |
KR101114024B1 (ko) | 터치 패널 | |
JP3173905U (ja) | 静電容量式タッチセンサ装置 | |
KR20160073278A (ko) | 터치 센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
KR20150087550A (ko) | 터치 패널 | |
KR20150046669A (ko) |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60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6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6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21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0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10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