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39009B1 - 정전 용량식 센서 - Google Patents

정전 용량식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9009B1
KR102039009B1 KR1020187015825A KR20187015825A KR102039009B1 KR 102039009 B1 KR102039009 B1 KR 102039009B1 KR 1020187015825 A KR1020187015825 A KR 1020187015825A KR 20187015825 A KR20187015825 A KR 20187015825A KR 102039009 B1 KR102039009 B1 KR 102039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wiring
transparent electrode
extends
transparent electrodes
capacitive sens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5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8315A (ko
Inventor
유스케 고이케
이사오 아사노
다카시 니시야마
Original Assignee
알프스 알파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알파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알파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78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00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 G01B7/2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using change in capacit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곡면을 가지는 패널에 맞붙여지는 경우라도, 브리지 구조의 손상을 억제하여, 센서 기능의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정전 용량식 센서로서, 평면부와 곡면부를 가지는 패널에 맞붙여지는 정전 용량식 센서이며, 검출 영역에 있어서 제 1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제 1 투명 전극과, 검출 영역에 있어서 제 1 방향에 교차하는 제 2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제 2 투명 전극과, 복수의 제 1 투명 전극 및 복수의 제 2 투명 전극 중 어느 일방에 일체로 설치된 연결부와, 복수의 제 1 투명 전극 및 복수의 제 2 투명 전극 중 어느 타방과는 별체로 연결부에 교차하는 부분에 설치된 브리지 배선부를 구비하고, 곡면부에 맞붙여지는 제 2 부분에 있어서 연결부가 연장되는 방향은, 평면부에 맞붙여지는 제 1 부분에 있어서 연결부가 연장되는 방향과는 상이한 정전 용량식 센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정전 용량식 센서
본 발명은, 정전 용량식 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브리지 구조(전극끼리의 교차 구조)를 가지는 정전 용량식 센서로서 곡면을 가지는 패널에 맞붙여지는 정전 용량식 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전 용량식 센서는, 투광성을 가지는 복수의 투명 전극을 구비한다. 브리지 구조가 설치된 정전 용량식 센서에서는, 복수의 제 1 투명 전극은, 브리지 배선을 개재하여 제 1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제 2 투명 전극은, 연결부를 개재하여 제 2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복수의 브리지 배선은, 투명 전극이 설치된 영역의 대략 전체에 걸쳐,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있다.
또한, 특허 문헌 1에는, 곡면을 가지는 표면 패널과, 접착제를 개재하여 표면 패널과 맞붙여지는 필름 센서를 구비한 입력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 특개2015-49847호 공보
그러나, 곡면을 가지는 표면 패널에 맞붙여진 필름 센서에는, 표면 패널의 곡면부에 맞붙여진 부분에 있어서 굽힘 응력이 발생한다. 그러면, 브리지 배선에 크랙 등의 손상이 발생하여, 브리지 배선의 저항값이 변화될 우려가 있다고 하는 점에 있어서는 개선의 여지가 있다. 브리지 배선의 저항값이 변화되면, 센서의 기능이 영향을 받는 경우가 있다.
또한, 크랙 등의 손상이 브리지 배선에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브리지 배선이 연장되는 방향을 변경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복수의 브리지 배선이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있는 경우로서, 정전 용량식 센서가 표시 장치 등에 이용되는 경우에는, 정전 용량식 센서와 디스플레이의 사이의 배치 관계에 따라서는, 브리지 배선의 패턴이 표시 장치의 외부에서 보이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곡면을 가지는 패널에 맞붙여지는 경우라도, 브리지 구조의 손상을 억제하여, 센서 기능의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정전 용량식 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전 용량식 센서는, 일 양태에 있어서, 평면부와 곡면부를 가지는 패널에 맞붙여지는 정전 용량식 센서로서, 검출 영역에 있어서 제 1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며, 투광성을 가지는 복수의 제 1 투명 전극과, 상기 검출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에 교차하는 제 2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며, 투광성을 가지는 복수의 제 2 투명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제 1 투명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 2 투명 전극 중 어느 일방에 일체로 설치되며, 상기 어느 일방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연결부와, 상기 복수의 제 1 투명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 2 투명 전극 중 어느 타방과는 별체로 상기 연결부에 교차하는 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어느 타방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브리지 배선부를 구비하고, 상기 곡면부에 맞붙여지는 제 2 부분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연장되는 방향은, 상기 평면부에 맞붙여지는 제 1 부분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연장되는 방향과는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정전 용량식 센서가 곡면부를 가지는 패널에 맞붙여지면, 곡면부에 맞붙여지는 부분에 굽힘 응력이 발생한다. 그러면, 브리지 배선부에 크랙 등의 손상이 발생하여, 브리지 배선부의 저항값이 변화될 우려가 있다. 브리지 배선부의 저항값이 변화되면, 정전 용량식 센서의 센서 기능이 영향을 받는 경우가 있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의 일 양태와 관련된 정전 용량식 센서에서는, 곡면부에 맞붙여지는 제 2 부분에 있어서 연결부가 연장되는 방향은, 평면부에 맞붙여지는 제 1 부분에 있어서 연결부가 연장되는 방향과는 상이하다. 이에 따라, 제 2 부분에 있어서 브리지 배선부가 연장되고 있는 방향을, 제 1 부분에 있어서 브리지 배선부가 연장되고 있는 방향과는 상이하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정전 용량식 센서의 굽힘에 대한 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정전 용량식 센서가 곡면부를 가지는 패널에 맞붙여지는 경우라도, 브리지 배선부가 크랙 등의 손상을 입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브리지 배선부의 저항값이 변화되는 것을 억제하여, 정전 용량식 센서의 센서 기능이 영향을 받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정전 용량식 센서의 굽힘에 대한 내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곡률 반경이 보다 작은 곡면을 가지는 패널에 대하여 정전 용량식 센서를 맞붙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정전 용량식 센서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분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연장되는 방향은, 상기 제 1 부분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연장되는 방향에 직교해도 된다. 이에 의하면, 제 2 부분에 있어서 브리지 배선부가 연장되고 있는 방향을, 제 1 부분에 있어서 브리지 배선부가 연장되고 있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에 가깝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정전 용량식 센서가 곡면부를 가지는 패널에 맞붙여지는 경우라도, 브리지 배선부가 크랙 등의 손상을 입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전 용량식 센서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분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 배선부가 연장되는 방향은, 상기 제 1 부분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 배선부가 연장되는 방향에 교차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제 2 부분에 있어서 브리지 배선부가 연장되고 있는 방향을, 제 2 부분에 발생하는 굽힘 응력의 방향에 대하여 교차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정전 용량식 센서가 곡면부를 가지는 패널에 맞붙여지는 경우라도, 브리지 배선부가 크랙 등의 손상을 입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정전 용량식 센서의 센서 기능이 영향을 받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전 용량식 센서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분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 배선부가 연장되는 방향은, 상기 제 1 부분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 배선부가 연장되는 방향에 직교해도 된다. 이에 의하면, 제 2 부분에 있어서 브리지 배선부가 연장되고 있는 방향을, 제 2 부분에 발생하는 굽힘 응력의 방향에 대하여 직교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정전 용량식 센서가 곡면부를 가지는 패널에 맞붙여지는 경우라도, 브리지 배선부가 크랙 등의 손상을 입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정전 용량식 센서의 센서 기능이 영향을 받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전 용량식 센서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에 있어서, 상기 어느 일방은 상기 복수의 제 2 투명 전극이며, 상기 어느 타방은 상기 복수의 제 1 투명 전극이고, 상기 제 2 부분에 있어서, 상기 어느 일방은 상기 복수의 제 1 투명 전극이며, 상기 어느 타방은 상기 복수의 제 2 투명 전극이어도 된다. 이에 의하면, 제 1 투명 전극 및 제 2 투명 전극의 배치 관계를,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과의 사이에서 변경하지 않고, 브리지 배선부가 크랙 등의 손상을 입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전 용량식 센서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2 부분의 양방에 있어서, 상기 어느 일방은 상기 복수의 제 2 투명 전극이며, 상기 어느 타방은 상기 복수의 제 1 투명 전극이어도 된다. 이에 의하면, 복수의 제 1 투명 전극이 브리지 배선부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 관계, 및 복수의 제 2 투명 전극이 연결부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 관계는, 제 1 부분과 제 2 부분과의 사이에 있어서 동일하다. 그리고, 연결부 및 브리지 배선부의 각각이 연장되는 방향을 제 1 부분과 제 2 부분과의 사이에 있어서 상이하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복수의 제 1 투명 전극 및 복수의 제 2 투명 전극의 각각의 접속 관계를 제 1 부분과 제 2 부분과의 사이에 있어서 변경하지 않고, 브리지 배선부가 크랙 등의 손상을 입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전 용량식 센서에 있어서, 상기 제 1 투명 전극은, 마름모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 2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투명 전극은, 상기 마름모형의 부분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된 연장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브리지 배선부는, 상기 마름모형의 형상의 단부(端部)에 접속되어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 2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브리지 배선부는, 상기 연장 돌출부의 단부에 접속되어 상기 제 1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도 된다.
이에 의하면, 복수의 제 1 투명 전극이 브리지 배선부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 관계, 및 복수의 제 2 투명 전극이 연결부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 관계는, 제 1 부분과 제 2 부분과의 사이에 있어서 동일하다. 그리고, 제 2 부분에 있어서 브리지 배선부가 연장되고 있는 방향을, 제 2 부분에 발생하는 굽힘 응력의 방향에 대하여 교차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부분에 있어서의 브리지 배선부는, 마름모형의 형상의 단부에 접속되어 제 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있기 때문에, 정전 용량식 센서가 표시 장치 등에 이용되는 경우라도, 브리지 배선부의 패턴이 표시 장치의 외부에서 보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전 용량식 센서에 있어서, 상기 제 1 투명 전극은, 마름모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 2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투명 전극은, 상기 마름모형의 부분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된 연장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브리지 배선부는, 상기 마름모형의 형상의 단부에 접속되어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 2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브리지 배선부는, 상기 연장 돌출부의 단부에 접속되어 상기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도 된다.
이에 의하면, 복수의 제 1 투명 전극이 브리지 배선부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 관계, 및 복수의 제 2 투명 전극이 연결부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 관계는, 제 1 부분과 제 2 부분과의 사이에 있어서 동일하다. 그리고, 제 2 부분에 있어서 브리지 배선부가 연장되고 있는 방향을, 제 2 부분에 발생하는 굽힘 응력의 방향에 대하여 직교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부분에 있어서의 브리지 배선부는, 마름모형의 형상의 단부에 접속되어 제 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있기 때문에, 정전 용량식 센서가 표시 장치 등에 이용되는 경우라도, 브리지 배선부의 패턴이 표시 장치의 외부에서 보이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곡면을 가지는 패널에 맞붙여지는 경우라도, 브리지 구조의 손상을 억제하여, 센서 기능의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정전 용량식 센서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전 용량식 센서를 나타내는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전 용량식 센서가 패널에 맞붙여지는 공정을 설명하는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3은 패널의 평면부에 맞붙여지는 제 1 부분의 브리지 배선부를 나타내는 모식적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절단면 S1-S1에 있어서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5는 패널의 곡면부에 맞붙여지는 제 2 부분의 브리지 배선부를 나타내는 모식적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절단면 S2-S2에 있어서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7은 제 1 부분에 있어서의 다른 브리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적 확대도이다.
도 8은 제 2 부분에 있어서의 다른 브리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적 확대도이다.
도 9는 굽힘에 대한 내성 평가 시험에 이용한 시료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시험에 있어서 실시한 굽힘의 방향을 나타내는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시험의 결과의 일례를 예시하는 그래프도이다.
도 12는 본 시험의 결과의 다른 일례를 예시하는 그래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전 용량식 센서를 나타내는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전 용량식 센서가 패널에 맞붙여지는 공정을 설명하는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3은, 패널의 평면부에 맞붙여지는 제 1 부분의 브리지 배선부를 나타내는 모식적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절단면 S1-S1에 있어서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5는, 패널의 곡면부에 맞붙여지는 제 2 부분의 브리지 배선부를 나타내는 모식적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절단면 S2-S2에 있어서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2의 (a)는,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전 용량식 센서가 패널에 맞붙여지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2의 (b)는,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전 용량식 센서가 패널에 맞붙여진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적 평면도이다.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투명」및 「투광성」이란, 가시광선 투과율이 50% 이상(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의 상태를 가리킨다. 또한, 헤이즈값이 6%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의 (a) 및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전 용량식 센서(1)는, 패널(200)의 편측의 면에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접착제를 개재하여 맞붙여진다. 패널(200)은, 평면이 형성된 평면부(210)와, 곡면이 형성된 곡면부(220)를 가진다. 도 2의 (a) 및 도 2의 (b)에 나타낸 패널(200)에서는, 곡면부(220)는, 평면부(210)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 패널(200)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투광성을 가지는 유리 기재나 플라스틱 기재 등을 들 수 있다.
정전 용량식 센서(1)는, 가요성을 가진다.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전 용량식 센서(1)는, 패널(200)의 곡면을 따라 만곡되어, 패널(200)의 편측의 면을 따라 맞붙여진다. 이 때문에, 정전 용량식 센서(1)는, 패널(200)의 평면부(210)에 맞붙여지는 제 1 부분(160)과, 패널(200)의 곡면부(220)에 맞붙여지는 제 2 부분(170)을 가진다.
도 1 및 도 3~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전 용량식 센서(1)는, 기재(10)와, 제 1 전극(11)과, 제 2 전극(12)과, 브리지 배선부(20)와, 광학 투명 점착층(OCA; Optical Clear Adhesive)(35)과, 보호층(50)을 구비한다.
기재(10)는, 투광성을 가지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필름 형상의 투명 기재나 유리 기재 등으로 형성된다.
제 1 전극(11) 및 제 2 전극(12)은, 기재(10)의 검출 영역(S)(손가락 등의 조작체에 의해 조작을 행할 수 있는 영역)에 설치되어 있다. 제 1 전극(11)은, 기재(10)의 표면(10a)을 따른 X 방향(제 1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2 전극(12)은, 기재(10)의 표면(10a)을 따르는 X 방향에 직교하는 Y 방향(제 2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1 전극(11) 및 제 2 전극(12)은, 서로 절연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Y 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로 복수의 제 1 전극(11)이 배치되고, X 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로 복수의 제 2 전극(12)이 배치된다.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전극(11)은, 복수의 제 1 투명 전극(111)을 가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제 1 투명 전극(111)은, 마름모형에 가까운 형상을 가지고, X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즉, 복수의 제 1 투명 전극(111)은, X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전극(12)은, 복수의 제 2 투명 전극(121)을 가진다. 복수의 제 2 투명 전극(121)은, 마름모형에 가까운 형상을 가지고, Y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즉, 복수의 제 2 투명 전극(121)은, X 방향에 교차하는 Y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 1 투명 전극(111) 및 제 2 투명 전극(121)은, ITO(Indium Tin Oxide), SnO2, ZnO 등의 투명 도전성 재료로 스퍼터나 증착 등에 의해 형성된다. 투명 도전성 재료로서는, ITO, SnO2, ZnO 외에, 은 나노 와이어에 대표되는 금속 나노 와이어, 메시 형상으로 형성된 얇은 금속, 혹은 도전성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제 1 투명 전극(111) 및 제 2 투명 전극(121)은, 도전성 잉크로 스크린 인쇄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혹은, 제 1 투명 전극(111) 및 제 2 투명 전극(121)은, 감광형 도전성 시트(이른바, 드라이 필름 레지스트에 도전층을 가진 시트)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감광형 도전성 시트를 이용함으로써, 이 시트를 부착하여 노광 및 현상을 행하여 제 1 투명 전극(111) 및 제 2 투명 전극(121)을 생산성 높게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제 1 전극(11)의 각각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출 영역(S)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인출 배선(11a)이 접속된다. 또한, 복수의 제 2 전극(12)의 각각에는, 검출 영역(S)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인출 배선(12a)이 접속된다. 제 1 전극(11)에는 인출 배선(11a)를 통하여 구동 전압이 부여되고, 제 2 전극(12)에는 인출해 배선(12a)을 통하여 구동 전압이 부여된다. 각 인출 배선(11a, 12a)은, 제 1 투명 전극(111) 및 제 2 투명 전극(121)과 동일한 투명 도전성 재료로 스퍼터나 증착 등에 의해 형성되어도 되며, 투광성은 반드시 요구되는 것은 아니므로 별도의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해도 된다.
도 3~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전극(11)과 제 2 전극(12)은, 이웃하는 2개의 제 1 투명 전극(111)의 연결 위치와, 이웃하는 2개의 제 2 투명 전극(121)의 연결 위치에서 교차하고 있다. 이 교차 부분에 브리지 배선부(20)가 설치되고, 교차 부분에 있어서 제 1 전극(11)과 제 2 전극(12)이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전 용량식 센서(1)는, 브리지 구조(전극끼리의 교차 구조)를 가진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전 용량식 센서(1)의 제 1 부분(160)에 있어서, 이웃하는 2개의 제 2 투명 전극(121)의 사이에는 연결부(122)가 설치된다. 연결부(122)는, 제 2 투명 전극(121)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전극(12)은, Y 방향으로 제 2 투명 전극(121)과 연결부(122)가 번갈아 반복되는 구성이 된다. 연결부(122)는, 각 제 2 투명 전극(121)간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전 용량식 센서(1)의 제 1 부분(160)에 있어서, 이웃하는 2개의 제 1 투명 전극(111)의 사이에는 브리지 배선부(20)가 설치된다. 브리지 배선부(20)는, 제 1 투명 전극(111)과는 별체로 연결부(122)에 교차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전극(11)은, X 방향으로 제 1 투명 전극(111)과 브리지 배선부(20)가 번갈아 반복되는 구성이 된다. 도 3에 나타낸 브리지 배선부(20)는, X 방향으로 연장되고 있다. 단,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전 용량식 센서(1)에서는, 연결부 및 브리지 배선부(20)가 연장되고 있는 방향은, 검출 영역(S)의 전체에 걸쳐 동일하게는 되어 있지 않다.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전 용량식 센서(1)의 제 2 부분(170)에 있어서의 연결부 및 브리지 배선부(20)의 패턴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연결부(122)의 표면에는, 절연층(30)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층(30)은, 연결부(122)와 제 1 투명 전극(111)과의 사이의 공간을 메우고, 제 1 투명 전극(111)의 표면에도 다소 얹혀 있다. 절연층(30)으로서는, 예를 들면 노볼락 수지(레지스트)가 이용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리지 배선부(20)는, 절연층(30)의 표면(30a)으로부터 절연층(30)의 양측에 위치하는 각 제 1 투명 전극(111)의 표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브리지 배선부(20)는, 각 제 1 투명 전극(111)간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제 2 투명 전극(121)간을 접속하는 연결부(122)의 표면에는 절연층(30)이 설치되고, 절연층(30)의 표면에 각 제 1 투명 전극(111)간을 접속하는 브리지 배선부(2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연결부(122)와 브리지 배선부(20)와의 사이에는 절연층(30)이 개재되고, 제 1 투명 전극(111)과 제 2 투명 전극(121)은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투명 전극(111)과 제 2 투명 전극(121)을 동일한 면(기재(10)의 표면(10a))에 형성 할 수 있어, 정전 용량식 센서(1)의 박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22), 절연층(30) 및 브리지 배선부(20)는, 모두 검출 영역(S) 내에 위치하는 것이며, 제 1 투명 전극(111) 및 제 2 투명 전극(121)과 마찬가지로 투광성을 가진다.
보호층(50)은, 광학 투명 점착층(35)을 개재하여 브리지 배선부(20)의 위에 설치되어 있다. 보호층(50)은, 광학 투명 점착층(35)을 개재하여 기재(10)에 접합되어 있다. 보호층(50)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보호층(50)의 재료로서는, 유리 기재나 플라스틱 기재가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광학 투명 점착층(35)은, 아크릴계 점착제나 양면 점착 테이프 등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정전 용량식 센서(1)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호층(50)의 조작면(50a) 상에 손가락(F)을 접촉시키면, 손가락(F)과 손가락(F)에 가까운 제 1 투명 전극(111)과의 사이, 및 손가락(F)과 손가락(F)에 가까운 제 2 투명 전극(121)과의 사이에서 정전 용량이 발생한다. 정전 용량식 센서(1)는, 이 때의 정전 용량 변화에 의거하여, 손가락(F)의 접촉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정전 용량식 센서(1)는, 손가락(F)과 제 1 전극(11)과의 사이의 정전 용량 변화에 의거하여 손가락(F)의 위치의 Y 좌표를 검지하고, 손가락(F)과 제 2 전극(12)과의 사이의 정전 용량 변화에 의거하여 손가락(F)의 위치의 X 좌표를 검지한다(자기 용량 검출형).
혹은, 정전 용량식 센서(1)는, 상호 용량 검출형이어도 된다. 즉, 정전 용량식 센서(1)는, 제 1 전극(11) 및 제 2 전극(12) 중 어느 일방의 전극의 일렬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고, 제 1 전극(11) 및 제 2 전극(12) 중 어느 타방의 전극과 손가락(F)과의 사이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지해도 된다. 이에 따라, 정전 용량식 센서(1)는, 타방의 전극에 의해 손가락(F)의 위치의 Y 좌표를 검지하고, 일방의 전극에 의해 손가락(F)의 위치의 X 좌표를 검지한다.
여기서, 정전 용량식 센서(1)가 패널(200)에 맞붙여지면, 정전 용량식 센서(1)의 제 2 부분(170)에 굽힘 응력이 발생한다. 그러면, 브리지 배선부에 크랙 등의 손상이 발생하여, 브리지 배선부의 저항값이 변화될 우려가 있다. 브리지 배선부의 저항값이 변화되면, 정전 용량식 센서의 센서 기능이 영향을 받는 경우가 있다.
이에 비하여,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전 용량식 센서(1)의 제 2 부분(170)에 있어서, 이웃하는 2개의 제 1 투명 전극(111)의 사이에는 연결부(112)가 설치된다. 연결부(112)는, 제 1 투명 전극(111)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전극(11)은, X 방향으로 제 1 투명 전극(111)과 연결부(112)가 번갈아 반복되는 구성이 된다. 연결부(112)는, 각 제 1 투명 전극(111)간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전 용량 센서(1)의 제 2 부분(170)에 있어서, 이웃하는 2개의 제 2 투명 전극(121)의 사이에는 브리지 배선부(20)가 설치된다. 브리지 배선부(20)는, 제 2 투명 전극(121)과는 별체로 연결부(112)에 교차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전극(12)은, Y 방향으로 제 2 투명 전극(121)과 브리지 배선부(20)가 번갈아 반복되는 구성이 된다. 도 5에 나타낸 브리지 배선부(20)는, Y 방향으로 연장되고 있다.
연결부(112)의 표면에는, 절연층(30)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층(30)은, 연결부(112)와 제 2 투명 전극(121)과의 사이의 공간을 메우고, 제 2 투명 전극(121)의 표면에도 다소 얹혀 있다. 절연층(30)으로서는, 예를 들면 노볼락 수지(레지스트)가 이용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리지 배선부(20)는, 절연층(30)의 표면(30a)으로부터 절연층(30)의 양측에 위치하는 각 제 2 투명 전극(121)의 표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브리지 배선부(20)는, 각 제 2 투명 전극(121)간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제 2 부분(170)에 있어서의 다른 구조는, 제 1 부분(160)에 있어서의 구조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정전 용량식 센서(1)의 제 1 부분(160)에 있어서, 연결부(122)는, 복수의 제 2 투명 전극(121)에 일체로 설치되며, 복수의 제 2 투명 전극(121)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또한, 브리지 배선부(20)는, 복수의 제 1 투명 전극(111)과는 별체로 연결부(122)에 교차하는 부분에 설치되며, 복수의 제 1 투명 전극(111)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한편, 정전 용량식 센서(1)의 제 2 부분(170)에 있어서, 연결부(112)는, 복수의 제 1 투명 전극(111)에 일체로 설치되며, 복수의 제 1 투명 전극(111)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또한, 브리지 배선부(20)는, 복수의 제 2 투명 전극(121)과는 별체로 연결부(112)에 교차하는 부분에 설치되며, 복수의 제 2 투명 전극(121)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전 용량식 센서(1)에서는, 제 2 부분(170)에 있어서 연결부(112)가 연장되는 방향은, 제 1 부분(160)에 있어서 연결부(122)가 연장되는 방향과는 상이하며, 구체적으로는 직교한다.
이에 따라, 제 2 부분(170)에 있어서 브리지 배선부(20)가 연장되고 있는 방향은, 제 1 부분(160)에 있어서 브리지 배선부(20)가 연장되고 있는 방향과는 상이하다. 즉, 제 2 부분(170)에 있어서 브리지 배선부(20)가 연장되고 있는 방향은, 제 1 부분(160)에 있어서 브리지 배선부(20)가 연장되고 있는 방향에 교차하며, 구체적으로는 직교한다. 이 때문에,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부분(170)에 있어서 브리지 배선부(20)가 연장되고 있는 방향은, 제 2 부분(170)에 발생하는 굽힘 응력의 방향(본 실시 형태에서는, X 방향)에 직교한다.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굽힘 응력의 방향」이란, 정전 용량식 센서에 벤딩 모멘트가 작용함으로써, 정전 용량식 센서에 발생하는 인장 응력 및 압축 응력의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말한다.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전 용량식 센서(1)에 의하면, 패널(200)의 곡면부(220)에 맞붙여지는 제 2 부분(170)에 있어서 브리지 배선부(20)가 연장되고 있는 방향은, 제 2 부분(170)에 발생하는 굽힘 응력의 방향에 직교하기 때문에, 정전 용량식 센서(1)의 굽힘에 대한 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전 용량식 센서(1)가 곡면을 가지는 패널(200)에 맞붙여지는 경우라도, 브리지 배선부(20)가 크랙 등의 손상을 입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브리지 배선부(20)의 저항값이 변화되는 것을 억제하여, 정전 용량식 센서(1)의 센서 기능이 영향을 받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정전 용량식 센서(1)의 굽힘에 대한 내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곡률 반경이 보다 작은 곡면을 가지는 패널(200)에 대하여 정전 용량식 센서(1)를 맞붙일 수 있다.
또한, 제 2 부분(170)에 있어서 브리지 배선부(20)가 연장되고 있는 방향과, 제 2 부분(170)에 발생하는 굽힘 응력의 방향의 사이의 각도는, 90°±30°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어서, 다른 브리지 구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은, 제 1 부분에 있어서의 다른 브리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적 확대도이다. 도 8은, 제 2 부분에 있어서의 다른 브리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적 확대도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전 용량식 센서(1)의 제 1 부분(160)에서는, 제 1 투명 전극(111)은, 마름모형의 형상을 가진다. 또한, 제 2 투명 전극(121)은, 마름모형의 형상을 가지고, 이웃하는 다른 제 2 투명 전극(121)에 연결부(122)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브리지 배선부(20)는, 제 1 투명 전극(111)의 마름모형의 형상의 단부에 접속되며, X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있다.
한편,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전 용량식 센서(1)의 제 2 부분(170)에서는, 제 1 투명 전극(111)은, 대략 마름모형의 형상을 가지고, 마름모형의 부분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된 연장 돌출부(115)를 가진다. 연장 돌출부(115)는, X 방향(즉, 굽힘 응력의 방향)에 대하여 약 45° 정도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있다. 브리지 배선부(20)는, 제 1 투명 전극(111)의 연장 돌출부(115)의 단부에 접속되며, Y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있다.
이와 같이,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브리지 구조에서는, 제 2 부분(170)에 있어서 브리지 배선부(20)가 연장되는 방향(Y 방향)은, 제 1 부분(160)에 있어서 브리지 배선부(20)가 연장되는 방향(X 방향)에 교차하고, 구체적으로는 직교한다.
또한, 정전 용량식 센서(1)의 제 2 부분(170)에서는, 제 2 투명 전극(121)은, 대략 마름모형의 형상을 가지고, 마름모형의 부분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된 연장 돌출부(125)를 가진다. 연장 돌출부(125)는, 연결부(122)에 접속되어 있다. 즉, 본 구체예에서는, 이웃하는 2개의 제 2 투명 전극(121)은, 각각의 연장 돌출부(125) 및 연결부(122)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연결부(122)는, 각 제 1 투명 전극(111)의 연장 돌출부(115)의 사이를 연장하고 있다.
이에 의하면, 복수의 제 1 투명 전극(111)이 브리지 배선부(20)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 관계, 및 복수의 제 2 투명 전극(121)이 연결부(122)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 관계는, 제 1 부분(160)과 제 2 부분(170)과의 사이에 있어서 동일하다. 그리고, 연결부(122) 및 브리지 배선부(20)의 각각이 연장되는 방향을 제 1 부분(160)과 제 2 부분(170)과의 사이에 있어서 상이하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복수의 제 1 투명 전극(111) 및 복수의 제 2 투명 전극(121)의 각각의 접속 관계를 제 1 부분(160)과 제 2 부분(170)과의 사이에 있어서 변경하지 않고, 브리지 배선부(20)가 크랙 등의 손상을 입는 것을 억제하여, 정전 용량식 센서(1)의 센서 기능이 영향을 받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1 부분(160)에 있어서 브리지 배선부(20)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제 2 부분(170)에 있어서 브리지 배선부(20)가 연장되는 방향을 상이하게 하기 위해, 정전 용량식 센서(1)가 표시 장치 등에 이용되는 경우라도, 브리지 배선부(20)의 패턴이 표시 장치의 외부에서 보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자가 실시한 굽힘에 대한 내성 평가 시험의 일례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9는, 굽힘에 대한 내성 평가 시험에 이용한 시료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시험에 있어서 실시한 굽힘의 방향을 나타내는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시험의 결과의 일례를 예시하는 그래프도이다. 도 12은, 본 시험의 결과의 다른 일례를 예시하는 그래프도이다.
본 발명자는, 도 9에 나타낸 시료를 이용하여 맨드릴 굴곡 시험기에 의한 굽힘에 대한 내성 평가 시험을 실시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시험에 이용한 시료(300)는, 제 1 보호층(310)과, 센서부(320)와, 보강판(330)과, 제 2 보호층(340)을 가진다. 제 1 보호층(310)과, 센서부(320)와, 보강판(330)과, 제 2 보호층(340)은,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센서부(320)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의 필름 형상의 투명 기재의 위에, 제 1 투명 전극(111) 및 제 2 투명 전극(121)을 포함하는 회로 등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시료(300)에 있어서, 이웃하는 2개의 제 1 투명 전극(111)은, 브리지 배선부(20)를 개재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웃하는 2개의 제 2 투명 전극(121)은, 연결부(122)를 개재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보강판(33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보강판(330)은, 광학 투명 점착층을 개재하여 센서부(320)의 위에 접합되어 있다.
센서부(320)와 보강판(330)을 가지는 적층체의 쌍방의 면에는, 보호층이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보호층(310)은, 센서부(320)의 아래에 설치되어 있다. 제 2 보호층(340)은, 보강판(330)의 위에 설치되어 있다. 제 1 보호층(310) 및 제 2 보호층(340)의 각각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에 의해 형성된 기재와, 아크릴계 점착재층에 의해 형성된 광학 투명 점착층을 가진다. 제 1 보호층(310)은, 아크릴계 점착재층에 의해 형성된 광학 투명 점착층에 의해 센서부(320)에 접합되어 있다. 제 2 보호층(340)은, 아크릴계 점착재층에 의해 형성된 광학 투명 점착층에 의해 보강판(330)에 접합되어 있다.
이상, 도 9에 관하여 설명한 시료를 이용하여, 본 발명자는, 맨드릴 굴곡 시험기에 의한 굽힘에 대한 내성 평가 시험을 실시했다.
제 1 시료의 센서부(320)에 설치된 브리지 배선부(20)는, 도 10에 나타낸 제 1 축(A1)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있다. 제 1 시료에 대해서는, 제 1 축(A1)에 직교하는 제 2 축(A2)을 축으로 하여 도 10에 나타낸 화살표(A12)의 방향으로 굴곡시킨다. 이 때문에, 브리지 배선부(20)가 연장되고 있는 방향은, 굽힘 방향의 제 2 축(A2)에 직교한다.
또한, 제 2 시료의 센서부(320)에 설치된 브리지 배선부(20)도, 도 10에 나타낸 제 1 축(A1)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있다. 제 2 시료에 대해서는, 제 1 축(A1)을 축으로 하여 도 10에 나타낸 화살표(A11)의 방향으로 굴곡시킨다. 이 때문에, 브리지 배선부(20)가 연장되고 있는 방향은, 굽힘 방향의 제 1 축(A1)에 평행해진다.
제 2 축(A2)을 축으로 한 화살표(A12)의 방향으로 제 1 시료를 1회만 굴곡시키고, 제 1 축(A1)을 축으로 한 화살표(A11)의 방향으로 제 2 시료를 1회만 굴곡시켜, 부하를 인가하기 전과, 부하를 인가한 후의 사이에 있어서의 전검값(電檢値)(CX)의 변화를 확인했다. 또한, 「CX」는, 센서부(320)의 정전 용량의 보정값이다. 굽힘의 직경은, φ20, φ16, φ10, φ8, φ6 및 φ4이다. 굽힘의 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축(A2) 및 제 1 축(A1)이다.
제 1 시료의 시험 결과의 일례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다. 본 발명자가 얻은 지견에 의하면, 시험 전후에 있어서의 전검값의 변화량의 허용 범위는, 「±2 이내」이다. 이에 의하면, 제 1 시료에 있어서, 굽힘의 직경이 φ6 이상인 경우에는, 브리지 배선부(20)가 크랙 등의 손상을 입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센서부(320)의 센서 기능이 영향을 받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2 시료의 시험 결과의 일례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다. 시험 전후에 있어서의 전검값의 변화량의 허용 범위는, 제 1 시료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2」 이내이다. 이에 의하면, 제 2 시료에 있어서, 굽힘의 직경이 φ4 이상인 경우에는, 브리지 배선부(20)가 크랙 등의 손상을 입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센서부(320)의 센서 기능이 영향을 받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제 1 시료 및 제 2 시료의 굽힘에 대한 내성 평가 시험의 결과로부터, 제 1 시료와 비교하여, 제 2 시료의 굽힘의 직경을 작게 해도 브리지 배선부(20)의 손상이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즉, 브리지 배선부(20)가 연장되는 방향이 굽힘 방향의 축에 평행한 경우에는, 브리지 배선부(20)가 연장되는 방향이 굽힘 방향의 축에 직교인 경우와 비교하여, 브리지 배선부(20)의 손상이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도 2의 (b)에 나타낸 제 2 부분(170)에 있어서, 브리지 배선부(20)가 연장되는 방향을 곡면의 축방향에 대하여 평행에 가깝게 하는 것이, 브리지 배선부(20)의 손상을 억제하는 것에 대하여 유리하다.
또한, 상기에 본 실시 형태 및 그 적용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서술한 각 실시 형태 또는 그 적용예에 대하여, 당업자가 적절히, 구성 요소의 추가, 삭제, 설계 변경을 행한 것이나, 각 실시 형태의 특징을 적절히 조합시킨 것도, 본 발명의 요지를 구비하고 있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함유된다.
1 정전 용량식 센서
10 기재
10a 표면
11 제 1 전극
11a 인출 배선
12 제 2 전극
12a 인출 배선
20 브리지 배선부
30 절연층
30a 표면
35 광학 투명 점착층
50 보호층
50a 조작면
111 제 1 투명 전극
112 연결부
115 연장 돌출부
121 제 2 투명 전극
122 연결부
125 연장 돌출부
160 제 1 부분
170 제 2 부분
200 패널
210 평면부
220 곡면부
300 시료
310 제 1 보호층
320 센서부
330 보강판
340 제 2 보호층
A1 제 1 축
A11 화살표
A12 화살표
A2 제 2 축
F 손가락
S 검출 영역

Claims (16)

  1. 평면부와 곡면부를 가지는 패널에 맞붙여지는 정전 용량식 센서로서,
    검출 영역에 있어서 제 1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며, 투광성을 가지는 복수의 제 1 투명 전극과,
    상기 검출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에 교차하는 제 2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며, 투광성을 가지는 복수의 제 2 투명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제 1 투명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 2 투명 전극 중 어느 일방에 일체로 설치되며, 상기 어느 일방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연결부와,
    상기 복수의 제 1 투명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 2 투명 전극 중 어느 타방과는 별체로 상기 연결부에 교차하는 부분에 절연층을 개재하여 설치되며, 상기 어느 타방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브리지 배선부를 구비하고,
    상기 곡면부에 맞붙여지는 제 2 부분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연장되는 방향은, 상기 평면부에 맞붙여지는 제 1 부분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연장되는 방향과는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식 센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분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연장되는 방향은, 상기 제 1 부분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연장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식 센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분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 배선부가 연장되는 방향은, 상기 제 1 부분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 배선부가 연장되는 방향에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식 센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분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 배선부가 연장되는 방향은, 상기 제 1 부분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 배선부가 연장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식 센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에 있어서, 상기 어느 일방은 상기 복수의 제 2 투명 전극이며, 상기 어느 타방은 상기 복수의 제 1 투명 전극이고,
    상기 제 2 부분에 있어서, 상기 어느 일방은 상기 복수의 제 1 투명 전극이며, 상기 어느 타방은 상기 복수의 제 2 투명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식 센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에 있어서, 상기 어느 일방은 상기 복수의 제 2 투명 전극이며, 상기 어느 타방은 상기 복수의 제 1 투명 전극이고,
    상기 제 2 부분에 있어서, 상기 어느 일방은 상기 복수의 제 1 투명 전극이며, 상기 어느 타방은 상기 복수의 제 2 투명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식 센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에 있어서, 상기 어느 일방은 상기 복수의 제 2 투명 전극이며, 상기 어느 타방은 상기 복수의 제 1 투명 전극이고,
    상기 제 2 부분에 있어서, 상기 어느 일방은 상기 복수의 제 1 투명 전극이며, 상기 어느 타방은 상기 복수의 제 2 투명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식 센서.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2 부분의 양방에 있어서, 상기 어느 일방은 상기 복수의 제 2 투명 전극이며, 상기 어느 타방은 상기 복수의 제 1 투명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정전 용량식 센서.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2 부분의 양방에 있어서, 상기 어느 일방은 상기 복수의 제 2 투명 전극이며, 상기 어느 타방은 상기 복수의 제 1 투명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정전 용량식 센서.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2 부분의 양방에 있어서, 상기 어느 일방은 상기 복수의 제 2 투명 전극이며, 상기 어느 타방은 상기 복수의 제 1 투명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정전 용량식 센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투명 전극은, 마름모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 2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투명 전극은, 상기 마름모형의 부분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된 연장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브리지 배선부는, 상기 마름모형의 형상의 단부에 접속되어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 2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브리지 배선부는, 상기 연장 돌출부의 단부에 접속되어 상기 제 1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식 센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투명 전극은, 마름모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 2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투명 전극은, 상기 마름모형의 부분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된 연장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브리지 배선부는, 상기 마름모형의 형상의 단부에 접속되어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 2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브리지 배선부는, 상기 연장 돌출부의 단부에 접속되어 상기 제 1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식 센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투명 전극은, 마름모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 2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투명 전극은, 상기 마름모형의 부분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된 연장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브리지 배선부는, 상기 마름모형의 형상의 단부에 접속되어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 2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브리지 배선부는, 상기 연장 돌출부의 단부에 접속되어 상기 제 1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식 센서.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투명 전극은, 마름모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 2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투명 전극은, 상기 마름모형의 부분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된 연장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브리지 배선부는, 상기 마름모형의 형상의 단부에 접속되어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 2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브리지 배선부는, 상기 연장 돌출부의 단부에 접속되어 상기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식 센서.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투명 전극은, 마름모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 2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투명 전극은, 상기 마름모형의 부분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된 연장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브리지 배선부는, 상기 마름모형의 형상의 단부에 접속되어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 2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브리지 배선부는, 상기 연장 돌출부의 단부에 접속되어 상기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식 센서.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투명 전극은, 마름모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 2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투명 전극은, 상기 마름모형의 부분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된 연장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브리지 배선부는, 상기 마름모형의 형상의 단부에 접속되어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 2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브리지 배선부는, 상기 연장 돌출부의 단부에 접속되어 상기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식 센서.
KR1020187015825A 2015-12-11 2016-12-08 정전 용량식 센서 Expired - Fee Related KR1020390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42042 2015-12-11
JP2015242042 2015-12-11
PCT/JP2016/086534 WO2017099173A1 (ja) 2015-12-11 2016-12-08 静電容量式セン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315A KR20180078315A (ko) 2018-07-09
KR102039009B1 true KR102039009B1 (ko) 2019-10-31

Family

ID=59014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5825A Expired - Fee Related KR102039009B1 (ko) 2015-12-11 2016-12-08 정전 용량식 센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558308B2 (ko)
EP (1) EP3388927A4 (ko)
JP (1) JP6509370B2 (ko)
KR (1) KR102039009B1 (ko)
CN (1) CN108351734B (ko)
WO (1) WO20170991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0807B1 (ko) * 2017-12-12 2022-08-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US11640210B2 (en) * 2020-11-27 2023-05-02 Tpk Advanced Solutions Inc. Touch panel and touch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9979A1 (ja) 2008-09-12 2010-03-18 オプトレックス株式会社 静電容量型タッチパネル、表示装置および静電容量型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
US20150241924A1 (en) 2014-02-27 2015-08-27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Touch panel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2644A (ja) * 2006-03-31 2007-10-18 Gunze Ltd 透明タッチパネル
US8593410B2 (en) * 2009-04-10 2013-11-26 Apple Inc. Touch sensor panel design
KR101100987B1 (ko) * 2010-03-23 2011-12-3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706234B1 (ko) * 2010-10-13 2017-02-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US8717330B2 (en) * 2010-11-22 2014-05-06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Flexible projective capacitive touch sensor structure
CN102253776B (zh) * 2011-07-06 2013-07-03 汕头超声显示器有限公司 用于遏制画面干扰的电容触摸屏的电极搭桥连接结构
KR101375335B1 (ko) * 2012-05-15 2014-03-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TWI460772B (zh) * 2012-06-29 2014-11-11 Innocom Tech Shenzhen Co Ltd 觸控面板及觸控顯示裝置
US9419065B2 (en) * 2012-08-07 2016-08-16 Apple Inc. Flexible displays
TWI599921B (zh) * 2012-09-07 2017-09-2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觸控面板
KR102077316B1 (ko) * 2012-11-14 2020-04-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이를 구비한 플렉서블 표시장치
TWI494839B (zh) * 2013-01-18 2015-08-01 Elan Microelectronics Corp 觸控感應結構
KR102075040B1 (ko) * 2013-02-05 2020-0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US10120447B2 (en) * 2013-06-24 2018-11-06 Northwestern University Haptic display with simultaneous sensing and actuation
JP6176716B2 (ja) 2013-09-04 2017-08-0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携帯機器
KR102119603B1 (ko) * 2013-09-06 2020-06-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CN104423715B (zh) * 2013-09-11 2019-07-23 Lg伊诺特有限公司 触摸窗和包括该触摸窗的显示器
KR102347532B1 (ko) * 2014-01-23 2022-01-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을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9965113B2 (en) * 2014-04-14 2018-05-08 Lg Innotek Co., Ltd. Touch window
JP2016027464A (ja) * 2014-05-30 2016-02-1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入力装置、情報処理装置
CN105183203A (zh) * 2014-06-13 2015-12-23 宝宸(厦门)光学科技有限公司 触控面板及触控式电子装置
KR102267357B1 (ko) * 2014-12-15 2021-06-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장치
KR102312260B1 (ko) * 2015-01-09 2021-10-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터치 패널 및 플렉서블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9979A1 (ja) 2008-09-12 2010-03-18 オプトレックス株式会社 静電容量型タッチパネル、表示装置および静電容量型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
US20150241924A1 (en) 2014-02-27 2015-08-27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Touch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99173A1 (ja) 2017-06-15
US10558308B2 (en) 2020-02-11
KR20180078315A (ko) 2018-07-09
CN108351734A (zh) 2018-07-31
JPWO2017099173A1 (ja) 2018-08-09
CN108351734B (zh) 2020-12-01
US20180217703A1 (en) 2018-08-02
EP3388927A1 (en) 2018-10-17
JP6509370B2 (ja) 2019-05-08
EP3388927A4 (en) 2019-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9224B1 (ko) 정전 용량식 센서
KR102267357B1 (ko) 터치 센서 장치
EP2977866B1 (en)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touch panel
US8698025B2 (en) Input device
US9817529B2 (en) Flexible touch panel
KR102053258B1 (ko) 터치 윈도우
KR20120030422A (ko)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
TW201337680A (zh) 輸入裝置
KR102039009B1 (ko) 정전 용량식 센서
KR102105607B1 (ko) 정전 용량식 센서
KR101181056B1 (ko) 터치 패널
KR20150045311A (ko) 터치 패널
KR102098383B1 (ko) 터치 윈도우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00333937A1 (en) Input device
CN211742067U (zh) 输入装置
KR102120184B1 (ko) 터치 센서
KR101114024B1 (ko) 터치 패널
JP3173905U (ja) 静電容量式タッチセンサ装置
KR20160073278A (ko) 터치 센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50087550A (ko) 터치 패널
KR20150046669A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0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6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6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2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0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0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