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8526B1 - High place working vehicles having tiltable and raollerable basket - Google Patents
High place working vehicles having tiltable and raollerable baske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38526B1 KR102038526B1 KR1020190025191A KR20190025191A KR102038526B1 KR 102038526 B1 KR102038526 B1 KR 102038526B1 KR 1020190025191 A KR1020190025191 A KR 1020190025191A KR 20190025191 A KR20190025191 A KR 20190025191A KR 102038526 B1 KR102038526 B1 KR 1020385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cket
- vertical
- rolling
- pitching
- vertical bracke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13 f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20 orchar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2—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actuated by lazy-tongs mechanisms or articulated le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소작업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소작업차에 구비되어 리프팅되는 작업대를 틸팅시켜 작업대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고소작업차는, 주행 가능한 차체 바디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붐대와, 붐대에 구비되어 리프팅되는 작업대를 포함하되, 고소작업차에는, 작업대에 연결되는 수직브라켓과, 수직브라켓에 연결되어 붐대를 연결하는 연결브라켓을 포함하고, 연결브라켓을 수직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여 작업대를 붐대에 대해 피칭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피칭회전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aerial work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he aerial work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ably installed on a movable body body so as to tilt the lifting work platform provided in the aerial work vehicle so as to keep the work bench horizontal. Includes a boom and a lifting platform provided on the boom, the aerial platform includes a vertical bracket connected to the workbench, and a connecting bracket connected to the vertical bracket to connect the boom, rotating the connecting bracket to the vertical bracket Pitching rotation means for connecting the worktable to enable the pitching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boom can be provided.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소작업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소작업차에 구비되어 리프팅되는 작업대를 틸팅 및 롤링시켜 작업대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틸팅 가능한 작업대를 갖는 고소작업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erial work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erial work vehicle having a tiltable work platform provided by the aerial work vehicle to tilt and roll a lifting work platform to maintain a horizontal work bench.
일반적으로, 고소작업차는 높은 위치에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서, 작업자가 탑승하는 작업대(통상 '바스켓'이라고도 하며, 이하에서는 "작업대"라 칭한다)와, 작업대를 리프팅시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리프팅수단을 포함한다.In general, the aerial vehicle is a device for performing work in a high position, a lifting platform that can adjust the height by lifting a work platform (commonly referred to as a "basket", hereinafter referred to as "basket", "work table") and the work platform on which the worker boards Means;
이러한 고소작업차는 작업대를 높은 위치로 리프팅시킨 상태에서 고층 외벽공사나, 가로등 보수, 간판 설치 등의 고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The aerial work vehicle enables the aerial work, such as high-rise exterior wall construction, street lamp repair, signage installation, and the like to be lifted to a high position.
한편, 고소작업차에는 고소작업 중, 전복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아웃트리거가 구비되고, 아웃트리거를 고소작업차의 사방으로 펼쳐 설치함으로써 고소작업차를 지지 고정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aerial vehicle is provided with an outrigger for preventing overturning accidents during the aerial operation, and the outriggers are installed in all directions of the aerial vehicle to support and secure the aerial vehicle.
그런데, 이와 같은 고소작업차의 이동시에는 아웃트리거를 일일이 접었다 펼치는 동작을 반복해야 하므로 기동성이 떨어지고, 수시로 이동과 정지를 반복하며 고소작업을 해야 하는 과수 농가에서는 고소작압차를 과수 수확용으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However, when the aerial vehicle is moved, the outriggers must be folded and unfolded one by one, so the maneuverability is reduced, and the fruit farms that have to move and stop repeatedly from time to time are required to use the small-tension pressure difference for fruit harvesting. Inadequate
더불어, 농사지(農事地)의 경우에는 일반 도로와는 달리 경사가 심한 곳이 많으므로 아웃트리거가 필요하고, 그 위치와 경사에 따라 기울어진 방향을 지지할 수 있는 아웃트리거가 필요하지만, 그런 구성이 구비된 농사용 고소차량은 전무하였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farmland, there are many places where the slope is severe unlike general roads, so an outrigger is needed, and an outrigger that can support the inclined direc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the slope is necessary, but There were no farming aerial vehicles equipped with the composition.
한편, 등록실용신안 제20-0431776호(이하 '선행기술문헌1'이라 한다)에는 고소작업용 차량이 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431776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document 1") discloses a vehicle for aerial work.
이러한 선행기술문헌1에 개시된 종래의 고소작업용 차량은, 고소작업을 위해 작업자가 탑승하게 되는 탑승부가 구비되고, 탑승부의 승,하강 및 전,후진 이동을 위한 리프트와 작동을 위한 유압장치가 구비되며, 탑승부에 탑승한 작업자가 제어부를 직접 조작하여 탑승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에 의한 작업 위치 설정이 자유롭게 구성되어 이동성이 용이해지도록 하고 있다.Conventional aerial work vehicle disclosed in the prior art document 1 is provided with a boarding unit that the operator is to board for the aerial work, is equipped with a hydraulic device for the lift and operation for the lifting, lowering and forward, backward movement of the boarding portion. In order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boarding part by allowing the operator boarding the board to directly control the control unit, the work position setting by the operator is freely configured to facilitate mobility.
하지만, 선행기술문헌1에 개시된 고소작업용 차량은 농지와 같이 많은 경사로 인한 불규칙한 지형에서는 차량이 농지의 경사면에 의해 기울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고소작업용 차량에서 리프팅된 작업대 역시도 고소작업용 차량과 같이 기울어지게 됨으로써 작업대에 탑승하기가 어려울 뿐 아니라 작업대에서 작업 중인 경우에는 기울어진 작업대로 인해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aerial work vehicle disclosed in the prior art document 1 is inclined by the inclined surface of the farmland in irregular terrain due to many slopes, such as farmland, thereby the work platform lifted from the aerial work vehicle is also inclined like the aerial work vehicle Not only is it difficult to get on the workbench, but when working on the workbench,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afety of the worker cannot be guaranteed due to the tilted workbench.
이에, 본 출원인은 국내 등록특허 제10-1765421호(이하 '선행기술문헌2'라 한다)를 통해, 상기한 문제를 개선하도록 하였다. 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nt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through the domestic registered patent No. 10-1765421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document 2").
이러한 선행기술문헌2에 개시된 종래의 고소작업차는, 차량에 구비된 붐대에 틸팅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업대를 제공함으로써, 차량이 기울어지더라도 틸팅 동작을 통해 작업대의 수평을 유지함에 따라 작업대에 탑승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도록 하였다.The conventional aerial work vehicle disclosed in the prior art document 2, by providing a worktable that is tiltably installed on the boom provided in the vehicle, the worker boarded on the workbench as the level of the workbench through the tilting operation even if the vehicle is tilted To ensure safety.
하지만, 선행기술문헌2에 개시된 고소작업차는, 기울어진 차량에 대해 수평을 유지할 수 있었으나, 농지나 과수원 등의 불규칙한 노면의 임야뿐 아니라, 언덕이나 산과 같이 극심한 경사로 등에서는 차량이 한 방향으로만 기울어지는 것이 아니기에, 한 방향의 틸팅 동작만으로 수평을 유지하는 것이 다소 제한적이라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aerial work vehicle disclosed in the prior art document 2 was able to maintain a level with respect to the inclined vehicle, but in addition to irregular roads such as farmland or orchards, and in extreme slopes such as hills or mountains, the vehicle tilts only in one direction. Since it does not los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somewhat limited to maintain the level by tilting in one direction only.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고소작업차 및 이에 구비된 작업대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aerial work vehicle as described above and the work table provided therein is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prior art document,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고소작업차에서 리프팅되는 작업대를 틸팅시켜 불규칙한 노면이나 심한 경사로 등에서 고소작업차의 비수평 상태에서도 작업대의 수평 유지가 가능한 다방향으로의 틸팅 및 롤링 가능한 작업대를 갖는 고소작업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by tilting the workbench lifting in the aerial work vehicle to maintain the workbench level even in the non-horizontal state of the aerial work platform on irregular road surface or severe slop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erial platform having a worktable capable of tilting and rolling in as many directions as possible.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는 주행 가능한 차체 바디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붐대와, 붐대에 구비되어 리프팅되는 작업대를 포함하되, 고소작업차에는, 작업대에 연결되는 수직브라켓과, 수직브라켓에 연결되어 붐대를 연결하는 연결브라켓을 포함하고, 연결브라켓을 수직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여 작업대를 붐대에 대해 피칭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피칭회전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eri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om that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vehicle body capable of running, and a work platform provided on the boom lifting, vertical platform connected to the work platform And a connection bracket connected to the vertical bracket to connect the boom, and a pitching rotation means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connection bracket to the vertical bracket to enable the pitching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boom.
그리고, 수직브라켓은 작업대에 대면하도록 형성되는 수직판과, 수직판의 양단부에 작업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수직하여 절곡 형성되는 한 쌍의 절곡판을 구비하며, 연결브라켓은 수직브라켓의 양 절곡판 사이에 일부가 수용되어서 피칭회전수단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vertical bracket includes a vertical plate formed to face the work table, and a pair of bending plates formed at both ends of the vertical plate to be bent vertically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work table, and the connection bracket is between the two bending plates of the vertical bracket. A part of which is accommodated in and rotatably coupled by the pitching rotation means.
또한, 연결브라켓은 수직브라켓의 양 절곡판의 대향면에 각각 접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접판과, 양 접판 사이를 가로지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연결브라켓의 접판은 구배지게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수직브라켓의 수직판에 걸리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bracket may include a pair of contact plates disposed to be in contact with opposite surfaces of both bending plates of the vertical bracket, and at least one fixing plate intersecting between the contact plates, and the contact bracket of the connection bracket is formed to be gradient. It can be configured not to be caught by the vertical plate of the vertical bracket by the rotation.
더욱이, 피칭회전수단은, 수직브라켓 및 연결브라켓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피칭회전축과, 피칭회전축을 축으로 연결브라켓이 수직브라켓에 대해 회전하도록 회전방향의 법선방향으로 신축되는 피칭실린더를 포함하되, 피칭실린더는 수직브라켓에 대해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pitching rotating means includes a pitching rotary shaft inserted through the vertical bracket and the connecting bracket, and a pitching cylinder stretched in the normal direction of the rotational direction so that the connecting bracket rotates about the vertical bracket with the pitching rotary shaft as the axis. The cylinder may be disposed orthogonal to the vertical bracket and oper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한편, 수직브라켓을 작업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여 작업대를 붐대에 대해 롤링운동 가능하도록 하는 롤링회전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by connecting the vertical bracket rotatably to the worktable may be provided with a rolling rotating means to enable the rolling movement of the worktable relative to the boom.
그리고, 롤링회전수단은, 수직브라켓 및 작업대에 삽입되는 롤링회전축과, 롤링회전축을 축으로 수직브라켓을 회전시키는 롤링실린더를 포함하고, 롤링실린더는 수직브라켓과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수직 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다.The rolling rotating means may include a rolling shaft inserted into the vertical bracket and the work table, and a rolling cylinder rotating the vertical bracket around the rolling rotating shaft, and the rolling cylinder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vertical bracket to oper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have.
또한, 롤링회전축은 수직브라켓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작업대의 롤링회전 반경을 줄이도록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lling rotating shaft is provided to be located above the vertical bracket, it can be set to reduce the rolling rotation radius of the workbench.
본 발명의 틸팅 가능한 작업대를 갖는 고소작업차에 따르면, 고소작업차에서 리프팅되는 작업대를 틸팅 및 롤링시켜 불규칙한 노면이나 심한 경사로 등에서 고소작업차의 비수평 상태에서도 작업대의 수평 유지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작업대에 안전하게 탑승할 수 있고, 작업대에 탑승한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erial platform having a tiltable work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ilting and rolling the work platform lifted from the aerial work platform,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work surface horizontally even in the non-horizontal state of the aerial work platform on irregular roads or severe slopes, etc. It can be safely board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mote the safety of workers on the workbench.
또한, 본 발명의 틸팅 가능한 작업대를 갖는 고소작업차는, 한 방향이 아닌 다방향으로의 틸팅 및 롤링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한 방향으로의 기울어짐이 아닌 여러 방향으로의 기울어짐에 대해 작업대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어, 그 안전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aerial work vehicle having a tiltable work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tilting and rolling in multiple directions instead of one direction, thereby keeping the worktable horizontal against tilting in several directions instead of tilting in one direc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afet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를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작업대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주요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단면을 도시하는바, 도 2의 "A"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피칭회전수단에 의해 피칭운동된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롤링회전수단에 의해 롤링운동된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aeri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aeri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orking platform of the aeri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main configuration of the aeri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A" of FIG. 2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aeri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operation view showing a state pitched by the pitching rotation means of the aeri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lling motion by the rolling rotating means of the aeri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를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작업대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주요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단면을 도시하는바, 도 2의 "A"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피칭회전수단에 의해 피칭운동된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롤링회전수단에 의해 롤링운동된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aeri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aeri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orking platform of the aeri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main configuration of the aeri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A" of FIG. 2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aeri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operation view showing a state pitched by the pitching rotation means of the aeri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lling motion by the rolling rotating means of the aeri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차(1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무한궤도 바퀴(120)에 의해 주행 가능한 차체 바디(110)와, 차체 바디(110) 상부에 설치되어 상하좌우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붐대(130)와, 붐대(130)의 선단부에 구비되어 리프팅되는 작업대(20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고소작업차(100)는 작업대(200)를 높은 위치로 리프팅시켜 고소작업이 가능하게 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농업용으로 사용되는 고소작업차(100)를 일례로 들어 설명한다.The
이러한 고소작업차(100)의 차체 바디(110)에는 무한궤도 바퀴(120) 이외의 타이어 바퀴가 구비될 수도 있고, 붐대(130)는 그 길이가 텔레스코프 방식으로 신장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The
또한, 고소작업차(100)의 작업대(200)는 작업자가 탑승하도록 판재 형상의 발판(210)이 마련되고, 작업자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발판(210)의 둘레측에는 펜스(220)가 구비될 수 있다. 작업대(200)의 펜스(220)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봉 형상의 프레임들로 구비될 수도 있고, 적정 두께를 갖는 판재나 각형 프레임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펜스(220)에는 후술할 수직브라켓(140)이 결합되는 결합판(221)이 일측에 수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그 타측에는 작업자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개방되는 입구(230)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차(100)에는, 작업대(200)에 연결되는 수직브라켓(140)과, 수직브라켓(140)에 연결되는 한편 붐대(13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브라켓(150)이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수직브라켓(140)은 작업대(200)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대(200)에 일 측면에 결합되는바, 작업대(200)의 펜스(220)의 일면과 대면하도록 형성되는 수직판(141)을 구비한다. 수직브라켓(140)의 수직판(141)은 작업대(200)의 높이에 대응하여 길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후술하겠지만 작업대(200)와 접하는 면적을 넓혀 작업대(200)와의 안정적인 결합과 지지가 가능하도록 기능하게 한다.The
이러한 수직브라켓(140)의 수직판(141)에는 좌우 양측 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절곡판(142)이 구비될 수 있는데, 절곡판(142)은 작업대(2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돌출되도록 수직판(141)의 양측 단부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여기에서, 수직브라켓(140)은 판재 형상의 부재들이 절곡 형성 또는 일체로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지만, 폐쇄된 함체 형상으로 구비되거나 일측이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The
한편, 수직브라켓(140)에는 보강판재(143)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보강판재(143)는 수직판(141)의 배면에 결합되어서 수직브라켓(140)과 작업대(200)의 연결시 작업대(200)에 접하도록 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판재(143)는 작업대(200)와 대면하도록 배치됨에 따라 후술하는 피칭운동 또는 롤링운동에 대해서 작업대(200)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수직브라켓(140)의 일면에는 연결브라켓(150)이 연결된다.The
연결브라켓(150)은 붐대(130)를 작업대(200)와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연결브라켓(150)에는 붐대(130)가 각각의 힌지축에 의해서 틸팅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연결브라켓(150)은 붐대(1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태로 수직브라켓(140)에 결합된다.The connecting
이때, 연결브라켓(150)은 수직브라켓(140)의 양 절곡판(142) 사이에 일부가 수용되는 형태로 삽입될 수 있는데, 수용된 일부분이 후술할 피칭회전수단(160)의 회전축에 의해 결합되어 수직브라켓(1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수직브라켓(140)에 대해 피칭회전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이러한 연결브라켓(150)은 이격된 한 쌍의 접판(151)을 가지며, 양측의 접판(151)을 연결하는 고정판(152)이 구비된다. 연결브라켓(150)의 접판(151)은 수직브라켓(140)의 양 절곡판(142)의 내측면에 각각 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수직브라켓(140)에 수용되도록 돌출된 부분을 수용부(150a)라 지칭한다. 수용부(150a)에는 회전축이 결합되는 축결합공(150b)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The
여기에서, 연결브라켓(150)의 접판(151)은 수직브라켓(140)의 절곡판(142) 외측면에 접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지만, 후술할 회전 동작시 연결브라켓(150)이 수직브라켓(140)의 내측에 수용되어서 지지되는 형태로 결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Here, the
고정판(152)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접판(1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xing
여기에서, 연결브라켓(15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접판(151)과, 복수의 고정판(15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지만, 이러한 브라켓의 형상은 붐대(130)와 수직브라켓(14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는 다른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일 예시로서 함체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Here, the
그리고, 연결브라켓(150)은 바람직하게는 수직브라켓(140)의 중간 지점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하겠지만 연결브라켓(150)이 절곡판(142) 사이에 수용부(150a)가 수용되는 구조와 함께 작용하게 되는바, 수직판(141)의 상단 또는 하단에 연결되는 구조에 비해 연결브라켓(150)의 피칭회전동작의 회전반경을 줄이도록 기능하게 된다.And, the connecting
또한, 연결브라켓(150)은 피칭회전수단(160)에 의해 수직브라켓(1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피칭회전될 때, 회전 반경에 의하여 수직브라켓(140)의 수직판(141)과 접촉되면서 걸림 작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접판(151)이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연결브라켓(150)의 접판(151)은 정방형 또는 장방형의 판재가 아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을 이루는 한 쌍의 판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바, 절곡판(142) 내측에 수용된 접판(151)의 수용부(150a) 측을 삼각형의 꼭짓점으로 하여 외측 방향을 향해 소정의 경사로 구배지게 연장 형성되는 것이다. In addition, when the
이러한 접판(151)의 경사진 형상 또는 삼각 형상은, 수직브라켓(140)에 일부 수용된 연결브라켓(150)이 피칭회전할 경우에, 수용부(150a)로부터 연장되는 접판(151)의 둘레측이 수직브라켓(140)에 걸리지 않도록 기능하게 되며, 이에 따라 연결브라켓(150)의 회전 반경을 더 크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The inclined shape or triangular shape of the
이는, 고소작업차(100)의 일반적인 작업환경상 상당히 기울어진 각도의 경사도에서는 작업이 어렵지만, 고소작업차(100)가 전복되지 않을 정도의 지면 경사에 대해서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바, 이에 대한 기울어짐에 대응하여 작업대(200)의 수평 유지를 위한 최대한의 회전 각도를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is is difficult to work in the inclination of the inclined angle considerably in the general working environment of the
이와 같이, 작업대(200)는 수직브라켓(140)과 연결브라켓(150)에 의해 붐대(130)에 연결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차(100)는 연결브라켓(150)을 수직브라켓(1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여 작업대(200)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피칭회전수단(160)을 포함할 수 있다.As such, the work table 200 is connected to the
피칭회전수단(160)은 붐대(130)에 연결된 연결브라켓(150)을 수직브라켓(1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붐대(130)의 선단부에서 작업대(200)를 붐대(130)에 대해 피칭운동 회전가능하게 연결한다.Pitching rotation means 160 is connected to the
여기에서, 피칭회전수단(160)에는 연결브라켓(150)을 수직브라켓(1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피칭회전축(161)이 구비될 수 있으며, 피칭회전축(161)은 연결브라켓(150)과 수직브라켓(140)을 관통하여 결합된다. 이에, 피칭회전축(161)은 연결브라켓(150)을 수직브라켓(140)에 대해 피칭운동 가능하도록 기능한다.Here, the pitching rotation means 160 may be provided with a
즉, 연결브라켓(150)은 수직브라켓(140)에 삽입된 일부에 대해 피칭회전축(161)이 관통되는바, 연결브라켓(150)의 수용부(150a)를 관통하도록 구비된다. 이로서, 연결브라켓(150)은 수용부(150a)가 수직브라켓(140)에 결합되어 피칭회전축(161)을 축으로하여 회전될 수 있다.That is, the connecting
그리고, 피칭회전수단(160)에는 피칭회전축(161)을 회전축으로 하여 연결브라켓(150) 또는 수직브라켓(140)이 서로에 대해 피칭회전될 수 있도록 그 동작을 유도하는 피칭실린더(162)가 구비될 수 있으며, 피칭실린더(162)의 단부에는 신축가능하게 연결되는 피칭피스톤로드(163)가 구비된다. 이들은 각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itching rotation means 160 is provided with a
이들의 연결을 위해, 피칭회전수단(160)에는 제1피칭힌지브라켓(164)과, 제2피칭힌지브라켓(165)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제1피칭힌지브라켓(164)은 수직브라켓(140)에 형성되고, 제2피칭힌지브라켓(165)은 연결브라켓(150)에 형성될 수 있다.For their connection, the pitching rotation means 160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즉, 제1피칭힌지브라켓(164)은 수직브라켓(140)의 상측에 고정되게 구비되고, 제2피칭힌지브라켓(165)은 연결브라켓(150)의 상측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이들은 각각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That is, the first
피칭실린더(162)는 제1피칭힌지브라켓(164)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회전되고, 피칭실린더(162)의 타단부에 출입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칭피스톤로드(163)는 제2피칭힌지브라켓(165)에 그 단부가 연결되어 회전된다.The
이에, 피칭실린더(162)로부터 피칭피스톤로드(163)의 출입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수직브라켓(140) 또는 연결브라켓(150)을 밀고 당기는 동작을 수행함에 따라, 수직브라켓(140)과 연결브라켓(150)이 피칭회전축(161)을 축으로하여 회동될 수 있게 하고, 이들에 연결된 붐대(130)상에서 작업대(200)의 피칭운동을 유도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직브라켓(140)이나 연결브라켓(150)이 서로에 대해 회전한다는 설명은, 결과적으로 이들과 연결되고 차량에 고정되어있는 붐대(130)에 대해서 작업대(200)가 회전하게 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Thus, the
이러한 피칭실린더(162)는 피칭회전축(161)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연결브라켓(150)의 일단부를 기준으로한 회전반경에 대해 법선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수직브라켓(140)과 직교하는 수평 방향으로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피칭실린더(162)는 수평 방향으로 피칭피스톤로드(163)를 신축시킴으로써 피칭회전축(161)을 축으로한 연결브라켓(150)의 직관적인 회전 동작을 유도하게 된다.The
그리고, 피칭실린더(162)는 피칭회전축(161)보다 상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피칭실린더(162)는 상측에서의 피칭피스톤로드(163) 신축 동작을 통해 하측에 위치한 피칭회전축(161)의 회전 동작을 유도하게 되며, 이는 결과적으로 구동 위치를 회전축보다 위, 그리고 작업대(200)의 하측에서 상방 이격시킨 구조를 갖게함으로써 구조상의 안정성을 얻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한편, 피칭실린더(162)는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고소작업차(100)에 구비되어 고소작업차(100)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센서(자이로 또는 경사센서)와 연동되어 작동되고, 이러한 작동은 고소작업차(100)에 구비되는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된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즉, 농지에서 작업 중인 고소작업차(100)가 농지의 경사면에 의해 전후측으로 기울어진 경우, 기울기 센서가 고소작업차(100)의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하여, 이의 감지신호를 컨트롤러로 출력하고, 컨트롤러는 입력된 고소작업차(100)의 기울기에 따라 피칭실린더(162)에서 피칭피스톤로드(163)를 인출 또는 인입시켜서 작업대(200)를 연결브라켓(150)의 피칭회전축(161)을 기준으로 하여 고소작업차(100)가 기울어진 반대방향으로 기울여 작업대(200)의 수평을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한 상태도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That is, when th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는 차량이 전후 방향으로 기울어지더라도, 피칭회전수단(160)에 의해 작업대(200)의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대(200)에 탑승한 작업자가 안전하게 고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Therefore, the aeri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the horizontal state of th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차(100)는 수직브라켓(140)을 작업대(2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여 작업대(200)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롤링회전수단(170)을 포함할 수 있다. 롤링회전수단(170)은 작업대(200)의 롤링운동을 유도하여 좌우 방향으로의 수평을 유지하도록 기능한다.On the other hand,
즉, 롤링회전수단(170)은 작업대(200)에 연결되는 수직브라켓(140)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롤링회전축(171)이 구비될 수 있으며, 롤링회전축(171)은 수직브라켓(140)과 작업대(200)에 그 양단부가 각각 삽입되어 서로에 대해 롤링회전 가능하도록 기능한다.That is, the rolling rotation means 170 may be provided with a rolling
이러한 롤링회전축(171)은 수직브라켓(140)의 상측부를 관통하여 작업대(200)에 삽입된다. 여기서 상부(또는 상측부)라 함은 수직브라켓(14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적어도 중간 지점보다 위쪽의 부분을 칭하며, 본 발명의 롤링회전수단(170)은 롤링회전축(171)의 위치를 수직브라켓(140)의 하측부 또는 작업대(200)의 저부가 아닌 이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롤링운동의 회전축을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며, 이는 결과적으로 회전 중심의 위치가 작업대(200)의 저부가 아닌, 높이 방향에 대해 가운데 부근에서 설정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작업대(200)의 안정적인 회전을 유도하게 된다.The rolling
이때, 롤링회전축(171)의 둘레와 수직브라켓(140) 사이에는 베어링이 개재되어 롤링회전축(171)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유도하고, 그 단부에는 샤프트너트가 결합되어 롤링회전축(171)의 이탈을 방지한다.At this time, a bearing is interposed between the circumference of the rolling
여기서, 롤링회전수단(170)에는 롤링회전축(171)을 회전축으로하여 작업대(200) 또는 수직브라켓(140)이 서로에 대해 롤링회전될 수 있도록 그 동작을 유도하는 롤링실린더(172)가 구비될 수 있으며, 롤링실린더(172)의 단부에는 신축 가능하게 연결되는 롤링피스톤로드(173)가 구비된다. 이들은 각각 수직브라켓(140)과 작업대(2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Here, the rolling
이를 위해, 수직브라켓(140)에는 롤링실린더(172)가 결합될 수 있도록 이격된 한 쌍의 제1롤링힌지브라켓(174)이 고정되게 구비되며, 작업대(200)에는 롤링피스톤로드(173)가 결합될 수 있도록 이격된 한 쌍의 제2롤링힌지브라켓(175)이 고정되게 구비된다. 롤링실린더(172)는 제1롤링힌지브라켓(174)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회전되고, 롤링실린더(172)의 타단부에 출입 가능하게 결합된 롤링피스톤로드(173)는 그 단부가 제2롤링힌지브라켓(175)에 연결되어 회전된다.To this end, the
이때, 롤링실린더(172)와 롤링피스톤로드(173)는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 수직브라켓(140)과 대응하여 평행하도록한 방향으로 배치되는바, 롤링피스톤로드(173)의 출입에 의해 상하측으로 작업대(200) 또는 수직브라켓(140)을 밀게 됨에 따라, 롤링회전축(171)을 중심으로 수직브라켓(140)이 회전하게 되고, 결과적으로는 작업대(200)의 롤링운동을 유도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rolling
즉, 농지에서 작업중인 고소작업차(100)가 농지의 경사면에 의해 좌우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전술한 기울기 센서와 컨트롤러에 의해, 고소작업차(100)의 기울기에 따라 롤링실린더(172)에서 롤링피스톤로드(173)를 인출 또는 인입시켜서 작업대(200)를 수직브라켓(140)의 롤링회전축(171)을 기준으로하여 고소작업차(100)가 기울어진 반대방향으로 기울여 작업대(200)의 수평을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에 따른 상태도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That is, when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차는, 피칭회전수단(160)에 의해서 피칭운동을 유도함에 따라 고소작업차(100)의 전후 방향 기울어짐에 따른 수평 유지를 가능하게 한다.The aeri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llows the horizontal maintenance of the
또한, 롤링회전수단(170)에 의해서 롤링운동을 유도함에 따라, 고소작업차(100)의 좌우 방향 기울어짐에 따른 수평 유지를 가능하게 한다. In addition, as the rolling motion is guided by the rolling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차는, 피칭운동을 위한 피칭회전축(161)과 롤링운동을 위한 롤링회전축(171)이 서로 직교하도록 구비됨으로써, 피칭운동과 롤링운동을 각각 수행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차량의 기울어짐에 각기 대응할 수 있도록 움직이게 된다.That is, in the aeri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tching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는, 롤링실린더(172)가 수직브라켓(140)과 평행하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서로 직교한 상태로 동작함에 따라, 각각의 동작에 따른 서로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피칭운동과 롤링운동이 각각 또는 동시에 동작할 수도 있게 된다.Particularly, in the aeri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olling
결과적으로, 피칭운동 및 롤링운동을 각각 또는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기능하기 때문에, 전후 방향이나 좌우 방향, 즉 4방향으로의 기울어짐 뿐만 아니라, 이들의 조합에 따른 사선 방향으로의 기울어짐에 대해서도 대응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여러 방향의 기울어짐에 대응하여 작업대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어,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As a result, since the pitching motion and the rolling motion can be performed individually or simultaneously, it is possible to cope not only with the inclina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left-right direction, that is, the four directions, but also the inclination in the oblique direction due to the combination thereof.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keep the workbench horizontal in response to inclination in various directions, thereby further improving stability.
이는 한 방향의 틸팅이 아닌 적어도 두 방향, 이에 더하여 각 방향의 조합을 통항 여러 방향으로의 틸팅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게 됨으로써, 차량의 여러 방향으로의 기울어짐에 대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is is to provide a structure that can be tilted in at least two directions, in addition to each direction in addition to the tilting in one direction, through a combination of each direction, it is possible to respond to the inclination of the vehicle in various directions.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차는 롤링회전축(171)의 위치를 수직브라켓(140)의 상부측에 위치시키는 구조로 마련되어, 작업대의 저부에서 롤링운동을 유도하던 종래와는 달리, 회전 중심점의 위치를 비교적 작업대 높이의 적어도 중간 지점에 배치하여 롤링운동을 유도함으로써, 그 회전 반경을 축소시킬 수 있어 더욱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하다.Furthermore, the aeri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tructure for positioning the position of the rolling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게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닌 설명을 위한 것이고, 이런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for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for descrip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 에 의해 제한되기보다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고소작업차 110 : 차체 바디
130 : 붐대
140 : 수직브라켓 150 : 연결브라켓
160 : 피칭회전수단 170 : 롤링회전수단
200 : 작업대100: aerial work vehicle 110: body body
130: boom stand
140: vertical bracket 150: connection bracket
160: pitching rotation means 170: rolling rotation means
200: worktable
Claims (7)
작업대에 연결되는 수직브라켓과, 수직브라켓에 연결되어 붐대를 연결하는 연결브라켓을 포함하고,
연결브라켓을 수직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여 작업대를 붐대에 대해 피칭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피칭회전수단 및
수직브라켓을 작업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여 작업대를 붐대에 대해 롤링운동 가능하도록 하는 롤링회전수단이 구비되고,
수직브라켓은 작업대에 대면하도록 형성되는 수직판과, 수직판의 양단부에 작업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수직하여 절곡 형성되는 한 쌍의 절곡판을 구비하고, 연결브라켓은 수직브라켓의 양 절곡판 사이에 일부가 수용되고,
피칭회전수단은, 수직브라켓 및 연결브라켓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피칭회전축과, 피칭회전축을 축으로 연결브라켓이 수직브라켓에 대해 회전하도록 회전방향의 법선방향으로 신축되는 피칭실린더를 포함하되, 피칭실린더는 수직브라켓에 대해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동작하고,
롤링회전수단은, 수직브라켓 및 작업대에 삽입되는 롤링회전축과, 롤링회전축을 축으로 수직브라켓을 회전시키는 롤링실린더를 포함하되, 롤링실린더는 수직브라켓과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수직 방향으로 동작하는 고소작업차.
In the aerial work vehicle comprising a boom rotatably installed on the body of the body that can run, and a work platform that is provided on the boom and lifted,
It includes a vertical bracket connected to the workbench, and a connecting bracket connected to the vertical bracket to connect the boom,
Pitching rotation means for connecting the connecting bracket to the vertical bracket rotatably to enable the pitching movement of the work table with respect to the boom and
Rolling rotating means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workbench with respect to the boom by connecting the vertical bracket to the worktable rotatably,
The vertical bracket has a vertical plate which is formed to face the work table, and a pair of bending plates which are bent vertically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work table at both ends of the vertical plate, and the connecting bracket is partially between the two bending plates of the vertical bracket. Is accepted,
The pitching rotating means includes a pitching rotary shaft inserted through the vertical bracket and the connecting bracket, and a pitching cylinder stretched in the normal direction of the rotation direction such that the connecting bracket rotates about the vertical bracket with the pitching rotary shaft as an axis. It is arrang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bracket to oper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rolling rotating means includes a vertical rotary shaft and a rolling rotary shaft inserted into the workbench, and a rolling cylinder rotating the vertical bracket about the rolling rotary shaft, wherein the rolling cylinder is disposed parallel to the vertical bracket and operated in a vertical direction. .
연결브라켓은 수직브라켓의 양 절곡판의 대향면에 각각 접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접판과, 양 접판 사이를 가로지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판을 포함하되, 연결브라켓의 접판은 구배지게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수직브라켓의 수직판에 걸리지 않도록 구성되는 고소작업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on bracket includes a pair of contact plates disposed to be in contact with opposite surfaces of both bending plates of the vertical bracket, and at least one fixing plate intersecting between the contact plates, wherein the contact bracket of the connection bracket is formed to be gradient and rotated. Aerial work vehicle that is configured not to be caught in the vertical plate of the vertical bracket.
롤링회전축은 수직브라켓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작업대의 롤링회전 반경을 줄이도록 하는 고소작업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olling shaft is provided to be located above the vertical bracket, thereby reducing the rolling radius of the work platfor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5191A KR102038526B1 (en) | 2019-03-05 | 2019-03-05 | High place working vehicles having tiltable and raollerable baske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5191A KR102038526B1 (en) | 2019-03-05 | 2019-03-05 | High place working vehicles having tiltable and raollerable baske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31213A KR20190031213A (en) | 2019-03-25 |
KR102038526B1 true KR102038526B1 (en) | 2019-10-31 |
Family
ID=65907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25191A Active KR102038526B1 (en) | 2019-03-05 | 2019-03-05 | High place working vehicles having tiltable and raollerable baske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3852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78963B1 (en) * | 2019-07-25 | 2021-07-19 | 윤상업 | Apparatus for high place works car having horizontal maintenance function |
KR102083344B1 (en) * | 2019-07-30 | 2020-03-02 | (주)경성정기 | Access service basket |
KR102436852B1 (en) * | 2020-12-01 | 2022-08-26 | 장진만 | Work vehicle having balancing function |
USD1080280S1 (en) * | 2024-09-06 | 2025-06-24 | Yinli Hu | Storage rack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41998A (en) | 2000-06-05 | 2001-12-11 | Seirei Ind Co Ltd | Vehicle for high lift work |
JP2003171093A (en) * | 2001-12-03 | 2003-06-17 | Manabu Fukuda | Bucket device for high lift work and high lift working machine using the same |
KR101765421B1 (en) * | 2016-11-02 | 2017-08-07 | 장진만 | High place working vehicles having tiltable basket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1776Y1 (en) | 2006-08-19 | 2006-11-27 | (주)한성티앤아이 | Aerial Vehicles |
KR20150107535A (en) * | 2014-03-14 | 2015-09-23 | 한아에스에스 주식회사 | Agricultural eco-friendly electric aerial lift |
-
2019
- 2019-03-05 KR KR1020190025191A patent/KR10203852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41998A (en) | 2000-06-05 | 2001-12-11 | Seirei Ind Co Ltd | Vehicle for high lift work |
JP2003171093A (en) * | 2001-12-03 | 2003-06-17 | Manabu Fukuda | Bucket device for high lift work and high lift working machine using the same |
KR101765421B1 (en) * | 2016-11-02 | 2017-08-07 | 장진만 | High place working vehicles having tiltable baske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31213A (en) | 2019-03-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38526B1 (en) | High place working vehicles having tiltable and raollerable basket | |
KR101248639B1 (en) | Level balanced platform lifting utility | |
KR101765421B1 (en) | High place working vehicles having tiltable basket | |
JP2010058874A (en) | High lift work vehicle | |
KR20210019870A (en) | Safety Loader | |
KR102437874B1 (en) | aerial work vehicle | |
KR102612322B1 (en) | Four directions high place working vehicles | |
CN113279551B (en) | Ground floating robot | |
KR102267216B1 (en) | Engine Type High Place Working Vehicles | |
JP5248448B2 (en) | Support device for transport of upper swing body and transport method of upper swing body | |
JPH05116897A (en) | High lift work device | |
CN205778490U (en) | Pump truck stair and pump truck | |
KR102646249B1 (en) | High place working vehicles | |
JP5854444B1 (en) | Mast device and forklift equipped with the mast device | |
JP7611768B2 (en) | Concrete leveling equipment | |
KR102436852B1 (en) | Work vehicle having balancing function | |
US20150239714A1 (en) | Cab for heavy equipment having multiple points of ingress and egress | |
JPS623479Y2 (en) | ||
CN208344236U (en) | A kind of assembly type floor truck adapting to complicated building site | |
JP2023028630A (en) | Travel work machine | |
JP2000318988A (en) | Crawler work vehicle | |
JPH0663589U (en) | Work platform of aerial work platform | |
JPH0559750A (en) | Traveling vehicle fitted with liftable working machine | |
JP3080002U (en) | Support equipment for aerial work vehicles | |
KR101677413B1 (en) | Multi-Purpose Forklift Truck having Steering Device for Work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30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0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5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22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0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10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