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38507B1 - 가변용량 사판식 압축기의 힌지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가변용량 사판식 압축기 - Google Patents

가변용량 사판식 압축기의 힌지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가변용량 사판식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8507B1
KR102038507B1 KR1020180110339A KR20180110339A KR102038507B1 KR 102038507 B1 KR102038507 B1 KR 102038507B1 KR 1020180110339 A KR1020180110339 A KR 1020180110339A KR 20180110339 A KR20180110339 A KR 20180110339A KR 102038507 B1 KR102038507 B1 KR 102038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ash plate
guide
stopper
rotating body
guide ar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0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재빈
류성훈
이영기
Original Assignee
에스트라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트라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트라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0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8507B1/ko
Priority to PCT/KR2019/010978 priority patent/WO202005500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8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850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가변 용량 사판식 압축기의 회전체와 사판을 연결하는 힌지 구조는, 상기 사판을 향해 돌출되도록 상기 회전체에 형성되며 제1 경사 가이드 면을 형성하는 제1 가이드 암, 상기 제1 가이드 암과 이격되는 상태로 상기 사판을 향해 돌출되도록 상기 회전체에 형성되며 제2 경사 가이드 면을 포함하는 가이드 슬롯을 형성하는 제2 가이드 암, 상기 회전체를 향해 돌출되도록 상기 사판에 형성되며 수용 홀을 형성하는 연결 링크, 그리고 양측 단부가 상기 제1 및 제2 경사 가이드 면에 각각 지지되는 상태로 상기 수용 홀에 롤링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 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가변용량 사판식 압축기의 힌지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가변용량 사판식 압축기{Hinge mechanism for variable swash plate type compressor and variable swash plate type compresso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의 에어컨디셔닝 장치에 사용되는 가변용량 사판식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에어컨디셔닝 장치에 사용되는 가변용량 사판식 압축기는 구동 샤프트, 그리고 이 구동 샤프트에 장착되어 함께 회전하는 회전체(rotor) 및 사판(swash plate)을 포함한다.
회전체는 구동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고, 사판은 힌지 기구(hinge mechanism)를 통해 회전체에 연결된다. 힌지 기구는 사판이 피봇 가능한 상태로 회전체와 함께 회전하도록 사판을 회전체에 연결하며, 사판은 크랭크실의 압력과 흡입 압력 사이의 압력 차이에 따라 경사각이 변하면서 압축기 용량을 변화시킨다.
한편, 사판은 반구 형상의 슈(shoe)를 통해 피스톤에 연결되며, 이에 의해 사판의 회전 운동이 피스톤의 왕복 운동으로 전환된다. 피스톤의 왕복 운동에 의해 냉매의 흡입, 압축 및 토출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가변용량 사판식 압축기에서 회전체와 사판을 연결하는 힌지 구조가 다양하게 알려져 있다. 기존의 힌지 구조는 크로스 핀을 수용하는 슬롯, 수용 홈 등 여러 가공 부위가 적용되는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기존의 힌지 구조의 가이드 핀은 슬라이딩 거동을 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마찰 저항이 커 제어 성능이 좋지 못한 문제가 있었고, 비틀림 모멘트를 효과적으로 분산하지 못하는 문제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175272 (등록일: 2012년 08월 13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282042 (등록일: 2000년 11월 23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318772 (등록일: 2001년 12월 12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462433 (등록일: 2004년 12월 09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마찰 저항이 작고 비틀림 모멘트를 효과적으로 분산할 수 있는 가변용량 사판식 압축기의 힌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용량 사판식 압축기의 회전체와 사판을 연결하는 힌지 구조는, 상기 사판을 향해 돌출되도록 상기 회전체에 형성되며 제1 경사 가이드 면을 형성하는 제1 가이드 암, 상기 제1 가이드 암과 이격되는 상태로 상기 사판을 향해 돌출되도록 상기 회전체에 형성되며 제2 경사 가이드 면을 포함하는 가이드 슬롯을 형성하는 제2 가이드 암, 상기 회전체를 향해 돌출되도록 상기 사판에 형성되며 수용 홀을 형성하는 연결 링크, 그리고 양측 단부가 상기 제1 및 제2 경사 가이드 면에 각각 지지되는 상태로 상기 수용 홀에 롤링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 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힌지 구조는 상기 가이드 핀이 압입되는 스톱퍼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스톱퍼는 상기 연결 링크와 상기 제2 가이드 암 사이에 상기 가이드 핀의 길이방향의 거동이 제한되도록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스톱퍼는 관통 홀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수용 홀과 상기 관통 홀을 통과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링크는 상기 제2 가이드 암을 마주하는 면에 상기 스톱퍼를 수용하는 수용 홈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스톱퍼는 상기 수용 홈 내에 롤링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톱퍼는 일단이 상기 수용 홈을 형성하는 걸림 턱에 지지될 수 있고 상기 스톱퍼의 다른 일단이 상기 제2 가이드 암의 측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 홈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경사 가이드 면은 상기 제2 경사 가이드 면보다 상기 회전체의 표면으로부터 더 가깝게 위치할 수 있고,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제1 및 제2 경사 가이드 면의 위치 차이에 따라 상기 제1 경사 가이드 면에 지지되는 부분의 직경이 상기 제2 경사 가이드 면에 지지되는 부분의 직경보다 크거나 같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 암 및 상기 제2 가이드 암은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의 상류 측 및 하류 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용량 사판식 압축기는 복수의 실린더 보어를 형성하는 실린더 블록, 상기 실린더 블록에 연결되며 크랭크실을 형성하는 제1 하우징, 상기 실린더 블록에 연결되며 흡입실과 토출실을 형성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 샤프트, 상기 크랭크실 내에 배치되는 상태로 상기 구동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 샤프트에 장착되는 회전체, 상기 크랭크실 내에 배치되는 상태로 상기 회전체와 함께 회전하도록 힌지 구조에 의해 상기 회전체에 연결되는 사판, 그리고 상기 복수의 실린더 보어 내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사판의 회전 운동에 의해 직선 왕복 운동을 하도록 상기 사판에 연결되는 복수의 피스톤을 포함한다. 상기 힌지 구조는 상기 사판을 향해 돌출되도록 상기 회전체에 형성되며 제1 경사 가이드 면을 형성하는 제1 가이드 암, 상기 제1 가이드 암과 이격되는 상태로 상기 사판을 향해 돌출되도록 상기 회전체에 형성되며 제2 경사 가이드 면을 포함하는 가이드 슬롯을 형성하는 제2 가이드 암, 상기 회전체를 향해 돌출되도록 상기 사판에 형성되며 수용 홀을 형성하는 연결 링크, 그리고 양측 단부가 상기 제1 및 제2 경사 가이드 면에 각각 지지되는 상태로 상기 수용 홀에 롤링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 핀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마찰 저항이 작고 비틀림 모멘트를 효과적으로 분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용량 사판식 압축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 구조의 다른 방향에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Ⅴ-Ⅴ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실린더 블록(10)은 복수의 실린더 보어(11)를 형성한다. 실린더 보어(11)는 가변용량 사판식 압축기의 길이방향 축(X)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예를 들어 여섯 개의 실린더 보어(11)가 방사상으로 동일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피스톤(20)이 각각의 실린더 보어(11) 내에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피스톤(20)의 직선 왕복 운동에 의해 냉매의 유입, 압축, 및 배출이 이루어진다.
제1 하우징(31)과 제2 하우징(33)이 실린더 블록(10)의 양측에 각각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1 하우징(31)이 실린더 블록(10)의 일측에 연결되어 밀봉된 크랭크실(32)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2 하우징(33)이 실린더 블록(10)의 다른 일측에 연결되어 흡입실(34)과 토출실(35)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하우징(31), 실린더 블록(10) 그리고 제2 하우징(33)은 관통 볼트(80)에 의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제2 하우징(33)과 실린더 블록(10) 사이에는 냉매의 이동을 위한 냉매 이동 통로를 형성하는 밸브 플레이트(37)가 배치될 수 있다.
구동 샤프트(40)가 제1 하우징(3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구동 샤프트(40)는 제1 하우징(31)을 관통하여 실린더 블록(10)까지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구동 풀리(44)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동 풀리(44)에 연결될 수 있다.
회전체(rotor)(50)가 크랭크실(32)에 내에 배치되는 상태로 구동 샤프트(40)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동 샤프트(40)에 장착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샤프트(40)는 회전체(50)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공(51)을 통과하는 상태로 회전체(50)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구동 샤프트(40)는 래디얼 베어링(radial bearing)(41a, 41b)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구동 샤프트(40)의 일단은 코일 스프링(46)에 의해 지지되는 쓰러스트 베어링(43a)에 의해 축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이때 코일 스프링(46)은 실린더(10) 내에 설치되는 스냅링(45)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 샤프트(40)에 체결된 회전체(50)는 제1 하우징(31)에 지지되는 쓰러스트 베어링(43b)에 의해 축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
사판(swash plate)(60)이 회전체(50)와 함께 회전하도록 힌지 구조(hinge mechanism)(70)에 의해 회전체(50)에 연결된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50)는 제1 하우징(31)의 크랭크실(32)의 끝단 부분에 배치될 수 있고, 사판(60)은 회전체(50)와 실린더 블록(10) 사이에 위치하도록 크랭크실(32)에 배치될 수 있다.
사판(60)은 중심 부분에 저널(61)을 구비할 수 있으며, 플레이트 원형 플레이트 부분이 사판(60)의 외측 부분을 형성하고 저널(61)이 사판(60)의 중심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플레이트 부분과 저널(61)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 부재로 형성되어 서로 체결될 수도 있다. 힌지 구조(70)는 사판(60)이 구동 샤프트(40)에 대해 힌지 거동, 즉 피봇 거동(pivotal motion)이 가능하고 또한 사판(60)이 구동 샤프트(40)과 함께 회전하도록 사판(60)과 구동 샤프트(40)를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힌지 구조(70)는 회전체(50)에 구비되는 제1 가이드 암(71)과 제2 가이드 암(72), 사판(60)에 구비되는 연결 링크(73), 그리고 가이드 핀(74)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가이드 암(guide arm)(71, 72)은 사판(60)을 마주하는 회전체(50)의 일 면에 사판(60)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연결 링크(73)는 회전체(50)를 마주하는 사판(60)의 일 면에 회전체(50)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제1 및 제2 가이드 암(71, 72)은 회전체(50)의 회전 방향, 즉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연결 링크(73)는 그 선단부가 제1 및 제2 가이드 암(71, 72)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연결 링크(73)는 사판(60)의 중심부를 형성하는 저널(61)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암(71)은 제1 경사 가이드 면(711)을 형성한다. 제1 경사 가이드 면(711)은 가이드 핀(74)의 거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판(60)을 마주하는 제1 가이드 암(71)의 선단 면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경사 가이드 면(711)은 구동 샤프트(40)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도 1에서 상하 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암(72)은 가이드 슬롯(720)을 형성한다. 가이드 슬롯(720)은 제1 경사 가이드 면(711)의 경사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가이드 슬롯(720)의 바닥면은 제2 경사 가이드 면(722)을 형성한다. 제2 경사 가이드 면(722)은 제1 경사 가이드 면(711)과 나란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 링크(73)는 가이드 핀(74)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홀(731)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 홀(731)은 연결 링크(73)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핀(74)은 제1 경사 가이드 면(711)과 제2 경사 가이드 면(721)에 각각 지지되는 상태로 연결 링크(73)의 수용 홀(731)에 삽입된다. 즉,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핀(74)이 수용 홀(731)에 삽입되어 조립된 상태에서, 가이드 핀(74)의 양 단부는 수용 홀(731)의 외부로 노출되며 그 일측 단부는 제1 경사 가이드 면(711) 상에 접촉하고 다른 일측 단부는 가이드 슬롯(720)에 삽입되는 제2 경사 가이드 면(722)에 접촉된다.
가이드 핀(74)은 롤링(rolling) 가능한 상태로 연결 링크(73)의 수용 홀(731)에 삽입된다. 이를 위해, 가이드 핀(74)은 실린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 핀(74)이 슬라이딩 거동을 하는 것이 아니라 롤링 거동을 하면서 사판(60)의 경사 각도가 변경되기 때문에, 마찰이 감소된다.
한편, 가이드 핀(74)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톱퍼(stopper)(75)가 구비된다. 스톱퍼(75)는 관통 홀(751)을 구비하는 원형 링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가이드 핀(74)이 스톱퍼(75)의 관통 홀(751)에 압입될 수 있다. 그리고 스톱퍼(75)는 연결 링크(73)와 제2 가이드 암(72) 사이에 가이드 핀(74)의 길이방향으로의 거동이 제한되도록 개재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링크(73)는 제2 가이드 암(72)을 마주하는 면에 스톱퍼(75)를 수용하는 수용 홈(732)을 구비하며, 스톱퍼(75)는 이 수용 홈(732)에 롤링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때, 수용 홈(732)는 수용 홀(731)에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수용 홀(731)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톱퍼(75)의 일단은 수용 홈(732)을 형성하는 걸림 턱(733)을 마주하고 다른 일단은 제2 가이드 암(72)을 마주하게 됨으로써, 스톱퍼(75) 및 그에 고정된 가이드 핀(74)의 길이방향으로의 거동이 제한된다. 이에 의해 가이드 핀(74)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암(71)은 냉매 압축을 위한 회전체(50)의 회전 방향(RD), 즉 구동 풀리(44) 측에서 회전체(50)를 바라볼 때 시계 방향을 따라 상류 측에 위치하고, 제2 가이드 암(72)은 회전 방향의 하류 측에 위치한다. 이에 의해 가이드 핀(74)의 회전 방향의 상류 측 단은 개방 구조의 제1 경사 가이드 면(711)에 지지되고 가이드 핀(74)의 회전 방향의 하류 측 단은 폐쇄 구조의 가이드 슬롯(720)에 삽입되는 상태로 제2 경사 가이드 면(722)에 지지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가이드 핀(74)의 지지 구조를 간소화하면서도 압축 과정에서 안정적인 지지 및 비틀림 모멘트의 분산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경사 가이드 면(711)은 제2 경사 가이드 면(721)보다 회전체(50)의 표면으로부터 더 가깝게 위치할 수 있고, 가이드 핀(74)은 제1 및 제2 경사 가이드 면(711, 721)의 이러한 위치 차이에 따라 제1 경사 가이드 면(711)에 지지되는 부분의 직경이 제2 경사 가이드 면(721)에 지지되는 부분의 직경보다 크거나 같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경사 가이드 면(711, 721)의 높이 차이가 존재하며 가이드 핀(74)은 직경의 크기가 다른 두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스톱퍼(75)는 가이드 핀(74)의 직경이 작은 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 실린더 블록
11: 실린더 보어
20: 피스톤
31, 33: 하우징
37: 밸브 플레이트
40: 구동 샤프트
50: 회전체
60: 사판
70: 힌지 구조
71: 제1 가이드 암
711: 제1 경사 가이드 면
72: 제2 가이드 암
720: 가이드 슬롯
721: 제2 경사 가이드 면
73: 연결 링크
731: 수용 홀
732: 수용 홈
74: 가이드 핀
75: 스톱퍼

Claims (14)

  1. 가변 용량 사판식 압축기의 회전체와 사판을 연결하는 힌지 구조로서,
    상기 사판을 향해 돌출되도록 상기 회전체에 형성되며 제1 경사 가이드 면을 형성하는 제1 가이드 암,
    상기 제1 가이드 암과 이격되는 상태로 상기 사판을 향해 돌출되도록 상기 회전체에 형성되며 제2 경사 가이드 면을 포함하는 가이드 슬롯을 형성하는 제2 가이드 암,
    상기 회전체를 향해 돌출되도록 상기 사판에 형성되며 수용 홀을 형성하는 연결 링크,
    양측 단부가 상기 제1 및 제2 경사 가이드 면에 각각 지지되는 상태로 상기 수용 홀에 롤링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 핀, 그리고
    상기 가이드 핀이 압입되는 스톱퍼
    를 포함하고,
    상기 스톱퍼는 상기 연결 링크와 상기 제2 가이드 암 사이에 상기 가이드 핀의 길이방향의 거동이 제한되도록 개재되고,
    상기 스톱퍼는 관통 홀을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수용 홀과 상기 관통 홀을 통과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연결 링크는 상기 제2 가이드 암을 마주하는 면에 상기 스톱퍼를 수용하는 수용 홈을 구비하며,
    상기 스톱퍼는 상기 수용 홈 내에 롤링 가능하게 배치되는
    힌지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서,
    상기 스톱퍼는 일단이 상기 수용 홈을 형성하는 걸림 턱에 지지될 수 있고 상기 스톱퍼의 다른 일단이 상기 제2 가이드 암의 측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 홈에 배치되는 힌지 구조.
  6. 제1항에서,
    상기 제1 경사 가이드 면은 상기 제2 경사 가이드 면보다 상기 회전체의 표면으로부터 더 가깝게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제1 및 제2 경사 가이드 면의 위치 차이에 따라 상기 제1 경사 가이드 면에 지지되는 부분의 직경이 상기 제2 경사 가이드 면에 지지되는 부분의 직경보다 크거나 같도록 형성되는 힌지 구조.
  7. 제1항에서,
    상기 제1 가이드 암 및 상기 제2 가이드 암은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의 상류 측 및 하류 측에 각각 배치되는 힌지 구조.
  8. 복수의 실린더 보어를 형성하는 실린더 블록,
    상기 실린더 블록에 연결되며 크랭크실을 형성하는 제1 하우징,
    상기 실린더 블록에 연결되며 흡입실과 토출실을 형성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 샤프트,
    상기 크랭크실 내에 배치되는 상태로 상기 구동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 샤프트에 장착되는 회전체,
    상기 크랭크실 내에 배치되는 상태로 상기 회전체와 함께 회전하도록 힌지 구조에 의해 상기 회전체에 연결되는 사판, 그리고
    상기 복수의 실린더 보어 내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사판의 회전 운동에 의해 직선 왕복 운동을 하도록 상기 사판에 연결되는 복수의 피스톤
    을 포함하며,
    상기 힌지 구조는
    상기 사판을 향해 돌출되도록 상기 회전체에 형성되며 제1 경사 가이드 면을 형성하는 제1 가이드 암,
    상기 제1 가이드 암과 이격되는 상태로 상기 사판을 향해 돌출되도록 상기 회전체에 형성되며 제2 경사 가이드 면을 포함하는 가이드 슬롯을 형성하는 제2 가이드 암,
    상기 회전체를 향해 돌출되도록 상기 사판에 형성되며 수용 홀을 형성하는 연결 링크,
    양측 단부가 상기 제1 및 제2 경사 가이드 면에 각각 지지되는 상태로 상기 수용 홀에 롤링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 핀, 그리고
    상기 가이드 핀이 압입되는 스톱퍼
    를 포함하고,
    상기 스톱퍼는 상기 연결 링크와 상기 제2 가이드 암 사이에 상기 가이드 핀의 길이방향의 거동이 제한되도록 개재되고,
    상기 스톱퍼는 관통 홀을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수용 홀과 상기 관통 홀을 통과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연결 링크는 상기 제2 가이드 암을 마주하는 면에 상기 스톱퍼를 수용하는 수용 홈을 구비하며,
    상기 스톱퍼는 상기 수용 홈 내에 롤링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변용량 사판식 압축기.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8항에서,
    상기 스톱퍼의 일단은 상기 수용 홈을 형성하는 턱에 지지되고 상기 스톱퍼의 다른 일단은 상기 제2 가이드 암의 측면에 지지되는 가변용량 사판식 압축기.
  13. 제8항에서,
    상기 제1 경사 가이드 면은 상기 제2 경사 가이드 면보다 상기 회전체의 표면으로부터 더 가깝게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제1 및 제2 경사 가이드 면의 위치 차이에 따라 상기 제1 경사 가이드 면에 지지되는 부분의 직경이 상기 제2 경사 가이드 면에 지지되는 부분의 직경보다 크거나 같도록 형성되는 가변용량 사판식 압축기.
  14. 제8항에서,
    상기 제1 가이드 암 및 상기 제2 가이드 암은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의 상류 측 및 하류 측에 각각 배치되는 가변용량 사판식 압축기.
KR1020180110339A 2018-09-14 2018-09-14 가변용량 사판식 압축기의 힌지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가변용량 사판식 압축기 Active KR102038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339A KR102038507B1 (ko) 2018-09-14 2018-09-14 가변용량 사판식 압축기의 힌지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가변용량 사판식 압축기
PCT/KR2019/010978 WO2020055009A1 (ko) 2018-09-14 2019-08-28 가변용량 사판식 압축기의 힌지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가변용량 사판식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339A KR102038507B1 (ko) 2018-09-14 2018-09-14 가변용량 사판식 압축기의 힌지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가변용량 사판식 압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8507B1 true KR102038507B1 (ko) 2019-10-30

Family

ID=68462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0339A Active KR102038507B1 (ko) 2018-09-14 2018-09-14 가변용량 사판식 압축기의 힌지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가변용량 사판식 압축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38507B1 (ko)
WO (1) WO2020055009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2042B1 (ko) 1998-11-10 2001-02-15 토마스 데주어 가변용량 사판식 압축기
KR100318772B1 (ko) 1999-12-16 2001-12-28 신영주 가변용량 사판식 압축기
KR20020039143A (ko) * 2000-11-20 2002-05-25 신영주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의 사판 힌지구조
KR100462433B1 (ko) 2003-07-16 2004-12-17 학교법인 두원학원 용량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JP2005163772A (ja) * 2003-11-14 2005-06-23 Toyota Industries Corp 可変容量圧縮機
KR101175272B1 (ko) 2011-09-06 2012-08-21 주식회사 두원전자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9627A (ja) * 2004-06-23 2006-01-12 Toyota Industries Corp 可変容量圧縮機
JP4466513B2 (ja) * 2005-09-01 2010-05-2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可変容量型圧縮機
KR101043230B1 (ko) * 2009-01-05 2011-06-21 주식회사 두원전자 용량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2042B1 (ko) 1998-11-10 2001-02-15 토마스 데주어 가변용량 사판식 압축기
KR100318772B1 (ko) 1999-12-16 2001-12-28 신영주 가변용량 사판식 압축기
KR20020039143A (ko) * 2000-11-20 2002-05-25 신영주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의 사판 힌지구조
KR100462433B1 (ko) 2003-07-16 2004-12-17 학교법인 두원학원 용량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JP2005163772A (ja) * 2003-11-14 2005-06-23 Toyota Industries Corp 可変容量圧縮機
KR101175272B1 (ko) 2011-09-06 2012-08-21 주식회사 두원전자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55009A1 (ko) 2020-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9283A (en) Variable capacity swash plate type compressor
JP4656666B2 (ja) スワッシュリング式圧縮機
US20090246050A1 (en) Variable capacity compressor
KR102038506B1 (ko) 오일 분리 기능을 가지는 회전체 및 이를 포함하는 가변용량 사판식 압축기
KR102038507B1 (ko) 가변용량 사판식 압축기의 힌지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가변용량 사판식 압축기
US20070220859A1 (en) Link Mechanism and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EP1783369A1 (en) Compressor
KR102437663B1 (ko)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KR102182775B1 (ko)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US11649811B2 (en) Variable capacity swash plate type compressor
KR101921089B1 (ko) 가변용량 사판식 압축기
CN107429678B (zh) 摆动板式可变容量压缩机
JP4451323B2 (ja) リンク機構およびこれを用いた可変容量圧縮機
KR20130109485A (ko) 사판식 압축기의 구동축 지지구조
JP2644746B2 (ja) 可変容量斜板式圧縮機
WO2019176724A1 (ja) 斜板式圧縮機
KR20230071955A (ko) 사판의 스트로크 크기에 따른 가변 냉매 배출 구조를 갖는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KR101331129B1 (ko)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100875905B1 (ko)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JPH09158832A (ja) 斜板式圧縮機
JPH09184480A (ja) 片頭ピストン型斜板式圧縮機
JP2010014034A (ja) 可変容量コンプレッサ
JP2010024918A (ja) 可変容量斜板式圧縮機
JP2006226192A (ja) 可変容量圧縮機
JP2009221968A (ja) コンプレッ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1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4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7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0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0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