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38339B1 - A hearing aid with easy wearing and easy removing - Google Patents

A hearing aid with easy wearing and easy remov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8339B1
KR102038339B1 KR1020180023973A KR20180023973A KR102038339B1 KR 102038339 B1 KR102038339 B1 KR 102038339B1 KR 1020180023973 A KR1020180023973 A KR 1020180023973A KR 20180023973 A KR20180023973 A KR 20180023973A KR 102038339 B1 KR102038339 B1 KR 102038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ring aid
holder
magnet
ear
hea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39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02901A (en
Inventor
이상민
권장우
조우형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23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8339B1/en
Publication of KR20190102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29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8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8339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02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adapted to be supported entirely by ea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5Housing parts, e.g. shells, tips or moulds, or their manufa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석, 나사산 및 토글 장치를 이용하여 착용자 스스로 착용과 탈거를 쉽게 할 수 있으며, 보청기의 삽입 깊이와 보청기의 적정 삽입을 감지함으로써 보청기의 적정 삽입 및 정확한 깊이의 삽입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착용 및 탈거가 쉬운 보청기를 제안한다. 상기 착용 및 탈거가 쉬운 보청기는, 보청기 본체 및 보청기 홀더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worn and removed by the wearer by using a magnet, a thread and a toggle device, and wears to check the proper insertion and correct insertion of the hearing aid by detecting the insertion depth of the hearing aid and the proper insertion of the hearing aid. And a hearing aid that is easy to remove. The hearing aid, which is easy to wear and remove, includes a hearing aid body and a hearing aid holder.

Description

착용 및 탈거가 쉬운 보청기 {A hearing aid with easy wearing and easy removing} Hearing aids that are easy to wear and remove {A hearing aid with easy wearing and easy removing}

본 발명은 보청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석, 나사산 및 토글 장치를 이용하여 착용자 스스로 착용과 탈거를 쉽게 할 수 있으며, 보청기의 삽입 깊이와 보청기의 적정 삽입을 감지함으로써 보청기의 적정 삽입 및 정확한 깊이의 삽입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보청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ring aid, and in particular, the wearer can easily wear and remove by using a magnet, a thread and a toggle device, and by detecting the insertion depth of the hearing aid and the proper insertion of the hearing aid, Hearing aids to confirm the insertion.

보청기는 청력 검사상 난청으로 진단된 환자의 귀에 장착하여 소리를 증폭하여 주를 기구로 소리를 외부의 소리를 수신하는 마이크로폰, 마이크로폰으로 수신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 증폭된 소리를 귀로 전달하는 스피커로 구성되며, 난청인 각각의 주파수별 청력에 맞추어 동작하도록 셋팅된 상태로 착용한다. Hearing aids are mounted on the ear of a patient diagnosed with hearing loss on hearing test and amplify the sound by using the main instrument.The microphone receives the external sound, the amplifier amplifies the signal received by the microphone, and the speaker delivers the amplified sound Consists of wearing, set to operate in accordance with hearing by each frequency of hearing loss.

보청기를 사용하려면, 먼저 병원(이비인후과)에서 정확한 청력검사를 시행한 후에 착용해야 하는데, 각각의 주파수마다 들을 수 있는 가장 작은 소리의 크기와 가장 편안하게 들을 수 있는 소리의 크기, 불쾌감을 느끼는 소리의 크기를 측정하여 증폭할 범위를 결정한 후 이를 조절해서 착용하여야 하는 등 상당한 과정을 거쳐야 한다. To use a hearing aid, you must first wear it after performing an accurate hearing test in a hospital (otolaryngology), with the smallest sound you can hear at each frequency, the size you can hear most comfortably, After measuring the size and determining the range to be amplified, it has to go through a considerable process such as adjusting and wearing it.

보청기 착용자의 외이도의 형태는 다양하기 때문에 보청기의 외형은 착용자의 외이도의 형태에 맞춰 만들어져야 하므로, 병원에서는 착용자의 외이도의 본을 뜨는 과정을 수행한 후, 외이도 본에 맞춰 보청기를 제작한다. Since the shape of the ear canal of the hearing aid wearer varies, the appearance of the hearing aid should be mad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ear canal of the wearer. In the hospital, the ear canal is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ear canal bone after performing the pattern of the ear canal of the wearer.

도 1은 보청기의 구별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1 is a photograph showing the distinction of hearing aids.

도 1을 참조하면, 몸에 부착하는 포켓형(미도시), 귀 뒤로 거는 귀걸이형(도 1a), 외이도와 이갑개(외이도에서 외이도 입구까지의 조개모양의 공간)를 채우는 이갑개형, 이외도 입구를 일부 채우는 외이도형(도 1b) 및 외이도 내로 완전히 넣어 타인의 눈에 잘 띄지 않도록 하는 고막형(도 1c)으로 구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1, a pocket-shaped (not shown) attached to the body, earrings hanging behind the ear (Fig. 1a), ear canal and ear canal (filled shell-shaped space from the ear canal to the entrance to the ear canal), other entrances It can be divided into the ear canal type (Fig. 1b) to fill a part and the tympanic mold (Fig. 1c) so that it is completely not visible to others.

전자기술 및 가공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소재 및 부품과 기구의 크기가 작아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보청기 분야에서도 다양한 삽입형태의 보청기가 개발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초소형 보청기는 일반 고막형 보청기보다도 더 깊숙하게 삽입되는 형태로 외부에서는 보청기의 착용 여부를 거의 파악할 수 없도록 한다. With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technology and processing technology, the size of materials, components, and devices is decreasing, and accordingly, various types of insertion hearing aids have been developed in the hearing aid field. Typically, ultra-small hearing aids are inserted deeper than ordinary tympanic hearing aids, so that they can hardly be seen from the outside.

그러나 이와 같은 초소형 보청기는 타인의 도움 없이 착용자 스스로 귓속에 삽입할 때 정확한 위치의 선정과 삽입 깊이의 적절한 판단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삽입을 잘못하여 보청기를 정확하게 삽입을 하지 못한 때에는 보청기의 탈거가 어려울 수 있으며, 적정깊이 이상으로 삽입하는 때에는 고막이나 외이도에 손상을 초래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However, such a small hearing aid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properly determine the correct position and the depth of insertion when the wearer inserts himself into the ear without help of another person. If the hearing aid is not correctly inserted due to incorrect insertion, it may be difficult to remove the hearing aid. If the hearing aid is inserted at an appropriate depth, the eardrum or the ear canal may be damaged.

또한, 보청기의 탈거를 쉽게 하기 위해 보청기에 돌출된 끈(손잡이)이 설치되어 있는데 돌출된 끈은 착용자의 귀 밖으로 노출되게 되어, 주위의 사람들이 보청기의 착용을 인식할 수 있어 착용의 거부감을 증가시킨다는 단점도 있었다. In addition, the hearing aid is provided with a strap (handle) protruding from the hearing aid for easy removal of the hearing aid, and the protruding strap is exposed outside the wearer's ear, so that people around them can recognize the wearing of the hearing aid, thereby increasing the objectionability of the hearing aid. There was also a disadvantage.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088878호(2012년08월08일)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88878 (08 Aug 201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자석, 나사산 및 토글 장치를 이용하여 착용자 스스로 착용과 탈거를 쉽게 할 수 있으며, 보청기의 삽입 깊이와 보청기의 적정 삽입을 감지함으로써 보청기의 적정 삽입 및 정확한 깊이의 삽입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착용 및 탈거가 쉬운 보청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magnet, a thread and a toggle device can be easily worn and removed by the wearer himself, by detecting the insertion depth of the hearing aid and the proper insertion of the hearing aid of the proper insertion and accurate depth of the hearing aid It is to provide a hearing aid that is easy to wear and remove to confirm insertion.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착용 및 탈거가 쉬운 보청기는, 보청기 본체 및 보청기 홀더를 포함한다. 상기 보청기 홀더는 직경이 귀의 외부에서 귀의 내부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원통 형태로 사용자의 외이도의 내면에 장착되며, 내면 중간에 적정삽입 감지센서가 설치된다. 상기 보청기 본체는 자석, 토글 수단 및 나사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보청기 홀더에 삽입되며 내부에 적정삽입 대응감지센서가 설치된다. 상기 보청기 본체는 직경이 귀의 외부에서 귀의 내부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를 가지고, 상기 적정삽입 대응감지센서가 상기 적정삽입 감지센서에 응답하여 활성화될 때 스피커를 통해 제2음향을 착용자의 귀에 송신한다. Hearing aid easy to wear and rem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cludes a hearing aid body and a hearing aid holder. The hearing aid holder is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ser's ear canal in a cylindrical shape, the diameter of which narrows from the outside of the ear toward the inside of the ear, and an appropriate insertion detection sensor is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inner surface. The hearing aid body is inserted into the hearing aid holder using at least one of a magnet, a toggle means, and a screw thread, and an appropriate insertion detection sensor is installed therein. The hearing aid body has a shape in which the diameter becomes narrower from the outside of the ear toward the inside of the ear, and transmits a second sound to the wearer's ear when the appropriate insertion detection sensor is activated in response to the proper insertion detection sensor. .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는 자석, 나사산 및 토글 장치를 이용하여 착용자 스스로 착용과 탈거를 쉽게 할 수 있으며, 보청기의 삽입 깊이와 보청기의 적정 삽입을 감지함으로써 보청기의 적정 삽입 및 정확한 깊이의 삽입을 확인할 수 있어 착용자 혼자서도 쉽게 그리고 정확하게 착용 및 탈거를 할 수 있으며, 보청기의 탈거를 위해 종래에 사용하던 외부로 돌출된 끈(손잡이)을 사용하지 않게 됨에 따라 착용자의 주변인이 보청기의 착용여부를 확인할 수 없다는 장점이 있다. The hea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worn and removed by the wearer by using a magnet, a thread and a toggle device, and can detect the proper insertion and correct insertion of the hearing aid by detecting the insertion depth and the proper insertion of the hearing aid. The wearer can easily and accurately wear and remove it alone, and since the user does not use the externally protruding strap (handle) for removing the hearing aid, the wearer's neighbor cannot check whether the hearing aid is worn. There is this.

다는 장점이 있다. It has the advantage.

도 1은 보청기의 구별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착용 및 탈거가 쉬운 보청기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은 자석을 이용한 방식의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토글 수단을 이용한 방식의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나사산을 이용한 방식의 실시 예를 나타낸다.
1 is a photograph showing the distinction of hearing aids.
Figure 2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hearing aid easy to wear and rem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n embodiment of a method using a magnet.
4 shows an embodiment of a scheme using a toggle means.
5 shows an embodiment of a method using a thread.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DETAILED DESCRIPTION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at describ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착용 및 탈거가 쉬운 보청기의 구성을 나타낸다. Figure 2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hearing aid easy to wear and rem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착용 및 탈거(분리)가 쉬운 보청기(200)는 보청기 본체(210) 및 보청기 홀더(23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hearing aid 200, which is easy to wear and rem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ring aid body 210 and a hearing aid holder 230.

보청기 본체(210)는 마이크로폰(211), 증폭기(212), 스피커(213), 음량조절부(214), 적정삽입 대응감지센서(215) 및 건전지(216)를 포함하며 제1자석(217), 보청기 분리보조수단(218), 토글 대응턱(219), 본체 회전용 홈(220) 및 제1 나사산(221) 중 적어도 하나를 보조적으로 포함한다. The hearing aid body 210 includes a microphone 211, an amplifier 212, a speaker 213, a volume control unit 214, a proper insertion detection sensor 215, and a battery 216 and a first magnet 217. The auxiliary hearing ai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hearing aid separating and assisting means 218, the toggle counterpart 219, the main body rotation groove 220, and the first thread 221.

보청기 홀더(230)는 적정삽입 감지센서(232)를 포함하며, 위치감지센서(231), 제2자석(233) 및 제2나사산(234) 중 적어도 하나를 보조적으로 포함한다. The hearing aid holder 230 includes a titration insertion detection sensor 232 and auxiliaryly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231, the second magnet 233, and the second screw thread 234.

먼저, 보청기 본체(210)의 기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First,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hearing aid main body 210 will be described.

마이크로폰(211)은 착용자의 귀의 외부에서 귀로 입력되는 소리를 수신한다. 증폭기(212)는 마이크로폰(211)에서 수신한 소리를 증폭한다. 스피커(213)는 한편으로는 증폭기(212)에서 증폭한 소리를 착용자의 귀로 전달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보청기 본체(210)의 삽입깊이에 따라 활성화되는 위치감지센서(221)의 감지결과를 감지하여 제1음향을 착용자의 귀에 송신하거나, 보청기 본체(210)를 구성하는 적정삽입 대응감지센서(215)가 보청기 홀더(230)를 구성하는 적정삽입 감지센서(222)에 응답하여 활성화될 때 제2음향을 착용자의 귀에 송신한다. 음량조절부(214)는 증폭기(212)의 증폭도 또는 스피커(213)의 볼륨을 조절한다. 적정삽입 대응감지센서(215)는 보청기 홀더(220)의 적정삽입 감지센서(222)가 미리 설정한 거리에 있을 경우 활성화된다. 건전지(216)는 마이크로폰(211), 증폭기(212), 스피커(213), 음량조절부(214) 및 적정삽입 대응감지센서(215)에 필요한 전기에너지를 공급한다. The microphone 211 receives a sound input into the ear from the outside of the wearer's ear. The amplifier 212 amplifies the sound received by the microphone 211. The speaker 213 transmits the sound amplified by the amplifier 212 to the wearer's ear, and on the other hand, detects the detection result of the position sensor 221 activated according to the insertion depth of the hearing aid body 210. When the first sound is transmitted to the wearer's ear, or when the appropriate insertion detection sensor 215 constituting the hearing aid body 210 is activated in response to the proper insertion detection sensor 222 constituting the hearing aid holder 230. 2 Sound is sent to the wearer's ear. The volume controller 214 adjusts the amplification degree of the amplifier 212 or the volume of the speaker 213. The proper insertion detection sensor 215 is activated when the proper insertion detection sensor 222 of the hearing aid holder 220 is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battery 216 supplies electric energy required for the microphone 211, the amplifier 212, the speaker 213, the volume control unit 214, and the appropriate insertion detection sensor 215.

보청기 본체(210)를 부가적으로 구성하는 제1자석(217), 보청기 분리보조수단(218), 토글 대응턱(219), 본체 회전용 홈(220) 및 제1 나사산(221)은 후술하는 실시 예와 함께 설명할 것이다. The first magnet 217, the hearing aid separation and auxiliary means 218, the toggle corresponding jaw 219, the main body rotation groove 220 and the first thread 221 additionally configuring the hearing aid body 210 will be described later. It will be described together with an embodiment.

이어 보청기 홀더(23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hearing aid holder 230 will be described.

적정삽입 감지센서(232)는 착용자가 보청기 본체(210)를 보청기 홀더(230)에 삽입할 때 삽입되는 보청기 본체(210)의 앞뒤 방향이 뒤바뀌었거나 정확한 각도로 삽입하지 않은 경우를 위한 것으로, 정확하게 착용한 때에만 활성화되도록 하였다. 즉, 착용자가 보청기 본체(210)를 정확한 각도로 착용하게 되면 적정삽입 감지센서(232)와 보청기 본체(210)에 설치된 적정삽입 대응감지센서(215)가 일정한 거리로 접근하게 되며, 이때에만 활성화되어 결국 제2음향을 착용자의 귀에 전달하게 된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보청기 본체(210)를 일단 보청기 홀더(230)에 삽입한 후 보청기 본체(210)를 일정각도 회전시키면서 적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Proper insertion detection sensor 232 is for when the wearer inserts the hearing aid body 210 in the hearing aid holder 230,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hearing aid body 210 to be inserted is reversed or not inserted at the correct angle It is only activated when worn correctly. That is, when the wearer wears the hearing aid body 210 at the correct angle, the proper insertion detection sensor 232 and the proper insertion corresponding detection sensor 215 installed in the hearing aid body 210 approach a certain distance, and are activated only at this time. The second sound is eventually delivered to the wearer's ear. In some embodiments, the hearing aid body 210 may be used to maintain the proper angle while the hearing aid body 210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after inserting the hearing aid body 210 into the hearing aid holder 230.

위치감지센서(231)는 보청기 홀더(230)에 삽입되어 귓속으로 진행하는 보청기 본체(210)의 진행방향의 가장 앞쪽을 감지하는 센서로, 예를 들면, 보청기 본체(210)의 진행방향의 가장 앞쪽이 위치감지센서(231)에 도달하였을 때 활성화되어 결국 제1음향을 착용자의 귀에 방출하도록 함으로써 착용자가 보청기 본체(210)의 삽입을 멈추도록 하는 것으로, 후술하겠지만 실시 예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위치감지센서(231)는 보청기 본체(210)가 예를 들면 고막에 도달할 수 있는 최대지점을 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타인의 도움 없이 착용자 스스로 보청기 본체(210)를 보청기 홀더(230)에 삽입할 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osition sensor 231 is a sensor that detects the front end of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hearing aid main body 210 inserted into the hearing aid holder 230 and proceeds at the ear, for example, the earliest direction of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hearing aid main body 210. When the front reaches the position sensor 231 is activated to eventually emit the first sound to the wearer's ear to stop the wearer's insertion of the hearing aid body 2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ut can be selectively us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have. The position sensor 231 may prevent the hearing aid body 210 from exceeding the maximum point that can reach the eardrum, for example, and inserts the hearing aid body 210 into the hearing aid holder 230 by the wearer without the help of another person. You may be able to help.

보청기 홀더(230)를 구성하는 제2자석(233), 토글 수단(234) 및 제2나사산(235)에 대해서는 실시 예와 함께 설명할 것이다. The second magnet 233, the toggle means 234, and the second screw thread 235 constituting the hearing aid holder 23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이하에서는 상기의 구성을 가진 보청기 본체(210) 및 보청기 홀더(230)의 외형 및 동작을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appearance and operation of the hearing aid main body 210 and the hearing aid holder 23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보청기 홀더(230)는 직경이 귀의 외부에서 귀의 내부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원통 형태로 사용자의 외이도의 내면에 장착되며, 내면 중간에 적정삽입 감지센서(222)가 설치된다. 보청기 홀더(230)를 미리 외이도에 미리 장착해 놓음으로써, 후에 보청기 본체(210)를 사용할 때의 착용은 물론 보청기 본체(210)를 사용하지 않을 때의 탈거를 쉽게 할 수 있다. 사람마다 외이도가 제각각이므로 실제의 보청기 홀더(230)는 착용자에 따라 별도의 과정을 거쳐 만들어져야 할 것이지만, 이 부분은 본 발명의 핵심아이디어와는 상관이 없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The hearing aid holder 230 is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ser's ear canal in a cylindrical shape whose diameter narrows from the outside of the ear toward the inside of the ear, and a proper insertion detection sensor 222 is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inner surface. By attaching the hearing aid holder 230 to the ear canal in advance, it is easy to remove the wearable when not using the hearing aid body 210 as well as wearing the hearing aid body 210 later. Since the ear canal is different for each person, the actual hearing aid holder 230 should be made through a separate process according to the wearer, but this part is not related to the cor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보청기 본체(210)는 직경이 귀의 외부에서 귀의 내부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보청기 홀더(230)의 내면에 장착되며, 보청기 본체(210)의 삽입깊이에 따라 활성화되는 위치감지센서(221)의 감지결과를 감지하여 내장한 스피커(213)를 통해 제1음향을 착용자의 귀에 송신하고, 적정삽입 대응감지센서(215)가 보청기 홀더(220)를 구성하는 적정삽입 감지센서(222)에 응답하여 활성화될 때 스피커(213)를 통해 제2음향을 착용자의 귀에 송신한다. Hearing aid body 210 is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earing aid holder 230 in a form that the diameter becomes narrower toward the inner direction of the ear from the outside of the ear, the position of the hearing sensor body 210 is activated according to the depth of insertion of the sensor Detects the detection result and transmits the first sound to the wearer's ear through the built-in speaker 213, the appropriate insertion detection sensor 215 in response to the appropriate insertion detection sensor 222 constituting the hearing aid holder 220 When activated, it transmits a second sound through the speaker 213 to the wearer's ear.

제1음향과 제2음향은 동일하게 하는 실시 예도 가능하지만, 서로 다르게 하여 착용자가 이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Although the first sound and the second sound may be the same embodiment, it may be desirable to allow the wearer to distinguish them from each other.

착용자는 보청기 본체(210)를 제1음향이 들릴 때까지만 보청기 홀더(230)에 삽입하면 되므로 너무 깊이 삽입하여 고막을 상하게 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보청기 본체(210)가 보청기 홀더(230)에 정확한 방향이나 각도로 삽입되었는가를 제2음향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황에서 활성화되는 제1음향과 제2음향은 보청기 본체(210)를 착용자가 타인이 도움없이 보청기 홀더(230)에 정확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The wearer may insert the hearing aid body 210 into the hearing aid holder 230 only until the first sound is heard, so that the hearing aid body 210 may not be inserted into the hearing aid holder 230 so as not to cause problems. It may be confirmed through the second sound whether the insertion in the correct direction or angle 230. The first sound and the second sound activated in the above situation may assist the wearer to correctly mount the hearing aid body 210 to the hearing aid holder 230 without help from others.

보청기 본체(210)가 보청기 홀더(230)에 삽입 장착 및 탈거(분리)하는 방식은 다양하다. The hearing aid body 210 may be inserted into, detached from, or removed from the hearing aid holder 230 in various ways.

도 3은 자석을 이용한 방식의 실시 예를 나타낸다. 3 shows an embodiment of a method using a magnet.

도 3a는 적정삽입 대응감지센서(215) 이외에 제1자석(217) 및 보청기 분리보조수단(218)이 추가로 설치되어 있는 보청기 본체(210)와 적정삽입 감지센서(232) 이외에 위치감지센서(231)와 제2자석(233)이 추가로 설치되어 있는 보청기 홀더(230)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와 결합한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도 3b는 제1 보청기 분리수단(300)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3A illustrates a position detecting sensor (in addition to the hearing aid body 210 and the proper insertion detecting sensor 232 in which the first magnet 217 and the hearing aid separating and auxiliary means 218 are additionally installed in addition to the proper insertion detecting sensor 215). 231 and the second magnet 233 is further shown coupled to the state in which the hearing aid holder 230 is additionally installed, respectively, Figure 3b shows an embodiment of the first hearing aid separating means 300.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청기 본체(210)가 보청기 홀더(230)에 삽입하면 위치감지센서(231)에서 보청기 본체(210)의 삽입 깊이를 착용자에게 통보하도록 하여 보청기 본체(210)가 보청기 홀더(230)의 내부로 삽입되는 최적의 깊이를 착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적정삽입 대응감지센서(215)와 적정삽입 감지센서(232) 를 이용하여 보청기 본체(210)가 보청기 홀더(230)에 적절하게 삽입되었는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보청기 홀더(230)에 삽입된 보청기 본체(210)는 2개의 자석(217, 233)의 자력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As shown in FIG. 3, when the hearing aid body 210 is inserted into the hearing aid holder 230, the position sensor 231 informs the wearer of the insertion depth of the hearing aid body 210 so that the hearing aid body 210 is hearing aid. To allow the wearer to check the optimum depth to be inserted into the holder 230, the hearing aid body 210 is the hearing aid holder 230 by using the appropriate insertion detection sensor 215 and the appropriate insertion detection sensor 232. It can be confirmed that it is properly inserted into, the hearing aid body 210 inserted into the hearing aid holder 230 is to be fixed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two magnets (217, 233).

보청기 홀더(230)에 삽입 고정되어 있는 보청기 본체(210)를 보청기 홀더(23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제1 보청기 분리수단(300)의 후크(301)를 보청기 본체(210)에 형성된 보청기 분리보조수단(218)에 삽입하여 귀의 외부로 잡아당기면 될 것이다. In order to separate the hearing aid body 210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hearing aid holder 230 from the hearing aid holder 230, the hearing aid separation aid formed on the hearing aid body 210 by hooks 301 of the first hearing aid separating means 300 are provided. It may be inserted into the means 218 and pulled out of the ear.

도 4는 토글 수단을 이용한 방식의 실시 예를 나타낸다. 4 shows an embodiment of a scheme using a toggle means.

도 4a는 적정삽입 대응감지센서(215) 이외에 제1자석(217) 및 토글 대응턱(219)이 추가로 설치되어 있는 보청기 본체(210)와 적정삽입 감지센서(232) 이외에 제2자석(233) 및 토글 수단(234)이 추가로 설치되어 있는 보청기 홀더(230)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와 이들이 결합한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도 4b는 토글 수단(234)의 동작 특성을 각각 나타낸다. FIG. 4A illustrates a hearing aid main body 210 having a first magnet 217 and a toggle counterpart 219 in addition to the proper insertion detection sensor 215 and a second magnet 233 in addition to the proper insertion detection sensor 232. And the hearing aid holder 230 in which the toggle means 234 are additionally installed, and the state in which they are coupled, respectively, and FIG. 4B shows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toggle means 234, respectively.

토글 수단(234)은 일정한 크기의 힘을 인가하면 길이가 축소되었다가, 다시 일정한 크기의 힘을 인가하면 축소되었던 길이가 원래의 길이로 복원하는 것으로 산업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다만 축소되었다가 복원될 때의 힘이 상당하기 때문에, 토글 수단(234)이 복원될 때 자력에 의해 보청기 홀더(230)에 고정된 보청기 본체(210)를 보청기 홀더(230)로부터 분리할 수 있을 것이다. Toggle means 234 is reduced in length when the force of a constant size is applied, and the reduced length is restored to the original length when the force of a constant size is applied to the industrial field in various ways,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ere. I never do that. However, since the force when it is reduced and restored is considerable, the hearing aid body 210 fixed to the hearing aid holder 230 by magnetic force when the toggle means 234 is restored can be separated from the hearing aid holder 230. will be.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는, 도 3의 실시 예에서 위치감지센서(231)가 없는 대신, 토글 수단(234)이 위치감지센서(231)의 기능을 대신할 수 있도록 하였다. 물론 실시 예에 따라서는 위치감지센서(231)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instead of the position sensor 231 in the embodiment of FIG. 3, the toggle means 234 may replace the function of the position sensor 231. Of course, depending on the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o use the position sensor 231.

도 4를 참조하면, 착용자는 보청기 본체(210)를 구성하는 토글 대응턱(219)이 토글 수단(234)에 접촉할 때까지 보청기 본체(210)를 보청기 홀더(230)에 삽입한 후, 일정한 크기의 힘을 추가로 인가하여 토글 수단(234)이 길이를 축소하도록 한다. 이때 토글 수단(234)의 축소된 거리만큼 보청기 홀더(230)의 내부로 추가 삽입된 보청기 본체(210)의 제1자석(217)이 보청기 홀더(230)를 구성하는 제2자석(233)의 힘에 의해 보청기 본체(210)가 보청기 홀더(23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토글 수단(234) 자체에 고정 및 고정해제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2개의 자석(217, 233)을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Referring to FIG. 4, the wearer inserts the hearing aid body 210 into the hearing aid holder 230 until the toggle counterpart 219 constituting the hearing aid body 210 contacts the toggle means 234. A force of magnitude is further applied to cause the toggle means 234 to reduce the length. At this time, the first magnet 217 of the hearing aid main body 210 additionally inserted into the hearing aid holder 230 by the reduced distance of the toggle means 234 of the second magnet 233 constituting the hearing aid holder 230. The hearing aid body 210 may be fixed to the inside of the hearing aid holder 230 by a force. In some embodiments, the two magnets 217 and 233 may not be used by installing the locking and unlocking means in the toggle means 234 itself.

토글 수단(234)의 물리적 특징을 이용하여 보청기 홀더(230)의 내부에 고정된 보청기 본체(210)를 보청기 홀더(230)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단순히 보청기 본체(210)에 일정한 힘을 가하면 된다. 이때 보청기 홀더(230)를 구성하는 토글 수단(234)의 길이가 복원되며, 토글 수단(234)의 복원력이 2개의 자석(217, 233)의 자력을 극복하고 보청기 본체(210)를 보청기 홀더(230)로부터 분리하여 귀의 외부로 일정한 거리 밀어내게 된다. 보청기 홀더(230)로부터 일정거리 분리된 보청기 본체(210)에 형성된 보청기 분리보조수단(218)에 제1 보청기 분리수단(300)의 후크(301)를 삽입하여 귀의 외부로 잡아당기면 보청기 본체(210)를 귀에서 완전히 분리시킬 수 있을 것이다. In order to detach the hearing aid body 210 fixed inside the hearing aid holder 230 from the hearing aid holder 230 by using the physical feature of the toggle means 234, a simple force may be applied to the hearing aid body 210.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toggle means 234 constituting the hearing aid holder 230 is restored, and the restoring force of the toggle means 234 overcomes the magnetic forces of the two magnets 217 and 233 and replaces the hearing aid body 210 with the hearing aid holder ( 230, and pushes it out of the ear a certain distance. Insert the hook 301 of the first hearing aid separating means 300 into the hearing aid separating aid 218 formed in the hearing aid body 210 separated by a certain distance from the hearing aid holder 230 and pulling it out of the ear. ) Can be completely detached from the ear.

도 5는 나사산을 이용한 방식의 실시 예를 나타낸다. 5 shows an embodiment of a method using a thread.

도 5a는 외면에 적정삽입 대응감지센서(215) 이외에 본체 회전용 홈(220)이 추가로 설치된 보청기 본체(210)와 적정삽입 감지센서(222) 이외에 위치감지센서(231)가 추가로 설치된 보청기 홀더(230)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와 이들이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4b는 보청기 본체(210)의 헤드에 형성된 본체 회전용 홈(220) 및 보청기 본체(210)의 외면에 형성된 제1나사산(221)을 나타내고, 도 4c는 보청기 홀더(230)의 내부에 형성된 제2나사산(235)을 각각 나타낸다. 5A illustrates a hearing aid in which a hearing aid body 210 in which a body rotation groove 220 is additionally installed in addition to a proper insertion detection sensor 215, and a position detection sensor 231 in addition to a proper insertion detection sensor 222 are additionally install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The holder 230 is in a separated state and a state in which they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FIG. 4B illustrates a body rotating groove 220 formed in the head of the hearing aid body 210 and a first screw thread 221 form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hearing aid body 210. 4C shows the second screw thread 235 formed inside the hearing aid holder 230, respectively.

도 5를 참조하면, 보청기 본체(210)는 보청기 본체(210)의 외면에 형성된 제1나사산(221)과 보청기 홀더(230)의 내면에 형성된 제2나사산(235)을 통해 보청기 홀더(230)에 장착 또는 분리되는데, 이때 보청기 본체(210)를 보청기 홀더(230)에 삽입하거나 분리하는 수단으로 제2 보청기 분리수단(500)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회전용 홈(220)이 1 자형이거나 십자형의 홈일 때 제2 보청기 분리수단(500)은 1 자형 드라이버 또는 십자형 드라이버를 사용하면 될 것이다. Referring to FIG. 5, the hearing aid body 210 includes a hearing aid holder 230 through a first screw thread 221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hearing aid body 210 and a second screw thread 235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hearing aid holder 230. In this case, the second hearing aid separating means 500 may be used as a means for inserting or separating the hearing aid body 210 into the hearing aid holder 230. As shown in FIG. 5B, when the main body rotation groove 220 is a 1-shaped or cross-shaped groove, the second hearing aid separating means 500 may use a 1-shaped screwdriver or a cross-shaped screwdriver.

제2 보청기 분리수단(500)으로 보청기 본체(210)를 보청기 홀더(230)로부터 일정한 거리 분리할 수는 있지만, 보청기 본체(210)를 귀에서 완전히 분리하는 것은 도 3에 도시한 제1 보청기 분리수단(300)의 후크(301)를 보청기 본체(210)에 형성된 보청기 분리보조수단(218)에 삽입하여 귀의 외부로 잡아당기면 될 것이다. Although the hearing aid body 210 may be separated from the hearing aid holder 230 by a second hearing aid separating means 500, the hearing aid body 210 may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ear by separating the first hearing aid shown in FIG. 3. The hook 301 of the means 300 may be inserted into the hearing aid separation aid 218 formed in the hearing aid body 210 and pulled out of the ear.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and do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imit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210: 보청기 본체
211: 마이크로폰 212: 증폭기
213: 스피커 214: 음량조절부
215: 적정삽입대응감지센서 216: 건전지
217: 제1자석 218: 보청기분리보조수단
219: 토글대응턱 220: 본체회전용 홈
221: 제1나사산
220: 보청기 홀더
221: 위치감지센서 222: 적정삽입감지센서
223: 제2자석 224: 토글수단
225: 제2나사산
300: 제1 보청기 분리수단
500: 제2 보청기 분리수단
210: hearing aid body
211: microphone 212: amplifier
213: speaker 214: volume control unit
215: appropriate insertion detection sensor 216: dry cell
217: first magnet 218: hearing aid separation aid
219: toggle jaw 220: main body rotation groove
221: first screw thread
220: hearing aid holder
221: position detection sensor 222: proper insertion detection sensor
223: second magnet 224: toggle means
225: second screw thread
300: the first hearing aid separation means
500: second hearing aid separation means

Claims (4)

직경이 귀의 외부에서 귀의 내부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원통 형태로 사용자의 외이도의 내면에 장착되며, 내면 중간에 적정삽입 감지센서가 설치된 보청기 홀더; 및
상기 보청기 홀더에 삽입되며, 내부에 적정삽입 대응감지센서가 설치된 보청기 본체; 를 포함하며,
상기 보청기 본체는 직경이 귀의 외부에서 귀의 내부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를 가지고, 상기 적정삽입 대응감지센서가 상기 적정삽입 감지센서에 응답하여 활성화될 때 내장한 스피커를 통해 제2음향을 착용자의 귀에 송신하고, 자석, 토글 수단 및 나사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보청기 홀더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및 탈거가 쉬운 보청기.
Hearing aid holder is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ear canal of the user's ear canal in the form of a cylinder becomes narrower in diameter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ear from the outside of the ear, the hearing aid holder is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inner surface; And
A hearing aid body inserted into the hearing aid holder and having a proper insertion sensor installed therein; Including;
The hearing aid body has a shape in which the diameter becomes narrower from the outside of the ear toward the inside of the ear, and when the titration insertion response sensor is activated in response to the titration insertion detection sensor, a second sound is transmitted to the wearer's ear through a built-in speaker. A hearing aid easy to wear and remov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transmitted and inserted into the hearing aid holder using at least one of a magnet, a toggle means and a thread.
제1항에서, 상기 보청기 본체가 상기 자석을 이용하여 상기 보청기 홀더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보청기 본체에는 제1자석, 상기 보청기 홀더에는 위치감지센서 및 제2자석이 각각 더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자석 및 상기 제2자석은 상기 보청기 본체가 상기 보청기 홀더에 장착되었을 때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1자석 및 상기 제2자석의 자력(인력)으로 상기 보청기 본체가 상기 보청기 홀더의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보청기 본체의 상기 스피커는 상기 보청기 본체의 삽입깊이에 따라 활성화되는 상기 위치 감지센서의 감지결과를 감지하여 제1음향을 착용자의 귀에 송신하고,
상기 보청기 본체의 일 면 중 착용자의 귀의 외부에 위치하는 면에는 제1 보청기 분리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보청기 본체가 상기 보청기 홀더로부터 이탈할 수 있도록 하는 보청기 분리보조수단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및 탈거가 쉬운 보청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when the hearing aid body is inserted into the hearing aid holder using the magnet,
The hearing aid body further includes a first magnet, and the hearing aid holder further includes a position sensor and a second magnet, and the first magnet and the second magnet correspond to each other when the hearing aid body is mounted on the hearing aid holder. Is installed in the position, the hearing aid body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hearing aid holder by the magnetic force (gravity) of the first magnet and the second magnet,
The speaker of the hearing aid body detects a detection result of the position sensor which is activated according to the insertion depth of the hearing aid body, and transmits a first sound to a wearer's ear.
One side of the hearing aid body is loc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earer's ear is furt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ring aid separation aid means for allowing the hearing aid body to be separated from the hearing aid holder by using a first hearing aid separation means Hearing aids that are easy to wear and remove.
제1항에서, 상기 보청기 본체가 상기 토글 수단 및 상기 자석을 이용하여 상기 보청기 홀더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보청기 본체에는 토글 대응턱 및 제1자석, 상기 보청기 홀더의 내면에 토글 수단 및 제2자석이 각각 더 설치되고, 상기 토글 대응턱은 상기 토글 수단에 의해 상기 보청기 본체가 상기 보청기 홀더의 내부로 삽입되는 깊이가 제한되도록 하고, 상기 제1자석 및 상기 제2자석은 상기 보청기 본체가 상기 보청기 홀더에 장착되었을 때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1자석 및 상기 제2자석의 자력(인력)으로 상기 보청기 본체가 상기 보청기 홀더의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토글 수단은 상기 보청기 본체를 구성하는 상기 토글 대응턱이 접촉할 때까지 상기 보청기 본체를 상기 보청기 홀더에 삽입하고 일정한 크기의 힘을 인가하면 길이가 축소되었다가, 다시 일정한 크기의 힘을 인가하면 축소되었던 길이가 원래의 길이로 복원하며,
상기 보청기 본체의 일 면 중 착용자의 귀의 외부에 위치하는 면에는 제1 보청기 분리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보청기 본체가 상기 보청기 홀더로부터 이탈할 수 있도록 하는 보청기 분리보조수단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및 탈거가 쉬운 보청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when the hearing aid body is inserted into the hearing aid holder using the toggle means and the magnet,
The hearing aid body further includes a toggle counterpart and a first magnet, and a toggle means and a second magnet, respectively,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earing aid holder, and the toggle counterpart is configured by the toggle means to allow the hearing aid body to enter into the hearing aid holder. Insertion depth is limited, the first magnet and the second magnet is install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when the hearing aid body is mounted to the hearing aid holder, the magnetic force of the first magnet and the second magnet The hearing aid body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hearing aid holder,
When the toggle means inserts the hearing aid body into the hearing aid holder until the toggle corresponding jaw constituting the hearing aid body comes into contact with the hearing aid holder, the force is reduced in length, and then the force is applied again. The reduced length returns to its original length,
One side of the hearing aid body is loc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earer's ear is furt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ring aid separation aid means for allowing the hearing aid body to be separated from the hearing aid holder by using a first hearing aid separation means Hearing aids that are easy to wear and remove.
제1항에서, 상기 보청기 본체가 상기 나사산을 이용하여 상기 보청기 홀더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보청기 본체에는 제1나사산, 상기 보청기 홀더는 위치감지센서 및 제2나사산이 각각 더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나사산은 상기 보청기 본체의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나사산은 상기 보청기 홀더의 내면에 설치되고,
상기 보청기 본체의 일 면 중 착용자의 귀의 외부에 위치하는 면에는 제2 보청기 분리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보청기 본체를 회전시킬 수 있는 본체 회전용 홈 및 제1 보청기 분리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보청기 본체가 상기 보청기 홀더로부터 이탈할 수 있도록 하는 보청기 분리보조수단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및 탈거가 쉬운 보청기.
The hearing aid body of claim 1, wherein the hearing aid body is inserted into the hearing aid holder using the screw thread.
The hearing aid body has a first screw thread, the hearing aid holder is further provided with a position sensor and a second screw thread, the first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earing aid body, the second screw thread is the inner surface of the hearing aid holder Installed in,
One side of the hearing aid body is loc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earer's ear, the hearing aid body using the body rotation groove and the first hearing aid separating means for rotating the hearing aid body using a second hearing aid separating means; Hearing aid easy to wear and remove,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ring aid is separated from the hearing aid holder is further provided with a hearing aid separation aid.
KR1020180023973A 2018-02-27 2018-02-27 A hearing aid with easy wearing and easy removing Active KR1020383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973A KR102038339B1 (en) 2018-02-27 2018-02-27 A hearing aid with easy wearing and easy remov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973A KR102038339B1 (en) 2018-02-27 2018-02-27 A hearing aid with easy wearing and easy remov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901A KR20190102901A (en) 2019-09-04
KR102038339B1 true KR102038339B1 (en) 2019-10-30

Family

ID=67950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3973A Active KR102038339B1 (en) 2018-02-27 2018-02-27 A hearing aid with easy wearing and easy remov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8339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8168B1 (en) * 2016-05-11 2017-06-16 박관식 Bearing aids with dual microphone for easy-detachment of shell and silicon sleeve tip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3611A (en) * 2007-04-17 2008-10-22 에이디반도체(주) Automatic Control Hearing Aid Using Capacitive Sensor
SG181847A1 (en) 2009-12-21 2012-08-30 Widex As Ear plug for a hearing aid and a hearing ai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8168B1 (en) * 2016-05-11 2017-06-16 박관식 Bearing aids with dual microphone for easy-detachment of shell and silicon sleeve ti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901A (en) 2019-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47360B2 (en) Hearing instrument housing having a plug-in connection, plug and hearing instrument
US11722829B2 (en) Hybrid shell for hearing aid
US20090082801A1 (en) Tool for inserting a receiver of a hearing apparatus into an auditory canal
JP5823056B2 (en) Hearing aid with ear guard guard bushing
DK2104376T3 (en) Method of active occlusion reduction with plausibility testing and corresponding hearing aid
US11812246B2 (en) Pairing system and method for ear-worn devices
CN111903142B (en) Audio device with magnetic field sensor
US20080199031A1 (en) Hearing apparatus with a magnetically attached battery holding device
WO2003015463A3 (en) A bte/cic auditory device and modular connector system therefor
US20110286616A1 (en) Hearing device with a passive unit seated deep in the auditory canal
US10623871B2 (en) Hearing assistance system with automatic side detection
JP6378628B2 (en) Active mold relieving ear mold
EP2028877B1 (en) Hearing aid with anti-feedback system
KR20140076623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oft custom ear mold and a soft custom ear mold
US20110188692A1 (en) Hearing system with positioning device and corresponding positioning method
KR102038339B1 (en) A hearing aid with easy wearing and easy removing
EP2615854A1 (en) Housing for a hearing aid
US20110222716A1 (en) Hearing aid housing
DK2309779T3 (en) Hearing aid and earpiece
US8355519B2 (en) Tool for fitting and removing a receiver of a hearing aid
US10231068B2 (en) Hearing device for being worn at least partly within an ear cana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 hearing device
US20110206227A1 (en) Device for inserting a pin into a hearing aid
CN106165450A (en) ITE sonifer and the method manufacturing ITE sonifer
KR102100845B1 (en) Compensating a hearing impairment apparatus with external microphone
WO2017207044A1 (en) Hearing assistance system with automatic side de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0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4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0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0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