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37167B1 - 지반고정용 앵커 - Google Patents

지반고정용 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7167B1
KR102037167B1 KR1020180166561A KR20180166561A KR102037167B1 KR 102037167 B1 KR102037167 B1 KR 102037167B1 KR 1020180166561 A KR1020180166561 A KR 1020180166561A KR 20180166561 A KR20180166561 A KR 20180166561A KR 102037167 B1 KR102037167 B1 KR 102037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fixing
anchor
ground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6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섭
박윤성
이승우
Original Assignee
산림조합중앙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림조합중앙회 filed Critical 산림조합중앙회
Priority to KR1020180166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71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16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02D5/803Ground anchors with pivotable anchor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5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at least a hing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고정용 구조물을 지중에 고정시키기 위한 지반고정용 앵커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지반고정용 앵커에 있어서, 봉형상의 삽입대(110) 및 상기 삽입대 일측의 힌지대(120)로 이루어진 장착부(100);, 판재형상이며, 상기 힌지대와 결합되는 회동구(210)를 형성한 결착부(200);, 일측이 상기 결착부의 체결구(220)와 결합되는 와이어(3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지반고정용 앵커{Earth anchor}
본 발명은 지면고정용 구조물을 지중에 고정시키기 위한 지반고정용 앵커에 대한 것이다.
특허발명 001은 천공홀에 시공되는 강관 소일네일에 대한 것으로서, 천공홀에 삽입되는 지보재; 지보재의 일측을 감싸도록 구비된 아웃패커; 아웃패커 내부에 그라우트를 주입하기 위한 그라우팅 호스; 및 아웃패커의 하부 일측에 지보재와 연결되도록 구비된 웨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커 팽창 접이식 웨지 정착 강관 소일네일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발명 002는 도로나 기타 토목공사에 의해 발생하는 사면(또는 옹벽)을 보강하기 위한 클러치 셋 네일링 시스템과 그 시공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사면에 천공한 구멍에 앵커를 삽입한 다음 앵커를 확장시켜 천공홀에 고정되도록 한다. 특허발명 002는 네일의 선단부와 테이퍼 압박구 사이에 코일스프링을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장착하고 이러한 코일스프링의 압축상태를 간단한 구성과 작동으로 신속하게 해제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신속하고 강력한 소일 네일공법의 시공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발명 003은 보강용 소일네일에 대한 것으로서, 내주면에 나사공이 관통 형성되어 하단이 보강홀의 바닥에 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와, 내측으로 상기 나사공과 연통되어 구경 확장된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의 상단 중심으로부터 외측 방사상으로 확장되게 형성된 복수의 윙플레이트가 일체로 이루어진 비트조립체; 하단 외주면에 상기 고정부의 나사공에 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과 일정거리 이격된 위쪽으로 고정턱이 일체로 형성된 네일바; 및 상기 네일바의 하단이 관통되어 일단이 상기 고정턱에 지지되며, 타단이 상기 복수의 윙플레이트와 대응되는 가압체;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특허발명 003에 의하면, 네일바를 회전시켜서 확장된 비트조립체를 보강홀의 내측면에 정착시켜 암반 비탈면을 보강하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발명 004는 사면보강공사용 네일앵커에 대한 것으로서, 소일네일을 모반에 정착시키기 위하여 사면보강공사용 천공홀에 지지고정되는 앵커블레이드가 포함된 앵커몸체와, 이 앵커몸체와 나사결합되는 네일로서 이형철근과, 상기 나사결합에 의한 이 이형철근의 전진으로 상기 앵커블레이드를 확장시키는 테이퍼몸체로 이루어지고, 이 테이퍼몸체를 전진시키기 위해 이형철근과 테이퍼 몸체의 관통홀에는 서로 간섭되도록 맞물리는 테이퍼면이 형성된 사면보강공사용 네일앵커에 있어서: 상기 네일로서 강봉에 돌출턱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이형철근의 강봉에 균일한 강성이 보유되게 그 외주연장선상으로 나합부가 형성되고, 이 나합부와 나사결합되는 나합관통홀이 앵커몸체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테이퍼몸체에는 상기 강봉외주면과 일체선상으로 연장된 단부를 갖는 네일과 간섭되어 테이퍼몸체가 앵커몸체와의 나사결합시 전진되도록 간섭부가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간섭부에 따라 두가지 실시예로 구분되며, 하나는 나사결합에 의한 간섭부이고, 다른 하나는 이형철근의 돌출턱을 이용한 간섭부를 제시하고 있다.
(특허번호 001) KR 10-1087891 B1 (등록일자 2011년11월22일) (특허번호 002) KR 10-0908566 B1 (등록일자 2009년07월13일) (특허번호 003) KR 10-1735816 B1 (등록일자 2017년05월08일) (특허번호 004) KR 20-0349108 Y1 (등록일자 2004년04월20일)
본 발명은 지면고정용 구조물을 지중에 고정시키기 위한 지반고정용 앵커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반고정용 앵커에 대한 발명이며, 구체적으로 봉형상의 삽입대(110) 및 상기 삽입대 일측의 힌지대(120)로 이루어진 장착부(100);, 판재형상이며, 상기 힌지대와 결합되는 회동구(210)를 형성한 결착부(200);, 일측이 상기 결착부의 체결구(220)와 결합되는 와이어(3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지반고정용 앵커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결착부(200) 양단부에 형성되며, 복수이며, 쇄기 형상의 결착돌기(2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지반고정용 앵커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힌지대(120)는 상기 회동구(210)를 결합하며, 봉형상의 힌지핀(121);, 상기 힌지핀 양단 또는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대(12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지반고정용 앵커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결착부 일면에 형성된 노치홈(240);, 상기 노치홈 및 삽입대를 묶는 밴드(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지반고정용 앵커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삽입대에 고정되는 고정부(510);, 상기 고정부에서 원주방향으로 확장되며, 천공홀 내경과 접촉되는 접촉부(5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지반고정용 앵커는 주요구성들이 판재 및 봉재만을 이용하여 제조하므로 제조단가를 최소화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지반고정용 앵커는 필요에 따라 결착부를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지반고정용 앵커는 삽입대의 길이를 조절하여 다양한 정착깊이를 호완성있게 변화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지반고정용 앵커는 결착부의 결착돌기 및 경사면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중 속에 결착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지반고정용 앵커는 노치홈 및 밴드에 의해 결착부를 고정하므로 지중 삽입의 원활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지반고정용 앵커는 고정부 및 접촉부를 가지므로 지중삽입과정 중 삽입대의 처짐에 따른 중간 걸림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를 가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지반고정용 앵커가 천공단부에 고착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지반고정용 앵커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지반고정용 앵커 결착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지반고정용 삽입대 결합부분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지반고정용 앵커의 단일 결착부 장착 사시도.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지반고정용 앵커의 이중 결착부 장착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 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실시예의 인용관계는 기술적 이해를 돕고자 제시한 번호에 불과 할 뿐이며, 기타 인용하지 않은 다른 실시 예를 인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 예에 명시되지 않은 구성이어도 유사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으로 치환 가능하다. 이하 실시 예에 명시하지 않은 하위개념 구성이어도 명시된 것으로 간주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지반고정용 앵커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봉형상의 삽입대(110) 및 상기 삽입대 일측의 힌지대(120)로 이루어진 장착부(100);, 판재형상이며, 상기 힌지대와 결합되는 회동구(210)를 형성한 결착부(200);, 일측이 상기 결착부의 체결구(220)와 결합되는 와이어(3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연약지반, 비탈면 등에 설치되는 구조물의 고정을 위해, 지반과 고정하는 앵커에 대한 발명이다. 앵커를 지중에 고정하기 위해, 지면을 천공하며, 상기 천공 속으로 봉형상의 삽입대를 삽입한다. 상기 삽입대 단부에는 결착부를 형성하며, 상기 결착부는 천공단부에 펼쳐지게된다. 따라서, 결착부는 지중속에 고정된다. 결착부 펼침은 결착부에 체결된 와이어 견인으로 이루어진다. 결착부 지중결착 후에는 상기 삽입대를 결착부와 이탈하여 배출할 수도 있다. 삽입대 길이는 봉형상을 형성하며, 천공깊이 수용길이를 확보해야 된다. 결착부 펼침을 위해 결착부 및 삽입대 사이에는 힌지대를 형성한다. 상기 펼침은 결착부가 안정적으로 천공속을 진입하기 위해 졉혀진 상태로 삽입되며, 삽입된 이후에는 펼침을 형성한다.
[실시예 1-2] 본 발명은 지반고정용 앵커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 및/또는 회동구는 결착대 길이방향 중심선에 위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3] 본 발명은 지반고정용 앵커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회동구는 결착부 길이방향 중심선으로부터 이격되며, 결착부 일면에서 돌출된 회동구돌기판(211)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4] 본 발명은 지반고정용 앵커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결착부 길이방향 중심선으로부터 이격되며, 결착부 일면에서 돌출된 체결구돌기판(221)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결착부와 힌지대는 결착부의 회동구를 중심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판재형상의 결착부는 회동구를 중심으로 회동한다. 상기 회동구는 결착부 내부에 관통 형성된 구멍을 형성한다. 또는 별도의 돌기판(회동구돌기)을 결착부 판재로부터 연장 형성한 후, 상기 회동구를 형성한다. 와이어와 결속되는 체결구는 결착부 중심선상에 존재할 수 있으며, 또는 결착부 판재로부터 연장형성된 별도의 체결구 돌기판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구 돌기판에 체결구를 형성한다. 이는 삽입대 중심축으로부터 견인위치를 이격시켜, 와이어 견인시 원활한 결착부 회동을 가능하게 하고자 함이다.
[실시예 1-5] 본 발명은 지반고정용 앵커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삽입대는 중공관 또는 중실관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삽입대는 봉형상으로 형성되며, 삽입대 단부는 결착부를 결합한다. 따라서 삽입대의 천공홀 삽입시 중력에 의해 삽입대 처짐이 발생되며, 상기 처짐은 결착부와 천공홀 내부 간섭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삽입대는 강성이 높은 금속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높은 강성을 유지하며,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중공관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1-6] 본 발명은 지반고정용 앵커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5에 있어서, 상기 삽입대는 하나 또는 복수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7] 본 발명은 지반고정용 앵커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6에 있어서, 상기 삽입대가 복수로 결합되는 경우, 하나의 삽입대 일측은 단부(111)를 형성하며, 다른 삽입대 타측으로 상기 단부가 삽입되며, 각각의 삽입대 중첩부위는 고정핀(112)으로 고정되는 것;을 포함한다.
앵커결합위치는 지중 암반(목표위치)까지 도달해야 된다. 목표위치까지는 다양한 천공깊이를 가진다. 다양한 길이 가변을 위해, 삽입대는 다양한 길이로 조립되어야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삽입대는 하나 또는 복수로 사용되며, 복수의 삽입대가 사용될 경우, 각각의 삽입대는 상호 결합된다. 상기 결합은 하나의 고정핀을 이용하여 2개의 삽입대를 결합한다. 고정핀을 사용하는 이유는 삽입대 이탈 후 삽입대의 원활한 분리를 위함이다. 또한, 삽입대를 힌지대로부터 분리할 때, 회전 분리하므로 회전시 각각의 삽입대가 중간 분리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지반고정용 앵커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결착부(200) 양단부에 형성되며, 복수이며, 쇄기 형상의 결착돌기(230);를 포함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은 지반고정용 앵커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결착부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형성되며, 절곡형성되며, 상기 결착돌기를 수용하는 절곡부;를 포함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은 지반고정용 앵커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의 절곡방향은 양단부 각각 동일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4] 본 발명은 지반고정용 앵커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쇄기의 면은 판재 평면으로부터 사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5] 본 발명은 지반고정용 앵커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결착부 양단부는 사선으로 경사면(250)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결착부는 판재형상으로 형성된다. 결착부가 힌지대에서 펼쳐질 경우, 판재의 양단 모서리는 천공홀 내경과 접촉하게 된다. 이후, 삽입대를 인장하면, 결착부 모서리는 천공홀 내경에 결박된다. 상기 결박 효율 향상을 위해, 결착부 양단부는 사선으로 경사면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로서, 결착부 양단부를 절곡하며, 상기 절곡부가 천공홀 내경에 선 접촉하게 한다. 또한 절곡부에는 복수의 쇄기를 형성하여, 절곡부 및 천공홀 내경의 결박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절곡방향은 절곡부 양단면으로부터 동일방향 또는 상이한 방향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쇄기의 결박효과를 높이기 위해 판재 평면으로부터 사선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지반고정용 앵커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힌지대(120)는 상기 회동구(210)를 결합하며, 봉형상의 힌지핀(121);, 상기 힌지핀 양단 또는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대(122);를 포함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은 지반고정용 앵커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대(123);를 포함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은 지반고정용 앵커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는 판재 또는 블럭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3-4] 본 발명은 지반고정용 앵커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에 형성된 암나사(123a);, 상기 암나사와 결합되며, 상기 삽입대 일측에 형성된 숫나사(113);를 포함한다.
힌지대는 삽입대 및 결착부 사이에 위치하며, 결착부를 회동시키며, 삽입대를 분리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힌지대는 2개의 판재로 형성된 지지대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대는 힌지핀으로 결합한다. 각각의 지지대 일면은 고정대에 수직으로 결합한다. 상기 고정대는 판재형태로 형성되거나 블록형태로 형성된다. 판재형태로 형성될 경우, 암나사를 형성한다. 상기 암나사는 삽입대의 숫나사와 나사 결합된다. 생산성 향상을 위해, 법용 너트를 고정대로 사용할 수 있다. 법용 너트의 일면에 2개의 지지대를 용접하며, 상기 너트에 삽입대의 숫나사를 결합한다.
[실시예 3-5] 본 발명은 지반고정용 앵커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 및 지지대는 하나의 절곡된 판재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생산성 향상을 위해 2개의 지지대 및 하나의 고정대는 판재로 제작한 후 절곡 형성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재의 지지대에는 구멍을 천공한 후, 암나사를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3-6] 본 발명은 지반고정용 앵커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힌지핀은 볼트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3-7] 본 발명은 지반고정용 앵커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3-6에 있어서, 상기 볼트는 지지대와 나사결합 또는 별도의 너트(121b)로 결합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힌지핀은 결착부의 회동구를 삽입한다. 즉, 상기 힌지핀은 고정되며, 힌지핀에 결합된 결착부는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상기 힌지핀은 통상의 핀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생산성 향상을 위해 통상의 볼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볼트결합을 위해 지지대는 볼트결합용 구멍을 천공한 후, 상기 볼트를 체결하고, 별도의 너트로 볼트를 고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너트를 사용하지 않기 위해, 지지대의 구멍에 탭가공을 하여 암나사를 형성한 후, 볼트를 지지대와 직접체결 할 수 있다.
[실시예 3-8] 본 발명은 지반고정용 앵커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복수로 형성되며, 각각의 지지대 사이에는 결착부가 각각 결합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결착부를 하나의 힌지대에 결합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2개의 결착부가 힌지대와 장착되기 위해, 3개의 지지대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수평하게 설치되며, 상기 간격내부에는 각각의 결착부를 삽입할 수 있다. 각각의 결착부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지반고정용 앵커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결착부 일면에 형성된 노치홈(240);, 상기 노치홈 및 삽입대를 묶는 밴드(400);를 포함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은 지반고정용 앵커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고무줄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앵커헤드(결착부, 힌지대 부분)의 원활한 천공홀 삽입을 목적으로 한다. 힌지대에서 회동 가능한 결착부는 천공홀 삽입과정 중 펼쳐질 수 있다. 결착부가 천공홀 중간에 펼쳐질 경우, 천공홀 삽입중에 간섭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결착부의 펼침은 인위적인 외부외력으로 펼쳐져야 된다. 따라서 고무줄과 같은 밴드를 이용하여 결착부와 삽입대를 구속한다. 밴드의 위치이동 제한을 위해, 결착부 일면에는 노치홀을 형성하여, 고무줄을 상기 노치홀에 안착시킨다. 상기 고무줄은 와이어의 긴장으로 발생되는 결착부 펼침 과정에서 파손된다. 상기 고무줄을 대신하여 얇은 실을 사용하거나, 접착 테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지반고정용 앵커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삽입대에 고정되는 고정부(510);, 상기 고정부에서 원주방향으로 확장되며, 천공홀 내경과 접촉되는 접촉부(520);를 포함한다.
[실시예 5-2] 본 발명은 지반고정용 앵커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및 접촉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고정부 및 접촉부는 연결부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5-3] 본 발명은 지반고정용 앵커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및 접촉부는 일체로 형성되며, 판재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삽입대의 처짐방지를 목적으로 한다. 삽입대가 장봉형태의 경우, 중력에 의해 처짐이 발생되며, 상기 처짐은 결착부 및 천공홀 내경의 간섭을 유발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힌지대의 인접위치의 삽입대에는 고정부 및 접촉부를 결합한다. 고정부는 힌지대와 고정되며, 접촉부는 천공홀 내경과 접촉된다. 따라서 삽입대의 천공홀 진입시 삽입대 단부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 및 접촉부는 링형태로 형성하며, 연결부로 연결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고정부 및 접촉부는 하나의 판재로 형성되며, 상기 판재의 일측은 삽입대와 고정되며, 타측은 천공홀 내경에 접촉된다. 상기 고정부 및 접촉부는 복수로 형성되여, 천공홀 내부에서 삽입대를 천공홀과 동심축 상에 정렬할 수 있다.
100 : 장착부 110 : 삽입대
111 : 단부 112 : 고정핀
113 : 숫나사 120 : 힌지대
121 : 힌지핀 121b : 별도의 너트
122 : 지지대 123 : 고정대
123a : 암나사 200 : 결착부
210 : 회동구 211 : 회동구돌기판
220 : 체결구 221 : 체결구돌기판
230 : 결착돌기 240 : 노치홈
250 : 경사면 300 : 와이어
400 : 밴드 510 : 고정부
520 : 접촉부

Claims (5)

  1. 지반고정용 앵커에 있어서,
    봉형상의 삽입대(110) 및 상기 삽입대 일측의 힌지대(120)로 이루어진 장착
    부(100);
    판재형상이며, 상기 힌지대와 결합되는 회동구(210)를 형성한 결착부(200);
    일측이 상기 결착부의 체결구(220)와 결합되는 와이어(300);
    상기 삽입대(110)는 복수의 중공관의 결합으로 형성되며, 하나의 삽입대 일측 단부에 다른 삽입대 타측이 삽입되는 중첩부위를 고정하는 고정핀(112);
    상기 결착부(200) 양단부에 형성되며, 복수이며, 쇄기 형상의 결착돌기(230);
    상기 결착부(200) 일면에 형성된 노치홈(240);
    상기 노치홈(240) 및 삽입대를 묶는 밴드(400);
    삽입대에 고정되는 고정부(510);
    상기 고정부(510)에서 원주방향으로 확장되며, 천공홀 내경과 접촉되는 접촉부(520);
    상기 결착부(200) 양단부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결착돌기(230)를 수용하는 절곡부;
    상기 힌지대(120)는 상기 회동구(210)를 결합하며, 봉형상의 힌지핀(121);,
    상기 힌지핀(121) 양단 또는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대(122);
    상기 지지대와 결착부는 각각 복수로 형성되며, 각각의 지지대 사이에는 복수의 결착부가 각각 결합되는 것을 포함하는 지반고정용 앵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166561A 2018-12-20 2018-12-20 지반고정용 앵커 Active KR102037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561A KR102037167B1 (ko) 2018-12-20 2018-12-20 지반고정용 앵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561A KR102037167B1 (ko) 2018-12-20 2018-12-20 지반고정용 앵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7167B1 true KR102037167B1 (ko) 2019-10-29

Family

ID=68423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6561A Active KR102037167B1 (ko) 2018-12-20 2018-12-20 지반고정용 앵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71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0887A (ko) * 2021-05-28 2022-12-06 오순옥 파형 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반 보강 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9108Y1 (ko) 2004-01-20 2004-04-30 곽윤형 사면보강공사용 네일앵커
KR100598024B1 (ko) * 2005-07-08 2006-07-07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쐐기식 앵커
KR100859207B1 (ko) * 2008-03-24 2008-09-18 김현래 선단확장지속형 네일링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사면보강재
KR100908566B1 (ko) 2009-02-20 2009-07-21 윤정배 사면보강용 클러치셋 네일링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20090120773A (ko) * 2008-05-20 2009-11-25 윤성호 사면보강용 앵커
KR101047085B1 (ko) * 2010-10-14 2011-07-06 신성종합건축사사무소(주) 이형철근을 이용한 프리텐션 쏘일네일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087891B1 (ko) 2008-12-30 2011-11-30 (주) 신풍컨설턴트 패커 팽창으로 원지반 공벽에 정착되는 접이식 웨지를 다수장착한 고강도 경량 강관 쏘일네일
KR101735816B1 (ko) 2016-10-13 2017-05-15 (주)서진보강기술공사 비탈면 보강용 소일네일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9108Y1 (ko) 2004-01-20 2004-04-30 곽윤형 사면보강공사용 네일앵커
KR100598024B1 (ko) * 2005-07-08 2006-07-07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쐐기식 앵커
KR100859207B1 (ko) * 2008-03-24 2008-09-18 김현래 선단확장지속형 네일링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사면보강재
KR20090120773A (ko) * 2008-05-20 2009-11-25 윤성호 사면보강용 앵커
KR101087891B1 (ko) 2008-12-30 2011-11-30 (주) 신풍컨설턴트 패커 팽창으로 원지반 공벽에 정착되는 접이식 웨지를 다수장착한 고강도 경량 강관 쏘일네일
KR100908566B1 (ko) 2009-02-20 2009-07-21 윤정배 사면보강용 클러치셋 네일링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1047085B1 (ko) * 2010-10-14 2011-07-06 신성종합건축사사무소(주) 이형철근을 이용한 프리텐션 쏘일네일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35816B1 (ko) 2016-10-13 2017-05-15 (주)서진보강기술공사 비탈면 보강용 소일네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0887A (ko) * 2021-05-28 2022-12-06 오순옥 파형 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반 보강 방법
KR102563963B1 (ko) * 2021-05-28 2023-08-07 오순옥 파형 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반 보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08552A (en) Expansible mounting assembly
KR100998072B1 (ko) 확공지압형 앵커 구조
KR100963682B1 (ko) 앵커 조립체, 이를 이용한 경사면 보강공법
KR20080038276A (ko) 토양 또는 암반 물질내에 홀을 드릴링, 특히 충격식 드릴링또는 회전 충격식 드릴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A2740943A1 (en) Anchor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KR102037167B1 (ko) 지반고정용 앵커
KR101483632B1 (ko) 단열재용 유니버셜 인서트
KR20070069101A (ko) 정착식 네일링 장치 및 그 시공방법
GB2441018A (en) Rock bolt and method of use
KR101043127B1 (ko) Pc강연선을 이용한 지반보강공법 및 지반보강장치
US8756877B2 (en) Ground anchor
MXPA06011698A (es) Metodo de sujecion de un riel protector por medio de un perno del riel protector, el perno del riel protector y la herramienta para fijar el perno del riel protector.
KR101057434B1 (ko) 개량형 지반보강봉 선단 확개형 조립체
JP2002038477A (ja) 斜面の安定方法
KR20180072501A (ko) 전동공구용 앵커 펀치
KR20090080917A (ko) 예비인장이 가능한 강연선 네일 장치
AU2017330441A1 (en) Yieldable bearing block
KR101771423B1 (ko) 사면보강을 위한 앵커체
US4889191A (en) Gooseneck assembly for rock drill and method for inserting friction rock stabilizer
KR102722004B1 (ko) 개량형 확개타입 앵커구조
KR200335784Y1 (ko) 앵커볼트
KR200329408Y1 (ko) 사면보강공사용 네일앵커
KR20040034960A (ko) 고정링과 조절판을 이용한 인장재 제거식 앵커
JP2015086677A (ja) 多重拡張永久アンカーの施工方法
JP7328872B2 (ja) 落下防止構造体及びそ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2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8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0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0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