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7075B1 - Seat apparatus for vehicle - Google Patents
Seat apparatus for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37075B1 KR102037075B1 KR1020180019959A KR20180019959A KR102037075B1 KR 102037075 B1 KR102037075 B1 KR 102037075B1 KR 1020180019959 A KR1020180019959 A KR 1020180019959A KR 20180019959 A KR20180019959 A KR 20180019959A KR 102037075 B1 KR102037075 B1 KR 1020370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at
- rotatably connected
- sheet
- frame
- movable lin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0—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시트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시트장치는: 시트부의 전방에 힌지 연결되는 전방프레임과, 전방프레임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직선 방향으로 이동되는 레일이동부와, 차체에 고정되며 레일이동부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레일부와, 일측은 전방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은 시트부의 후방에 힌지 연결되는 이동링크부 및 이동링크부와 시트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차체에 고정되는 후방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invention for a vehicular seat device is disclosed. The vehicle sea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ont frame hinged to the front of the seat portion, a rail moving portion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ont frame and moved in a linear direction, and fixed to the vehicle body to guide the linear movement of the rail moving portion. The guide rail portion, one side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ont frame, and the other side includes a movable link portion hinged to the rear of the seat portion and a rear support portion rotatably supported by the movable link portion and the seat portion and fixed to the vehicle body. It is done.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은 힘으로도 차량의 시트쿠션을 용이하게 접어서 수납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2열 혹은 3열 이상의 시트를 가진 차량의 경우 많은 인원을 탑승시키거나 화물공간을 위하여 시트배열을 적절히 변화시켜 차량 내 플로어 공간 활용을 극대화하는 기능성 시트를 제공한다.In general, a vehicle having two or three rows or more seats provides a functional seat that maximizes utilization of floor space in a vehicle by occupying a large number of people or by appropriately changing the seat arrangement for a cargo space.
레저용 또는 화물용 승합차량에 설치된 리어시트는 물건을 실을 때 공간 확보를 위하여 접혀는 폴딩 동작과, 접철된 시트를 플로어에 마련된 격납 공간에 완전히 격납하여 공간활용도늘 높일 수 있다.The rear seats installed in the leisure or freight vans can be folded to secure space when loading goods, and the folded seats can be completely stored in the storage space provided on the floor, thereby increasing the space utilization.
종래에는 차량의 시트쿠션을 접어서 차량의 플로어에 수납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넓은 작동공간이 요구되며, 차량용 시트를 접고 펼치는 동작에 많이 힘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Conventionally, in order to fold the seat cushion of the vehicle and store it on the floor of the vehicle, a relatively large operating space is requir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ot of power is required to fold and unfold the seat for the vehicle.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improvement.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63910호(2013.06.17 공개, 발명의 명칭: 다목적 차량용 후석 시트의 격납장치)에 게시되어 있다.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ublished in Korea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3-0063910 (published on June 17, 2013, the name of the invention: the rear seat storage device for multi-purpose vehicl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은 힘으로도 차량의 시트쿠션을 용이하게 접어서 수납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seat apparatus that can be easily folded and stored in a vehicle seat cushion with a small force.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장치는: 시트부의 전방에 힌지 연결되는 전방프레임과, 전방프레임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직선 방향으로 이동되는 레일이동부와, 차체에 고정되며 레일이동부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레일부와, 일측은 전방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은 시트부의 후방에 힌지 연결되는 이동링크부 및 이동링크부와 시트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차체에 고정되는 후방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ehicle sea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ont frame hinged to the front of the seat portion, a rail moving portion tha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ont frame and moved in a linear direction, and fixed to the vehicle body to guide the linear movement of the rail moving portion. The guide rail portion, and one side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ont frame and the other side includes a movable link portion hinged to the rear of the seat portion and a rear support portion rotatably supporting the movable link portion and the seat portion and fixed to the vehicle body. It features.
또한 시트부는, 전방프레임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탑승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제1시트부 및 제1시트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는 제2시트부를 포함하며, 이동링크부는 단일 부재로 이루어지며 제2시트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at portion may include a first seat portion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ont frame and a second seat portion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seat portion for supporting the hips of the occupant and supporting the back of the occupant, and the movable link portion may be It is made of a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sheet portion.
또한 제1시트부는, 횡측으로 연장되는 제1지지바와, 제1지지바의 양측에 설치되는 제1시트프레임 및 제1시트프레임에 고정되며 제2시트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시트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제2시트부는, 제1시트연결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시트프레임 및 일측은 제2시트프레임에 고정되며 타측은 이동링크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시트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sheet portion, the first sheet connecting member which is fixed to the first sheet frame and the first sheet fram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 bar extending in the transverse side and the second sheet portion rotatably connected It includes, The second seat portion, The second seat frame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sheet connecting member and one side is fixed to the second seat frame and the second sheet connecting member rotatably connected to the movable link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또한 전방프레임은, 제1시트프레임에 상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레일이동부에 하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베이스프레임 및 베이스프레임의 양측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굽어지는 보강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ront frame, the upper side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seat frame and the base portion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side to the rail moving portion and reinforcement frame portion protruding laterally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base frame It is done.
또한 레일이동부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봉 형상으로 베이스프레임의 하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바와, 지지바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일이동브라켓 및 레일이동브라켓에서 연장되어 안내레일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이동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ail moving portion is a rod shape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lower side of the base frame is rotatably connected, extending from the rail moving bracket and rail moving bracket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support bar to surround the guide rail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oving body to be installed.
또한 안내레일부는, 이동몸체부가 삽입되어 걸리는 가이드홀을 구비하며 전후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각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uide rail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guide hole that is inserted into the moving body portion is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이동링크부는, "ㄴ"자 형상으로 굽어지는 이동링크몸체와, 이동링크몸체와 베이스프레임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연결핀부재 및 이동링크몸체와 제2시트연결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연결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vable link unit, the movable link body that is bent in a "b" shape, and the first link pin member and the movable link body and the second sheet connecting member rotatably connecting the movable link body and the base frame rotatably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connecting pin member.
또한 후방지지부는,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과, 고정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시트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브라켓 및 회전브라켓을 관통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이동링크몸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연결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rear support portion, which is connected to the fixed bracket fixed to the vehicle body,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xed bracket and rotatable bracket and rotation bracket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seat portion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rotatably supports the movable link body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ower connecting shaf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장치는 전방프레임이 레일이동부와 함께 직선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며, 전방프레임에 힌지 연결된 이동링크부가 제2시트부를 회전시켜 시트부의 펼쳐짐과 접혀짐이 이루어지므로, 비교적 적은 힘으로도 차량의 시트쿠션을 용이하게 접어서 수납할 수 있다.
In the vehicle sea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frame slides in a linear direction together with the rail moving part, and the movable link part hinged to the front frame rotates the second seat part, thereby expanding and folding the seat part. Also, the seat cushion of the vehicle can be easily folded and stored.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이동부와 안내레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장치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장치의 프레임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이동부가 안내레일부를 따라 직선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시트부가 제1시트부의 상측에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장치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vehicle sea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ail moving part and a guide rail par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vehicular sea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of a vehicle sea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frame of a vehicle sea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rail moving unit is linearly moved along the guide rail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sheet part is fol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heet part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vehicle sea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Hereinafter, a vehicle seat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a user's or operator's intention or custom. Therefore,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이동부와 안내레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장치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장치의 프레임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이동부가 안내레일부를 따라 직선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시트부가 제1시트부의 상측에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장치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and 2 are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ehicle sea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ail moving portion and a guide rail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5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sea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ront view of the vehicle sea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ehicle sea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frame, and FIG. 7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rail moving unit linearly moves along a guide 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second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additional first seat part is folded, and FIG.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vehicle seat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장치(1)는, 시트부(10)의 전방에 힌지 연결되는 전방프레임(40)과, 전방프레임(40)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직선 방향으로 이동되는 레일이동부(50)와, 차체에 고정되며 레일이동부(50)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레일부(60)와, 일측은 전방프레임(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은 시트부(10)의 후방에 힌지 연결되는 이동링크부(70) 및 이동링크부(70)와 시트부(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차체에 고정되는 후방지지부(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 to 9, the
시트부(10)는 탑승자가 앉기 위해 의자모양으로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접혀지거나 의자 형상으로 펼쳐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부(10)는, 제1시트부(20)와 제2시트부(30)를 포함한다.
제1시트부(20)는 전방프레임(40)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탑승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시트부(20)는 제1지지바(22)와 제1시트프레임(24)과 제1시트연결부재(26)와 제1시트쿠션(28)을 포함한다.The
제1지지바(22)는 차량용 시트장치(1)의 횡측으로 연장되는 부재로 원형관 또는 각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시트프레임(24)은 제1지지바(22)의 양측에 설치된다. 제1지지바(22)의 양측이 연결되는 제1시트프레임(24)은 제1지지바(22)에 고정되므로 제1지지바(22)와 함께 제1시트프레임(24)이 이동된다. The
제1시트연결부재(26)는 제1시트프레임(24)의 후방(이하 도 9기준)에 고정되며, 제2시트부(3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시트연결부재(26)의 하측은 제1시트프레임(24)에 고정되며 상측은 제2시트부(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The first
그리고, 제1지지바(22)와 제1시트프레임(24)을 감싸며 쿠션감을 제공하는 제1시트쿠션(28)은 탑승자와 직접 접하는 부분이다.The
제2시트부(30)는 제1시트부(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시트부(30)는 제2시트프레임(32)과 제2시트연결부재(34)와 제2시트쿠션(36)을 포함한다.The
제2시트프레임(32)은 제1시트연결부재(26)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조물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시트프레임(32)은 제2시트부(30)의 테두리를 형성하며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제2시트연결부재(34)의 일측은 제2시트프레임(32)에 고정되며 타측은 이동링크부(7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제1시트부(20)의 제1시트연결부재(26)가 제2시트프레임(3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태에서, 전방프레임(40)과 함께 이동되는 이동링크부(70)에 의해 제2시트연결부재(34)가 회전되면, 제2시트연결부재(34)와 함께 제2시트프레임(32)이 회전하면서 제2시트부(30)의 회전이 이루어진다.One side of the second
그리고, 제2시트프레임(32)을 감싸며 쿠션감을 제공하는 제2시트쿠션(36)은 탑승자와 직접 접하는 부분이다.In addition, the
전방프레임(40)의 몸체에는 이동링크부(7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전방프레임(40)부의 상측은 제1시트부(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전방프레임(40)부의 하측은 레일이동부(5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Moving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프레임(40)은, 제1시트프레임(24)에 상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레일이동부(50)에 하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베이스프레임(42)과, 베이스프레임(42)의 양측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굽어지는 보강프레임부(44)를 포함한다.The
레일이동부(50)는 전방프레임(40)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직선 방향으로 이동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이동부(50)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봉 형상으로 베이스프레임(42)의 하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바(52)와, 지지바(5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일이동브라켓(54) 및 레일이동브라켓(54)에서 연장되어 안내레일부(60)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이동몸체부(56)를 포함한다.The
지지바(52)의 양측은 전방프레임(40)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레일이동브라켓(54)은 지지바(5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레일이동브라켓(54)의 하측에 이동몸체부(56)가 고정된다. 이동몸체부(56)는 안내레일부(60)의 가이드홀(62)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돌기를 구비하며 안내레일부(60)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된다.Both sides of the
안내레일부(60)는 차체에 고정되며, 레일이동부(50)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레일부(60)는, 이동몸체부(56)가 삽입되어 걸리는 가이드홀(62)을 구비하며 차량용 시트장치(1)의 전후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각관 형상이다.The
이동링크부(70)의 일측은 전방프레임(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은 시트부(10)의 후방에 힌지 연결된다. 또한 이동링크부(70)는 단일 부재로 이루어지며 제2시트부(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One side of the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링크부(70)는, "ㄴ"자 형상으로 굽어지는 이동링크몸체(72)와, 이동링크몸체(72)와 베이스프레임(42)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연결핀부재(74) 및 이동링크몸체(72)와 제2시트연결부재(34)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연결핀부재(76)를 포함한다.The
이동링크부(70)는 제2시트부(30)가 제1시트부(20)에 접히면서 발생되는 회전을 전방프레임(40)으로 전달하여 제2시트부(30)가 제1시트부(20)의 상측에 접히는 동작과 함께 전방프레임(40)이 눕혀지는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진다.The moving
후방지지부(80)는 이동링크부(70)와 시트부(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차체에 고정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후방지지부(80)는 고정브라켓(82)과 회전브라켓(84)과 연결링크(85)와 하부연결축(86)을 포함한다.The
고정브라켓(82)은 이동링크부(70)의 후방에 위치하며 차체에 고정된다. 회전브라켓(84)은 고정브라켓(8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시트부(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회전브라켓(84)은 연결링크(85)를 포함한다. 연결링크(85)는 회전브라켓(84)의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러한 연결링크(85)를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하부연결축(86)의 양측에 이동링크부(70)의 몸체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The fixing
하부연결축(86)은 회전브라켓(84)의 연결링크(85)를 관통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이동링크몸체(7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The lower connecting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perating state of the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가 앉기 위해 시트부(10)가 세워진 상태에서, 시트부(10)의 하부는 전방프레임(40)과 이동링크부(70)와 후방지지부(80)에 의해 지지된다.As shown in FIGS. 1 to 6, in a state in which the
시트부(10)를 접을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시트부(30)를 제1시트부(20)를 향한 방향으로 접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제2시트부(30)와 함께 이동링크부(70)가 이동되어 전방프레임(40)을 후방측으로 이동시키며, 전방프레임(40)의 하부를 지지하는 레일이동부(50)는 안내레일부(60)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되므로 제1시트부(20)의 높이는 낮아진다.When the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이동부(50)가 안내레일부(60)를 따라 이동되는 동작이 계속되어 설정된 위치에 도달하면, 제2시트부(30)는 완전히 접혀져서 차체의 상측과 평평한 상태를 유지한다.As shown in FIG. 8, when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방프레임(40)이 레일이동부(50)와 함께 직선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이루어지므로, 비교적 적은 힘으로도 차량의 시트쿠션을 용이하게 접어서 수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will b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1: 차량용 시트장치
10: 시트부 20: 제1시트부 22: 제1지지바 24: 제1시트프레임 26: 제1시트연결부재 28: 제1시트쿠션 30: 제2시트부 32: 제2시트프레임 34: 제2시트연결부재 36: 제2시트쿠션
40: 전방프레임 42: 베이스프레임 44: 보강프레임부
50: 레일이동부 52: 지지바 54: 레일이동브라켓 56: 이동몸체부
60: 안내레일부 62: 가이드홀
70: 이동링크부 72: 이동링크몸체 74: 제1연결핀부재 76: 제2연결핀부재
80: 후방지지부 82: 고정브라켓 84: 회전브라켓 85: 연결링크 86: 하부연결축1: Vehicle seat device
DESCRIPTION OF
40: front frame 42: base frame 44: reinforcement frame portion
50: rail moving part 52: support bar 54: rail moving bracket 56: moving body
60: guide rail portion 62: guide hole
70: moving link portion 72: moving link body 74: first connecting pin member 76: second connecting pin member
80: rear support 82: fixed bracket 84: rotating bracket 85: link 86: lower connecting shaft
Claims (8)
상기 시트부는, 상기 전방프레임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탑승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제1시트부; 및 상기 제1시트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는 제2시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링크부는 단일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시트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시트부에 대한 상기 제2시트부의 절첩 동작 시,
상기 이동링크부는 상기 제2시트부가 상기 제1시트부에 접히면서 발생되는 회전을 상기 전방프레임으로 전달하여, 상기 제2시트부가 상기 제1시트부의 상측에 접히는 동작과 함께 상기 전방프레임이 눕혀지는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지며, 상기 레일이동부가 상기 안내레일부를 따라 후방으로 직선 이동하여 상기 제1시트부의 높이를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장치.
A front frame hinged to the front of the seat portion; A rail moving part to which the front frame is rotatably connected and moved in a linear direction; A guide rail part fixed to a vehicle body and guiding a linear movement of the rail moving part; One side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ont frame and the other side is a movable link portion hinged to the rear of the seat; And a rear support part rotatably supporting the movable link part and the seat part and fixed to a vehicle body.
The seat unit may include: a first seat unit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ont frame and supporting a hip of a passenger; And a second seat part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seat part and supporting a back of a passenger.
The movable link portion is made of a single member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sheet portion,
When folding the second sheet por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sheet portion,
The movable link unit transmits the rotation generated when the second seat portion is folded to the first seat portion to the front frame, so that the front frame is laid down with the second sheet portion being fol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heet portion. The operation is performed at the same time, the vehicle sea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o move the rail linearly back along the guide rail portion to lower the height of the first seat portion.
상기 제1시트부는, 횡측으로 연장되는 제1지지바;
상기 제1지지바의 양측에 설치되는 제1시트프레임; 및
상기 제1시트프레임에서 고정되며 상기 제2시트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시트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시트부는, 상기 제1시트연결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시트프레임; 및
일측은 상기 제2시트프레임에 고정되며 타측은 상기 이동링크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시트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sheet portion, the first support bar extending laterally;
First seat frame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 bar; And
And a first sheet connection member fixed to the first sheet frame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sheet unit.
The second sheet unit may include: a second sheet fram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sheet connecting member; And
One side is fixed to the second seat frame and the other side is a second seat connecting member rotatably connected to the movable link unit; vehicle seat apparatus comprising a.
상기 전방프레임은, 상기 제1시트프레임에 상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레일이동부에 하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베이스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양측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굽어지는 보강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ront frame may include a base frame rotatably connected to an upper side of the first seat frame and rotatably connected to a lower side of the rail moving part; And
Vehicle seat apparatus comprising a; reinforcing frame portion protru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base frame.
상기 레일이동부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봉 형상으로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하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바;
상기 지지바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일이동브라켓; 및
상기 레일이동브라켓에서 연장되어 상기 안내레일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이동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rail moving part may include: a support bar to which a lower side of the base frame is rotatably connected in a rod shape extending in a lateral direction;
A rail moving bracket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support bar; And
And a moving body part extending from the rail moving bracket and install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guide rail part.
상기 안내레일부는, 상기 이동몸체부가 삽입되어 걸리는 가이드홀을 구비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각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guide rail portion, the vehicle seat apparatus having a rectangular tube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aving a guide hole that the moving body portion is inserted.
상기 이동링크부는, "ㄴ"자 형상으로 굽어지는 이동링크몸체;
상기 이동링크몸체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연결핀부재; 및
상기 이동링크몸체와 상기 제2시트연결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연결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oving link unit, the moving link body bent in the "b"shape;
A first connecting pin member rotatably connecting the movable link body and the base frame; And
And a second connecting pin member rotatably connecting the movable link body and the second seat connecting member.
상기 후방지지부는,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시트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브라켓; 및
상기 회전브라켓을 관통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이동링크몸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연결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장치.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rear support portion, a fixing bracket fixed to the vehicle body;
A rotating bracket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xing bracket and rotatably supporting the seat unit; And
And a lower connecting shaft penetrating the rotating bracket and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rotatably support the movable link body.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9959A KR102037075B1 (en) | 2018-02-20 | 2018-02-20 | Seat apparatus for vehicle |
EP19756741.5A EP3756945A4 (en) | 2018-02-20 | 2019-02-15 | Seat device for vehicle |
CN201980006371.1A CN111565970B (en) | 2018-02-20 | 2019-02-15 | Seat device for vehicle |
US16/768,007 US11364823B2 (en) | 2018-02-20 | 2019-02-15 | Seat device for vehicle |
PCT/KR2019/001892 WO2019164193A1 (en) | 2018-02-20 | 2019-02-15 | Seat device for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9959A KR102037075B1 (en) | 2018-02-20 | 2018-02-20 | Seat apparatus for vehi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99906A KR20190099906A (en) | 2019-08-28 |
KR102037075B1 true KR102037075B1 (en) | 2019-10-28 |
Family
ID=67775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19959A Active KR102037075B1 (en) | 2018-02-20 | 2018-02-20 | Seat apparatus for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37075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50057066A1 (en) | 2003-07-03 | 2005-03-17 | Grupo Antolin-Ingenieria, S.A. | Motor vehicle seat |
JP2010274738A (en) | 2009-05-27 | 2010-12-09 | Toyota Boshoku Corp | Reclining device for vehicle seat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723610B1 (en) * | 2011-06-23 | 2016-03-02 | Magna Seating Inc. | Stow-in-floor seat assembly |
KR101534908B1 (en) * | 2013-02-27 | 2015-07-08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Storage apparatus for seat of vehicle |
-
2018
- 2018-02-20 KR KR1020180019959A patent/KR10203707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50057066A1 (en) | 2003-07-03 | 2005-03-17 | Grupo Antolin-Ingenieria, S.A. | Motor vehicle seat |
JP2010274738A (en) | 2009-05-27 | 2010-12-09 | Toyota Boshoku Corp | Reclining device for vehicle sea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99906A (en) | 2019-08-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189373B2 (en) | Seat arrangement | |
US7077463B2 (en) | Rear fold down cargo seat with tilt down cushion | |
US6997498B2 (en) | Seat device for vehicle | |
US7014241B2 (en) | Combination structure of storage box and center seat for vehicle | |
JP4432674B2 (en) | Vehicle seat device | |
US20110309650A1 (en) | Collapsible seat | |
EP2402208B1 (en) | Vehicle seat device | |
CN101544198A (en) | Vehicle seat assembly and method for use thereof | |
KR101388985B1 (en) | Structure of double folding seat for automobile | |
JP2017210138A (en) | Vehicle seat | |
CN106068205A (en) | Auto use chair | |
KR101510391B1 (en) | Vehicle seat | |
KR102037075B1 (en) | Seat apparatus for vehicle | |
KR20120126346A (en) | Seat frame of vehicles seat | |
JP2007504994A (en) | Car seat featuring loading position | |
KR101896966B1 (en) | Seat apparatus for vehicle | |
JP2008155724A (en) | Vehicular seat structure | |
JP2019142294A (en) | Seat structure for vehicle | |
JP2003104103A (en) | Driver's cabin of useful vehicle | |
JP2020147206A (en) | Vehicle seat | |
JP2007253669A (en) | Vehicle seat device | |
KR101359985B1 (en) | Seat-back tray for vehicle | |
JP2020082794A (en) | Vehicle seat | |
JP3317165B2 (en) | Vehicle seat | |
KR102457330B1 (en) | Seat chusion extension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0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0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10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