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6647B1 - Power short-circuit protection - Google Patents
Power short-circuit prote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36647B1 KR102036647B1 KR1020190019687A KR20190019687A KR102036647B1 KR 102036647 B1 KR102036647 B1 KR 102036647B1 KR 1020190019687 A KR1020190019687 A KR 1020190019687A KR 20190019687 A KR20190019687 A KR 20190019687A KR 102036647 B1 KR102036647 B1 KR 1020366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ort
- circuit
- circuit protection
- relay
- power suppl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08000032041 Hearing impaired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220 ag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186 cumul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1878 Deaf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4 ne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GKAOGPIIYCISHV-UHFFFAOYSA-N neon atom Chemical compound [Ne] GKAOGPIIYCIS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1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 H02H7/1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 H02H7/1213—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for DC-DC converter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화시스템의 전원단락보호회로에 관한 것으로, 전원단락보호회로에 있어서, 단상 220V 전원인가 여부를 판단하는 제1 표시등과 전원을 공급하는 양극용 선택스위치를 갖는 단락보호입력부와; 상기 단락보호입력부와 접속 연결되며, 정상운전을 표시하고 부하 측의 단락사고 시 단락전류가 발생할 경우 저항 값에 비례하여 구동되는 릴레이와 부하 측의 단락사고 시 유기되는 전류를 감시하는 저항과 단락사고 시 상기 릴레이의 내부 접점에 의해 경보하는 부저와 경고등을 가동시키는 경고등 및 단락사고에 따른 원격신호를 관제센터로 전송하는 리모트 시그널이 구비된 병렬회로를 갖는 단락보호동작부와; 상기 단락보호입력부 및 단락보호동작부와 접속 연결되어 정상 운전인 경우, 상기 릴레이의 상시 ON접점 R-b1 및 R-b2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는지를 표시하는 제2 표시등을 갖는 단락보호출력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단락보호회로를 구현함으로써, 부하 측의 단락사고 발생 시 과전류의 차단은 물론, 음향 및 시각 경보를 가동시킴과 동시에 관리센터로 원격신호의 전송이 가능하여 즉각적인 대응조치와 단락으로 인한 누설전류의 차단으로 기계적 손실, 생산성 손실, 안전사고 발생의 우려를 최소화하고 생산원가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upply short circuit protection circuit of an automation system, the power supply short circuit protection circuit comprising: a short-circuit protection input unit having a first indicator light for determining whether a single-phase 220V power supply and a positive selection switch for supplying power; Connected to the short-circuit protection input and connected to the short-circuit protection input, it displays the normal operation and if the short-circuit current occurs in the event of a short-circuit on the load side, a resistor and a short-circuit accident that monitors the induced current in case of a short-circuit on the load side A short circuit protection operation unit having a parallel circuit equipped with a buzzer for alarming by an internal contact of the relay, a warning light for operating a warning light, and a remote signal for transmitting a remote signal according to a short circuit accident to a control center; In the case of normal operation connected to the short-circuit protection input unit and the short-circuit protection operation unit, a short-circuit protection output unit having a second indicator indicating whether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normally ON contacts R-b1 and R-b2 of the relay is configured. By implementing a power supply short circuit protection circuit, it is possible to cut off the overcurrent in the event of a short-circuit on the load side, activate the sound and visual alarms, and transmit remote signals to the control center for immediate response and short circuit. By blocking the leakage current caused by this, there is an effect to minimize the risk of mechanical loss, productivity loss, safety accidents and reduce the production cost.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원 단락보호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릴레이의 접점과 단락전류 감시용 저항 등을 활용한 안정적이고 간단한 단락보호 회로를 통해 부하 측의 단락사고 시 과전류 및 누설전류를 즉시 차단하고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전원 단락보호 회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upply short circuit protection circuit, and in particular, through a stable and simple short circuit protection circuit utilizing a relay contact point and a short circuit current monitoring resistor, an over current and a leakage current are immediately cut off in the event of a short circuit on the load side, and real-time monitoring is performed. Possible power short circuit protection circuit.
전원 단락보호 회로는 각종 전자기기에 널리 사용되며 개폐하거나 과부하전류, 단락전류 등의 과전류를 자동으로 차단하여 배선을 보호해 준다.The power short circuit protection circuit is widely used in various electronic devices, and protects wiring by automatically switching off or over current such as overload current and short circuit current.
특히, 전원 측에 퓨즈나 릴레이 또는 과부하 계전기를 설치하여 출력단 단락 시에 퓨즈를 융단 시키거나 릴레이 또는 과부하계전기를 개방시킴으로써 전원회로를 보호해 주게 된다.In particular, by installing a fuse, a relay or an overload relay on the power supply side to protect the power circuit by melting the fuse at the output short or by opening the relay or overload relay.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전원회로를 보호하는 회로는 출력(혹은 부하)측의 단락 시 전원 측에 설치된 퓨즈나 릴레이 또는 과부하 계전기가 개방되지 않는 우려가 발생된다. 또한 과전류에 의하여 신속히 동작되지 못하는 오동작이 발생되면 전원 측에 연결되어 동작하는 회로가 과전류에 의한 영향을 받게 되어 회로를 구성하는 소자가 파괴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그리고 부하 측의 누설전류로 인해 기계적 손실, 생산성 손실, 안전사고 발생의 우려가 따르며, 전원 측 보호회로의 신뢰성을 높여주기 위하여 고가의 부품을 선택 사용하여야 하므로 비경제적이다.However, such a circuit protecting the power circuit may cause a fuse, a relay, or an overload relay installed on the power supply side not to open when a short circuit on the output (or load) side occurs. In addition, when a malfunction that cannot be operated quickly due to overcurrent occurs, a circuit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side is affected by the overcurrent, resulting in the destruction of a device constituting the circuit. In addition, there is a risk of mechanical loss, productivity loss, and safety accidents due to leakage current on the load side, and it is uneconomical because expensive components must be selected and used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power protection circuit.
한편,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Y1) 제20-0138560호의 전원 단락 보호회로에 의하면, PWM 제어방석의 전원회로에 있어서, 전원회로의 출력단에 흐르는 과전류를 전압으로 검출하고 이를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과전류 흐름 시 발생되는 에러전압을 피드백 시키는 단락검출수단과, 상기 단락검출수단에서 피드백 된 에러전압을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스위칭 트랜스를 구동시키는 PWM 펄스의 듀티를 변화시켜 출력전압을 조절하는 전압 조절수단과, 상기 전압조절수단의 출력에 의하여 구동되는 스위칭트랜스에 흐르는 전류를 전압으로 검출하고 이를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전압 조절수단의 구동을 선택하는 출력선택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단락 보호회로로 구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ower supply short circuit protection circuit of the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Y1) No. 20-0138560, in the power supply circuit of the PWM control cushion, the overcurrent flowing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circuit is detected as a voltage and compared with the reference voltage to the overcurrent. Short-circuit detection means for feeding back an error voltage generated during the flow, voltage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output voltage by changing the duty of the PWM pulse for driving the switching transformer by comparing the error voltage fed back from the short-circuit detection means with a reference voltage; And an output sel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witching transformer driven by the output of the voltage regulating means as a voltage and comparing it with a reference voltage to select the driving of the voltage regulating means. It consists of a circuit.
그러나 위 고안기술은 저가의 소자를 사용하고도 신뢰성 높은 보호회로를 제공하는 반면에, 실시간 모니터링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2차적인 전기폭발과 같은 재해나 감전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하는데 한계점이 여전히 남아 있다.However, while the above-described technology provides a reliable protection circuit even using a low-cost device, since the real-time monitoring is impossible, there are still limitations in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such as a secondary electric explosion or an electric shock. .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는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전혀 새로운 전원 단락보호 회로를 제안하고자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completely new power supply short circuit protection circuit capable of real-time monitoring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상세하게는 릴레이의 접점과 단락전류 감시용 저항 및 실시간 모니터링 수단을 갖는 저렴한 비용과 안정화된 전원 단락보호 회로를 구성함으로써, 부하 측의 단락사고로 인한 과전류 및 누설전류의 차단은 물론, 음향 및 시각 경보와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즉각적인 대응조치로 기계적 손실, 생산성 손실, 안전사고 발생의 우려를 최소화하고 생산원가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전원 단락보호 회로를 제공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ore specifically block the over-current and leakage current due to a short-circuit accident on the load side by constructing a low cost and stabilized power supply short circuit protection circuit having a relay contact, a resistance for short-circuit current monitoring and a real-time monitoring means. In addition, a short-circuit protection circuit is provided that enables acoustic and visual alarms and real-time monitoring to minimize the risk of mechanical loss, productivity loss, safety accidents and reduce production costs with immediate respons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전원 단락보호 회로에 있어서, 단상 220V 전원인가 여부를 판단하는 제1 표시등(L1, 110)과 전원을 공급하는 양극용 선택스위치(Selector Switch, 120)를 갖는 단락보호입력부(100)와; 상기 단락보호입력부와 접속 연결되며, 정상운전을 표시하고 부하 측의 단락사고 시 단락전류가 발생할 경우 저항 값에 비례하여 구동되는 릴레이(R, 210)와 부하 측의 단락사고 시 유기되는 전류를 감시하는 저항(220)과 단락사고 시 상기 릴레이(210)의 내부 접점에 의해 경보하는 부저(Buzzer, 230)와 경고등을 가동시키는 경고등(L3, 240) 및 단락사고에 따른 원격신호를 관제센터로 전송하는 리모트 시그널(Remote Signal, 250)이 구비된 병렬회로를 갖는 단락보호동작부(200)와; 상기 단락보호입력부 및 단락보호동작부와 접속 연결되어 정상 운전인 경우, 상기 릴레이(210)의 상시 ON접점 R-b1 및 R-b2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는지를 표시하는 제2 표시등 (L2, 310)을 갖는 단락보호 출력부(30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단락보호회로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power supply short-circuit protection circuit, the first indicator (L1, 110) for determining whether the single-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릴레이(R, 210)는, 상기 릴레이의 내부접점이 가동되어 R-b1과 R-b2의 B접점은 차단되고, R-a1의 A접점에 의해 상기 릴레이(R, 210)의 동작을 자기유지 시키는 자기유지회로(Lock Up Circuit) 구성을 통해 순간적 또는 지속적 단락에도 계속 경보 동작을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ay (R, 210), the internal contact of the relay is activated, the contact B of R-b1 and R-b2 is blocked, the relay by the contact A of R-a1 The self-holding circuit (Lock Up Circuit) configuration to maintain the operation of the (R, 21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inues to maintain the alarm operation even in a short or continuous short-circui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릴레이(R, 210)는, 상기 릴레이의 R-a2의 A접점으로 부저(230)를 가동시키고, 릴레이 R-a3의 A접점으로 경고등(240)을 가동시켜 시각 또는 청각 장애인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ay (R, 210),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리모트 시그널(Remote Signal, 250)은, 상기 릴레이(210)의 R-a4 A접점으로 상기 리모트 시그널을 원격지로 전송할 수 있으며, 보조 릴레이를 추가 구성하여 사고의 자체 누적집계 또는 원격 누적집계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mote signal (Remote Signal, 250), the R-a4 A of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리모트 시그널(Remote Signal, 250)은, 라즈베리파이(Raspberry Pi, 400)를 통해 관리센터(500)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mote signal (Remote Signal, 25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transmitted to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원단락보호회로는, 상기 릴레이(210)의 R-a4 A접점을 통해 소음이 심한 경우 대용량 경보를 위한 수단을 구동시킬 수 있는 신호로 활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hort protection circuit is utilized as a signal capable of driving a means for a large-capacity alarm when the noise is severe through the R-a4 A contact of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원 단락보호 회로는, 부하 측의 소비전력에 따라 상기 저항의 크기와 상기 릴레이의 규격 및 그 접점의 구성이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hort circuit protection circu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ze of the resistor and the size of the relay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act point according to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load side.
본 발명의 전원 단락보호 회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power supply short circuit protection circu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1) 본 발명은 종래기술과 달리 저렴한 비용과 안정화된 시이퀀스 회로로 구성되기 때문에 공장자동화시스템 등에 적용하여 생산성 향상과 전기감전 등의 안전사고 예방을 확보할 수 있다.(1)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low cost and stabilized sequence circuit unlike the prior art, it can be applied to a factory automation system and the like to secure productivity and prevent accidents such as electric shock.
(2) 본 발명은 공장자동화시스템의 필수 조작전원의 공급에 있어서 단락사고 발생 시 과전류 및 누설전류를 차단하여 2차적인 사고 및 재해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2)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secondary accidents and disasters by blocking the over-current and leakage current in the event of a short circuit in the supply of the essential operating power of the factory automation system.
(3) 본 발명은 부하 측의 단락사고 시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신속한 대응과 함께 생산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다.(3)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real-time monitoring in the event of a short circuit on the load side, so that the production loss can be minimized with quick response.
(4) 본 발명은 릴레이의 접점으로 부저를 가동시키고 경고등을 가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시각 또는 청각 장애인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4)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recognize a visually or hearing impaired person because the buzzer can be operated and the warning lamp can be operated by the contact point of the relay.
(5) 본 발명은 전체 자동화시스템의 단락사고 발생을 관리자가 실시간 모니터링과 자체 누적집계 또는 원격 누적집계 및 분석이 가능하여 예방보전에 활용하여 생산원가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5)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administrator can reduce the production cost by utilizing the preventive maintenance by real-time monitoring and self-accumulation or remote accumulation and analysis of the occurrence of short-circuit accident of the entire automation system.
도 1은 종래기술에 대한 전원 단락 보호회로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원 단락 보호회로에 대한 전체 기술적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원 단락보호 회로에 대한 단락보호입력부를 나타낸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원 단락보호 회로에 대한 단락보호동작부를 나타낸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원 단락보호 회로에 대한 단락보호출력부를 나타낸 회로도1 is a power supply short circuit protection circuit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2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overall technical configuration of a power supply short circuit protection circu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short circuit protection input unit for a power short circuit protection circu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short circuit protection operation unit of a power supply short circuit protection circu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short circuit protection output unit of a power short circuit protection circu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하며 비록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호가 표시되더라도 종래기술은 그 자체로 해석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The prior art should be interpreted as such.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원단락보호회로에 대한 핵심 기술적 수단은, 크게는 단락보호입력부(100)와 단락보호동작부(200), 단락보호출력부(300), 라즈베리파이(Raspberry Pi, 400) 및 관리센터(500)로 이루어진다.2 to 5, the core technical means for the power supply short circuit protection circuit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rt circuit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단락보호입력부(100)는, 본 발명의 실 시예에 따른 전원단락보호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는 수단으로, 단상 220V 전원인가 여부를 판단하는 제1 표시등(L1, 110)과 전원을 공급하는 양극용 선택스위치(Selector Switch, 120)를 갖는다.Referring to FIG. 2, the short-circuit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단락보호동작부(200)는 본 발명의 실 시예에 따른 부하 측의 단락사고 시 보호동작을 수행하는 수단으로, 상기 단락보호입력부(100)와 접속 연결되며, 정상운전을 표시하고 부하 측의 단락사고 시 단락전류가 발생할 경우 저항 값에 비례하여 구동되는 릴레이(R, 210)와 부하 측의 단락사고 시 유기되는 전류를 감시하는 저항(220)과 단락사고 시 상기 릴레이(210)의 내부 접점에 의해 경보하는 부저(Buzzer, 230)와 경고등을 가동시키는 경고등(L3, 240) 및 단락사고에 따른 원격신호를 관제센터로 전송하는 리모트 시그널(Remote Signal, 250)이 구비된 병렬회로를 갖는다.3, the short-circuit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릴레이(R, 210)는, 상기 릴레이의 내부접점이 가동되어 R-b1과 R-b2의 B접점은 차단되고, R-a1의 A접점에 의해 상기 릴레이(R, 210)의 동작을 자기유지 시키는 자기유지회로(Lock Up Circuit) 구성을 통해 순간적 또는 지속적 단락에도 계속 경보 동작을 유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relay (R,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nal contact of the relay is activated, the contact B of R-b1 and R-b2 is blocked, the relay by the contact A of R-a1 (R, 210) includes a self-maintaining circuit (Lock Up Circuit) to maintain a self-continuous alarm operation even in a short or continuous short circuit configura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릴레이(R, 210)는, 상기 릴레이의 R-a2의 A접점으로 부저(230)를 가동시키고, 릴레이 R-a3의 A접점으로 경고등(240)을 가동시켜 시각 또는 청각 장애인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relay (R,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리모트 시그널(Remote Signal, 250)은, 상기 릴레이(210)의 R-a4 A접점으로 상기 리모트 시그널을 원격지로 전송할 수 있으며, 보조 릴레이를 추가 구성하여 단락사고의 자체 누적집계 또는 원격 누적집계가 가능한 것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remote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mote Signal, 250), the R-a4 A of th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리모트 시그널(Remote Signal, 250)은, 라즈베리파이(Raspberry Pi, 400)를 통해 관제센터(500)로 전송되는 것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remote signal (Remote Signal, 2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ncludes being transmitted to the
여기서, 상기 라즈베리파이(Raspberry Pi, 4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단락보호회로의 리모트 시그널(Remote Signal, 250)을 외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오픈 소스를 기반으로 한 단일 보드 마이크로컨트롤러로써, 64비트 프로세서인 ARM Cortex-53 쿼드코어를 탑재해 1세대 라즈베리파이 컴퓨터와 비교해 데이터 처리 속도가 10배 빨라진 것이 특징이다. 또한 추가로 장착해야 했던 종래와 달리 와이파이(WiFi)와 블루투스(Bluetooth) 무선통신 기능이 처음부터 컴퓨터 보드에 탑재되어 있다. 그리고 싱글스레드 처리에서 1세대 라즈베리파이 대비 2.5배 빠르며, NEON 비디오코덱 처리 성능은 20배 빠른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라즈베리파이(Raspberry Pi, 400)에 탑재된 와이파이(WiFi)와 블루투스(Bluetooth) 무선통신 기능을 통해 단락사고에 따른 상기 리모트 시그널(Remote Signal, 250)의 전송은 물론 자체 누적집계 또는 관리센터(500)에서 원격 누적집계가 가능한 독특한 특징이 있다.The Raspberry Pi 400 is a single board microcontroller based on an open source for transmitting a
도 4를 참조하여, 단락보호출력부(300)는, 부하 측의 단락사고를 표시하는 수단으로, 상기 단락보호입력부(100) 및 단락보호동작부(200)와 접속 연결되어 정상 운전인 경우, 상기 릴레이(210)의 상시 ON접점 R-b1 및 R-b2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는지를 표시하는 제2 표시등 (L2, 310)을 갖는다.Referring to FIG. 4, the short circuit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원단락보호회로는, 상기 릴레이(210)의 R-a4 A접점을 통해 소음이 심한 경우 대용량 경보를 위한 수단을 구동시킬 수 있는 신호로 활용되는 것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power supply short circuit protection circuit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R-a4 A of the
여기서 상기 대용량 경보를 위한 수단을 구동시킬 수 있는 신호로 활용되는 것은, 상기 리모트 시그널(Remote Signal, 250)은 상기 릴레이(210)의 R-a4 A접점으로부터 신호를 원격지로 전송할 수 있도록 라즈베리파이(Raspberry Pi, 400)가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공장자동화시스템이 구축된 소음이 심한 장소에서는 대용량 경보를 수행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Here, the signal used to drive the means for the high-capacity alarm is that the remote signal (Remote Signal, 250) is a Raspberry Pi (so as to transmit a signal from the R-a4 A contact of the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원 단락보호 회로는, 부하 측의 소비전력에 따라 상기 저항(220)의 크기와 상기 릴레이(R, 210)의 사용 규격 및 그 접점의 구성이 달라지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ower short circuit protection circu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f the
여기서 상기 저항(220)의 크기와 릴레이(R, 210)의 사용 규격 및 릴레이(R, 210)의 접점 구성만 설계 변경하면 자동동화시스템 등의 다양한 부하에 적용 가능한 특징이 있다.Here, the design of only the size of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원단락보호회로는, 입력부에서는 통상적인 조작전원 단상 220V의 전원인가 여부를 판단하는 제1 표시등(L1, 110) 설치와 함께 양극용 선택스위치(SS, Selector Switch, 120)를 설치하여 안전하게 전원을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에서는 정상 운전의 경우 상기 릴레이(R, 210)의 상시 ON접점 R-b1과 R-b2를 통하여 전원이 공급되고 제2 표시등 (L2, 310)의 점등으로 전원 공급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동작부에서는 정상 운전의 경우 상기 릴레이(R, 210) 상시 ON접점 P-b1, P-b2를 통하여 전원이 공급되고 제2 표시등 (L2, 310)이 점등된다. 또한 정상 운전 중 저항을 통하여 부하 측의 단락 사고 발생 시 유기되는 전류를 감시한다. 이때 저항에서 단락전류(혹은 과전류)가 발생할 경우 저항 값에 비례하여 상기 릴레이(R, 210)가 구동된다. 또한 상기 릴레이(R, 210)가 구동되면 릴레이 내부접점이 가동되어 R-b1과 R-b2의 B접점은 차단되고, R-a1의 A접점으로 상기 릴레이(R, 210)의 동작을 자기유지 시키는 자기유지회로(Lock Up Circuit) 구성을 통해 순간적 또는 지속적 단락에도 계속 경보 동작을 유지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릴레이(R, 210)의 R-a2 A접점으로 부저(Buzzer, 230)를 가동시키고 R-a3 A접점으로는 경고등(240)을 가동시켜 시각 또는 청각 장애인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필요 시 릴레이 R-a4의 A접점으로 원격 신호를 내 보낼 수도 있으며, 보조 릴레이를 추가 구성하여 단락사고의 자체 누적 집계 또는 원격 누적집계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릴레이 R-a4의 A접점으로부터 공장자동화시스템에 구축된 소음이 심한 장소 등에 단락사고를 인지할 수 있도록 대용량 경보를 위한 수단을 구동시킬 수 있는 신호로도 활용할 수 있는 독특한 특징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ower supply short circuit protection circuit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put unit, together with the installation of the first indicator lights (L1, 110) for determining whether the power supply of the normal operation power supply singl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단락보호입력부 110 : 제1 표시등
120 : 선택스위치 200 : 단락보호동작부
210 : 릴레이 220 : 저항
230 : 부저(Buzzer) 240 : 경고등
250 : 리모트 시그널(Remote Signal) 300 : 단락보호출력부
310 : 제2 표시등
400 : 라즈베리파이(Raspberry Pi)100: short circuit protection input unit 110: first indicator
120: selection switch 200: short-circuit protection operation
210: relay 220: resistance
230: buzzer 240: warning light
250: Remote Signal 300: Short Protection Output
310: second indicator light
400 Raspberry Pi
Claims (7)
단상 220V 전원인가 여부를 판단하는 제1 표시등(L1, 110)과 전원을 공급하는 양극용 선택스위치(Selector Switch, 120)를 갖는 단락보호입력부(100)와;
상기 단락보호입력부와 접속 연결되며, 정상운전을 표시하고 부하 측의 단락사고 시 단락전류가 발생할 경우 저항 값에 비례하여 구동되는 릴레이(R, 210)와 부하 측의 단락사고 시 유기되는 전류를 감시하는 저항(220)과 단락사고 시 상기 릴레이(210)의 내부 접점에 의해 경보하는 부저(Buzzer, 230)와 경고등을 가동시키는 경고등(L3, 240) 및 단락사고에 따른 원격신호를 관제센터로 전송하는 리모트 시그널(Remote Signal, 250)이 구비된 병렬회로를 갖는 단락보호동작부(200)와;
상기 단락보호입력부 및 단락보호동작부와 접속 연결되어 정상 운전인 경우, 상기 릴레이(210)의 상시 ON접점 R-b1 및 R-b2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는지를 표시하는 제2 표시등 (L2, 310)을 갖는 단락보호출력부(30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단락보호 회로.
In the power supply short circuit protection circuit,
A short-circuit protection input unit (100) having first indicators (L1, 110) for determining whether a single-phase 220V power source is provided and a positive selector switch (120) for supplying power;
Connected with the short-circuit protection input unit, it displays normal operation and monitors the relay (R, 210) driven in proportion to the resistance value when the short-circuit current occurs in the event of a short-circuit on the load side and the induced current in the event of a short-circuit on the load side. To transmit a remote signal according to the resistance 220 and the buzzer (230) and the warning lights (L3, 240) for operating the warning light by the internal contact of the relay 210 in case of a short circuit accident and a short circuit accident to the control center A short-circuit protection operation unit 200 having a parallel circuit provided with a remote signal (Remote Signal) 250;
In case of normal operation connected to the short-circuit protection input unit and the short-circuit protection operation unit, a second indicator (L2) indicating whether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normally ON contacts R-b1 and R-b2 of the relay 210 is provided. A power supply short circuit protection circuit comprising a short circuit protection output unit 300 having a 310.
상기 릴레이(R, 210)는, 상기 릴레이의 내부접점이 가동되어 R-b1과 R-b2의 B접점은 차단되고, R-a1의 A접점에 의해 상기 릴레이(R, 210)의 동작을 자기유지 시키는 자기유지회로(Lock Up Circuit) 구성을 통해 순간적 또는 지속적 단락에도 계속 경보 동작을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단락보호 회로.
According to claim 1,
The relays R and 210 operate to operate the relays R and 210 by the internal contacts of the relays, the B contacts of R-b1 and R-b2 are blocked, and the contacts of R-a1 are self-locked. Power supply short-circuit protection circuit, characterized by maintaining a continuous alarm operation even in the event of a momentary or continuous short-circuit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lock up circuit.
상기 릴레이(R, 210)는, 상기 릴레이의 R-a2의 A접점으로 부저(230)를 가동시키고, 릴레이 R-a3의 A접점으로 경고등(240)을 가동시켜 시각 또는 청각 장애인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단락보호 회로.
According to claim 1,
The relays R and 210 operate the buzzer 230 at the contact A of the relay R-a2 and operate the warning light 240 at the contact A of the relay R-a3 to recognize the visually or hearing impaired person. Power short-circuit protection circuitry.
상기 리모트 시그널(Remote Signal, 250)은, 상기 릴레이(210)의 R-a4 A접점으로 상기 리모트 시그널을 원격지로 전송할 수 있으며, 보조 릴레이를 추가 구성하여 사고의 자체 누적집계 또는 원격 누적집계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단락보호 회로.
According to claim 1,
The remote signal 250 may transmit the remote signal to a remote location through the R-a4 A contact of the relay 210, and may further configure an auxiliary relay to enable self-accumulation or remote accumulation of accidents. Power supply short circuit protection circuit,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리모트 시그널(Remote Signal, 250)은, 라즈베리파이(Raspberry Pi, 400)를 통해 관제센터(500)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단락보호 회로.
According to claim 1,
The remote signal (Remote Signal, 250), the power supply short circuit protection circuit, characterized in that transmitted to the control center 500 through the Raspberry Pi (400).
상기 전원단락보호회로는, 상기 릴레이(210)의 R-a4 A접점을 통해 소음이 심한 경우 대용량 경보를 위한 수단을 구동시킬 수 있는 신호로 활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단락보호 회로.
According to claim 1,
The power short protection circuit is a power short circuit protection circuit, characterized in that used as a signal that can drive the means for a large-scale alarm when the noise is severe through the R-a4 A contact of the relay (210).
상기 전원 단락보호 회로는, 부하 측의 소비전력에 따라 상기 저항의 크기와 상기 릴레이의 규격 및 그 접점의 구성이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단락보호 회로.According to claim 1,
The power supply short circuit protection circu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ze of the resistor, the size of the relay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act point are changed according to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load sid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19687A KR102036647B1 (en) | 2019-02-20 | 2019-02-20 | Power short-circuit prote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19687A KR102036647B1 (en) | 2019-02-20 | 2019-02-20 | Power short-circuit protec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36647B1 true KR102036647B1 (en) | 2019-10-28 |
Family
ID=68421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19687A Active KR102036647B1 (en) | 2019-02-20 | 2019-02-20 | Power short-circuit protec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36647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479347A (en) * | 2020-06-03 | 2020-07-31 | 恒进感应科技(十堰)股份有限公司 | A contact protection unit and induction heating devic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70747A (en) * | 2001-06-04 | 2001-07-27 | 김재영 | AC power supply for the protection of short circuit in the sequence-control development system |
KR20080004067U (en) * | 2007-03-20 | 2008-09-24 | 이건수 | Load short circuit prevention and electric shock protection device |
JP2014183680A (en) * | 2013-03-21 | 2014-09-29 | Honda Motor Co Ltd | Short circuit current protection device |
KR101872191B1 (en) * | 2018-03-20 | 2018-06-28 | 주식회사 케이엠테크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DEVICE BASED ON LoRa IoT OF PHOTOVOLTAIC SOLAR CONNECTION BOARD HAVING FUNCTION OF MONITORING AND DIAGNOSING ELECTRIC FIRE |
-
2019
- 2019-02-20 KR KR1020190019687A patent/KR10203664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70747A (en) * | 2001-06-04 | 2001-07-27 | 김재영 | AC power supply for the protection of short circuit in the sequence-control development system |
KR20080004067U (en) * | 2007-03-20 | 2008-09-24 | 이건수 | Load short circuit prevention and electric shock protection device |
JP2014183680A (en) * | 2013-03-21 | 2014-09-29 | Honda Motor Co Ltd | Short circuit current protection device |
KR101872191B1 (en) * | 2018-03-20 | 2018-06-28 | 주식회사 케이엠테크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DEVICE BASED ON LoRa IoT OF PHOTOVOLTAIC SOLAR CONNECTION BOARD HAVING FUNCTION OF MONITORING AND DIAGNOSING ELECTRIC FIR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479347A (en) * | 2020-06-03 | 2020-07-31 | 恒进感应科技(十堰)股份有限公司 | A contact protection unit and induction heating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714482A1 (en) | Arrangement for controlling and testing a notification appliance circuit | |
KR20200059388A (en) | Electricit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 |
EP0994546B1 (en) | Improvements relating to monitoring apparatus for electrical circuits | |
KR20010077831A (en) | Power distribution status monitoring device | |
KR102036647B1 (en) | Power short-circuit protection | |
EP1105958B1 (en) | A monitor circuit for a current limiting device | |
CN110648487A (en) | Smog monitoring circuit and display screen | |
CN206939100U (en) | Telemetry circuit on the machine of solid state distribution device SSPC passages | |
US6778371B2 (en) | Device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to detectors, control devices and signaling devices | |
KR102334037B1 (en) | Temperature alarming and automatically electric breaking circuit | |
CN212435369U (en) | Nuclear power station power distribution system | |
KR100317235B1 (en) | Trip Circuit Detector | |
US3766537A (en) | A.c. powered surveillance system | |
JP2017010356A (en) | Fire receiver | |
US20040036619A1 (en) | Analog/discrete electrical interface panel with power monitoring and overcurrent protection | |
KR100369716B1 (en) | Auto recovering no fuse breaker | |
CN109088543B (en) | Unit with power supply circuit and load protection circuit | |
CN212646955U (en) | Excitation system field suppression switch separating brake coil broken string detection device | |
JPH0969331A (en) | Breaker and its usage | |
US12107408B2 (en) | Circuit breaker system | |
KR100378391B1 (en) | Alarm system of integration wiring unit | |
US20250233403A1 (en) | Energy reduction maintenance switches with activation alert | |
KR101014294B1 (en) | Remote I / O Unit | |
KR20050077911A (en) | A method for safe controlling the signboard lamp | |
JP3519633B2 (en) | Disaster prevention monitoring control pane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2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2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4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15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910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0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10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