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36061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가 mbms 관련 측정 정보를 기록하고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가 mbms 관련 측정 정보를 기록하고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6061B1
KR102036061B1 KR1020130037974A KR20130037974A KR102036061B1 KR 102036061 B1 KR102036061 B1 KR 102036061B1 KR 1020130037974 A KR1020130037974 A KR 1020130037974A KR 20130037974 A KR20130037974 A KR 20130037974A KR 102036061 B1 KR102036061 B1 KR 102036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mbms
mbsfn
base st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7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1594A (ko
Inventor
김상범
김성훈
정경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30037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6061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14782481.7A priority patent/EP2923512B1/en
Priority to EP18168828.4A priority patent/EP3379862B1/en
Priority to ES18168828T priority patent/ES2755678T3/es
Priority to CN201480004018.7A priority patent/CN104885507B/zh
Priority to PCT/KR2014/002929 priority patent/WO2014168384A1/en
Priority to US14/247,861 priority patent/US10149184B2/en
Publication of KR20140121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1594A/ko
Priority to US16/207,657 priority patent/US1115996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6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06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가 MBMS 관련 측정 정보를 기록하고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MBMS 서비스 영역을 최적화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정의하고 상기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을 개발한다. 또한, 기록한 정보를 기지국에 보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MBMS(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관련 정보 측정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MBMS 관련 정보 측정과 관련된 설정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MBMS를 수신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MBMS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설정에 따라 MBMS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보고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MBMS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Drive Test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Drive Test를 최소화 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가 MBMS 관련 측정 정보를 기록하고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LOGGING AND REPORTING THE MBMS MEASUREMENT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명세서의 실시 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BMS 관련 측정 정보를 기록하고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BMS와 관련된 서비스에 대해 사용자 단말이 성능을 측정하고 보고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은 사용자의 이동성을 확보하면서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이러한 이동통신 시스템은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힘입어 음성 통신은 물론 고속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단계에 이르렀다.
근래에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 중 하나로 3GPP에서 LTE(Long Term Evolution)에 대한 규격 작업이 진행 중이다. LTE는 일반적으로 제공되고 있는 데이터 전송률보다 높은 최대 100 Mbps 정도의 전송 속도를 가지는 고속 패킷 기반 통신을 구현하는 기술이다. 이를 위해 여러 가지 방안이 논의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네트워크의 구조를 간단히 해서 통신로 상에 위치하는 노드의 수를 줄이는 방안이나, 무선 프로토콜들을 최대한 무선 채널에 근접시키는 방안 등이 논의 중이다.
한편, 데이터 서비스는 음성 서비스와 달리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양과 채널 상황에 따라 할당할 수 있는 자원 등이 결정된다. 따라서 이동통신 시스템과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스케줄러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자원의 양과 채널의 상황 및 데이터의 양 등을 고려하여 전송 자원을 할당하는 등의 관리가 이루어진다. 이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 중 하나인 LTE에서도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기지국에 위치한 스케줄러가 무선 전송 자원을 관리하고 할당한다.
최근 LTE 통신 시스템에 여러 가지 신기술을 접목해서 전송 속도를 향상시키는 진화된 LTE 통신 시스템 (LTE-Advanced, LTE-A)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진화된 LTE-A 시스템에서는 MBMS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개선도 포함된다. MBMS는 LTE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이다. 사업자는 유니캐스트 (unicast) 통신뿐 아니라, MBMS 서비스에 대해서도 그 서비스 영역을 최적화해야 하며, 이를 위해 종래의 drive test 을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MBMS 서비스에 대한 drive test를 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명세서의 실시 예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MBMS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하기 위한 Drive Test를 수행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MBMS(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관련 정보 측정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MBMS 관련 정보 측정과 관련된 설정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MBMS를 수신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MBMS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설정에 따라 MBMS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보고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MBMS(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관련 정보 측정 방법은 MBMS 관련 정보 측정과 관련된 설정을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설정에 따라 측정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은 상기 단말이 MBMS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설정에 따라 MBMS 측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MBMS(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관련 정보 측정하는 단말은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MBMS 관련 정보 측정과 관련된 설정을 수신하고, 상기 단말이 MBMS를 수신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단말이 MBMS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설정에 따라 MBMS 측정을 수행하고, 상기 측정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MBMS(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관련 정보 측정하는 기지국은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MBMS 관련 정보 측정과 관련된 설정을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설정에 따라 측정된 정보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단말이 MBMS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설정에 따라 MBMS 측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MBMS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Drive Test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Drive Test를 최소화 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MBMS 개념도이다.
도 2는 MBSFN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하향링크 채널 맵핑도이다.
도 3은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하향링크 프레임 구조 도면이다.
도 4는 단말이 MBSFN 수신을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은 MDT 수행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대기 모드에서 MBMS 정보를 수집, 기록하여, 이를 연결 모드 전환 후 기지국에 보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실시 예 1에서의 단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실시 예 1에서의 기지국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실시 예2에서 연결 모드에서 MBMS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바로 기지국에 보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 예 2에서 단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 예2에서 기지국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 예 3에서 단말이 연결 모드 혹은 대기 모드와 상관없이 특정 조건이 만족할 때까지 MBMS 정보의 보고 혹은 기록 동작을 계속 유지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단말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4은 기지국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가 MBMS(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s) 관련 측정 정보를 기록하고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MBMS 서비스 영역을 최적화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정의하고 상기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을 개발한다. 또한, 기록한 정보를 기지국에 보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도 1은 MBMS 개념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MBMS 서비스 영역(MBMS service area, 100)은 MBSFN(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Single Frequency Network) 전송을 수행할 수 있는 다수의 기지국들로 이루어진 네트워크 영역이다.
MBSFN 영역(MBSFN Area, 105)은 MBSFN 전송을 위해, 통합된 여러 셀들로 구성되어진 네트워크 영역이며, MBSFN 영역 내의 셀들은 모두 MBSFN 전송이 동기화될 수 있다.
MBSFN 영역 예약 셀(MBSFN Area Reserved Cells, 110)을 제외한 모든 셀들은 MBSFN 전송에 이용된다. MBSFN 영역 예약 셀(110)은 MBSFN 전송에 이용되지 않은 셀로, 다른 목적을 위해 전송이 가능하나, MBSFN 전송에 할당된 무선 자원에 대해, 제한된 송신 전력이 허용될 수 있다.
도 2는 MBSFN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하향링크 채널 맵핑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MAC 계층과 물리 계층 사이에서는 MCH (200)을 이용하며, MCH(200)는 물리 계층의 PMCH (205)와 맵핑된다.
데이터를 특정 단말에 대해서만 전송하는 유니캐스트 방식은 일반적으로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210)을 이용할 수 있다.
도 3은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하향링크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임의의 라디오 프레임(300)은 10개의 서브프레임(305)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일반적인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사용되는 '일반 서브프레임(310)'과 방송들을 위해 사용되는 'MBSFN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Single Frequency Network, 이하 MBSFN이라 칭함) 서브프레임 (315)'의 형태가 존재한다.
일반 서브프레임(310)과 MBSFN 서브프레임(315)의 차이는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칭함) 심볼의 개수, 순환전치 (Cyclic prefix)의 길이, 셀 특정 기준신호 (cell-specific reference signals, CRS) 등의 구조 및 개수 중 하나 이상에서 차이가 있다.
한편, Rel-8, Rel-9 시스템에서 MBSFN 서브프레임은 브로드캐스트 (broadcast) 혹은 멀티캐스트 (multicast) 데이터를 전송하는 등의 목적으로만 사용이 되었다. 하지만, 시스템이 진화하여 LTE Rel-10부터는 MBSFN 서브프레임이 브로드캐스트 혹은 멀티캐스트의 목적뿐만 아니라, 유니캐스트 (unicast)의 목적으로도 사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LTE에서는 물리하향링크공유채널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이하 PDSCH라 칭함)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각 단말들을 멀티 안테나(Multi-antenna) 기술 및 RS(Reference signal)와 관련된 전송 모드(Transmission Mode, TM)로 구분하여 설정한다.
현재 LTE Rel-10에서는 TM1~TM9까지 존재한다. 각각의 단말은 PDSCH 전송을 위해 하나의 TM을 가지며, TM 8번이 Rel-9에서, TM 9번이 Rel-10에서 새롭게 정의되었다.
여기서, 특히 TM 9번은 최대 8개의 랭크를 가지는 SU-MIMO(single user-multi-input multi-output)를 지원한다. TM 9번은 다중 레이어의 전송을 지원하며, 복조 (de-modulation)시 Rel-10 DMRS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복조 기준 신호; 이하 DMRS라 칭함)를 사용하여, 최대 8개 레이어의 전송을 가능케 한다. 또한, 상기 Rel-10 DMRS는 미리 코딩된 (precoded) DMRS가 전송되나, 해당 프리코더 인덱스 (precoder index)를 수신단에 알려줄 필요가 없다. 또한, TM 9번을 지원하기 위해, Rel-10에서 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하향링크 제어정보; 이하 DCI라 표기) 포맷 2C가 신규로 정의되었다. 특기할 것은 Rel-10 이 전의 단말들은 MBSFN 서브 프레임에서 디코딩을 시도하지 않는다. 따라서 모든 단말들에게 MBSFN 서브 프레임에서 디코딩을 시도하도록 하는 것은 상기 이전 릴리스 (release)의 단말의 업그레이드 요구로 이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모든 단말들이 MBSFN 서브 프레임에서 유니캐스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대신, 상기 기능이 필요한, 예를 들어 고속 데이터 통신이 필요한 단말들에게만 상기 기능을 적용한다.
전술한 TM 중 특히 TM 9은 다중 안테나를 사용해서 전송 효율을 극대화하는 전송 모드이다. 본 발명에서 기지국은 MBSFN 서브 프레임에서도 유니캐스트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데이터 처리량(throughput)을 높일 필요가 있는 단말에게는 TM 9을 설정하고, TM 9이 설정된 단말만 MBSFN 서브 프레임에서 유니캐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한다.
한편 유니캐스트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서, LTE 시스템에서는 데이터 송수신이 실제로 어디에서 일어나는지를 PDCCH에서 알려주며, 실제 데이터는 PDSCH 에서 전송한다. 단말은 실제 데이터를 수신하기 전에 PDCCH에서 상기 단말에게 할당된 자원할당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야 한다.
반면, MBSFN은 다소 더 복잡한 과정을 통해, 자원할당 정보를 획득한다. 우선, 기지국은 브로드캐스트 정보인 SIB13(System Information Block 13)을 통해, 단말에게 셀이 제공하고 있는 MBSFN 영역(MBSFN Area) 별 MCCH(Multicast Control Channel)의 전송 위치를 알려준다. MCCH는 MBSFN을 위한 자원할당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단말은 MCCH을 디코딩하여, MBSFN 서브프레임의 전송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MBMS가 종래의 유니캐스트와 다른 방식을 통해, 자원할당 정보를 제공하는 이유는 MBMS가 대기 모드에 있는 단말에게도 제공 가능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어 채널인 MCCH의 전송 위치를 브로드캐스트 정보인 SIB13으로 알려주는 것이다. MBMS 서비스를 수신하는 전체적인 과정은 도 4와 함께 설명한다.
도 4는 단말이 MBSFN 수신을 위한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405 단계에서 단말(400)은 기지국(403)으로부터 SIB1을 수신한다. 상기 SIB1에는 다른 SIB들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400)은 다른 SIB을 수신하기 위해서는 SIB1을 선행적으로 수신하여야 한다.
410 단계에서 단말(400)은 기지국(403)으로부터 SIB2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SIB2의 MBSFN 서브프레임 설정 리스트(MBSFN - SubframeConfigList IE)에는 MBSFN 전송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서브프레임들을 지시할 수 있다. MBSFN-SubframeConfigList IE에는 MBSFN-SubframeConfig IE 가 포함되며, 어느 라디오 프레임 (Radio frame)의 어느 서브프레임 (subframe)이 MBSFN 서브프레임이 될 수 있는지를 지시할 수 있다. 아래의 표 1은 MBSFN-SubframeConfig IE의 구성 표이다.
Figure 112013030207022-pat00001
여기서, 라디오 프레임 할당 주기(radioFrameAllocationPeriod )와 라디오 프레임 할당 오프셋(radioFrameAllocationOffset )은 MBSFN 서브프레임을 갖은 라디오 프레임을 지시하는데 이용되며, 수식 SFN mod radioFrameAllocationPeriod = radioFrameAllocationOffset을 만족하는 라디오 프레임은 MBSFN 서브프레임을 갖는다.
SFN은 시스템 프레임 넘버(System Frame Number)이며, 라디오 프레임 번호를 지시한다. 0 부터 1023의 범위를 갖고, 반복된다. 서브프레임 할당(subframeAllocation)은 상기 수식에 의해 지시된 라디오 프레임 내에서 어느 서브프레임이 MBSFN 서브프레임인지를 지시한다. 하나의 라디오 프레임 단위 또는 네 라디오 프레임 단위로 지시할 수 있다. 하나의 라디오 프레임 단위를 이용할 경우, oneFrame IE에 지시된다. MBSFN 서브프레임은 하나의 라디오 프레임 내의 총 10 개의 서브프레임 중에서, 1, 2, 3, 6, 7, 8번째 서브프레임들 중에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oneFrame IE는 6 비트를 이용하여 상기 나열된 서브프레임 중에서 MBSFN 서브프레임을 지시한다. 네 라디오 프레임 단위를 이용할 경우, fourFrames IE에 지시된다. 네 라디오 프레임들을 커버하기 위해 총 24 비트를 이용하여, 라디오 프레임마다 상기 나열된 서브프레임 중에서 MBSFN 서브프레임을 지시한다. 따라서, 단말은 MBSFN-SubframeConfigList IE을 이용하여 정확하게 MBSFN 서브프레임이 될 수 있는 서브프레임을 알 수 있다.
만약 단말(400)이 MBSFN 수신을 원한다면, 단말(400)은 415 단계에서, 기지국(405)으로부터 SIB13을 수신한다. 상기 SIB13의 MBSFN 영역 정보 리스트(MBSFN-AreaInfoList IE)에는 셀이 제공하고 있는 MBSFN 영역 별 MCCH가 전송되는 되는 위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420단계에서 단말(400)은 415단계에서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MCCH을 수신할 수 있다. 아래 표 2는 MBSFN-AreaInfoList IE을 보이고 있다. 각 MBSFN 영역 (area)마다 이에 대응하는 MCCH가 존재하며, MBDFN-AreaInfoList IE는 모든 MBSFN 영역의 MCCH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MBSFN-AreaInfo IE는 MCCH 스케줄링 및 기타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Mbsfn-AreaId 는 MBSFN area ID이다. Non-MBSFNregionLength은 MBFSN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 들 중에서 non-MBSFN 영역에 해당하는 심볼의 개수를 나타낸다. 상기 심볼은 서브프레임의 앞부분에 위치한다. notificationIndicator는 단말에게 MCCH 정보의 변경을 알려주는 PDCCH bit을 지시하는데 이용된다. Mcch-Config IE는 MCCH 스케줄링 정보를 담고 있다. Mcch-RepetitionPeriod 및 mcch-Offset은 MCCH를 포함하고 있는 프레임의 위치를 나타내는데 이용된다. Mcch-ModificationPeriod는 MCCH의 전송 주기이며, sf-AllocInfo는 상기 MCCH을 포함하는 프레임 내에 MCCH을 포함한 서브프레임의 위치를 지시한다. signallingMCS는 sf-AllocInfo가 지시하는 서브프레임 및 (P)MCH에 적용된 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을 나타낸다.
Figure 112013030207022-pat00002
MCCH의 MBSFN 영역 설정(MBSFNAreaConfiguration IE)에는 MBSFN 전송을 위해 이용되는 자원의 위치를 지시한다.
425 단계에서 단말(400)은 단계 415에서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MBSFN 서브프레임을 수신한다. commonSF-Alloc은 MBSFN area에 할당된 서브프레임을 나타낸다. commonSF-AllocPeriod은 상기 commonSF-Alloc이 지시하는 서브프레임들이 반복하는 주기이다. Pmch-InfoList IE는 한 MBSFN 영역의 모든 PMCH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112013030207022-pat00003
430 단계에서 단말(400)은 수신한 MAC PDU의 MAC CE (Control Element) 중 하나인, MCH 스케줄링 정보 MAC CE(MCH scheduling information MAC CE)에서 원하는 MTCH가 전송되는 MBSFN 서브프레임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435 단계에서 단말(400)은 MCH 스케쥴링 정보(MCH scheduling information)를 이용하여, 원하는(interested) MTCH을 디코딩할 수 있다.
MBMS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도, 유니캐스트 서비스와 마찬가지로, 음영 지역이나 수신신호가 약한 지역이 없도록 설계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의 드라이브 테스트 (Drive Test)을 수행하여, 수집한 측정 정보를 토대로 셀 및 시스템 설정을 최적화할 수 있다. 그러나, 무선망 최적화 비용 및 운영 비용을 증가시키고, 많은 시간을 소요하게 한다. 따라서, 드라이브 테스트를 최소화하고, 무선 환경에 대한 분석 과정 및 수동설정을 개선시키기 위한 연구가 MDT (Minimization of Drive Test)라는 이름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MBMS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을 최적화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도 5은 MDT 수행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존의 드라이브 테스트(500)는 차량에 측정 장비를 싣고, 음역지역을 찾아, 서비스 영역을 돌아다니며, 신호 상태를 측정한다. MDT에서는 단말(520)이 이를 대신하여 수행한다. NMS(505)에서는 MDT 수행을 지시할 수 있다. 이 때, 필요한 설정(configuration) 정보를 EM(510)에 제공한다. EM(510)에서는 MDT configuration을 구성하여, eNB(515)에 전달한다. eNB(515)는 525 단계에서 UE(520)에게 MDT configuration을 보내고, MDT을 지시한다.
UE(520)는 MDT 측정 정보를 수집한다. MDT 측정 정보에는 신호 측정 정보뿐 아니라, 위치 및 시간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이렇게 수집된 정보는 530 단계에서 eNB(515)로 보고된다. eNB(515)는 수집된 정보를 TCE(535)에 전달한다. 실시 예에서 TCE(535)는 MDT 측정 정보를 수집하는 하나의 서버일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MDT 기술은 MBMS와는 관련성이 떨어지는 측정 정보를 수집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서는 MBMS 서비스 영역을 최적화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정의하고 상기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을 개발한다. 또한, 기록한 정보를 기지국에 보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서는 MBMS 서비스 영역에 문제가 있음을 확인하기 위해, 유용한 정보를 정의한다. 아래 구체적으로 정의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MBMS 정보를 단말은 수집하여, 기지국에 보고한다. 상기 정보의 기록 및 보고 과정은 뒤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 MBMS configuration
MBMS 서비스를 수신 시도할 때, 적용된 MBMS 설정 정보를 나타낸다. MBMS 설정 정보 중, serving cell ID (ECGI 혹은 PCI), MBSFN area id, session time 등은 매우 유용한 정보이며, 상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기록 및 보고될 MBMS 설정 정보에 포함된다.
- Failure cause value
MBMS 서비스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원인을 나타낸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MBMS 서비스를 성공적으로 수신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어느 단계에서 문제가 발생하였는지는 MBMS 서비스 영역의 최적화에 중요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실패 원인으로 표기될 수 있는 집합은 아래와 같다.
{SIB1 failure, SIB2 failure, SIB13 failure, MCCH reception failure, PMCH reception failure}
상기 원인 이외에 다른 원인이 추가될 수 있다.
- 수신 MBMS 서비스의 Block error rate (BLER)
수신 MBMS 서비스의 BLER은 방송 품질을 나타내는 중요한 정보이다. 상기 정보는 각 serving cell ID, MBSFN area 혹은 session에 맵핑 (mapping)되는 개별적인 값들로 수집될 수 있다.
- MBSFN RS-based CSI, i.e. CQI, RI, PMI
MBMS 서비스를 위해, 별도의 Reference Signal (MBSFN RS)이 전송된다. 상기 시그널을 토대로, 단말은 channel adaptation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시그널을 측정하여, 도출된 CSI (Channel Status Information)을 기지국에 보고하는 것은 MBMS 최적화에 유용할 것이다. CSI에 해당하는 구체적인 정보로는 CQI, RI, PMI 가 있으며, 특히, CQI가 가장 유용할 것이다. 상기 정보는 각 serving cell ID, MBSFN area 혹은 session에 맵핑 (mapping)되는 개별적인 값들로 수집될 수 있다.
- MBSFN RS-based RSRP/RSRQ
MBSFN RS의 RSRP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및 RSRQ (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은 MBMS 채널 상태를 파악하는데 유용하다. 상기 정보는 각 serving cell ID, MBSFN area 혹은 session에 맵핑 (mapping)되는 개별적인 값들로 수집될 수 있다.
- CRS-based RSRP/RSRQ (CGI 정보도 포함)
MBMS 목적의 MBSFN RS가 존재하지만, 여전히 CRS (Common Reference Signal)은 MBMS을 비롯한 셀 서비스 영역을 파악하고, MBMS와 타 채널과의 비교, 분석을 위해 유용하다. 따라서, CRS의 RSRP 및 RSRQ 는 유용한 정보이다. 상기 정보는 각 serving cell ID, MBSFN area 혹은 session에 맵핑 (mapping)되는 개별적인 값들로 수집될 수 있다.
- Timestamp
상기 정보들이 기록될 때의 시간 정보를 나타낸다.
- UE location (e.g. GNSS location, RF fingerprint)
상기 정보들이 기록될 때의 단말 위치 정보를 나타낸다.
- Optionally, timestamp to obtain GNSS location info.
옵션으로, 상기 기록되는 단말 위치 정보가 획득된 시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단말은 연결 모드뿐 아니라, 대기 모드에서도 MBMS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이 각 모드별로, 상기 기술한 MBMS 정보를 수집하여 기지국에 보고하는 과정을 제안한다. 실시 예 1 에서는 대기 모드에서 MBMS 정보를 수집, 기록하여, 이를 연결 모드 전환 후 기지국에 보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시 예 2에서는 연결 모드에서 MBMS 정보를 수집하여, 기지국에 보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시 예 1 과 2는 종래의 MDT 기술과 유사하게 연결 모드와 대기 모드에서 수행하는 과정이 따로 설정된다. 실시 예 3에서는 종래의 MDT 기술과는 달리, 단말이 연결 모드에서 MBMS 정보를 보고하도록 설정되면, 연결 모드뿐 아니라 대기 모드에서 특정 시간 혹은 특정 조건이 만족할 때까지 MBMS 정보를 수집하여, 보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시 예 1>
실시 예 1 에서는 대기 모드에서 MBMS 정보를 수집, 기록하여, 이를 연결 모드 전환 후 기지국에 보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기지국은 MBMS 서비스 영역 최적화를 위해, 특정 단말로부터 상기 기술된 MBMS 정보를 보고받기를 원하면, 상기 단말이 연결 모드 상태에 있을 때, 특정 RRC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동작을 설정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단말은 대기 모드로 전환한 후, MBMS 서비스 수신이 트리거(Trigger)되면, 상기 설정된 동작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만약 상기 단말이 대기 모드로 전환한 후, 이미 단말이 연결 모드 상태 때부터 MBMS 서비스를 수신하고 있었다면, 바로 상기 설정된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단말이 대기 모드에서 연결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단말은 기지국에게 대기 모드 상태에서 MBMS 정보를 수집 및 기록하였음을 알리는 지시자를 전송한다. 단말은 소정의 절차를 통해, 기지국에 기록한 MBMS 정보를 전송한다. 상세한 동작은 도 6과 함께 설명한다.
도 6은 대기 모드에서 MBMS 정보를 수집, 기록하여, 이를 연결 모드 전환 후 기지국에 보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610 단계에서 기지국(605)은 단말 (600)에게 특정 RRC 메시지를 통해, 단말 대기 모드에서 MBMS 정보를 기록한 후, 보고하도록 설정한다. 실시 예에서 상기 특정 RRC 메시지는 LoggedMeasurementConfiguration 혹은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가 될 수 있다. 상기 RRC 메시지에 포함되는 설정 정보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 MBMS 정보 기록 시간
해당 시간 동안, 대기 모드 단말은 MBMS 정보를 기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단말은 대기 모드로 전환한 후, MBMS 서비스 수신이 트리거되면, 하나의 타이머가 시작한다. 혹은 상기 단말이 대기 모드로 전환한 후, 이미 단말이 연결 모드 상태 때부터 MBMS 서비스를 수신하고 있었다면, 바로 상기 타이머를 시작한다. 상기 타이머는 상기 단말이 연결 모드 상태 혹은 out-of coverage 상태로 전환되거나, MBMS 서비스를 중지하여도 계속 동작하며, 상기 타이머가 만료되면, 단말은 수행중인 MBMS 정보 기록 동작을 중지한다.
MBMS 정보를 기록하는 동작을 중지시키는 다른 alternative로, 기지국은 상기 MBMS 정보를 기록하는 시간을 설정하는 것 이 외에, 기록 횟수로 혹은 특정 조건이 만족하면, MBMS 정보를 기록하는 동작을 중지시킬 수도 있다. 상기 특정 조건의 예로는 단말이 수신 중이던 MBMS 서비스를 중지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 MBMS 정보 기록 방법
MBMS 정보는 주기적 혹은 이벤트 트리거 방식으로 기록된다. 관련된 설정 정보를 기지국이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두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Periodic
MBMS 정보를 주기적으로 기록한다. 기록 주기 정도는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된다.
- Event-triggered
특정 조건이 만족될 때만, MBMS 정보를 기록한다. 상기 조건과 관련된 설정 정보는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된다. 상기 조건의 예를 아래와 같다.
- 조건 1: BLER becomes worse than threshold during the pre-defined time period
- 조건 2: UE doesn't successfully receive MBMS service during the pre-defined time period
- 조건 3: eMBMS radio measurements (e.g. MBMS RSRP, MBMS RSRQ) become worse than threshold during the pre-defined time period
상기 조건들 중, 어느 조건을 적용하는지 여부와 상기 조건들에 적용되는 임계값 (threshold), 조건 평가 시간 (pre-defined time period)과 같은 설정 정보는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된다.
- MBMS 정보 수집 영역
단말은 특정 영역 내에서만 MBMS 정보 기록 동작을 수행한다. 기지국은 상기 영역을 여러 단위로 지시하여, 단말에게 알린다.
- MBSFN area - based
MBSFN 영역 단위로, MBMS 정보가 필요한 영역을 나타낸다. 단말은 broadcast되는 SIB13정보를 통해, 상기 서빙 셀이 어떤 MBSFN 영역에 속해 있는지 알 수 있다. 기지국이 설정한 MBSFN 영역이 현재 서빙 셀에서 제공하지 않는다면, MBMS 정보 기록 동작을 중지한다.
- Cell area - based
셀 영역 단위로, MBMS 정보가 필요한 영역을 나타낸다.
- TA - based
TA (Tracking Area) 영역 단위로, MBMS 정보가 필요한 영역을 나타낸다.
- 기타 정보
- TRACE관련 정보 (traceReference, traceRecordingSessionRef, tce-Id 등), 절대 시간 정보 등
본 발명에서는 상기 나열된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는 상기 RRC 메시지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615 단계에서 단말(600)은 대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단말(600)이 대기모드로 전환하는 것은 기 설정 된 조건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620 단계에서 단말(600)은 MBMS 서비스 수신을 트리거하며, 이 때, 단말(600)은 MBMS 정보 기록 동작을 수행해야 하는 시간을 나타내는 타이머를 시작한다. 실시 예에 따라서 단말(600)은 MBMS 서비스를 시작하는 경우에만 MBMS 측정 기록(logging)을 시작할 수 있다.
625 단계에서 단말(600)은 상기 타이머가 동작 중이고, 단말(600)이 MBMS 서비스를 수신하고 있다면, 설정 정보를 바탕으로 주기적 혹은 event-triggered 방식으로 MBMS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630 단계에서 단말(600)은 연결 모드로 전환한다. 단말(600)이 연결 모드로 전환하는 것은 기지국(605)이 데이터를 송신할 필요가 있거나, 단말(600)이 기지국(605)과 연결하려는 상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 예에서 630 단계의 조건은 단말(600)이 기지국(605)과 연결되는 조건에 따라 다음 동작이 한정 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단말(600)은 수행 중이던 MBMS 정보 기록 동작을 중지한다. 연결 모드 상태인 단말은 특정 RRC 메시지를 통해, 기지국(605)에게 대기 모드 상태에서 MBMS 정보를 수집 및 기록하였음을 알리는 지시자를 전송한다. 상기 특정 RRC 메시지는 RRCConnectionSetupComplete, RRCConnectionReconfigurationComplete 및 RRCConnectionReestablishmentComplete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600)은 Connection establishment뿐 아니라, handover, Connection Reestablishment 이 후에도, 아직 보고하지 않은 MBMS 정보가 있다면, 상기 지시자를 기지국(605)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600)은 소정의 절차를 통해, 기지국(605)에 기록한 MBMS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소정의 절차는 두 옵션을 가질 수 있다.
첫 번째 옵션은 종래의 MDT IE들을 재사용하는 것이다. 첫 번째 옵션에서는, 기록한 MBMS 정보는 종래의 MDT 측정 정보로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600)이 보고하지 않은 MDT 측정 정보를 가지고 있을 때, 기지국(605)에 이를 알리기 위해 사용하는 지시자, logMeasAvailable IE (635)가 MBMS 정보를 가지고 있을 때도 기지국(605)에게 전송된다. 보고 절차도 UE Information Request(640)와 UE Information Response (645)에서 MDT retrieval 목적으로 정의된 IE들을 이용할 수 있다.
두 번째 옵션은 MBMS 정보 보고를 위해, 별도의 IE들을 정의하는 것이다. MDT의 경우와 동일한 RRC 메시지들에 새로운 IE들을 추가한다. 즉, RRCConnectionSetupComplete, RRCConnectionReconfigurationComplete 및 RRCConnectionReestablishmentComplete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에 단말(600)이 MBMS 정보를 기록하고 있음을 알리는 새로운 지시자(650)을 정의할 수 있다. 또한, MBMS 정보 retrieval을 위해, UE Information Request (655)와 UE Information Response (660)에 새로운 IE들을 정의할 수 있다. 즉, 단말(600)로부터 MBMS 정보를 보고받고 싶다면, 기지국(605)은 UE Information Request에 logMBMSMeasReportReq IE (655)을 포함시켜, 단말(605)에게 전송한다. 단말(605)은 이에 UE Information Response에 logMBMSMeasReport IE (660)에 기록하고 있던 MBMS 정보를 포함시켜 기지국(605)에 보고한다.
상기 기술한 단말(600)의 동작은 MBMS 수신 능력을 가지고, 실제 MBMS 서비스를 수신할 단말(600)에 한정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은 실시 예 1에서의 단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700 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LoggedMeasurementConfiguration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RRC 메시지는 상기 단말로 하여금 대기 모드 상태에서의 MBMS 정보 기록 동작을 설정할 수 있다.
705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대기 모드로 전환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단계 705에서 상기 단말이 대기 모드로 전환되면, 710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MBMS 서비스 수신이 트리거 되는지 혹은 이미 MBMS 서비스를 수신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710 단계에서 상기 단말이 MBMS 서비스를 수신하는 경우, 715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MBMS 기록 시간 타이머를 동작시킨다. 실시 예에서 MBMS 서비스 수신에 따라 상기 타이머는 이미 동작하고 있을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트리거된 타이머는 연결 모드로 전환되어 MBMS 기록 동작이 suspend되어도 계속 동작하며, 단말이 다시 대기 모드로 전환되고, MBMS 서비스를 수신 중이라면,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은 한, 상기 단말은 다시 MBMS 기록 동작을 재개할 수 있다. 상기 타이머가 만료되어야 최종적으로 MBMS 기록 동작은 종료된다.
720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주기적 혹은 event-triggered 방식으로 MBMS 정보를 기록한다.
725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타이머가 만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료된다면, 상기 단말은 MBMS 기록 동작을 종료시킬 수 있다.
730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연결 모드로 전환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단말이 연결 모드로 전환되면, 735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수행중인 MBMS 기록 동작을 연기(suspend)시킨다.
740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기지국에게 특정 RRC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이 기록한 MBMS 정보를 가지고 있음을 알리는 지시자를 전송할 수 있다.
745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정보에 대한 보고를 요청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745에서 상기 정보에 대한 보고 요청을 수신한 경우 750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기지국 요청에 따라, UEInformationResponse 메시지에 상기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다.
도 8은 실시 예 1에서의 기지국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800 단계에서 기지국은 특정 단말에게 MBMS 정보 기록 동작을 설정하기 위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LoggedMeasurementConfiguration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805 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이 MBMS 정보를 기록하고 있음을 알리는 지시자를 보내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지시자를 수신한 기지국은 810 단계에서 상기 정보를 보고받을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810에서 상기 기지국이 보고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815 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게 보고 요청을 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보고 요청은 UEInformationRequest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820 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정보를 보고 받는다.
<실시 예 2>
실시 예 2 에서는 단말이 연결 모드에서 MBMS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바로 기지국에 보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 기술한 단말 동작은 MBMS 수신 능력을 가지고, 연결 모드 상태에서만 MBMS 서비스를 수신하고 있는 단말에 한정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시 예 2에서는 종래의 RRC measurement mechanism을 재사용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를 통해, 단말에게 주기적 혹은 event-triggered 방식으로 MBMS 정보를 수집하여 보고하도록 설정한다. 상기 주기적 혹은 event-triggered 방식은 앞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단말이 이미 MBMS 서비스를 수신 중 이거나, MBMS 서비스 수신을 트리거 한다면, 주기적 혹은 특정 조건을 만족하면, 기지국에게 수집한 MBMS 정보를 보고한다.
도 9는 실시 예2에서 연결 모드에서 MBMS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바로 기지국에 보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910 단계에서 기지국(905)은 단말(900)에게 단말(900)에게 MBMS 정보를 보고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설정은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915 단계에서 단말(900)은 MBMS 서비스를 이미 수신 중이거나, MBMS 서비스 수신을 시작하면, 상기 MBMS 정보를 측정, 수집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단말(900)이 MBMS 서비스를 수신하지 않을 경우 단말(900)은 MBMS 정보를 측정 수집하지 않을 수 있다.
920 단계에서 단말(900)은 기지국(905)이 상기 910 단계에서 설정한 대로, 주기적 혹은 특정 조건이 만족하면, 상기 수집한 MBMS 정보를 기지국에 보고 동작을 트리거할 수 있다.
925 단계에서 단말(900)은 상기 수집한 MBMS 정보를 기지국(905)에 보고한다. 상기 보고는 MeasurementReport 메시지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보고하는 타이밍은 상기 단말이 판단하거나, 상기 단계 910에서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 10은 실시 예 2에서 단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1000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수신받을 수 있다. 상기 단말이 수신한 RRC 메시지는 상기 단말이 연결 모드 상태에서 MBMS 정보를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설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전송된다. 또한 상기 RRC 메시지에는 상기 단말이 연결 모드 상태에서 MBMS 정보를 보고하기 위해 필요한 설정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아래에 상기 설정 정보를 나열하며, 본 발명에서는 나열된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상기 RRC 메시지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MBMS 정보 보고 시간 혹은 허용되는 보고 횟수
해당 시간 동안, 연결 모드 단말은 MBMS 정보를 보고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설정 정보를 포함한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MBMS 서비스 수신이 트리거되면, 혹은 이미 MBMS 서비스를 수신하고 있었다면, 바로 상기 타이머를 시작한다. 상기 타이머가 만료되면, 단말은 수행중인 MBMS 정보 보고 동작을 중지한다.
상기 보고 시간 대신에 보고 횟수 혹은 특정 조건을 설정해줄 수도 있다. 이 경우, 기록 횟수로 혹은 특정 조건이 만족하면, MBMS 정보를 보고하는 동작을 중지시킬 수도 있다. 상기 특정 조건의 예로는 단말이 수신 중이던 MBMS 서비스를 중지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 MBMS 정보 보고 방법
MBMS 정보는 주기적 혹은 이벤트 트리거 방식으로 보고된다. 관련된 설정 정보를 기지국이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두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Periodic
MBMS 정보를 주기적으로 보고한다. 보고 주기 정도는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된다.
- Event-triggered
특정 조건이 만족될 때만, MBMS 정보를 기록한다. 상기 조건과 관련된 설정 정보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된다. 상기 조건의 예는 이미 앞에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상기 조건들과 관련된 설정 정보는 상기 기지국이 제공한다.
1005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MBMS 서비스 수신을 트리거하거나, 이미 수신 중이인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1005에서 상기 단말이 MBMS 서비스 수신을 트리거 하거나, 상기 단말이 MBMS 서비스를 이미 수신하고 있는 경우, 1010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MBMS reporting timer를 동작시킬 수 있다.
1015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MBMS 정보 보고를 위한 보고 주기가 도래하는지 혹은 보고를 트리거하는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단계 1015에서 상기 단말이 만약 보고 시점으로 판단할 경우, 1020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기지국에게 수집한 MBMS 정보를 보고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보고되는 MBMS 정보는 상기 단말이 수집한 가장 최근의 MBMS 정보일 수 있다.
1025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MBMS reporting timer가 만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1025에서 상기 단말이 판단한 타이머가 만료되었다면, 상기 단말은 상기 보고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1030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대기 모드 전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결과 상기 단말이 대기모드로 전환된 경우 상기 보고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도 11은 실시 예2에서 기지국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1100 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기지국이 MBMS 정보를 보고받기를 원하는 특정 단말에게 상기 설정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전달되는 메시지는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일 수 있다.
1105 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로부터 MBMS 측정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MBMS 측정정보는 MeasurementReport 메시지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실시 예 3>
실시 예 1과 실시 예 2에서는 각각 단말 연결 모드와 대기 모드에서 MBMS 정보를 보고 혹은 기록하는 방법을 기술하였다. 실시 예 3에서는 단말이 연결 모드 혹은 대기 모드와 상관없이 특정 조건이 만족할 때까지 MBMS 정보의 보고 혹은 기록 동작을 계속 유지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서두에 설명하였듯이, LTE 단말은 MBMS 서비스를 단말 연결 모드 혹은 대기 모드 상태와 상관없이 지속적으로 제공 받을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이 MBMS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단말 연결 모드와 대기 모드로 나눠 따로 설정하는 것보다, 한번의 설정으로 두 모드에서 단말이 관련 동작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메시지 교환을 줄일 수 있으며 시스템 구성이 더욱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2는 실시 예 3에서 단말이 연결 모드 혹은 대기 모드와 상관없이 특정 조건이 만족할 때까지 MBMS 정보의 보고 혹은 기록 동작을 계속 유지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1210 단계 에서 기지국(1205)은 단말(1200)에게 단말 연결 모드 및 대기 모드에서 MBMS 정보를 수집 및 보고 동작을 설정하는 특정의 RRC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RRC 메시지는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및 LoggedMeasurementConfiguration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RRC 메시지는 실시 예 1과 실시 예 2에서 기술한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한다.
1215 단계에서 단말(1200)은 MBMS 서비스 수신을 트리거하거나, MBMS 서비스를 수신 중이면, MBMS 정보를 측정하며, 특정 타이머를 시작한다. 실시 예에서 단말(1200)은 MBMS 서비스 수신중 일 경우에만 상기 특정 타이머를 구동할 수 있다. 상기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MBMS 정보 보고와 관련된 동작을 종료한다. 실시 예에서 상기 타이머는 단말(1200)이 연결 모드 혹은 대기 모드 상태 상관없이 계속 동작할 수 있다. 상기 MBMS 정보 보고 동작의 종료는 다양한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실시 예 1 및 실시 예 2의 경우와 같이, 특정 횟수만큼 MBMS 정보를 보고하였거나, 혹은 특정 조건이 만족하면 상기 동작이 종료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1220 단계에서 단말(1200)은 기지국(1205)이 설정한 정보에 따라 주기적 혹은 event-triggered 방식으로 MBMS 정보 동작을 트리거할 수 있다.
1225 단계에서 단말(1200)은 MeasurementReport 메시지를 이용하여 기지국(1205)에게 MBMS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전송하는 MBMS 정보는 단말(1200)이 측정한 가장 최근의 MBMS 정보일 수 있다.
1230 단계에서 단말(1200)은 대기 모드로 전환한다. 실시 예에서는 특정 조건이 만족하면, 단말(1200) 대기 모드로 전환되어도, 상기 MBMS 정보 수집 동작을 지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의 경우 단말(1200) 대기 모드로 전환 된 경우 단말이 MBMS 서비스 수신을 하는 경우 MBMS 정보 수집 동작을 계속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1235 단계에서 단말(1200)은 상기 타이머가 아직 만료되지 않고, MBMS 서비스를 계속 수신 중이라면, 실시 예 1에서 수행했던 MBMS 기록 동작으로 전환한다. 만약 상기 타이머가 아직 만료되지 않았지만, MBMS 서비스 수신을 중지한 상태라면, MBMS 기록 동작을 트리거하지 않고 대기한다. 만약 상기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MBMS 서비스 수신이 재개되면, MBMS 기록 동작을 트리거할 수 있다.
1240 단계에서 단말(1200)은 기지국(1205)이 설정한 정보를 바탕으로 주기적 혹은 event-triggered 방식으로 MBMS 정보를 기록한다. MBMS 기록 동작을 수행하던 중, 상기 타이머가 만료되면 단말(1200)은 상기 동작을 종료한다.
상기 타이머가 아직 만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1245 단계에서 단말(1200)은 다시 연결 모드로 전환된다.
1250 단계에서 단말(1200)은 실시 1예에서 설명하였던, 기록된 MBMS 정보를 기지국에 보고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또한, 아직 상기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고, 단말(1200)이 MBMS 서비스를 수신 중이라면, 기지국(1205)에 대해 MBMS 정보 보고 동작을 수행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단말은 상위 계층 (1310)과 데이터 등을 송수신하며, 제어 메시지 처리부 (1315)를 통해 제어 메시지들을 송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은 기지국으로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송신 시, 제어부 (1320)의 제어에 따라 다중화 장치 (1305)을 통해 다중화 후 송신기 (1300)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반면, 수신 시, 단말은 제어부 (1320)의 제어에 따라 수신기 (1300)로 물리신호를 수신한 후, 역다중화 장치 (1305)으로 수신 신호를 역다중화하고, 각각 메시지 정보에 따라 상위 계층 (1310) 혹은 제어메시지 처리부 (1315)로 전달한다.
한편, 상기에서는 단말이 복수 개의 블록들로 구성되고 각 블록이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되었지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 장치(1305)가 수행하는 기능을 제어부(1320) 자체가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20)는 임의의 전송 시간 구간(Transmission Time Interval)에서 하향링크 스케쥴링의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20)는 상기 단말이 전송 모드 9로 설정되었는지 또는 상기 전송 시간 구간이 MBSFN(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 프레임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하향링크 스케쥴링의 처리 여부를 결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320)는 상기 결정 결과에 따라 상기 하향링크 스케쥴링을 처리하거나 또는 무시하도록 처리하도록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20)는 상기 전송 시간 구간이 측정 구간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측정 구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하향링크 스케쥴링을 무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320)는 상기 전송 시간 구간이 측정 구간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이 전송 모드 9로 설정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전송 모드 9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전송 시간 구간이 MBSFN 서브프레임인지 판단하며, 상기 MBSFN 서브프레임인 경우 상기 하향링크 스케쥴링을 무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320)는 상기 전송 시간 구간이 MBSFN 서브프레임이 아닌 경우 상기 하향링크 스케쥴링을 처리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320)는 상기 전송 모드 9로 설정된 경우, 상기 하향링크 스케쥴링을 처리하도록 제어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지국은 송수신부 (1405), 제어부(1410),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 (1420), 제어 메시지 처리부 (1435), 각 종 상위 계층 처리부 (1425, 1430), 스케줄러(1415)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1405)는 순방향 캐리어로 데이터 및 소정의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역방향 캐리어로 데이터 및 소정의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다수의 캐리어가 설정된 경우, 송수신부(1405)는 상기 다수의 캐리어로 데이터 송수신 및 제어 신호 송수신을 수행한다.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1420)는 상위 계층 처리부(1425, 1430)나 제어 메시지 처리부(1435)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다중화하거나 송수신부(1405)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역다중화해서 적절한 상위 계층 처리부(1425, 1430)나 제어 메시지 처리부(1435), 혹은 제어부 (141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 메시지 처리부(1435)는 단말이 전송한 제어 메시지를 처리해서 필요한 동작을 취하거나, 단말에게 전달할 제어 메시지를 생성해서 하위 계층으로 전달한다.
상위 계층 처리부(1425, 1430)는 단말 별 서비스 별로 구성될 수 있으며, FTP나 VoIP 등과 같은 사용자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처리해서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1420)로 전달하거나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1420)로부터 전달한 데이터를 처리해서 상위 계층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한다.
제어부(1410)는 단말이 언제 MBMS를 전송할지를 판단해서 송수신부를 제어한다.
스케줄러(1415)는 단말의 버퍼 상태, 채널 상태 및 단말의 활성 시간(Active Time) 등을 고려해서 단말에게 적절한 시점에 전송 자원을 할당하고, 송수신부에게 단말이 전송한 신호를 처리하거나 단말에게 신호를 전송하도록 처리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20)

  1.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MBSFN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single frequency network)을 위한 영역을 위한 정보 및 상기 영역과 관련된 제어채널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MBSFN을 위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타겟 MBSFN 영역 정보를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타겟 MBSFN 영역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수신하였으면, 상기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대기 모드 및 연결 모드에서 상기 타겟 MBSFN 영역 정보를 위한 측정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설정 정보와 관련하여 이용 가능한 저장된 측정 결과가 있으면, 상기 측정 결과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결과는 상기 타겟 MBSFN 영역 정보와 관련된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상기 타겟 MBSFN 영역 정보와 관련된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및 상기 MBSFN 영역 정보와 관련된 BLER(block error r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타이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타이머를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설정 정보와 관련된 설정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MBSFN 영역 정보는 브로드캐스트 네트워크 또는 멀티캐스트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방법에 있어서,
    단말에게 MBSFN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single frequency network)을 위한 영역을 위한 정보 및 상기 영역과 관련된 제어채널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MBSFN을 위한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게 타겟 MBSFN 영역 정보를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설정 정보와 관련하여 이용 가능한 저장된 측정 결과가 있으면, 상기 측정 결과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 MBSFN 영역 정보를 위한 측정 결과의 저장은 상기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대기 모드 및 연결 모드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결과는 상기 타겟 MBSFN 영역 정보와 관련된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상기 타겟 MBSFN 영역 정보와 관련된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및 상기 MBSFN 영역 정보와 관련된 BLER(block error r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게 타이머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설정 정보와 관련된 설정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MBSFN 영역 정보는 브로드캐스트 네트워크 또는 멀티캐스트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와 연결되고, 기지국으로부터 MBSFN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single frequency network)을 위한 영역을 위한 정보 및 상기 영역과 관련된 제어채널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MBSFN을 위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타겟 MBSFN 영역 정보를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시스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타겟 MBSFN 영역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수신하였으면, 상기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대기 모드 및 연결 모드에서 상기 타겟 MBSFN 영역 정보를 위한 측정 결과를 저장하며, 상기 단말이 상기 설정 정보와 관련하여 이용 가능한 저장된 측정 결과가 있으면, 상기 측정 결과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결과는 상기 타겟 MBSFN 영역 정보와 관련된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상기 타겟 MBSFN 영역 정보와 관련된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및 상기 MBSFN 영역 정보와 관련된 BLER(block error r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타이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타이머를 구동하며, 상기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설정 정보와 관련된 설정을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MBSFN 영역 정보는 브로드캐스트 네트워크 또는 멀티캐스트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와 연결되고, 단말에게 MBSFN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single frequency network)을 위한 영역을 위한 정보 및 상기 영역과 관련된 제어채널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MBSFN을 위한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단말에게 타겟 MBSFN 영역 정보를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설정 정보와 관련하여 이용 가능한 저장된 측정 결과가 있으면, 상기 측정 결과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 MBSFN 영역 정보를 위한 측정 결과의 저장은 상기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대기 모드 및 연결 모드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결과는 상기 타겟 MBSFN 영역 정보와 관련된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상기 타겟 MBSFN 영역 정보와 관련된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및 상기 MBSFN 영역 정보와 관련된 BLER(block error r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에게 타이머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설정 정보와 관련된 설정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MBSFN 영역 정보는 브로드캐스트 네트워크 또는 멀티캐스트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30037974A 2013-04-08 2013-04-0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가 mbms 관련 측정 정보를 기록하고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Active KR102036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7974A KR102036061B1 (ko) 2013-04-08 2013-04-0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가 mbms 관련 측정 정보를 기록하고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EP18168828.4A EP3379862B1 (en) 2013-04-08 2014-04-04 Method and apparatus for logging and reporting mbms-related measurement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S18168828T ES2755678T3 (es) 2013-04-08 2014-04-04 Procedimiento y aparato para registrar e informar información de medición relacionada con un MBMS en un sistema de comunicación inalámbrico
CN201480004018.7A CN104885507B (zh) 2013-04-08 2014-04-04 用于记录并报告无线通信系统中与mbms相关的测量信息的方法和设备
EP14782481.7A EP2923512B1 (en) 2013-04-08 2014-04-04 Method and apparatus for logging and reporting mbms-related measurement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CT/KR2014/002929 WO2014168384A1 (en) 2013-04-08 2014-04-04 Method and apparatus for logging and reporting mbms-related measurement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4/247,861 US10149184B2 (en) 2013-04-08 2014-04-08 Method and apparatus for logging and reporting MBMS-related measurement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6/207,657 US11159964B2 (en) 2013-04-08 2018-12-03 Method and apparatus for logging and reporting MBMS-related measurement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7974A KR102036061B1 (ko) 2013-04-08 2013-04-0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가 mbms 관련 측정 정보를 기록하고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1594A KR20140121594A (ko) 2014-10-16
KR102036061B1 true KR102036061B1 (ko) 2019-11-26

Family

ID=51654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7974A Active KR102036061B1 (ko) 2013-04-08 2013-04-0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가 mbms 관련 측정 정보를 기록하고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149184B2 (ko)
EP (2) EP3379862B1 (ko)
KR (1) KR102036061B1 (ko)
CN (1) CN104885507B (ko)
ES (1) ES2755678T3 (ko)
WO (1) WO20141683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28295B2 (en) * 2012-03-29 2018-07-17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thod and an apparatus to control scheduling
US20150131516A1 (en) * 2013-11-12 2015-05-14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time interval extension for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JP6031534B2 (ja) * 2014-01-14 2016-11-24 宏達國際電子股▲ふん▼有限公司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mbmsmdtを行う方法
GB2522671B (en) 2014-01-31 2017-10-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asurement in MBMS
EP3100495B1 (en) * 2014-01-31 2018-11-28 Nokia Technologies Oy Bler measurements for mbms
WO2015115459A1 (ja) * 2014-01-31 2015-08-06 京セラ株式会社 Mbms測定制御方法及びユーザ端末
US9722848B2 (en) 2014-05-08 2017-08-01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for using a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for downlink transmissions
WO2016042979A1 (ja) * 2014-09-18 2016-03-24 ソニー株式会社 装置
CN105472650B (zh) * 2014-09-26 2020-05-01 诺基亚技术有限公司 用于对组播-广播单频网络测量记录日志的方法和装置
US11317250B2 (en) * 2016-07-11 2022-04-2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MBMS interest indication message by terminal and device supporting same
CN108934038B (zh) * 2017-05-23 2021-10-29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基站状态测试方法、装置、基站测试系统及终端
EP3729837B1 (en) * 2017-12-18 2023-06-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 for reporting information to unmanned vehicl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CN110691330B (zh) * 2018-07-04 2021-12-07 成都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集群通信方法、装置及系统
US11758432B2 (en) * 2018-08-09 2023-09-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nhanced end to end flow control for multi-hop integrated access backhaul (IAB) networks
FR3092722B1 (fr) * 2019-02-12 2022-03-11 Second Bridge Inc Retransmission selective de messages dans des communications vehicule à vehicule
EP4007337A4 (en) * 2019-07-31 2023-03-22 Ntt Docomo, Inc.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CN111314162A (zh) * 2019-11-29 2020-06-19 中国电力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基于路测仪对电力业务进行路测的方法及系统
CN114902568B (zh) * 2019-12-19 2025-06-27 诺基亚技术有限公司 协议数据单元(pdu)错误概率反馈
CN113068135B (zh) * 2020-01-02 2022-07-1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多播业务处理方法、多播业务配置方法及相关设备
US11856415B2 (en) * 2020-05-15 2023-12-26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tilizing lower layer signalling for mobility beam management
CN119278645A (zh) * 2022-04-01 2025-01-07 诺基亚技术有限公司 用于新无线电中的组播/广播服务的最小化路测
KR20240085406A (ko) * 2022-12-08 2024-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캐스트 방식에 기반한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03251A1 (en) 2008-03-14 2011-05-05 Zte Corporation Configuration and indication methods of multicast/broadcast over a single frequency network frames and an identifying method used by a terminal
US20120099434A1 (en) 2009-02-10 2012-04-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transmitting mbsfn subframe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neighboring cells
US20120163273A1 (en) 2010-12-23 2012-06-2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mbms service, terminal for receiving mbms service, and network for transmitting mbms service
WO2012148203A2 (ko) 2011-04-27 2012-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종망 정보 로깅 및 보고하는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장치
US20130010624A1 (en) * 2010-04-02 2013-01-10 Zte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reportin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easurement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31981B (zh) 2009-06-18 2013-08-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最小化路测日志测量方法及装置
KR101674221B1 (ko) * 2010-01-28 2016-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로그된 측정 보고 방법 및 장치
KR101674222B1 (ko) 2010-02-09 2016-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로그된 측정 보고 방법 및 장치
KR101676045B1 (ko) * 2010-02-09 2016-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로그된 측정 폐기 방법 및 장치
WO2011118998A2 (ko) * 2010-03-24 2011-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로그된 측정 수행 방법 및 장치
CN105429743A (zh) * 2010-04-28 2016-03-23 三菱电机株式会社 移动通信系统
CN102870455B (zh) * 2010-04-29 2016-06-01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使用个人无线装置进行网络测试
CN102264032B (zh) * 2010-05-26 2016-02-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多媒体广播组播业务控制信息的发送方法及装置
WO2011149281A2 (ko) 2010-05-26 2011-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로그된 측정 보고 방법 및 장치
US9591503B2 (en) 2010-06-16 2017-03-07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asurements logging and transmission at a user equip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EP3654691A1 (en) * 2010-10-01 2020-05-2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nd radio network controller
WO2012047070A2 (en) * 2010-10-08 2012-04-12 Pantech Co., Ltd. Method for obtaining information in wireless co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using mdt
KR101742321B1 (ko) * 2010-12-21 2017-06-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서비스 카운팅 방법 및 장치
CN102695130B (zh) * 2011-03-21 2016-12-2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Mbms业务发送方式切换方法、装置和用户设备
US20130039250A1 (en) * 2011-08-12 2013-02-14 Mediatek, Inc. Method to Indicate MBMS Reception Status to Enable Service Continuity
US9066299B2 (en) * 2011-10-27 2015-06-23 Htc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handling MBMS ser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131389B2 (en) * 2012-02-28 2015-09-08 Qualcomm Incorporated Connected mode gap measurement for LTE TDD
US9775144B2 (en) * 2012-02-29 2017-09-2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erminal receiving downlink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EP2823664B1 (en) * 2012-03-07 2019-01-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node and method for handling non-real time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WO2013154387A1 (en) * 2012-04-12 2013-10-1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onfigu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161265B2 (en) * 2012-04-20 2015-10-13 Futurewei Technologies AG System and method for basic service set association
KR20150013444A (ko) * 2012-05-02 2015-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abs 구간 추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2849476B1 (en) * 2012-05-11 2017-12-20 Kyocera Corporatio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er terminal and processor
US9674723B2 (en) * 2012-11-05 2017-06-06 Telefonaktiebolagent L M Ericsson (Publ) Systems and methods for maintaining time stamping accuracy to meet a non-linear time drift constraint
US9426743B2 (en) * 2013-01-08 2016-08-2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to optimize power consumption for LTE eMBMS
US9590878B2 (en) * 2013-01-16 2017-03-07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state information and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design for long-term evolution machine type communications
US10292018B2 (en) * 2013-02-14 2019-05-1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porting MBMS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supporting same
JP6031534B2 (ja) * 2014-01-14 2016-11-24 宏達國際電子股▲ふん▼有限公司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mbmsmdtを行う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03251A1 (en) 2008-03-14 2011-05-05 Zte Corporation Configuration and indication methods of multicast/broadcast over a single frequency network frames and an identifying method used by a terminal
US20120099434A1 (en) 2009-02-10 2012-04-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transmitting mbsfn subframe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neighboring cells
US20130010624A1 (en) * 2010-04-02 2013-01-10 Zte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reportin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easurement
US20120163273A1 (en) 2010-12-23 2012-06-2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mbms service, terminal for receiving mbms service, and network for transmitting mbms service
WO2012148203A2 (ko) 2011-04-27 2012-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종망 정보 로깅 및 보고하는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301210A1 (en) 2014-10-09
US10149184B2 (en) 2018-12-04
US20190104428A1 (en) 2019-04-04
US11159964B2 (en) 2021-10-26
EP2923512A4 (en) 2016-02-24
EP3379862B1 (en) 2019-10-16
EP2923512B1 (en) 2018-05-30
EP3379862A1 (en) 2018-09-26
WO2014168384A1 (en) 2014-10-16
EP2923512A1 (en) 2015-09-30
KR20140121594A (ko) 2014-10-16
ES2755678T3 (es) 2020-04-23
CN104885507B (zh) 2019-01-04
CN104885507A (zh) 2015-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606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가 mbms 관련 측정 정보를 기록하고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4118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bms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말이 mbsfn 서브프레임에서 반영구적 스케쥴링 을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9473966B2 (en) Enabling reporting of non-real-time MDT measurements
EP3101923B1 (en) Mbms measurement control method and user terminal
CN102934480B (zh) 能够实现报告非实时mdt测量
KR101929803B1 (ko) 복수의 plmn들에서 mdt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
US9491075B2 (en) Method for latency measurement and apparatus therefor
US20110201324A1 (en) Reporting of Non-Real-Time MDT Measurements
US962901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MDT measurement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9794082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network controller for online troubleshooting for MBM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179047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가 mbms 관련 측정 정보를 기록하고 보고할 단말기를 선정하여 설정하고, 단말기가 기록된 정보를 기지국에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CN103686606B (zh) 一种mbms性能检测的方法及设备
CN120226321A (zh) 用于通信的设备,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0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4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4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2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0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0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