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5178B1 - Instrument For Surveying Underground Facilities With Convenience - Google Patents
Instrument For Surveying Underground Facilities With Convenien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35178B1 KR102035178B1 KR1020190093239A KR20190093239A KR102035178B1 KR 102035178 B1 KR102035178 B1 KR 102035178B1 KR 1020190093239 A KR1020190093239 A KR 1020190093239A KR 20190093239 A KR20190093239 A KR 20190093239A KR 102035178 B1 KR102035178 B1 KR 1020351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ing bracket
- fixing pin
- pole
- parts
- bracke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01C15/06—Surveyors' staffs; Movable marke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5/00—Measuring height; Measuring distances transverse to line of sight; Levelling between separated points; Surveyors' lev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이 편리한 지하시설물 측량기구에 관한 것으로,
연결브라켓(10)의 후방에 구비되는 판 형상의 체결부(11)와, 체결부(11)의 상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서로 대향되는 'ㄴ'자 형상의 제1,2상측가이드부(12,12')와; 제1,2상측가이드부(12,12')의 전측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서로 대향되는 제1,2연결부(13,13')와; 제1,2연결부(13,13')의 하측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되 횡바(HS)가 통과하는 이격공간(a)이 형성되도록 체결부(11)에서 이격되게 구비되며, 서로 대향되는 'ㄱ'자 형상의 제1,2하측가이드부(14,14') 및; 제1,2상측가이드부(12,12')의 수평부에 구비되어, 서로 대향되는 제1,2걸림부(15,15')를 갖춘 연결브라켓(10)과:
고정핀본체(21)와; 후방으로 개구되어 폴대(PB)가 삽입되는 라운드홈(22a)과, 연결브라켓(10)의 제1,2걸림부(15,15')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2걸림홀(22b,22b')을 갖추고서, 고정핀본체(21)의 상측에 구비되며, 양측이 연결브라켓(10)의 제1,2상측가이드부(12,12')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상측삽입부(22)와; 후방으로 개구되어 폴대(PB)가 삽입되는 라운드홈(23a)을 갖추고서, 고정핀본체(21)의 하측에 구비되며, 양측이 연결브라켓(10)의 제1,2하측가이드부(14,14')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측삽입부(23)를 갖춘 고정핀(20)과:
연결브라켓(10)의 체결부(11)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관통삽입되는 조임구(30) 및:
일측이 고정핀(20)의 상측삽입부(22)에 설치되는 연결부(51)와; 연결부(51)의 타측에 구비되어, 체결부(1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걸이부(52)를 갖춘 걸이구(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ground facility surveying mechanism that is easy to use,
Plate-shaped fastening portion 11 provided at the rear of the connection bracket 10, and the first and second upper guide portion of the 'b' shape formed to protrude for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fastening portion 11 and opposed to each other (12, 12 ');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arts 13 and 13 'provid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front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upper guide parts 12 and 12' and opposed to each other; It is provided to protrude rear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ortions (13, 13 ') is provided spaced apart from the fastening portion (11) to form a space (a) through which the horizontal bar (HS) passes,' First and second lower guide portions 14 and 14 'shaped like a'and; A connection bracket 10 provided on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upper guide parts 12 and 12 'and having first and second locking parts 15 and 15' facing each other:
A fixed pin body 21; A round groove 22a opening rearward to insert the pole base PB and a first and second locking hole 22b movably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ortions 15 and 15 'of the connecting bracket 10. 22b '), which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pin body 21, and both sides of which ar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upper guide parts 12 and 12' of the connecting bracket 10 so as to be movable. (22); It has a round groove (23a) that is opened to the rear to insert the pole (PB),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xing pin body 21, both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lower guide portion 14 of the connecting bracket (10) And a fixing pin 20 having a lower insert 23 which is movably installed on the 14 '):
Fasteners 30 which are inserted through the fastening portion 11 of the connecting bracket 10 to be moved back and forth and:
A connection part 51 having one side installed at an upper insertion part 22 of the fixing pin 20; Hanging tool 50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51 having a hook portion 52 which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fastening portion 11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하시설물 측량기구에 관한 것으로, 사용이 편리하고 정확한 측량이 가능한 '사용이 편리한 지하시설물 측량기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ground facility surveying mechanism, and relates to a 'useable underground facility surveying mechanism' that is easy to use and accurate surveying.
일반적으로 각종 토목설계나 건축설계 등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측지측량이 이루어져야 한다.In general, geodetic surveying should be done for various civil and architectural designs.
근래에는 공간정보 활성의 증대로 인해 데이터의 정확도 및 최신성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상하수도 신규 매설 및 노후관 교체시 발생한 공간정보 변화에 대해 실측을 함으로써 데이터의 최신성을 확보하고 있다.Recently, due to the increase of spatial information activity,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accuracy and up-to-dateness of data. In particular, recently, the latest information is secured by realizing changes in spatial information generated when new waterworks and sewers are newly buried and old pipes are replaced.
한편, 지하시설물 실측이란 공사가 완료되기 전 시공시에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상태에서 GPS측량기기를 이용한 측량 또는 스타프를 이용한 측량을 말한다.On the other hand, underground facility measurement refers to surveying using GPS surveying equipment or surveying using a GPS surveying device in a state that can be visually checked at construction before construction is completed.
이와 같은 지하시설물 측량을 위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96644호가 있다.The prior art for the measurement of such underground facilities is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896644.
그러나, 종래 기술은, 브라켓이 가로바에 배치될 시, 브라켓이 가로바를 기준으로 상하로 회전하기 쉽고, 브라켓에 폴대를 배치할 시, 폴대를 브라켓의 라운드홈에 정확히 위치시키는 것이 불편하였으며, 지면에 안착된 가로바를 가압하여 폴대를 브라켓에 밀착시키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불편하였다. However, in the prior art, when the bracket is placed on the horizontal bar, the bracket is easily rotated up and down relative to the horizontal bar, and when the pole is placed on the bracket, it is inconvenient to accurately position the pole in the round groove of the bracket. The work was very inconvenient because the pole was pressed against the bracket by pressing the seated horizontal bar.
더욱이, 이와 같이 문제로 인해 1인 작업자 혼자 가로바 및 폴대를 십자 형태로 고정하는 데 매우 큰 어려움이 있었다.Moreover, due to such a problem, there was a great difficulty in fixing the crossbar and poles crosswise by a single worker alon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이 편리하고 정확한 측량이 가능한 '사용이 편리한 지하시설물 측량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to solve the problem to provide a 'easy to use underground facility measurement mechanism' that is easy to use and accurate measurement.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과제의 해결 수단은,Solution for solving the first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연결브라켓(10)의 후방에 구비되는 판 형상의 체결부(11)와, 체결부(11)의 상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서로 대향되는 'ㄴ'자 형상의 제1,2상측가이드부(12,12')와; 제1,2상측가이드부(12,12')의 전측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서로 대향되는 제1,2연결부(13,13')와; 제1,2연결부(13,13')의 하측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되 횡바(HS)가 통과하는 이격공간(a)이 형성되도록 체결부(11)에서 이격되게 구비되며, 서로 대향되는 'ㄱ'자 형상의 제1,2하측가이드부(14,14') 및; 제1,2상측가이드부(12,12')의 수평부에 구비되어, 서로 대향되는 제1,2걸림부(15,15')를 갖춘 연결브라켓(10)과:Plate-
고정핀본체(21)와; 후방으로 개구되어 폴대(PB)가 삽입되는 라운드홈(22a)과, 연결브라켓(10)의 제1,2걸림부(15,15')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2걸림홀(22b,22b')을 갖추고서, 고정핀본체(21)의 상측에 구비되며, 양측이 연결브라켓(10)의 제1,2상측가이드부(12,12')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상측삽입부(22)와; 후방으로 개구되어 폴대(PB)가 삽입되는 라운드홈(23a)을 갖추고서, 고정핀본체(21)의 하측에 구비되며, 양측이 연결브라켓(10)의 제1,2하측가이드부(14,14')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측삽입부(23)를 갖춘 고정핀(20)과:A fixed
연결브라켓(10)의 체결부(11)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관통삽입되는 조임구(30) 및:
일측이 고정핀(20)의 상측삽입부(22)에 설치되는 연결부(51)와; 연결부(51)의 타측에 구비되어, 체결부(1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걸이부(52)를 갖춘 걸이구(50) A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또한, 본 발명의 제2과제의 해결 수단은,Moreover, the solution of the 2nd subject of this invention,
제1과제의 해결 수단에 있어서,In the solution of the first problem,
상기 연결브라켓(10) 및 고정핀(20)은, 판재가 절곡되어 형성되고, The connecting
상기 연결브라켓(10)의 제1,2걸림부(15,15')는, 제1,2상측가이드부(12,12')의 평면부에 일체형으로 구비되되, 일측이 제1,2상측가이드부(12,12')의 평면부에 고정되게 구비되고, 타측이 제1,2상측가이드부(12,12')의 평면부에서 분리가능하게 구비되어, 고정핀(20)이 연결브라켓(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밀어올려진 제1,2걸림부(15,15')가 상측삽입부(22)의 제1,2걸림홀(22b,22b')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and
또한, 본 발명의 제3과제의 해결 수단은,Moreover, the solving means of the 3rd subject of this invention,
제1 또는 제2과제의 해결 수단에 있어서,In the solving means of the first or second problem,
상기 조임구(30)의 가압체(32)는, 폴대(PB)가 맞대어지는 라운드부(32a)가 형성되어, 볼트(3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The
상기 걸이구(50)의 연결부(51)는 탄성 재질의 와이어로 구비되되, 상측삽입부(22)의 라운드홈(22a)를 기준으로 대향되게 한 쌍이 구비되며,
상기 걸이구(50)의 걸이부(52)는 후크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른 본 발명은, 연결브라켓(10)에 제1,2하측가이드부(14,14')가 구비되어, 연결브라켓(10)을 횡바(HS)에 설치할 시, 연결브라켓(10)이 횡바(HS)을 기준으로 상하로 회동하지 않아, 연결브라켓(10)을 횡바(HS)에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연결브라켓(10)에 이격공간(a)이 형성되어, 연결브라켓(10)을 횡바(HS)에 삽입하기 용이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olutions, the first and second
또한, 본 발명은 고정핀(20)을 통해 폴대(PB)를 고정할 시, 폴대(PB)가 상측삽입부(22) 및 하측삽입부(23)의 라운드홈(22a,23a)에 각각 지지되게 하여, 폴대(PB)의 좌우 회전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정확한 위치(지하시설물의 센터)에 폴대(PB)를 위치시킬 수 있어, 정확한 측정(측량)값을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fixing the pole pole (PB) through the
또한, 본 발명은, 횡바(HS)에 연결브라켓(10)을 설치할 시 연결브라켓(HS)이 안정적으로 횡바(HS)에 배치되어, 작업자의 손이 프리해지며, 이에 따라 1인 작업자 혼자 폴대(PB)를 연결브라켓(10)에 설치하면서 위치 고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hen installing the connecting
또한, 본 발명은 폴대(PB)를 연결브라켓(10)에 삽입할 시, 상측삽입부(22), 걸이구(50)의 연결부(51), 라운드부(32a)를 갖춘 가압체(32)가 가이드 기능을 하여, 폴대(PB)가 고정핀(20)의 상측삽입부(22) 및 하측삽입부(23)의 후방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hen inserting the pole (PB) into the connecting
또한, 본 발명은 판재를 절곡하여 연결브라켓(10) 및 고정핀(20)을 제작하고, 상기와 같은 효과를 내기 위해 연결브라켓(10)과 고정핀(20)을 연결할 시, 고정핀(20)을 연결브라켓(10)에 삽입한 후, 연결브라켓(10)의 제1,2걸림부(15,15')를 상방으로 돌출시키는 간단한 작업을 통해, 연결브라켓(20)과 고정핀(20)을 일체형으로 연결(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bending the plate to produce a connect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시설물 측량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연결브라켓 및 고정핀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X-X'선에 따른 연결브라켓 및 조임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4(a,b)는 본 발명에서 연결브라켓 및 고정핀을 제조하기 전의 판재를 나타낸 전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서 횡바 및 폴대가 설치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폴대의 센터 맞춤 및 고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Y-Y'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nderground facility measurement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nnection bracket and the fixing pin in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connecting bracket and the fastener according to the line X-X 'of FIG.
Figure 4 (a, b) is a development view showing a plate before the connection bracket and the fixing pin in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at the horizontal bar and the pole is installed in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Y-Y 'of FIG. 2 for explaining the centering and fixing of the pole pole;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9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s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이하 본 발명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시설물 측량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연결브라켓 및 고정핀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X-X'선에 따른 연결브라켓 및 조임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nderground facility measurement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nnecting bracket and the fixing pin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onnecting bracket according to the line X-X 'of FIG. And a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fasten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ures 1 to 3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지하시설물 측량기구는 연결브라켓(10)과, 고정핀(20)과, 조임구(30) 및, 걸이구(50)를 포함하여, 횡바(HS)에 설치된 상태에서 수직으로 배치되는 폴대(PB)를 고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횡바(HS)는 스타프일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폴대(PB)의 상단에 GPS측량기가(GM)가 설치된다. 그리고 폴대(PB)의 하단은 뾰족한 형상을 이루거나 삼발이 형상을 이룰 수 있다.The underground facility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ing
상기 연결브라켓(1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11)와, 제1,2상측가이드부(12,12')와, 제1,2연결부(13,13')와, 제1,2하측가이드부(14,14') 및, 제1,2걸림부(15,15')를 갖추며, 하기 이격공간(a)을 통과한 횡바(HS)가 제1,2하측가이드부(14,14')의 상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브라켓(1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지만, 그 재질은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연결브라켓(10)은 금속판을 절곡 및 펀칭하여 제조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상기 체결부(11)는 판 평상을 이루어, 연결브라켓(10)의 후방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체결부(11)에는 전후로 관통된 관통홀(11a)이 형성되고, 너트(11b)가 관통홀(11a)와 연통되게 구비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체결부(11)는 전후로 개구된 걸이홀(미도시)을 구비하여, 하기 걸이구(50)의 걸이부(52)가 상기 걸이홀에 걸릴 수 있다. The fastening
상기 제1,2상측가이드부(12,12')는, 체결부(11)의 상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서로 대향되게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2상측가이드부(12,12')는 수직부와, 수직부의 하측에 구비되는 수평부를 갖춘 'ㄴ'자 형상을 이루어, 체결부(11)와 이어지게 형성된다. The first and second
상기 제1,2연결부(13,13')는 제1,2상측가이드부(12,12')의 전측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2연결부(13,13')는 직사각형 형태의 판형상을 이루어, 서로 대향되게 구비된다.The first and
상기 제1,2하측가이드부(14,14')는 제1,2연결부(13,13')의 하측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되 횡바(HS)가 통과하는 이격공간(a)이 형성되도록 체결부(11)에서 이격되게 구비되며, 서로 대향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2하측가이드부(14,14')는 'ㄱ'자 형상을 이룬다.The first and second
상기 제1,2걸림부(15,15')는 제1,2상측가이드부(12,12')의 수평부에 상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서로 대향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브라켓(10)의 제1,2걸림부(15,15')는, 제1,2상측가이드부(12,12')의 평면부에 일체형으로 구비되되, 일측이 제1,2상측가이드부(12,12')의 평면부에 고정되게 구비되고, 타측이 제1,2상측가이드부(12,12')의 평면부에서 분리가능하게 구비되어, 고정핀(20)이 연결브라켓(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밀어올려진 제1,2걸림부(15,15')가 상측삽입부(22)의 제1,2걸림홀(22b,22b')에 삽입된다.The first and
상기 고정핀(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핀본체(21)와, 상측삽입부(22) 및, 하측삽입부(22)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핀(2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지만, 그 재질은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고정핀(20)은 금속판을 절곡 및 펀칭하여 제조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fixing
상기 고정핀본체(21)는 확인홀(21a)이 전후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틀 형상을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핀본체(21)의 상하측에는 상방 및 하방으로 각각 돌출된 손잡이(21b)가 구비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고정핀본체(21)는 확인홀(21a)이 없는 판 형상을 이룰 수도 있다.The fixing
상기 상측삽입부(22)는 후방으로 개구되어 폴대(PB)가 삽입되는 라운드홈(22a)과, 연결브라켓(10)의 제1,2걸림부(15,15')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2걸림홀(22b,22b')을 갖추고서, 고정핀본체(21)의 상측에 구비되며, 양측이 연결브라켓(10)의 제1,2상측가이드부(12,12')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측삽입부(22)는 판 형상을 이룬다. 또한 상측삽입부(22)의 라운드홈(22a)는 폴대(PB)와 동일 직경을 이루고, 상측삽입부(22)의 걸림홀(22b,22b')은 전후로 긴 홀 형상을 이룬다.The upper inserting
그리고, 상기 상측삽입부(22)는 상기 라운드홈(22a)의 단부에 경사부(22c)가 형성되어, 폴대(PB)가 상기 경사부(22c)를 따라 상기 라운드홈(22a)으로 유도된다.In addition, the
상기 하측삽입부(23)는 후방으로 개구되어 폴대(PB)가 삽입되는 라운드홈(23a)을 갖추고서, 고정핀본체(21)의 하측에 구비되며, 양측이 연결브라켓(10)의 제1,2하측가이드부(14,14')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측삽입부(23)는 판 형상을 이루어 상측삽입부(22)와 대향되게 구비된다. 또한 하측삽입부(23)의 라운드홈(23a)은 폴대(PB)와 동일 직경을 이룬다.The lower inserting
그리고, 상기 하측삽입부(23)는 상기 라운드홈(23a)의 단부에 경사부(23b)가 형성되어, 폴대(PB)가 상기 경사부(23b)를 따라 상기 라운드홈(23a)으로 유도된다.In addition, the
상기 조임구(3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브라켓(10)의 체결부(11)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관통삽입되고, 폴대(PB)를 가압하여, 고정핀(20)의 라운드홈(22a,23a)에 삽입되어 밀착되도록 한다. 1 and 3,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조임구(30)는 연결브라켓(10)의 너트(11b)에 나사산 체결되고, 연결브라켓(10)의 관통홀(11a)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볼트(31)와, 볼트(31)의 전단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체(32) 및, 볼트(31)의 후단에 구비되는 손잡이(33)를 갖추고서, 연결브라켓(10)의 체결부(11)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가압체(32)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조임구(30)는, 가압체(32)가 볼트(3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볼트(31)가 회전하더라도 가압체(32)가 폴대(PB)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가압체(32)는 전측에 라운드부(32a)가 구비되어, 폴대(PB)가 라운드부(32a)에 밀착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걸이구(5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51)와, 걸이부(52)를 갖춘다.The hooking
상기 연결부(51)은 일측이 고정핀(20)의 상측삽입부(22)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51)는 와이어 형태로 구비되며, 연결부(51)의 일측이 고정핀(20)의 상측삽입부(22)를 관통하여 상측삽입부(22)의 저면에서 매듭지어짐으로써, 상측삽입부(22)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51)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One side of the
상기 걸이부(52)는 연결부(51)의 타측에 구비되어, 체결부(11)의 걸이홀(11c)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걸이부(52)는 후크 형상을 이룬다. The
한편, 본 실시예에서 걸이구(50)는 서로 대향되게 한 쌍이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핀본체(21)의 전측에 표시구(40)가 더 구비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상기 표시구(40)는 중앙에 상방으로 돌출된 삼각형상의 돌부가 일체로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으로서, 고정핀본체(21)에 설치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구(40)를 통해 관로(P)의 중심에 고정핀(20)이 위치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The
한편, 본 실시예에서 연결브라켓(10) 및 고정핀(20)은 금속판재와 같은 판재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성형을 통해 제조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도 4(a,b)는 본 발명에서 연결브라켓 및 고정핀을 제조하기 전의 판재를 나타낸 전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서 횡바 및 폴대가 설치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폴대의 센터 맞춤 및 고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Y-Y'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gure 4 (a, b)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plate before manufacturing the connecting bracket and the fixing pin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 and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horizontal bar and the pole is install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ole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Y-Y 'of FIG. 2 for explaining the centering and fix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Referring to FIGS. As follows.
우선, 도 4(a,b)과 같이 제작된 판재를 절곡하여, 도 2와 같은 연결브라켓(10) 및 고정핀(20)을 제작한다.First, by bending the plate produced as shown in Figure 4 (a, b), to produce a connecting
그리고, 연결브라켓(10)에 고정핀(20)을 설치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nd, looking at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fixing
고정핀(20)을 연결브라켓(10)을 향해 삽입한다. 그러면 고정핀(20)의 상측삽입부(22) 및 하측삽입부(23)가 연결브라켓(10)의 제1,2상측가이드부(12,12') 및 제1,2하측가이드부(14,14')에 삽입된다.Insert the fixing
이때, 상측삽입부(22,22')의 제1,2걸림홀(22b,22b')은 미돌출된 연결브라켓(10)의 제1,2걸림부(15,15') 상측에 배치된다.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holes 22b and 22b 'of the upper inserting
이후, 별도의 도구를 이용해 제1,2걸림부(15,15')를 상방으로 밀어올리면, 제1,2걸림부(15,15')는 상방으로 돌출된다(도 5 참조).Thereafter, when the first and
이어서, 고정핀(20)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상측삽입부(22)의 제1,2걸림홀(22b,22b')이 연결브라켓(10)의 제1,2걸림부(15,15')에 걸려, 이동이 제한된다.Subsequently, when the fixing
계속해서, 관로(P)가 배치되는 굴착홈(G)의 상방에 위치하게 횡바(HS)를 지면에 배치한 상태에서, 횡바(HS)가 연결브라켓(10)의 이격공간(a)를 통과하도록 연결브라켓(10)을 횡바(HS)에 삽입한 후, 연결브라켓(10)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횡바(HS)에 연결브라켓(10)이 안착되도록 한다(도 5 참조). 이때 연결브라켓(10)의 제1,2상측가이드부(12,12')와 제1,2하측가이드부(14,14') 사이에 횡바(HS)가 삽입되어, 연결브라켓(10)이 회동없이 횡바(HS)에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Subsequently, the horizontal bars HS pass through the space a of the connecting
이후, 고정핀(20)을 후방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걸이구(50)의 걸이부(52)를 연결브라켓(10)의 체결부(11) 상단에 건다(도 6 참조).Thereafter, in a state in which the fixing
그러고 나서, 폴대(PB)를 연결브라켓(10)에 삽입하여, 고정핀(20)의 상측삽입부(22) 및 하측삽입부(23)의 후방에 배치한다. 이때 상측삽입부(22), 걸이구(50)의 연결부(51), 라운드부(32a)를 갖춘 가압체(32)가 가이드 기능을 하여, 폴대(PB)가 고정핀(20)의 상측삽입부(22) 및 하측삽입부(23)의 후방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Then, the pole pole (PB)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이어서, 조임구(30)를 회전시켜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조임구(30)의 가압체(32)가 폴대(PB)와 맞닿으면서 폴대(PB)를 전방으로 가압한다(도 7참조). 그러면 폴대(PB)가 상측삽입부(22) 및 하측삽입부(23)의 라운드홈(22a,23a)과 밀착되고, 걸이구(50)에 의해 고정핀(20)이 전방으로 밀리지 않으면서 폴대(PB)와 고정핀(20)이 밀착고정된다. Subsequently, when the
이때, 폴대(PB)는 상측삽입부(22)의 라운드홈(22a) 및 하측삽입부(23)의 라운드홈(23a)에 밀착배치되기 때문에, 좌우로의 회동이 발생하지 않는다.At this time, since the pole stand PB is closely arranged to the
이와 같이 연결브라켓(10), 고정핀(20), 조임구(30), 걸이구(50)를 매개로 고정된 폴대(PB) 및 횡바(HS)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 형태로 고정배치되어, 폴대(PB)의 하단이 관로(P)에 안착되고, 횡바(HS)의 양단이 지면에 안착된다.Thus, the pole bracket (PB) and the horizontal bar (HS) fixed via the connecting
이후, 폴대(PB)에 설치된 GPS측량기를 통해 지하시설물을 측량한다. 이때 작업자는 폴대(PB)가 설치된 상태에서 해당 지역을 촬영하여 촬영사진을 수집하는 등, 해당 지하시설물에 관한 자료를 수집한다.Then, the underground facilities are surveyed through a GPS instrument installed in the pole (PB). At this time, the worker collects data on the relevant underground facilities, such as collecting photographs by photographing the area with the pole pole (PB) installed.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횡바(HS)의 후면과, 상측삽입부(22) 및 하측삽입부(23)의 라운드홈(22a,23a)의 전면이 상하 동일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도 9 참조).Meanwhile,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rear surface of the horizontal bar HS and the front surfaces of the
도 9와 같이 횡바(HS) 및 고정핀(20)이 배치되면, 폴대(PB)가 조임구(30)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될 시 폴대(PB)가 횡바(HS)에 지지되어 고정핀(20)에 걸리는 부하를 줄일 수 있으며, 이때 걸이구(50)의 연결부(51)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면 폴대(PB)가 걸이구(50)와 조임구(30)에 의해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When the horizontal bar HS and the fixing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연결브라켓(10)에 제1,2하측가이드부(14,14')가 구비되어, 연결브라켓(10)을 횡바(HS)에 설치할 시, 연결브라켓(10)이 횡바(HS)을 기준으로 상하로 회동하지 않아, 연결브라켓(10)을 횡바(HS)에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연결브라켓(10)에 이격공간(a)이 형성되어, 연결브라켓(10)을 횡바(HS)에 삽입하기 용이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nd second
또한, 본 발명은 고정핀(20)을 통해 폴대(PB)를 고정할 시, 폴대(PB)가 상측삽입부(22) 및 하측삽입부(23)의 라운드홈(22a,23a)에 각각 지지되게 하여, 폴대(PB)의 좌우 회전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정확한 위치(지하시설물의 센터)에 폴대(PB)를 위치시킬 수 있어, 정확한 측정(측량)값을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fixing the pole pole (PB) through the fixing
또한, 본 발명은, 횡바(HS)에 연결브라켓(10)을 설치할 시 연결브라켓(HS)이 안정적으로 횡바(HS)에 배치되어, 작업자의 손이 프리해지며, 이에 따라 1인 작업자 혼자 폴대(PB)를 연결브라켓(10)에 설치하면서 위치 고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hen installing the connecting
또한, 본 발명은 폴대(PB)를 연결브라켓(10)에 삽입할 시, 상측삽입부(22), 걸이구(50)의 연결부(51), 라운드부(32a)를 갖춘 가압체(32)가 가이드 기능을 하여, 폴대(PB)가 고정핀(20)의 상측삽입부(22) 및 하측삽입부(23)의 후방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hen inserting the pole (PB) into the connecting
또한, 본 발명은 판재를 절곡하여 연결브라켓(10) 및 고정핀(20)을 제작하고, 상기와 같은 효과를 내기 위해 연결브라켓(10)과 고정핀(20)을 연결할 시, 고정핀(20)을 연결브라켓(10)에 삽입한 후, 연결브라켓(10)의 제1,2걸림부(15,15')를 상방으로 돌출시키는 간단한 작업을 통해, 연결브라켓(20)과 고정핀(20)을 일체형으로 연결(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bending the plate to produce a connecting
10; 연결브라켓 11; 체결부
12,12'; 제1,2상측가이드부 13,13'; 제1,2연결부
14,14'; 제1,2하측가이드부 15,15'; 제1,2걸림부
20; 고정핀 21; 고정핀본체
22; 상측삽입부 23; 하측삽입부
30; 조임구 a; 이격공간
PB; 폴대 HS; 횡바10; Connecting
12,12 '; First and second
14,14 '; First and second
20;
22;
30; Diaphragm a; Space
PB; Poles HS; Sidebar
Claims (3)
고정핀본체(21)와; 후방으로 개구되어 폴대(PB)가 삽입되는 라운드홈(22a)과, 연결브라켓(10)의 제1,2걸림부(15,15')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2걸림홀(22b,22b')을 갖추고서, 고정핀본체(21)의 상측에 구비되며, 양측이 연결브라켓(10)의 제1,2상측가이드부(12,12')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상측삽입부(22)와; 후방으로 개구되어 폴대(PB)가 삽입되는 라운드홈(23a)을 갖추고서, 고정핀본체(21)의 하측에 구비되며, 양측이 연결브라켓(10)의 제1,2하측가이드부(14,14')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측삽입부(23)를 갖춘 고정핀(20)과:
연결브라켓(10)의 체결부(11)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관통삽입되는 조임구(30) 및:
일측이 고정핀(20)의 상측삽입부(22)에 설치되는 연결부(51)와; 연결부(51)의 타측에 구비되어, 체결부(1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걸이부(52)를 갖춘 걸이구(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시설물 측량기구.
Plate-shaped fastening portion 11 provided at the rear of the connecting bracket 10, and the first and second upper guide portion of the 'b' shape formed to protrude for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fastening portion 11 and opposed to each other (12, 12 ');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arts 13 and 13 'provid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front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upper guide parts 12 and 12' and opposed to each other; It is provided to protrude rear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ortions (13, 13 ') is provided spaced apart from the fastening portion (11) to form a space (a) through which the horizontal bar (HS) passes,' First and second lower guide portions 14 and 14 'shaped like a'and; A connection bracket 10 provided on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upper guide parts 12 and 12 'and having first and second locking parts 15 and 15' facing each other:
A fixed pin body 21; A round groove 22a opening rearward to insert the pole base PB and a first and second locking hole 22b movably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ortions 15 and 15 'of the connecting bracket 10. 22b '), which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pin body 21, and both sides of which ar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upper guide parts 12 and 12' of the connecting bracket 10 so as to be movable. (22); It has a round groove (23a) that is opened to the rear to insert the pole (PB),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xing pin body 21, both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lower guide portion 14 of the connecting bracket (10) And a fixing pin 20 having a lower insert 23 which is movably installed on the 14 '):
Fasteners 30 which are inserted through the fastening portion 11 of the connecting bracket 10 to be moved back and forth and:
A connection part 51 having one side installed at an upper insertion part 22 of the fixing pin 20; Hanging tool 50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51 having a hook portion 52 which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fastening portion 11
Underground facilities measuring apparatus comprising a.
상기 연결브라켓(10) 및 고정핀(20)은, 판재가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연결브라켓(10)의 제1,2걸림부(15,15')는, 제1,2상측가이드부(12,12')의 평면부에 일체형으로 구비되되, 일측이 제1,2상측가이드부(12,12')의 평면부에 고정되게 구비되고, 타측이 제1,2상측가이드부(12,12')의 평면부에서 분리가능하게 구비되어, 고정핀(20)이 연결브라켓(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밀어올려진 제1,2걸림부(15,15')가 상측삽입부(22)의 제1,2걸림홀(22b,22b')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시설물 측량기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ing bracket 10 and the fixing pin 20 is formed by bending the plate material,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arts 15 and 15 'of the connecting bracket 10 are integrally provided in the planar part of the first and second upper guide parts 12 and 12', and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upper parts 12 and 12 'is integrated. It is provided to be fixed to the flat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12, 12 '), the other side is provided detachably from the flat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upper guide portion (12, 12'), the fixing pin 20 is connected to the bracket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ortions 15 and 15 'pushed upward in the state of being installed at (10) ar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holes 22b and 22b' of the upper insertion portion 22. Underground facility surveying equipment.
상기 조임구(30)의 가압체(32)는, 폴대(PB)가 맞대어지는 라운드부(32a)가 형성되어, 볼트(3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걸이구(50)의 연결부(51)는 탄성 재질의 와이어로 구비되되, 상측삽입부(22)의 라운드홈(22a)를 기준으로 대향되게 한 쌍이 구비되며,
상기 걸이구(50)의 걸이부(52)는 후크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시설물 측량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pressing body 32 of the fastener 30 is formed with a round portion 32a to which the pole table PB is abutted, and is rotatably mounted to the bolt 31.
Connection portion 51 of the hook 50 is provided with an elastic wire, a pair is provided so as to face the round groove (22a) of the upper insertion portion 22,
The hook portion 52 of the hook mechanism (50) is an underground facility measurement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hook.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3239A KR102035178B1 (en) | 2019-07-31 | 2019-07-31 | Instrument For Surveying Underground Facilities With Convenien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3239A KR102035178B1 (en) | 2019-07-31 | 2019-07-31 | Instrument For Surveying Underground Facilities With Convenien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35178B1 true KR102035178B1 (en) | 2019-10-22 |
Family
ID=68420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93239A KR102035178B1 (en) | 2019-07-31 | 2019-07-31 | Instrument For Surveying Underground Facilities With Convenien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35178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RE31074E (en) * | 1969-03-17 | 1982-11-09 | Prakla-Seismos G.m.b.H | Well surveying instrument and method |
CN201497596U (en) * | 2009-05-14 | 2010-06-02 | 张贵军 | Underground temperature measuring instrument |
KR101896644B1 (en) | 2017-11-30 | 2018-09-18 | 에스제이데이타 주식회사 | Instrument For Surveying Underground Facilities With Convenience |
WO2019051134A1 (en) * | 2017-09-06 | 2019-03-14 | Howell Asset Locator, Llc | Technologies for tracking and locating underground assets |
-
2019
- 2019-07-31 KR KR1020190093239A patent/KR10203517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RE31074E (en) * | 1969-03-17 | 1982-11-09 | Prakla-Seismos G.m.b.H | Well surveying instrument and method |
CN201497596U (en) * | 2009-05-14 | 2010-06-02 | 张贵军 | Underground temperature measuring instrument |
WO2019051134A1 (en) * | 2017-09-06 | 2019-03-14 | Howell Asset Locator, Llc | Technologies for tracking and locating underground assets |
KR101896644B1 (en) | 2017-11-30 | 2018-09-18 | 에스제이데이타 주식회사 | Instrument For Surveying Underground Facilities With Convenience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USRE031074 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77729B1 (en) | Staff fixing device | |
US7434326B2 (en) | Precision box jig | |
CN107781998B (en) | Mounting structure of water heater | |
US7814675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aiding in hanging an object on a wall | |
KR102035179B1 (en) | Instrument For Surveying Underground Facilities With Convenience | |
KR100920670B1 (en) | level | |
KR101619402B1 (en) | Laser beam tripod fix for fix tools | |
KR102035178B1 (en) | Instrument For Surveying Underground Facilities With Convenience | |
KR101479604B1 (en) | Survey Equipment For the Precise Cadastral Survey | |
KR101896644B1 (en) | Instrument For Surveying Underground Facilities With Convenience | |
US6481111B1 (en) | Spirit level for tile and cabinet installation | |
CN112681775B (en) | A centering circular angle steel positioning device for embedded parts of steel structures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2238265B1 (en) | Instrument For Surveying Underground Facilities | |
CN214329980U (en) | Centering circular channel steel positioning device for steel structure embedded part | |
KR200436118Y1 (en) | Apparatus for separation error using transmission tower posts | |
KR101585658B1 (en) | Device for surveying underground facility | |
KR101567417B1 (en) | Underground Distribution Cable Support Device for Electrical Conduit of Appartment House | |
CN213115578U (en) | Horizontal positioning device for horizontal keel of exposed frame glass curtain wall with rear horizontal keel | |
CN110487246B (en) | Building safety monitoring device | |
CN112663974B (en) | A centering circular channel steel positioning device for embedded parts of steel structures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487464B1 (en) | Survey Control Point Cradle | |
KR20180114383A (en) | Folding type vertical leveler for multipurpose post | |
KR101753139B1 (en) | A positioning jig of hole | |
JP5869855B2 (en) | Weight-down swing and alignment method | |
US12072043B1 (en) | Plumbing target and placement too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80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3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0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0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10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