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5118B1 - Rainwater drainage with detachable sediment trap - Google Patents
Rainwater drainage with detachable sediment trap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35118B1 KR102035118B1 KR1020180147657A KR20180147657A KR102035118B1 KR 102035118 B1 KR102035118 B1 KR 102035118B1 KR 1020180147657 A KR1020180147657 A KR 1020180147657A KR 20180147657 A KR20180147657 A KR 20180147657A KR 102035118 B1 KR102035118 B1 KR 10203511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nwater
- housing
- itosil
- outlet
- sewa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5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204 segreg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1 depo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3—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sediment trap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5—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n odour seal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에 우수 유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하수관로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공이 위치하는 우수받이 하우징; 및 상기 우수받이 하우징 내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우수 유입구로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스크린을 구비한 이토실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이토실을 우수받이의 상단에 위치시켜 오염물질의 혐기화를 방지함으로써 이에 따른 악취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he rainwater inlet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the rainwater receiving housing is located in the lower connection hole for connecting to the sewer pipe; And an Itosil housing having a screen installed to be detachable within the rainwater receiver housing and having a screen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rainwater in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odor according to by placing the itosil on the upper end of the rain receiver to prevent the anaerobic contaminants.
Description
본 발명은 우수받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수받이(rainwater drainage)로부터 이토실(sediment trap)의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된 이토실 분리형 우수 및 오수받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torm drain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parate soil storm drain and sewage catcher configured to detachable sediment traps from rainwater drainage.
본 발명은 환경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의 지원으로 "환경정책기반공공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2017000700001, 과제명:도심 하수도 악취 저감을 위한 최적 시스템 개발]The present invention is derived from the research conducted as part of the "Environmental Policy-based Public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with the support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Environmental Industry and Technology Institute [Task Management No.:2017000700001, Task Name: Development of Optimal System for Reducing Urban Sewage Odor]
일반적으로 이토실은 우수받이의 저부에 설치되어 이물질, 토사 등이 관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시설을 말한다. 다시 말해서, 이토실은 도로위 오염물질의 관로 내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스크린 및 침전조 역할을 수행하는 구조물을 지칭한다.In general, Itosil refers to a facility that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storm drains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and earth and sand from entering the conduit. In other words, Itosil refers to a structure that serves as a screen and settling tank to prevent the inflow of contaminants on the roadway.
구체적으로, 종래기술에 따른 우수받이에서 이토실은 우수받이와 연결된 하수관로보다 15cm 내지 20cm 정도 하단에 매립 설치되며, 강우 시 우수와 함께 우수받이로 유입된 오염물질들이 이토실에 퇴적되고, 이토실의 높이만큼 차오른 우수는 하수관로를 통해 배출된다.Specifically, in the rainwater receiv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tosil is buried in the bottom about 15cm to 20cm than the sewage pipe connected to the rainwater receiver, and when rainfall, the pollutants introduced into the rainwater reservoir are deposited in the soil soil, Rainwater, as high as its height, is discharged through sewer lines.
그러나, 종래기술과 같이 하수관로의 하단에 매립 설치된 이토실에는 퇴적된 오염물질 등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오염물질이 혐기화되어 고농도의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llutants are anaerobic and a high concentration of odor is generated because there is no outlet port through which the accumulated pollutants and the like may be discharged in the landfill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sewage pipe as in the prior art.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우수받이에서 이토실은 하수관로의 하단에 매립 설치된 고정 구조물 즉, 분리되지 않는 구조물이기 때문에 이토실에 퇴적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려면, 작업자가 삽과 같은 장비로 손수 퍼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뿐만 아니라, 삽과 같은 장비로는 이토실에 퇴적된 오염물질을 완벽히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작업자가 이토실에 퇴적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더라도 지속적으로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a fixed structure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sewage pipe, that is, a structure that is not separated from the rainwater receiv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 order to remove contaminants deposited in the soil, the worker must manually dispose of the equipment with a shovel. There is a ham. In addition, since equipment such as a shovel cannot completely remove the contaminants deposited in the soil, there is a problem in that even if the worker removes the pollutants deposited in the soil, odor is continuously generated.
따라서, 이토실에 퇴적된 오염물질의 제거가 용이하고, 이토실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이토실을 구비한 우수받이에 대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technology development for rainwater receiving with Itosil having a structure that can easily remove the contaminants deposited in the Itosil, and fundamentally prevent the odor generated in the Itosil.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우수받이부로부터 이토실의 탈부착이 가능한 이토실 분리형 우수 및 오수받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tosil separated rainwater and sewage receiving device capable of detachable detachment of itosil from the rainwater collecting portion.
또한, 본 발명은 이토실에 퇴적된 오염물질의 혐기화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토실 분리형 우수 및 오수받이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sosil separated rainwater and sewage receiving device capable of fundamentally preventing the anaerobic decomposition of contaminants deposited on the isosil.
또한, 본 발명은 이토실에 퇴적된 오염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이토실 분리형 우수 및 오수받이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separate Itoseal rainwater and sewage receiving can easily remove the contaminants deposited on the Itoseal.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토실 분리형 우수 및 오수받이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부에 우수 유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하수관로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공이 위치하는 우수받이 하우징; 및 상기 우수받이 하우징 내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우수 유입구로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스크린을 구비한 이토실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Itosil separation type rainwater and sewage receiv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s and othe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ainwater inlet housing is formed in the rainwater inlet in the upper portion, the connection hole for connecting to the sewer pipe in the lower por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 And an Itosil housing having a screen installed to be detachable within the rainwater receiver housing and having a screen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rainwater inle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우수받이 하우징의 저면은 인버트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m receiver housing may be formed of an inverted structur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토실 하우징의 저면이 상기 우수받이 하우징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이토실 하우징의 측벽 일부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우수받이 하우징의 저면에 접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ortion of the sidewall of the Itosil housing may extend in a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bottom of the Itosil housing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Storm receiver housing so as to contact the bottom of the storm receiver housing.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토실 하우징 하단부에 위치하고, 소정의 크기를 갖는 다수의 천공을 포함하며, 상기 우수 유입구로 유입되는 우수는 통과시키고,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은 상기 스크린 상면에 퇴적시킬 수 있다.Located in the lower end of the Itosil housing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comprises a plurality of perforations having a predetermined size, 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rainwater inlet is passed,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rainwater can be deposi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cree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평판 구조, 'V'자형 구조 'U'자형 구조 및 실린더형 구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 또는 둘 이상이 조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een may have a shape of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flat plate structure, a 'V' shape structure, a 'U' shape structure, and a cylindrical structure,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토실 하우징의 상단부 일측면은 상기 이토실 하우징 내측을 향해 하향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 우수 유도면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itosil housing may include an excellent induction surface formed to have a downward slope toward the inside of the itosil housing.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토실 하우징의 외측벽들은 마주보는 상기 우수받이 하우징의 내측벽들에 접하는 형태를 갖되, 상기 이토실 하우징의 외측벽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측벽은 마주보는 상기 우수받이 하우징의 내측벽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walls of the Itosil housing has a form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rainwater receiving housing facing, at least one or more outer walls of the outer wall of the earthtooth housing from the inner wall of the rainwater receiving housing Can be spaced apar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토실 하우징의 중단부 일측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월류 유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overflow outlet formed on one side of the stop portion of the Itosil housing.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월류 유출부는 상기 이토실 하우징의 측벽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배출구; 상기 이토실 하우징의 외측벽 또는 상기 우수받이 하우징의 내측벽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 및 상기 배출구에 접하도록 상기 이토실 하우징의 외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와 상기 개폐부재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verflow outlet portion is formed through the side wall of the Itosil housing outlet; An opening / closing member hinged to an outer wall of the Itosil housing or an inner wall of the rain receiving housing to open and close the outlet; And a support member formed on an outer wall of the earth seal housing to contact the outlet and supporting the outlet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에 부착되고, 우수와 반응하여 팽창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팽창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expansion member attach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and expands in response to rainwate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에 부착되고, 부력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력체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may include at least one buoyant body having buoyancy.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토실 하우징 내측 표면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tosil housing.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토실 하우징 내측 표면에 형성된 이물질 제거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foreign matter removal film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tosil housing.
본 발명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이토실 하우징 상단 측벽들에 형성된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formed on the upper sidewalls of the itosil housing to face each other.
본 발명에 있어서 우수받이 하우징 내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이토실 하우징을 포함하는 이토실 분리형 우수 및 오수받이로서, 상기 이토실 하우징은, 상부가 개방된 실린더형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위치하고, 상기 몸체부의 내측을 향해 하향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 우수 유도면을 포함하는 개구부; 상기 몸체부의 저면에 위치하고, 소정의 크기를 갖는 다수의 천공을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는 통과시키고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은 자신의 상면에 퇴적시키는 스크린; 및 상기 우수 유도면과 상기 스크린 사이의 상기 몸체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스크린에 퇴적된 이물질에 의해 상기 스크린을 통과하지 못하고 월류되는 우수를 배출시키는 월류 유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tosil separated rainwater and sewage receiving device comprising an itosil housing that is installed to be detachable inside the rainwater receiving housing, wherein the itosil housing comprises: a cylindrical body portion with an open top; An opening including an excellent induction surface positioned at an upper end of the body and formed to have a downward slope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body; A screen positioned on the bottom of the body part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perforations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llowing rainwater flowing through the opening to pass and depositing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rainwater on its upper surface; And it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between the rainwater induction surface and the screen, it may include a monthly flow outlet for discharging rainwater that does not pass through the screen by the foreign matter deposited on the scree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우수받이 하우징의 저면은 인버트 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m receiver housing may have an inverted structur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평판 구조, 'V'자형 구조 'U'자형 구조 및 실린더형 구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 또는 둘 이상이 조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een may have a shape of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flat plate structure, a 'V' shape structure, a 'U' shape structure, and a cylindrical structure,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외측벽들은 마주보는 상기 우수받이 하우징의 내측벽들에 접하는 형태를 갖되, 상기 몸체부의 외측벽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측벽은 마주보는 상기 우수받이 하우징의 내측벽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wall of the body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rain receiving housing facing, at least one outer wall of the outer wall of the body portion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of the rain receiving housing. .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우수받이 하우징의 내측벽으로부터 이격된 상기 몸체부의 일측벽 상단 및 중단에 각각 상기 우수 유도면 및 상기 월류 유출부가 위치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ainwater inducing surface and the overflow outlet may be located at the upper end and the middle wall of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of the rain receiving housing.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저면이 상기 우수받이 하우징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측벽 일부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우수받이 하우징의 저면에 접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ortion of the side wall of the body portion may extend in a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m receiver housing so as to contact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m receiver housing.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월류 유출부는 상기 몸체부 측벽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1 배출구; 상기 제1 배출구의 상부 양측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제1 힌지고정부재; 양측이 상기 제1 힌지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힌지축; 상기 제1 배출구에 대응하는 면적을 가지고 상부가 상기 제1 힌지축에 연결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제1 개폐부재; 및 상기 제1 배출구의 외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1 개폐부재의 하부를 상기 제1배출구로부터 멀어지도록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verflow outlet portion is a first outlet formed to penetrate the body side wall; First hinge fixing members protruding from both upper sides of the first outlet; First hinge shafts both sides of which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hinge fixing member; A first opening / closing member in a plate shape having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outlet and having an upper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hinge shaft; And a first support member positioned outside the first outlet and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opening / closing member away from the first outle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개폐부재 및 상기 제1 지지부재의 하부접촉면에는 우수와 반응하여 팽창하는 팽창부재가 적어도 하나 이상 부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tact member and the lower contact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member may be attached to at least one expansion member that expands in response to rainwate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개폐부재는 내측 하부에 부착되고, 부력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부력체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member may be attached to the inner lower portion, and may include one or more buoyancy bodies having buoyancy.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월류 유출부는, 상기 몸체부 측벽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2 배출구; 상기 제2 배출구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 배출구와 마주보는 상기 우수받이 하우징의 내측벽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힌지축; 상기 제2 배출구에 대응하는 면적을 가지고 상기 제2 힌지축에 결합된 플레이트 형태의 제2 개폐부재; 및 상기 제2 배출구의 외측 위치되어 상기 제2 개폐부재의 하부를 상기 제2 배출구로부터 멀어지도록 지지하는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verflow outlet portion, the second outlet formed to penetrate the body side wall; A second hinge shaft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econd outlet and rotatably installed on an inner wall of the rain receiving housing facing the second outlet; A second opening / closing member in the form of a plate having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outlet and coupled to the second hinge shaft; And a second support member positioned outside the second outlet to support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opening / closing member away from the second outle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월류 유출부는 상기 제2 개폐부재의 상부에 부착되고 소정의 중량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verflow outlet por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weight body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member and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토실 하우징 내측 표면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tosil housing.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토실 하우징 내측 표면에 형성된 이물질 제거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foreign matter removal film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tosil housing.
본 발명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몸체부 상단 측벽들에 형성된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handle formed on the body side upper sidewalls to face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른 이토실 분리형 우수 및 오수받이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Itosyl segregation rainwater and sewage coll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먼저, 본 발명은 우수받이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한 이토실 하우징을 구비함으로써, 이토실에 퇴적된 오염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오염물질의 혐기화에 기인한 악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odor due to the anaerobic contaminants because it can easily remove the contaminants deposited on the itosil by having a detachable itosil housing from the rainwater receiver .
또한, 본 발명은 우수받이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한 이토실 하우징을 구비함으로써, 이토실에 퇴적된 오염물질을 손쉽게 제거함과 동시에 이토실 내부에 오염물질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오염물질의 혐기화에 기인한 악취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itosil housing that can be detached from the storm receiver, thereby easily removing contaminants deposited in the itosil and at the same time to prevent the remaining contaminants inside the itosil, due to the anaerobic contaminants It is effectiv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bad smell more effectively.
또한, 본 발명은 우수받이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한 이토실 하우징을 구비함으로써, 이토실에 퇴적된 오염물질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오염물질의 퇴적이 감소하고, 강우시 CSOs농도가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detachable itosil housing from the rainwater receiving, it is possible to quickly remove the contaminants deposited on the itosil, so that the deposition of contaminants is reduced, the effect of reducing the concentration of CSOs during rainfall have.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토실 분리형 우수 및 오수받이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토실 분리형 우수 및 오수받이의 우수받이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토실 분리형 우수 및 오수받이의 이토실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토실 분리형 우수 및 오수받이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토실 분리형 우수 및 오수받이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토실 분리형 우수 및 오수받이의 우수받이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토실 분리형 우수 및 오수받이의 이토실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토실 분리형 우수 및 오수받이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itosil separated rainwater and sewage coll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rainwater collecting housing of the itosil separated rainwater and sewage coll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itosil housing of the separate itosil separation rain and sewage coll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separation of the itosil separated rainwater and sewage coll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itosil separated rainwater and sewage coll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eparation of the itosil separation rainwater and sewage receiving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itosil housing of the separate itosil sewer rain and sew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itosil separated rainwater and sewage coll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s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may have various form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the objects or effects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r only such effec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limited thereby.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intend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other components in between, although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neighboring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히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refer to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feature that is implement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be present and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each step, an identification code (e.g., a, b, c, etc.) is u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the steps, and each step clearly indicates a specific order in context. Unless stated otherwise, they may occur out of the order noted.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otherwise defined. Generally, the terms defined in the dictionary used are to be interpreted to coincide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clear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우수받이로부터 이토실의 탈부착이 가능하고, 이토실에 퇴적된 오염물질의 혐기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토실에 퇴적된 오염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이토실 분리형 우수 및 오수받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attached or detached from the rain Itosil, can prevent the anaerobic contaminants deposited on the Itosil, Itosil can easily remove the contaminants deposited on the Itosil To provide a separate rainwater and sewage collector.
여기서, 우수받이는 우천시 우수를 하수구 또는 하천 등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로, 주거단지 등에 설치된 구조물을 지칭하며, 우수받이 내부에 구비된 이토실은 우수받이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 또는 오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조물을 지칭한다.Here, the storm receiver refers to a structure installed in roads, residential complexes, etc. to discharge rainwater from the rainwater to sewers or streams, and the Itosil provided inside the storm receiver receives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rainwater or sewage flowing into the storm receiver. Refers to a structure that performs a filtering rol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토실 분리형 우수 및 오수받이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th respect to the separate itosil separated rainwater and sewage coll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토실 분리형 우수 및 오수받이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토실 분리형 우수 및 오수받이의 우수받이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토실 분리형 우수 및 오수받이의 이토실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토실 분리형 우수 및 오수받이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itosil separated rainwater and sewage coll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view of the rainwater separation and rainwater collecting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itosil housing of the separate itosil separation rainwater and the su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itosil separated rainwater and sewage coll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토실 분리형 우수 및 오수받이는 우수받이 하우징(100) 및 이토실 하우징(200)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1 to 4, the itosil separated rainwater and sewage coll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먼저, 우수받이 하우징(100)은 내부가 중공되고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우수받이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부에는 우수 유입구(110)가 형성될 수 있다. 우수 유입구(110)에는 우천시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이다. First, the
우수받이 하우징(100)의 상부 즉, 우수 유입구(110)의 상부에는 그레이팅(1)(GRATING)이 설치될 수 있다. 그레이팅(1)은 옥외 배수구의 뚜껑 등에 쓰이는 격자 모양의 철물이다. 우수받이 하우징(100)에 우수가 유입될 때, 그레이팅(1)에 의해 낙엽 등의 오염물질이 1차적으로 필터된 후 우수받이 하우징(100)으로 유입될 수 있다.A
본 실시예에서 우수받이 하우징(100)의 단면적은 그레이팅(1)의 단면적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우수받이 하우징(100)에 형성된 중공의 내부에는 후술할 이토실 하우징(200)이 삽입될 수 있다. 이토실 하우징(200)은 우수받이 하우징(100)에 유입된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inside of the hollow formed in the
우수받이 하우징(100)의 하부는 하수관로(2)와 연결될 수 있다. 우수받이 하우징(100)의 하부에는 하수관로(2)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공(120)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portion of the
우수받이 하우징(100)에 연결된 하수관로(2)는 우수받이 하우징(100)으로 유입된 우수를 하천 등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우수받이 하우징(100)의 하부는 유입된 우수를 보다 효율적으로 하수관로(2)로 배출시키기 위해 저면이 연결공(120)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part of the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수받이 하우징(100)에 형성된 연결공(120)은 일방향으로 연장된 관로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공(120)은 상부가 개방된 'U'자형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공(120)의 개방된 상부는 우수받이 하우징(100)의 저면에 위치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the
상기 우수받이 하우징(100)의 저면은 연결공(120)이 연장된 일방향과 교차하는 다른 일방향으로 연결공(120)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우수받이 하우징(100)의 저면은 연결공(120)의 개방된 상부에 인접할수록 선폭이 감소하도록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bottom surface of the
따라서, 우수받이 하우징(100)에 유입된 우수는 우수받이 하우징(100)의 경사진 저면으로 인해 이물질이 퇴적되지 않고 하수관로(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Therefore, the rainwater introduced into the
본 실시예에서 우수받이 하우징(100)의 저면은 인버트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bottom surface of the
상기와 같이 형성된 우수받이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이토실 하우징(200)이 삽입될 수 있다. 이토실 하우징(200)은 우수받이 하우징(100)으로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스크린(230)을 통해 걸러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토실 하우징(200)은 우수받이 하우징(100)으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토실 하우징(200)에 이물질이 가득 차면, 이토실 하우징(200)을 우수받이 하우징(100)으로부터 빼내어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이토실 분리형 우수 및 오수받이는 이토실 하우징(200)에 형성된 월류 유출부(240)의 형태에 따라 2 개수의 실시예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Itosil separated rainwater and sewage receiv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dividing into two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먼저, 이토실 하우징(200)의 제1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이토실 하우징(200)은 개구부(210)와 몸체부(220)와 스크린(230) 및 월류 유출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S. 1 to 4, the first embodiment of the
이토실 하우징(200)의 전체적은 형상은 우수받이 하우징(100)의 내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우수받이 하우징(100)의 우수 유입구(110)에 유입된 우수는 필수적으로 이토실 하우징(200)을 통과할 수 있다.The overall shape of the
이토실 하우징(200)의 상단부에는 개구부(210)가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토실 하우징(200)의 개구부(210)는 이토실 하우징(200)의 중단부 및 하단부보다 큰 선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개구부(210)의 일측면은 이토실 하우징(200)의 내측을 향해 하향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토실 하우징(200) 개구부(210)의 경사진 일측면은 우수 유도면(211)으로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이토실 하우징(200)의 개구부(210) 최상단은 우수받이 하우징(100)의 우수 유입구(110)와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우수받이 하우징(100)으로 유입된 우수는 우수 유도면(211)을 지나 이토실 하우징(200)의 중단부 및 하단부로 유입될 수 있다.The uppermost end of the
본 실시예에서 우수 유도면(211)에는 다수의 돌기(미도시)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우수 유도면(211)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는 우수 유도면(211)을 흐르는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머리카락과 같이 얇고 긴 형태의 이물질은 그레이팅(1)에서 걸러질 수 없으며, 이와 같은 이물질은 우수 유도면(211)의 돌기기에 걸러질 수 있다.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a plurality of protrusions (not shown) may protrude from the
본 실시예에서 다수의 돌기는 우수 유도면(211) 외에도 이토실 하우징(200)의 내측 표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본 실시예에서 다수의 돌기는 단부가 그레이팅(1)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formed so that the end faces the grating (1).
본 실시예에서 우수 유도면(211)에는 이물질 제거 필름(미도시)이 부착될 수 있다. 이물질 제거 필름의 표면에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필름을 떼어내는 동작으로 손쉽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oreign matter removing film (not shown) may be attached to the
본 실시예에서 이토실 하우징(200)의 중단부 및 하단부는 상단부보다 작은 선폭을 가지기 때문에 중단부와 하단부는 우수받이 하우징(100)의 내측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즉, 우수받이 하우징(100)과 이토실 하우징(200)의 사이(즉, 우수 유도면(211)의 하부 방향)에 일정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stop part and the bottom part of the
예컨대, 이토실 하우징(200)의 외측벽들은 마주보는 우수받이 하우징(100)의 내측벽들에 접하는 형태를 갖게된다. 그러나 우수 유도면(211)이 형성된 이토실 하우징(200)의 외측벽은 마주보는 우수받이 하우징(100)의 내측벽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outer walls of the
해당 공간(즉, 이토실 하우징(200)의 외측벽과 마주보는 우수받이 하우징(100)의 내측벽의 이격된 공간)은 후술할 월류 유출부(240)로 유출되는 우수가 우수받이 하우징(100)의 저면으로 낙하하는 통로가 될 수 있다.The space (that is, the spac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of the
이토실 하우징(200)의 개구부(210) 하부에는 이토실 하우징(200)의 중단부 및 하단부에 해당하는 몸체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220)는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개구부(210)의 하부에서 우수받이 하우징(100)의 저면을 항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220)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개구부(210)보다 작은 선폭을 가질 수 있다. 몸체부(220)는 개구부(210)로 유입된 우수를 우수받이 하우징(100)의 저면으로 유입시키는 통로역할을 할 수 있다.A
그리고, 이토실 하우징(200)의 몸체부(220) 일측에는 후술할 월류 유출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And, the one side of the
이토실 하우징(200)의 하단부에 해당하는 몸체부(220)의 하부에는 스크린(230)이 설치될 수 있다. 스크린(230)은 몸체부(220)의 하부 면적과 동일한 면적을 가지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린(230)은 몸체부(220)의 저면으로부터 예정된 높이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참고로 스크린(230)의 하부에 해당하는 몸체부(220)의 저면은 우수받이 하우징(100)의 저면에 지지될 수 있다.The
예를 들어, 몸체부(220)의 저면이 상기 우수받이 하우징(100)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이토실 하우징(200)의 저면, 즉 몸체부(220)의 측벽 일부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우수받이 하우징(100)의 저면에 접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bottom surface of the
스크린(230)에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다수의 천공이 형성될 수 있다. 스크린(230)은 천공을 통해 개구부(210)로 유입된 우수를 통과시키고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은 걸러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크린(230)에 형성된 천공의 직경은 1mm ~ 5mm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다.The
본 실시예에서 스크린(230)에 형성된 천공의 형태는 원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hape of the perforation formed on the
본 실시예에서 스크린(230)에 형성된 천공의 둘레에 상부를 향하는 다수의 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protrusions facing upward may be formed around the perforation formed in the
본 실시예에서 스크린(230)에 평판 구조, 'V'자형 구조 'U'자형 구조 및 실린더형 구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한편, 이토실 하우징(200)의 중단부에 해당하는 몸체부(220) 일측면에는 월류 유출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월류 유출부(240)는 우수 유도면(211)과 상기 스크린(230) 사이에 해당하는 몸체부(220)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월류 유출부(240)는 스크린(230)에 이물질이 다량 퇴적되어 우수가 스크린(230)으로 통과되지 못하고 월류될 경우에, 우수를 하수관로(2)가 연결된 우수받이 하우징(100)의 저면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쉽게 말해서 강우로 인해 우수받이 하우징(100)에 우수와 함께 다량의 이물질이 유입되면 스크린(230)에 이물질이 다량의 이물질이 퇴적되고, 이물질로 인해 스크린(230)에 형성된 천공이 막힐 수 있다. 이때, 차오르는 우수는 월류 유출부(240)로 배출되어 하수관로(2)를 통해 하천 등으로 배출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a large amount of foreign matter is introduced into the
월류 유출부(240)는 제1 배출구(241), 제1 힌지고정부재(242), 제1 힌지축(243), 제1 개폐부재(244) 및 제1 지지부재(245)를 포함할 수 있다.The
제1 배출구(241)는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장방형의 형태로 형성되어, 우수 유도면(211)과 스크린(230) 사이에 해당하는 몸체부(220) 일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배출구(241)는 몸체부(220)의 길이 방향으로 2 개수가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제1 배출구(241)의 개수는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배출구(241)는 1 개수 또는 3 개수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The
본 실시예에서 제1 배출구(241)의 형태는 장방형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배출구(241)의 형태는 원형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hape of the
몸체부(220) 외측의 제1 배출구(241)의 상부에는 제1 힌지고정부재(24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힌지고정부재(242)는 제1 배출구(241)의 상부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A first
제1 힌지고정부재(242)에는 제1 힌지축(243)이 결합될 수 있다. 제1 힌지축(243)은 단면이 원형을 가지는 축으로 연장되어 양단이 제1 힌지고정부재(242) 각각에 끼워져 회전할 수 있다.The
제1 힌지축(243)에는 제1 개폐부재(244)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개폐부재(244)는 몸체부(200)의 외측벽에 형성되어 제1 힌지고정부재(242)와 제1 힌지축(243)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제1 개폐부재(244)는 제1 배출구(241)에 대응하는 면적을 가진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개폐부재(244)의 상부는 제1 힌지축(243)에 연결되고 제1 개폐부재(244)의 하부는 제1 배출구(241)의 하부를 향하도록 위치되어 제1 배출구(241)를 폐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개폐부재(244)는 제1 힌지축(243)의 회전에 따라 같이 회전하여 제1 배출구(241)의 하부를 개방시킬 수 있다.The first opening / closing
제1 배출구(241)의 둘레 외측벽에는 제1 지지부재(245)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245)는 제1 배출구(241)의 양측 및 하부에서 제1 개폐부재(244)를 향하도록 연장형성 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245)의 지지하면은 제1 배출구(241)의 하부로부터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예컨대, 이와 같이 형성된 제1 지지부재(245)로 인해 제1 개폐부재(244)가 제1 배출구(241)를 폐쇄시킬 때, 제1 개폐부재(244)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제1 배출구(241)에서 멀어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참고로, 제1 개폐부재(244)의 상부에서 하부까지의 길이는 지지하면에 밀착 가능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opening / closing
따라서, 이토실 하우징(200)의 내부에서 제1 배출구(241)로 우수가 배출되면 제1지지부재의 하향 경사진 지지하면에 차오르게 되고, 지지하면에 우수가 일정량 차오르면 제1 개폐부재(244)가 개방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rainwater is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한편, 제1 개폐부재(244)와 제1 지지부재(245)의 하부 접촉면에는 우수와 반응하여 부피가 팽창되는 팽창부재가 부착될 수 있다. 팽창부재는 이토실 하우징(200)의 내부에서 제1 배출구(241)로 우수가 배출되면 배출된 우수를 흡수하여 부피가 팽창될 수 있다. 팽창부재는 팽창되면서 제1 개폐부재(244)를 개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contact surface of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그리고, 제1 개폐부재(244)의 내측 하부에는 부력체(246)가 부착될 수 있다. 참고로 제1 개폐부재(244)의 내측 하부라 함은 제1 배출구(241)를 향하는 면을 말한다. 부력체(246)는 이토실 하우징(200)의 내부에서 제1 배출구(241)로 우수가 배출되면 부력이 발생되어 제1 개폐부재(244)를 개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다른 한편으로 이토실 하우징(200)의 상단 측벽에는 손잡이(26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잡이(260)는 이토실 하우징(200)의 상단에 서로 대향 하도록 2개수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260)의 형태를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the
본 실시예에서, 손잡이(260)는 관통 형성 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이토실 하우징(200)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따라서, 이토실 하우징(200)을 우수받이 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할 때 손잡이(260)를 활용하여 손쉽게 분리가 가능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 실시예의 이토실 분리형 우수 및 오수받이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우천 시 우수받이 하우징(100)의 우수 유입구(110)로 우수가 유입될 수 있다. 유입된 우수는 이토실 하우징(200)의 몸체부(220)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유입된 우수의 일부는 이토실 하우징(200)의 우수 유도면(211)을 흐르면서 돌기에 의해 이물질이 1차적으로 걸러질 수 있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separate Itosil rainwater and sewage receiver of the first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irst the rainwater may be introduced into the
이어서, 이토실 하우징(200)의 몸체부(220)로 유입된 우수는 이토실 하우징(200)의 몸체부(220) 하부에 설치된 다수의 천공을 가지는 스크린(230)에 의해 우수는 우수받이 하우징(100)의 저면으로 통과되고,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은 스크린(230)에 걸러질 수 있다.Subsequently, the rainwater introduced into the
그리고, 스크린(230)에 형성된 다수의 천공이 이물질에 의해 막히게 되면 우수가 스크린(230)을 통과하지 못하고 월류될 수 있다. 이때 월류되는 우수는 이토실 하우징(200)에 형성된 월류 유출부(240)로 배출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perforations formed in the
즉, 이토실 하우징(200)의 내부에서 제1 배출구(241)로 우수가 배출되면 제1지지부재의 하향 경사진 지지하면에 차오르게 되고, 지지하면에 우수가 일정량 차오르면 제1 개폐부재(244)가 회전하면서 제1 배출구(241)가 개방될 수 있다.That is, when rainwater is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그리고, 월류 유출부(240)로 배출된 우수는 우수받이 하우징(100)의 저면으로 낙하여 우수받이 하우징(100)의 저면에 연결된 하수관로(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The rainwater discharged to the
다음으로, 이토실 하우징(300)의 제2 실시예를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한다.Next, a second embodiment of the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토실 분리형 우수 및 오수받이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토실 분리형 우수 및 오수받이의 우수받이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토실 분리형 우수 및 오수받이의 이토실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토실 분리형 우수 및 오수받이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이다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eparation of the itosil separated rain and sew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llustrates the rainwater housing of the separation of rain and sewage coll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for describing the itosil separated rainwater and the sewage collection of the itosil hous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itosil separated rainwater 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ection for explaining the sewage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토실 분리형 우수 및 오수받이의 이토실 하우징(300)은 개구부(310)와 몸체부(320)와 스크린(330) 및 월류 유출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Itosil separated rainwater and
여기서 이토실 하우징(300)의 개구부(310)와 몸체부(320) 및 제1 실시예의 이토실 하우징(300)과 동일한 구성으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참고로, 우수받이 하우징(100)은 제1 및 제2 실시예 모두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Here, the overlapping description of the
제2 실시예에 따른 월류 유출부(340)는 제2 배출구(341), 제2 힌지축(343) 제2 개폐부재(344), 제2 지지부재(345) 및 중량체(347)를 포함할 수 있다.The overflow stream 34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제2 배출구(341)는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장방형의 형태로 우수 유도면(311)과 스크린(330) 사이에 해당하는 몸체부(320) 일측에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배출구(341)는 몸체부(320)의 길이 방향으로 2 개수가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제2 배출구(341)의 개수는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배출구(341)는 1개수로 구비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The
본 실시예에서 제2 배출구(341)의 형태는 장방형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배출구(341)의 형태는 원형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hape of the
제2 배출구(341)의 마주보는 전면에 해당하는 우수받이 하우징(100)의 내측벽에는 제2 힌지축(343)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2 힌지축(343)은 제2 배출구(341)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 힌지축(343)은 회전에 따라 제2 개폐부재(344)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본 실시예에서 제2 힌지축(343)은 제2 배출구(341)의 하부면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제2 힌지축(343)연장선상에 위치하는 우수받이 하우징(100)의 내부 외측벽에는 제2 힌지고정부재(342)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힌지고정부재(342)는 중심에 제2 힌지축(343)의 단면에 대응하는 연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힌지축(343)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2 힌지고정부재(342)로부터 회전될 수 있다.A second
그리고 제2 힌지고정부재(342)에는 연결홈으로부터 상부를 향하는 인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힌지축(343)은 인입홈으로 탈착이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제2 힌지축(343)에는 제2 개폐부재(344)가 연결될 수 있다. 제2 개폐부재(344)는 배출구에 대응하는 면적을 가진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개폐부재(344)의 내부에는 제2 힌지축(343)이 관통되기 위한 관통공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제2 개폐부재(344)의 하부는 제2 배출구(341)의 하부와 접촉되어 제2 배출구(341)를 폐쇄시킬 수 있다. 참고로, 제2 배출구(341)의 상부는 우수받이 하우징(100)의 내측벽에 접촉되어 제2 개폐부재(344)의 일정 각도 이상의 회전을 제한시킬 수 있다.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opening / closing
그리고, 제2 배출구(341)로 우수가 월류되면 제2 힌지축(343)이 회전하면서 제제 2개폐부재가 같이 회전하고, 이에 따라 제2 배출구(341)의 하부를 개방시킬 수 있다.Then, when the rainwater is overflowed to the
본 실시예에서 관통공은 제2 개폐부재(344)의 중심보다 상부를 향해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hrough hole may be formed on the outside toward the top of the center of the second opening / closing
제2 배출구(341)의 하부 외측에는 제2 지지부재(345)가 전면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345)는 제2 개폐부재(344)를 멀어지는 방향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부재(345)는 제2 개폐부재(344)의 하부가 제2 배출구(341)의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제2 걔폐부재(344)의 상부에는 중량체(347)가 부착될 수 있다. 중량체(347)는 소정의 무게를 가지고, 제2 개폐부재(344)의 상부를 아래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2 개폐부재(344)의 하부를 제2 배출구(341)를 향하도록 회전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한편, 제2 개폐부재(344)와 제2 지지부재(345)의 접촉면에는 수분의 흡수 여부에 따라 팽창되는 팽창부재가 부착될 수 있다. 팽창부재는 이토실 하우징(300)의 내부에서 제2 배출구(341)로 우수가 배출되면 배출된 우수를 흡수하여 팽창될 수 있다. 팽창부재는 팽창되면서 제1 개폐부재(244)를 개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act member of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2 실시예의 이토실 분리형 우수 및 오수받이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우천 시 우수받이 하우징(100)의 우수 유입구(110)로 우수가 유입될 수 있다. 유입된 우수는 이토실 하우징(300)의 몸체부(320)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유입된 우수의 일부는 이토실 하우징(300)의 우수 유도면(311)을 흐르면서 돌기에 의해 이물질이 1차적으로 걸러질 수 있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separate itosil separated rainwater and sewage receiver of the second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irst the rainwater may be introduced into the
이어서, 이토실 하우징(300)의 몸체부(320)로 유입된 우수는 이토실 하우징(300)의 몸체부(320) 하부에 설치된 다수의 천공을 가지는 스크린(330)에 의해 우수는 우수받이 하우징(100)의 저면으로 통과되고,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은 스크린(330)에 걸러질 수 있다.Subsequently, the rainwater introduced into the
그리고, 스크린(330)에 형성된 다수의 천공이 이물질에 의해 막히게 되면 우수가 스크린(330)을 통과하지 못하고 월류될 수 있다. 이때 월류되는 우수는 이토실 하우징(300)에 형성된 월류 유출부(340)로 배출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perforations formed in the
즉, 이토실 하우징(300)의 내부에서 제2 배출구(341)로 우수가 배출되면 제2지지부재와 제2 개폐부재(344)의 하부에 우수가 차오르게 되고, 해당 영역에 우수가 일정량 차오르면 제2 개폐부재(344)가 회전하면서 제2 배출구(341)가 개방될 수 있다.That is, when rainwater is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그리고, 월류 유출부(340)로 배출된 우수는 우수받이 하우징(100)의 저면으로 낙하여 우수받이 하우징(100)의 저면에 연결된 하수관로(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ainwater discharged to the overflow outlet 340 may fall into the bottom of the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merely illustrate som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since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it is obvious that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Modifications and specific embodiments that can be easily infer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그레이팅
2: 하수관로
100: 우수받이 하우징
110: 우수 유입구
200: 이토실 하우징
210: 개구부
211: 우수 유도면
220: 몸체부
230: 스크린
240: 월류 유출부
241: 제1 배출구
242: 제1 힌지고정부재
243: 제1 힌지축
244: 제1 개폐부재
245: 제2 지지부재1: grating
2: sewer pipe
100: storm receiver housing
110: storm inlet
200: Itosil housing
210: opening
211: excellent induction plane
220: body portion
230: screen
240: overflow outflow
241: first outlet
242: first hinge fixing member
243: first hinge axis
244: first opening and closing member
245: second support member
Claims (28)
상기 우수받이 하우징 내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우수 유입구로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스크린을 구비한 이토실 하우징; 및
상기 이토실 하우징의 중단부 일측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월류 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월류 유출부는
상기 이토실 하우징의 측벽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배출구;
상기 이토실 하우징의 외측벽 또는 상기 우수받이 하우징의 내측벽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 및
상기 개폐부재에 부착되고, 우수와 반응하여 팽창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팽창부재를 포함하는 이토실 분리형 우수 및 오수받이.
Rainfall receiving housing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the rainwater receiving housing is located in the lower connection hole for connecting to the sewer pipe; And
An Itosil housing having a screen installed to be detachable in the rain receiving housing and having a screen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rainwater flowing into the rainwater inlet; And
At least one overflow outlet formed on one side of the stop portion of the Itosil housing,
The overflow outlet portion
An outlet formed to penetrate the sidewall of the itosil housing;
An opening / closing member hinged to an outer wall of the Itosil housing or an inner wall of the rain receiving housing to open and close the outlet; And
Itosil separation type rainwater and sewage receiving is attach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and comprises at least one expansion member that expands in response to the rainwater.
상기 우수받이 하우징의 저면은 인버트 구조로 형성되는 이토실 분리형 우수 및 오수받이.
The method of claim 1,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m receiver housing is formed in the inverted structure of the separate itosil rainwater and sewage receiver.
상기 이토실 하우징의 저면이 상기 우수받이 하우징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이토실 하우징의 측벽 일부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우수받이 하우징의 저면에 접하는 이토실 분리형 우수 및 오수받이.
The method of claim 1,
A part of the side wall of the itosil housing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itosil housing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storm receiver housing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m receiver housing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m receiver housing.
상기 이토실 하우징 하단부에 위치하고, 소정의 크기를 갖는 다수의 천공을 포함하며, 상기 우수 유입구로 유입되는 우수는 통과시키고,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은 상기 스크린 상면에 퇴적시키는 이토실 분리형 우수 및 오수받이.
The method of claim 1,
Located in the bottom of the Itosil housing, and comprises a plurality of perforations having a predetermined size, 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rainwater inlet is passed, and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rainwater is separated from the Itosil rainwater and sewage collect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creen .
상기 스크린은 평판 구조, 'V'자형 구조 'U'자형 구조 및 실린더형 구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 또는 둘 이상이 조합된 형상을 갖는 이토실 분리형 우수 및 오수받이.
The method of claim 1,
The screen is Itosil separation rainwater and sewage having a shape or any combination of two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flat plate structure, a 'V' shaped structure 'U' shaped structure and a cylindrical structure.
상기 이토실 하우징의 상단부 일측면은 상기 이토실 하우징 내측을 향해 하향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 우수 유도면을 포함하는 이토실 분리형 우수 및 오수받이.
The method of claim 1,
One side of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Itoseal housing is separated from the Itosill type rainwater and sewage receiving the rainwater induction surface formed to have a downward slope toward the inside of the Itosill housing.
상기 이토실 하우징의 외측벽들은 마주보는 상기 우수받이 하우징의 내측벽들에 접하는 형태를 갖되, 상기 이토실 하우징의 외측벽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측벽은 마주보는 상기 우수받이 하우징의 내측벽으로부터 이격되는 이토실 분리형 우수 및 오수받이.
The method of claim 1,
The outer walls of the Itosil housing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rainwater receiving housing facing, at least one outer wall of the outer wall of the soil chamber housing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of the rainwater receiving housing Detachable rainwater and sewer.
상기 월류 유출부는
상기 배출구에 접하도록 상기 이토실 하우징의 외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와 상기 개폐부재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이토실 분리형 우수 및 오수받이.
The method of claim 1,
The overflow outlet portion
It is formed in the outer wall of the Ito-sil housing in contact with the discharge port, itosil-separated rainwater and sewage receiv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between the outlet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상기 개폐부재에 부착되고, 부력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력체를 포함하는 이토실 분리형 우수 및 오수받이.
The method of claim 9,
Itosil separated rainwater and sewage receiving attach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and containing at least one buoyancy body having buoyancy.
상기 이토실 하우징 내측 표면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를 더 포함하는 이토실 분리형 우수 및 오수받이.
The method of claim 1,
Itosil separation rainwater and sewage receiving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tosil housing.
상기 이토실 하우징 내측 표면에 형성된 이물질 제거 필름을 더 포함하는 이토실 분리형 우수 및 오수받이.
The method of claim 1,
Itosyl separation rain and sewage further comprising a foreign matter removal film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tosil housing.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이토실 하우징 상단 측벽들에 형성된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이토실 분리형 우수 및 오수받이.
The method of claim 1,
An isolated tosoil drain and sewage receiver further comprising a handle formed on the upper sidewalls of the tosoil housing facing each other.
상기 이토실 하우징은,
상부가 개방된 실린더형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위치하고, 상기 몸체부의 내측을 향해 하향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 우수 유도면을 포함하는 개구부;
상기 몸체부의 저면에 위치하고, 소정의 크기를 갖는 다수의 천공을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는 통과시키고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은 자신의 상면에 퇴적시키는 스크린; 및
상기 우수 유도면과 상기 스크린 사이의 상기 몸체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스크린에 퇴적된 이물질에 의해 상기 스크린을 통과하지 못하고 월류되는 우수를 배출시키는 월류 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월류 유출부는
상기 몸체부 측벽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1 배출구;
상기 제1 배출구의 상부 양측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제1 힌지고정부재;
양측이 상기 제1 힌지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힌지축;
상기 제1 배출구에 대응하는 면적을 가지고 상부가 상기 제1 힌지축에 연결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제1 개폐부재;
상기 제1 배출구의 외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1 개폐부재의 하부를 상기 제1배출구로부터 멀어지도록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제1 개폐부재 및 상기 제1 지지부재의 하부접촉면에는 우수와 반응하여 팽창하는 복수의 팽창부재를 포함하는
이토실 분리형 우수 및 오수받이.
Itosil separated rainwater and sewage receiver including an itosil housing that is installed to be detachable inside the storm receiver housing,
The Itosil housing,
An upper portion of the cylindrical body portion;
An opening including an excellent induction surface positioned at an upper end of the body and formed to have a downward slope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body;
A screen positioned on the bottom of the body part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perforations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llowing rainwater flowing through the opening to pass and depositing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rainwater on its upper surface; And
I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between the rainwater inducing surface and the screen, and includes a overflow flow outlet for discharging rainwater that does not pass through the screen by the foreign matter deposited on the screen,
The overflow outlet portion
A first outlet formed through the body sidewall;
First hinge fixing members protruding from both upper sides of the first outlet;
First hinge shafts both sides of which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hinge fixing member;
A first opening / closing member in a plate shape having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outlet and having an upper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hinge shaft;
A first support member positioned outside the first outlet and supporting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opening / closing member away from the first outlet; And
A lower contact surface of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member and the first support member includes a plurality of expansion members to expand in response to rainwater
Itosyl segregation rainwater and sewage.
상기 우수받이 하우징의 저면은 인버트 구조를 갖는 이토실 분리형 우수 및 오수받이.
The method of claim 15,
The bottom of the storm receiver housing is an itosil separated rainwater and sewage receiver having an inverted structure.
상기 스크린은 평판 구조, 'V'자형 구조 'U'자형 구조 및 실린더형 구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 또는 둘 이상이 조합된 형상을 갖는 이토실 분리형 우수 및 오수받이.
The method of claim 15,
The screen is Itosil separation rainwater and sewage having a shape or any combination of two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flat plate structure, a 'V' shaped structure 'U' shaped structure and a cylindrical structure.
상기 몸체부의 외측벽들은 마주보는 상기 우수받이 하우징의 내측벽들에 접하는 형태를 갖되, 상기 몸체부의 외측벽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측벽은 마주보는 상기 우수받이 하우징의 내측벽으로부터 이격되는 이토실 분리형 우수 및 오수받이.
The method of claim 15,
The outer walls of the body portion are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s of the rainwater receiving housing facing each other, at least one of the outer walls of the outer wall of the body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inner wall of the rainwater receiving housing facing the soil separated sewage and sewage Receiving.
상기 우수받이 하우징의 내측벽으로부터 이격된 상기 몸체부의 일측벽 상단 및 중단에 각각 상기 우수 유도면 및 상기 월류 유출부가 위치하는 이토실 분리형 우수 및 오수받이.
The method of claim 18,
Itosil separation type rainwater and sewage receiving each of the rainwater induction surface and the overflow outlet portion is located on the upper end and the middle of the one side wall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of the rainwater receiving housing.
상기 몸체부의 저면이 상기 우수받이 하우징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측벽 일부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우수받이 하우징의 저면에 접하는 이토실 분리형 우수 및 오수받이.
The method of claim 15,
Part of the side wall of the body portion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m receiver housing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m receiver housing rainwater and sewage receiving.
상기 제1 개폐부재는 내측 하부에 부착되고, 부력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부력체를 포함하는 이토실 분리형 우수 및 오수받이.
The method of claim 15,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attached to the inner bottom, Itosil separation type rainwater and sewage containing one or more buoyancy body having a buoyancy.
상기 이토실 하우징은,
상부가 개방된 실린더형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위치하고, 상기 몸체부의 내측을 향해 하향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 우수 유도면을 포함하는 개구부;
상기 몸체부의 저면에 위치하고, 소정의 크기를 갖는 다수의 천공을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는 통과시키고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은 자신의 상면에 퇴적시키는 스크린; 및
상기 우수 유도면과 상기 스크린 사이의 상기 몸체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스크린에 퇴적된 이물질에 의해 상기 스크린을 통과하지 못하고 월류되는 우수를 배출시키는 월류 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월류 유출부는,
상기 몸체부 측벽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2 배출구;
상기 제2 배출구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 배출구와 마주보는 상기 우수받이 하우징의 내측벽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힌지축;
상기 제2 배출구에 대응하는 면적을 가지고 상기 제2 힌지축에 결합된 플레이트 형태의 제2 개폐부재; 및
상기 제2 배출구의 외측 위치되어 상기 제2 개폐부재의 하부를 상기 제2 배출구로부터 멀어지도록 지지하는 제2 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이토실 분리형 우수 및 오수받이.
Itosil separated rainwater and sewage receiver including an itosil housing that is installed to be detachable inside the storm receiver housing,
The Itosil housing,
An upper portion of the cylindrical body portion;
An opening including an excellent induction surface positioned at an upper end of the body and formed to have a downward slope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body;
A screen positioned on the bottom of the body part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perforations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llowing rainwater flowing through the opening to pass and depositing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rainwater on its upper surface; And
I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between the rainwater inducing surface and the screen, and includes a overflow flow outlet for discharging rainwater that does not pass through the screen by the foreign matter deposited on the screen,
The overflow outlet portion,
A second outlet formed through the body sidewall;
A second hinge shaft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econd outlet and rotatably installed on an inner wall of the rain receiving housing facing the second outlet;
A second opening / closing member in the form of a plate having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outlet and coupled to the second hinge shaft; And
A second support member positioned outside the second outlet to support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opening / closing member away from the second outlet;
Itosyl separable rainwater and sewage containing.
상기 월류 유출부는 상기 제2 개폐부재의 상부에 부착되고 소정의 중량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량체를 포함하는 이토실 분리형 우수 및 오수받이.
The method of claim 24,
The overflow outlet is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otosil separated rain and sewage containing at least one weight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상기 이토실 하우징 내측 표면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를 더 포함하는 이토실 분리형 우수 및 오수받이.
The method of claim 15,
Itosil separation rainwater and sewage receiving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tosil housing.
상기 이토실 하우징 내측 표면에 형성된 이물질 제거 필름을 더 포함하는 이토실 분리형 우수 및 오수받이.
The method of claim 15,
Itosyl separation rain and sewage further comprising a foreign matter removal film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tosil housing.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몸체부 상단 측벽들에 형성된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이토실 분리형 우수 및 오수받이.
The method of claim 15,
Itosil separation rain and sewage further comprising a handle formed on the upper sidewalls of the body portion to face each oth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7657A KR102035118B1 (en) | 2018-11-26 | 2018-11-26 | Rainwater drainage with detachable sediment trap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7657A KR102035118B1 (en) | 2018-11-26 | 2018-11-26 | Rainwater drainage with detachable sediment trap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35118B1 true KR102035118B1 (en) | 2019-10-23 |
Family
ID=68460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47657A Active KR102035118B1 (en) | 2018-11-26 | 2018-11-26 | Rainwater drainage with detachable sediment trap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35118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44141A (en) * | 2004-08-06 | 2006-02-16 | Infuratetsuku Kk | Oncrete product for running wat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ncrete product for running water |
KR100659175B1 (en) * | 2006-09-14 | 2006-12-20 |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 Manhole to prevent foreign material inflow |
KR100961152B1 (en) * | 2009-11-23 | 2010-06-08 | 덕산건설 주식회사 | Anti smell rain reservoir |
KR101345894B1 (en) * | 2013-06-26 | 2013-12-30 | 대용건설 주식회사 | Layered films for protecting euroform plywood and removing suspended solid |
US20160289947A1 (en) * | 2015-03-30 | 2016-10-06 | Faisal Abdul Aziz Al-Assfour | Ground water collection system |
-
2018
- 2018-11-26 KR KR1020180147657A patent/KR10203511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44141A (en) * | 2004-08-06 | 2006-02-16 | Infuratetsuku Kk | Oncrete product for running wat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ncrete product for running water |
KR100659175B1 (en) * | 2006-09-14 | 2006-12-20 |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 Manhole to prevent foreign material inflow |
KR100961152B1 (en) * | 2009-11-23 | 2010-06-08 | 덕산건설 주식회사 | Anti smell rain reservoir |
KR101345894B1 (en) * | 2013-06-26 | 2013-12-30 | 대용건설 주식회사 | Layered films for protecting euroform plywood and removing suspended solid |
US20160289947A1 (en) * | 2015-03-30 | 2016-10-06 | Faisal Abdul Aziz Al-Assfour | Ground water collection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297266B2 (en) | Apparatus for separating particulates from a fluid stream | |
KR101956452B1 (en) | Collecting well for back flow and bad smell protection and nonpoint pollution fitering | |
KR101707141B1 (en) | Garbage separation prevention type manhole | |
KR20100006204U (en) | The diminution apparatus of nonpoint pollution source | |
KR20160071050A (en) | The initial rain processing unit of filtering type mounted on Rain Gutters for nonpoint pollution sources removal and odor removal and flood prevention | |
KR101023537B1 (en) | Rainwater Quality Improvement Treatment System | |
KR20150095472A (en) | Stormwater inlet integrated with a swinging filter cartridge | |
KR20150024802A (en) | Rain receptacle | |
CN108298707A (en) | A kind of rain processing system for sponge overhead road of city road surface | |
KR101752397B1 (en) | Non-motorized device for the early rain exclusion | |
KR101626502B1 (en) | Drain System for road having plug-prevent function | |
KR200416118Y1 (en) | Ooh, sewage. | |
KR102265280B1 (en) | A drain for bridge | |
KR102035118B1 (en) | Rainwater drainage with detachable sediment trap | |
KR101770105B1 (en) | Removable screen of drain trench for easily removing trash thereof | |
KR101627561B1 (en) | Multi-function gully hole cover) | |
KR20160017801A (en) | Rain receptacle filter to prevent stench | |
KR200436505Y1 (en) | Bridge catch | |
KR100614766B1 (en) | Road surface drainage system with initial excellent treatment | |
KR100633532B1 (en) | Rainwater and Sewage Discharge Device | |
KR101356964B1 (en) | Catchment well for road | |
AU2005316557B2 (en) | Apparatus for separating particulates from a fluid stream | |
KR200208312Y1 (en) | Road rainwater catcher with filtration tank | |
KR101054283B1 (en) | Rain gutter | |
KR200367717Y1 (en) | Drain apparatus for removing sullages from sewage and preventing upstream outflowing of od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12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2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4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8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9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0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10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