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4691B1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34691B1 KR102034691B1 KR1020180111598A KR20180111598A KR102034691B1 KR 102034691 B1 KR102034691 B1 KR 102034691B1 KR 1020180111598 A KR1020180111598 A KR 1020180111598A KR 20180111598 A KR20180111598 A KR 20180111598A KR 102034691 B1 KR102034691 B1 KR 1020346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sulating layer
- layer
- lower substrate
- holes
- metal lay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 H01L51/5237—
-
- H01L51/0097—
-
- H01L51/50—
-
- H01L51/5256—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10K50/8445—Encapsulations multilayered coatings having a repetitive structure, e.g. having multiple organic-inorganic bilayer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 H01L2251/5338—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하부기판과, 하부기판 상에 위치하며 복수개의 관통개구들을 갖는 금속층과, 금속층 상에 위치하며 복수개의 관통개구들 각각 내에 상기 하부기판을 노출시키는 복수개의 관통홀들을 갖는 절연층과, 하부기판에 대응하는 상부기판, 및 절연층의 복수개의 관통홀들 내부를 채우며 하부기판과 상부기판을 접합시키는 밀봉부재를 구비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ower substrate, a metal layer disposed on the lower substrate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openings,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positioned on the metal layer and exposing the lower substrate in each of the plurality of through opening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having an insulating layer, an upper substrate corresponding to a lower substrate, and a sealing member filling the inside of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of the insulating layer and bonding the lower substrate and the upper substrate.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충격 등에 의한 손상을 줄일 수 있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hat can reduce damage caused by impact.
일반적으로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부기판에 유기발광소자들을 형성하고, 유기발광소자들이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부기판과 상부기판을 접합하여 제조한다. 이러한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휴대폰 등과 같은 소형 제품의 디스플레이부로 사용되기도 하고, 텔레비전 등과 같은 대형 제품의 디스플레이부로 사용되기도 한다.In general,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s manufactured by form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n a lower substrate and bonding the lower substrate and the upper substrate such that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re positioned therein. Such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may be used as a display unit of a small product such as a mobile phone, or may be used as a display unit of a large product such as a television.
이러한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하부기판과 상부기판을 접합할 시 밀봉부재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밀봉부재가 위치하는 영역은 디스플레이가 이루어지지 않는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가 된다.In the cas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 sealing member is used when the lower substrate and the upper substrate are bonded to each other, and the area in which the sealing member is positioned becomes a dead space where no display is performed.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하부기판과 상부기판을 접합할 시 사용하는 밀봉부재가 차지하는 면적, 즉 데드 스페이스가 넓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s a problem in that the area occupied by the sealing member used when bonding the lower substrate and the upper substrate, that is, the dead space is larg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충격 등에 의한 손상을 줄일 수 있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various problems including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hat can reduce damage caused by impacts. However, these problems are exemplary,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하부기판; 상기 하부기판 상에 위치하며 복수개의 관통개구들을 갖는 금속층; 상기 금속층 상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개의 관통개구들 각각 내에 상기 하부기판을 노출시키는 복수개의 관통홀들을 갖는, 절연층;상기 하부기판에 대응하는 상부기판; 및 상기 절연층의 복수개의 관통홀들 내부를 채우며, 상기 하부기판과 상기 상부기판을 접합시키는 밀봉부재;를 구비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the lower substrate; A metal layer on the lower substrate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openings; An insulating layer disposed on the metal layer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exposing the lower substrate in each of the plurality of through openings; an upper substrate corresponding to the lower substrate; And a sealing member filling inside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of the insulating layer and bonding the lower substrate and the upper substrate to each other.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하부기판; 상기 하부기판 상에 위치하는, 절연층; 상기 절연층 내에 위치하며, 복수개의 관통개구들을 갖는, 금속층; 상기 하부기판에 대응하는 상부기판; 및 상기 하부기판과 상기 상부기판을 접합시키는 밀봉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절연층은 상기 복수개의 관통개구들 각각 내에 상기 하부기판을 노출시키는 복수개의 관통홀들을 갖고,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절연층의 복수개의 관통홀들 내부를 채우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the lower substrate; An insulating layer on the lower substrate; A metal layer located in the insulating layer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openings; An upper substrate corresponding to the lower substrate; And a sealing member for bonding the lower substrate and the upper substrate, wherein the insulating layer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 exposing the lower substrate in each of the plurality of through openings, and the sealing member has the insulating laye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may be provided to fill an interior of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상기 절연층은 상기 금속층 하부에 위치한 층과 상기 금속층 상부에 위치한 층을 포함할 수 있다. The insulating layer may include a layer located below the metal layer and a layer located above the metal layer.
상기 금속층의 복수개의 관통개구들 각각의 면적은, 대응하는 상기 절연층의 복수개의 관통홀들의 면적보다 넓을 수 있다. An area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hrough openings of the metal layer may be larger than an area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of the corresponding insulating layer.
상기 금속층의 복수개의 관통개구들 각각의 내면은 상기 절연층에 덮여, 상기 밀봉부재와 컨택하지 않을 수 있다. An inner surfa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hrough openings of the metal layer may be covered by the insulating layer and may not contact the sealing member.
상기 금속층의 복수개의 관통개구들 각각 내에서 상기 절연층의 복수개의 관통홀들 사이의 거리는 2.5㎛ 이상일 수 있다.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of the insulating layer in each of the plurality of through openings of the metal layer may be 2.5 μm or more.
상기 금속층의 복수개의 관통개구들 사이의 거리는 20.5㎛ 이상일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through openings of the metal layer may be 20.5 μm or more.
상기 하부기판의 디스플레이영역은 게이트전극을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금속층은 박막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과 동일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area of the lower substrate may include a thin film transistor including a gate electrode, and the metal layer may include the same material as the gate electrode of the thin film transistor.
상기 금속층은 상기 게이트전극과 동일층 상에 위치할 수 있다. The metal layer may be positioned on the same layer as the gate electrode.
상기 하부기판에 평행한 평면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의 복수개의 관통홀들의 면적은 상기 밀봉부재의 면적의 9.8% 이상 16.5% 이하일 수 있다. In a plane parallel to the lower substrate, an area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of the insulating layer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9.8% and less than or equal to 16.5% of the area of the sealing member.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은 버퍼층, 게이트절연막, 층간절연막 및 보호막을 포함하며, 상기 절연층은 상기 버퍼층, 게이트절연막, 층간절연막 및 보호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연장부일 수 있다. The display area may include a buffer layer, a gate insulating layer, an interlayer insulating layer, and a passivation layer, and the insulating layer may be an extension of at least one of the buffer layer, the gate insulating layer,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and the passivation layer.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격 등에 의한 손상을 줄일 수 있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hat can reduce damage caused by impact. Of cour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ffec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절연층의 관통홀들의 면적에 따른 밀봉부재의 박리강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절연층의 관통홀들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금속층의 관통개구들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금속층의 관통개구들 사이의 거리에 따른 정전기 방전 내구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ortion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graph illustrating peeling strength of a sealing member according to areas of through holes of an insulating layer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f FIG. 1.
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rough holes of an insulating layer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4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rough openings of a metal layer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graph showing electrostatic discharge durability according to a distance between through openings of a metal layer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f FIG. 4.
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art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inform you completely. In addition,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in size in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or exampl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x-axis, y-axis and z-axis are not limited to three axes on the Cartesian coordinate system, but may be interpreted in a broad sense including the same. For example, the x-axis, y-axis, and z-axis may be orthogonal to each other, but may refer to different directions that are not orthogonal to each other.
한편, 층, 막, 영역, 판 등의 각종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구성요소 "바로 상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된 경우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when various components such as layers, films, regions, plates, etc. are "on" other components, this is not only when other components are "directly on" but also when other components are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부기판(110), 상부기판(300), 절연층(IL) 및 밀봉부재(400)를 구비한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ortion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하부기판(110)은 디스플레이영역(DA)과 이 디스플레이영역(DA)을 감싸는 주변영역(PA)을 갖는다. 하부기판(110)은 글라스재, 금속재 또는 플라스틱재 등과 같은 다양한 재료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하부기판(110)의 디스플레이영역(DA)에는 복수개의 박막트랜지스터(TFT)들이 배치되는데, 복수개의 박막트랜지스터(TFT)들 외에 복수개의 박막트랜지스터(TFT)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유기발광소자(200)들도 배치될 수 있다. 유기발광소자(200)들이 복수개의 박막트랜지스터(TFT)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는 것은, 복수개의 화소전극(210)들이 복수개의 박막트랜지스터(TFT)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이러한 박막트랜지스터(TFT)는 비정질실리콘, 다결정실리콘 또는 유기반도체물질을 포함하는 반도체층(130), 게이트전극(150) 및 소스/드레인전극(170)을 포함한다. 하부기판(110) 상에는 하부기판(110)의 면을 평탄화하기 위해 또는 반도체층(130)으로 불순물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리콘옥사이드 또는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등으로 형성된 버퍼층(120)이 배치되고, 이 버퍼층(120) 상에 반도체층(130)이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The thin film transistor TFT includes a
반도체층(130)의 상부에는 게이트전극(150)이 배치되는데, 이 게이트전극(150)에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소스/드레인전극(170)이 전기적으로 소통된다. 게이트전극(150)은 인접층과의 밀착성, 적층되는 층의 표면 평탄성 그리고 가공성 등을 고려하여, 예컨대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은(Ag), 마그네슘(Mg),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롬(Cr), 리튬(Li), 칼슘(Ca), 몰리브덴(Mo), 티타늄(Ti), 텅스텐(W), 구리(Cu) 중 하나 이상의 물질로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반도체층(130)과 게이트전극(150)과의 절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실리콘옥사이드 및/또는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등으로 형성되는 게이트절연막(140)이 반도체층(130)과 게이트전극(15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The
게이트전극(150)의 상부에는 층간절연막(160)이 배치될 수 있는데, 이는 실리콘옥사이드 또는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등의 물질로 단층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An
층간절연막(160)의 상부에는 소스/드레인전극(170)이 배치된다. 소스/드레인전극(170)은 층간절연막(160)과 게이트절연막(140)에 형성되는 컨택홀을 통하여 반도체층(130)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소스/드레인전극(170)은 도전성 등을 고려하여 예컨대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은(Ag), 마그네슘(Mg),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롬(Cr), 리튬(Li), 칼슘(Ca), 몰리브덴(Mo), 티타늄(Ti), 텅스텐(W), 구리(Cu) 중 하나 이상의 물질로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ource /
이러한 구조의 박막트랜지스터(TFT) 등의 보호를 위해 박막트랜지스터(TFT)를 덮는 보호막인 제1절연막(18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절연막(181)은 예컨대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또는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등과 같은 무기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는 제1절연막(181)이 단층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다층구조를 가질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The first
제1절연막(181) 상에는 필요에 따라 제2절연막(182)이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된 것과 같이 박막트랜지스터(TFT) 상부에 유기발광소자(200)가 배치될 경우, 박막트랜지스터(TFT)를 덮는 제1절연막(181)의 상면을 대체로 평탄화하기 위한 평탄화막으로서 제2절연막(182)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절연막(182)은 예컨대 아크릴계 유기물 또는 BCB(Benzocyclobuten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제2절연막(182) 이 단층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다층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The second
하부기판(110)의 디스플레이영역(DA) 내에 있어서, 제2절연막(182) 상에는, 화소전극(210), 대향전극(230) 및 그 사이에 개재되며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220)을 갖는 유기발광소자(200)가 배치된다.In the display area DA of the
제1절연막(181)과 제2절연막(182)에는 박막트랜지스터(TFT)의 소스/드레인전극(1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존재하며, 이 개구부를 통해 소스/드레인전극(170) 중 어느 하나와 컨택하여 박막트랜지스터(TFT)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화소전극(210)이 제2절연막(182) 상에 배치된다. 화소전극(210)은 (반)투명 전극 또는 반사형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투명 전극으로 형성될 때에는 예컨대 ITO, IZO, ZnO, In2O3, IGO 또는 AZO로 형성될 수 있다. 반사형 전극으로 형성될 때에는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및 이들의 화합물 등으로 형성된 반사막과, ITO, IZO, ZnO, In2O3, IGO 또는 AZO로 형성된 층을 가질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구조 또한 단층 또는 다층이 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An opening exposing at least one of the source /
제2절연막(182) 상부에는 제3절연막(183)이 배치될 수 있다. 이 제3절연막(183)은 화소정의막으로서, 각 부화소들에 대응하는 개구, 즉 적어도 화소전극(210)의 중앙부가 노출되도록 하는 개구를 가짐으로써 화소를 정의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우, 제3절연막(183)은 화소전극(210)의 단부와 화소전극(210) 상부의 대향전극(230)과의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킴으로써 화소전극(210)의 단부에서 아크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제3절연막은 예컨대 폴리이미드 등과 같은 유기물로 형성될 수 있다.The third
유기발광소자(200)의 중간층(220)은 저분자 또는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저분자 물질을 포함할 경우 홀 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 홀 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 발광층(EML: Emission Layer),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 전자 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 등이 단일 혹은 복합의 구조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 가능한 유기 재료도 구리 프탈로시아닌(CuPc: copper phthalocyanine), N,N-디(나프탈렌-1-일)-N,N'-디페닐-벤지딘 (N,N'-Di(naphthalene-1-yl)-N,N'-diphenyl-benzidine: NPB) , 트리스-8-하이드록시퀴놀린 알루미늄(tris-8-hydroxyquinoline aluminum)(Alq3) 등을 비롯해 다양한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층들은 진공증착 등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중간층(220)이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경우에는 대개 홀 수송층(HTL) 및 발광층(EML)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홀 수송층으로 PEDOT를 사용하고, 발광층으로 PPV(Poly-Phenylenevinylene)계 및 폴리플루오렌(Polyfluorene)계 등 고분자 물질을 사용하며, 이를 스크린 인쇄나 잉크젯 인쇄방법, 레이저열전사방법(LITI; Laser induced thermal imaging)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When the
물론 중간층(220)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Of course, the
대향전극(230)은 디스플레이영역(DA) 상부에 배치되는데,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영역(DA)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대향전극(230)은 복수개의 유기발광소자(200)들에 있어서 일체(一體)로 형성되어 복수개의 화소전극(210)들에 대응할 수 있다. 대향전극(230)은 (반)투명 전극 또는 반사형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대향전극(230)이 (반)투명 전극으로 형성될 때에는 일함수가 작은 금속 즉, Li, Ca, LiF/Ca, LiF/Al, Al, Ag, Mg 및 이들의 화합물로 형성된 층과 ITO, IZO, ZnO 또는 In2O3 등의 (반)투명 도전층을 가질 수 있다. 대향전극(230)이 반사형 전극으로 형성될 때에는 Li, Ca, LiF/Ca, LiF/Al, Al, Ag, Mg 및 이들의 화합물로 형성된 층을 가질 수 있다. 물론 대향전극(230)의 구성 및 재료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상부기판(300)은 하부기판(110)에 대응하는 것으로, 글라스재, 금속재 또는 플라스틱재 등과 같은 다양한 재료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하부기판(110)과 상부기판(300)은 밀봉부재(400)를 통해 접합될 수 있다.The
한편, 버퍼층(120), 게이트절연막(140) 및 층간절연막(160)을 통칭하여 절연층(IL)이라 할 수 있는데, 이 절연층(IL)은 도시된 것과 같이 하부기판(110)의 디스플레이영역(DA)과 주변영역(PA)에 걸쳐 배치된다. 아울러 이 절연층(IL)은 주변영역(PA)에서 복수개의 관통홀들(ILH1, ILH2)을 갖는다. 밀봉부재(400)는 절연층(IL)의 복수개의 관통홀들(ILH1, ILH2) 내부를 채우며 하부기판(110)과 상부기판(300)을 접합시킨다. 밀봉부재(400)는 프릿(frit) 또는 에폭시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물론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the
밀봉부재(400)가 하부기판(110)과 상부기판(300)을 접합함에 있어서, 충분한 접합력을 갖기 위해서는 접촉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밀봉부재(400)가 차지하는 면적(도 1에서는 밀봉부재(400)의 폭(400A)으로 이해할 수 있음)이 크면 클수록 데드 스페이스인 주변영역(PA)의 면적이 넓어지는바, 따라서 데드 스페이스를 줄이기 위해서는 밀봉부재가 차지하는 면적을 줄이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절연층(IL)이 복수개의 관통홀들(ILH1, ILH2)을 구비한다. 따라서 하부기판(110)과 평행한 평면(xy 평면) 상에서의 밀봉부재(400)의 면적을 줄이면서도 밀봉부재(400)가 하부기판(110) 상의 구성요소들, 즉 절연층(IL)과 접촉하는 접촉면적을 유지하거나 늘릴 수 있다. 따라서 밀봉부재(400)가 차지하는 면적을 줄임으로써 데드 스페이스를 줄이면서도 밀봉부재(400)와 하부기판(110) 사이의 접합력을 유지하거나 강화시킬 수 있다.When the sealing
도 2는 도 1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절연층(IL)의 복수개의 관통홀들(ILH1, ILH2)의 면적에 따른 밀봉부재의 박리강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하부기판(110)에 평행한 평면에 있어서 밀봉부재의 면적에 대한 절연층(IL)의 복수개의 관통홀들(ILH1, ILH2)의 면적의 비율을 x축이라 하고 하부기판(110)과 밀봉부재(400)가 분리되기 시작하는 힘인 박리강도를 y축이라 하면, 절연층(IL)의 복수개의 관통홀들(ILH1, ILH2)의 면적과 박리강도 사이의 관계는 도시된 것과 같이 y=0.0316x+5.8042로 나타나는 것을 복수회의 실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여기서 박리강도의 단위는 가로길이와 세로길이가 각각 19mm인 면적에 작용하는 무게(kg)이고, 비율은 %이다.FIG. 2 is a graph showing peeling strength of a sealing member according to areas of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ILH1 and ILH2 of the insulating layer IL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f FIG. 1. The ratio of the area of the plurality of through-holes ILH1 and ILH2 of the insulating layer IL to the area of the sealing member in the plane parallel to the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디스플레이부로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 등에 있어서, 통상적인 사용 환경에서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가 견딜 것이 요구되는 박리강도의 상한은 6.11kg이다. 이러한 박리강도는 통상적인 사용 환경에서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가 낙하할 경우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인가될 수 있는 강도 등의 상한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환경에서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밀봉부재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2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것과 같이 하부기판(110)에 평행한 평면에 있어서 밀봉부재의 면적에 대한 절연층(IL)의 복수개의 관통홀들(ILH1, ILH2)의 면적의 비율이 9.8% 이상이 되는 것이 필요하다.In mobile devices and the like hav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s a display unit, the upper limit of peel strength required to withst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 a normal use environment is 6.11 kg. Such peel strength may be understood as an upper limit such as strength that can be appli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he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falls in a normal use environment. In order to prevent a problem in the sealing member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 such an environment, the insulating layer IL with respect to the area of the sealing member in a plane parallel to the
한편,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부기판(110)과 절연층(IL) 사이에 개재되며 복수개의 관통개구들을 갖는 금속층(150')을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영역(DA)은 전술한 바와 같이 게이트전극(150)을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터(TFT)를 포함하는바, 금속층(150')은 박막트랜지스터(TFT)의 게이트전극(150)과 동일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금속층(150')은 게이트전극(150)과 동일층 상에 위치한 것일 수 있다. 도면에서는 금속층(150')이 게이트전극(150)과 마찬가지로 게이트절연막(140) 상에 위치한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금속층(150')은 박막트랜지스터(TFT)의 소스/드레인전극(170)과 동일물질을 포함하고 동일층 상에 위치한 것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금속층(150')이 게이트전극(150)과 동일물질을 포함하고 동일층 상에 위치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As illustrated in FIG. 1,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may include a
밀봉부재(400)를 이용하여 하부기판(110)과 상부기판(300)을 접합할 시, UV광이나 레이저빔 등을 조사하여 밀봉부재(400)를 경화시키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구체적으로 UV광이나 레이저빔 등을 상부기판(300)을 통과시켜 밀봉부재(400)로 조사할 수 있는데, 밀봉부재(400) 하부의 금속층(150')을 이용해 밀봉부재(400)까지 통과한 UV광이나 레이저빔 등을 반사시켜 다시 밀봉부재(400)로 향하도록 함으로써, UV광이나 레이저빔 등의 조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When the
한편, 밀봉부재(400)가 상부기판(300)과 접촉하고 있는 면적은 투명한 재질의 상부기판(300)을 통해 쉽게 관찰할 수 있으나, 밀봉부재(400)가 하부기판(110)과 접촉하고 있는 면적은 불투명한 금속층(150')으로 인해 관찰할 수 없을 수 있다. 따라서 밀봉부재(400)가 복수개의 관통개구들을 갖도록 함으로써, 금속층(150')의 관통개구들을 통해 밀봉부재(400)를 관찰할 수 있는지 여부를 통해 밀봉부재(400)와 하부기판(110) 사이의 접촉면적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밀봉부재(400)가 상부기판(300) 및/또는 하부기판(110)과 접촉하는 면적이 사전설정된 최소한의 면적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밀봉 불량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Meanwhile, the area in which the sealing
이러한 금속층(150')의 복수개의 관통개구들 각각의 내면(150'a)은 절연층(IL)에 덮여, 밀봉부재(400)와 컨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금속층(150')이 층간절연막(160)에 덮여, 금속층(150')의 관통개구의 내면(150'a)이 밀봉부재(400)와 컨택하지 않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The
절연층(IL) 내의 복수개의 관통홀들(ILH1, ILH2)을 형성할 시, 버퍼층(120), 게이트절연막(140) 및 층간절연막(160)을 동시에 식각하여 복수개의 관통홀들(ILH1, ILH2)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금속층(150')의 관통개구의 내면(150'a)이 복수개의 관통홀들(ILH1, ILH2)에 의해 노출될 경우, 이미 관통개구가 형성된 금속층(150')이 추가적으로 식각되어 금속층(150')의 관통개구의 면적이 커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금속층(150')의 복수개의 관통개구들 각각의 내면(150'a)은 절연층(IL)에 덮여, 밀봉부재(400)와 컨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층(150')의 관통개구의 면적이 사전설정된 면적보다 커짐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해서는 후술한다.When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ILH1 and ILH2 are formed in the insulating layer IL, the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절연층(IL)의 관통홀들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에서는 밀봉부재(400)를 도시하고 있으며, 밀봉부재(400) 하부에 위치하는 절연층(IL)의 복수개의 관통홀들을 편의상 실선으로 도시하고 있다.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rough holes of an insulating layer IL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3, the sealing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절연층(IL)은 복수개의 관통홀세트(ILHS)들을 가지며, 복수개의 관통홀세트(ILHS)들 각각은 두 개 이상의 관통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복수개의 관통홀세트(ILHS)들 각각이 네 개의 관통홀들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As illustrated, the insulating layer IL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 sets ILHS,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 sets ILHS includes two or more through holes. can do. In the drawing, each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 sets ILHS has four through holes.
절연층(IL)의 복수개의 관통홀세트(ILHS)들 각각의 두 개 이상의 관통홀들 사이의 거리(ILHT)는 2.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층(IL)의 복수개의 관통홀세트(ILHS)들 각각의 두 개 이상의 관통홀들 사이의 거리(ILHT)가 2.5㎛ 미만이 될 경우, 인접한 관통홀들 사이의 절연층(IL)이 무너져 한 개의 관통홀이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밀봉부재(400)와 절연층(IL) 사이의 접촉 면적이 줄어들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관통홀들 사이의 거리(ILHT)는 관통홀들의 중심들 사이의 거리가 아니라, 일 관통홀과 타 관통홀이 상호 인접하여 위치할 시, 일 관통홀의 타 관통홀 방향의 내면에서 타 관통홀의 일 관통홀 방향의 내면 사이의 거리이다. 즉, 관통홀들 사이의 거리(ILHT)는 관통홀들 사이의 절연층(IL)의 두께로 이해될 수 있다.The distance ILHT between two or more through hol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 sets ILHS of the insulating layer IL is preferably 2.5 μm or more. When the distance ILHT between two or more through hol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 sets ILHS of the insulating layer IL is less than 2.5 μm, the insulating layer IL between adjacent through holes collapses. One through hole may be used, in which cas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sealing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금속층(150')의 관통개구(150A)들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금속층(150')은 반복적으로 배치된 관통개구(150A)들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기판(110)으로부터 금속층(150')의 관통개구(150A)들을 통해 밀봉부재(400)를 관찰할 수 있는지 여부를 통해 밀봉부재(400)와 하부기판(110) 사이의 접촉면적을 확인할 수 있다. 4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rough
절연층(IL)의 복수개의 관통홀세트(ILHS)들은 금속층(150')의 복수개의 관통개구(150A)들에 대응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복수개의 관통홀세트(ILHS)들이 갖는 관통홀들이 금속층(150')의 복수개의 관통개구(150A)들을 통해 하부기판(110) 바로 위의 버퍼층(120)까지 연장되도록 함으로써, 밀봉부재(400)가 하부기판(110)과 직접 컨택하여 접합력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plurality of through hole sets ILHS of the insulating layer IL may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through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금속층(150')의 복수개의 관통개구(150A)들 각각의 내면(150'a)은 절연층(IL)에 덮여, 밀봉부재(400)와 컨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절연층(IL)의 복수개의 관통홀세트(ILHS)들 각각의 면적은 금속층(150')의 복수개의 관통개구(150A)들 각각의 면적보다 좁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도 5는 도 4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금속층(150')의 관통개구(150A)들 사이의 거리(150'W)에 따른 정전기 방전 내구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금속층(15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영역(DA)의 박막트랜지스터(TFT)의 게이트전극(150)과 동시에 동일층 상에 형성될 수 있기에, 하부기판(110)에 평행한 평면에 있어서 금속층(150')의 관통개구(150A)들 사이의 거리(150'W)는 결국 게이트 메탈 배선 폭이라 할 수 있다.5 is a graph showing electrostatic discharge durability according to the distance 150'W between the through
게이트 메탈 배선 폭이 좁으면 좁을수록, 게이트 메탈 배선의 저항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동일한 강도의 정전기가 금속층(150')에 인가되더라도, 게이트 메탈 배선 폭이 좁을수록 발생할 수 있는 순간적인 열의 양은 더 많아진다. 금속층(150')에서 많은 열이 발생할수록 밀봉부재(400)의 박리나 밀봉부재(400)의 경도 감소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기에, 결국 게이트 메탈 배선 폭, 즉 금속층(150')의 관통개구(150A)들 사이의 거리(150'W)에 대한 적절한 조절이 필요하다.The narrower the gate metal wiring width, the greater the resistance of the gate metal wiring. Therefore, even if static electricity of the same intensity is applied to the
도 5에서 y축은 금속층(150')에 인가될 수 있는 정전기의 세기, 즉 정전기(ESD) 인가 전압을 나타내고, x축은 해당 세기의 정전기가 금속층(150')에 인가될 시 밀봉부재(400)가 박리되거나 밀봉부재(400)의 강도가 낮아지는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최소 게이트 메탈 배선 폭을 나타낸다. 이러한 최소 게이트 메탈 배선 폭과 정전기 인가 전압 사이의 관계는 도시된 것과 같이 y=0.2959x+5.9694로 나타나는 것을 복수회의 실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여기서 게이트 메탈 배선 폭의 단위는 ㎛이고, 정전기 인가 전압의 단위는 kV이다.In FIG. 5, the y axis represents an intensity of static electricity that may be applied to the
전술한 바와 같이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과정에서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과정에서 정전기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전기 등은 금속층(150')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금속층(150')의 저항이 클 경우 금속층(150')에서 열이 발생하여 (경화가 완료된) 밀봉부재(400)의 접합력을 약화시키거나 밀봉부재(400)의 경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tatic electricity or the like may be generated during the manufacturing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r during the us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the static electricity may be transferred to the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디스플레이부로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 등에 있어서, 통상적인 사용 환경에서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가 견딜 것이 요구되는 정전기 인가 전압의 상한은 12kV이다. 이러한 정전기 인가 전압의 상한은 제조과정이나 통상적인 사용 환경에서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할 경우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인가될 수 있는 정전기 강도의 상한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환경에서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밀봉부재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5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것과 같이 하부기판(110)에 평행한 평면(xy 평면)에 있어서 금속층(150')의 복수개의 관통개구(150A)들 사이의 거리(150'W)가 20.5㎛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mobile devices and the like hav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s a display unit, the upper limit of the electrostatic applied voltage required to withst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 a normal use environment is 12 kV. The upper limit of the electrostatic applied voltage may be understood as the upper limit of the electrostatic strength that may be appli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he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s used in a manufacturing process or a normal use environment. In order to prevent a problem in the sealing member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 such an environment, as shown by a dotted line in FIG. 5, a plurality of
한편, 이와 같이 금속층(150')의 복수개의 관통개구(150A)들 사이의 거리(150'W)가 20.5㎛ 이상이 되도록 함에 따라, 하부기판(110)과 평행한 평면(xy 평면)에 있어서 금속층(150')의 복수개의 관통개구(150A)들 각각의 면적은 상한이 있을 수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금속층(150')의 복수개의 관통개구(150A)들 내부에 위치하는 절연층(IL)의 복수개의 관통홀들의 면적에도 상한이 있을 수밖에 없다. 금속층(150')의 복수개의 관통개구(150A)들 사이의 거리(150'W)가 20.5㎛일 경우, 하부기판(110)에 평행한 평면(xy 평면)에 있어서, 절연층(IL)의 복수개의 관통홀들의 면적은 밀봉부재(400)의 면적의 16.5% 이하일 수밖에 없다. 결국, 하부기판(110)에 평행한 평면(xy 평면)에 있어서 밀봉부재의 면적에 대한 절연층(IL)의 복수개의 관통홀들(ILH1, ILH2)의 면적의 비율은 9.8% 이상 16.5%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Meanwhile, as the distance 150'W between the plurality of through
도 1에서는 절연층(IL)이 버퍼층(120), 게이트절연막(140) 및 층간절연막(160)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1절연막(181) 역시 주변영역(PA)까지 연장되어 절연층(IL)의 일 구성요소가 되고, 제1절연막(181) 역시 주변영역(PA)에서 복수개의 관통홀들을 가질 수도 있다.In FIG. 1, the insulating layer IL is illustrated as including a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인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절연층(IL)이 게이트절연막(140) 및 층간절연막(160)만을 포함하며, 버퍼층(120)은 관통홀을 갖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버퍼층(120)은 하부기판(110)과 절연층(IL) 사이에 개재되는 추가절연층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which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the insulating layer IL may include only the
이와 같이, 절연층(IL)은 버퍼층(120), 게이트절연막(140), 층간절연막(160) 및 보호막인 제1절연막(18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연장부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nsulating layer IL may be understood to be an extension of at least one of the
지금까지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s been described so fa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ill als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은, 디스플레이영역(DA)과 이 디스플레이영역(DA)을 감싸는 주변영역(PA)을 갖는 하부기판(110)을 준비하는 단계를 거쳐, 하부기판(110)의 디스플레이영역(DA)과 주변영역(PA)에 걸쳐 배치되며 주변영역(PA)에서 복수개의 관통홀들(ILH1, ILH2)을 갖는 절연층(IL)을 형성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For example,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preparing a
예컨대 하부기판(110)의 디스플레이영역(DA)과 주변영역(PA)에 걸쳐 버퍼층(120), 게이트절연막(140) 및 층간절연막(160) 등을 형성하고, 후에 화소전극(210)이 연결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영역(DA)에서 박막트랜지스터(TFT)의 소스/드레인전극(170)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비아홀을 제1,2보호막(181, 182)에 형성할 시 동시에, 주변영역(PA)에서 버퍼층(120), 게이트절연막(140) 및 층간절연막(160)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관통홀들(ILH1, ILH2)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절연층(IL)은 버퍼층(120), 게이트절연막(140) 및 층간절연막(160)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물론 절연층(IL)은 이들 중 일부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도 6의 경우 버퍼층(120)은 절연층(IL)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1,2보호막(181, 18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까지도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이후 유기발광소자(200) 등을 형성하는 단계를 거친다. 그리고 하부기판(110)에 대응하는 상부기판(300)을 준비하는 단계를 거치는데, 물론 이 단계는 사전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후, 밀봉부재(400)로 절연층(IL)의 복수개의 관통홀들(ILH1, ILH2) 내부를 채우며 하부기판(110)과 상부기판(300)을 접합시키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After that, the organic
물론 박막트랜지스터(TFT)를 형성하면서 게이트전극(150)을 형성할 시 하부기판(110)의 주변영역(PA)에 위치하며 복수개의 관통개구(150A)들을 갖는 금속층(150')을 형성하는 단계를 거치고, 이 경우 절연층(IL)을 형성하는 단계는 금속층(150')이 하부기판(110)과 절연층(IL) 사이에 개재되도록 형성하는 단계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절연층(IL)을 형성할 시, 절연층(IL)이 금속층(150')의 복수개의 관통개구(150A)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관통홀세트(ILHS)들을 갖고 복수개의 관통홀세트(ILHS)들 각각이 두 개 이상의 관통홀들을 포함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Of course, when forming the thin film transistor TFT and forming the
절연층(IL)을 형성하는 단계는, 복수개의 관통홀세트(ILHS)들 각각의 두 개 이상의 관통홀들 사이의 거리가 2.5㎛ 이상이 되도록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최소 거리를 필요로 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The forming of the insulating layer IL may include forming an insulating layer such that a distance between two or more through hol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 sets ILHS is 2.5 μm or more. The reason for requiring such a minimum distance is as described above.
한편, 금속층(150')을 형성하는 단계는, 복수개의 관통개구(150A)들 사이의 거리가 20.5㎛ 이상이 되도록 금속층(150')을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최소 거리를 필요로 하는 이유에 대해서도 정전기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다.Meanwhile, the forming of the
절연층(IL)을 형성하는 단계는, 하부기판(110)에 평행한 평면(xy 평면)에 있어서, 절연층(IL)의 복수개의 관통홀들(ILH1, ILH2)의 면적이 밀봉부재(400)의 면적의 9.8% 이상 16.5% 이하가 되도록 절연층(IL)을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면적의 상한과 하한을 필요로 하는 이유에 대해서도 전술한 바와 같다.In the forming of the insulating layer IL, in the plane parallel to the lower substrate 110 (xy plane), the area of the plurality of through-holes ILH1 and ILH2 of the insulating layer IL has a sealing
절연층(ILI)을 형성하는 단계는, 하부기판(110)의 디스플레이영역(DA)과 주변영역(PA)에 걸쳐 버퍼층(120), 게이트절연막(140) 및 층간절연막(160)을 형성하고 버퍼층(120), 게이트절연막(140) 및 층간절연막(160)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관통홀들을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The insulating layer ILI may be formed by forming th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10: 하부기판 120: 버퍼층
130: 반도체층 140: 게이트절연막
150: 게이트전극 150': 금속층
160: 층간절연막 170: 소스/드레인전극
181: 제1절연막 182: 제2절연막
183: 제3절연막 200: 유기발광소자
210: 화소전극 220: 중간층
230: 대향전극 300: 상부기판
400: 밀봉부재110: lower substrate 120: buffer layer
130: semiconductor layer 140: gate insulating film
150: gate electrode 150 ': metal layer
160: interlayer insulating film 170: source / drain electrode
181: first insulating film 182: second insulating film
183: third insulating film 200: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210: pixel electrode 220: intermediate layer
230: counter electrode 300: upper substrate
400: sealing member
Claims (11)
상기 하부기판 상에 위치하며 복수개의 관통개구들을 갖는 금속층;
상기 금속층 상에 위치하며 복수개의 관통홀들을 갖는 절연층;
상기 하부기판에 대응하는 상부기판; 및
상기 절연층의 복수개의 관통홀들 내부를 채우며, 상기 하부기판과 상기 상부기판을 접합시키는 밀봉부재;
를 구비하며,
동일 영역에서 상기 관통개구들의 개수는 상기 관통홀들의 개수 보다 작고, 상기 절연층의 관통홀들은 상기 하나의 관통개구 당 복수 개 위치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Lower substrate;
A metal layer on the lower substrate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openings;
An insulating layer on the metal layer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 upper substrate corresponding to the lower substrate; And
A sealing member filling inside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of the insulating layer and bonding the lower substrate and the upper substrate;
Equipped with
The number of the through openings in the same area is smaller than the number of the through holes, and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of the insulating layer,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상기 하부기판 상에 위치하는 절연층;
상기 절연층 내에 위치하며 복수개의 관통개구들을 갖는 금속층;
상기 하부기판에 대응하는 상부기판; 및
상기 하부기판과 상기 상부기판을 접합시키는 밀봉부재;
를 구비하며,
상기 절연층은 복수개의 관통홀들을 갖되, 동일 영역에서 상기 관통개구들의 개수는 상기 관통홀들의 개수 보다 작고, 상기 관통홀들은 상기 하나의 관통개구 당 복수 개 위치하고,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절연층의 복수개의 관통홀들 내부를 채우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Lower substrate;
An insulating layer on the lower substrate;
A metal layer positioned in the insulating layer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openings;
An upper substrate corresponding to the lower substrate; And
A sealing member bonding the lower substrate and the upper substrate to each other;
Equipped with
The insulating layer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wherein the number of the through holes is smaller than the number of the through holes in the same region, and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provided per one through hole, and the sealing member is formed of the insulating laye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filling the inside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상기 절연층은 상기 금속층 하부에 위치한 층과 상기 금속층 상부에 위치한 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insulating layer includes a layer under the metal layer and a layer over the metal layer.
상기 금속층의 복수개의 관통개구들 각각의 면적은, 대응하는 상기 절연층의 복수개의 관통홀들의 면적보다 넓은,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an area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hrough openings of the metal layer is larger than an area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of the insulating layer.
상기 금속층의 복수개의 관통개구들 각각의 내면은 상기 절연층에 덮여, 상기 밀봉부재와 컨택하지 않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an inner surfa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hrough openings of the metal layer is covered by the insulating layer and does not contact the sealing member.
상기 금속층의 복수개의 관통개구들 각각 내에서 상기 절연층의 복수개의 관통홀들 사이의 거리는 2.5㎛ 이상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a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of the insulating layer in each of the plurality of through openings of the metal layer is 2.5 μm or more.
상기 금속층의 복수개의 관통개구들 사이의 거리는 20.5㎛ 이상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a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through openings of the metal layer is 20.5 μm or more.
상기 하부기판의 디스플레이영역은 게이트전극을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금속층은 박막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과 동일물질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display area of the lower substrate includes a thin film transistor including a gate electrode, and the metal layer includes the same material as the gate electrode of the thin film transistor.
상기 금속층은 상기 게이트전극과 동일층 상에 위치한,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The method of claim 8,
And the metal layer is on the same layer as the gate electrode.
상기 하부기판에 평행한 평면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의 복수개의 관통홀들의 면적은 상기 밀봉부재의 면적의 9.8% 이상 16.5% 이하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area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of the insulating layer in a plane parallel to the lower substrat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f 9.8% or more and 16.5% or less of the area of the sealing member.
상기 하부기판의 디스플레이영역은 버퍼층, 게이트절연막, 층간절연막 및 보호막을 포함하며, 상기 절연층은 상기 버퍼층, 게이트절연막, 층간절연막 및 보호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연장부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display area of the lower substrate includes a buffer layer, a gate insulating film, an interlayer insulating film, and a protective film, wherein the insulating layer is an extension of at least one of the buffer layer, the gate insulating film,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and the protective fil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11598A KR102034691B1 (en) | 2018-09-18 | 2018-09-18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11598A KR102034691B1 (en) | 2018-09-18 | 2018-09-18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75937A Division KR101903055B1 (en) | 2013-06-28 | 2013-06-28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07055A KR20180107055A (en) | 2018-10-01 |
KR102034691B1 true KR102034691B1 (en) | 2019-10-22 |
Family
ID=63877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11598A Active KR102034691B1 (en) | 2018-09-18 | 2018-09-18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3469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63278B1 (en) | 2019-12-31 | 2025-02-10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panel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50184927A1 (en) | 2004-02-14 | 2005-08-25 | Won-Kyu Kwak | Flat panel display |
US20070195252A1 (en) | 2006-02-22 | 2007-08-23 | Yu-Chi Tsai | Electronic Ink Display |
US20070291216A1 (en) | 2006-06-16 | 2007-12-20 | Innolux Display Corp.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patterned black matrix for sealant |
US20090218932A1 (en) | 2008-02-29 | 2009-09-03 | Wenchao Wang | Frit sealing of large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69710B1 (en) * | 2004-02-18 | 2007-01-16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Flat panel display device |
-
2018
- 2018-09-18 KR KR1020180111598A patent/KR10203469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50184927A1 (en) | 2004-02-14 | 2005-08-25 | Won-Kyu Kwak | Flat panel display |
US20070195252A1 (en) | 2006-02-22 | 2007-08-23 | Yu-Chi Tsai | Electronic Ink Display |
US20070291216A1 (en) | 2006-06-16 | 2007-12-20 | Innolux Display Corp.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patterned black matrix for sealant |
US20090218932A1 (en) | 2008-02-29 | 2009-09-03 | Wenchao Wang | Frit sealing of large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07055A (en) | 2018-10-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665921B2 (en) |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2081288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2151752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2414110B1 (en) | Display apparatus | |
KR102349281B1 (en) | Display apparatus | |
US8030838B2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 |
KR102213223B1 (en) |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2058516B1 (en) | Mother substrate of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
KR102490890B1 (en) | Display apparatus | |
KR20070117118A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
KR102134842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 |
KR20150039490A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2481386B1 (en) |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 |
KR20150017612A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manufactured by the same | |
KR101903055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2205402B1 (en) |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 |
KR20150024729A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20150019392A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2034691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20190042129A (en) | Display apparatus and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2281331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2242397B1 (en) |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 |
KR100768234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
KR20150137214A (en) |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anufactur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918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30628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3007593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0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905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10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5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123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80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9070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5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123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0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10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