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34489B1 - 저진공 복층 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저진공 복층 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4489B1
KR102034489B1 KR1020180126379A KR20180126379A KR102034489B1 KR 102034489 B1 KR102034489 B1 KR 102034489B1 KR 1020180126379 A KR1020180126379 A KR 1020180126379A KR 20180126379 A KR20180126379 A KR 20180126379A KR 102034489 B1 KR102034489 B1 KR 102034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glass
spacer
glass
laminated film
ga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6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환엽
Original Assignee
김환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환엽 filed Critical 김환엽
Priority to KR1020180126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44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4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448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6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 C03C27/10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with the aid of adhesive specially adapted for that purpos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12Evacuated glazing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9Glazing, e.g. vacuum glaz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22Glazing, e.g. vaccum gla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크기 및 모양으로 형성되고,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는 복수 개의 판유리; 상기 판유리 테두리에 접착되고, 가열공정에 의해 용융되면서 상기 판유리의 테두리를 서로 접착시켜 상기 판유리 사이의 간격에 저진공층을 형성하는 접합필름; 및 상기 판유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판유리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고, 상기 가열공정이 진행되어 상기 접합필름이 용융될 때에 상기 접합필름 내부로 함침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접합필름은, 상온에서 상기 스페이서와 함께 상기 판유리 사이에 개재되면 상기 스페이서를 지지하여 상기 판유리와 상기 접합필름 사이에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스페이서 및 상기 판유리의 하중에 의해 변형되지 않는 합성수지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가열공정이 진행되는 초기에는 상기 판유리 사이에 충진되는 공기층이 가열되어 팽창되면서 상기 접합필름과 상기 판유리 사이의 간격으로 공기층이 배출되고, 상기 가열공정이 진행되어 상기 접합필름이 용융되면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접합필름 내부에 함침되므로 상기 스페이서에 의해 상기 판유리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면서 상기 접합필름에 의해 상기 판유리 사이의 간격이 밀폐되어 상기 판유리 사이의 간격에 진공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저진공 복층 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 {LOW VACUUM DOUBLE LAYER GLASS AND MAK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저진공 복층 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판유리 테두리를 가열공정에 의해 접합하여 판유리 사이에 저진공 상태를 형성하면서 복층 유리를 제조하고, 판유리 사이에 작동유체를 충진하는 공정을 생략하여 공기층을 구비하는 복층 유리를 제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저진공 복층 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독주택, 아파트, 빌딩 등 지상 건축물에 있어서 채광을 하거나 환기를 하기 위해서는 보온, 방음, 조망을 목적으로 창호 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창호 시스템에 사용되는 유리창은 단열을 위하여 두 장의 유리를 적층한 이중 유리창을 사용하며, 이러한 이중 유리창은 양 유리 사이의 간격과 그 간격 사이의 공간을 처리하는 방법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다.
이중 유리창은 두 장의 유리를 양 유리의 대향면 사이에 일정한 틈이 형성되도록 단순히 접합한 것으로 페어 글라스(Pair Glass)라 불린다.
페어 글라스는 양 유리 사이의 확보된 공간에 잔류하는 공기층을 그대로 유지시킨 것으로 공기층에 의한 단열 성능이 떨어지므로 공기층에 의한 열전달 손실을 방지할 수 없다.
이러한 이중 유리창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열전도도가 극히 작은 진공 상태를 유리 사이의 공간에 형성시킨 진공 창호 유리가 개발되었다.
이때 형성된 진공도는 10-5 토르 수준으로 이중 유리창의 유리 사이 공간의 가스나 공기의 열대류와 전도에 의하여 발생되는 열 손실을 거의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수준이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진공 창호 유리는 이중의 판유리 사이에 스페이서가 배치된 공간을 진공으로 기밀하기 위해 그 둘레가 실링재로 밀봉되고, 일면의 판유리에 형성된 배기튜브를 통해 그 내측 공기를 배기하여 감압 상태로 제조된다.
이러한 진공 창호 유리는 종래의 이중 유리창의 열전달 손실을 줄이는 기능을 하지만, 태양으로부터 열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밖으로 유출하는 역할만 수행할 뿐, 건축물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에너지를 전력으로 변환하여 이용하는 일례가 없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진공 복층 유리가 개발되었으며, 종래기술에 따른 진공 복층 유리는, 복수개의 판유리를 적층시켜 외측 창호와 내측 창호를 형성하는 진공 복층 유리에서, 외측 창호인 외측 투명기판과, 외측 투명기판의 내측 창호로 형성되는 내측 투명기판을 포함한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의 작동전극 기판을 포함하며, 외측 투명기판과 내측 투명기판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하고, 외측 투명기판과 내측 투명기판 사이에 진공 상태가 되도록 밀봉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4-0080568호(2014년 07월 01일 공개, 발명의 명칭 : 진공 복층 유리와 그 제조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복층 유리는, 판유리 사이의 간격에 염료 및 작동전극이 주입되어 진공층을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이 진행되기 때문에 진공층을 구비하는 복층 유리를 제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판유리 테두리를 가열공정에 의해 접합하여 판유리 사이에 저진공 상태를 형성하면서 복층 유리를 제조하고, 판유리 사이에 작동유체를 충진하는 공정을 생략하여 공기층을 구비하는 복층 유리를 제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저진공 복층 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크기 및 모양으로 형성되고,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는 복수 개의 판유리; 상기 판유리 테두리에 접착되고, 가열공정에 의해 용융되면서 상기 판유리의 테두리를 서로 접착시켜 상기 판유리 사이의 간격에 저진공층을 형성하는 접합필름; 및 상기 판유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판유리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고, 상기 가열공정이 진행되어 상기 접합필름이 용융될 때에 상기 접합필름 내부로 함침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접합필름은, 상온에서 상기 스페이서와 함께 상기 판유리 사이에 개재되면 상기 스페이서를 지지하여 상기 판유리와 상기 접합필름 사이에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스페이서 및 상기 판유리의 하중에 의해 변형되지 않는 합성수지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가열공정이 진행되는 초기에는 상기 판유리 사이에 충진되는 공기층이 가열되어 팽창되면서 상기 접합필름과 상기 판유리 사이의 간격으로 공기층이 배출되고, 상기 가열공정이 진행되어 상기 접합필름이 용융되면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접합필름 내부에 함침되므로 상기 스페이서에 의해 상기 판유리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면서 상기 접합필름에 의해 상기 판유리 사이의 간격이 밀폐되어 상기 판유리 사이의 간격에 진공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판유리 사이의 간격에 개재되는 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합필름에는 상기 볼부재가 안착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판유리 사이의 간격에 개재되는 선재를 포함하고, 상기 선재는 상기 접합필름과 상기 판유리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판유리 사이에 형성되는 진공층을 통과하여 배치되는 선재로 이루어지는 보강스페이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판유리 테두리에 접합필름을 안착시키고, 상기 접합필름 상면에 스페이서를 안착시키는 안착단계; (b) 상기 스페이서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판유리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크기의 다른 상기 판유리를 안착시키는 적층단계; 및 (c) 상기 판유리와 상기 접합필름에 열에너지를 공급하여 상기 접합필름이 용융되면서 상기 판유리의 테두리를 밀폐시키는 가열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단계가 진행되는 초기에는 상기 판유리 사이에 충진되는 공기층이 가열되어 팽창되면서 상기 접합필름과 상기 판유리 사이의 간격으로 공기층이 배출되고, 상기 가열단계가 진행되어 상기 접합필름이 용융되면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접합필름 내부에 함침되므로 상기 스페이서에 의해 상기 판유리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면서 상기 접합필름에 의해 상기 판유리 사이의 간격이 밀폐되어 상기 판유리 사이의 간격에 진공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진공 복층 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은, 판유리 사이의 간격에 작동유체를 주입하는 공정 및 판유리를 코팅하는 공정 등의 작업을 생략하고, 판유리의 테두리만을 가열공정에 의해 접합하면서 판유리 사이의 간격에 저진공층을 형성하면서 복층 유리를 제조하므로 복층 유리를 제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진공 복층 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은, 복수 개의 판유리 테두리 사이에 접합필름을 접착시키고, 접합필름에 스페이서를 안착시킨 후에 가열공정을 행하여 판유리를 접착시키므로 가열공정이 진행되는 초기에는 스페이서가 접착필름과 판유리 사이에 간격을 유지시켜 한 쌍의 판유리 사이에 충진되는 공기가 팽창되면서 판유리와 접착필름 사이의 간격으로 배출되고, 가열공정이 계속 진행되면 접착필름이 용융되면서 스페이서가 접착필름 내부로 함침되어 판유리 사이의 간격이 스페이서에 의해 유지되면서 접착필름으로 밀폐되는 저진공 복층 유리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진공 복층 유리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진공 복층 유리의 접합필름의 안착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진공 복층 유리의 접착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진공 복층 유리의 삽입홈이 도시된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저진공 복층 유리의 접합필름 및 스페이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저진공 복층 유리의 접합필름 및 스페이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저진공 복층 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진공 복층 유리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진공 복층 유리의 접합필름의 안착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진공 복층 유리의 접착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진공 복층 유리의 삽입홈이 도시된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진공 복층 유리는,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크기 및 모양으로 형성되고,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는 복수 개의 판유리(10)과, 판유리(10) 테두리에 접착되고, 가열공정에 의해 용융되면서 판유리(10)의 테두리를 서로 접착시켜 판유리(10) 사이의 간격에 저진공층을 형성하는 접합필름(20)과, 판유리(10) 사이에 개재되어 판유리(10)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고, 가열공정이 진행되어 접합필름(20)이 용융될 때에 접합필름(20) 내부로 함침되는 스페이서(30)를 포함한다.
판유리(10)는 도시한 도 1에서와 같이, 진공유리를 만들기 위하여 상호 마주보게 위치될 수 있도록 복수 개 구비하여 구성하는 것이며, 사각형의 판상으로 성형된 판유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판유리(10)는 다양한 두께를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접합필름(20)의 열융착 과정에서도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건축물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진공유리 본연의 기능을 이룰 수 있도록 4~10mm 이내의 두께를 이루는 판유리(20)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접합필름(20)은 실링재로 사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PVB(Polyvinyl Butyral)필름을 사용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마주보게 위치된 복수개의 판유리(10)를 접합시키고자 하는 경우, 접합이 이루어지는 판유리(10)의 사이에 도 1과 같이 위치시켜 판유리(10)의 접합을 이루는 접착제의 용도로 사용한다.
예컨대, 접합필름(20)은 열을 가하면 녹는 성질을 이용하여 접합을 이루고자 하는 판유리(10)의 사이에서 열융착 되도록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자세히 설명하지 않았지만 종래의 폴리부티랄 필름, Polyvinyl Butyral Film으로 지칭되는 필름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접합필름(20)은 도 1에서와 같이, 판유리(10)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테두리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하여 접합이 이루어지는 판유리(10)의 테두리 부위에서 온도에 따라 융착되어 판유리(10)의 접합을 이루는 것이다.
또한, 접합필름(20)은 다양한 두께의 접합필름(20)을 사용할 수 있으나, 1~5mm 이내의 두께를 이루도록 형성하여 접합이 이루어지는 판유리(10)의 사이가 과하게 벌어지거나 벌어지지 않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전달되는 열에 의한 열융착 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스페이서(30)는 접합필름(20)의 일측에 밀착되게 위치시켜 접합필름(20)의 열융착 과정에서 접합필름(20)이 스페이서(30)의 외부를 감싸며 지지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접합이 이루어지는 판유리(10)의 테두리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될 수 있게 구성된다.
스페이서(30)는 도시한 도 1에서와 같이, 마주보게 위치되는 판유리(10)의 사이에 접합필름(20)을 위치시키고, 열을 전달하여 접합필름(20)이 융착되는 과정을 거치는 경우, 접합필름(20)이 녹는 과정에서 접합되는 판유리(10)의 내면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접합필름(20)의 테두리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개의 스페이서(30)가 접합필름(20)의 열융착을 통한 판유리(10)의 접합 과정에서도 접합이 이루어지는 판유리(10)의 테두리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판유리(10)의 밀착으로 인한 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예컨대, 도 3에서와 같이 접합을 이루고자 하는 판유리(10)를 마주보게 위치시키고, 판유리(10)의 사이에 접합필름(20)과 스페이서(30)를 위치시켜 진공유리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마주보는 판유리(20)의 사이에 있는 공기들은 전달되는 열에 의하여 부피가 팽창함으로써, 스페이서(30)에 의해 형성되는 접합필름(20)과 판유리(10) 사이의 간격을 통해 유리의 외부로 자연스럽게 배출되게 되고, 판유리(20)의 사이에 위치된 접합필름(20)은 전달되는 열에 의하여 융착되며 접촉이 이루어진 판유리(10)를 상호 견고하게 접합시키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접합필름(20)의 일면에 위치된 스페이서(30)는 용융된 접합필름(20)의 내부로 함침되면 고정됨으로써, 접합이 이루어지는 판유리(1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접합필름(20)은, 상온에서 스페이서(30)와 함께 판유리(10) 사이에 개재되면 스페이서(30)를 지지하여 판유리(10)와 접합필름(20) 사이에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스페이서(30) 및 판유리(10)의 하중에 의해 변형되지 않는 합성수지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가열공정이 진행되는 초기에는 판유리(10) 사이에 충진되는 공기층이 가열되어 팽창되면서 스페이서(30)에 의해 형성되는 접합필름(20)과 판유리(10) 사이의 간격으로 공기층이 배출되고, 가열공정이 진행되어 접합필름(20)이 용융되면 스페이서(30)가 접합필름 내부에 함침되므로 스페이서(30)에 의해 판유리(10)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면서 접합필름(20)에 의해 판유리(10) 사이의 간격이 밀폐되어 판유리(10) 사이의 간격에 진공층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스페이서(30)는, 판유리(10) 사이의 간격에 개재되는 볼부재를 포함하고, 접합필름(20)에는 볼부재가 안착되는 삽입홈(21)이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스페이서(30)를 금속재로 구성함으로써, 접합이 이루어지는 판유리(10)의 사이에 스페이서(30)가 위치되는 경우에도 외부 압력에 의하여 손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스페이서(30)가 접합필름(20)의 테두리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된 후, 접합필름(20)이 열융착되는 경우에는 스페이서(30)의 외부를 접합필름(20)이 용이하게 감쌀 수 있도록 하여 스페이서(30)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고, 제조된 진공유리의 진공층(10) 형성을 용이하게 이루도록 한다.
특히, 스페이서(30)가 볼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은, 접합이 이루어지는 판유리(10)의 내면과 접촉되는 면을 최소한으로 유지하여 접합 되는 판유리(10)가 스페이서(30)와의 접촉으로 인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스페이서(30)는, 접합필름(20)의 테두리 길이 방향에 형성되는 삽입홈(21)에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삽입홈(21)의 지름은 볼부재의 지름과 비교하여 작게 형성되어 볼부재를 삽입홈(21)에 안착시키면 볼부재는 접합필름(20)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여 판유리(10)와 접합필름(2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접합필름(20)의 테두리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스페이서(30)를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접합필름(20)과 스페이서(30)의 결합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접합필름(20)에 원형 또는 원통형의 삽입홈(21)을 형성한다.
또한, 볼부재로 이루어지는 스페이서(30)가 삽입되도록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접합이 이루어지는 판유리(1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접합필름(20)의 일면에 위치되어 접합되는 판유리(10)의 사이를 용이하게 이격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삽입홈(21)과 스페이서(30)의 구성과 그 결합되는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진공 복층 유리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진공 복층 유리 제조방법은, 판유리(10) 테두리에 접합필름(20)을 안착시키고, 접합필름(20) 상면에 스페이서(30)를 안착시키는 안착단계와, 스페이서(30)에 의해 지지되도록 판유리(10)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크기의 다른 판유리(10)를 안착시키는 적층단계와, 판유리(10)와 접합필름(20)에 열에너지를 공급하여 접합필름(20)이 용융되면서 판유리(10)의 테두리를 밀폐시키는 가열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가열단계가 진행되는 초기에는 판유리(10) 사이에 충진되는 공기층이 가열되어 팽창되면서 스페이서(30)에 의해 형성되는 접합필름(20)과 판유리(10) 사이의 간격으로 공기층이 배출된다.
이후에, 가열단계가 더 진행되어 접합필름(20)이 용융되면 스페이서(30)가 접합필름(20) 내부에 함침되므로 스페이서(30)에 의해 판유리(10)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면서 접합필름(20)에 의해 판유리(10) 사이의 간격이 밀폐되어 판유리(10) 사이의 간격에 진공층이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판유리(10) 사이의 간격이 어느 정도 개구된 상태에서 가열공정이 진행되므로 가열공정이 진행되는 초기에 판유리(10) 사이에 구비되는 공기층이 팽창되면서 스페이서(30)에 의해 형성되는 판유리(10)와 접합필름(20) 사이의 간격으로 배출되고, 가열공정이 더 진행되면 접합필름(20)이 용융되면서 스페이서(30)가 접합필름(20) 내부로 함침되고, 접합필름(20)이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판유리(10) 테두리에 융착되면서 판유리(10) 사이의 간격을 밀폐시키게 된다.
따라서 종래기술과 같이 판유리(10) 사이의 간격을 밀폐시키면서 판유리(10) 사이의 공기층을 배출시키는 별도의 공정이 생략되고, 판유리(10) 사이의 간격에 공기 외에 다른 작동유체를 충진시키는 공정이 생략되므로 진공층을 형성하는 복층 유리를 제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저진공 복층 유리의 접합필름 및 스페이서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저진공 복층 유리의 접합필름 및 스페이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저진공 복층 유리의 스페이서(30)는, 판유리(10) 사이의 간격에 개재되는 제1선재를 포함하고, 제1선재는 접합필름(20)과 판유리(10) 사이에 개재된다.
따라서 판유리(10)의 테두리를 따라 띠 모양으로 접착되는 접합필름(20)의 상면에 제1선재로 이루어지는 스페이서(30)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안착되므로 판유리(10) 사이의 간격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저진공 복층 유리의 스페이서(30)는, 판유리(10) 사이에 형성되는 진공층을 통과하여 배치되는 제2선재로 이루어지는 보강스페이서(32)를 더 포함하므로 접합필름(20)의 내측 테두리에는 복수개의 안착홈(22)이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상호 마주볼 수 있도록 복수개 형성되고, 안착홈(22)에는 접합이 이루어지는 판유리(10)의 가로 또는 세로 방향을 가로지르는 보강스페이서(32)가 더 설치되게 구성된다.
보강스페이서(32)는 접합을 이루고자 하는 판유리(10)의 사이에 설치되어 접합되는 판유리(10)의 내면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러한 보강스페이스(32)의 결합과정을 용이하게 이루도록 하기 위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합필름(20)의 내측 테두리에는 복수개의 안착홈(22)을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안착홈(22)은 보강스페이서(32)의 양단부를 구속하여 정확한 위치에 안착되도록 하므로 한 쌍의 판유리(10) 사이의 간격에 설치되는 보강스페이서(32)가 판유리(10) 단부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오작업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복수 개의 판유리 테두리를 가열공정에 의해 접합하여 판유리 사이에 저진공 상태를 형성하면서 복층 유리를 제조하고, 판유리 사이에 작동유체를 충진하는 공정을 생략하여 공기층을 구비하는 복층 유리를 제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저진공 복층 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저진공 복층 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저진공 복층 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판유리 20 : 접합필름
21 : 삽입홈 22 : 안착홈
30 : 스페이서 32 : 보강스페이서

Claims (5)

  1.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크기 및 모양으로 형성되고,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는 복수 개의 판유리;
    상기 판유리 테두리에 접착되고, 가열공정에 의해 용융되면서 상기 판유리의 테두리를 서로 접착시켜 상기 판유리 사이의 간격에 저진공층을 형성하는 접합필름; 및
    상기 판유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판유리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고, 상기 가열공정이 진행되어 상기 접합필름이 용융될 때에 상기 접합필름 내부로 함침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접합필름은, 상온에서 상기 스페이서와 함께 상기 판유리 사이에 개재되면 상기 스페이서를 지지하여 상기 판유리와 상기 접합필름 사이에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스페이서 및 상기 판유리의 하중에 의해 변형되지 않는 합성수지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가열공정이 진행되는 초기에는 상기 판유리 사이에 충진되는 공기층이 가열되어 팽창되면서 상기 접합필름과 상기 판유리 사이의 간격으로 공기층이 배출되고,
    상기 가열공정이 진행되어 상기 접합필름이 용융되면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접합필름 내부에 함침되므로 상기 스페이서에 의해 상기 판유리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면서 상기 접합필름에 의해 상기 판유리 사이의 간격이 밀폐되어 상기 판유리 사이의 간격에 진공층이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접합필름과 상기 판유리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판유리 사이의 간격에 개재되는 제1선재와, 상기 판유리 사이에 형성되는 진공층을 통과하여 배치되는 제2선재로 이루어지는 보강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판유리의 테두리를 따라 띠 모양으로 접착되는 상기 접합필름의 상면에 상기 제1선재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안착되므로 상기 판유리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고,
    상기 접합필름의 내측 테두리에는 복수개의 안착홈이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상호 마주볼 수 있도록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는 접합이 이루어지는 상기 판유리의 가로 또는 세로 방향을 가로지르는 상기 보강스페이서가 설치되고,
    상기 안착홈은 상기 보강스페이서의 양단부를 구속하여 정확한 위치에 안착되도록 하므로 한 쌍의 상기 판유리 사이의 간격에 설치되는 상기 보강스페이서가 상기 판유리 단부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오작업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진공 복층 유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a) 판유리 테두리에 접합필름을 안착시키고, 상기 접합필름 상면에 스페이서를 안착시키는 안착단계;
    (b) 상기 스페이서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판유리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크기의 다른 상기 판유리를 안착시키는 적층단계; 및
    (c) 상기 판유리와 상기 접합필름에 열에너지를 공급하여 상기 접합필름이 용융되면서 상기 판유리의 테두리를 밀폐시키는 가열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단계가 진행되는 초기에는 상기 판유리 사이에 충진되는 공기층이 가열되어 팽창되면서 상기 접합필름과 상기 판유리 사이의 간격으로 공기층이 배출되고,
    상기 가열단계가 진행되어 상기 접합필름이 용융되면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접합필름 내부에 함침되므로 상기 스페이서에 의해 상기 판유리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면서 상기 접합필름에 의해 상기 판유리 사이의 간격이 밀폐되어 상기 판유리 사이의 간격에 진공층이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접합필름과 상기 판유리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판유리 사이의 간격에 개재되는 제1선재와, 상기 판유리 사이에 형성되는 진공층을 통과하여 배치되는 제2선재로 이루어지는 보강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판유리의 테두리를 따라 띠 모양으로 접착되는 상기 접합필름의 상면에 상기 제1선재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안착되므로 상기 판유리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고,
    상기 접합필름의 내측 테두리에는 복수개의 안착홈이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상호 마주볼 수 있도록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는 접합이 이루어지는 상기 판유리의 가로 또는 세로 방향을 가로지르는 상기 보강스페이서가 설치되고,
    상기 안착홈은 상기 보강스페이서의 양단부를 구속하여 정확한 위치에 안착되도록 하므로 한 쌍의 상기 판유리 사이의 간격에 설치되는 상기 보강스페이서가 상기 판유리 단부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오작업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진공 복층 유리 제조방법.
KR1020180126379A 2018-10-23 2018-10-23 저진공 복층 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 Active KR102034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379A KR102034489B1 (ko) 2018-10-23 2018-10-23 저진공 복층 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379A KR102034489B1 (ko) 2018-10-23 2018-10-23 저진공 복층 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4489B1 true KR102034489B1 (ko) 2019-10-21

Family

ID=68460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379A Active KR102034489B1 (ko) 2018-10-23 2018-10-23 저진공 복층 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448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3150A (ja) * 1998-05-29 1999-12-14 Central Glass Co Ltd 複層ガラス
JP2007324040A (ja) * 2006-06-02 2007-12-13 Hitachi Ltd 平面型表示装置とその製造方法及び封止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3150A (ja) * 1998-05-29 1999-12-14 Central Glass Co Ltd 複層ガラス
JP2007324040A (ja) * 2006-06-02 2007-12-13 Hitachi Ltd 平面型表示装置とその製造方法及び封止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8862B2 (en) Window having vacuum insulated glass (VIG) unit and frame including vacuum insulated structure(s)
KR102120087B1 (ko) 두꺼운 단열 유리 윈도우 유닛을 수용하도록 설계된 윈도우 프레임 내에 진공 단열 유리 윈도우 유닛을 설치하기 위한 스페이서 시스템
US5027574A (en) Thermally insulating structure
KR102114677B1 (ko) 두꺼운 단열 유리 윈도우 유닛을 수용하도록 설계된 윈도우 프레임 내에 진공 단열 유리 윈도우 유닛을 설치하기 위한 스페이서 시스템
KR101081390B1 (ko) 진공 유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진공유리
JP6635386B2 (ja) 真空ガラスパネルの製造方法
KR100905101B1 (ko) 진공창호유리 및 그 제조방법
KR102567521B1 (ko) 보강 요소를 갖는 스페이서
KR101876516B1 (ko) 결로방지용 진공유리 창호
KR101322585B1 (ko) 진공유리 및 그 제조방법
CN105134027A (zh) 一种中空玻璃及其制造方法
KR100990858B1 (ko) 진공창호유리 및 그 제조방법
KR102034489B1 (ko) 저진공 복층 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
CN115176064A (zh) 具有改进的附着性的间隔件
KR101157111B1 (ko) 단열 글레이징 패널
CN102951791B (zh) 凸面低空玻璃、平板低空玻璃及其制备方法
CN211106093U (zh) 一种多曲面钢化夹层中空玻璃
KR101209946B1 (ko) 진공창 및 진공창의 제조방법
US11193322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glass panel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glass window
CN114517625A (zh) 一种断桥中空玻璃及其制作方法
CN114517626A (zh) 一种柔性边中空玻璃及其制作方法
US20220259916A1 (en) Heat-insulating glass panel
KR20150006120A (ko) 진공 유리
JP2001329758A (ja) 複層ガラスおよび複層ガラス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3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2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1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4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0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0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