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33341B1 - 사이드 도어 임팩트 빔 - Google Patents

사이드 도어 임팩트 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3341B1
KR102033341B1 KR1020180085862A KR20180085862A KR102033341B1 KR 102033341 B1 KR102033341 B1 KR 102033341B1 KR 1020180085862 A KR1020180085862 A KR 1020180085862A KR 20180085862 A KR20180085862 A KR 20180085862A KR 102033341 B1 KR102033341 B1 KR 102033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
base panel
extension part
extension
ben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5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식
김화남
표세준
임동언
Original Assignee
지금강(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금강(주) filed Critical 지금강(주)
Priority to KR1020180085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33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3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334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38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longated elements
    • B60J5/0443B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8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60J5/0481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p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55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24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이드 도어 임팩트 빔에 관한 것으로, 패널 형상을 가지고, 제1굴곡부와 제2굴곡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베이스패널부와, 제1굴곡부와 제2굴곡부의 사이에 리브를 형성하는 보강리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이드 도어 임팩트 빔{SIDE DOOR IMPACT BEAM}
본 발명은 사이드 도어 임팩트 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사이드 도어 내부에 설치되는 사이드 도어 임팩트 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측면 충돌 시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사이드 도어의 내부에 사이드 도어 임팩트 빔이 설치된다. 사이드 도어 임팩트 빔은 차량의 측면 충돌 시 충돌에너지를 흡수, 완화시키면서 사이드 도어가 차실 내로 진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러한 사이드 도어 임펙트 빔은 사이드 도어의 강성을 주요하게 결정하게 되므로, 고장력 강관과 같은 금속재 빔으로 그 제작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0020935호(1999.06.25 공개, 발명의 명칭: 사이드도어 임펙트 빔 충격흡수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차량 탑승자의 안전을 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보다 경량된 무게로 제작할 수 있어 차량의 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사이드 도어 임팩트 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도어 임팩트 빔은, 패널 형상을 가지고, 제1굴곡부와 제2굴곡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베이스패널부; 및 상기 제1굴곡부와 상기 제2굴곡부의 사이에 리브를 형성하는 보강리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패널부는, 상기 베이스패널부와 같은 모재(matrix)를 사용하는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를 프레스 성형하여 형성되고, 상기 보강리브부는, 상기 베이스패널부와 다른 열가소성 수지를 사출 성형에 의해 상기 베이스패널부에 일체로 접합하며 형성되는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패널부는, 상기 제1굴곡부 상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접합강화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리브부는, 사출 성형 시 상기 접합강화홀부의 내부로 인입되어 형성되는 접합강화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굴곡부는, 상기 베이스패널부의 길이방향 중간부에 형성되고, 볼록하게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는 굴곡연장부; 상기 굴곡연장부의 단부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단부측으로 갈수록 굴곡이 완만해지는 형상을 가지는 굴곡변화부; 및 상기 굴곡변화부의 단부에 상기 굴곡연장부보다 완만하게 형성되는 굴곡완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리브부는, 상기 제1굴곡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1연장부; 상기 제2굴곡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2연장부;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의 사이에 복수개가 배치되는 리브부; 및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의 양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패널부의 단부에 대응되는 패널 형상을 가지는 보강패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브부는,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패널부에 밀착되며, 중간부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 높아지는 형상을 가지는 제1리브부; 상기 제1리브부와 교차되게 형성되는 제2리브부; 및 상기 제1리브부와 상기 제2리브부의 교차부에 상기 제1리브부와 상기 제2리브부 보다 확장된 너비로 형성되는 교차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리브부는, 환봉 형상을 가지고 상기 리브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환봉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환봉보강부는, 내부가 중공된 파이프 형상을 가지고, 상기 베이스패널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환봉부; 상기 환봉부의 양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패널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하향 굴곡되게 형성되는 환봉지지부; 및 상기 환봉부의 둘레에 형성되는 환봉리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리브부는, 상기 베이스패널부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양단부가 상기 보강패널부와 연결되는 확장연장부; 및 상기 확장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를 연결하며,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되는 확장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도어 임팩트 빔은, 제1굴곡부와 제2굴곡부가 베이스패널부 상에 나란히 배치되어 굽힘 강성을 다중으로 보강할 수 있고, 제1굴곡부와 제2굴곡부의 사이에 복수개의 리브를 형성함으로서 다양한 방향에서 작용하는 굽힘력에 대한 굽힘 강성을 보다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도어 임팩트 빔은, 열가소성 수지로 베이스패널부와 보강리브부를 제작하더라도, 고장력 강관을 적용하던 기존과 비교해, 차량 탑승자의 안전을 위한 강성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보다 경량된 무게로 제작할 수 있어 차량의 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도어 임팩트 빔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도어 임팩트 빔의 베이스패널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도어 임팩트 빔의 보강리브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요부 분해사도이다.
도 7은 도 1의 B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1의 C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1의 D-D'선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도어 임팩트 빔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도어 임팩트 빔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도어 임팩트 빔의 베이스패널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도어 임팩트 빔의 보강리브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요부 분해사도이며, 도 7은 도 1의 B부분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1의 C부분 확대도이고, 도 9는 도 1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도어 임팩트 빔은 베이스패널부(100)와 보강리브부(200)를 포함한다.
베이스패널부(100)는 기본 골조를 이루는 부분으로, 패널 형상을 가지며, 제1굴곡부(110)와 제2굴곡부(120)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 보강리브부(200)는 베이스패널부(100)의 강성을 보강하는 부분으로, 제1굴곡부(110)와 제2굴곡부(120)의 사이에 복수개의 리브를 형성한다.
베이스패널부(100)는 열가소성 수지를 프레스 성형하는 과정을 거쳐 설정 강도로 제작된다. 베이스패널부(100)의 소재로는 열가소성 연속섬유 플라스틱(CFT, continuous fiber thermoplastic), 열가소성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CFRTP, carbon fibre reinforced thermoplastic), 프리프레그(Prepreg, Preimpregnated Materials) 등을 적용할 수 있으며, 베이스패널부(100)는 이러한 소재를 핫 프레스 몰딩(hot compression molding) 성형하거나, 레이저나 워터젯으로 커팅하여 제작할 수 있다.
프리프레그는 결합재(matrix)를 강화섬유(Reinforced Fiber)에 미리 함침시킨 시트(sheet) 형태의 소재로, 강화 섬유에 열경화성 수지를 침투시켜 반 경화상태로 만든 것이다. 강화섬유로는 주로 탄소섬유, 유리섬유, 아라미드섬유 등이 이용되고 있으며, 결합재로는 에폭시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 열가소성수지 등이 사용된다. 프리프레그를 이용하여 생산된 복합재료는 타 재료에 비해 강도, 강성도, 내식성, 피로수명, 내마모성, 내충격성, 경량화 등의 다양한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보강리브부(200)는 베이스패널부(100)와 같은 모재(matrix)를 사용하는 열가소성 수지 또는 베이스패널부(100)와 다른 열가소성 수지를, 즉 이종 재질을 사출 성형에 의해 베이스패널부(100)에 일체로 접합하며 형성된다. 보강리브부(200)의 소재로는 열가소성 장섬유 플라스틱(long fiber thermoplastic) 등을 적용할 수 있으며, 보강리브부(200)는 베이스패널부(100)를 사출 금형에 인서트(insert)한 상태에서 사출 성형함으로써, 베이스패널부(100)와 함께 결합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열가소성 장섬유 플라스틱은 동일 길이의 섬유(예를 들어, 6~25mm)를 열가소성 수지로 함침하여 제조된다. 열가소성 장섬유 플라스틱은 열가소성 연속섬유 플라스틱과 비교해 가공성이 우수하여 사출에 의해 3차원 입체구조 및 미세구조를 신뢰성 있게 제작가능하며, 단섬유 보강 소재과 대비해, 물리적 강성이 우수하고, 인장 강도와 충격 강도를 동시에 유지할 수 있며, 피로저항성과 내크립성이 우수하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패널부(100)는 제1굴곡부(110), 제2굴곡부(120), 접합강화홀부(130)를 포함한다.
제1굴곡부(110)는 상측으로 볼록하게 구부러진 단면 형상을 가지며, 베이스패널부(100)의 길이방향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 연장되게 형성된다. 제2굴곡부(120)는 제1굴곡부(11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제1굴곡부(110)와 이격된 위치에서 제1굴곡부(110)와 나란하게 연장된다. 이에 따라, 제1굴곡부(110)와 제2굴곡부(120)의 사이에는 오목한 형상의 공간부(이하, '리브공간부(S)'라 한다.)가 형성되며, 리브공간부(S) 상에는 보강리브부(200)의 리브부(240)가 배치된다.
제1굴곡부(110)는 굴곡연장부(111), 굴곡변화부(112), 굴곡완만부(113)를 포함한다. 굴곡연장부(111)는 베이스패널부(100)의 길이방향 중간부에 형성되고, 볼록하게 구부러진 형상을 가진다. 굴곡변화부(112)는 굴곡연장부(111)의 양단부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베이스패널부(100)의 길이방향 단부측으로 갈수록 굴곡이 완만해지는 형상을 가진다. 굴곡완만부(113)는 굴곡변화부(112)의 단부에 굴곡연장부(111)보다 완만하게 형성된다.
제2굴곡부(120)는 제1굴곡부(110)와 동일한 구조을 가지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굴곡부(110)와 제2굴곡부(120)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굴곡부가,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개의 굴곡연장부(111)가 나란히 배치됨에 따라 베이스패널부(100)의 굽힘 강성을 다중으로 보강하게 된다. 굴곡완만부(113)에 의해 베이스패널부(100)의 양단부는 평탄한 형상을 가지게 되며, 이에 따라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사이드 도어 패널 등에 안정되게 밀착시킨 상태로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도어 임팩트 빔의 양단부는 리벳이나 볼팅으로 사이드 도어 패널에 조립되며, 결합 강성 보강을 위해 구조용 접착제를 사용한다.
또한, 제1굴곡부(110)와 제2굴곡부(120)의 사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부분(이하 '탄성굴곡부(140)'라 한다.)은 차량의 사이드 도어에 충격력이 작용하게 되는 경우, 그 충격력이 가장 먼저 전해지게 되는 부분인데, 탄성굴곡부(140)에 충격력이 가해지면 보다 평탄하게 탄성변형되면서 충격력의 일부를 흡수, 완화시킴과 동시에, 제1굴곡부(110)와 제2굴곡부(120)로 그 충격력이 분산시키게 된다.
접합강화홀부(130)는 보강리브부(200)와의 결합력을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 제1굴곡부(110)와 제2굴곡부(120) 상에 관통되게 형성되고, 제1굴곡부(110)와 제2굴곡부(120)의 연장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된다. 베이스패널부(100)를 인서트한 상태로 보강리브부(200)를 사출 성형하는 과정에서 보강리브부(200)의 소재가 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강화홀부(130)의 내부로 인입되고, 경화 시 그 형상이 고정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접합강화홀부(130)로 인입된 부분을 접합강화돌출부(230)라 한다.
보강리브부(200) 성형 시, 베이스패널부(100)의 일측면부에서 접합강화홀부(130)의 내부로 인입된 사출 소재는 접합강화홀부(130)를 통과하여 베이스패널부(100)의 타측면부까지 도달된다. 이에 따라 접합강화돌출부(230)는 접합강화홀부(130)를 관통하는 리벳(rivet) 형상을 가진다.
접합강화홀부(130)와 접합강화돌출부(230)에 의해, 베이스패널부(100)와 보강리브부(200)간의 결합이 베이스패널부(100)의 일측면부에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베이스패널부(100)의 내부 및 타측면부에서도 이루어지게 된다. 즉, 베이스패널부(100)와 보강리브부(200)간의 결합이 다양한 3차원 방향에서 이루어지게 되고, 특히 접합강화돌출부(230)의 리벳 형상에 의해 보강리브부(200)가 베이스패널부(100)에 보다 견고하게 접합, 구속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리브부(200)는 제1연장부(210), 제2연장부(220), 접합강화돌출부(230), 리브부(240), 환봉보강부(250), 보강패널부(260), 확장연장부(270), 확장연결부(280)를 포함한다.
제1연장부(210)는 제1굴곡부(110)의 상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굴곡부(110)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 제2연장부(220)는 제2굴곡부(120)의 상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굴곡부(120)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 접합강화돌출부(230)는 제1연장부(210)와 제2연장부(220) 상에 복수개가 이격되게 형성되고, 베이스패널부(100)의 접합강화홀부(130)에 인입된다. 접합강화돌출부(230)의 상세한 구조와 작용에 대해서는 접합강화홀부(130)에 대한 설명에 언급된 바 그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리브부(240)는 제1연장부(210)와 제2연장부(220)의 사이에, 즉 리브공간부(S) 상에 복수개가 연속하여 배치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브부(240)는 제1리브부(241), 제2리브부(242), 교차보강부(243)를 포함한다.
제1리브부(241)는 양단부가 제1연장부(210), 제2연장부(220)와 각각 연결되고, 제1연장부(210), 제2연장부(220)의 연장방향과 상대각도를 가지도록 비스듬하게 연장된 형상을 가진다. 제2리브부(242)는 제1리브부(241)와 'X'자 형상으로 교차되게 형성된다. 제1리브부(241)와 제2리브부(242)가 'X'자 형상으로 교차된 형상을 가짐에 따라, '+'자 형상을 가지는 경우와 비교해, 베이스패널부(100)와의 접합면적을 보다 확장시킬 수 있어 접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좌우측, 상하측, 대각선방향을 포함한 다양한 방향에서 작용하는 굽힘력에 대한 굽힘 강성을 보다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제1리브부(241)의 상부는 평탄한 형상을 가지며, 측면부 및 하부는 제1굴곡부(110)와 제2굴곡부(120)의 측면부 및 탄성굴곡부(14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베이스패널부(100)에 밀착, 접합된다. 이때 제1리브부(241)는 연장방향의 중간부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 높아지는 형상을 가지게 되고, 이에 따라 제1리브부(241)는 중간부의 높이에 해당되는, 다른 표현으로는 리브공간부(S)의 높이에 해당되는 뒤틀림 강성, 굽힘 강성을 구현하게 된다.
교차보강부(243)는 제1리브부(241)와 제2리브부(242)의 교차부에 제1리브부(241)와 제2리브부(242) 보다 확장된 너비로 형성된다. 교차보강부(243)는 제1리브부(241)와 제2리브부(242)간 교차부를 따라, 다른 표현으로는 제1리브부(241)와 제2리브부(242)의 중간부에, 상하로 연장되는 기둥형으로 현성된다. 교차보강부(243)에 의해 제1리브부(241)와 제2리브부(242)의 강성을 보다 안정되게 확보할 수 있고, 베이스패널부(100)에 대한 리브부(240)의 결합력을 강화할 수 있다.
환봉보강부(250)는 복수개의 리브부(240)와 함께 베이스패널부(100)의 굽힘 강성을 보다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 환봉 형상을 가지고 리브부(240)의 사이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베이스패널부(100)의 길이방향 중간부에 배치된다. 도 8,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봉보강부(250)는 환봉부(251), 환봉지지부(252), 환봉리브부(253)를 포함한다.
환봉부(251)는 내부가 중공된 파이프 형상을 가지고, 베이스패널부(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환봉부(251)의 상부는 제1굴곡부(110)와 제2굴곡부(120)와 마찬가지로 상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고, 환봉부(251)의 하부는 탄성굴곡부(140)와 마찬가지로 하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환봉부(251)의 상부는 리브공간부(S) 상에서 제1굴곡부(110), 제2굴곡부(120)가 구현하는 굽힘 강성에 더하여, 굽힘 강성을 강화하게 되고, 환봉부(251)의 하부는 탄성굴곡부(140)가 구현하는 강성 및 탄성력에 더하여, 강성 및 탄성력을 강화하게 된다.
환봉지지부(252)는 환봉부(251)의 양단부와 연결되고, 베이스패널부(100)의 탄성굴곡부(14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하향 굴곡되게 형성된다. 환봉부(251)는 환봉지지부(252)에 의해 설정 위치에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다. 환봉리브부(253)는 환봉부(251)의 둘레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환봉부(251)의 상부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환봉부(251)의 강성을 보강한다.
보강패널부(260)는 베이스패널부(100)의 길이방향 양단부를 보강하기 위한 부분으로, 베이스패널부(100)의 단부에 대응되는 패널 형상을 가지고, 제1연장부(210)와 제2연장부(220)의 양단부와 연결된다. 보강패널부(260)에 의해 베이스패널부(100)의 강성을 보다 강화할 수 있고, 제1연장부(210), 제2연장부(220), 리브부(240)의 단부를 베이스패널부(100)에 안정되게 결속, 지지할 수 있다.
확장연장부(270)는 베이스패널부(100)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다른 표현으로는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너비방향의 양단부에 베이스패널부(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확장연장부(270)의 양단부는 보강패널부(260)와 연결된다. 확장연장부(270)는 제1연장부(210), 제2연장부(220)와 설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된다.
확장연결부(280)는 확장연장부(270)와 제1연장부(210)를 연결하고, 확장연장부(170)와 제2연장부(210)를 연결한다. 확장연결부(280)는 제1굴곡부(110)와 제2굴곡부(120)의 측면부를 따라 선형의 형상으로 연장되고, 확장연장부(270)의 연장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된다. 베이스패널부(100)는 제1굴곡부(110)와 제2굴곡부(120)에 의해 3차원 입체 형상을 가지는데, 확장연장부(270)와 확장연결부(280)에 의해, 제1연장부(210)와 제2연장부(220)를 포함한 보강리브부(200) 전체가 베이스패널부(100)의 일측면부 전방에 걸쳐에 안정되게 접합, 결속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도어 임팩트 빔에 의하면, 제1굴곡부(110)와 제2굴곡부(120)가 베이스패널부(100) 상에 나란히 배치되어 굽힘 강성을 다중으로 보강할 수 있고, 제1굴곡부(110)와 제2굴곡부(120)의 사이에 복수개의 리브를 형성함으로서 다양한 방향에서 작용하는 굽힘력에 대한 굽힘 강성을 보다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도어 임팩트 빔에 의하면, 열가소성 수지로 베이스패널부(100)와 보강리브부(200)를 제작하더라도, 고장력 강관을 적용하던 기존과 비교해, 차량 탑승자의 안전을 위한 강성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보다 경량된 무게로 제작할 수 있어 차량의 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100 : 베이스패널부 110 : 제1굴곡부
111 : 굴곡연장부 112 : 굴곡변화부
113 : 굴곡완만부 120 : 제2굴곡부
130 : 접합강화홀부 140 : 탄성굴곡부
200 : 보강리브부 210 : 제1연장부
220 : 제2연장부 230 : 접합강화돌출부
240 : 리브부 241 : 제1리브부
242 : 제2리브부 243 : 교차보강부
250 : 환봉보강부 251 : 환봉부
252 : 환봉지지부 253 : 환봉리브부
260 : 보강패널부 270 : 확장연장부
280 : 확장연결부

Claims (9)

  1. 패널 형상을 가지고, 제1굴곡부와 제2굴곡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베이스패널부; 및
    상기 제1굴곡부와 상기 제2굴곡부의 사이에 리브를 형성하는 보강리브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패널부는,
    상기 제1굴곡부 상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접합강화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리브부는,
    사출 성형 시 상기 접합강화홀부의 내부로 인입되어 형성되는 접합강화돌출부;를 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도어 임팩트 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패널부는, 열가소성 수지를 프레스 성형하여 형성되고,
    상기 보강리브부는, 상기 베이스패널부와 같은 모재(matrix)를 사용하는 열가소성 수지 또는 상기 베이스패널부와 다른 열가소성 수지를 사출 성형에 의해 상기 베이스패널부에 일체로 접합하며 형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도어 임팩트 빔.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굴곡부는,
    상기 베이스패널부의 길이방향 중간부에 형성되고, 볼록하게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는 굴곡연장부;
    상기 굴곡연장부의 단부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단부측으로 갈수록 굴곡이 완만해지는 형상을 가지는 굴곡변화부; 및
    상기 굴곡변화부의 단부에 상기 굴곡연장부보다 완만하게 형성되는 굴곡완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도어 임팩트 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리브부는,
    상기 제1굴곡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1연장부;
    상기 제2굴곡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2연장부;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의 사이에 복수개가 배치되는 리브부; 및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의 양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패널부의 단부에 대응되는 패널 형상을 가지는 보강패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도어 임팩트 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부는,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패널부에 밀착되며, 중간부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 높아지는 형상을 가지는 제1리브부;
    상기 제1리브부와 교차되게 형성되는 제2리브부; 및
    상기 제1리브부와 상기 제2리브부의 교차부에 상기 제1리브부와 상기 제2리브부 보다 확장된 너비로 형성되는 교차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도어 임팩트 빔.
  7. 패널 형상을 가지고, 제1굴곡부와 제2굴곡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베이스패널부; 및
    상기 제1굴곡부와 상기 제2굴곡부의 사이에 리브를 형성하는 보강리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리브부는,
    상기 제1굴곡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1연장부;
    상기 제2굴곡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2연장부;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의 사이에 복수개가 배치되는 리브부;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의 양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패널부의 단부에 대응되는 패널 형상을 가지는 보강패널부; 및
    환봉 형상을 가지고 상기 리브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환봉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도어 임팩트 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환봉보강부는,
    내부가 중공된 파이프 형상을 가지고, 상기 베이스패널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환봉부;
    상기 환봉부의 양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패널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하향 굴곡되게 형성되는 환봉지지부; 및
    상기 환봉부의 둘레에 형성되는 환봉리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도어 임팩트 빔.
  9. 패널 형상을 가지고, 제1굴곡부와 제2굴곡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베이스패널부; 및
    상기 제1굴곡부와 상기 제2굴곡부의 사이에 리브를 형성하는 보강리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리브부는,
    상기 제1굴곡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1연장부;
    상기 제2굴곡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2연장부;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의 사이에 복수개가 배치되는 리브부;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의 양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패널부의 단부에 대응되는 패널 형상을 가지는 보강패널부;
    상기 베이스패널부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양단부가 상기 보강패널부와 연결되는 확장연장부; 및
    상기 확장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를 연결하며,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되는 확장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도어 임팩트 빔.
KR1020180085862A 2018-07-24 2018-07-24 사이드 도어 임팩트 빔 Active KR102033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862A KR102033341B1 (ko) 2018-07-24 2018-07-24 사이드 도어 임팩트 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862A KR102033341B1 (ko) 2018-07-24 2018-07-24 사이드 도어 임팩트 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3341B1 true KR102033341B1 (ko) 2019-10-18

Family

ID=68462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5862A Active KR102033341B1 (ko) 2018-07-24 2018-07-24 사이드 도어 임팩트 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334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09217A (zh) * 2020-07-23 2020-12-01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复合材料车门防撞梁及其制备方法
KR20210080028A (ko) * 2019-12-20 2021-06-30 주식회사 동희산업 차량용 부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른 차량용 부재
KR20240107917A (ko) 2022-12-30 2024-07-09 현대제철 주식회사 도어 임팩트 빔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0935U (ko) * 1997-11-28 1999-06-25 양재신 사이드도어 임펙트 빔 충격흡수장치
EP1099581A2 (de) * 1999-11-13 2001-05-16 Benteler Ag Seitenaufprallträger
JP3184695B2 (ja) * 1994-02-18 2001-07-09 高島屋日発工業株式会社 衝撃エネルギー吸収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自動車用ドアトリム
KR20080098540A (ko) * 2006-03-23 2008-11-10 엑손모빌 케미칼 패턴츠 인코포레이티드 도어 시스템
JP2011098684A (ja) * 2009-11-09 2011-05-19 Mazda Motor Corp 車両の上部車体構造
KR20120110103A (ko) * 2009-11-25 2012-10-09 마그나 오토모티브 서비시스 게엠베하 차량 도어 보강 빔
JP2014169032A (ja) * 2013-03-04 2014-09-18 Mazda Motor Corp 車両のドア構造
KR20150060147A (ko) * 2013-11-26 2015-06-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플라스틱 도어 임팩트 빔
US20180141415A1 (en) * 2016-11-21 2018-05-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door reinforcing beam
KR20180056941A (ko) * 2016-11-21 2018-05-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하이브리드 범퍼 빔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4695B2 (ja) * 1994-02-18 2001-07-09 高島屋日発工業株式会社 衝撃エネルギー吸収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自動車用ドアトリム
KR19990020935U (ko) * 1997-11-28 1999-06-25 양재신 사이드도어 임펙트 빔 충격흡수장치
EP1099581A2 (de) * 1999-11-13 2001-05-16 Benteler Ag Seitenaufprallträger
KR20080098540A (ko) * 2006-03-23 2008-11-10 엑손모빌 케미칼 패턴츠 인코포레이티드 도어 시스템
JP2011098684A (ja) * 2009-11-09 2011-05-19 Mazda Motor Corp 車両の上部車体構造
KR20120110103A (ko) * 2009-11-25 2012-10-09 마그나 오토모티브 서비시스 게엠베하 차량 도어 보강 빔
JP2014169032A (ja) * 2013-03-04 2014-09-18 Mazda Motor Corp 車両のドア構造
KR20150060147A (ko) * 2013-11-26 2015-06-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플라스틱 도어 임팩트 빔
US20180141415A1 (en) * 2016-11-21 2018-05-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door reinforcing beam
KR20180056941A (ko) * 2016-11-21 2018-05-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하이브리드 범퍼 빔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0028A (ko) * 2019-12-20 2021-06-30 주식회사 동희산업 차량용 부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른 차량용 부재
KR102285358B1 (ko) * 2019-12-20 2021-08-03 (주)동희산업 차량용 부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른 차량용 부재
CN112009217A (zh) * 2020-07-23 2020-12-01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复合材料车门防撞梁及其制备方法
KR20240107917A (ko) 2022-12-30 2024-07-09 현대제철 주식회사 도어 임팩트 빔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3341B1 (ko) 사이드 도어 임팩트 빔
KR101724966B1 (ko) 차량용 도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차량용 도어
JP5734459B2 (ja) 自動車用繊維強化樹脂部材
KR101797460B1 (ko) 고강도 사출소재 인서트 방식 카울크로스멤버 및 이의 제조방법
US9365244B2 (en) Crossmember for a vehicle dashboard provided with a reinforcing back brace made of a fibrous composite
US9821739B2 (en) Automobile bumper
CN104010885B (zh) 内置纤维复合增强材料的保险杠后梁及保险杠
JP2019162920A (ja) 車両骨格構造
KR102024776B1 (ko) 인서트 사출 성형구조를 갖는 카울크로스맴버
WO2015080037A1 (ja) 自動車用バンパー
KR101714164B1 (ko) 차량용 복합재 멤버 및 그 제조방법
WO2013133146A1 (ja) ビーム成形品およびそれを用いたバンパレインフォース
US10919351B1 (en) Loading bracket for composite structural components
JP6924118B2 (ja) 防振装置用ブラケット及び防振装置用ブラケットの製造方法
KR102230088B1 (ko) 사이드 도어 임팩트 빔
JP6369631B2 (ja) 車両用ドア構造
KR102451872B1 (ko) 차량용 하이브리드 범퍼 빔
KR20150116934A (ko) 스티프너 일체형 자동차용 범퍼빔
JP4328175B2 (ja)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製車両用フード
KR102429065B1 (ko) 차량의 루프 패널 어셈블리
JP2005000194A (ja) 背もたれの骨格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80070752A (ko) 자동차 카울 구조
JP7258539B2 (ja) ブラケット
US11603021B2 (en) Seat frame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5028797B2 (ja)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8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0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0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