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33100B1 - 프로그래시브 다이셋 - Google Patents

프로그래시브 다이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3100B1
KR102033100B1 KR1020190040025A KR20190040025A KR102033100B1 KR 102033100 B1 KR102033100 B1 KR 102033100B1 KR 1020190040025 A KR1020190040025 A KR 1020190040025A KR 20190040025 A KR20190040025 A KR 20190040025A KR 102033100 B1 KR102033100 B1 KR 102033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 block
die
present
coupl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0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극동프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극동프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극동프레스
Priority to KR1020190040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31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3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310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8Dies with different parts for several steps in a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4Particular arrangements for handling and holding in place complete 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그래시브 금형의 충격에 대한 완충성을 확보할 수 있는 프로그래시브 다이셋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일면에 복수의 펀치(110)가 결합되며, 타측에 유압실린더가 장착된 펀치홀더와 일면에 복수의 다이가 결합되는 다이홀더와펀치홀더 및 다이홀더를 결합하는 가이드핀과 다이홀더 타면에 결합되며 복수로 형성되는 지지블록과 지지블록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프로그래시브 다이셋{Progressive Die Set}
본 발명은 프로그래시브 금형의 충격에 대한 완충성을 확보할 수 있는 프로그래시브 다이셋에 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1은 상,하부금형(101)(105)에 각각 펀치(110)와 다이(210)가 설치되고, 연속적이면서 단계적으로 공급되는 강판(5)을 가공하여 와이퍼 프레임(1)을 성형하는 프로그래시브 금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강판(5)을 와이퍼 프레임(1)의 펼쳐진 형상으로 따내는 제 1 노칭금형(110); 상기 따진 상태의 와이퍼 프레임(1)의 양측 일정범위를 하측방향으로 단계적 밴딩하는 제 1 및 제 2 밴딩금형(120)(140); 상기 밴딩 완료된 와이퍼 프레임(1) 전체를 일정각도 회전시키기 위한 준비단계로서, 와이퍼 프레임(1)을 지지하는 강판(5)의 양단부에 절개부(6)를 형성하여 밴딩편(7)을 형성하는 제 2 노칭금형(150); 상기 와이퍼 프레임(1)에 리벳(4)을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밴딩편(7)을 절곡하여 와이퍼 프레임(1) 전체를 90° 회전시키는 제3 밴딩금형(170); 상기 90° 회전완료된 와이퍼 프레임(1)의 리벳공(3)에 리벳(4)을 삽입하는 리벳 인서트 금형(180); 상기 와이퍼 프레임(1)에 삽입된 리벳(4)을 코킹하는 코킹금형(190); 상기 90° 회전된 와이퍼 프레임(1)을 초기상태로 복귀시키는 리버스밴딩금형(200); 상기 성형 완료된 와이퍼 프레임(1)을 일정 개수씩 한 묶음이 되도록 강판(5)을 커팅하는 커팅금형(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문헌 002는 이송이 이루어지는 소재의 위치를 편리하게 유지시키며 안정적인 이송을 이룰 수 있고, 받침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하는 이동부(320), 이송부의 어느 하나의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도 전체 장비의 교체 없이 손상된 부위만을 편리하게 교체하며 사용할 수 있는 다열프로그래시브 성형이 가능한 트랜스퍼금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소재공급부와 연결되어 소재를 가이드하는 이송판을 일측에 연결하고, 상측에는 복수개의 가이드바를 구비한 받침플레이트와;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가이드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320)와; 상기 이동부(320)에 설치하여 이동부(320)의 유동에 따라 상기 이송판으로 가이드되는 소재를 클램핑하고,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하여 이송되는 소재의 상면을 가압하는 프레스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특허문헌 003은 원기둥 형태의 제1고정봉이 네모서리에 각각 돌출되며 상면에 다이(210)가 고정된 하부금형과, 상기 제1고정봉에 삽입되는 제1고정홀이 네모서리에 각각 형성되며 하면에 다이(210)와 밀착되는 펀치(110)가 고정된 상부금형과, 양단에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동박이 인쇄된 PCB기판이 상/하부금형 사이에 삽입되어 일정크기의 알루미늄기판으로 성형되는 금형에 있어서, 상기 다이(210)는 상면 네모서리에 각각 원형으로 형성된 제2고정홀과, PCB기판 진입시 양단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제1고정핀과, 상면 전방측에 PCB기판의 스크랩이 배출되도록 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관통된 일직선 형태의 제1스크랩홀과, 상기 제1스크랩홀과 소정거리 떨어진 후방측에 스크랩이 배출되도록 횡방향으로 관통된 일직선 형태의 제2스크랩홀과, 상기 제1,2스크랩홀 좌우측에 볼팅되며 PCB기판 양단에 밀착되어 슬라이드되는 가이드블록과, 상기 가이드블록 전/후방에 각각 돌출되어 가이드블록에 진입/출되는 PCB기판이 정렬되는 제2,3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블록 내측에서 스프링에 의해 승강되며 PCB기판을 하부에서 상부로 압축해 고정되도록 하는 가이드봉과, 후방에 하부금형을 향해 하향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펀치(110)는 하면 네모서리에 제2고정홀에 삽입되는 원기둥 형태의 제2고정봉이 다수개 형성되며, 하면 전방에 횡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이루며 돌출 고정되어 제1스크랩홀에 삽입되는 제1전단펀치(110)와, 상기 제1전단펀치(110)와 소정거리 떨어진 후방측에 돌출 고정되며 제2스크랩홀에 삽입되는 제2전단펀치(110)와, 상기 제1,2전단펀치(110) 좌우 양측에 가이드봉 중심과 일치되어 다수개 돌출된 가이드핀(300)과, 상기 가이드블록이 수용되는 가이드블록홈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허문헌 004는 원자재를 가압하여 인너스트립의 보강부를 형성하는 포밍부(forming portion)와, 상기 포밍부와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공급된 상기 인너스트립에 나사홀을 천공하는 피보팅부(pivoting portion)와, 그리고 상기 인너스트립의 가장자리를 트리밍하는 트리밍부(trimming portion)를 포함한다.
KR 10-2006-0005962 A (2006년 01월 18일) KR 10-2017-0073334 A (2017년 06월 28일) KR 10-2011-0047100 A (2011년 05월 06일) KR 10-2008-0109484 A (2008년 12월 17일)
본 발명은 프로그래시브 금형의 충격에 대한 완충성을 확보할 수 있는 프로그래시브 다이셋에 대한 것이다.
종래 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일면에 복수의 펀치(110)가 결합되며, 타측에 유압실린더(120)가 장착된 펀치홀더(100);, 일면에 복수의 다이(210)가 결합되는 다이홀더(200);, 상기 펀치홀더(100) 및 다이홀더(200)를 결합하는 가이드핀(300);, 상기 다이홀더(200) 타면에 결합되며 복수로 형성되는 지지블록(400);, 상기 지지블록(400)을 지지하는 지지대(500);를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프로그래시브 다이셋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펀치홀더(100), 다이홀더(200), 가이드핀(300), 지지블록(400), 지지대(5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지지블록(400) 양면에 형성된 이동돌기(410);, 상기 이동돌기(410)와 결합되며, 상기 다이홀더(200) 및 지지대(500)에 형성된 이동홈(420);을 부가한다.
본 발명은 프로그래시브 다이셋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펀치홀더(100), 다이홀더(200), 가이드핀(300), 지지블록(400), 지지대(5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지지블록(400)은 상기 다이홀더(200)와 결합되는 제 1지지블록(440);, 상기 지지대(500)와 결합되는 제 2지지블록(45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프로그래시브 다이셋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펀치홀더(100), 다이홀더(200), 가이드핀(300), 지지블록(400), 지지대(5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복수로 형성되는 상기 지지블록(400)에 연결되며, 상기 지지블록(400)의 수평이동 및 압력을 조절하는 컨트롤러(60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프로그래시브 금형의 하중을 균일하게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펀치가 다이에 결합될 때 발생하는 충격하중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지지블록의 수평이동에 따라 복수의 펀치에 의하여 각각 발생하는 충격하중을 각각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지블록 내부에 탄성력이 확보된 고무블록 및/또는 스프링이 형성되어 완충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지지블록 내부에 실린더가 구비되어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지지블록 내부에 형성되는 유압실린더와 축압부가 결합되어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컨트롤러에 의하여 복수의 지지블록을 제어함에 따라 충격하중에 따라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프로그래시브 다이셋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로그래시브 다이셋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지지블록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지지블록이 다이홀더 및 지지대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클램프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축압부가 결합된 지지블록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컨트롤러에서 복수의 지지블록을 제어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프로그래시브 다이셋에 있어서, 일면에 복수의 펀치(110)가 결합되며, 타측에 유압실린더(120)가 장착된 펀치홀더(100);, 일면에 복수의 다이(210)가 결합되는 다이홀더(200);, 상기 펀치홀더(100) 및 다이홀더(200)를 결합하는 가이드핀(300);, 상기 다이홀더(200) 타면에 결합되며 복수로 형성되는 지지블록(400);, 상기 지지블록(400)을 지지하는 지지대(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금속시트의 프레스금형을 위한 다이셋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연속공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프로그래시브 프레스 금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이셋은 금속시트 양면에 펀치(110) 및 다이(210)를 위치하며, 펀치(110)측은 펀치홀더(100)에 결합되며, 다이(210)는 다이홀더(200)와 결합된다. 상기 펀치(110)와 다이(210)는 커플로 형성되며, 복수로 이루어지며, 순차진행을 위해 일렬로 나열된다. 상기 펀치홀더(100) 및 다이홀더(200)의 완전한 결합성을 확보하기 위해 복수의 가이드핀(300)이 펀치홀더(100) 및 다이홀더(200)를 가변적으로 제결한다. 프로그래시브금형의 종래의 발명들은 복수의 가공조건에서 발생되는 하중을 다이(210)가 균일하게 지지하는 특징을 가진다. 단순한 효과를 가질 수 있으나, 소성 가공력이펀치(110)마다 균일하게 작용하지 않으며, 펀치(110)로부터 발생된 충격하중이 다이(210)에 온전히 전달되어, 펀치(110) 및 다이(210)의 파손이 쉽게 발생되는 문제를 야기시켰다. 본 발명의 특징은 지지블록(400)에 있다. 본 발명의 지지블록(400)은 지지대(500)에 안착되어, 다이홀더(200)와 결합된다. 상기 지지블록(400)은 후술되는 실시예에 제시된 바와 같이 위치가변성이 확보되며, 완충성을 확보하는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1-2] 본 발명의 프로그래시브 다이셋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핀(300)은 고정부(310) 및 이동부(3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1-3] 본 발명의 프로그래시브 다이셋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320)는 부싱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4] 본 발명의 프로그래시브 다이셋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펀치홀더(100) 및 다이홀더(200) 사이에 형성되며, 내부에 가이드핀(300)이 위치하는 리턴스프링(3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가이드핀(300)에 대한 것이며, 가이드핀(300)은 양단부가 펀치홀더(100)와 다이홀더(200)에 결합되며, 펀치홀더(100)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며, 이는 펀치(110)와 다이(210)의 완전한 결합을 유도한다. 펀치홀더(100)는 상부에 형성되는 유압실린더(120)에 의하여 승하강하며, 하단에 다수의 펀치(110)가 구비됨에 따라 펀치홀더(100)의 하강에 의해 금속시티를 가공한다. 이때, 펀치홀더(100)가 하강할 때 위치가 가변되면 금속시트를 정확하게 가공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이드핀(300)은 유압실린더(120)에 의하여 승하강하는 펀치홀더(100)를 가이드해야 한다. 따라서, 가이드핀(300)은 다이홀더(200)에 고정되는 고정부(310)와 펀치홀더(100)에 결합되는 이동부(320)로 형성되며, 펀치(110)와 다이(210)가 완전한 결합을 이루도록 유도한다. 고정부(310)는 다이홀더(200)에 고정되며, 고정부(310) 외측에 리턴스프링(330)이 형성되며, 이는 펀치홀더(100)의 상승을 원활하게 가이드한다. 이동부(320)는 부싱으로 형성되며, 펀치홀더(10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이드핀(300)은 펀치홀더(100)와 다이홀더(200) 사이에 복수로 형성되며, 펀치홀더(100)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며, 그에 따라 펀치(110)와 다이(210)의 완전한 결합을 유도하여 금속시트의 가공에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프로그래시브 다이셋에 대한 것이며, 앞에 제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400) 양면에 형성된 이동돌기(410);, 상기 이동돌기(410)와 결합되며, 상기 다이홀더(200) 및 지지대(500)에 형성된 이동홈(420);을 포함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의 프로그래시브 다이셋은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이동돌기(410) 및 이동홈(420)의 위치는 치환되어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지블록(4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다이홀더(200)와 지지대(500) 사이에서 수평으로 이동하는 지지블록(400)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프로그래시브금형은 유압실린더(120)에 의하여 복수의 펀치(110)가 하강하며, 펀치(110)와 다이(210)가 결합됨에 따라 금속소재(10)가 가공된다. 이때, 복수의 펀치(110)는 반복적으로 복수의 다이(210)에 충격하중을 가하게 되며, 복수의 다이(210)에 작용하는 충격은 각각 다르게 적용되며, 반복적인 충격하중에 의하여 다이(210) 및 다이홀더(200)가 변형 및 파손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다이홀더(200)와 지지대(500)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블록(400)이 형성된다. 하지만, 각각 다른 충격하중이 작용되는 복수의 지지블록(400)은 다이(210)와 함께 변형이 발생하며, 다이홀더(200)의 수평을 유지하지 못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충격하중의 강도에 따라 지지블록(400)의 위치를 조절하며, 지지블록(400)은 다이홀더(200)와 지지대(500) 사이에서 수평으로 이동한다. 지지블록(400)은 상부와 하부에 각각 이동돌기(410)가 돌출되며, 이동돌기(410)는 다이홀더(200)와 지지대(500)에 형성된 이동홈(420)에서 수평으로 이동한다. 이동돌기(410)는 이동홈(42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단부에 걸림판이 형성되며, 이동홈(420)은 걸림판이 내측에 수용되도록 걸림돌기가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블록(400)은 후술되는 클램프(430)에 의하여 이동홈(420)에서 고정되며, 금속소재(10)의 가공 형상에 따라 다이홀더(200)와 지지대(500) 사이에서 수평으로 이동하며, 위치가 변성을 확보할 수 있다.
[실시예 2-3] 본 발명의 프로그래시브 다이셋은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400)에 형성되며, 상기 다이홀더(200) 및/또는 지지대(500)와 고정되는 클램프(430);를 포함한다.
[실시예 2-4] 본 발명의 프로그래시브 다이셋은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430)는 상기 지지블록(400)과 상기 다이홀더(200) 및 상기 지지대(500)를 일체로 결합하는 파스너;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클램프(430)에 대한 것이며, 클램프(430)는 다이홀더(200)와 지지대(500) 사이에서 지지블록(400)을 고정한다. 본 발명의 지지블록(400)은 펀치홀더(100)의 승하강에 따라 충격하중이 발생하며, 충격하중에 의하여 변형 및 파손이 발생하며, 이는 지지블록(400)의 위치가 변성이 확보되는 이유가 된다. 그리고 지지블록(400)은 다이홀더(200) 및 지지대(500)에서 이동함에 따라 충격하중이 발생하면 소정의 간격으로 위치가 가변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지블록(400)은 다이홀더(200) 및 지지대(500)와 접하는 위치에 클램프(430)가 형성되며, 클램프(430)에 의하여 위치가 고정된다. 클램프(430)는 지지블록(400)과 다이홀더(200) 및 지지대(500)가 접하는 위치에서 볼트 등의 고정철물로 고정된다. 그리고 다른 실시 예로 클램프(430)는 이동돌기(410)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이동홈(420)의 외측을 관통하여 고정철물에 의하여 체결된다. 이때, 이동돌기(410)와 다이홀더(200) 및 지지대(500)가 결합된다. 따라서, 지지블록(400)은 클램프(430)에 의하여 다이홀더(200)와 지지대(500) 사이에 고정되며, 충격하중이 발생하여도 이동하지 않으며, 클램프(430)를 분리함에 따라 위치가 변성을 확보할 수 있다.
[실시예 2-5] 본 발명의 프로그래시브 다이셋은 실시예 2-3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430)는 회전레버(431)와 결합된 편심캠(432);, 상기 편심캠(432)으로 직선운동하는 커넥팅로드(433);, 상기 커넥팅로드(433)와 연결되는 결착돌기(43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클램프(430)에 대한 것이며, 클램프(430)는 지지블록(400)을 다이홀더(200) 및 지지대(500)와 고정하며, 편심캠(432)의 회전에 따라 이동홈(420)에 결착돌기(434)가 고정된다. 클램프(430)는 다이홀더(200) 및 지지대(500)에 형성되며, 이동홈(420)에 수용되는 결착돌기(434)를 구비하고, 결착돌기(434)는 커넥팅로드(433)와 연결되어 이동홈(420)에 압착되어 고정한다. 커넥팅로드(433)는 일단부가 결착돌기(434)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편심캠(432)에 연결되며, 편심캠(432)은 회전레버(431)와 결합됨에 따라 회전레버(431)를 조작하면 커넥팅로드(433)승하강한다. 구체적으로, 편심캠(432)은 지지블록(400)에 형성되며, 일면에 회전레버(431)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편심캠(432)은 회전레버(431)의 회전에 따라 커넥팅로드(433)를 직선운동하도록 유도하며, 이는 커넥팅로드(433)단부에 형성되는 결착돌기(434)의 하강을 유도한다. 따라서, 지지블록(400)이 이동홈(420)에서 수평 이동하며, 충격하중이 발생하는 다이(210)의 하단에 위치하면 회전레버(431)를 회전시킴에 따라 결착돌기(434)가 이동홈(420)에 고정되어 지지블록(400)을 고정할 수 있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프로그래시브 다이셋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400)은 상기 다이홀더(200)와 결합되는 제 1지지블록(440);, 상기 지지대(500)와 결합되는 제 2지지블록(4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지지블록(400)에 대한 것이다. 지지블록(400)은 2개로 구분되며, 그 이유는 2개의 지지블록(400)을 분리 결합하고, 다이홀더(200) 및 지지대(500) 사이는 일정한 힘을 유지할 수 있으며, 다이홀더(200)의 충격하중이 지지대(500)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지지블록(400)은 다이홀더(200)와 결합되는 제 1지지블록(440)과 지지대(500)와 결합되는 제 2지지블록(450)으로 구분되며, 제 1지지블록(440)과 제 2지지블록(450)은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거나 겹치도록 형성된다. 제 1지지블록(440)과 제 2지지블록(450)은 각각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후술되는 쿠션부(460)가 접하는 결합면이 형성되며, 쿠션부(460)에 의하여 다이홀더(200)에 작용한 충격하중을 저감시킨다. 따라서, 다이홀더(200)에 작용한 충격하중을 저감시켜 지지대(500)에 충격하중을 전달하지 않도록 지지블록(400)을 제 1지지블록(440)과 제 2지지블록(450)으로 구분하며, 제 1지지블록(440)과 제 2지지블록(450) 사이에 후술되는 쿠션부(460)를 구비하는 것이다.
[실시예 3-2] 본 발명의 프로그래시브 다이셋은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블록(400) 및 제2지지블록(400) 사이에 위치하는 쿠션부(460);를 포함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의 프로그래시브 다이셋은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460)는 고무블록(461) 및/또는 스프링(462)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3-4] 본 발명의 프로그래시브 다이셋은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460)는 쿠션실린더(463)를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쿠션부(460)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프레스장치는 실린더로부터 힘을 전달받으며, 전달받은 힘에 의해 금속이 가공되며, 이는 다이(210)에 충격하중으로 작용된다. 충격하중은 프레스장치의 손상을 유발하거나, 다이셋의 결합조건이 변형시키는 문제를 유기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이셋으로부터 발생된 충격력이 지지대(50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해야 된다. 따라서, 2개의 지지블록(400)사이에는 쿠션부(460)를 장착한다.
상기 쿠션부(460)는 고무블록(461)을 삽입하거나, 스프링(462)을 대체하여 삽입할 수 있으며, 쿠션부(460)는 제 1지지대(500)와 제 2지지대(500)가 서로 접하지 않도록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며, 이는 제 1지지대(500)에 작용하는 충격하중이 제 2지지대(500)로 전달됨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쿠션부(460)에 형성되는 고무블록(461)은 대변형성을 가지며, 탄성회복력이 우수한 소재이며, 금속으로는 이와 유사한 효과를 스프링(462)에서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2개의 지지블록(400) 사이에 삽입된 쿠션부(460)는 결합면의 삽입홈에 고무블록(461) 또는 스프링(462)을 삽입하며, 이는 고무블록(461) 및 스프링(46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쿠션부(460)는 쿠션실린더(463)로 형성되며, 쿠션실린더(463)는 통상의 실린더를 장착하며, 실린더는 압력변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쿠션실린더(463)는 유압라인에 후술되는 축압부(470)를 장착하며, 상기 축압부(470)는 압력을 가변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쿠션실린더(463)는 축압부(470)에 의하여 충격하중의 강도에 따라 각각 압력을 가변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실시예 3-5] 본 발명의 프로그래시브 다이셋은 실시예 3-4에 있어서, 상기 쿠션실린더(463)의 유압라인에 형성된 축압부(470);를 포함한다.
[실시예 3-6] 본 발명의 프로그래시브 다이셋은 실시예 3-5에 있어서, 상기 축압부(470)의 케이스(471)내주연과 나사결합되며, 일면에 장력조절스프링(472)이 체결되며, 타면에 제어모터(473)와 결합되는 장력지지대(474);를 포함한다.
[실시예 3-7] 본 발명의 프로그래시브 다이셋은 실시예 3-6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터(473)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기(476);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축압부(470)에 대한 것이며, 쿠션실린더(463)과 연결되며, 쿠션실린더(463)의 압력을 제어한다. 쿠션실린더(463)는 충격하중이 작용하면 압력이 높아짐에 따라 파손될 수 있으며, 공기압이 낮아지는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쿠션실린더(463)의 내부와 관통하는 유압라인에 축압부(470)가 형성되며, 축압부(470)는 쿠션실린더(463)의 내부 압력을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축압부(470)는 케이스(471)가 형성되며, 케이스(471) 내부에 압력이 형성되는 압력공간이 형성된다. 케이스(471)는 일면에 장력조절스프링(472)이 체결되는 장력지지대(474)가 형성되며, 장력지지대(474)는 케이스(471)의 내주연 하단에 나사결합된다. 장력지지대(474)는 하단에 제어모터(473)가 결합되며, 제어모터(473)의 회전에 따라 케이스(471) 내부에서 승하강한다. 그리고 장력지지대(474)는 장력조절스프링(472)에 의하여 이격되는압력판(475)이 형성되며, 압력판(475)은 공기압이 유지되도록 외측에 패킹이 형성된다. 압력판(475)의 위치는 제어모터(473)의 회전수에 따라 승하강하는 장력지지대(474)에 의하여 결정되며, 압력판(475)은 쿠션실린더(463)에 작용하는 압력에 따라 승하강한다. 예를 들어, 쿠션실린더(463)에 충격하중이 작용하면 쿠션실린더(463) 내부의 압력이 높아짐에 따라 쿠션실린더(463)와 연결되는 케이스(471)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며, 그에 따라 압력판(475)은 하단으로 하강한다. 그리고 쿠션실린더(463)에 충격하중이 작용하지 않으면 장력조절스프링(472)에 의하여 압력판(475)이 상승하며, 쿠션실린더(463)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도록 공기압을 전달한다. 이때, 압력판(475) 및 장력지지대(474)의 높이는 제어모터(473)의 회전수에 따라 제어되며, 제어모터(473)의 회전수는 제어기(476)에 의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각각의 지지블록(400)은 각각의 축압부(470)와 제어기(476)가 구비되며, 충격하중이 발생하는 강도에 따라 제어모터(473)의 회전수가 제어되며, 이는 장력지지대(474)의 높이를 조절하여 쿠션실린더(463)의 압력을 조절하는 것이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프로그래시브 다이셋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3-1 또는 3-7에 있어서, 복수로 형성되는 상기 지지블록(400)에 연결되며, 상기 지지블록(400)의 수평이동 및 압력을 조절하는 컨트롤러(600);를 포함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의 프로그래시브 다이셋은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600)는 상기 지지블록(400)에 작용하는 충격하중을 측정하는 측정센서(610);를 포함한다.
[실시예 4-3] 본 발명의 프로그래시브 다이셋은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600)는 복수의 제어모터(473)를 제어하며, 복수의 지지블록(400)의 지지강도를 제어한다.
본 발명은 컨트롤러(600)에 대한 것이며, 컨트롤러(600)는 복수의 제어모터(473)를 제어한다. 지지블록(400)은 다이홀더(200) 하부에 복수가 구비되며, 각각의 지지블록(400)에 작용하는 충격하중이 발생하며, 그에 따라 각각의 지지블록(400)은 충격하중에 대한 저항을 갖도록 내부에 쿠션실린더(463)를 구비한다. 쿠션실린더(463)는 축압기에 의하여 압력이 조절되며, 축압기는 제어모터(473)에 의하여 압력이 조절된다. 이때, 복수의 제어모터(473)는 컨트롤러(600)에 연결되며,컨트롤러(600)는 각각의 지지블록(400)에 형성되며, 측정센서(610)에서 측정한 충격하중에 따라 각각의 제어모터(473)를 제어한다. 측정센서(610)는 지지블록(400) 및 쿠션실린더(463)에 형성되며, 충격하중이 발생할 때의 강도를 컨트롤러(600)로 송신한다. 구제척으로 컨트롤러(600)는 측정센서(610)에서 측정한 충격하중에 따라 복수의 제어모터(473)를 제어하여 쿠션실린더(463)의 내부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따라서, 컨트롤러(600)에 의하여 각각의 지지블록(400)의 압력을 조절하여 완충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4-4] 본 발명의 프로그래시브 다이셋은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600)는 상기 지지블록(400)의 수평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가이드장치에 대한 것이며, 가이드장치는 컨트롤러(600)에 의하여 제어되며, 지지블록(400)의 위치를 충격하중의 강도에 따라 수평으로 이동시킨다.구체적으로 복수의 다이(210)에 작용하는 충격하중은 다르게 적용되며, 복수의 다이(210)가 결합되는 다이홀더(200)의 하단에 형성되는 지지블록(400)은 충격하중의 강도에 따라 수평으로 이동한다. 가이드장치는 다이홀더(200) 및 지지대(500)에 형성되는 이동홈(420)에 레일로 형성되며, 모터에 의하여 이동하며 지지블록(400)을 이동시킨다. 이때, 가이드장치는 각각의 지지블록(400) 상부에 각각 형성되며, 1개의 가이드장치는 1개의 지지블록(400)을 수평이동하는 것이다. 따라서, 컨트롤러(600)는 복수의 가이드장치를 제어하여 충격하중의 강도에 따라 지지블록(400)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10: 금속소재 100: 펀치홀더
110: 펀치 120: 유압실린더
200: 다이홀더 210: 다이
300: 가이드핀 310: 고정부
320: 이동부 330: 리턴스프링
400: 지지블록 410: 이동돌기
420: 이동홈 430: 클램프
431: 회전레버 432: 편심캠
433: 커넥팅로드 434: 결착돌기
440: 제 1지지블록 450: 제 2지지블록
460: 쿠션부 461: 고무블록
462: 쿠션스프링 463: 쿠션실린더
470: 축압부 471: 케이스
472: 장력조절스프링 473: 제어모터
474: 장력지지대 475: 압력판
476: 제어기 500: 지지대
600: 컨트롤러 610: 측정센서

Claims (4)

  1. 일면에 복수의 펀치(110)가 결합되며, 타측에 유압실린더(120)가 장착된 펀치홀더(100);,
    일면에 복수의 다이(210)가 결합되는 다이홀더(200);, 상기 펀치홀더(100) 및 다이홀더(200)를 결합하는 가이드핀(300);,
    상기 다이홀더(200) 타면에 결합되며 복수로 형성되는 지지블록(400);,
    상기 지지블록(400)을 지지하는 지지대(500);,
    상기 지지블록(400) 양면에 형성된 이동돌기(410);,
    상기 이동돌기(410)와 결합되며, 상기 다이홀더(200) 및 지지대(500)에 형성된 이동홈(420);을 포함하는 프로그래시브 다이셋.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400)은 상기 다이홀더(200)와 결합되는 제 1지지블록(440);,
    상기 지지대(500)와 결합되는 제 2지지블록(450);를 포함하는 프로그래시브 다이셋.
  4.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로 형성되는 상기 지지블록(400)에 연결되며, 상기 지지블록(400)의 수평이동 및 압력을 조절하는 컨트롤러(600);를 포함하는 프로그래시브 다이셋.
KR1020190040025A 2019-04-05 2019-04-05 프로그래시브 다이셋 Active KR102033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025A KR102033100B1 (ko) 2019-04-05 2019-04-05 프로그래시브 다이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025A KR102033100B1 (ko) 2019-04-05 2019-04-05 프로그래시브 다이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3100B1 true KR102033100B1 (ko) 2019-10-16

Family

ID=68421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0025A Active KR102033100B1 (ko) 2019-04-05 2019-04-05 프로그래시브 다이셋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31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69420A (zh) * 2019-12-31 2020-04-28 天津世亚模具股份有限公司 一种防止偏移的级进模用送料装置
CN117505642A (zh) * 2024-01-08 2024-02-06 浙江易锻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易调平的冲压设备工作台及冲压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47416B2 (ja) * 1993-09-03 2002-11-20 マツダ株式会社 プレス加工方法
KR20060005962A (ko) 2004-08-19 2006-01-18 에스아이티 주식회사 프로그래시브 금형 장치
KR20080109484A (ko) 2007-06-13 2008-12-17 주식회사 인 인너스트립의 제조를 위한 프로그래시브 금형
KR20110047100A (ko) 2009-10-29 2011-05-06 (주)디디피테크 Led용 알루미늄재 pcb의 프로그래시브 금형 및 pcb 제조방법
KR20170073334A (ko) 2015-12-18 2017-06-28 이덕구 다열 프로그래시브 성형이 가능한 트랜스퍼 금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47416B2 (ja) * 1993-09-03 2002-11-20 マツダ株式会社 プレス加工方法
KR20060005962A (ko) 2004-08-19 2006-01-18 에스아이티 주식회사 프로그래시브 금형 장치
KR20080109484A (ko) 2007-06-13 2008-12-17 주식회사 인 인너스트립의 제조를 위한 프로그래시브 금형
KR20110047100A (ko) 2009-10-29 2011-05-06 (주)디디피테크 Led용 알루미늄재 pcb의 프로그래시브 금형 및 pcb 제조방법
KR20170073334A (ko) 2015-12-18 2017-06-28 이덕구 다열 프로그래시브 성형이 가능한 트랜스퍼 금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69420A (zh) * 2019-12-31 2020-04-28 天津世亚模具股份有限公司 一种防止偏移的级进模用送料装置
CN117505642A (zh) * 2024-01-08 2024-02-06 浙江易锻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易调平的冲压设备工作台及冲压设备
CN117505642B (zh) * 2024-01-08 2024-03-22 浙江易锻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易调平的冲压设备工作台及冲压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1561B1 (ko) 펀치 프레스
KR102033100B1 (ko) 프로그래시브 다이셋
CN113458802B (zh) 安全型汽车导向臂车架支架专用制备系统及其制备方法
CN108772469B (zh) 一种用于支架切头冲孔的复合加工设备
CN118268454A (zh) 一种汽车冲压模具自动上料装置
CN111672977A (zh) 一种预弯和成型半自动合页生产装置
KR20200129287A (ko) 샤링기용 클램핑장치
CN108097807A (zh) 一种钣金部件自动化侧冲孔折弯成形一体式的加工装置
CN220760733U (zh) 一种用于金属板渐变网孔冲孔设备
KR20160095900A (ko) 파이프 성형장치
CN111775458A (zh) 一种温度传感器及其生产设备和方法
CN213968638U (zh) 一种多功能钣金冲压模具
CN206153904U (zh) 冲孔锯切机构
CN214870945U (zh) 一种纸板模切机的可调限位装置
US4655381A (en) Machine for automatically applying hooks to elastic belts
CN210139082U (zh) 一种防火门玻璃压框安装孔钻孔成型设备
KR101580476B1 (ko) 프레스용 금형 클램핑 장치
CN111299405A (zh) 一种配电开关柜支撑板及其多方位打孔加工方法和设备
CN212554247U (zh) 一种高效型工程塑料多工位模切装置
CN111299404A (zh) 一种配电开关柜支撑板打孔机及其底部打孔装置和方法
CN111496084A (zh) 一种配电箱及其外壳加工设备和方法
CN219786229U (zh) 冲孔总成及包括其型材加工线
CN212736257U (zh) 一种pcb板的打孔机
CN216027236U (zh) 一种整形装置
CN221209479U (zh) 一种具有自传送功能的钣金折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0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6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0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0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