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31917B1 - 냉매 파이프 피팅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피팅 방법 - Google Patents

냉매 파이프 피팅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피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1917B1
KR102031917B1 KR1020180022850A KR20180022850A KR102031917B1 KR 102031917 B1 KR102031917 B1 KR 102031917B1 KR 1020180022850 A KR1020180022850 A KR 1020180022850A KR 20180022850 A KR20180022850 A KR 20180022850A KR 102031917 B1 KR102031917 B1 KR 102031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itting
out pipe
fastening
refrigera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2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2450A (ko
Inventor
노남수
고동균
방선욱
성시현
이채문
강기호
김재훈
성대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2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1917B1/ko
Priority to PCT/KR2019/002296 priority patent/WO2019164376A1/ko
Priority to US16/975,893 priority patent/US12025243B2/en
Publication of KR20190102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2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91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able pipe 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14Non-disconnectable pipe 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 F16L13/146Non-disconnectable pipe 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by an axially moveable sleeve
    • F25B41/0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7Capillary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22Preventing, detecting or repairing leaks of refrigeration fluids
    • F25B2500/221Preventing leaks from develo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03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06Accumul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77/00Seal for a joint or juncture
    • Y10S277/935Seal made of a particular material
    • Y10S277/944Elastomer or pla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Non-Disconnectible Joints And Screw-Threaded Joint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매 파이프 피팅은, 내부가 중공된 관 형상의 파이프 피팅에 있어서, 아웃 파이프가 삽입되는 아웃 파이프 개구; 상기 아웃 파이프 개구와 마주보는 방향에서 개구되며, 이너 파이프가 삽입되어 상기 아웃 파이프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이너 파이프 개구; 상기 피팅의 내측면에서 상기 이너 파이프 개구를 향할수록 내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피팅의 이동시 상기 아웃 파이프의 외측면이 변형되도록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와 상기 이너 파이프 개구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아웃 파이프 개구를 통해 삽입된 상기 아웃 파이프의 외측면을 구속하여 상기 아웃 파이프와 상기 피팅이 임시 체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매 파이프 피팅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피팅 방법 { Refigerant pipe fitting and refigerant pipe fitting method using thereof }
본 발명은 냉매 파이프 피팅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피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와 공기 조화기 등의 냉매가 유동되는 냉매 파이프는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각 구성들을 연결하여 냉매의 유동을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매 파이프는 냉장고 또는 공기 조화기의 조립 또는 설치 과정에서 서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통상 냉매 파이프의 연결은 용접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냉매의 안정성 그리고 작업의 편의성을 위해 양측의 파이프를 서로 삽입시킨 후 피팅을 이동시켜 연결되는 파이프를 가압 변형시켜 연결하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냉매 파이프의 연결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연결을 위한 양측의 파이프(1,2) 중 일측의 파이프(1) 단부에 성형단(1a)을 형성하여 준비하고, 피팅(3)을 가공 및 실링제(4)를 준비한다.(a) 그리고, 양측의 파이프(1,2) 중 일측의 파이프(2)가 피팅(3)을 관통하도록 배치시키게 된다.(b) 그리고, 상기 파이프(2)의 외측면에 실링제(4)를 도포하기 위해 피팅(3)을 이동시킨 후 상기 파이프(2)의 단부에 실링제(4a)를 도포하게 된다.(c) 그리고, 상기 실링제(4a)가 도포된 상태에서 상기 파이프(2)를 다른 일측의 파이프(1)에 삽입하게 된다.(d) 그리고, 상기 피팅(3)을 일측의 상기 파이프(2)가 삽입된 타측의 파이프(1) 외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파이프(1)를 가압 변형시켜 양측의 파이프(1,2)가 서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e)
한편,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파이프(1,2)를 연결하기 위한 전체 작업이 연속적으로 진행되며, 상대적으로 많은 공정으로 인해 양측의 상기 파이프(1,2) 연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작업 시간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피팅(3)이 배치된 상태에서 실링제(4a)를 도포하여야 하므로 연결 작업을 위한 실링제(4a)의 도포가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게 될 수 밖에 없으며, 이와 같은 경우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품질의 편차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1,2)의 연결을 위해서 연결을 위한 각각의 파이프(1,2)와 피팅(3), 실링제(4a) 등을 모두 배치한 상태에서 관리하여야 하므로 작업성이 떨어지고 번거롭게 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작업 공간이 협소하거나 작업이 어려운 환경에서는 피팅(3)을 끼우고 실링제(4a)를 도포하는 등의 추가 작업으로 인해 상기 파이프(1,2)의 연결 작업이 용이하지 못하게 되며, 상기 파이프(1,2)의 연결 작업의 난이도가 더 상승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파이프의 연결 작업 공정을 단순화하여 파이프 연결 작업 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냉매 파이프 피팅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피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피팅에 의한 파이프 연결시 균일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냉매 파이프 피팅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피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파이프와 피팅이 가 조립 상태로 제공되어 파이프의 연결 작업이 용이하고 간소하게 될 수 있도록 하는 냉매 파이프 피팅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피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파이프가 피팅에 의해 연결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냉매 파이프 피팅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피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매 파이프 피팅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피팅 방법은, 아웃 파이프의 단부가 피팅에 삽입되어 체결부에 임시 체결된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아웃 파이프와 피팅이 임시 체결된 상태에서 이너 파이프의 삽입 및 피팅의 이동에 의한 가압 변형시켜 상기 아웃 파이프와 이너 파이프를 완전 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아웃 파이프에 피팅이 임시 체결된 상태에서 대응하는 이너 파이프의 단부에 실링제가 도포될 수 있으며, 실링제가 도포된 이너 파이프가 상기 피팅 및 아웃 파이프 내측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피팅은 아웃 파이프의 가조립을 위해 실질적인 상기 아웃 파이프 외측면의 가압이 이루어지는 가압부 전방에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에 상기 아웃 파이프가 배치된 상태에서 임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피팅에 삽입된 상기 아웃 파이프는 확관부가 성형되면서 임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아웃 파이프와 이너 파이프의 완전 체결을 위해 피팅이 이동되면, 상기 확관부는 상기 가압부 후방의 이탈 방지부에 구속되어 피팅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매 파이프 피팅은, 내부가 중공된 관 형상의 파이프 피팅에 있어서, 아웃 파이프가 삽입되는 아웃 파이프 개구; 상기 아웃 파이프 개구와 마주보는 방향에서 개구되며, 이너 파이프가 삽입되어 상기 아웃 파이프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이너 파이프 개구; 상기 피팅의 내측면에서 상기 이너 파이프 개구를 향할수록 내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피팅의 이동시 상기 아웃 파이프의 외측면이 변형되도록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와 상기 아웃 파이프 개구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아웃 파이프 개구를 통해 삽입된 상기 아웃 파이프의 외측면을 구속하여 상기 아웃 파이프와 상기 피팅이 임시 체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아웃 파이프의 외측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후크와; 상기 후크와 상기 가압부의 사이에서 함몰 형성되며, 상기 피팅의 내측에 삽입된 상기 아웃 파이프 일단의 확관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피팅은 상기 후크와 상기 확관부의 구속에 의해 상기 아웃 파이프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되, 상기 이너 파이프가 상기 아웃 파이프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되어 상기 아웃 파이프의 외측면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의 내경은 상기 아웃 파이프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확관부는, 상기 아웃 파이프의 단부가 상기 체결부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이너 파이프 개구를 통해 삽입되는 펀치에 의해 확관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와 상기 이너 파이프 개구의 사이에는 상기 가압부보다 더 큰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피팅의 이동 완료시 상기 확관부를 수용하는 테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의 단부와 테일부의 단부는 단차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피팅의 일방향 이동을 구속하는 이탈 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일부는 상기 피팅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펀치의 삽입시 상기 펀치의 일면을 지지하며, 상기 피팅의 전체 두께 중 가장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팅의 내부 구조는 상기 피팅의 연장 방향을 축으로 축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의 내경은 상기 아웃 파이프의 외경 및 상기 가압부 보다는 크게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에는 상기 아웃 파이프의 외측면과 상기 체결부의 내측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아웃 파이프와 상기 피팅이 임시 접착되도록 하는 접착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의 내경은 상기 아웃 파이프의 외경 및 상기 가압부 보다는 크게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에는 상기 아웃 파이프의 외측면과 상기 체결부의 내측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아웃 파이프와 상기 피팅이 임시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아웃 파이프가 상기 아웃 파이프 개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아웃 파이프와 상기 피팅의 외주면을 동시에 고정하여 상기 아웃 파이프와 피팅이 임시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체결 유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 유지부재는, 상기 탄성을 가지는 튜브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이너 파이프 개구를 제외한 상기 피팅의 일부와 상기 피팅에 삽입된 상기 아웃 파이프의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피팅의 외주면에는 함몰된 외부 홈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 유지 부재는, 상기 아웃 파이프와 피팅의 단차진 경계에 고정 장착되는 파이프 고정부; 상기 외부 홈에 고정 장착되는 피팅 고정부; 상기 파이프 고정부와 피팅 고정부를 연결하는 고정부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의 내측면에는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가지는 다수의 경사부들이 연속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경사부들은 상기 이너 파이프 개구측으로 향하여 연장될수록 기울기가 작아질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경사부의 연장된 단부에서 내경이 가장 좁은 상태로 연장되며, 상기 아웃 파이프와 이너 파이프를 가압 체결시키는 압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팅은 냉장고의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냉매 배관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아웃 파이프는 냉매 배관과 연결되는 압축기, 응축기, 증발장치, 모세관, 드라이어, 어큐뮬레이터 중의 일부로 상기 피팅과 임시 체결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이너 파이프는 상기 아웃 파이프의 내측에 삽입되며, 상기 이너 파이프의 외측면에는 상기 아웃 파이프의 내측면과의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제가 제공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매 파이프 피팅을 이용한 파이프 피팅 방법은, 상기 냉매 파이프 피팅을 이용하여, 상기 아웃 파이프의 단부를 상기 체결부 내측에 삽입한 후 펀치에 의해 상기 수용부 내측에 상기 확관부가 성형되도록 하여 상기 피팅을 상기 아웃 파이프의 일단에 체결 상태로 제공하고, 상기 이너 파이프를 실링제가 도포된 상태로 제공하는 조립 준비단계; 상기 아웃 파이프에 체결된 상태의 상기 피팅의 개구로 상기 이너 파이프를 삽입하되, 상기 실링제가 도포된 상기 이너 파이프의 단부가 상기 아웃 파이프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하는 파이프 삽입 단계; 및 상기 이너 파이프가 아웃 파이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피팅을 상기 아웃 파이프의 연장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가압부가 상기 아웃 파이프의 외측면을 눌러 상기 아웃 파이프가 변형되도록 하여 상기 아웃 파이프와 상기 이너 파이프가 서로 완전히 체결되도록 하는 피팅 가압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매 배관용 커넥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피팅이 아웃 파이프의 체결부에 임시 체결된 상태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피팅이 임시 체결된 아웃 파이프에 상기 이너 파이프를 삽입한 후 피팅을 이동시키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아웃 파이프와 이너 파이프를 연결할 수 있게 되어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작업 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냉동사이클을 포함하는 장치들의 조립시 아웃 파이프에 이미 피팅이 임시 체결된 상태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피팅을 적절한 위치에 끼우고 이동시킨 후 실링제를 도포하는 등의 추가 공정이 불필요하게 되고 작업이 매우 간소하게 됨으로써 조립 작업성에 있어서 현저한 개선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미 아웃 파이프에 피팅이 체결된 상태로 제공되므로, 이너 파이프에 도포되는 실링제는 상기 피팅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되며, 사용자의 수작업이 아닌 자동화 공정 또는 별도의 장치에 의해 도포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게 되어 작업성의 개선은 물론 불량을 방지하고 품질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아웃 파이프에 피팅이 임시 체결된 상태로 제공되므로 이너 파이프의 연결작업이 협소한 기계실 내부와 같은 협소한 설치 공간에서도 이너 파이프의 삽입만으로 간단하게 작업 가능한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아웃 파이프 및/또는 이너 파이프의 길이가 길거나 복잡한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도 구조와 형상에 관계없이 상기 이너 파이프의 삽입과 피팅의 이동에 의해 작업을 완료할 수 있게 되어 작업 편의성이 한층 더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 파이프의 임시 체결시 확된된 확관부는 상기 피팅이 상기 아웃 파이프와 이너 파이프를 완전히 체결하기 위해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피팅의 이탈 방지부에 걸림 고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피팅이 상기 아웃 파이프와 이너 파이프를 완전 체결하기 위해 이동된 상태에서 빠지지 않도록 고정됨으로써 고압의 냉매가 유동되는 환경 또는 진동이 발생되는 환경에서도 피팅의 연결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냉매 파이프의 연결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피팅을 일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피팅을 다른 일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피팅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5-5'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피팅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의 일 예를 순차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상기 피팅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의 다른 예를 순차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상기 피팅과 아웃 파이프의 체결을 위한 펀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피팅과 펀치의 내외경 사이즈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10은 상기 피팅에 아웃 파이프가 삽입된 상태에서 아웃 파이프의 내외경 사이즈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11은 상기 피팅에 아웃 파이프가 체결된 상태에서 아웃 파이프의 외경 사이즈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12는 상기 아웃 파이프와 이너 파이프가 체결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상기 아웃 파이프와 이너 파이프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피팅에 의해 상기 아웃 파이프와 이너 파이프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피팅에 의해 상기 아웃 파이프와 이너 파이프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피팅과 아웃 파이프의 체결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피팅과 아웃 파이프의 체결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체결 유지부재에 의해 피팅과 아웃 파이프가 체결을 유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체결 유지부재에 의해 피팅과 아웃 파이프가 체결을 유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피팅이 적용된 냉장고의 기계실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피팅이 적용된 냉장고의 증발기와 파이프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피팅을 일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피팅을 다른 일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피팅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의 5-5'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피팅(10)은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양측기 개구된 원통형의 튜브 또는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팅(10)의 내측에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금속 소재로 형성되 아웃 파이프(20) 및 이너 파이프(30)가 각각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피팅(10)의 내측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피팅(10)은 소재에 제한되지 않고 세라믹, 플라스틱 소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피팅(10)이 금속으로 형성되는 경우 다단계의 단조 공정을 통해서 성형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피팅(10)의 양단에는 각각 아웃 파이프 개구(101)와 이너 파이프 개구(10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서 볼 때 상기 피팅(10)의 좌측단에는 아웃 파이프(20)가 삽입되는 아웃 파이프 개구(10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서 볼 때 상기 피팅(10)의 우측단에는 이너 파이프(30)가 삽입되는 이너 파이프 개구(10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팅(10)의 외측면은 상기 아웃 파이프 개구(101)가 형성되는 일측단에서 소정의 폭으로 연장되는 파이프 삽입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이너 파이프 개구(102)가 형성되는 타측단에서 소정의 폭으로 연장되는 툴 지지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 삽입부(110)와 툴 지지부(120)의 사이를 형성하는 중간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이프 삽입부(110)는 상기 중간부(130)보다 더 작은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단차진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피팅(10)의 단조 가공시 금형의 분리가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아웃 파이프 개구(101)가 형성되는 상기 파이프 삽입부(110)의 일단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제 1 외부 라운드(11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부(130)와 접하는 상기 파이프 삽입부(110)의 다른 일단에도 제 2 외부 라운드(1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부(130)는 동일한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동일 외경을 가지는 상태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부(130)는 상기 파이프 삽입부(110)의 외경보다는 크고 상기 툴 지지부(120)의 외경보다는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중간부(130)와 상기 툴 지지부(120)는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툴 지지부(120)와 접하는 상기 중간부(130)의 단부에는 제 3 외부 라운드(1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툴 지지부(120)는 상기 피팅(10)에서 가장 큰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두께 또한 가장 두껍게 형성되어 상기 아웃 파이프(20)를 상기 피팅(10)에 체결하기 위한 펀치(4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툴 지지부(120)의 일단은 상기 피팅(10)의 우측단을 형성하며, 상기 툴 지지부(120)의 단부 즉, 상기 피팅(10)의 우측면에는 상기 이너 파이프(30)가 삽입되는 이너 파이프 개구(10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팅(10)의 우측면은 평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펀치(40)의 그립부(41)가 지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피팅(10)의 내측면을 살펴보면, 상기 아웃 파이프 개구(101)가 형성되는 상기 피팅(10)의 좌측에서부터 체결부(140)와, 경사부(150), 압착부(160), 테일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팅(10)의 외측면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상기 파이프 삽입부(110)와 체결부(140)가 서로 대응할 수 있으며, 상기 중간부(130)가 상기 경사부(150) 및 압착부(160)에 대응할 수 있으며, 상기 툴 지지부(120)가 상기 테일부(170)와 대응할 수 있다. 즉, 상기 피팅(10)의 내측면과 외측면 형상으로 서로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팅(10)의 내측면에는 상기 아웃 파이프(20) 및 이너 파이프(30)의 삽입 그리고 상기 피팅(10)의 이동시 발생하는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서 별도의 코팅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은 마찰계수 안정화 피막, 고체 또는 액체형 왁스가 내주면 상에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팅(10)의 내측면 및/또는 외측면에는 내 부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도금 또는 도장처리가 실시될 수도 있다.
상기 피팅(10)의 내측면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체결부(140)는 상기 피팅(10)의 좌측단을 포함한 좌측 일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제 1 이너 라운드부(141)와 후크(143) 및 확관 수용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이너 라운드부(141)는 상기 체결부(140)의 좌측단에서 소정의 곡률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이너 라운드부(141)에 의해 상기 아웃 파이프(20)는 상기 아웃 파이프 개구(101)로의 삽입이 유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크(143)는 제 1 이너 라운드부(141)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143)는 피팅(10)의 중공된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며, 점차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거나 후크와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후크(143)는 상기 제 1 이너 라운드부(141)와 제 2 이너 라운드부(142)가 서로 만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이너 라운드부(142)는 상기 제 1 이너 라운드부(141)의 단부에서 상기 확관 수용부(144)의 단부를 연결하며,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이너 라운드부(142)는 상기 제 1 이너 라운드부(141) 보다 곡률이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아웃 파이프(20)와의 체결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1 후크(143) 또는 상기 제 1 이너 라운드부(141)의 단부에 의해서 상기 아웃 파이프 개구(101)가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확관 수용부(144)는 상기 제 2 이너 라운드부(142)의 단부와 상기 경사부(150)의 사이 공간으로 동일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확관 수용부(144)는 상기 후크(143)보다 더 함몰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웃 파이프(20)가 상기 피팅(10)의 내부에서 상기 펀치(40)에 의해 소성 변형되면서 확관될 때, 상기 아웃 파이프(20)의 확관부(21)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피팅(10)과 아웃 파이프(2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경사부(150)는 상기 체결부(140)에서 상기 압착부(160)로 갈수록 점점 더 내경이 좁아지는 상태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피팅(10)가 이동되는 경우 상기 아웃 파이프(20)의 외측면을 눌러 점진적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150)는 기울기가 서로 다른 제 1 경사부(151)와 제 2 경사부(152)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경사부(151)는 상기 체결부(140)와 인접하는 위치로 상기 제 2 경사부(152)보다 경사가 더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연장된 길이는 더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 파이프(20)와 이너 파이프(30)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피팅(10)이 이동될 때 상기 제 1 경사부(151)와 상기 아웃 파이프(20)가 먼저 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피팅(10)의 초기 이동시 아웃 파이프(20)를 강한 힘으로 효과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2 경사부(152)보다 더 큰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경사부(152)는 상기 제 1 경사부(151)와 상기 압착부(160) 사이의 구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 1 경사부(151)의 기울기 보다 더 작은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피팅(10)의 지속적인 이동으로 상기 아웃 파이프(20)를 점진적으로 더 가압하여 변형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경사부(150)는 필요에 따라서 단일 경사를 가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150)는 필요에 따라 둘 이상의 경사를 가지는 구간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경사부(150)가 상기 아웃 파이프 개구(101)와 멀어질수록 더 작은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경사부(150)는 연속적인 기울기를 가지는 것 외에 상기 아웃 파이프(20)를 가압할 수 있는 비연속적인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아웃 파이프(20)를 가압 할 수 있는 곡면 형상 또는 단차 형상 등 상기 피팅(10)의 이동시 상기 아웃 파이프(20)를 가압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압착부(160)는 상기 경사부(150)의 단부에서 상기 테일부(170) 사이를 형성하는 구간으로, 동일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착부(160)는 상기 피팅(10)에서 가장 좁은 내경을 가지는 부분으로 상기 아웃 파이프(20)와 이너 파이프(30)가 최종적으로 가압되어 서로 연결되는 공간이 될 수 있다.
상기 압착부(160)가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아웃 파이프(20)는 해당 구간 내에서 가장 큰 압력이 일정하게 가압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아웃 파이프(20)와 이너 파이프(30)가 해당 구간에서 연결이 보장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압착부(160)의 길이에 따라서 상기 아웃 파이프(20)와 이너 파이프(30)의 연결 길이가 결정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경사부(150) 만으로 상기 아웃 파이프(20)와 이너 파이프(30)의 연결도 가능할 것이며, 이 경우 상기 압착부(160)는 생략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피팅(10)의 내부에서 상기 아웃 파이프(20)의 가압은 상기 경사부(150)에서 시작되고 상기 압착부(160)에서 종료될 수 있다. 즉, 상기 아웃 파이프(20)는 상기 경사부(150) 및 압착부(160)를 지나는 구간에서 가압에 의해 소성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 경사부(150)와 압착부(160)를 포함하여 가압부라 부를 수 있다.
상기 테일부(170)는 이너 파이프 개구(102)와 제 3 이너 라운드부(171) 및 제 4 이너 라운드부(1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일부(170)는 상기 압착부(160)보다 더 큰 내경을 가지며, 상기 이너 파이프(30)가 삽입되는 상기 이너 파이프(30) 개구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압착부(160)와 접하는 상기 테일부(170)의 단부에는 제 3 이너 라운드부(17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이너 라운드부(171)는 상기 이너 파이프(30)가 상기 아웃 파이프(2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도록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3 이너 라운드부(171) 즉, 상기 테일부(170)의 단부에는 상기 후크(143)에 걸림 고정되는 아웃 파이프(20)의 확관부(21)가 상기 피팅(10)의 이동시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걸림 구속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피팅(10)에 의한 상기 아웃 파이프(20)와 이너 파이프(30)의 연결 후 상기 피팅(10)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테일부(170)는 상기 확관부(21)의 수용이 가능한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이너 라운드부(171)는 상기 피팅(10)이 고정된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이탈 방지부(171)라 부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파이프 개구(102)가 형성되는 상기 테일부(170)의 단부에는 상기 제 4 이너 라운드부(17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4 이너 라운드부(172)는 상기 이너 파이프(30)가 상기 피팅(10)의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한편, 상기 피팅(10)의 내외측면의 형상은 상기 피팅(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할 때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피팅(10)은 금형 내부의 소재를 가압하는 단조를 통해 성형될 수 있으며, 간단한 공정으로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성형될 수 있다.
도 6은 상기 피팅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의 일 예를 순차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피팅(10)을 성형하기 위한 원소재(100)가 와이어, 바 또는 커팅 블럭 상태의 금속 소재인 경우,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게 된다.(a) 절단된 원소재(100)는 압출 가공에 의해 내부의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웃 파이프 개구(101)와 이너 파이프 개구(102)가 형성되는 양단은 각각 성형될 수 있으며, 그 크기가 다르게 압출 성형될 수도 있다.(b) 다음으로 상기 원소재(100)를 피어싱 가공하여 양측의 개구 사이의 막힌 부분(100a)을 제거하여 완전히 관통되는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피어싱 가공을 통해 상기 원소재(100)는 내부가 중공된 관과 같은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다.(c) 피어싱 가공된 원소재(100)는 포징 가공을 통해 내측에 경사부(150)의 성형 및 체결부(140)의 형성을 위한 1차적인 형상이 형성되며, 외측면에 라운드진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d) 마지막으로, 포징 가공된 원소재(100)를 리듀싱 가공을 통해 상기 후크(143)와 같은 상기 체결부(140) 내부의 형상 및 테일부(170)의 형상 등 부분적으로 추가 성형할 수 있으며, 상기 피팅(10)의 성형을 완료하게 된다.(e)
도 7은 상기 피팅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의 다른 예를 순차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피팅을 위한 원소재(100)가 튜브 또는 파이프 형상의 금속 소재인 경우, 먼저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게 된다.(a) 절단된 원소재(100)는 포징 가공을 통해 내측에 경사부(150)의 성형 및 체결부(140)의 형성을 위한 1차적인 형상이 형성되며, 외측면에 라운드진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b) 마지막으로, 포징 가공된 원소재(100)를 리듀싱 가공을 통해 상기 후크(143)와 같은 상기 체결부(140) 내부의 전체적인 형상 및 테일부(170)의 형상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피팅(10)의 성형을 완료하게 된다.(c)
이처럼 원소재(100)의 상태에 따라서 단계의 회수는 다르지만, 상기 피팅(10)은 중심 축을 기준으로 축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내부의 구조가 단조 가공이 용이한 구조로 형성되어 별도의 추가 가공 없이 다단계로 수행되는 단조 공정을 통해서 성형 가능하게 된다.
한편, 성형된 상기 피팅(10)과 상기 아웃 파이프(20)가 먼저 체결되기 위해서는 상기 펀치(40)가 필요하다. 상기 피팅(10)에 상기 아웃 파이프(2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펀치(40)를 이용하여 상기 아웃 파이프(20)를 상기 피팅(10)에 1차적으로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의 상기 아웃 파이프(20)와 상기 피팅(10)의 체결은 가 고정, 선 체결, 임시 체결 등으로 부를 수 있을 것이며, 상기 피팅(10)의 영구적인 고정이 아니라 상기 피팅(10)의 최종적인 고정에 앞서, 상기 아웃 파이프(20)에 상기 피팅(10)이 체결된 상태로 유통 및 공급될 수 있을 정도로 체결된 상태를 의미한다.
도 8은 상기 피팅과 아웃 파이프의 체결을 위한 펀치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펀치(40)는 상기 아웃 파이프(20)와 상기 피팅(10)의 체결을 위한 것으로, 상기 피팅(10)의 우측단에서 삽입되어 상기 피팅(10) 내부에 삽입된 상기 아웃 파이프(20)를 확관 성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펀치(40)는 전체적으로 그립부(41)와 펀치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립부(41)는 상기 툴 지지부(120) 및 테일부(170)와 대응하는 상기 피팅(10)의 일단과 접하는 부분으로, 상기 펀치(40)를 고정하여 사용하기 위한 추가의 장치(툴)에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펀치(40)의 고정을 위한 장치의 종류와 구조에 따라서 상기 그립부(41)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것이다.
상기 펀치부(42)는 상기 아웃 파이프(20)를 확관시켜, 상기 아웃 파이프(20)와 피팅(10)이 실질적으로 체결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그립부(41)의 중앙에 위치되며, 상기 피팅(10)을 관통할 수 있는 충분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펀치부(42)는 전단부(421), 제 1 직선부(422), 펀치 가압부(423) 및 제 2 직선부(4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단부(421)는 상기 펀치부(42)의 연장된 단부를 형성하며, 연장 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도록 둘레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펀치(40)가 상기 이너 파이프 개구(102) 및 상기 아웃 파이프의 개구된 일단으로 차례로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직선부(422)는 상기 전단부(421)와 펀치 가압부(423)의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전단부(421)의 후단과 대응하는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펀치 가압부(423)는 상기 제 1 직선부(422)의 단부에서 점차적으로 더 큰 외경을 가지도록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부(140)의 내측에서 상기 아웃 파이프(20)가 확관되어 실질적으로 체결될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가압부는 상기 아웃 파이프(2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더 큰 외경을 가지도록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펀치 가압부(423)의 후단에는 상기 그립부(41)까지 동일한 외경으로 연장되는 제 2 직선부(42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직선부(424)의 외경은 상기 전단부(421)와 펀치 가압부(423) 및 제 1 직선부(422)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펀치부(42) 중 가장 큰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직선부(424)의 외경은 상기 펀치(40)의 가장 좁은 부분의 내경 보다는 더 작은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피팅(10)의 내측으로 삽입 및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상기 피팅과 펀치의 내외경 사이즈를 비교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0은 상기 피팅에 아웃 파이프가 삽입된 상태에서 아웃 파이프의 내외경 사이즈를 비교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1은 상기 피팅에 아웃 파이프가 체결된 상태에서 아웃 파이프의 외경 사이즈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아웃 파이프(20)가 상기 피팅(10)에 삽입되고, 상기 펀치(40)에 의해 확관되어 상기 피팅(10)에 체결되기 위해서는 상기 아웃 파이프(20)와 피팅(10) 그리고 상기 펀치(40)는 설정된 치수 관계를 가지게 된다.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피팅(10)의 가장 좁은 부분은 상기 압착부(160)의 내경(Df3)으로, 상기 펀치부(42)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펀치부(42)의 가장 큰 외경(Dp2) 즉, 상기 제 2 직선부(424)의 외경(Dp2)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펀치(40)는 상기 이너 파이프 개구(102)를 통해 상기 피팅(1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피팅(10)을 관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아웃 파이프 개구(101)의 내경(Df1)은 상기 아웃 파이프(20)의 외경(Dop1)과 같거나 다소 크게 형성되며, 상기 아웃 파이프(20)가 아웃 파이프 개구(101)를 통해 상기 피팅(1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크(143)의 돌출된 단부는 상기 아웃 파이프(20)의 외주면과 접하거나 가까운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웃 파이프(20)의 외경(Dop1)은 상기 피팅(10) 내부의 상기 압착부(160)와 제 1 경사부(151) 및 제 2 경사부(152)의 내경(Df3, Df4, Df5)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중 상기 제 1 경사부(151)의 내경(Df4)이 가장 크게형성되지만, 상기 아웃 파이프(20)의 외경보다는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웃 파이프(20)를 선 체결하기 위해 삽입하게 될 때 상기 아웃 파이프(20)는 상기 제 1 경사부(151)의 입구 영역까지 삽입될 수 있게 되고, 상기 아웃 파이프(20)의 단부는 확관 수용부(144)의 내측 영역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 파이프(20)의 내경(Dop2)은 상기 펀치(40)의 제 1 직선부(422)의 외경(Dp1) 보다는 더 크게 형성되고, 제 2 직선부(424)의 외경(Dp2)보다는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펀치(40)의 삽입시 전단부(421)와 상기 제 1 직선부(422)는 상기 아웃 파이프(20)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펀치 가압부(423)에 의해 상기 아웃 파이프(20)의 단부가 확관될 수 있다
상세히,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아웃 파이프(20)가 상기 피팅(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펀치(40)가 상기 피팅(10)의 내측으로 삽입되면, 상기 펀치(40)의 단부 즉, 상기 전단부(421)와 제 1 직선부(422)가 상기 아웃 파이프(20)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펀치 가압부(423)가 상기 아웃 파이프(20)의 내측면과 접촉되면서 상기 아웃 파이프(20)를 외측으로 확관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아웃 파이프(20)의 단부는 상기 확관 수용부(144)의 내측에 위치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확관 수용부(144)의 내경(Df2)은 상기 후크(143)의 내경 즉, 상기 아웃 파이프 개구(101)의 내경(Df1)보다 더 크게 되며, 따라서, 상기 아웃 파이프(20)의 단부는 상기 확관 수용부(144)의 내측에서 더 확관되어 확관부(21)를 형성할 수 있다. 확관된 상기 아웃 파이프(20)의 단부 즉, 상기 확관부(21)의 외경(Dop3)은 상기 아웃 파이프(20)의 외경(Dop1)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확관 수용부(144)의 내경(Df2)과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웃 파이프(20)의 단부는 상기 피팅(10)의 체결부(140) 내측에서 상기 후크(143)에 의해 가압 고정되고, 상기 확관 수용부(144)에 수용되어 상기 피팅(10)과 체결 상태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상기 아웃 파이프(20)와 이너 파이프(30)가 연결되는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2는 상기 아웃 파이프와 이너 파이프가 연결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3은 상기 아웃 파이프와 이너 파이프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피팅(10)은 상기 아웃 파이프(20)에 체결된 상태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피팅(10)과 아웃 파이프(20)의 체결은 임시적인 체결로서, 상기 아웃 파이프(20)와 이너 파이프(30)의 연결 작업 이전에 운반 또는 처리 등의 기타 작업시 상기 피팅(10)이 상기 아웃 파이프(20)로부터 빠지지 않는 정도로 연결된 것을 의미하며, 상기 피팅(10)에 힘을 가하여 이동시키게 되는 경우, 상기 피팅(10)은 상기 아웃 파이프(20)를 변형시키면서 좌측(도 12를 기준으로 할 때)으로 이동될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아웃 파이프(20)와 이너 파이프(30)의 연결을 위한 작업시 상기 아웃 파이프(20)는 상기 아웃 파이프(20)의 단부를 확관시키는 작업에 의해 상기 피팅(10)에 임시적으로 체결된 상태이며, 이와 같은 상태로 작업자에게 제공되어 작업자는 이너 파이프(30)를 삽입하고 상기 피팅(10)을 조작하는 것으로 상기 아웃 파이프(20)와 이너 파이프(30)를 간단히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 파이프(20)는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냉매 배관의 일부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냉매 배관이 연결되어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부품들의 일부 일수 있다. 예컨데, 냉매 배관과 연결되는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모세관, 드라이어, 팽창장치 등 냉매 배관과 접속될 수 있는 모든 구성에 구비되는 관 형상의 부분을 상기 아웃 파이프(20)라 부를 수 있다.
상기 아웃 파이프(20)는 상기 피팅(10)에 체결된 상태로 작업자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아웃 파이프(20)와의 연결을 위한 상기 이너 파이프(30)가 각각 조립 작업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웃 파이프(20)의 내로 삽입되는 상기 이너 파이프(30)의 외측면 일부에는 실링부재(51)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51)는 상기 아웃 파이프(20)의 내측면과 상기 이너 파이프(30)의 사이를 기밀시킬 수 있으며, 상기 피팅(10)에 의한 가압으로 상기 아웃 파이프(20) 및/또는 이너 파이프(30)가 소성 변형될 때에도 상기 아웃 파이프(20)와 이너 파이프(30) 사이의 기밀을 강화하게 된다.
상기 실링부재(51)는 상기 이너 파이프(30)에 도포 가능한 액상형으로 이루어지거나, 도포 후 경화될 수 있는 소재 또는 별도로 성형된 후 장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실링부재(51)는 우레탄, 고무, 피티에프이(PTFE), 플라스틱 등 고분자 코팅 또는 페인팅, 압력발포형 실링 접착제 열체결 유지부재, 실링 테입 등 다양하게 채택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실링부재(51)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 상기 실링부재(51)는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실링부재(51)는 상기 아웃 파이프(20)와 이너 파이프(30)의 연결 전에 이미 상기 이너 파이프(30)에 도포 또는 부착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상기 피팅(10)이 체결된 아웃 파이프(20)와 상기 실링부재(51)가 구비된 이너 파이프(30)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실링부재(51)는 비교적 상기 피팅(10)의 체결 여부와 관계없이 상기 이너 파이프(30) 상에 구비될 수 있으므로 상기 아웃 파이프(20)와 이너 파이프(30)의 연결 전에 자동화된 장치 또는 기구에 의해 균일하게 상기 이너 파이프(30)상에 형성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a) [조립 준비 단계]
다음으로, 작업자는 상기 이너 파이프(30)를 상기 피팅(10)의 이너 파이프 개구(102)에 삽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피팅(10)에는 상기 아웃 파이프(20)가 체결된 상태이며, 상기 이너 파이프(30)는 상기 피팅(10)을 통해서 상기 아웃 파이프(2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이너 파이프(30)는 상기 실링부재(51)가 상기 아웃 파이프(20)의 내측에 위치될 때까지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아웃 파이프(20)와 이너 파이프(30)는 상기 실링부재(51)에 의해 서로 기밀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이너 파이프(30)가 완전히 상기 아웃 파이프(20)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도 상기 피팅(10)은 임시 체결된 상태 즉 상기 조립 준비단계의 상태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b) [파이프 삽입 단계]
상기 이너 파이프(30)가 설정된 깊이만큼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피팅을 좌측 즉, 상기 아웃 파이프(20)가 삽입된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피팅(1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아웃 파이프(20)의 외측면은 상기 체결부(140)와 경사부(150) 및 압착부(160)를 차례로 지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상기 아웃 파이프(20)는 상기 피팅의 내측면에 의해 눌려지게 되어 소성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파이프(30)와 보다 밀착될 수 있게 된다.(c) [피팅 가압 단계]
상세히, 상기 피팅(10)이 상기 아웃 파이프(2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아웃 파이프(20)의 단부는 상기 제 1 경사부(151)와 최초 접촉되면서 가압되어 외경이 작아지도록 소성 변형이 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팅(10)이 더 이동하게 되면 상기 아웃 파이프(20)의 단부는 상기 제 2 경사부(152)를 지나면저 점진적으로 더 가압되고, 이에 따라 상기 아웃 파이프(20)의 외경 또한 점진적으로 더 작아지게 된다. 상기 아웃 파이프(20)가 상기 압착부(160)를 지나는 지점에서 상기 아웃 파이프(20)의 외경은 최대로 좁아지게 되며, 상기 이너 파이프(30)와 최대로 밀착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웃 파이프(20)의 가압 변형에 따라 상기 이너 파이프(30) 또한 외경이 좁아지도록 일부 가압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아웃 파이프(20)와 이너 파이프(30)는 상기 피팅(10)의 압착부(160)에서 최대 가압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파이프(30)와 완전히 밀착된 상태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피팅(10)은 작업자가 손으로 이동시킬 경우 많은 힘이 소요되며, 따라서 체결을 위한 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피팅(10)을 보다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피팅(10)의 중간부(130)와 툴 지지부(120)의 단차를 이용하여 상기 체결을 위한 장치 또는 도구를 걸어 상기 피팅(10)을 보다 용이하고 균일한 힘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웃 파이프(20)와 이너 파이프(30)가 서로 완전히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피팅(10)이 좌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아웃 파이프(20)의 확관된 단부가 상기 테일부(17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아웃 파이프(20)의 확관부(21)는 상기 테일부(17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확관부(21)는 자연스럽게 이탈 방지부(171)에 걸림 고정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웃 파이프(20) 및 이너 파이프(30)를 통해서 냉매가 유동되고 압력이 가해지는 상황에서도 상기 피팅(10)이 우측으로 밀려서 빠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피팅(10)은 상기 테일부(170)와 상기 확관부(21)의 걸림에 의해 우측방향으로의 이동이 구속되며, 압력이 가해지는 상황에서도 위치의 이동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상기 아웃 파이프(20)와 이너 파이프(30)가 구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피팅은 전술한 실시 예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피팅의 구조에 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의 구성 중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은 그 상세한 설명과 도시를 생략하고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피팅에 의해 상기 아웃 파이프와 이너 파이프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피팅에 의해 상기 아웃 파이프와 이너 파이프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피팅(11)은 전술한 실시 예의 피팅(11)과 내부의 형상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웃 파이프(20)와 상기 피팅(11)의 체결 및 상기 아웃 파이프(20)와 이너 파이프(30)의 연결은 동일한 구조에 의해 동일한 작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면에, 상기 피팅(11)의 외측면은 전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팅(11)의 외측면에는 별도의 단차 구조가 제공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피팅(11)의 우측단 즉, 상기 이너 파이프(30)가 삽입되는 측면은 최대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피팅(11)의 내측으로 펀치가 삽입될 때 상기 펀치(40)의 그립부(4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팅(10)의 좌측단과 우측단의 두께 차이와 상기 피팅(10)의 외측면 경사를 통해서 사용자는 상기 아웃 파이프(20)와 이너 파이프(30)의 삽입 방향 및 피팅(10)의 이동 방향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피팅(12)은 전술한 실시 예의 피팅(10)과 내부의 형상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웃 파이프(20)와의 체결 및 상기 아웃 파이프(20)와 이너 파이프(30)의 연결은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구조에 의해 동일한 작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피팅(12)의 외측면은 전단에서 후단까지 전체 면에서 일직선을 형성할 수 있으며, 외부에서 볼 때 상기 피팅(12)은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보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팅(12)의 외측면에는 별도의 단차 구조가 제공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이너 파이프(30)가 삽입되는 일측단의 두께는 상기 펀치(40)가 삽입될 때 그립부(4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피팅(12)의 전체 외경은 상기 그립부(41)와 접하는 면에 의해 결정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피팅은(12) 외부에 굴곡이나 단차가 형성되지 않은 구조로 걸림이 없는 외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피팅(12)의 외부 구조를 간결하게 함으로써 성형이 보다 용이하도록 하고 외관이 보다 깔끔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팅(12)이 완전히 체결된 상태에서 다른 배관이나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구성들과 간섭되거나 걸림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피팅(12)은 상기 아웃 파이프(20)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하며, 적어도 이너 파이프(30)가 삽입되기 전까지는 상기 아웃 파이프(20)에 체결된 가 고정 또는 선 체결 상태 그대로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피팅과 아웃 파이프의 체결 유지 구조에 관한 다양한 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의 구성들 중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구성들은 그 상세한 설명과 도시를 생략하고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피팅과 아웃 파이프의 체결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피팅(13)은 양측면에 각각 아웃 파이프 개구(101)와 이너 파이프 개구(102)가 형성되며, 상기 아웃 파이프 개구(101)를 통해 상기 아웃 파이프(20)가 상기 피팅(13)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팅(13)의 내부에는 체결부(140)와 경사부(150), 압착부(160) 및 테일부(170)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피팅(13)의 내부에서 상기 아웃 파이프(20)와 이너 파이프(30)가 가압 연결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140)의 내경은 상기 아웃 파이프(20)의 외경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부(140)는 상기 아웃 파이프(20)의 외경과 접하거나 인접하게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피팅(13) 내부의 체결부(140)는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는 달리, 상기 후크(143)가 형성되지 않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 파이프(20)의 단부는 상기 체결부(14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아웃 파이프(20)의 외주면에는 접착제(52)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2)는 상기 아웃 파이프(20)의 외측면과 상기 피팅(13)의 내측면이 서로 접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의 접착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팅(13) 및 상기 아웃 파이프(20)의 내부에 상기 이너 파이프(30)가 삽입된 후에는 상기 피팅(13)이 이동되어 상기 아웃 파이프(20)를 가압하여 소성 변형시켜 상기 아웃 파이프(20)와 이너 파이프(30)가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접착제(52)는 상기 이너 파이프(30)가 삽입되기 전까지만 가고정 또는 가접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이너 파이프(30)가 삽입된 후에 상기 피팅(13)에 힘을 가하게 되면 상기 피팅(13)이 이동될 수 있을 정도의 접착력을 가지게 된다. 상기 피팅(13)의 이동에 의해 상기 아웃 파이프(20)와 이너 파이프(30)가 완전 체결될 수 있게 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피팅과 아웃 파이프의 체결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피팅(10)은 양측면에 각각 아웃 파이프 개구(101)와 이너 파이프 개구(102)가 형성되며, 상기 아웃 파이프 개구(101)를 통해 상기 아웃 파이프(20)가 상기 피팅(1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팅(10)의 내부에는 체결부(140)와 경사부(150), 압착부(160) 및 테일부(170)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피팅(10)의 내부에서 상기 아웃 파이프(20)와 이너 파이프(30)가 가압 연결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140)의 내경은 상기 아웃 파이프(20)의 외경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부(40)는 상기 아웃 파이프(20)의 외경과 접하거나 서로 인접하게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피팅(10) 내부의 체결부(140)에는 상기 후크(143)가 형성되지 않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 파이프(20)의 단부 또는 상기 체결부(140)의 내측에는 체결부재(5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53)는 상기 아웃 파이프(20)의 외측면과 상기 피팅(10)의 내측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아웃 파이프(20)와 상기 피팅(10)이 임시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체결부재(53)는 고무, 플라스틱, 섬유 소재의 패킹 또는 오링(O-Ring)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양면 테입과 같이 접착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체결부재(53)가 제공하는 마찰력 또는 접착력에 의해서 상기 피팅(10)은 상기 아웃 파이프(20)와 잘 분리되지 않게 되며, 따라서 상기 아웃 파이프(20)는 조립을 위해 이송 및 처리되는 과정에서도 상기 피팅(10)이 임시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피팅(10) 및 상기 아웃 파이프(20)의 내부에 상기 이너 파이프(30)가 삽입된 후에는 상기 피팅(10)이 이동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피팅(10)에 힘을 가하여 상기 피팅(10)을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체결부재(53)의 마찰력 또는 접착력을 넘어서게 되어 상기 피팅(10)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피팅(1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아웃 파이프(20)와 이너 파이프(30)가 완전 체결될 수 있게 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체결 유지부재에 의해 피팅과 아웃 파이프가 체결을 유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아웃 파이프(20)는 상기 피팅(10)에 삽입된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피팅(10)의 내부 구조는 전술한 실시 예들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와 같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팅(10)의 외부 일측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외부 홈(133)이 상기 피팅(10)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 홈(133)은 상기 피팅(10)의 중간부 또는 상기 피팅(10)의 양측단 사이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 파이프(20)는 상기 피팅(10)의 일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 유지부재(61)에 의해 상기 피팅(10)과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체결 유지부재(61)는 탄성을 가지는 튜브 형상으로 형성되며,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 유지부재(61)는 수축 튜브라 부를 수도 있다.
상기 체결 유지부재(61)는 상기 아웃 파이프(20)의 일부에서 상기 피팅(10)의 외부 홈(133)까지를 감싸 고정하게 된다. 즉, 상기 아웃 파이프(20) 및 상기 아웃 파이프(20)가 삽입된 상기 피팅(10)의 일부를 타이트 하게 감싸 구속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와 같은 상기 피팅(10)과 아웃 파이프(20)의 상태는 가 고정된 상태일 수 있으며, 상기 체결 유지부재(61)에 의해 감싸지지 않은 상기 피팅(10)의 다른 일단의 상기 이너 파이프 개구(102)를 통해서 상기 이너 파이프(30)가 상기 피팅(10) 및 상기 아웃 파이프(20)의 내측으로 삽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 유지부재(61)를 제거하여 상기 피팅(10)이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 후 상기 피팅(10)을 상기 아웃 파이프(20) 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아웃 파이프(20)를 가압 변형시킬 수 있으며, 상기 아웃 파이프(20)와 이너 파이프(30)가 완전히 체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체결 유지부재에 의해 피팅과 아웃 파이프가 체결을 유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아웃 파이프(20)는 상기 피팅(10)에 삽입된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피팅(10)의 내부 구조는 전술한 실시 예들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와 같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팅(10)의 외부 일측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외부 홈(133)이 상기 피팅(10)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 홈(133)은 상기 피팅(10)의 중간부(130) 또는 상기 피팅(10)의 양측단 사이의 일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 파이프(20)는 상기 피팅(10)의 일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 유지부재(63)에 의해 상기 피팅(10)과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체결 유지부재(63)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피팅(10) 및 아웃 파이프(20)가 고정 상태를 유지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체결 유지부재(63)는 탄성을 가지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아웃 파이프(20)와 피팅(10)의 외측면의 일부를 감싸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 유지부재(63)는 상기 외부 홈(133)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피팅(10)을 감싸는 피팅 고정부(621)와, 상기 아웃 파이프(20)의 외측을 감싸는 파이프 고정부(622) 그리고 상기 피팅 고정부(621)와 상기 파이프 고정부(622)의 사이를 연결하는 고정 연결부(6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팅 고정부(621)와 파이프 고정부(622)는 상기 피팅(10)과 아웃 파이프(20)의 외주면보다 더 큰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피팅(10)과 아웃 파이프(20)는 상기 피팅 고정부(621)와 상기 파이프 고정부(622)에 압입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피팅 고정부(621)와 파이프 고정부(622)는 상기 피팅(10)과 아웃 파이프(20)에 고정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연결부(623)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일정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 유지부재(63)는 상기 아웃 파이프(20) 및 상기 아웃 파이프(20)가 삽입된 상기 피팅(10)이 서로 유동되지 않고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피팅(10)이 고정된 상기 아웃 파이프(20)는 상기 이너 파이프(30)의 연결을 위해 운송 및 기타 처리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피팅(10)은 상기 체결 유지부재(63)에 의해 상기 아웃 파이프(20) 상에 최초 체결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물론, 이와 같은 상태는 임시적인 고정된 상태일 수 있으며, 상기 체결 유지부재(63)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피팅(10)의 상기 이너 파이프 개구(102)를 통해서 상기 이너 파이프(30)가 상기 피팅(10) 및 상기 아웃 파이프(20)의 내측으로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 유지부재(63)를 제거한 후 상기 피팅(10)을 상기 아웃 파이프(20) 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아웃 파이프(20)를 가압 변형시킬 수 있으며, 상기 아웃 파이프(20)와 이너 파이프(30)가 완전히 체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피팅(10)을 이용한 아웃 파이프(20)와 이너 파이프(30)의 연결 구조는 냉매 배관에 의해 연결되는 냉동 사이클이 사용되는 다양한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냉장고에서 전술한 실시 예들의 피팅을 이용한 아웃 파이프와 이너 파이프의 연결 구조가 적용된 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물론, 이해와 편의를 위해 아래에서는 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일 뿐, 냉장고, 공기조화기를 포함하여, 냉매의 유동을 위해 파이프 연결이 필요한 모든 장치에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 둔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피팅이 적용된 냉장고의 기계실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냉장고의 캐비닛(70) 일측에는 압축기(711)와 응축기(712) 등을 비롯한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장치 중 일부가 수용되는 기계실(7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71)은 상기 냉장고의 저장 공간과 독립되어 분리된 공간으로 고외 공간과 연통되어 외기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71)에는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711)와, 유동되는 냉매를 고외 공기와 열교환 시키기 위한 응축기(712), 상기 응축기(712)의 출구와 연결되어 냉매중의 수분 및 이물질을 필터링 하는 드라이어(713) 그리고 증발기(721)로 공급되는 냉기를 팽창시켜 저압의 상태로 만들기 위한 팽창장치 또는 모세관(714)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웃 파이프(20)는 상기 압축기(711)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배관이거나, 상기 응축기(712)와 연결된 배관, 그리고 상기 드라이어(713)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배관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 파이프(20)와 연결되는 이너 파이프(30)는 상기 아웃 파이프(20)와 연결되기 위한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냉매 배관의 일부로 상기 피팅(1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즉, 작업 공간이 협소하고 많은 구성이 배치되는 기계실(71)에 상기 아웃 파이프(20)에 상기 피팅(10)이 연결된 상태로 모듈화된 압축기, 응축기, 모세관, 드라이어 등의 구성들이 우선 장착된 상태로 작업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그러면, 작업자는 상기 이너 파이프(30)를 상기 피팅(10)에 삽입시키고 상기 피팅(10)이 이동되도록 조작하여 간단하게 상기 아웃 파이프(20)와 이너 파이프(30)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피팅이 적용된 냉장고의 증발기와 파이프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2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캐비닛(70)의 저장 공간(72)의 내부에는 상기 저장 공간(72)의 냉각을 위한 증발기(72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721)는 상기 압축기(711)를 향하여 냉매가 배출되는 출력 배관(724)과 모세관을 지난 냉매가 유입되는 입력 배관(723)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력 배관(723)과 출력 배관(724)의 일부가 아웃 파이프(20)가 되어 상기 피팅(10)이 임시 체결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721)는 액냉매와 기체 냉매를 분리하기 위한 어큐뮬레이터(725)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어큐뮬레이터(725)에서 연장되는 배관상에 상기 피팅(10) 임시 체결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 배관(723), 출력 배관(724) 및 어큐뮬레이터(725)와 연결되는 냉매 배관은 이너 파이프(30)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이너 파이프(30)는 상기 피팅(10)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피팅(1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아웃 파이프(20)와 이너 파이프(30)는 완전히 연결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피팅(10)이 임시 체결된 상태로 제공되는 아웃 파이프(20) 및 아웃 파이프(20)를 포함한 구성들에, 작업자는 상기 이너 파이프(30)를 삽입하고 상기 피팅(10)을 조작하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상기 아웃 파이프(20)와 이너 파이프(30)의 완전한 체결 및 연결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Claims (20)

  1. 내부가 중공된 관 형상의 파이프 피팅에 있어서,
    아웃 파이프가 삽입되는 아웃 파이프 개구;
    상기 아웃 파이프 개구와 마주보는 방향에서 개구되며, 이너 파이프가 삽입되어 상기 아웃 파이프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이너 파이프 개구;
    상기 피팅의 내측면에서 상기 이너 파이프 개구를 향할수록 내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피팅의 이동시 상기 아웃 파이프의 외측면이 변형되도록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와 상기 아웃 파이프 개구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아웃 파이프 개구를 통해 삽입된 상기 아웃 파이프의 외측면을 구속하여 상기 아웃 파이프와 상기 피팅이 임시 체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아웃 파이프의 외측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후크와;
    상기 후크와 상기 가압부의 사이에서 함몰 형성되며, 상기 피팅의 내측에 삽입된 상기 아웃 파이프 일단의 확관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피팅은 상기 후크와 상기 확관부의 구속에 의해 상기 아웃 파이프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되, 상기 이너 파이프가 상기 아웃 파이프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되어 상기 아웃 파이프의 외측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파이프 피팅.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내경은 상기 아웃 파이프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파이프 피팅.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관부는, 상기 아웃 파이프의 단부가 상기 체결부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이너 파이프 개구를 통해 삽입되는 펀치에 의해 확관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파이프 피팅.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와 상기 이너 파이프 개구의 사이에는 상기 가압부보다 더 큰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피팅의 이동 완료시 상기 확관부를 수용하는 테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파이프 피팅.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의 단부와 테일부의 단부는 단차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피팅의 일방향 이동을 구속하는 이탈 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파이프 피팅.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일부는 상기 피팅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펀치의 삽입시 상기 펀치의 일면을 지지하며,
    상기 피팅의 전체 두께 중 가장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파이프 피팅.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팅의 내부 구조는 상기 피팅의 연장 방향을 축으로 축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파이프 피팅.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내경은 상기 아웃 파이프의 외경 및 상기 가압부 보다는 크게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에는 상기 아웃 파이프의 외측면과 상기 체결부의 내측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아웃 파이프와 상기 피팅이 임시 접착 되도록 하는 접착제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파이프 피팅.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내경은 상기 아웃 파이프의 외경 및 상기 가압부 보다는 크게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에는 상기 아웃 파이프의 외측면과 상기 체결부의 내측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아웃 파이프와 상기 피팅이 임시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부재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파이프 피팅.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 파이프가 상기 아웃 파이프 개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아웃 파이프와 상기 피팅의 외주면을 동시에 고정하여 상기 아웃 파이프와 피팅이 임시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체결 유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파이프 피팅.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유지부재는,
    탄성을 가지는 튜브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이너 파이프 개구를 제외한 상기 피팅의 일부와 상기 피팅에 삽입된 상기 아웃 파이프의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파이프 피팅.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피팅의 외주면에는 함몰된 외부 홈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 유지 부재는,
    상기 아웃 파이프와 피팅의 단차진 경계에 고정 장착되는 파이프 고정부;
    상기 외부 홈에 고정 장착되는 피팅 고정부;
    상기 파이프 고정부와 피팅 고정부를 연결하는 고정부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파이프 피팅.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의 내측면에는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가지는 다수의 경사부들이 연속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경사부들은 상기 이너 파이프 개구측으로 향하여 연장될수록 기울기가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파이프 피팅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경사부의 연장된 단부에서 내경이 가장 좁은 상태로 연장되며, 상기 아웃 파이프와 이너 파이프를 가압 체결시키는 압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파이프 피팅.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팅은 냉장고의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냉매 배관 사이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파이프 피팅.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 파이프는 냉매 배관과 연결되는 압축기, 응축기, 증발장치, 모세관, 드라이어, 어큐뮬레이터 중의 일부로 상기 피팅과 임시 체결된 상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파이프 피팅.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파이프는 상기 아웃 파이프의 내측에 삽입되며,
    상기 이너 파이프의 외측면에는 상기 아웃 파이프의 내측면과의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제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파이프 피팅.
  20. 제 1 항의 상기 냉매 파이프 피팅을 이용하여,
    상기 아웃 파이프의 단부를 상기 체결부 내측에 삽입한 후 펀치에 의해 상기 수용부 내측에 상기 확관부가 성형되도록 하여 상기 피팅을 상기 아웃 파이프의 일단에 체결 상태로 제공하고, 상기 이너 파이프를 실링제가 도포된 상태로 제공하는 조립 준비단계;
    상기 아웃 파이프에 체결된 상태의 상기 피팅의 개구로 상기 이너 파이프를 삽입하되, 상기 실링제가 도포된 상기 이너 파이프의 단부가 상기 아웃 파이프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하는 파이프 삽입 단계; 및
    상기 이너 파이프가 아웃 파이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피팅을 상기 아웃 파이프의 연장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가압부가 상기 아웃 파이프의 외측면을 눌러 상기 아웃 파이프가 변형되도록 하여 상기 아웃 파이프와 상기 이너 파이프가 서로 완전히 체결되도록 하는 피팅 가압 단계;를 포함하는 냉매 파이프 피팅을 이용한 파이프 피팅 방법.

KR1020180022850A 2018-02-26 2018-02-26 냉매 파이프 피팅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피팅 방법 Active KR102031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850A KR102031917B1 (ko) 2018-02-26 2018-02-26 냉매 파이프 피팅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피팅 방법
PCT/KR2019/002296 WO2019164376A1 (ko) 2018-02-26 2019-02-25 냉매 파이프 피팅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피팅 방법
US16/975,893 US12025243B2 (en) 2018-02-26 2019-02-25 Refrigerant pipe fitting and refrigerant pipe fitting method us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850A KR102031917B1 (ko) 2018-02-26 2018-02-26 냉매 파이프 피팅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피팅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450A KR20190102450A (ko) 2019-09-04
KR102031917B1 true KR102031917B1 (ko) 2019-11-08

Family

ID=67688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2850A Active KR102031917B1 (ko) 2018-02-26 2018-02-26 냉매 파이프 피팅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피팅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2025243B2 (ko)
KR (1) KR102031917B1 (ko)
WO (1) WO201916437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8417A (ko) 2020-05-12 2021-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파이프 피팅장치 및 파이프 피팅방법
KR20220035786A (ko) 2020-09-14 2022-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팅장치
WO2024181836A1 (ko) * 2023-02-28 2024-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흡입-모세관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냉동 사이클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01060B2 (ja) * 1987-12-24 1998-01-21 ハツクフオルト・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トウング・ウント・コンパニ・コマンデイートゲゼルシヤフト 金属管用の締め付け環管結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7962A (en) * 1933-03-03 1936-01-14 Nat Carbon Co Inc Production of articles from plastic compositions
US3149860A (en) * 1961-01-16 1964-09-22 Boeing Co High pressure, high temperature reconnectible tube fitting
US3320355A (en) * 1965-09-07 1967-05-16 Aylwin R Booker Heat shrinkable connector for electrical wire
US3528689A (en) * 1967-12-22 1970-09-15 Homer D Roe Tube joint
US3498648A (en) * 1968-08-22 1970-03-03 Boeing Co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tube fitting
GB1399047A (en) * 1973-06-21 1975-06-25 Moebius K O Joint
US4141576A (en) * 1977-08-23 1979-02-27 Lupke Manfred Arno Alfred Heat shrinkable sleeve for coupling pipe sections
US4650228A (en) * 1983-09-14 1987-03-17 Raychem Corporation Heat-recoverable coupling assembly
ES8604434A1 (es) 1984-07-13 1986-02-01 Ormaechea Mujica Marcos Procedimiento de fabricacion de zapatas para frenos
JPS6163330U (ko) * 1984-07-27 1986-04-30
DE9307262U1 (de) * 1993-05-13 1993-07-15 Hackforth GmbH & Co KG, 4690 Herne Schiebehülsen-Verbindung für Kunststoffrohre
DE10133183C1 (de) * 2001-07-07 2002-11-14 Manfred Reckzeh Rohrpresskupplung mit Presshülse sowie Verpressungsverfahren
KR20030076817A (ko) * 2002-03-21 2003-09-29 김칠현 압착식 관이음쇠의 접속방법
US20130270821A1 (en) * 2012-04-12 2013-10-17 Gottfried Haener Coupling assembly that establishes a pipe connection through pressure clamping
KR200478353Y1 (ko) * 2013-10-14 2015-09-22 이진형 냉매 파이프 연결구
KR101682703B1 (ko) 2016-04-14 2016-12-05 (주)하나테크 밀폐형 슬리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01060B2 (ja) * 1987-12-24 1998-01-21 ハツクフオルト・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トウング・ウント・コンパニ・コマンデイートゲゼルシヤフト 金属管用の締め付け環管結合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8417A (ko) 2020-05-12 2021-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파이프 피팅장치 및 파이프 피팅방법
KR20220035786A (ko) 2020-09-14 2022-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팅장치
WO2024181836A1 (ko) * 2023-02-28 2024-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흡입-모세관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냉동 사이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03326A1 (en) 2021-01-07
WO2019164376A1 (ko) 2019-08-29
KR20190102450A (ko) 2019-09-04
US12025243B2 (en) 2024-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1917B1 (ko) 냉매 파이프 피팅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피팅 방법
US8770630B2 (en) Hose connecting method and connector arrangement
US6827375B2 (en) End fitting tubular members and method of applying same
JPH0735271A (ja) 金属細径配管の連結固定方法
US8226127B2 (en) Clamp fitting for a pipe
JP7031060B2 (ja) 逆止弁および空気調和装置、ならびに逆止弁の製造方法
KR101435716B1 (ko) 이중관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14008366A (zh) 软管连接件、软管管路以及用于制造软管连接件的方法
SK129094A3 (en) Method of molding of end of pipe of rectangle section on circle section
WO2002070940A1 (en) Coupling for connection of a tube or hose by pushing-in
KR101055938B1 (ko) 단부에 확관부가 형성된 알루미늄피복관의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결방법
KR101538337B1 (ko) 배관연결구 및 배관의 결합체
KR100611330B1 (ko) 시스템에어컨용 와이 분지관의 제조방법 및 그 와이 분지관
US20140232107A1 (en) High-flow hose fitting
EP1321704A2 (en) End fitting for tubular members and method of applying same
EP3718658B1 (en) Pipe end part processing device
KR20170142302A (ko) 퀵 커플러
KR20110001999A (ko) 에어컨 호스의 결합구조
KR100855707B1 (ko)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와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20220013176A (ko) 공기조화기용 배관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JP7026846B2 (ja) 分離器、油分離器、気液分離器および空気調和装置、ならびに分離器の製造方法
EP0933578A2 (en) A connection for high pressure fluid flexible pipes
KR20100033561A (ko) 에어컨 호스의 결합방법 및 그 결합구조
KR101538336B1 (ko) 배관연결구 및 배관의 연결 방법
EP3587883A1 (en) Tube connection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3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1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0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0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