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1421B1 - Profile unit and profile structure - Google Patents
Profile unit and profile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31421B1 KR102031421B1 KR1020170137155A KR20170137155A KR102031421B1 KR 102031421 B1 KR102031421 B1 KR 102031421B1 KR 1020170137155 A KR1020170137155 A KR 1020170137155A KR 20170137155 A KR20170137155 A KR 20170137155A KR 102031421 B1 KR102031421 B1 KR 1020314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ion flange
- profile
- plate
- unit
- profile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3/06—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substantially solid, i.e. unapertured, web
- E04C3/07—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substantially solid, i.e. unapertured, web at least partly of bent or otherwise deformed strip- or sheet-like materia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4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substantial shape of the cross-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에 개방면부가 형성되고, 서로 교차되는 복수 개의 폐쇄면을 구비하는 폐쇄면부가 형성된 프로파일본체; 상기 프로파일본체의 단부에서 교차되도록 설치되고, 구조물과의 연결부분을 제공하는 연결플랜지부; 및, 상기 폐쇄면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되고, 패널구조체의 일측이 삽입 고정되는 설치라인;을 포함하는 프로파일유닛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n open surface portion on one side, the profile body formed with a closed surface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closed surfaces that cross each other; A connection flange portion installed to intersect at the end of the profile body and providing a connection portion with the structure; And an installation line formed on one side of the closing surface and into which one side of the panel structure is inserted and fixed.
Description
본 발명은 구조가 개선된 프로파일유닛 및 프로파일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file unit and a profile structure with improved structure.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content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constitute a prior art.
화석 연료의 사용으로 인한 지구 온난화와 환경 파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체 에너지의 개발 및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무공해 에너지이면서 경제성이 있는 태양 에너지를 이용하는 태양광(PV) 시스템이 장치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The development and research of alternative energy to solve the problems of global warming and environmental destruction caused by the use of fossil fuels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Among them, the PV system using solar energy which is economical and economical is widely used. It is used.
일반적으로 태양광 시스템은 건물의 지붕이나 측벽, 나대지, 수상(水上) 등에 설치되며, 복수의 지지 프레임 구조물을 건물 지붕이나 나대지 위에 설치한 후 다수의 태양광(PV) 모듈을 프레임에 부착하여 제작한다. In general, the solar system is installed on the roof, side walls, bare ground, water surface of the building, and is manufactured by attaching a plurality of PV modules to the frame after installing a plurality of supporting frame structures on the roof or bare ground of the building. do.
도 1과 도 2는 PV 모듈을 지지하는데 사용되는 일반적인 PV 모듈용 지지프레임(이하, '프레임'이라고 약칭함)을 나타낸다. 1 and 2 show a support frame for a general PV module (hereinafter abbreviated as 'frame') used to support a PV module.
도 1은 단면이 'C' 형상 또는 'ㄷ' 형상인 C 형강으로 구성된 프레임(S)이고, 다양한 종류의 지지 프레임들 중 가장 간단하고 단순한 형태의 프레임이다. 1 is a frame S made of C-shaped steel having a cross-section 'C' shape or a 'c' shape, and is the simplest and simplest frame among various kinds of support frames.
도시한 것처럼 C 형강은 3개의 측면이 폐쇄되어 있고 한쪽 측면의 일부분이 개방되어 있는 구조이다. As shown, the C-beams have a structure in which three sides are closed and a part of one side is open.
그러나, 도 1의 프레임(S)은 구조가 단순하여 제조 단가가 저렴한 장점이 있지만, 도 2와 같은 다른 종류의 프레임(S)들에 비해 강성이 약하고 프레임(S)간 연결시 볼트와 너트 등 체결수단이 항상 필요하기 때문에 태양광 시스템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frame (S) of Figure 1 has the advantage that the structure is simple and inexpensive manufacturing cost, but compared to other types of frame (S) as shown in Figure 2, the rigidity is weak and when connecting the frame (S), such as bolts and nut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olar system is not easy to work because the fastening means is always required.
도 2는 또 다른 형태의 프레임으로, 2개의 폐쇄 측면 및 2개의 개방 측면을 갖는 프레임이다. 2 is another type of frame, which is a frame having two closed sides and two open sides.
도면에서 좌측면과 우측면은 폐쇄되어 있고 상부면과 하부면은 부분적으로 개방부(R)가 형성되고, 예컨대 볼트나 너트 등의 체결수단을 개방부(R)에 넣고 다른 부재(다른 프레임 또는 PV 모듈 등)와 결합하고 있다. In the drawing,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are closed and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are partially formed with an opening portion R. For example, a fastening means such as a bolt or a nut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portion R, and another member (another frame or PV) is formed. Module, etc.)
또한, 도 2와 같은 프레임(S)은 구조가 비교적 복잡하고 상대적으로 강성을 확보할 수 있으나 제조 단가가 비싸고 무게가 무거워서 태양광 시스템 제조 비용이 많이 들고 작업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the frame (S) as shown in Figure 2 has a relatively complicated structure and can secure a relatively rigid, but the manufacturing cost is expensive and heav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olar system manufacturing cost is expensive and difficult to work.
따라서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단면 구조를 갖는 PV 모듈 지지용 프레임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된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PV module supporting frame having a simple structure and hav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that can secure sufficient rigidity.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프로파일유닛 및 프로파일 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file unit and a profile structure that can ensure a sufficient rigidity while having a simple structur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일측에 개방면부가 형성되고, 서로 교차되는 복수 개의 폐쇄면을 구비하는 폐쇄면부가 형성된 프로파일본체와, 상기 프로파일본체의 단부에서 교차되도록 설치되고, 구조물과의 연결부분을 제공하는 연결플랜지부 및, 상기 폐쇄면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되고, 패널구조체의 일측이 삽입 고정되는 설치라인을 포함하는 프로파일유닛; 및, 상기 연결플랜지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개방면부의 벌어짐을 방지하는 형상유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형상유지유닛은, 상기 프로파일유닛의 단부를 통해 삽입되고 상기 프로파일유닛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하여 설치되며, 양측의 상기 연결플랜지부를 구속하고 상기 개방면부를 막도록 설치되어 적어도 상기 개방면부의 벌어짐을 방지하는 삽입구속판으로 구비되고, 상기 삽입구속판은, 상기 개방면부에 걸쳐서 설치되는 고정판본체; 상기 고정판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플랜지부의 제1 연결플랜지가 삽입되는 제1 고정홈; 및, 상기 제1 고정홈과 대향되게 설치되고, 상기 연결플랜지부의 제2 연결플랜지가 삽입되는 제2 고정홈;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구속판은 상기 프로파일유닛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구조물과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 가능하고, 상기 형상유지유닛은, 상기 프로파일유닛에 추가적인 설치가 가능하도록 일측의 상기 연결플랜지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타측의 상기 연결플랜지부에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삽입체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체결판은, 적어도 한쪽 단부가 절곡되어 “ㄷ” 형상을 가지고, 일측의 연결플랜지부의 단부에 삽입되면서 걸리는 삽입걸림부재; 및, 상기 삽입걸림부재에서 타측의 연결플랜지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삭각형 판재로 형성되고, 타측의 연결플랜지부에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체결판부재;를 구비하는 프로파일 구조체를 제공한다.As one aspec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pen surface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and a profile body formed with a closed surface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closed surfaces that cross each other, and installed so as to cross at the end of the profile body A profile unit including a connection flange portion for providing a connection portion with the structure, and an installation line formed at one side of the closed surface and into which one side of the panel structure is inserted and fixed; And a shape holding unit detachably installed on the connection flange portion to prevent the opening of the open surface portion, wherein the shape holding unit is inserted through an end of the profile unit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file unit. 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s provided to restrain the connection flange portion on both sides and is installed to block the open surface portion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restraining plate at least to prevent the opening of the open surface portion, the insertion restraining plate, the open surface portion A fixed plate body installed over; A first fixing groove formed in the fixed plate body and into which the first connection flange of the connection flange part is inserted; And a second fixing groove installed to face the first fixing groove and into which the second connecting flange of the connection flange is inserted, wherein the insertion restricting plate is inserted into the profile unit. And the fastening member, and the shape holding unit is inserted and fastened by the fastening member to the connection flange part of the other side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flange part of the one side to enable further installation to the profile unit. The fastening plate further comprises, The insertion fastening plate, at least one end is bent to have a "c" shape, the insertion engaging member is caught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end of the connection flange portion of one side; And a fastening plate member formed of a rectangular plate member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connection flange portion of the other side from the insertion catching member and fixed to the connection flange portion of the other side by the fastening memb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바람직하게, 삽입구속판은 상기 프로파일유닛에 각도조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Preferably, the insertion restricting plate may be installed to be adjustable in the profile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충분한 강성을 확보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mprove the economic efficiency by securing sufficient rigidity while having a simple structure.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구조체를 설치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프로파일 구조체를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프로파일 구조체가 지붕구조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프로파일 구조체에 적용되는 고정금구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 and 2 show a conventional frame.
3 is a view showing a profil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profile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profi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profile structure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installing the profil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ofil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roof structure.
9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fixing bracket applied to the profil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Shape and size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more clear descrip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유닛(1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유닛(10)은 프로파일본체(100), 연결플랜지부(200) 및, 설치라인(300)을 포함할 수 있다.
3 to 9, the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프로파일유닛(10)은 일측에 개방면부(110)가 형성되고, 서로 교차되는 복수 개의 폐쇄면을 구비하는 폐쇄면부(130)가 형성된 프로파일본체(100)와, 상기 프로파일본체(100)의 단부에서 교차되도록 설치되고, 구조물(T)과의 연결부분을 제공하는 연결플랜지부(200) 및, 상기 폐쇄면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되고, 패널구조체의 일측이 삽입 고정되는 설치라인(300)을 포함할 수 있다.
3 and 4, the
본 발명의 프로파일유닛(10)은 구조물(T)에 설치되어 패널구조체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다.
프로파일유닛(10)은 패널구조체와 구조물(T)의 사이에 설치되어, 패널구조체를 구조물(T)에 고정할 수 있다.The
일례로, 프로파일유닛(10)의 일측은 지지철물, 건물의 외벽, 바닥면 등의 구조물(T)에 고정되고, 프로파일유닛(10)의 설치라인(300)에 패널구조체의 일측이 설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one side of the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프로파일본체(100)는 개방면부(110), 폐쇄면부(130)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요홈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3 and 4, the
프로파일본체(100)는 복수 개의 폐쇄면이 교차되면서 일정한 단면을 형성하는 형강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The
복수 개의 폐쇄면은 일체로 형성되되,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교차되도록 절곡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losing surfaces may be integrally formed and be bent to intersect in different directions.
일례로, 복수 개의 폐쇄면은 제1 측면판(133), 패널설치면(131), 제2 측면판(135)으로 구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closing surfaces may include a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연결플랜지부(200)는, 폐쇄면부(130)의 일측 단부에서 교차되고, 상기 개방면부(110)의 반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연결플랜지(210)와 상기 폐쇄면부(130)의 타측 단부에서 교차되고, 상기 개방면부(110)와 반대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2 연결플랜지(230)를 구비할 수 있다.3 and 4, the
제1 측면판(133)의 개방측 단부(패널설치면(131)으로 이어지는 단부의 반대쪽 단부)에는 제1 측면판(133)에 수직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뻗어있는 제1 연결플랜지(210)가 형성된다.The
또한 제2 측면판(135)의 개방측 단부에도 제2 측면판(135)에 수직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뻗어있는 제2 연결플랜지(230)가 형성된다. In addition, a
일례로, 제1 측면판(133)과 제1 연결플랜지(210)가 대략 90도의 각도를 이루면서 수직하게 교차될 수 있고, 제2 측면판(135)과 제2 연결플랜지(230)도 90도의 각도를 이루면서 수직하게 교차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설치라인(300)은 프로파일본체(100)의 상기 복수 개의 폐쇄면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되고, 패널구조체의 일측이 삽입 고정되는 부분이다.The
설치라인(300)은 패널설치면(131)에서 프로파일유닛(10)의 개방면부(110)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가게 형성될 수 있다.The
일례로, 설치라인(300)은 패널설치면(131)에는 프로파일유닛(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내입 형성되고, 설치라인(300)에는 패널구조체의 고정금구(30)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설치라인(300)은 입구부와 내측 영역으로 나뉠 수 있고, 설치라인(300)의 내측 영역에서 설치라인(300)의 입구부 측으로 향할수록 설치라인(300)의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된다. 3 and 4, the
설치라인(300)의 입구부는 제1 간격의 폭을 가지며 설치라인(300)의 내측 영역은 상기 제1 간격보다 큰 제2 간격의 폭을 가진다. The inlet of the
일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라인(300)은 '역T'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패널설치면(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내입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다른 일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라인(300)은 '역삼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패널설치면(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내입 형성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삽입볼트(33)의 머리를 설치라인(300)의 내측 영역에 삽입하여 삽입볼트(33)를 프로파일유닛(10)에 결합한 경우 삽입볼트(33)가 빠지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When the
도 4를 참조하면, 삽입라인의 입구부에서 내측 영역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폭이 증가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width may gradually increase from the inlet of the insertion line toward the inner region.
개방면부(110)는 프로파일본체(100)의 일측의 전부가 개방된 형태이다.The
구체적으로, 폐쇄면부(130)를 형성하는 이격된 폐쇄면의 사이가 개방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paced apart between the closed surfaces forming the
삭제delete
폐쇄면부(130)는 서로 교차되는 복수 개의 폐쇄면으로 구성될 수 있고, 복수 개의 폐쇄면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일례로, 폐쇄면부(130)는 금속판이 다단으로 절곡되면서 서로 교차되는 복수 개의 폐쇄면을 형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프로파일 유닛은 금속판이 다단으로 절곡되면서 일측에 형성된 개방면부(110) 및, 서로 교차되는 복수 개의 폐쇄면을 구비하는 폐쇄면부(130)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The profile unit may integrally form the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폐쇄면부(130)는, 상기 설치라인(300)이 내입 형성되는 패널설치면(131)과, 상기 패널설치면(131)의 일측 단부에서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측면판(133) 및, 상기 패널설치면(131)의 타측 단부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측면판(133)과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2 측면판(135)을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and 4, the
제1 측면판(133)에서 수직하게 절곡된 후 패널설치면(131)이 이어지고, 패널설치면(131)에서 수직하게 절곡된 후 제2 측면판(135)이 이어지도록 배치되어 제1 측면판(133)과 제2 측면판(135)이 서로 마주보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또한, 패널설치면(131)과 대향되는 부분에 개방면부(110)가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다른 일례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추가적인 강성 향상을 위해 제1 측면판(133), 패널설치면(131), 제2 측면판(135)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추가적인 요홈부(150)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As another example, although not shown, an
예컨대, 제1 측면판(133)과 제2 측면판(135)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홈부(150)가 형성되어 제1 측면판(133)과 제2 측면판(135)이 각각 요철구조 형상의 단면부를 가질 수도 있다.For example, at least one recessed
패널설치면(131)에는 설치라인(300)이 프로파일유닛(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내입 형성되고, 패널구조체의 고정금구(30)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고정금구(30)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In the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연결플랜지부(200)는, 상기 제1 측면판(133)에서 교차되고, 상기 개방면부(110)의 반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연결플랜지(210) 및, 상기 제2 측면판(135)에서 교차되고, 상기 개방면부(110)의 반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연결플랜지(230)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측면판(133)과 상기 제1 연결플랜지(210) 사이의 제1 경계부분 및, 상기 제2 측면판(135)과 상기 제2 연결플랜지(230) 사이의 제2 경계부분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상기 개방면부(110) 방향으로 내입 형성되는 요홈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3 and 4, the
요홈부(150)는 프로파일유닛(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개방면부(110)를 향해 오목하게 내입 형성될 수 있다. The
이와 같이, 요홈부(150)를 형성함으로써, 후술할 삽입체결판(20-1)이나 고정부재(40)의 단부, 또는 삽입체결판(20-1)의 일부가 프로파일유닛(10)의 제1 및 제2 요홈부(153)에 끼워지면서 결합되도록 하여 결합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As such, by forming the
또한, 요홈부(150)가 제1 측면판(133)과 제2 측면판(135)에 형성됨으로 인해 프로파일유닛(10)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요홈부(150)는, 상기 제1 측면판(133)과 상기 제1 연결플랜지(210)의 경계부분에서 상기 개방면부(110) 방향으로 내입 형성되는 제1 요홈부(151) 및, 상기 제2 측면판(135)과 상기 제2 연결플랜지(230)의 경계부분에서 상기 개방면부(110) 방향으로 내입 형성되는 제2 요홈부(153)를 구비할 수 있다.3 and 4, the
일 실시예에서 제1 측면판(133)과 제1 연결플랜지(210) 사이의 절곡 부위에 프로파일유닛(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요홈부(151)를 포함한다. In one embodiment, the
일례로, 제1 요홈부(151)는 제1 측면판(133)의 표면에서 프로파일유닛(10) 내측 방향(개방면부(110)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된다. In one example, the
마찬가지로, 제2 측면판(135)과 제2 연결플랜지(230) 사이의 절곡 부위에 프로파일유닛(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 요홈부(153)를 포함한다. Similarly, the
일례로, 제2 요홈부(153)는 제2 측면판(135)의 표면에서 프로파일유닛(10) 내측 방향(개방면부(110)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된다.
In one example, the
폐쇄면부(130), 설치라인(300) 및, 상기 연결플랜지부(200)는 금속판이 롤포밍 방식에 의해 다단으로 절곡되면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일례로, 일체로 형성된 단일의 금속판이 롤포밍 방식에 의해 다단으로 절곡되면서 폐쇄면부(130), 설치라인(300) 및, 상기 연결플랜지부(20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 single metal plate formed integrally with each other may be bent in multiple stages by a roll forming method, and the
즉, 롤포밍 방식에 단일의 금속판이 다단으로 절곡되면서 제1 연결플랜지(210), 제1 측면판(133), 패널설치면(131), 제2 측면판(135), 제2 연결플랜지(230)가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as a single metal plate is bent in multiple stages in a roll forming method, the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프로파일 구조체(1)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profile structure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구조체(1)는 프로파일유닛(10) 및, 형상유지유닛(20)을 포함할 수 있다.
3 to 9, the profile structure 1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프로파일 구조체(1)는 앞서 설명한 프로파일유닛(10) 및, 상기 연결플랜지부(20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개방면부(110)의 벌어짐을 방지하는 형상유지유닛(20)을 포함할 수 있다.6 to 7, the profile structure 1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도 6을 참조하면, 프로파일유닛(10)은 구조물(T)에 설치되어 패널구조체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다.Referring to Figure 6, the
프로파일유닛(10)은 패널구조체와 구조물(T)의 사이에 설치되어, 패널구조체를 구조물(T)에 고정할 수 있다.The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형상유지유닛(20)은 양측의 연결플랜지부(200)에 걸쳐서 설치되어, 상기 개방면부(110)의 벌어짐을 방지하는 부재이다.5 and 7, the
형상유지유닛(20)은 개방면부(110)의 벌어짐을 방지하여, 프로파일 구조체(1)의 하중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형상유지유닛(20)은 연결플랜지부(20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프로파일유닛(10)과 형상유지유닛(20)을 별도로 제작할 수 있고, 현장에서 조립될 수 있다.The
일례로, 형상유지유닛(20)은 제1 연결플랜지(210)와 제2 연결플랜지(230)에 걸쳐서 설치되어, 개방부의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형상유지유닛(20)은 제1 연결플랜지(210)와 제2 연결플랜지(230)가 구조물(T)과 고정되는 영역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The
형상유지유닛(20)은 연결플랜지부(200)에 설치되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하여 설치될 수 있다.
The
프로파일 구조체(1)에서 활용되는 프로파일유닛(10)의 구성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프로파일유닛(10)의 구성과 동일한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본 발명의 프로파일 구조체(1)에는 앞서 설명한바 있는 다양한 실시형태를 가지는 프로파일유닛(10)의 다양한 실시형태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Of course, various embodiments of the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형상유지유닛(20)은, 프로파일유닛(10)의 단부를 통해 삽입되고, 양측의 상기 연결플랜지부(200)를 구속하여 적어도 상기 개방면부(110)의 벌어짐을 방지하는 삽입구속판(20-3)으로 구비될 수 있다.5 and 7, the
삽입구속판(20-3)은 연결플랜지부(200)에 삽입되어 연결플랜지부(200)의 사이에 배치되는 개방면부(110)의 벌어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The insertion restraining plate 20-3 is inserted into the
구체적으로, 삽입구속판(20-3)은 연결플랜지부(200)의 제1 연결플랜지(210) 및, 상기 연결플랜지부(200)의 제2 연결플랜지(230)에 삽입되고, 적어도 상기 개방면부(110)의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insertion restricting plate 20-3 is inserted into the
일례로, 프로파일 구조체(1)는 소정의 간격마다 양쪽 제1 연결플랜지(210), 제2 연결플랜지(230)를 연결하는 삽입구속판(20-3)이 설치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profile structure 1 may be provided with an insertion restraining plate 20-3 connecting the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 삽입구속판(20-3)의 제1 고정홈(27)은 프로파일유닛(10)의 제1 연결플랜지(210) 및 제1 측면판(133)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삽입구속판(20-3)의 제2 고정홈(29)은 프로파일유닛(10)의 제2 연결플랜지(230) 및 제2 측면판(135)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3 and 8, at least one of the
도 5의 확대된 부분을 참조하면, 삽입구속판(20-3)은, 상기 개방면부(110)에 걸쳐서 설치되는 고정판본체(25)와, 상기 고정판본체(25)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플랜지(210)가 삽입되는 제1 고정홈(27) 및, 상기 제1 고정홈(27)과 대향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연결플랜지(230)가 삽압되는 제2 고정홈(29)을 구비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enlarged portion of FIG. 5, the insertion restraint plate 20-3 is formed on the fixed
도 8을 참조하면, 삽입구속판(20-3)은 상기 프로파일유닛(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구조물(T)과 체결부재(60)에 의해 고정 가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insertion restricting plate 20-3 may be fixed by the structure T and the
삽입구속판(20-3)은 구조물(T)에 볼트부재 등의 체결부재(6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Insertion blocking plate 20-3 may be fixed to the structure (T) by a
제1 고정홈(27)에 제1 연결플랜지(210)가 삽입되고 제2 고정홈(29)에 제2 연결플랜지(230)가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판본체(25)는 상기 구조물(T)과 체결부재(6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In a state in which the
구체적으로, 프로파일유닛(10)이 요철 형상의 지붕에 결합될 때 프로파일유닛(10)의 연결플랜지부(200)를 끼워서 연결하는 삽입구속판(20-3)이 사용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삽입구속판(20-3)은 예컨대 사각형의 판재 형상일 수 있고, 프로파일유닛(10)의 제1 연결플랜지(210) 및 제2 연결플랜지(230)가 삽입구속판(20-3)을 각각 수직으로 관통할 수 있도록 제1 고정홈(27) 및 제2 고정홈(29)을 포함할 수 있다. The insertion restraining plate 20-3 may be, for example,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the
삽입구속판(20-3)을 구조물(T)(일례로, 요철 지붕)과 결합하기 위해 삽입구속판(20-3)의 임의의 위치에 하나 이상의 관통구(26)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관통구(26)를 통해 볼트 체결방식, 리벳 체결방식 등으로 체결될 수 있다.
May include one or more through
삭제delete
삭제delete
삽입구속판(20-3)은 상기 프로파일유닛(10)에 각도조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Insertion restricting plate 20-3 may be installed to the angle adjustable to the profile unit (10).
삽입구속판(20-3)은 프로파일유닛(10)의 연결플랜지부(200)에 각도조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insertion restricting plate 20-3 may be installed to be adjustable in angle to the
제1 고정홈(27)의 높이는 상기 제1 연결플랜지(210)의 두께보다 크고, 상기 제2 고정홈(29)의 높이는 상기 제2 연결플랜지(230)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면서 삽입구속판(20-3)은 연결플랜지부(200)에 각도조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height of the first fixing
연결플랜지부(200)에 대한 삽입구속판(20-3)의 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구조물(T)의 경사면(T3)과 체결부재(60)를 매개로 고정될 수 있다.
In the state in which the angle of the insertion restricting plate 20-3 with respect to the
일례로,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프로파일 구조체(1)가 요철 형상의 단면을 갖는 지붕구조물(T)에 결합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8, the profile structure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upled to a roof structure T having an uneven cross section.
지붕구조물(T)이 위로 돌출된 부분인 릿지(T1)와 아래로 돌출된 부분인 그루브(T2)가 교대로 형성되고 릿지(T1)와 그루브(T2) 사이를 경사면(T3)이 연결하고 있다. Ridge T1, a part of which the roof structure T protrudes upward, and groove T2, which is a part protruding downward, are alternately formed, and an inclined surface T3 is connected between the ridge T1 and the groove T2. .
프로파일유닛(10)은 삽입구속판(20-3)에 의해 지붕구조물(T)에 결합될 수 있다. The
삽입구속판(20-3)은 예컨대 사각형 형상의 판재로서, 프로파일유닛(10)의 제1 연결플랜지(210) 및 제2 연결플랜지(230)가 삽입구속판(20-3)을 각각 수직으로 관통할 수 있도록 제1 고정홈(27) 및 제2 고정홈(29)을 포함할 수 있다. The insertion restricting plate 20-3 is, for example, a rectangular plate material, and the first connecting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 삽입구속판(20-3)의 제1 고정홈(27)은 프로파일유닛(10)의 제1 연결플랜지(210) 및 제1 측면판(133)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삽입구속판(20-3)의 제2 고정홈(29)은 프로파일유닛(10)의 제2 연결플랜지(230) 및 제2 측면판(135)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3 and 8, at least one of the
삽입구속판(20-3)을 지붕구조물(T)과 결합하기 위해 삽입구속판(20-3)의 임의의 위치에 하나 이상의 관통구(26)가 형성되고, 이 관통구(26)를 통해 예컨대 볼트 방식 또는 리벳 방식 등으로 체결될 수 있다. One or more through
예를 들어, 삽입구속판(20-3)의 제1 고정홈(27) 및, 제2 고정홈(29)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지붕구조물(T)의 경사면(T3)과 접촉하도록 배치된 후 관통구(26)를 통해 체결부재(60)를 삽입하여 삽입구속판(20-3)을 경사면(T3)에 고정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at least some of the remaining areas except for the first fixing
삽입구속판(20-3)은 볼트와 너트, 또는 리벳 등의 공지의 체결방식에 의해 경사면(T3)에 체결될 수 있다. The insertion restricting plate 20-3 may be fastened to the inclined surface T3 by a known fastening method such as bolts, nuts, or rivets.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파일유닛(10)의 제1 연결플랜지(210)가 삽입구속판(20-3)의 제1 고정홈(27)을 관통하고 프로파일유닛(10)의 제2 연결플랜지(230)가 삽입구속판(20-3)의 제2 고정홈(29)을 관통시키는 간단한 방식으로 프로파일유닛(10)을 지붕구조물(T)에 부착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형상유지유닛(20)은, 일측의 연결플랜지부(200)에 삽입된 상태에서 타측의 연결플랜지부(200)에 체결부재(60)에 의해 고정되는 삽입체결판(20-1)으로 구비될 수 있다.5 and 7, the
일례로, 프로파일 구조체(1)는 소정의 간격마다 양쪽 제1 연결플랜지(210), 제2 연결플랜지(230)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삽입체결판(20-1)이 설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file structure 1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serting plate 20-1 connecting the
일례로, 제1 삽입체결판(20-1)과 제2 삽입체결판(20-1)인 이격하여 설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inserting fastening plate 20-1 and the second inserting fastening plate 20-1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삽입체결판(20-1)은 삽입걸림부재(21)가 제1 연결플랜지(2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판부재(23)와 제2 연결플랜지(230)가 체결부재(60)에 의해 고정될 수 있고, 제2 삽입체결판(20-1)은 삽입걸림부재(21)가 제2 연결플랜지(230)에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판부재(23)와 제1 연결플랜지(210)가 체결부재(6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first inserting fastening plate 20-1 may include the
도 5의 확대된 부분을 참조하면, 삽입체결판(20-1)은, 일측의 연결플랜지부(200)의 단부에 삽입되면서 걸리는 삽입걸림부재(21) 및, 상기 삽입걸림부재(21)에서 타측의 연결플랜지부(200)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타측의 연결플랜지부(200)에 체결부재(60)에 의해 고정되는 체결판부재(23)를 구비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enlarged portion of FIG. 5, the inserting fastening plate 20-1 may be inserted into the end portion of the
도 5를 참조하면, 삽입걸림부재(21)는 적어도 한쪽 단부가 절곡되어 “ㄷ” 형상을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at least one end portion of the
체결판부재(23)는 삽입걸림부재(21)에서 연장 형성되는 길다란 직사각형 판재로 형성될 수 있다.The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삽입걸림부재(21)를 양측 연결플랜지부(200) 중 하나에 걸고, 양쪽 단부의 관통구(26)를 이용하여 볼트방식이나 리벳 방식 등에 의해 삽입체결판(20-1)을 나머지 타측 연결플랜지부(200)에 체결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the
이와 같이 삽입체결판(20-1)을 프로파일유닛(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결합함으로써 프로파일유닛(10)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such, the rigidity of the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형상으로 달리하는 형상유지유닛(20)이 설치될 수 있다.5 and 7, the
일례로, 형상유지유닛(20)은 삽입구속판(20-3)과 삽입체결판(20-1)의 조합이 활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이에 따라 설치상의 시공성의 향상시키면서, 시공현장에서의 상황변화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cope with changes in the situation at the construction site while improving the installation property in installation.
삽입구속판(20-3)은 프로파일유닛(10)의 단부에서 삽입되어야 하는바 미리 프로파일유닛(10)에 설치되어야 하나, 프로파일유닛(10)에 삽입하여 간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설치상의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다.Insertion restraining plate 20-3 is to be inserted in the end of the
삽입체결판(20-1)은 프로파일유닛(10)에 미리 설치될 필요없이 시공현장의 상황에 따라 추가적인 설치가 가능하나, 연결플랜지부(200)와의 체결부재(60)의 체결과정이 필요하여 삽입구속판(20-3)에 비해 설치과정이 조금 복잡한 단점이 있다.Insertion fastening plate 20-1 can be additionally install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construction site without having to be pre-installed in the
따라서, 삽입구속판(20-3)과 삽입체결판(20-1)을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삽입구속판(20-3)에 의해 프로파일유닛(10)의 개방면부(110)의 벌어짐을 기본적으로 방지하되, 프로파일유닛(10)에 가해지는 하중 등의 시공현장에서의 상황의 변화에 적절히 대처하기 위해 삽입체결판(20-1)이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Therefore, by using the insertion restraining plate 20-3 and the fastening plate 20-1 in combination, the opening of the
도 5를 참조하면, 프로파일유닛(10)의 길이방향의 양쪽 단부에 마감재(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5, the
마감재(50)는 프로파일유닛(10)의 단면 모양과 유사한 형상을 갖는 부재로서, 프로파일유닛(10)의 각 단부에 부착될 수 있다. Finishing
마감재(50)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이나 고무 재질로 형성되어 억지끼움 방식으로 프로파일유닛(10)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Finishing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프로파일유닛(10)를 이용한 태양광 시스템의 예시적 연결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6 and 7, an exemplary connection structure of a solar system using the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프로파일 구조체(1)는 프로파일유닛(10)의 연결플랜지부(200)를 가압하여 구조물(T)에 고정하는 고정부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6 and 7, the profile structure 1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fixing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구조체(1)를 설치한 상태의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프로파일 구조체(1)를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ofile structure (1)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installing the profile structure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의 (a) 및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유닛(10)이 구조물(T)인 하부의 임의의 지지프레임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6A and 7, the
이때, 구조물(T)은 지지프레임은 C형강 등과 같은 임의의 형강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tructure (T) may be any shape steel, such as the support frame C-shaped steel.
도 7을 참조하면, 지지프레임 위에 프로파일유닛(10)이 직각으로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고정부재(40)에 의해 지지프레임과 프로파일유닛(10)이 결합된다. Referring to FIG. 7, the
고정부재(40)는 단차를 갖는 사각형 형상의 고정단턱판(41)으로 구비되고, 한쪽 단부에 관통구(미표기)가 형성되어 있다. The fixing
이에 따라, 도시한 것처럼 고정부재(40)가 프로파일유닛(10)의 제1 연결플랜지(210), 제2 연결플랜지(230)와 지지프레임의 상부 표면에 동시에 접촉한 상태에서 관통구(미표기)에 체결볼트(43)를 삽입하여 프로파일유닛(10)과 지지프레임을 결합할 수 있다.
Accordingly, as shown, the fixing
다른 일례로, 도 6의 (b)에 도시한 것처럼, 별도의 고정부재(40)를 사용하지 않고 프로파일유닛(10)이 지지프레임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ure 6 (b), the
즉 프로파일유닛(10)의 지지프레임의 상부면 및 이와 접촉하는 제1 연결플랜지(210), 제2 연결플랜지(230)에 관통구(미표기)를 형성한 후 체결볼트(43)를 삽입하여 볼트체결방식으로 프로파일유닛(10)과 지지프레임을 결합할 수도 있다. That is, after forming a through-hole (not shown) i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of the
도 6의 (a)를 참조하면, 패널유닛(P)이 프로파일유닛(10)의 상부면에 결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A, the panel unit P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일례로, 패널유닛(P)은 태양광모듈(PV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anel unit P may be configured as a solar module (PV module).
도시한 실시예에서, 한 쌍의 패널유닛(P)의 각각의 모서리 부분이 프로파일유닛(10)의 상부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이 한 쌍의 패널유닛(P)의 사이에 제1 고정금구(30-1)가 위치한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each corner portion of the pair of panel units P i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도 9의 (a) 및 도 9의 (b)를 참조하면, 클램프(31)는 대략 'U'자 형상을 갖는 부재로서, 양 끝단부가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어 이 끝단부가 패널유닛(P)의 모서리 상부면을 가압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진다. Referring to FIGS. 9A and 9B, the
클램프(31)의 중심부에는 관통구(미표기)가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구(미표기)를 통해 삽입볼트(33)가 삽입된다. The through hole (not shown)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삽입볼트(33)의 머리부는 프로파일유닛(10)의 설치라인(300)의 내측 영역에 안착되고 삽입볼트(33)의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부가 수직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되고, 제1 고정금구(30-1)가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체결너트(35)가 삽입볼트(33)에 체결된다. The head of the
도 9의 (c)와 도 9의 (d)를 참조하면, 프로파일유닛(10) 위의 한쪽에만 패널유닛(P)이 배치되는 경우의 연결구조를 나타낸다. Referring to FIGS. 9C and 9D, the connection structure when the panel unit P is disposed on only one side of the
이 때 도시한 것처럼 'L'자 형상을 갖는 클램프(31)가 사용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클램프(31)의 상부쪽 단부가 외측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어서 이 끝단부가 패널유닛(P)의 모서리 상부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upper end of the
도 9의 (a)에 도시한 것과 유사하게, 삽입볼트(33)의 머리부가 프로파일유닛(10)의 설치라인(300)의 내측 영역에 끼워지고 패널유닛(P)의 모서리가 프로파일유닛(10)의 상부면에 걸치도록 한 상태에서 체결너트(35)가 삽입볼트(33)에 체결됨으로써 패널유닛(P)을 프로파일유닛(10)에 결합할 수 있다.
Similar to that shown in FIG. 9A, the head of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It will be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1: 프로파일 구조체 10: 프로파일유닛
20: 형상유지유닛 20-1: 삽입체결판
20-3: 삽입구속판
21: 삽입걸림부재 23: 체결판부재
25: 고정판본체 26: 관통구
27: 제1 고정홈 29: 제2 고정홈
30: 고정금구 30-1: 제1 고정금구
30-3: 제2 고정금구 31: 클램프
33: 삽입볼트 35: 체결너트
40: 고정부재 41: 고정단턱판
43: 체결볼트 50: 마감재
60: 체결부재
100: 프로파일본체 110: 개방면부
130: 폐쇄면부 131: 패널설치면
133: 제1 측면판 135: 제2 측면판
150: 요홈부 151: 제1 요홈부
153: 제2 요홈부 200: 연결플랜지부
210: 제1 연결플랜지 230: 제2 연결플랜지
300: 설치라인 P: 패널유닛
R: 개방부 S: 프레임
T: 구조물 T1: 릿지
T2: 그루브 T3: 경사면1: profile structure 10: profile unit
20: shape holding unit 20-1: insert fastening plate
20-3: Insertion restricting plate
21: fastening member 23: fastening plate member
25: fixed plate body 26: through hole
27: first fixing groove 29: second fixing groove
30: fixed bracket 30-1: first fixed bracket
30-3: second fixing bracket 31: clamp
33: Insertion bolt 35: Tightening nut
40: fixing member 41: fixed step plate
43: Fastening bolt 50: Finishing material
60: fastening member
100: profile body 110: open surface portion
130: closed surface portion 131: panel mounting surface
133: first side plate 135: second side plate
150: groove portion 151: first groove portion
153: second groove portion 200: connection flange portion
210: first connection flange 230: second connection flange
300: installation line P: panel unit
R: opening S: frame
T: Structure T1: Ridge
T2: Groove T3: Slope
Claims (12)
상기 연결플랜지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개방면부의 벌어짐을 방지하는 형상유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형상유지유닛은,
상기 프로파일유닛의 단부를 통해 삽입되고 상기 프로파일유닛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하여 설치되며, 양측의 상기 연결플랜지부를 구속하고 상기 개방면부를 막도록 설치되어 적어도 상기 개방면부의 벌어짐을 방지하는 삽입구속판으로 구비되고,
상기 삽입구속판은,
상기 개방면부에 걸쳐서 설치되는 고정판본체;
상기 고정판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플랜지부의 제1 연결플랜지가 삽입되는 제1 고정홈; 및,
상기 제1 고정홈과 대향되게 설치되고, 상기 연결플랜지부의 제2 연결플랜지가 삽입되는 제2 고정홈;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구속판은 상기 프로파일유닛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구조물과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 가능하고,
상기 형상유지유닛은,
상기 프로파일유닛에 추가적인 설치가 가능하도록 일측의 상기 연결플랜지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타측의 상기 연결플랜지부에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삽입체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체결판은,
적어도 한쪽 단부가 절곡되어 “ㄷ” 형상을 가지고, 일측의 연결플랜지부의 단부에 삽입되면서 걸리는 삽입걸림부재; 및,
상기 삽입걸림부재에서 타측의 연결플랜지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삭각형 판재로 형성되고, 타측의 연결플랜지부에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체결판부재;를 구비하는 프로파일 구조체.
An open surface portion formed at one side thereof, a profile body having a closed surface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closed surfaces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and a connecting flange portion provided to intersect at an end of the profile body and providing a connection portion with the structure; A profile unit formed on one side of the closed surface and including an installation line to which one side of the panel structure is inserted and fixed; And,
And a shape holding unit detachably installed on the connection flange to prevent opening of the open surface portion.
The shape maintaining unit,
Inserted through the end of the profile unit and installed in a plurality of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file unit, is inserted to restrain the connection flange portion on both sides and block the open surface portion is inserted to prevent the opening of at least the open surface portion Equipped with a restraint plate,
The insertion restraining plate,
A fixed plate body installed over the open surface portion;
A first fixing groove formed in the fixed plate body and into which the first connection flange of the connection flange part is inserted; And,
And a second fixing groove which is installed to face the first fixing groove and into which the second connection flange of the connection flange portion is inserted.
The insertion restricting plate is fixed to the structure and the fastening member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profile unit,
The shape maintaining unit,
And a fastening plate fixed to the connection flange part of the other side by a fastening member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flange part of one side to enable additional installation to the profile unit.
The fastening plate is,
At least one end is bent to have a "c" shape, the insertion engaging member is caught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end of the connection flange portion of one side; And,
And a fastening plate member formed of a rectangular plate member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connection flange portion of the other side from the insertion catching member, and fastened by a fastening member to the connection flange portion of the other side.
상기 삽입구속판은 상기 프로파일유닛에 각도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로파일 구조체.
The method of claim 6,
The insertion restriction plate is a profile structure that is installed to the angle adjustable to the profile uni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37155A KR102031421B1 (en) | 2017-10-23 | 2017-10-23 | Profile unit and profile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37155A KR102031421B1 (en) | 2017-10-23 | 2017-10-23 | Profile unit and profile structur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44797A KR20190044797A (en) | 2019-05-02 |
KR102031421B1 true KR102031421B1 (en) | 2019-10-11 |
Family
ID=66581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37155A Active KR102031421B1 (en) | 2017-10-23 | 2017-10-23 | Profile unit and profile stru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3142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313718B (en) * | 2019-07-01 | 2024-07-26 | 贵州锦程铝业科技有限公司 | Aluminum alloy section bar applied to cabinet body |
CN115506521A (en) * | 2022-10-24 | 2022-12-23 | 石尚玲 | Combined variable corner type curtain wall |
KR102573276B1 (en) * | 2023-06-07 | 2023-08-31 | (주)위드웍스에이앤이건축사사무소 | Construction for freerorm facad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159971A (en) * | 2012-02-06 | 2013-08-19 | Yuki Steel Co Ltd | Mounting bracket of solar panel |
JP5571937B2 (en) * | 2009-11-13 | 2014-08-13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Mounting structure of the functional panel on the roof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55561B1 (en) | 2002-03-20 | 2004-11-08 | 주식회사 대경에스앤씨티 | Constructing stone exterior wall fixture |
DE202011108518U1 (en) * | 2011-12-01 | 2013-03-04 | Schletter Gmbh | Mounting set for trapezoidal ribs of a trapezoidal sheet |
-
2017
- 2017-10-23 KR KR1020170137155A patent/KR10203142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571937B2 (en) * | 2009-11-13 | 2014-08-13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Mounting structure of the functional panel on the roof |
JP2013159971A (en) * | 2012-02-06 | 2013-08-19 | Yuki Steel Co Ltd | Mounting bracket of solar pane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44797A (en) | 2019-05-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680242B2 (en) | SOLAR CELL MODULE MOUNTING STRUCTURE, SOLAR CELL DEVICE, AND SOLAR CELL MODULE MOUNTING METHOD | |
JP5485689B2 (en) | Installation system especially for solar modules | |
KR101981008B1 (en) | Bracket for combination structure of weldless panel frame | |
US20180066424A1 (en) | Slip Clip | |
KR102031421B1 (en) | Profile unit and profile structure | |
US20100275549A1 (en) | Clips for connecting panels and cross members without visual reference | |
EP4290156A1 (en) | Device and system for mounting solar panels to roofs and the like | |
US7634889B1 (en) | Attachment for connecting two building members | |
KR100827716B1 (en) | fixed bracket | |
TWM542051U (en) | Mounting system of a panel | |
RU2161232C2 (en) | Wall support for lower structures of face | |
JP2013537947A (en) | Roof hook for mounting the solar cell installation module on the roof | |
JP5715682B1 (en) | Solar panel mounting bracket | |
KR101988738B1 (en) | Solar panel unit and solar panel structere | |
US7963492B2 (en) | Vertical support structure | |
KR101281159B1 (en) | upholder assembley for access floor | |
CN214659355U (en) | Fence corner connecting piece | |
AU2022428543A1 (en) | Installation member | |
JP2015055036A (en) | Fixing method of grating to groove block and grating | |
JP6857037B2 (en) | Structure | |
DE102012105072B3 (en) | Method for mounting solar module of solar module assembly to mounting surface, involves arranging side portion of solar module in retaining element, and moving solar module in direction oriented away from retaining element into end position | |
KR20050039798A (en) | Structure for constructing a wall for retaining of earth | |
JP2009079620A (en) | Joint | |
CN203522617U (en) | Bracket device and bracket combination | |
JP7636942B2 (en) | Eaves gutter support and build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906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11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6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10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82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907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6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10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0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10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