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9965B1 - Upper dental appliance having a tongue-exercising pedal - Google Patents
Upper dental appliance having a tongue-exercising ped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29965B1 KR102029965B1 KR1020170060700A KR20170060700A KR102029965B1 KR 102029965 B1 KR102029965 B1 KR 102029965B1 KR 1020170060700 A KR1020170060700 A KR 1020170060700A KR 20170060700 A KR20170060700 A KR 20170060700A KR 102029965 B1 KR102029965 B1 KR 1020299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ngue
- maxillary
- pedal unit
- jaw
- exercise ped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10000005182 tip of the tongue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10000001847 jaw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26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10000003254 palate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08000006820 Arthralgia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08000000112 Myalgia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10000003784 masticatory muscle Anatomy 0.000 abstract 1
- 208000013465 muscle pain Diseases 0.000 abstract 1
- 208000002193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7
- 206010037660 Pyrexia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0214 mouth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8984 mast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077 mast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36346 tooth eru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6010049816 Muscle tight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41235 Snor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513 dentition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1705 Mouth breath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3183 Teeth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6514 bruxi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061 fore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83 inciso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73 mandib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40 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41 respir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36—Devices acting between upper and lower teet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2005/563—Anti-bruxism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Nursing (AREA)
- Otolaryng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악치열이 안착되도록 상부안착부가 형성된 상악치열 안착부재의 내부의 중앙에 입천장주름과 대응되게 형성된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에서 절개되어 상기 커버부의 하부면에서 하부로 만곡되어 내향되게 형성되고, 혀의 선단부가 맞닿아 혀의 선단부와 함께 상,하로 승강운동하도록 형성된 혀 운동 페달부와; 상악치열 안착부재의 일측 또는 타측의 어금니가 삽입되는 부위의 하면에 형성된 돌기부를 구성함으로서, 상,하악치열이 서로 접촉하여 발생되는 이갈이(또는 이악물기) 습관의 교정은 물론, 발음교정, 호흡개선, 및 저작근통증과 턱관절통증을 완화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 운동 페달부를 갖는 상악치과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ver portion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palate wrinkles in the center of the upper jaw seating member formed in the upper seat portion so that the maxillary teeth are seated; A tongue exercise pedal part which is cut out from the cover part and is bent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part to be inward, and is formed so that the tip of the tongue abuts and moves up and down with the tip of the tongue; By forming a projection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ite where the molar teeth of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maxillary rowing member are inserted, the correction of the splitting (or bite bite) habit caused by the upper and lower jaw rows in contact with each other, as well as pronunciation correction and breathing improvement And a maxillary dental pedal having a tongue exercise pedal unit for relieving masticatory muscle pain and jaw joint pain.
Description
본 발명은 혀의 승강운동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된 혀 운동 페달부 및 상악치열과 하악치열의 접촉을 방지하기위한 돌기부를 구비한 상악치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혀의 선단부가 상기 혀 운동 페달부의 선단부 하측에 형성된 돌출받침턱에 맞닿아 함께 상,하 승강운동을 하도록하고 또 상악치열 안착부재의 일측 또는 타측의 어금니가 삽입되는 부위의 하면에 돌기부를 형성하여 상악치열과 하악치열이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이갈이(또는 이악물기) 습관의교정, 발음교정, 호흡개선, 및 저작근통증과 턱관절통증을 완화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 운동 페달부를 갖는 상악치과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xillary dental appliance having a tongue exercise pedal unit and a protrusion for preventing contact between the maxillary and the mandibular rows, which are formed to allow the tongue to move up and down, more specifically, the tip of the tongue is the tongue. The upper and lower jaw rows are formed by contacting the protruding jaw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exercise pedal unit to move up and down together and forming a protrus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ite where the molar teeth of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maxillary dental seating member are inserted. It relates to a maxillary dental appliance having a tongue exercise pedal, characterized in that the teeth (or ear bite) habit correction, pronunciation correction, breathing improvement, and relieve masticatory pain and jaw joint pain by preventing contact with each other.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이갈이란 이를 악무는 습관이 있는 사람이 수면중에 턱을 비틀어 윗니와 아랫니를 맞대고 치아끼리 갈아대는 행위를 말한다. As is well known, igal is a person who has a habit of sneaking teeth, twisting his chin while sleeping and changing teeth between upper and lower teeth.
또한, 이갈이는 이악물기, 잘못된 혀의 위치, 구강호흡(입으로 숨을 쉬는 것)에 의해 발생된다.Bruxism is also caused by bite bites, incorrect tongue position, oral breathing (breathing through the mouth).
이러한 이갈이는 코골이와 마찬가지로 불쾌한 소리를 유발하여 주위 사람들에게 고통을 줄뿐만 아니라, 본인에게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Like this snoring, it can cause unpleasant sounds and cause pain to those around you, as well as adversely affecting you.
상기와 같은 이갈이는 그 소리로 인해 주위 사람들의 수면을 방해하고 정신적인 피해를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splitting as described above had a problem of disturbing people's sleep and causing mental damage due to the sound.
그러므로, 이갈이가 반복적으로 진행되게 되면 턱을 움직이는 근육들이 반복적으로 비정상적인 힘을 많이 받게 되고, 이로 인해 근육에 묵직하고 뻣뻣한 느낌이나 통증이 발생 될 수 있고, 이갈이로 인해 턱이 뒤로 이동하여 최후방 치아만 닳아 없어지고 앞니가 달아지지 않는 개방교합으로 인한 턱교정수술 및 교정치료를 하거나 하악을 견인하는 장치를 이용해서 턱의 위치를 되돌리는 치료가 발생되는 많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Therefore, if the teeth are repeatedly progressed, the muscles that move the jaw repeatedly receive abnormal force, which may cause heavy and stiff feeling or pain in the muscles. In order to solve many problems in which jaw correction surgery and orthodontic treatment due to open occlusion that does not wear out and the incisor does not run, or the treatment of reversing the position of the jaw by using a device for pulling the mandible is shown in FIG. 5. As
상악치열에 안착되도록 상부안착부(110a)를 형성한 상악치열 안착부재(100a)와,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0a)의 외측둘레 일측 및 타측에 상기 하악치열이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상부외측 이탈방지턱(200a)과, 하악치열에 안착되도록 하부안착부(110b)을 형성한 하악치열 안착부재(100b)와, 상기 하악치열 안착부재(100b)의 내측둘레 일측 및 타측에 상기 상악치열이 내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하부 내측 이탈방지턱(200b)으로 구성되는 치과장치가 알려져 있다.The maxillary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이갈이를 방지하는 치과장치는 상기 상부 외측 이탈방지턱(200a)을 갖는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0a)를 상악치열에 끼우고 상기 하부 내측 이탈방지턱(200b)를 갖는 상기 하악치열 안착부재(100b)를 하악치열에 끼워야만 상,하악 치열이 맞닿지 않아 이갈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이갈이를 방지하여 치아의 마모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상,하악치열에 상기 상부 외측 이탈방지턱(200a)을 갖는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0a)와, 상기 하부 내측 이탈방지턱(200b)를 갖는 상기 하악치열 안착부재(100b)를 항상 상,하악치열에 끼우고 있어야 하는 불편한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dental device for preventing such teeth split the maxillary teeth mounting member (100a) having the upper outer release prevention jaw (200a) in the maxillary teeth and the lower mandibular heat seating having the lower inner release jaw (200b) The upper and lower dentitions do not touch only when th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악치열안착부재의 전방 하부중앙에 형성된 커버부에서 하부로 만곡되어 내향되게 절개 형성되고 혀의 선단부가 맞닿아 혀의 선단부와 함께 상,하로 승강운동하는 혀 운동 페달부를 형성하여 혀의 선단부로 상기 혀 운동 페달부를 상악치열 안착부재의 입천장 중앙에서 승강운동을 하도록 하여 상악치열과 하악치열이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고 또 상악치열 안착부재의 일측 또는 타측의 어금니가 삽입되는 부위의 하면에 돌기부를 형성하여 상악치열과 하악치열이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함으로서, 상,하악치열이 서로 접촉하여 발생되는 이갈이(또는 이악물기) 습관의 교정, 발음교정, 호흡개선, 및 저작근통증과 턱관절통증을 완화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 운동 페달부를 갖는 상악치과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bent inwardly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ver portion formed in the front lower middle of the maxillary heat seating member is inwardly formed and the tip of the tongue abuts up and down with the tip of the tongue The tongue exercise pedal unit is formed so that the tongue exercise pedal unit can be lifted and lifted from the center of the palate of the maxillary dental seating member so that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teeth are not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one or the other side of the maxillary dental seating member By forming a protrus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olar insertion area to prevent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fever from touching each other, correction of pronunciation, pronunciation correction, breathing improvement, And maxillary dentistry having a tongue exercise pedal unit for relieving masticatory pain and jaw joint pain The purpose is to provide value.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혀 운동 페달부를 갖는 상악치과장치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axillary dental device having a tongue exercise peda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악치열에 안착되도록 상부안착부(11)를 형성한 상악치열 안착부재(10)의 내부의 중앙에 입천장주름과 대응되게 형성된 커버부(20)와; 상기 커버부(20)에서 절개되어 상기 커버부(20)의 하부면에서 하부로 만곡되어 내향되게 형성되고, 혀의 선단부가 맞닿아 혀의 선단부와 함께 상,하로 승강운동하도록 형성된 혀 운동 페달부(3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또한,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는 상기 커버부(20)의 하부면에서 하부로 25°~ 35°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ongue
또한,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의 하부에는 혀의 선단부가 걸리도록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의 하부 후방면에 돌출받침턱(40)이 돌출 형성돠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tongue
또한,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의 일측 하부면 또는 타측 하부면의 어금니가 삽입되는 부위 하면에 돌기부(5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가 상기 커버부(20)에서 절개된 절개부위에 절개공(6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ongue
본 발명은 상악치열 안착부재의 전방 하부중앙에 형성된 커버부에서 하부로 만곡되어 내향되게 절개 형성된 혀 운동 페달부에 혀의 선단부가 맞닿아 혀 운동 페달부를 혀의 선단부로 승강운동 하여 혀를 상악치열 안착부재의 입천장 중앙에서 승강운동을 하도록 하여 상악치열과 하악치열이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하고 또 상악치열 안착부재의 일측 또는 타측의 어금니가 삽입되는 부위의 하면에 돌기부를 형성하여 상악치열과 하악치열이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함으로서, 상,하악치열이 서로 접촉하여 발생되는 이갈이(또는 이악물기)습관의 교정, 발음교정, 호흡개선, 및 저작근통증과 턱관절통증을 완화하는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ip of the tongue abuts against the tongue exercise pedal portion which is bent inwardly and is bent inwardly from the cover portion formed at the front lower middle of the maxillary dental seating member so that the exercise pedal portion is lifted to the tip portion of the tongue to raise the tongue to maxillary teeth. Lifting motion in the middle of the palate of the seating member prevents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rows from touching each other, and a protrusion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ite where the molar teeth of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maxillary rows are inserted. By avoiding contact with each other, the upper and lower jaw fever has the effect of correcting, orthodontic correction, respiratory improvement, and masticatory pain and jaw joint pain caused by contact with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은 혀에 힘을 주어 상악치열 안착부재의 혀 운동 페달부를 눌렀다 떼었다를 반복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혀를 운동하는 느낌과 흥미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혀 훈련효과가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repeat the pressing and releasing the tongue exercise pedal part of the maxillary seating member to give strength to the tongue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tongue training effect because the user can cause the feeling and interest in exercising the tongue.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혀 운동 페달부 및 돌기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략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혀 운동 페달부, 돌출받침턱 및 돌기부를 보여주는 개략단면도.
도 5는 종래의 이갈이방지 치과장치를 나타낸 개략도.1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ongue movement pedal unit and the proj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tongue movement pedal unit, the protruding jaw and the proj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ventional anti-dental dental device.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more easi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따라서 도면에서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shape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more clear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members in each drawing are sometimes shown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혀 운동 페달부 및 돌기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략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혀 운동 페달부, 돌출받침턱 및 돌기부를 보여주는 개략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ngue exercise pedal unit and a proj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tongue exercise peda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rotruding jaw and the protrusion.
본 발명에 따른 혀 운동 페달부 및 돌기부를 갖는 상악치과장치를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maxillary dental device having a tongue exercise pedal unit and a protru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ose shown in FIGS. 1 to 4.
본 발명에 따른 상악치과장치는 커버부(20)와, 혀 운동 페달부(30)와, 돌출받침턱(40)과, 돌기부(50)와, 절개공(60)이 형성된 상악치열 안착부재(10)로 구성된다.The maxillary dental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xillary dental seating member formed with a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는 상악치열이 안착되는 상부안착부(11)를 형성하여 구성된다.The maxillary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는 상악치열이 안착되도록 상악치열의 외측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된다.The maxillary
즉, 상기 상부안착부(11)는 상악치열의 외측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악치열이 상기 상부안착부(11)에 안정적으로 안착되게 구성된다.That is, the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는 레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 시에는 금속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상기 커버부(20)는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의 내부의 중앙에 입천장주름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구성된다. The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는 상기 커버부(20)에서 절개되어 상기 커버부(20)의 하부면에서 하부로 만곡되어 내향지게 형성되어 구성된다.The tongue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의 하부면에 혀의 선단부가 맞닿아 혀의 선단부와 함께 상,하로 승강운동하도록 구성된다.The tip of the tongue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tongue
또한,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가 상기 커버부(20)에서 절개된 절개부위에 절개공(60)이 형성되어 구성된다.In addition, the tongue
상기 절개공(60)은 혀의 선단부의 승강으로 인해 승강되어지는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가 상기 절개공(60)에 평평하게 삽입되게 승강운동하도록 구성된다. 그렇지만, 혀의 선단부로 승강운동할 시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가 상기 절개공(60)의 내부에 평평하게 삽입되지 않을 수도 있다.The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는 상기 커버부(20)의 하부 중앙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어 탄성력을 갖도록 구성된다.The tongue
그리고,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는 상기 커버부(20)의 하부에서 하부로 25°~ 35°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하지만,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의 경사각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tongue
상기와 같이,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를 상기 커버부(20)의 하부면에서 하부로 25°~ 35°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은, 만곡된 혀의 선단부를 상,하로 승강운동하기에 최적의 각도로서, 혀의 승강운동을 보다 편안하게 하기 위함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tongue
또한,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는 상기 커버부(20)의 하부 중앙에서 하부로 내향지도록 형성되어 구성된다.In addition, the tongue
상기와 같이,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가 상기 커버부(20)의 하부 중앙에서 하부로 내향지게 형성되는 것은, 만곡된 혀의 선단부가 손쉽게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의 후방면에 맞닿아 혀의 선단부가 상기 커버부(20)의 하부면에서 보다 손쉽게 상,하로 상하운동을 하게 하기 위함이다.As described above, the tongue
한편,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의 하부에는 혀의 선단부가 걸리도록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의 선단부에 돌출받침턱(40)이 돌출 형성돠어 있다.On the other hand, a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의 선단부에 상기 돌출받침턱(40)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의 선단부에 만곡된 혀의 선단부가 맞닿아서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를 승강운동 시킬 때 만곡된 혀의 선단부가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의 선단부에서 미끄러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돌출받침턱(40)에 만곡된 혀의 선단부가 안착되어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를 보다 손쉽게 승강운동을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Forming the
상기 돌기부(50)는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의 일측 하부면 또는 타측 하부면의 어금니가 삽입되는 부위 하면에 형성된다.The
상기와 같이, 상기 돌기부(50)를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의 하부면 일측 또는 타측중 어느 한부위에 형성하는 것은, As described above, forming the
만약 돌기부(50)를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의 하부면의 좌,우 양측에 형성하게 되면 좌,우 양측의 돌기부(50)가 동시에 하악치열의 상부면에 접촉하게 되어 불편감을 느끼지 못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한쪽 치아만 닿을 경우 불편감을 느끼게 되어 치아를 띄우는 훈련이 가능하므로 이갈이 습관이 개선되기 때문이다. If the
따라서,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의 하부면과 하악치열의 상부면이 서로 접촉되어 발생되는 이갈이(또는 이악물기) 습관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의 하부면의 일측에만 상기 돌기부(50)를 형성하되 저작을 하지 않을 때에는 어금니를 기준으로 상기 돌기부(50)에 의하여 위아래 치아 사이를 1~3㎜ 정도 띄워지게 함으로서 이갈이(또는 이악물기)를 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splitting (or biting) habit caused by the lower surface of the
취침전에 상악치열에 안착된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의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의 하부면에 혀를 맞닿게 하여 취침하는 경우 이갈이를 방지하고 이갈이(또는 이악물기)로 인한 코골이 및 이마모를 방지할 수 있고, 발음 또한 교정되는 것이다.When sleeping by putting the tongue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tongue
또한,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는 6개월이상 상악치열에 안착하고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를 혀로 상승운동하도록 사용하여 이갈이 습관을 교졍하므로서 이갈이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xillary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에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 상기 돌출 받침턱(40), 및 상기 돌기부(50)를 형성하여서, 혀 선단부로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를 상,하로 승강운동을 반복적으로 하게 함으로서, 즉 혀를 입천장에 대었다 떼었다를 반복하는 운동을 하게 되면 혀의 위치가 교정되고 발음이 개선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forms the tongu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혀에 힘을 주어 상악치열 안착부재(10)의 혀 운동 페달부(30)를 눌렀다 떼었다를 반복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혀를 운동하는 느낌과 흥미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혀 훈련효과가 향상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nfigured to repeat the pressing and releasing the tongu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를 악무는 습관이 있는 사람이 수면 중에 턱을 비틀어 어금니의 마찰음을 내는 이악물기습관을 교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for a person having a habit of wicking to correct a bad mouth habit of twisting the jaw during sleep to make a molar friction sound.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혀를 입천장의 구개음주름에 대면 혀가 아래로 처져 있을때 보다 전상방으로 이동하므로 기도가 넓어지게 되고 입으로 숨쉬는 구강호흡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성장기의 아동에서 구강호흡에 따른 비정상 골격변화를 예방하는 호흡개선을 할 수 있다.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ongue to the palatal folds of the palate, the tongue moves upward more than when the sag down, the airway becomes wider and can prevent breathing mouth breathing abnormality due to oral breathing in children of the growing stage Improve breathing to prevent skeletal changes.
본 발명에 의하면, 올바른 혀의 승강운동으로 인한 구강내의 혀의 올바른 위치를 습득하고 구강내의 자유공간을 확보하면 저작근이 긴장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므로 저작근 긴장에 따른 저작근통증을 완화시킬수 있다. 턱관절 환자의 85%는 실제로 근육통 이므로 근육긴장을 완화하는 것은 턱관절 치료에서 매우 중요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cquiring the correct position of the tongue in the oral cavity due to the correct lifting of the tongue and securing the free space in the oral cavity, the mastication muscl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tensioned, so that the mastication pain caused by the mastication muscle tension can be alleviated. 85% of patients with jaw joints are actually muscular pain, so relieving muscle tension is very important in the treatment of jaw joints.
상술하는 본 발명은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의 전방 하부중앙에 형성된 상기 커버부(20)에서 하부로 만곡되어 내향되게 절개 형성되고 혀의 선단부가 맞닿아 혀의 선단부와 함께 상,하로 승강운동하는 혀 운동 페달부(30)를 형성하여 혀의 선단부로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를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의 입천정 중앙에서 승강운동을 하도록 하여 상악치열과 하악치열이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고 또 상악치열 안착부재의 일측 또는 타측의 어금니가 삽입되는 부위의 하면에 돌기부를 형성하여 상악치열과 하악치열이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함으로서, 상,하악치열이 서로 접촉하여 발생되는 이갈이(또는 이악물기) 습관의 교정, 발음교정, 호흡개선, 및 저작근통증과 턱관절통증을 완화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bent downward in the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s mention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상악치열 안착부재 11: 상부안착부
20: 커버부 30: 혀 운동 페달부
40: 돌출받침턱 50: 돌기부
60: 절개공10: maxillary dental seating member 11: upper seating portion
20: cover portion 30: tongue exercise pedal portion
40: protrusion base 50: protrusion
60: incision
Claims (5)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는 상기 커버부(20)의 하부면에서 하부로 25°~ 35°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 운동 페달부를 갖는 상악치과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tongue exercise pedal unit 30 is a maxillary dentistry device having a tongue exercise pedal uni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clined at a lower portion 25 ° ~ 35 °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20.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의 하부에는 혀의 선단부가 걸리도록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의 선단부 하부에 돌출받침턱(40)이 돌출형성돠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 운동 페달부를 갖는 상악치과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jaw having a tongue exercise pedal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ding support jaw 40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end of the tongue exercise pedal unit 30 so that the tip of the tongue is caught below the tongue exercise pedal unit 30. Dental device.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의 일측 하부면 또는 타측 하부면의 어금니가 삽입되는 부위 하면에 돌기부(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 운동 페달부를 갖는 상악치과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maxillary dentistry device having a tongue exercise pedal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 50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ite where the molars of one side lower surface or the other lower surface of the maxillary seating member 10 is inserted.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가 상기 커버부(20)에서 절개된 절개부위에 절개공(6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 운동 페달부를 갖는 상악치과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maxillary dental exercise device having a tongue exercise pedal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ision hole (60) is formed in the incision site in which the tongue exercise pedal unit (30) is cut from the cover unit (2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0700A KR102029965B1 (en) | 2017-05-16 | 2017-05-16 | Upper dental appliance having a tongue-exercising ped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0700A KR102029965B1 (en) | 2017-05-16 | 2017-05-16 | Upper dental appliance having a tongue-exercising peda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25848A KR20180125848A (en) | 2018-11-26 |
KR102029965B1 true KR102029965B1 (en) | 2019-10-08 |
Family
ID=64602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60700A Active KR102029965B1 (en) | 2017-05-16 | 2017-05-16 | Upper dental appliance having a tongue-exercising ped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29965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24373B1 (en) | 2020-09-29 | 2021-03-09 | 엘티프로(주) | Tongue-exercising device for or preventing of snoring |
KR102224372B1 (en) | 2020-09-29 | 2021-03-09 | 엘티프로(주) | Tongue-exercising device for preventing of snoring |
TWI782312B (en) * | 2020-08-19 | 2022-11-01 | 林易岳 | An oral appliance as swallowing auxiliary device with coverage of maxillary teeth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98391B1 (en) * | 2018-10-23 | 2020-04-07 | 박동신 | hyperdyhamia brace |
KR102358631B1 (en) * | 2020-02-14 | 2022-02-10 | 주식회사 함바이오텍 | System and method for dental tongue training service |
KR102388578B1 (en) * | 2020-02-14 | 2022-06-17 | 주식회사 함바이오텍 | Apparatus of training tongu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28746Y1 (en) | 2006-07-14 | 2006-10-16 | 김의철 | Snoring Protector |
KR101542349B1 (en) | 2013-07-30 | 2015-08-06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Appliance for preventing snoring and bruxism by using tongue position raising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94029U (en) * | 2002-11-13 | 2003-05-30 | 明夫 佐藤 | Mouthpiece for snoring prevention |
KR20110122355A (en) * | 2010-05-04 | 2011-11-10 | 정상규 | Snoring and Sleep Apnea Therapy Apparatus |
-
2017
- 2017-05-16 KR KR1020170060700A patent/KR10202996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28746Y1 (en) | 2006-07-14 | 2006-10-16 | 김의철 | Snoring Protector |
KR101542349B1 (en) | 2013-07-30 | 2015-08-06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Appliance for preventing snoring and bruxism by using tongue position raising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JP3094029 UR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782312B (en) * | 2020-08-19 | 2022-11-01 | 林易岳 | An oral appliance as swallowing auxiliary device with coverage of maxillary teeth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102224373B1 (en) | 2020-09-29 | 2021-03-09 | 엘티프로(주) | Tongue-exercising device for or preventing of snoring |
KR102224372B1 (en) | 2020-09-29 | 2021-03-09 | 엘티프로(주) | Tongue-exercising device for preventing of snori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25848A (en) | 2018-11-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23222991B2 (en) | An oral training appliance | |
KR102029965B1 (en) | Upper dental appliance having a tongue-exercising pedal | |
CN203576668U (en) | Orthodontic appliances and orthodontic appliance kits | |
US5562106A (en) | Dental appliance for relief of snoring and method of making same | |
US20190314115A1 (en) | Dental appliance for constraining the tongue | |
US20140080083A1 (en) | Functional dentofacial orthopedic apparatus | |
RU2607170C2 (en) | Tooth accessory to hold tongue | |
GB2264868A (en) |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 |
WO2010072878A1 (en) | Intraoral ferrule | |
KR101922091B1 (en) | Upper dental appliance having a tongue housing for correcting the bruxism habits | |
JP2014147623A (en) | Breathing corrector | |
JP6120780B2 (en) | Oral appliance | |
CN114072093A (en) | Dental appliance | |
JP2005312853A (en) | Intraoral apparatus for prophylaxis and amelioration of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and habitual snore | |
KR102830977B1 (en) | Mandibular displacement control device | |
AU2020453669B2 (en) | Mandible displacement adjustment device | |
JP3193717U (en) | TCH prevention device | |
AU2015100651A4 (en) | An orthodontic appliance | |
JP2023536575A (en) | mandible adjuster | |
JP2023048036A (en) | oral appliance | |
HK40030968A (en) | An oral training appliance | |
TW202206039A (en) | Mandible adjustment device avoiding the collapse of the lower root of the tongue and avoiding the injury to the oral mucosa | |
TW202145976A (en) | Mandibular displacement adjusting apparatus for keeping breathing channel unimpeded and solving snoring and sleep apnea issues | |
JP2015107263A (en) | Mastication instru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0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10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