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29825B1 - 열교환기가 구비되는 지역난방용 배관모듈 - Google Patents

열교환기가 구비되는 지역난방용 배관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9825B1
KR102029825B1 KR1020190044200A KR20190044200A KR102029825B1 KR 102029825 B1 KR102029825 B1 KR 102029825B1 KR 1020190044200 A KR1020190044200 A KR 1020190044200A KR 20190044200 A KR20190044200 A KR 20190044200A KR 102029825 B1 KR102029825 B1 KR 102029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eating
hot water
water supply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4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열
Original Assignee
김학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열 filed Critical 김학열
Priority to KR1020190044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8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82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0/00District heating systems
    • F24D10/003Domestic delivery stations having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24D19/101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using a valve or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5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disposition of pipes and pipe connections
    • F24D3/1066Distributors for heating liquids
    • F24D3/1075Built up from modu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07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5Check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6Pressure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6Heat exchang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17District he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4Combined heat and power generation [CH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교환기가 구비되는 지역난방용 배관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온수공급관, 온수환수관, 난방수공급관, 난방수환수관 및 열교환기를 통하여, 공동주택 내의 각 세대에 설치하여 기존에 지역난방 시스템을 통해 공급받던 난방용 온수를 열교환방식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소형화 및 모듈화 하여 시공이 용이하고, 난방비 절감 효과가 뛰어난 열교환기가 구비되는 지역난방용 배관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열교환기가 구비되는 지역난방용 배관모듈{PIPE MODULE}
본 발명은 열교환기가 구비되는 지역난방용 배관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온수공급관, 온수환수관, 난방수공급관, 난방수환수관 및 열교환기를 통하여, 공동주택 내의 각 세대에 설치하여 기존에 지역난방 시스템을 통해 공급받던 난방용 온수를 열교환방식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소형화 및 모듈화 하여 시공이 용이하고, 난방비 절감 효과가 뛰어난 열교환기가 구비되는 지역난방용 배관모듈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최소한의 연료 소모로 열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열교환부(기)를 기반으로 하는 콘덴싱 방식의 가스보일러에 대한 선호도가 증대되고 있다. 콘덴싱 가스보일러는 잠열 흡수와 응축수 처리를 비롯한 일부 구성품이 고가로서 제조비용을 낮추기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834991호 "보일러의 물순환부 모듈화 구조"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케이스(10)의 내부에 온수열교환기(31), 삼방변(32), 직온수블럭(33)을 일체로 결합한 열교환모듈(30)을 수용하되, 삼방변(32)의 난방수관(42), 직온수블럭(33)의 직수유입관(43), 직온수블럭(33)의 온수출수관(44)가 케이스(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제조원가를 절감시키고자 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세대로 공급된 물을 가열시켜 온수로 변환하여 난방수 또는 급탕수로 이용하는 개별난방용 보일러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열병합 발전소 등에서 가열된 온수를 공동주택의 기계실, 관리실 등으로 공급하고, 이 기계실 또는 관리실에서 온수를 각 세대로 통합 공급하는 지역난방 시스템의 경우에는 공급된 온수를 직접 난방수로 사용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지역난방 시스템의 경우, 개별난방 시스템 보다 비용이 절감되고 친환경적이라는 장점이 있어 각 세대에서 선호하는 방식이기는 하나, 본 발명은 이러한 지역난방 시스템에 있어서, 기존의 방식을 개선하여 열손실을 더 줄이고 난방비 절감의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하우징 내에 온수공급관, 온수환수관, 난방수환수관, 난방수공급관 및 열교환기를 모두 포함하여 소형화 및 모듈화 함으로서, 기 설치된 지역난방 시스템의 각 세대에 손쉽게 설치하여 열교환 방식을 통해 난방비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고안된 열교환기가 구비되는 지역난방용 배관모듈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 내에는 급작스럼 밸브 차단에 따른 워터해머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수격방지기를 더 구비하는 열교환기가 구비되는 지역난방용 배관모듈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난방수환수관의 압력이 기 설정된 값보다 낮아지면 펌프의 작동을 중단하여 펌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압력스위치를 더 구비하는 열교환기가 구비되는 지역난방용 배관모듈을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가 구비되는 지역난방용 배관모듈은
하우징;
온수 공급라인이 연결되어 온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하우징 상면에 노출되는 온수공급부가 구비되는 온수공급관;
온수 환수라인이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 상면에 노출되는 온수환수부가 형성된 온수환수관;
난방수 환수라인이 연결되어 세대 내의 난방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하우징 상면에 노출되는 난방수환수부가 형성되며, 유입된 난방수를 펌핑하는 펌프가 구비된 난방수환수관;
세대 내 난방수 공급라인이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 상면에 노출되는 난방수공급부가 형성된 난방수공급관;
상기 온수공급관을 통해 유입된 온수와, 상기 난방수환수관을 통해 유입된 난방수가 각각 유입되어, 온수의 열을 통해 난방수를 가열하여 배출하는 열교환기;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온수 공급라인, 온수 환수라인, 난방수 공급라인, 난방수 환수라인이 설치된 공동주택 내의 각 세대에 설치하여, 상기 열교환기를 통해 온수를 이용하여 난방수를 가열한 후 순환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가 구비되는 지역난방용 배관모듈은
하우징 내에 온수공급관, 온수환수관, 난방수환수관, 난방수공급관 및 열교환기를 구비하도록 모듈화 하여, 지역난방 시스템이 구비된 각 세대에 설치함에 따라, 기존의 난방을 위해 공급되던 온수를 직접 사용하지 않고 열교환 방식으로 난방수를 가열함으로서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난방비 절감효과가 크게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소형화 및 모듈화 함에 따라 공간제약이 적고, 기 설치된 배관에 보다 손쉽게 장착 및 시공할 수 있어 시공의 편의성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수격방지기 및 압력스위치를 더 구비함에 따라 하우징 내부의 관 및 펌프의 파손을 방지함으로서 내구성을 높여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모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모듈의 하우징을 제거한 내부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모듈을 다양한 방향에서 본 내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모듈의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은 하우징(H) 내에 구비되어 모듈화 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H)과 상기 하우징(H)에 구비되는 온수공급관(40), 온수환수관(30), 난방수환수관(10), 난방수공급관(20) 및 열교환기(6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하우징(H)이 지역난방 시스템 내의 각 세대에 구비되어 세대 난방을 열교환 방식으로 바꿀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의 온수는 각 세대로 들어오는 물을 말하며, 난방수는 각 세대 내에서 순환하여 세대내 난방을 위한 물을 마하는 것이며, 온수는 가열된 상태로 유입되어 본 발명의 구성인 열교환기(60)를 거쳐 환수되고, 난방수는 열교환기(60)를 거쳐 가열되어 각 세대내로 유입되는 것으로, 상기 열교환기(60)는 세대로 유입되는 온수의 열을 난방수에 전달하여 난방수를 가열하는 용도로 이용되며, 상기 열교환기(60)는 종래에 공지된 기술로서, 그 내부 구성에 대해서는 생략하도록 한다.
다시, 상기 하우징(H)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함체로 이루어진 것으로, 외면에 ON/OFF 스위치(H1)가 구비되고, 펌프(16) 동작 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방열공(H2)이 구비되어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스위치(H1)가 구비되는 방향을 전방으로 하고, 그 반대면을 후방으로 정의하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H)의 상면에는 상기 온수공급관(40), 온수환수관(30), 난방수환수관(10), 난방수공급관(20)의 각 단부가 노출되어 있으며, 이 노출된 단부에 각각 온수 공급라인, 온수 환수라인, 난방수 환수라인, 난방수 공급라인이 연결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온수 공급라인과 온수 환수라인은 세대내로 분기되는 배관을 지칭하고, 상기 난방수 환수라인과 난방수 공급라인은 세대내에 구비되는 배관을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도2는 상기 하우징(H)의 외면을 제외한 사시도로서, 상기 하우징(H) 내에 구비되는 배관들을 감싸는 보온재(H3)가 더 구비되어 열손실을 최소화 하도록 하며, 특히 이 보온재(H3)는 난방수 공급관, 온수 환수관, 온수 공급관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일반적으로 상기 난방수 환수관에 흐르는 물은 난방으로 인해 열을 빼앗긴 물로, 보온재(H3)를 감싼다 하더라도 그 의미가 크지 않으며, 난방수공급관(20)과 온수공급관(40)이 가열된 물이 흐르는 관으로서, 이 둘을 보온재(H3)로 감싸 열손실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먼저, 각각의 관에 대하여 도3a 내지 도3c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하우징(H)에는 온수 공급라인이 연결되어 온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하우징(H) 상면에 노출되는 온수공급부(40A)가 형성된 온수공급관(40)과, 온수 환수라인이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H) 상면에 노출되는 온수환수부(30A)가 형성된 온수환수관(30)과, 난방수 환수라인이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H) 상면에 노출되는 난방수환수부(10A)가 형성된 난방수환수관(10)과, 난방수 공급라인이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H) 상면에 노출되는 난방수공급부(20A)가 형성된 난방수공급관(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하우징(H)에는 열교환기(60)가 구비되게 되는데, 이 열교환기(60)는 하우징(H)의 일측으로 치우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일측면 상부 전방과 후방에 제1연결부(61)와 제2연결부(62)가 각각 구비되고, 일측면 하부 전방과 후방에 각각 제3연결부(63)와 제4연결부(64)가 구비되게 되고,
상기 난방수환수부(10A), 난방수공급부(20A), 온수환수부(30A) 및 온수공급부(40A)는 상기 하우징(H)의 상면 후방에 순차적으로 나란하게 배열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각의 배관의 형상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난방수환수관(10)은 본체 상면 후방의 가장 좌측(여기서 좌측은 열교환기(60)가 구비되는 방향의 반대측 방향을 의미한다.)에 난방수환수부(10A)가 노출된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 난방수환수부(10A)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1관(1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1관(11)은 펌프(16)와 연결되게 된다.
여기서 펌프(16)는 난방수환수부(10A)로부터 유입된 난방수를 열교환기(60)로 공급하는 펌핑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난방수환수관(10)(세대 내 난방수 환수라인)의 압력이 설정압력 이하(난방수환수 라인과 난방수 공급라인 내의 난방수가 줄어들면 압력이 저하됨)가 될 때, 상기 펌프(16)가 작동하면 펌프(16)가 공회전하게 되어 펌프(16)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상기 난방수환수관(10), 보다 정확하게는 제1-1관(11)에 압력스위치(111)를 더 구비하여, 내부 압력이 설정압력 이하로 낮아지면, 상기 압력스위치(111)가 동작하여 펌프(16)의 동작을 중지하고, 난방수를 보충한 후에 다시 동작하도록 하여 펌프(16)의 고장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난방수환수관(10)은 제1-2관(12)을 포함하는데, 상기 제1-2관(12)은 상기 펌프(16)를 통과한 난방수가 통과하는 관으로, 펌프(16) 하단에는 제1-1절곡부(121)가 형성되고, 이 절곡부에 연장되는 제1-2관(12)이 수평방향으로 배열되게 된다.
이 때 상기 난방수환수부(10A)의 위치는 하우징(H) 후방이고, 상기 난방수환수관(10)은 결국, 상기 열교환기(60)의 상부 전방에 결합됨에 따라 그 위치의 오차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제1-1절곡부(121)는 전방 사선방향으로 관을 수평방향으로 절곡시키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그 결과, 상기 제1-2관(12)이 전방 사선방향(열교환기(60)방향)으로 수평배열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2관(12)은 제1-2절곡부(131)에 의해 제1-3관(13)과 연결되는데, 상기 제1-2절곡부(131)는 수직방향으로 다시 관을 절곡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그 결과, 제1-3관(13)은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구조이며, 이 제1-3관(13) 단부에 후술하는 삼방밸브(17)가 구비되고, 수평방향으로 제1-4관(14)이 상기 삼방밸브(17)에 결하되어 열교환기(60)의 상부 전방, 즉 제1연결부(61)에 연결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난방수환수관(10)은 하우징(H) 전방을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제1-2관(12)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열교환기(6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다시 상기 난방수환수관(10)을 통하여 열교환기(60)로 공급된 난방수는 온수에 의해 가열되어 배출되며, 상기 난방수공급관(20)을 통하여 세대 내의 난방수 공급라인을 통해 공급될 수 있다..
즉, 상기 난방수공급관(20)은 상기 열교환기(60)의 제4연결부(64)에 결합되어, 열교환기(60)를 거친 난방수가 배출(상기 난방수 공급라인으로 공급)되는 관으로서,
상기 난방수공급부(20A)는 하우징(H) 상면 후방에 노출되되, 상기 난방수공급부(20A) 옆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난방수공급부(20A)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제2-1관(21)과, 상기 제2-1관(21)으로부터 제2절곡부(211)를 통하여 상기 제4연결부(64)에 결합되도록 수평방향으로 절곡 배열된 제2-2관(22)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난방수공급부(20A) 옆에는 상기 온수환수부(30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온수환수부(30A)는 온수 환수라인과 연결되는 것으로, 그 구조에 대하여 먼저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온수환수관(30)은 상기 온수환수부(30A)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제3-1관(32)으로 이루어지고, 이 제3-1관(32)으로부터 제3절곡부(311)를 통해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열교환기(60)의 제2연결부(62)에 연결되는 제3-2관(32)으로 구성된다.
즉, 열교환기(60)를 거친 온수는 상기 제2연결부(62)를 통해 배출되어 상기 온수환수관(30)을 통과하여 온수 환수라인으로 토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끝으로, 온수공급관(4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우선, 상기 온수공급관(40)의 온수공급부(40A)는 상기 하우징(H) 상면 후방에 구비되되, 상기 온수환수부(30A) 옆에 구비되는 것으로, 평면도를 기준으로 상기 열교환기(60) 상부에 겹치게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온수공급관(40)은 상기 온수공급부(40A)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제4-1관(41)과, 상기 제4-1관(41)으로부터 제4절곡부(411)를 통해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제4-2관(42)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4-2관(42)의 단부는 상기 열교환기(60) 일측면 방향에 수직으로 배열된 제4-3관(43)에 연결되게 되며, 상기 제4-3관(43)의 하부는 상기 열교환기(60)의 일측면 하부 전방에 구비되는 제3연결부(63)에 연결되어, 온수를 열교환기(60)에 공급하게 된다.
앞서, 상기 난방수환수관(10)과 마찬가지로, 상기 온수공급부(40A)는 하우징(H)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3연결부(63)는 상기 하우징(H) 전방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제4-2관(42)은 전방을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절곡, 즉 사선으로 배열된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때 상기 제4-3관(43)의 하부에는 상기 제3연결부(63) 방향이 아닌 상기 제2-2관(22) 방향으로 연통되어 상기 제2-2관(22)과 연결되는 물보충관(50)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 물보충관(50)에는 체크밸브(5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크밸브(51)와 물 보충 관련 흐름에 대해서 도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세대 내에 흐르는 난방수는 증발 등의 이유로 난방수가 부족해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이를 위하여 별도의 난방수를 보충하는 관이 필요하다. 즉, 이 경우, 본 발명은 상기 물보충관(50)을 통하여 이를 해결하고 있으며, 체크밸브(51)에 의해 물의 흐름을 제어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세대 내의 난방수가 부족하게 되면, 난방배관(세대 내의 난방수가 흐르는 배관)의 압력이 저하되게 되고, 상기 압력차이로 인하여, 체크밸브(51)가 열려 온수공급관(40)으로부터 유입된 온수가 상기 물보충관(50)을 통하여 난방수공급관(20)으로 직접 유입됨으로서, 난방배관내의 부족한 물을 채우게 되며, 상기 난방배관의 물이 채워지면 체크밸브(51) 양측의 배관 압력이 동일해짐에 따라 체크밸브가 닫혀 물 보충을 중단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체크밸브(51)에 의해 난방배관 내의 물이 부족하면 자동으로 온수를 직접 공급함으로서 난방배관 내에 흐르는 난방수가 부족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4-3관(43)에는 솔레노이드 밸브(45)가 더 구비되어 온수공급관(40)의 온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난방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열교환기 내의 배관, 특히 2차측 배관이 이물질 등에 의해 막히는 경우, 이를 청소하기 위한 고압분사관(70)을 더 구비하여, 난방수가 원활하게 순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압분사관(70)은 상기 제4-3관(43) 상부에 연장되는 것으로서,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4-3관(43) 상부에는 T배관(71)이 더 구비되고, 이 T배관(51)의 일측에는 곡선형의 상기 고압분사관(70)이 구비되어 앞서 언급한 제1-3관(13) 상부에 구비되는 삼방밸브(17)에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T배관(71)의 다른 측에는 수격방지기(W)가 더 구비되게 된다.
우선 상기 삼방밸브(17)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삼방밸브(17)는 동작에 의해 상기 제1-3관(13)과 제1-4관(14)을 연통시키거나, 고압분사관(70)과 제1-4관(14)을 연통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3관(13)과 제1-4관(14)을 연통시켜 환수된 난방수를 열교환기(60)로 공급하고, 열교환기 내부에 청소가 필요하거나, 첫 시공 시 빠르게 온수를 난방배관에 공급하는 경우에는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삼방밸브(17)를 수동으로 동작하여 고압분사관(70)과 제1-4관(14)을 연결함으로서, 상기 제1-4관(14)을 통해 온수공급관(40)으로 유입된 온수를 열교환기(60) 내부, 즉 원래 난방수가 환수가되는 부분으로 유입시켜 열교환기 내부의 2차측 배관을 통과시켜 2차측 배관을 청소하도록 한다.
즉, 온수공급관(40)을 통해 유입된 온수는 기계실 등에서 공급되는 온수로서, 난방수보다 그 수압이 센 것은 자명하며, 이 강한 수압의 온수를 직접 열교환기(60)의 2차측 배관으로 분사시킴에 따라 2차측 배관 내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이를 위하여 상기 난방배관,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난방수공급관(20)과 연결된 부분에는 드레인밸브(DV)를 더 구비하여, 상기 삼방밸브(17)를 작동하여 열교환기(60) 내부를 청소할 때 이물질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삼방밸브(17)는 초기 시공 시에는 보다 빠르게 난방수를 채워 넣을 수 있도록 할 때도 작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아울러, 수격방지기(W)는 실내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 되면 신호에 의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차단되는데, 이 때 급격한 유체 차단으로 워터해머 현상이 발생하고, 심할 경우에는 열교환기(60)가 손상을 입기도 하며,
순간적인 과압에 의해 체크밸브가 열려 난방수가 과도하게 채워지면 난방수 압력이 급증하여 세대 내의 배관이 파열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 및 체크밸브가 급격하게 차단되거나 열리더라도, 상기 공급되는 온수가 수격방지기(W)로 유입됨으로서 워터해머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각종 배관들의 절곡된 형상 및 구조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모듈(M)을 소형화 하기 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또한 설치의 편의를 위해 각각의 배관들의 단부를 나란하게 배열시킴으로서 소형화와 설치 편의성을 모두 충족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상기 하우징(H), 보다 정확하게 상기 하우징(H)의 내부 저면에는 누수감지센서(미도시)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누수감지센서는 상기 하우징(H)에 구비되어 있는 각종 배관, 열교환기, 연결부위 등에서 누수가 발생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펌프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솔레노이드 밸브를 닫아 열교환기 동작을 중지시키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하우징에는 누수감지센서와 연동되는 경보부재가 더 구비되어, 누수감지센서가 동작하면 상기 경보부재가 경보음을 내어 사용자가 누수여부를 인지하여 확인 및 보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열교환기가 구비되는 지역난방용 배관모듈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M : 배관모듈 H : 하우징
H1 : 스위치 H2 : 방열공
10 : 난방수환수관 10A : 난방수환수부
20 : 난방수공급관 20A : 난방수공급부
30 : 온수환수관 30A : 온수환수부
40 : 온수공급관 40A : 온수공급부
50 : 물보충관 60 : 열교환기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하우징(H)과;
    온수 공급라인이 연결되어 온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하우징 상면에 노출되는 온수공급부가 형성되고, 온수 공급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45)가 구비된 온수공급관(40)과;
    온수 환수라인이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H) 상면에 노출되는 온수환수부(30A)가 형성된 온수환수관(30)과;
    세대 내의 난방배관의 난방수 환수라인이 연결되어 세대 내의 난방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하우징(H) 상면에 노출되는 난방수환수부(10A)가 형성되며, 유입된 난방수를 펌핑하는 펌프(16)가 구비된 난방수환수관(10)과;
    세대 내의 난방배관의 난방수 공급라인이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 상면에 노출되는 난방수공급부(20A)가 형성된 난방수공급관(20)과;
    상기 온수공급관(40)을 통해 유입된 온수와, 상기 난방수환수관(10)을 통해 유입된 난방수가 각각 유입되어, 온수의 열을 통해 난방수를 가열하여 배출하는 열교환기(60)와;
    상기 온수공급관(40)과 난방수환수관(10)을 상호 연통시키도록 구비되되, 내부에 체크밸브(51)가 구비되는 것으로서, 세대 내의 난방수가 부족한 경우, 상기 체크밸브(51)가 열려 상기 온수공급관(40)을 통해 유입되는 온수를 상기 난방수환수관(10)을 통해 난방배관으로 공급하는 물보충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공동주택 내의 각 세대에 설치하여, 상기 열교환기(60)를 통해 온수를 이용하여 난방수를 가열한 후 세대 내로 순환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가 구비되는 지역난방용 배관모듈에 있어서,

    상기 난방수환수관(10)에는
    상기 난방수환수부(10A)와 펌프(16) 사이에 구비되어, 세대 내의 난방배관 압력이 기 설정된 값보다 낮아지면 상기 펌프(16)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압력스위치(111)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난방수환수관(10)을 구성하는 제1-3관(13)과 제1-4관(14)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온수공급관(40)을 구성하는 제4-3관(43) 상부에서 연장되는 고압분사관(70)과 연통되는 삼방밸브(17)를 더 구비하며, 상기 난방수공급관(20)의 일단에는 드레인밸브(DV)를 더 구비함으로써,
    평상 시에는 상기 제1-3관(13)과 제1-4관(14)을 연통시켜 환수된 난방수를 열교환기(60)로 공급하고, 선택적으로 상기 삼방밸브(17) 조작에 의해 상기 고압분사관(70)과 제1-4관(14)을 연결함으로서, 상기 제1-4관(14)을 통해 온수공급관(40)으로 유입된 온수를 상기 열교환기(60) 내부의 2차측 배관을 청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온수공급관(40)과 연통되는 수격방지기(W)를 더 구비하여, 상기 솔레노이드밸브(45) 또는 체크밸브 또는 이들 모두가 열리거나 닫힐 때 일어나는 워터해머 현상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가 구비되는 지역난방용 배관모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수환수부(10A), 난방수공급부(20A), 온수환수부(30A) 및 온수공급부(40A)는 상기 하우징(H)의 상면 후방에 나란하게 배열되되,
    상기 열교환기(60) 일측면 상부 전방과 후방에는 상기 난방수환수관(10)과 온수환수관(30)이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연결부(61)(62)가 구비되고, 상기 열교환기(60) 일측면 하부 전방과 후방에는 상기 온수공급관(40)과 난방수공급관(20)이 각각 연결되는 제3 및 제4연결부(63)(64)가 구비되어,
    상기 난방수환수관(10)과 온수공급관(40)은 각각 하우징(H) 전방을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가 구비되는 지역난방용 배관모듈.
KR1020190044200A 2019-04-16 2019-04-16 열교환기가 구비되는 지역난방용 배관모듈 Active KR102029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200A KR102029825B1 (ko) 2019-04-16 2019-04-16 열교환기가 구비되는 지역난방용 배관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200A KR102029825B1 (ko) 2019-04-16 2019-04-16 열교환기가 구비되는 지역난방용 배관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9825B1 true KR102029825B1 (ko) 2019-10-08

Family

ID=68209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4200A Active KR102029825B1 (ko) 2019-04-16 2019-04-16 열교환기가 구비되는 지역난방용 배관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8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55078A1 (de) * 2020-01-21 2021-07-28 Aqotec GmbH Überwachungseinrichtung für eine abnehmerseitige fernwärme-heizungsanlage und verfahren zum überwachen einer abnehmerseitigen fernwärme-heizungsanlage
US20210254905A1 (en) * 2020-02-13 2021-08-19 Aerco International, Inc. Universal heat exchanger cabinet system for a vertically mounted heat exchang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4855A (ko) * 1996-12-27 1998-09-25 김진곤 가스보일러용 온수열교환기의 배관구조
KR20010039181A (ko) * 1999-10-29 2001-05-15 최성봉 난방 및 온수제어장치
KR20010073820A (ko) * 2000-01-20 2001-08-03 최성봉 보일러의 난방/급탕수제어장치
KR20160060194A (ko) * 2014-11-19 2016-05-30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수배관 부품이 모듈화된 조립구조를 갖는 보일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4855A (ko) * 1996-12-27 1998-09-25 김진곤 가스보일러용 온수열교환기의 배관구조
KR20010039181A (ko) * 1999-10-29 2001-05-15 최성봉 난방 및 온수제어장치
KR20010073820A (ko) * 2000-01-20 2001-08-03 최성봉 보일러의 난방/급탕수제어장치
KR20160060194A (ko) * 2014-11-19 2016-05-30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수배관 부품이 모듈화된 조립구조를 갖는 보일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55078A1 (de) * 2020-01-21 2021-07-28 Aqotec GmbH Überwachungseinrichtung für eine abnehmerseitige fernwärme-heizungsanlage und verfahren zum überwachen einer abnehmerseitigen fernwärme-heizungsanlage
US20210254905A1 (en) * 2020-02-13 2021-08-19 Aerco International, Inc. Universal heat exchanger cabinet system for a vertically mounted heat exchanger
US12018901B2 (en) * 2020-02-13 2024-06-25 Aerco International, Inc. Universal heat exchanger cabinet system for a vertically mounted heat exchang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82440A1 (en) Fluid Heater
KR102029825B1 (ko) 열교환기가 구비되는 지역난방용 배관모듈
KR20160039179A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US8302566B2 (en) Dual pipe heat exchanger of instantaneous boiler for house heating and hot water and boiler
US20090283057A1 (en) Hot-Water Supplying System of Boiler Equipped With Dual Pipe Heat Exchanger
CN101779087B (zh) 储热水式供热水机
KR102238465B1 (ko) 열교환기, 가열 장치, 가열 시스템 및 물 가열 방법
EP0911590A2 (en) Valve unit with built-in hydraulic distribution system, particularly for wall-mounted boilers for heating and producing sanitary hot water
KR100342131B1 (ko) 보일러의 난방/급탕수제어장치
KR101868671B1 (ko) 식기세척기를 이용한 온수 공급장치
ITMI20070615A1 (it) Impianto di riscaldamento a integrazione di energia solare e metodo di riscaldamento attuabile mediante tale impianto
JP4164441B2 (ja) 給湯システム
CN217209822U (zh) 一种组合式热水系统
KR100756910B1 (ko) 동파 및 부식 방지용 온수 난방 보일러
KR100540534B1 (ko) 가정용 보일러의 열교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정용보일러 구조
GB2501586A (en) Safety cooling circuit for a solid fuel boiler
CN221098766U (zh) 集成式双热源采暖装置
EP4361523B1 (en) Condensing boiler with burner and storage for hybrid plants with heat pump
EP0509611B1 (en) Combined central-heating and water-heating boiler comprising a heat exchanger with built-in pumps
CN109469945B (zh) 一种常压混流管路供热系统
KR102729534B1 (ko) 히트펌프용 보일러 자동 온수 분배장치
CN215675950U (zh) 壁挂炉及集成换热系统
KR102079210B1 (ko) 보일러의 펌프와 온수 열교환기 일체형 모듈
CN215490315U (zh) 一种循环热水壁挂炉
KR200315193Y1 (ko) 온수보일러용 열교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1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5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0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0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