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29580B1 - 세척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젖병 세척기 - Google Patents

세척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젖병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9580B1
KR102029580B1 KR1020180042656A KR20180042656A KR102029580B1 KR 102029580 B1 KR102029580 B1 KR 102029580B1 KR 1020180042656 A KR1020180042656 A KR 1020180042656A KR 20180042656 A KR20180042656 A KR 20180042656A KR 102029580 B1 KR102029580 B1 KR 102029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bottle
module
unit
washing wa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2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준호
정의경
윤유술
윤지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2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5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58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65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specially adapted for drinking glasses
    • A47L15/0071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specially adapted for drinking glasses the glasses being placed on conveyors
    • A47L15/0073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specially adapted for drinking glasses the glasses being placed on conveyors of the rotary t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02Washing processes, i.e. machine working principles characterised by phases or operational ste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21Regulation of operational steps within the washing processe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from the detergent nature or from the condition of the crockery
    • A47L15/0036Steam or sterilizing ph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16Sterilisers

Landscapes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젖병세척기는 바디에 인출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예비세척노즐이 형성된 예비 세척부와, 상기 바디에 장착된 본 세척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 세척부는 상기 젖병과 상기 꼭지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가 분사되는 본세척 노즐과, 상기 회동바디를 회동시키는 회동모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척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젖병 세척기{A WASHING DEVICE FOR A BABY BOTTLE WITH IMPROVED WASHING, DRYING, STERILIZING FUNCTION}
본 발명은 세척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젖병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젖병을 세척하는 기기들이 출시되지 않았을 때에는 사용하고 난 젖병을 주방에서 설거지하듯이 일일이 손으로 세척했다. 그리고 용기에 담긴 끓는 물에 젖병을 수 분 동안 넣어 살균하고, 이후에 다시 젖병을 꺼내어 따뜻한 햇볕에 노출되게 함으로써 건조시켜 왔다.
이렇게 종래에는 젖병의 세척과 살균 및 건조하는 과정을 수작업으로 수행해야만 했고, 아울러 유아를 돌보는 일까지 병행해야 하므로 가정주부들의 일손이 부족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유아 돌봄과 젖병 세정하는 작업을 동시 수행할 경우 쉽게 피로에 지칠 수 있기 때문에, 유아 돌봄과 젖병 세척 등은 다른 일들과 병행할 수 없었다.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젖병의 세척과 건조 및 살균에 이르는 일련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젖병 세척 기기들이 개발되었고, 이 기기들 제품 또한 여러 종류의 군으로 다량 출시되어 왔다.
이러한 젖병 기기 개발과 관련된 기술들로는 등록특허 제10-0450977호, 등록특허 제10-0445518호, 등록 실용신안공보 제20-0032595호, 등록 실용신안공보 제20-0408342호 등이 개시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젖병 세척기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은 등록 실용신안공보 제20-0408342호 등에 제시된 젖병 세척기기 도면으로서, 젖병 세척실(3)을 갖는 몸체(1), 몸체(1)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2), 젖병 세척실(3) 내부 벽면에 구성된 세척부(미도시)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젖병 세척기를 사용하면 자동으로 젖병을 세척하고 살균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종래의 젖병 세척기는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20)의 계폐 공간을 통해서만 젖병 등의 세척 대상물을 입고/출고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젖병 세척실(30)의 내부로 손을 넣어 세척 대상물을 입고/출고시킬 수밖에 없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젖병 세척기는 젖병 및 꼭지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세척함에 따라 세척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젖병 세척기는 세척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젖병 세척기는 단순히 세척기능만을 포함하고, 건조 및 살균기능을 포함하고 있지 않아, 위생처리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젖병 세척기는 수납되는 젖병과 꼭지에만 세척수를 고급할 수 없어 세척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세척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젖병과 꼭지를 회전시키면서 세척시킴에 따라 구석구석 청결하게 세척할 수 있는 젖병 세척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척시간을 최소할 수 있는 젖병 세척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척-건조-살균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젖병세척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척시간을 최소화시키고, 세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젖병세척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젖병세척기는 젖병과 꼭지가 각각 수납되고 회동되는 회동바디와, 회동되는 젖병과 꼭지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모듈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회전되는 젖병과 꼭지에 구석구석 세척수를 분사하고 세척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젖병세척기는 예비 세척부 및 본 세척부를 포함하고, 예비 세척부는 예비세척노즐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예비세척노즐을 통해 빠르게 예비세척하고, 본 세척부를 통해 추가로 세척함에 따라 빠른 세척이 가능하고 세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젖병세척기는 살균모듈 및 건조모듈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세척기능에 더하여 살균 및 건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젖병세척기는 수납되는 젖병과 꼭지의 수납상태를 검출하는 3D 스케너를 포함하고, 젖병 및 꼭지 수납부를 선택적으로 정회전 및 역회전시키는 회전모터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수납된 위치에만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시간을 단축시키고, 세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젖병과 꼭지를 회전시키면서 세척수를 분사함에 따라 젖병과 꼭지에 구석구석 세척수를 분사하고 세척성능이 향상된 젖병세척기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예비 세척부를 통해 빠르게 세척하고, 본 세척부를 통해 추가세척함에 따라 전체적으로 세척시간이 단축되고, 집중세척단계인 예비 세척부를 통해 세척성능을 향상시키고, 회전세척공정인 본 세척부를 통해 꼼꼼한 세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젖병세척기를 통해 세척기능에 더하여 살균 및 건조할 수 있는 젖병세척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세척 후 젖병과 꼭지를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게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젖병과 꼭지의 수납되는 상태를 파악하고, 수납된 위치에만 세척수를 분사함에 따라 세척성능이 향상되고, 세척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된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젖병세척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젖병세척기의 기본 기술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젖병세척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젖병세척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은 도 4에 도시한 젖병세척기의 개략적인 분해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한 젖병세척기에 있어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세척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한 젖병세척기에 있어서, 제2 실시예에 따른 세척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한 젖병세척기에 있어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살균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한 젖병세척기에 있어서, 제2 실시예에 따른 살균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0은 도 3에 도시한 젖병세척기에 있어서, 예비 세척부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 11은 도 3에 도시한 젖병세척기에 있어서, 본 세척부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젖병세척기의 기본 기술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젖병세척기(100)는 세척모듈(110), 건조모듈(120), 살균모듈(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보다 구제적으로, 세척모듈(110)은 예비 세척부(111)과 본 세척부(112)를 포함한다. 그리고 예비 세척부(111)은 세척수를 강한 수압으로 분사하고, 본 세척부(112)는 회동되는 젖병 및 꼭지에 세척수를 분사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예비 세척부를 통해 빠른 세척이 가능하고, 본 세척부를 통해 꼼꼼한 세척이 가능함에 따라 세척시간을 단축시키면서도 꼼꼼한 세척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젖병세척기(100)는 건조모듈(120)과 살균모듈(130)을 더 포함함에 따라 세척이후에 건조 및 살균공정을 수행하여 보다 청결하게 세척할 수 있고, 세척 후 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140)는 세척모듈(110), 건조모듈(120) 및 살균모듈(130)과 연결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각각의 모듈에 대한 작동을 제어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젖병세척기의 실시형태, 세부기술구성, 유기적 결합관계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기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젖병세척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젖병세척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5은 도 4에 도시한 젖병세척기의 개략적인 분해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젖병세척기(1000)는 본체바디(1100), 세척모듈(1200), 살균모듈(1300) 및 건조모듈(1400)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체바디(1100)는 제1 바디(1110), 제2 바디(1120), 제3 바디(1130)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바디(1110)는 상부커버로서 제 2 바디(112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제2 바디(1120)는 세척, 건조 및 살균공정을 구현하기 위한 작동 공간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2 바디(1120)에는 젖병세척기의 동작상태 및 세척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윈도우(1121)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2 바디(1120)의 상부에는 젖병 및 꼭지 거치대가 삽입되기 위한 거치홀(1122)이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고 제2 바디(1120)는 제3 바디(1130)을 커버하도록 제3 바디(1130)의 상부에 결합된다.
다음으로 제3 바디(1130)에는 세척모듈(1200), 살균모듈(1300) 및 건조모듈(1400)이 장착된다.
그리고 제3 바디(1130)에는 회동축(1131)이 형성되고, 회동축(1131)에는 젖병 및 꼭지 수납부(1132)가 형성된다.
또한, 젖병 및 꼭지 수납부(1132)는 방사상으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고, 복수개의 젖병(10) 및 꼭지 거지대(1133)가 수납된다.
그리고 꼭지 거치대(1133)는 경사지지부(1133a)와 고정부(1133b)를 포함한다. 그리고 경사지지부(1133a)는 꼭지(20)를 경사지도록 지지하고, 고정부(1133b)에는 꼭지가 삽입되어 강한 물줄기에 의해 꼭지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회동축(1131)은 세척모듈(1200)의 회전모터(1221)에 연결되고, 회전모터(1221)에 의해 회동된다.
또한, 세척모듈(1200)은 예비 세척부(1210)와 본 세척부(1220)을 포함한다.
그리고 예비 세척부(1210)는 젖병에 강한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것으로, 예비세척바디(1211), 예비 세척노즐(1212) 및 예비세척수 공급호스(1213)를 포함한다.
또한, 예비 세척부(1210)는 미사용시 제3 바디(1130)에 삽입시키고, 사용시 제3 바디(1130)로부터 인출한다. 이를 위해 제3 바디(1130)에는 예비 세척부 수용부(1134)가 형성된다.
그리고 본 세척부(1220)는 회전모터(1221) 및 본세척 노즐(1222)을 포함한다. 그리고 회전모터(1221)는 회동축(1131)에 연결되어, 회동축(1131)을 회전시킨다.
또한, 회동축(1131)이 회동됨에 따라 젖병 및 꼭지 수납부(1132)에 수납되는 젖병(10)과 꼭지(20)는 회동된다.
그리고 본세척 노즐(1222)는 회동되는 젖병 및 꼭지에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세척 노즐(1222)은 젖병 및 꼭지 수납부(1132)에 대향되도록 제3 바디(1130)에 배치된다.
또한, 세척모듈(1200)은 회동축(1131)에 장착되는 3D 스케너(1222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3D 스케너(1222a)는 젖병 및 꼭지 거치대(1133)가 젖병 및 꼭지 수납부(1132)에 수납된 상태를 검출한다.
그리고 젖병 및 꼭지 수납부(1132)에 수납된 젖병 및 꼭지 만을 세척하기 위해, 회전모터(1221)는 소정각도로 정회전 및 역회전을 반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척효율은 향상되고, 세척시간은 단축될 수 있다.
또한, 건조모듈(1400)은 열풍발생기로 구현될 수 있고, 젖병 및 꼭지 수납부(1132)에 대향되도록 위치된다.
도 6은 도 3에 도시한 젖병세척기에 있어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세척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세척모듈(1200)은 본세척 노즐(1222)과 예비 세척수 노즐(1212)에 연결된 세척수 공급관(1223), 세척수 공급펌프(1224), 필터부(1225), 히팅부(1226) 배수모터(1227), 배수펌프 및 배수유로(1228), 밸브(1229a, 1229b)를 포함한다.
또한, 밸브는 급수밸브(1229a)와 유로밸브(1229b)를 포함한다.
또한, 본세척 노즐(1222)과 예비 세척수 노즐(1212)에 연결된 세척수 공급관(1223)은 필터부(1225)에 연결되고, 세척수 공급펌프(1224)에 세척수의 유동력을 제공받고, 유로밸브(1229b)를 통해 본세척 노즐(1222) 및 예비 세척노즐(1212)에 세척수를 공급한다.
다음으로, 세척후 배출되는 배수는 배수모터(1227), 배수펌프 및 배수유로(122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히팅부(1226)는 필터부(1225)의 외주부에 장착되어, 고온의 세척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도 3에 도시한 젖병세척기에 있어서, 제2 실시예에 따른 세척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세척모듈(2200)은 도 6에 도시한 세척모듈(1200)과 비교하여 히팅부 만이 상이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세척모듈(2200)은 본세척 노즐(2222)과 예비 세척수 공급호스(2212)에 연결된 세척수 공급관(2223), 회동모터(2221), 세척수 공급펌프(2224), 필터부(2225), 히팅부(2226) 배수모터(2227), 배수펌프 및 배수유로(2228), 밸브(2229a, 2229b)를 포함한다.
또한, 밸브는 급수밸브(2229a)와 유로밸브(2229b)를 포함한다.
그리고, 히팅부(2226)는 급수밸브(2229a)의 전단부에 배치되고, 직수가열 방식으로 세척수 공급관(2223)에 고온의 세척수를 공급한다.
이에 따라 고온의 세척수가 젖병 및 꼭지에 공급될 수 있고, 고온의 세척수에 의해 세척 및 살균효과가 증대된다.
도 8은 도 3에 도시한 젖병세척기에 있어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살균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살균모듈(1300)은 스팀분사부(1310)를 포함한다.
또한, 스팀분사부(1310)는 히팅부(1226)를 통해 수증기로 상변환된 스팀이 배출된다.
그리고 스팀분사부(1310)는 젖병 및 꼭지 수납부(1132)를 향해 스팀이 분사되도록 젖병 및 꼭지 수납부(1132)에 대향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스팀에 의해 젖병에 맺힌 물방울은 증발되어 워터스팟이 효율적으로 제거된다.
도 9는 도 3에 도시한 젖병세척기에 있어서, 제2 실시예에 따른 살균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살균모듈(2300)은 스팀분사부(2310), 스팀발생부(2320), 스팀유동관(2330) 및 스팀발생수 유입 밸브(234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팀발생부(2320)를 통해 생성된 스팀은 스팀유동관(2330)을 통해 유동되고, 스팀분사부(2310)를 통해 젖병 또는 꼭지에 공급된다.
또한, 세척수는 스팀발생수 유입 밸브(2340)를 통해 스팀발생부(2320)에 공급된다.
도 10은 도 3에 도시한 젖병세척기에 있어서, 예비 세척부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예비 세척부(1210)를 제3 바디(1130)의 예비 세척부 수용부(1334)로부터 인출시킨다.
그리고 젖병(10)을 예비 세척노즐(1212)에 대향되도록 위치시킨 다음, 세척수를 분사시킨다.
이에 따라 젖병(10)은 짧은시간에 집중세척되고, 젖병 및 꼭지 수납부(1132)에 젖병을 수납하고 회동시키면서 본세척 노즐(1222)을 통해 2차로 세척함에 따라 빠른 시간내에 세척이 가능하게 된다.
도 11은 도 3에 도시한 젖병세척기에 있어서, 본 세척부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젖병 및 꼭지 수납부(1132)에는 젖병(10)과 꼭지(20)가 거치된 꼭지 거지대(1133)가 수납된다.
그리고 회전모터(1221)는 회동축(1131)을 소정각도의 범위내에서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리고 본세척 노즐(1222)은 젖병 및 꼭지 수납부(1132)를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한다.
이에 따라, 젖병(10)과 꼭지(20)는 구석구석 세척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젖병세척기 110: 세척모듈
111: 예비 세척부 112: 본 세척부
120: 건조모듈 130: 살균모듈
140: 제어부
1000: 젖병세척기 1100: 본체바디
1110: 제1 바디 1120: 제2 바디
1121: 윈도우 1122: 거치홀
1130: 제3 바디 1131: 회동축
1132: 젖병 및 꼭지 수납부 1133a: 경사지지부
1133b: 고정부 1133: 꼭지 거지대
1134: 예비 세척부 수용부 1200: 세척모듈
1210: 예비 세척부 1211: 예비세척바디
1212: 예비 세척노즐 1213: 예비세척수 공급호스
1220: 본 세척부 1221: 회전모터
1222: 본세척 노즐 1223: 세척수 공급관
1224: 세척수 공급펌프 1222a: 3D 스케너
1225: 필터부 1226: 히팅부
1227: 배수모터 1228: 배수펌프 및 배수유로
1229a: 급수밸브 1229b: 유로밸브
1300: 살균모듈 1310: 스팀분사부
1334: 예비 세척부 수용부 1400: 건조모듈
2200: 세척모듈 2212: 예비 세척수 공급호스
2221: 회동모터 2222: 본세척 노즐
2223: 세척수 공급관 2224: 세척수 공급펌프
2225: 필터부 2226: 히팅부
2227: 배수모터 2228: 배수펌프 및 배수유로
2229a: 급수밸브 2229b: 유로밸브
2320: 스팀발생부 2330: 스팀유동관
2310: 스팀분사부 2300: 살균모듈
2330: 스팀유동관 2340: 스팀발생수 유입 밸브

Claims (10)

  1. 바디에 인출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예비세척노즐이 형성된 예비 세척부; 및
    상기 바디에 장착된 본 세척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 세척부는 젖병과 꼭지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가 분사되는 본세척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제1 바디, 제2 바디 및 제3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제2 바디를 커버하고,
    상기 제2 바디에는 세척, 건조 및 살균공정을 구현하기 위한 작동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 바디에는 상기 예비 세척부 및 상기 본체척부를 포함하는 세척모듈, 살균모듈 및 건조모듈이 장착되고,
    상기 세척모듈은
    상기 젖병과 상기 꼭지가 각각 수납되는 젖병 및 꼭지 수납부와, 상기 젖병 및 꼭지 수납부 결합된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을 회동시키는 회전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세척 노즐은 상기 젖병 및 꼭지 수납부에 세척수를 분사하고,
    상기 세척모듈은
    상기 꼭지 수납부에 수납되는 꼭지 거치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꼭지 거치대는 상기 꼭지가 지지되는 경사지지부와 상기 꼭지가 삽입되는 고정부가 형성된
    젖병세척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모듈은
    상기 본세척 노즐과 상기 예비세척노즐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관, 상기 세척수에 유동력을 제공하는 세척수 공급펌프와, 상기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팅부를 더 포함하는
    젖병세척기.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모듈은
    상기 회동축에 장착되고, 상기 젖병 및 꼭지 수납부에 수납되는 젖병 및 꼭지의 수납상태를 검출하는 3D 스케너를 더 포함하는
    젖병세척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바디에는 예비 세척부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예비 세척부 수용부에는 예비 세척부가 인출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젖병세척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세척부는
    상기 예비 세척노즐이 형성되고, 예비 세척부 수용부에 인출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예비세척바디와, 상기 예비 세척노즐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예비세척수 공급호스를 더 포함하는
    젖병세척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바디에 장착되고 살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살균모듈은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팅부와, 상기 히팅부에 의해 생성되는 스팀을 젖병 및 꼭지를 향해 분사하는 스팀분사부를 포함하는
    젖병세척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바디에 장착되는 건조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건조모듈은 열풍발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열풍발생기에서 생성된 열풍은 상기 젖병 및 꼭지 수납부를 향해 분사되는
    젖병세척기.
KR1020180042656A 2018-04-12 2018-04-12 세척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젖병 세척기 Active KR102029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656A KR102029580B1 (ko) 2018-04-12 2018-04-12 세척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젖병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656A KR102029580B1 (ko) 2018-04-12 2018-04-12 세척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젖병 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9580B1 true KR102029580B1 (ko) 2019-10-07

Family

ID=68422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2656A Active KR102029580B1 (ko) 2018-04-12 2018-04-12 세척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젖병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5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8747A (en) * 1980-11-13 1983-01-18 Taylor Frank J P Dishwasher
KR940009441B1 (ko) * 1991-08-08 1994-10-13 이완근 다목적 설겆이대
KR200337917Y1 (ko) * 2003-10-10 2004-01-13 신재곤 젖병 소독기
KR101446633B1 (ko) * 2013-05-29 2014-10-06 주식회사 텍포러스 젖병 살균 세척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8747A (en) * 1980-11-13 1983-01-18 Taylor Frank J P Dishwasher
KR940009441B1 (ko) * 1991-08-08 1994-10-13 이완근 다목적 설겆이대
KR200337917Y1 (ko) * 2003-10-10 2004-01-13 신재곤 젖병 소독기
KR101446633B1 (ko) * 2013-05-29 2014-10-06 주식회사 텍포러스 젖병 살균 세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8705B2 (en) Dishwasher having a door passage through which steam flows
KR940006564B1 (ko) 식기세정기
EP2510864B1 (en) Dishwasher
US9656304B2 (en) Washer device for breast pump accessories
CN201039972Y (zh) 一种多功能洗碗机
JP6444116B2 (ja) 包丁乾燥殺菌装置
KR101182835B1 (ko) 복지용구용 다기능 세척 및 소독장치
US20100000577A1 (en) Method for disinfecting conduit systems of a water-conducting household appliance and such a household appliance
CN108421057B (zh) 一种高压蒸汽消毒储存一体柜
KR102047302B1 (ko) 세척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젖병 세척기
GB2260483A (en) Baby bottle washing and sterilising unit
KR101324485B1 (ko) Uv 엘이디모듈을 이용한 살균장치가 구비된 드럼 세탁기
CN105455758A (zh) 清洗消毒一体机
CN114011823B (zh) 奶瓶清洗机及控制方法
US20090056763A1 (en) Dish washing machine
KR102029580B1 (ko) 세척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젖병 세척기
KR102060142B1 (ko) 세척, 건조, 살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젖병 세척기
CN214712466U (zh) 洗碗机
CN214712467U (zh) 洗碗机
CN106037606A (zh) 一种洗餐盘机
KR20190119367A (ko) 무세제 세척이 가능한 젖병 세척기
CN108125651A (zh) 自驱式洗碗机
KR101141388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의 제어 방법
CN111632971A (zh) 一种化学实验用试管集中清洗装置
KR101868369B1 (ko)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3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9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9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