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28696B1 - 고 해상도 컨텐츠를 처리하는 컨텐츠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고 해상도 컨텐츠를 처리하는 컨텐츠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8696B1
KR102028696B1 KR1020120110336A KR20120110336A KR102028696B1 KR 102028696 B1 KR102028696 B1 KR 102028696B1 KR 1020120110336 A KR1020120110336 A KR 1020120110336A KR 20120110336 A KR20120110336 A KR 20120110336A KR 102028696 B1 KR102028696 B1 KR 102028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high resolution
resolution
video frame
displa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0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4235A (ko
Inventor
장용석
박성욱
김민석
박봉길
이재준
정태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0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8696B1/ko
Priority to US13/868,173 priority patent/US9131098B2/en
Priority to EP13165201.8A priority patent/EP2717566B1/en
Priority to PCT/KR2013/003874 priority patent/WO2014054845A1/en
Publication of KR20140044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4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8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869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25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one of the standards being a high definition stand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2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the video stream, e.g.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of the video stream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 H04N21/4325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by playing back content from the storage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6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displaying on a connected PD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1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the content stream or additional data, e.g. lower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of the video stream for a mobile client with a small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4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subtit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1Blu-ray discs; Blue laser DVR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컨텐츠 처리 장치가 개시된다. 본 장치는, 고해상도 컨텐츠를 입력받는 입력부, 고해상도 컨텐츠를 처리하여 비디오 프레임을 생성하는 데이터 처리부, 비디오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할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 해상도가 저해상도이면, 고해상도 컨텐츠에 대응되는 객체를 저 해상도용 객체로 구성하여 비디오 프레임에 부가하도록 데이터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객체 식별력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고 해상도 컨텐츠를 처리하는 컨텐츠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 CONTENT PROCESSING DEVICE FOR PROCESSING HIGH RESOLUTION CONTENT AND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컨텐츠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 해상도 컨텐츠를 처리하면서 출력 해상도를 고려하여 객체를 표시하는 컨텐츠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그 중 대표적으로 텔레비젼이 있을 수 있다.
최근에는 텔레비젼의 성능이 좋아짐에 따라 3D 컨텐츠나 고해상도 컨텐츠 등과 같은 고급 컨텐츠까지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수준까지 개발되었다. 대표적으로는, UHD(Ultra High Definition)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기술까지 개발되고 있다.
UHD 컨텐츠란 풀 HD 컨텐츠보다 더 높은 선명도를 가지는 컨텐츠이다. UHD는 일반적으로 가로와 세로 픽셀 수가 4000(3840x2160)∼8000급(7680x4320)에 육박한다. 화면 해상도는 픽셀로 불리는 화소 수가 좌우한다고 볼 때 4k UHD는 HD(1920x1080)와 비교해 4배나 더 선명하다. 8k UHD의 경우에는, 선명도 면에서 16배까지 차이 난다. 화면 주사율, 즉 초당 프레임 수에서도 HD가 30㎐인데 반해 UHD는 60㎐로 1초당 화면 60장을 전송할 수도 있다. 따라서, 훨씬 자연스러우면서 역동적인 화면을 즐길 수 있다.
이와 같이 UHD 컨텐츠와 같은 고해상도 컨텐츠는 화소수가 많으므로,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보다 더 큰 화면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어야 한다. 또한, 사용자가 화면을 통해서 실감나는 영상을 느끼기 위해서는 화면을 볼 때 가능한 한 많은 화면의 영상이 시야에 들어와야 한다. 즉, 사람의 입장에서 넓은 시야각(viewing angle)에 보이는 것이 모두 화면이어야 한다. 현재의 HD TV는 30도 정도의 시야각을 제공하는데, UHD TV의 경우에는 이 이상의 시야각이 제공되어야 한다고 한다.
영상 컨텐츠 제조 기술이 이와 같이 발전하였으나, 시중에는 UHD 디스플레이 장치보다는 HD 디스플레이 장치가 더 많이 보급되어 있는 것이 사실이다. UHD 컨텐츠와 같은 고해상도 컨텐츠가 저 해상도 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기 위해서는, 비디오 프레임이 다운 스케일링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저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나타낸다.
도 1은 UHD 컨텐츠를 UHD 디스플레이 장치(10)와 HD 디스플레이 장치(20)에서 각각 디스플레이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UHD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에는 자막(11)과 같은 객체가 표시되고 있다. UHD 디스플레이 장치(10)에서는 UHD 컨텐츠가 정상적인 크기로 디스플레이되므로, 자막(11) 역시 사용자가 인식 가능한 크기로 디스플레이된다. 반면, HD 디스플레이 장치(20)에서는 UHD 컨텐츠의 비디오 프레임을 다운스케일링하여 디스플레이하기 때문에 자막(11) 크기 역시 동일한 비율로 줄어든다. 구체적으로는 1/4 수준으로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인식하기 어려운 크기로 디스플레이된다.
도 2는 메뉴(12)와 같은 객체가 비디오 프레임에 부가되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비디오 프레임에는 UHD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하여 선택 가능한 각종 메뉴가 부가되어 표시될 수 있다. 메뉴(12) 역시 HD 디스플레이 장치(20)에서는 1/4 수준으로 작게 표시되어 사용자가 인식하기 어려운 수준으로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메뉴(12)를 선택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상과 같이, 고해상도 컨텐츠를 저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재생할 경우, 자막이나 메뉴와 같은 객체를 식별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해상도 컨텐츠에 포함되는 자막이나 메뉴와 같은 객체를 출력 해상도에 맞게 처리하여 식별력을 높일 수 있는 컨텐츠 처리 장치 및 그 컨텐츠 처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처리 장치는, 고해상도 컨텐츠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고해상도 컨텐츠를 처리하여 비디오 프레임을 생성하는 데이터 처리부, 상기 비디오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할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 해상도가 저해상도이면, 상기 고해상도 컨텐츠에 대응되는 객체를 저 해상도용 객체로 구성하여 상기 비디오 프레임에 부가하도록 상기 데이터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컨텐츠 처리 장치는, 상기 고해상도 컨텐츠가 기록된 기록 매체가 장착되면,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고해상도 컨텐츠를 검출하는 드라이버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특성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제공하고, 상기 저 해상도 용 객체가 부가된 비디오 프레임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드라이버부로부터 검출되는 상기 고해상도 컨텐츠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록 매체에는, 고 해상도 컨텐츠, 상기 고 해상도 컨텐츠의 타입을 나타내는 타입 정보, 제1 객체, 상기 제1 객체가 고 해상도 용 객체임을 알리기 위한 제1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또는 제1 네비게이션 정보, 제2 객체, 상기 제2 객체가 저 해상도 용 객체임을 알리기 위한 제2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또는 제2 네비게이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객체 및 상기 제2 객체는, 자막 및 컨텐츠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고 해상도 컨텐츠의 비디오 프레임을 다운 스케일링하는 스케일러, 상기 제1 객체 및 상기 제2 객체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검출하여 상기 다운 스케일링된 비디오 프레임에 믹싱하는 믹서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특성 정보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 해상도가 저해상도로 확인되면, 상기 컨텐츠의 비디오 프레임을 다운 스케일링하고 상기 제2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또는 제2 네비게이션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객체를 선택적으로 검출하여 상기 다운 스케일링된 비디오 프레임에 부가하도록 상기 데이터 처리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록 매체에는, 상기 고 해상도 컨텐츠, 상기 고 해상도 컨텐츠의 타입을 나타내는 타입 정보, 고 해상도 용 객체, 저 해상도 용 객체를 제공하는 서버 장치에 대한 주소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소 정보에 따라 상기 서버 장치에 액세스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고 해상도 컨텐츠의 비디오 프레임을 다운 스케일링하는 스케일러,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저 해상도 용 객체를 저장하기 위한 객체 저장부,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객체 및 상기 객체 저장부에 저장된 객체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검출하여 상기 다운 스케일링된 비디오 프레임에 믹싱하는 믹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특성 정보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 해상도가 저해상도로 확인되면, 상기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 장치에 액세스하여 상기 저 해상도 용 객체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저 해상도 용 객체가 수신되어 상기 객체 저장부에 저장되면, 상기 컨텐츠의 비디오 프레임을 다운 스케일링하고 상기 저 해상도 용 객체를 부가하도록 상기 데이터 처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기록 매체에는, 상기 고 해상도 컨텐츠, 상기 고 해상도 컨텐츠의 타입을 나타내는 타입 정보, 고 해상도 용 객체, 상기 고 해상도 용 객체에 대한 스케일링 컨트롤 여부를 나타내는 객체 출력 모드 정보가 저장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고 해상도 컨텐츠의 비디오 프레임을 스케일링하기 위한 제1 스케일러, 상기 고 해상도 용 객체를 스케일링하기 위한 제2 스케일러, 상기 제1 스케일러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프레임 및 상기 제2 스케일러에서 출력되는 객체를 믹싱하는 믹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특성 정보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 해상도가 저해상도로 확인된 상태에서, 상기 객체 출력 모드 정보에 의해 상기 스케일링 컨트롤이 허락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고 해상도 컨텐츠의 비디오 프레임을 다운 스케일링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디스플레이 사이즈 및 객체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스케일링 비율에 따라 상기 고 해상도 용 객체를 스케일링하여, 상기 다운 스케일링된 비디오 프레임에 믹싱하도록 상기 데이터 처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컨텐츠 처리 장치는, 상기 고해상도 컨텐츠를 포함하는 신호를 방송 망을 통해 수신하여 상기 입력부로 입력시키는 수신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여 상기 저 해상도용 객체가 부가된 상기 비디오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컨텐츠 처리 방법은, 고해상도 컨텐츠가 기록된 기록 매체가 장착되면,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고해상도 컨텐츠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고해상도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디스플레이 장치의 출력 해상도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출력 해상도가 저해상도라고 판단되면, 상기 고해상도 컨텐츠를 처리하여 비디오 프레임을 생성하고, 상기 고해상도 컨텐츠에 대응되는 객체를 저 해상도용 객체로 구성하여 상기 비디오 프레임에 부가하는 프레임 생성 단계, 상기 저 해상도 용 객체가 부가된 비디오 프레임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기록 매체에는, 고 해상도 컨텐츠, 상기 고 해상도 컨텐츠의 타입을 나타내는 타입 정보, 제1 객체, 상기 제1 객체가 고 해상도 용 객체임을 알리기 위한 제1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또는 제1 네비게이션 정보, 제2 객체, 상기 제2 객체가 저 해상도 용 객체임을 알리기 위한 제2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또는 제2 네비게이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객체 및 상기 제2 객체는, 자막 및 컨텐츠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 생성 단계는 상기 출력 해상도가 저해상도라고 판단되면 상기 고 해상도 컨텐츠의 비디오 프레임을 다운 스케일링하고, 상기 제2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또는 제2 네비게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객체를 선택적으로 검출하여 상기 다운 스케일링된 비디오 프레임에 믹싱하는 단계, 상기 출력 해상도가 상기 고 해상도 컨텐츠에 대응되는 고해상도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1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또는 제1 네비게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객체를 선택적으로 검출하여 상기 고 해상도 컨텐츠의 비디오 프레임에 믹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기록 매체에는, 상기 고 해상도 컨텐츠, 상기 고 해상도 컨텐츠의 타입을 나타내는 타입 정보, 고 해상도 용 객체, 저 해상도 용 객체를 제공하는 서버 장치에 대한 주소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 생성 단계는, 상기 출력 해상도가 저해상도라고 판단되면 상기 고 해상도 컨텐츠의 비디오 프레임을 다운 스케일링하고, 상기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 장치에 액세스하여 상기 저 해상도 용 객체를 수신하며, 수신된 상기 저 해상도 용 객체를 상기 다운 스케일링된 비디오 프레임에 믹싱하는 단계, 상기 출력 해상도가 상기 고 해상도 컨텐츠에 대응되는 고해상도라고 판단되면, 상기 고 해상도 용 객체를 상기 고 해상도 컨텐츠의 비디오 프레임에 믹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기록 매체에는, 상기 고 해상도 컨텐츠, 상기 고 해상도 컨텐츠의 타입을 나타내는 타입 정보, 고 해상도 용 객체, 상기 고 해상도 용 객체에 대한 스케일링 컨트롤 여부를 나타내는 객체 출력 모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 생성 단계는, 상기 출력 해상도가 저해상도이고, 상기 객체 출력 모드 정보에 의해 상기 스케일링 컨트롤이 허락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고 해상도 컨텐츠의 비디오 프레임을 다운 스케일링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사이즈 및 객체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스케일링 비율에 따라 상기 고해상도 용 객체를 스케일링하여, 상기 비디오 프레임에 믹싱하는 단계, 상기 출력 해상도가 저해상도이고, 상기 객체 출력 모드 정보에 의해 객체에 대한 스케일링 컨트롤이 불허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고 해상도 컨텐츠의 비디오 프레임을 다운 스케일링하고 상기 고 해상도 용 객체를 상기 출력 해상도에 따라 다운 스케일링하여, 상기 비디오 프레임에 믹싱하는 단계, 상기 출력 해상도가 상기 고 해상도 컨텐츠에 대응되는 고해상도라고 판단되면, 상기 고 해상도 용 객체를 상기 고 해상도 컨텐츠의 비디오 프레임에 믹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컨텐츠 처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 transitory readable media)가 개시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 처리 방법은, 고해상도 컨텐츠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고해상도 컨텐츠를 처리하여 비디오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비디오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할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 해상도가 저해상도이면, 상기 고해상도 컨텐츠에 대응되는 객체를 저 해상도용 객체로 구성하여 상기 비디오 프레임에 부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록 매체는, 고 해상도 컨텐츠가 저장되는 제1 저장 영역, 상기 고 해상도 컨텐츠의 타입을 나타내는 타입 정보가 저장되는 제2 저장 영역, 고 해상도 용 객체가 저장되는 제3 저장 영역, 객체 표시를 위한 부가 정보가 저장되는 제4 저장 영역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고 해상도 용 객체를 통지하기 위한 제1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또는 정보, 저 해상도 용 객체, 상기 저 해상도 용 객체를 통지하기 위한 제2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또는 정보, 저 해상도 용 객체를 제공하는 서버 장치에 대한 주소 정보, 상기 고 해상도 용 객체에 대한 스케일링 컨트롤 여부를 나타내는 객체 출력 모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컨텐츠의 해상도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가 상이하더라도 자막이나 메뉴와 같은 객체를 식별력 있게 표시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기록 매체 재생 장치 형태로 구현된 컨텐츠 처리 장치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처리 장치에서의 객체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처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처리 장치에서의 객체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처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처리 장치에서의 객체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처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처리 장치가 객체의 스케일링 정도를 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록 매체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종래의 기록매체 및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록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스트림의 구조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록 매체의 스트림 구조에서 HD 시청 환경 용 객체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정보 구조의 일 예,
도 15는 종래의 기록매체 및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록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스트림의 구조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처리 방법에서 컨텐츠의 비디오 데이터 및 객체를 처리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0은 디스플레이 장치 형태로 구현된 컨텐츠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컨텐츠 처리 장치(100)는 기록 매체 재생 장치나, 텔레비젼, PC, 노트북 PC, 셋탑 PC 등과 같은 다양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장치에 탑재되는 신호 처리 모듈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에 따르면, 컨텐츠 처리 장치(100)는 입력부(110), 데이터 처리부(120),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입력부(110)는 고해상도 컨텐츠를 입력받기 위한 구성이다.
데이터 처리부(12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고해상도 컨텐츠를 처리하여 비디오 프레임을 생성한다. 데이터 처리부(120)는 고해상도 컨텐츠로부터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부가 데이터 등을 검출하기 위한 디멀티플렉서,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기 위한 비디오 디코더, 스케일러,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기 위한 오디오 디코더, 노이즈 필터링을 위한 필터링부, 오디오 신호 증폭을 위한 신호 증폭부, 부가 데이터 처리를 위한 데이터 디코더부, 디코딩된 부가 데이터에 따라 객체를 생성하는 렌더링부, 믹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 과정은 본 명세서에서는 도시 및 기재를 생략한다.
제어부(130)는 입력부(110) 및 데이터 처리부(120)를 제어하여 고해상도 컨텐츠를 처리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비디오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할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 해상도를 확인한다. 컨텐츠 처리 장치(100)가 기록 매체 재생 장치 형태로 구현된 경우, 제어부(130)는 컨텐츠 처리 장치(100)가 연결된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 해상도를 확인한다. 반면, 컨텐츠 처리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된 경우에는 그 자체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출력 해상도를 확인한다.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 해상도가 저해상도이면, 고해상도 컨텐츠의 비디오 프레임을 다운 스케일링하고, 그 비디오 프레임에 부가될 자막이나 메뉴 등과 같은 객체를 저 해상도용 객체로 구성하여 대응되는 비디오 프레임에 부가하도록 데이터 처리부(120)를 제어한다.
여기서, 저 해상도라는 의미는 컨텐츠의 해상도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해상도를 의미한다. 가령, 컨텐츠가 4000(3840x2160)∼8000급(7680x4320) 정도의 해상도를 가지는 UHD 컨텐츠라면, 1920x1080의 해상도를 가지는 HD 급 디스플레이 장치의 출력 해상도도 저 해상도에 해당한다. 이하에서는 고 해상도 컨텐츠란 UHD 컨텐츠이고, 저 해상도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장치란 HD 해상도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장치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컨텐츠의 해상도가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장치의 해상도보다 큰 경우에는 본 발명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20)에 의해 저 해상도 용 객체가 부가된 비디오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패널로 제공되어 디스플레이된다. 이에 따라, 고 해상도 컨텐츠를 상대적으로 낮은 해상도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더라도, 자막이나 메뉴의 크기가 해상도에 비례하여 작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도 3의 컨텐츠 처리 장치는 기록 매체 재생 장치 형태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기록 매체 재생 장치 형태로 구현된 컨텐츠 처리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여기서, 기록 매체란 블루레이(Blue-ray) 디스크, 홀로그래픽 디스크 등과 같은 광디스크, USB 메모리 스틱, 외장 하드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매체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블루레이 디스크(40)를 재생할 수 있는 블루레이 디스크 재생 장치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컨텐츠 처리 장치(100)는 입력부(110), 데이터 처리부(120), 제어부(130), 드라이버부(140), 인터페이스부(150), 저장부(160)를 포함한다.
드라이버부(140)는 기록 매체가 장착되면, 그 기록 매체를 구동시켜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블루레이 디스크(40)를 처리할 수 있는 장치로 구현된 경우, 구체적으로는, 드라이버부(140)는 광 디스크를 올리기 위한 트레이, 광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모터, 메인보드와 연결되어 각종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커넥터,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파워 커넥터, 레이저를 발사해 광 디스크에 신호를 기록하거나 반사되는 신호를 읽어들이는 광픽업유닛, 대물렌즈, 드라이버부(11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고 동작시키기 위한 DSP(Digital Signal Processor), 광픽업유닛의 레이저 발산 동작을 제어하고, 수신된 신호를 해석하기 위한 FEP(Front End Processor)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고해상도 컨텐츠가 기록된 기록 매체가 드라이버부(140)에 장착된 것이 확인되면, 그 기록 매체로부터 고해상도 컨텐츠를 검출하도록 드라이버부(140)를 제어한다.
드라이버부(140)에서 검출된 고해상도 컨텐츠는 입력부(110)로 입력되고, 입력부(110)는 이를 데이터 처리부(120)로 제공한다. 데이터 처리부(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고해상도 컨텐츠의 비디오 프레임을 생성한 후, 저 해상도 용 객체를 구성하여 그 비디오 프레임에 부가한다. 블루레이 디스크의 경우, MPEG-2나 H.264/MPEG-4 AVC, 혹은 VC-1 규격의 코덱으로 압축된 영상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20)는 이러한 코덱을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비디오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50)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는, 인터페이스부(150)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데이터 처리부(120)에서 처리된 비디오 프레임을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저해상도 용 객체가 부가된 비디오 프레임이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저장부(160)는 컨텐츠 처리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O/S나 각종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저장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저장부(160)는 컨텐츠 처리 장치(100)가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출력 해상도 등과 같은 정보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출력 해상도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30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부(160)에 저장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각종 데이터도 저장부(160)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디스플레이 특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특성 정보란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 해상도나, 픽셀 카운트, 디스플레이 사이즈, 시청 거리, 장치 모델 명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부(150)가 HDMI로 구현되었다면, 제어부(130)는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를 얻을 수 있다. 제어부(130)는 EDID의 최대 수평 이미지 사이즈(maximum horizontal image size), 최대 수직 이미지 사이즈(maximum vertical image size), 추정 타이밍 비트맵(established timing bitmap) 등등을 사용하여 현재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저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인지 여부를 추정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특성 정보는 다르게는 시청 환경(viewing environment) 정보, 재생 환경 정보, 해상도 정보, EDID 등과 같이 다양한 명칭으로 불릴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특성 정보로 통일하여 설명한다.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특성 정보를 저장부(160)에 저장하여 사용한다. 디스플레이 장치와 컨텐츠 처리 장치가 HDMI와 같은 방식으로 연결된다면, 자동으로 화면 크기 정보와 같은 디스플레이 특성 정보를 얻어서 컨텐츠 처리 장치 내에서 시청 환경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반면, 아날로그 연결 방식을 사용하거나, 기타 이유로 디스플레이 특성 정보를 얻을 수 없는 경우에는 제조 시의 설정 값이나 사용자 설정 값으로 시청 환경 정보가 생성되어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디스플레이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고 해상도 컨텐츠의 비디오 프레임이 디스플레이될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 해상도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컨텐츠 처리 장치(100)는 출력 해상도를 결정할 수 있는 UI(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도 있다. UI는 컨텐츠 처리 장치(100)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 패널이나,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의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이러한 UI를 통해 입력한 출력 해상도는 저장부(160)에 저장된다.
한편, 저 해상도 용 객체를 생성하는 방법은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가령, 저 해상도 용 객체 자체가 기록 매체 내에서 고 해상도 용 객체와 별도로 저장이 되어 있을 수도 있고, 기록 매체와 다른 소스 장치나 다른 매체로부터 저 해상도 용 객체를 제공받을 수도 있으며, 고 해상도 용 객체를 저 해상도 용으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 예들에 따라서 데이터 처리부(120)의 구성 및 동작은 달라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저 해상도 용 객체를 생성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저 해상도 용 객체 자체가 기록 매체 내에 저장되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처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따르면, 디스크(40)내에는 UHD 영상, UHD 자막, HD 자막이 저장된다. UHD 영상이란 고 해상도 컨텐츠를 의미하며, UHD 자막은 고 해상도 용 객체, HD 자막은 저 해상도 용 객체를 의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객체는 자막 이외에 각종 그래픽 메뉴도 포함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자막에 대한 처리 과정 위주로 설명한다.
디스크(40)가 컨텐츠 처리 장치(100)에 장착되면, 컨텐츠 처리 장치(100)는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특성 정보를 확인한다. 도 5의 (a)는 UHD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연결된 경우를 나타내고, 도 5의 (b)는 HD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연결된 경우를 나타낸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UHD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연결된 경우, 컨텐츠 처리 장치(100)의 제어부(130)는 UHD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 프레임(210)에 UHD 자막(220)을 부가하여 제공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UHD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넓은 화면(대략 110인치)을 통해 고해상도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게 된다. UHD 영상(210)은 UHD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 사이즈에 적합하게 제작된다. 하지만, 시청자는 UHD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시청할 때에도 HD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시청할 때와 같은 거리에서 시청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동일한 시청 거리 하에서 화면 크기가 커지므로, UHD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해 시청하는 사용자는 넓은 시야각(대략 55도)을 확보할 수 있다. 시청 거리가 HD 디스플레이 장치(300)와 동일한 것을 전제로 한다면, 화면이 커졌다고 해서 자막이나 메뉴도 4배로 크게 제작할 수는 없다. 다시 말하면, 자막(220)은 여전히 HD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일한 시청 거리에서 편하게 볼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된다. 그렇기 때문에, 종래에는 UHD 영상과 UHD 용 자막 또는 메뉴가 HD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출력되면, 자막이나 메뉴가 1/4 정도로 작아져서 읽기가 불편해진다. 하지만, 본 컨텐츠 처리 장치(100)에 의해 자막이나 메뉴가 저 해상도 용으로 조정되면, 크기가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5의 (b)는 HD 디스플레이 장치(300)가 연결된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 컨텐츠 처리 장치(100)는 UHD 영상을 다운 스케일링하여 HD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디스플레이 사이즈에 맞춘다. 그리고, HD 자막을 다운 스케일링된 비디오 프레임에 믹싱하여 HD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제공한다. HD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HDMI를 통해서 비압축된 비디오 프레임을 그대로 수신하여 화면 상에 출력한다. 결과적으로 UHD 영상의 비디오 프레임(310)은 HD 사이즈에 맞게 축소되지만, 자막은 HD 용 자막(320)이 이용되기 때문에 원 자막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크게 축소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자막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컨텐츠 처리 장치(100)가 이상과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디스크(40), 즉, 기록 매체에는 다양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예에서는, 디스크(40)내에 고 해상도 컨텐츠, 고 해상도 컨텐츠의 타입을 나타내는 타입 정보, 제1 객체, 제1 객체를 이용하기 위한 제1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제2 객체, 제2 객체를 이용하기 위한 제2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고 해상도 컨텐츠란 상술한 UHD 영상과 같은 컨텐츠를 의미한다. 타입 정보는 컨텐츠가 UHD 컨텐츠인지 HD 컨텐츠인지 알리기 위한 정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 처리 장치(100)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화면이 고해상도 용 화면인지 HD 용 화면인지를 파악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 특성 정보를 필요로 한다. 디스플레이 특성 정보는 화면에 적합한 객체를 선택하여 출력하기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정보로 볼 수 있으나, 타입 정보는 선택적으로 기록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객체란 고 해상도 용 객체, 즉, UHD 객체를 의미하고, 제2 객체는 저 해상도 용 객체, 즉, HD 객체가 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객체 각각은 자막 및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객체는 이미지 데이터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텍스트 형태로 저장될 수도 있다.
제1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이란 제1 객체가 고 해상도 용 객체임을 알고 제어부(130)가 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네비게이팅하는 프로그램이며, 제2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이란 제2 객체가 저 해상도 용 객체임을 알고 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네비게이팅하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제어부(130)는 타입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크(40)의 컨텐츠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200 또는 300)의 디스플레이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출력 해상도를 파악하여, 디스크(40)에 기록된 종류의 컨텐츠가 정상적으로 출력될 수 있는 UHD 디스플레이 장치(200)인지, HD 디스플레이 장치(300)인지를 판단한다.
제어부(130)는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UHD 디스플레이 장치(200)라면 제1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1 객체를 선택하여 처리한다. 반면,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HD 디스플레이 장치(300)라면 제2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2 객체를 선택하여 처리한다.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은 컨텐츠 제작자가 디스크 관리용 네비게이션 코맨드를 이용하여 UHD 객체 또는 HD 객체를 선택하여 출력하도록 작성하여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대신에 컨텐츠 제작자는 각 자막이 HD 용인지, UHD 용인지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크(40)에는 제1 및 제2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대신에 제1 및 제2 네비게이션 정보가 기록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타입 정보는 선택적으로 기재될 수 있는 옵션 정보이므로, 컨텐츠 제작자가 컨텐츠의 타입 정보를 기록하지 않을 수도 있다.
컨텐츠 제작자가 컨텐츠의 타입 정보를 기록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성을 반영하는 정보에 기반하여 영상 컨텐츠를 제외한 객체들에 대하여, 상술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가령, HD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연결되어 있다면, 제어부(130)는 컨텐츠가 UHD인지 HD인지 구분하지 않고, HD 용 자막 또는 HD 용 메뉴를 비디오 프레임에 부가하도록 데이터 처리부(120)를 제어한다. 반면, UHD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결되면, 제어부(130)는 자막이나 메뉴와 같은 객체를 UHD용으로 선택하여 비디오 프레임에 부가하도록 데이터 처리부(120)를 제어한다. 결과적으로 타입 정보가 없으면 영상에 대해서는 특별한 처리를 하지 않고, 객체만 화면 크기에 맞도록 조절해 준다.
도 6은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처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다. 도 6에 따르면, 컨텐츠 처리 장치(100)의 데이터 처리부(120)는 스케일러(121) 및 믹서부(122)를 포함한다.
스케일러(121)는 디스크(40)에 저장된 고 해상도 컨텐츠의 비디오 프레임을 스케일링하기 위한 구성이다. 믹서부(122)는 디스크(40)에 저장된 제1 객체 및 제2 객체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검출하여 스케일러(121)에서 스케일링된 비디오 프레임에 믹싱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연결되면, 디스플레이 특성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부(160)에 저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특성 정보는 EDID 등이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특성 정보에 의해 HD 디스플레이장치(300)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30)는 고 해상도 컨텐츠의 비디오 프레임을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출력 해상도에 맞게 다운 스케일링하도록 스케일러(121)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디스크(40)에 저장된 제2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을 저장부(160)에 로딩한다. 제어부(130)는 마이컴 또는 CPU를 포함할 수 있고, 저장부(160)는 ROM, RAM, 플래시메모리, HDD 등과 같은 다양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2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2 객체의 저장 위치로부터 제2 객체를 검출한 후, 스케일러(121)에서 처리된 비디오 프레임에 믹싱하도록 믹서부(122)를 제어한다. 인터페이스부(150)는 믹서부(122)에 의해 제2 객체가 믹싱된 비디오 프레임을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고 해상도 컨텐츠의 다운 스케일링된 비디오 프레임(310)에 저 해상도 용 객체(320)가 부가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반면, 제어부(130)는 UHD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결되었다고 판단되면, 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이즈에 맞게 UHD 영상 프레임을 스케일링하도록 스케일러(121)를 제어하고, 제1 객체, 즉, UHD 객체를 UHD 영상 프레임에 믹싱하도록 믹서부(122)를 제어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막이나 메뉴와 같은 객체는 고 해상도 용, 저 해상도 용으로 각각 마련되어 디스크(40)에 저장된다. 컨텐츠 처리 장치(100)는 이러한 객체를 출력 해상도에 맞게 적절하게 선택하여, 식별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고 해상도 용 객체 및 저 해상도 용 객체를 모두 저장하기에는 디스크(40)의 저장 용량이 부족한 경우가 있을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서버 장치를 이용하여 저 해상도 용 객체를 제공하여 주는 실시 예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처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실시 예에서는 기록매체에 고 해상도 컨텐츠, 고 해상도 컨텐츠의 타입을 나타내는 타입 정보, 고 해상도 용 객체, 주소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주소 정보란 저 해상도 용 객체를 제공하는 서버 장치에 대한 주소 정보를 의미한다. 주소 정보는 서버 장치의 URL이나 IP 어드레스, 서버 명 등과 같은 식별 정보 또는 JAVA 프로그램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광 디스크 형태의 기록 매체를 이용하여 영화를 출시하는 시점은, 영화가 극장에 상영되고 나서 1개월이 지나지 않은 시점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짧은 시간에 다양한 디스플레이 환경에 대응하는 자막이나 메뉴를 만들기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광 디스크를 먼저 출시한 이후에 서버 장치를 활용하여 자막이나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의 (a)는 UHD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처리 장치가 UHD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는, 디스크(40)에 저장된 UHD 자막, 즉, 고 해상도 용 객체가 그대로 이용된다. 따라서, UHD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UHD 자막(220)이 부가된 UHD 영상 프레임(210)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7의 (b)는 UHD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처리 장치가 HD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 컨텐츠 처리 장치(100)는 디스크(40)에 저장된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서버 장치(700)에 액세스하여 저 해상도 용 객체를 수신한다. 수신된 저해상도 용 객체는 다운 스케일링된 비디오 프레임에 부가되어, HD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제공된다. 이에 따라, HD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출력 해상도 및 디스플레이 사이즈에 부합하는 HD 자막(320) 및 비디오 프레임(310)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8은 도 7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처리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8에 따르면, 컨텐츠 처리 장치(100)는 입력부(110), 데이터 처리부(120), 제어부(130), 드라이버부(140), 인터페이스부(150), 저장부(160) 이외에, 통신부(170) 및 객체 저장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70)는 디스크(40)에 저장된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의 서버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통신부(170)는 와이파이, IEEE, 블루투스, LAN 등을 이용하여 서버 장치에 액세스할 수 있다. 서버 장치는 컨텐츠 제작자나 컨텐츠 처리 장치 제작자, 디스플레이 장치 제작자 등이 운영하는 서버 장치일 수 있다.
통신부(170)는 서버 장치로부터 저 해상도 용 객체가 다운로드되면, 객체 저장부(180)에 저장한다. 도 8에서는 객체 저장부(180)가 저장부(160)와 별도로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저장부(160)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120)는 스케일러(121) 및 믹서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특성 정보에 의해 출력 해상도가 저해상도로 확인되면,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서버 장치(700)에 액세스하여 저 해상도 용 객체를 수신하도록 통신부(17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저 해상도 용 객체가 수신되어 객체 저장부(180)에 저장되면, 컨텐츠의 비디오 프레임을 다운 스케일링하도록 스케일러(121)를 제어한다. 그리고, 다운 스케일링된 비디오 프레임에, 객체 저장부(180)에 저장된 저 해상도 용 객체를 부가하도록 믹서부(122)를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출력 해상도가 고해상도로 확인되면, 제어부(130)는 디스크(40)에 저장된 UHD 자막을 UHD 영상 프레임에 믹싱하도록 믹서부(122)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자막이나 메뉴 등과 같은 객체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출력 특성에 부합하는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이상과 같은 실시 예들과 달리, 고 해상도 용 객체를 스케일링하여 저 해상도 용 객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도 9는 고 해상도 용 객체를 스케일링하여 저 해상도 용 객체를 생성하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처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크와 같은 기록 매체(40)에는 고 해상도 컨텐츠, 고 해상도 컨텐츠의 타입을 나타내는 타입 정보, 고 해상도 용 객체, 객체 출력 모드(subtitle or menu output mode)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객체 출력 모드 정보는 고 해상도 용 객체에 대한 스케일링 허락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즉, 객체 출력 모드 정보는, Yes에 해당하는 비트 값 또는 No에 해당하는 비트 값을 포함할 수 있다. 객체 출력 모드 정보는 컨텐츠 제작자의 의사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즉, 어떤 제작자는 컨텐츠 처리 장치(100)에서 컨텐츠와 시청 환경 사이의 차이를 자체적으로 판단하여 처리하는 것을 원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를 고려하여 제작자에게 객체에 대한 스케일링을 하지 못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여야 하는데, 객체 출력 모드 정보가 그러한 역할을 한다.
도 9의 (a)는 UHD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는, 제어부(130)는 객체 출력 모드 정보를 확인하지 않고 UHD 영상 프레임(210)에 UHD 자막(220)을 부가하여 UHD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제공한다.
도 9의 (b) 및 (c)는 HD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객체 출력 모드 정보를 확인한다. 객체 출력 모드 정보가 No 값이라면, 제어부(130)는 고 해상도 용 객체(320)에 대해서 1/4배만큼 다운 스케일링한 후, 부가하여 HD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제공한다. 이 경우,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막도 영상 프레임과 동일한 비율로 스케일링되므로, 매우 작은 크기로 표시된다.
반면, 객체 출력 모드 정보가 Yes값이라면, 제어부(130)는 고 해상도 용 객체를 HD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출력 해상도 및 디스플레이 사이즈를 고려하여 다운 스케일링한다. 이 경우,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막(320)은 적절한 크기로 변환되어 다운 스케일링된 비디오 프레임(310)에 부가되어, HD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제공한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처리 장치(1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부(120)는 제1 스케일러(121), 믹서부(122), 제2 스케일러(123)를 포함한다.
제1 스케일러(121)는 고 해상도 컨텐츠의 비디오 프레임을 스케일링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2 스케일러(123)는 고 해상도 용 객체를 스케일링하기 위한 구성이다. 믹서부(122)는 제1 스케일러(121)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프레임 및 제2 스케일러(123)에서 출력되는 객체를 믹싱한다.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특성 정보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 해상도가 저해상도로 확인되면, 객체 출력 모드 정보를 확인한다. 객체 출력 모드 정보가 Yes값을 포함하면, 제어부(130)는 객체에 대한 스케일링이 허락된다고 판단한다. 이에 따라, 상기 고 해상도 컨텐츠의 비디오 프레임 및 고 해상도 용 객체를 각각 다운 스케일링하여 믹싱하도록 데이터 처리부(120)를 제어한다. 고 해상도 용 객체의 스케일링 비율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사이즈와, 객체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면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반면, 제어부(130)는 객체 출력 모드 정보가 No 값을 포함하면, 객체에 대한 스케일링 컨트롤이 불허된다고 판단한다. 이에 따라, 고 해상도 컨텐츠의 비디오 프레임을 다운 스케일링하고 고 해상도 용 객체를 그대로 믹싱하도록 데이터 처리부(120)를 제어한다.
제어부(130)는 고 해상도 용 객체를 다운 스케일링하는 경우, 그 객체가 지나치게 다운 스케일링되지 않도록 다운 스케일링 비율을 조정할 수 있다.
도 11은 디스플레이 사이즈를 고려하여 객체에 대한 스케일링 비율을 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컨텐츠 처리 장치(100)의 제어부(130)는 자막이나 메뉴와 같은 객체에 대해 스케일 컨트롤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스케일 컨트롤 동작이란 컨텐츠 제작자가 UHD 화면을 기준으로 제공하는 자막의 크기 및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최대한 HD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잘 보이도록 스케일링 비율을 변화해가면서 스케일링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다운 스케일링 비율을 4와 같이 작게 설정하게 되면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막(320)은 매우 작게 표시된다. 반면, 다운 스케일링 비율을 너무 작게 설정하면 고 해상도 용 자막의 폭이 HD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폭보다 더 넓어서, 자막 일부가 잘리게 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고 해상도 용 자막의 실제 폭과, HD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가로 폭을 비교하여, 다운 스케일링 비율을 조정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UHD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자막(220)의 폭이 x이라고 한다면, x가 충분히 작은 경우에는 제어부(130)는 다운 스케일링 비율을 1:1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HD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도 실제 크기의 자막을 그대로 시청할 수 있다. 하지만, x가 충분히 크다면 y/x의 다운 스케일링 비율로 자막을 스케일링하여 비디오 프레임에 부가한다. y의 크기는 HD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가로 폭보다 조금 작은 값으로 정해질 수 있다. 도 11의 (b)에서는 y가 1080 픽셀 정도로 설정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전체 자막이 잘리지 않으면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표시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사이즈 및 객체 크기를 고려하여, 스케일링 비율을 적응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예들에서는 기록 매체의 일 예로 디스크가 사용된 경우를 설명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블루레이 디스크나, 홀로그래픽 디스크 등과 같이 UHD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을 만큼 대용량의 기록 매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기록 매체에는 실시 예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정보들이 기록될 수 있다. 제1 실시 예에서는 제1 및 제2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프로그램 형태가 아니라 식별자와 같은 네비게이션 정보가 저장되어 제어부(130)에게 제공되는 실시 예로도 구현 가능하다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기록 매체의 저장 영역은 기록되는 정보들의 종류에 따라 복수 개의 저장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가령, 기록 매체는 고 해상도 컨텐츠가 저장되는 제1 저장 영역, 고 해상도 컨텐츠의 타입을 나타내는 타입 정보가 저장되는 제2 저장 영역, 고 해상도 용 객체가 저장되는 제3 저장 영역, 객체 표시를 위한 부가 정보가 저장되는 제4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 정보는, 실시 예 별로 달라질 수 있다. 가령, 부가 정보는, 고 해상도 용 객체를 통지하기 위한 제1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또는 네비게이션 정보, 저 해상도 용 객체, 저 해상도 용 객체를 통지하기 위한 제2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또는 네비게이션 정보, 저 해상도 용 객체를 제공하는 서버 장치에 대한 주소 정보, 고 해상도 용 객체에 대한 스케일링 컨트롤 여부를 나타내는 객체 출력 모드 정보 중에서 각 실시 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록 매체에는 저장된 각 정보의 종류, 각 정보에 대한 식별자, 각 정보가 저장된 저장 영역의 위치 등을 기록한 메타 데이터가 추가로 더 저장될 수도 있다.
도 12는 비디오 스트림을 포함하고 있는 광 디스크의 데이터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영화와 같은 컨텐츠를 저장하는 BD-ROM 디스크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BD-ROM 디스크는 인덱스 테이블(a), 무비 오브젝트/BD-J 오브젝트(object)(b), 플레이리스트(c), 클립(d)과 같은 4개의 레이어로 구성된다.
클립(d)은 비디오 스트림 파일인 clip AV 스트림 파일과, 그 파일과 연관된 데이터베이스 형태의 속성 파일인 클립 인포메이션 파일로 구성된다.
플레이리스트(c)는 재생 시에 사용되는 비트 스트림들이 어떤 순서로 재생되어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정보 구조로서, 복수 개의 플레이 아이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플레이리스트는 영화 또는 드라마와 같은 컨텐츠 하나를 구성하고, 플레이 아이템은 그 컨텐츠의 한 챕터(chapter)를 구성한다. 플레이 리스트의 플레이 아이템에는 재생되어야 하는 비디오 스트림, 오디오 스트림, 자막 스트림, 메뉴 스트림등이 어떤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어떤 스트림 ID(또는 스트림 넘버)를 가지고 어떤 스트림 속성을 가지는 지를 알려준다. 가령, 비디오의 경우 비디오 포맷, 프레임 레이트, 자막, 오디오의 경우 언어 코드와 같은 스트림 속성을 알려준다.
상술한 실시 예들에 의해 기록 매체에 추가적으로 저장되는 다양한 부가 정보들은 그 속성에 따라 기록 매체 내의 적절한 위치에 기록된다.
도 13은 제1 실시 예에 따라 HD 자막이나 HD 메뉴와 같은 저 해상도 용 객체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경우의 기록 매체의 스트림 구조를 나타낸다. 도 13에서는 종래의 기록 매체와의 차이점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종래 기록 매체의 스트림 구조와 대비하여 도시하였다. 즉, 도 13에서 (a) 부분은 종래의 기록 매체의 스트림 구조를 나타내고, (b) 부분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록 매체의 스트림 구조를 나타낸다.
도 13의 (a) 및 (b)를 비교하면, 비디오 스트림(1310), 오디오 스트림#1, #2(1320, 1330), 자막 스트림 #1(1340), 자막 스트림 #3(1360), 메뉴 스트림 #1(1370) 부분은 공통적으로 저장하고 있으나, 자막 스트림 #2(1350), 메뉴 스트림 #2(1380) 부분에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록 매체(b)는 자막 스트림 #2(1350), 메뉴 스트림 #2(1380)에서 UHD 용 자막 데이터(1351), UHD 용 메뉴 데이터(1381) 이외에 HD 용 자막 데이터(1352), HD 용 메뉴 데이터(1382)를 더 포함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컨텐츠 처리 장치는 기록 매체(b)의 자막 스트림 #2(1350), 메뉴 스트림 #2(1380)에서는 시청 환경에 따라 UHD 용 객체 또는 HD 용 객체를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3과 같이 저해상도 용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기록 매체의 정보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4에 따르면, 기록 매체의 플레이리스트 레이어(c)에는 UHD 용 플레이 아이템들에 대하여 HD 시청 환경용 자막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is_Subtitle_for_HD_Viewing"과 같은 정보가 제공됨을 알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컨텐츠 처리 장치에서는 도 13 및 도 14와 같은 데이터 구조를 가지는 기록 매체를 이용하여, 자막이나 메뉴를 처리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의 구조를 예로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현재 플레이 아이템 #0을 재생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먼저, 사용자가 리모콘이나 기타 입력 수단을 통해 자막 스트림 넘버 2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 처리 장치(1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막 스트림 넘버 2를 선택한다. 컨텐츠 처리 장치(100)는 현재 출력 상황이 HD 시청 환경인지를 판단한다. 제시된 보기에서는 시청 환경이 HD 상황임을 나타낸다. 시청 환경을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 경우, 컨텐츠 처리 장치(100)는 00000.mpls 파일의 플레이 아이템#0의 STN_Table을 분석하여 재생하고자 하는 자막의 스트림 ID가 1임을 확인한다. 만일, 시청 환경 값이 UHD라면, 자막 선택을 위한 컨텐츠 처리 장치의 동작은 여기서 완료된다. 하지만, 상술한 보기와 같이 HD 시청 환경이라면 다음 단계를 진행한다.
즉, 00000.mpls 파일의 UHD extension을 확인하여 HD 시청 환경에 사용되는 자막이 있는지 확인한다. 그리고, 재생에 사용할 스트림 ID를 최종 결정한다. 컨텐츠 처리 장치(100)는 플레이리스트 정보 구조 중에서 "is_Subtitle_for_HD_Viewing" 정보가 Yes 값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여, Yes이면 이 정보와 연결된 스트림 ID 2를 재생하기로 결정한다. 반면, No이면 스트림 ID 1을 재생하기로 결정한다. 도 14에서는 스트림 ID 2에 대한 "is_Subtitle_for_HD_Viewing"가 Yes 값을 가지므로, 스트림 ID 2를 재생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HD 용 자막이 비디오 프레임에 부가되어 출력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자막이나 메뉴와 같은 객체는 비트맵으로 제작되어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텍스트 형태로 저장될 수도 있다.
도 15는 텍스트 형태로 제작된 자막 및 메뉴를 저장하고 있는 기록 매체의 스트림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5 역시 종래의 기록 매체와의 차이점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종래 기록 매체의 스트림 구조와 대비하여 도시하였다. 도 15에서 (a) 부분은 종래의 기록 매체의 스트림 구조를 나타내고, (b) 부분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록 매체의 스트림 구조를 나타낸다.
도 15의 (a) 및 (b)를 비교하면, 비디오 스트림(1510), 오디오 스트림#1, #2(1520, 1530), 자막 스트림 #1(1540), 자막 스트림 #3(1560) 부분은 공통적으로 저장하고 있으나, 자막 스트림 #2(1550) 부분에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종래의 기록 매체(a)는 자막 스트림 #2(1550)에서 UHD 용 텍스트 데이터(1552), UHD 용 스타일 데이터(1551)만을 포함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록 매체(b)는 이들 데이터 이외에 HD 용 스타일 데이터(1553)을 더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UHD 용 텍스트 데이터(1552)는 자막을 구성하는 문자나 숫자 등과 같은 캐릭터의 코드 값을 포함한다. 스타일 데이터란 해당 텍스트 데이터가 출력되는 스타일을 나타낸다. 컨텐츠 처리 장치(100)는 UHD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연결된 경우에는 UHD 용 스타일 데이터(1551)를 이용하여 UHD 용 텍스트 데이터(1552)를 처리하여 UHD 용 자막을 생성한다. 반면, HD 디스플레이 장치(300)가 연결된 경우에는 HD 용 스타일 데이터(1553)를 이용하여 UHD 용 텍스트 데이터(1552)를 처리하여 HD 용 자막을 생성한다.
이러한 기록 매체에서도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보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컨텐츠 처리 장치(100)의 제어부(130)는 "is_Subtitle_for_HD_Viewing"가 Yes 값이고, 시청 환경이 HD 인 경우에 HD 용 스타일 데이터(1553)를 이용하고, 그렇지 않으면 UHD 용 스타일 데이터(1551)를 이용하여 자막을 구성한다.
도 15에서는 자막 스트림에 대해서만 도시하였으나, 메뉴 스트림 역시 자막 스트림과 유사한 방식으로 처리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컨텐츠 처리 장치의 동작과 그 세부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각 실시 예들에 따른 컨텐츠 처리 장치에서의 컨텐츠 처리 방법을 흐름도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16은 기록 매체 재생 장치 형태로 구현된 컨텐츠 처리 장치에서의 컨텐츠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에 따르면, 기록 매체가 장착되면(S1610), 컨텐츠 처리 장치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청 환경을 확인하여, 출력 해상도가 저 해상도 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620).
판단 결과 저 해상도라면 고 해상도 컨텐츠를 다운 스케일링하고, 저 해상도 용 객체를 부가한다(S1630). 저 해상도 용 객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획득할 수 있다. 컨텐츠 처리 장치는 저 해상도 용 객체가 부가된 비디오 프레임을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한다(S1650).
반면, 출력 해상도가 컨텐츠 처리에 부합하는 고 해상도라면 고 해상도 비디오 프레임에 고 해상도 용 객체를 부가하여(S1640),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한다(S1650).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에 맞는 형태의 자막이나 메뉴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되므로, 식별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저 해상도 용 객체를 구하는 방법은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달라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저 해상도 용 객체를 생성하여 비디오 프레임에 믹싱하는 프레임 생성 단계에 대하여, 실시 예 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1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7에 따르면, 컨텐츠 처리 장치는 고 해상도 컨텐츠를 디멀티플렉싱하여 비디오 데이터를 검출한 후, 디코딩하여 비디오 스트림을 생성하고, 생성된 비디오 스트림을 다운 스케일링하여 저 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크기의 비디오 스트림을 생성한다(S1710).
그리고, 기록 매체에 저장된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또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저 해상도 용 객체를 검출한다(S1720).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이 이용되는 경우, 컨텐츠 처리 장치의 제어부(130)는 RAM에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을 로딩시켜 그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그 프로그램에 따라 객체를 검출할 수 있다. 네비게이션 정보가 사용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분석하여 저 해상도 용 객체가 저장된 위치를 확인한 후, 그 위치로부터 객체를 리딩(reading)한다.
컨텐츠 처리 장치(100)는 검출된 저 해상도 용 객체를 비디오 프레임에 믹싱한다(S1730). 믹싱 과정에서 버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믹싱과 같은 처리 과정은 일반적인 것이므로, 상술한 여러 실시 예들에서는 이러한 부수적인 구성요소에 대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였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8에 따르면, 고 해상도 컨텐츠의 비디오 프레임을 다운 스케일링 한 후(S1810), 기록 매체에 저장된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서버 장치에 액세스한다(S1820). 서버 장치는 고 해상도 컨텐츠에 대응되는 저 해상도 용 객체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여 줄 수 있다. 컨텐츠 처리 장치는 전송된 저 해상도 용 객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S1830), 각 객체가 표시되어야 할 시점에 저장된 객체를 검출하여 비디오 프레임에 믹싱한다(S1840).
도 1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9에 따르면, 고 해상도 컨텐츠의 비디오 프레임을 다운 스케일링 한 후(S1910), 기록 매체에 저장된 객체 출력 모드 정보를 확인한다(S1920). 확인 결과, 스케일링 컨트롤이 허락되었다면(S1930), 컨텐츠 처리 장치는 고 해상도 용 객체를 디스플레이 사이즈 및 객체 크기에 따라 설정되는 스케일링 비율에 따라 스케일링한다(S1940). 스케일링 비율을 설정하는 원리 및 방법에 대해서는 도 11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컨텐츠 처리 장치(100)는 스케일링된 객체를 비디오 프레임에 믹싱한다(S1950).
한편, 컨텐츠 처리 장치는 스케일링 컨트롤이 불허되었다면(S1930), 고 해상도 용 객체를 출력 해상도에 따라 다운 스케일링한다(S1960). 이 경우, UHD 컨텐츠가 HD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었다면, 자막이나 메뉴는 1/4 정도 비율로 크기가 축소된다.
도 17 내지 도 19에서는 비디오 프레임에 대한 처리가 객체에 대한 처리보다 선행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처럼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처리 순서는 제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가령, 객체 처리가 먼저 이루어지고 비디오 프레임 처리가 이루어질 수도 있고, 두 처리가 병렬적으로 이루어 질 수도 있다. 또한 도 17 내지 도 19에서는 저 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결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였다. 고 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결되었을 때의 동작에 대해서는 상술한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술한 부분에서는 기록 매체 재생 장치 형태로 구현된 컨텐츠 처리 장치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기재하였으나, 컨텐츠 처리 장치 그 자체가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가령, TV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고 해상도 컨텐츠는 기록 매체를 통해 재생되지 않고, 방송 망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도 20은 디스플레이 장치 형태로 구현된 컨텐츠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0에 따르면, 컨텐츠 처리 장치(100)는 입력부(110), 데이터 처리부(120), 제어부(130), 수신부(195), 디스플레이부(190)를 포함한다.
수신부(195)는 컨텐츠 처리 장치가 사용되는 국가에서 채택한 방송 통신 규격에 따라 상이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현재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ing-Terrestrial) 방식 등과 같이 다양한 디지털 방송 규격이 있다. 이 중 일 예로, ATSC 규격이 채용된 경우라면, 수신부(195)는 안테나, RF 다운 컨버터, 복조부, 등화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처리부(120)는 디멀티플렉서, RS 디코더, 디인터리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방송 규격 별 신호 송신 및 수신을 위한 세부 구성에 대해서는 각 방송 규격의 표준 문서에서 구체적으로 개시하고 있으므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수신부(195)는 고 해상도 컨텐츠를 포함하는 신호를 방송 망을 통해 수신하여 입력부(110)로 입력시킨다.
입력부(110)는 고해상도 컨텐츠를 데이터 처리부(120)로 전달한다.
디스플레이부(190)는 디스플레이 패널(191)을 구비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외부 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특성, 즉, 시청 환경을 파악할 필요 없이, 제어부(130)가 내부 메모리나 저장부 등에 기록된 스펙 정보를 이용하여 바로 파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91)이 저해상도 용인 경우, 제어부(130)는 수신부(195)를 통해 고 해상도 컨텐츠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데이터 처리부(120)를 제어한다.
디스플레이 부(190)는 저 해상도용 객체가 부가된 비디오 프레임을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부(190)는 디스플레이 패널 이외에도 백라이트 유닛이나, 기타 구동 회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공지된 내용이므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도 20과 같이 방송망을 통해 고해상도 컨텐츠가 제공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부가 정보들은 방송 신호 내의 다양한 필드 내에 기록되어 전송될 수 있다. 가령, 저해상도용 객체와 같은 경우는 비디오 스트림이나 오디오 스트림, 고해상도 자막 데이터 등과 마찬가지로 독립적인 ES(Elementary Stream) 형태로 전송될 수 있고, 그 밖의 정보들은 TVCT(Terrestrial Virtual Channel Table), EIT(Event Information Table), PMT(Program Map Table), 메타 데이터 스트림 등과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컨텐츠 처리 방법들은 코드화되어 프로그램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readable medium)에 기록될 수 있다.
일 예로, 고해상도 컨텐츠를 입력받는 단계, 고해상도 컨텐츠를 처리하여 비디오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비디오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할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 해상도가 저 해상도이면, 고해상도 컨텐츠에 대응되는 객체를 저 해상도용 객체로 구성하여 비디오 프레임에 부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처리 방법이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어, 보급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가 탑재된 장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컨텐츠 처리 방법들을 수행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 입력부 120 : 데이터 처리부
130 : 제어부 140 : 드라이버부
150 : 인터페이스부 160 : 저장부

Claims (18)

  1. 고해상도 컨텐츠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고해상도 컨텐츠를 처리하여 비디오 프레임을 생성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비디오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할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 해상도가 저해상도이면, 상기 고해상도 컨텐츠에 대응되는 객체를 저 해상도용 객체로 구성하여 상기 비디오 프레임에 부가하도록 상기 데이터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다운 스케일러; 및
    믹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디스플레이 특성 정보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 해상도가 저해상도로 식별되면, 상기 고 해상도 컨텐츠의 비디오 프레임을 다운 스케일링하도록 상기 다운 스케일러를 제어하고 고 해상도 용 객체 또는 저 해상도용 객체 중 상기 저 해상도용 객체를 상기 다운 스케일링된 비디오 프레임에 부가하도록 상기 믹서를 제어하며,
    상기 고 해상도용 객체 및 상기 저 해상도용 객체는 자막 및 컨텐츠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해상도 컨텐츠가 기록된 기록 매체가 장착되면,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고해상도 컨텐츠를 검출하는 드라이버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특성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제공하고, 상기 저 해상도 용 객체가 부가된 비디오 프레임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는, 상기 드라이버부로부터 검출되는 상기 고해상도 컨텐츠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는,
    고 해상도 컨텐츠, 상기 고 해상도 컨텐츠의 타입을 나타내는 타입 정보, 제1 객체, 상기 제1 객체가 고 해상도 용 객체임을 알리기 위한 제1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또는 제1 네비게이션 정보, 제2 객체, 상기 제2 객체가 저 해상도 용 객체임을 알리기 위한 제2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또는 제2 네비게이션 정보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처리 장치.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는,
    상기 고 해상도 컨텐츠, 상기 고 해상도 컨텐츠의 타입을 나타내는 타입 정보, 상기 해상도 용 객체 및 상기 저 해상도 용 객체를 제공하는 서버 장치에 대한 주소 정보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 정보에 따라 상기 서버 장치에 액세스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고 해상도 컨텐츠의 비디오 프레임을 다운 스케일링하는 스케일러;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저 해상도 용 객체를 저장하기 위한 객체 저장부;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객체 및 상기 객체 저장부에 저장된 객체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검출하여 상기 다운 스케일링된 비디오 프레임에 믹싱하는 믹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특성 정보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 해상도가 저해상도로 확인되면, 상기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 장치에 액세스하여 상기 저 해상도 용 객체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저 해상도 용 객체가 수신되어 상기 객체 저장부에 저장되면, 상기 컨텐츠의 비디오 프레임을 다운 스케일링하고 상기 저 해상도 용 객체를 부가하도록 상기 데이터 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처리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는,
    상기 고 해상도 컨텐츠, 상기 고 해상도 컨텐츠의 타입을 나타내는 타입 정보, 상기 고 해상도 용 객체 및 상기 고 해상도 용 객체에 대한 스케일링 컨트롤 여부를 나타내는 객체 출력 모드 정보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고 해상도 컨텐츠의 비디오 프레임을 스케일링하기 위한 제1 스케일러;
    상기 고 해상도 용 객체를 스케일링하기 위한 제2 스케일러;
    상기 제1 스케일러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프레임 및 상기 제2 스케일러에서 출력되는 객체를 믹싱하는 믹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특성 정보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 해상도가 저해상도로 확인된 상태에서, 상기 객체 출력 모드 정보에 의해 상기 스케일링 컨트롤이 허락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고 해상도 컨텐츠의 비디오 프레임을 다운 스케일링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디스플레이 사이즈 및 객체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스케일링 비율에 따라 상기 고 해상도 용 객체를 스케일링하여, 상기 다운 스케일링된 비디오 프레임에 믹싱하도록 상기 데이터 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처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해상도 컨텐츠를 포함하는 신호를 방송 망을 통해 수신하여 상기 입력부로 입력시키는 수신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여 상기 저 해상도용 객체가 부가된 상기 비디오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처리 장치.
  10. 고해상도 컨텐츠가 기록된 기록 매체가 장착되면,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고해상도 컨텐츠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고해상도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디스플레이 장치의 출력 해상도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출력 해상도가 저해상도라고 판단되면, 상기 고해상도 컨텐츠를 처리하여 비디오 프레임을 생성하고, 상기 고해상도 컨텐츠에 대응되는 객체를 저 해상도용 객체로 구성하여 상기 비디오 프레임에 부가하는 프레임 생성 단계; 및
    상기 저 해상도 용 객체가 부가된 비디오 프레임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생성 단계는,
    디스플레이 특성 정보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 해상도가 저해상도로 식별되면, 상기 고 해상도 컨텐츠의 비디오 프레임을 다운 스케일링하고 고 해상도 용 객체 또는 저 해상도용 객체 중 상기 저 해상도용 객체를 상기 다운 스케일링된 비디오 프레임에 부가하며,
    상기 고 해상도용 객체 및 상기 저 해상도용 객체는 자막 및 컨텐츠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처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는,
    고 해상도 컨텐츠, 상기 고 해상도 컨텐츠의 타입을 나타내는 타입 정보, 제1 객체, 상기 제1 객체가 고 해상도 용 객체임을 알리기 위한 제1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또는 제1 네비게이션 정보, 제2 객체, 상기 제2 객체가 저 해상도 용 객체임을 알리기 위한 제2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또는 제2 네비게이션 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제1 객체 및 상기 제2 객체는, 자막 및 컨텐츠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처리 방법.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는,
    상기 고 해상도 컨텐츠, 상기 고 해상도 컨텐츠의 타입을 나타내는 타입 정보, 상기 고 해상도 용 객체 및 상기 저 해상도 용 객체를 제공하는 서버 장치에 대한 주소 정보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처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생성 단계는,
    상기 출력 해상도가 저해상도라고 판단되면 상기 고 해상도 컨텐츠의 비디오 프레임을 다운 스케일링하고, 상기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 장치에 액세스하여 상기 저 해상도 용 객체를 수신하며, 수신된 상기 저 해상도 용 객체를 상기 다운 스케일링된 비디오 프레임에 믹싱하는 단계;
    상기 출력 해상도가 상기 고 해상도 컨텐츠에 대응되는 고해상도라고 판단되면, 상기 고 해상도 용 객체를 상기 고 해상도 컨텐츠의 비디오 프레임에 믹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처리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는,
    상기 고 해상도 컨텐츠, 상기 고 해상도 컨텐츠의 타입을 나타내는 타입 정보, 상기 고 해상도 용 객체, 상기 고 해상도 용 객체에 대한 스케일링 컨트롤 여부를 나타내는 객체 출력 모드 정보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처리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생성 단계는,
    상기 출력 해상도가 저해상도이고, 상기 객체 출력 모드 정보에 의해 상기 스케일링 컨트롤이 허락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고 해상도 컨텐츠의 비디오 프레임을 다운 스케일링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사이즈 및 객체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스케일링 비율에 따라 상기 고해상도 용 객체를 스케일링하여, 상기 비디오 프레임에 믹싱하는 단계;
    상기 출력 해상도가 저해상도이고, 상기 객체 출력 모드 정보에 의해 객체에 대한 스케일링 컨트롤이 불허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고 해상도 컨텐츠의 비디오 프레임을 다운 스케일링하고 상기 고 해상도 용 객체를 상기 출력 해상도에 따라 다운 스케일링하여, 상기 비디오 프레임에 믹싱하는 단계;
    상기 출력 해상도가 상기 고 해상도 컨텐츠에 대응되는 고해상도라고 판단되면, 상기 고 해상도 용 객체를 상기 고 해상도 컨텐츠의 비디오 프레임에 믹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처리 방법.
  17. 컨텐츠 처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 transitory readable media)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처리 방법은,
    고해상도 컨텐츠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고해상도 컨텐츠를 처리하여 비디오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비디오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할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 해상도가 저해상도이면, 상기 고해상도 컨텐츠에 대응되는 객체를 저 해상도용 객체로 구성하여 상기 비디오 프레임에 부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생성 단계는,
    디스플레이 특성 정보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 해상도가 저해상도로 식별되면, 상기 고 해상도 컨텐츠의 비디오 프레임을 다운 스케일링하고 고 해상도 용 객체 또는 저 해상도용 객체 중 상기 저 해상도용 객체를 상기 다운 스케일링된 비디오 프레임에 부가하며,
    상기 고 해상도용 객체 및 상기 저 해상도용 객체는 자막 및 컨텐츠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
  18. 삭제
KR1020120110336A 2012-10-04 2012-10-04 고 해상도 컨텐츠를 처리하는 컨텐츠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Active KR102028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336A KR102028696B1 (ko) 2012-10-04 2012-10-04 고 해상도 컨텐츠를 처리하는 컨텐츠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US13/868,173 US9131098B2 (en) 2012-10-04 2013-04-23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for processing high resolution content and method thereof
EP13165201.8A EP2717566B1 (en) 2012-10-04 2013-04-24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for processing high resolution content and method thereof
PCT/KR2013/003874 WO2014054845A1 (en) 2012-10-04 2013-05-03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for processing high resolution content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336A KR102028696B1 (ko) 2012-10-04 2012-10-04 고 해상도 컨텐츠를 처리하는 컨텐츠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4235A KR20140044235A (ko) 2014-04-14
KR102028696B1 true KR102028696B1 (ko) 2019-10-07

Family

ID=48193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0336A Active KR102028696B1 (ko) 2012-10-04 2012-10-04 고 해상도 컨텐츠를 처리하는 컨텐츠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131098B2 (ko)
EP (1) EP2717566B1 (ko)
KR (1) KR102028696B1 (ko)
WO (1) WO20140548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55760B2 (ja) * 2013-07-16 2018-01-1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記録媒体、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05338394B (zh) * 2014-06-19 2018-11-30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字幕数据的处理方法及系统
MX368827B (es) * 2014-08-07 2019-10-18 Sony Corp Dispositivo de transmision, metodo de transmision y dispositivo de recepcion.
CN104185058A (zh) * 2014-08-25 2014-12-03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区别智能电视4k模式及2k模式的方法
KR102189647B1 (ko) * 2014-09-02 2020-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12511833A (zh) 2014-10-10 2021-03-16 索尼公司 再现装置
US10034047B2 (en) 2014-12-11 2018-07-2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supplementary content from WFD
KR102317789B1 (ko) * 2015-02-12 2021-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하나의 이미지로부터 다양한 해상도를 갖는 이미지들을 생성할 수 있는 스케일러 회로와 이를 포함하는 장치들
WO2017006948A1 (ja) * 2015-07-09 2017-01-12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受信方法、送信装置および送信方法
WO2017086509A1 (ko) * 2015-11-19 2017-05-26 주식회사 동운인터내셔널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복합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식 저장매체
US10750217B2 (en) * 2016-03-21 2020-08-18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receiving device and method
US10958695B2 (en) * 2016-06-21 2021-03-23 Google Llc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recommending content based on network conditions
WO2018052021A1 (ja) * 2016-09-14 2018-03-22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CN106792159A (zh) * 2016-12-20 2017-05-3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分辨率设置方法及装置
KR102583929B1 (ko) * 2017-02-24 2023-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587856B1 (en) * 2017-08-24 2020-03-10 Gopro, Inc. Spherical visual content transitions
FR3070566B1 (fr) * 2017-08-30 2020-09-04 Sagemcom Broadband Sas Procede de recuperation d'un fichier cible d'un logiciel d'exploitation et dispositif d'utilisation
CN107493448B (zh) * 2017-08-31 2019-06-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图像处理系统、图像显示方法及显示装置
CN108111912A (zh) * 2017-12-15 2018-06-01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多屏互动中的图像传输方法、终端及存储介质
US11606528B2 (en) * 2018-01-03 2023-03-14 Saturn Licensing Llc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ATSC) 3.0 latency-free display of content attribute
US10643298B2 (en) * 2018-02-14 2020-05-05 Realtek Semiconductor Corporation Video processing system and processing chip
CN108401125B (zh) * 2018-02-28 2020-04-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视频数据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11463747B2 (en) * 2018-04-05 2022-10-04 Tvu Network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real time control of a remote video production with multiple streams
US10966001B2 (en) 2018-04-05 2021-03-30 Tvu Networks Corporation Remote cloud-based video production system in an environment where there is network delay
KR101895495B1 (ko) * 2018-06-01 2018-09-05 (주)보문테크닉스 휘도 및 컬러 조정을 이용한 고해상도 화면 마스킹 시스템
KR102529269B1 (ko) * 2018-06-01 2023-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9922366B (zh) * 2019-03-28 2021-10-29 北京创维海通数字技术有限公司 一种设备参数调整方法、装置、设备及介质
GB2598701B (en) * 2020-05-25 2023-01-25 V Nova Int Lt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11645961B2 (en) 2021-04-05 2023-05-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scaling of display, and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CN113411637B (zh) * 2021-07-05 2022-06-24 北京海誉动想科技股份有限公司 画面处理方法与装置
CN113709510A (zh) * 2021-08-06 2021-11-26 联想(北京)有限公司 高速率数据实时传输方法及装置、设备、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03665A1 (en) 2004-11-12 2006-05-18 Andrew Opala Method and system for streaming documents, e-mail attachments and maps to wireless devices
US20060139371A1 (en) 2004-12-29 2006-06-29 Funmail, Inc. Cropping of images for display on variably sized display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7503B1 (ko) * 1998-10-29 2002-01-15 오길록 다중해상도 비디오 장치 및 그의 다중해상도 비디오 데이터서입 및 독출 방법
KR100888587B1 (ko) * 2001-09-27 2009-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데이터가 기록된 정보저장매체, 그 기록방법,기록장치,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
EP1328114A1 (en) 2002-01-10 2003-07-16 Canal+ Technologies Société Anonyme Image resolution management in a receiver/decoder
US8737810B2 (en) 2002-11-15 2014-05-27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cropping of subtitle elements
WO2004091198A1 (ja) 2003-04-09 2004-10-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sd合成画像復号装置、osd合成画像復号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20040099058A (ko) 2003-05-17 2004-1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브타이틀 처리 방법, 그 재생 장치 및 그 정보저장매체
JP2005142654A (ja) 2003-11-04 2005-06-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送信装置および映像受信装置
TWI262725B (en) 2005-06-30 2006-09-21 Cheertek Inc Video decoding apparatus and digital audio and video display system capable of controlling presentation of subtitles and method thereof
KR100699265B1 (ko) 2005-07-25 2007-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8166011B2 (en) * 2005-10-03 2012-04-24 Personalized Business Products, Inc.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ally managing individual and business information
US20070080971A1 (en) * 2005-10-06 2007-04-12 Sung Chih-Ta S Method and apparatus of image buffer compression for display device
KR20070059313A (ko) * 2005-12-06 2007-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애플리케이션 스케일링 기능을 갖는 멀티미디어 시스템 및애플리케이션 스케일링 방법과 그 방법을 수행하는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JP2007325040A (ja) 2006-06-01 2007-12-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記録装置
JP2008270936A (ja) * 2007-04-17 2008-11-06 Nec Electronics Corp 画像出力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20080279535A1 (en) 2007-05-10 2008-11-13 Microsoft Corporation Subtitle data customization and exposure
CN101542623B (zh) 2007-06-06 2013-03-2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再现装置、再现方法、程序
EP2012532A3 (en) 2007-07-05 2012-02-15 Hitachi Ltd. Video displaying apparatus,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video signal processing method
EP2048666A1 (en) 2007-10-12 2009-04-15 Magix Ag System and Method of automatically creating a multi/hybrid multimedia storage medium
KR20100012219A (ko) * 2008-07-28 2010-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
EP2890149A1 (en) * 2008-09-16 2015-07-01 Inte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video/multimedia rendering, composition, and user-interactivity
KR20100126073A (ko) * 2009-05-22 2010-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US7974233B2 (en) * 2009-07-29 2011-07-05 Wiviu Technolog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streams with feedback information over a lossy network
TW201233169A (en) 2011-01-25 2012-08-01 Hon Hai Prec Ind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subtitle of television program
TWI443643B (zh) * 2011-05-25 2014-07-01 Mstar Semiconductor Inc 可減少影像縮放次數的顯示控制裝置及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03665A1 (en) 2004-11-12 2006-05-18 Andrew Opala Method and system for streaming documents, e-mail attachments and maps to wireless devices
US20060139371A1 (en) 2004-12-29 2006-06-29 Funmail, Inc. Cropping of images for display on variably sized display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31098B2 (en) 2015-09-08
EP2717566A3 (en) 2014-04-23
WO2014054845A1 (en) 2014-04-10
EP2717566B1 (en) 2018-09-19
US20140098289A1 (en) 2014-04-10
EP2717566A2 (en) 2014-04-09
KR20140044235A (ko) 2014-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8696B1 (ko) 고 해상도 컨텐츠를 처리하는 컨텐츠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987820B1 (ko) 고 해상도 컨텐츠를 처리하는 컨텐츠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US9380280B2 (en) Recording medium, reproducing device for providing service based on data of recording medium, and method thereof
US8660402B2 (en) 3D mode selection mechanism for video playback
RU2367012C2 (ru) Носитель данных для хранения потока интерактивных графических данных, активизируемый в ответ на пользовательскую команду,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EP2380357B2 (en) Method and device for overlaying 3d graphics over 3d video
US871741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897169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EP2282551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090066320A (ko) 3차원 그래픽 데이터의 생성
CN102292994A (zh) 用于在视频接口上发送以及用于合成3d视频与3d覆盖的方法和系统
US2013034264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WO2012127824A1 (ja) 眼鏡、立体視映像処理装置、システム
CN102484683A (zh) 用于处理视频数据的设备和方法
US922595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10025467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10025368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140099065A1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recording medium and method thereof
KR20140057135A (ko) 기록 매체, 그 기록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록 매체 재생 장치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40044258A (ko) 기록 매체 재생 장치 및 그 재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0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9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10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4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26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9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9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