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28605B1 - Intake duct with a blowing mode changing door and blower unit for a vehicle - Google Patents

Intake duct with a blowing mode changing door and blower unit for a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8605B1
KR102028605B1 KR1020140011361A KR20140011361A KR102028605B1 KR 102028605 B1 KR102028605 B1 KR 102028605B1 KR 1020140011361 A KR1020140011361 A KR 1020140011361A KR 20140011361 A KR20140011361 A KR 20140011361A KR 102028605 B1 KR102028605 B1 KR 102028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ke duct
inlet
air inlet
pair
seating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13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90561A (en
Inventor
정재오
김용식
박은주
엄부용
이준민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1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8605B1/en
Priority to RU2014106971/11U priority patent/RU145099U1/en
Publication of KR20150090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05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8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8605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8Connections between hous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1/00671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085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of air inta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092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of air deflecting or air directing means inside the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2001/00721Air deflecting or air direct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환도어를 구비한 인테이크 덕트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 및 상기 한 쌍의 측벽 사이에서 연장되는 둘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둘레부에는 내기 및 외기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측벽 에 보조유입구가 각각 형성되는 덕트 본체; 및 상기 보조유입구 각각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며 차체와 체결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를 상기 측벽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인테이크 덕트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ake duct having a switching door, and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opposing side walls and a periphery extending between the pair of side walls, wherein the periphery includes internal and external air. A duct body having an inlet formed therein and an auxiliary inlet formed on the pair of side walls; And a bracket including a seating portion arranged to cross each of the auxiliary inlets and having a fastening hole for fastening with the vehicle body, and a pair of support portions for supporting the seating portion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ide wall. .

Description

전환도어를 구비한 인테이크 덕트 및 그를 포함하는 차량용 송풍장치{INTAKE DUCT WITH A BLOWING MODE CHANGING DOOR AND BLOWER UNIT FOR A VEHICLE}INTAKE DUCT WITH A BLOWING MODE CHANGING DOOR AND BLOWER UNIT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전환도어를 구비한 인테이크 덕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차의 공조기에 있어서 외기 또는 내기를 선택적으로 실내로 유입시키기 위한 전환도어를 구비한 인테이크 덕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ake duct having a switching doo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ake duct having a switching door for selectively introducing outside air or internal air into a room in an air conditioner of an automobile.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공조기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외기를 유입하여 실내로 공급하거나, 외기를 차단하고 실내 공기를 재순환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차량 내부에 설치된 공조 케이스는 외기 또는 내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할 수 있는 인테이크 덕트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인테이크 덕트에는 외기 유입구 및 내기 유입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외기 유입구 또는 내기 유입구 중 어느 하나를 차단하는 동시에 다른 하나를 개방시키는 전환도어가 상기 인테이크 덕트 내부에 설치된다.In general, the air conditioner for automobiles can be supplied to the indoor air by supplying the air to the room, or to block the outdoor air and recycle the indoor air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To this end, the air conditioning case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is provided with an intake duct capable of selectively introducing outside air or bet. The intake duct is provided with an outside air inlet and an inside air inlet, respectively, and a switching door for blocking any one of the outside air inlet or the inside air inlet and opening the other is installed inside the intake duct.

이러한 인테이크 덕트의 일예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92677호(발명의 명칭 : 차량용 공조장치)에 개시된 바 있고, 도 1 및 도 2에 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인테이크 덕트(10)는 내기 유입구(11) 및 외기 유입구(12)를 각각 포함하고, 인테이크 덕트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블로워 유닛(20)을 포함하는 스크롤 케이스(22)의 상부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인테이크 덕트(10)의 내부에는 내외기 전환도어(3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내기 유입구 또는 외기 유입구 중 어느 하나는 개방하고 나머지 하나를 페쇄할 수 있도록 한다.An example of such an intake duct has been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8-0092677 (name of the invention: a vehicle air conditioner), which is schematically illustrated in FIGS. 1 and 2. 1 and 2, the intake duct 10 includes an internal air inlet 11 and an external air inlet 12, respectively, and includes a blower unit 20 for sucking air outside the intake duct. It is fixed to the top of the case 22. On the other hand, the inside and outside air conversion door 30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inside of the intake duct 10, so that any one of the inside air inlet or the outside air inlet can be opened and the other one can be closed.

상기 내외기 전환도어(30)는 원통을 1/4로 절단한 형태를 가지며, 도시되지 않은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도 2는 상기 내외기 전환도어(30)가 내기 유입구(11)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내기의 흡입량을 늘리기 위해서 내기 유입구(11)의 측벽에도 보조유입구(13)가 추가적으로 형성된다.The internal and external air conversion door 30 has a form in which a cylinder is cut in a quarter and is driven by a driving motor (not shown). 2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internal / external air conversion door 30 closes the internal air inlet 11, and an auxiliary inlet 13 is additionally formed on the sidewall of the internal air inlet 11 to increase the suction amount of the internal air.

한편, 상기 인테이크 덕트(10)는 상기 스크롤 케이스(22)에 고정되는 것 외에도, 차체에 형성된 고정부(미도시)에 볼트 또는 스크류를 이용하여 고정되며 일반적으로는 상기 내기 유입구의 측벽에 상기 고정부와 체결되기 위한 브라켓이 형성되어 왔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측벽에 보조유입구(13)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브라켓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여, 조립 작업이 어려워지고 충분한 체결강도를 얻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On the other hand, the intake duct 10 is fixed to the scroll case 22, in addition to the fixing portion (not shown) formed in the vehicle body using a bolt or screw and generally the sidewall of the bet inlet Brackets have been formed to be signed with the government. However, when the auxiliary inlet 13 is formed on the side wall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lack of space to install the bracke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ssembly work is difficult and it is difficult to obtain a sufficient fastening strength.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인테이크 덕트의 측면에 보조유입구가 형성된 경우에도 원하는 위치에 브라켓을 설치할 수 있는 인테이크 덕트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t is a technical problem to provide an intake duct that can be installed to the bracket in a desired position even when the auxiliary inlet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intake duct.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 및 상기 한 쌍의 측벽 사이에서 연장되는 둘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둘레부에는 내기 및 외기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측벽 에 보조유입구가 각각 형성되는 덕트 본체; 및 상기 보조유입구 각각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며 차체와 체결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를 상기 측벽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인테이크 덕트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d includes a pair of opposing side walls and a circumference extending between the pair of side walls, the circumference is formed inside and outside air inlet, A duct body having auxiliary inlets formed on the pair of side walls, respectively; And a bracket including a seating portion arranged to cross each of the auxiliary inlets and having a fastening hole for fastening with the vehicle body, and a pair of support portions for supporting the seating portion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ide wall. .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지지부 각각은 상기 둘레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측벽에 대해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Here, each of the pair of supports may be exten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ircumference. In addition, the seating portion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side wall.

또한, 상기 브라켓 중 적어도 하나에는 케이블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케이블 고정부는 상기 안착부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고정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고정 리브는 직사각형의 형태를 갖도록 배치되되, 인접한 두 개의 고정 리브 사이에 고정 홈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brackets may be formed with a cable fixing portion, the cable fixing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xing rib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eating portion. Here, the plurality of fixing ribs may be arranged to have a rectangular shape, and the fixing groove may be formed between two adjacent fixing ribs.

또한, 상기 측벽과 수직한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안착부는 상기 보조유입구를 상기 내기 유입구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1 영역과 상기 외기 유입구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 영역으로 구획하며, 상기 제1 영역의 면적이 상기 제2 영역의 면적보다 크도록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view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ide wall, the seating portion divides the auxiliary inlet into a first region disposed adjacent to the inside air inlet and a second region disposed adjacent to the outside air inlet, and the first region. The area of may be set to be larger than the area of the second area.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 의하면, 내기 유입구 및 외기 유입구가 구비되는 인테이크 덕트; 상기 내기 유입구 및 외기 유입구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내외기 전환도어; 및 상기 인테이크 덕트의 하측에 결합되며, 상기 내기 또는 외기 유입구를 통해 공기를 도입하는 블로워가 구비되는 스크롤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인테이크 덕트는 상기와 같은 인테이크 덕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송풍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intake duct is provided with the internal air inlet and the external air inlet; Internal and external air conversion doors for selectively opening any one of the internal air inlet and the external air inlet; And a scroll case coupled to a lower side of the intake duct and provided with a blower for introducing air through the inside or outside air inlets, wherein the intake duct is any one of the intake ducts as described above. A blower is provided.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보조유입구를 가로지르도록 브라켓이 구비되므로 충분한 설치면적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브라켓이 보조유입구 표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므로 보조유입구로 유입되는 풍량의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because the bracket is provided to cross the auxiliary inlet, while ensuring a sufficient installation area, the bracket is disposed away from the surface of the auxiliary inlet, so that the amount of air flow into the auxiliary inlet The reduction can be minimized.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 의하면, 상기 브라켓의 지지부가 인테이크 덕트의 둘레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므로 보조유입구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에 대한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since the support portion of the bracket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take duct,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resistance to the flow of air flowing into the auxiliary inlet.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브라켓 중 적어도 하나에 케이블 고정부를 형성함으로써, 인테이크 덕트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케이블을 보다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소음 발생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cable fixing portion in at least one of the brackets,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fix the cable located adjacent to the intake duct, thereby minimizing the generation of noise.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인테이크 덕트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테이크 덕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테이크 덕트의 일 실시예가 구비된 차량용 송풍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일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타측면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 중 선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 중 선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conventional general intake duct.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intake duct shown in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hicle blower equipped with an embodiment of the intake 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showing one sid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FIG.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3.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4.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 in FIG. 4.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테이크 덕트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 embodiment of the intake 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테이크 덕트의 일 실시예(100)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실시예(100)는 내부에 블로워(미도시)가 구비된 스크롤 케이스(110)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스크롤 케이스(110)는 상기 인테이크 덕트의 하단에 구비되는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도시되지 않은 공조기 케이스 내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종래에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스크롤 케이스를 채용할 수 있으므로 그 구체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3, an embodiment 100 of an intake 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and the embodiment 100 is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a scroll case 110 having a blower (not shown) therein. It is. The scroll case 110 serves to deliver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intake duct into the air conditioner case (not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employ any type of scroll case known in the art.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인테이크 덕트(100)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100a)을 갖는다. 상기 측벽(100a)은 대략 부채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사이에는 둘레부(100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둘레부 및 측벽의 하단부는 상기 스크롤 케이스(110)와 연통되는 배출구를 형성하고, 상단부는 각각 외기 유입구(102) 및 내기 유입구(104)를 형성한다. 상기 내기 유입구(104)에는 격자 형태로 연장되는 그릴(106)이 형성되어 부피가 큰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The intake duct 100 has a pair of side walls 100a facing each other. The side wall 100a is formed to have a substantially fan shape, and a circumferential portion 100b is formed therebetween. 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circumference portion and the side wall forms an outlet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scroll case 110, and the upper end portion forms an external air inlet 102 and an internal air inlet 104, respectively. The bet inlet 104 is formed with a grill 106 extending in the form of a grid to block the introduction of bulky foreign matters.

그리고, 상기 외기 유입구(102)는 상기 내기 유입구(104)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도 4를 기준으로 우측 상향으로 배치된다.In addition, the outside air inlet 102 is disposed to face the inside air inlet 104, and is disposed to the right upward based on FIG. 4.

한편, 상기 측벽(100a)에는 각각 보조유입구(108)가 형성된다. 상기 보조유입구(108)는 상기 내기 유입구(104)와 함께 차량의 실내 공기가 상기 인테이크 덕트측으로 유입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인테이크 덕트 내부로 보다 많은 양의 내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보조유입구(108)는 상기 각각의 측벽에 모두 형성되며, 도 4를 기준으로 보면 상기 측벽의 중앙부로부터 내기 유입구(104)와 인접하게 배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auxiliary inlet 108 is formed in the side wall (100a), respectively. The auxiliary inlet 108 is connected to the indoor air of the vehicle together with the internal air inlet 104 to be introduced into the intake duct, and to allow a larger amount of internal air to be introduced into the intake duct. The auxiliary inlet 108 is formed on each of the sidewalls, and based on FIG. 4, the auxiliary inlet 108 is disposed adjacent to the bettor inlet 104 from the center of the sidewall.

상기 인테이크 덕트(100)의 내부에는 내외기 전환도어(120)가 설치된다. 상기 내외기 전환도어(120)는 그 위치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상기 외기 유입구 및 내기 유입구 중 어느 하나를 개방하고 다른 하나는 폐쇄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3 및 도 4에서 상기 내외기 전환도어(120)는 상기 내기 유입구(104)를 폐쇄하고, 외기 유입구(102)를 개방시키는 위치에 놓여져 있다. 이로 인해서, 상기 인테이크 덕트는 외기 유입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보조유입구(108)도 상기 내외기 전환도어(120)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 있게 된다.Inside and outside air conversion doors 120 are installed inside the intake duct 100. The internal and external air conversion door 120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open any one of the outside air inlet and the inside air inlet and close the other according to its position. 3 and 4, the internal and external air conversion doors 120 are positioned to close the internal air inlet 104 and open the external air inlet 102. In FIG. As a result, the intake duct is operated in an outdoor air inflow mode. In this state, the auxiliary inlet 108 is also in a closed state by the internal and external air conversion doors 120.

상기 내외기 전환도어(120)는 상기 한 쌍의 측벽(100a)에 형성된 보스부(미도시)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는 회전축(122)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122)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내외기 전환도어(120)가 회전하게 되는데 이는 도시되지 않은 캠 및 액츄에이터에 의해 이루어진다. 차량의 내부에서 사용자에 의한 전환 조작이 이루어지면, 상기 액츄에이터로 조작 신호가 전달되고 이에 따라 캠이 회전하면서 상기 내외기 전환도어(120)를 회전시켜 내기 순환 또는 외기 유입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서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The internal and external air conversion door 120 includes a rotation shaft 122 rotatably fastened to a boss portion (not shown) formed on the pair of side walls 100a.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shaft 122, the internal and external air conversion door 120 is rotated by a cam and actuator not shown. When a switch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a user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n oper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actuator, and the cam rotates accordingly, thereby rotating the internal / external air switching door 120 in any one of the betting circulation or the outside air inflow mode. The operation is made.

상기 인테이크 덕트(100)는 상기 스크롤 케이스(110)의 상부에 스크류 등이 이용하여 체결되어 있지만, 차체 측에도 체결된다. 따라서, 차체측과 스크류 등으로 체결되어야 할 부분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상기 보조유입구(108)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브라켓(130)이 형성된다.The intake duct 100 is fastened by using a screw or the lik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croll case 110, but is also fastened to the vehicle body side. Therefore, a portion to be fastened with a vehicle body side and a screw is necessary, and for this purpose, a bracket 130 is formed to cross the auxiliary inlet 108.

상기 브라켓(130)은 상기 보조유입구(108)의 외주부 중 임의의 두 지점을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도 3에서는 상기 보조유입구(108) 중 원호부와 하단의 직선부 사이에서 상기 보조유입구를 가로지르도록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브라켓(130)은 상기 측벽(100a)의 표면으로부터 대략 수직한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지지부(132)와 상기 지지부(132) 사이에서 연장되며 후술할 체결공을 제공하는 안착부(134)를 갖도록 형성된다.The bracket 130 may be formed to connect any two point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auxiliary inlet 108, and in FIG. 3, the auxiliary inlet is formed between an arc portion of the auxiliary inlet 108 and a straight portion at a lower end thereof. It extends across. Specifically, the bracket 130 extends between the support part 132 and the support part 132 extending along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from the surface of the side wall 100a and a seating part 134 which provides a fastening hole to be described later. It is formed to have).

여기서, 상기 브라켓(130)은 상기 인테이크 덕트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별개의 부품으로서 제조된 후 별도의 체결 수단을 통해 인테이크 덕트에 결합되도록 하는 예도 고려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bracket 13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intake duct, but in some cases, may be considered to be coupled to the intake duct through a separate fastening means after being manufactured as a separate component.

상기 안착부(134)는 차체에 구비되는 체결부(미도시)와 맞닿은 상태에서 스크류 등으로 체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스크류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공(135)이 안착부(134) 표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안착부(134)의 표면은 상기 측벽(100a)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의 높이만큼 상기 측벽(100a)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로 인해서, 상기 브라켓(130)이 보조유입구(108)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더라도, 보조유입구를 통한 공기의 유동에 대한 저항을 크게 증가시키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134)가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안정화시키는 역할도 겸할 수 있어, 소음감소에도 유용하다.The seating part 134 is fastened with a screw or the like in contact with a fastening part (not shown) provided in the vehicle body. To this end, a fastening hole 135 for fastening the screw is formed to penetrate the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134. Referring to FIG. 5, the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134 is dispos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sidewall 100a,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sidewall 100a by the height of the support portion. Because of this, even if the bracket 130 is arranged to cross the secondary inlet 108, it may not significantly increase the resistance to the flow of air through the secondary inlet. In addition, the seating portion 134 may also serve to stabilize the flow of air flowing in, it is also useful for noise reduction.

여기서, 상기 안착부가 반드시 상기 측벽과 평행하게 배치될 필요는 없으며, 상기 측벽에 대해서 경사지게 배치되는 예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안착부는 상기 도 5를 기준으로 우측으로 갈수록 측벽과의 간격이 작아지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안착부는 상기 보조유입구로 유입되는 공기가 인테이크 덕트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로서 작용할 수 있다.Here, the seating portion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disposed parallel to the side wall, and an example in which the seating portion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ide wall may be considered. For example, the seating part may be disposed to have a smaller distance from the side wall toward the right side with reference to FIG. 5. In this case, the seating portion may act as a guide to allow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uxiliary inlet to be introduced into the intake duct.

그리고, 상기 안착부(134)의 배면에는 안착부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비드(134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비드(134a)는 상기 안착부(134)의 길이방향을 다라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내기 유입구(104)측으로 상대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됨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보조유입구의 전단부에서 안착부의 전단부 사이의 거리(S1)가 안착부의 후단부와 보조유입구의 후단부 사이의 거리(S2)보다 짧도록, 상기 안착부가 배치된다.A bead 134a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ating part 134 to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seating part. The bead 134a is formed to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ating portion 134. Here, it can be seen that the mounting portion is disposed relatively adjacent to the bet inlet 104 side. That is, the seating portion is disposed such that the distance S1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auxiliary inlet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S2 between the rear end of the seating portion and the rear end of the auxiliary inlet.

상기 S1을 통해서 유입되는 공기는 인접한 내기 유입구(104)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와 충돌하여 공기의 흐름저항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부를 상대적으로 상기 내기 유입구 측으로 인접하도록 배치하여, 브라켓 설치에도 불구하고 공기 흐름저항을 감소시키고 유입되는 풍량을 최대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보조유입구(108)를 통해서 부피가 큰 이물질 등이 투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도 겸하게 된다.The air flowing through the S1 may collide with the air flowing from the adjacent bet inlet 104 to increase the flow resistance of the air.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by arranging the seating portion relatively adjacent to the bet inlet sid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ir flow resistance and maximize the amount of air flow in spite of the bracket installation. In addition, the bracket also serves to block the introduction of bulky foreign matter through the auxiliary inlet 108.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부(13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둘레부의 길이방향, 즉 상기 측벽(100a)에 대략 수직한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며, 상기 안착부(134)에는 체결홀(135)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홀(135)의 하부, 즉 상기 안착부(134)의 배면에는 보스부(135a)가 형성되어, 스크류 등과 같은 체결부재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6,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part 132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ircumference part, that is, the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ide wall 100a, and the fastening hole 135 in the seating part 134. ) Is formed. The lower portion of the fastening hole 135, that is, the boss portion 135a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134, so that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screw can be stably supported.

여기서, 상기 지지부는 반드시 상기 측벽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필요는 없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측벽에 대해서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부는 상기 측벽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서로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서, 상기 안착부의 길이를 축소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안착부의 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보조유입구의 면적이 충분히 큰 경우에는 상기 지지부를 형성하지 않는 예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안착부가 상기 측벽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므로, 인테이크 덕트의 제조 및 유지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Here, the support portion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ide wall, and in some cases, may be disposed in an incline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ide wall. For example, the support portion may be arranged such that the distance from each other becomes narrower as it moves away from the side wall.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ength of the seating portion,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rigidity of the seating portion. In addition, when the area of the auxiliary inlet is sufficiently large, an example of not forming the support may be considered. In this case, since the seating portion is disposed on the same plane as the side wall, the manufacturing and maintenance of the intake duct can be more easily performed.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내외기 전환도어는 액츄에이터에 의해 구동되는데, 이러한 액츄에이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전력 및 제어신호는 상기 액츄에이터와 연결되는 케이블에 의해 전달된다. 일반적으로,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케이블은 단선을 피하고 이웃한 구성요소들과의 충돌로 인한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두꺼운 피복을 구비할 뿐만 아니라, 커넥터 등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이 차량 주행중에 움직이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케이블 고정부가 차량 내부에 구비되는데,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브라켓이 케이블 고정부를 제공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internal and external air switching doors are driven by an actuator, and power and control signals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actuator are transmitted by a cable connected to the actuator. In general, cables installed inside a vehicle are not only provided with a thick coating to avoid disconnection and to prevent noise due to collisions with neighboring components, but also b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a connector or the like. Therefore, a cable fixing part is provided inside the vehicle for stably fixing the cable without moving while driving the vehicle. In this embodiment, the bracket may be utilized to provide the cable fixing part.

도 7은 이러한 케이블 고정부가 상기 브라켓에 구비된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브라켓(130)의 안착부(134) 표면에 제1 및 제2 고정리브(136a, 136b)를 포함하는 케이블 고정부(13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고정리브(136a)는 일측면이 개방된 직사각형의 벽체의 형태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제2 고얼리브(136b)는 기본적으로는 상기 제1 고정리브와 동일한 형태를 갖지만, 제2 고정리브의 말단부가 상기 제1 고정리브의 말단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서, 두 개의 고정리브 사이에 홈(136c)이 형성되고, 상기 홈은 케이블이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 홈(136c)으로서 기능한다. 아울러, 상기 제1 고정 리브와 제2 고정 리브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은 케이블 들을 전기적으로 체결하는 커넥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공간으로서 활용된다.FIG. 7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cable fixing part is provided in the bracket. Referring to FIG. 7, the cable fixing part includes first and second fixing ribs 136a and 136b on the mounting part 134 surface of the bracket 130. The cable fixing part 136 is formed. The first fixed rib 136a has a shape of a rectangular wall with one side open, and the second go rib 136b basically has the same shape as the first fixed rib, but has a second fixed rib. The distal end of is disposed to face the distal end of the first fixed rib. As a result, a groove 136c is formed between the two fixing ribs, and the groove functions as the fixing groove 136c to which the cable is fitted and fixed. In addition, the space formed by the first fixing rib and the second fixing rib is utilized as a space into which the connector for electrically fastening the cables is inserted and fixed.

상기 제1 및 제2 고정리브는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브라켓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별개의 부품으로 제조되어 상기 브라켓에 체결되도록 하는 예도 고려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fixing ribs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racket as shown in FIG. 7, but in some cases, an example of manufacturing the first and second fixing ribs as a separate part may be considered.

상술한 예에서 하나의 보조유입구에 대해서 하나의 브라켓이 구비되어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 개의 브라켓이 하나의 보조유입구에 구비되는 예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에 구비되는 안착부의 강성이 유지되는 한도 내에서, 상기 안착부에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복수 개의 통기공을 형성하는 예도 고려할 수 있다. 생성된 통기공은 브라켓 형성으로 인한 공기의 흐름 저항 증가를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In the above-described example, although one bracket is provided for one auxiliary inlet,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brackets are provided in one auxiliary inlet may be considered.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consider an example of forming a plurality of vent holes through which air can pass through the mounting portion within the limit that the rigidity of the mounting portion provided in the bracket is maintained. The resulting vent serves to minimize the increase in air flow resistance due to the bracket formation.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브라켓은 인테이크 덕트의 대략 상하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좌우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예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반드시 두 개일 필요는 없고, 3개 이상의 지지부를 갖는 예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안착부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I"자 형태를 갖거나, "T", "Y" 또는 "X"와 같은 임의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 the bracket extends along an approximately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intake duct, but in some cases, an example may be extended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addition, the support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two, and an example having three or more supports may be considered. In this case, the seating portion may also have a "I" shape as shown, or may have any shape such as "T", "Y" or "X".

Claims (10)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 및 상기 한 쌍의 측벽 사이에서 연장되는 둘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둘레부에는 내기 및 외기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측벽 에 보조유입구가 각각 형성되는 덕트 본체; 및
상기 보조유입구 각각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며 차체와 체결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를 상기 측벽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인테이크 덕트.
A duct body including an opposite pair of side walls and a circumferential portion extending between the pair of side walls, wherein the circumferential portion is formed with an inlet and an outside air inlet, and an auxiliary inlet is formed in the pair of side walls, respectively; And
And a bracket including a seating portion disposed to cross each of the auxiliary inlets, and a mounting portion having a fastening hole for fastening with the vehicle body, and a pair of support portions for supporting the seating portion from the side wa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부 각각은 상기 둘레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이크 덕트.
The method of claim 1,
Each of the pair of supports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ircumferen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측벽에 대해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이크 덕트.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seating portion is disposed parallel to the side wa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의 상기 보조유입구를 바라보는 면에는, 안착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비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이크 덕트.
The method of claim 1,
An intake duct, characterized in that a bea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ating portion is formed on the surface facing the auxiliary inlet of the seat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의 둘레에는 상기 보조유입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스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이크 덕트.
The method of claim 1,
Intake duct, characterized in that the boss portion extending in the direction toward the auxiliary inlet is formed around the fastening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중 적어도 하나에는 케이블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이크 덕트.
The method of claim 1,
Intake duct, characterized in that the cable fixing portion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bracket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고정부는 상기 안착부로부터 상기 보조유입구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고정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이크 덕트.
The method of claim 6,
And the cable fixing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fixing ribs protruding from the seating par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auxiliary inle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고정 리브는 직사각형의 형태를 갖도록 배치되되, 인접한 두 개의 고정 리브 사이에 고정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이크 덕트.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lurality of fixing ribs are arranged to have a rectangular shap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groove is formed between two adjacent fixing rib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과 수직한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안착부는 상기 보조유입구를 상기 내기 유입구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1 영역과 상기 외기 유입구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 영역으로 구획하며, 상기 제1 영역의 면적이 상기 제2 영역의 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이크 덕트.
The method of claim 1,
When viewed from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ide wall, the seating portion divides the auxiliary inlet into a first region disposed adjacent to the inside air inlet and a second region disposed adjacent to the outside air inlet, and an area of the first region. An intake duct, which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second region.
내기 유입구 및 외기 유입구가 구비되는 인테이크 덕트;
상기 내기 유입구 및 외기 유입구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내외기 전환도어; 및
상기 인테이크 덕트의 하측에 결합되며, 상기 내기 또는 외기 유입구를 통해 공기를 도입하는 블로워가 구비되는 스크롤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인테이크 덕트는 상기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송풍장치.
An intake duct having an internal air inlet and an external air inlet;
Internal and external air conversion doors for selectively opening any one of the internal air inlet and the external air inlet; And
And a scroll case coupled to a lower side of the intake duct and provided with a blower for introducing air through the inside or outside air inlets.
The intake duct is a vehicle blow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KR1020140011361A 2014-01-29 2014-01-29 Intake duct with a blowing mode changing door and blower unit for a vehicle Active KR1020286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361A KR102028605B1 (en) 2014-01-29 2014-01-29 Intake duct with a blowing mode changing door and blower unit for a vehicle
RU2014106971/11U RU145099U1 (en) 2014-01-29 2014-02-26 SWITCH-INTAKE AIR INTAKE AND VEHICLE DEVICE FOR A VEHICLE WITH SUCH AN AIR INTAK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361A KR102028605B1 (en) 2014-01-29 2014-01-29 Intake duct with a blowing mode changing door and blower unit for a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0561A KR20150090561A (en) 2015-08-06
KR102028605B1 true KR102028605B1 (en) 2019-10-07

Family

ID=51540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1361A Active KR102028605B1 (en) 2014-01-29 2014-01-29 Intake duct with a blowing mode changing door and blower unit for a vehicl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28605B1 (en)
RU (1) RU145099U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5208B1 (en) * 2015-10-30 2022-09-2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Blower for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174Y2 (en) * 1988-07-14 1995-06-14 日野自動車工業株式会社 Car blower
KR100942529B1 (en) * 2003-07-25 2010-02-17 한라공조주식회사 Air blower for car air conditioner
KR101260523B1 (en) * 2007-03-14 2013-05-06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Actuator Mounting for Rotary Type Intake Do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145099U1 (en) 2014-09-10
KR20150090561A (en) 2015-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74084B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36694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CN112055667B (en)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EP2226576B1 (e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KR20170063653A (en) Upright air conditioner with swing louvers
JP6810284B2 (en) Casing assembly of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and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1740535B1 (en) Louver for air conditioning
EP1975519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20210094856A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CN110595050A (en) Sliding door assembly of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with same
KR102028605B1 (en) Intake duct with a blowing mode changing door and blower unit for a vehicle
JP4661068B2 (en) Duct fan
KR101611327B1 (en) Stand type air conditioner
JP3641724B2 (e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KR20200049082A (en) Sliding typ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ir vents for vehicles
KR102121971B1 (en) Intake system of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JPH0861690A (en) Air conditioner makeup panel
KR20110019218A (en) Air conditioner
KR102428763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KR20050032861A (en) Air conditioner
CN219913233U (en) Air conditioner
JP4300666B2 (en) Floor-mounted air conditioner
KR20190032941A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1702111B1 (en) Pop-up type airvent
EP3614057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1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1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3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23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9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9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